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2977B1 - 라면 자동 조리기 - Google Patents

라면 자동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2977B1
KR100752977B1 KR1020070026230A KR20070026230A KR100752977B1 KR 100752977 B1 KR100752977 B1 KR 100752977B1 KR 1020070026230 A KR1020070026230 A KR 1020070026230A KR 20070026230 A KR20070026230 A KR 20070026230A KR 100752977 B1 KR100752977 B1 KR 100752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amen
cooking
button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6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지도
Original Assignee
최지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지도 filed Critical 최지도
Priority to KR1020070026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2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2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2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0Cooking-vessels with water-bath arrangements for domestic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라면 조리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정수필터가 설치되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 공급되는 물의 양 및 가열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 라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기는 물 공급을 위한 물통;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를 위한 정수 필터; 정수 필터를 경유하여 공급된 물을 일정한 온도 및 일정한 양으로 유지하는 급수 용기; 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급수 용기의 물을 라면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노즐; 라면 용기를 지지하는 조리 받침; 및 조리 받침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라면 용기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 LCD 창, 조리버튼, 물 추가 버튼, 시간 추가 버튼을 포함하는 패널; 및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에서 제어 장치는 물 추가 버튼 또는 시간 추가 버튼의 작동으로 물이 추가 공급이 되거나 또는 라면 용기가 추가로 가열되는 경우 한 번의 버튼 작동에 대응하여 일정 시간만 작동되도록 하여 공급되는 물 또는 추가적인 가열이 시간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초극세사 그물망 필터, 수위 조절 장치, 조리 받침, 물받이

Description

라면 자동 조리기{A Device for Cooking Instant Nood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조리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에 의하여 라면이 조리되는 개략적인 과정을 흐름도로 표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 라면 조리기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정수필터가 설치되고 그리고 필요에 따라 공급되는 물의 양 및 가열 시간의 조절이 가능한 자동 라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공업적으로 대량 생산되는 라면은 바로 먹을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되지 않으므로 대개의 경우 물의 공급 및 가열 과정을 거쳐 음식형태가 된다. 라면을 음식형태로 만들기 위한 조리 과정은 다양한 소비 형태를 고려할 때 즉석에서 자동으로 조리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자동으로 판매되고 그리고 조리되도록 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특허공개번호 제2001-0001713호가 있다. 제안된 선행발명은 내부에 저장된 용기에 스프 및 고온의 물을 공급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그리고 다시 용기는 세척되어 다시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므로 제안된 선행발명은 즉석에서 요리되는 라면의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간단한 라면의 조리를 위한 장치는 아니다. 라면 및 스프가 외부에서 공급되고 단지 물의 공급 및 가열만을 위한 간단한 라면조리기와 관련된 선행발명으로 특허공개번호 제2006-0039091호가 있다. 제시된 선행발명은 사용자가 라면 및 스프를 제공하면 조리기는 단지 라면의 조리에 필요한 물 및 열만을 공급하는 자동라면 조리기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외부에서 물과 열만을 공급하는 경우 조리기는 공급되는 물의 양 및 열량이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추가로 공급되는 물이 위생 안전성이 보장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라면 및 스프를 제공하면 조리를 위하여 필요한 물 및 열만을 공급하는 라면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공지된 라면 조리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공지된 라면 조리기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 또는 추가적인 열 공급 수단을 제공하지 않는다. 라면의 조리 과정에서 공급되는 물의 양 및 열은 가장 중요한 요소의 하나가 된다. 