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549B1 -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 Google Patents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4549B1
KR101804549B1 KR1020170120256A KR20170120256A KR101804549B1 KR 101804549 B1 KR101804549 B1 KR 101804549B1 KR 1020170120256 A KR1020170120256 A KR 1020170120256A KR 20170120256 A KR20170120256 A KR 20170120256A KR 101804549 B1 KR101804549 B1 KR 101804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nveyor
pot
lid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수동
Original Assignee
한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수동 filed Critical 한수동
Priority to KR1020170120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는, 양측에 손잡이(301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취반된 밥이 저장되는 운반솥(3000)에 저장된 밥을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하부에 배치된 다수의 밥이송컨베이어(3600)에 투입하기 위한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에 두 개의 돌출부(3512)가 서로 이격된 채 밥이송컨베이어(3600)를 향해 설치되어 있는 이동프레임(3510)과; 상기 이동프레임(3510)의 상기 두 돌출부(35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운반솥(3000)의 손잡이(3010)가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끼움부재(3521)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부재(3520)와; 상기 회전부재(3520)를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운반솥(3000)의 손잡이(301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거나, 운반솥(3000)을 밥이송컨베이어(3600) 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운반솥(3000)을 반전시켜, 운반솥(3000)에 저장된 밥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회전구동장치(3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취반된 밥을 바로 누룽지 가공기까지 도달시켜 공급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수의 누룽지 가공기를 배설한 상태로, 누룽지 가공기 앞에 레일을 설치하는 한편, 취반된 밥을 공급받아 누룽지 가공기까지 운반하는 운반솥을 활용함으로써 취반된 밥 양과 누룽지 가공기에서 필요한 밥의 양이 상이하더라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반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수 연설된 누룽지 가공기에 밥을 공급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Moving up-down apparatus for pre-processing equipment of making nurungji}
본 발명은 취반된 밥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취반된 밥이 저장된 취반솥으로부터 임시로 밥이 저장되는 운반솥을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다수의 밥저장컨베이어에 공급함에 있어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운반솥을 반전시켜 밥을 밥저장컨베이어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누룽지는 밥솥에 밥을 할 때 화기가 닿는 밥솥 바닥면의 온도차이로 인하여 밥이 눌어붙게 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이러한 누룽지는 밥을 할 때 거의 대부분 생기는 것이다.
누룽지는 밥이 눌어붙게 되는 것임에 따라 그 맛이 고소하고, 독특할 뿐 아니라 영양가도 풍부함으로써 밥과는 별도로 긁어내어 이를 간식대용으로도 많이 먹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누룽지를 적당량의 물과 배합하여 이를 재차 끓여서 식사대용으로 먹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누룽지는 그 양이 밥솥으로 한번 밥을 할 때 밥솥의 바닥면에 눌어붙는 정도에 불과함으로써 즉, 한번 밥을 할 때마다 소량의 누룽지가 생기므로 간식 대용이나, 또는 식사대용으로 먹기에는 너무나 양이 적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누룽지를 재료로 하여 죽을 끓여서 먹는 환자나, 또는 입맛이 없는 사람들에게 적합한 식사대용 식품이기는 하지만 많은 량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널리 애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의 식품문화에 있어서, 쌀을 주원료로 하는 많은 종류의 과자나, 또는 간식식품이 개발되고는 있으나, 오랜 세월 동안 우리의 식생활에서 가장 애용되고 있는 누룽지는 생산량이 적어 널리 보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누룽지를 양산하여 간식대용이나 식사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예도 있으나, 이러한 누룽지는 밥솥에 밥을 눌어붙게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많은 량의 생산을 기대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누룽지 제조과정에서 밥솥으로 많은 량의 밥을 한 다음, 이 밥을 적정량씩 가열되는 철판에 올려놓고 일정 시간 동안 눌어붙게 하는 방식이 알려지고 있으나, 이러한 생산 방식은 세미, 불림, 취반, 냉각 등의 과정에서 본 공정 및 공정 사이 작업에서 수작업이 다수 필요하게 되어 생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취반에서 열을 필요로 함과 더불어 취반된 밥을 눌러 열을 가하는 과정에서도 열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좁은 공간에서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누룽지 제조장치"(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02347호, 특허문헌 1)에는 취반하는 절차를 생략한 채 불린 쌀을 상하부가열판을 이용하여 열을 가해 누룽지를 제조함으로써 소요되는 연료를 저감시키려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사실상의 취반을 생략한 공정으로 누룽지를 제조하는 경우 바삭바삭한 식감은 갖게 되나 쫄깃한 식감을 제공할 수 없게 되어 취반 공정을 거친 누룽지에 비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최근 소비자의 소비 동향이 갈수록 눈높이가 높아지는 점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할 것인 바, 취반 공정을 거치면서도 가격 경쟁력을 갖춘 누룽지의 제조 설비의 제공이 필요한 실정이라 하겠다.
한편, 누룽지 제조와는 별도로 자동화된 취반 장치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진행되어 왔다.
관련 기술로 "입체순환식 연속자동 취반장치"(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1172호, 특허문헌 1)에는 상하로 이루어진 컨베이어 장치 상에서 취반을 위한 솥이 상층에 위치할 때 뒤집어지지 않고 뚜껑이 위에 위치하도록 하여, 컨베이어의 하층에서는 취반을, 상층에서는 여열로 뜸들임이 가능하도록 한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는 순수하게 자동화된 취반과 뜸들임이 가능하도록 한 장치에 대해서만 공개되어 있을 뿐, 누룽지 제조 전체 공정의 자동화를 가능케 하는 내용은 공개된 바 없다.
다만, "누룽지 자동가공기의 취반솥 반전장치"(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39602호, 특허문헌 3)에는 취반솥을 상하로 반전시키는 장치가 소개되면서 문헌 일부에 취반된 밥을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켜 자동화된 누룽지 자동가공기를 제공한다는 소개가 있으나, 이 문헌에서도 쌀 공급, 세미, 불림, 취반용 물 공급 등의 자동화를 위한 장치가 공개되어 있지 아니하며, 특히 솥뚜껑의 설치 및 제거, 솥 및 솥뚜껑의 세척, 취반된 밥을 누룽지 가공기로 공급하는 장치의 자동화를 위한 기술 역시 공개되어 있지 아니하다.
특히,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취반이 이루어진 밥솥을 누룽지 가공기까지 이동시켜 누룽지 가공기 앞에서 밥을 뒤집게 되는데, 이 경우 밥솥의 이동 경로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밥솥에서 취반되는 밥의 양은 많은 반면 하나의 누룽지 가공기에서 원료로 필요한 밥의 양은 훨씬 적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8-0002347 (2008.01.04) KR 10-1551172 (2015.09.02) KR 20-1999-0039602 (1999.11.15)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용 전처리 설비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취반된 밥을 바로 누룽지 가공기까지 도달시켜 공급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수의 누룽지 가공기를 배설한 상태로, 누룽지 가공기 앞에 레일을 설치하는 한편, 취반된 밥을 공급받아 누룽지 가공기까지 운반하는 운반솥을 활용함으로써 취반된 밥 양과 누룽지 가공기에서 필요한 밥의 양이 상이하더라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반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수 연설된 누룽지 가공기에 밥을 공급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반솥의 손잡이와 끼움 결합한 채 반전 회전하는 회전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밥의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바퀴와는 별도로, 레일 저부에 접촉하여 자유 회전하는 하부바퀴가 구비되어 상기한 회전부재의 반전 회전 및 이로 인한 밥의 배출에 따른 무게중심의 변화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측면에도 측면바퀴가 설치되어 이송반전장치의 좌우 이탈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더불어, 하부바퀴는 시시와 같이 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한 연결편의 일측에 연결되는 한편, 반대편에는 가압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측면바퀴 중 일측에도 측면가압스프링이 설치되어 측면에서의 충격 역시 흡수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측에 손잡이(301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취반된 밥이 저장되는 운반솥(3000)에 저장된 밥을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하부에 배치된 다수의 밥이송컨베이어(3600)에 투입하기 위한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에 두 개의 돌출부(3512)가 서로 이격된 채 밥이송컨베이어(3600)를 향해 설치되어 있는 이동프레임(3510)과; 상기 이동프레임(3510)의 상기 두 돌출부(35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운반솥(3000)의 손잡이(3010)가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끼움부재(3521)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부재(3520)와; 상기 회전부재(3520)를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운반솥(3000)의 손잡이(301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거나, 운반솥(3000)을 밥이송컨베이어(3600) 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운반솥(3000)을 반전시켜, 운반솥(3000)에 저장된 밥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회전구동장치(3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3510)은, 상기 이동프레임(35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상부바퀴(3540)와; 상기 상부바퀴(3540)와 연결되어 상부바퀴(3540)를 회전시키는 바퀴구동장치(3550);가 설치됨으로써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동프레임(3510)의 양측 하부에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측벽면을 감싸는 하부측벽부(35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측벽부(3511)에 연결편(356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3560)의 타측 단부에 지지축(3571)을 통해 저부바퀴(35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부바퀴(3570)는 상면이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저부에 접촉하여 자유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결편(3560)은 중간 부분이 회전축(3561)을 통해 상기 하부측벽부(3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편(3560)의 일측 단부에는 일측이 하부측벽부(3511)와 연결되는 가압스프링(356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3571)은 연결편(3560)의 회전축(3561)을 기준으로 가압스프링(3562)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두 하부측벽부(3511)에는 각각 개구부(35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3513)에 끼워진 채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내주면이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측벽면과 접촉하여 자유 회전하는 측면바퀴(35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측의 측면바퀴(3580)에 설치되어 측면바퀴(3580)로 하여금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향해 밀착시키도록 하는 측면가압스프링(359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취반된 밥을 바로 누룽지 가공기까지 도달시켜 공급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수의 누룽지 가공기를 배설한 상태로, 누룽지 가공기 앞에 레일을 설치하는 한편, 취반된 밥을 공급받아 누룽지 가공기까지 운반하는 운반솥을 활용함으로써 취반된 밥 양과 누룽지 가공기에서 필요한 밥의 양이 상이하더라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반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수 연설된 누룽지 가공기에 밥을 공급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반솥의 손잡이와 끼움 결합한 채 반전 회전하는 회전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밥의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바퀴와는 별도로, 레일 저부에 접촉하여 자유 회전하는 하부바퀴가 구비되어 상기한 회전부재의 반전 회전 및 이로 인한 밥의 배출에 따른 무게중심의 변화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측면에도 측면바퀴가 설치되어 이송반전장치의 좌우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하부바퀴는 시시와 같이 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한 연결편의 일측에 연결되는 한편, 반대편에는 가압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면바퀴 중 일측에도 측면가압스프링이 설치되어 측면에서의 충격 역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용 전처리 설비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용 전처리 설비에서 쌀저장탱크, 정량배출탱크, 세미장치, 불림탱크, 불림쌀공급장치, 취반솥, 전처리컨베이어, 급수장치, 솥뚜껑, 뚜겅공급컨베이어, 뚜껑로딩장치, 레벨링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용 전처리 설비에서 불림쌀공급장치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레벨링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레벨링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분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뚜껑언로딩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승강반전장치 및 밥교반장치, 운반솥하부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승강반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서 밥교반장치 하부가 개방되는 원리를 나타낸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운반솥승강장치, 운반솥상부컨베이어, 운반솥이송레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서 이송반전장치의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서 이송반전장치의 운반솥 반전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14는 본 발명에서 이송반전장치의 측면바퀴에 가압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에서 세척공급컨베이어, 세척장치, 세척배출컨베이어, 세척전반전장치, 세척후반전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세척전반전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에서 솥뚜껑정지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서 1차환송컨베이어, 솥뚜껑정지장치, 2차환송컨베이어, 환송뚜껑로딩장치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에서 컨베이어승강장치를 이용하여 취반솥의 방향이 전환된 채 이동되도록 한 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레벨링장치 및 뚜껑로딩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1은 본 발명에서 뚜껑공급컨베이어를 나타낸 사진.
