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982B1 - 온수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982B1
KR102504982B1 KR1020170066895A KR20170066895A KR102504982B1 KR 102504982 B1 KR102504982 B1 KR 102504982B1 KR 1020170066895 A KR1020170066895 A KR 1020170066895A KR 20170066895 A KR20170066895 A KR 20170066895A KR 102504982 B1 KR102504982 B1 KR 102504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team
dispensing device
discharging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8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819A (ko
Inventor
김근환
박찬정
강우진
엄주혁
박시준
염창섭
예병효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68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982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7/00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8Drai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6Arrangements for water drainage 

Abstract

온수배출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온수배출장치는 온수기로부터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유입되며 온수와 증기를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공급하는 기액분리공급부; 및 상기 기액분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온수와 증기가 각각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수배출장치{HOT WATER DISCHAR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온수기에서 만들어진 온수를 외부로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온수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온수기는 온수를 만드는 장치이다. 온수기에는 온수배출장치가 연결되며 온수배출장치를 통해 온수기에서 만들어진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온수기에서 온수를 만들 때 증기가 온수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에 포함된 증기는 온수와 함께 온수배출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증기가 포함된 채로 온수가 온수배출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 온수가 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온수가 튀어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 등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온수기에서 만들어진 온수가 온수배출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온수와 증기가 온수배출장치에서 분리되어 각각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온수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온수배출장치는 온수기로부터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유입되며 온수와 증기를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공급하는 기액분리공급부; 및 상기 기액분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온수와 증기가 각각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배출부는 배출되는 온수 주위로 증기가 퍼지면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액분리공급부는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유동하면서 온수와 증기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공간이 형성된 분리공급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공급본체에는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상기 분리공간에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와, 증기가 분리된 온수가 상기 분리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공급구 및, 온수로부터 분리된 증기가 상기 분리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공급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공급구는 상기 분리공급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증기공급구는 상기 분리공급본체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분리공급본체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공급본체에는 상기 온수공급구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리공급본체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충돌하여 온수로부터 증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충돌분리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돌분리부재는 상기 유입구와 마주보도록 상기 분리공급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기액분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분리된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배출로가 형성된 온수배출부재와, 상기 기액분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배출로가 형성된 증기배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수배출부재의 온수배출측이 상기 증기배출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증기배출로 내부를 지나도록 상기 온수배출부재가 상기 증기배출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배출부재의 온수배출측 단부는 상기 증기배출부재의 증기배출측 단부와 일치하거나 상기 증기배출측 단부보다 소정 길이 외부로 더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온수배출로에 연결되는 온수배출연장로가 형성되고 상기 온수배출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온수배출연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배출연장부재는 온수배출시 온수배출측 단부가 상기 증기배출부재의 증기배출측 단부보다 소정 길이 외부로 더 연장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온수배출연장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배출연장부재에는 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구동유닛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연결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기에서 만들어진 온수와 온수를 만들 때 온수에 포함된 증기가 온수배출장치에서 분리되어 각각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기에서 만들어진 온수가 온수배출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되는 온수 주위로 증기가 퍼지면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온수와 증기가 각각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기액분리공급부와 배출부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기액분리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배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온수배출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이하, 도1 내지 도6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기액분리공급부와 배출부를 분리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기액분리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배출부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5와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100)의 일실시예는 기액분리공급부(200)와, 배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액분리공급부(20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기(HW)로부터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유입될 수 있다. 기액분리공급부(200)에 유입된, 증기가 포함된 온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액분리공급부(200)에서 온수와 증기로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액분리공급부(200)에서 분리된 온수와 증기는 기액분리공급부(200)로부터 배출부(300)로 각각 별도로 공급될 수 있다.
기액분리공급부(200)는 분리공급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공급본체(210)에는 분리공간(SD)이 형성될 수 있다. 분리공급본체(210)의 분리공간(SD)으로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분리공급본체(210)의 분리공간(SD)에 유입된, 증기가 포함된 온수는 분리공간(SD)을 유동하면서 온수와 증기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공급본체(210)에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211)와 온수공급구(212) 및 증기공급구(213)가 구비될 수 있다. 유입구(211)와 온수공급구(212) 및 증기공급구(213)는 분리공급본체(210)의 분리공간(SD)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유입구(211)는 유입관(T1)에 의해서 온수기(HW)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기(HW)에서 만들어진, 증기가 포함된 온수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관(T1)을 유동한 후 유입구(211)를 통해 분리공급본체(210)의 분리공간(SD)에 유입될 수 있다.