또한 자동 라면조리기는 가열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수 필터를 포함하고 그리고 물 및 열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라면자동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라면 자동 조리기는 물 공급을 위한 물통;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를 위한 정수 필터; 정수 필터를 경유하여 공급된 물을 일정한 온도 및 일정한 양으로 유지하는 급수 용기; 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급수 용기의 물을 라면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노즐; 라면 용기를 지지하는 조리 받침; 및 조리 받침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라면 용기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 LCD 창, 조리버튼, 물 추가 버튼, 시간 추가 버튼을 포함하는 패널; 및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에서 제어 장치는 물 추가 버튼 또는 시간 추가 버튼의 작동으로 물이 추가 공급이 되거나 또는 라면 용기가 추가로 가열되는 경우 한 번의 버튼 작동에 대응하여 일정 시간만 작동되도록 하여 공급되는 물 또는 추가적인 가열이 시간에 의하여 조절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급수 용기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예열 히터에 의하여 일정 온도로 예열하거나 유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라면 용기를 가열하는 히터는 알루미늄 히터가 되고, 그리고 히터가 일정 온도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리버튼은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눌러지는 상태가 계속되어야 작동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패널은 강제 종료 버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수 필터는 초극세사 그물망 필터 및 양이온 교환수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급수 용기는 수위 조절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LCD 창은 라면 조리 시간을 역으로 표시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조리 받침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물받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정수 필터는 은 코팅 활성탄 및 미세마이크로 필터를 더 포함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된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조리기의 개략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라면 조리기(1)는 베이스(B)에 의하여 지지되어 라면 조리를 위하여 필요한 물을 저장하는 물통(12), 물통(12)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하기 위한 필터(13), 조리가 요구되는 경우 일정량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급수 용기(18),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파이프(P)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 밸브(14), 조리되어야 할 라면 용기를 지지하는 조리받침(19), 라면 용기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17) 및 위에서 언급된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H)을 포함한다.
물통(12)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크기를 가진 것이 될 수 있지만 예를 들어 24시간 동안 조리되는 라면의 개수를 고려하여 용량이 결정될 수 있다. 필 터(13)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지만 적어도 2번 이상 여과를 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필터(13)는 제1 단계로 물속의 녹, 먼지 또는 모래와 같은 이물질의 여과를 위한 초극세사 그물망 필터; 제2단계로 인체에 유해한 납, 구리, 카드뮴, 알루미늄과 같은 중금속을 제거하기 위한 양이온 교환수지; 제3단계로 세균증식을 억제하고 그리고 불쾌한 맛 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은(Ag)코팅 활성탄; 및 제4단계로 정수물의 2차 오염을 방지하기 미세마이크로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단계는 임의로 배치될 수 있고 그리고 모든 필터가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물질 또는 유해 중금속은 가열에 의하여 제거될 수 없으므로 제1단계의 그물망 필터 및 제2단계의 양이온 교환수지는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
필터(13)를 경유하여 공급된 물은 급수 용기(18)에 먼저 저장된다. 급수 용기(18)는 예열 히터(181)를 사용하여 물을 예를 들어 80 내지 120 ℃ 범위의 일정한 온도로 유지한다. 급수 용기(18)에 유지되는 물을 일정한 양으로 제한된다. 급수 용기(18)의 물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예열 히터(181)가 가동되어야 하고 그리고 일정한 온도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전력이 자동으로 차단이 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급수 용기(18)에 유지되는 물의 양은 조리되는 라면의 수를 기준으로 5 내지 10개의 조리 양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물의 양을 유지하기 위하여 급수 용기(18) 내부에 예를 들어 수위 조절 장치(182)가 설치될 수 있다. 수위 조절 장치(182)는 일정 높이까지만 물에 잠기고 그리고 물의 양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급수 용기(18)에 물이 모자라는 경우 물통(12)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면 이와 함께 수위 조절 장치은 위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 용기(18)에 물이 미리 정해진 양이 되는 경우 수위 조절 장치(182)는 물통(12)으로부터 필터(13)를 경유하여 급수 용기(18)에 물을 공급하는 파이프(도시되지 않음)의 입구를 폐쇄시킨다. 수위 조절 장치는 부력에 의하여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가 될 수 있다.
