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1838A -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1838A
KR20060001838A KR1020050099808A KR20050099808A KR20060001838A KR 20060001838 A KR20060001838 A KR 20060001838A KR 1020050099808 A KR1020050099808 A KR 1020050099808A KR 20050099808 A KR20050099808 A KR 20050099808A KR 20060001838 A KR20060001838 A KR 20060001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ing
vending machine
discharge
dis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곤
Original Assignee
박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곤 filed Critical 박중곤
Priority to KR1020050099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1838A/ko
Publication of KR20060001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8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G07F17/0085Food articles which for processing need cooking in a liquid, e.g. oil,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종류의 면을 조리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제작 효율 및 가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는, 코인의 투입에 의해 면을 조리하여 판매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부 및 조리된 면을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용기 배출 도어를 구비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소정의 온도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온수기가 내부에 제공되는 본체; 각각의 상기 용기 배출 도어와 일치하는 상기 본체 내부의 위치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최하부에 위치된 면 수용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용기 지지부를 구비하며, 각각이 다수의 용기들이 적층되는 한 쌍의 용기 공급부들; 상기 용기 공급부의 하부의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에 고정된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를 인출하도록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되는 용기 인출부; 및 상기 승강 기구를 작동시키며, 상기 승강 기구가 하강하였을 때 상기 용기 인출부로부터 용기가 적재되고, 적재된 용기를 조리 위치 및 배출 위치로 운반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들을 포함한다.
라면, 자동판매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

Description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용기 공급부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가 용기 공급부 아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승강 기구가 상승하여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용기 인출부로 용기가 인출되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가 용기 공급부 아래에 위치되었을 때의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사시도.
도 8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를 인출하기 위하여 승강 기구가 상승되었을 때의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사시도.
도 9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정면도.
도 10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에 제공되어 용기를 적재하여 이동하기 위한 용기 적재부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용기 적재부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용기 적재부의 용기 위치 조정 수단이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용기 적재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용기 위치 조정 수단이 작동될 때의 용기 적재부의 저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도어
3 : 용기 공급부 4 :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
5 : 용기 지지부 6 : 코일 스프링
7 : 베이스 8 : 용기 인출부
9 : 승강 기구 10 : 용기 적재부
11 : 코인 투입부 12 : 젓가락 수납부
13 : 용기 배출 도어 14 : 경사 가이드
15 : 제어부 16 : 구동 모터
17 : 감속기 18 : 아이들 기어
19 : 내측 레일 20 : 하부 랙 기어
21 : 상부 랙 기어 22 : 용기 수용공
23 : 지지편 작동부 24 : 용기 적재홈
25 : 핀 26 : 레일
27 : 캐리어 28 : 피니언 기어
29 : 랙 기어 30 : 외측 레일
31 : 근접 센서 32 : 전열판
33 : 물탱크 34: 외벽
35 : 레일 설치판 36a,36b : 안내공
37 : 회전판 38 : 걸림핀
39 : 돌출핀 40 : 위치 조정구
41 : 탄성체 42 : 벽부
43 : 측면부 44 : 핀
45 : 슬롯 46, 48 : 센서
49 : 장공 50 : 브라켓
본 발명은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로 다른 두 종류의 면을 조리하여 판매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간식 또는 부식으로서 실생활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컵라면과 같이 일회용 용기에 끓는 물을 투입하여 조리하는 용기 라면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라면은 가공과정에서 미리 끓는 물만 넣으면 먹을 수 있도록 되어, 먹기가 간편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라면의 구성 자체가 뜨거운 물에 불려 먹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라면 고유의 맛을 낼 수가 없어, 애호가들은 조금 불편하더라도 끓여먹는 라면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봉지라면은 풍미가 독특하지만, 용기 라면에 비해 조리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조리 시간이 더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최근에는 봉지라면을 사각 알루미늄 용기에 적재하여, 하부에서부터 하나씩 분리시켜 판매할 수 있는 끓인 라면 자판기가 등장하고 있다.
하나의 예로서, “라면 자동판매기”라는 명칭으로 2005년 2월 12일자 등록된 특허등록 제10-472767호가 제안되어 있다.