유입구(211)는 분리공급본체(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유입구(211)가 구비되는 분리공급본체(210)의 부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온수기(HW)에서 만들어진,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분리공급본체(210)의 분리공간(SD)에 유입될 수 있는 부분이라면 분리공급본체(210)의 어떠한 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유입관(TI)에 의해서 분리공급본체(210)의 유입구(211)에 연결되는 온수기(HW)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온수를 만들어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온수공급구(212)를 통해서는, 분리공급본체(210)의 분리공간(SD)에서 증기가 분리된 온수가 배출될 수 있다. 온수공급구(212)는 온수공급관(TH)에 의해서 배출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공급구(212)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분리된 온수가 배출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온수공급구(212)는 분리공급본체(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증기보다 밀도가 높아서 분리공급본체(210)의 하부에 모아지는 온수만이 온수공급구(212)를 통해 분리공급본체(210)의 분리공간(SD)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증기공급구(213)를 통해서는, 분리공급본체(210)의 분리공간(SD)에서 온수로부터 분리된 증기가 배출될 수 있다. 증기공급구(213)는 증기공급관(TV)에 의해서 배출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공급구(213)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배출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증기공급구(213)는 분리공급본체(21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온수보다 밀도가 낮아서 분리공급본체(210)의 상부에 모아지는 증기만이 증기공급구(213)를 통해 분리공급본체(210)의 분리공간(SD)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분리공급본체(210)에는 경사부(214)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부(214)는 온수공급구(212)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증기는 온수보다 밀도가 낮다. 그러므로, 분리공급본체(210)의 분리공간(SD)을 유동하는 증기가 포함된 온수는 증기가 분리되면서 경사부(214)를 따라 유동하여 온수공급구(2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분리공급본체(210)에는 충돌분리부재(215)가 구비될 수 있다. 충돌분리부재(215)에는 유입구(211)를 통해 분리공간(SD)에 유입된,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충돌하여 증기가 온수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충돌분리부재(215)는 유입구(211)와 마주보도록 분리공급본체(210)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유입구(211)가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공급본체(2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경우에, 충돌분리부재(215)는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공급본체(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덮개부재(216)에서 유입구(211)에 대응되는 덮개부재(216)의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충돌분리부재(215)의 분리공급본체(210)에서의 구비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입구(211)를 통해서 분리공간(SD)에 유입된,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충돌하여 증기가 온수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위치라면 분리공급본체(210)의 어떠한 부분에도 구비될 수 있다.
배출부(300)는 기액분리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온수와 증기가 각각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출부(300)를 통해 온수와 증기가 각각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온수가 외부로 배출될 때 튀지 않을 수 있어서,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배출부(3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온수 주위로 증기가 퍼지면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온수와 증기가 각각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배출부(300)는 온수배출부재(310)와, 증기배출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온수배출부재(310)에는 온수배출로(RH)가 형성될 수 있다. 기액분리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분리된 온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배출부재(310)의 온수배출로(RH)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온수배출로(RH)의 일측은 기액분리공급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관(TH)이 온수배출부재(310)의 일측과 기액분리공급부(200)의 분리공급본체(210)의 온수공급구(212)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온수배출로(RH)의 일측이 기액분리공급부(200)의 온수공급구(21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기액분리공급부(200)의 온수공급구(212)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분리된 온수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공급관(TH)을 통해 온수배출부재(310)의 온수배출로(RH)에 공급될 수 있다.
온수배출로(RH)의 타측은 외부에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배출부재(310)의 온수배출로(RH)에 공급된, 증기가 분리된 온수가 온수배출로(RH)를 유동하여 온수배출로(RH)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증기배출부재(320)에는 증기배출로(RV)가 형성될 수 있다. 기액분리공급부(200)로부터 공급된 증기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배출부재(320)의 증기배출로(RV)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증기배출로(RV)의 일측은 기액분리공급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공급관(TV)이 증기배출부재(320)의 일측의 외주에 형성된 연결구(321a)와 기액분리공급부(200)의 분리공급본체(210)의 증기공급구(21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증기배출로(RV)의 일측이 기액분리공급부(200)의 증기공급구(213)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기액분리공급부(200)의 증기공급구(213)로부터 배출된 증기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공급관(TV)을 통해 증기배출부재(320)의 증기배출로(RV)에 공급될 수 있다.
