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5959A -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 Google Patents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5959A
KR20180045959A KR1020160140104A KR20160140104A KR20180045959A KR 20180045959 A KR20180045959 A KR 20180045959A KR 1020160140104 A KR1020160140104 A KR 1020160140104A KR 20160140104 A KR20160140104 A KR 20160140104A KR 20180045959 A KR20180045959 A KR 20180045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unit
link
loading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9058B1 (ko
Inventor
이용태
Original Assignee
이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태 filed Critical 이용태
Priority to KR1020160140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905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9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9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G07F11/4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the articles being delivered by motor-drive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6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ectilinearly mova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는, 자판 본체(100), 용기 배출 유닛(130), 승강 이재 유닛(170), 푸싱 유닛(180), 출몰 불판 유닛(190), 그리고 물 주입유닛(199)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자판 본체(100)는 라면이 담긴 용기(10)들이 적재되며, 용기(10)가 배출되도록 하단부가 개방된 적재부(120)가 내부에 구성되며, 용기(10)의 배출구가 전면부에 마련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판기 내부에서 자동으로 라면이 담긴 용기가 하나씩 배출되어 불판 상에서 끓여진 후, 라면이 끓여진 상태에서 외부의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확인될 수 있으며, 기호에 따라 라면을 젓고 더 끓임으로써 익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RAMEN AUTOMATIC VENDING MACHINE BEING DISCLOSED HEATER PANEL}
본 발명은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금액 투입에 의해 끓인 라면이 자동으로 판매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라면 자판기는 라면을 끓여 자동으로 판매하는 자동 판매 장치이다.
이러한 라면 자판기는, 라면과 스프를 은박과 같은 용기에 자동 공급하고, 적정량의 물을 공급하여 끓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라면 자판기는 지폐나 동전 혹은 신용카드와 같은 결제수단에 의해 일정 금액이 지급된 후, 끓인 라면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
기존의 라면 자판기는 라면이 담긴 용기가 자판 본체의 내부에 적재되어 있으며, 라면이 담긴 용기가 하나씩 배출되어 끓여진 후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라면 자판기는, 라면이 담기 용기의 적재부에서 하나씩 용기가 배출될 때, 라면이 담긴 용기가 하나 이상 배출되어 작동 에러가 쉽게 발생되었다.
즉 라면이 담기는 용기는 은박으로 구성되는데, 은박이 변형되면서 라면이 담긴 용기들의 위아래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라면 용기를 잡고 지지하기 위한지지 요소들이 라면 용기를 정확하게 지지하지 못하여 라면 용기가 적재부로 하부로 그대로 배출되거나, 가열될 정확한 위치로 안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라면 자판기는 결제 금액이 자판기에 지급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서 은박 용기에서 끓인 라면이 제공되었으므로,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라면의 익힘 정도를 조절하기가 어려웠다.
즉 라면이 용기에 끓여진 상태로 제공된 후, 사용자는 꺼내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호에 따라 라면의 익힘 정도가 다른데, 직접 눈으로 확인한 후, 다시 더 익히거나 덜 익히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판 본체의 내부에 적재된 라면이 담기 용기를 적재된 용기들로부터 정확하게 분리하고, 다시 라면이 담긴 용기들을 지지할 수 있으며, 라면이 담기 용기가 가열될 위치로 정확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작동하며, 자판기 내부에서 라면이 끓여진 상태에서 외부의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확인될 수 있으며, 기호에 따라 라면을 젓고 더 끓임으로써 익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는, 라면이 담긴 용기들이 적재되며, 상기 용기가 배출되도록 하단부가 개방된 적재부가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용기의 배출구가 전면부에 마련되어 있는 자판 본체; 상기 적재부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들을 지지하며, 상기 용기들 중 최하부의 용기에 대한 지지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 배출 유닛; 상기 자판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 배출 유닛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 배출 유닛에 인접하게 상승되며 상기 용기 배출 유닛에 의해 지지가 해제된 용기가 이재되는 승강 이재 유닛; 상기 승강 이재 유닛 상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밀어 내는 푸싱 유닛; 상기 승강 이재 유닛에 인접하여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배출구의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출몰 불판 유닛; 및 상기 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주입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용기의 적재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적재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 배출 유닛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슬릿 홀이 양측 벽부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 배출 유닛은, 상기 적재부의 하단부 양측에 위치 고정되며, 상기 슬릿 홀에 상응하여 슬라이드 레일이 양측 벽부에 형성된 한 쌍의 용기 배출 본체; 상기 용기 배출 본체의 슬라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판; 및 상기 적재부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지지판을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재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 