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518Y1 -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518Y1
KR200415518Y1 KR2020060005204U KR20060005204U KR200415518Y1 KR 200415518 Y1 KR200415518 Y1 KR 200415518Y1 KR 2020060005204 U KR2020060005204 U KR 2020060005204U KR 20060005204 U KR20060005204 U KR 20060005204U KR 200415518 Y1 KR200415518 Y1 KR 2004155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anel
guide
guide rail
ra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우석
Original Assignee
이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석 filed Critical 이우석
Priority to KR2020060005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5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5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5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Abstract

본 고안은 코인 투입에 따른 작동명령에 따라 금속재 용기에 담긴 라면에 온수를 붓고 정해진 시간동안 열을 가하여 끓이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일련의 조리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라면조리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 공급부로 공급된 용기를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게 하면서 가열기구와 배출부측으로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인 용기 이송장치는, 플레이트 상측에서 상기 가열위치와 배출위치를 잇는 직선방향으로 가열기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공이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공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매개로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가이드공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되며 내측에는 용기 상단의 테두리가 걸려 이에 지지될 수 있게 용기 안착부가 형성된 용기 이송판넬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어느 일측의 가이드부재 측부에 설치되며 상부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안내레일이 구비되는 안내레일부와, 댐퍼를 매개로 상기 용기 이송판넬 상측에 이격설치되며 일측단부는 상기 안내레일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 및, 상기 안내레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 지지부재 및 용기 이송판넬을 수평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라면 자동 판매기, 라면 용기, 용기 이송장치

Description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The vessel transfer system of a noddle automatic vending machi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가 적용된 라면조리 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의 부분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4a, 4b, 4c, 4d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나낸 작동상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용기 이송장치
42...가이드부재
43...센서
44...용기 이송판넬
46...판넬 지지부재
48...안내 레일부
49...구동부
본 고안은 코인 투입에 따른 작동명령에 따라 금속재 용기에 담긴 라면에 온수를 붓고 정해진 시간동안 열을 가하여 끓이고 외부로 배출시키는 일련의 조리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라면조리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특히 용기 공급부로 공급된 용기를 내용물이 배출되지 않게 하면서 가열기구와 배출부측으로 안전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한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호식품 중 하나인 라면은 소비자의 기호에 맞춰서 봉지라면을 비롯해 사발면, 컵라면 등 그 종류가 수도 없이 많으며, 최근 변화하는 식생활 습관 및 바쁜 현대사회에서 그 수요는 갈수록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컵라면, 사발면 등 일회용기에 포장된 라면은 끓는 물을 투입하고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한 후 시식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가공과정에서 미리 끓는 물만 넣으면 먹을수 있도록 되어 있어 조리가 매우 간편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뜨거운 물에 면을 살짝 익힘과 동시에 불려먹는 방식이기 때문에 라면 고유맛을 낼수가 없다는 단점이 있어 애호가들은 이러한 일회용기 라면보다 봉지라면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봉지라면을 즐기기 위해서는 라면을 끊이기 위한 도구 예컨대 용기와 버너등이 구비되어야 하므로 취식 환경에 상당한 제약이 따르게 된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개봉된 라면을 사각 알루미늄 용기에 넣고 케이스에 적재하여 코인 투입에 따른 작동명령에 따라 하부에서부터 하나씩 인출시 켜 뜨거운 물을 공급한 후 정해진 시간동안 가열하여 끓인 라면을 즉석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라면 자동 판매기가 제안된 바 있다. 그 중 대표적인 일례로서 특허등록 제10-472767호를 들수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라면 자동 판매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면에 코인기를 구비한 본체 내부에는 조리될 라면을 수용한 일회용 용기가 포개진 상태로 적재되는 저장부재가 구비되고, 저장부재 하단부에는 저장부재에 적재된 상기 용기를 지지하면서 코인투입에 의한 작동 명령에 따라 최하단에 위치한 일회용 용기만을 낱개로 배출시키기 위한 용기 공급부가 마련되며, 용기 공급부의 하방에는 이러한 용기 공급부의 개방으로 인출되어진 일회용 용기를 가열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조리 후 배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용기 이송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외에 조리된 라면을 용기 이송부를 통해 건네받아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배출장치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한 상기 종래 기술은 