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8288B1 -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8288B1
KR102038288B1 KR1020190062994A KR20190062994A KR102038288B1 KR 102038288 B1 KR102038288 B1 KR 102038288B1 KR 1020190062994 A KR1020190062994 A KR 1020190062994A KR 20190062994 A KR20190062994 A KR 20190062994A KR 102038288 B1 KR102038288 B1 KR 102038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ting
sides
loading membe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재
Original Assignee
안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영재 filed Critical 안영재
Priority to KR102019006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82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8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8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6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 B65G59/061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 B65G59/062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escapement-like mechanisms
    • B65G59/063De-stacking from the bottom of the stack articles being separated substantially along the axis of the stack by means of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escapement-like mechanisms comprising lif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순차 적층되는 적재부재; 상기 적재부재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적재부재의 하부에 위치된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 위치와, 가열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한 반출 위치까지 승강되는 안착부재; 상기 적재부재의 대향된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기점으로 구현되는 시소 운동에 의해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면을 관통한 단부가 상기 용기의 입구에 걸리게 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용기 입구에서 걸림 해제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대향단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재의 승강에 의한 상기 지지부재의 접촉 위치에 따라 대칭 방향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부재에 적재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 중 최하측에 위치된 용기를 인출하기 위해 그 위에 위치된 나머지 용기의 이동을 간섭하는 지지부재가 안착부재의 승강에 의해 연동되는 연동부재에 의해 무동력 형태로 작동 가능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가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Vessel conveying device of food 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이 담긴 상태로 적재된 용기를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 등과 같은 음식물 자동판매기는 구매자가 동전, 지폐를 투입구에 투입하면 기기 내부에 진열되어 있는 제품이 인출되면서 구매자가 구매할 수 있는 장치로써 도로변, 공공시설 등 다양한 장소에서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자동판매기는 커피나 음료수를 비롯하여 여러 종류의 상품을 취급하도록 발전되어 왔다.
이러한, 라면 등과 같은 음식물을 판매하는 자동판매기와 관련된 기술이 한국공개특허 제018-0045960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용기를 하나씩 인출하기 위해 양쪽에서 간섭하도록 이동하는 지지판이 별도의 회전 구동부에 의해 구현 가능하므로 구동을 위한 구조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018-0045960호(2018.05.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최하측에 위치된 용기를 인출하기 위해 그 위에 위치된 용기의 이동 간섭을 구동장치 없이 구현 가능한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순차 적층되는 적재부재; 상기 적재부재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적재부재의 하부에 위치된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 위치와, 가열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한 반출 위치까지 승강되는 안착부재; 상기 적재부재의 대향된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기점으로 구현되는 시소 운동에 의해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면을 관통한 단부가 상기 용기의 입구에 걸리게 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용기 입구에서 걸림 해제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대향된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재의 승강에 의한 상기 지지부재의 접촉 위치에 따라 대칭 방향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의 테두리 하부를 간섭하도록 절곡된 절곡편; 상기 절곡편에서 직립하게 연장되는 제1 접촉벽; 및 상기 제1 접촉벽에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면 반대 방향으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접촉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벽이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면에 밀착되면 상기 절곡편 단부가 상기 장공을 통과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 접촉벽이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면에 밀착되면 상기 절곡편의 단부가 상기 장공을 통과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의 대향된 양측에 직립되는 직립부; 및 상기 직립부의 내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벽에 밀착시키는 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부재에 적재된 음식물이 담긴 용기 중 최하측에 위치된 용기를 인출하기 위해 그 위에 위치된 나머지 용기의 이동을 간섭하는 지지부재가 안착부재의 승강에 의해 연동되는 연동부재에 의해 무동력 형태로 작동 가능하므로 별도의 구동장치가 불필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가 적용된 컵라면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에서 지지부재의 절곡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가 적용된 컵라면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에서 지지부재의 절곡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는 적재부재(100), 지지부재(110), 안착부재(120), 연동부재(130), 승강 구동부(14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가 적용되는 음식물 자동판매기는 본체(10)와, 안착부재(1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안착부재(120) 상에 용기(V)가 위치되어 하강하면 용기(V)를 가열 열원 제공부(164)의 상면까지 밀게 되는 전후 구동부(150)와, 가열 열원 제공부(164) 상에 위치된 용기(V)를 배출 도어(D)의 외부까지 이동시키는 인출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이때, 배출 도어(D)는 본체(10)의 전면에 형성된 배출구에서 힌지에 의해 회전되면서 인출부(162)의 전진에 의해 배출구를 개방하고, 인출부(162)의 후진시 탄성부재에 의해 폐쇄하게 된다.
여기서, 전후 구동부(15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설치된 피니언과, 피니언과 치합되면서 수평 이동하는 래크, 및 래크의 저면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용기(V)를 안착부재(120)에서 가열 열원 제공부(164)로 이동시키는 밀대(152)로 구성된다.