증기배출로(RV)의 타측은 외부에 개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기배출부재(320)의 증기배출로(RV)에 공급된 증기가 증기배출로(RV)를 유동하여 증기배출로(RV)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온수배출부재(310)는 온수배출측이 증기배출부재(320)를 관통하여 증기배출로(RV) 내부를 지나도록 증기배출부재(3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온수배출부재(310)의 온수배출로(RH) 주위에 증기배출부재(320)의 증기배출로(RV)가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온수배출부재(310)의 온수배출로(RH)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배출되는 온수 주위로 증기가 퍼지면서 증기배출부재(320)의 증기배출로(RV)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온수배출부재(310)의 온수배출측 단부는 증기배출부재(320)의 증기배출측 단부와 일치하거나 증기배출부재(320)의 증기배출측 단부보다 소정 길이 외부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온수와 증기가 온수배출부재(310)와 증기배출부재(320)로부터 각각 별도로 배출되면서도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배출부(300)는 온수배출연장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수배출연장부재(330)는 온수배출부재(3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온수배출연장부재(330)에는 온수배출부재(310)의 온수배출로(RH)에 연결되는 온수배출연장로(RE)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온수배출부재(310)의 온수배출로(RH)를 유동한 온수는 온수배출연장부재(330)의 온수배출연장로(RE)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예컨대, 온수배출부재(310)의 적어도 일부가 온수배출연장부재(330)의 온수배출연장로(RE)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온수배출부재(310)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311)가 형성되고, 온수배출연장부재(330)에는 온수배출부재(310)의 가이드돌기(311)가 삽입되는 장공의 가이드구멍(3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돌기(311)가 가이드구멍(331)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서, 온수배출연장부재(330)가 가이드구멍(331)의 길이만큼 왕복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온수배출연장부재(330)가 온수배출부재(310)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에서, 온수배출연장부재(33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온수배출시 온수배출연장부재(330)의 온수배출측 단부가 증기배출부재(320)의 증기배출측 단부보다 소정 길이 외부로 더 연장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수와 증기가 온수배출연장부재(330)와 증기배출부재(320)로부터 각각 별도로 배출되면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배출부(300)는 이동구동유닛(3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구동유닛(340)은 온수배출연장부재(3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온수배출연장부재(330)에는 랙기어(332)가 구비되고, 이동구동유닛(340)은 피니언기어(341)와, 구동모터(342)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341)는 온수배출연장부재(330)의 랙기어(332)에 맞물릴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342)는 피니언기어(34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342)에 의한 피니언기어(341)의 회전에 의해서, 온수배출연장부재(330)가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증기배출부재(320)는 제1부분부재(321)와 제1부분부재(321)에 연결되는 제2부분부재(322)를 포함할 수 있다. 증기배출부재(320)의 제1부분부재(321)는 온수배출부재(310)가 관통하며 전술한 연결구(321a)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증기배출부재(320)의 제2부분부재(322)는 전술한 온수배출연장부재(330)가 내부에 이동가능하게 위치하고 피니언기어(341)가 온수배출연장부재(330)의 랙기어(332)에 맞물리도록 위치하며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수배출장치를 사용하면, 온수기에서 만들어진 온수와 온수를 만들 때 온수에 포함된 증기가 온수배출장치에서 분리되어 각각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온수기에서 만들어진 온수가 온수배출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때 튀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안전사고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배출되는 온수 주위로 증기가 퍼지면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온수와 증기가 각각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데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온수배출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온수배출장치 200 : 기액분리공급부
210 : 분리공급본체 211 : 유입구
212 : 온수공급구 213 : 증기공급구
214 : 경사부 215 : 충돌분리부재
216 : 덮개부재 300 : 배출부
310 : 온수배출부재 311 : 가이드돌기
320 : 증기배출부재 321 : 제1부분부재
321a : 연결구 322 : 제2부분부재
330 : 온수배출연장부재 331 : 가이드구멍
332 : 랙기어 340 : 이동구동유닛
341 : 피니언기어 342 : 구동모터
HW : 온수기 SD : 분리공간
RH : 온수배출로 RV : 증기배출로
RE : 온수배출연장로 TI : 유입관
TH : 온수공급관 TV : 증기공급관

Claims (16)

  1.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유동하면서 온수와 증기로 분리되도록 하는 분리공간이 형성된 분리공급본체를 포함하고, 온수기로부터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유입되며 온수와 증기를 분리하여 각각 별도로 공급하는 기액분리공급부; 및
    상기 기액분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온수와 증기가 각각 별도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분리공급본체는,
    증기가 분리된 온수가 상기 분리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공급구;
    상기 온수공급구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경사진 경사부; 및