이 발명은, 코인기로 코인이 투입되어 주문신호가 발생되면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판매하는 라면 자동판매기이며, 본체는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기를 구비하고,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취출 도어가 취출공에 설치되는 도어가 전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격판 및 바닥판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격판이 설치된다. 조리될 라면과 양념이 담겨진 금속성의 일회용 용기가 내부에 적층되어 보관되는 용기 공급부재가 개구된 하부가 중간 격판의 관통공과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용기 공급부가 중간 격판의 관통공과 용기 공급부재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중간격판에 설치되어 용기 공급부재에 저장 된 일회용 용기를 낱개로 배출시키며, 용기 이송부가 하부격판에 설치되어 용기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초기 위치의 일회용 용기를 가열부재 상면의 가열위치로 이송시킨 후, 온수 공급부로부터 온수가 공급되고, 가열부재에 의해 일회용 용기가 직접 가열되어 라면의 조리가 완료되면, 다시 배출위치로 이송시킨다. 배출 위치로 이송된 라면 용기는 용기 이송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부격판에 설치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에 의해, 도어의 취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라면 자동판매기는 한정된 공간을 가지는 본체 내부에 라면이 수용된 용기를 공급하기 위한 용기 공급부, 용기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용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용기 이송부, 조리된 라면을 배출시키기 위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 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본체 내부가 복잡하고, 또한 이러한 구성 요소들로 인하여 실제적으로 본체 내부에 한 종류의 라면과 같은 면만이 판매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면을 조리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제작 효율 및 가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코인의 투입에 의해 면을 조리하여 판매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부 및 조리된 면을 배 출하기 위한 한 쌍의 용기 배출 도어를 구비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소정의 온도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온수기가 내부에 제공되는 본체; 각각의 상기 용기 배출 도어와 일치하는 상기 본체 내부의 위치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최하부에 위치된 면 수용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용기 지지부를 구비하며, 각각이 다수의 용기들이 적층되는 한 쌍의 용기 공급부들; 상기 용기 공급부의 하부의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에 고정된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를 인출하도록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되는 용기 인출부; 및 상기 승강 기구를 작동시키며, 상기 승강 기구가 하강하였을 때 상기 용기 인출부로부터 용기가 적재되고, 적재된 용기를 조리 위치 및 배출 위치로 운반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용기 지지부는 상기 용기 공급부의 양측부에 힌지 핀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체로 만들어지고, 용기의 상부에 제공되는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 공급부 내로 돌출되는 지지편이 하부에 제공된다.
상기 용기 공급부는 하부에 용기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는 상기 용기 유무 감지 센서에 의해 용기가 용기 공급부에 용기가 없는 것이 감지되었을 때 작동이 정지된다.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는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 내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에 지지되며, 상기 용기 인출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 기 인출부로부터 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용기 적재홈을 가진다.
상기 용기 인출부는 후방 부분이 개방된 용기 수용공을 가지며, 용기 수용공의 측방에는 라운딩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용기 인출부가 상승되었을 때 용기 지지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지지편 작동부를 구비한다.
상기 캐리어는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는 랙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의 양측에 설치된 레일 설치판의 외측에는 아이들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 기어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하부 랙 기어와,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에 설치된 상부 랙 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레일 설치판은 외측 및 내측에 각각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측 레일 및 내측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외측 레일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각각 설치된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 레일은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외측에 설치된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용기 적재부의 용기 적재홈에는 용기를 조리 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용기 위치 조정 수단이 제공된다.
상기 용기 위치 조정 수단은 용기 적재홈의 바닥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용기 적재부가 조리 위치로 이동할 때 캐리어에 걸리도록 내측 부분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핀 및 외측 부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핀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용기 적재홈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돌출핀과 연결되는 위치 조정구와; 상기 위치 조정구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를 포함한 다.
상기 용기 적재부는 용기가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가 제공된다.
상기 조리 위치에 위치되는 전열판은 소정의 온도로 예열되고,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에 의해 용기가 위치되었을 때 정상 온도로 작동된다.
상기 한 쌍의 용기 공급부에 적층되는 면 수용 용기에 수용된 면은 서로 다른 종류이고, 면의 종류에 따라서 용기에 공급되는 온수의 양 및 조리 시간이 결정된다.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용기에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제공된다.
상기 승강 기구는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아암을 가지며, 각 아암들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용기 인출부의 측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가 배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아암들중 하나의 내측 하단 부분이 상기 캐리어에 의해 배출 위치로 이동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는 본체(1)와, 본체(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를 포함한다. 본체(1)의 내부에는 각각 적어도 20개의 면 수용 용기(100, 이하 용기라 한다)들이 적층되는 한 쌍의 용기 공급부(3)가 각각의 용기 배출 도어(13)의 위치와 일치하는 본체(1) 내부의 위치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각각의 용기 공급부(3)의 하부에는 용기 인출부(8)와 각각의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가 제공된다. 각각의 용기 인출부(8)는 각각의 용기 공급부(3)로부터 용기(100)를 인출하고, 각각의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는 용기 인출부(8)로부터 적재된 용기(100)에 담겨진 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위치 및 조리된 면을 본체(1)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위치로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용기 공급부(3)에 적층되는 용기(100)는 라면 또는 인스턴트 자장면과 같은 면이 양념과 함께 수용된다.
