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1844A -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1844A
KR20060001844A KR1020050102900A KR20050102900A KR20060001844A KR 20060001844 A KR20060001844 A KR 20060001844A KR 1020050102900 A KR1020050102900 A KR 1020050102900A KR 20050102900 A KR20050102900 A KR 20050102900A KR 20060001844 A KR20060001844 A KR 200600018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oking
vending machine
load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Priority to KR1020050102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1844A/ko
Publication of KR20060001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8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G07F17/0085Food articles which for processing need cooking in a liquid, e.g. oil, wa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한편,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제작 효율 및 가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는, 코인의 투입에 의해 면을 조리하여 판매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설치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로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베이스에 제공되는 승강 기구를 승강시키며, 상기 승강 기구가 하강하였을 때 용기 공급부로부터 적재된 용기를 조리 위치 및 배출 위치로 운반하며; 상기 용기 인출 장치로부터 적재된 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용기 적재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 벨트에 연결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연결 브라켓; 및 조리 위치, 적재 위치 및 배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다수의 위치 감지 센서들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위치 확인 부재를 포함한다.
면, 자동판매기,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용기 인출 장치

Description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Apparatus for transporting and discharging noodle container in 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가 설치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와 용기 공급부 및 용기 인출 장치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용기 인출 장치 및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와 베이스의 설치 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의해 용기가 조리 위치로 운반되었을 때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면이 조리되어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의해 배출 위치로 배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2 : 베이스
3 : 전열판 4 : 구동 모터
5 : 레일 6 : 종동 풀리
7 : 타이밍 벨트 8 : 연결 브라켓
9 : 용기 밀판 10 : 용기 적재부
11 : 위치 확인 부재 12 : 용기 유무 감지 센서
13,13a,13b,13c : 위치 감지 센서 20 : 용기 인출 장치
21 : 용기 지지부 22 : 승강 기구
23 : 용기 인출 부재 24 : 견인 부재
25 : 코일 스프링 26 : 인장 스프링
30 : 용기 공급부 31 : 보강바
101 : 본체 102 : 도어
103 : 용기 배출 도어 104 : 코인 투입부
105 : 젓가락 수납부 106 : 제어부
107 : 경사 가이드 108 : 표시부
본 발명은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 특히 보다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로 면이 수용된 용기를 조리 위치 및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간식 또는 부식으로서 실생활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컵라면과 같이 일회용 용기에 끓는 물을 투입하여 조리하는 용기 라면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라면은 가공과정에서 미리 끓는 물만 넣으면 먹을 수 있도록 되어, 먹기가 간편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라면의 구성 자체가 뜨거운 물에 불려 먹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라면 고유의 맛을 낼 수가 없어, 애호가들은 조금 불편하더라도 끓여먹는 라면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봉지라면은 풍미가 독특하지만, 용기 라면에 비해 조리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조리 시간이 더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최근에는 봉지라면을 사각 알루미늄 용기에 적재하여, 하부에서부터 하나씩 분리시켜 판매할 수 있는 끓인 라면 자판기가 등장하고 있다.
하나의 예로서, “라면 자동판매기”라는 명칭으로 2005년 2월 12일자 등록된 특허등록 제10-472767호가 제안되어 있다.
