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957B1 -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 및 잠금수단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 및 잠금수단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957B1
KR102114957B1 KR1020180103328A KR20180103328A KR102114957B1 KR 102114957 B1 KR102114957 B1 KR 102114957B1 KR 1020180103328 A KR1020180103328 A KR 1020180103328A KR 20180103328 A KR20180103328 A KR 20180103328A KR 102114957 B1 KR102114957 B1 KR 102114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door
vending machine
shelf
l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648A (ko
Inventor
송정규
이원석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3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9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72Auxiliary equipment, e.g. for lighting cigars, opening bott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구매와 같이 특정 조건에서만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게 잠김이 해제되고, 다른 상태인 경우 배출구가 잠기도록 하여 배출구를 통해 자판기 내부로 진입 및 투입을 차단하도록 한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는 내부에 판매물품이 진열되는 데크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진열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개페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판매물품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와 상기 판매물품의 배출을 위해 마련되고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판매물품이 상기 배출구로 이동했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 및 잠금수단의 제어방법{Vending machine including outlet lock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outlet 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품구매와 같이 특정 조건에서만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게 잠김이 해제되고, 다른 상태인 경우 배출구가 잠기도록 하여 배출구를 통해 자판기 내부로 진입 및 투입을 차단하도록 한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자판기는 무인으로 구동되어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과거에는 음료의 판매에 국한되던 자판기가 판매 물품이 다양화되어 과거에 비해 설치 및 이용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게 최근에는 도시락과 같이 자판기에서 판매가 어려운 물품도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최근의 자판기들은 컵라면 뿐만 아니라. 봉지에 봉입되어 판매되는 라면을 직접 끓여서 판매하는 자판기도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의 자판기는 자판기 운영자 및 사용자의 요구에 맞춰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형태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도시락, 케익과 같이 제품의 판매 과정에서 많은 주의를 요하는 제품들의 판매도 시도되고 있다. 도시락, 케익과 같은 물품은 진열상태의 상품을 투입구로 옮기는 과정에서 파손이 빈번하여 자판기를 이용한 판매는 고려하지 않는 대표적인 품목이었다.
이러한 제품의 판매를 위해 최근의 자판기는 사용자가 구매한 자판기로부터 판매물품을 손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배출구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추세이다. 일례로 도시락과 같이 뒤집어 지거나 걸림이 발생하면 내부 내용물이 훼손되는 제품, 인형과 같이 부피가 큰 제품을 판매하는 자판기의 경우 큰 직경의 배출구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큰 크기의 배출구가 형성된 자판기의 경우 배출구를 통해 자판기 내부의 손상, 절도, 쓰레기 투척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1996-0038678호(공개일 1996.11.21.) "자판기의 리프트업 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물품구매와 같이 특정 조건에서만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게 잠김이 해제되고, 다른 상태인 경우 배출구가 잠기도록 하여 배출구를 통해 자판기 내부로 진입 및 투입을 차단하도록 한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는 내부에 판매물품이 진열되는 데크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진열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개페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판매물품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와 상기 판매물품의 배출을 위해 마련되고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판매물품이 상기 배출구로 이동했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는 물품구매와 같이 특정 조건에서만 배출구가 개방될 수 있게 잠김이 해제되고, 다른 상태인 경우 배출구가 잠기도록 하여 배출구를 통해 자판기 내부로 진입 및 투입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판기의 훼손, 절도 및 오염과 같은 부적절한 행위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의 외부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도2에서 리프트에 해당하는 부분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배출구와 잠금장치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잠금장치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의 외부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는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판기는 본체(10)와 도어(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체(10)와 도어(20)의 내부에 자판기의 운영을 위한 각종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구성 외의 자판기의 일반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되지 않은 자판기의 구성은 판매물품, 자판기의 종류와 같은 사항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므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공지의 기술이 적용된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본체(1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판매물품의 거치를 위한 공간인 진열대가 마련되고, 판매물품의 냉장/온장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가 수납된다.
