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9200Y1 -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9200Y1
KR200409200Y1 KR2020050033663U KR20050033663U KR200409200Y1 KR 200409200 Y1 KR200409200 Y1 KR 200409200Y1 KR 2020050033663 U KR2020050033663 U KR 2020050033663U KR 20050033663 U KR20050033663 U KR 20050033663U KR 200409200 Y1 KR200409200 Y1 KR 2004092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ing
discharging
loading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6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Priority to KR20200500336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92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92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92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G07F17/0085Food articles which for processing need cooking in a liquid, e.g. oil, wat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한편,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제작 효율 및 가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는 코인의 투입에 의해 면을 조리하여 판매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로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를 따라서 용기 적재, 조리 및 용기 배출 위치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용기 인출 기구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링크 부재를 작동시키며; 상기 용기 인출 장치로부터 적재된 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용기 적재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 벨트에 연결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연결 브라켓; 및 조리 위치, 적재 위치 및 배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다수의 위치 감지 센서들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위치 확인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를 포함한다.
라면, 자동판매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

Description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noodle container in 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도 1은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용기 공급부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공급부, 용기 인출 기구, 및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설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용기 인출 기구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베이스에서의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구동 조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 절개된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에 의해 용기가 용기 인출 기구로부터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로 적재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인출 기구로부터 본 고안에 따른 용 기 운반 및 배출 기구로 적재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용기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에 의해 조리 위치에 운반되어 전열판 상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면이 조리되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에 의해 배출 위치로 배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인출 기구 2 :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
3 : 용기 공급부 4 : 베이스
5 : 승강용 레일 6 : 슬라이더
7 : 용기 인출부 8 : 지지부
9 : 가이드 슬롯 10 : 링크 부재
11 : 견인 부재 12 : 용기 지지부
13, 31 : 브라켓 14 : 코일 스프링
15 : 슬롯 16 : 분리편
17 : 구동 모터 18 : 타이밍 벨트
19 : 종동 풀리 20a, 20b, 20c : 위치 감지 센서
21 : 장착부 22 : 레일
23 : 연결 브라켓 24 : 용기 밀판
25 : 힌지 핀 26 : 걸림편
27 :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 28 : 용기 적재부
29 : 위치 확인 부재 30 : 전열판
31 : 물탱크 32, 33 : 용기 유무 감지 센서
101 : 본체 102 : 도어
103 : 용기 배출 도어 104 : 코인 투입부
105 : 젓가락 수납부 106 : 제어부
107 : 경사 가이드 108 : 표시부
본 고안은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다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로 면이 수용된 용기를 조리 위치 및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간식 또는 부식으로서 실생활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컵라면과 같이 일회용 용기에 끓는 물을 투입하여 조리하는 용기 라면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라면은 가공과정에서 미리 끓는 물만 넣으면 먹을 수 있도록 되어, 먹기가 간편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라면의 구성 자체가 뜨거운 물에 불려 먹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라면 고유의 맛을 낼 수가 없어, 애호가들은 조금 불편하더라도 끓여먹는 라면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봉지라면은 풍미가 독특하지만, 용기 라면에 비해 조리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조리 시간이 더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최근에는 봉지라면을 사각 알루미늄 용기에 적재하여, 하부에서부터 하나씩 분리시켜 판매할 수 있는 끓인 라면 자판기가 등장하고 있다.
하나의 예로서, “라면 자동판매기”라는 명칭으로 2005년 2월 12일자 등록된 특허등록 제10-472767호가 제안되어 있다.