용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어진 일회용 용기가 마치 차량의 와이퍼와 같이 원호궤적을 그리면서 이동되는 용기 이송부에 의해 가열기구로 이송되어지거나 조리 후 가열기구로부터 용기 배출장치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용기 이송부에 안착되어진 일회용 용기가 이동과정에서 원심력의 영향을 받아 내용물이 용기밖으로 유출될 우려가 있으며, 특히 가열기구를 통해 조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배출구측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원심력의 영향으로 국물이 용기밖으로 쏟아져 수분에 민감한 장치내 주변기기 예컨대, 리미트 스위치 또는 센서에 영향을 주어 장치 오작동의 원인이 되며, 장치 내부환경을 오염시켜 비위생적이라는 문제 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어지는 일회용 용기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이송장치에 안착시켜 수평이동시킴으로써, 용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어진 일회용 용기내의 내용물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가열위치나 배출위치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내에서의 용기 이동과정 중 내용물이 용기 주변으로 튀어 주변 기기에 영향을 주거나 오염시키는 등의 폐단을 해소할 수 있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은, 전면에 코인기를 구비한 본체 내부에서 라면을 수용한 일회용 용기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는 저장부, 저장부 하단부에서 저장부에 적재된 상기 용기를 지지하면서 코인투입에 의한 작동 명령에 따라 최하단에 위치한 용기부터 하나씩 인출시키는 용기 공급부, 용기 공급부의 하방에서 이러한 용기 공급부의 개방으로 인출되어진 일회용 용기를 가열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조리 후 배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용기 이송장치, 조리된 라면을 용기 이송장치를 통해 건네받아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배출장치 및, 상기 구성요소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이송장치는, 플레이트 상측에서 상기 가열위치와 배출위치를 잇는 직선방향으로 가열기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공이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 가이드공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매개로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가이드공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되며 내측에는 용기 상단의 테두리가 걸려 이에 지지될 수 있게 용기 안착부가 형성된 용기 이송판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어느 일 측의 가이드부재 측부에 설치되며 상부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안내레일이 구비되는 안내레일부; 댐퍼를 매개로 상기 용기 이송판넬 상측에 이격설치되며 일측단부는 상기 안내레일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 및 상기 안내레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 이송판넬 포함 판넬 지지부재를 수평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가이드공은 이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용기 이송판넬이 가열위치에서 서서히 하강하여 가열기구 위에 용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하고 배출위치에서 역시 용기가 서서히 하강하면서 배출판넬위에 용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그 양 선단부가 하향절곡되어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된 안내레일부 내측에는 상기 용기 이송판넬이 가열기구 측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 감지센서와, 가열기구를 거친 상기 용기 이송판넬이 배출장치측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구 동부를 제어하는 제2 감지센서와, 배출장치를 거친 상기 용기 이송판넬이 용기 공급장치로부터 용기를 공급받는 초기위치로 복귀하였는지를 감지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3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댐퍼는, 일측단은 판넬 지지부재 저면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용기 이송판넬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 이송판넬의 높이 변화시 용기 이송판넬이 이를 따라 안전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로드와, 판넬 지지부재와 용기 이송판넬 사이의 로드에 끼워져 용기 이송판낼의 높이 변화에 따른 충격력을 흡수/완화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더하여,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구동부는, 안내레일부 외부 일측끝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안내레일부 내측 일측 끝단에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설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멀리 떨어진 안내레일부 내측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감겨지며 그 일측에는 상기 판넬 지지부재 일측단부가 연결되어 구동풀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판넬 지지부재를 비롯하여 용기 이송판넬을 슬라이딩시키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가 적용된 라면조리 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로서, 먼저 라면조리 자판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라면조리 자판기는 전면에 코인기(10)를 구비한 본체(1) 내부에 조리될 라면을 수용한 일회용 용기가 포개진 상태로 적재되는 저장부(20)가 구비되고, 저장부(20) 하단부에는 저장부(20)에 적재된 상기 용기를 지지하면서 코인투입에 의한 작동명령에 따라 최하단에 위치한 용기부터 하나씩 인출시키는 용기 공급부(30)가 마련된다. 용기 공급부(30) 하방에는 이러한 용기 공급부(30)의 개방으로 인출되어진 일회용 용기를 가열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조리 후 배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용기 이송장치(40)가 구비되며, 본체 일측의 용기 이송장치 연장선상에는 조리된 라면을 용기 이송장치(40)를 통해 건네받아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배출장치(50)가 마련되고, 상기 각 구성요소부를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예컨대, 마이콤(미도시)을 포함한다.