구동부는, 상기 지지판 위에서 상기 용기 배출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는 링크 중심축; 상기 지지판의 상면부에 위치 고정되는 링크 종동축; 상기 링크 중심축에 위치 고정되며, 상기 종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이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회전 링크; 상기 회전 링크의 상단부에 위치 고정되는 링크 구동축; 상기 링크 구동축에 일단부가 위치 고정되는 구동 링크; 및 상기 구동 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링크를 움직여 상기 링크 구동축을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링크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판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레일 돌기; 상기 용기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를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부가 형성된 지지 돌기; 및 상기 용기의 벽부가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반원 형상의 홈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이재 유닛은, 상기 자판 본체의 하부에 위치 고정된 승강 이재 본체; 상기 승강 이재 본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가 상기 적재부로부터 이재되는 받침판을 구비한 승강블록; 상기 승강 이재 본체와 상기 승강블록을 연결하며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상하 레일부; 및 상기 승강블록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승강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자판 본체의 하부에 위치 고정되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싱 유닛은, 상기 승강 블록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배치되는 밀대;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상기 밀대를 이동 시키도록 상기 승강 블록 상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 블록 상에서 이동 가능한 전후 이동 레일과 상기 전후 이동 레일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 고정 레일을 구비하는 전후 이동 레일부; 상기 전후 이동 레일에 위치 고정되는 이동 체인; 상기 이동 체인을 이동시키는 체인기어; 및 상기 체인기어를 구동하도록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위치 고정되는 체인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에는 탄력적으로 개폐되는 개폐 도어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출몰 불판 유닛은, 상기 푸싱 유닛에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배치되는 출몰 불판부; 상기 출몰 불판부가 연결되며, 상기 출몰 불판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출몰 레일부; 및 상기 출몰 불판부를 움직이는 출몰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몰 불판부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 도어 유닛에 접촉되는 접촉 롤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자본 본체의 내부에 적재된 라면이 담기 용기를 적재된 용기들로부터 정확하게 분리하고, 다시 라면이 담긴 용기들을 지지할 수 있으며, 라면이 담기 용기가 가열될 위치로 정확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작동됨으로써, 기존보다 적재된 용기의 하강 이재와 외부 배출이 오류 없이 신속 정확하게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자판기 내부에서 라면이 끓여진 상태에서 외부의 사용자에게 노출되어 확인될 수 있으며, 기호에 따라 라면을 젓고 더 끓임으로써 익힘 정도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 방향에 따른 주요 구성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후면 개방 일부 개략도이다.
도 4는 도 3의 우측 방향에서 일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의 용기 배출 유닛의 배치도이다.
도 6은 도 5의 구동 링크와 중심 링크의 배치도이다.
도 7은 도 5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출몰 불판 유닛에 의한 배출 도어의 개방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배후에서의 자판 본체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 배치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전방에서의 자판 본체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 배치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8에서 용기가 배출되는 사용 상태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특정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실시예들에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다양한 측면에 걸쳐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가리킬 수 있으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구체적인 형태는 설명 상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된 것일 수 있다.
도면의 방향과 위치는 XYZ 직교 좌표계를 상정하여 설명하며, 상하좌우는 XY좌표 평면계와 일치하며, 전후좌우는 YZ 좌표의 평면계와 일치하는 것으로 상정한다. 실시예들의 도면에서 하부 요소들이 설명되지 않은 각각의 유닛, 모듈, 부, 부재는 각기 부여된 기능을 갖기 위한 통상적인 하부 요소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며, 도면에 도시된 하부 요소들에 제한하진 않는다. 도시되었으나 통상적으로 설명이 생략된 구성 요소들은 실시예들에 포함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된 용어를 제외하고는 통상적인 한자, 국어 혹은 영어의 사전적인 의미 혹은 해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부합하는 속성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포함한다, 구성된다, 또는 구비한다"는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가질 수 있음을, "고정 및 구속된다"는 이동과 움직임이 제한됨을, "회전 및 힌지"는 대상 객체의 일부 혹은 전부가 회전하여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 자판기의 용기 배출 유닛이 적용된 라면 자판기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우측면 방향에 따른 주요 구성의 개념도이며, 도 3은 도 1의 후면 개방 일부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3의 우측 방향에서 일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 자판기의 용기 배출 유닛의 주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 자판기는, 자판 본체(100), 용기 배출 유닛(130), 승강 이재 유닛(170), 푸싱 유닛(180), 출몰 불판 유닛(190), 그리고 물 주입유닛(199)을 주요 구성으로 포함한다.
