KR102196304B1 - 백반 자동 취사기 - Google Patents

백반 자동 취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304B1
KR102196304B1 KR1020200153735A KR20200153735A KR102196304B1 KR 102196304 B1 KR102196304 B1 KR 102196304B1 KR 1020200153735 A KR1020200153735 A KR 1020200153735A KR 20200153735 A KR20200153735 A KR 20200153735A KR 102196304 B1 KR102196304 B1 KR 10219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ice
container
lid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우
Original Assignee
이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우 filed Critical 이철우
Priority to KR1020200153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3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304B1/ko
Priority to CN202111128983.3A priority patent/CN113876187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9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4Supports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반 자동 취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편리하게 일회용 종이용기에 자동으로 백반을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한 백반 자동 취사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틀 형태로 구비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백반용기가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스팀용기; 상기 스팀용기 내에 안착되어 쌀과 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백반용기; 상기 스팀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스팀뚜껑승강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개폐시키는 스팀뚜껑; 상기 스팀용기와 스팀뚜껑을 잠금시키는 잠금수단; 상기 스팀용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팀용기이송수단; 상기 스팀용기에 안착되는 백반용기에 쌀과 물을 공급하는 쌀/물공급부; 상기 스팀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며, 고온의 스팀을 발생하여 상기 스팀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공급부; 및 상기 스팀뚜껑승강수단, 스팀용기이송수단, 잠금수단, 쌀/물공급부 및 스팀발생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 자동 취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백반 자동 취사기{Rice automatic cooker}
본 발명은 백반 자동 취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에서 편리하게 일회용 종이용기에 자동으로 백반을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한 백반 자동 취사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취사방법, 즉 밥을 짓는 방법은 쌀통에서 쌀을 소정의 양만큼의 용기에 인출한 후 그 용기에서 수차에 걸쳐 반복 세척한 후 전기밥솥을 포함한 전자밥솥에 안치하거나 압력밥솥 또는 통상의 솥에 안치한 후 화력을 제공함으로써 밥을 짓도록 하였었다.
이러한 인위적인 취사방법은 다음의 문제들이 결점으로 지적된다.
모든 공정을 인위적으로 실시하여야 하기 때문에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이로 인하여 노약자나 어린이들이 취사를 하기가 용이치 못하다는 것이다.
특히 현세대는 핵가족화되고 또 직장을 갖는 주부와 단독생활을 하는 성인남녀의 직장인과 학생들에 있어서 취사 특히 밥을 짓는 일이라는 것이 용이치 못하다는 것이고, 밥을 짓는데에는 다소간의 시간과 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늦게 귀가하는 독신 또는 핵가족들에 있어서는 더욱더 많은 불편을 느끼고 있다는 것이다.
더군다나 현재의 시대가 거의 모든 생활을 컴퓨터와 전화에 의해 외부에서도 집안의 일을 처리할 수 있도록 변화되어가고 있음에 비추어 볼때 취사방법 특히 밥을 짓는 방법이 다변화하는 현실에서도 불구하고 다분히 진부적일 수 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443782호가 등록된 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가정에서 편리하게 일회용 종이용기에 자동으로 백반을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일회용 종이용기를 사용함에 따라 설거지를 할 필요 없음에 따라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백반 자동 취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틀 형태로 구비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백반용기가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스팀용기; 상기 스팀용기 내에 안착되어 쌀과 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백반용기; 상기 스팀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스팀뚜껑승강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개폐시키는 스팀뚜껑; 상기 스팀용기와 스팀뚜껑을 잠금시키는 잠금수단; 상기 스팀용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팀용기이송수단; 상기 스팀용기에 안착되는 백반용기에 쌀과 물을 공급하는 쌀/물공급부; 상기 스팀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며, 고온의 스팀을 발생하여 상기 스팀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공급부; 및 상기 스팀뚜껑승강수단, 스팀용기이송수단, 잠금수단, 쌀/물공급부 및 스팀발생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 자동 취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 스팀뚜껑승강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 상면에 일단부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스팀뚜껑을 지지하는 스팀뚜껑지지판; 상기 스팀뚜껑지지판의 타단부 양측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봉; 상기 한 쌍의 수직봉의 하단부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연결해주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에 관통 결합된 상태로 회전원판에 고정되어 연결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편;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 하면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고정 구비되어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모터축이 노출되도록 관통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축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수직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스팀용기의 상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락홈과, 상기 스팀뚜껑의 외측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테두리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회전가이드돌기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재와, 상기 스팀뚜껑의 외측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테두리 하면에는 락부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전후가이드돌기에 걸리는 돌턱이 형성되고, 테두리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돌기가 관통되는 장홈이 형성되어 락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플레이트와, 스팀뚜껑을 지지하는 스팀뚜껑지지판의 상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락부재 및 