급수 용기(18)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예열 히터(181)는 물통(12)으로부터 물의 공급된 후 작동이 되고 그리고 급수 용기(18) 내 물이 일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작동이 중지되어야 한다. 아울러 급수 용기(18) 내 물이 조리에 사용되지 않아 정해진 온도 아래로 내려가는 경우 다시 작동이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급수 용기(18) 내 물의 온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온도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급수 용기(18) 내 임의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온도 센서의 온도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라면 조리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있는 제어 장치(C)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C)는 급수 용기(18) 내의 물 온도가 정해진 범위를 벗어나면 예열 히터(181)의 작동을 개시하거나 또는 중단시킨다. 이와 같은 예열 히터(181)의 작동 개시 및 중단은 예열 히터(181) 자체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예열 히터(181)는 예를 들어 열선을 내장하고 있는 알루미늄 히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알루미늄 히터는 만약 온도가 예를 들어 200 내지 250 ℃가 되는 경우 자동으로 전력 공급을 차단하고 그리고 온도가 예를 들어 60 내지 80 ℃가 되는 경우 자동으로 전력 공급을 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급수 용기(18)의 물의 양 및 온도는 일정 범위로 유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급수 용기(18)의 예비 가열된 물은 솔레노이드 밸브(14)의 개폐 작동에 의하여 파이프(P)를 경유하여 조리 받침(19)에 위치하는 라면 용기로 공급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14)의 개폐 작동은 작동 패널(11)에 설치된 조리버튼의 작동이 있는 경우 제어 장치(C)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작동 패널(11)은 조리버튼, 물 추가 버튼, 가열 추가 버튼 및 조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LCD 창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작동 패널(11)은 강제 종료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버튼은 안전을 위하여 예를 들어 3 내지 5초 동안 지속적으로 눌러져야 조리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은 조리버튼은 의도되지 않은 우연한 작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 추가 버튼은 한번 작동으로 정해진 양의 물만 추가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물 추가 버튼이 한번 눌러지면 솔레노이드 밸브(14)가 1 내지 2초 동안 열리고 그리고 물이 공급된다. 버튼이 계속적으로 눌러진 상태로 유지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한 번의 작동으로 정해진 양의 물만 추가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조리 시간이 10 내지 12초 연장된다. 그리고 가열 추가 버튼이 한번 작동되면 15 내지 20초 동안 추가로 가열이 된다. 설정에 따라 이후 추가적으로 물 또는 가열 시간이 추가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물 추가 및 가열은 한번만 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므로 물 추가 버튼이 한번 눌러져서 물이 1초 내지 2초 동안 공급되고 그리고 조리 시간이 10초 내지 12초 연장이 된다. 이후 물 추가 버튼은 다시 물을 추가할 수 없도록 설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한번만의 작동은 가열 추가 버튼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이 유리하다. 강제 종료 버튼은 현재 작동 상태를 강제로 종료시키기 위하여 설치된다. 만약 조리버튼이 눌러진 후 조리 상태를 강제로 종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강제 종료 버튼이 눌러지면 물의 공급 및 가열이 중단된다. 그리고 물 추가 버튼이 눌러진 후 곧바로 강제 종료 버튼이 눌러지면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가열 추가 버튼이 작동된 경우에도 동일하다. LCD 창은 조리시간, 현재까지 조리된 라면의 수 또는 작동 온도와 같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조리버튼이 눌러지면 솔레노이드 밸브(14)가 열리면서 8 내지 12초간 일정량의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이후 160 내지 200초 동안 히터(17)가 작동된다. 이와 같은 물이 공급되는 상태 및 가열 상태가 LCD 창에 표시될 수 있다. 물의 공급시간 또는 조리 시간은 역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어 조리시간의 경우 조리가 개시되면 LCD 창에 160이 표시되고 그리고 역으로 계산이 돼서 LCD 창에 0이 표시되면 조리는 종료된다. 급수 용기(18)의 물은 노즐(15)을 통하여 라면 용기에 공급된다. 노즐(15)은 다단 형태로 되어 길이가 조절될 수 있고 그리고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소재로 제조된 노즐이 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라면 용기는 조리 받침(19)에 위치되어 히터(17)에 의하여 가열된다. 히터(17)는 급수 용기(18) 내에 설치된 예열 히터(181)와 동일하게 열선이 내장된 알루미늄 히터가 될 수 있다. 히터(17)는 라면 용기가 조리 받침(19) 위에 놓인 상태에서 온도가 220℃ 이상이 되는 경우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설정된다. 그러나 라면 용기가 조리 받침(19) 위에 놓이지 않은 상태에서는 230 ℃에 도달하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알루미늄 히터(17)는 일정 온도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도록 설정이 된다. 조리 받침(19)의 아래쪽에 청소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물받이(16)가 설치될 수 있다. 물받이(16)는 여분의 물 또는 조리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하여 쏟아진 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물받이(16)는 취급의 편리를 위하여 여닫을 수 있는 서랍 형태로 설치된다.
