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086Y1 -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 Google Patents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086Y1
KR200431086Y1 KR2020060023748U KR20060023748U KR200431086Y1 KR 200431086 Y1 KR200431086 Y1 KR 200431086Y1 KR 2020060023748 U KR2020060023748 U KR 2020060023748U KR 20060023748 U KR20060023748 U KR 20060023748U KR 200431086 Y1 KR200431086 Y1 KR 200431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guide rail
cart
feed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7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정관
Original Assignee
신정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관 filed Critical 신정관
Priority to KR20200600237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0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 F16M11/425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along guid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16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for photographing the track of mov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말하면 경견장, 경마장, 경륜장, 기타 운동경기, 영화세트장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용도 및 설치지점에 구애됨이 없이 이동식으로 구성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가이드 레일(R)위로 주행하는 형태로 형성된 이송대차(T)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T)의 상단 전방에는 360도 회동이 가능한 무인카메라(C)가 그 후방에는 구동모터(M)를 고정키 위한 마운트(1)와, 상기 이송대차(T)의 하측에는 직사각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R)과, 상기 이송대차(T) 전후방 하단에는 각각 회동축(20)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는 외주부에 단턱(21)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21)이 상기 가이드 레일(R)의 양끝단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롤러(2)와, 상기 이송대차(T)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모터(M)와 이 동력을 상기 롤러(2)에 전달하는 체인 또는 벨트(B)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3)와, 상기 이송대차(T)의 동력인가 및 그 속도 기타 이송대차(T)의 제어를 담당하는 컨트롤부(4)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회동축(20)이 상기 가이드 레일(R)를 사이에 두고 상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그 양단에 롤러(2)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단에 형성된 롤러(2)간에는 이탈을 방지키 위하여 체결밴드(5)로 체결토록 한 것과,
상기 가이드 레일(R)이 원기둥형상으로 평행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R) 외측면과 상하측면에 롤러(2)가 브라켓(6)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결합된 것과,
가이드 레일(R)위로 주행하는 형태로 형성된 이송대차(T)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T)의 중앙 하단에는 구동바퀴(101)가 상단 전방에는 360도 회동이 가능한 무인카메라(C)가 그 후방에는 상기 구동바퀴(101)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M)를 고정키 위한 마운트(100)와, 상기 이송대차(T)의 하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면 중앙부에 돌출면(110)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R')과, 상기 이송대차(T) 전후방 하단에는 각각 회동축(201)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는 외주부에 단턱(202)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202)이 상기 가이드 레일(R')의 양끝단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롤러(200)와, 상기 이송대차(T)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모터(M)와 이 동력을 상기 구동바퀴(101)에 전달하는 체인 또는 벨트(B')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300)와, 상기 이송대차(T)의 동력인가 및 그 속도 기타 이송대차(T)의 제어를 담당하는 컨트롤부(400)로 이루어진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는 주행시 이송대차의 부양으로 인하여 가이드 레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이드 레일을 단순화함에 따라 이송대차의 주행시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마운트에 구비된 무인카메라로 촬영하는 피사체의 선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경견장, 경마장, 경륜장, 기타 운동경기, 영화세트장, 지하철광고, CCTV, 축구경기장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용도 및 설치지점에 구애됨이 없이 이동식으로 구성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한 것이다.
가이드 레일, 이송대차, 마운트, 롤러, 컨트롤부.

