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6299B1 -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 Google Patents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6299B1
KR102206299B1 KR1020200063554A KR20200063554A KR102206299B1 KR 102206299 B1 KR102206299 B1 KR 102206299B1 KR 1020200063554 A KR1020200063554 A KR 1020200063554A KR 20200063554 A KR20200063554 A KR 20200063554A KR 102206299 B1 KR102206299 B1 KR 102206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men
guide
container
discharge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세열
신승훈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최세열
신승훈
이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세열, 신승훈, 이영진 filed Critical 최세열
Priority to KR1020200063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6299B1/ko
Priority to PCT/KR2020/011928 priority patent/WO2021241808A1/ko
Priority to CN202080101309.3A priority patent/CN115697141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47J27/0815Locking devices where vessel and lid have adapted shapes to provide for the lock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8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water-bath, e.g. pasta-cookers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식 조리용기에서 조리된 라면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조리용기와 압축챔버가 서로 결합하여 조리용기 내의 라면을 압축식으로 조리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조리된 라면을 배출하는 압축식 라면조리기의 라면배출부에 있어서, 상기 라면배출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외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판이 부착되는 측면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지는 배출프레임;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용기배출부;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프레임이 전후로 이동되면서 배출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배출가이드;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가이드가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The ramen discharging part of the compressed type ramen cooker}
본 발명은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식 조리용기에서 조리된 라면을 자동으로 배출하는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주 5일제 근무환경으로 바뀌면서 사람들의 여가활동이 차츰 늘어나고 있다. 여가활동이 차츰 늘어남에 따라 각 지자체별로 야외의 공원이나 놀이터 또는 고수부지 등에서 다양한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있고, 그에 따라 사람들은 가족단위 또는 동호회 단위 등으로 야외활동을 차츰 늘려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다양한 야외활동에 수반되는 것이 도시락인데, 도시락을 준비하는 불편함이 있어 보통 간단한 간식이나 식사 대용으로 편의점 등에서 급속으로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라면을 선호한다.
라면을 먹는 경우, 편의점 등에서 컵라면을 구입한 후 고온으로 가열된 물을 컵라면 용기에 넣고 일정시간 경과 후 라면을 먹게 되는데, 컵라면은 폴리머 재질의 용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람의 신체에 별로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컵라면을 대신할 수 있는 즉석 라면 조리기가 출시되었는데, 즉석 라면 조리기는 알루미늄 호일 케이스에 라면과 물을 넣고 가열하여 끓여 먹는 방식이다.그러나 종래의 즉석 라면 조리기는 가열기구를 코일 형상의 히터를 이용하고 있다. 상기 히터를 이용하는 경우 문제점은, 히터를 작동시키는 기판이 가열장치에 근접하게 설치되어 있어서 조리도중 물이 넘치는 경우에는 물이 가열기 본체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문제가 있었고, 그에 따라 가열된 코일에 물이 들어감으로 인해서 가열판의 배선이나 기판이 단선되거나 쇼트로 인하여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라면조리기에는 물 저장통과 전기 부품이 완벽하게 격리되어 있지 않으며, 물 저장통에서는 항상 수증기가 발생하고 있음으로 이 수증기가 라면 조리기의 내부로 펴지게 되며, 모든 전기 부품이 부식이 되거나 누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라면조리기는 코일을 이용하고 일반 대기압하에서 물을 끓여서 라면을 조리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압축식 라면조리기가 출시되었으나, 압축식 라면조리기의 문제는 압축을 위해서는 별도의 압축용기가 필요한데, 압축 용기의 취급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는 라면용기에 열을 가하여 라면을 조리하고, 조리된 라면용기를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가져가야 하기때문에,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943094호(2019.01.22. 