도어(20)는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 도어(20)에는 판매물품을 구매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투과창(22)이 마련되거나, 판매물품의 영상을 출력하는 표시화면이 마련될 수 있다. 투과창(22)의 위치에 표시화면이 마련되는 경우 표시화면을 통해 출력되는 판매물품의 영상은 미리 촬영되어 만들어진 영상일 수도 있고, 내부를 실시간으로 촬영한 영상일 수도 있다. 여기서, 내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가 더 구비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어(20)에 투과창(22)이 형성된 예를 위주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한편, 도어(20)에는 판매물품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24)가 마련된다. 배출구(24)는 배출구도어(25)가 마련되며, 구매자가 진열대로부터 이송된 판매물품을 꺼낼 수 있도록 도어(20)의 일부분에 마련된다. 이러한, 배출구도어(25)는 잠금장치가 구비되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잠금장치가 동작하여 배출구도어(25)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사용자가 배출구도어(25) 뒷편에 위치하는 판매물품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20)에는 결제, 제품선택, 잔돈 교환과 같이 자판기의 이용을위한 사용자의 조작이 이루어지는 조작부(26)가 마련된다. 이 조작부(26)에는 결제를 위한 카드 접촉부, 카드 투입구, 현급 투입구, 제품선택을 위한 버튼, 자판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정보표시창이 마련될 수 있으나,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도2에서 리프트에 해당하는 부분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다른 리프트를 구비하는 자판기는 진열대(30), 리프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냉각장치(80)와 같은 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은 자판기의 다른 구성들은 설명을 생략하거나, 도어(20) 및 본체(10)의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진열대(30)는 판매상품이 진열되며, 조작부(26)에 의해 선택된 판매상품을 리프트(50)의 선반(51)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진열대(30)는 거치된 상품을 리프트(50)의 선반(51)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진열대(30)는 데크(31), 데크(31)에 설치되는 이송수단(35) 및 이송수단(35)의 사이에 배치되며, 데크(31)에 결합되어 데크(31)를 구획하는 격벽(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크(31)는 자판기의 수직방향 영역을 복수의 층으로 구획한다. 이를 위해 데크(31)의 양단은 본체(10) 내부의 측벽에 결합된다. 이러한 데크(31)는 복수로 구성되어 진열대(30)가 복수의 층으로 구분될 수 있게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데크(31)는 본체(10)의 측벽에 마련되는 거치레일(49)에 의해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거치레일(49)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의 홀 또는 홈(47)이 형성될 수 있다. 데크(31)의 양측면에는 이러한 홀 또는 홈(47)에 끼움결합 가능한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되고, 걸림돌기와 홈(47)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본체(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데크(31)의 상면에는 이송수단(35)이 마련될 수 있다. 이 이송수단(35)은 판매물품을 거치하는 역할과 함께, 거치된 판매물품을 도어(20) 방향인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이송수단(3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컨베이어벨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수단(35)이 컨베이어벨트인 경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컨베이어벨트의 경우 제품의 크기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다른 이송수단에 비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송수단(35)은 데크(31) 상에 복수로 구성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이송수단(35)은 격벽(33)에 의해 구분되어 판매물품별로 하나 또는 복수로 할당되어 판매물품의 이송에 이용된다.
이를 위해 데크(31)에는 격벽(33)의 결합을 위한 격벽홈(32)이 복수로 형성된다. 이 격벽홈(32)은 격벽(33)의 하단이 끼움 결합된다. 이러한 격벽(33)은 데크(31)의 공간을 수평 방향으로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한다. 격벽(33)은 판매물품의 크기와 종류에 따라 결합될 격벽홈(32)을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데크(31)에는 격벽의 수에 비해 많은 격벽홈(32)이 형성되어, 판매물품에 따라 격벽(3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수단(35)은 격벽(33)과 다음 격벽(33)의 사이에 배치된다.
