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645A -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 Google Patents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645A
KR20200025645A KR1020180103325A KR20180103325A KR20200025645A KR 20200025645 A KR20200025645 A KR 20200025645A KR 1020180103325 A KR1020180103325 A KR 1020180103325A KR 20180103325 A KR20180103325 A KR 20180103325A KR 20200025645 A KR20200025645 A KR 20200025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w
vending machine
holder
door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6429B1 (ko
Inventor
윤성서
한동균
황락주
황명진
방병호
윤성훈
하동훈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3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64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6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6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3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horizont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매물품 중 빨대의 제공이 필요한 물품의 판매시 빨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별도의 빨대 공급부를 구성함으로써 자판기 구조의 복잡도를 높이지 않으면서도 제품에 적합한 빨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는 판매물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를 가지는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빨대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빨대공급부는 빨대가 수납되는 수납함을 구비하며, 상기 빨대의 제공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부터 상기 자판기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Vending machine for providing straw}
본 발명은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판매물품 중 빨대의 제공이 필요한 물품의 판매시 빨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별도의 빨대 공급부를 구성함으로써 자판기 구조의 복잡도를 높이지 않으면서도 제품에 적합한 빨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자판기는 무인으로 구동되어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과거에는 음료의 판매에 국한되던 자판기가 판매 물품이 다양화되어 과거에 비해 설치 및 이용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게 최근에는 자판기에서 판매가 어려웠던 물품 예를 들어, 도시락, 음료 파우치와 같은 물품의 판매도 고려되고 있다.
음료 파우치와 같은 제품은 합성수지 파우치에 음료의 원액 또는 음료가 담긴 것으로 빨대를 파우치에 꽂아서 이용하거나, 음료를 별도의 용기에 담아 섭취하도록 하는 제품이다.
때문에, 오프라인 상점에서는 음료 파우치와 세트로 음료용기를 사용자에게 판매하여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음료용기는 대부분 얼음을 채워 판매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 전문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아이스 음료를 즐길 수 있게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음료 파우치와 음료 용기 외에도 이를 음용하기 위한 빨대가 필요하여 음료의 구매시 함께 제공해야 하지만, 빨대를 물품과 같이 제공하기 위해서는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자판기 운영과정에서 고장이 자주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14484호(등록일 2003.05.14.) "건강 보조 식품과 빨대를 제공하는 자동 판매기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판매물품 중 빨대의 제공이 필요한 물품의 판매시 빨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별도의 빨대 공급부를 구성함으로써 자판기 구조의 복잡도를 높이지 않으면서도 제품에 적합한 빨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킨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빨대 공급부를 자판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을 처리할 수 있는 임시 선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는 판매물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를 가지는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빨대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빨대공급부는 빨대가 수납되는 수납함을 구비하며, 상기 빨대의 제공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부터 상기 자판기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는 판매물품 중 빨대의 제공이 필요한 물품의 판매시 빨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별도의 빨대 공급부를 구성함으로써 자판기 구조의 복잡도를 높이지 않으면서도 제품에 적합한 빨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는 빨대 공급부를 자판기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구매한 물품을 처리할 수 있는 임시 선반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사용편의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빨대공급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빨대공급부의 수납함이 자판기 내부에 수납된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자판기의 외부에서 커버만 개방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수납함이 외부로 도출된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로 사용 가능한 자판기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의 구성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10)는 도어(20)와 본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20)는 본체(10)에 힌지와 같은 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20)에는 자판기(10)에 의해 판매되는 물품을 확인하고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21), 결제를 위한 결제부(25), 물품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27) 및 빨대의 제공을 위한 빨대공급부(50)가 구비될 수 있다.