자판 본체(100)는 라면이 담긴 용기(10)들이 적재되며, 용기(10)가 배출되도록 하단부가 개방된 적재부(120)가 내부에 구성되며, 용기(10)의 배출구(101)가 전면부에 마련된 것이다.
자판 본체(100)는 박스 형상의 구조물로서, 상부에 광고 영상의 상영을 위한 디스플레이패널(110)이 위치하며, 중앙 부근에는 라면 조리 시간을 표시하며, 다시 한 번 끓임을 설정할 수 있는 세팅부(111)가 위치하며, 그 옆으로 지폐 출입구(112) 및 동전 투입구(113) 각각 위치하며, 동전 반환구(114)가 위치한다.
라면이 담긴 용기(10)의 배출구(101)는 하부에 위치하며, 그 위에 젓가락 인출구(115)가 위치한다. 사용자는 배출구(101)를 통해 배출된 용기(10)의 라면을 젓가락(15)으로 젓고 다시 한 번 끓이기 위한 설정을 세팅부(111)에서 할 수 있다.
라면이 담기 용기(10)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출몰 불판 유닛(190)에 의해 배출구(10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다시 배출구(101)를 통해 자판 본체(100)의 내부로 들어가 끓여질 수 있다.
적재부(120)는 상하 방향으로 용기(10)의 적재 공간이 마련되며, 적재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도어(121)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것이다. 적재부(120)는 기다란 박스 형상의 구조물로서, 라면이 담기를 용기(10)를 적재할 수 있도록 전면부에 개폐 도어(121)가 마련된다.
라면이 담긴 용기(10)들은 적재부(12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적재된 후, 적재부(120)의 하부로 하나씩 후술되는 용기 배출 유닛(130)에 의해 승강 이재 유닛(170)으로 낙하되어 안치될 수 있다.
용기 배출 유닛(130)은 적재부(12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용기(10)들을 지지하며, 용기(10)들 중 최하부의 용기(10)에 대한 지지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용기 배출 유닛(130)은 적재부(120)의 하부에서 라면이 담긴 용기(10)들을 지지하여 잡아주며, 승강 이재 유닛(170)에 바로 아래로 위치할 때, 라면이 담긴 용기(10)들에 대한 지지를 해제한 후, 다시 잡아준다.
이때 라면이 담긴 용기(10)들 중 최하부의 용기(1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승강 이재 유닛(170)에 놓여진다. 즉 용기(10)는 용기(10) 높이만큼 이동되어 승강 이재 유닛(170) 상에 배치된다. 용기 배출 유닛(130)은 승강 이재 유닛(170) 상에 놓인 용기(10)의 바로 위 용기(10)를 잡아 용기(10)들이 적재부(120)에서 더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다시 지지한다. 이러한 용기 배출 유닛(130)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이후 자세히 기술한다.
승강 이재 유닛(170)은 자판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용기 배출 유닛(130)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용기 배출 유닛(130)에 인접하게 상승되며 용기 배출 유닛(130)에 의해 지지가 해제된 용기(10)가 이재되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 이재 유닛(17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판 본체(100)에 금액을 투입하게 되면, 용기 배출 유닛(130)의 바로 아래까지 위치한다. 이때 용기 배출 유닛(130)이 용기(10)에 대한 지지를 해제하면, 용기(10)들이 아래로 이동하여 용기(10) 하나가 놓이게 되며, 용기 배출 유닛(130)에 의해 다음 용기(10)가 다시 지지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이후, 승강 이재 유닛(170)은 하강하며, 푸싱 유닛(180) 앞에 놓이게 된다.