리프트(50)는 진열대(30)에 진열된 판매물품 중 선택된 판매물품을 배출구(24)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리프트(50)는 진열대(30)의 전방(도어 방향)과 도어(20) 사이에서 수직 방향(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치되고, 진열대(30)와 배출구(24) 사이를 왕복한다. 구체적으로 리프트(50)는 선반(51)을 포함하며, 선반(51)을 이동시켜 판매물품이 선반(51)에 적재되면 배출구(24)로 이동하여 사용자가 판매물픔을 획득할 수 있게 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자판기와 달리 선반(51)이 진열대(30)로부터 배출된 판매물품을 사용자가 획득할 때까지 적재하는 배출함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선반(51)은 진열대(30)의 수평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선반(51)이 선택된 판매물품이 위치한 데크(31)와 나란한 위치로 이동하면, 이송수단(35)이 판매물품을 선반(51)으로 이송시켜 적재하게 된다. 판매물품이 적재되면 선반(51)은 배출구(24)로 이동하여 판매물품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리프트(50)는 선반(51), 선반(51)의 이송을 위한 구동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선반(51)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부(60)에 의해 이동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판매물품을 배출구(24)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선반(51)은 판매물품의 탑재가 용이하도록 바닥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선반(51)의 가장자리 중 진열대(30)를 마주하지 않는 측면에는 판매물품의 낙하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측벽(52)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51)은 양측 종단에서 구동부(60)와 결합된다.
특히, 선반(51)에는 판매물품의 적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7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선반(51)의 물품감지센서(71)는 판매물품이 선반(51)에 적재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반(51)의 바닥 또는 측벽(53)에 하나 이상의 물품감지센서(71)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물품감지센서(71)는 압전센서와 같이 판매물품에 접촉하여 적재여부를 감지하는 접촉식센서일 수도 있고, 포토커플러와 같이 비접촉식 센서일 수도 있다. 이러한, 물품감지센서(71)는 정확한 감지를 위해 복수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동부(60)는 선반(51)을 진열대(30)와 배출구(24)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구동부(60)는 구동장치(61)와 레일(6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레일(63)은 본체(10)의 내측벽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 레일(63)은 구동장치에 마련되는 휠 또는 기어를 안내하는 가이드의 역할을 하며, 필요에 따라 기어와 맞물리려 기어의 이동을 위한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레일(63)은 선반(51)의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복수로 구성되고, 복수의 레일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레일의 수나 간격은 본 발명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구동장치(61)는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선반(51)을 지정된 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장치(61)는 구동을 위한 모터, 모터에 연결되고 레일(63)과 접촉 또는 기어형태로 레일(63)에 맞물리는 복수의 휠을 구비할 수 있다. 구동장치(61)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휠을 구동하여 휠이 레일(63)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선반(51)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구동장치(61)는 선반(51)의 양측종단에 대를 이루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선반(51)의 양측에 구동장치(61)가 결합되는 경우 모터는 어느 한 쪽의 구동장치(61)에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구동장치(61)에 모터와 휠이 구비되지 않고, 체인 또는 벨트에 의해 구동장치에 연결되고, 모터는 본체(10)의 내부 측면에 설치되어 체인 또는 벨트를 이용하여 구동장치(61)를 이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70: 71, 73)는 구동장치(61)의 위치 또는 선반(51)의 위치 또는 선반(51)의 판매물품 적재여부를 감지하여 감지결과를 제어부(99)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센서부(70)는 판매물품의 적재여부를 감시하는 물품감지센서(71)와, 선반(51)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품감지센서(7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반(51)에 설치되어, 선반(51)에 판매물품이 적재되었는지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 물품감지센서(71)는 