Description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Rail and roller structure of transporter for track rail}
도 1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도,
도 3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롤러가 복수개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롤러가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두고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5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도,
도 7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1의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3의 사용 상태도,
도 9는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5의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10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10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10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마운트 2 : 롤러
3 : 동력전달부 4 : 컨트롤부
5 : 체결밴드 20 : 회동축
21 : 단턱 100 : 마운트
101 : 구동바퀴 110 : 돌출면
200 : 롤러 201 : 회동축
202 : 단턱 300 : 동력전달부
400 : 컨트롤부 B, B' : 벨트
C : 무인카메라 M : 구동모터
R, R' : 레일 T : 이송대차
본 고안은 스피드있는 경견장, 경마장, 경륜장, 기타 운동경기, 영화세트장, 지하철광고, CCTV, 축구경기장등 다양한 용도에 따라 피사체를 정확하고 선명하게 근접 촬영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용도 및 설치지점에 구애됨이 없이 이동식으로 구성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하는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견장, 경마장, 경륜장, 기타 운동경기 예를들면 트랙 경기인 육상경기 및 기타 영화세트장, 지하철광고, CCTV, 축구경기장등등에서는 스피디한 피사체를 선명하면서 정확하게 세밀한 장면까지 촬영하여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피디한 피사체의 영상을 가장 효율적으로 촬영할 수 있기 위해서는 촬영자가 카메라를 들고 스피디한 피사체를 촬영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고 무인카메라를 피사체가 이동하는 예상경로를 미리 예견하여 별도의 장비인 트랙을 구비한 후 상기 트랙에 무인카메라가 장착된 이송대차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여야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식 및 구조를 갖는 트랙 레일용 무인카메라는 종래에도 많이 존재한 것이 사실이나, 트랙 즉, 가이드레일의 이음새를 지날때 발생되는 흔들림으로 인한 피사체의 선명성이 떨어지고 고속으로 주행시 이송대차가 부양되어 결국 가이드 레일로 부터 이탈됨에 따라 순간포착이 중요한 운동경기 및 레이싱 경기 등에서 결정적인 피사체의 상태 및 과정을 촬영치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는 가이드 레일을 종래의 구조에서 벗어나 획기적으로 단순화하고 이와 같이 단순화된 가이드 레일에 적합한 롤러를 제공함으로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대차가 지날때 소음이나 기타 이송대차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고속 주행시 이송대차가 가이드 레일로 부터 부양되어 가이드 레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결국 순간포착이 중요한 운동경기 및 레이싱 경기 등에서 결정적인 피사체의 상태 및 과정을 용이하게 촬영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가이드 레일위로 주행하는 형태로 형성된 이송대차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의 상단 전방에는 360도 회동이 가능 한 무인카메라가 그 후방에는 구동모터를 고정키 위한 마운트와, 상기 이송대차의 하측에는 직사각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송대차 전후방 하단에는 각각 회동축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는 외주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끝단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롤러와, 상기 이송대차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모터와 이 동력을 상기 롤러에 전달하는 체인 또는 벨트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이송대차의 동력인가 및 그 속도 기타 이송대차의 제어를 담당하는 컨트롤부로 이루어진 것과,
상기 회동축이 상기 가이드 레일를 사이에 두고 상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그 양단에 롤러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단에 형성된 롤러간에는 이탈을 방지키 위하여 체결밴드로 체결토록 한 것과,
상기 가이드 레일이 원기둥형상으로 평행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 외측면과 상하측면에 롤러가 브라켓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결합된 것과,
가이드 레일위로 주행하는 형태로 형성된 이송대차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의 중앙 하단에는 구동바퀴가 상단 전방에는 360도 회동이 가능한 무인카메라가 그 후방에는 상기 구동바퀴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를 고정키 위한 마운트와, 상기 이송대차의 하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면 중앙부에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과, 상기 이송대차 전후방 하단에는 각각 회동축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는 외주부에 단턱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이 상기 가이드 레일의 양끝단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롤러와, 상기 이송대차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모 터와 이 동력을 상기 구동바퀴에 전달하는 체인 또는 벨트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이송대차의 동력인가 및 그 속도 기타 이송대차의 제어를 담당하는 컨트롤부로 이루어진 것]을 제공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도 1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롤러가 복수개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롤러가 가이드 레일을 사이에 두고 복수개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1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3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R)위로 주행하는 형태로 형성된 이송대차(T)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대차(T)의 상단 전방에는 360도 회동이 가능한 무인카메라(C)가 그 후방에는 구동모터(M)를 고정키 위한 마운트(1) 가 고정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이송대차(T)의 하측에는 직사각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가이드 레일(R)이 구비되어 있는데