도 22는 본 발명에서 뚜껑로딩장치 및 불림탱크, 불림쌀공급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3은 본 발명에서 취반장치 및 뜸들임컨베이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4는 본 발명에서 분기장치와 뚜껑언로딩장치 및 그 주변의 컨베이어들을 나타낸 사진.
도 25는 본 발명에서 승강반전장치, 밥교반장치 등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6은 본 발명에서 운반솥하부컨베이어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7은 본 발명에서 운반솥상부컨베이어 및 운반솥승강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28은 본 발명에서 이송반전장치를 나타내 사진.
도 29는 본 발명에서 이송반전장치의 측하부를 나타낸 사진.
도 30은 본 발명에서 이송반전장치 및 밥이송컨베이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31은 본 발명에서 솥뚜껑정지장치 및 환송뚜껑로딩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도 32는 본 발명에서 2차환송컨베이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진.
본 발명은 밥솥에서 취반이 이루어지고, 취반된 밥을 판상으로 펼쳐 별도의 누룽지 가공기로 열을 가해 제조하는 공정이 한 공장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장 설비를 제공함에 있어서, 원료인 쌀의 준비에서부터 누룽지 가공기까지 밥을 공급하는 전처리 설비를 구성함에 있어서, 취반솥을 각 누룽지 가공기 앞에 부설된 밥이송컨베이어(3600)에 직접 이동시키는 것이 아니라, 취반솥으로부터 배출된 후 교반된 밥을 운반솥을 이용하여 운반하고, 이 운반솥과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이동하면서 지정된 위치에서 운반솥(3000)을 뒤집어 밥을 배출하여 밥이송컨베이어(3600)로 공급하도록 된 이송반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때, 운반솥(3000)은 양측에 손잡이(301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취반된 밥이 저장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송반전장치(3500)는 크게 이동프레임(3510), 회전부재(3520) 및 회전구동장치(35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동프레임(3510)은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부에는 두 개의 돌출부(3512)가 서로 이격된 채 밥이송컨베이어(3600)를 향해 설치되어 있다.
이동프레임(3510)이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프레임(35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상부바퀴(3540)와, 상기 상부바퀴(3540)와 연결되어 상부바퀴(3540)를 회전시키는 바퀴구동장치(3550)가 설치된다.
회전부재(3520)는 상기 이동프레임(3510)의 상기 두 돌출부(35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운반솥(3000)의 손잡이(3010)가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끼움부재(3521)가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회전구동장치(3530)는 상기 회전부재(3520)를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운반솥(3000)의 손잡이(301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거나, 운반솥(3000)을 밥이송컨베이어(3600) 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운반솥(3000)을 반전시켜, 운반솥(3000)에 저장된 밥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서 상기 이동프레임(3510)의 양측 하부에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측벽면을 감싸는 하부측벽부(35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측벽부(3511)에 연결편(356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3560)의 타측 단부에 지지축(3571)을 통해 저부바퀴(35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부바퀴(3570)는 상면이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저부에 접촉하여 자유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저부바퀴(3570)가 설치됨으로 인해 본 발명의 이송반전장치(3500)가 상하 유동하면서 운반솥이송레일(3400) 상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해주게 된다.
또, 상기 연결편(3560)은 중간 부분이 회전축(3561)을 통해 상기 하부측벽부(3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편(3560)의 일측 단부에는 일측이 하부측벽부(3511)와 연결되는 가압스프링(356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3571)은 연결편(3560)의 회전축(3561)을 기준으로 가압스프링(3562)의 반대편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가압스프링(3562)에 의해 상하 방향의 충격이 발생하는 경우에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에 의해 운반솥(3000)이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두 하부측벽부(3511)에는 각각 개구부(35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3513)에 끼워진 채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내주면이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측벽면과 접촉하여 자유 회전하는 측면바퀴(35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바퀴(3580)까지 구비되어 좌우 방향으로의 충격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일측의 측면바퀴(3580)에 설치되어 측면바퀴(3580)로 하여금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향해 밀착시키도록 하는 측면가압스프링(3590)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측면에서의 충격까지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안정적인 주행 및 회전부재의 반전시 무게 중심 변화에 따른 운반솥(3000)의 이탈을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르면, 취반된 밥을 바로 누룽지 가공기까지 도달시켜 공급하는 방식이 아니라 다수의 누룽지 가공기를 배설한 상태로, 누룽지 가공기 앞에 레일을 설치하는 한편, 취반된 밥을 공급받아 누룽지 가공기까지 운반하는 운반솥을 활용함으로써 취반된 밥 양과 누룽지 가공기에서 필요한 밥의 양이 상이하더라도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송반전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다수 연설된 누룽지 가공기에 밥을 공급할 수 있게 하여 생산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운반솥의 손잡이와 끼움 결합한 채 반전 회전하는 회전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밥의 배출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부바퀴와는 별도로, 레일 저부에 접촉하여 자유 회전하는 하부바퀴가 구비되어 상기한 회전부재의 반전 회전 및 이로 인한 밥의 배출에 따른 무게중심의 변화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측면에도 측면바퀴가 설치되어 이송반전장치의 좌우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하부바퀴는 시시와 같이 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한 연결편의 일측에 연결되는 한편, 반대편에는 가압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측면바퀴 중 일측에도 측면가압스프링이 설치되어 측면에서의 충격 역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가 적용된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용 전처리 설비는 크게 쌀저장탱크(1100), 정량배출탱크(1200), 세미장치(1300), 불림탱크(1400), 불림쌀공급장치(1500), 취반솥(1600), 전처리컨베이어(1700), 급수장치(1800), 솥뚜껑(1900), 뚜껑공급컨베이어(2000), 뚜껑로딩장치(2100), 레벨링장치(2200), 취반컨베이어(2300), 취반장치(2400), 뜸들임컨베이어(2500), 분기장치(2600), 뚜껑언로딩장치(2700), 왕복이동컨베이어(2750), 승강반전장치(2800), 밥교반장치(2900), 운반솥(3000),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 운반솥승강장치(3200), 운반솥상부컨베이어(3300), 운반솥이송레일(3400), 이송반전장치(3500), 밥이송컨베이어(3600), 세척공급컨베이어(3700), 세척전반전장치(3800), 세척기(3900), 세척배출컨베이어(4000), 세척후반전장치(4100), 1차환송컨베이어(4200), 솥뚜껑정지장치(4300), 2차환송컨베이어(4400), 환송뚜껑로딩장치(4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한 장치들의 작동을 자동 제어하기 위한 미도시된 컨트롤장치가 구비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쌀저장탱크(1100)는 도면과 같이 커다란 원통 케이스로 이루어져 있어 내부에 쌀이 저장되어 있다.
정량배출탱크(1200)는 쌀저장탱크(1100)로부터 쌀을 공급받아 세미장치(1300)로 정량 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도 2에 도시된 정량배출탱크(1200)는 상부탱크(1250)와 하부탱크(127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부탱크(1250)는 측면 일측이 상기 쌀저장탱크(1100)와 쌀공급관(1210)을 통해 연결되어 있고, 상부에는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흡입펌프(1221)가 설비된 공기흡입관(1220)이 연결되어 있다.
더불어, 상부탱크(1250) 내부에는 상기 쌀공급관(1210)을 통해 유입되는 쌀이 공기흡입관(1220)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망상구조의 차단필터(1230)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탱크(1250)의 하부에는 공기 및 쌀의 배출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개폐댐퍼(1240)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댐퍼(1240)는 공지의 다양한 형태, 예를 들어 회전도어 방식, 슬라이딩 도어 방식 등 다양한 댐퍼가 적용될 수 있으며, 개폐댐퍼(1240)의 제어는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따르며, 상기 흡입펌프(1221)의 작동과 연계되어 흡입펌프(1221)가 작동하여 쌀저장탱크(1100)로부터 쌀을 흡입할 경우에는 상부탱크(1250)의 하부를 차단하여 흡입압력이 원할히 쌀저장탱크(1100)에 가해지도록 하고, 상부탱크(1250)에 저장된 쌀을 하부탱크(1270)로 저장시키기 위해서는 개폐댐퍼(1240)는 개방되며, 이때 불필요한 흡입펌프(1221)의 작동은 중지되도록 한다.
더불어, 개폐댐퍼(1240)의 개방 신호는 하부탱크(1270) 내부에 미도시된 레벨센서가 설치됨으로써 센싱된 신호에 의해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할 것이다.
하부탱크(1270)는 상기 상부탱크(1250)의 하부에 설치되어 개폐댐퍼(1240)의 개방에 의해 상부탱크(1250)에 임시 저장된 쌀이 내부로 저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하부탱크(1270)의 하부에는 정량배출밸브(1260)가 설치되어 저장된 쌀이 정량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정량배출밸브(1260)의 제어는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따르게 됨은 자명하다 할 것다.