빨대공급부(50)는 판매물품(43) 중 빨대를 함께 공급해야할 판매물품(43)이 판매되는 경우 빨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빨대공급부(50)는 빨대가 수납되는 수납함이 마련된다. 빨대공급부(50)의 수납함은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자판기(10) 내부의 공간에 위치하고, 빨대의 공급이 필요한 경우 도어(20)의 개구부(50a)를 통해 자판기 외부로 돌출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빨대공급부(50)의 수납함에 들어있는 빨대를 꺼내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빨대공급부(50)는 임시적인 선반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례로 음료파우치와 별도의 용기 형태로 판매물품이 공급되는 경우 사용자는 음료파우치를 개봉하여 용기에 담아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때, 빨대의 공급을 위해 돌출된 수납함 또는 개구부(50a)의 커버를 선반으로 이용하여 물품을 거치하고 이러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빨대 공급부(50)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조작부(21)는 판매물품(43)을 구매자가 확인하고, 구매하고자 하는 판매물품(43)을 선택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조작부(21)에는 투과창이 마련되거나, 판매물품(43)을 표시하는 수단과, 사용자가 판매물품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마련된다. 여기서, 조작부(21)의 위치에 투과창 또는 판매물품(43)과 관련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표시장치 또는 터치스크린이 마련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조작부(21)가 마련된 형태의 자판기를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조작부(21)에는 상품표시부(22)와 선택스위치(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품표시부(22)는 판매물품(43)의 이름, 이미지와 같이 판매물품(43)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글 또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표시된다. 아울러, 상품표시부(22)에는 해당 판매물품(43)이 판매중인지 매진인지와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선택스위치(23)는 판매물품(43)의 선택을 위해, 스위치 또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배출구(27)에는 배출도어(28)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자판기(1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도시된 배출구(27)의 위치는 낙하방식을 이용하여 판매물품을 배출하는 자판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매물품(43)의 이송을 위한 리프트, 로봇암과 같은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배출구(27)의 위치나 크기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어(20)에는 판매물품(43)에 대한 결제를 위한 결제부(25)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결제부(25)는 카드 및 현금에 의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현금, 카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장치와 같은 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4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판매물품(43)의 거치를 위한 진열대, 배출로, 자판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내부장치 및 제어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본체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개폐를 위한 도어(2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빨대공급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판기(10)에 구비되는 빨대공급부(50)는 수납함(51), 구동부(53), 커버(54) 및 브라켓(5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납함(51)은 내부에 빨대를 수납하고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수납된 빨대를 취득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수납함은 상부에 뚜껑(52)이 마련되거나, 수납함(51)의 전면에 빨대가 소량이 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빨대를 파지하여 수납함(51)으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함(51)의 빨대 공급 구조는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동부(53)에 의해 커버(54) 위로 이동하거나, 브라켓(56)의 위로 되돌아온다. 이러한 수납함(51)은 상면(51a)가 평평한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개폐 가능한 뚜껑(52)이 마련된다. 수납함(51)은 자판기(10)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물품을 일시적으로 거치하는 선반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수납함(51)의 상면(51a)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단턱(51b)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면(51a)와 단턱(51b)을 포괄하여 거치부(51ab)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수납함(51)은 자판기(10)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브라켓(56)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구동부(53)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수납함(51)을 자판기(10)의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자판기(10) 외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동부(53)는 모터, 기어 및 커넥팅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커넥팅로드(미도시)는 수납함(51)과 기어를 연결하며, 복수의 관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커넥팅로드(미도시)는 모터의 회전에 따라 펼쳐지거나 접혀지도록 구성되어, 연결된 수납함(51)을 브라켓(56)의 상부와 커버(54) 사이에서 왕복시키게 된다. 기어는 모터와 커넥팅로드를 연결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라 커넥팅로드가 동작할 수 있게 한다. 모터는 제어부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전원에 의해 동작한다. 여기서, 구동부(53)가 기어, 모터 및 커넥팅로드로 구성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53)는 모터와 나사산이 형성된 스틱으로 구성되고, 스틱의 회전에 따라 수납함이 전진 또는 후진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구동부(53)는 수납함의 크기, 자판기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커버(54)는 자판기(10) 도어(20)에 마련되는 개구부(50a)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커버(54)는 일측 가장자리가 도어(20)에 힌지 결합되어 개구부(50a)를 개폐한다. 이러한 커버(54)는 개구부(50a)를 개방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56)면과 수평 또는 지상과 수평을 이루도록 도어(2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커버(54)이 힌지(55)에는 커버(54)의 회전을 제한하는 돌기 또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54)는 수납함(51)이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선반의 역할을 하거나, 자판기(10) 외부로 돌출된 수납함(5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때문에 자판기(10) 외부로 수납함(51)이 돌출되는 경우 수납함(51)의 바닥면은 커버(54)와 접촉한 상태로, 커버(5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는, 커버(54)의 결합부위를 축으로 구성하고, 축을 구동부(53)와 연결하여 개방과 폐쇄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커버(54)에 별도의 구동부(53)가 연결되지 않는 경우 수납함(51)이 자판기(51)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 커버(54)가 자동으로 개구부(50a)를 폐쇄하도록 힌지에 탄성부재가 결부되어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56)은 자판기(10) 내부에서 수납함(5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브라켓(56)은 필요에 따라 구동부(53)와 결합되어 구동부(5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56)의 면은 지면과 수평을 이루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브라켓(56)의 일측 가장자리, 개구부(50a)와 마주하는 모서리에는 플랜지(57)가 형성될 수 있다. 