등록) (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985000호(2019.05.27. 등록) (문헌 3) 등록특허공보 제10-1979943호(2019.05.13. 등록) (문헌 4) 등록특허공보 제10-1984999호(2019.05.27.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압축식 라면 조리기를 통해서 조리된 라면을 별도의 라면용기에 투입함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게 라면용기를 취급할 수 있는 압축식 라면조리기의 라면배출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조리용기와 압축챔버가 서로 결합하여 조리용기 내의 라면을 압축식으로 조리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조리된 라면을 배출하는 압축식 라면조리기의 라면배출부에 있어서, 상기 라면배출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외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판이 부착되는 측면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지는 배출프레임;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용기배출부;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프레임이 전후로 이동되면서 배출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배출가이드;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가이드가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기배출부는, 라면용기받침판; 상기 라면용기받침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라면용기홀더; 상기 라면용기받침판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라면용기받침판의 전후이동을 위한 한 쌍의 가이드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를 상기 라면용기받침판의 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바 고정부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받으며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기어축; 상기 기어축의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바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상기 가이드바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기어; 및 상기 조리용기의 세척수를 버릴 때 발생하는 물방울이 용기배출부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방울 진입 방지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홈에는,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에 장착된 회전링크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회전링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상기 라면배출부가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회전가이드의 단부에는,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가이드홈의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링크가이드돌기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는, 라면이 조리된 후 라면용기에 라면이 투입되어 자동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라면조리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는, 조리용기가 회전함에 따라 라면배출부가 함께 이동하면서 라면이 투입되기 때문에 조리용기에서 조리된 라면이 라면배출부로 투입되어 조리된 라면 전체가 라면용기로 투입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에서 일측의 측면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를 타측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에서 조리용기부 및 인덕션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인덕션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압축챔버부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압축챔버부의 압축챔버의 사시도.
도 9는 도 7의 압축챔버부의 압축챔버의 절단면도.