미설명부호 F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R)를 받쳐주는 받침대가 구비된 것은 물론이다. 이는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가이드 레일(R)은 기존의 가이드 레일과 달리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 레일(R)을 따라 하기에서 설명하는 롤러가 구동되더라도 이송대차(T)의 흔들림이 최소화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롤러(2)는 상기 이송대차(T) 전후방 하단에는 각각 회동축(20)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는 외주부에 단턱(21)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21)이 상기 가이드 레일(R)의 양끝단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롤러(2)에서 단턱(21)을 기준으로 지름이 큰 부분은 가이드 레일(R)의 양끝단 측면에 위치하고 지름이 작은 부분은 상기 가이드 레일(R)의 양끝 상단에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위치된 롤러(2)에는 상기 이송대차(T)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모터(M)와 이 동력을 상기 롤러(2)에 전달하는 체인 또는 벨트(B)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3)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동력의 원천을 전기 구동식으로 하거나 공기압식으로 하거나 기타 다른 형식을 채용하더라도 본 실시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 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송대차(T)의 구동을 위한 헤드부 역할은 하는 컨트롤부(4)는 상기 이송대차(T)의 동력인가 및 그 속도 기타 이송대차(T)의 제어를 담당하는 것으로서 원격으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3, 4,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축(20)이 상기 가이드 레일(R)를 사이에 두고 상하단에 각각 구비되고 그 양단에 롤러(2)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단에 형성된 롤러(2)간에는 이탈을 방지키 위하여 체결밴드(5)로 체결토록 함으로서 고속 주행시 이송대차(T)의 이탈 즉, 롤러(2)의 이탈을 방지하여 더욱 안전적으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송대차(T) 상측에 마운트(1)를 고정 구비하고 그 상단 전방에는 360도 회동이 가능한 무인카메라(C)를, 그 후방에는 구동모터(M)를 고정설치한 후,
상기 구동모터(M)와 상기 이송대차(T) 전후방 하단에는 각각 회동축(20)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는 외주부에 단턱(21)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21)이 상기 가이드 레일(R)의 양끝단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롤러(2)를 체인이나 벨트(B)등으로 연결하고 이때 당연히 기어가 구비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R)을 따라 주행시키면 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은 모두 조작 및 제어는 컨트롤부(4)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즉, 피사체의 운동속도에 맞추어 컨트롤부(4)에서 구동모터(M)를 제어하여 피사체의 순간동작 및 지속적인 동작등을 근접 선명하게 촬영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예 2]
도 5는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5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결합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5의 사용 상태도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일(R)위로 주행하는 형태로 형성된 이송대차(T)에 관한 것이나,
본 실시예에서의 이송대차(T)는 그 중앙 하단에 구동바퀴(101)가, 상단 전방에는 360도 회동이 가능한 무인카메라(C)가 그 후방에는 상기 구동바퀴(101)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M)를 고정키 위한 마운트(100)가 구비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바퀴(101)와 구동모터(M)을 연결하여 상기 구동바퀴(101)를 구동함으로서 상기 이송대차(T)가 주행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바퀴(101)가 주행 가능하도록 가이드 레일(R')의 형상이 상기 실시예 1과 다른 것으로서 즉, 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 레일(R')은 상기 이송대차(T)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상면 중앙부에 돌출면(110)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이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의 롤러(200)는 단지 가이드 역할만 수행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상기 실시예 1과 대동소이한 것으로서,
상기 이송대차(T) 전후방 하단에는 각각 회동축(201)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는 외주부에 단턱(202)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202)이 상기 가이드 레일(R')의 양끝단에 결합 가능하도록 롤러(20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300)도 상기 실시예 1과 대동소이하나 상기 실시예 1에서는 롤러(2)에 구동모터(M)가 연결되어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송대차(T)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모터(M)와 이 동력을 상기 구동바퀴(101)에 전달하는 체인 또는 벨트(B')를 포함하는 것이다.