라면 조리의 전체 과정은 제어 장치(C)에 의하여 조절된다. 제어 장치(C)는 조리 과정에서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은 내장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로 패널(11)의 버튼 작동 신호를 수신하여 조리기(1)에 설치된 장치의 작동 상태를 조절한다. 조리기(1)의 하우징(H)에 수용된 각종 장치는 지지대(R)를 이용하여 필요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 장치(C)와 각각의 장치에 대한 전기적 연결 및 물의 공급을 위한 파이프의 연결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조리 장치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두 개의 조리받침(19a, 19b)이 설치되고 그에 따라 각각 버튼 부분(21a, 21b), 노즐(15a, 15b) 및 히터(17a,17b)가 설치된다. 다만 베이스(B)에 의하여 유지되는 물통(12) 및 버튼 부분(21a, 21b) 및 LCD 창을 포함하는 패널(11)은 하나가 설치되고 그리고 하나의 제어장치(도 1 참조)에 의하여 두 개의 버튼 부분(21a, 21b)의 각각의 작동 조작에 따라 조리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2개의 라면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는 조리기(1)를 예시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조리 받침(19a, 19b)의 수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조리기에 의하여 라면이 조리되는 과정이 설명이 되지만 이와 같은 조리과정을 예시적인 것으로 조리되는 라면의 종류 및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조리 과정이 설정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에 의하여 라면이 조리되는 개략적인 과정을 흐름도 로 표시한 것이다.
라면의 조리를 위하여 먼저 라면 조리기가 조리 가능 상태로 설정이 되어야 한다. 조리기를 전원에 연결시키고 스위치를 켜면(S11) 먼저 물통으로부터 급수 용기로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패널의 LCD 창에 예를 들어 먼저 OFF가 표시되면서 작동 가능 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급수 용기에 공급된 물이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도록 급수 용기가 예열된다(S12). 급수 용기가 일정한 온도로 예열되면(S12) 라면이 조리될 수 있다. 라면 조리를 위하여 라면 용기를 조리 받침에 올려놓은(S13) 후 조리 버튼을 작동시킨다(S14). 조리 버튼을 작동시키면 먼저 급수 용기에서 예열된 물이 공급되고(S151) 그리고 히터가 작동되어 라면 용기를 가열한다(S152). 물의 공급과정에서 추가적인 물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 물 추가 버튼이 작동될 수 있다(S153). 물 추가 버튼은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한 번의 작동으로 일정한 양의 물만이 추가된다. 물의 추가는 정해진 시간 동안만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후 다시 물 추가 버튼이 작동시켜도 물이 추가되지 않는다. 이미 설명을 한 것처럼 물의 추가가 필요한 경우 물 추가 버튼의 한번 작동으로 1초 또는 2초 동안만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조리 시간이 10 내지 12초 연장되어 라면 용기가 추가적으로 가열된다(S156). 만약 물의 추가와 관계없이 추가적인 가열이 필요하다면 시간 추가 버튼이 작동될 수 있다(S154). 시간 추가 버튼이 작동되면 히터는 조리 시간으로 최초 정해진 시간동안 가열한 후 다시 추가로 15초 또는 20초 동안 라면 용기를 가열하게 된다(S157). 시간 추가 버튼은 물 추가 버튼과 마찬가지로 한번만 작동하고 이후 다시 시간 추가 버튼을 작동시켜도 가열 시간이 추가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과정은 모드 패널의 LCD 창에 표시된다. 예를 들어 물의 추가 또는 가열 시간의 추가 여부 그리고 그에 따른 전체 가열 시간이 LCD 창에 표시된다. 그리고 선택된 조리 방법에 따라 LCD 창에 카운터가 역으로 표시된다. 라면 조리가 완료되면 LCD 창에 카운터는 0으로 표시되고 그리고 조리 종료를 알리는 부저 또는 다른 음향이 울리게 된다. 그리고 LCD 창에 전체 조리 개수가 표시되면서 다시 OFF 표시가 된다.
