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70265A -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70265A
KR20230170265A KR1020220070567A KR20220070567A KR20230170265A KR 20230170265 A KR20230170265 A KR 20230170265A KR 1020220070567 A KR1020220070567 A KR 1020220070567A KR 20220070567 A KR20220070567 A KR 20220070567A KR 20230170265 A KR20230170265 A KR 20230170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water
steam
water
steamer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0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택율
김이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빙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빙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빙케어
Priority to KR1020220070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70265A/ko
Priority to PCT/KR2023/006310 priority patent/WO2023239063A1/ko
Publication of KR20230170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70265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Safety means, e.g. over-pressur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018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 히터부에서 가열된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가 고온수 밸브 측 도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스팀기; 상기 스팀기 내에서 분리된 상기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 개폐장치; 및 상기 스팀기 내에서 상기 스팀이 제외된 고온수가 출수 밸브 측 도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출수 밸브를 포함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기에는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팀이 응결하여 표면에 물방울이 형성되고, 상기 물방울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격벽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스팀트랩;이 구비되며, 상기 고온수 밸브 측 도관과 연결된 제 1 고온수통부; 상기 출수 밸브 측 도관과 연결된 제 2 고온수통부; 상기 스팀기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고온수통부에서 상기 제 2 고온수통부의 경계에 상기 제 1 고온수통부 측에는 급격하게 경사지고, 상기 제 2 고온수통부 측에는 완만하게 경사지는 구획부; 및 상기 제 2 고온수통부 내에 상기 스팀트랩의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스팀을 상기 고온수와 분리시키는 증기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적인 온수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고온수를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잔수를 배출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크게 높일 수 있고, 고온수를 더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종래보다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 또한 가능하다.

Description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HOT WATE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고온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에 사용되는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적인 온수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고온수를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온수를 사용자가 출수하는 경우에 출수구에서 잔수가 발생하여 사용자의 화상 위험이 존재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잔수를 배출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크게 높였으며, 고온수를 더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 보다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정수기에 구비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공해로 인한 환경오염이 가장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어 있는 바, 대기오염이나 토지오염, 수질오염 등 여러 가지 환경오염 중 특히 하천수나 해수, 온천수 등 자연수의 오염은 식수인 수돗물의 사용을 제한하는 심각한 문제로 되고 있다. 따라서 수돗물을 직접 마시지 않고 가정이나 학교, 직장, 관공서 등 공공장소에서는 냉온 정수기를 설치하여 물을 마시고자 하는 사람의 취향에 따라 냉수와 온수를 선택하여 마실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가정용 비데 또는 정수기 등에 사용되는 온수 공급 장치는 크게 물탱크 속에 히터를 설치하는 물탱크형과, 공급되는 물에 대하여 필요 시마다 히터를 이용하여 가열하는 순간 온수형으로 구분된다.
물탱크형 온수 공급 장치는 온수의 사용여부와 관계없이 물탱크 내의 물의 온도를 항상 설정온도로 유지하므로 대기전력의 낭비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용자의 온수 공급 요청에 따라, 순간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직수식 온수공급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온수를 만드는 온수탱크나 순간가열기에서는 온수를 만드는 과정에서 증기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발생된 증기가 온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면 온수가 튄다거나 온수의 흐름이 끊긴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고자 온수탱크에는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오버히팅관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온수탱크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는 오버히팅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러나, 순간가열기에는 전술한 오버히팅관 등과 같이 온수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성이 없다. 따라서, 순간가열기에서 온수를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된 증기는 온수와 함께 외부로 배출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가 튄다거나 온수의 흐름이 끊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온수탱크에 오버히팅관이 구비되는 경우에도, 온수와 함께 증기가 완전히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온수 공급 장치는 대략 80~85℃ 온도의 온수를 출수하고 있으나, 차를 마시거나 컵라면을 먹고자 할 경우와 같이 대략 80~85℃ 온도보다 높은 온도(예를 들면, 95℃ 이상의 온도)의 고온수를 출수할 경우 기포가 발생하여 물튐 및 비산이 발생하여 안전성에 화상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더 이상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93094(공개일 2021.07.27.)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130819(공개일 2018.12.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온수를 공급하는 정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정수기에서 공급되는 온수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고온수를 안전하게 공급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잔수를 배출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크게 높였으며, 고온수를 더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래 보다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정수기에 구비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는 온수 히터부에서 가열된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가 고온수 밸브 측 도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스팀기; 상기 스팀기 내에서 분리된 상기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 개폐장치; 및 상기 스팀기 내에서 상기 스팀이 제외된 고온수가 출수 밸브 측 도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출수 밸브를 포함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기에는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팀이 응결하여 표면에 물방울이 형성되고, 상기 물방울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격벽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스팀트랩;이 구비되며, 상기 고온수 밸브 측 도관과 연결된 제 1 고온수통부; 상기 출수 밸브 측 도관과 연결된 제 2 고온수통부; 상기 스팀기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고온수통부에서 상기 제 2 고온수통부의 경계에 상기 제 1 고온수통부 측에는 급격하게 경사지고, 상기 제 2 고온수통부 측에는 완만하게 경사지는 구획부; 및 상기 제 2 고온수통부 내에 상기 스팀트랩의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스팀을 상기 고온수와 분리시키는 증기트랩을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온수 밸브 측 도관과 상기 스팀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오리피스가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증기트랩은 하나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온수에 포함되거나 상기 고온수에서 기화되는 상기 스팀이 상기 공극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온수에서 상기 스팀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할 수 있다.
