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9075B1 - 자동취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취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9075B1
KR100559075B1 KR1020040031005A KR20040031005A KR100559075B1 KR 100559075 B1 KR100559075 B1 KR 100559075B1 KR 1020040031005 A KR1020040031005 A KR 1020040031005A KR 20040031005 A KR20040031005 A KR 20040031005A KR 100559075 B1 KR100559075 B1 KR 100559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oking
water
steam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4628A (ko
Inventor
최승권
Original Assignee
최승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권 filed Critical 최승권
Priority to KR1020040031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9075B1/ko
Publication of KR200400546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46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9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9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4Devices for washing vegetabl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버튼만 조작하면 보관하고 있던 쌀을 적정량 인출하여 세척하고, 세척한 쌀에 스팀을 가하여 쌀을 익힌 다음 보온시켜 보관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취사과정을 자동화시킴으로써 바쁜 현대인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스팀으로 쌀을 쪄서 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찜요리를 할 수 있는 찜기로 겸용될 수 있고, 보온장치로도 겸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밥공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컵들을 구비하여 컵에 직접 밥이 되도록 하고, 밥이 다 되면 사용자가 컵을 꺼내어 컵에 담긴 밥을 그대로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밥공기에 밥을 옮겨 담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 취사, 컵, 링, 쌀통, 물탱크, 찜용기, 보온, 회전도어, 살수노즐, 정수기

Description

자동취사장치{Automatic rice cook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취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취사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 컵홀딩수단, 회전수단, 스팀공급관 및 스팀분산판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지관, 쌀공급관 및 쌀공급관모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찜용기의 사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작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취사실 10a: 취사공간
12: 도어 14: 쌀통
16: 컵 16a: 쌀수용공간
16b: 배수공 16c: 걸림턱
18: 살수노즐 20: 열선
21: 조작패널 22: 컨트롤러
24: 링 26: 지지대
28: 제 1 고정구 30: 모터
32: 결합구 34: 쌀배출구
36: 쌀이송관 38: 스크류
40: 스크류모터 42: 개구
44: 지지관 46: 쌀공급관
48: 쌀공급관모터 50: 회전도어
52: 스팀발생기 54: 스팀공급관
56: 스팀분산판 58: 배수구
60: 배수관 62: 정수기
64: 물탱크 66: 펌프
68: 급수관 70: 체크밸브
72: 제 1 수위조절밸브 74: 제 2 수위조절밸브
76: 찜용기 76c: 제 2 고정구
본 발명은 자동취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몇 인분의 밥을 원하는지(취사량을) 선택하기만 하면 적정량의 쌀을 인출하여 세척하고 밥을 짓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자동취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밥을 짓는 과정은 적정량의 쌀을 쌀통에서 인출하는 제 1 과정 과, 인출한 쌀을 물로 세척하는 제 2 과정과, 세척된 쌀을 밥솥에 넣은 다음 적정량의 물을 붓고 가열하여 쌀을 익히는 제 3 과정과, 다 된 밥을 보온하면서 보관하는 제 4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 중, 제 3 과정과 제 4 과정의 경우 전기밭솥을 이용하면 사람이 직접 가열온도나 가열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없어 어느 정도 자동화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나, 제 1 과정과 제 2 과정의 경우에는 전혀 자동화가 이루어지지 않아 사람이 직접 수행해야 하므로 바쁜 현대인들을 위해서는 밥을 짓고 보관하는 전과정의 자동화가 필요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버튼만 조작하면 보관하고 있던 쌀을 적정량 인출하여 세척하고, 세척한 쌀에 스팀을 가하여 쌀을 익힌 다음 보온시켜 보관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취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취사장치는 내부에 취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취사공간의 개폐를 위한 도어가 장착된 취사실과; 내부에 호퍼 형태의 쌀저장공간이 형성된 쌀통과; 내부에 쌀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컵과; 상기 컵들을 상호 원주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상기 취사공간에서 회전되는 컵홀딩수단과; 상기 컵홀딩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과; 상기 쌀통의 쌀저장공간에 저장된 