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582B1 -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 Google Patents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582B1
KR101624582B1 KR1020150090826A KR20150090826A KR101624582B1 KR 101624582 B1 KR101624582 B1 KR 101624582B1 KR 1020150090826 A KR1020150090826 A KR 1020150090826A KR 20150090826 A KR20150090826 A KR 20150090826A KR 101624582 B1 KR101624582 B1 KR 101624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nozzle
reverse
main body
instan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석
Original Assignee
이재현
골든팩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현, 골든팩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재현
Priority to KR1020150090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582B1/ko
Priority to PCT/KR2016/006661 priority patent/WO201620897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21Water-boiling vessels, e.g. kettles
    • A47J27/21166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 A47J27/21191Pouring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이의 목적은 온수 배출구조를 개선하여 조리대 상부에 놓인 즉석식품 용기에 온수를 보다 안전하면서 정확하게 배출하여 즉석식품을 자동 조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의 온수배출장치』에 의하면; 본체(100)의 전장실(110) 전방부에 세워져 배치되며 하단부가 조리대(120)의 인덕션렌지(121) 중앙 직상부를 향하는 원통형상의 승하강-가이드(410)와;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중공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승하강-가이드(410)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단부는 솔레노이드밸브(310)의 온수 출구단과 온수호스(320)를 통해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급수홀(421)이 천공된 온수노즐(420)과; 온수노즐(420)의 하단부를 인덕션렌지(121) 상부에 놓인 즉석식품(F) 용기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온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온수노즐(420)을 본체(100)의 내부에서 승하강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유닛(4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A COOKING EQUIPMENT FOR INSTANT FOOD}
본 발명은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덕션렌지 상부에 놓인 즉석식품 용기에 온수를 보다 안전하면서 정확하게 배출하여 즉석으로 자동 조리를 할 수 있는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라면 등과 같은 즉석식품은 짧은 시간에 간단히 조리할 수 있고 저장·보관·운반·휴대 등이 편리하도록 만든 가공식품이다. 최근에는 즉석식품을 구매하여 즉석에서 열을 가해 자동 조리할 수 있는 상업적인 즉석식품 자동 조리기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2977호에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 제10-0752977호의 라면 자동 조리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공급을 위한 물통(12)과, 물통(1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수필터(13)와, 정수필터(13)를 경유하여 공곱된 물을 일정한 온도 및 일정한 양으로 유지하는 급수용기(18)와, 밸브(14)의 개폐에 의해 급수용기(18)의 물을 라면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노즐(15)과, 라면용기를 지지하는 조리받침(19)과, 라면용기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17)와, 조리 과정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C)를 갖추고 있다. 제어장치(C)에서는 물 추가 버튼 또는 시간 추가 버튼의 작동으로 물이 추가 공급되거나 또는 라면 용기가 추가로 가열되는 경우 한 번의 버튼 작동에 대응하여 일정 시간만 작동되도록 하여 공급되는 물 또는 추가적인 가열이 시간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라면 자동 조리기의 경우, 노즐(15)이 하우징(H)의 전면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 연장되며 이를 통해 라면용기에 물이 떨어져 공급되게 된다. 따라서 라면용기를 정확한 위치에 올려놓지 않으면 노즐(15)에서 낙하 배출되는 온수가 라면용기 외부로도 튀어나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온수 배출로 인해 노즐(15) 역시 가열되는데, 이러한 노즐(15)이 외부에 항상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이 미숙한 경우 화상과 같은 안전사고가 발생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 배출구조를 개선하여 조리대 상부에 놓인 즉석식품 용기에 온수를 보다 안전하면서 정확하게 배출하여 즉석식품을 자동조리 할 수 있는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온수노즐을 온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만 외부로 돌출시키고 온수 배출이 완료되면 본체 내부에 다시 수용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는 전장품이 배치되는 