이밖에, 상기 스팀트랩은 상기 제 2 고온수통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을 상방으로 유동하게 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팀 개폐장치와 상기 스팀기 사이에서 상기 고운수에서 분리된 상기 스팀이 모이는 상부 챔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의하면, 일반적인 온수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고온수를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잔수를 배출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크게 높였다.
또한, 고온수를 더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결과 종래보다 전력소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에 구비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스팀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스팀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출수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출수 밸브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구체적인 수치는 실시예에 불과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수를 제공하는 정수기에 구비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는 크게 고온수 밸브(100), 스팀기(200), 스팀 개폐장치(300) 및 출수 밸브(400)로 이루어진다. 고온수 밸브(100)는 온수 히터부(도면 미도시)에서 가열되어 공급되는 고온수 또는 통상의 온수를 스팀기(200)에 공급하는데 있어서, 상기 고온수 밸브(100)가 개폐되면서 스팀기(200)로의 공급량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고온수는 온수 히터부에 의하여 가열되어 형성되는데, 이러한 온수 히터부는 공급되는 정수를 수용하는 가열 공간과, 가열 공간을 가열시키는 히터를 구비하며, 가열 공간은 입수되는 정수의 양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와의 연결을 위한 정수 입수구와 가열된 온수 등을 저장하기 위한 보조 탱크와의 연결을 위한 온수 출수구를 구비하며, 가열 공간 내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부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순간 온수 히터부는 가열 공간 내에서 일정 압력 이상이 발생되면 압력을 빼주는 안전변이 구비될 수 있으며, 다만, 순간 온수 히터부의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진 기술에 불과하여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이 생략된다.
상술한 고온수 밸브(100)는 앞서 언급한 온수 출수구와 스팀기(200)를 연결하는 도관 상에 구비될 수 있으며, 고온수 밸브(100)의 개폐를 통하여 스팀기(200)에 전될되는 고온수의 양이 제어된다.
여기에서 고온수는 95℃ 이상의 온도의 온수를 의미하는데, 종래의 온수 공급 장치는 대략 80~85℃ 온도의 온수를 출수하고 있으나, 차를 마시거나 컵라면을 먹고자 할 경우와 같이 대략 80~85℃ 온도보다 높은 온도의 고온수를 출수할 경우에는 일부의 물이 기화되면서 기포가 발생하여 물튐 및 비산이 발생하고, 이를 그대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 화상 등의 문제가 발생되어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를 80~85℃ 이상 높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온수 히터부에서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에 95℃ 이상의 고온수를 만들어내고 이 때 고온수 밸브(100)를 개방하여, 스팀과 고온수가 혼합되어 있는 상태로 스팀기(200)로 전달한다.
스팀기(200), 스팀 개폐장치(300) 및 출수 밸브(400)의 자세한 사항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스팀기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모식도이다.