이 플랜지(57)는 브라켓(56)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56)은 이 플랜지(57)를 통해 도어(20)의 내면에 결합되고,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브라켓(56)의 상면에는 수납함(51)의 이동을 보장하기 위한 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레일(미도시)은 브라켓(56)의 상면에 수납함(51)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레일과 수납함(51)은 베어링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3 빨대공급부의 수납함이 자판기 내부에 수납된 형태를 간략하게 도시한 예시도로써 도어를 배면에서 바라본 형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자판기의 외부에서 커버만 개방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수납함이 외부로 도출된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빨대공급부(50)의 수납함(51)은 빨대가 필요한 판매물품(43)이 판매되는 경우 자판기(10) 외부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수납함(51)에 수납된 빨대를 취득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빨대를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는 수납함(51) 또는 개구부(50a)를 개폐하는 커버(54)를 음료 파우치와 용기를 적재하는 선반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납함은 도 1 및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상태에서는 자판기(10)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수납함(51)이 브라켓(56)의 상부에 위치하고, 커버(54)가 개구부(50a)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수납함(51)이 지속적으로 자판기(10) 외부에 위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파손, 불필요한 빨대의 손실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수납함(51)은 사용자가 선택한 판매물품(43)이 빨대를 필요로 하거나, 빨대를 같이 공급하도록 설정된 경우 제어부에 의해 자판기(10)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 도 4와 같이 커버(54)가 개방되고, 도 5와 같이 수납함(51)이 커버(54)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자판기(10)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이 수납함(51)이 돌출되면 사용자는 수납함(51)으로부터 빨대를 취득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는 수납함(51)을 선반으로 이용할 수 있다. 즉, 자판기(10)로부터 획득한 음료와 용기를 선반에 올려두고, 음료를 자판기에 붓는 등의 행위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수납함(51)을 바로 회수하지 않고, 판매 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 자판기(1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자판기(10)에는 수납함(51)이 자판기(10) 내부로 회수됨을 표시하거나, 안내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물품이 수납함(51)에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선반의 기능은 수납함(51)뿐만 아니라 커버(54)에 의해서도 수행될 수 있다. 즉, 수납함(51)은 빨대를 사용자가 취득한 직후에 자판기(10) 내부로 이동하거 커버(54)만이 열린 상태를 일정시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로 사용 가능한 자판기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판기(10)의 내부에는 진열대(41, 60)와 이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로(49), 내부장치(95) 및 제어부(90)가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도 6에서는 본체(40) 내부에 두 개의 진열대(41, 60)인 제1진열대(41)와 제2진열대960)가 마련된 경우의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로써 제시된 것일뿐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제시된 자판기는 판매물품(43)으로 음료팩과 얼음이 담긴 용기가 세트인 제품을 판매하는 자판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진열대(41)의 판매물품(43)은 음료가 담긴 합성파우치 형태로 구성되고, 제2진열대(60)의 판매물품(43)은 얼음이 담긴 컵 형태의 용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보관 조건과 배출조건을 가지는 판매물품(43)의 판매를 위해 제1진열대(41)와 제2진열대(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진열대(41)는 냉각만 수행되고, 제2진열대(60)는 냉동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진열대(60)는 별도의 격실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우선, 제1진열대(41)는 복수의 컬럼(42)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진열대(41)는 복수의 데크(47)와 격벽(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크(47)는 제1진열대(41) 공간을 복수의 층으로 구분하고, 격벽(46)은 각 데크(47)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즉, 데크(47)와 격벽(46)에 의해 분할되어 컬럼(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컬럼(42) 각각에는 판매물품(43)의 거치와 배출을 위한 이송수단(45)이 마련된다. 이송수단(45)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4에는 일례로써 코일방식의 이송수단(45)이 도시되어 있다. 컬럼(42) 각각에는 복수의 판매물품(43)이 적재되며, 복수의 컬럼(42) 각각에 적재되는 판매물품(43)은 서로 다른 제품일 수 있다.
이송수단(4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일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코일형태로 형성하되 간격을 두어, 이 간격에 판매물품(43)이 삽입된다. 그리고 코일의 일측 종단에는 기어세트와 모터를 구성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라 코일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코일을 따라 판매물품(43) 전진하게 되어 배출된다. 코일의 종단에서 판매물품(43)은 배출로(49)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수단(45)은 제시된 예 외에도 컨베이어벨트 형태와 같이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진열대(41)는 판매물품의 냉장보관 또는 상온 보관을 위해 별도의 격실로 구성하지 않고, 판매물품이 자판기(10)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제2진열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격실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진열대(60)는 제1진열대(41)에 적재된 판매물품(43)과는 다른 온도로 판매물품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제2진열대(60)에는 제1진열대(41)의 판매물품을 담는 용기가 판매물품(43)으로 수납될 수 있으며, 이 용기 내부에 얼음이 채워진 형태로 적재 및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진열대(60)는 제1진열대(41)와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진열대(60)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격실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진열대는 제1영역(61)과 제2영역(71)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영역에 도어가 마련되고, 도어(62, 72)를 통해 각 영역을 별도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영역(61)에는 판매물품(43)의 수납이 이루어지고 제2영역(71)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영역(61, 71)이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진열대(60)는 내부에 용기를 저장 및 배출하기 편리하도록 복수의 적재함이 내장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제1진열대(41)와 유사한 형태로 컬럼이 구성될 수도 있다.
