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815B1 -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 Google Patents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815B1
KR102341815B1 KR1020210122989A KR20210122989A KR102341815B1 KR 102341815 B1 KR102341815 B1 KR 102341815B1 KR 1020210122989 A KR1020210122989 A KR 1020210122989A KR 20210122989 A KR20210122989 A KR 20210122989A KR 102341815 B1 KR102341815 B1 KR 102341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tteokbokki
coupled
bag
cak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2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1815B9 (ko
Inventor
조재곤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영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영풍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영풍
Priority to KR1020210122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1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815B1/ko
Publication of KR102341815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815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64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ocessing of food articles
    • G07F17/0078Food articles which need to be processed for dispensing in a hot or cooked condition, e.g. popcorn, nuts
    • G07F17/0085Food articles which for processing need cooking in a liquid, e.g. oil,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9/00Unpacking of articles 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B69/0008Opening and emptying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4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by suction or magneti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30Methods or devices for filling or emptying bunkers, hoppers, tanks, or like container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use in particular 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or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e.g.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 B67D7/0227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liquids other than fuel or lubricants by an ejection plunger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formed in the apparatus from components, blanks, or material constitu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에 대해 개시된다.
개시된 떡볶이 자판기는,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구비된 함체로 형성되는 자판기 본체(10);
상기 자판기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떡볶이떡이 담긴 떡봉지(b)에서 떡볶이떡을 취출하여 용기(c)로 투입하는 떡볶이떡공급장치;
상기 떡볶이떡공급장치 하측에 구비되되 떡볶이떡을 수용하는 용기(c)를 공급하는 용기공급장치(300);
용기(c) 내부에 담긴 떡볶이떡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떡볶이조리장치(500);
떡볶이 자판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며,
떡볶이떡에 미세홈을 형성함으로써, 떡볶이떡에 소스가 잘 배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A tteokbokki vending machine with a function to improve the absorption of tteokbokki tteok sauce}
본 발명은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스공급호스에 채워진 소스를 압착하여 밀어냄으로써 자동으로 일정량의 소스를 공급 가능한 한편,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을 형성함으로써 떡볶이떡에 소스가 잘 배이도록 하는 동시에, 커터에 인접한 제1 떡봉지클램핑부를 제2 떡봉지클램핑부 보다 높게 상승시켜 떡봉지에 담긴 떡볶이떡이 제2 떡봉지클램핑부 쪽으로 군집되도록 함으로써 떡봉지 컷팅 시 떡볶이떡이 컷팅되지 않도록 한 떡볶이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로 판매되는 상품은 그 종류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많은 제품이나 상품이 자판기를 통해 판매되고 있다.
특히, 떡볶이는 여러 가지 재료와 양념을 넣고 조리하여 먹는 남녀노소가 모두 좋아하는 음식이다.
시중에 있는 자동판매기를 통해 제공되는 컵떡볶이는 소비자가 직접 포장을 뜯고 뜨거운 물을 붓는 조리과정을 직접 수행해야만 섭취할 수 있는 형태이다.
즉, 컵라면과 같이 컵 용기에 담겨 포장된 컵떡볶이를 판매하는 자판기는 존재하지만, 실제 떡볶이를 조리하여 바로 섭취 가능한 떡볶이를 제공하는 자판기에 관하여 공지되거나 제안된 바 없다.
한편, 떡볶이의 일정한 맛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떡볶이 소스의 양이 일정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만일 조리 시 소스의 양이 적거나 많이 공급되면, 조리 완료된 떡볶이의 맛의 차이가 생길 것이다.
한편, 통상적으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떡볶이떡은 쌀가루 또는 밀가루로 떡을 만든 다음 적당한 크기로 잘라 일정량으로 포장된다.
그러나, 종래의 떡볶이떡의 경우 떡볶이떡에 떡볶이 양념이 충분히 배어들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떡볶이 자판기 내에서 떡볶이떡이 포장된 떡봉지를 절단하여 떡볶이떡을 조리 용기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떡봉지와 함께 떡볶이떡이 절단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자동으로 일정량의 소스를 공급 가능하며, 떡볶이떡에 소스가 충분히 배여서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를 향상시키고, 떡봉지 컷팅 시 떡볶이떡이 컷팅되지 않도록 하는 떡볶이 자판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9487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소스공급호스에 채워진 소스를 압착하여 밀어냄으로써 자동으로 일정량의 소스를 공급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을 형성함으로써 떡볶이떡에 소스가 잘 배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떡봉지 컷팅 시 떡볶이떡이 컷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구비된 함체로 형성되는 자판기 본체;
상기 자판기 본체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떡볶이떡이 담긴 떡봉지에서 떡볶이떡을 취출하여 용기로 투입하는 떡볶이떡공급장치;
상기 떡볶이떡공급장치 하측에 구비되되 떡볶이떡을 수용하는 용기를 공급하는 용기공급장치;
용기 내부에 담긴 떡볶이떡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떡볶이조리장치;
떡볶이 자판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떡볶이떡에 미세홈을 형성함으로써, 떡볶이떡에 소스가 잘 배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떡볶이떡공급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되 소스공급호스를 통해 용기 내부에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공급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스공급장치는,
상기 자판기 본체 내측 상부에 장착되되 소스를 저장하는 소스챔버;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자판기 본체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일단은 상기 소스챔버의 일측에 결합되되 타탄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판면에 결합되어 상기 소스챔버로부터 공급되는 소스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소스공급호스;
상기 지지프레임 일측에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장착되되, 로드 전방에는 ㄱ자 형상의 브라켓이 결합되며 로드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입출되는 스퀴징실린더;
상기 브라켓의 상부면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판 내측면에 장착되는 롤러 상을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슬라이딩롤러;
상기 브라켓의 내측면에 상기 스퀴징실린더와 수직하도록 결합되되 수직하방향으로 로드가 입출되는 프레싱실린더;
상기 프레싱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스퀴징실린더의 로드의 이송에 따라 상기 소스공급호스의 외주면 상을 주행하는 스퀴징롤러;로 구성되며,
상기 스퀴징롤러에 수직하방향으로 압력이 인가되는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여 상기 소스공급호스의 외주면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소스공급호스 내부에 있는 소스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떡볶이떡공급장치는,
자판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되, 수납타워에 적재된 복수 개의 떡봉지를 한 개씩 상승시키는 떡봉지상승부;와, 상기 떡봉지상승부에 의해 상승된 최상단의 떡봉지의 표면을 진공흡착하여 상기 떡취출장치로 전달하는 떡봉지전달부;로 구성되는 떡봉지공급장치;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떡봉지공급장치에 의해 전달된 떡봉지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도록 형성된 제1 떡봉지클램핑부와 제2 떡봉지클램핑부로 이뤄진 떡봉지클램핑부;와, 상기 떡봉지클램핑부에 의해 클램핑된 떡봉지의 일단을 소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떡봉지컷팅부;로 구성되는 떡취출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떡봉지상승부는,