푸싱 유닛(180)은 승강 이재 유닛(170) 상에 위치하며, 용기(10)를 배출구(101) 측으로 밀어 내는 것이다. 이러한 푸싱 유닛(180)은 밀대(181)를 갖는 구조로서, 승강 이재 유닛(170) 상에 배출되어 놓인 라면이 담긴 용기(10)를 출몰 불판 유닛(190) 상으로 밀어 위치시킨다.
라면이 담긴 용기(10)는 출몰 불판 유닛(190) 상으로 놓인 후, 물 주입유닛(199)에 의해 물이 주입되며, 출몰 불판 유닛(190) 상에서 끓여진다.
출몰 불판 유닛(190)은 승강 이재 유닛(170)에 인접하여 배출구(101) 측으로 이동 가능하며 배출구(101)의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되, 용기(10)를 가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출몰 불판 유닛(190)은 기본적으로 라면이 담기 용기(10)를 가열하여 물을 끓일 수 있는 전기히터가 구성되며, 전후 왕복 이동하여 끓인 라면 용기(10)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용기(10)에는 라면과 함께 스프가 담기게 되며, 적재부(120)에서 승강 이재 유닛(170) 상으로 배출된 후, 물이 주입되어 출몰 불판 유닛(190)에 의해 가열되어 끓여진다.
사용자는 자판 본체(100)의 배출구(101)를 통해 배출된 라면 용기(10)를 볼 수 있으며, 라면의 익힘이나 풀림 정도를 확인한 후, 젓가락(15)으로 저어 다시 끓이거나 그대로 취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의 상기의 용기(10) 적재부(120)로부터 배출, 승강 이재, 그리고 배출구(101)를 통해 전후 배출 구조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 자판기의 용기 배출 유닛의 배치도이며, 도 6은 도 5의 구동 링크와 중심 링크의 배치도이며, 도 7은 도 5의 작동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부(120)는 용기 배출 유닛(130)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용기(1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슬릿 홀(122)이 양측 벽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슬릿 홀(122)은 적재부(120)의 양측에 형성되며, 용기 배출 유닛(130)의 지지판(140)에 대응하는 것이다.
용기 배출 유닛(130)은, 한 쌍의 용기 배출 본체(131), 지지판(140), 그리고 적재 구동부(150)를 포함한다.
용기 배출 본체(131)는 상하로 개방된 박스 구조로, 전후 양측에 슬릿 홀(122)에 좌우 대응하는 위치에 슬라이드 레일(135)이 형성된 것이다. 즉 적재부(120)의 슬릿 홀(122) 측방 양측에 슬라이드 레일(135)이 배치되면서, 지지판(140)이 슬라이드 레일(135)을 따라 이동되어 슬릿 홀(122)에서 이동될 수 있다. 슬라이드 레일(135)은 판재가 삽입되어 수평 이동 가능한 형상으로 길게 관통 형성된 것이다.
지지판(140)은 용기 배출 본체(131)의 슬라이드 레일(135)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지판(140)이 라면이 담긴 용기(10)를 잡아주는 것이다. 지지판(140)은 라면이 담긴 용기(10)의 외벽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40)은 철재 판재로서 적재 구동부(150)에 의해 슬라이드 레일(135)을 따라 수평 이동된다.
지지판(140)은 적재부(120)의 양측에 형성된 슬릿 홀(122)을 통해 적재부(120)의 내부로 이동되어 적재부(120)에 배치되어 있는 용기(10)를 지지할 수 있다.
적재 구동부(150)는 지지판(14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용기 배출 본체(131)에 복수의 링크 구조로 구성되며, 적재부(120)의 위치 고정된 하나의 동력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적재 구동부(150)는 적재부(120)에 위치 고정되어 지지판(140)에 연결되며, 슬라이드 레일(135)을 따라 지지판(140)을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적재 구동부(150)는, 링크 중심축(151), 링크 종동축(152), 한 쌍의 회전 링크(153), 링크 구동축(155), 구동 링크(157), 그리고 회전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링크 중심축(151)과 링크 종동축(152)은 축 형상으로 용기 배출 본체(131)에 전후 방향으로 따라 배치되며, 링크 구동축(155)은 축 형상으로 한 쌍의 회전 링크(153)의 상부에 결합된다.