스팀뚜껑지지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가이드부재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잠금수단은 오작동시 스팀용기를 밀폐하고 있는 스팀뚜껑을 수동으로 오픈시킬 수 있는 수동오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수동오픈수단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플레이트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에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와이어고정돌부와, 상기 제1와이어고정돌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중단부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돌기에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된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고정돌부에 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와이어의 걸림부에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걸림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조작부가 형성된 제2와이어와, 상기 스팀뚜껑을 수동으로 오픈 시 스팀뚜껑지지판이 상부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팀뚜껑지지판을 받쳐주는 받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수단은 수직봉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 하면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걸림돌부를 받쳐주는 걸림편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원판의 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회전원판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편을 상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용기이송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풀리와, 상기 제1 및 제2풀리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걸어지는 타임벨트와, 상기 제1풀리에 축 결합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풀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스팀용기가 안착되도록 일단부에 용기안착홀이 형성되고, 양측 테두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에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로 상기 타임벨트에 타단부가 안착되는 용기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쌀/물공급부는 쌀을 공급하는 쌀공급수단과,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쌀공급수단은 내부공간이 마련된 쌀통본체와, 상기 쌀통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쌀이 저장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쌀통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호퍼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수용하도록 상면에 쌀투입구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수용된 쌀을 배출하기 위한 쌀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쌀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전진 이동함에 따라 백반용기에 쌀을 투입하는 쌀공급함과, 상기 쌀공급함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쌀공급함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쌀공급함의 측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즐함과, 상기 노즐함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단부가 물탱크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노즐과, 상기 노즐함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팀발생공급부는 물이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스팀본체와, 상기 스팀본체의 내측 테두리에 배치되어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히터와, 상기 스팀본체 내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는 물순환로와, 상기 스팀본체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스팀용기의 하단부에 관통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스팀용기 내에 배출하는 스팀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에서 편리하게 일회용 종이용기에 자동으로 백반을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하고, 일회용 종이용기를 사용함에 따라 설거지를 할 필요 없음에 따라 편의성을 높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반 자동 취사기를 나타낸 백반 자동 취사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팀뚜껑승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적용된 잠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팀용기이송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쌀/물공급부의 쌀공급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쌀/물공급부의 물공급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스팀발생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백반 자동 취사기를 나타낸 백반 자동 취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팀뚜껑승강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적용된 잠금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스팀용기이송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적용된 쌀/물공급부의 쌀공급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쌀/물공급부의 물공급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스팀발생공급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백반 자동 취사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가정에서 편리하게 일회용 종이용기에 쉽고 간편하게 백반을 만들어 먹을 수 있도록 한 백반 자동 취사기에 관한 것으로써, 이와 같은 백반 자동 취사기는 사각틀 형태로 구비되는 본체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백반용기(130)가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스팀용기(120)와, 상기 스팀용기(120) 내에 안착되어 쌀과 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백반용기(130)와, 상기 스팀용기(120)의 개방된 상부를 스팀뚜껑승강수단(200)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개폐시키는 스팀뚜껑(140)과, 상기 스팀용기(120)와 스팀뚜껑(140)을 잠금시키는 잠금수단(300)과, 상기 스팀용기(120)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팀용기이송수단(400)과, 상기 스팀용기(120)에 안착되는 백반용기(130)에 쌀과 물을 공급하는 쌀/물공급부(500)와, 상기 스팀용기(120)의 하부에 구비되며, 고온의 스팀을 발생하여 상기 스팀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공급부(600) 및 상기 스팀뚜껑승강수단(200), 잠금수단(300), 스팀용기이송수단(400), 쌀/물공급부(500) 및 스팀발생공급부(600)를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프레임(110)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상부프레임(111)과 하부프레임(112)과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프레임(113)이 서로 결합되어 사각틀 형태로 구비되며, 상부프레임(111)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레일홈(111a)이 형성된다.
