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271Y1 - 폐음식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음식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271Y1
KR200382271Y1 KR20-2005-0002416U KR20050002416U KR200382271Y1 KR 200382271 Y1 KR200382271 Y1 KR 200382271Y1 KR 20050002416 U KR20050002416 U KR 20050002416U KR 200382271 Y1 KR200382271 Y1 KR 200382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ive unit
waste food
sub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영
Original Assignee
(주)삼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삼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02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2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26B21/02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 F26B21/024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with provisions for changing the drying gas flow pattern, e.g. by reversing gas flow, by mov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hrough subsequent compartments, at least two of which have a different direction of gas flow by using movable fa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에서 발생하는 폐음식물을 저장용기로 분배 투입하여 건조 처리함과 아울러 악취를 용이하게 처리하도록 한 폐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일측에 힌지 연결된 도어가 장착되는 구동부와 구동부 하부에 장착되어 도어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구동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폐음식물을 저장부로 분배하여 저장되도록 연동하는 분배수단과 구동부에 설치되어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과 구동부와 저장부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동부에 설치된 팬 및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구동부와 저장부로 팬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제어하는 외기흐름제어수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폐음식물을 장치 내 저장용기에 균등하게 분배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처리시 용이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장치내 외기흐름방향을 설정되는 부도어가 팬과 더불어 설치되어 저장된 폐음식물을 건조 처리할 경우 폐음식물로 인한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음식물 처리장치{A food Garbage Tre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폐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발생하는 폐음식물을 저장용기로 분배 투입하여 건조 처리함과 아울러 악취를 용이하게 처리하도록 한 폐음식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음식물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발효처리방식과, 소각처리방식, 사료 및 비료(퇴비)로 재활용하는 방식, 그리고, 땅속에 매립하는 매립방식이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은 방식들은 대규모의 시설을 필요로 할 뿐 만 아니라 수집과 운반 또는 저장에 따른 악취나 불편함 등의 다양한 부작용과 환경오염이라는 심각한 사회문제를 유발한다.
따라서 폐음식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이고 재활용하여 사용하는 문제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현재의 국내 총 가구수는 1천만 가구를 돌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환경오염과 관련된 폐음식물 처리에 대한 대책 및 결과는 아직까지 예상이 많이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 원인으로는 가정주부들의 자원낭비 및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분리수거를 철저히 못한 점도 있지만, 주된 이유는 상기와 같은 일반적인 폐음식물 재활용을 위한 현재의 폐음식물 분리수거 방법은 손으로 직접 물기가 있는 음식물 쓰레기를 운반하여야 하므로 주부를 번거롭게 할 수 있고 악취를 발생시켜 가정주부에게 협오감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억제 및 재활용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가정에서 발생되는 폐음식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씽크대부착이 가능함과 아울러 도어개폐를 통해 용이하게 폐음식물을 저장하여 건조처리 하도록 한 폐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도어개폐 통해 폐음식물 저장용기에 폐음식물을 저장할 경우 균등하게 분배되어 저장된 상태에서 건조처리 되도록 한 폐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도어개폐를 통해 폐음식물을 저장용기에 저장하거나, 저장된 폐음식물을 건조 처리할 경우 폐음식물로 인한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도록 한 폐음식물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일측에 힌지 연결된 도어가 장착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팬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의 상기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식의 안내판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안내판은 스테인리스인 것이 좋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일측에 힌지 연결된 도어가 장착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폐음식물을 상기 저장부로 분배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팬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배수단은 상기 도어에 장착된 주기어와, 상기 주기어와 치합되어 연동하는 부기어와, 상기 부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주기어의 동작에 따라 격으로 연동하는 분배판과, 상기 부기어에 형성된 이동홀에 돌기가 끼워져 상기 부기어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홀을 활주하고, 상기 분배판을 격으로 동작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힌지 장착된 레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기어에는 상기 분배판의 돌기가 끼워져 활주하도록 슬라이딩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분배판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분배판의 상기 돌기가 걸쳐지도록 된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이동홀은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돌기가 끼워져 활주되어 상기 분배판이 동작되도록 형성된 제 1이동홀과, 상기 제 1이동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분배판이 동작되지 않도록 상기 돌기가 끼워져 활주되는 제 