원형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판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판구동수단;
상기 회전판 상부면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떡봉지가 수평방향으로 적재되어 떡봉지를 보관하는 복수 개의 수납타워;
하단은 상기 회전판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결합된 승강모터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승강스크류;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납타워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승강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적재판;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적재판 상부에 적재된 떡봉지가 떡봉지상승부에 의해 떡봉지를 승강시켜 상부로 떡봉지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떡봉지전달부는,
상기 수납타워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되 일단은 수납타워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떡취출장치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타워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주행 가능한 전달로드리스실린더;
상기 전달로드리스실린더의 하방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 입출되는 로드가 내장된 리프링실린더;
상기 리프팅실린더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수납타워에 적재된 최상단에 위치한 수평방향의 떡봉지의 표면을 진공흡착하는 복수 개의 진공흡착구;로 구성되며,
상기 리프링실린더에 의해 수직하방향으로 이송되어 진공에 의해 떡봉지가 진공흡착구에 흡착되고, 상기 진공흡착구에 떡봉지가 흡착된 상태로 전달로드리스실린더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송되어 상기 떡취출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 떡봉지클램핑부 및 제2 떡봉지클램핑부 각각은,
상기 떡봉지공급장치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클램핑지지판;
상기 클램핑지지판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클램핑실린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상기 클램핑실린더 상부에 배치되며 클램핑실린더의 로드가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클램퍼;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상기 하부클램퍼의 상부에 하부클램퍼와 나란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하부면에는 상기 클램핑실린더의 로드와 결합되어 로드의 입출에 따라 승하강하는 상부클램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떡봉지컷팅부는,
제1 떡봉지클램핑부의 상부클램퍼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컷팅로드리스실린더;
단면이 ㅗ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컷팅로드리스실린더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거치대;
상기 모터거치대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커터가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컷팅모터;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컷팅모터의 일단에 결합되되, 상기 컷팅모터에 의해 회전하여 떡봉지를 소정 길이만큼만 절단하는 커터;로 구성되며,
상기 떡봉지클램핑부에 의해 고정된 떡봉지의 일단을 소정 길이만큼만 절단하여 떡볶이떡이 떡봉지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떡취출장치에 의해 떡볶이떡이 떡봉지로부터 배출되고 남은 빈 떡봉지를 수거하는 떡봉지수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떡봉지수거부는, 상기 떡봉지클램핑부의 하부에 각 클램핑지지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배치되되 상기 떡봉지클램핑부를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주행이 가능한 수거로드리스실린더;를 포함하며,
상기 떡봉지클랭핑부가 빈 떡봉지를 클램핑한 상태로 소정 간격 이송한 후, 언클램핑하면 빈 떡봉지가 수직하방향으로 낙하하여 수거하기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용기공급장치는,
상기 떡볶이조리장치의 용기투입구 전방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배치되되 로드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드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이송프레임;
상기 제1 이송프레임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1 이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이송스크류;
상기 제1 이송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이송스크류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이송모터;
상기 제1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제1 이송스크류 상을 왕복 주행하도록 결합된 제1 슬라이더;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슬라이더의 상부면에 제1 이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이송프레임;
상기 제2 이송프레임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2 이송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이송스크류;
상기 제2 이송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2 이송스크류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이송모터;
상기 제2 이송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제2 이송스크류 상을 왕복 주행하도록 결합된 제2 슬라이더;
상기 제2 슬라이더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되 로드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그리핑실린더;
반원형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그리핑실린더의 로드 상부에 결합되어 로드의 입출에 따라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한 쌍의 그리퍼;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더 상부에 제2 이송프레임이 결합되어 그리퍼의 이송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그리퍼가 떡볶이조리장치의 내부로 진입 및 진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떡볶이떡공급장치와 용기공급장치 사이에 배치되되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을 형성하는 미세홈형성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세홈형성장치는,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구비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떡봉지컷팅부에 의해 취출된 떡볶이떡이 투입되는 스텐리스용기 본체;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부덮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부덮개;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의 측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를 초음파로 진동하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진동자;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텐리스용기 본체 내부로 공급 또는 배출되는 세척수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세척수튜브;
상기 자판기 본체 내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세척수튜브와 연결되어 세척수튜브로 세척수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진동자가 진동하도록 전기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미세기포가 터지면서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떡봉지클램핑부의 클램핑실린더 하단에 장착되되 수직방향으로 승강 가능한 군집로드리스실린더;
상기 제어부에 포함되되 상기 떡봉지트위스트모듈에 의해 떡봉지가 비틀어진 후에 상기 커터에 인접한 제1 떡봉지클램핑부를 제2 떡봉지클램핑부 보다 높게 상승시켜 떡봉지에 담긴 떡볶이떡이 제2 떡봉지클램핑부 쪽으로 군집되도록 상기 군집로드리스실린더를 제어하는 떡볶이떡군집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자판기는 소스공급호스에 채워진 소스를 압착하여 밀어냄으로써 자동으로 일정량의 소스를 공급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을 형성함으로써 떡볶이떡에 소스가 잘 배이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떡봉지 컷팅 시 떡볶이떡이 컷팅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자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자판기의 떡봉지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떡봉지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떡취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떡봉지수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스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홈형성장치에 의해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이 형성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떡군집모듈에 의해 떡봉지의 일측이 상승하며 떡볶이떡이 타측으로 군집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자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자판기의 떡봉지공급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떡봉지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떡취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떡봉지수거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 자판기는 자판기 본체(10), 떡볶이떡공급장치, 용기공급장치(300), 소스공급장치(400), 떡볶이조리장치(500), 제어부(6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자판기 본체(10)는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이 마련된 함체로 형성된다.
