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1839A -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1839A
KR20060001839A KR1020050099814A KR20050099814A KR20060001839A KR 20060001839 A KR20060001839 A KR 20060001839A KR 1020050099814 A KR1020050099814 A KR 1020050099814A KR 20050099814 A KR20050099814 A KR 20050099814A KR 20060001839 A KR20060001839 A KR 200600018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upport
vending machine
cook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9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곤
Original Assignee
박중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중곤 filed Critical 박중곤
Priority to KR1020050099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01839A/ko
Publication of KR2006000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18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용기 지지 장치의 제작 및 조립이 간단하여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가 보다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용기가 적층되어 수용된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를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도록 용기 공급부의 하부에 위치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이고,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지지 장치는 용기 공급부의 하부 양측부에 힌지 핀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체로 만들어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하부에 용기의 상부에 제공되는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 공급부 내로 돌출되는 지지편이 제공되고, 지지중인 용기가 상기 용기 운반 기구의 작동에 의해 아래로부터 상승하는 용기 인출 기구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용기 인출 기구로 용기를 낙하시킨다.
라면, 자동판매기, 용기 지지 장치, 용기 지지부, 코일 스프링,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

Description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Apparatus for holding noodle containers in vending machine for cooking noo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 지지 장치가 설치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용기 공급부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가 용기 공급부 아래에 위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승강 기구가 상승하여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가 인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의 용기 인출부로 용기가 인출되어 수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도어
3 : 용기 공급부 4 :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
5 : 용기 지지부 6 : 코일 스프링
7 : 베이스 8 : 용기 인출부
9 : 승강 기구 10 : 용기 적재부
11 : 코인 투입부 12 : 젓가락 수납부
13 : 배출 도어 14 : 경사 가이드
15 : 제어부 16 : 용기 수용공
17 : 지지편 작동부 18 : 용기 감지 센서
19 : 표시부 20 : 브라켓
21a,21b : 안내공 22 : 핀
본 발명은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면을 조리하여 판매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에 있어서 면과 양념이 수용된 용기를 보다 간단한 구조로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면은 간식 또는 부식으로서 실생활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컵라면과 같이 일회용 용기에 끓는 물을 투입하여 조리하는 용기 라면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용기라면은 가공과정에서 미리 끓는 물만 넣으면 먹을 수 있도록 되어, 먹기가 간편한 이점이 있는 반면에, 라면의 구성 자체가 뜨거운 물에 불려 먹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라면 고유의 맛을 낼 수가 없어, 애호가들은 조금 불편하더라도 끓여먹는 라면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봉지라면은 풍미가 독특하지만, 용기 라면에 비해 조리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조리 시간이 더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최근에는 봉지라면을 사각 알루미늄 용기에 적재하여, 하부에서부터 하나씩 분리시켜 판매할 수 있는 끓인 라면 자판기가 등장하고 있다.
실용신안 등록 제20-0394027호에는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이 고안은 용기 공급부에 저장된 면 용기를 순차적으로 지지하는 수평, 공급 및 안내 지지편들이 구동 모터에 설치된 편심 캠에 의해 위치를 변경하여 면 용기를 낙하시키는 한편, 낙하 대기 위치에서 지지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상기된 바와 같은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는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에 설치된 편심 캠을 이용하는 방식을 취하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 및 조립에 많은 노동력 및 시간이 요구되어,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용기 지지 장치의 제작 및 조립이 간단하여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가 보다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다수의 용기가 적층되어 수용된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를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도록 용기 공급부의 하부에 위치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공급부의 하부 양측부에 힌지 핀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체로 만들어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하부에 용기의 상부에 제공되는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 공급부 내로 돌출되는 지지편이 제공되고, 지지중인 용기가 상기 용기 운반 기구의 작동에 의해 아래로부터 상승하는 용기 인출 기구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용기 인출 기구로 용기를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에서, 상기 용기 공급부는 하부에 용기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는 본체(1)와, 본체(1)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2)를 포함한다. 본체(1)의 내부에는 각각 적어도 20개의 면 수용 용기(100, 이하 용기라 한다)들이 적층되는 한 쌍의 용기 공급부(3)가 각각의 배출 도어(13)의 위치와 일치하는 본체(1) 내부의 위치에서 수직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각각의 용기 공급부(3)의 하부에는 용기 인출부(8)와 각각의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가 제공된다.