도어(2)는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부(11), 조리된 면을 먹는데 사용되는 젓가락을 수납하기 위한 젓가락 수납부(12), 조리된 면이 배출되는 한 쌍의 용기 배출 도어(13), 및 본체(1) 내부에 제공되는 각 구성 요소들의 구동 및 동작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용하는 제어부(15)가 설치된다. 면이 조리된 용기(100)가 배출되는 용기 배출 도어(13)들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용기 공급부(3)의 아래의 도어(2)에 위치되어, 배출 위치로 인동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에 의해 개방되는 도어 형태를 취한다. 용기 배출 도어(13)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가 용기 배출 도어(13)의 내측에 제공되는 경사 가이드(14)를 밀 때 하부 힌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개방되고,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가 후퇴될 때 힌지에 설치된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용기 공급부(3)에 채워지는 용기(100)는 종래와 같이 플랜지(100a)를 가지는 알루미늄 용기로 만들어지며, 각각의 용기 공급부(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 하부에 용기(100)를 지지하기 위한 2개 1조로 만들어지는 용기 지지부(5)가 제공된다. 각각의 용기 지지부(5)는 도 4 내지 도 6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공급부(3)의 양측부에 힌지 핀(5b)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체로 만들어지며, 그 하부에 용기(100)의 상부에 제공되는 플랜지(100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5a)이 제공된다. 용기 지지부(5)는 지지편(5a)이 용기 공급부(3)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힌지 핀(5b)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력에 의해 용기 공급부(3)를 향하여 가압된다.
이와 같이, 용기 공급부(3)의 최하부에 위치된 용기(100)의 플랜지(100a)가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용기 공급부(3)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지편(5a)에 의해 지지되고, 그 위에 적층된 용기(100)들은 서로 지지하는 형태로 용기 공급부(3)에 적층된다. 용기 지지부(5)의 지지편(5a)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용기 공급부(3)에 적층된 용기(100)를 지지하는 용기 지지부(5)는 용기 공급부(3)의 하부에 위치되는 용기 인출부(8)에 의해 용기(100)가 하나씩 인출되도록 작동된다. 한편, 용기 공급부(3)는 용기 공급부(3)에서의 용기(100)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46, 도 2 참조)가 하부에 제공된다. 용기 공급부(3)의 하부에서의 용기(100)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46)는 필요에 따라서 포토 센서 또는 접촉 센 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46)에 의해 용기 공급부(3)의 하부에서 용기(10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용기 공급부(3)에 용기(100)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용기 공급부(3)에 용기(100)를 채우도록 도어(2)의 전면에 제공되는 표시부(47)에 용기(100)의 유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용기 공급부(3)에 용기(100)가 없을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는 작동이 정지된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인출부(8)는 용기 공급부(3)로부터 용기(100)를 인출하도록 베이스(7)에 고정된 승강 기구(9)에 의해 승강되고, 베이스(7)는 용기 공급부(3)의 하부의 위치에서 본체(1)의 하부에 고정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는 베이스(7)에 설치된 구동 모터(16)의 작동에 의해 베이스(7)의 측판(7a) 내측에 설치되는 레일(26)을 따라서 이동하는 캐리어(27, 도 9 참조), 및 캐리어(27)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캐리어(7)에 지지되며, 용기(100)를 적재하기 위한 용기 적재홈(24)을 가지는 용기 적재부(10)를 포함한다.
베이스(7)는 용기(100) 본체(1)의 하부에 고정되고, 본체(1)의 바닥으로 상방으로 나라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측판(7a)들을 구비한다. 베이스(7)의 후방 부분의 측판(7a)들 사이에는 용기(100)에 수용된 면을 조리하기 위한 전열판(32, 도 7 및 도 8 참조)이 제공된다. 용기 인출부(8)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부분이 개방된 용기 수용공(22)을 가지며, 용기 수용공(22)의 측방에는 라운딩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용기 인출부(8)가 상승되었을 때 용기 지지부(5)를 작동시키기 위한 지지편 작동부(23)가 제공된다.