떡볶이떡공급장치는 자판기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된다.
떡볶이떡공급장치는 떡봉지공급장치(100)와 떡취출장치(200)를 포함한다.
떡볶이떡공급장치는 떡볶이떡이 담긴 떡봉지(b)에서 떡볶이떡을 취출하여 용기(c)로 투입한다.
떡봉지공급장치(100)는 떡봉지상승부(110)와 떡봉지전달부(120)로 구성된다.
떡봉지상승부(110)는 자판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며, 수납타워(113)에 적재된 복수 개의 떡봉지(b)를 한 개씩 상승시킨다.
떡봉지상승부(110)는 회전판(111), 회전판구동수단(112), 수납타워(113), 승강스크류(114), 승강적재판(116)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회전판(111)은 원형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회전판(111)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회전판구동수단(112)은 회전판(111)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판(111)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판구동수단(112)은 서보모터를 사용하여 회전각이나 회전방향을 제어한다.
수납타워(113)는 회전판(111) 상부면에 결합된다. 회전판(111) 상부면에 소정 각도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수납타워(113)가 배치된다.
수납타워(113)의 내부에 복수 개의 떡봉지(b)가 수평방향으로 적재되어 떡봉지(b)를 보관한다.
승강스크류(114)의 하단은 회전판(111)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승강스크류(114)는 승강스크류(114)의 상단에 결합된 승강모터(115)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승강적재판(116)은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승강적재판(116)은 수납타워(113)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승강스크류(114)의 회전에 따라 승강한다.
승강적재판(116)은 수납타워(113) 내측에 수평하도록 결합되며, 승강적재판(116)의 상부에 적재된 떡봉지(b)를 지지한다.
본 발명은 승강적재판(116) 상부에 적재된 떡봉지(b)가 떡봉지상승부(110)에 의해 떡봉지(b)를 승강시켜 상부로 떡봉지(b)를 공급한다.
떡봉지전달부(120)는 떡봉지상승부(110)에 의해 상승된 최상단의 떡봉지(b)의 표면을 진공흡착하여 떡취출장치(200)로 전달한다.
떡봉지전달부(120)는 전달로드리스실린더(121), 리프링실린더(122), 진공흡착구(123)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전달로드리스실린더(121)는 수납타워(113)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다.
전달로드리스실린더(121)의 일단은 수납타워(113)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떡취출장치(200)의 상부에 배치된다.
전달로드리스실린더(121)는 수납타워(113)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주행한다.
리프링실린더는 전달로드리스실린더(121)의 하방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된다.
리프링실린더의 로드는 수직방향으로 입출된다.
진공흡착구(123)는 리프팅실린더(122)의 로드 단부에 결합된다.
진공흡착구(123)는 수납타워(113)에 적재된 최상단에 위치한 수평방향의 떡봉지(b)의 표면을 진공흡착한다.
떡봉지(b)의 표면을 안정적으로 진공흡착하기 위해서는 4개의 진공흡착구(123)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리프링실린더에 의해 수직하방향으로 이송되어 진공에 의해 떡봉지(b)가 진공흡착구(123)에 흡착되고, 진공흡착구(123)에 떡봉지(b)가 흡착된 상태로 전달로드리스실린더(12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송되어 떡취출장치(200)로 전달된다.
떡취출장치(200)는 떡봉지클램핑부(210)와 떡봉지컷팅부(220)로 구성된다.
떡봉지클램핑부(210)는 제1 떡봉지클램핑부(210-1)와 제2 떡봉지클램핑부(210-2)로 이뤄지며, 제1 떡봉지클램핑부(210-1)와 제2 떡봉지클램핑부(210-2)는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떡봉지클램핑부(210)는 떡봉지공급장치(100)에 의해 전달된 떡봉지(b)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부클램퍼(214)와 하부클램퍼(213)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도록 형성된다.
제1 떡봉지클램핑부(210-1) 및 제2 떡봉지클램핑부(210-2) 각각은 클램핑지지판(211), 클램핑실린더(212), 하부클램퍼(213), 상부클램퍼(214)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클램핑지지판(211)은 떡봉지공급장치(100)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클램핑실린더(212)는 클램핑지지판(211)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하부클램퍼(213)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하부클램퍼(213)는 수평방향으로 클램핑실린더(212) 상부에 배치되며, 클램핑실린더(212)의 로드가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부클램퍼(214)는 하부클램퍼(213)와 마찬가지로 판재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부클램퍼(214)는 수평방향으로 하부클램퍼(213)의 상부에 하부클램퍼(213)와 나란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부클램퍼(214)의 하부면과 클램핑실린더(212)의 로드가 결합되어, 로드의 입출에 따라 상부클램퍼(214)가 승하강한다.
클램핑실린더(212) 로드의 승하강에 따라 상부클램퍼(214)와 하부클램퍼(213)의 클램핑과 언클램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부클램퍼(214)와 하부클램퍼(213)가 상하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다가, 떡봉지(b)의 일단이 삽입되면 클램핑실린더(212)의 로드가 하강하면서 상부클램퍼(214)가 하강한다.
상부클램퍼(214)가 하강하면서 하부클램퍼(213)와의 간격이 좁아지면서 그 사이에 삽입된 떡봉지(b)의 일단이 클램핑되는 것이다.
반대로, 클램핑실린더(212)의 로드가 상승하면, 상부클램퍼(214)가 상승하면서 떡봉지(b)는 언클램핑된다.