각각의 용기 인출부(8)는 각각의 용기 공급부(3)로부터 용기(100)를 인출하고, 각각의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는 용기 인출부(8)로부터 적재된 용기(100)에 담겨진 면을 조리하기 위한 조리 위치 및 조리된 면을 본체(1) 밖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위치로 운반하는 기능을 한다. 용기 공급부(3)에 적층되는 용기(100)는 라면 또는 인스턴트 자장면과 같은 면이 양념과 함께 수용된다.
도어(2)는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부(11), 조리된 면을 먹는데 사용되는 젓가락을 수납하기 위한 젓가락 수납부(12), 조리된 면이 배출되는 한 쌍의 용기 배출 도어(13), 및 본체(1) 내부에 제공되는 각 구성 요소들의 구동 및 동작의 전체적인 제어를 수용하는 제어부(15)가 설치된다. 면이 조리된 용기(100)가 배출되는 용기 배출 도어(13)들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용기 공급부(3)의 아래의 도어(2)에 위치되어, 배출 위치로 인동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에 의해 개방되는 도어 형태를 취한다. 용기 배출 도어(13)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가 용기 배출 도어(13)의 내측에 제공되는 경사 가이드(14)를 밀 때 하부 힌지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개방되고,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가 후퇴될 때 힌지에 설치된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폐쇄된다.
한편, 용기 공급부(3)에 채워지는 용기(100)는 플랜지(100a)를 가지는 알루미늄 용기로 만들어지며, 각각의 용기 공급부(3)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100)를 지지하기 위한 2개 1조로 만들어지는 용기 지지부(5)가 브라켓(10)을 통해 측면 하부에 설치된다. 각각의 용기 지지부(5)는 도 4 내지 도 6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10)에 힌지 핀(5b)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체로 만들어지며, 그 하부에 용기(100)의 상부에 제공되는 플랜지(100a)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편(5a)이 제공된다. 용기 지지부(5)는 지지편(5a)이 용기 공급부(3)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힌지 핀(5b)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력에 의해 용기 공급부(3)를 향하여 가압된다.
이와 같이, 용기 공급부(3)의 최하부에 위치된 용기(100)의 플랜지(100a)가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력에 의하여 용기 공급부(3)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지편(5a)에 의해 지지되고, 그 위에 적층된 용기(100)들은 서로 지지하는 형태로 용기 공급부(3)에 적층된다. 용기 지지부(5)의 지지편(5a)은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내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용기 공급부(3)는 용기 공급부(3)에서의 용기(100)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8, 도 2 참조)가 하부에 제공된다. 용기 공급부(3)의 하부에서의 용기(100)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18)는 필요에 따라서 포토 센서 또는 접촉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18)에 의해 용기 공급부(3)의 하부에서 용기(100)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용기 공급부(3)에 용기(100)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용기 공급부(3)에 용기(100)를 채우도록 도어(2)의 전면에 제공되는 표시부(19)에 용기(100)의 유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용기 공급부(3)에 용기(100)가 없을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는 작동이 정지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공급부(3)의 하부에 제공되는 용기 인출부(8)는 용기 공급부(3)로부터 용기(100)를 하나씩 인출하도록 베이스(7)에 고정된 승강 기구(9)에 의해 승강되고, 베이스(7)는 용기 공급부(3)의 하부의 위치에서 본체(1)의 하부에 고정된다. 용기 공급부(3)로부터 인출된 용기(100)를 조리 및 배출 위치로 운반하기 위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는 베이스(7)에 설치되어 제어부(15)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조리 및 배출 위치로 이동한다.