이 때,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용기 이송장치(40)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레이트 상측에 마주보며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42)와, 이 한 쌍의 가이드부재(42) 내측에 설치되어 가이드부재(42)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용기 이송판넬(44)을 구비한다. 용기 이송판넬(44)은 댐퍼(45)를 매개로 그 상측에 이격설치되는 판넬 지지부재(46)에 의해 지지되며, 판넬 지지부재(46)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42) 중 어느 한 가이드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안내레일부(48)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판넬 지지부재(46)는 상기 안내레일부(48)에 마련되는 구동부(49)에 결합되어 구동부(49)의 구동으로 가이드부재(42) 상에서 수평이동하면서 그 하부에 연설된 용기 이송판넬(44)을 수평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고안의 용기 이송장치의 각부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42)는 플레이트 상측에서 상기 가열위치와 배출위치를 잇는 직선방향으로 가열기구(4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가이드공(420)이 길게 형성되어 이곳에 후술하는 용기 이송판넬(44)의 가이드롤러(442)가 위치하게 된다.
용기 이송판넬(44)은 그 양측부에 적어도 한 쌍 이상의 가이드롤러(442)가 설치되며 그 내측에는 용기 공급장치로부터 낱개로 인출된 용기 상단의 테두리가 이에 걸려 지지될 수 있게 "⊂"형상의 용기 안착부(444)가 마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용기 이송판넬(44)은 상기 가이드롤러(442)를 매개로 가이드공(420) 상에서 이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에 안착된 용기를 초기위치로부터 가열위치 그리고 배출위치 순으로 수평이동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가이드공(420)은 도면의 도시에서와 같이 그 양 선단부가 하향절곡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는 가이드공(420)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상기 용기 이송판넬(442)이 가열위치 또는 배출위치에서 서서히 하강하면서 가열기구(41) 또는 배출판넬(50) 위에 용기를 자연스럽레 올려놓아 그 위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안내레일부(48)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어느 일측의 가이드부재(420) 측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용기 이송판넬(44) 및 판넬 지지부재(46)의 수평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게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안내레일(480)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안내레일(480)은 단면이 일정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뻗은 봉형태이면 어느 것이든 적용이 가능하다.
판넬 지지부재(46)는 댐퍼(45)를 매개로 상기 용기 이송판넬(44) 상측에 이격설치되고 일측단부는 상기 안내레일부(48)측으로 연장되어 안내레일에 슬라이드구(47)를 매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구(47)는 후술하는 구동부(49)의 구성요소 중 벨트(494)에 결합되어 벨트(494) 구동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재(42) 상단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용기 이송판넬(44)을 수평이동시키며 동시에 용기 이송판넬의 수평이동에 따른 높이변화 즉, 승강시 이를 지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댐퍼(45)는 판넬 지지부재(46)와 용기 이송판넬(44)을 잇는 로드(450)와 로드(450) 외측에 압축스프링(452)이 구비된 일반적인 댐퍼로서, 상기 로드는 일측단이 판넬 지지부재 저면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용기 이송판넬을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 이송판넬(44)은 가이드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가이드공(420)의 양 선단부에서 높이가 변화될 때 로드(450)를 따라 승강한다.
이에 따라, 용기 이송판넬(44)의 높이 가변시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특히 상·하방향으로는 로드(450) 외측에 끼워지면서 동시에 이러한 용기 이송판넬(44)과 판넬 지지부재(46) 사이를 탄력지지하고 있는 압축스프링(452)으로 인하여 높이변화에 따른 충격력이 흡수/완화됨으로써 그 승강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구동부(49)는 상기 안내레일부(48)측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 지지부재(46) 및 용기 이송판넬(44)을 수평이동시켜 기열위치나 배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동모터(490), 구동풀리(492a), 종동풀리(492b) 및 벨트(494)를 포함한다. 구 동모터(490)는 안내레일부(48) 외부 일측끝단에 설치되며, 구동풀리(492a)는 구동모터(490)의 회전축 끝단에 축설되면서 안내레일부(48) 내측 일측 끝단에 위치한다. 종동풀리(492b)는 상기 구동풀리(492a)와 멀리 떨어진 안내레일부(48) 내측 타측 끝단에 구비되며, 벨트(494)는 상기 구동풀리(492a)와 종동풀리(492b)에 감겨져 구동풀리의 구동과 종동풀리의 종동회전에 의해 회전력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벨트(494)는 그 일측이 상기 판넬 지지부재(46) 일측단부와 슬라이드구(47)를 매개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구동풀리(494)의 구동에 의해 벨트(494)는 상기 판넬 지지부재(46)를 비롯하여 용기 이송판넬(42)을 슬라이딩시킨다.