떡봉지컷팅부(22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떡봉지컷팅부(220)는 컷팅로드리스실린더(221), 컷팅모터(222), 커터(223), 모터거치대(224)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컷팅로드리스실린더(221)는 제1 떡봉지클램핑부(210-1)의 상부클램퍼(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다.
모터거치대(224)는 단면이 ㅗ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컷팅로드리스실린더(221)의 일측에 결합된다.
컷팅모터(222)는 모터거치대(224)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커터(223)가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한다.
커터(223)는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커터(223)는 컷팅모터(222)의 일단에 결합되되, 컷팅모터(222)에 의해 회전하여 떡봉지(b)를 소정 길이만큼만 절단한다.
떡봉지컷팅부(220)는 떡봉지클램핑부(210)에 의해 클램핑된 떡봉지(b)의 일단을 소정 길이만큼 절단한다.
이는 떡봉지컷팅부(220)에 의해 절단된 떡봉지(b)가 2개로 완전히 분할되면 빈 떡봉지(b)를 처리하기 곤란하므로, 완전히 절단하지 않아 절개조각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소정 길이만 절단되어 절재조각이 분리되지 않은 하나의 빈 떡봉지(b)만 수거하면 비교적 편리하게 처리 가능한 이점이 있다.
떡봉지컷팅부(220)에 의해 절단된 떡봉지(b)를 클램핑하고 있던 제1 떡봉지클램핑부(210-1)의 상부클램퍼(214)와 하부클램퍼(213)가 언클램핑함으로써, 떡봉지(b) 내부의 떡볶이떡들이 낙하하여 아래에 위치한 스텐리스용기 본체(611) 내부로 투입된다.
스텐리스용기 본체(611) 상부에 호퍼(240)를 설치하여 낙하하는 떡볶이떡이 스텐리스용기 본체(611) 내부로 바로 진입되도록 가이드한다.
떡볶이떡이 모두 취출된 빈 떡봉지(b)는 떡봉지수거부(230)에 의해 처리된다.
떡봉지수거부(230)는 떡취출장치(200)에 의해 떡볶이떡이 떡봉지(b)로부터 배출되고 남은 빈 떡봉지(b)를 수거한다.
떡봉지수거부(230)는 수거로드리스실린더(231)를 포함한다.
수거로드리스실린더(231)는 떡봉지클램핑부(210)의 하부에 각 클램핑지지판(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배치된다.
수거로드리스실린더(231)에 의해 떡봉지클램핑부(210)는 각 클램핑지지판(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주행한다.
떡봉지클랭핑부가 빈 떡봉지(b)를 클램핑한 상태로 각 클램핑지지판(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송한 후, 언클램핑하면 빈 떡봉지(b)가 수직하방향으로 낙하하여 빈 떡봉지(b)를 수거하기에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소스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공급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떡볶이의 일정한 맛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떡볶이 소스의 양이 일정하게 공급되어야 한다. 만일 조리 시 소스의 양이 적거나 많이 공급되면, 조리 완료된 떡볶이의 맛의 차이가 생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용기(c) 내부에 자동으로 일정량의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공급장치(400)가 구비함으로써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스공급장치(400)는 떡볶이떡공급장치의 상부에 구비된다.
소스공급장치(400)는 소스공급호스(450)를 통해 용기(c) 내부에 소스를 공급한다.
소스공급장치(400)는 지지프레임(410), 스퀴징실린더(420), 프레싱실린더(440), 소스공급호스(450), 스퀴징롤러(460), 슬라이딩롤러(470), 소스챔버(480)로 구성된다.
소스챔버(480)는 자판기 본체(10)의 내측 상부에 장착되어 소스를 저장한다.
지지프레임(410)은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자판기 본체(10) 내부의 상부에 설치된다.
소스공급호스(450)는 탄성이 있는 유연한 재질의 호스로 형성된다.
소스공급호스(450)의 일단은 소스챔버(480)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탄은 지지프레임(410)의 측판면에 결합된다.
소스공급호스(450)를 통해 소스챔버(480)로부터 공급되는 소스의 유동경로를 형성한다.
스퀴징실린더(420)는 지지프레임(410) 일측에 지지프레임(4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장착된다.
스퀴징실린더(420)의 로드 전방에는 ㄱ자 형상의 브라켓(430)이 결합된다.
스퀴징실린더(420)의 로드는 지지프레임(410)의 길이방향으로 입출된다.
슬라이딩롤러(470)는 브라켓(430)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슬라이딩롤러(470)는 지지프레임(410)의 상판 내측면에 장착되는 롤러 상을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한다.
프레싱실린더(440)는 브라켓(430)의 내측면에 스퀴징실린더(420)와 수직하도록 결합되며, 수직하방향으로 로드가 입출된다.
스퀴징롤러(460)는 프레싱실린더(440)의 로드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스퀴징롤러(460)는 지지프레임(41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스퀴징실린더(420)의 로드의 이송에 따라 소스공급호스(450)의 외주면 상을 주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스공급장치(400)는 스퀴징롤러(460)에 수직하방향으로 압력이 인가되는 상태로 지지프레임(410)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여 소스공급호스(450)의 외주면을 압착함으로써, 소스공급호스(450) 내부에 있는 소스를 배출하도록 하였다.
즉 소스공급호스(450) 내부의 소스를 스퀴징롤러(460)에 의해 압착함으로써 소스를 밖으로 짜내어 배출하는 방식으로, 소스가 사방으로 비산되지 않고 용기(c) 내부로 투입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스공급장치(400)는 스퀴징실린더(420) 로드의 주행거리를 제어하거나 또는 전후진 왕복 주행 회수를 제어하여 소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적정량의 소스가 공급되면, 프레싱실린더(440)의 로드는 후진하고, 동시에 스퀴징실린더(420)의 로드 또한 후진하여 원위치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용기공급장치(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용기공급장치(300)는 승강실린더(310), 제1 이송프레임(320), 제1 이송스크류(321), 제1 이송모터(323), 제1 슬라이더(322), 제2 이송프레임(330), 제2 이송스크류(331), 제2 이송모터(333), 제2 슬라이더(332), 그리핑실린더(340), 한 쌍의 그리퍼(341)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승강실린더(310)는 떡볶이조리장치(500)의 용기투입구 전방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배치된다.