쌀을 인출하여 상기 컵들의 쌀수용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쌀인출공급수단과; 상기 컵들의 쌀수용공간에 물을 뿌리기 위한 살수노즐과; 스팀을 발생하여 상기 취사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공 급수단과; 상기 취사실의 내부 바닥면에 고이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수단과; 상기 살수노즐과 상기 스팀발생공급수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과; 상기 취사실의 내부 벽면에 내설되어 상기 취사공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열선과; 취사량의 설정을 위한 취사량설정버튼과, 취사의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취사시작버튼을 구비한 조작패널과; 상기 취사량설정버튼과 상기 취사시작버튼이 차례대로 선택되면 상기 컵들 중 일부 또는 모두의 쌀수용공간에 정해진 양의 쌀이 담기도록 상기 회전수단과 상기 쌀인출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컵들의 쌀수용공간에 정해진 시간 동안 물이 뿌려지도록 상기 급수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컵홀딩수단이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취사공간에 정해진 시간 동안 스팀이 공급되도록 상기 회전수단과 상기 스팀발생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취사공간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열선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취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취사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 컵홀딩수단, 회전수단, 스팀공급관 및 스팀분산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지지관, 쌀공급관 및 쌀공급관모터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6은 찜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조작패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취사장치는 내부에 취사공간(10a)이 형성되고, 취사공간(10a)의 개폐를 위한 도어(12)가 장착된 취사실(10)과; 내부에 호퍼 형태의 쌀저장공간(14a)이 형성된 쌀통(14)과; 내부에 쌀수용공간(16a)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배수공(16b)이 형성된 다수개의 컵(16)과; 컵들(16)을 상호 원주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취사공간(10a)에서 회전되는 컵홀딩수단과; 컵홀딩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과; 쌀통(14)의 쌀저장공간(14a)에 저장된 쌀을 인출하여 컵들(16)의 쌀수용공간(16a)에 공급하기 위한 쌀인출공급수단과; 컵들(16)의 쌀수용공간(16a)에 물을 뿌리기 위한 살수노즐(18)과; 스팀을 발생하여 취사공간(10a)에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공급수단과; 취사실(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이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수단과; 살수노즐(18)과 스팀발생공급수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과; 취사실(10)의 내부 벽면에 내설되어 취사공간(10a)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열선(20)과; 취사량의 설정을 위한 취사량설정버튼(21a)과, 취사의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취사시작버튼(21b)을 구비한 조작패널(21)과; 취사량설정버튼(21a)과 취사시작버튼(21b)이 차례대로 선택되면 컵들(16) 중 일부 또는 모두의 쌀수용공간(16a)에 정해진 양의 쌀이 담기도록 회전수단과 쌀인출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컵들(16)의 쌀수용공간(16a)에 정해진 시간 동안 물이 뿌려지도록 급수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컵홀딩수단이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취사공간(10a)에 정해진 시간 동안 스팀이 공급되도록 회전수단과 스 팀발생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취사공간(10a)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열선(20)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컨트롤러(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어(12)에는 창(12a)과 손잡이(12b)가 설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창(12a)을 통해 취사실(10)의 취사공간(10a) 내부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고, 손잡이(12b)를 이용해 도어(12)를 쉽게 열고 닫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쌀통(14)의 천장에는 뚜껑(14b)이 설치되어 있고, 외측면에는 눈금창(14c)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쌀저장공간(14a)에 쌀이 떨어지면 뚜껑(14b)을 열고 쌀저장공간(14a)에 쌀을 채워 넣은 다음 다시 뚜껑(14b)을 닫아 쌀저장공간(14a)에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눈금창(14c)을 통해 쌀저장공간(14a)에 저장된 쌀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컵들(16)은 배수공(16b)의 위치에 따라 쌀수용공간(16a)에 고이는 밥물의 높이가 결정되므로, 쌀수용공간(16a)에 담기는 쌀의 양과 쌀수용공간(16a) 자체의 부피를 고려하여 쌀수용공간(16a)에 가장 적합한 양의 밥물이 고일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배수공(16b)이 형성된다. 예컨대, 맛있는 밥을 짓기 위하여 쌀 30g에 대해 밥물 50g이 필요한 경우 쌀수용공간(16a)에 담긴 쌀 30g 위에 밥물 50g이 고일 수 있도록 하는 위치에 배수공(16b)은 형성된다. 