정량배출밸브(1260)가 설치됨에 따라 한 번에 세미할 쌀의 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며, 이는 세미장치(1300)에서 순환관(1340)을 이용하여 물과 쌀을 순환시켜 세미하는 것과 더불어 세미 효율을 높여줄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부탱크(1270)의 배출구 하부에는 경사지게 이루어진 경사부재가 설치되어 쌀이 원할하게 세미장치(1300)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세미장치(1300)는 상기 정량배출탱크(1200)로 배툴된 쌀을 공급받아 물을 이용하여 쌀을 세척(세미)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의 예는 세미탱크(1310), 외부탱크(1320), 급수관(1330), 순환관(1340) 및 쌀배출관(1350)으로 이루어져 있다.
세미탱크(1310)는 상기 하부탱크(1270)의 배출구 하부에 위치한 경사부재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정량배출탱크(1200)의 정량배출밸브(1260)의 개방을 통해 쌀이 내부로 저장되되, 측벽면이 망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망상 구조의 측벽면은 홀 크기가 쌀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로 이루어지고, 쌀보다 크기가 작은 이물질 및 물을 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외부탱크(1320)는 상기 세미탱크(1310)를 감싸 설치되어 있어 하기 급수관(1330)을 통해 공급된 물을 가두어두게 된다.
급수관(1330)은 외부의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고, 단부가 세미탱크(1310)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세미탱크(1310) 내부로 물을 공급한다.
순환관(1340)은 일측이 상기 세미탱크(1310)의 바닥면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세미탱크(1310) 상부에 위치하며, 관로상에 삼방밸브(1341)가 설치되어 있다.
순환관(1340)의 관로상에는 미도시된 순환펌프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세미 후의 쌀과 물은 순환관(1340) 일측을 통해 상승한 후 다시 세미탱크(1310) 상부에서 내부로 공급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세미가 이루어지게 된다.
쌀배출관(1350)은 상기 삼방밸브(1341)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세미탱크 내부에서 세미된 쌀을 불림탱크(1400) 측으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쌀배출관(1350)의 관로상이나, 불림탱크(1400)에 미도시된 흡입펌프가 설치되어 세미된 쌀은 불림탱크(1400)로 공급될 수 있다.
삼방밸브(1341)는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며, 세미 신호인 경우에는 계속 순환관(1340)을 개방 상태로 조절하고, 불림탱크(1400)로의 공급 신호인 경우에는 순환관(1340)의 관로 일측을 차단함으로써 분기 지점에서 세미된 쌀은 불림탱크(1400)로 공급되게 된다.
불림탱크(1400)는 세미장치(1300)에서 세미된 쌀과 물을 공급받아 저장한 채 쌀이 불려진 채 대기하도록 한다.
도 2의 예를 통해 살펴보면, 상기 세미장치(1300)의 쌀배출관(1350)이 상부에 연결되어 있어 내부에 세미된 쌀이 저장되고, 하부에는 정량배출밸브(1411)가 설치된 쌀배출관(1410)이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측벽 상부에 물배출관(1420)이 설치되어 있어 과량의 물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정량배출밸브(1411)는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제어되어 배출되는 쌀의 양이 조절되게 된다.
불림쌀공급장치(1500)는 상기 불림탱크(1400)에서 배출되는 쌀을 가두어 둔 채 불림탱크(1400)에 함께 저장되어 있던 물은 여과시킨 상태에서 취반솥(1600)에 쌀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2 및 도 3의 예는 불림쌀공급장치(1500)가 배수케이스(1510), 쌀저장케이스(1520), 덮개(1530) 및 슬라이딩도어(1540)로 구성되어 있다.
배수케이스(1510)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불림탱크(140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바닥 일측에 배수구(1511)가 형성되어 여과된 물이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중앙에는 쌀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쌀배출구(1512)가 형성되어 있다.
쌀저장케이스(1520)는 상기 배수케이스(15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측벽면이 망상 구조를 취하여 불림탱크(1400)에서 쌀과 함께 배출된 물이 망상 구조를 통해 배수케이스(1510)로 빠져나온 채 배수구(1511)를 통해 배출된다.
덮개(1530)는 상기 쌀저장케이스(1520)를 막아주게 되는데, 이러한 덮개(153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불림탱크(1400)의 쌀배출관(1410)을 감싸 이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체결부(1531)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부(1531)의 측면에 쌀배출관(1410)을 가압 고정하는 가압볼트(1532)가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덮개(1530)는 체결부(1531) 하부의 판상 부분 내주면이 상기 쌀저장케이스(1520)의 내벽면과 접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면의 구조는 덮개(1530)가 쌀저장케이스(1520)를 덮은 채 고정되는 구조를 취함과 더불어 쌀저장케이스(1520)가 망상 구조를 취해 불림탱크(1400)에 저장되어 있던 물의 배수가 원할히 이루어지게 되며, 가압볼트(1532)를 풀어 덮개(1530)의 높이를 조정한 후 다시 고정시키는 방식으로 1회 취반에 필요한 쌀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슬라이딩도어(154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배수케이스(1510)의 하부에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결합되어 상기 쌀배출구(1512)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간단하게는 엑츄에이터, 바퀴 등과 같은 도어구동장치(1541)가 설치되어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따라 자동으로 왕복 이동하여 선택적으로 쌀배출구(1512)를 개폐시키게 된다.
취반솥(1600)은 상기 상기 쌀저장케이스(1520)에 가두어진 상태에서 쌀배출구(1512)를 통해 하부로 낙하하는 쌀이 내부로 저장되도록 전처리컨베이어(1700)에 안착된 채 이동하는 과정에서 슬라이딩도어(1540)의 하부에 위치하며, 양측에 손잡이(1610)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를 취한다.
전처리컨베이어(170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취반솥(1600)을 지지하면서, 취반솥(1600)을 상기 불림쌀공급장치(1500)의 하부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한편, 급수장치(1800)는 상기 불림쌀공급장치(1500) 하부를 통과한 채 전처리컨베이어(1700)에 안착되어 있는 취밭솥(1600)에 취반용 물을 공급하는 것으로, 일측에 미표기된 정량공급밸브가 설치되고, 상수관 등을 통해 급수원과 연결된다.
솥뚜껑(1900)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취반솥(1600)을 개폐시키는 것으로, 상부에 자석에 부착되는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의 자력부착봉(1910)이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뚜껑공급컨베이어(20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솥뚜껑(1900)을 지지하면서 솥뚜껑(1900)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상기 전처리컨베이어(1700)와 평행하게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공급컨베이어(2000)에는 일측에 솥뚜껑(1900)이 뚜껑로딩장치(21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솥뚜껑(1900)을 일정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도 20에는 뚜껑공급컨베이어(2000)에 스토퍼(2010)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뚜껑로딩장치(21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레일부재(2110), 뚜껑로딩엑츄에이터(2120), 전자석봉(2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일부재(2110)는 미표기된 양측의 수직 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된 채 상기 뚜껑공급컨베이어(2000)와 전처리컨베이어(1700) 상부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레일부재(2110)와 치합되어 레일부재(2110)를 따라 이동하는 미표시된 이동부재가 설치됨과 더불어, 이동부재를 레일부재(2110) 상에서 이동시키는 유압,공압 실린더, 모터, 체인 등의 구동장치가 이동부재에 연결되며, 이동부재에는 유압 또는 공압 엑츄에이터로 이루어진 뚜껑로딩엑츄에이터(2120)가 설치되어 있다.
뚜껑로딩엑츄에이터(2120)는 로드(2121)가 하부에 위치한 채 실린더 몸체로부터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로드(2121)에는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전원 인가시 자성을 갖게 됨으로써 상기 뚜껑(1900)의 자력부착봉(1910)과 고정되는 전자석봉(213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뚜껑로딩장치(2100)는 뚜껑공급컨베이어(2000)를 따라 이동하는 뚜껑(1900)의 자력부착봉(1910)에 전자석봉(2130)이 고정된 상태에서 뚜껑로딩엑츄에이터(2120)가 뚜껑(1900)을 상향 이동시킨 다음, 레일부재(2110)를 따라 전처리컨베이어(1700) 상부 공간으로 이동한 다음, 뚜껑로딩엑츄에이터(2120)의 작동에 의해 뚜껑(1900)을 하향 이동시켜 전처리컨베이어(1700) 상에 위치한 취반솥(1600)에 안착시킨 다음, 전원 인가를 해제하여 고정을 해제한 상태로 다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가는 방식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뚜껑로딩장치(2100)의 구성은 취반솥(1600)에 뚜껑 설치하는 작업이 자동으로 진행되도록 해준다.
더불어, 이러한 뚜껑로딩장치(2100)의 작동은 전술한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며, 더불어 전처리컨베이어(1700) 및 뚜껑공급컨베이어(2000)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에 뚜껑(1900) 및 취반솥(160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이 센서들이 컨트롤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센싱된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할 것이다.
레벨링장치(2200)는 상기 뚜껑로딩장치(2100)를 통해 쌀과 물이 저장된 후 뚜껑(1900)이 장착된 취반솥(1600)을 좌우로 흔들어 취반솥(1600) 내부의 쌀이 평탄해지도록 해주는 장치이다.
도2, 4에는 구체적인 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의 예는 상하이동부재(2210), 수평이동부재(2220), 레벨링구동장치(2230), 전방턱(2240), 후방받침대(2250), 이동걸림턱(226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이동부재(2210)는 도시된 것처럼 상기 뚜껑로딩장치(2100) 하부를 통과한 채 전처리컨베이어(1700)에 안착되어 있는 취반솥(1600)의 하부에 이격된 채 위치하며, 그 상부 표면에는 상기 전처리컨베이어(170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방향레일(2211)이 설치되어 있고, 저부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레벨링승강엑츄에이터(2212)가 설치되어 있어 레벨링승강엑츄에이터(2212)의 작동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수평이동부재(2220)는 저부가 상기 횡방향레일(2211)과 치합되어 횡방향레일(2211)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한편, 레벨링구동장치(2230)는 유압, 공압 실린더나, 모터와 연결된 캠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수평이동부재(2220)에, 타측은 상하이동부재(2210)와 연결되어 상하이동부재(2210) 상부의 수평이동부재(2220)로 하여금 횡방향레일(2211)을 따라 좌우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더불어, 전방턱(2240)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평이동부재(2220)의 상부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ㄴ"자 단면 형상을 취하고, 레벨링승강엑츄에이터(2212)의 작동에 의해 상부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취반솥(1600)의 전방 하단 모서리가 걸려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받침대(2250)는 상기 취반솥(1600)의 후방 하단이 지지되도록 수평이동부재(2220)의 상부 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전방턱(2240)과 후방받침대(2250)의 사이에는 취반솥(1600)의 바닥면을 받쳐주는 바닥받침대(22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걸림턱(2260)은 도 4,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동부재(2220)에 후방받침대(2250)의 후방 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솥고정엑츄에이터(2261)가 연결되어 솥고정엑츄에이터(2261)의 작동에 의해 전처리컨베이어(17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취반솥(1600)의 후방 하측 벽면을 가압하여 지지하게 된다.