스팀용기(120)는 상부가 개방된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내측면 중앙에는 내부공간에 삽입되는 백반용기(130)가 안착되도록 안착턱(121)이 형성되며, 안착턱(121)의 외주면에는 고온의 스팀이 유동되는 스팀유동홈(122)이 형성되고, 바닥에는 후술되는 스팀발생공급부(600)의 스팀공급관()이 삽입되는 스팀공급관삽입공(123)이 형성된다.
한편, 스팀용기(120)는 고온의 스팀에 의해 열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백반용기(13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는 물과 쌀이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되며, 일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종이용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스팀용 종이용기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스팀뚜껑(140)은 상술한 스팀용기(120)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스팀뚜껑승강수단(200)에 의해 상하 이동하면서 스팀용기(12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시키는 것으로써, 이와 같은 스팀뚜껑(140)의 상부 중앙에는 후술되는 회전플레이트(330)에 돌출 형성된 제2와이어고정돌부(363)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회전플레이트(330)의 좌우 회전방향으로 함께 회전되면서 증기를 배출시키는 증기배출부재(141)가 구비된다.
한편, 스팀뚜껑(140)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열변형이 일어나지 않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도 5를 참조하면, 스팀뚜껑승강수단(200)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 상면에 일단부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스팀뚜껑(140)을 지지하는 스팀뚜껑지지판(210)과, 상기 스팀뚜껑지지판(210)의 타단부 양측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봉(220)과, 상기 한 쌍의 수직봉(220)의 하단부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연결해주는 연결봉(230)과, 상기 연결봉(230)에 관통 결합된 상태로 회전원판(270)에 고정되어 연결봉(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직봉(220)을 상하 이동시키는 연결편(240)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상측 하면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25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50)의 후면에 고정 구비되어 지지플레이트(250)의 전면으로 모터축(261)이 노출되도록 관통되는 구동모터(260) 및 상기 구동모터(260)의 모터축(261)에 축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수직봉(22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원판(2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회전원판(270)이 구동모터(260)의 구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회전원판(270)에 고정된 연결편(240)이 회전원판(27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하게되면 수직봉(220) 상부로 밀려 올라가 스팀뚜껑지지판(210)을 상부로 회전시켜 스팀뚜껑(140)이 열어진 상태로 구비되고, 재차 회전원판(270)이 회전하여 연결편(240)이 회전원판(27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부에 위치하게되면 수직봉(220)이 하부로 밀려 내려가 스팀뚜껑지지판(210)을 하부로 회전시켜 스팀뚜껑(140)이 스팀용기(12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어 밀폐시킨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잠금수단(300)은 상기 스팀용기(120)의 상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락홈(310)과, 상기 스팀뚜껑(140)의 외측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테두리에는 결합공(321a)이 형성된 걸림편(321)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회전가이드돌기(322)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재(320)와, 상기 스팀뚜껑(140)의 외측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전가이드부재(320)의 상부에 구비되며, 테두리 하면에는 락부재(340)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전후가이드돌기(341)에 걸리는 돌턱(331)이 형성되고, 테두리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돌기(322)가 관통되는 장홈(332)이 형성되어 락부재(34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플레이트(330)와, 상기 스팀뚜껑(140)을 지지하는 스팀뚜껑지지판(210)의 상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면에 