상기 컵들(16)에 형성된 배수공(16b)의 직경은 통상 쌀알이 배수공(16b)을 통해 빠져나갈 수 없는 범위 내에서 결정되나, 쌀통(14)의 쌀저장공간(14a)에 쌀보다 크기가 작은 잡곡(좁쌀 등)과 쌀이 섞여서 보관되어 있는 경우 컵들(16)의 배수공(16b)은 해당 잡곡이 배수공(16b) 을 통해 빠져나갈 수 없는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상기 컵들(16)은 인체에 무해한 강화플라스틱이나 도자기 등으로 만들어진다. 아울러, 상기 컵들(16)의 상단 외주연에는 각각 걸림턱(16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컵홀딩수단은 상호 원주상으로 배치되고, 내부로 하나씩 끼워지는 컵들(16)의 걸림턱(16c)과 각각 결합되어 컵들(16)을 홀딩하는 다수개의 링(24)과; 링들(24)의 내측에 배치되어 일단에 하나씩 고정된 링들(24)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26)와; 지지대들(26)의 타단을 고정시키고, 하단 내부에 끼움홈(도면상 미도시)이 형성되며, 끼움홈과 연통된 결합지점의 표시를 위한 표시홈(28a)이 측면에 형성된 제 1 고정구(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축(30a)의 상단부가 취사실(10)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취사공간(10a)에 위치하고, 컨트롤러(22)의 제어를 받아 회전하는 모터(30)와; 모터(30)의 회전축(30a) 상단에 결합되고, 제 1 고정구(28)의 표시홈(28a)에 끼움 결합되는 표시돌기(32a)가 측면에 형성되며, 표시돌기(32a)와 표시홈(28a)의 결합시 제 1 고정구(28)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 1 고정구(28)와 결합구(32)의 상호 결합에 의해 링들(24)에 끼워진 컵들(16)은 모터(30)의 회전축(30a)과 연동하여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표시홈(28a)과 표시돌기(28)의 결합 구조는 작동 초기시 링들(24)에 지지된 컵들(16)이 항상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추후 컵들(16)의 쌀수용공간(16a)에 차례대로 쌀을 담는 과정에서 컨트롤러(22)는 모터(30)의 작동 제어를 통해 컵들(16)을 쌀이 공급되는 위치로 각각 정확하게 이동(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쌀인출공급수단은 쌀통(14)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쌀저장공간(14a)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쌀배출구(34)와; 쌀배출구(34)에 일단이 연통된 쌀이송관(36)과; 쌀통(14)의 하단부 내부에 장착되어 쌀저장공간(14a)에 저장된 쌀을 쌀배출구(34)를 통해 쌀이송관(36)측으로 인출하는 스크류(38)와; 컨트롤러(22)의 제어를 받아 스크류(38)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40)와; 취사실(10)의 천장면에 형성된 개구(42)와; 취사실(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부 내주연에 단턱(44a)이 형성되며, 하단부 측면에 길이방향의 슬릿(44b)이 형성된 지지관(44)과; 지지관(44)의 하단 개구를 통해 지지관(44)의 내부에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고, 상단 외주연에 지지관(44)의 단턱(44a)에 걸리는 걸림돌기(46a)가 형성되고, 외부면 중 지지관(44)의 슬릿(44a)과 대면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래크(46b)가 형성되며, 하단이 하강하여 개구(42)를 통과한 후 사전 설정된 쌀공급위치에 도달할 때 쌀이송관(36)의 타단과 연통되는 관통홀(46c)이 측면에 형성된 쌀공급관(46)과; 지지관(44)의 슬릿(44a)을 통해 쌀공급관(46)의 래크(46b)와 맞물린 피니언(48a)이 회전축(48b)에 형성되고, 컨트롤러(22)의 제어를 받아 회전하는 쌀공급관모터(48)와; 취사실(10)의 상부로부터 취사공간(10a) 내부로 진입하는 쌀공급관(46)이 진행하는 방향으로는 회동되어 개방되고, 취사공간(10a) 내부에 있던 쌀공급관(46)이 원래 위치로 후퇴하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개구(42)에 설치된 회전도어(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도어(50)는 개구(42)의 양쪽에 각각 회동축을 가진 상태로 분리되어 설치된 두 개의 패널(50a, 50b)과, 개구(42)의 측면에 대해 패널들(50a, 50b)을 하나씩 지지하여 패널들(50a, 50b)이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된 두 개의 토션스프링(50c, 50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쌀공급관모터(48)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관(44)의 슬릿(44a)을 통해 서로 맞물려 있는 피니언(48a)과 래크(46b)가 쌀공급관모터(48)의 회전운동을 쌀공급관(46)의 직선운동으로 바꾸어줌으로써 결국 쌀공급관(46)이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 스팀발생공급수단은 컨트롤러(22)의 제어에 따라 스팀을 발생하여 방출하는 스팀발생기(52)와; 모터(30)의 회전축(30a) 상단부에 다수개의 스팀홀(54a)이 형성되어 있는 도넛형태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스팀발생기(52)에 타단이 결합된 스팀공급관(54)과; 스팀공급관(54)의 스팀홀(54a)을 통해 방출되는 스팀을 취사실(10)의 취사공간(10a)으로 골고루 분산시켜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기공(56a)이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고,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부면은 볼록하고 하부면은 오목하며, 스팀공급관(54)의 일단부 상측에 볼록면이 윗쪽을 향하도록 설치된 스팀분산판(5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팀분산판(56)에 형성된 통기공(56a)은 옆면이 볼록면측으로 돌출되고 밑면이 개방된 삼각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팀발생기(52)는 내부에 물저장공간(52a)과 열선(52b)이 배설되어 있어, 컨트롤러(22)의 제어에 따라 열선(52b)에 전원이 인가되면 열선(52b)에서 발생된 열이 물저장공간(52a)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킨다.