도 5에는 도 4에 도시된 레벨링장치(2200)의 작동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살펴보면 먼저, 전처리컨베이어(1700)를 따라 취반솥(1600)이 레벨링장치(2200) 상부로 위치하게 되면, 미도시된 센서 신호에 의해 컨트롤장치는 전처리컨베이어(1700)의 작동을 중지시키게 된다.
이때, 전방턱(2240), 후방받침대(2250), 이동걸림턱(2260)들은 전처리컨베이어(1700) 사이 공간에서 취반솥(1600) 저부와 이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도 5의 중간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레벨링승강엑츄에이터(2212)의 작동에 의해 전방턱(2240), 후방받침대(2250), 이동걸림턱(2260)들은 전처리컨베이어(1700) 사이 공간에서 취반솥(1600) 저부를 받치면서 취반솥(1600)을 전처리컨베이어(1700) 상부로 이격시킨다.
이어 우측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솥고정엑츄에이터(2261)가 작동하여 이동걸림턱(2260)이 취반솥(1600)의 후방 벽면을 밀어주게 되고, 취반솥(1600)의 전방 벽면은 전방턱(2240)에 걸리게 되어 취반솥(160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 다음에는 레벨링구동장치(2230)가 작동하여 수평이동부재(2220)를 좌우로 왕복 이동시켜주게 되면, 취반솥(1600) 역시 좌우로 왕복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취반솥(1600) 내부의 밥이 평탄화되게 된다.
이 후의 레벨링구동장치(2230)는 도 5의 반대 순으로 진행하여 취반솥(1600)이 다시 전처리컨베이어(1700) 상에 지지되도록 해준다.
이러한 레벨링장치(2200)의 위치는 뚜껑로딩장치(2100)와 바로 인접하여 연설되거나,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뚜껑로딩장치(2100)의 하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전처리컨베이어(1700) 상에 취반솥(1600)이 안착된 상태에서, 솥뚜껑(1900)이 체결된 채 상기 레벨링장치(2200)에서 쌀이 레벨링된 취반솥(1600)은 전처리컨베이어(1700)의 후방에 위치한 취반컨베이어(2300)에 안착되어 취반컨베이어(230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더불어, 취반장치(2400)는 상기 취반컨베이어(2300)를 감싸 설치되어 있으며, 취반솥(1600)에 열을 가해 취반시키게 된다.
이러한 취반장치(2400)는 취반솥(2400)의 하부에 열선이 설치되거나, 하부에 화염을 가하거나 하는 등의 다양한 공지의 취반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취반컨베이어(2300)는 정지하고 있거나, 취반 예정 시간에 맞추어 저속으로 취반솥(1600)을 이동시키도록 서행하게 된다.
뜸들임컨베이어(2500)는 상기 취반컨베이어(2300)의 후방에 위치하여 취반솥(1600)을 지지하면서 저속 이동시키면서 취반이 완료된 밥이 뜸들여지도록 한다.
따라서, 뜸들임컨베이어(2500)의 이동 속도는 상대적으로 다른 컨베이어에 비해 저속으로 작동하게 된다.
분기장치(2600)은 뜸들임컨베이어(2500)를 거치면서 뜸들이는 과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밥을 밥교반장치(2900)로 공급하기 위해 취반솥(1600)은 승강반전장치(2800) 측을 향해 이송시켜 취반솥(1600)을 뒤집은 상태에서 다시 돌아오도록 하는 한편, 솥뚜껑(1900)은 바로 세척기(39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컨베이어가 분기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한 분기장치(2600)의 일 예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는 이러한 연장컨베이어(2610)과 교차컨베이어(2620), 컨베이어승강장치(2630)로 구성된 예이다.
구체적으로 연장컨베이어(2610)는 상기 뜸들임컨베이어(2500)를 통과한 취반솥(1600)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공급되는 취반솥(160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취반솥(1600)을 지지하여 양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컨베이어의 축에는 미도시된 양방향 모터가 설치된다.
양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취반솥(1600)은 승강반전장치(2800) 측으로 이동한 후 다시 분기장치(2600)까지 되돌아와야 하기 때문이다.
교차컨베이어(2620)는 도시된 것처럼 공급되는 취반솥(1600)의 진행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취반솥(1600)을 지지하여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면의 예에서 연장컨베이어(2610)는 다수의 회전하는 롤러들이 서로 체인에 의해 연결되고, 일측에는 모터가 연결된 형태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다수의 롤러들 사이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교차컨베이어(2620)는 체인 컨베이어로 이루어져 롤러들 사이의 빈 공간에 설치되는 형태를 취한다.
한편, 컨베이어승강장치(2630)는 연장컨베이어(2610) 및 교차컨베이어(2620)의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연장컨베이어(2610)와 교차컨베이어(2620) 중 어느 하나를 승강시켜 취반솥(1600)이 두 컨베이어 중 어느 하나의 컨베이어에 지지되어 이동되도록 해준다.
도면에서 컨베이어승강장치(2630)는 연장컨베이어(2610)들의 하부를 지지하면서 상하로 승강시키는 유압 또는 공압 엑츄에이터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에 연결된 캠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컨베이어승강장치(2630)는 연장컨베이어(2610) 전체를 상향 이동시킬 수도 있으나, 컨베이어 간에 높이 차가 있는 경우 진행 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태가 되도록 일측만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아울러, 분기장치(2600) 및 인접한 컨베이어들의 높이는 컨베이어승강장치(2630)의 상하 구동에 따라 취반솥(1600) 및 솥뚜껑(1900)이 원할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높이 차를 두거나, 경사지게 구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뚜껑언로딩장치(2700)는 상기한 분기장치(2600)에서 취반솥(1600)과 솥뚜껑(1900)이 서로 분기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솥뚜껑(1900)을 승강시키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취반솥(1600)만을 승강반전장치(2800)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취반솥(1600)으로부터 솥뚜껑(1900)을 들어올리고, 취반솥(1600)이 연장컨베이어(2610) 및 왕복이동컨베이어(2750)를 따라 이동하고 난 후에는 다시 분기장치(2600)로 내려놓게 한 후, 교차컨베이어(2620) 및 세척공급컨베이어(3700)의 작동에 의해 세척기(3900) 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7에는 이를 위한 뚜껑언로딩장치(2700)의 구체적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예는 실린더고정프레임(2710), 언로딩엑츄에이터(2720) 및 전자석봉(2730)으로 구성된 것으로, 실린더고정프레임(2710)은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분기장치(26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언로딩엑츄에이터(2720)는 도면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실린더고정프레임(2710)에 설치되되, 로드(2721)가 하방을 향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전자석봉(2730)은 로드(2721)에 설치되어 외부 전원공급장치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자성을 띄어 상기 자력부착봉(1910)과 고정된다.
이러한 뚜껑언로딩장치(2700)는 분기장치(2600) 상부에 위치한 취반솥(1600)의 솥뚜껑(1900)을 자력부착봉(1910)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교차컨베이어(2620)상에 솥뚜껑(1900)이 안착되도록 해주게 된다.
왕복이동컨베이어(2750)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연장컨베이어(2610)의 진행 방향과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취반솥(1600)을 지지한 채 이동하도록 분기장치(2600)와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체인을 구동시키는 기어에 양방향이동모터(2751)가 연결되어 취반솥(1600)을 양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승강반전장치(2800)는 왕복이동컨베이어(2750)를 타고 이동하는 취반솥(1600) 내부의 밥을 밥교반장치(2900)로 공급하기 위해 취반솥(1600)을 승강 및 반전시키는 장치이다.
도 8에는 이러한 승강반전장치(2800)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승강반전장치(2800)는 수직레일부재(2810), 상하이동부재(2820), 반전회전부재(2830), 반전회전구동장치(2840)로 구성되어 있다.
수직레일부재(28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왕복이동컨베이어(2750)의 단부측을 마주보며 나란히 두 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하이동부재(2820)는 상기 수직레일부재(2810)와 치합되어 수직레일부재(2810)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하이동부재(2820)의 이동을 위해 두 수직레일부재(2810)을 포함한 타워형 프레임에는 상하로 체인이 설치되는 한편, 상하이동부재(2820)는 체인(2822)에 연결되고, 체인의 구동축에는 상하이동구동모터(2821)가 설치되어 모터의 양방향 회전에 의해 상하이동부재(2820)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더불어, 반전회전부재(2830)는 상기 상하이동부재(28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단부에는 상기 취반솥(1600)의 손잡이(1610)와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끼움부재(2831)가 설치되어 있다.
반전회전구동장치(2840)는 상기 반전회전부재(2830)와 연결되어 반전회전부재(283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반전회전구동장치(2840)는 양방향모터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전회전부재(2830)는 모터로부터 연장된 축에 일측이 고정되어 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승강반전장치(2800)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왕복이동컨베이어(2750)의 단부에 도달한 취반솥(1600)의 손잡이(1610)와 손잡이끼움부재(2831)가 끼움 결합한 채 수직레일부재(2810)를 따라 상승한 후 반전회전구동장치(2840)의 작동에 의해 반전회전부재(2830)를 수직레일부재(2810) 반대편으로 회전시켜 취반솥(1600)을 뒤집어 취반솥(1600) 내부의 밥을 밥교반장치(2900) 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밥의 배출이 완료된 후에는 도 9의 역순으로 진행하고, 취반솥(1600)이 왕복이동컨베이어(2750)에 안착된 상태에서 왕복이동컨베이어(275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분기장치(2600)로 이동하게 된다.
밥교반장치(2900)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반전장치(2800)에서 취반솥(1600)의 반전에 의해 배출된 밥이 내부로 공급되어 밥을 교반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살펴보면, 호퍼(2910)가 상기 수직레일부재(2810)의 반대편 상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호퍼(2910)는 상부가 개방되어 승강반전장치(2800)에 의해 뒤집어진 취반솥(1600)에서 낙하되는 밥이 저장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호퍼(2910)의 하부에는 하부에는 도어개방엑츄에이터(2911)와 연결되어 회전 개방되는 배출도어(2912)가 설치되어 있다.