이와 같은 조리 과정 및 제어 과정은 모두 프로그램이 되어 제어 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내장이 된다. 필요에 따라 제어 과정은 프로그램의 수정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이 될 수 있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 되었다.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제시된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아니하고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라면 자동 조리기는 공급 물 및 가열 시간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라면이 조리될 수 있도록 한다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물이 여러 개의 필터를 통하여 정수가 되도록 하여 다수인 사용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생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LCD 창을 설치하여 조리 과정을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적절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10)

  1. 라면 자동 조리기에 있어서,
    물 공급을 위한 물통;
    물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정화를 위한 정수 필터;
    정수 필터를 경유하여 공급된 물을 일정한 온도 및 일정한 양으로 유지하는 급수 용기;
    밸브의 개폐에 의하여 급수 용기의 물을 라면 용기에 공급하기 위한 노즐;
    라면 용기를 지지하는 조리 받침; 및
    조리 받침의 아래쪽에 설치되어 라면 용기를 일정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
    LCD 창, 조리버튼, 물 추가 버튼, 시간 추가 버튼을 포함하는 패널; 및
    조리 과정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에서 제어 장치는 물 추가 버튼 또는 시간 추가 버튼의 작동으로 물이 추가 공급이 되거나 또는 라면 용기가 추가로 가열되는 경우 한 번의 버튼 작동에 대응하여 일정 시간만 작동되도록 하여 공급되는 물 또는 추가적인 가열이 시간에 의하여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급수 용기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예열 히터에 의하여 일정 온도까지 예열되거나 또는 일정 온도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라면 용기를 가열하는 히터는 알루미늄 히터가 되고, 그리고 히터의 온도가 일정 온도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전원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리버튼은 일정시간 동안 지속적으로 눌러지는 상태가 계속되어야 작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패널은 강제 종료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정수 필터는 초극세사 그물망 필터 및 양이온 교환수지를 포함하는 라면 자동 조리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급수 용기는 수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 자동 조리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LCD 창은 라면 조리 시간을 역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면자동 조리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리 받침의 아래쪽에 설치되는 물받이를 더 포함하는 라면 자동 조리기.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정수 필터는 은 코팅 활성탄 및 미세마이크로 필터를 더 포함하는 라면 자동 조리기.
KR1020070026230A 2007-03-16 2007-03-16 라면 자동 조리기 KR100752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30A KR100752977B1 (ko) 2007-03-16 2007-03-16 라면 자동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6230A KR100752977B1 (ko) 2007-03-16 2007-03-16 라면 자동 조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2977B1 true KR100752977B1 (ko) 2007-08-30

Family

ID=3861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6230A KR100752977B1 (ko) 2007-03-16 2007-03-16 라면 자동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2977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310B1 (ko) 2010-10-01 2013-01-16 홍성두 즉석 라면 조리기
CN104026974A (zh) * 2014-05-30 2014-09-10 于潇潜 售面煮面机
WO2015020324A1 (ko) * 2013-08-05 2015-02-12 주식회사 캔 비금속조리용기를 이용한 화상, 화재방지용 자동 라면조리기
KR101565875B1 (ko) 2014-05-12 2015-11-04 주식회사 해피콜 상부 구동식 원액기