상기 배수수단은 취사실(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구(58)와, 배 수구(58)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수관(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수구(58)는 취사실(10)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취사실(10)의 바닥면을 가장자리가 중심부보다 낮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하여 취사실(10)의 바닥면에 고인 물이 보다 용이하게 배수구(58)측으로 모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급수수단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기(62)와; 내부에 물저장공간(64a)이 형성된 물탱크(64)와; 컨트롤러(22)의 제어를 받아 물탱크(64)의 물저장공간(64a)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물이송관(66a)을 통해 살수노즐(18)에 공급하는 펌프(66)와; 정수기(62)에 의해 정수된 물을 물탱크(64)와 스팀발생기(52)로 각각 이송하기 위한 급수관(68)과; 정수기(62)와 급수관(68) 사이에 설치되어 정수기(62)에 의해 정수된 물이 급수관(68) 내부를 따라 물탱크(64)와 스팀발생기(52)측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는 방지하는 체크밸브(70)와; 물탱크(64)와 급수관(68) 사이에 설치되어 물탱크(64) 내부에 저장된 물의 높이가 사전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물탱크(64)로의 물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제 1 수위조절밸브(72)와; 스팀발생기(52)와 급수관(68) 사이에 설치되어 스팀발생기(52) 내부에 저장된 물의 높이가 사전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스팀발생기(52)로의 물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제 2 수위조절밸브(74)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수위조절밸브(72, 74)는 각각 물탱크(64) 또는 스팀발생기(52) 내부에 저장된 물이 사전 설정된 수위에 도달하면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수위감지센서와, 수위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물탱크(64) 또는 스팀발생기(52)로의 물 유입로를 차단시키는 전자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64)의 외측면에는 눈금창(64b)이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눈금창(64b)을 통해 물저장공간(64a)에 저장된 물의 양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취사장치는 내부에 재료수용공간(76a)이 형성되고, 전체면에 다수개의 스팀홀(76b)이 형성되며, 컵홀딩수단의 제 1 고정구(28)와 동일한 형상의 제 2 고정구(76c)가 바닥면의 중심부에 재료수용공간(76a)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된 찜용기(76)를 더 구비하여, 찜 요리를 할 때 회전수단의 결합구(32)에 컵홀딩수단의 제 1 고정구(28) 대신 찜용기(76)의 제 2 고정구(76c)를 결합시켜 찜용기(76)가 모터(30)의 회전축(30a)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한다. 상기 찜용기(76)에 형성된 스팀홀(76b)의 직경은 3∼5mm이다. 상기 찜용기(76)는 인체에 무해한 강화플라스틱이나 도자기 등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조작패널(21)에는 취사량설정버튼(21a)과 취사시작버튼(21b) 이외에 자동취사버튼(21c), 조리시간설정버튼(21d), 보온버튼(21e), 정지버튼(21f), 취사량표시부(21g) 및 조리시간표시부(21h)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자동취사버튼(21c)은 최대 취사량의 선택과 취사 시작의 지시를 한번에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고, 조리시간설정버튼(21d)은 찜요리의 조리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이고, 보온버튼(21e)은 보온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고, 정지버튼(21f)은 각종 동작모드의 정지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고, 취사량표시부(21g)에는 취사량설정버튼(21a)에 의해 설정된 취사량이 숫자로 표시되고, 조리시간표시부(21h)에는 조리시간설정버튼(21d)에 의해 설정된 조리시간이나 조리 중일 때는 남은 조리시간이 숫자로 표시된다. 아울 러, 상기 취사시작버튼(21b)은 찜요리의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버튼으로도 사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취사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작동모드는 크게 취사모드, 자동취사모드, 찜요리모드 및 보온모드로 나눌 수 있다.
1. 취사모드
먼저, 사용자는 컵홀딩수단의 6개 링들(24)에 컵들(16)을 하나씩 끼워 넣어 준비한 다음 손잡이(12b)를 잡고 도어(12)를 열어 취사공간(10a)을 개방시키고, 컵홀딩수단을 취사공간(10a)에 넣은 후 컵홀딩수단의 제 1 고정구(28) 표시홈(28a)과 회전수단의 결합구(32) 표시돌기(32a)의 위치를 잘 맞춘 상태에서 제 1 고정구(28)를 결합구(32)에 끼워 넣어 컵홀딩수단을 회전수단에 결합시킨 다음 도어(12)를 닫는다.