전후가이드돌기(341)이 돌출 형성되는 락부재(340) 및 스팀뚜껑지지판(21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32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가이드부재회전수단(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회전가이드부재회전수단(350)은 스팀뚜껑지지판(210)의 상단면 일측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대(351)와, 상기 한 쌍의 고정대(351) 상부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고정되어 가이드바(352)와, 상기 한 쌍의 고정대(352)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외측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바(353)와, 상기 볼트바(353)에 장착된 상태로 회전가이드부재(320)의 걸림편(321)에 형성된 결합공(321a)에 하단부가 고정 결합되어 볼트바(353)의 회전방향에 따라 가이드바(352)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하면서 회전가이드부재(320)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회전이송핀(354)과, 상기 볼트바(353)를 좌우로 회전시키는 모터부(3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회전가이드부재회전수단(350)의 회전이송핀(354)이 모터부(355)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볼트바(353)에 의해 가이드바(352)의 가이드를 받으며 일방향으로 전진이동함에 따라 회전이송핀(354)이 회전가이드부재(3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가이드부재(320)가 함께 회전되므로 회전가이드부재(320)의 돌턱(331)에 락부재(340)의 전후가이드돌기(341)가 걸려 전진 이동되어 락홈(310)에 삽입되므로 스팀용기(120)에 스팀뚜껑(140)이 잠궈지고, 반대로 볼트바(353)가 역회전하면 회전이송핀(354) 후진이동함에 따라 회전가이드부재(32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킴과 동시에 회전가이부재(320)가 함께 회전시키므로 락홈(310)에 삽입되었던 락부재(340)가 빠져나오면서 잠금이 해제되는 것이다.
한편, 잠금수단(300)은 오작동시 스팀용기(120)를 밀폐하고 있는 스팀뚜껑(140)을 수동으로 오픈시킬 수 있는 수동오픈수단(36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동오픈수단(360)은 상기 회전플레이트(330)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플레이트(330)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361)와, 상기 회전플레이트(330)의 상면에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와이어고정돌부(362)(363)와, 상기 제1와이어고정돌부(362)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중단부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돌기(322)에 걸어지는 걸림부(364a)가 형성된 제1와이어(364)와, 상기 제2와이어고정돌부(363)에 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와이어(364)의 걸림부(364a)에 접촉되는 접촉부(365a)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걸림부(364a)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조작부(365b)가 형성된 제2와이어(365)와, 상기 스팀뚜껑(140)을 수동으로 오픈 시 스팀뚜껑지지판(210)이 상부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팀뚜껑지지판(210)을 받쳐주는 받침수단(3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받침수단(370)은 수직봉(220)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돌부(371)와, 지지플레이트(250)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걸림돌부(371)를 받쳐주는 걸림편(372)과, 상기 회전원판(270)의 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373)과, 상기 지지플레이트(250)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373)에 삽입되어 회전원판(270)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편(372)을 상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핀(37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스팀용기이송수단(400)은 상술한 본체프레임(110)의 상부프레임(111)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풀리(410)(420)와, 상기 제1 및 제2풀리(410)(420)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걸어지는 타임벨트(430)와, 상기 제1풀리(410)에 축 결합되며, 제어부(7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풀리(410)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440) 및 스팀용기(120)가 안착되도록 일단부에 용기안착홀(451)이 형성되고, 양측 테두리는 상기 