선반(51)의 바닥면 또는 측벽(53)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품감지센서(71)는 이송수단(35)에 의해 진열대(30)로부터 이송되는 판매물품이 선반(51)에 적재되는지, 적재상태를 유지하는지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 이러한 물품감지센서(71)는 주기적으로 센싱결과를 전달할 수도 있고, 이전과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경우에만 센싱값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이 적재되는 경우 적재되었음을 제어부에 알리고, 적재상태였던 판매물품이 치워졌을 때와 같이 상태 변화가 발생한 경우에만 감지값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위치감지센서(73)는 선반(51)의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결과를 제어부에 전달한다. 위치감지센서(73)는 선반(51)이 배출구(24)의 배출위치에 자리했는지, 혹은 진열대의 어느 선반에 위치했는지를 제어부가 인지할 수 있도록 선반(51)의 위치를 감지하여 전달한다. 이를 위해, 위치감지센서(73)는 구동장치(73)나 본체(10) 내부의 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감지센서(73)는 복수의 포토커플러와 같이 특정 지점의 통과여부를 검출하는 센서일 수도 있고, 휠의 회전을 검출하는 센서일 수도 있으나, 이로써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잠금수단(85)은 제어부(99)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배출구 도어(25)를 잠금상태가 되게 하거나, 잠금해제 상태가 되게 한다. 이를 위해 잠금수단(85)는 배출구의 하단 부분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동작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자판기의 동작을 위한 각종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배출구도어(25)의 잠금 및 잠금 해제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센서(70)로부터 전달되는 센싱값에 따라 선반(51)의 위치와 선반(51)에 판매물품이 적재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잠금수단(8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전달한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배출구와 잠금장치의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잠금장치의 구성을 좀 더 상세히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잠금수단(85)은 배출구(24)의 양측 하단에 대를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잠금수단(85)은 배출구도어(25)에 설치되는 버팀봉(94)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배출구도어(25)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거나, 잠금상태의 유지를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배출구도어(25)는 일측인 상단(27, 도면에서 윗부분)은 도어(20)와 힌지결합되어 본체(10) 방향으로 여닫이가 가능하게 결합된다. 때문에 버팀봉(94)은 힌지결합된 상단(27)과 나란한 하단에 결합된다. 이때, 버팀봉(94)의 양측 종단은 배출구(24)를 벗어나 도어(20)의 안쪽까지 연장되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잠금수단(85)은 버팀봉(94)의 연장된 부분에 대응되도록 도어(20)의 안쪽면에 설치된다.
잠금수단(85)은 스위치(86), 케이스(95), 가동프레임(88), 지지축(90: 90a, 90b), 탄성부재(93), 고정축(9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치(86)는 제어부(99)의 온/오프(On/Off) 제어명령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어 스위치 축(87)을 제1방향으로 왕복시킨다. 이를 위해, 스위치(86)는 케이스(95)에 고정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95)와 결합되는 스위치 케이스(86a)에 의해 수납될 수 있으나, 제시된 바에 의해서만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86)는 솔레노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온 되는 경우 도어(20)의 하부방향(D1)으로 스위치 축(87)을 잡아당기게 되고, 이를 통해 스위치 축(87)에 결합되는 가동프레임(88)을 하부방향(D1)으로 잡아당기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스위치(86)는 온/오프에 따라 제1방향으로 왕복하는 스위치축(8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방향(D)은 하부방향(D1)과 이의 반대방향이 상부방향을 포함하는 직선방향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스위치(86)는 제어부(99)와 연결되어 제어부(99)로부터 온/오프를 위한 제어명령을 전달받는다. 여기서, 스위치(86)가 솔레노이드로 구성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솔레노이드로 구성하는 경우 가동프레임(88)에 일시적인 당김 즉, 하부방향(D1)으로 이동시키는 일시적인 힘을 제공하기 유리하고, 저전력으로 구동 가능하며, 빠른 구동 속도로 동작하기 때문에 모터와 같은 다른 장치를 스위치로 이용하는 것보다 유리할 수 있다.
가동프레임(88)은 스위치(86)에 의해 제1방향(D1)으로 왕복하여 버팀봉(94)에 걸림을 제공하거나, 걸림을 해제하여 배출구도어(25)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가 이루어지게 한다.