    상기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충돌하여 온수로부터 증기가 분리되도록 상기 분리공급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충돌분리부재;
    를 포함하는 온수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배출되는 온수 주위로 증기가 퍼지면서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배출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공급본체에는 증기가 포함된 온수가 상기 분리공간에 유입되도록 하는 유입구 및 온수로부터 분리된 증기가 상기 분리공간으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공급구를 더 포함하는 온수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공급구는 상기 분리공급본체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증기공급구는 상기 분리공급본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온수배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분리공급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온수배출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돌분리부재는 상기 유입구와 마주보도록 상기 분리공급본체에 구비되는 온수배출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기액분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분리된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온수배출로가 형성된 온수배출부재와,
    상기 기액분리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증기배출로가 형성된 증기배출부재
    를 포함하는 온수배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출부재의 온수배출측이 상기 증기배출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증기배출로 내부를 지나도록 상기 온수배출부재가 상기 증기배출부재에 연결되는 온수배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출부재의 온수배출측 단부는 상기 증기배출부재의 증기배출측 단부와 일치하거나 상기 증기배출측 단부보다 소정 길이 외부로 더 연장되는 온수배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온수배출로에 연결되는 온수배출연장로가 형성되고 상기 온수배출부재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온수배출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온수배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출연장부재는 온수배출시 온수배출측 단부가 상기 증기배출부재의 증기배출측 단부보다 소정 길이 외부로 더 연장되도록 이동되는 온수배출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온수배출연장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구동유닛을 더 포함하는 온수배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출연장부재에는 랙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구동유닛은
    상기 랙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에 연결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온수배출장치.
KR1020170066895A 2017-05-30 2017-05-30 온수배출장치 KR102504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95A KR102504982B1 (ko) 2017-05-30 2017-05-30 온수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95A KR102504982B1 (ko) 2017-05-30 2017-05-30 온수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19A KR20180130819A (ko) 2018-12-10
KR102504982B1 true KR102504982B1 (ko) 2023-03-02

Family

ID=64670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895A KR102504982B1 (ko) 2017-05-30 2017-05-30 온수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9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70265A (ko) * 2022-06-10 2023-12-19 주식회사 리빙케어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582B1 (ko) * 2015-06-26 2016-05-26 이재현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6064A (ko) * 2012-05-10 2013-11-20 코웨이 주식회사 증기분리장치
KR101479315B1 (ko) * 2013-04-09 2015-01-05 주식회사 은성산업 냉온수기의 취출수 물튐 방지용 댐퍼 코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4582B1 (ko) * 2015-06-26 2016-05-26 이재현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819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4403B2 (en) Dispenser of detergent supply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KR102504982B1 (ko) 온수배출장치
US7261123B2 (en) Reservoir tank of a power steering system for a car
JP2008272631A (ja) 微細気泡発生装置
KR101304914B1 (ko) 용접 토치의 가스 디퓨저
US20180023443A1 (en) Mixing device
JP4895033B2 (ja) 微細気泡発生装置
JP4781036B2 (ja) シャワークーラント装置
JP2009108509A (ja) 便器装置
DE102005012424A1 (de) Waschmittel-Einspüleneinrichtung
CN101526054A (zh) 车辆用燃料供给装置
JP5163334B2 (ja) 噴出ノズル構造および循環アダプタ
JP7255160B2 (ja) 浴槽洗浄装置
KR20180118931A (ko) 물배출장치
KR20070080498A (ko) 용기
JP5580336B2 (ja) 圧縮空気注油器
KR102010977B1 (ko) 물배출장치
KR101556209B1 (ko) 오염수 처리장치
KR102617793B1 (ko) 수소 발생 장치
KR20180120710A (ko) 리턴 루프를 가지는 우유 거품 발생장치
RU2437971C2 (ru) Утюг с распылителем
KR20130126064A (ko) 증기분리장치
US9381456B2 (en) Air filter
JPH10108993A (ja) 給水装置を備えた洗濯機
JP6522370B2 (ja) 放水ノズル及び混合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