도 10a ~ 도 10d는 조리용기부에서 라면조리 후 라면을 라면배출부를 통해서 배출하는 작동원리를 설명한 구조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에서 일측의 측면판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를 타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에서 조리용기부 및 인덕션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인덕션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압축챔버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압축챔버부의 압축챔버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압축챔버부의 압축챔버의 절단면도이고, 도 10a ~ 도 10d는 조리용기부에서 라면조리 후 라면을 라면배출부를 통해서 배출하는 작동원리를 설명한 구조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는 메인프레임(1)과,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조리용기부(2)와, 조리용기부(2)와 결합하여 조리용기(21)의 압축을 위한 압축챔버부(3)와, 조리용기부(2)의 하부에서 열원을 가해주는 인덕션히터부(4)와, 조리용기부(2)에서 조리된 라면이 배출되는 라면배출부(5)와 라면조리 후 조리용기의 내용물을 세척하고 세척된 물을 버리기 위한 드레인(6)으로 구성된다. 본 압축식 조리기로 조리된 라면은 1회용 라면용기(7)로 투입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은, 양측으로 형성되는 측면판(11)과, 측면판(11)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판(12)과, 측면판(11)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메인바(13)와, 측면판(11)의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메인바(12)로 구성된다. 상부메인바(12)와 측면판(11)의 상부에 지지프레임(34)이 고정장착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부(2)는, 조리용기(21)와, 조리용기(2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용기 고정구(22)와 용기 고정구(22)의 양측에 연결되는 회전축(23)과, 회전축(23)의 일측에는 회전축(23)을 구동하기 위한 모터부(25)가 연결되고, 회전축(23)의 타측에는 회전축(23)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부(26)가 형성되고, 회전축(23)에는 라면배출부(5)의 전후 구동을 위한 회전링크(24)로 이루어진다. 모터부(25)는 일측 측면판(11)의 외측에 고정 장착되는데, 모터부(25)는, 구동모터(251)와, 구동모터축(252)과, 구동모터축(252)의 상부에 형성되는 축(253)과, 축(253)에 맞물리는 워엄기어(254)와, 축(253)과 워엄기어(254)를 커버하는 기어홈(255)으로 이루어진다. 워엄기어(254)에는 회전축(23)이 장착되어 워엄기어(254)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3)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23)은 용기고정구(22)와 연결되며, 용기고정구(22)에 장착된 조리용기(21)되고, 구동모터(251)의 회전에 의해 조리용기(21)가 회전된다. 조리용기(21)의 회전에 의해 조리가 된 라면이 라면용기(7)로 투입될 수 있고, 조리용기(21)를 세척한 세척수가 드레인(6)으로 배출될 수 있다. 타측 측면판(11)의 외측에는 센서부(26)가 마련된다. 센서부(26)는, 우선 회전축(23)의 단부에 장착되어 타측 측면판(11)의 외측에서 회전하는 기어(232)와 연결되는 센싱기어(261)와, 센싱기어(261)에 고정되어 센싱기어(261)와 함께 회전하는 센싱바(262)와, 센싱바(262)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263)가 장착되는 원주형바(264)와, 원주형바(264)의 일정위치에 장착되어 센싱바(262)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26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동모터(251)의 회전에 따라 조리용기(21)는 라면용기(7)측으로 회전하면서 조리된 라면을 투여하고, 반대측으로 회전하면서 조리용기(21)를 세척한 후 세척수를 드레인(6)에 버릴 수 있도록 한다. 회전축(23)의 양측에는 베어링부(231)가 장착되고, 베어링부(231)는 측면판(12)에 고정된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챔버부(3)는, 챔버용기부(31)와, 챔버용기부(31)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구동부(32)와, 챔버용기부(31)가 조리용기(21)과 밀폐되어 압축될 수 있도록 용기 고정구에 결합되는 체결후크(33)와, 상하 구동부(32)가 장착되는 지지프레임(34)과, 챔버용기부(31)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밸브부(35)와, 챔버용기부(31)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기 위한 챔버용기 가이드봉(36)과, 챔버용기 가이드봉(36)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가이드하는 챔버용기 가이드(37)와, 조리용기(21) 내의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압축공기배출부(38)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챔버용기부(31)는, 뚜껑(311)과, 뚜껑(311)이 고정되고 저면은 조리용기(21)와 결합하여 조리용기(21)를 밀폐시키는 용기몸체(312)로 이루어진다. 상하구동부(32)는 챔버용기부(31)의 상부 양측에 연결되어 챔버용기부(31)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체결후크(33)는 챔버용기부(31)의 하부 양측에 장착되어 인덕션히터부(4)의 회전에 따라 조리용기(21)의 용기 고정구(22)에 결합된다. 지지프레임(34)은, 상부메인바(12)에 장착되는 하부 지지판(341)과, 하부 지지판(341)의 모서리에 장착되는 지지바(343)와, 지지바(343)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부 지지판(342)으로 구성된다. 