전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전방을 향해 수평 연장되며 인덕션렌지가 마련된 조리대를 갖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장실에 배치되며 조리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통과; 상기 본체의 전장실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통의 물이 공급되어 일정온도로 유지되며 출구단에는 솔레노이드밸브가 마련된 온수통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 동작을 통해 상기 온수통의 온수를 상기 인덕션렌지에 놓인 즉석식품 용기에 배출시키기 위한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출장치가; 상기 본체의 전장실 전방부에 세워져 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조리대의 인덕션렌지 중앙 직상부를 향하는 원통형상의 승하강-가이드와;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중공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하강-가이드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단부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온수 출구단과 온수호스를 통해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급수홀이 천공된 온수노즐과; 상기 온수노즐의 하단부를 상기 인덕션렌지 상부에 놓인 즉석식품 용기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온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온수노즐을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승하강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유닛이 상기 온수노즐의 외벽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되면서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온수노즐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정역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유닛이 상기 온수노즐의 상단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스위칭-축과; 상기 정역모터의 정방향 구동으로 상기 온수노즐이 하강하여 상기 스위칭-축에 의해 스위칭 조작되면 상기 정역모터의 정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리드스위치와; 상기 정역모터의 역방향 구동으로 상기 온수노즐이 승강하여 상기 스위칭-축에 의해 스위칭 조작되면 상기 정역모터의 역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2리드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에 의하면; 온수노즐이 하강하여 하단부가 인덕션렌지에 놓인 즉석식품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온수가 배출되며 온수 배출이 완료되면 온수노즐은 승강하여 본체 내부에 다시 수용됨으로써, 즉석식품 용기에 온수를 보다 안전하면서 정확하게 배출하여 즉석식품을 자동조리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온수노즐이 온수가 배출되는 경우에만 외부로 돌출되고 온수 배출이 완료되면 본체 내부에 수용시킴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에 의하면; 정역모터의 정역방향 구동 제어를 통해 온수노즐의 승하강 동작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에 의하면; 제1리드스위치와 제2리드스위치를 통해 정역모터의 구동 방향을 정확하면서 안전하게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0-0752977호의 종래 라면 자동 조리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품 자동조리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의 내부 구조를 일부 절결하여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의 온수배출장치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배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의 인덕션렌지에 즉석식품이 놓인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온수노즐 하강 동작을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에서 온수 공급동작을 보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온수노즐 승강 동작을 보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에서 온수 공급이 완료된 후 온수노즐이 승강되는 상태를 보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및 온수배출장치의 구성을 보인 것이고, 도 8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의 조리 동작 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식품 자동조리기는 조리대에 놓인 즉석식품 용기에 직접 적당량의 온수를 배출한 후 인덕션렌지를 통해 직접 가열하여 조리하는 것으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내부에 전장실(110)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인덕션렌지(121)가 마련된 조리대(120)를 갖춘 본체(100)와, 이 본체(100)의 전장실(110)에 배치되는 급수통(200)과, 이 급수통(200)의 물이 공급되어 일정온도로 유지되는 온수통(300)과, 조리 동작 시 온수통(300)에 저장된 적당량의 온수를 인덕션렌지(121)에 놓인 즉석식품 용기에 배출시키기 위한 온수배출장치(40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의 외형을 이루는 본체(100)는 인덕션렌지(121)를 통한 가열조리는 물론이며 스팀 조리를 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며, 이를 위해 조리대(120)에는 유도가열 용기를 조리할 수 있는 인덕션렌지(121)와 스팀 조리를 위한 식품 안착부(122)가 마련되어 있다.