이를 위해 도어개방엑츄에이터(2911)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호퍼(2910)를 지지하는 프레임 상에 일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도어개방엑츄에이터(2911)는 일측이 회전축에 의해 호퍼(2910)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도어개방엑츄에이터의 유압에 의해 로드가 밖으로 길게 빠져나오게 되면 배출도어(2912)는 폐쇄되고, 반대로 로드가 짧아지게 되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어가 배출도어(2912)가 개방된다.
한편, 호퍼(2910) 내부에는 교반스크류(29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외부에 교반모터(2921)가 교반스크류(2920)의 축심과 연결되어 있어 교반모터(2921)의 작동에 의해 교반스크류(2920)가 회전하면서 내부의 밥을 교반하게 된다.
이때, 호퍼(2910)에는 물공급노즐과 같은 물공급장치가 설치되어 내부에서 교반되는 밥이 호퍼(2910) 내벽면 및 교반스크류(2920)에 눌러붙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반솥(3000)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의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에 의해 지지되어 왕복 이동하게 되어 상기 밥교반장치(2900)의 배출도어(2912) 하부에 위치한다.
운반솥(3000)은 밥교반장치(2900)에서 배출되는 밥을 저장한 채 교반 후에 밥을 누룽지 제조를 위한 후속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운반솥(3000)은 취반솥(1600)과 같은 반전이 필요하기에 양측에 손잡이(3010)가 설치되어 취반솥(1600)과 동일한 형태를 취한다.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는 일단이 상기 밥교반장치(290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운반솥(3000)을 지지한 채 운반솥(3000)을 양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운반솥승강장치(3200)는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를 통해 운반된 운반솥(3000)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장치이다.
운반솥(3000)을 상부로 이동시키는 것은 운반솥(3000)에 저장된 밥을 후속 공정으로 배출함에 있어서 운반솥(3000)을 반전시켜 중력에 의해 낙하시켜 배출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높은 위치에 설치하여, 그 하부의 장치들과의 공간적인 간섭을 최소화하여 좁은 공장 내에서 설비를 배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러한 운반솥승강장치(3200)의 일 예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운반솥승강장치(3200)는 고정프레임(3210), 승강프레임(3220), 승강구동장치(3230), 승강컨베이어(3240)으로 구성된다.
고정프레임(32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 단부측에 위치한 채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에 승강레일(32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승강프레임(3220)은 일측 즉 배면이 상기 승강레일(3211)과 치합되어 승강레일(3211)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승강구동장치(3230)는 상기 승강프레임(3220)에 연결되어 승강프레임(3220)을 상하로 이동시킨다.
도면에서 승강구동장치(3230)는 고정프레임(3210) 상에 상하로 설치되어 있는 체인컨베이어와, 체인컨베이어의 일측 구동측에 연결되어 있는 양방향 모터로 구성되며, 체인컨베이어를 구성하는 체인이 상기 승강프레임(3220)에 연결되어, 양방향 모터의 구동에 의해 체인이 상하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승강프레임(3220)이 승강레일(3211)과 치합된 채 이동하게 된다.
더불어 승강컨베이어(3240)는 상기 승강프레임(32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승강프레임(3220)이 하향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를 따라 이동하는 운반솥(3000)을 공급받아 승강프레임(3220) 중앙으로 이송하고, 승강프레임(3220)이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승강프레임(3220) 외측으로 운반솥(300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 승강컨베이어(3240)는 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체인컨베이어로 이루어져 있다.
운반솥상부컨베이어(3300)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운반솥승강장치(3200)의 상부 좌우 양측에 위치하거나, 상부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승강컨베이어(3240)가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운반솥(3000)을 공급받아 지지하면서 각각 운반솥(3000)을 왕복 이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면과 같이 운반솥컨베이어(3300)가 운반솥승강장치(3200)의 양측에 위치하는 경우 운반솥(3000)은 두 개로 이루어져 각 컨베이어마다 하나씩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운반솥승강장치(3200)가 상승할 때마다 운반솥(300)은 서로 교대로 좌, 우측의 운반솥컨베이어(3300) 상으로 교대로 이동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운반솥(3000)이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로부터 일측의 운반솥상부컨베이어(3300)로 이동한 다음 이송반전장치(3500)에 의해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반대편의 운반솥(3000)은 반대로 타측의 운반솥이송레일(3400)로부터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로 이동하게 운용함으로써 양측의 운반솥(3000)이 운반솥승강장치(3200) 및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 상에서 중첩되지 않게 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운반솥상부컨베이어(3300)는 그 자체로 운반솥(3000)의 방향이 전환되지 않은 채 운반솥이송레일(3400) 앞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솥(3000)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여 이송반전장치(3500)를 통한 반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운반솥상부컨베이어(3300)는 진입 방향의 제1컨베이어 및 진입 컨베이어와 직교한 방향의 제2컨베이어로 구성되고, 제1컨베이어 및 제2컨베이어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제1컨베이어의 진행 방향과 연장되는 제3컨베이어와, 상기 제2컨베이어의 진행 방향과 연장되는 제4컨베이어가 평면상에서 서로 비중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4컨베이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이동장치가 설치되어, 컨베이어들의 교차 지점에서 운반솥(3000)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면서, 제3컨베이어 및 제4컨베이어의 작동 여부에 따라 운반솥(3000)이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운반솥이송레일(3400)은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운반솥상부컨베이어(3300)의 단부 측에 설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운반솥이송레일(3400)은 중앙 상부가 개방된 "┗┛"형의 단면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불어, 운반솥이송레일(3400)은 운반솥상부컨베이어(3300)와 마찬가지로 지면에서 높은 층고에 위치하므로 이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들이 구비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송반전장치(3500)는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운반솥(3000)을 지지한 채 이동하며, 지정된 위치에서 운반솥(3000)을 반전시켜 저장된 밥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를 위한 이송반전장치(3500)의 일 예가 도 12 내지 14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이송반전장치(3500)는 이동프레임(3510), 회전부재(3520), 회전구동장치(3530), 상부바퀴(3540), 바퀴구동장치(3550), 연결편(3560), 저부바퀴(3570), 측면바퀴(3580) 및 측면가압스프링(359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프레임(3510)은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 상부에 위치하되, 양측 하부에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측벽면을 감싸되, 각각 개구부(3513)가 형성되어 있는 하부측벽부(3511)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이동프레임(3510)의 상부에는 회전부재(3520)가 연결되기 위한 두 개의 돌출부(3512)가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회전부재(3520)는 상기 두 돌출부(35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단부에는 상기 운반솥(3000)의 손잡이(3010)가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끼움부재(3521)가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회전구동장치(3530)는 상기 회전부재(3520)를 회전 이동시키는 것으로, 도면에서는 양방향 모터로 구성되어 그 축이 회전부재(3520)와 고정된 채, 두 돌출부(3512)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부재(3520)를 회전시키게 되어 있다.
상부바퀴(3540)는 상기 이동프레임(35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부바퀴(3540)는 이동프레임(3510) 저부에 축고정부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좌우 양측의 두 상부바퀴(3540)를 연결하는 회전축이 상기 축고정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바퀴구동장치(3550)는 상기 상부바퀴(3540)와 연결되어 상부바퀴(354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전 후 두 회전축에 기어가 연결되고, 각 기어를 연결하는 체인이 구비되는 한편, 두 회전축 중 어느 하나는 구동모터와 연결함으로써 상부바퀴(3540)가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연결편(3560)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회전축(3561)을 통해 상기 하부측벽부(3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축(3561)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이 시이소와 같이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일측 단부에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는 가압스프링(3562)이 설치되어 있다.
저부바퀴(3570)는 상기 연결편의 타측 단부에 지지축(3571)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면이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저부에 접촉하여 자유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저부바퀴(3570)는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저부를 지지함에 따라 운반솥(3000)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은 기본이며, 이동간의 충격이나, 양측의 하중 불균형으로 인한 기울어지는 힘이 발생하는 경우 반대편의 가압스프링(3562)의 움직임에 의해 충격을 흡수하여 이동 간에 운반솥(30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측면바퀴(3580)는 상기 개구부(3513)에 끼워진 채 하부측벽부(3511)에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내주면이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측벽면과 접촉하여 자유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측면가압스프링(3590)은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의 측면바퀴(3580)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대응되어 측면바퀴(3580)의 축과 하부측벽부(3511) 사이를 가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를 통해 측면바퀴(3580)로 하여금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향해 밀착시켜 이동간의 좌우 유동을 억제하면서 좌우 충격에 쿠션을 제공하여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해준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이송반전장치(3500)는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운반솥(3000)을 지지한 채 이동하며,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회전구동장치(3530)의 작동에 의해 회전부재(3520)를 회전시켜 운반솥(3000)을 반전시켜 저장된 밥을 밥이송컨베이어(3600)로 배출시킨다.
이때, 밥이송컨베에어(3600)의 상부에는 내부 공간이 상광하협의 형상을 갖는 가이드호퍼(3610)가 설치되어 배출된 밥이 원할하게 밥이송컨베에어(360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밥이송컨베이어(3600)는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하부에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진행 방향과 교차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반전장치(3500)에서 운반솥(3000)의 반전에 의해 낙하된 밥을 후속공정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밥이송컨베이어(3600)의 경사진 하부에 낙하된 밥들은 밥이송컨베이어(3600)를 따라 상향 경사지게 이동한 다음 일정량식 분배되어 누룽지 가공기의 상부에 펼쳐진 상태에서 열이 가해져 누룽지가 제조된다.
밥을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장치는 다양한 공지의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세척공급컨베이어(3700)는 전술한 분기장치(2600)의 교차컨베이어(2620)의 진행 방향을 따라 상기 취반솥(1600)과 솥뚜껑(1900)을 지지한 채 이송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세척전반전장치(3800)는 세척공급컨베이어(3700)를 통해 공급된 취반솥(1600)을 상하 반전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가도 15 및 16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의 예를 살펴보면 세척전반전장치(3800)는 반전회전축(3810), 회전부재(38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반전회전축(3810)는 상기 세척공급컨베이어(3700)의 단부측 상부에 컨베이어를 감싸는 벽면이나 별도의 프레임에 연결되어 위치하며 일측에 회전구동모터(3811)가 연결되어 회전구동모터(381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더불어, 회전부재(3820)는 이송반전장치(3500)나 승강반전장치(2800)의 반전 구성과 마찬가지로, 상기 반전회전축(3810)에 단부가 연결되어 반전회전축(381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단부에 상기 취반솥(1600)의 손잡이(1610)가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끼움부재(3821)가 설치되어 있어 세척공급컨베이어(3700)를 통해 공급된 취반솥(1600)을 상하 반전시키게 된다.