링크 중심축(151)은 지지판(140) 위에서 용기 배출 본체(131)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며, 링크 종동축(152)은 지지판(140)의 상면부에 위치 고정되며, 링크 구동축(155)은 회전 링크(153)의 상단부에 위치 고정된다.
회전 링크(153)는 링크 중심축(151)에 위치 고정되며 링크 종동축(15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154)이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 링크(153)는 링크 중심축(151)과 함께 링크 구동축(155)의 움직임에 따라 회전되면서, 장공(15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위치한 링크 종동축(152)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링크 종동축(152)이 결합된 지지판(140)이 슬라이드 레일(135)을 따라 이동된다.
링크 구동축(155)은 회전 링크(153)의 상단부에 위치 고정된 것이다. 이러한 링크 구동축(155)은 후술되는 회전 구동부(160)에 연결되어 링크 중심축(151)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링크(157)는, 일단부가 링크 구동축(155)의 단부에 연결되며, 타단부가 회전 구동부(160)에 연결된다. 구동 링크(157)는 회전 구동부(160)의 양측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양측에 배치된다. 즉 회전 구동부(160)의 중심 링크(161)를 기준으로 구동 링크(157)가 상하 위치로 배치되며, 각각의 구동 링크(157)에 연결된 지지판(140)이 링크 구동에 따라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다.
회전 구동부(160)는 구동 링크(157)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구동 링크(157)를 움직여 링크 구동축(155)을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회전 링크(153)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회전 구동부(160)는 적재부(120)에 위치 고정되는 링크 구동 모터(162)와, 링크 구동 모터(162)에 중심부가 위치 고정되어 회전되는 중심 링크(161)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140)에는 슬라이드 레일(135)에 삽입되는 레일 돌기(141), 용기(10)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여 용기(10)를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부가 형성된 지지 돌기, 그리고 용기(10)의 벽부가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반원 형상의 홈부(142)가 마련될 수 있다.
도 2와 도 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용기(10)는 상부에 수평 플랜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벽부에 수평 플랜지(11)를 지지하기 위한 굽힘 방지 돌기(12)가 형성되어 있다. 수평 플랜지(11)는 손잡이 기능을 할 수 있으며, 굽힘 방지 돌기(12)는 외부로 돌출된 것으로서 은박으로 구성된 용기(10)의 변형을 방지하게 된다. 지지판(140)이 용기(10)를 지지할 때, 용기(10)의 굽힘 방지 돌기(12)는 지지판(140)의 반원 형상의 홈부(14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면 자판기 용기 배출 유닛의 작동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과 함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 배출 유닛(130)의 작동은, 링크 구동 모터(162)에 중심 링크(161)가 결합되어 회전되며, 중심 링크(161)의 양측에 연결된 구동 링크(157)가 회전되며, 구동 링크(157)에 의해 회전 링크(153)가 링크 중심축(151)을 기준으로 회전되며, 회전 링크(153)의 회전에 의해 회전 링크(153)의 하단부에 연결된 지지판(140)이 이동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적재부(120)의 양측 슬릿 홀(122)에 삽입된 한 쌍의 지지판(140)이 좌우로 왕복이동됨으로써 적재부(120)에 적재되어 있는 용기(10)들이 하나씩 지지되면서 차례대로 승강 이재 유닛(170) 상에 놓이게 된다.
용기 배출 유닛(130)의 아래에는 용기(10)를 하나씩 받아 하강 이동시키는 승강 이재 유닛(170)이 위치한다.
이러한 승강 이재 유닛(170)은 자판 본체(100)의 하부에 탑재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승강 이재 유닛(170)은, 자판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 고정된 승강 이재 본체(171)와, 승강 이재 본체(17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용기(10)가 적재부(120)로부터 이재되는 받침판을 구비한 승강블록(172)을 포함한다.
승강 이재 본체(171)와 승강블록(172) 사이에는 상하 레일부(175)가 배치된다. 상하 레일부(175)는 승강 이재 본체(171)와 승강블록(172)을 연결하며,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슬라이드 레일 구조로 마련된다.