2이동홀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도어의 상기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 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안내판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일측에 힌지 연결된 도어가 장착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폐음식물을 상기 저장부로 분배하여 저장되도록 연동하는 분배수단과;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과;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팬; 및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로 상기 팬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제어하는 외기흐름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배수단은 상기 도어에 장착된 주기어와, 상기 주기어와 치합되어 연동하는 부기어와, 상기 부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주기어의 동작에 따라 격으로 연동하는 분배판과, 상기 부기어에 형성된 이동홀에 돌기가 끼워져 상기 부기어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홀을 활주하고, 상기 분배판을 격으로 동작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힌지 장착된 레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부기어에는 상기 분배판의 돌기가 끼워져 활주하도록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버는 상기 분배판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분배판의 상기 돌기가 걸쳐지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이동홀은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돌기가 끼워져 활주되어 상기 분배판이 동작되도록 형성된 제 1이동홀과, 상기 제 1이동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분배판이 동작되지 않도록 상기 돌기가 끼워져 활주되는 제 2이동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기흐름수단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팬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저장부로 안내하도록 개폐하는 부도어와, 상기 부도어와 상기 분배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분배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기 부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연동하는 연결바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도어의 상기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안내판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일측에 힌지 연결된 도어가 장착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과;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팬; 및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로 상기 팬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제어하는 외기흐름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외기흐름수단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팬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저장부로 안내하도록 개폐하는 부도어와, 상기 부도어와 상기 분배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분배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기 부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연동하는 연결바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상기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 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안내판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음식물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음식물 처리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 도 3a 내지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제 1,2개폐동작에 따른 분배수단과 외기흐름수단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부기어의 형상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이동홀에서의 레버돌기의 이동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의 제 1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일측에 힌지 연결된 도어(120)가 장착되는 구동부(100)와, 구동부(100) 하부에 장착되어 도어(120)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200)로 구성되며, 저장부(200)에는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저장용기(210)가 장착된다.
여기서 저장용기(210)는 그 측부에 가이드레일(211)이 형성되고,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저장부(200) 내부에 상기 가이드레일(211)이 끼워져 저장부(20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마련된다.
그리고 폐음식물을 건조하기 위한 히팅수단(135)과, 저장용기(210)에 적재된 폐음식물로부터 발생하는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동부(100)에 팬(130)이 설치된다.
또한 구동부(100) 및 저장부(200)내의 악취가 팬(130)의 구동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동부(100) 내부에서 외부로 연통되는 배출유로(111)가 장착된다.
한편 도어(120) 상면, 즉,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재질의 안내판(122)이 더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부(100)측에 힌지 연결된 도어(120)를 열림각도(θ) 만큼 개방시키면 구동부(100) 내부가 개방되고 도어(120) 상면의 안내판(122)을 통해 폐음식물을 저장용기(210) 내로 쉽게 적재할 수 있다.여기서 열림각도(θ)는 직각이내로 경사지도록 하여 폐음식물이 저장용기(210)로 슬라이딩되어 저장되도록 함이 좋다.
이와 같이 폐음식물을 반복해서 안내판(122)을 통해 저장용기(210)에 투입하면 도어(120)의 안내판(122)이 오염되는데, 이때, 스테인리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안내판(122)을 탈거하여 청소를 실시하거나 다른 새제품으로 교체하여 재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안내판(122)은 스테인리스 재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부식에 강한 재질의 플라스틱재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부(100)와 저장부(200)로 구성된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주방의 씽크대에 빌트인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의 제 2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은 구동부(100)와 저장용기(210)가 장착된 저장부(200)로 구성되며, 도어(120)의 개폐동작에 따라 폐음식물을 저장용기(210)로 분배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분배수단이 구동부(100)에 설치된다, 여기서 저장용기(210)는 상기와 같이 저장부(200) 내로 슬라이딩 삽입되도록 된다.