상부프레임(111)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111a)에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로 상기 타임벨트(430)의 상부에 타단부가 안착되는 용기받침판(4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쌀/물공급부(500)는 쌀을 공급하는 쌀공급수단(510)과,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쌀공급수단(510)은 내부공간이 마련된 쌀통본체(511)와, 상기 쌀통본체(511)의 상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쌀이 저장되는 호퍼부(512)와, 상기 호퍼부(512)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쌀통본체(51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호퍼부(512)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수용하도록 상면에 쌀투입구(513a)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수용된 쌀을 배출하기 위한 쌀배출구(513b)가 형성되며, 상기 쌀배출구(513b)를 개폐시키는 쌀배출구개폐수단(530)이 구비되어 전진 이동함에 따라 백반용기에 쌀을 투입하는 쌀공급함(513)과, 상기 쌀공급함(513)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쌀공급함이송수단(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쌀배출구개폐수단(530)은 쌀배출구(513b)에 전후 슬라이드 이동되게 구비되는 쌀개폐판(531)과, 상기 쌀개폐판(531)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타단부가 쌀통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는 탄성스프링(5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쌀개폐판(531)이 전진 이동하여 쌀배출구(513b)가 백반용기(13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면 쌀개폐판(531b)이 탄성스프링(532)이 담김에 의해 열리게되어 쌀배출구(513b)를 개방하여 쌀을 배출시키고, 재차 후진 이동하면 쌀개폐판(531b)이 쌀배출구(513b)를 닫아주어 폐쇄시켜준다.
쌀공급함이송수단(540)은 모터축(541a)이 양단부가 돌출되게 내부에 구동모터(541)가 구비되며, 양단부 외측면에는 가로방향으로 제1 및 제2슬라이드홈(542a)(542b)이 형성되는 모터외함(542)과, 상기 모터외함(542)에 돌출된 모터축(541a)의 일측에 축 결합되는 제1링크연결부재(543)와, 상기 모터외함(542)의 하단부에 관통되어 고정되는 고정지지축(544)과, 상기 고정지지축(544)의 일단부에 하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1링크연결부재(543)에 중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는 상기 제1슬라이드홈(542a)을 통해 쌀공급함(513)의 측면에 고정되어 구동모터(541)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쌀공급함(513)을 전후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링크부재(54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모터축(541a)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링크부재(545)가 함께 회전되어 제1링크부재(545)의 상단부가 제1슬라이드홈(542a)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쌀공급함(513)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이다.
물공급수단(520)은 상기 쌀공급함의 측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일단부가 물탱크(522)에 연결되어 공급펌프(미도시)를 통해 타단부 하단면에 형성된 물분사구(미도시)를 통해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노즐(521)과, 상기 물공급노즐(52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이송수단(5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노즐이송수단(550)은 상술한 물공급노즐(521)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쌀공급함(513)의 전면에 밀착되는 밀착걸림편(551)과, 물공급노즐(521)의 측면에 돌출되어 제2슬라이드홈(542b)에 돌출되는 걸고리걸림돌부(552)와, 모터외함(542) 내에 구비된 구동모터(541)의 모터축(541a) 타측에 축 결합되는 제2링크연결부재(553)와, 상기 제2링크연결부재(551)에 중단부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상기 걸고리걸림돌부(552)에 걸어지는 걸고리부(554a)가 형성되는 제2링크부재(55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밀착걸림편(551)이 쌀공급함(513)의 전면에 밀착되어 걸린 상태로 구비되어 쌀공급함(513)이 전진 이동함에 따라 물공급노즐(521)이 전진 이동하여 백반용기(130)에 물을 분사하여 공급하고, 공급이 끝나면 모터축(541a)이 회전함에 따라 제2링크부재(554)가 함께 회전되어 제2링크부재(554)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고리부(554a)가 걸고리걸림돌부(552)에 걸어진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걸고리걸림돌부(552)를 뒤로 밀어주어 물공급노즐(521)을 후진 이동시킨다.