승강블록(172)에는 승강블록(172)을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구동부(177)가 연결된다. 승강 구동부(177)는 자판 본체(100)의 하부에 위치 고정된 스크류 환봉과 암스크류 및 스크류 환봉을 회전시키기 위한 승강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 이재 유닛(170)의 후방에는 푸싱 유닛(180)이 위치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배후에서의 자판 본체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 배치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전방에서의 자판 본체에 대한 개략적인 내부 배치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 및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 유닛(180)은, 승강블록(172)에서 배출구(101)를 향해 배치되는 밀대(181)와, 밀대(181)에 연결되어 밀대(181)를 이동 시키도록 승강블록(172) 상에 마련되는 전후 이동 레일부(182)를 포함한다.
전후 이동 레일부(182)는 승강블록(172) 상에서 이동 가능한 전후 이동 레일(183)과 전후 이동 레일(183)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 고정 레일(184)을 구비한다.
전후 이동 레일(183) 상에는 이동 체인(185)이 위치한다. 이동 체인(185)에는 체인 기어(186)가 결합되며, 체인 기어(186)는 체인 구동모터(187)에 의해 구동된다. 체인 구동모터(187)는 체인 기어(186)를 구동하도록 적재부(120)의 하부에 위치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푸싱 유닛(180)은, 체인 구동모터(187)에 의해 체인 기어(186)가 회전되고, 체인 기어(186)에 의해 이동 체인(185)과 전후 이동 레일(183)을 움직임으로써 승강 이재 유닛(170) 상에 배치된 라면이 담긴 용기(10)를 출몰 불판 유닛(190) 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일부 확대도이며, 도 13은 도 8에서 용기가 배출되는 사용 상태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2와 도 3, 그리고 도 8,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싱 유닛(180)의 전방에는 출몰 불판 유닛(190)이 위치한다.
또한 자판 본체(100)의 배출구(101)에는 탄력적으로 개폐되는 개폐 도어 유닛(195)이 설치된다.
상기의 개폐 도어 유닛(195)은 배출 도어(196)와 배출 도어(196)의 회전 운동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힌지축(197)을 포함할 수 있다.
출몰 불판 유닛(190)은, 푸싱 유닛(180)에서 배출구(101) 측으로 배치되는 출몰 불판부(191), 출몰 불판부(191)이 연결되며 출몰 불판부(191)의 이동을 허용하는 출몰 레일부(192), 그리고 출몰 불판부(191)을 움직이는 출몰 구동부(193)를 포함한다. 출몰 불판부(191)의 단부에는 개폐 도어 유닛(195)에 접촉되는 접촉 롤러(19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출몰 불판 유닛(190) 상에 라면이 담긴 용기(10)가 위치하면서 물 주입유닛(199)에 의해 적정량의 물이 용기(10)에 채워진다. 이때 출몰 불판 유닛(190)의 출몰 불판부(191)에 의해 용기(10)가 가열됨으로써 용기(10)의 물이 끓여지면서 라면이 익어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10)의 물은 전기 히터의 가열에 의해 1분 이내로 끓게 된다. 이후에는 출몰 구동부(193)에 의해 출몰 불판부(191)이 배출구(101)의 배출 도어(196)를 개방하면서 외부로 노출된다. 사용자는 용기(10)에 있는 라면을 젓가락(15)으로 저어 한 번 더 끓이거나 그대로 취식할 수 있다.