그리고 구동부(100)에는 저장용기(210)에 저장되는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135)이 설치되고, 구동부(100)와 저장부(200)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구동부(100)에 팬(130)이 설치되며, 팬(130)의 구동으로부터 구동부(100)와 저장부(200)의 악취를 배출하기 위해 팬(130)근방에 외부로 배출유로(111)가 설치된다.
분배수단은 도어(120)에 장착된 주기어(121)와, 주기어(121)와 치합되어 연동하도록 회전하는 부기어(140)와, 부기어(140)에 연결되어 주기어(121)의 동작에 따라 격으로 연동하는 분배판(150)과, 부기어(140)에 형성된 이동홀(141)에 돌기(171)가 끼워져 부기어(140)의 동작에 따라 이동홀(141)을 활주하고, 분배판(150)을 격으로 동작시키도록 구동부(100)에 힌지 장착된 레버(170)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레버(170)는 우측으로 일정한 힘을 받도록 스프링에 의해 지지된다.
부기어(140)에는 분배판(150)의 돌기(153)가 끼워져 슬라이딩 활주하도록 슬라이딩홀(144)이 형성되고, 레버(170)는 분배판(15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분배판(150)의 돌기(153)가 걸쳐지도록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5, 도6을 참조하면, 부기어(140)에 형성된 이동홀(141)은 도어(120)의 개폐동작에 따라 레버(170)의 돌기(171)가 끼워져 활주되어 분배판(150)이 동작되도록 형성된 제 1이동홀(141a)과, 제 1이동홀(141a)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120)의 개폐동작에 따라 분배판(150)이 동작되지 않도록 레버(170)의 돌기(171)가 끼워져 활주되는 제 2이동홀(141b)로 구성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 1이동홀(141a)과 제 2이동홀(141b) 경계부분, 즉 화살표 1번 방향으로 레버(170)의 돌기(171)가 진행할 경우 화살표 2번 방향으로 진행하도록 하기위하여 걸림턱(141c)이 설치된다. 이러한 걸림턱(141c)은 화살표 4번이 표시된 제 2이동홀(141b)로 레버(170)의 돌기(171)가 진행하지 못하도록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어(120)의 상기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 되는 스테인리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안내판(122)이 더 설치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어(120) 개폐동작에 따른 분배판(150)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a는 구동부에 설치된 도어가 닫힌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면, 도어(120)가 닫힌 경우 부기어(140)의 슬라이딩홀(144)에 끼워진 분배판(150)의 돌기(153)는 슬라이딩홀(144) 하측에 위치되고, 이때, 레버(170)의 돌기(171)는 제 1이동홀(141a) 일측, 즉, 도 5에 도시된 A부분에 위치된다. 그리고 분배판(120)의 롤러(146)가 장착된 일단은 구동부(100)에 설치된 안내부(145)에서 이동가능하게 된 형태로 안내부(145) 전단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120)를 개방하는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b는 도어(120)가 열린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어(120)를 구동부(100) 외측으로 열림각도(θ) 만큼 개방하면, 도어(120)에 부착된 주기어(121)의 회전동작에 연동되어 부기어(140)가 우측방향으로 열림각도(θ)만큼 회전된다.
이때, 슬라이딩홀(144)에 돌기(153)가 끼워진 분배판(150)은 슬라이딩홀(144) 하측에 걸친 상태로 따라 하강하여 도어(120)의 안내판(122)과 일치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분배판(150)의 일단은 안내부(145) 후단에 슬라이딩되어 위치된다.
이어 레버(170)의 돌기(171)는 제 1이동홀(141a) 우측단, 즉 도 5에 도시된 B부분에 위치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화살표 1번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레버(170)는 분배판(150)의 돌기(153)와 걸쳐지지 않음으로 분배판(150)이 하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120)의 안내판(122) 상부로 폐음식물을 투입하면 저장부(200)의 저장용기(210) 후단에 저장된다.