도 16에는 이러한 반전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반전 과정을 거치게 되면 승강반전장치(2800)로 공급되어 내부의 밥을 배출하고 난 후의 취반솥(1600)을 뒤집어 내부가 아래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세척 및 세척 후의 물기 제거가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세척기(3900)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세척컨베이어(3910), 세척조(3920) 및 세척노즐(39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척컨베이어(3910)는 세척전반전장치(3800)의 작동에 의해 반전된 취반솥(1600)과, 세척공급컨베이어(3700)를 통해 공급되는 솥뚜껑(1900)을 지지하여 이송하게 되며, 세척조(3920)는 상기 세척컨베이어(3910)을 감싸 설치되어 있다.
더불어, 세척노즐(3930)은 상기 세척조(392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세척컨베이어(370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하부와 상부를 향해 세척액을 분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세척기(3900)의 구성은 일 예에 불과하며,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식기세척기의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세척배출컨베이어(4000)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세척컨베이어(3910)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취반솥(1600)과 솥뚜껑(1900)을 지지한 채 이송하게 된다.
세척후반전장치(4100)는 뒤집어진 채 세척된 취반솥(1600)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반전시켜 전처리컨베이어(170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세척전반전장치(3800)와 대칭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배출컨베이어(40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일측에 회전구동모터(4111)가 연결되어 회전구동모터(4111)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반전회전축(4110)과, 상기 반전회전축(4110)에 단부가 연결되어 반전회전축(411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단부에 상기 취반솥(1600)의 손잡이(1610)가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끼움부재(4121)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부재(4120)로 구성되어 세척배출컨베이어(4000)를 통해 뒤집어진 상태로 공급된 취반솥(1600)을 원래의 위치로 상하 반전시키게 된다.
1차환송컨베이어(4200)는 상기 세척후반전장치(4100)에서 반전된 취반솥(1600)과 세척배출컨베이어(4000)로부터 공급된 솥뚜껑(1900)을 지지한 채 이송하는 것으로, 공지의 다양한 컨베이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세척이 완료된 상태에서 솥뚜껑(1900)이 뒤집혀지지 않은 채 이송되기 때문에 표면이 항균 처리가 되어 있는 플레이트들로 구성된 도시된 판상 컨베이어나, 항균 처리된 벨트 컨베이어와 같은 컨베이어로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솥뚜껑정지장치(430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솥뚜껑(1900)이 이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는 환송뚜껑로딩장치(4500)를 통해 솥뚜껑(1900)을 뚜껑공급컨베이어(2000)로 이송시키기 위해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솥뚜껑정지장치(4300)는 뚜껑고정엑츄에이터(4310)와 걸림부재(4320)로 구성된다.
뚜껑고정엑츄에이터(4310)는 상기 1차환송컨베이어(4200)의 양측에 컨베이어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걸림부재(4320)는 상기 뚜껑고정엑츄에이터(4310)의 로드(4311)에 연결되어 있으며, 뚜껑고정엑츄에이터(4310)의 로드(4311)가 상향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솥뚜껑(1900)의 전단부에 걸려 솥뚜껑(1900)의 이동을 중지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뚜껑고정엑츄에이터(4310)의 작동 신호는 솥뚜껑(1900)이 근접되는 위치에 위치감지센서가 설치되고, 위치감지센서의 신호를 컨트롤장치가 수신하여 뚜껑고정엑츄에이터(431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작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취반솥(1600)이 근접하는 경우에는 뚜껑고정엑츄에이터(4310)가 작동하지 않으므로 취반솥(1600)은 1차환송컨베이어(4200)의 끝까지 방해 없이 이동하게 된다.
2차환송컨베이어(4400)는 상기 1차환송컨베이어(4200)로부터 취반솥(1600)을 공급받아 지지한 채 취반솥(1600)을 상기 전처리컨베이어(1700)로 공급하게 된다.
환송뚜껑로딩장치(4500)는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뚜껑로딩장치(2100)와 동일한 형태를 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1차환송컨베이어(4200)와 뚜껑공급컨베이어(2000)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레일부재(4510)가 설치되고, 상기 레일부재(4510)를 따라 뚜껑로딩엑츄에이터(4520)가 이동하며, 뚜껑로딩엑츄에이터(4520) 하부에 로드(4521)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자성을 띄어 상기 자력부착봉(1910)과 고정되는 전자석봉(4530)이 상기 로드(4521)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솥뚜껑정지장치(4300)에 의해 정지된 솥뚜껑(1900)을 환송뚜껑로딩장치(4500)가 고정하여 들어올린 채 뚜껑공급컨베이어(2000)로 이동시켜 안착시킴으로써 세척이 완료된 솥뚜껑(1900)이 물 공급이 완료된 취반솥(1600)에 안착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성에서 상기 뜸들임컨베이어(2500), 왕복이동컨베이어(2750), 2차환송컨베이어(4400), 운반솥상부컨베이어(3300) 중 어느 하나 내지 모두는 취반솥(1600) 진입 측이 되는 제1컨베이어(4600) 및 상기 제1컨베이어(4700)와 직교한 채 취반솥(1600) 진출 측이 되는 제2컨베이어(470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컨베이어(4600) 및 제2컨베이어(4700)가 교차하는 부분에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컨베이어(4600)의 진행 방향과 연장되는 제3컨베이어(4800)와, 상기 제2컨베이어(4700)의 진행 방향과 연장되는 제4컨베이어(4900)가 평면상에서 서로 비중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4컨베이어(49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컨베이어승강장치(5000)가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 컨베이어승강장치(5000)는 제4컨베이어(4900)에 연결된 이를 승강시키는 엑츄에이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캠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컨베이어들의 교차 지점에서 취반솥(1600)의 진행 방향이 변경될 뿐만 아니라, 제3컨베이어(4800) 및 제4컨베이어(490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취반솥(1600)이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는 여부가 조절되게 되는 바, 각 공정상의 취반솥(1600)들의 이동 과정에서의 대기 상태를 소량의 전력을 사용하면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용 전처리 설비의 작동 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컨베이어들의 배치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컨베이어들은 전처리컨베이어(1700), 취반컨베이어(2300), 뜸들임컨베이어(2500), 분기장치(2600), 세척공급컨베이어(3700), 세척컨베이어(3910), 세척배출컨베이어(4000), 1차환송컨베이어(4200), 2차환송컨베이어(4400)가 도 1과 같이 전체적으로 평면상 장방형의 상태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고,
분기장치를 기점으로 왕복이동컨베이어(2750)가 분기되어 배치되며, 1차환송컨베이어(4200)와 전처리컨베이어(1700)의 사이에는 뚜껑공급컨베이어(2000)가 평행하게 별도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밥교반장치(2900)의 하부에는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가 운반솥승강장치(3200)까지 배치되어 있으며, 운반솥승강장치(3200)의 상측에는 좌우 양측으로 운반솥상부컨베이어(330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컨베이어들의 배치 상태에서 취반솥(1600), 솥뚜껑(1900), 운반솥(300)의 이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취반솥(1600)은 전처리컨베이어(1700)로부터 분기장치(2600)를 거쳐 왕복이동컨베이어(2750)의 끝까지 도달한 후, 왕복이동컨베이어(2750)에서 분기장치(2600)로 되돌아 온 후 분기장치(2600)에서 세척공급컨베이어(3700), 세척컨베이어(3910), 세척배출컨베이어(4000), 1차환송컨베이어(4200), 2차환송컨베이어(4400)를 거쳐 다시 전처리컨베이어(1700)로 이동하게 된다.
솥뚜껑(1900)은 분기장치(2600)상에서 취반솥(1600)으로부터 뚜껑언로딩장치(2700)를 통해 분리된 후, 세척공급컨베이어(3700), 세척컨베이어(3910), 세척배출컨베이어(4000), 1차환송컨베이어(4200)에 도달한 다음 환송뚜껑로딩장치(4500), 뚜껑로딩장치(2100)를 통해 전처리컨베이어(1700) 상의 취반솥(1600)에 안착된다.
한편, 운반솥(3000)은 상기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 승강컨베이어(3240), 운반솥상부컨베이어(3300) 상으로 이동한 다음 이송반전장치(3500)에 고정된 상태로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이동하다 반전된 후, 역순으로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까지 이동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용 전처리 설비를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동이 개시되면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흡입펌프(1221)가 작동하면서 개폐댐퍼(1240)는 차단된다.
이에 따라 정량배출탱크(1200)의 상부탱크(1250)로 쌀공급관(1210)을 통해 쌀저장탱크(1100)에 저장되어 있던 쌀이 상부탱크(1250)로 유입된다.
이어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흡입펌프(1221)의 작동이 중지되면서 쌀 공급이 중지되고, 개폐댐퍼(1240)가 개방되면서 상부탱크(1250)의 쌀이 하부탱크(1270)로 저장된다.
이어 정량배출탱크(1200)의 정량배출밸브(1260)가 개방되어 정량의 쌀이 세미탱크(1310)으로 공급된다.
컨트롤장치(1300)는 급수관(1330)에 설치되는 개폐밸브를 제어하여 급수관(1300)을 통해 물이 세미탱크(1310)로 공급되된 후 삼방밸브(1341)로 하여금 쌀 배출관(13550) 측을 차단한 채 펌프를 통해 순환시켜 세미탱크(1310)에서 쌀과 물이 순환관(1340)을 통해 계속 순환하면서 세미가 이루어진다.
세미가 완료된 후 삼방밸브(1341)는 방향 전환되어 쌀배출관(1350)을 개방시키고, 펌프 등의 작동에 의해 세미가 완료된 쌀과 물은 쌀배출관(1350)을 통해 불림탱크(1400)로 공급된다.
이어 컨트롤장치는 불림탱크(1400)의 정량배출밸브(1411)를 조절하여 정량의 쌀과 물의 혼합물이 쌀저장케이스(1520)로 공급된다.
이때, 물은 망상 구조의 쌀저장케이스(1520)에서 빠져나와 배수케이스(1510)상의 배수구(1511)로 배수된다.
여기서, 쌀배출관(1410)에 결합된 덮개(1530)는 공급되는 쌀저장케이스(1520)의 상부를 막고 있어 물의 배수가 원할히 이루어지면서 정량의 쌀이 쌀저장케이스(1520) 내부에 저장된다.