이를 위해, 가동프레임(88)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서 스위치(86)의 축(87)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걸림턱(91)이 형성된다. 걸림턱(91)은 오프 상태에서 버팀봉(94)에 걸림을 제공하도록 가동프레임(88)의 타측종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특히, 걸림턱(91)의 종단(91b)은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걸림턱(91)은 잠금장치(85)가 온상태에서 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버팀봉(94)이 안정적으로 걸림턱(91)과 가동프레임(88)의 일측 종단 사이의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가동프레임(88)은 지지축(90: 90a, 90b)에 의해 제1방향(D1)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를 위해 가동프레임(88)의 측면에는 슬릿(89)이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축(90)이 슬릿(89)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지지축(90)은 케이스(95)에 양단이 결합되어 고정되고, 단면형상이 타원형 또는 각형의 막대기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가동프레임(88)의 타측에는 탄성부재(93)가 결합된다. 이 탄성부재(93)는 스위치(86)가 오프되는 경우 가동프레임(88)을 잠금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탄성부재(93)는 스프링, 고무밴드와 같은 다양한 형태와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도 5에는 인장스프링으로 탄성부재(93)가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인장스프링으로 탄성부재(93)가 구성되는 경우 인장스프링의 일단은 가동프레임(88)에 결합되고, 타단은 고정축(92)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93)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거나,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경우 결합위치와 결합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99)는 센서의 감지결과에 따라 배출구도어(25)의 잠금과 잠금 해제를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9)는 판매물품이 선반(51)에 적재된 상태에서 선반(51)이 배출구(24)의 뒷편에 위치하는 경우에만 배출구 도어(25)를 잠금해제 상태로 전환한다. 즉, 제어부(99)는 선반(51)에 적재된 판매물품이 없거나, 선반(51)의 위치가 배출구(24)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배출구 도어(25)를 잠금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9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부(70)의 감지값을 이용하여 선반(51)의 위치와 판매물품의 적재여부를 확인하고, 판매물품이 적재된 상태의 선반(51)이 배출구(24)와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만 배출구도어(25)를 잠금해제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배출구를 통해 내부로 진입하거나, 배출구(24)에 선반이 도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배출구(24) 내부에 손을 넣어 다치는 것과 같은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자판기 잠금수단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판기 잠금수단의 제어방법은 상품준비 단계(S10), 상품선택 단계(S20), 상품이동 단계(S30), 상품/리프트감지 단계(S40), 잠금판단 단계(S50) 및 잠금/해제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품준비 단계(S10)는 자판기의 진열대(30)에 상품이 마련되는 단계이다. 이 상품준비 단계(S10)에서 판매물품의 크기와 위치에 따라 격벽(33)에 의해 공간이 구획되고, 각 공간마다 이송수단(35)이 마련되어 이송수단(35)의 상부에 판매물품이 적재된다.
상품선택 단계(S20)는 조작부(26)를 통해 판매물품들 중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판매물품이 선택되는 단계이다. 이 상품선택 단계(S20)에서 사용자는 조작부의 스위치를 조작하여 판매물품 선택하고, 선택된 물품에 대해 결제를 진행하는 단계이다. 이때 조작부(26)를 통해 선택된 정보는 제어부(99)에 전달된다.
상품이동 단계(S30)는 리프트(50)의 선반(51)이 선택된 판매물품을 진열대(30)로부터 전달받아 배출구(24)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상품이동 단계(S30)에서 제어부(99)는 선택된 판매물품의 위치로 선반(51)을 이송시키고, 선반(51)이 해당 판매물품이 위치하는 데크(31)로 이동되면, 이송수단(35)을 제어하여 판매물품을 선반(51)에 적재하게 된다. 적재가 완료되면, 제어부(99)는 선반(51)을 배출구(24)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제어부(99)는 선반(51)의 이동을 위해 구동부(60)의 구동장치(61)를 제어하게 된다.