이어,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120)를 다시 닫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c는 도어(120)가 다시 닫힌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도어(120)를 열림각도(θ)만큼 역으로 회전시켜 다시 닫으면 주기어(121)와 부기어(14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부기어(140)의 슬라이딩홀(144)에 끼워진 분배판(150)의 돌기(153)는 슬라이딩홀(144) 하측단에 위치하게 되고, 분배판(150) 일단은 안내부(145) 전단에 위치된다. 즉, 도 3a에 도시된 분배판(150) 위치로 복귀되는 것이다.
그러나 레버(170)의 돌기(171)는 제 1이동홀(141a) 타측에 위치되고, 즉, 도 5에 도시된 C부분에 위치되고, 레버(170)는 슬라이딩홀(144) 하측에 위치된 분배판(150)의 돌기(153)를 지지한 상태로 된다. 즉, 도 6을 참조하면, 화살표 2번 방향을 따라 이동하되, 화살표 1,2번 사이의 경계에 걸림턱(141c)이 형성되어 화살표 4번 위치의 제 2이동홀(141b)로 이동되지 못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를 1회 개폐동작시 분배판(150)이 동작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도어(120)를 1회 개폐동작 후, 다시 개폐동작을 실시하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는 도어(120)가 다시 열린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도 3c와 같이 도어(1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20)를 다시 열면 주기어(121)가 도어(120)의 열림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부기어(140)가 우측으로 회전한다. 이때, 레버(170)의 돌기(171)는 도 5에 도시된 B위치, 즉, 제 2이동홀(141b) 타측에 위치된 상태로 되고, 또한 슬라이딩홀(144)에 끼워진 분배판(150)의 돌기(153)가 레버(170)에 걸쳐진 상태로 되어 분배판(150)이 하방으로 동작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분배판(150)의 일단부는 안내부(145) 전단에 위치된다. 여기서, 도 6을 참조하면, 레버(170)의 돌기(171)는 화살표 3번 방향을 따라 B위치로 이동된다.
따라서 도 4a에서는 도어(120)가 열린 상태에서도 분배판(150)이 하방으로 동작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120)를 다시 닫을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는 도어(120)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를 다시 닫을 경우 주기어(121)는 우측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부기어(140)는 좌측으로 회전한다. 이때, 레버(170)의 돌기(171)는 도 5에 도시된 제 1이동홀(141a)의 A부분의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좌측으로 회전된 상태로 분배판(150)의 돌기(153)와 분리된다. 그리고 분배판(150)의 돌기(153)는 슬라이딩홀(144) 하측에 지지된 상태로 되고, 분배판(140)의 일단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부(145) 전단에 위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레버(170)의 돌기(171)는 화살표 4번을 따라 이동되어 걸림턱(141c)을 통과한 뒤, A위치로 복귀된다.
상기와 같이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120)를 2회 폐하는 동안 도어(120)와 연동되는 분배판(150)을 1회 개폐하도록 동작함으로써, 도 3b와 같은 경우는 도어(120)의 안내판(122)이 분배판(150)과 일치되도록 되어 도어(120)를 통해 폐음식물을 투입시 분배판(150) 끝단을 통해 투입되어지고, 도 4a와 같은 경우, 도어(120)가 열림에도 불구하고 분배판(150)이 동작되지 않은 상태로 되어 폐음식물은 도어(120)의 안내판(122)을 통해 투입되어진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음식물을 저장용기(210) 전단부와 후단부측에 골고루 분배되도록 하여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폐음식물을 저장용기(210)에 투입하기 위해 도어(120)를 개방할 경우에도 구동부(100)측의 팬(130)이 동작하면서 개구된 도어(120)측으로부터 외기를 유입시켜 배출유로(111)를 통해 배기시킴으로써 투입되는 페음식물로 인한 악취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20)가 닫힌 경우에도 팬(130)을 통해 저장부(200) 내부의 악취를 배출유로(130)를 통해 배출시키는 것이다.
다음은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의 제 3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 2실시예에서와 같은 도어(120) 및 구동부(100)와 저장용기(210)가 장착된 저장부(200)로 구성되며, 도어(120)의 개폐동작에 따라 폐음식물을 저장용기(210)로 분배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분배수단이 구동부(10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저장용기(210)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장부(20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마련된다.