앞서 설명한 온수 히터부에서 가열된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HSW)가 스팀기(200)와 연결된 고온수 밸브 측 도관(210)을 통하여 스팀기(200)에 전달된다. 이 때 도관(210)과 스팀기(200) 사이에 오리피스(220)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유속이 빨라지며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러한 오리피스(220)를 통과한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HSW)는 우선 스팀기(200)내의 고온수통(230)에 전달되는데, 고온수통(230)의 상부에는 스팀트랩(24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고온수(HSW)에 포함되거나 고온수(HSW)로부터 기화된 스팀이 스팀트랩(240)에 닿으면, 스팀트랩(240)의 표면에서 스팀이 응결하여 물방울이 형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스팀이 응결하고 응결된 물방울이 흘러내릴 수 있도록 스팀트랩(240)의 일측에 테이퍼진 다수의 격벽을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고온수통(230)은 고온수 밸브 측 도관(210)과 연결된 제 1 고온수통부 및 후술할 출수 밸브 측 도관(290)과 연결된 제 2 고온수통부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오리피스(220)를 통과한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HSW)가 먼저 고온수통(230)의 제 1 고온수통부에 도달하는데, 이때 고온수(HSW)와 함께 전달된 스팀 또는 고온수(HSW)의 일부가 기화된 스팀이 고온수통(230)의 상부에 위치하는 스팀트랩(240)에 구비된 다수의 격벽에서 응결하여 물방울이 될 수 있고, 이러한 물방울은 고온수통(230)의 하면쪽으로 떨어지게 된다.
고온수통(230)의 하면부에 제 1 고온수통부에서 제 2 고온수통부의 경계에 제 1 고온수통부 측에는 급격하게 경사지고, 제 2 고온수통부 측에는 완만하게 경사지는 구획부(250)가 형성될 수 있는데, 오리피스(220)를 통과한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HSW)가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제 1 고온수통부에 도달한 후 상술한 구획부(250)와 충돌되면서 그 속도가 줄어들고, 상대적으로 속도가 줄어든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HSW)가 구획부(250)의 상대적으로 완만하게 테이퍼된 경사면을 통해 제 2 고온수통부 하면부로 흐르게 된다. 이는 속도를 줄여서 더 많은 스팀을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HSW)에서 분리시키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증기트랩(260)이 제 2 고온수통부 내에 스팀트랩(240)의 아래 방향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증기트랩(260)의 하측에 흐르는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HSW)에 포함되거나 고온수(HSW)로부터 기화된 스팀은 증기트랩(260)의 공극을 관통하여 증기트랩(260)의 위쪽으로 유동할 수 있으나, 거꾸로 스팀이 증기트랩(260)의 아래 방향으로 유동할 수는 없어서, 스팀과 고온수가 분리되게 된다.
이렇게 분리된 스팀은 스팀트랩(26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는 개구부(270)를 통해 상부 챔버(280)에 모이게 되고, 스팀 개폐장치(300)의 개폐에 따라 온수공급장치(200) 밖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스팀 개폐장치(300)를 통과한 스팀은 차차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응결하여 물이 되고 이는 폐수로 정수기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스팀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이를 확대한 도면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팀기(200)기의 상부 챔버(280)에 모인 스팀은 스팀 개폐장치(300)가 개방되는 경우, 폐수로서 정수기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스팀 개폐장치(300)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부(310), 상부판(320), 하부판(도면미도시), 상부판 개구부(330), 하부판 개구부(도면 미도시) 및 하부판 아래에 위치하는 캠(도면 미도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주부(310)는 스팀 개폐장치(300)를 스팀기(200)에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는데, 스팀기(200)와 스팀기(200)에서 빠져나가는 스팀이 지나가는 도관(3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양 옆에 외주부 홀(311)이 구비되어 나사 등의 체결수단(도면 미도시)으로 스팀기(200) 내부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외주부(310) 내측에는 회전이 가능한 상부판(320)이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상부판(320)은 하면에 결합된 캠과 결합되어 제어부 등에서 전달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회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캠을 회전시키는 구성은 모터 등의 회전수단으로 구현이 가능한데, 이는 일반적인 내용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부판(320)의 일면에는 상부판 개구부(33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판(320)이 회전할때에 하부판(도면 미도시)에 형성된 하부판 개구부(도면 미도시)와 상부판 개구부(330)의 일부라도 겹치는 경우에는 스팀이 스팀기(20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위에서 언급한 하부판(도면 미도시)는 외주부(310)와 대응되는 형상 및 상부판(32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의 대응되는 부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판 일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판 