이어서, 사용자가 조작패널(21)의 취사량설정버튼(21a)을 조작하여 취사량을 선택하면 즉, 몇 개의 컵에 밥을 할 것인가를 선택하면 컨트롤러(21)는 선택된 취사량을 취사량표시부(21g)에 표시함과 동시에 선택된 취사량을 기억해둔다. 그 후, 사용자가 조작패널(21)의 취사시작버튼(21b)을 누르면 쌀공급관(46)이 회전도어(50)를 통과한 후 사전 설정된 쌀공급위치까지 하강하도록 쌀공급관모터(48)를 구동시킨다.
상기 쌀공급관(46)이 쌀공급위치까지 하강하면 컨트롤러(22)는 쌀공급관(46) 아래에 위치한 컵(16)의 쌀수용공간(16a)에 정해진 양의 쌀이 공급될 때까지 스크류모터(40)를 구동시킨다. 상기 컵(16)의 쌀수용공간(16a)에 쌀이 공급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크류모터(40)가 구동되면 스크류(38)가 회전하면서 쌀통(14)의 쌀저장공간(14a)에 저장된 쌀을 쌀배출구(34)를 통해 쌀이송관(36)으로 배출시키고, 쌀이송관(36)으로 배출된 쌀은 쌀이송관(36)의 타단과 연결된 쌀공급관(46)의 관통홀(46c)을 통해 쌀공급관(46)의 내부로 이송된 후 낙하하여 쌀공급관(46)의 하부에 위치한 컵(16)의 쌀수용공간(16a)에 투입됨으로써 컵(16)의 쌀수용공간(16a)에 쌀이 공급되게 된다.
그 후, 컨트롤러(22)는 다음 컵(16)이 쌀공급관(46) 아래에 위치할 때까지 모터(30)를 구동시켜 컵홀딩수단을 회전시킨 다음 해당 컵(16) 내부에 정해진 양의 쌀이 공급될 때까지 스크류모터(40)를 구동시킨다. 이러한 컵홀딩수단의 회전과 쌀의 공급 과정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개수의 컵(16)의 쌀수용공간(16a)에 모두 쌀이 담길 때까지 반복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선택된 개수의 컵(16)의 쌀수용공간(16a)에 모두 쌀이 담기면 컨트롤러(22)는 쌀공급관모터(48)를 역구동시켜 쌀공급관(46)이 회전도어(50)를 통과한 후 원래의 위치까지 상승하도록 한다. 상기 쌀공급관(46)의 하단이 회전도어(50)를 통과한 후 회전도어(50) 위로 완전히 빠지면 회전도어(50)의 패널들(50a, 50b)이 토션스프링들(50c, 50d)의 힘에 의해 회동되어 원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쌀공급관(46)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컨트롤러(22)는 정해진 시간(15∼20 초) 동안 펌프(66)를 구동시켜 물탱크(64)의 물저장공간(64a)에 담긴 정수물이 물이송관(66a)과 살수노즐(18)을 통해 모든 컵(16)의 쌀수용공간(16a)에 동시에 뿌려지도록 한다. 이 과정을 통해 컵(16)의 쌀수용공간(16a)에 담긴 쌀은 살수노즐(18)에서 분사되는 정수물의 수압에 의해 쌀수용공간(16a) 안에서 소용돌이치면서 세척되고, 쌀의 세척과정에서 생기게 되는 쌀뜨물은 배수공(16b)을 통해 빠져나가게 되며,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세척된 쌀 위로부터 배수공(16b) 아래까지는 정수물이 고이게 되는데, 이 물이 밥물이 된다. 아울러, 쌀의 세척 과정에서 컵들(16)의 배수공(16b)을 통해 흘러나와 바닥면에 떨어지는 오수는 배수구(58)와 배수관(6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각종 중금속이나 노폐물이 제거된 정수물을 이용해 쌀을 세척하고, 정수물을 밥물로 이용하면 일반 수돗물을 이용할 때보다 깨끗하고 인체에도 이로운 밥을 지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쌀 세척 과정이 완료되면 컨트롤러(22)는 정해진 시간 동안 스팀발생기(52)의 열선(52b)에 전원을 인가하여 스팀발생기(52)에서 스팀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스팀발생기(52)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공급관(54)의 내부를 따라 이송된 후 스팀홀(54a)을 통해 방출되고, 스팀홀(54a)에서 방출된 스팀은 스팀분산판(56)의 통기공(56a)을 통해 취사공간(10a)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방출된다. 상기 취사공간(10a)에 스팀이 공급되면 컵들(16)의 쌀수용공간(16a)에 담긴 쌀은 취사공간(10a)에 공급되는 스팀의 대류현상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익혀지게 되고, 결국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컵들(16)의 쌀수용공간(16a)에는 밥이 담겨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밥이 다 지어지면 컨트롤러(22)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패널(21)의 정지버튼(21f)이 선택될 때까지 취사실(10)의 내부 벽면에 내설된 열선(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컵들(16)의 쌀수용공간(16a)에 담긴 밥이 보온되도록 한다.