조리대(120)의 인덕션렌지(121)에는 포장용기에 식품이 담긴 상태의 즉석식품을 직접 올려놓을 수 있으며, 인덕션렌지(121)를 통한 자동 조리를 위해서는 즉석식품의 용기가 유도가열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본체(100)의 전장실(110)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통(200)과, 이 급수통(200)으로부터 물을 전달받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일시 저장하는 온수통(300)을 갖추고 있다. 온수통(300)에 저장된 물은 히터(미도시)를 통해 일정온도로 가열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60 내지 65℃ 정도가 가열 유지된다. 이러한 것은 즉석식품 용기에 온수를 배출 공급함으로써, 인덕션렌지(121)를 통한 가열 조리시간을 단축하기 위함이다. 또한, 온수통(300)의 출구에는 솔레노이드밸브(310)가 마련되며, 이의 개폐동작에 따라 온수배출장치(400)를 통한 온수 배출이 제어된다.
또한, 본체(100)의 전면부는 제어패널(130)이 구성되는데, 여기에는 식품조리 제어를 위한 각종 스위치와 모니터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온수배출장치(400)는 솔레노이드밸브(310)의 개폐 동작을 통해 온수통(300)의 물을 인덕션렌지(120)에 놓인 즉석식품 용기에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전장실(110)에 세워져 배치되는 원통 형상의 승하강-가이드(410)와, 이 승하강-가이드(410)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단부가 솔레노이드밸브(310)의 온수 출구단과 연결된 온수노즐(420)과, 이 온수노즐(420)을 본체(100)의 내부에서 승하강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유닛(430)을 구비하고 있다.
승하강-가이드(410)는 상하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본체(100)의 전장실(110) 전방부에 세워져 배치되는 것으로, 이의 하단부는 조리대(120) 인덕션렌지(121)의 중앙 직상부를 향하게 된다.
온수노즐(420)은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중공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승하강-가이드(410)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온수노즐(420)의 상단부는 솔레노이드밸브(310)의 온수 출구단과 온수호스(320)를 통해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급수홀(421)이 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온수노즐(420)의 하단부는 화살촉 형태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즉석식품 용기의 뚜껑 중앙을 직접 뚫고서도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구동유닛(430)은 온수노즐(420)의 하단부를 인덕션렌지(121) 상부에 놓인 즉석식품 용기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온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온수노즐(420)을 본체(100)의 내부에서 승하강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구동유닛(430)은 온수노즐(420)의 외벽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랙기어(431;rack gear)와, 이 랙기어(431)와 치합되면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피니언기어(432;pinion gear)와, 이 피니언기어(432)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온수노즐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정역모터(433)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정역모터(433)를 통한 피니언기어(432)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시킴에 따라 온수노즐(420)이 승강 또는 하강하게 된다.
또한, 구동유닛(430)은 온수노즐(420)의 상단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스위칭-축(434)과, 이 스위칭-축(434)의 스위칭 조작을 통해 정역모터(433)의 정방향/역방향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1리드스위치(435)와 제2리드스위치(436)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제1리드스위치(435)는 정역모터(433)의 정방향 구동으로 온수노즐(420)이 최대로 하강하여 스위칭-축(434)에 의해 스위칭 조작되면, 정역모터(433) 정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2리드스위치(436)는 정역모터(433)의 역방향 구동으로 온수노즐(420)이 최대로 승강하여 스위칭-축(434)에 의해 스위칭 조작되면, 정역모터(460) 역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제1리드스위치(435)와 제2리드스위치(436)는 온수노즐(420)의 인접부위에 세워져 배치된 브래킷(437)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온수노즐(420)이 최대로 하강하여 스위칭-축(434)이 하부에 위치한 제1리드스위치(435)를 기구적으로 스위칭 조작하면 