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498A -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498A
KR20070080498A KR1020060011861A KR20060011861A KR20070080498A KR 20070080498 A KR20070080498 A KR 20070080498A KR 1020060011861 A KR1020060011861 A KR 1020060011861A KR 20060011861 A KR20060011861 A KR 20060011861A KR 20070080498 A KR20070080498 A KR 2007008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partition wall
partition
air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덕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1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80498A/ko
Publication of KR2007008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02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 B65D25/2805Handles fixed, i.e. non-swingable, handles provided on a local area of th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means for venting air or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수용된 액체를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용기를 개시하고 있다. 용기는 액체를 수용하며 상기 액체가 외부로부터 공급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라인이 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개구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액체에 대하여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에어라인과 연결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손잡이가 결합된 상기 배출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에 수직하도록 상기 제1 격벽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배출구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2 격벽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라인을 통하여 공기가 유입되므로 몸체 내에 수용된 용기를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다.
에어라인, 연통홀, 유입홀

Description

용기{BOTT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몸체 20 : 손잡이
22 : 에어라인 30 : 배출구
32 : 연통홀 40 : 제1 격벽
42 : 유입홀 50 : 제2 격벽
60 : 제3 격벽 100 : 용기
본 발명은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된 액체를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를 수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기는 하나의 배출구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사용하기 위하여 용기로부터 액체를 배출할 때에 배출되는 액체가 요동하는 일이 발생한다.
이는 내부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배출되는 액체가 차지하던 공간을 메우기 위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기 때문이다.
배출되는 액체가 요동하면, 상기 액체를 원하는 곳에 정확히 공급하기 어려우며, 상기 액체가 불특정한 곳으로 배출되어 주위를 오염시키거나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때 배출되는 액체가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기는 액체를 수용하며 상기 액체가 외부로 부터 공급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라인이 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개구에 연결되어 상기 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액체에 대하여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에어라인과 연결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손잡이가 결합된 상기 배출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제1 격벽, 상기 제1 격벽에 수직하도록 상기 제1 격벽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배출구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2 격벽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배출구의 내부를 상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영역과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영역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입영역의 상부에는 외부로 개방된 공기유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격벽은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은 상기 제2 격벽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격벽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격벽의 끝단과 상기 제3 격벽의 끝단과의 사이에 에어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용기(100)는 몸체(10), 손잡이(20), 배출구(30)를 포함한다.
몸체(10)는 사각 기둥 형상을 하며, 내부에 액체를 수용하는 부분이다.
손잡이(20)는 몸체(10)의 상부에 결합되어 몸체(10)를 운반하거나 몸체(10)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몸체(10)를 기울일 때 사용된다.
배출구(30)는 몸체(10)의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할 때, 배출되는 액체에 대하여 유로를 제공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배출구(30)를 이용하여 원하는 곳에 상기 액체를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몸체(10)의 상부에는 외부로부터 몸체(10) 내에 액체가 공급되거나 몸체(10) 내에 수용된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개구(12)가 형성된다. 개구(12)는 본 실시예와 달리, 몸체(10)의 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몸체(10) 내에 다량의 액체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몸체(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잡이(20)는 몸체(10)의 상부 및 배출구(30)의 일측에 결합된다. 손잡이 (20)의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라인(22)이 형성되며, 에어라인(22)의 일단에는 흡기홀(24)이 형성된다. 따라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 공기는 흡기홀(24)을 통하여 유입되며, 에어라인(22)을 따라 흐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구(30)는 개구(12)에 연결되며, 개구(12)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액체에 대하여 유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배출구(30)의 일측에는 에어라인(22)과 연결되는 연통홀(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에어라인(22)을 흐르는 외부 공기는 연통홀(32)을 통하여 후술하는 유입영역(16)으로 들어온다.
용기(100)는 제1 격벽(40) 및 제2 격벽(50)을 더 포함한다.