승강실린더(310)의 로드는 수직방향으로 승강한다.
제1 이송프레임(320)은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이송프레임(320)은 승강실린더(310)의 로드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제1 이송스크류(321)는 제1 이송프레임(32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제1 이송스크류(321)는 제1 이송프레임(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 이송모터(323)는 제1 이송프레임(320)의 하부면에 결합되며, 제1 이송스크류(32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제1 슬라이더(322)는 제1 이송스크류(321) 상에 결합되어 제1 이송스크류(321)의 회전에 따라 제1 이송스크류(321) 상을 왕복 주행한다.
제2 이송프레임(330)은 제1 이송프레임(320)과 마찬가지로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이송프레임(330)은 제1 슬라이더(322)의 상부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며, 제1 이송프레임(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다.
제2 이송스크류(331)는 제2 이송프레임(33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다.
제2 이송스크류(331)는 제2 이송프레임(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2 이송모터(333)는 제2 이송프레임(33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며, 제2 이송스크류(3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제2 슬라이더(332)는 제2 이송스크류(331) 상에 결합되어 제2 이송스크류(331)의 회전에 따라 제2 이송스크류(331) 상을 왕복 주행한다.
그리핑실린더(340)는 제2 슬라이더(332)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며, 로드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한다.
그리퍼(341)는 대칭적인 반원형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을 이룬다.
그리퍼(341)는 그리핑실린더(340)의 로드 상부에 결합되어 로드의 입출에 따라 벌어지거나 오므려진다.
그리핑실린더(340)의 로드 상부에 결합되어 로드의 입출에 따라 그리퍼(341) 내부에 용기(c)를 쥐었다가 놓았다가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공급장치(300)는 제1 슬라이더(322) 상부에 제2 이송프레임(330)이 결합되어 그리퍼(341)의 이송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그리퍼(341)가 떡볶이조리장치(500)의 내부로 진입 및 진출이 가능하다.
떡볶이조리장치(500)의 내부로 용기(c)를 진입시킨 후 조리가 완료되면, 다시 용기(c)를 진출시키기 위해 2단 구조로 설계하였다.
즉, 제1 이송프레임(320)의 단부가 떡볶이조리장치(500)의 입구까지 이송되므로, 제1 슬라이더(322)가 전진하면 제2 이송프레임(330)은 떡볶이조리장치(5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제2 슬라이더(332)가 전진하면 용기(c)를 그리핑하는 그리퍼(341) 또한 떡볶이조리장치(500) 내부로 완전히 진입할 수 있다.
용기공급장치(300)에 의해 용기(c)가 떡볶이조리장치(500) 내부로 완전히 진입된 후, 용기(c)에 담긴 떡볶이떡과 소스는 떡볶이조리장치(500)에 의해 조리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블록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홈형성장치에 의해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이 형성되는 원리를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떡군집모듈에 의해 떡봉지(b)의 일측이 상승하며 떡볶이떡이 타측으로 군집되는 것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통상적으로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떡볶이떡은 쌀가루 또는 밀가루로 떡을 만든 다음 적당한 크기로 잘라 일정량으로 포장된다.
그러나, 종래의 떡볶이떡의 경우 떡볶이 양념이 떡볶이떡에 충분히 배어들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미세홈형성장치(610)를 구비하여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를 향상시켜 떡볶이떡에 소스가 잘 배이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홈형성장치(610)는 스텐리스용기 본체(611), 상부덮개(612), 하부덮개(613), 초음파진동자(614), 세척수튜브(616), 진공펌프(617)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미세홈형성장치(610)는 떡볶이떡공급장치와 용기공급장치(300) 사이에 배치된다.
미세홈형성장치(610)는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을 형성한다.
스텐리스용기 본체(611)는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구비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떡봉지컷팅부(220)에 의해 취출된 떡볶이떡은 스텐리스용기 본체(611) 내부로 투입된다.
떡봉지컷팅부(220)에 의해 취출된 떡볶이떡은 용기(c)로 투입되기 전에, 스텐리스용기 본체(611)로 투입된다.
상부덮개(612)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텐리스용기 본체(61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하부덮개(613)는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텐리스용기 본체(611)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초음파진동자(614)는 스텐리스용기 본체(611)의 측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가 배치된다.
초음파진동자(614)는 스텐리스용기 본체(611)를 초음파로 진동한다.
초음파진동자(614)는 제어부(600)에서 제공하는 전기신호에 따라 초음파를 발생시킨다.
세척수튜브(616)는 스텐리스용기 본체(6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텐리스용기 본체(611) 내부로 공급 또는 배출되는 세척수의 유동경로를 이룬다.
진공펌프(617)는 자판기 본체 내의 일측에 배치된다.
진공펌프(617)는 세척수튜브(616)와 연결되어 세척수튜브(616)로 세척수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한다.
도 9를 참조하여 미세홈형성장치에 의해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이 형성되는 원리를 설명한다.
스텐리스용기 본체(611) 내부로 떡볶이떡이 투입되면, 제어부(600)는 진공펌프(617)가 세척수튜브(616)를 통해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스텐리스용기 본체(611) 내부는 세척수와 ?떵봉繭굼막? 채워진다.
이 상태에서 제어부(600)는 초음파진동자(614)가 진동하도록 전기신호를 제공한다.
떡볶이떡은 초음파진동자(614)에 의해 발생된 초음파의 영향을 받는다.
초음파로 인해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이 형성되는 것은 캐비네이션 현상(Cavitation) 때문이다.
캐비네이션 현상(Cavitation)은 유체 압력의 급격한 변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은 곳에 기포(공동)가 생기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 때, 기포가 더 높은 압력을 받으면 기포가 터지면서 강한 충격파를 발생시킨다.