이 발명은, 코인기로 코인이 투입되어 주문신호가 발생되면 라면을 자동으로 조리하여 판매하는 라면 자동판매기이며, 본체는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기를 구비하고, 외측으로 개방되도록 설치되는 취출 도어가 취출공에 설치되는 도어가 전면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된 중간격판 및 바닥판과 이격되게 설치되는 하부격판이 설치된다. 조리될 라면과 양념이 담겨진 금속성의 일회용 용기가 내부에 적층되어 보관되는 용기 공급부재가 개구된 하부가 중간 격판의 관통공과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본체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다. 용기 공급부가 중간 격판의 관통공과 용기 공급부재의 하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중간격판에 설치되어 용기 공급부재에 저장된 일회용 용기를 낱개로 배출시키며, 용기 이송부가 하부격판에 설치되어 용기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초기 위치의 일회용 용기를 가열부재 상면의 가열위치로 이송시킨 후, 온수 공급부로부터 온수가 공급되고, 가열부재에 의해 일회용 용기가 직접 가열되어 라면의 조리가 완료되면, 다시 배출위치로 이송시킨다. 배출 위치로 이송된 라면 용기는 용기 이송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부격판에 설치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의해, 도어의 취출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라면 자동판매기는 한정된 공간을 가지는 본체 내부에 라면이 수용된 용기를 공급하기 위한 용기 공급부, 용기 공급부로부터 배출된 용기를 이송시키기 위한 용기 이송부, 조리된 라면을 배출시키기 위한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등이 설치되기 때문에 본체 내부가 복잡하고, 또한 이러한 구성 요소들로 인하여 실제적으로 본체 내부에 한 종류의 라면과 같은 면만이 판매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한편,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제작 효율 및 가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코인의 투입에 의해 면을 조리하여 판매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설치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로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베이스에 제공되는 승강 기구를 승강시키며, 상기 승강 기구가 하강하였을 때 용기 공급부로부터 적재된 용기를 조리 위치 및 배출 위치로 운반하며; 상기 용기 인출 장치로부터 적재된 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용기 적재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 벨트에 연결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연결 브라켓; 및 조리 위치, 적재 위치 및 배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다수의 위치 감지 센서들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위치 확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용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부에 용기가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가 설치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와 용기 공급부 및 용기 인출 장치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가 설치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는 본체(101)와, 본체(10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02)를 포함한다. 본체(101)의 내부에는 각각 적어도 20개의 면 수용 용기(100, 이하 용기라 한다)들이 적층되는 한 쌍의 용기 공급부(30)들이 도어(102)에 제공되는 한 쌍의 용기 배출 도어(103)들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본체(101)의 내부에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각각의 용기 공급부(30)의 하부에는 용기 인출 장치(20)와 각각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가 제공된다.
도어(102)는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부(104), 조리된 면을 먹는데 사용되는 젓가락을 수납하기 위한 젓가락 수납부(105), 조리된 면이 배출되는 한 쌍의 용기 배출 도어(103), 및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각 구성 요소들의 구동 및 동작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용하는 제어부(106)가 제공된다.
면이 조리된 용기(100)가 배출되는 용기 배출 도어(103)들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용기 공급부(30) 보다 아래의 도어(102)에 위치되어, 용기(100)를 배출시키기 위한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의해 개방되는 도어 형태를 취한다. 용기 배출 도어(103)는,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가 용기 배출 도어(103)의 내측에 제공되는 경사 가이드(107)를 밀 때 하부 힌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개방되고,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가 후퇴될 때 힌지에 설치된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폐쇄된다.
종래와 같이 플랜지(100a)를 가지는 알루미늄 용기(100)들이 적층되는 용기 공급부(30)들은 용기 배출 도어(103)와 일치되는 위치에서 다수의 체결구에 의해 본체(101)에 고정되고, 전면이 개방된 사각의 박스의 형태를 가진다. 용기 공급부(30)는 상부 및 하부 부분에 제공되는 보강바(31)들에 의하여 강도가 보강된다. 각 용기 공급부(30)는 본체(101) 내부에 설치될 때, 용기 공급부(30)로부터 용기(100)를 인출하기 위한 용기 인출 장치(20)와 연결되도록 본체(101)에 설치된다. 용기 공급부(30)에 적층되는 용기(100)는 라면 또는 인스턴트 자장면과 같은 면이 양념과 함께 수용된다.
용기 공급부(30)로부터 용기(100)를 인출하기 위한 용기 인출 장치(20)는 용기 배출 도어(103)와 일치하는 위치에 설치된 한 쌍의 베이스(2)들의 상부에 설치되고, 용기 공급부(30)로부터 인출된 용기(100)는 용기 인출 장치(20)를 통해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적재된다. 용기 인출 장치(20) 및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가 각각 설치되는 베이스(2)들은 본체(101)의 전후방향으로 연장하고 본체(101)의 바닥에 고정되는 판재로 만들어진다.