제1 격벽(40)은 손잡이(20)가 결합된 배출구(30)의 일측으로부터 개구(12)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격벽(40)은 배출구(30)의 일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는 상기 액체가 배출구(30)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제1 격벽(40) 상에 고이는 경우 후술하는 유입홀(42)을 향하여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격벽(40) 상에는 유입홀(42)이 형성된다. 유입홀(42)은 연통홀(32)을 통하여 들어온 외부 공기가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 역할을 하는 동시에, 배출구(30)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액체의 일부가 후술하는 유입영역(16)으로 흘러들어온 경우 이를 몸체(10) 내부로 회수하는 역할을 한다.
유입홀(42)은 제2 격벽(50)에 인접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제1 격벽(40)을 따라 흐르는 상기 액체가 유입홀(42)을 통하여 원활하게 회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격벽(50)은 배출구(30)와 나란하도록 제1 격벽(40)의 끝단으로부터 연장 된다. 제2 격벽(50)은 배출구(30)의 내부를 상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영역(14)과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영역(16)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몸체(10) 내부의 액체는 배출영역(1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 공기는 유입영역(16)을 통하여 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영역(16)의 상부에는 외부로 개방된 공기유입구(18)가 형성되며, 공기유입구(18)를 통하여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공기유입구(18)는 배출영역(14)을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액체가 유입영역(16)으로 흘러드는 원인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하, 도 3을 통하여 용기(100)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서 배출구(30)가 아래로 이동하도록 손잡이(20)를 들어올려 몸체(10)를 기울어지게 한다.
몸체(10)가 기울어지면서 몸체(10) 내부의 액체는 배출구(30)를 통하여 배출되기 시작하며, 유입홀(42)을 통해서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외부 공기는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라인(22)의 일측에 형성된 흡기홀(24)을 통하여 에어라인(22)으로 유입되며, 에어라인(22)을 통과한 외부 공기는 연통홀(32)을 통하여 유입영역(16)으로 유입된다. 유입영역(16)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유입홀(42)을 통하여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외부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 액체가 차지하던 공간을 메운다.
이외에도 외부 공기는 유입영역(16)의 상부에 위치한 공기유입구(18)를 통하 여 유입영역(16)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유입영역(16)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연통홀(32)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배출영역(1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액체 중 일부는 공기유입구(18)를 통하여 유입영역(16)으로 흘러들 수 있으며, 흘러든 액체는 제1 격벽(40) 및 제2 격벽(50)을 따라 흐르며, 유입홀(42)을 통하여 몸체(10) 내부로 회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기(1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용기(100)는 제3 격벽(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격벽(60)은 배출구(30)의 상단으로부터 제1 격벽(40)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3 격벽(60)은 배출영역(14)을 통하여 배출되는 액체가 유입영역(16)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용기(100) 외부로부터 유입영역(16)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2 격벽(50)의 끝단과 제3 격벽(60)의 끝단과의 사이에는 에어홀(52)이 형성된다. 에어홀(52)을 형성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격벽(50)은 배출구(30)의 끝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지 않으며, 배출구(30)의 높이보다 낮도록 연장된 다. 제3 격벽(60)은 제2 격벽(50)의 상부에 이르기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제2 격벽(50)의 상부 및 제3 격벽(60)의 하부에는 에어홀(52)이 형성된다.
두 번째 방법은,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격벽(50)은 배출구(30)의 끝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며, 배출구(30)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연장된다. 제3 격벽(60)은 제2 격벽(50)의 상부에 이르지 않도록 연장된다. 따라서, 제2 격벽(50)와 제3 격벽(60) 사이에는 에어홀(52)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에어홀(52)은 제2 격벽(50) 또는 제3 격벽(60) 상에 제2 격벽(50) 또는 제3 격벽(6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통하여 용기(100)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나타낸 에어홀(52)은 도 5에 나타낸 에어홀(52)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외부 공기는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라인(22)의 일측에 형성된 흡기홀(24)을 통하여 에어라인(22)으로 유입되며, 에어라인(22)을 통과한 외부 공기는 연통홀(32)을 통하여 유입영역(16)으로 유입된다. 유입영역(16)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유입홀(42)을 통하여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며, 유입된 외부 공기는 외부로 배출된 액체가 차지하던 공간을 메운다.
이외에도 외부 공기는 유입영역(16)의 상부에 위치한 에어홀(52)을 통하여 유입영역(16)으로 유입될 수도 있다. 유입영역(16)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연통홀(32)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 공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몸체(10) 내부로 유입된다.
배출영역(1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상기 액체 중 일부는 에어홀(52)을 통하여 유입영역(16)으로 흘러들 수 있으며, 흘러든 액체는 제1 격벽(40) 및 제2 격벽(50)을 따라 흐르며, 유입홀(42)을 통하여 몸체(10) 내부로 회수된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외부 공기가 유입홀(42)을 통하여 몸체(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몸체(10)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안전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유입홀(42)을 통하여 유입영역(16) 내부롤 흘러든 상기 액체를 몸체(10) 내부로 회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내부에 수용된 액체를 배출할 때 배출되는 액체각 요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7)