한편, 상기한 구성에 있어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안내레일부(48) 내측 적소에는 상기 구동부(49)의 구동으로 수평이동되는 용기 이송판넬(44)의 작동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1,2,3 감지센서들(43a,43b,43c)이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1 감지센서(43a)는 상기 용기 이송판넬(44)이 가열기구(41) 측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부(49)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제2 감지센서(43b)는 가열기구를 거친 상기 용기 이송판넬(44)이 배출판넬(50) 측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부(49)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며, 제3 감지센서(43c)는 배출장치를 거친 상기 용기 이송판넬(44)이 용기 공급장치(20)로부터 용기를 공급받는 초기위치로 복귀하였는지를 감지하여 구동부(49)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라면조리 자판기의 작동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 4b, 4c,4d는 본 고안에 따른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4a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가 저장부로부터 용기를 공급받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에 있어서 용기 이송판넬이 초기위치에 있는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4c는 상기 용기 이송판넬이 가열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d는 상기 용기 이송판넬이 배출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용기 이송장치의 작동을 앞서 첨부된 도 1과 연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1 및 도 4a를 참조하면, 사용자에 의해 본체 코인기로 코인이 투입되면 마이콤(미도시)으로부터 작동명령이 전달되어 저장부(20) 하단부에 구비된 용기 공급부(30)가 작동된다. 이러한 용기 공급부(30)의 작동으로 인하여 저장부(20)에 포개진 상태로 적재되어 있던 라면과 스프가 저장된 용기(100) 중 최하단에 위치한 한 개의 용기만이 하부로 인출되어 용기 이송장치(40)를 관통하는 승강장치의 승강플레이트(60) 위에 놓여지게 된다.
계속해서, 용기가 놓여진 상기 승강플레이트(60)는 마이콤의 다음 동작명령에 따라 구동되어 하강하면서 용기 이송판넬(44)의 용기 안착부(444) 상에 용기(100)의 상단 테두리가 걸쳐지도록 한다. 즉,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플레이트(60)는 용기 이송장치(4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용기 안착부 내측을 관통하면서 승강하여 용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받은 라면 용기(100)를 도 4b와 같이 용기 이송장치의 상기 용기 이송판넬(44) 상에 올려놓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용기 이송판넬(44) 위에 라면 용기(100)가 안착되어지면 용기 이송장치가 마이콤의 다음 동작명령에 따라 작동하면서 용기(100)를 가열위치로 이 동시킨다. 즉, 마이콤의 명령의 구동부의 구동모터(490)에 전원이 인가되면 구동모터(490)에 의해 구동풀리(492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풀리(492a)와 종동풀리(492b)에 감겨진 벨트(494)가 회전된다.
그러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벨트(494)에 결합된 판넬 지지부재(46)가 안내레일(480)에 의해 안내되면서 가열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판넬 지지부재(46) 하부에 댐퍼(45)를 매개로 연결된 용기 이송판넬(44) 역시 가이드부재()의 가이드공(420)을 따라 수평이동하면서 용기 이송판넬(44)에 안착되어 있던 라면 용기를 가열위치로 이동시킨다.
용기 이송판넬(44)과 이를 견인하는 판넬 지지부재(46)가 가열위치에 도달하면 안내레일부에 구비된 제1 감지센서(43a; 도 2참조)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제어부는 구동모터(490)의 전원을 잠시 차단하여 판넬 지지부재(46)를 포함 용기 이송판넬(44)은 가열위치에 잠시 머무른 상태가 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공(420)은 가열기구(41)가 있는 가열위치에서 그 끝단이 하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용기 이송판넬(44)이 가이드공(420)을 따라 수평이동하다가 가열위치에서 서서히 하강하면서 그 용기 이송판넬의 용기 안착부(444)에 안착되어 있던 용기(100)를 가열기구(41) 위에 조심스럽게 올려 놓게되고 가열기구(41)와 용기(100)는 밀착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미도시된 온수 공급부로부터 용기(100)에 온수가 공급되고, 가열기구(41)는 설정된 시간동안 전원이 인가되어 발열됨으로써 용기에 담긴 라면을 조리한다.