이 고안은, 코인기로 코인이 투입되어 주문신호가 발생되면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판매하는 라면 자동판매기이며, 본체는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기를 구비하고,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취출 도어가 취출공에 설치되는 도어가 전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격판 및 바닥판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격판이 설치된다. 조리될 라면과 양념이 담겨진 금속성의 일회용 용기가 내부에 적층되어 보관되는 용기 공급부재가 개구된 하부가 중간 격판의 관통공과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용기 공급부가 중간 격판의 관통공과 용기 공급부재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중간격판에 설치되어 용기 공급부재에 저장된 일회용 용기를 낱개로 배출시키며, 용기 이송부가 하부격판에 설치되어 용기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초기 위치의 일회용 용기를 가열부재 상면의 가열위치로 이송시킨 후, 온수 공급부로부터 온수가 공급되고, 가열부재에 의해 일회용 용기가 직접 가열되어 라면의 조리가 완료되면, 다시 배출위치로 이송시킨다. 배출 위치로 이송된 라면 용기는 용기 이송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부격판에 설치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에 의해, 도어의 취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라면 자동판매기는 한정된 공간을 가지는 본체 내부에 라면이 수용된 용기를 공급하기 위한 용기 공급부, 용기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용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용기 이송부, 조리된 라면을 배출시키기 위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 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본체 내부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한편,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제작 효율 및 가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코인의 투입에 의해 면을 조리하여 판매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로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를 따라서 용기 적재, 조리 및 용기 배출 위치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용기 인출 기구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링크 부재를 작동시키며; 상기 용기 인출 장치로부터 적재된 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용기 적재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 벨트에 연결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연결 브라켓; 및 조리 위치, 적재 위치 및 배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다수의 위치 감지 센서들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위치 확인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 적재부에 용기가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가 용기 배출 위치에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는 직립되었을 때 상기 용기 인출 기구에 인출된 용기를 상기 용기 인출 기구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외측에 힌지 연결되는 용기 밀판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용기 밀판은 상기 베이스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에 걸리는 걸림편이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에 상기 걸림편이 걸렸을 때 직립으로 유지되어 외측벽을 형성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용기 공급부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가 설치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는 본체(101)와, 본체(10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02)를 포함한다. 본체(101)의 내부에는 각각 적어도 20개의 면 수용 용기(100, 이하 용기라 한다)들이 적층되는 한 쌍의 용기 공급부(3)들이 본체(101)의 내부에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각각의 용기 공급부(3)의 하부에는 용기 인출 기구(1)와 각각의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제공된다.
도어(102)는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부(104), 조리된 면을 먹는데 사용되는 젓가락을 수납하기 위한 젓가락 수납부(105), 조리된 면이 배출되는 한 쌍의 용기 배출 도어(103), 및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각 구성 요소들의 구동 및 동작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용하는 제어부(106)가 제공된다. 면이 조리된 용기(100)가 배출되는 용기 배출 도어(103)들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용기 공급부(3)의 아래의 도어(102)에 위치되어, 용기(100)를 용기 배출 도어(103)를 통해 배출시키기 위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에 의해 개방되는 도어 형태를 취한다.
종래와 같이 플랜지(100a)를 가지는 알루미늄 용기(100)들이 적층되는 용기 공급부(3)들은 용기 배출 도어(103)와 일치되는 위치에서 다수의 체결구에 의해 본체(101)에 고정되고, 전면이 개방된 사각의 박스의 형태를 가진다. 용기 공급부(3)는 상부 및 하부 부분에 제공되는 보강바(31)들에 의하여 강도가 보강된다.
용기 공급부(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용기(100)를 지지하기 위한 2개 1조의 용기 지지부(12)가 제공된다. 용기 지지부(12)는 용기 공급부(3)의 양측부에 각각 고정되는 브라켓(13)에 제공되는 힌지 핀(12b)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체로 만들어지며, 그 하부에 용기(100)의 플랜지(100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12a)이 제공된다. 힌지 핀(12b)에는 코일 스프링(14)이 설치되고, 이러한 코일 스프링(14)의 스프링력은 용기 지지부(12)가 용기 공급부(3)의 방향으로 가압되도록 작용한다.
그러므로, 용기 지지부(12)는 코일 스프링(14)의 스프링력에 의해 용기 공급 부(3)를 향하여 가압되어서, 용기 지지부(12)의 하부에 제공되는 지지편(12a)이 용기 공급부(3)의 내측으로 돌출한다. 공기 공급부(3)의 최하부에 위치된 용기(100)의 플랜지(100a)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4)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용기 공급부(3)의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편(12a)에 의해 지지된다. 용기 지지부(12)의 지지편(12a)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용기 공급부(3)로부터 용기(100)를 인출하기 위한 용기 인출 기구(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배출 도어(103)와 일치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한 쌍의 베이스(4)들의 상부에 각각 제공된다. 용기 인출 기구(1)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작동에 의하여 베이스(4) 상에서 상하로 승강된다. 베이스(4) 상에서 승강되도록, 용기 인출 기구(1)는 양측부에 슬라이더(6)가 각각 설치되고, 이 슬라이더(6)들은 브라켓(31)을 통하여 베이스(4)의 측부에 직립 설치된 승강용 레일(5)에 슬라이드 결합된다.