KR101565928B1 (ko) * 2014-11-05 2015-11-05 주식회사 다윈 정수기가 구비된 바코드 인식형 조리장치
KR101575753B1 (ko) 2014-05-12 2015-12-09 김근수 즉석 라면 조리기
CN105640301A (zh) * 2016-03-18 2016-06-08 衢州妙凯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挂面烧煮机
KR20160080496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제이엔지코리아 제어부 보호 유닛 및 erp 시스템을 구비한 라면 조리기
WO2016208977A1 (ko) * 2015-06-26 2016-12-29 이재현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KR20200001561U (ko)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 캔 통합형 온수탱크가 구비된 라면 조리기
KR20220071463A (ko) 2020-11-24 2022-05-31 허승찬 수소수 멀티 쿠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169Y1 (ko) 2003-03-20 2003-06-18 신재익 면종류 음식용 자판기
KR200385292Y1 (ko) 2005-03-17 2005-05-25 덕평전자(주) 식품 자동 조리기
KR20060039091A (ko) * 2004-11-02 2006-05-08 이봉철 라면 간편 조리기
KR20060115832A (ko) * 2005-05-07 2006-11-10 손광범 자동라면조리장치가 내장된 정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169Y1 (ko) 2003-03-20 2003-06-18 신재익 면종류 음식용 자판기
KR20060039091A (ko) * 2004-11-02 2006-05-08 이봉철 라면 간편 조리기
KR200385292Y1 (ko) 2005-03-17 2005-05-25 덕평전자(주) 식품 자동 조리기
KR20060115832A (ko) * 2005-05-07 2006-11-10 손광범 자동라면조리장치가 내장된 정수기 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310B1 (ko) 2010-10-01 2013-01-16 홍성두 즉석 라면 조리기
WO2015020324A1 (ko) * 2013-08-05 2015-02-12 주식회사 캔 비금속조리용기를 이용한 화상, 화재방지용 자동 라면조리기
KR101575753B1 (ko) 2014-05-12 2015-12-09 김근수 즉석 라면 조리기
KR101565875B1 (ko) 2014-05-12 2015-11-04 주식회사 해피콜 상부 구동식 원액기
CN104026974A (zh) * 2014-05-30 2014-09-10 于潇潜 售面煮面机
WO2016072762A1 (ko) * 2014-11-05 2016-05-12 주식회사 다윈 정수기가 구비된 바코드 인식형 조리장치
KR101565928B1 (ko) * 2014-11-05 2015-11-05 주식회사 다윈 정수기가 구비된 바코드 인식형 조리장치
KR20160080496A (ko) * 2014-12-29 2016-07-08 주식회사 제이엔지코리아 제어부 보호 유닛 및 erp 시스템을 구비한 라면 조리기
KR101638036B1 (ko) 2014-12-29 2016-07-11 주식회사 제이엔지코리아 제어부 보호 유닛 및 erp 시스템을 구비한 라면 조리기
WO2016208977A1 (ko) * 2015-06-26 2016-12-29 이재현 온수배출장치를 갖춘 즉석식품 자동조리기
CN105640301A (zh) * 2016-03-18 2016-06-08 衢州妙凯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挂面烧煮机
CN105640301B (zh) * 2016-03-18 2017-06-16 衢州妙凯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挂面烧煮机
KR20200001561U (ko) 2019-01-03 2020-07-13 주식회사 캔 통합형 온수탱크가 구비된 라면 조리기
KR20220071463A (ko) 2020-11-24 2022-05-31 허승찬 수소수 멀티 쿠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977B1 (ko) 라면 자동 조리기
JP4354474B2 (ja) 誘導加熱調理器
EP2481329A1 (en) Electrical appliances
AU2009262365A2 (en) Kettle and base
GB2452981A (en) Flow-through liquid heating apparatus
US20190029464A1 (en) Automatic tea maker
US20210137299A1 (en) Pressure Cooker and Air Fryer Appliance
JP5651543B2 (ja) 誘導加熱調理器
US20210137300A1 (en) Pressure Cooker and Air Fryer Appliance
US11406216B2 (en) Multi-functional food cooker having water purification function
KR200468072Y1 (ko) 전기튀김기
US20150265092A1 (en) Beverage percolation device
CN201401779Y (zh) 流过型液体加热设备
JP2007139303A (ja) 加熱調理器
KR101845950B1 (ko) 정수 기능을 갖는 다기능 식품 조리기
JPH0998884A (ja) 炊飯器
JP2005230218A (ja) 家庭用ティー&コーヒーメーカー
KR100600085B1 (ko) 전자동 전기밥솥
JP5769562B2 (ja) 加熱調理器
KR102262290B1 (ko) 조리가 가능한 기능성 정수기
JP2003068440A (ja) 電磁調理器
JP2005013428A (ja) 炊飯機
JP2884662B2 (ja) 炊飯器
JP5125208B2 (ja) 電気給湯装置
JP2005230048A (ja) 家庭用ティーメーカ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