이때, 덮개(1530)의 높이를 가압볼트(1532)로 조절하여 취반에 필요한 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정량의 쌀이 쌀저장케이스(1520)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컨트롤장치는 슬라이딩도어(1540)를 개폐시키는 신호를 보내 슬라이딩도어(1540)가 이동하여 쌀저장케이스(1520)의 쌀이 하부로 낙하한다.
이때, 전처리컨베이어(1700) 상의 취반솥(1600)이 하부에 위치하여 취반솥(1600)에 쌀이 저장된다.
이어 컨트롤장치는 전처리컨베이어(1700)에 구동 신호를 보내어 전처리컨베이어(1700)가 이동하여 급수장치(1800) 하부에 위치하여 취반솥(1600)에 정량의 물이 저장된다.
이어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취반솥(1600)은 다시 이동한 후 정지하게 되며, 이때 뚜껑공급컨베이어(2000) 상에 위치한 솥뚜껑(1900)은 뚜껑로딩장치(2100)의 작동에 의해 취반솥(1600) 위에 안착된다.
이어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취반솥(1600)은 다시 이동하여 레벨링장치(2200) 위에 위치하고, 레벨링장치(2200)는 레벨링승강엑츄에이터(2212)의 작동에 의해 취반솥(1600)을 전처리컨베이어(1700) 위로 이격시키고, 솥고정엑츄에이터(2261)의 작동에 의해 취반솥(1600)의 하부를 고정시킨다.
이어 레벨링구동장치(2230)의 작동에 의해 수평이동부재(2220)가 좌우로 왕복 이동하게 되며, 이로 인해 취반솥(1600) 내부의 쌀 레벨링이 이루어지게 된다.
레빌링이 이루어지는 시점은 솥뚜껑(1900)이 취반솥(1600)에 안착된 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안착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레벨링까지 완료된 취반솥(1600)은 전처리컨베이어(1700)의 작동에 의해 계속 이동하여 취반컨베이어(2300) 위에 안착되어 이동하기 시작되며, 취반컨베이어를 감싸 설치된 취반장치(2400)에서 취반이 이루어지게 된다.
취반이 완료된 후 취반솥(1600)은 취반컨베이어에서 뜸들임컨베이어(2500) 위로 안착되어 서서히 이동하면서 뜸들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뜸들임컨베이어(2500)를 통과한 취반솥(1600)은 분기장치(2600) 위에 도달하게 되며, 분기장치(2600) 위에 정위치한 상태에서 컨트롤장치의 제어에 의해 뚜껑언로딩장치(2700)가 솥뚜껑(1900)을 들어올리고, 이어 분기장치(2600)가 작동하여 취반솥(1600)은 왕복이동컨베이어(2750)로 이동하게 되며, 뚜껑언로딩장치(2700)의 작동에 의해 솥뚜껑(1900)이 하강하여 분기장치(2600) 위에 안착되고, 분기장치(2600)는 솥뚜껑(1900)을 취반솥(1600)과 다르게 세척공급컨베이어(3700)로 이동시킨다.
한편, 왕복이동컨베이어(2750)의 단부에 도달한 취반솥(1600)은 승강반전장치(2800)에 의해 손잡이(1610)가 고정된 채 수직레일부재(2810)를 따라 상승한 다음, 반전회전구동장치(2840)의 작동에 의해 반전 회전하여 뒤집어진 취반솥(1600)에서 밥이 호퍼(2910)에 낙하된다.
밥이 호퍼(2910) 내부에 저장된 상태에서 교반스크류(2920)의 회전에 의해 밥이 교반된 후, 도어개방엑츄에이터(2911)의 작동에 의해 배출도어(2912)가 개방되어 호퍼(2910) 내의 밥이 낙하된다.
이때, 호퍼(2910) 하부에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가 위치하고, 그 위에 운반솥(3000)이 위치하여 낙하된 밥은 운반솥(3000)에 저장된다.
그런 다음 운반솥하부컨베이어(3100)가 작동하여 운반솥(3000)은 운반솥승강장치(3200)로 이동한다.
이때, 운반솥승강장치(3200)의 승강프레임(3220)은 승강레일(3211)의 하부에 위치하며, 승강프레임(3220)에 위치한 승강컨베이어(3240)가 작동하여 운반솥(3000)을 승강프레임(3220) 정중앙에 위치시킨 후, 승강프레임은 승강레일(3211)을 따라 상승한다.
상단까지 승강프레임(3220)이 이동한 다음 승강컨베이어(3240)가 좌우 어느 한 쪽으로 구동을 시작하게 되며, 운반솥(3000)은 운반솥상부컨베이어(340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운반솥(3000)이 운반솥상부컨베이어(3400)의 끝에 도달하게 되면, 운반솥이송레일(3400)에 위치한 이송반전장치(3500)이 운반솥(3000) 앞의 위치로 이동하여 이송반전장치(3500)의 손잡이끼움부재(3521)에 운반솥(3000)의 손잡이(3010)가 끼움 결합된다.
그런 다음 이송반전장치(3500)의 바퀴구동장치(3550)가 작동하여 이송반전장치(3500)가 지정된 위치로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타고 이동한다.
이어 회전구동장치(3530)가 작동하여 운반솥(3000)을 밥이송컨베이어(3600) 상부에서 반전시켜 운반솥(3000)에 저장된 밥을 밥이송컨베이어(3600)로 낙하시키며, 후속의 누룽지 가공기에서 누룽지로 가공하게 된다.
운반솥(3000)의 반전이 이루어진 후 운반솥(300)은 역순으로 이동하여 다시 호퍼(2910)까지 이동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왕복이동컨베이어(2750)의 단부에 도달한 채 반전하여 밥이 호퍼(2910)에 낙하된 후 취반솥(1600)은 다시 역순으로 분기장치(2600)까지 도달하고, 분기장치(2600)의 작동에 의해 솥뚜껑(1900)이 이동한 세척공급컨베이어(3700)를 타고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세척공급컨베이어(3700) 상에는 솥뚜껑(1900)과 취반솥(1600)이 교대로 이동하는데, 솥뚜껑(1900)은 세척전반전장치(3800)의 하부를 통과하고, 취반솥(1600)은 세척전반전장치(3800)에 의해 상하로 반전되어 솥뚜껑(1900)이 뒤집어진 상태가 된 후, 세척컨베이어(39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세척조(3920) 내부에서 세척이 이루어진다.
세척이 완료된 후 솥뚜껑(1900)과 취반솥(1600)은 세척배출컨베이어(4000)를 따라 이동하며, 취반솥(1600)만이 세척후반전장치(4100)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반전된다.
그런 다음 취반솥(1600)과 솥뚜껑(1900)은 1차환송컨베이어(4200)를 따라 이동하며, 솥뚜껑(1900)이 솥뚜껑정지장치(4300) 앞에 도달하면, 솥뚜껑정지장치(4300)의 작동에 의해 솥뚜껑(1900)의 움직임이 멈추며, 환송뚜껑로딩장치(4500)에 의해 솥뚜껑(1900)은 뚜껑공급컨베이어(2000) 상으로 위치한 채 이동하게 된다.
더불어, 솥뚜껑(1900)이 환송뚜껑로딩장치(4500)에 의해 이동한 후 솥뚜껑정지장치(430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취반솥(1600)은 계속 이동하여 2차환송컨베이어(4400)를 거쳐 전처리컨베이어(1700) 상으로 이동하여 일련의 사이클이 완료된다.
이상과 같은 과정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뜸들임컨베이어(2500), 왕복이동컨베이어(2750), 2차환송컨베이어(4400)는 제1컨베이어(4600) 제2컨베이어(4700)로 나뉘어 이동 경로가 변경되도록 구성되고, 그 사이에 제3컨베이어(4800)와 제4컨베이어(4900)가 평면상에서 서로 비중첩되도록 설치된 채 컨베이어승강장치(5000)의 제어에 의해 컨베이어들의 교차 지점에서 취반솥(1600)의 진행 방향이 변경되면서, 제3컨베이어(4800) 및 제4컨베이어(4900)의 작동 여부에 따라 취반솥(1600)이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는 여부가 조절되어 상술한 솥들의 반전, 솥뚜껑의 로딩, 언로딩 작업 동선이 원할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설비 구성에 의해, 누룽지의 제조에 있어 취반된 밥을 이용하여 양질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되, 누룽지를 제조하는 본 공정에 앞서 필요한 쌀 공급, 세미, 불림, 레벨링, 물 공급, 취반, 교반, 솥 세척 등의 공정을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자동화된 방식의 처리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품질이 우수하면서도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한 공장 내에서 취반과, 밥을 가열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공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경우 다량의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 인력의 열사병 등 안전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는데, 인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설비를 제공함으로써 안전 관리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자동화된 취반 설비에서 단순히 취반 공정만이 컨베이어 라인을 따라 자동으로 진행되던 것과 달리, 쌀의 공급, 세미, 불림, 밥솥으로의 불림 쌀의 공급, 밥솥으로의 물 공급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전자석을 이용하여 밥솥에 뚜껑을 장착하는 공정까지 무인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밥솥에 뚜껑이 장착된 후 컨베이어 위에 안착되어 있는 밥솥을 좌우로 흔들어주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취반 전에 밥솥 내의 쌀이 평탄하게 레벨링시켜줌으로써 취반된 밥의 품질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취반이 이루어진 후 누룽지를 제조하기 위해 각각의 누룽지 가공기로 밥을 공급함에 있어서 취반솥과 동일한 구조를 취하는 운반솥을 준비하여 운반솥을 이용하여 취반된 밥을 각 누룽지 가공기로 공급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취반된 밥이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한 변질이나 이물질의 침투 가능성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운반솥을 이용함에 따라 취반솥의 이동 경로를 단축시켜 취반 생산성을 향상시켜 누룽지 생산량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또, 운반솥을 이용함에 따라 취반솥과 솥뚜껑을 자동으로 세척하고, 세척한 취반솥과 솥뚜껑은 취반기 측으로 이동하는 설비를 제공함으로써 위생적인 취반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취반솥에 저장된 밥을 교반기에 투입하여 교반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본 공정인 누룽지 가공 전에 밥이 균질화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누룽지의 품질이 균일해질 수 있게 된다.