용기 인출 장치(20)는 측면에 용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된 용기(100)를 지지하기 위한 2개 1조의 용기 지지부(21)가 제공된다. 용기 지지부(21)는 용기 인출 장치(20)의 양측부에 힌지 핀(21b)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체로 만들어지며, 하부에 용기(100)의 플랜지(100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21a)이 제공된다. 용기 지지부(21)는 외측에 고정되는 브라켓(23)에 설치되는 힌지 핀(21b)에 감겨진 코일 스프링(25)의 스프링력에 의해 용기 인출 장치(20)를 향하여 가압되어서, 그 하부에 제공되는 지지편(21a)이 용기 인출 장치(20)의 프레임(20a)의 측부 에 형성된 개구부(24)를 통해 용기 인출 장치(20)의 내측으로 돌출하여 용기 인출 장치(20)의 프레임(20a) 내에 위치된 용기(100)의 플랜지(100a)를 지지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용기 공급부(30)에 용기(100)가 저장되었을 때, 최하부의 용기(100)는 용기 인출 장치(20)로 낙하하여, 용기 지지부(2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용기 지지부(21)의 지지편(21a)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용기 인출 장치(20)의 프레임(20a)은 전열판(3)을 향한 내측 부분에 내벽이 제공되고, 내벽의 하부 부분은 용기(100)가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의해 운반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된다. 내벽은 전열판(3)에서 용기(100)에 수용된 면이 조리될 때 발생되는 수증기가 용기 인출 장치(20) 및 용기 공급부(30)에 수용된 용기(100)의 면에 흡수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용기 인출 장치(20)는 승강 기구(22)에 의해 승강되는 용기 인출 부재(23)가 내부에 제공된다. 용기 인출 부재(23)는 내측 부분이 개방되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의 구조를 가지는 한편 중앙 부분에 용기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용기 인출 장치(20)의 승강 기구(22)는 승강 기구(22)의 아암을 이동시키기는 견인 부재(24)가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승강된다. 견인 부재(24)는 외측 단부 부분에 훅이 제공되고, 훅이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형성된 슬롯에 결합됨으로써,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가 이동할 때, 승강 기구(22)를 작동시킨다.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는 베이스(2)의 측판(2a)의 내측에 설치된 레일 (5)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베이스(2)에 설치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는 베이스(2)에 설치된 구동 모터(4)의 구동에 의하여 레일(5)을 따라서 용기 적재 위치, 조리 위치 및 배출 위치로 이동한다. 구동 모터(4)의 축에는 구동 풀리가 연결되고, 구동 풀리와 베이스(2)의 측판(2a) 내측에 설치된 종동 풀리(6)에는 타이밍 벨트(7)가 결합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제공되는 연결 브라켓(8)을 통해 타이밍 벨트(7)와 연결되는 것에 의하여 구동 모터(4)의 작동에 따라서 레일(5)을 따라서 베이스(2) 내에서 상기된 위치들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는 외측에 용기 인출 부재(23)에 수용된 용기(100)를 용기 인출 부재(23)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용기 밀판(9)이 제공된다. 용기 밀판(9)은 용기 인출 부재(23)에 위치된 용기(100)의 하부 부분과 접촉하는 높이를 가진다. 그러므로, 용기(100)가 용기 인출 장치(20)의 용기 인출 부재(23)에 위치되었을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가 도 4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판(3)을 향하여 이동할 때, 용기 인출 부재(23)에 위치된 용기(100)는 용기 밀판(9)에 의해 전열판(3)으로 밀리고, 용기 인출 부재(23)의 내측 개방부를 통해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의 용기 적재부(10)에 적재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인출 장치(20)로부터 낙하된 용기(100)가 수용되는 용기 적재부(10)와, 하부 외측에 하방으로 연장하는 위치 확인 부재(11)를 가진다. 위치 확인 부재(11)는 삽입편(11a)이 베이스(2)의 내측의 각 지점에 설치된 포토 센서와 같은 위치 감지 센서(13a,13b,13c)들 에 삽입되고, 위치 감지 센서(13a,13b,13c)들은 삽입편(11a)에 의해 빛이 차단되는 것에 의하여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의 위치를 확인하여 제어부(106)에 신호를 보내고, 제어부(106)는 위치 감지 센서(13a,13b,13c)들의 신호에 따라서, 구동 모터(4), 전열판(3) 및 온수기(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한다.