라면이 조리되면 제어부는 구동모터(490)에 전원을 다시 인가하여 구동풀리(492a)를 회전시키는데 이 때에는 판넬 지지부재(46)를 가열위치로 이동시킬 때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판넬 지지부재(46)가 다시 안내레일(480)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위치로 이동되며 동시에 용기 이송판넬(44) 역시 가이드공(420)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도 4d와 같이 배출위치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가이드공(420)은 배출판넬(50)이 위치하는 배출위치에서 역시 그 끝단이 하향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용기 이송판넬(44)이 가이드공(420)을 따라 수평이동하다가 배출위치에서 서서히 하강하면서 그 용기 안착부(444)에 안착되어 있던 용기(100)를 배출판넬(50) 상면에 스치듯이 안전하게 올려 놓으며 제2 감지센서(43b)는 이를 감지하여 구동모터(490)의 전원을 차단한다.
배출판넬(50) 상면 중앙에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위와 같이 조리된 라면 용기(100)가 그 위에 올려지면 센서에 의해 용기 배출장치에 작동명령이 인가되고 상기 배출판넬(50)은 배출구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어 인출커버(12; 도 1참조)를 개방시켜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 후 사용자에 의해 조리된 라면 용기(100)가 배출판넬(50)로부터 분리되면 이 배출판넬(50)에 구비된 감지센서가 이를 다시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보낸다. 이에 따라 배출판넬은 장치내부로 복귀되고 동시에 구동모터(490)에 전원이 다시 인가되어 판넬 지지부재(46) 및 용기 이송판넬(44)은 용기 공급부(30)로부터 용기(100)를 공급받은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이렇듯 용기 이송판넬(63)이 초기위치까지 이동하면 레일안내부에 설치된 제3 감지센서(43c)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보내고 제어부가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490)의 전원이 차단되어 판 넬 지지부재(46)를 포함 용기 이송판넬(44)은 초기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이상과 같이 작동하는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 공급부(30)로부터 공급된 용기(100)가 용기 이송판넬(44) 위에 안착된 상태에서 수평 이동됨으로써 내용물이 유출되지 않고 안전하게 가열위치와 배출위치를 오갈 수 있게 된다. 특히, 가이드부재(42)의 가이드공(420)은 가열위치 또는 배출위치에서 하향 절곡되어 있어서 가이드공(420)을 따라 안내되는 용기 이송판넬(44)에 용기(100)가 안착된 상태에서 가열기구(41)가 위치한 가열위치 또는 배출판넬(50)이 위치한 배출위치에서 상기 가열기구(41) 및 배출판넬(50) 위에 용기를 측하방으로 서서히 이동시키면서 조심스럽게 올려 놓게 된다. 결과적으로, 가열기구(41) 내지는 배출판넬(50) 위에 용기(100)를 건낼 때 용기가 가이드공(420)을 따라 옆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서서히 하강함으로 가열기구(41) 내지는 배출판넬(50) 상에 올려지는 순간 충격력이 최소화되어 내용물의 유출이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인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에 의하면, 수평이동하는 용기 이송장치로 인하여 용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어진 용기내 내용물이 밖으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면서 가열위치나 배출위치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장치내에서의 용기 이동과정 중 내용물이 유출되어 주변 기기에 영향을 주거나 오염시키는 등의 폐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 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5)

  1. 전면에 코인기를 구비한 본체 내부에서 라면을 수용한 일회용 용기를 포개진 상태로 적재하고 있는 저장부, 저장부 하단부에서 저장부에 적재된 상기 용기를 지지하면서 코인투입에 의한 작동 명령에 따라 최하단에 위치한 용기부터 하나씩 인출시키는 용기 공급부, 용기 공급부의 하방에서 이러한 용기 공급부의 개방으로 인출되어진 일회용 용기를 가열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조리 후 배출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용기 이송장치, 조리된 라면을 용기 이송장치를 통해 건네받아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는 용기 배출장치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일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이송장치는
    플레이트 상측에서 상기 가열위치와 배출위치를 잇는 직선방향으로 가열기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며 설치되며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공이 길게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부재;
    상기 가이드공에 설치되는 가이드롤러를 매개로 상기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부재 사이에 설치되어 가이드공을 따라 전·후 슬라이딩되며 내측에는 용기 상단의 테두리가 걸려 이에 지지될 수 있게 용기 안착부가 형성된 용기 이송판넬;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재 중 어느 일측의 가이드부재 측부에 설치되며 상부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안내레일이 구비되는 안내레일부;
    댐퍼를 매개로 상기 용기 이송판넬 상측에 이격설치되며 일측단부는 상기 안 내레일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안내레일에 슬라이드구를 매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넬 지지부재; 및