스팀발생공급부(600)는 물이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스팀본체(610)와, 상기 스팀본체(610)의 내측 테두리에 배치되어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히터(620)와, 상기 스팀본체(610) 내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는 물순환로(630) 및 상기 스팀본체(610)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스팀용기(120)의 하단부에 관통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스팀용기(120) 내에 배출하는 스팀배출관(6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스팀발생공급부(600)는 스팀용기(120)와 스팀배출관(640)을 통해 연결된 상태로 구비되어 스팀용기(120)와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110 : 본체프레임
120 : 스팀용기 121 : 안착턱 122 : 스팀유동홈 123 : 스팀공급관삽입공
130 : 백반용기
140 : 스팀뚜껑 141 : 증기배출부재
200 : 스팀뚜껑승강수단
210 : 스팀뚜껑지지판 220 : 수직봉 230 : 연결봉
240 : 연결편 250 : 지지플레이트 260 : 구동모터
270 : 회전원판
300 : 잠금수단
310 : 락홈 320 : 회전가이드부재 321 : 걸림편 321a : 결합공
322 : 회전가이드돌기 330 : 회전플레이트 331 : 돌턱
332 : 장홈 340 : 락부재 341 : 전후가이드돌기
350 : 회전가이드부재회전수단 351 : 고정대 352 : 가이드바
353 : 볼트바 354 : 회전이송핀 355 : 모터부
360 : 수동오픈수단 361 : 손잡이부 362 : 제1와이어고정돌부
363 : 제2와이어고정돌부 364 : 제1와이어 364a : 걸림부
365 : 제2와이어 365a : 접촉부 365b : 회전조작부
370 : 받침수단 371 : 걸림돌부 372 : 걸림편 373 : 가이드홈
374 : 가이드핀
400 : 스팀용기이송수단
410 : 제1풀리 420 : 제2풀리 430 : 타임벨트 440 : 회전모터
450 : 용기받침판
500 : 쌀/물공급부
510 : 쌀공급수단 511 : 쌀통본체 512 : 호퍼부 513 : 쌀공급함
513a : 쌀투입구 513b : 쌀배출구 520 : 물공급수단
521 : 물공급노즐 530 : 쌀배출구개폐수단 531 : 쌀개폐판
532 : 탄성스프링 540 : 쌀공급함이송수단 541 : 구동모터
541a : 모터축 542 : 모터외함 542a : 제1슬라이드홈
542b : 제2슬라이드홈 543 : 제1링크연결부재 544 : 고정지지축
545 : 제1링크부재 550 : 노즐이송수단 551 : 밀착걸림편
552 : 걸고리걸림돌부 553 : 제2링크연결부재 553a : 걸고리부
554 : 제2링크부재 554a : 걸고리부
600 : 스팀발생공급부
610 : 스팀본체 620 : 히터 630 : 물순환로 640 : 스팀배출관
700 : 제어부

Claims (7)

  1. 사각틀 형태로 구비되는 본체프레임;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며, 백반용기가 안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스팀용기;
    상기 스팀용기 내에 안착되어 쌀과 물이 수용되도록 상부가 개방된 백반용기;
    상기 스팀용기의 개방된 상부를 스팀뚜껑승강수단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개폐시키는 스팀뚜껑;
    상기 스팀용기와 스팀뚜껑을 잠금시키는 잠금수단;
    상기 스팀용기를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스팀용기이송수단;
    상기 스팀용기에 안착되는 백반용기에 쌀과 물을 공급하는 쌀/물공급부;
    상기 스팀용기의 하부에 구비되며, 고온의 스팀을 발생하여 상기 스팀용기 내부로 공급하는 스팀발생공급부; 및
    상기 스팀뚜껑승강수단, 스팀용기이송수단, 잠금수단, 쌀/물공급부 및 스팀발생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 자동 취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뚜껑승강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 상면에 일단부 양측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스팀뚜껑을 지지하는 스팀뚜껑지지판;
    상기 스팀뚜껑지지판의 타단부 양측에 각각 일단부가 고정되는 한 쌍의 수직봉;
    상기 한 쌍의 수직봉의 하단부에 양단부가 고정되어 연결해주는 연결봉;
    상기 연결봉에 관통 결합된 상태로 회전원판에 고정되어 연결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연결편;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 하면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후면에 고정 구비되어 지지플레이트의 전면으로 모터축이 노출되도록 관통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축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수직봉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회전원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 자동 취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스팀용기의 상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 형성되는 락홈과,
    상기 스팀뚜껑의 외측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테두리에는 결합공이 형성된 걸림편이 형성되며, 상면에는 회전가이드돌기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회전가이드부재와, 상기 스팀뚜껑의 외측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의 상부에 구비되며, 테두리 하면에는 락부재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전후가이드돌기에 걸리는 돌턱이 형성되고, 테두리 내측면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돌기가 관통되는 장홈이 형성되어 락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플레이트와,