개구부(도면 미도시)는 하부판의 일측이 개방되어 형성되며, 상부판(320)이 회전하는 경우 특정 위치에서 상부판 개구부(330)와 겹칠 수 있게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중심은 관통되어 상술한 캠(도면 미도시)과 상부판(320)이 결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스팀 개폐장치(300)는 사용자가 고온수 출수를 선택한 후에 일정시간이 지난 후 개방하여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팀 개폐장치(300)를 개폐하는 조건에 있어서, 고온수의 온도에 따라 캠(도면 미도시)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상부판 개구부(330)와 하부판 개구부(도면 미도시)의 겹치는 면적을 조절함으로써, 스팀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고온수의 출수가 완료된 후 스팀 개폐장치(300)를 폐쇄하면, 스팀의 배출속도가 상당하므로 스팀기(200) 내부가 정수기 외기에 비하여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게 되고 그 결과 사용자가 음용하는 고온수 등이 제공되는 출수구 내에 미처 사용자에게 제공되지 못한 고온수가 잔수되어 밖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출수구 안으로 빨려들어가게 되므로, 고온수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스팀 개폐장치(300)는 사용자가 정수기에서 고온수 출수 선택한 경우에 5초가 경과한 후 개방되도록 제어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는 사용자의 선택에 맞춰 정수기가 냉수, 온수, 고온수, 정수 등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른 폐수의 처리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는 정수기에 있어 예측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고온수의 온도에 따라 스팀 개폐장치(300)를 설정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스팀기(200) 내부에 온도 센서(도면 미도시)를 더 구비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스팀 개폐장치(300)의 조절은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HSW)의 온도가 105도 이상 시 완전히 개방하고, 90도~104도 까지는 스팀 개폐장치(300)를 50% 정도 개방시키도록 설정할 수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팀기(200) 하부에 위치된 구획부(250)를 넘어서 제 2 의 고온수통부 측으로 흐르는 고온수는 출수 밸브(40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출수 완료시 스팀 개폐장치는 즉각적으로 폐쇄되어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제공하는 출수부에 생성될 수 있는 잔수를 제거한다.
정수기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직접적으로 출수부를 통하여 정수, 냉수, 온수 및 고온수를 제공받게 되는데 이러한 출수부는 정수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면 정수기에서 고온수의 출수가 완료되었다고 소리 또는 LED 등의 점멸로 사용자에게 알려줬음에도 불구하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출수부에 잔수로 고온수가 남는 경우에, 사용자가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 고온수가 출수부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특히 고온수가 잔수로 남는 경우에 이에 의해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등의 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서는 스팀 개폐장치(300)가 폐쇄되는 경우에 그 전에 스팀이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스팀기(200) 외부로 배출되는 와중에 스팀 개폐장치(300)가 폐쇄되어, 스팀기(200) 내부의 압력이 정수기 외부의 기압보다 낮아지게 되므로, 출수부에서 잔수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보다 안전하게 사용자에게 고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출수 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출수 밸브(400)에는 앞서 살펴본 스팀기(200)에서 배출되는 고온수 또는 통상의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밸브관(410), 냉수 또는 정수가 유입되는 냉정수 밸브관(420),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고온수, 온수, 냉수 및 정수가 배출되는 출수관(430) 및 세정수가 배출되는 세정수 배출관(440)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냉수 또는 정수가 출수 밸브(400)로 유입되는 과정 및 세정수가 유입되는 과정 등은 통상의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공정과 크게 다를게 없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출수 밸브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고온수 밸브
200: 스팀기
300: 스팀 개폐장치
400: 출수 밸브

Claims (5)

  1. 온수 히터부에서 가열된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가 고온수 밸브 측 도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스팀기;
    상기 스팀기 내에서 분리된 상기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스팀 개폐장치; 및
    상기 스팀기 내에서 상기 스팀이 제외된 고온수가 출수 밸브 측 도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출수 밸브를 포함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팀기에는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스팀이 응결하여 표면에 물방울이 형성되고, 상기 물방울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나 이상의 격벽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스팀트랩;이 구비되며,