컨트롤부(400)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것으로 상기 이송대차(T)의 동력인가 및 그 속도 기타 이송대차(T)의 제어를 담당하는 것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송대차(T) 상측에 마운트(100)를 고정 구비하고 그 상단 전방에는 360도 회동이 가능한 무인카메라(C)를, 그 후방에는 구동모터(M)를 고정설치한 후,
상기 구동모터(M)와 상기 이송대차(T) 전후방 하단에는 각각 회동축(20)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는 외주부에 단턱(21)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21)이 상기 가이드 레일(R)의 양끝단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롤러(2)가 단지 가이드 역할만 수행하고 실질적으로 이송대차(T)의 주행 원동력은 이송대차(T) 중앙 하단에 구비된 구동바퀴(101)가 구동모터(M)와 체인이나 벨트(B)등으로 연결되며 이때 당연히 기어가 구비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연결한 상태에서 컨트롤부(400)의 조작 및 제어에 의해 상기 가이드 레일(R') 중앙에 돌출된 돌출면(110)을 따라 상기 구동바퀴(101)가 구동되면서 상기 이송대차(T)가 주행되는 것이다.
즉, 피사체의 운동속도에 맞추어 컨트롤부(4)에서 구동모터(M)를 제어하여 피사체의 순간동작 및 지속적인 동작등을 근접 선명하게 촬영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10의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10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13은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에 있어서 도 10의 다른 사용상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레 일(R)위로 주행하는 형태로 형성된 이송대차(T)에 관한 것으로서,
그중 실시예 1과 극히 유사하나 가장 큰 차이점은,
상기 가이드 레일(R)이 원기둥형상으로 평행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R) 외측면과 상하측면에 롤러(2)가 브라켓(6)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결합된 것이다.
이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송대차(T) 상측에 마운트(1)를 고정 구비하고 그 상단 전방에는 360도 회동이 가능한 무인카메라(C)를, 그 후방에는 구동모터(M)를 고정설치한 후,
상기 구동모터(M)와 상기 이송대차(T) 전후방 하단에는 각각 회동축(20)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단 상하에는 롤러(2)가 원기둥형상의 가이드 레일(R)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R)의 외측면에도 별도의 롤러(2)가 구비되어 상기 롤러(2)를 브라켓(6)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함으로서 상기 체인이나 벨트(B)등으로 연결된 회동축(20)이 회동함에 따라 가이드레일(R) 상단에 있는 롤러(2)가 회동함으로서 주행하는 구조로서 이와 같은 모두 조작 및 제어는 컨트롤부(4)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것이다.
즉, 피사체의 운동속도에 맞추어 컨트롤부(4)에서 구동모터(M)를 제어하여 피사체의 순간동작 및 지속적인 동작등을 근접 선명하게 촬영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2에 본 실시예를 조합 변형하여 실 시하더라도 무방한 것으로서 구륜구조에 대하여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에 혼용 적용하더라도 본 고안에 속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는 주행시 이송대차의 부양으로 인하여 가이드 레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가이드 레일을 단순화함에 따라 이송대차의 주행시 흔들림을 최소화하여 마운트에 구비된 무인카메라로 촬영하는 피사체의 선명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경견장, 경마장, 경륜장, 기타 운동경기, 영화세트장, 지하철광고, CCTV, 축구경기장등 다양한 장소에서 사용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용도 및 설치지점에 구애됨이 없이 이동식으로 구성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4)

  1. 가이드 레일(R)위로 주행하는 형태로 형성된 이송대차(T)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T)의 상단 전방에는 360도 회동이 가능한 무인카메라(C)가 그 후방에는 구동모터(M)를 고정키 위한 마운트(1)와,
    상기 이송대차(T)의 하측에는 직사각형상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R)과,
    상기 이송대차(T) 전후방 하단에는 각각 회동축(20)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는 외주부에 단턱(21)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21)이 상기 가이드 레일(R)의 양끝단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롤러(2)와,
    상기 이송대차(T)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모터(M)와 이 동력을 상기 롤러(2)에 전달하는 체인 또는 벨트(B)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3)와,