챔버용기 가이드(37)는 하부 지지판(341)에 고정되고, 상하구동부(32)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는 챔버용기 가이드봉(36)이 하부 지지판(341)에 고정장착된 챔버용기 가이드(37)에 의해 위치가 고정된 채,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압축챔버부(3)에 대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챔버용기부(31)는 상하구동부(32)와 연결되는데, 상하구동부(32)는, 구동모터(321)와, 구동모터(321)에 연결되어 회전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전축(324)과, 회전축(324)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축(324)에 형성된 나사산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일측 나사산 가이드(325a)와 타측 나사산 가이드(325b)와, 일측 나사산 가이드(325a)와 타측 나사산 가이드(325b)에 각각 연결되는 일측링크(326a)와 타측링크(326b)와, 일측링크(326a)와 타측링크(326b)가 서로 연결되는 중앙링크(327a)와, 중앙링크(327a)가 고정되는 중앙링크 고정판(328)과, 구동모터(321)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벨트풀리(322)로 구성된다. 링크는 상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하로 형성되는 경우, 하부측 일측링크(326a)와 타측링크(326b) 및 중앙링크(327a)와, 상부측 일측링크(326a)와 타측링크(326b) 및 중앙링크(327b)로 구성된다. 상부측 중앙링크(327b)에는 상부지지판(342)에 고정된다. 그에 따라 회전축(324)이 회전함에 따라 챔버용기부(31)은 하부로 내려가게 된다. 구동모터(321)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벨트풀리(322)도 한 쌍으로 형성된다. 구동모터(321)는 일측이 구동될 때 타측은 작동하지 않고, 타측이 구동될 때는 일측은 작동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일측 벨트풀리(322)는 타측 벨트풀리로 벨트(323)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회전력을 전달받은 회전축(324)의 회전에 의해 일측 나사산 가이드와 타측 나사산 가이드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챔버용기부(31)는, 뚜껑(311)과, 뚜껑(311)이 결합하는 용기몸체(312)와, 용기몸체(312)의 하부 일측에 형성되는 압축공기배출홀(313)과, 용기몸체(312)의 하부측에서 조리용기(21)와 결합할 때 용기의 기밀성을 위한 패킹링(314)과, 조리용기(21)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용기몸체(312)의 중앙에 형성된 물배출홀(312-6)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바형태의 배출밸브(315)와, 배출밸브(315)를 상하로 구동하면서 물을 공급하거나 차단하기 위해 뚜껑(311)에 장착되는 밸브구동부(316)와, 뚜껑(311)을 통해 용기몸체(312) 내측으로 연결되어 용기몸체(312)의 물을 가열하기 위한 열선히터(317)와, 용기몸체(312) 내부의 물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318)와, 용기몸체(312) 내의 물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한 플로팅 센서(319)로 이루어진다. 또한, 뚜껑(311)을 통해 물을 용기몸체(312)로 공급하기 위한 공급밸브부(35)가 뚜껑에 연결된다. 또한, 조리용기(21) 내의 압축공기를 배출하기 위해 압축공기배출홀(313)과 연결되는 압축공기배출부(38)가 더 마련된다.
용기몸체(312)는, 뚜껑(311)과 연결되는 상부 플랜지(312-3)와, 용기몸체(312)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어 가이드봉(36)이 연결되는 가이드봉 지지판(312-1)과, 조리용기(21)를 밀폐하기 위한 하부 플랜지(312-2)와, 압축공기배출부(38)가 연결되는 압축공기배출부 연결구(312-4)와, 체결후크(33)가 연결되는 체결후크 장착구(312-5)로 이루어진다. 내부에는 열선히터(317)가 장착되어 용기몸체(312) 내의 물을 가열한다.
체결후크(33)는, 용기몸체(312)의 하부측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후크 장착구(312-5)에 장착되는데, 일측 체결후크(331)과 타측 체결후크(332)가 각 체결후크 장착구(312-5)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고정된다. 일측 체결후크(331)에는 회전가이드(44)의 원호형 가이드홈(441)을 따라서 움직이면서 용기 고정구(22)에 장착되도록 가이드돌기(333)가 더 형성된다. 타측 체결후크(332)에는 일측 체결후크와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일측 체결후크(331)과 타측 체결후크(332)는 상부에서 서로 조인되는데, 서로 반대로 움직일 수 있도록 관절돌기(334)과 관절돌기홈(335)이 형성된다. 일측 체결후크(331)에는 관절돌기홈(335)가 형성되고, 타측 체결후크(332)에는 관절돌기(334)가 형성된다. 관절돌기(334)와 관절돌기홈(335)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체결후크(331)의 가이드돌기(333)가 회전가이드(44)의 원호형 가이드홈(441)을 따라서 움직이게 되는데, 회전축(43)에 장착된 회전가이드(44)가 회전하게 되면서 가이드돌기(333)를 용기고정구(22)측으로 밀게 되고, 일측 체결후크(331)가 용기고정구측으로 밀리게 되면, 관절돌기홈(335)도 위쪽으로 향하게 되고, 그에 따라 관절돌기홈(335)에 위치고정된 관절돌기(334)도 위쪽으로 향하게 되면서 타측 체결후크(332)도 용기고정구(22)측으로 밀리게 되어 용기몸체(312)의 하부플랜지(312-2)가 조리용기(21)의 상단과 밀착하게 된다. 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해 하부플랜지(312-2) 측에 패킹링(314)이 마련된다.
공급밸브부(35)는, 뚜껑(311)에 연결되는 공급파이프(351)와, 공급파이프(351)와 연결되어 공급파이프(351) 측으로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52)로 이루어진다. 솔레노이드 밸브(352)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공급라인(미도시)이 연결된다.
배출밸브(315)를 구동하는 밸브구동부(316)는, 배출밸브(315)의 상단에 형성되는 기어홈에 연동되어 배출밸브(315)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기어(316-2)와 기어(316-2)가 장착되는 모터(316-1)로 이루어진다.