    스팀뚜껑을 지지하는 스팀뚜껑지지판의 상단부에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락부재 및 스팀뚜껑지지판의 상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가이드부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가이드부재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 자동 취사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오작동시 스팀용기를 밀폐하고 있는 스팀뚜껑을 수동으로 오픈시킬 수 있는 수동오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수동오픈수단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테두리에 돌출 형성되어 회전플레이트를 수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부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에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돌출 형성되는 제1 및 제2와이어고정돌부와, 상기 제1와이어고정돌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중단부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돌기에 걸어지는 걸림부가 형성된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고정돌부에 중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부는 상기 제1와이어의 걸림부에 접촉되는 접촉부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걸림부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조작부가 형성된 제2와이어와, 상기 스팀뚜껑을 수동으로 오픈 시 스팀뚜껑지지판이 상부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스팀뚜껑지지판을 받쳐주는 받침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받침수단은 수직봉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측 하면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의 상부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걸림돌부를 받쳐주는 걸림편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원판의 후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회전원판이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면서 상기 걸림편을 상하 회전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 자동 취사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용기이송수단은,
    상기 본체프레임의 상부프레임에 가로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제1 및 제2풀리와,
    상기 제1 및 제2풀리에 일단부와 타단부가 걸어지는 타임벨트와,
    상기 제1풀리에 축 결합되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풀리를 좌우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및
    상기 스팀용기가 안착되도록 일단부에 용기안착홀이 형성되고, 양측 테두리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레일홈에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로 상기 타임벨트에 타단부가 안착되는 용기받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 자동 취사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쌀/물공급부는,
    쌀을 공급하는 쌀공급수단과,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쌀공급수단은,
    내부공간이 마련된 쌀통본체와, 상기 쌀통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투입되는 쌀이 저장되는 호퍼부와, 상기 호퍼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쌀통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호퍼부로부터 배출되는 쌀을 수용하도록 상면에 쌀투입구가 형성되고, 바닥에는 수용된 쌀을 배출하기 위한 쌀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쌀배출구를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구비되어 전진 이동함에 따라 백반용기에 쌀을 투입하는 쌀공급함과, 상기 쌀공급함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쌀공급함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수단은,
    상기 쌀공급함의 측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노즐함과, 상기 노즐함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단부가 물탱크에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물공급노즐과, 상기 노즐함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 자동 취사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공급부는,
    물이 저장되도록 내부공간이 마련된 스팀본체와,
    상기 스팀본체의 내측 테두리에 배치되어 고온의 열을 발산하는 히터와,
    상기 스팀본체 내에 저장된 물을 순환시키는 물순환로와,
    상기 스팀본체의 상부에 상향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스팀용기의 하단부에 관통되어 내부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스팀용기 내에 배출하는 스팀배출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반 자동 취사기.