인출 구동부(160)는 안착부재(120)에서 이동된 용기(V)가 가열 열원 제공부(164) 상에 위치되면 가열 열원 제공부(164)를 배출 도어(D)의 외부로 인출시키고, 용기(V)가 소비자를 통해 인출되면 원위치로 이동한다. 이를 위해 구동모터의 구동력이 스크루를 회전시키고, 스크루에 나선 체결된 너트부가 인출부(162)의 저면 후단에 고정되어 구동모터의 구동시 스크루가 회전되면서 스크루에 나선 체결된 너트부가 인출부(162)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게 된다. 이때, 인출부(162)의 선단에는 롤러가 설치되어 전진 과정에서 배출 도어(D)의 후면을 밀어 개방시키게 된다.
적재부재(100)는 직립된 상태로 구비되어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이 담긴 용기(V)가 다수 적재된다. 이때, 용기(V)는 뚜껑이 덮여 있어 뚜껑 표면에 다른 용기(V)의 바닥면이 안착된다.
지지부재(110)는 적재부재(100)의 대향된 양측면에 이격 설치된 브래킷(B)에 힌지축(118)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118)을 기점으로 구현되는 시소 운동에 의해 적재부재(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장공(102)을 관통한 단부가 용기(V)의 테두리에 걸리게 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용기(V)의 테두리에서 걸림 해제하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110)는 절곡편(112), 제1 접촉벽(114), 제2 접촉벽(116) 및 힌지축(118)을 포함한다.
절곡편(112)은 적재부재(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장공(102)을 관통하여 용기(V)의 테두리 하부를 간섭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제1 접촉벽(114)은 절곡편(112)에서 직각을 갖도록 직립하게 연장된다.
제2 접촉벽(116)은 제1 접촉벽(114)에 적재부재(100)의 양측면 반대 방향으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연장된다.
힌지축(118)은 제1 접촉벽(114)과 제2 접촉벽(116)이 만나는 경계 지점 양쪽과, 이와 인접한 브래킷(B)에 각각 설치되어 지지부재(110)의 회전 기점이 된다.
따라서, 지지부재(110)는 안착부재(120)가 최하측 용기(V)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승하게 되면 연동부재(130)의 롤러부(134)가 따라 연동되면서 롤러부(134)가 제1 접촉벽(114)에서 제2 접촉벽(116)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접촉벽(116)이 적재부재(100)의 양측면에 밀착되므로 절곡편(112)이 적재부재(100)의 장공(102)에서 이격된다.
이와 반대로, 안착부재(120)가 최하측 용기(V)를 이동시키기 위해 하강하게 되면 연동부재(130)의 롤러부(134)가 따라 연동되면서 롤러부(134)가 적재부재(100)의 양측면에 밀착되므로 절곡편(112)이 적재부재(100)의 장공(102)으로 이동하여 바로 위의 용기(V) 테두리를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롤러부(134)의 위치에 따라 연동부재(130)의 제1 접촉벽(114)이 적재부재(100)의 양측면에 밀착되면 절곡편(112) 단부가 장공(102)을 통과하도록 위치되고, 제2 접촉벽(116)이 적재부재(100)의 양측면에 밀착되면 절곡편(112)의 단부가 장공(102)을 통과하지 않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안착부재(120)는 판상으로 구비되어 적재부재(100)의 하측에 위치되어 적재부재(100)의 하부에 위치된 용기(V)가 안착되는 안착 위치와, 가열 열원 제공부(164) 측 가열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한 반출 위치까지 승강된다. 이때, 안착부재(120)는 감지수단에 의해 승강 높이를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안착부재(120)는 상면에 평면 형상이 "
Figure 112019055069223-pat00001
" 인 이탈방지가이드(도면에 미도시)가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이동시 용기(V)가 움직이지 않도록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이때, 안착부재(120)는 저면에 직립부(122)가 연결되고, 직립부(122)의 외벽면 하부에 설치된 너트부(124)가 후술할 승강 구동부(140)의 스크루(148)에 나선 체결되어 승강 구동부(140)의 스크루(148)에 의한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키면서 승강되게 한다.
연동부재(130)는 안착부재(120)의 대향단 양측에 구비되어 안착부재(120)의 승강에 의한 지지부재(110)의 접촉 위치에 따라 대칭 방향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연동시키며, 직립부(132) 및 롤러부(134)를 포함한다.
직립부(132)는 안착부재(120)의 대향단 양측에 각각 직립 설치된다.
롤러부(134)는 직립부(132)의 내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복수 설치되어 안착부재(120)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지지부재(110)의 상단에 위치된 제2 접촉벽(116) 또는 하단에 위치된 제1 접촉벽(114) 중 어느 하나의 벽을 적재부재(100)의 양측벽에 밀착시킨다.