그 후, 사용자는 도어(12)를 열고 컵홀딩수단의 링들(24)에 끼워진 컵들(16)을 빼낸 후 컵(16)에 담긴 밥을 별도의 밥공기에 옮겨 담을 필요 없이 그대로 먹으면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컵들(16)이 밥공기로 이용될 수 있어 사용자가 다 된 밥을 일일이 밥공기에 옮겨 담는 번거로운 과정이 생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추구할 수 있게 된다.
2. 자동취사모드
사용자가 조작패널(21)의 자동취사버튼(21c)을 누르면 자동취사모드가 선택되는데, 이 자동취사모드는 최대 취사량의 선택과 취사 시작의 지시가 한번에 설정되는 작동모드이므로 전체 컵(16)에 모두 밥을 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자동취사버튼(21c)이 선택되면 컨트롤러(22)는 상기에서 언급된 취사모드의 쌀공급 과정에서 일부가 아닌 모든 컵(16)의 쌀수용공간(16a)에 정해진 양의 쌀이 담기도록 스크류모터(40)와 모터(30)를 제어하는 것 이외에는 취사모드시와 동일하게 전체 시스템을 제어한다.
3. 찜요리모드
사용자는 찜용기(76)의 재료수용공간(76a)에 찜요리 재료를 담은 다음 도어(12)를 열어 취사공간(10a)을 개방시키고, 컵홀딩수단 대신 찜용기(76)를 취사공간 (10a)에 넣은 후 찜용기(76)의 제 2 고정구(76c)를 회전수단의 결합구(32)에 끼워 넣어 찜용기(76)를 회전수단에 결합시킨 다음 도어(12)를 닫는다.
이어서, 사용자가 조작패널(21)의 조리시간설정버튼(21d)을 조작하여 조리시간을 선택하면 컨트롤러(21)는 선택된 조리시간을 조리시간표시부(21h)에 표시함과 동시에 선택된 조리시간을 기억해둔다.
그 후, 사용자가 조작패널(21)의 취사시작버튼(21b)을 누르면 컨트롤러(22)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간 동안 스팀발생기(52)의 열선(52b)에 전원을 인가하여 스팀발생기(52)에서 스팀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스팀발생기(52)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공급관(54)의 내부를 따라 이송된 후 스팀홀(54a)을 통해 방출되고, 스팀홀(54a)에서 방출된 스팀은 스팀분산판(56)의 통기공(56a)을 통해 취사공간(10a)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방출된다. 상기 취사공간(10a)에 스팀이 공급되면 찜용기(76)의 재료수용공간(76a)에 담긴 찜요리 재료는 스팀홀(76b)을 통해 공급되는 스팀의 대류현상에 의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익혀지게 되고, 결국 정해진 시간 경과 후 찜용기(76)의 재료수용공간(76a)에는 완성된 찜요리가 담겨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쳐 찜요리가 완성되면 컨트롤러(22)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패널(21)의 정지버튼(21f)이 선택될 때까지 취사실(10)의 내부 벽면에 내설된 열선(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찜용기(76)의 재료수용공간(76a)에 담긴 찜요리가 보온되도록 한다.
그 후, 사용자는 도어(12)를 열고 찜용기(76)의 제 2 고정구(76c)를 회전수단의 결합구(32)로부터 빼내어 찜용기(76)를 회전수단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취사 공간(10a)으로부터 찜용기(76)를 꺼내 재료수용공간(76a)에 담긴 찜요리를 먹으면 된다.