한편, 위치 감지 센서(13a,13b,13c)들은 도 5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의해 용기(100)가 배출되는 용기 배출 위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위치, 및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의해 용기(100)가 조리 위치에 위치에서 베이스(2)에 각각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는 초기에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인출 장치(20)의 용기 인출 부재(23)에 용기(100)가 수용된다. 용기(100)는 용기 부분이 용기 인출 부재(23)의 용기 수용 공간에 수용되어 용기(100)의 용기 부분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플랜지(100)가 용기 인출 부재(23)의 주위에 수평의 용기 지지판에 지지된다. 이 때, 용기 인출 부재(23)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22)는 아암들중 하나를 아래로 당기기 위한 인장 스프링(26))에 의하여 하강된 상태로 있으며, 용기 인출 장치(20)의 프레임(20a)의 상부 부분에는 다수의 용기(100)들이 용기 지지부(21)에 의해 지지된다.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구동 모터(4)가 구동하여,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열판(3)이 위치된 조리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의 용기 적재부(10)에 적재된 용기(100)는 용기 인출 장치(20)의 내벽 하부의 공간부를 통해 전열판(3)으로 이동한다.
용기(100)가 전열판(3) 상에 위치되었을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의 하부에 제공된 위치 확인 부재(11)가 위치 감지 센서(13c)에 의해 감지되고, 이러한 위치 감지 신호가 제어부(106)로 입력된다. 제어부(106)는 본체(101) 내부에 제공되는 온수기를 작동시키고, 약 50℃의 온도로 예열된 온수가 온수기로부터 설정된 양만큼 조리 위치에 위치된 용기(100) 내로 공급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용기(100)가 전열판(3) 상에 위치되고 용기(100) 내로 소정의 온도로 예열된 온수가 공급되었을 때, 용기(100) 내로 공급된 온수를 끓이도록 전열판(3)이 면 종류에 따라서 제어부(106)에 설정된 시간 동안 대략 200℃의 온도로 가열 작동된다. 전열판(3)은 용기(100)가 조리 위치에 위치되지 않는 대기 상태의 경우에 대략 100℃의 온도로 예열된 상태로 유지되고, 이러한 전열판(3)의 온도는 전열판(3)의 내부에 제공되는 온도 감지 센서에 의해 제어되어, 작동 및 대기 상태에서 상기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용기 공급부(30)에 적층된 용기(100)에 수용된 면은 서로 다른 종류인 경우에, 각 용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된 면을 조리하기 위하여, 각 용기 공급부(30)에 제공되는 전열판(3)들은 본 발명에 따라서 면을 적절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작동시간을 가지며, 또한 온수기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의 양도 면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양이 공급된다. 이러한 것은 공급될 면의 종류에 따라서 온수 공급량 및 조리 시간이 제어부(106)에 미리 입력하여 설정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전열판(3)이 제어부(106)에 설정된 시간동안 작동되어 용 기(100)에 수용된 면이 조리되면, 구동 모터(4)는 제어부(106)의 신호에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를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작동하고,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위치로 이동한다. 용기(100)가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의해 용기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용기 인출 장치(20)에 제공되는 견인 부재(24)의 훅이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형성된 슬롯에 결합되어,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와 함께 외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견인 부재(24)와 연결되는 승강 기구(22)가 작동되어, 용기 인출 부재(23)가 상승된다. 용기 인출 장치(20)의 용기 인출 부재(23)가 상승할 때, 용기 인출 부재(23)의 측벽이 경사면으로 형성된 지지편(21a)과 접촉하여, 용기 지지부(21)가 코일 스프링(25)의 스프링력을 거슬러 용기 인출 부재(23)에 의해 외측으로 벌려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 인출 장치(20)가 지지편(21a)들 사이에서 계속적으로 상승되면, 용기 지지부(21)가 완전히 벌어지고, 최하부의 용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인출 장치(20)의 용기 인출 부재(23)의 용기 수용 공간으로 낙하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의해 용기(100)가 배출 도어(10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승강 기구(22)는 도 7에 도시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이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에 제공되는 위치 확인 부재(11)가 베이스(2)에 설치된 위치 감지 센서(13a)에 의해 감지된다. 위치 감지 센서(13a)에 의한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1)의 위치 감지에 의하여, 구동 모터(4)는 구동이 정지되고, 사용자는 용기 적재부(10)로부터 용기(100)를 꺼낸다.