용기 인출 기구(1)는 또한 도 4 및 도 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이 개방된 용기 수용 공간(7a)을 가지는 ㄷ자 형태의 용기 인출부(7), 베이스(4)의 상부 양측에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부(8)들, 하단부가 지지부(8)들에 각각 형성된 가이드 슬롯(9)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지지부(8)에 결합되며, 상단부가 슬라이더(6)에 각각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는 링크 부재(10), 및 링크 부재(10)의 하단부를 외측으로 견인하도록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에 연결되는 견인 부재(11)를 포함한다. 용기 인출 기구(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8)와 일체로 형성 되는 장착부(21)가 베이스(4)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에 의하여 베이스(4)의 상부에 고정된다.
링크 부재(11)의 하단부를 외측으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 부재(11)는 외측 부분에 훅(11a)이 제공되며, 이 훅(11a)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용기 배출 도어(107)를 향하여 이동할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측면에 형성된 슬롯(15)에 결합되는 한편,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조리 위치로 이동할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측부에 경사 형태로 제공되는 분리편(16)에 의해 슬롯(15)으로부터 분리된다. 견인 부재(11)의 훅(11a)은 분리편(16)에 의해 상방으로 밀리도록 외측 하부면이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견인 부재(11)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에 의하여 외측으로 이동될 때, 견인 부재(11)에 연결된 링크 부재(10)의 하단부는 견인 부재(11)에 의해 외측의 용기 배출 위치로 가이드 슬롯(9)을 따라서 이동하는 한편, 링크 부재(10)의 상단부는 하단부의 이동에 따라서 브라켓(31)을 통해 베이스(4)의 측부에 고정된 승강용 레일(5)을 따라서 상승한다. 그러므로, 링크 부재(10)의 상단부에 연결된 용기 인출 기구(1) 또한 상승된다. 용기 인출부(7)가 견인 부재(11)의 이동에 의하여 상승하였을 때, 용기 인출부(7)의 양측면이 용기 지지부(12)의 지지편(12a)과 접촉됨으로써, 용기 공급부(3)에 저장된 최하부의 용기(100)의 플랜지(100a)를 지지하고 있는 용기 지지부(12)가 코일 스프링(14)의 스프링력을 거슬러 외측으로 벌려진다.
그러므로, 용기 지지부(12)에 의해 지지되는 최하부의 용기(100)는 용기 인 출 기구(1)의 용기 인출부(7)로 낙하하여 용기 인출부(7)에 위치된다. 이 때, 용기 인출 기구(1)로 낙하한 용기(100)는 용기(100)의 용기 부분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플랜지(100)가 용기 수용 공간(7a)의 주위에 수평의 용기 지지판(7b)에 지지된다. 아울러,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최하부의 용기 위에 위치된 용기는 용기 인출부(7)로 인출된 최하부 용기에 지지되고, 이 용기의 플랜지(100a)는 용기 지지부(12)의 용기 지지편(12a) 보다 위쪽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도 9에 도시된 용기 배출위치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견인 부재(11)의 훅(11a)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측부에 설치된 분리편(16)에 의해 밀리게 된다. 따라서, 견인 부재(11) 및 견인 부재(11)에 연결된 링크 부재(10)의 하단부가 지지부(8)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9)을 따라서 내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용기 인출 기구(1)가 하강한다. 용기 인출 기구(1)가 하강함으로써, 용기 지지부(12)가 스프링(14)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용기 공급부(3)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와 동시에, 용기 공급부(3)의 최하부의 용기(100)가 하방으로 낙하하여, 용기(100)의 플랜지(100a)가 용기 지지부(12)의 지지편(12a)에 지지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조리 위치로 계속적으로 이동하여, 견인 부재(11)가 더 이상 이동할 수 없을 때 견인 부재(11)의 훅(11a)이 분리편(16)에 의하여 들어 올려져 슬롯(15)으로부터 분리된다.
한편, 용기 인출 기구(1)를 작동시키기 위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4)의 양쪽 측벽 내측에 설치된 레일(22)들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베이스(4) 상에 설치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는 베이스(4)에서 용기 인출 위치, 용기 배출 위치 및 조리 위치로 이동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는 베이스(4)에 제공되는 구동부에 의하여 구동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는 베이스(4)의 일측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17), 구동 모터(17)에 의하여 구동되고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에 결합되는 타이밍 벨트(18), 및 용기 인출 위치, 용기 배출 위치 및 조리 위치에서 용기 배출 및 운반 기구(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베이스(4)의 내측의 각 지점에 설치되는 포토 센서와 같은 다수의 위치 감지 센서(20a,20b 및 20c)들을 포함한다. 한편, 위치 감지 센서(20a,20b,20c)들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1)에 의해 용기(100)가 배출되는 용기 배출 위치,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에 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위치, 및 용기(100)에 수용된 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위치에서 베이스(4)에 각각 설치된다.