여기서, 분배수단은 상기 제 2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그리고 구동부(100)에 저장용기(210)에 저장되는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135)이 설치되고, 구동부(100)와 저장부(200)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구동부(100)에 팬(130)이 설치되며, 팬(130)의 구동으로부터 구동부(100)와 저장부(200)의 악취를 배출하기 위해 팬(130)근방에 배출유로(111)가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부(100)에 설치되어 도어(120)의 개폐동작에 따라 구동부(100)와 저장부(200)로 팬(130)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제어하는 외기흐름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외기흐름수단은 구동부(100)에 설치되어 팬(130)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구동부(100) 및 저장부(200)로 안내하도록 개폐하는 부도어(131)와, 부도어(131)와 부기어(140)와 힌지연결되어 부기어(140)의 동작에 따라 부도어(131)를 개폐시키도록 연동하는 연결바(160)를 포함한다.
한편, 도어(120)의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 되는 스테인리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안내판(122)이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분배수단과 외기흐름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도어(120)의 개폐동작에 따른 분배수단과 외기흐름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되, 분배수단의 동작은 상기 제 2실시예의 구성을 통한 동작과 동일하여 생략하기로 하고, 외기흐름수단의 동작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어(120)의 개폐동작에 따라 분배수단과 외기흐름수단은 연동동작을 한다.
도 2 및 도 3a를 참조 하면, 도어(120)가 닫힌 상태를 보여주고 있는데, 이때 부기어(140)의 힌지홈(142)과 팬(130)근방에 장착된 부도어(131)는 연결바(160)로 힌지연결되되, 부도어(131)에는 힌지부재(161)가 추가로 장착되어 연결바(160)와 연결된다.
따라서 부도어(131)가 개방된 상태로 되고, 팬(130)이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외기를 히팅수단(135)측으로 공급하여 저장용기(210)에 저장된 폐음식물로 고온의 건조한 공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120)를 여는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도어(120)를 열림각도(θ)만큼 열면 주기어(121)는 좌측으로, 부기어(140)는 우측으로 회전하며, 부기어(140)에 힌지 연결된 연결바(160)가 우측으로 밀리면서 연결바(160) 타단에 힌지 연결된 부도어(131)가 우측으로 밀리면서 닫히게 된다.
따라서 도어(120)가 열린 상태에서는 저장용기(210) 내부로 외기가 공급되지 않고 도어(120)를 통한 폐음식물 투입시 발생하는 악취를 팬(130)측으로 유입시켜 배출유로(1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유도하는 것이다.
도 3c의 경우는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120)를 다시 닫은 경우이며, 이때 부기어(140)가 도 3a와 같은 상태로 복귀됨과 아울러 부기어(140)에 힌지 연결된 연결바(160)가 원위치로 복귀되어 부도어(131)를 다시 개방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4와 도 4b는 도어(120)를 상기의 상태에서 다시 개폐하는 동작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때, 도어(120)가 열렸을 경우는 도 3b와 같이 부도어가 팬(130)과 저장부(200)를 차단하도록 닫혀지고, 도어(120)를 닫을 경우는 부도어(140)가 개방되어 팬(130)과 히팅수단(135)을 통한 고온의 외기가 저장용기(210)내로 공급되도록 된다.
따라서 도어(120)를 개방하여 폐음식물을 저장용기(210)로 투입하는 경우 이로 인한 악취는 팬(130)을 통해 배출유로(111)로 배기되며, 이때, 부도어(131)가 닫혀짐으로써 저장용기(210) 내로 악취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도어(120)를 닫고 폐음식물을 건조처리하는 경우, 부도어(131)가 개방되면서 외기가 팬(130)을 통해 히팅수단(135)측으로 유입되어 통과하면서 폐음식물로 고온의 외기를 공급하여 건조시키도록 한다. 또한 폐음식물을 건조함과 아울러 외기의 흐름이 다시 구동부(100)상의 팬(130)측으로 유동시켜 배출유로(111)로 배기되도록 하여 저장부(200) 내부의 악취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다음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제 4실시예를 설명하도록한다.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는 상기 제 2실시예와 같이 구동부(100)와 저장부(200)로 구성되고, 도어(120)의 개폐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외기흐름수단이 구동부(100)에 설치된다, 여기서 저장용기(210)는 상기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장부(20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홈이 마련된다.