한편, 용기 적재부(10)에는 용기(100)가 용기 적재부(10)에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12)가 제공된다. 이러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12)는 포토 센서 또는 접촉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용기 유무 감지 센서(12)의 작동에 의하여, 면이 완전히 조리되어 용기 배출 도어(103)를 통해 배출되어, 사용자가 용기(100)를 용기 적재부(10)로부터 꺼내었을 때, 용기(100)가 용기 적재부(10)로부터 꺼내진 것을 확인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 모터(4)가 구동되고, 기술된 바와 같은 동작이 반복된다.
한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서 구동 모터(4), 종동 풀리(6) 및 타이밍 벨트(7)에 대한 베이스(2)에서의 설치 부분이 다른 것은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에 의하면, 본체 내부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면을 조리하여 판매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제작 효율 및 가격이 저렴하게 될 수 있다.

Claims (2)

  1. 코인의 투입에 의해 면을 조리하여 판매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설치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로서,
    상기 본체에 고정된 베이스에 제공되는 승강 기구를 승강시키며, 상기 승강 기구가 하강하였을 때 용기 공급부로부터 적재된 용기를 조리 위치 및 배출 위치로 운반하며;
    상기 용기 인출 장치로부터 적재된 용기를 적재하기 위한 용기 적재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타이밍 벨트에 연결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연결 브라켓; 및
    조리 위치, 적재 위치 및 배출 위치에서 상기 베이스에 설치된 다수의 위치 감지 센서들에 결합되도록 하부에 제공되는 위치 확인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적재부는 상기 적재부에 용기가 적재되어 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1020050102900A 2005-10-31 2005-10-3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600018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900A KR20060001844A (ko) 2005-10-31 2005-10-3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2900A KR20060001844A (ko) 2005-10-31 2005-10-3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818U Division KR200406804Y1 (ko) 2005-10-31 2005-10-3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844A true KR20060001844A (ko) 2006-01-06

Family

ID=37104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900A KR20060001844A (ko) 2005-10-31 2005-10-3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184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052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배출장치
KR101016051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끓일 용기 공급장치
KR101067857B1 (ko) * 2009-01-13 2011-09-27 문승경 자동판매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857B1 (ko) * 2009-01-13 2011-09-27 문승경 자동판매기
KR101016052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배출장치
KR101016051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끓일 용기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3091B1 (ko) 식품 자동 조리장치
KR20040516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70039748A (ko) 라면 자동판매기
KR200282531Y1 (ko) 컵라면 자동판매기의 컵라면 이송트레이
KR100653237B1 (ko)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CN109544787B (zh) 面盒传输自动摆正方法
KR2006000183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44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102005480B1 (ko) 컵라면 자동판매기의 전자렌지 조리장치
KR200406804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60001840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6000186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40920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405163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409199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190016744A (ko) 라면과 피자 복합 자판 시스템
KR200406589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69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US6523715B1 (en) Hot food vending machines
KR20060001842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40659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인출 장치
KR102038288B1 (ko)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KR20060016831A (ko) 라면 자판기
KR20230001868A (ko) 라면 자동 판매기
CN209401116U (zh) 一种食物加热装置及自动售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