기포는 세척수 속에서 초음파 발생으로 인해 압력이 낮은 곳이 생기면, 세척수 속에 포함되어 있는 기체가 물에서 빠져나와 압력이 낮은 곳에 모이는데 이로 인해 세척수가 없는 빈공간이 생긴 것을 가리킨다.
발생한 기포는 압력이 높은 부분에 이르면 급격히 터지면서 충격파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 충격파로 인해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을 형성되도록 한다.
즉 초음파진동자(614)에 의해 세척수 내의 급격한 유체 압력차가 발생되어 미세기포가 생성되고, 이 미세기포가 터지면서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해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을 형성함으로써 소스가 배이는 떡볶이떡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떡볶이떡에 소스가 고르게 배이도록 하였다.
또한, 종래의 떡볶이떡은 소스가 잘 배어들지 않아 오랜 시간을 조리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지만, 본 발명에 따른 떡볶이떡은 조리 시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미세홈이 형성된 떡볶이떡은 소스 흡수률이 높으므로 비교적 짧은 시간동안 조리하더라도 소스가 충분히 배인 떡볶이를 만들 수 있다.
떡볶이떡군집모듈(620)은 제어부(600)에 구비된다.
떡볶이떡군집모듈(620)은 군집로드리스실린더(622)의 작동을 제어한다.
군집로드리스실린더(622)는 제1 떡봉지클램핑부(210-1)의 클램핑실린더(212) 하단에 장착된다.
군집로드리스실린더(622)의 로드는 수직방향으로 승강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떡볶이떡군집모듈(620)은 떡봉지트위스트모듈(610)에 의해 떡봉지(b)가 비틀어진 후에 떡봉지(b)를 한쪽으로 기울여서 떡봉지(b) 내부의 떡볶이떡이 기울어진 쪽으로 모이도록 한다.
떡볶이떡군집모듈(620)은 커터(223)에 인접한 제1 떡봉지클램핑부(210-1)를 제2 떡봉지클램핑부(210-2) 보다 높게 상승시켜 떡봉지(b)에 담긴 떡볶이떡이 제2 떡봉지클램핑부(210-2) 쪽으로 군집되도록 군집로드리스실린더(622)를 제어한다.
떡봉지(b)의 양단이 클램핑되어 수평방향으로 놓인 떡봉지(b)를 그냥 절단하게 되면, 커터(223)가 지나가는 경로에 떡볶이떡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이 상태로 떡봉지(b)를 컷팅한다면, 떡봉지(b) 뿐만 아니라 떡볶이떡의 일부가 커터(223)에 의해 절단되어 상품성을 훼손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떡볶이떡군집모듈(620)에 의해 떡볶이떡을 커터(223)와 이격된 제2 떡봉지클램핑부(210-2) 쪽으로 군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였다.
본 발명은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스공급호스에 채워진 소스를 압착하여 밀어냄으로써 자동으로 일정량의 소스를 공급 가능한 한편,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을 형성함으로써 떡볶이떡에 소스가 잘 배이도록 하는 동시에, 커터에 인접한 제1 떡봉지클램핑부를 제2 떡봉지클램핑부 보다 높게 상승시켜 떡봉지에 담긴 떡볶이떡이 제2 떡봉지클램핑부 쪽으로 군집되도록 함으로써 떡봉지 컷팅 시 떡볶이떡이 컷팅되지 않도록 한 떡볶이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b : 떡봉지 c : 용기
10 : 자판기 본체
100 : 떡봉지공급장치 110 : 떡봉지상승부
111 : 회전판 112 : 회전판구동수단
113 : 수납타워 114 : 승강스크류
115 : 승강모터 116 : 승강적재판
120 : 떡봉지전달부 121 : 전달로드리스실린더
122 : 리프팅실린더 123 : 진공흡착구
200 : 떡취출장치 210 : 떡봉지클램핑부
210-1 : 제1 떡봉지클램핑부 210-2 : 제2 떡봉지클램핑부
211 : 클램핑지지판 212 : 클램핑실린더
213 : 하부클램퍼 214 : 상부클램퍼
220 : 떡봉지컷팅부 221 : 컷팅로드리스실린더
222 : 컷팅모터 223 : 커터
224 : 모터거치대
230 : 떡봉지수거부
231 : 수거로드리스실린더 240 : 호퍼
300 : 용기공급장치 310 : 승강실린더
320 : 제1이송프레임 321 : 제1이송스크류
322 : 제1슬라이더 323 : 제1이송모터
330 : 제2이송프레임 331 : 제2이송스크류
332 : 제2슬라이더 333 : 제2이송모터
340 : 그리핑실린더 341 : 그리퍼
400 : 소스공급장치 410 : 지지프레임
420 : 스퀴징실린더 430 : 브라켓
440 : 프레싱실린더 450 : 소스공급호스
460 : 스퀴징롤러 470 : 슬라이딩롤러
480 : 소스챔버
500 : 떡볶이조리장치
600 : 제어부
610 : 미세홈형성장치 611 : 스텐리스용기 본체
612 : 상부덮개 613 : 하부덮개
614 : 초음파진동자
616 : 세척수튜브 617 : 진공펌프
620 : 떡볶이떡군집모듈 622 : 군집로드리스실린더

Claims (11)

  1.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구비된 함체로 형성되는 자판기 본체(10);
    상기 자판기 본체(10) 내부 일측에 설치되되 떡볶이떡이 담긴 떡봉지(b)에서 떡볶이떡을 취출하여 용기(c)로 투입하는 떡볶이떡공급장치;
    상기 떡볶이떡공급장치 하측에 구비되되 떡볶이떡을 수용하는 용기(c)를 공급하는 용기공급장치(300);
    용기(c) 내부에 담긴 떡볶이떡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떡볶이조리장치(500);
    떡볶이 자판기의 전반적인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며,
    떡볶이떡에 미세홈을 형성함으로써, 떡볶이떡에 소스가 잘 배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용기공급장치(300)는,
    상기 떡볶이조리장치(500)의 용기투입구 전방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이 배치되되 로드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승강실린더(310);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승강실린더(310)의 로드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1 이송프레임(320);
    상기 제1 이송프레임(32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1 이송프레임(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1 이송스크류(321);
    상기 제1 이송프레임(320)의 하부면에 결합되되 상기 제1 이송스크류(32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 이송모터(323);
    상기 제1 이송스크류(321)의 회전에 따라 제1 이송스크류(321) 상을 왕복 주행하도록 결합된 제1 슬라이더(322);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 슬라이더(322)의 상부면에 제1 이송프레임(3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며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 이송프레임(330);
    상기 제2 이송프레임(330)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2 이송프레임(3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제2 이송스크류(331);
    상기 제2 이송프레임(330)의 상부 일측에 결합되되 상기 제2 이송스크류(331)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 이송모터(333);
    상기 제2 이송스크류(331)의 회전에 따라 제2 이송스크류(331) 상을 왕복 주행하도록 결합된 제2 슬라이더(332);
    상기 제2 슬라이더(332)의 측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되 로드가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는 그리핑실린더(340);