용기 인출 기구(1) 및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각각 설치되는 베이스(4)들은 본체(10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본체(101)의 바닥에 고정되는 판재로 만들어진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는 상기된 바와 같이 베이스(4)에 설치된 구동 모터(17)의 구동에 의하여 레일(22)을 따라서 용기 적재 위치, 조리 위치 및 배출 위치로 이동한다. 구동 모터(17)는 축에 구동 풀리가 설치되고, 구동 풀리와 베이스(4)의 내측에 설치된 종동 풀리(19)에 사이에는 타이밍 벨트(18)가 설치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는 하부에 제공되는 연결 브라켓(23)을 통해 타이밍 벨트(18)와 연결되어, 구동 모터(17)의 구동에 의한 타이밍 벨트(18)의 구동으로 레일(22)을 따라서 상기된 위치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는 용기 인출 기구(1)로부터 인출된 용기(100)를 적재하기 위한 적재 공간(28a)을 가지는 용기 적재부(28), 용기 인출부(7)에 수용된 용기(100)를 용기 인출부(7)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용기 적재부(28)의 외측에 제공되는 용기 밀판(24), 및 하부 외측에 하방으로 연장하는 위치 확인 부재(29)가 제공된다. 용기 인출 기구(1)로부터 용기(100)가 적재되는 용기 적재부(28)는 용기(100)의 하부가 수용되는 적재 공간(28a)을 가지는 사각의 프레임 형태로 만들어진다. 또한, 용기 적재부(28)의 외측에 제공되는 용기 밀판(24)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핀(25)을 통하여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고, 용기 밀판(24)의 하부에는 베이스(4)의 중앙부에 직립하여 설치되는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27)에 걸리는 걸림편(26)이 제공된다. 용기 밀판(24)은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27)에 걸림편(26)이 걸렸을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외측벽을 형성한다.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27)는 외측 단부 부분이 용기 인출 위치에 인접하여 위치되도록 베이스(4)의 중앙부분을 따라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그러므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초기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배출 위치로 이동할 때, 즉 걸림편(26)이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27)를 벗어날 때, 용기 밀판(24)은 자중에 의하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상태로 펼쳐지고, 이러한 상태로 용기 배출 위치까지 이동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배출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 용기 밀판(24)이 수평 상태로 펼쳐져 있기 때문에, 용기(100)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로부터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는 용기(100)가 보다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외측 부분(2a)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용기 밀판(24)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인출부(7)에 위치된 용기(100)의 하부 부분과 접촉하는 높이를 가진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기 배출 위치로부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리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용기 밀판(24)은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편(26)이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27)에 접촉되는 것에 의하여 직립된다. 걸림편(26)이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27)에 계속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용기 밀판(24)은 직립된 상태로 베이스(4)의 내측에 위치된 전열판(30)을 향하여 조리 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용기 인출 기구(1)의 용기 인출부(7)에 위치된 용기(100)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조리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직립 상태로 유지되는 용기 밀판(24)에 의해 전열판(30)으로 밀려져서, 용기 인출부(7)의 내측 개방부를 통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용기 적재부(28)에 적재된다.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27)는 걸림편(26)이 매끄럽게 걸리도록 상부 외측 부분(27a)이 라운딩 또는 모따기 형태로 만들어지고, 수평부는 걸림편(26)에 대해 비교적 넓은 접촉 면적을 가지도록 평명 형태로 만들어진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하부 외측에 제공되는 위치 확인 부재(29)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이동하는 동안 베이스(4)의 적소에 설치되는 위치 감지 센서(20a,20b,20c)들에 삽입되도록 외측으로 연장하는 삽입편(29a)을 가진다. 삽입편(29a)이 위치 감지 센서(20a,20b,20c)들에 삽입되었을 때, 위치 감지 센서(20a,20b,20c)들의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빛이 삽입편(29a)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 것에 의하여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위치가 확인되고, 이러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위치 정보가 제어부(106)에 입력된다. 제어부(106)는 위치 감지 센서(20a,20b,20c)로부터의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위치 정보 입력에 따라서, 구동 모터(17), 전열판(30) 및 온수기(도시되지 않음)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한편, 베이스(4)의 내측에 설치되는 전열판(30)은 그 높이가 용기 적재부(28)에 적재된 용기(100)의 밑면과 동일 평면 또는 약간 위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용기(100)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에 의해 전열판(30)이 설치된 조리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하부에 제공된 위치 확인 부재(29)가 위치 감지 센서(20c)에 의해 감지되고, 위치 감지 센서(20c)에 의한 위치 감지 신호는 제어부(106)로 입력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전열판(30)이 제어부(106)에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되어 용기(100)에 수용된 면이 조리되면, 전열판(30)의 작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구동 모터(17)는 제어부(106)의 신호에 따라서 용기(100)를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여,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위치로 이동한다. 용기(100)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에 의해 용기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용기 인출 기구(1)에 제공되는 견인 부재(11)의 훅(11a)이 용기 운반 및 배 출 기구(2)에 형성된 슬롯(21)에 결합되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와 함께 외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견인 부재(11)와 연결되는 링크 부재(10)의 하단부가 도 8에 도시된 위치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으로 이동하여,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에 의해 용기(100)가 배출 도어(10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 상기된 바와 같이 용기 인출 기구(1)가 레일(5)을 따라서 상승하여, 용기 공급부(3)의 최하부에 위치된 용기(100)가 용기 인출 기구(1)로 낙하된다. 또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용기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용기 밀판(24)이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27)를 벗어나는 것에 의하여, 용기 밀판(24)은 자중에 의하여 수평 상태로 펼쳐진다.