용기(100)를 용기 공급부(3)로부터 인출하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가 용기 인출부(8)를 향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승강 기구(9)가 작동하고, 용기 인출부(8)는 승강 기구(9)의 작동으로 용기 공급부(3)를 향해 상승한다.
리프트 형식의 승강 기구(9)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서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아암(9a,9b)을 가지며, 각 아암(9a,9b)들의 하단부는 베이스(7)의 측판(7a)의 외측에 설치되는 브라켓(7b)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암(9a,9b)들의 상단부는 용기 인출부(8)의 측부에 제공되는 브라켓(14)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암(9a)의 상단부 및 아암(9b)의 하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7b,50)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공(36a,36b)들이 형성된다.
한편,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7)의 측판(7a)들 사이에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16)와, 구동 모터(16)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기(17)가 제공된다. 감속기(17)는 캐리어(27)에 제공되는 랙 기어(29)와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28)가 설치된다. 따라서, 구동 모터(16)가 구동될 때, 감속기(17)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28)가 구동 모터(16)의 구동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러한 피니언 기어(28)의 회전에 의하여 캐리어(27)에 제공된 랙 기어(29)가 피니언 기어(28)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므로, 캐리어(27)가 구동 모터(16)의 구동에 의하여 구동 모터(16)의 구동 방향으로 이동한다.
구동 모터(16)와 감속기(17)는 측판(7a)들 사이에서 캐리어(27)의 하부에 제공되고, 캐리어(27)는 양측에 레일 설치판(35)이 각각 설치된다. 캐리어(27)의 양측에 설치된 레일 설치판(35)의 외측에는 외측 레일(30)이 양측부에 제공되며, 내 측에는 내측 레일(19)이 설치된다. 외측 레일(30)과 내측 레일(19)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한다. 외측 레일(30)은 베이스(7)의 측판(7a)들의 내측에 각각 설치된 레일(26)들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 레일(19)은 용기 적재부(10)의 외측에 설치된 레일(10a)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리어(27)의 양측에 설치된 레일 설치판(35)의 외측에는 아이들 기어(1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이들 기어(18)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7)의 측판(7a)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는 하부 랙 기어(20)와, 용기 적재부(10)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랙 기어(21)와 맞물린다. 한편,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의 용기 적재부(10)는, 용기 인출부(8)로부터 용기(100)를 수용하여 용기(100)를 조리 및 배출 위치로 운반하는 동안 용기(100)를 적재하기 위한 용기 적재홈(24)을 가진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조로 인하여, 구동 모터(16)의 구동에 의해 캐리어(27)가 용기 배출 위치로 이동될 때, 레일 설치판(35)을 통해 캐리어(27)에 설치되는 아이들 기어(18)는 배출 위치로의 캐리어(27)의 이동에 의해 도 8의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아이들 기어(18)가 하부 랙 기어(20) 상에서 구름 운동을 하기 때문에, 아이들 기어(18)와 결합된 상부 랙 기어(21)가 설치된 아이들 기어(18)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부 랙 기어(21)가 설치되는 용기 적재부(10)가 캐리어(27)에서 용기 배출 위치로 이동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캐리어(27)가 구동 모터(16)의 구동에 의해 배출 위치로 이동할 때, 용기 적재부(10)가 캐리어 (27) 상에서 배출 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용기 적재부(10)는 캐리어(27)보다 더 많은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승강 기구(9)의 하나의 아암(9b)의 하측 단부를 브라켓(7b)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25)은 측판(7a) 내측으로 연장하여, 핀(25)의 내측 단부 부분이 구동 모터(16)의 구동에 의해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캐리어(27)에 걸리어, 아암(9b)의 하측 부분이 캐리어(27)에 의해 배출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구동 모터(16)의 구동에 의하여 캐리어(27)가 용기 배출 위치로 소정 거리 이동할 때, 승강 기구(9)의 아암(9a,9b)들의 한 쪽 단부들이 캐리어(27)의 이동에 따라서 브라켓(7b,50)에 각각 형성된 안내공(36a,36b)들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아암(9a,9b)들의 후방 단부들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아암(9a,9b)들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좁혀져 승강 기구(9)가 상승한다. 이러한 승강 기구(9)의 상승에 의하여, 승강기구(9)의 상단에 연결된 용기 인출부(8)가 용기 공급부(3)의 하부 부분을 향하여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상승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용기 인출부(8)가 용기 공급부(3)의 하부 부분을 향하여 상승할 때, 용기 인출부(8)의 측면에 제공되는 라운딩 또는 경사 형상의 지지편 작동부(23)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5a)들 사이로 진입하여, 지지편(5a)들을 외측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최하부의 용기(100)가 용기 인출부(8)의 용기 수용공(22)에 위치되고 최하부의 용기(100)의 플랜지(100a)는 용기 수용공(22)의 외측에 위치된 지지판(22a) 위에 위치된다. 최하부의 용기(100)가 용기 인출부(8)의 용기 수용공(22)에 위치될 때, 최하부의 용기(100)의 바로 위에 위치된 용기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수용공(22)에 안치된 용기(100) 내에 수용된 면에 지지된다. 이 때, 바로 위의 용기(100)의 플랜지(100a)는 용기 지지부(5)의 지지편(5a)보다 위쪽에 위치된다.