내부장치(95)는 자판기(1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내부장치(95)에는 냉각기, 온열기, 전원부, 동작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90)를 포함하는 제어기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장치(95)는 자판기(10)의 하부와 같이 여유공간에 마련되어 자판기(1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내부장치(95)는 일례로 제시된 것으로 자판기(10)에 의해 판매되는 판매물품(43)의 종류, 자판기(10)의 설치 환경에 따라 내부장치(95)의 구체적인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90)는 자판기(10)의 동작을 위한 일련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90)는 조작부(2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판매물품(43)을 확인하고, 결제부(25)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결제가 완료되면, 선택된 판매물품(43)을 배출구(27)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90)는 판매물품(43)이 빨대와 함께 제공되어야 하는 제품인 경우 빨대공급부(50)의 구동부(53)를 제어하여 수납함(51)이 자판기(10)의 외부로 이동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90)는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수납함(51)을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부(53)를 다시 제어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제어부(90)는 사용자가 빨대를 판매물품과 함께 획득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수납함(51) 또는 커버(54)를 일시적인 선반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자판기 20: 도어
27: 도어 40: 본체
41, 60: 진열대 42: 컬럼
43: 판매물품 45: 이송수단
46: 격벽 47: 데크
40: 배출로 50: 빨대공급부
51: 수납함 52: 뚜껑
53: 구동부 54: 커버
56: 브라켓 90: 제어부
95: 내부장치

Claims (5)

  1. 판매물품이 수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를 가지는 자판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빨대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빨대공급부는 빨대가 수납되는 수납함을 구비하며,
    상기 빨대의 제공이 필요한 시점에 상기 도어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해 상기 내부공간으로 부터 상기 자판기의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개구부의 하단 가장자리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고,
    개방상태에서 지면과 수평을 유지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빨대공급부는
    상기 수납함이 결합되는 레일; 및
    자판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수납함을 레일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의 상부에는 거치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함은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KR1020180103325A 2018-08-31 2018-08-31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KR102156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25A KR102156429B1 (ko) 2018-08-31 2018-08-31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25A KR102156429B1 (ko) 2018-08-31 2018-08-31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645A true KR20200025645A (ko) 2020-03-10
KR102156429B1 KR102156429B1 (ko) 2020-09-15

Family

ID=6980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325A KR102156429B1 (ko) 2018-08-31 2018-08-31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64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84Y1 (ko) 2003-03-05 2003-06-02 김갑태 건강 보조 식품과 빨대를 제공하는 자동 판매기 장치
JP2009193265A (ja) * 2008-02-13 2009-08-2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ストロー供給装置
WO2018033937A1 (en) * 2016-08-16 2018-02-22 Singh Rishi Automated tender coconut/coconut vending/dispensing machine
KR20180045959A (ko) * 2016-10-26 2018-05-08 이용태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484Y1 (ko) 2003-03-05 2003-06-02 김갑태 건강 보조 식품과 빨대를 제공하는 자동 판매기 장치
JP2009193265A (ja) * 2008-02-13 2009-08-2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ストロー供給装置
WO2018033937A1 (en) * 2016-08-16 2018-02-22 Singh Rishi Automated tender coconut/coconut vending/dispensing machine
KR20180045959A (ko) * 2016-10-26 2018-05-08 이용태 불판 노출형 라면 자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6429B1 (ko) 202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8101B2 (en) Merchandiser
US9833084B2 (en) Merchandiser
KR102114957B1 (ko)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 및 잠금수단의 제어방법
MXPA01009796A (es) Maquina vendedora que reduce al minimo la agitacion de los productos.
CN105101849A (zh) 定制包装中心和用于该定制包装中心中的包装
US10827834B2 (en) Bottle support assembly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US20080272142A1 (en) Article Dispenser
KR102156429B1 (ko)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KR20110009678U (ko) 회전식 자판기
JPH11154266A (ja) 自動販売機
KR101900731B1 (ko) 냉장육 및 냉동육 자동판매기
KR101341528B1 (ko) 식품 자판기
JP2009104281A (ja) 自動販売機
KR20200025644A (ko)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KR101016433B1 (ko) 일회용 포장식품 자동판매기
KR100370721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KR101360006B1 (ko) 컴팩트 자동판매기
KR102114945B1 (ko) 아이스 파우치 자동판매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7287125A (ja) 自動販売機
JP3196445B2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KR200245416Y1 (ko) 냉동/냉장식품 자동판매기
JP4811071B2 (ja) 自動販売機
EP2912642B1 (en) Merchandiser
KR200226084Y1 (ko) 자동판매기의 자동인너도아개폐장치
JP2010152816A (ja) 販売商品収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