이때, 롤러부(134)는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롤러부(134)는 제1 접촉벽(114)과 제2 접촉벽(116)의 높이 범위 내에서 이동한다.
승강 구동부(140)는 본체(10) 내부에 설치되어 안착부재(120)를 승강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며,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42)와, 구동모터(142)의 구동축 상에 고정되는 구동 스프로킷(144a), 스크루(148)의 하단에 고정되는 종동 스프로킷(144b)과, 구동 스프로킷(144a)의 구동력을 종동 스프로킷(144b)에 전달하도록 구동 스프로킷(144a)과 종동 스프로킷(144b)을 연결하는 체인(146) 및 직립된 상태에서 상하단이 본체(10) 내부에 지지되어 회전시 안착부재(120)의 직립부(122)에 연결된 너트부(124)에 나선 체결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너트부(124)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스크루(148)를 포함한다.
제어부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승강 구동부(140), 전후 구동부(150) 및 인출 구동부(160)의 작동 시간 등과, 가열 열원 제공부(164)의 온도 및 가열시간 등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지지부재(110)의 절곡편(112)에 용기(V)의 직경에 따라 사이즈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이격된 한 쌍의 간섭부(1113) 및 간격조절부재(1114)를 구비 가능하다.
간섭부(1113)는 절곡편(112)의 앞쪽에 형성된 설치홈(112a) 내에 위치되어 설치홈(112a)의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되, 전면에 용기(V)의 상단 좌우에 각각 밀착되도록 대칭된 원호면이 각각 형성되고, 저면에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나선홀이 형성된 나선 체결부(1113a)가 각각 구비되며, 후면에 반원 형상의 간섭홈(1113b)이 설정 간격마다 다수 형성된다.
간격조절부재(1114)는 한 쌍의 간섭부(1113) 간격을 조절하는 구성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간섭부(1113)의 사이에 위치되는 회전부(1114a)와, 회전부(1114a)의 양측에서 연장되면서 외주면에 나선 방향이 서로 반대인 나선축부(1114a)가 구비된다. 이때, 나선축부(1114a)는 각각이 체결된 나선 체결부(1113a)와 나선이 동일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절곡편(112)의 후면에는 탄성부(1116)에 의해 지지되는 가압구(1115)가 간섭부(1113)의 간섭홈(1113b)에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간섭부(1113)의 간격이 조절되면 그 위치에 해당되는 간섭홈(1113b)에 가압구(1115)가 결합되어 간섭부(1113)가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렇게, 용기(V)의 직경이 큰 경우 회전부(1114a)를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축부(1114a)가 회전되고, 나선축부(1114a)와 체결된 나선 체결부(1113a)에 의해 일률적으로 간섭부(1113)의 간격이 벌어지고, 용기(V)의 직경이 작은 경우 회전부(1114a)를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축부(1114a)가 회전되고, 나선축부(1114a)와 체결된 나선 체결부(1113a)에 의해 일률적으로 간섭부(1113)의 간격이 좁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의 작동 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구매자가 음식물을 선택하여 해당 음식물이 담긴 용기(V)가 해당 적재부재(100)에서 인출된다. 이때, 안착부재(120)는 하강한 상태로 위치되어 연동부재(130)의 롤러부(134)가 지지부재(110)의 제1 접촉벽(114)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절곡편(112)이 장공(102)을 통해 적재부재(100)에 적재된 용기(V)의 테두리를 받치고 있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승강 구동부(140)가 구동되고, 스크루(148)가 최종적으로 회전되면서 이와 나선 체결된 너트부(124)가 상승하고, 너트부(124)가 고정된 직립부(122)가 연동되면서 안착부재(120)가 상승한다.
다음으로, 안착부재(120)가 상승하면서 지지부재(110)의 제1 접촉벽(114)에 밀착하고 있던 연동부재(130)의 롤러부(134)가 제2 접촉벽(116)에 밀착된다.
이때, 제1 접촉벽(114)과 제2 접촉벽(116)이 만나는 경계 지점에 설치된 힌지축(118)은 롤러부(134)가 제1 접촉벽(114)에서 제2 접촉벽(116)으로 이동하는 시점에 회전되면서 연동부재(130)를 시소 운동하게 한다.
따라서, 연동부재(130)의 제2 접촉벽(116)이 적재부재(100)의 양측면에 밀착되므로 절곡편(112)이 적재부재(100)의 장공(102)에서 이격되고, 안착부재(120) 상에 용기(V)가 안착된다.