압축공기배출부(38)는, 압축공기배출홀(313)이 형성되는 압축공기배출부 연결구(312-4)에 연결되는 조인트(381)와, 조인트(381)에 연결되는 튜브(382)와, 튜브에 연결되어 튜브의 개폐를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383)와, 솔레노이드 밸브(383)에 의해 압축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384)로 이루어진다. 조리용기(21)에서 조리가 완성되면 압축공기배출홀(313)을 통해서 압축공기가 배출되는데, 배출되는 압축공기는 솔레노이드 밸브(383)의 개방에 의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2,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션히터부(4)는, 조리용기(21)의 하부와 접촉하는 인덕션히터(41)와, 인덕션히터(41)를 일측에서 고정지지하고 타측은 회전축(43)에 연결되는 지지링크(42)와, 지지링크(42)의 타측이 고정되는 회전축(43)과, 회전축(43)에 고정되어 회전축(43)과 함께 회전하면서 체결후크(33)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여 체결후크(33)를 용기 고정구(22)에 장착시키거나 탈착시키는 회전가이드(44)와, 회전축(43)을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부(45)와, 인덕션히터(41)의 회전각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부(46)로 이루어진다. 회전축(43)의 양측에는 베어링부(431)가 장착되고, 베어링부(431)는 측면판(12)에 고정된다. 또한, 회전축(43)의 타측에는 센서부(46)가 형성되는데, 센서부(46)는, 회전축(43)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축(43)과 함께 회전하는 센싱바(461)와, 센싱바(461)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462)와, 센서(462)가 장착되는 원호형바(463)로 이루어진다. 센싱바(461)는 회전축(43)과 함께 회전하면서 센서(462)에 의해 회전각이 고정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이드(44)는, 원호형 가이드홈(441)이 형성되고, 입구측은 개방되고 단부측은 폐쇄된 원호형 가이드홈(441)을 통해서 일측 체결후크(331)의 가이드돌기(333)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입구측으로 가이드돌기(333)이 진입하게 되고, 가이드홈(441)의 단부측으로 진행함에 따라 가이드돌기(333)는 용기고정구(22)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면배출부(5)는, 배출프레임(51)과, 배출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용기배출부(52)와, 배출프레임(51)의 저면에 장착되는 배출가이드(53)와, 배출가이드(53)가 삽입되어 배출가이드(53)의 전후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54)로 이루어진다. 배출프레임(51)은, 베이스판(511)과, 베이스판(511)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외측면에 측면베이스판(512)으로 이루지고, 측면베이스판(512)에는 가이드홈(514)이 형성되는 가이드판(513)이 더 부착된다. 베이스판(511)의 상부에는 용기배출부(52)가 마련되고, 베이스판(511)의 저면에는 배출프레임(51)의 전후 이동을 위한 배출가이드(53)가 장착되고, 배출가이드(53)가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바(54)가 하부메인바(13)에 장착된다. 배출프레임(51)은 가이드판(513)에 일정 궤도로 형성되는 가이드홈(514)을 따라 회전링크(24)가 상하로 움직임에 따라 배출프레임(51)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하부 메인바(13)에는 드레인(6)이 장착되고, 조리용기(21)에서 조리된 후 조리용기(21)를 세척한 세척수가 배출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배출부(52)는, 라면용기받침판(521)과, 라면용기받침판(521)의 상면에 부착되는 라면용기홀더(522)와, 라면용기받침판(521)의 저면에 장착되는 한 쌍의 가이드바(528)와, 가이드바(528)를 라면용기받침판(521)의 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바 고정부재(523)와, 가이드바(528)를 전후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모터(524)와, 구동모터(524)의 회전력을 받는 기어축(525)과, 기어축(525)의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바(528)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가이드바(528)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기어(526)와, 구동기어(526)를 지지하면서 베이스판(511)에 고정장착되는 기어축(525) 지지부(527)와, 조리용기(21)의 세척수를 버릴 때 발생하는 물방울이 용기배출부(52)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방울 진입 방지판(529)으로 구성된다. 가이드바(528)는 가이드바 고정부재(523)에 전방이 고정되고 용기배출부 가이드(55)에 삽입되어 용기배출부 가이드(55)를 따라서 전후로 움직인다. 용기배출부 가이드(55)는 베이스판(511)에 고정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조리된 라면을 라면용기(7)로 투입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각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a는 조리가 완료된 후 압축공기를 제거하고 압축챔버부(3)가 상부로 올라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조리가 완성된 후에 인덕션히터부(4)도 회전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링크(24)의 링크가이드돌기(241)는 가이드홈(514)에 끼워진채로 위치한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용기(21)의 용기 고정구(22)와 연결된 회전축(23)은 모터부(25)의 구동모터(25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회전축(23)의 회전에 따라 조리용기(21)는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회전링크(24)도 회전하게 되며, 회전링크(24)의 회전에 의해 링크가이드돌기(241)가 일정반경을 가진 원호로 회전하게 되고, 링크가이드돌기(241)는 가이드홈(514)을 따라서 회전하게 되며, 그에 따라 라면배출부(5)는 메인프레임(1)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동시에 조리용기(21)도 회전하게 된다. 