  1. 액체를 수용하며, 상기 액체가 외부로부터 공급되거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에어라인이 내부에 형성되는 손잡이;
    상기 개구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상기 액체에 대하여 유로를 제공하며, 상기 에어라인과 연결되는 연통홀이 형성되는 배출구;
    상기 손잡이가 결합된 상기 배출구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개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외부 공기가 상기 몸체 내부로 유입되는 유입홀이 형성된 제1 격벽; 및
    상기 배출구에 나란하도록 상기 제1 격벽의 끝단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배출구의 내부를 구획하는 제2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은 상기 배출구의 내부를 상기 액체가 배출되는 배출영역과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영역으로 구획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영역의 상부에는 외부로 개방된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은 하향 경사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홀은 상기 제2 격벽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1 격벽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3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격벽의 끝단과 상기 제3 격벽의 끝단과의 사이에 에어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KR1020060011861A 2006-02-07 2006-02-07 용기 KR20070080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861A KR20070080498A (ko) 2006-02-07 2006-02-07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861A KR20070080498A (ko) 2006-02-07 2006-02-07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498A true KR20070080498A (ko) 2007-08-10

Family

ID=38600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861A KR20070080498A (ko) 2006-02-07 2006-02-07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8049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0294A (zh) * 2011-04-15 2011-09-14 长沙市德泽实业有限公司 带排气功能手柄的塑料桶
CN103863639A (zh) * 2013-12-13 2014-06-18 李清意 一种塑料桶
IT201800002815A1 (it) * 2018-02-19 2019-08-19 Umberto Nenna Contenitore in plastica per liquidi con dispositivo anti-schizz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80294A (zh) * 2011-04-15 2011-09-14 长沙市德泽实业有限公司 带排气功能手柄的塑料桶
CN103863639A (zh) * 2013-12-13 2014-06-18 李清意 一种塑料桶
IT201800002815A1 (it) * 2018-02-19 2019-08-19 Umberto Nenna Contenitore in plastica per liquidi con dispositivo anti-schizzo
WO2019159145A1 (en) * 2018-02-19 2019-08-22 Nenna Umberto Plastic container for liquids with anti- squir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27510A1 (ja) 便器洗浄タンク
US20080121289A1 (en) Hydraulic Fluid Tank
KR20070080498A (ko) 용기
CN103299062B (zh) 燃料供给装置
JPH03106411A (ja) 低密度の流体から固体粒子と高密度の流体を分離する装置
KR900011272Y1 (ko) 기체와 액체 분리기
JP2014091241A (ja) 圧力吸収用ダンパ
JP2006336495A (ja) 気液分離装置
US20200025164A1 (en) Fuel supply apparatus
JP2012001216A (ja) 泡吐出容器
JP2010234289A (ja) 気液分離器
KR102206270B1 (ko) 다공질 부재를 이용한 기포발생장치
CN106164362B (zh) 洗衣机
JP4564340B2 (ja) 気液分離装置
JP6401033B2 (ja) 燃料電池式産業車両
JP5729998B2 (ja) 気液溶解タンク
JP4592356B2 (ja) オイルタンク
JP5070356B1 (ja) 空気吹出し手段用の気液分離装置
KR102504982B1 (ko) 온수배출장치
ES2279918T3 (es) Acumulador, en particular acumulador de plomo.
JP6170506B2 (ja) 静電噴霧装置
JP6192631B2 (ja) リザーバカップ
KR102617793B1 (ko) 수소 발생 장치
KR101659883B1 (ko) 기체 용해 장치
KR200256132Y1 (ko) 급유차의필터세퍼레이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