정역모터(433)의 정방향 구동을 중지시키며, 온수노즐(420)이 최대로 승강하여 스위칭-축(434)이 상부에 위치한 제2리드스위치(436)를 기구적으로 스위칭 조작하면 정역모터(433)의 역방향 구동을 중지시키도록 프로그램화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를 통한 즉석식품 자동 조리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대(120)의 인덕션렌지(121) 위에 조리하고자 하는 즉석식품(F)을 올려놓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즉석식품은 인덕션렌지를 통한 가열조리가 가능한 용기에 식품이 담긴 상태의 것을 말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제어패널(130)의 조리 시작 버튼을 누르면; 구동유닛(430)의 구동으로 온수노즐(420)이 하강한다. 즉, 도 9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역모터(433)의 정방향 구동으로 피니언기어(432)가 정방향 회전하면 온수노즐(420)이 승하강-가이드(410)를 통해 가이드되면서 하강한다. 이러한 정역모터(433)의 정방향 구동은 온수노즐(420)이 최대로 하강하여 스위칭-축(434)이 제1리드스위치(435)를 스위칭 조작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온수노즐(420)이 최대로 직하강하면, 이의 하단부는 즉석식품(F)의 용기 뚜껑을 직접 뚫고 들어간다. 이러한 상태에서 온수통(300)의 솔레노이드밸브(310)가 개방 동작하면, 온수통(300)에 저장된 온수는 온수노즐(420)을 통해 즉석식품(F) 용기로 배출된다. 이때, 온수노즐(420)이 하강하여 하단부가 인덕션렌지(121)에 놓인 즉석식품(F) 용기에 수용된 상태에서 온수가 배출되기 때문에, 온수 배출이 보다 안전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즉석식품(F)의 종류에 따라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솔레노이드밸브(310)의 개방동작이 이루어진 후 폐쇄되면, 온수 공급이 중단되며 이후에는 정역모터(433)가 역방향으로 구동한다. 정역모터(433)의 역방향 구동은 온수노즐(420)이 최대로 승강하여 스위칭-축(434)이 제2리드스위치(436)를 스위칭 조작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뜨거운 온수노즐(420)이 최대로 승강하면 이것은 외부로 노출됨이 없이 본체(100)에 완전하게 수용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즉석식품(F) 용기에 설정량의 온수 공급이 이루어진 후에는 인덕션렌지(121)가 구동하여 가열 조리를 한다. 인덕션렌지(121)의 구동 시간 역시 즉석식품(F)의 종류에 따라 제어프로그램에 미리 설정되어 있다.
100..본체 110..전장실 120..조리대
121..인덕션렌지 122..식품 안착부 130..제어패널
200..급수통 300..온수통 310..솔레노이드밸브
320..온수호스 400..온수배출장치 410..승하강-가이드
420..온수노즐 421..급수홀 430..구동유닛
431..랙기어 432..피니언기어 433..정역모터
434..스위칭-축 435..제1리드스위치 436..제2리드스위치
437.브래킷 F..즉석식품

Claims (3)

  1. 내부에는 전장품이 배치되는 전장실(110)이 마련되고, 하부에는 전방을 향해 수평 연장되며 인덕션렌지(121)가 마련된 조리대(120)를 갖춘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의 전장실(110)에 배치되며 조리를 위한 물이 저장되는 급수통(200)과; 상기 본체(100)의 전장실(110)에 배치되며 상기 급수통(200)의 물이 공급되어 일정온도로 유지되며 출구단에는 솔레노이드밸브(310)가 마련된 온수통(300)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0)의 개폐 동작을 통해 상기 온수통(300)의 온수를 상기 인덕션렌지(121)에 놓인 즉석식품(F) 용기에 배출시키기 위한 온수배출장치(400)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출장치(400)는;
    상기 본체(100)의 전장실(110) 전방부에 세워져 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조리대(120)의 인덕션렌지(121) 중앙 직상부를 향하는 원통형상의 승하강-가이드(410)와;
    내부가 길이방향으로 중공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승하강-가이드(410)를 통해 승하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단부는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10)의 온수 출구단과 온수호스(320)를 통해 연결되고 하단부에는 급수홀(421)이 천공된 온수노즐(420)과;
    상기 온수노즐(420)의 하단부를 상기 인덕션렌지(121) 상부에 놓인 즉석식품(F) 용기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온수를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온수노즐(420)을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승하강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유닛(4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430)은;
    상기 온수노즐(420)의 외벽에 길이방향으로 마련된 랙기어(431)와;
    상기 랙기어(431)와 치합되면서 정역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피니언기어(432)와;