    상기 이송대차(T)의 동력인가 및 그 속도 기타 이송대차(T)의 제어를 담당하는 컨트롤부(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20)이 상기 가이드 레일(R)를 사이에 두고 상하단에 각각 구비 되고 그 양단에 롤러(2)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단에 형성된 롤러(2)간에는 이탈을 방지키 위하여 체결밴드(5)로 체결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R)이 원기둥형상으로 평행을 이루면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 레일(R) 외측면과 상하측면에 롤러(2)가 브라켓(6)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4. 가이드 레일(R)위로 주행하는 형태로 형성된 이송대차(T)에 있어서,
    상기 이송대차(T)의 중앙 하단에는 구동바퀴(101)가 상단 전방에는 360도 회동이 가능한 무인카메라(C)가 그 후방에는 상기 구동바퀴(101)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터(M)를 고정키 위한 마운트(100)와,
    상기 이송대차(T)의 하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상면 중앙부에 돌출면(110)이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R')과,
    상기 이송대차(T) 전후방 하단에는 각각 회동축(201)이 형성된 상태에서 그 양단에는 외주부에 단턱(202)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202)이 상기 가이드 레일(R') 의 양끝단에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롤러(200)와,
    상기 이송대차(T)의 주행을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구동모터(M)와 이 동력을 상기 구동바퀴(101)에 전달하는 체인 또는 벨트(B')를 포함하는 동력전달부(300)와,
    상기 이송대차(T)의 동력인가 및 그 속도 기타 이송대차(T)의 제어를 담당하는 컨트롤부(4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KR2020060023748U 2006-09-04 2006-09-04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KR200431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748U KR200431086Y1 (ko) 2006-09-04 2006-09-04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748U KR200431086Y1 (ko) 2006-09-04 2006-09-04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086Y1 true KR200431086Y1 (ko) 2006-11-14

Family

ID=4177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748U KR200431086Y1 (ko) 2006-09-04 2006-09-04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08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549B1 (ko) * 2017-09-19 2017-12-04 한수동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KR102598342B1 (ko) * 2022-11-03 2023-11-03 (주)아이씨티피플 제품 수명주기 관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4549B1 (ko) * 2017-09-19 2017-12-04 한수동 누룽지 제조 전처리 설비용 이송반전장치
KR102598342B1 (ko) * 2022-11-03 2023-11-03 (주)아이씨티피플 제품 수명주기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8164B2 (en) Automated guided vehicle
KR200431086Y1 (ko) 트랙 레일용 이송대차 레일 및 구륜구조
JP2007144164A (ja) レクリエーション装置
CN107427714A (zh) 自行车运动装置
CN106104578B (zh) 卡片搬运机构以及卡片发行装置
JP2002348081A (ja) 直接駆動されるステップ本体を備えた人用搬送装置及びそのような装置のステップ本体
CN206782696U (zh) 一种自带动力可转弯回转输送餐车以及输送机构
US7762384B1 (en) Conveyor system
CN111661579A (zh) 一种分拣机
JPH092255A (ja) 軌道走行装置
CN213010364U (zh) 一种用于分拣机的供电通讯装置及分拣机
CN201056412Y (zh) 链式牵引双向调偏器
JP2000016550A (ja) 搬送装置
CN111099305A (zh) 一种便于移动的物料输送设备
JP3370294B2 (ja) 移送装置
CN214491146U (zh) 一种接料机构
CN221092289U (zh) 一种翻盘穿梭机器人
CN217730213U (zh) 桌面电动摄影车
CN213912312U (zh) 一种轨道式游乐设备及带有该游乐设备的变轨旋转木马和游乐设施
CN201056413Y (zh) 链式牵引单向调偏器
JP3031857U (ja) コーナートランサー
US6006897A (en) Closed circuit switching machine, on a vertical plane, with devices to maintain the articles&#39; transport planes in an essentially horizontal position
JPH07237824A (ja) 人工芝など敷物の設置撤去装置
CN112340414A (zh) 一种人防门型材自动送料装置
JP2567168Y2 (ja) 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