    상기 고온수 밸브 측 도관과 연결된 제 1 고온수통부;
    상기 출수 밸브 측 도관과 연결된 제 2 고온수통부;
    상기 스팀기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고온수통부에서 상기 제 2 고온수통부의 경계에 상기 제 1 고온수통부 측에는 급격하게 경사지고, 상기 제 2 고온수통부 측에는 완만하게 경사지는 구획부; 및
    상기 제 2 고온수통부 내에 상기 스팀트랩의 아래에 형성되며, 상기 스팀을 상기 고온수와 분리시키는 증기트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증기트랩(260)의 하측에 흐르는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HSW)에 포함되거나 고온수(HSW)로부터 기화된 스팀은 증기트랩(260)의 공극을 관통하여 증기트랩(260)의 위쪽으로 유동할 수 있으나, 거꾸로 스팀이 증기트랩(260)의 아래 방향으로 유동할 수는 없어서, 스팀과 고온수가 분리되게 된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수 밸브 측 도관과 상기 스팀기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스팀을 포함하는 고온수의 유속을 증가시키는 오리피스가 더 포함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트랩은 하나 이상의 공극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고온수에 포함되거나 상기 고온수에서 기화되는 상기 스팀이 상기 공극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고온수에서 상기 스팀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트랩은 상기 제 2 고온수통부 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팀을 상방으로 유동하게 하는 개구부를 더 포함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와 연결되고, 상기 스팀 개폐장치와 상기 스팀기 사이에서 상기 고운수에서 분리된 상기 스팀이 모이는 상부 챔버가 더 포함되는,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KR1020220070567A 2022-06-10 2022-06-10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KR20230170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567A KR20230170265A (ko) 2022-06-10 2022-06-10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PCT/KR2023/006310 WO2023239063A1 (ko) 2022-06-10 2023-05-10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0567A KR20230170265A (ko) 2022-06-10 2022-06-10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70265A true KR20230170265A (ko) 2023-12-19

Family

ID=89118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0567A KR20230170265A (ko) 2022-06-10 2022-06-10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70265A (ko)
WO (1) WO202323906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819A (ko) 2017-05-30 2018-12-10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배출장치
KR20210093094A (ko) 2020-01-17 2021-07-27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109B1 (ko) * 2009-11-16 2011-08-01 신한열기 주식회사 수충격 방지부재가 구비된 급수 예열기
KR101564133B1 (ko) * 2012-12-17 2015-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204580925U (zh) * 2015-03-06 2015-08-26 厦门建霖工业有限公司 即热式饮水机水汽分离盒
KR20200087392A (ko) * 2019-01-11 2020-07-21 임환정 벤츄리 노즐 핸들제어형 스팀트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0819A (ko) 2017-05-30 2018-12-10 코웨이 주식회사 온수배출장치
KR20210093094A (ko) 2020-01-17 2021-07-27 쿠쿠홈시스 주식회사 온수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39063A1 (ko) 2023-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56524B8 (en) Recirculating shower system
KR20080112992A (ko) 자동커피머신
NO322563B1 (no) Kaffemaskin med integrert dampleveringsinnretning og beholder for vaeskeemulgering
CN107616708A (zh) 一种防止热水飞溅的饮水机水箱
KR20230170265A (ko) 고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장치
JPH0762561B2 (ja) ガス燃焼形直接接触温水器
CN103644324B (zh) 一种热水器的自动排水阀
WO2003066534A1 (en) Water chlorinating device
JP2011089297A (ja) 還元機能付き混合水栓及びその給湯方法
CN201314689Y (zh) 自动直流式开水器
CN201141691Y (zh) 电热开水机
US4559651A (en) Hot-water washing apparatus for personal hygiene
KR20140078248A (ko) 정수기
CN110145862B (zh) 一种双节流、精准即热型纯水开水器及加热方法
CN109973680A (zh) 一种混液水龙头
JPS5988548A (ja) 局部洗浄装置
CN212415484U (zh) 一种管线机
KR200361698Y1 (ko) 분수형 급수대 노즐시스템
CN214180112U (zh) 户外温开水机
JP3564871B2 (ja) ロータンクの手洗い用電気温水器
JPH06193811A (ja) スチーム発生器の洗浄装置
JPH01266463A (ja) 即湯装置
JP2001336825A (ja) 給湯装置
JP2964860B2 (ja) コーヒー抽出器
KR200152965Y1 (ko) 자동 취사기의 물 공급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