다음으로, 표면에 용기(V)가 안착된 안착부재(120)가 승강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면서 연동부재(130)의 롤러부(134)가 제2 접촉벽(116)에서 제1 접촉벽(114)으로 이동하여 연동부재(130)가 시소 운동하고, 제1 접촉벽(114)이 적재부재(100)의 양쪽 외벽면에 밀착되면서 적재부재(100)의 양측면에 형성된 장공(102)을 관통한 절곡편(112)이 용기(V)의 테두리에 걸리게 하여 용기(V)의 하강을 중지시킨다.
다음으로, 안착부재(120)에 안착된 용기(V)는 전후 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 밀대(152)가 가열 열원 제공부(164)로 밀어 가열 열원 제공부(164) 상에 위치시킨 후 인출 구동부(160)의 구동에 의해 인출부(162)가 인출되면서 배출 도어(D) 외부까지 인출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적재부재 102: 장공
110: 지지부재 112: 절곡편
114: 제1 접촉벽 116: 제2 접촉벽
118: 힌지축 120: 안착부재
130: 연동부재 132: 직립부
134: 롤러부 140: 승강 구동부
142: 구동모터 144a: 구동 스프로킷
144b: 종동 스프로킷 146: 체인
148: 스크루 V: 용기

Claims (4)

  1.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순차 적층되는 적재부재;
    상기 적재부재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적재부재의 하부에 위치된 용기가 안착되는 안착 위치와, 가열 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한 반출 위치까지 승강되는 안착부재;
    상기 적재부재의 대향된 양측면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기점으로 구현되는 시소 운동에 의해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면을 관통한 단부가 상기 용기의 입구에 걸리게 하거나, 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용기 입구에서 걸림 해제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안착부재의 대향단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부재의 승강에 의한 상기 지지부재의 접촉 위치에 따라 대칭 방향으로 시소 운동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면에 형성된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의 테두리 하부를 간섭하도록 절곡된 절곡편; 상기 절곡편에서 직립하게 연장되는 제1 접촉벽; 및 상기 제1 접촉벽에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면 반대 방향으로 설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2 접촉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벽이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면에 밀착되면 상기 절곡편 단부가 상기 장공을 통과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 접촉벽이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면에 밀착되면 상기 절곡편의 단부가 상기 장공을 통과하지 않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재는,
    상기 안착부재의 대향단 양측에 직립되는 직립부; 및
    상기 직립부의 내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재가 승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하나의 단부를 상기 적재부재의 양측벽에 밀착시키는 롤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길이 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KR1020190062994A 2019-05-29 2019-05-29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KR102038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994A KR102038288B1 (ko) 2019-05-29 2019-05-29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994A KR102038288B1 (ko) 2019-05-29 2019-05-29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8288B1 true KR102038288B1 (ko) 2019-10-30

Family

ID=68463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994A KR102038288B1 (ko) 2019-05-29 2019-05-29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82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088A (ko)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라온마루 로봇 조리 시스템용 조리용기 자동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912A (ko) * 2002-10-16 2004-04-28 윤택진 계란판 공급장치
KR20060001868A (ko) * 2005-11-29 2006-01-06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180045960A (ko) 2016-10-26 2018-05-08 이용태 라면 자판기의 용기 적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912A (ko) * 2002-10-16 2004-04-28 윤택진 계란판 공급장치
KR20060001868A (ko) * 2005-11-29 2006-01-06 주식회사 오투브레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180045960A (ko) 2016-10-26 2018-05-08 이용태 라면 자판기의 용기 적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7088A (ko) 2021-05-20 2022-11-29 주식회사 라온마루 로봇 조리 시스템용 조리용기 자동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4094A (en) Intermittent automatic grill for hamburger patties
US4838455A (en) Vending machine for heated food, notably cooked french fries
US4762250A (en) Vending machine
US4783582A (e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for use in automatic vending machine
KR102005480B1 (ko) 컵라면 자동판매기의 전자렌지 조리장치
KR100653237B1 (ko)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KR102038288B1 (ko)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JP4228215B2 (ja) 自動グリル
EP2041732A2 (en) Flexible vending machine
US4440071A (en) Conveyor system for skewered foods
KR102049058B1 (ko)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KR102122842B1 (ko) 라면 자판기의 용기 적재 장치
CN110288775B (zh) 智能售卖装置
US3455232A (en) Immersion cooking apparatus
KR20040516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3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100189576B1 (ko) 전자레인지 내장의 자동판매기
KR101341528B1 (ko) 식품 자판기
KR20210041740A (ko) 자동 라면 조리기
US6789464B2 (en) Device for loading slices of bread in a toaster
KR20060001840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90073320A (ko) 인스턴트피자 자동판매기
JP5225426B2 (ja) 加熱調理型自動販売機の加熱調理装置
KR20230001868A (ko) 라면 자동 판매기
JP2012230552A (ja) 加熱調理型自動販売機のカップ分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