4. 보온모드
사용자가 조작패널(21)의 보온버튼(21e)을 누르면 컨트롤러(22)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패널(21)의 정지버튼(21f)이 선택될 때까지 취사실(10)의 내부 취사실(10)의 내부 벽면에 내설된 열선(20)에 전원을 인가하여 취사공간(10a)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취사장치는 보온장치의 역할을 겸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전자레인지의 기능이 추가될 수도 있고, 정수물이 담긴 물탱크에 배수관과 밸브를 장착하여 정수기의 역할을 겸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취사과정을 자동화시킴으로써 바쁜 현대인들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스팀으로 쌀을 쪄서 밥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찜요리를 할 수 있는 찜기로 겸용될 수 있고, 보온장치로도 겸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어 경제적이고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밥공기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컵들을 구비하여 컵에 직접 밥이 되도록 하고, 밥이 다 되면 사용자가 컵을 꺼내어 컵에 담긴 밥을 그대 로 먹을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밥공기에 밥을 옮겨 담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내부에 취사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취사공간의 개폐를 위한 도어가 장착된 취사실과; 내부에 호퍼 형태의 쌀저장공간이 형성된 쌀통과; 내부에 쌀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된 다수개의 컵과; 상기 컵들을 상호 원주상으로 홀딩한 상태에서 상기 취사공간에서 회전되는 컵홀딩수단과; 상기 컵홀딩수단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수단과; 상기 쌀통의 쌀저장공간에 저장된 쌀을 인출하여 상기 컵들의 쌀수용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쌀인출공급수단과; 상기 컵들의 쌀수용공간에 물을 뿌리기 위한 살수노즐과; 스팀을 발생하여 상기 취사공간에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공급수단과; 상기 취사실의 내부 바닥면에 고이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수단과; 상기 살수노즐과 상기 스팀발생공급수단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수단과; 상기 취사실의 내부 벽면에 내설되어 상기 취사공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열선과; 취사량의 설정을 위한 취사량설정버튼과, 취사의 시작을 지시하기 위한 취사시작버튼을 구비한 조작패널과; 상기 취사량설정버튼과 상기 취사시작버튼이 차례대로 선택되면 상기 컵들 중 일부 또는 모두의 쌀수용공간에 정해진 양의 쌀이 담기도록 상기 회전수단과 상기 쌀인출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컵들의 쌀수용공간에 정해진 시간 동안 물이 뿌려지도록 상기 급수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컵홀딩수단이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취사공간에 정해진 시간 동안 스팀이 공급되도록 상기 회전수단과 상기 스팀발생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취사공간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열선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취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컵들의 상단 외주연에는 각각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컵홀딩수단은 상호 원주상으로 배치되고, 내부로 하나씩 끼워지는 상기 컵들의 걸림턱과 각각 결합되어 상기 컵들을 홀딩하는 다수개의 링과; 상기 링들의 내측에 배치되어 일단에 하나씩 고정된 상기 링들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들의 타단을 고정시키고, 하단 내부에 끼움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홈과 연통된 결합지점의 표시를 위한 표시홈이 측면에 형성된 제 1 고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수단은 회전축의 상단부가 상기 취사실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기 취사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회전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고정구의 표시홈에 끼움 결합되는 표시돌기가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표시돌기와 상기 표시홈의 결합시 상기 제 1 고정구의 끼움홈에 끼움 결합되는 결합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쌀인출공급수단은 상기 쌀통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쌀저장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쌀배출구와; 상기 쌀배출구에 일단이 연통된 쌀이송관과; 상기 쌀통의 하단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쌀저장공간에 저장된 쌀을 상기 쌀배출구를 통해 상기 쌀이송관측으로 인출하는 스크류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상기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스크류모터와; 상기 취사실의 천장면에 형성된 개구와; 상기 취사실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고, 하단부 내주연에 단턱이 형성되며, 하단부 측면에 길이방향의 슬릿이 형성된 지지관과; 상기 지지관의 하단 개구를 통해 상기 지지관의 내부에 상단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하고, 상단 외주연에 상기 지지관의 단턱에 걸리는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외부면 중 상기 지지관의 슬릿과 대면하는 위치에 길이방향으로 래크가 형성되며, 하단이 하강하여 상기 개구를 통과한 후 사전 설정된 쌀공급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쌀이송관의 타단과 연통되는 관통홀이 측면에 형성된 쌀공급관과; 상기 지지관의 슬릿을 통해 상기 쌀공급관의 래크와 맞물린 피니언이 회전축에 형성되고,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회전하는 쌀공급관모터와; 상기 취사실의 상부로부터 상기 취사공간 내부로 진입하는 상기 쌀공급관이 진행하는 방향으로는 회동되어 개방되고, 상기 취사공간 내부에 있던 상기 쌀공급관이 원래 위치로 후퇴하면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상기 개구에 설치된 회전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팀발생공급수단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따라 스팀을 발생하여 방출하는 스팀발생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 상단부에 다수개의 스팀홀이 형성되어 있는 도넛형태의 일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스팀발생기에 타단이 결합된 스팀공급관과; 상기 스팀공급관의 스팀홀을 통해 방출되는 스팀을 상기 취사공간으로 골고루 