승강 기구(9)의 계속적인 상승에 의해, 용기 인출부(8)가 지지편(5a)들 사이에서 계속적으로 상승되면, 용기 지지부(5)의 지지편(5a)들은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력을 거슬러 완전히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용기 지지부(5)의 지지편(5a)들에 의해 지지된 최하부의 용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인출부(8)의 용기 수용공(22)으로 낙하한다. 용기 인출부(8)로 낙하된 용기(100)는 플랜지(100a)가 용기 수용공(22)의 외측에 제공되는 지지판(22a)에 지지됨으로써 용기(100)의 용기 부분이 용기 수용공(22)에 안치된다.
즉,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력을 거슬러 측방으로 벌려지고, 용기 지지부(5)가 벌어지는 것에 의하여, 용기 공급부(3)의 최하부에 위치된 용기(100)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로 낙하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에 의해 최하부에 위치된 용기(100)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로 낙하되는 것과 동시에, 바로 위에 위치된 용기(100)가 아래로 내려오고,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로 낙하한 용기(100)상에 위치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로 낙하한 용기(100)가 조리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하강할 때, 용기 지지부(5)가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력에 의해 지지 위치로 복귀되고, 용기(100)가 용기 지지부(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용기(100)가 용기 공급부(3)로부터 용기 인출부(8)로 인출 되었을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는 구동 모터(16)의 역회전에 의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기 배출 위치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가 도 8에 도시된 배출 위치로부터 도 7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될 때, 승강 기구(9) 또한 캐리어(27)에 연결된 핀(25)의 움직임 또는 승강 기구(9)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한다. 승강 기구(9)의 하강이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아암(9a,9b)들의 상단 및 하단 사이에 인장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기구(9)의 승강 운동에 의해 승강되는 용기 인출부(8) 또한 하강한다. 용기 인출부(8)가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하강하였을 때, 용기 적재부(10)의 용기 적재홈(24)은 용기 인출부(8)의 용기 수용공(22)의 하부에 위치되고, 용기 수용공(22)에 안치된 용기(100)의 하부 용기 부분이 용기 적재홈(24)의 위치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 적재부(10)가 구동 모터(16)의 구동에 의해 조리 위치, 즉 용기 적재홈(24)이 베이스(7)의 후방에 위치된 전열판(32)로 이동한다. 용기 적재홈(24)이 조리 위치로 이동할 때, 용기 수용공(22)에 수용된 용기(100)의 하부 용기 부분이 용기 적재홈(24)의 외벽(34)에 의해 조리 위치로 밀리게 된다. 이 때, 용기(100)는 용기 수용공(22)의 후방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 적재부(10)가 조리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용기 수용공(22)으로부터 이탈되어 용기 적재홈(24)에 매끄럽게 적재된다. 용기(100)가 용기 적재부(10)의 용기 적재홈(24)에 위치되었을 때, 용기(100)의 플랜지(100a)는 용기 수용공(22)의 지지판(22a) 아래에 위치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서, 용기 수용공(22)에 수용된 용기(100)가 용기 적재홈(24)에 적재되고,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가 조리 위치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되었을 때, 베이스(7)의 내측에 형성된 근접 센서(31, 도 9 참조)가 이동중인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의 위치를 감지되고, 이 위치에서 구동 모터(16)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근접 센서(31)에 의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의 이동이 정지되었을 때, 본체(1) 내부에 제공되는 온수기(도시되지 않음)가 작동되어, 약 50℃의 온도로 예열된 온수가 설정된 양만큼 용기(100) 내로 공급된다. 온수기로부터 용기(100)로 공급되는 온수의 양은 조리될 면의 종류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다. 온수기는 용기(100)에 담겨진 면이 보다 빨리 조리될 수 있도록 본체(1)의 내측 상부에 제공되는 물탱크(33)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된 바와 같이 약 50℃의 온도로 가열한다. 또한, 물탱크(33)는 수도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생수 용기와 같은 용기로부터 물이 공급된다.