더불어, 교반기에서 배출되는 밥이 운반솥에 저장된 채 각각의 누룽지 가공기로 공급되도록 레일 장치가 구비되되, 레일은 엘리베이팅 장치를 이용하여 높은 위치에 위치케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설비 배치의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각 누룽지 가공기로 밥을 공급하기 위한 이송장치에는 레일의 상면, 측면, 저면에 접촉하는 바퀴가 구비되고, 저면의 바퀴는 탄성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간의 충격이나, 운반솥의 반전 과정에서의 하중 치우침 등에 의해 운반솥이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안정적인 밥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1100 : 쌀저장탱크 1200 : 정량배출탱크
1210 : 쌀공급관 1220 : 공기흡입관
1221 : 흡입펌프 1230 : 차단필터
1240 : 개폐댐퍼 1250 : 상부탱크
1260 : 정량배출밸브 1270 : 하부탱크
1300 : 세미장치 1310 : 세미탱크
1320 : 외부탱크 1330 : 급수관
1340 : 순환관 1341 : 삼방밸브
1350 : 쌀배출관 1400 : 불림탱크
1410 : 쌀배출관 1411 : 정량배출밸브
1420 : 물배출관 1500 : 불림쌀공급장치
1510 : 배수케이스 1511 : 배수구
1512 : 쌀배출구 1520 : 쌀저장케이스
1530 : 덮개 1531 : 체결부
1532 : 가압볼트 1540 : 슬라이딩도어
1600 : 취반솥 1610 : 손잡이
1700 : 전처리컨베이어 1800 : 급수장치
1900 : 솥뚜껑 1910 : 자력부착봉
2000 : 뚜껑공급컨베이어 2100 : 뚜껑로딩장치
2110 : 레일부재 2120 : 뚜껑로딩엑츄에이터
2130 : 전자석봉 2200 : 레벨링장치
2210 : 상하이동부재 2211 : 횡방향레일
2212 : 레벨링승강엑츄에이터 2220 : 수평이동부재
2230 : 레벨링구동장치 2240 : 전방턱
2250 : 후방받침대 2260 : 이동걸림턱
2261 : 솥고정엑츄에이터 2300 : 취반컨베이어
2400 : 취반장치 2500 : 뜸들임컨베이어
2600 : 분기장치 2610 : 연장컨베이어
2620 : 교차컨베이어 2630 : 컨베이어승강장치
2700 : 뚜껑언로딩장치 2710 : 실린더고정프레임
2720 : 언로딩엑츄에이터 2730 : 전자석봉
2750 : 왕복이동컨베이어 2800 : 승강반전장치
2810 : 수직레일부재 2820 : 상하이동부재
2830 : 반전회전부재 2840 : 반전회전구동장치
2900 : 밥교반장치 2910 : 호퍼
2911 : 도어개방엑츄에이터 2912 : 배출도어
2920 : 교반스크류 2921 : 교반모터
3000 : 운반솥 3010 : 손잡이
3100 : 운반솥하부컨베이어 3200 : 운반솥승강장치
3210 : 고정프레임 3220 : 승강프레임
3230 : 승강구동장치 3240 : 승강컨베이어
3300 : 운반솥상부컨베이어 3400 : 운반솥이송레일
3500 : 이송반전장치 3510 : 이동프레임
3511 : 하부측벽부 3512 : 돌출부
3513 : 개구부 3520 : 회전부재
3521 : 손잡이끼움부재 3530 : 회전구동장치
3540 : 상부바퀴 3550 : 바퀴구동장치
3560 : 연결편 3561 : 회전축
3562 : 가압스프링 3570 : 저부바퀴
3571 : 지지축 3580 : 측면바퀴
3590 : 측면가압스프링 3600 : 밥이송컨베이어
3700 : 세척공급컨베이어 3800 : 세척전반전장치
3810 : 반전회전축 3811 : 회전구동모터
3820 : 회전부재 3821 : 손잡이끼움부재
3900 : 세척기 3910 : 세척컨베이어
3920 : 세척조 3930 : 노즐
4000 : 세척배출컨베이어 4100 : 세척후반전장치
4110 : 반전회전축 4111 : 회전구동모터
4120 : 회전부재 4121 : 손잡이끼움부재
4200 : 1차환송컨베이어 4300 : 솥뚜껑정지장치
4310 : 뚜껑고정엑츄에이터 4320 : 걸림부재
4400 : 2차환송컨베이어 4500 : 환송뚜껑로딩장치
4510 : 레일부재 4520 : 뚜껑로딩엑츄에이터
4530 : 전자석봉 4600 : 제1컨베이어
4700 : 제2컨베이어 4800 : 제3컨베이어
4900 : 제4컨베이어 5000 : 컨베이어이동장치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양측에 손잡이(3010)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취반된 밥이 저장되는 운반솥(3000)에 저장된 밥을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하부에 배치된 다수의 밥이송컨베이어(3600)에 투입하기 위한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부에 두 개의 돌출부(3512)가 서로 이격된 채 밥이송컨베이어(3600)를 향해 설치되어 있는 이동프레임(3510)과;
    상기 이동프레임(3510)의 상기 두 돌출부(35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운반솥(3000)의 손잡이(3010)가 끼움 결합되는 손잡이끼움부재(3521)가 설치되어 있는 회전부재(3520)와;
    상기 회전부재(3520)를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운반솥(3000)의 손잡이(3010)가 끼움 결합되도록 하거나, 운반솥(3000)을 밥이송컨베이어(3600) 측 방향으로 회전시켜 운반솥(3000)을 반전시켜, 운반솥(3000)에 저장된 밥을 배출하도록 이루어진 회전구동장치(353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3510)은,
    상기 이동프레임(35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하도록 이루어진 상부바퀴(3540)와;
    상기 상부바퀴(3540)와 연결되어 상부바퀴(3540)를 회전시키는 바퀴구동장치(3550);가 설치됨으로써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이동프레임(3510)의 양측 하부에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측벽면을 감싸는 하부측벽부(35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측벽부(3511)에 연결편(3560)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편(3560)의 타측 단부에 지지축(3571)을 통해 저부바퀴(3570)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저부바퀴(3570)는 상면이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저부에 접촉하여 자유 회전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연결편(3560)은 중간 부분이 회전축(3561)을 통해 상기 하부측벽부(35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편(3560)의 일측 단부에는 일측이 하부측벽부(3511)와 연결되는 가압스프링(3562)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3571)은 연결편(3560)의 회전축(3561)을 기준으로 가압스프링(3562)의 반대편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두 하부측벽부(3511)에는 각각 개구부(35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구부(3513)에 끼워진 채 자유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내주면이 상기 운반솥이송레일(3400)의 측벽면과 접촉하여 자유 회전하는 측면바퀴(358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일측의 측면바퀴(3580)에 설치되어 측면바퀴(3580)로 하여금 운반솥이송레일(3400)을 향해 밀착시키도록 하는 측면가압스프링(3590);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KR1020170120256A 2017-09-19 2017-09-19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KR101804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256A KR101804549B1 (ko) 2017-09-19 2017-09-19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0256A KR101804549B1 (ko) 2017-09-19 2017-09-19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549B1 true KR101804549B1 (ko) 2017-12-04

Family

ID=6092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256A KR101804549B1 (ko) 2017-09-19 2017-09-19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54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9361A (zh) * 2019-10-11 2019-12-20 易葫芦科技(苏州)有限公司 中药自动化煎煮药液缓存保温灭菌设备及其方法
JP2020080690A (ja) * 2018-11-21 2020-06-04 株式会社サタケ 炊飯設備及び該炊飯設備用の搬送装置
KR20200117669A (ko) * 2019-04-05 2020-10-14 손영익 박스의 판지 분배 공급 장치
KR20220027578A (ko) * 2020-08-27 2022-03-08 이태원 누룽지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밥솥 이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086Y1 (ko) * 2006-09-04 2006-11-14 신정관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1086Y1 (ko) * 2006-09-04 2006-11-14 신정관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80690A (ja) * 2018-11-21 2020-06-04 株式会社サタケ 炊飯設備及び該炊飯設備用の搬送装置
JP7250246B2 (ja) 2018-11-21 2023-04-03 株式会社サタケ 炊飯設備
KR20200117669A (ko) * 2019-04-05 2020-10-14 손영익 박스의 판지 분배 공급 장치
KR102229439B1 (ko) 2019-04-05 2021-03-18 손영익 박스의 판지 분배 공급 장치
CN110589361A (zh) * 2019-10-11 2019-12-20 易葫芦科技(苏州)有限公司 中药自动化煎煮药液缓存保温灭菌设备及其方法
CN110589361B (zh) * 2019-10-11 2023-09-12 易葫芦科技(苏州)有限公司 中药自动化煎煮药液缓存保温灭菌设备及其方法
KR20220027578A (ko) * 2020-08-27 2022-03-08 이태원 누룽지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밥솥 이송장치
KR102418377B1 (ko) 2020-08-27 2022-07-06 이태원 누룽지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밥솥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4779B1 (ko) 운반솥을 이용한 누룽지 제조용 전처리 설비
KR101850084B1 (ko) 누룽지 제조용 전처리 설비
KR101804549B1 (ko)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KR101944778B1 (ko) 누룽지 제조용 취반 전처리 설비
WO2008083516A1 (fr) Système de cuisine robotisé entièrement automatique
CN207890625U (zh) 一种智能化无人餐厅
KR102341587B1 (ko) 자동 튀김 시스템
CN209202056U (zh) 一种米饭加工线扒松机
CN107411594A (zh) 一种家用智能打蛋机器人
CN107316386B (zh) 一种智能早餐供应机
KR102284617B1 (ko) 자동연속 취반시스템
CN111772486A (zh) 一种自动粉面烹饪工作站及运作方法
CN204667535U (zh) 全自动汤类食品加工、售卖设备
CN211299477U (zh) 智能高效自动烹饪设备
CN109588468B (zh) 全自动洗虾煮虾设备
CN108936213A (zh) 一种旋转卤锅式自动卤煮装置及卤煮方法
JP7060913B1 (ja) 食品撹拌装置
KR101754073B1 (ko) 자동 면 삶는 장치
JP2015167542A (ja) 炊飯設備における浸漬装置
CN109259145B (zh) 一种用于土豆片烘干的自动化设备
KR102003508B1 (ko) 국수 자동 조리 장치
JP3888206B2 (ja) 炒め物の製造装置
CN207890590U (zh) 一种上料装置
KR102657383B1 (ko) 직선형 자동 면 삶는 기계
CN209073426U (zh) 一种旋转卤锅式自动卤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