도 10c는 회전링크(24)가 더 회전함으로 인해 메인프레임(1)의 더 내측으로 조리용기부(2)가 이동하게 되고, 도 10d는 회전링크(24)가 최대한 회전하면서 완전히 뒤집혀져 조리된 라면이 라면국물과 함께 라면용기(7)에 투입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식 라면 조리기는 압축챔버부(3)에서 물을 가열하고 가열된 물이 조리용기(21)로 투입되기 때문에 조리시간이 짧아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인덕션히터(41)를 사용하기 때문에 과열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라면이 조리된 후 자동으로 라면용기(7)로 배출되고, 라면용기(7)를 사용자가 가져가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편리성과 면발이 쫄깃쫄깃한 라면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에서 실시예가 예시적으로 설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이의 취지 및 범주에서 벗어남 없이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첨부된 청구항 및 이의 동등 범위 내의 모든 실시에는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 메인프레임 11 : 측면판
12 : 상부 메인바 13 : 하부 메인바
2 : 조리용기부 21 : 조리용기
22 : 용기 고정구 23 : 회전축
24 : 회전링크 25 : 모터부
26 : 센서부
3 : 압축챔버부 31 : 챔버용기부
32 : 상하구동부 33 : 체결후크
34 : 지지프레임 35 : 공급밸브부
36 : 가이드봉 37 : 챔버용기 가이드
38 : 압축공기배출부
4 : 인덕션히터부 41 : 인덕션히터
42 : 지지링크 43 : 회전축
44 : 회전가이드 45 : 모터부
46 : 센서부
5 : 라면배출부 51 : 배출프레임
52 : 용기배출부 53 : 배출가이드
54 : 가이드바 55 : 용기배출부 가이드
6 : 드레인
7 : 라면용기

Claims (4)

  1.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는 조리용기와 압축챔버가 서로 결합하여 조리용기 내의 라면을 압축식으로 조리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조리된 라면을 배출하는 압축식 라면조리기의 라면배출부에 있어서,
    상기 라면배출부는,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양측에서 상부로 연장되며 외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이드판이 부착되는 측면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지는 배출프레임;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에 장착되는 용기배출부;
    상기 베이스판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프레임이 전후로 이동되면서 배출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배출가이드;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배출가이드가 삽입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바;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배출부는,
    라면용기받침판;
    상기 라면용기받침판의 상면에 부착되는 라면용기홀더;
    상기 라면용기받침판의 저면에 장착되어 상기 라면용기받침판의 전후이동을 위한 한 쌍의 가이드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를 상기 라면용기받침판의 저면에 고정하기 위한 가이드바 고정부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바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받으며 상기 베이스판의 상면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기어축;
    상기 기어축의 양단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바에 형성된 홈과 맞물려 상기 가이드바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한 쌍의 구동기어; 및
    상기 조리용기의 세척수를 버릴 때 발생하는 물방울이 용기배출부 내측으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물방울 진입 방지판;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는, 상기 메인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조리용기를 회전시키는 회전축에 장착된 회전링크가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움직이고,