이때 접촉 롤러(194)는 배출 도어(196)에 접촉되어 배출 도어(196)의 회전과 함께 배출 도어(196)를 따라 상대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도어(196)는 접촉 롤러(194)에 접촉되어 부드럽게 개방될 수 있으며, 반대로 출몰 불판부(191)가 배출구(101)의 안측으로 이동될 때는 접촉 롤러(194)에 지지되면서 부드럽게 배출구(101)를 닫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를 기초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10: 용기 11: 플랜지
12: 굽힘 방지 돌기 15: 젓가락
100: 자판 본체 101: 배출구
110: 디스플레이패널
111: 세팅부 112: 지폐 출입구
113: 동전 투입구 114: 동전 반환구
115: 젓가락 인출구 120: 적재부
121: 개폐 도어 122: 슬릿 홀
130: 용기 배출 유닛 131: 용기 배출 본체
135: 슬라이드 레일 140: 지지판
141: 레일 돌기 142: 홈부
150: 적재 구동부 151: 링크 중심축
152: 링크 종동축 153: 회전 링크
154: 장공 155: 링크 구동축
157: 구동 링크 160: 회전 구동부
161: 중심 링크 162: 링크 구동 모터
170: 승강 이재 유닛 171: 승강 이재 본체
172: 승강블록 175: 상하 레일부
177: 승강 구동부 180: 푸싱 유닛
181: 밀대 182: 전후 이동 레일부
183: 전후 이동 레일 184: 전후 고정 레일
185: 이동 체인 186: 체인 기어
187: 체인 구동모터 190: 출몰 불판 유닛
191: 출몰 불판부 192: 출몰 레일부
193: 출몰 구동부 194: 접촉 롤러
195: 개폐 도어 유닛 196: 배출 도어
197: 탄성 힌지축 199: 물 주입유닛

Claims (7)

  1. 라면이 담긴 용기들이 적재되며, 상기 용기가 배출되도록 하단부가 개방된 적재부가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용기의 배출구가 전면부에 마련되어 있는 자판 본체;
    상기 적재부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용기들을 지지하며, 상기 용기들 중 최하부의 용기에 대한 지지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용기 배출 유닛;
    상기 자판 본체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 배출 유닛에 대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 배출 유닛에 인접하게 상승되며 상기 용기 배출 유닛에 의해 지지가 해제된 용기가 이재되는 승강 이재 유닛;
    상기 승강 이재 유닛 상에 위치하며, 상기 용기를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밀어 내는 푸싱 유닛;
    상기 승강 이재 유닛에 인접하여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기 배출구의 외부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되되, 상기 용기를 가열할 수 있는 출몰 불판 유닛; 및
    상기 용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 주입유닛을 포함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용기의 적재 공간이 마련되며, 상기 적재 공간을 개폐하기 위한 개폐 도어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 배출 유닛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상기 용기를 지지할 수 있도록 슬릿 홀이 양측 벽부에 형성되며,
    상기 용기 배출 유닛은,
    상기 적재부의 하단부 양측에 위치 고정되며, 상기 슬릿 홀에 상응하여 슬라이드 레일이 양측 벽부에 형성된 한 쌍의 용기 배출 본체;
    상기 용기 배출 본체의 슬라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판; 및
    상기 적재부에 위치 고정되어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지지판을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적재 구동부를 포함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구동부는,
    상기 지지판 위에서 상기 용기 배출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는 링크 중심축;
    상기 지지판의 상면부에 위치 고정되는 링크 종동축;
    상기 링크 중심축에 위치 고정되며, 상기 종동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이 하단부에 마련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회전 링크;
    상기 회전 링크의 상단부에 위치 고정되는 링크 구동축;
    상기 링크 구동축에 일단부가 위치 고정되는 구동 링크; 및
    상기 구동 링크의 타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구동 링크를 움직여 상기 링크 구동축을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회전 링크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슬라이드 레일에 삽입되는 레일 돌기;
    상기 용기의 곡면 형상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를 감싸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부가 형성된 지지 돌기; 및
    상기 용기의 벽부가 삽입되어 지지되기 위한 반원 형상의 홈부가 마련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이재 유닛은,
    상기 자판 본체의 하부에 위치 고정된 승강 이재 본체;
    상기 승강 이재 본체의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용기가 상기 적재부로부터 이재되는 받침판을 구비한 승강블록;
    상기 승강 이재 본체와 상기 승강블록을 연결하며 상하 방향의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상하 레일부; 및
    상기 승강블록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승강블록에 연결되며, 상기 자판 본체의 하부에 위치 고정되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 유닛은,
    상기 승강 블록에서 상기 배출구를 향해 배치되는 밀대;
    상기 밀대에 연결되어 상기 밀대를 이동 시키도록 상기 승강 블록 상에 마련되며, 상기 승강 블록 상에서 이동 가능한 전후 이동 레일과 상기 전후 이동 레일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후 고정 레일을 구비하는 전후 이동 레일부;
    상기 전후 이동 레일에 위치 고정되는 이동 체인;
    상기 이동 체인을 이동시키는 체인기어; 및