그리고 구동부(100)에는 저장용기(210)에 저장되는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135)이 설치되고, 구동부(100)와 저장부(200)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구동부(100)에 팬(130)이 설치되며, 팬(130)의 구동으로부터 구동부(100)와 저장부(200)의 악취를 배출하기 위해 팬(130)근방으로부터 외부로 배출유로(111)가 설치된다. 그리고 구동부(100)에 설치되어 도어(120)의 개폐동작에 따라 구동부(100)와 저장부(200)로 팬(130)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제어하는 외기흐름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외기흐름수단은 구동부(100)에 설치되어 팬(130)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구동부(100) 및 저장부(200)로 안내하도록 개폐하는 부도어(131)와, 부도어(131)와 부기어(140)와 힌지 연결되어 부기어(140)의 동작에 따라 부도어(131)를 개폐시키도록 연동하는 연결바(160)를 포함한다.
한편, 도어(120)의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 되는 스테인리스 또는 플라스틱 재질의 안내판(122)이 더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외기흐름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기흐름수단의 동작은 상기 제 3실시예의 동작과 동일하다.
즉, 도어(120)의 주기어(121)의 동작에 따라 부기어(140)가 동작되며, 부기어(140)와 부도어(131)가 연결바(160)를 통해 힌지 연결된 상태에서 주기어(121)의 동작에 따라 부도어(131)가 개폐되도록 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가 닫힌 경우는 부도어(131)가 개방되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20)가 열린 경우에는 부도어(131)가 닫히도록 된다.
단, 부도어(131)는 상기 제 3실시예의 분배수단이 없는 상태에서 단지 도어(120)의 주기어(121)와 연동되는 부기어(140)의 동작에 의해 개폐되도록 된다.
따라서 도어(120)의 개폐에 따라 부도어(131)가 개폐되어 상기 제 3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악취 발생억제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폐음식물 처리장치를 구동부와 저장부로 구분하고 구동부측에 경사지도록 열리는 도어를 설치하여 폐음식물을 투입함과 아울러 이 장치를 씽크대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가정에서 발생되는 폐음식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폐음식물을 장치 내 저장용기에 균등하게 분배되어 저장되도록 함으로써 건조처리시 용이하게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장치내 외기흐름방향을 설정되는 부도어가 팬과 더불어 설치되어 저장된 폐음식물을 건조처리할 경우 폐음식물로 인한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폐음식물 처리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제 1개폐동작에 따른 분배수단과 외기흐름수단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도어의 제 2개폐동작에 따른 분배수단과 외기흐름수단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부도어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동홀에서의 레버돌기의 이동경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0 : 구동부
110 : 본체
111 : 배출유로
120 : 도어
121 : 주기어
122 : 안내판
130 : 팬
135 : 히팅수단
140 : 부기어
150 : 분배판
160 : 연결바
170 : 레버
200 : 저장부
210 : 저장용기

Claims (18)

  1. 일측에 힌지 연결된 도어가 장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기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식의 안내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3. 일측에 힌지 연결된 도어가 장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폐음식물을 상기 저장부로 분배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분배수단;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 및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수단은 상기 도어에 장착된 주기어와, 상기 주기어와 치합되어 연동하는 부기어와, 상기 부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주기어의 동작에 따라 격으로 연동하는 분배판과, 상기 부기어에 형성된 이동홀에 돌기가 끼워져 상기 부기어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홀을 활주하고, 상기 분배판을 격으로 동작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힌지 장착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부기어에는 상기 분배판의 돌기가 끼워져 활주하도록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분배판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분배판의 상기 돌기가 걸쳐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은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돌기가 끼워져 활주되어 상기 분배판이 동작되도록 형성된 제 1이동홀과, 상기 제 1이동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분배판이 동작되지 않도록 상기 돌기가 끼워져 활주되는 제 2이동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기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 되는 안내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9. 