용기(100) 내로 소정량의 온수가 공급되면, 구동 모터(16)가 작동하여, 용기 적재부(10)는 조리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용기 적재부(10)의 조리 위치로 이동 방식 또한 면 배출 위치로의 이동과 마찬가지로 캐리어(27)가 이동하는 거리보다 많은 거리를 이동한다. 용기 적재부(10)가 조리 위치로 이동하여, 용기(100)가 전열판(32) 상에 위치되었을 때, 용기 적재부(10)의 용기 적재홈(24)에는 용기(100)를 전열판(32) 상에 정확히 위치시키도록 용기 위치 조정 수단이 작동된다.
용기 위치 조정 수단은 용기 적재홈(24)의 바닥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용기 적재부(10)가 조리 위치로 이동할 때 캐리어(27)에 걸리도록 내측 부분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핀(38) 및 외측 부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핀(39)이 형성되는 회전판(37)과, 용기 적재홈(24)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돌출핀(39)과 연결되는 위치 조정구(40), 및 위치 조정구(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41)를 포함한다.
위치 조정구(40)는 도 10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적재홈(24)의 전방벽을 형성하는 한편 용기(100)를 밀기 위한 벽부(42)와, 벽부(42)의 양측부로부터 후방으로 나란하게 연장하는 측면부(43)를 구비한다. 회전판(38)은 핀(44)을 통하여 용기 적재부(10)의 저면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회전판(38)이 용기 적재부(10)의 저면에 설치될 때, 회전판(38)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핀(39)은 용기 적재부(10)의 저면에 형성된 원호형 슬롯(45)을 통해 위치 조정구(40)의 전방에 형성된 횡방향 장공(49)에 삽입된다. 위치 조정구(40)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코일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41)는 한 쪽 단부가 용기 적재부(10)의 외벽(34)에 고정되고, 다른 쪽 단부가 장공(49) 위로 돌출된 돌출핀(39)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탄성체(41)의 탄성력에 의하여, 회전판(38)은 돌출핀(39)이 외측에 위치되고 걸림핀(38)이 내측에 위치된다.
이와 같이 용기 적재홈(24)에 제공되는 용기 위치 조정 수단에 의하여, 용기 적재부(10)가 조리 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된 바와 같이 걸림핀(38)이 캐리어(27)에 걸린다. 이 상태에서, 용기 적재부(10)가 조리 위치로 소정거리 이동함으로써, 회전판(37)은 핀(44)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돌출핀(39)은 탄성체(41)의 탄성력을 거슬러 용기 적재부(10)의 바닥에 형성된 원호형 슬롯(45)을 따라 내측으로 원운동을 한다. 이 때, 돌출핀(39)이 위치 조정구(40)의 전방에 형성된 횡방향 장공(49)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횡방향 장공(49)에서의 돌출핀(39)의 간섭없이 위치 조정구(40)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위치 조정구(40)가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용기 적재홈(24)에 적재된 용기(100)는 위치 조정구(4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된다. 용기 적재부(10)에 제공되는 용기 적재홈(24)은 위치 조정구(40)가 일정 거리 이동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한편, 용기 적재부(27)의 외벽(34)과 위치 조정구(40)의 벽부(42) 사이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에는 용기(100)가 용기 적재홈(24)에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48)가 제공된다. 이러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48)는 포토 센서 또는 접촉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용기 유무 감지 센서(48)의 작동에 의하여, 용기 적재홈(24)에 용기(100)가 적재되었을 때, 상기된 바와 같이 온수기로부터 온수가 공급되는 한편, 면이 완전히 조리되어 용기 배출 도어(13)를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용기(100)를 용기 적재홈(24)으로부터 꺼내었을 때, 용기(100)가 용기 적재홈(24)으로부터 꺼내진 것을 확인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 모터(16)가 구동된다.
용기 적재홈(24)이 상기된 바와 같이 전열판(32)이 위치된 조리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예를 들어 구동 모터(16)의 회전량, 용기 적재홈(24)의 위치 등을 감지 하는 센서와 같은 용기(1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에 의하여 구동 모터(16)의 구동이 정지된다. 용기(100)가 전열판(32) 상에 위치되었을 때, 용기(100) 내에 공급된 온수는 전열판(32)에 의해 면 종류에 따라서 설정된 시간 동안 끓여진다.