    상기 체인기어를 구동하도록 상기 적재부의 하부에 위치 고정되는 체인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는 탄력적으로 개폐되는 개폐 도어 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출몰 불판 유닛은,
    상기 푸싱 유닛에서 상기 배출구 측으로 배치되는 출몰 불판부;
    상기 출몰 불판부가 연결되며, 상기 출몰 불판부의 이동을 허용하는 출몰 레일부; 및
    상기 출몰 불판부를 움직이는 출몰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몰 불판부의 단부에는 상기 개폐 도어 유닛에 접촉되는 접촉 롤러가 마련되는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KR1020160140104A 2016-10-26 2016-10-26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KR102049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04A KR102049058B1 (ko) 2016-10-26 2016-10-26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104A KR102049058B1 (ko) 2016-10-26 2016-10-26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959A true KR20180045959A (ko) 2018-05-08
KR102049058B1 KR102049058B1 (ko) 2019-11-26

Family

ID=6218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104A KR102049058B1 (ko) 2016-10-26 2016-10-26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90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22053A (zh) * 2018-09-30 2018-11-30 义乌市中摄市场开发有限公司 自动煮面食售卖机
KR20200025645A (ko) * 2018-08-31 2020-03-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KR20200109035A (ko) * 2019-03-12 2020-09-22 이용태 라면자판기를 구비한 자동차
KR102664067B1 (ko) * 2023-12-21 2024-05-08 임상준 음식 조리용 용기 자동공급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63B1 (ko) * 1999-06-08 2001-12-22 남찬우 라면 자동 판매장치
KR200290591Y1 (ko) * 2002-06-17 2002-10-04 인터패트 주식회사 라면 자동 판매기의 용기 배출장치
KR200394027Y1 (ko) * 2005-06-17 2005-08-25 홍동기 라면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장치
KR200405160Y1 (ko) * 2005-10-21 2006-01-10 박중곤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415517Y1 (ko) * 2006-02-24 2006-05-03 이우석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063B1 (ko) * 1999-06-08 2001-12-22 남찬우 라면 자동 판매장치
KR200290591Y1 (ko) * 2002-06-17 2002-10-04 인터패트 주식회사 라면 자동 판매기의 용기 배출장치
KR200394027Y1 (ko) * 2005-06-17 2005-08-25 홍동기 라면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장치
KR200405160Y1 (ko) * 2005-10-21 2006-01-10 박중곤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415517Y1 (ko) * 2006-02-24 2006-05-03 이우석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5645A (ko) * 2018-08-31 2020-03-10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CN108922053A (zh) * 2018-09-30 2018-11-30 义乌市中摄市场开发有限公司 自动煮面食售卖机
KR20200109035A (ko) * 2019-03-12 2020-09-22 이용태 라면자판기를 구비한 자동차
KR102664067B1 (ko) * 2023-12-21 2024-05-08 임상준 음식 조리용 용기 자동공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9058B1 (ko)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45959A (ko)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KR20180045960A (ko) 라면 자판기의 용기 적재 장치
US5144879A (en) Automatic food dispenser
US4838455A (en) Vending machine for heated food, notably cooked french fries
US3667373A (en) Automatic machine for vending fried foods
JP2005530248A (ja) 麺用自動販売機
TW202108010A (zh) 自動煮麵設備
JP3217672U (ja) ポップコーン販売機の商品移送及びマイクロ波システム
KR200405160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KR20060001838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
CN206331455U (zh) 盒类物品发放机
KR102234781B1 (ko) 라면자판기를 구비한 자동차
KR20060001840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KR200486796Y1 (ko)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DE3901506A1 (de) Verkaufsautomat fuer pfannkuchen oder aehnliches
AU2001283593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heated comestibles
CN110288775A (zh) 智能售卖装置
KR20100021946A (ko) 라면조리 판매기의 용기 이송장치
KR102038288B1 (ko) 음식물 자동판매기의 용기이송장치
KR20190000238U (ko) 라면 자판기
KR20230001868A (ko) 라면 자동 판매기
KR200405163Y1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JP2012059096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20060001844A (ko) 면 조리용 자동판매기의 용기 운반 및 배출 장치
CN114120537B (zh) 自动煮熟主食的食品智能化加工售卖一体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