또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에 의해 용기(100)가 배출 도어(10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었을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에 제공되는 위치 확인 부재(29)가 베이스(4)에 설치된 위치 감지 센서(20a)에 의해 감지된다. 위치 감지 센서(20a)에 의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의 위치 감지에 의하여, 구동 모터(17)는 구동이 정지되고, 사용자는 용기 밀판(24)이 수평 상태로 펼쳐져 있으므로, 용기 적재부(28)로부터 용기(100)를 보다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한편, 베이스(4)에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2)가 용기 적재 위치에 있을 때, 적재 공간(28a)을 통하여 용기(100)가 용기 적재부(28)에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32)가 제공된다. 이러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32)는 포토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용기 적재부(28)에 직접 설치되는 접촉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용기 유무 감지 센서(32)의 작동에 의하여, 면이 완전히 조리되어 용기 배출 도어(103)를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용기(100)를 용기 적재부(28)로부터 꺼내었을 때, 용기(100)가 용기 적재부(28)로부터 꺼내진 것을 확인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 모터(17)가 구동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의하면, 본체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면을 조리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제작 효율 및 가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다.

Claims (4)

  1. 코인의 투입에 의해 면을 조리하여 판매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로서,
    구동부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베이스를 따라서 용기 적재, 조리 및 용기 배출 위치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용기 인출 기구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기 링크 부재를 작동시키며;
    상기 용기 인출 장치로부터 적재된 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용기 적재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 벨트에 연결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연결 브라켓; 및
    조리 위치, 적재 위치 및 배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다수의 위치 감지 센서들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위치 확인 부재를 구비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용기 적재부에 용기가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가 용기 배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직립되었을 때 상기 용기 인출 기구에 인출된 용기를 상 기 용기 인출 기구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외측에 힌지 연결되는 용기 밀판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밀판은 상기 베이스의 중앙부에 설치되는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에 걸리는 걸림편이 하부에 제공되고, 상기 용기 밀판 직립 유지부에 상기 걸림편이 걸렸을 때 직립으로 유지되어 외측벽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20050033663U 2005-11-29 2005-11-29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4092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663U KR200409200Y1 (ko) 2005-11-29 2005-11-29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663U KR200409200Y1 (ko) 2005-11-29 2005-11-29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660A Division KR20060001869A (ko) 2005-11-29 2005-11-29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9200Y1 true KR200409200Y1 (ko) 2006-02-22

Family

ID=41759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663U KR200409200Y1 (ko) 2005-11-29 2005-11-29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92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857B1 (ko) 2009-01-13 2011-09-27 문승경 자동판매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857B1 (ko) 2009-01-13 2011-09-27 문승경 자동판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233B2 (e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ES2376904T3 (es) Sistema para el calentamiento y extracción de productos alimenticios en máquinas automáticas expendedoras
CN107481426B (zh) 煲仔饭自动贩卖机及其工作方法
KR100653237B1 (ko)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KR20040516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40920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6000183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69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60001844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60069407A (ko) 신선과일 자동판매기
KR2006000186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JPH0927066A (ja) 自動販売機
KR200406804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409199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40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101341528B1 (ko) 식품 자판기
KR20040659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인출 장치
KR200405163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90073320A (ko) 인스턴트피자 자동판매기
KR200406589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42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405161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JPH0742376Y2 (ja) 使用済食器の搬送機構を備えた巡回搬送飲食台および使用済食器用盆の昇降制御装置
JP5630079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カップ搬送装置
KR20060001843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인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