KR1020200153735A 2020-11-17 2020-11-17 백반 자동 취사기 KR102196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735A KR102196304B1 (ko) 2020-11-17 2020-11-17 백반 자동 취사기
CN202111128983.3A CN113876187B (zh) 2020-11-17 2021-09-26 米饭自动烹煮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3735A KR102196304B1 (ko) 2020-11-17 2020-11-17 백반 자동 취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304B1 true KR102196304B1 (ko) 2020-12-29

Family

ID=74090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3735A KR102196304B1 (ko) 2020-11-17 2020-11-17 백반 자동 취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6304B1 (ko)
CN (1) CN11387618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860B1 (ko) * 2022-06-07 2023-01-10 주식회사 위드디앤비 밥솥 틸팅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628A (ko) * 2004-05-03 2004-06-25 최승권 자동취사장치
KR20050080154A (ko) * 2005-07-19 2005-08-11 김강희 다양한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
KR101443782B1 (ko) 2013-10-04 2014-11-03 이종묵 자동취사기
KR20170100242A (ko) * 2016-02-25 2017-09-04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전자동 업소용 취반기
KR20190125628A (ko) * 2018-04-30 2019-11-07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장치 및 전자동 취반운영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017B1 (ko) * 2006-02-20 2007-06-13 이원기 증기가열식 조리장치
JP6238050B2 (ja) * 2013-08-29 2017-11-29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炊飯装置
KR200477288Y1 (ko) * 2014-12-08 2015-05-28 주식회사 시루 시루밥 제조장치
CN107319914B (zh) * 2017-07-15 2020-05-26 广东汇莱德温控器有限公司 蒸汽内锅双腔式蒸汽锅
CN109846339A (zh) * 2018-11-30 2019-06-07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蒸饭设备
CN109588959A (zh) * 2018-12-24 2019-04-09 宁波欧琳厨具有限公司 一种具有储米、洗米、蒸煮功能的智能电饭煲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4628A (ko) * 2004-05-03 2004-06-25 최승권 자동취사장치
KR20050080154A (ko) * 2005-07-19 2005-08-11 김강희 다양한 종류의 밥을 지을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
KR101443782B1 (ko) 2013-10-04 2014-11-03 이종묵 자동취사기
KR20170100242A (ko) * 2016-02-25 2017-09-04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전자동 업소용 취반기
KR20190125628A (ko) * 2018-04-30 2019-11-07 코닉오토메이션 주식회사 전자동 취반장치 및 전자동 취반운영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860B1 (ko) * 2022-06-07 2023-01-10 주식회사 위드디앤비 밥솥 틸팅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76187B (zh) 2022-09-27
CN113876187A (zh)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6304B1 (ko) 백반 자동 취사기
US7275552B2 (en) Dishwasher with bulk wash aid dispenser
US7805964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US20040123885A1 (en) Washing device for a baby bottle
KR20070039748A (ko) 라면 자동판매기
US9782803B2 (en) Apparatus for washing and sanitizing articles for an infant
US20200170479A1 (en) Warewasher with air assisted washing and/or rinsing
US20120216838A1 (en) Method for Washing and Sanitizing Articles for an Infant
JP2024026813A (ja) 洗濯機
US9687137B2 (en) Diverter for selective fluid flow in a dishwashing appliance
CN107736795B (zh) 全自动电饭煲
KR101065616B1 (ko) 식판 세척기
US20230415202A1 (en) Countertop Apparatus for Washing Articles
WO2015084904A1 (en) Apparatus for washing articles for an infant
TWI599335B (zh) 烹調機
US10745849B2 (en) Nozzle assembly for a washing machine appliance
JP2015141437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カップ搬送装置
JP5311644B2 (ja) 洗浄装置
CN110393817A (zh) 一种用于消毒柜的筷子容器及应用有该筷子容器的消毒柜
KR20120001884A (ko) 조리 기기용 조리용기
US20180146810A1 (en) Cooking machine
JP2019138571A (ja) 加熱調理器
JPH03159621A (ja) 自動炊飯装置の炊飯釜移動装置
KR200382271Y1 (ko) 폐음식물 처리장치
KR20080084718A (ko) 숯불구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