분산시켜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기공이 전체면에 걸쳐 형성되고, 끝단이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부면은 볼록하고 하부면은 오목하며, 상기 스팀공급관의 일단부 상측에 볼록면이 윗쪽을 향하도록 설치된 스팀분산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배수수단은 상기 취사실의 바닥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수구와, 상기 배수구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배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급수수단은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정수하는 정수기와; 내부에 물저장공간이 형성된 물탱크와;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를 받아 상기 물탱크의 물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펌핑하여 물이송관을 통해 상기 살수노즐에 공급하는 펌프와; 상기 정수기에 의해 정수된 물을 상기 물탱크와 상기 스팀발생기로 각각 이송하기 위한 급수관과; 상기 정수기와 상기 급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수기에 의해 정수된 물이 상기 급수관 내부를 따라 상기 물탱크와 상기 스팀발생기측으로만 흐르게 하고 역류는 방지하는 체크밸브와; 상기 물탱크와 상기 급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 내부에 저장된 물의 높이가 사전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물탱크로의 물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제 1 수위조절밸브와; 상기 스팀발생기와 상기 급수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스팀발생기 내부에 저장된 물의 높이가 사전 설정된 높이에 도달하면 상기 스팀발생기로의 물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시키는 제 2 수위조절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취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내부에 재료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전체면에 다수개의 스팀홀이 형성되며, 상기 컵홀딩수단의 제 1 고정구와 동일한 형상의 제 2 고정구가 바닥면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재료수용공간측으로 돌출하여 일체로 형성된 찜용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작패널에는 찜요리의 조리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조리시간설정버튼이 더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조리시간설정버튼에 의해 조리시간이 설정된 후 상기 취사시작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회전수단에 결합된 상기 찜용기가 정해진 속도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상기 취사공간에 정해진 시간 동안 스팀이 공급되도록 상기 회전수단과 상기 스팀발생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취사공간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열선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동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취사장치.
KR1020040031005A 2004-05-03 2004-05-03 자동취사장치 KR100559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005A KR100559075B1 (ko) 2004-05-03 2004-05-03 자동취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1005A KR100559075B1 (ko) 2004-05-03 2004-05-03 자동취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628A KR20040054628A (ko) 2004-06-25
KR100559075B1 true KR100559075B1 (ko) 2006-03-10

Family

ID=37347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1005A KR100559075B1 (ko) 2004-05-03 2004-05-03 자동취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90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0036A (zh) * 2015-06-26 2015-11-11 杨健 一种具有恒温储米功能的智能电饭煲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260B1 (ko) * 2014-09-16 2016-03-14 이철상 무압력 취사기
CN105537179B (zh) * 2016-02-22 2018-01-23 杭州创培信息科技有限公司 智能自动化谷粒清洗装置
CN108209590A (zh) * 2016-12-14 2018-06-29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分格进料器及烹饪设备
KR102246449B1 (ko) * 2020-01-20 2021-04-30 박주희 자동 취반 및 배출 장치
KR102196304B1 (ko) * 2020-11-17 2020-12-29 이철우 백반 자동 취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30036A (zh) * 2015-06-26 2015-11-11 杨健 一种具有恒温储米功能的智能电饭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4628A (ko) 200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1637B2 (en) Cooking machine
EP2429352B1 (en) A cooking apparatus
CN109788869A (zh) 空气炸系统和方法
MX2014001591A (es) Movimiento y control de alimentos dentro de un contenedor para preparación de alimentos.
JP2010505583A (ja) 無人自動炊飯装置
CN101198274A (zh) 烹饪脱水粉末食物的器具和方法
US4741261A (en) Cooking apparatus
US6360652B1 (en) Cooking machine
US9895721B2 (en) Rotisserie oven with shooter tube cleaning system
US6530307B2 (en) Cooking machine
US4214514A (en) Cooker for individual portions of particulate foodstuff
KR100559075B1 (ko) 자동취사장치
CN105942838A (zh) 一种全自动煮饭装置及其工作方法
WO2022003582A1 (en) Cooking apparatus
KR20090095776A (ko) 자동 취사장치
CN114745990B (zh) 全自动电饭锅装置
US6539841B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preparing food
KR101867860B1 (ko) 자동 취사장치
KR101308518B1 (ko) 고압의 스팀가열식 구이장치
CN1459268A (zh) 自动炒菜、做汤锅
KR100442154B1 (ko) 전자동 압력취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90129329A (ko) 무인 취사 밥솥
KR102246449B1 (ko) 자동 취반 및 배출 장치
KR100636806B1 (ko) 백반 자동 자판기 및 취사 방법
KR20040027704A (ko) 다단 튀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