    상기 안내레일부에 설치되어 상기 판넬 지지부재 및 용기 이송판넬을 수평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공은 이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용기 이송판넬이 가열위치에서 서서히 하강하여 가열기구 위에 용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으며 배출위치에서 역시 용기가 서서히 하강하면서 배출판넬 위에 용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그 양 선단부가 하향절곡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안내레일부 내측에는 상기 용기 이송판넬이 가열기구 측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1 감지센서와, 가열기구를 거친 상기 용기 이송판넬이 배출장치측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2 감지센서와, 배출장치를 거친 상기 용기 이송판넬이 용기 공급장치로부터 용기를 공 급받는 초기위치로 복귀하였는지를 감지하여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3 감지센서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일측단은 판넬 지지부재 저면에 고정되고 타측단은 용기 이송판넬을 관통하여 상기 용기 이송판넬의 높이 변화시 용기 이송판넬이 이를 따라 안전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로드와, 판넬 지지부재와 용기 이송판넬 사이의 로드에 끼워져 용기 이송판낼의 높이 변화에 따른 충격력을 흡수/완화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안내레일부 외부 일측끝단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안내레일부 내측 일측 끝단에서 상기 구동모터와 연설되는 구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멀리 떨어진 안내레일부 내측 타측 끝단에 구비되는 종동풀리와, 상기 구동풀리와 종동풀리에 감겨지며 그 일측에는 상기 판넬 지지부재 일측단부가 연결되어 구동풀리의 구동에 따라 상기 판넬 지지부재를 비롯하여 용기 이송판넬을 슬라이딩시키는 벨트를 포함하 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KR2020060005204U 2006-02-24 2006-02-24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KR2004155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204U KR200415518Y1 (ko) 2006-02-24 2006-02-24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204U KR200415518Y1 (ko) 2006-02-24 2006-02-24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518Y1 true KR200415518Y1 (ko) 2006-05-03

Family

ID=41765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204U KR200415518Y1 (ko) 2006-02-24 2006-02-24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51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183B1 (ko) 2010-03-03 2010-12-15 배순덕 자동판매기
KR102040963B1 (ko) * 2018-06-05 2019-11-05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면과 물을 분리하는 장치
WO2021107212A1 (ko) * 2019-11-29 2021-06-03 (주)로텍 그릇 자판기
KR102339447B1 (ko) * 2021-09-15 2021-12-16 농업회사법인(주)영풍 떡볶이떡 분리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KR102341815B1 (ko) * 2021-09-15 2021-12-23 농업회사법인(주)영풍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KR102666010B1 (ko) 2019-11-29 2024-05-16 주식회사 로텍 그릇 자판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1183B1 (ko) 2010-03-03 2010-12-15 배순덕 자동판매기
KR102040963B1 (ko) * 2018-06-05 2019-11-05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면과 물을 분리하는 장치
WO2021107212A1 (ko) * 2019-11-29 2021-06-03 (주)로텍 그릇 자판기
KR102666010B1 (ko) 2019-11-29 2024-05-16 주식회사 로텍 그릇 자판기
KR102339447B1 (ko) * 2021-09-15 2021-12-16 농업회사법인(주)영풍 떡볶이떡 분리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KR102341815B1 (ko) * 2021-09-15 2021-12-23 농업회사법인(주)영풍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5518Y1 (ko)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JP2007098008A (ja) 茶飲料抽出装置
US20080092749A1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noodles
KR102005480B1 (ko) 컵라면 자동판매기의 전자렌지 조리장치
RU2757788C1 (ru) Система для варки
KR101541615B1 (ko) 중탕기
KR200415517Y1 (ko)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KR101804549B1 (ko)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KR101051976B1 (ko) 라면조리 판매기의 용기 이송장치
KR20160035489A (ko) 스팀 조리기
JP2012135412A (ja) 茹で機
KR200440098Y1 (ko) 라면 조리기
JP6503437B1 (ja) 食品自動販売機の調理装置
KR20060016831A (ko) 라면 자판기
JP6990882B2 (ja) 炊飯器
JP7390649B2 (ja) 炊飯器
KR102038288B1 (ko)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CN212394586U (zh) 一种煮食装置
KR20060001840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290594Y1 (ko) 라면 자동 판매기
KR960002088A (ko) 전자레인지 내장의 자동판매기
KR101624582B1 (ko)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KR100472767B1 (ko) 라면 자동 판매기
WO2005057180A1 (en) An apparatus for treatment of tissue specimens
JP4214956B2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