    반원형 집게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그리핑실린더(340)의 로드 상부에 결합되어 로드의 입출에 따라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한 쌍의 그리퍼(34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슬라이더(322) 상부에 제2 이송프레임(330)이 결합되어 그리퍼(341)의 이송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그리퍼(341)가 떡볶이조리장치(500)의 내부로 진입 및 진출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자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떡볶이떡공급장치의 상부에 구비되되 소스공급호스(450)를 통해 용기(c) 내부에 소스를 공급하는 소스공급장치(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소스공급장치(400)는,
    상기 자판기 본체(10) 내측 상부에 장착되되 소스를 저장하는 소스챔버(480);
    단면의 형상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자판기 본체(10) 내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410);
    일단은 상기 소스챔버(480)의 일측에 결합되되 타탄은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측판면에 결합되어 상기 소스챔버(480)로부터 공급되는 소스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소스공급호스(450);
    상기 지지프레임(410) 일측에 지지프레임(4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장착되되, 로드 전방에는 ㄱ자 형상의 브라켓(430)이 결합되며 로드가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길이방향으로 입출되는 스퀴징실린더(420);
    상기 브라켓(430)의 상부면에 설치되되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상판 내측면에 장착되는 롤러 상을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주행하는 슬라이딩롤러(470);
    상기 브라켓(430)의 내측면에 상기 스퀴징실린더(420)와 수직하도록 결합되되 수직하방향으로 로드가 입출되는 프레싱실린더(440);
    상기 프레싱실린더(440)의 로드 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스퀴징실린더(420)의 로드의 이송에 따라 상기 소스공급호스(450)의 외주면 상을 주행하는 스퀴징롤러(460);로 구성되며,
    상기 스퀴징롤러(460)에 수직하방향으로 압력이 인가되는 상태로 상기 지지프레임(410)의 길이방향으로 주행하여 상기 소스공급호스(450)의 외주면을 압착함으로써, 상기 소스공급호스(450) 내부에 있는 소스를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자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떡볶이떡공급장치는,
    자판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되, 수납타워(113)에 적재된 복수 개의 떡봉지(b)를 한 개씩 상승시키는 떡봉지상승부(110);와, 상기 떡봉지상승부(110)에 의해 상승된 최상단의 떡봉지(b)의 표면을 진공흡착하여 떡취출장치(200)로 전달하는 떡봉지전달부(120);로 구성되는 떡봉지공급장치(100);
    서로 마주보도록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떡봉지공급장치(100)에 의해 전달된 떡봉지(b)의 양단을 고정하기 위해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도록 형성된 제1 떡봉지클램핑부(210-1)와 제2 떡봉지클램핑부(210-2)로 이뤄진 떡봉지클램핑부(210);와, 상기 떡봉지클램핑부(210)에 의해 클램핑된 떡봉지(b)의 일단을 소정 길이만큼 절단하는 떡봉지컷팅부(220);로 구성되는 떡취출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자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떡봉지상승부(110)는,
    원형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 회전판(111);
    상기 회전판(111)의 일측에 장착되어 회전판(111)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회전판구동수단(112);
    상기 회전판(111) 상부면에 결합되되 내부에는 복수 개의 떡봉지(b)가 수평방향으로 적재되어 떡봉지(b)를 보관하는 복수 개의 수납타워(113);
    하단은 상기 회전판(111)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단에 결합된 승강모터(115)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승강스크류(114);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납타워(113) 내측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상기 승강스크류(114)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승강적재판(116);으로 구성되며,
    상기 승강적재판(116) 상부에 적재된 떡봉지(b)가 떡봉지상승부(110)에 의해 떡봉지(b)를 승강시켜 상부로 떡봉지(b)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자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떡봉지전달부(120)는,
    상기 수납타워(113)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되 일단은 수납타워(113) 상부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떡취출장치(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납타워(113)의 상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왕복 주행 가능한 전달로드리스실린더(121);
    상기 전달로드리스실린더(121)의 하방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되, 수직방향으로 입출되는 로드가 내장된 리프링실린더(122);
    상기 리프팅실린더(122)의 로드 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수납타워(113)에 적재된 최상단에 위치한 수평방향의 떡봉지(b)의 표면을 진공흡착하는 복수 개의 진공흡착구(123);로 구성되며,
    상기 리프링실린더에 의해 수직하방향으로 이송되어 진공에 의해 떡봉지(b)가 진공흡착구(123)에 흡착되고, 상기 진공흡착구(123)에 떡봉지(b)가 흡착된 상태로 전달로드리스실린더(12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송되어 상기 떡취출장치(200)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자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떡봉지클램핑부(210-1) 및 제2 떡봉지클램핑부(210-2) 각각은,
    상기 떡봉지공급장치(100)의 하측에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클램핑지지판(211);
    상기 클램핑지지판(211)의 상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클램핑실린더(212);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상기 클램핑실린더(212) 상부에 배치되며 클램핑실린더(212)의 로드가 통과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 하부클램퍼(213);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수평방향으로 상기 하부클램퍼(213)의 상부에 하부클램퍼(213)와 나란하게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하부면에는 상기 클램핑실린더(212)의 로드와 결합되어 로드의 입출에 따라 승하강하는 상부클램퍼(2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자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떡봉지컷팅부(220)는,
    제1 떡봉지클램핑부(210-1)의 상부클램퍼(214)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는 컷팅로드리스실린더(221);
    단면이 ㅗ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컷팅로드리스실린더(221)의 일측에 결합되는 모터거치대(224);