    상기 회전링크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움직임에 따라 상기 라면배출부가 전후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크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가이드홈의 궤도를 따라 움직이는 링크가이드돌기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KR1020200063554A 2020-05-27 2020-05-27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KR102206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554A KR102206299B1 (ko) 2020-05-27 2020-05-27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PCT/KR2020/011928 WO2021241808A1 (ko) 2020-05-27 2020-09-04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CN202080101309.3A CN115697141A (zh) 2020-05-27 2020-09-04 压缩式拉面烹饪机的拉面排出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3554A KR102206299B1 (ko) 2020-05-27 2020-05-27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6299B1 true KR102206299B1 (ko) 2021-01-21

Family

ID=7423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3554A KR102206299B1 (ko) 2020-05-27 2020-05-27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06299B1 (ko)
CN (1) CN115697141A (ko)
WO (1) WO2021241808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4U (ja) * 1998-05-27 1998-12-08 大和精工株式会社 業務用炊飯装置
KR20060001838A (ko) * 2005-10-21 2006-01-06 박중곤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101016052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배출장치
KR101943094B1 (ko) 2017-08-30 2019-01-28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라면급속조리장치
KR20190021962A (ko) * 2017-08-24 2019-03-06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KR101979943B1 (ko) 2017-09-29 2019-05-17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압력용기 밀폐장치
KR101984999B1 (ko) 2017-09-29 2019-05-31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압력용기 밀폐장치
KR101985000B1 (ko) 2017-09-29 2019-05-31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압력용기 밀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049B1 (ko) * 2016-12-19 2018-09-04 최재빈 압력용기를 이용한 라면 자동판매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4U (ja) * 1998-05-27 1998-12-08 大和精工株式会社 業務用炊飯装置
KR20060001838A (ko) * 2005-10-21 2006-01-06 박중곤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101016052B1 (ko) * 2010-08-12 2011-02-23 주식회사 새참터 떡국, 쌀국수,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배출장치
KR20190021962A (ko) * 2017-08-24 2019-03-06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라면공급장치
KR101943094B1 (ko) 2017-08-30 2019-01-28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라면급속조리장치
KR101979943B1 (ko) 2017-09-29 2019-05-17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압력용기 밀폐장치
KR101984999B1 (ko) 2017-09-29 2019-05-31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압력용기 밀폐장치
KR101985000B1 (ko) 2017-09-29 2019-05-31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압력용기 밀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41808A1 (ko) 2021-12-02
CN115697141A (zh) 2023-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672988B (zh) 烹饪设备
JP6258939B2 (ja) ドラム式調理器
KR101539900B1 (ko) 양방향 가열 조리기
CN210300635U (zh) 一种多功能烹饪器具
CN104873096B (zh) 可移动旋转式蒸煎锅装置
CN204813353U (zh) 一种自动分离米汤的电饭锅
CN106073513A (zh) 包括用于放置在家电设备的搅拌碗上的冷凝液回收槽的用于蒸气式烹饪的附件
KR102206294B1 (ko) 압축식 라면 조리기용 압축챔버
KR102206299B1 (ko)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라면배출부
CN210989805U (zh) 空气炸锅
KR102205006B1 (ko) 인덕션 히터를 이용한 압축식 라면 조리기
CN106308484A (zh) 一种自动捞面煮面装置
TWI802756B (zh) 一種蒸汽加熱烹飪器具
CN106691205A (zh) 一种烹饪附件及采用该烹饪附件的蒸烤微一体机
CN206371916U (zh) 一种电饭煲
CN105147047B (zh) 可视汽烧烹饪装置
CN210989763U (zh) 一种收集盒及其饭煲
CN210961545U (zh) 一种电热蒸汽锅
KR102397473B1 (ko) 조리용기 세척장치가 구비된 압축식 라면 조리기의 압축챔버
CN216962222U (zh) 双加热料理机
CN215533591U (zh) 一种周面出汽旋转加热式蒸汽加热管结构
CN217137495U (zh) 一种分体式电热锅结构
CN214760678U (zh) 烹饪器具
CN213129081U (zh) 一种炒菜机
KR102276757B1 (ko) 음식물 가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