베이스(7)는 용기(100) 본체(1)의 하부에 고정되고, 본체(1)의 바닥으로 상방으로 나라하게 연장하는 한 쌍의 측판(7a)들을 구비한다. 베이스(7)의 후방 부분의 측판(7a)들 사이에는 용기(100)에 수용된 면을 조리하기 위한 전열판(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된다. 용기 인출부(8)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부분이 개방된 용기 수용공(16)을 가지며, 용기 수용공(16)의 측방에는 라운딩 또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용기 인출부(8)가 상승되었을 때 용기 지지부(5)를 작동시키기 위한 지지편 작동부(17)가 제공된다.
용기(100)를 용기 공급부(3)로부터 인출하기 위하여,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가 용기 인출부(8)를 향해 이동하는 것에 의해, 승강 기구(9)가 작동하고, 용기 인출부(8)는 승강 기구(9)의 작동으로 용기 공급부(3)를 향해 상승한다.
리프트 형식의 승강 기구(9)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서 서로 교차하는 2개의 아암(9a,9b)을 가지며, 각 아암(9a,9b)들의 하단부는 베이스(7)의 측판(7a)의 외측에 설치되는 브라켓(7b)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다. 아암(9a,9b)들의 상단부는 용기 인출부(8)의 측부에 제공되는 브라켓(14)에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다. 아암(9a)의 상단부 및 아암(9b)의 하단부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라켓(7b,20)에는 각각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공(21a,21b)들이 형성된다.
한편, 승강 기구(9)의 하나의 아암(9b)의 하측 단부를 브라켓(7b)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22)은 측판(7a) 내측으로 연장하여, 핀(22)의 내측 단부 부분이 구동 모터(16)의 구동에 의해 배출 위치로 이동하는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에 걸리어, 아암(9b)의 하측 부분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와 함께 배출 위치로 이동된다. 승강 기구(9)의 아암(9a,9b)들의 한 쪽 단부들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의 이동에 따라서 브라켓(7b,21)에 각각 형성된 안내공(21a,21b)들을 따라서 전방으로 이동한다. 아암(9a,9b)들의 후방 단부들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아암(9a,9b)들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좁혀져 승강 기구(9)가 상승한다. 이러한 승강 기구(9)의 상승에 의하여, 승강기구(9)의 상단에 연결된 용기 인출부(8)가 용기 공급부(3)의 하부 부분을 향하여 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상태로 상승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용기 인출부(8)가 용기 공급부(3)의 하부 부분을 향하여 상승할 때, 용기 인출부(8)의 측면에 제공되는 라운딩 또는 경사 형상의 지지편 작동부(17)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편(5a)들 사이로 진입하여, 지지편(5a)들을 외측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최하부의 용기(100)가 용기 인출부(8)의 용기 수용공(16)에 위치되고 최하부의 용기(100)의 플랜지(100a)는 용기 수용공(16)의 외측에 위치된 지지판(16a) 위에 위치된다. 최하부의 용기(100)가 용기 인출부(8)의 용기 수용공(16)에 위치될 때, 최하부의 용기(100)의 바로 위에 위치된 용기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수용공(16)에 안치된 용기(100) 내에 수용된 면에 지지된다. 이 때, 바로 위의 용기(100)의 플랜지(100a)는 용기 지지부(5)의 지지편(5a)보다 위쪽에 위치된다.
승강 기구(9)의 계속적인 상승에 의해, 용기 인출부(8)가 지지편(5a)들 사이에서 계속적으로 상승되면, 용기 지지부(5)의 지지편(5a)들은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력을 거슬러 완전히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용기 지지부(5)의 지지편(5a)들에 의해 지지된 최하부의 용기(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인출부(8)의 용기 수용공(16)으로 낙하한다. 용기 인출부(8)로 낙하된 용기(100)는 플랜지(100a)가 용기 수용공(16)의 외측에 제공되는 지지판(16a)에 지지됨으로써 용기(100)의 용기 부분이 용기 수용공(16)에 안치된다.