    상기 모터거치대(224)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커터(223)가 회전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컷팅모터(222);
    원형 디스크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컷팅모터(222)의 일단에 결합되되, 상기 컷팅모터(222)에 의해 회전하여 떡봉지(b)를 소정 길이만큼만 절단하는 커터(223);로 구성되며,
    상기 떡봉지클램핑부(210)에 의해 고정된 떡봉지(b)의 일단을 소정 길이만큼만 절단하여 떡볶이떡이 떡봉지(b)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자판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떡취출장치(200)에 의해 떡볶이떡이 떡봉지(b)로부터 배출되고 남은 빈 떡봉지(b)를 수거하는 떡봉지수거부(23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떡봉지수거부(230)는, 상기 떡봉지클램핑부(210)의 하부에 각 클램핑지지판(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하게 배치되되 상기 떡봉지클램핑부(210)를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주행이 가능한 수거로드리스실린더(231);를 포함하며,
    상기 떡봉지클램핑부(210)가 빈 떡봉지(b)를 클램핑한 상태로 소정 간격 이송한 후, 언클램핑하면 빈 떡봉지(b)가 수직하방향으로 낙하하여 수거하기 용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자판기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떡볶이떡공급장치와 용기공급장치(300) 사이에 배치되되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을 형성하는 미세홈형성장치(6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세홈형성장치(610)는,
    내부에 수용 가능한 공간부가 구비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떡봉지컷팅부(220)에 의해 취출된 떡볶이떡이 투입되는 스텐리스용기 본체(611);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611)의 상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상부덮개(612);
    판재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611)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형성된 하부덮개(613);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611)의 측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611)를 초음파로 진동하는 하나 이상의 초음파진동자(614);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6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스텐리스용기 본체(611) 내부로 공급 또는 배출되는 세척수의 유동경로를 이루는 세척수튜브(616);
    상기 자판기 본체 내의 일측에 배치되되 상기 세척수튜브(616)와 연결되어 세척수튜브(616)로 세척수를 공급 또는 배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진공펌프(617);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초음파진동자(614)가 진동하도록 전기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스텐리스용기 본체(611)의 내부에 형성된 미세기포가 터지면서 떡볶이떡 표면에 미세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볶이 자판기
  11. 삭제
KR1020210122989A 2021-09-15 2021-09-15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KR102341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89A KR102341815B1 (ko) 2021-09-15 2021-09-15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2989A KR102341815B1 (ko) 2021-09-15 2021-09-15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815B1 true KR102341815B1 (ko) 2021-12-23
KR102341815B9 KR102341815B9 (ko) 2022-04-11

Family

ID=79175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2989A KR102341815B1 (ko) 2021-09-15 2021-09-15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18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18Y1 (ko) * 2006-02-24 2006-05-03 이우석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KR20120136981A (ko) * 2011-06-10 2012-12-20 김복임 떡볶이용 떡 인출 장치와 그 인출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떡볶이용 떡
KR20170094873A (ko) 2016-02-12 2017-08-22 (주)산돌식품 우동형 떡볶이 및 그를 포함하는 즉석조리용 떡볶이 세트
KR102235770B1 (ko) * 2020-11-30 2021-04-02 농업회사법인(주)영풍 떡볶이 자판기의 떡취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518Y1 (ko) * 2006-02-24 2006-05-03 이우석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이송장치
KR20120136981A (ko) * 2011-06-10 2012-12-20 김복임 떡볶이용 떡 인출 장치와 그 인출 장치에 의해 제조되는 떡볶이용 떡
KR20170094873A (ko) 2016-02-12 2017-08-22 (주)산돌식품 우동형 떡볶이 및 그를 포함하는 즉석조리용 떡볶이 세트
KR102235770B1 (ko) * 2020-11-30 2021-04-02 농업회사법인(주)영풍 떡볶이 자판기의 떡취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1815B9 (ko) 2022-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5770B1 (ko) 떡볶이 자판기의 떡취출장치
CN103536197A (zh) 自动冲泡机
CN111731838A (zh) 一种食品自动生产装置
KR102341815B1 (ko) 떡볶이떡의 소스 흡수도 향상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KR102355105B1 (ko) 소스 내 기포 제거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CN108851925A (zh) 一种果汁榨取系统
CN109625362B (zh) 真空无损固液混合灌装设备
KR102339447B1 (ko) 떡볶이떡 분리 기능이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CN212763591U (zh) 一种薯类加工设备
CN208315513U (zh) 一种双头进料自动上料机
CN209305998U (zh) 一种中药饮片包装装置
KR102308215B1 (ko) 양념소스공급장치가 구비된 떡볶이 자판기
JP3959953B2 (ja) 食品加熱殺菌方法および装置
CN211521533U (zh) 罐装产品线上压盖设备
JP2005168604A (ja) 食品加熱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食品加熱方法
CN214880124U (zh) 一种用于纯净水高效灌装的装置
CN215323558U (zh) 一种砂糖包装装置
CN209951804U (zh) 电加热中药炒制机
CN215422653U (zh) 一种杂色蛤高效率蒸煮机
CN112299042A (zh) 一种医用pvc材料生产用投料装置
CN207791292U (zh) 蔬菜深加工产品二次包装设备
CN220872199U (zh) 一种基于金枪鱼用组胺快速检测装置
CN216637085U (zh) 抑菌膏灌装封尾机的自动上管装置
CN211035202U (zh) 一种油茶籽油定量灌装装置
CN210592557U (zh) 一种果酱的罐装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