일측에 힌지 연결된 도어가 장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폐음식물을 상기 저장부로 분배하여 저장되도록 연동하는 분배수단;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팬; 및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로 상기 팬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제어하는 외기흐름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수단은 상기 도어에 장착된 주기어와, 상기 주기어와 치합되어 연동하는 부기어와, 상기 부기어에 연결되어 상기 주기어의 동작에 따라 격으로 연동하는 분배판과, 상기 부기어에 형성된 이동홀에 돌기가 끼워져 상기 부기어의 동작에 따라 상기 이동홀을 활주하고, 상기 분배판을 격으로 동작시키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힌지 장착된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부기어에는 상기 분배판의 돌기가 끼워져 활주하도록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분배판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상기 분배판의 상기 돌기가 걸쳐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홀은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돌기가 끼워져 활주되어 상기 분배판이 동작되도록 형성된 제 1이동홀과, 상기 제 1이동홀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분배판이 동작되지 않도록 상기 돌기가 끼워져 활주되는 제 2이동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흐름수단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팬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저장부로 안내하도록 개폐하는 부도어와, 상기 부도어와 상기 분배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분배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기 부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연동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기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 되는 안내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16. 일측에 힌지 연결된 도어가 장착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를 통해 투입되는 폐음식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폐음식물을 건조하는 히팅수단;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내의 악취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구동부에 설치된 팬; 및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동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와 상기 저장부로 상기 팬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제어하는 외기흐름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흐름수단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팬으로부터의 외기흐름을 상기 구동부 및 상기 저장부로 안내하도록 개폐하는 부도어와, 상기 부도어와 상기 분배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분배수단의 동작에 따라 상기 부도어를 개폐시키도록 연동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기 폐음식물 투입면에는 탈부착 되는 안내판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음식물 처리장치.
KR20-2005-0002416U 2005-01-26 2005-01-26 폐음식물 처리장치 KR200382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416U KR200382271Y1 (ko) 2005-01-26 2005-01-26 폐음식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416U KR200382271Y1 (ko) 2005-01-26 2005-01-26 폐음식물 처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220A Division KR100654238B1 (ko) 2005-01-26 2005-01-26 폐음식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271Y1 true KR200382271Y1 (ko) 2005-04-19

Family

ID=4368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416U KR200382271Y1 (ko) 2005-01-26 2005-01-26 폐음식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22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281B1 (ko) * 2023-04-11 2023-07-18 (주)푸르게 Nfc 기반 키오스크 방식의 포인트 적립식 재활용수지 파쇄장치와 포인트 적립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6281B1 (ko) * 2023-04-11 2023-07-18 (주)푸르게 Nfc 기반 키오스크 방식의 포인트 적립식 재활용수지 파쇄장치와 포인트 적립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29091A1 (en) Method for cleaning a food waste recycling bin of a food waste recycling appliance
US4144012A (en) Material hopper translatable unit
CN110772157B (zh) 一种电动皮带输送干湿分集型生态旱厕
KR101322303B1 (ko) 음식물류폐기물의 종량제 수거 및 자원화 장치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200382271Y1 (ko) 폐음식물 처리장치
KR10248352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용 도어 개폐장치
KR100654238B1 (ko) 폐음식물 처리장치
KR20120106912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288525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36623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3088830A (ja) 廃棄物処理装置
KR20090030394A (ko) 업소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62123B1 (ko) 사료용 발효건조기
KR101379439B1 (ko) 이동식 야외 화장실의 배설물 처리장치
KR1013662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753283B1 (ko) 슬러지 연료화 시스템
KR2006011013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0555832B1 (ko) 잔반 분해 소멸기용 배출구
KR10119353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악취 방출 방지장치
KR101366336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2773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308760B1 (ko) 음식물 처리기의 투입장치
KR0122560Y1 (ko) 비누 자동 제조기
KR20180059319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안전 투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