전열판(32)은 용기(100)에 공급된 온수를 끓이기 위하여 대략 200℃의 온도로 작동되며, 면을 끓이지 않는 동안 대략 100℃의 온도로 예열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러한 전열판(32)의 온도는 전열판(32)의 내부에 제공되는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이, 전열판(32)이 면을 조리하지 않는 경우에도 항상 100℃의 온도로 예열되기 때문에,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도 본체(1)에 제공되는 물탱크(33) 및 배관 내에 채워진 물이 동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온수기로부터 용기(100)로 공급되는 온수의 양과, 전열판(32)에 의해 면이 조리되는 시간은 면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온수 공급량 및 조리 시간은 본체(1)의 도어(2)에 제공된 제어부(15)에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어, 라면의 경우에 약 400㏄의 온수가 공급되어 전열판(32)에서 대략 3분30초의 시간동안 조리되며, 인스턴트 자장면의 경우에, 약 300㏄의 온수가 공급되어 대략 4분 30초의 시간동안 조리된다. 이와 같이 용기(100)에 공급되는 온수의 양 및 조리 시간이 설정됨으로써, 인스턴트 자장면의 경우에, 용기(100)에 공급된 온수가 거의 증발된 상태로 조리될 수 있다.
면을 조리하기 위하여, 전열판(32)이 제어부(15)에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되면, 구동 모터(16)는 제어부(15)의 신호에 따라서 용기(100)를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한다. 용기 적재부(10)가 베이스(7)의 내측에 형성된 근접 센서(31)를 지나갈 때, 근접 센서(31)는 제어부(15)에 설정된 제어에 따라서 용기 적재부(100)의 이동을 감지하지 않는다. 또한, 용기 적재부(10)의 용기 적재홈(24)에 적재된 용기(100)가 승강 기구(9) 상에 배치된 용기 인출부(8)를 지나갈 때, 용기(100)의 플랜지(100a)가 용기 수용공(22)의 지지판(22a) 아래에 있기 때문에, 용기 적재홈(24)에 적재된 용기(100)는 용기 수용공(22)에 걸리지 않고 배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용기 적재부(10)가 도어(2)에 제공된 용기 배출 도어(13)에 도달하면, 용기 적재홈(27)의 외벽(34)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배출 도어(13)의 내측에 제공되는 경사 가이드(14)를 밀어냄으로써, 용기 배출 도어(13)가 힌지핀을 중심으로 개방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가 용기 배출 도어(13)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용기 적재부(10)의 용기 적재홈(24)으로부터 용기(100)가 꺼내지면, 상기된 바와 같이, 용기 적재홈(24)에 제공되는 접촉 센서에 의해 용기(100)의 유무가 감지되어, 용기 적재부(10)가 용기 공급부(3)로부터 새로운 용기(100)를 인출하도록 이동한다.
한편, 각각의 용기 공급부(3)에 적층된 용기(100)에 수용된 면은 서로 다른 종류인 경우에, 각 용기 공급부(3)로부터 공급된 면을 조리하기 위하여, 각 용기 공급부(3)에 제공되는 전열판(32)들은 본 발명에 따라서 면을 적절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작동시간을 가지며, 또한 온수기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의 양도 면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양이 공급된다. 이러한 것은 공급될 면의 종류에 따라서 온수 공급량 및 조리 시간이 제어부(15)에 미리 입력하여 설정함으로써 가능하게 된 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는 본체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면을 조리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제작 효율 및 가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다.