즉,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력을 거슬러 측방으로 벌려지고, 용기 지지부(5)가 벌어지는 것에 의하여, 용기 공급부(3)의 최하부에 위치된 용기(100)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로 낙하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에 의해 최하부에 위치된 용기(100)가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로 낙하되는 것과 동시에, 바로 위에 위치된 용기(100)가 아래로 내려오고,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로 낙하한 용기(100)상에 위치된다.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로 낙하한 용기(100)가 조리 위치로 이동하기 위하여 하강할 때, 용기 지지부(5)가 코일 스프링(6)의 스프링력에 의해 지지 위치로 복귀되고, 용기(100)가 용기 지지부(5)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용기(100)가 용기 공급부(3)로부터 용기 인출부(8)로 인출 되었을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는 구동 모터의 역회전에 의하여 용기 배출 위치로부터 조리 위치로 이동한다. 이 때, 승강 기구(9) 또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에 연결된 핀(22)의 움직임 또는 승강 기구(9)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한다. 승강 기구(9)의 하강이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아암(9a,9b)들의 상단 및 하단 사이에 인장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기구(9)의 승강 운동에 의해 승강되는 용기 인출부(8) 또한 하강한다. 용기 인출부(8)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하강하였을 때,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은 용기 인출부(8)의 용기 수용공(16)의 하부에 위치되고, 용기 수용공(16)에 안치된 용기(100)의 하부 용기 부분이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의 위치에 위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용기 운반 및 배출 기구(4)는 조리 위치 및 배출 위치로 인동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것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에 의하면,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가지는 것에 의하여 용기 지지 장치의 제작 및 조립이 간단하여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가 보다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Claims (2)

  1. 다수의 용기가 적층되어 수용된 용기 공급부로부터 용기를 순차적으로 배출시키도록 용기 공급부의 하부에 위치된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공급부의 하부 양측부에 힌지 핀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판체로 만들어지며, 상기 코일 스프링에 의해 하부에 용기의 상부에 제공되는 플랜지를 지지하도록 상기 용기 공급부 내로 돌출되는 지지편이 제공되고, 지지중인 용기가 상기 용기 운반 기구의 작동에 의해 아래로부터 상승하는 용기 인출 기구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용기 인출 기구로 용기를 낙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공급부는 하부에 용기의 유무를 감지하기 위한 용기 유무 감지 센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KR1020050099814A 2005-10-21 2005-10-2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KR200600018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14A KR20060001839A (ko) 2005-10-21 2005-10-2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9814A KR20060001839A (ko) 2005-10-21 2005-10-2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020U Division KR200405161Y1 (ko) 2005-10-21 2005-10-2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1839A true KR20060001839A (ko) 2006-01-06

Family

ID=3710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9814A KR20060001839A (ko) 2005-10-21 2005-10-21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183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81426B (zh) 煲仔饭自动贩卖机及其工作方法
ES2376904T3 (es) Sistema para el calentamiento y extracción de productos alimenticios en máquinas automáticas expendedoras
KR20040516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101103291B1 (ko) 식품 자판기
KR100653237B1 (ko) 자판식 즉석피자 자동제조 장치
KR20070039748A (ko) 라면 자동판매기
TWI712368B (zh) 自動煮麵設備
KR2006000183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CN111557598A (zh) 一种自动化餐饮设备
CN109544787B (zh) 面盒传输自动摆正方法
KR20060001840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102122842B1 (ko) 라면 자판기의 용기 적재 장치
KR200405161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KR200405163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415517Y1 (ko)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KR20060001839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 장치
KR20040659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인출 장치
ES2237432T3 (es) Maquinas de venta de comida caliente.
KR101051976B1 (ko) 라면조리 판매기의 용기 이송장치
KR20060001844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40920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6000186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406804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409199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69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