    상기 피니언기어(432)를 정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상기 온수노즐(420)을 승하강시키기 위한 정역모터(4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유닛(430)은;
    상기 온수노즐(420)의 상단 벽면에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스위칭-축(434)과;
    상기 정역모터(433)의 정방향 구동으로 상기 온수노즐(420)이 하강하여 상기 스위칭-축(434)에 의해 스위칭 조작되면 상기 정역모터(433)의 정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1리드스위치(435)와;
    상기 정역모터(433)의 역방향 구동으로 상기 온수노즐(420)이 승강하여 상기 스위칭-축(434)에 의해 스위칭 조작되면 상기 정역모터(433)의 역방향 구동을 중지시키기 위한 제2리드스위치(43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KR1020150090826A 2015-06-26 2015-06-26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KR101624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826A KR101624582B1 (ko) 2015-06-26 2015-06-26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PCT/KR2016/006661 WO2016208977A1 (ko) 2015-06-26 2016-06-23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826A KR101624582B1 (ko) 2015-06-26 2015-06-26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582B1 true KR101624582B1 (ko) 2016-05-26

Family

ID=56104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826A KR101624582B1 (ko) 2015-06-26 2015-06-26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24582B1 (ko)
WO (1) WO20162089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819A (ko) * 2017-05-30 2018-12-10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배출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00B1 (ko) 2014-02-28 2014-07-17 임현우 조리용 스팀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7460A (ko) * 2003-09-15 200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과열증기 조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52977B1 (ko) * 2007-03-16 2007-08-30 최지도 라면 자동 조리기
KR20090052707A (ko) * 2007-11-21 2009-05-26 주식회사 링크엠 라면 조리기
KR101430371B1 (ko) * 2013-09-26 2014-09-23 함용승 즉석 조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00B1 (ko) 2014-02-28 2014-07-17 임현우 조리용 스팀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819A (ko) * 2017-05-30 2018-12-10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배출장치
KR102504982B1 (ko) * 2017-05-30 2023-03-02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배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8977A1 (ko) 2016-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03474B (zh) 烹饪器具的控制方法
KR101624581B1 (ko) 즉석식품용 스팀 조리장치
KR101816848B1 (ko) 급속 조리장치가 구비된 라면 자판기
JP2007003090A (ja) 加熱調理装置
KR101617283B1 (ko) 조리기기 및 그 운전 방법
KR101566856B1 (ko) 즉석식품 조리기
RU2692022C2 (ru) Электробытовой прибор для кулинарной обработки
KR20180088591A (ko) 스팀가열식 및 인덕션가열식 복합형 즉석식품 조리장치
US20020112611A1 (en) Cooking machine
JP2003070644A (ja) 食品加熱装置
JP2004205201A (ja) 電子レンジ
KR101624582B1 (ko)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JP6880444B2 (ja) 洗米装置
US20220026077A1 (en) Cooker
JP5809451B2 (ja) 圧力式炊飯器
KR20180088594A (ko) 정수기능을 구비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JP2012135412A (ja) 茹で機
CN112006535B (zh) 压力烹饪器具及其烹饪控制方法和烹饪控制装置
KR20160035489A (ko) 스팀 조리기
KR101632970B1 (ko) 스팀히터유닛을 갖춘 즉석식품용 스팀 조리장치
CN104665570A (zh) 平板蒸汽炉
JP6990882B2 (ja) 炊飯器
JP7390649B2 (ja) 炊飯器
KR20170056740A (ko) 스팀노즐의 세척이 가능한 즉석식품 조리장치
JP2012102917A (ja) 蒸気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