Claims (14)

  1. 코인의 투입에 의해 면을 조리하여 판매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부 및 조리된 면을 배출하기 위한 한 쌍의 용기 배출 도어를 구비하는 도어에 의해 개폐되며, 소정의 온도로 물을 가열하기 위한 온수기가 내부에 제공되는 본체;
    각각의 상기 용기 배출 도어와 일치하는 상기 본체 내부의 위치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되고, 최하부에 위치된 면 수용 용기를 지지하기 위한 용기 지지부를 구비하며, 각각이 다수의 용기들이 적층되는 한 쌍의 용기 공급부들;
    상기 용기 공급부의 하부의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베이스에 고정된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되어, 상기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를 인출하도록 승강 기구에 의해 승강되는 용기 인출부; 및
    상기 승강 기구를 작동시키며, 상기 승강 기구가 하강하였을 때 상기 용기 인출부로부터 용기가 적재되고, 적재된 용기를 조리 위치 및 배출 위치로 운반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지지부는 상기 용기 공급부의 양측부에 힌지 핀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체로 만들어지고, 용기의 상부에 제공되는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 공급부 내로 돌출되는 지지편이 하부에 제공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공급부는 하부에 용기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는 상기 용기 유무 감지 센서에 의해 용기가 용기 공급부에 용기가 없는 것이 감지되었을 때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는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는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베이스 내에 설치되는 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이동에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캐리어에 지지되며, 상기 용기 인출부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 인출부로부터 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용기 적재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인출부는 후방 부분이 개방된 용기 수용공을 가지며, 용기 수용공의 측방에는 라운딩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용기 인출부가 상승되었을 때 용기 지지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지지편 작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는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와 결합되는 랙 기어가 설치되고, 상기 캐리어의 양측에 설치된 레일 설치판의 외측에는 아이들 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아이들 기어는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하부 랙 기어와,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에 설치된 상부 랙 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설치판은 외측 및 내측에 각각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는 외측 레일 및 내측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외측 레일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각각 설치된 레일과 결합되고, 상기 내측 레일은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외측에 설치된 레일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적재부의 용기 적재홈에는 용기를 조리 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키기 위한 용기 위치 조정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위치 조정 수단은 용기 적재홈의 바닥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용기 적재부가 조리 위치로 이동할 때 캐리어에 걸리도록 내측 부분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걸림핀 및 외측 부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핀이 형성되는 회전판과; 상기 용기 적재홈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돌출핀과 연결되는 위치 조정구와; 상기 위치 조정구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적재부는 용기가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위치에 위치되는 전열판은 소정의 온도로 예열되고,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에 의해 용기가 위치되었을 때 정상 온도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용기 공급부에 적층되는 면 수용 용기에 수용된 면은 서로 다른 종류이고, 면의 종류에 따라서 용기에 공급되는 온수의 양 및 조리 시간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13. 제 4 항에 있어서,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용기에 온수의 공급을 위하여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상기 베이스의 내측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기구는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아암을 가지며, 각 아암들의 하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부는 상기 용기 인출부의 측부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가 배출 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아암들중 하나의 내측 하단 부분이 상기 캐리어에 의 해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1020050099808A 2005-10-21 2005-10-2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08A KR20060001838A (ko) 2005-10-21 2005-10-2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08A KR20060001838A (ko) 2005-10-21 2005-10-2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016U Division KR200405160Y1 (ko) 2005-10-21 2005-10-2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838A true KR20060001838A (ko) 2006-01-06

Family

ID=37104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808A KR20060001838A (ko) 2005-10-21 2005-10-2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183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052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배출장치
KR101016051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끓일 용기 공급장치
KR101331601B1 (ko) * 2011-12-05 2013-11-21 장유영 고객 맞춤형 화장품 제조 자동판매기
KR20180124596A (ko) * 2017-05-12 2018-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캡슐 쿠커
KR20190092647A (ko) * 2018-01-29 2019-08-08 (주)이루미소프트 라면 조리 머신
KR102206299B1 (ko) * 2020-05-27 2021-01-21 최세열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052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배출장치
KR101016051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끓일 용기 공급장치
KR101331601B1 (ko) * 2011-12-05 2013-11-21 장유영 고객 맞춤형 화장품 제조 자동판매기
KR20180124596A (ko) * 2017-05-12 2018-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캡슐 쿠커
KR20190092647A (ko) * 2018-01-29 2019-08-08 (주)이루미소프트 라면 조리 머신
KR102206299B1 (ko) * 2020-05-27 2021-01-21 최세열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WO2021241808A1 (ko) * 2020-05-27 2021-12-02 신승훈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516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3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US8556119B2 (en) Horizontal product discharge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KR20070039748A (ko) 라면 자동판매기
KR100653237B1 (ko)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US20080092749A1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noodles
KR20060001840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405163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CN109544787B (zh) 面盒传输自动摆正方法
US6523715B1 (en) Hot food vending machines
KR20060001844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JP5929605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装置
KR2006000186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405161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KR200406804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409199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406589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42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40659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인출 장치
KR20060001839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KR102038288B1 (ko)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KR20040920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JP5630079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カップ搬送装置
KR200290594Y1 (ko) 라면 자동 판매기
KR200394027Y1 (ko) 라면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