상품/리프트감지 단계(S40)는 센서부(70)의 위치감지센서(73)와 물품감지센서(71)가 물품감지정보와 위치감지정보를 작성하여 제어부(99)에 전달하는 단계이다. 상품/리프트감지 단계(S40)에서 위치감지센서(73)는 리프트(50)의 선반(51)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감지정보를 작성한다. 구체적으로 위치감지센서(73)는 선반(51)이 진열대(30)로 이동하거나, 진열대에서 배출구(24)로 이동한 경로, 최종 위치를 감지하여 위치감지정보를 작성하고 이를 제어부(99)에 전달한다.
마찬가지로 상품/리프트 감지 단계(S40)에서 물품감지센서(71)는 선반(51)에 판매물품이 위치하는지의 여부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물품감지정보를 작성한다. 이를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물품감지센서(71)는 주기적으로 감지를 수행하여 선반(51)에 판매물품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거나, 적재와 이탈과 같이 상태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에 감지정보를 작성하여 제어부(99)에 전달할 수 있다.
잠금판단 단계(S50)는 제어부(99)가 상품 선택여부와 감지정보를 이용하여 배출구도어(25)의 잠금을 유지, 해제 또는 재잠금할 것인지 판단하는 단계이다. 이 잠금판단 단계(S50)에서 제어부(99)는 위치감지정보와 물품감지정보를 수신하여 현재의 상태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99)는 사용자에 의해 판매물품이 선택되고, 판매물품이 적재된 선반(51)이 배출구(24)에 대응되는 지정위치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출구도어(25)의 잠금을 해제하도록 결정한다. 반면, 제어부(99)는 판매물품을 사용자가 집어간 상태, 판매물품이 이송수단(35)에 의해 선반(51)에 적재되지 않은 상태, 선반(51)의 위치가 지정위치가 아닌 경우와 같이 배출구도어(25)의 이용이 불필요한 상태로 판단되면, 잠금을 유지하거나 잠금이 해제된 잠금수단(85)의 잠금을 결정하게 된다.
잠금/해제 단계(S60)는 제어부(99)가 잠금판단 단계(S50)에서 결정된 상태가 되도록 잠금수단(85)의 동작을 제어하여 배출구도어(25)의 상태를 잠금 또는 잠금해제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잠금/해제단계(S60)에서 제어부(99)는 잠금수단(85)의 스위치를 제어하여 배출구두어(25)가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본체 20: 도어
22: 투과창 24: 배출구
25: 배출구 도어 26: 조작부
30: 진열대 31: 데크
32: 격벽홈 33: 격벽
35: 이송수단 51: 선반
53: 측벽 60: 구동부
61: 구동장치 63: 레일
71: 물품감지센서 73: 위치감지센서
80: 냉각장치 85: 잠금수단
95: 케이스 94: 버팀봉

Claims (7)

  1. 내부에 판매물품이 진열되는 데크가 하나 이상 마련되는 진열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에 개페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판매물품의 선택을 위한 조작부와 상기 판매물품의 배출을 위해 마련되고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배출구가 마련되는 도어; 및
    상기 판매물품이 상기 배출구로 이동했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잠금수단의 잠금 또는 잠금해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수단은 도어의 측면 배치되며 지지축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하는 축을 구비하는 스위치, 지지축이 관통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축의 왕복에 의해 상기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하며, 종단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하단에 구비되는 버팀봉에 걸림을 제공하거나, 걸림을 해제하는 가동프레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열대의 상기 데크와 상기 배출구 사이를 이동하여 선택된 상기 판매물품을 상기 데크으로부터 상기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리프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도어와 상기 진열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는 상기 판매물품의 로딩과 언로딩을 감지하기 위한 물품감지 센서 또는
    상기 리프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5. 조작부에 의해 진열대에 마련된 판매물품이 선택되는 선택단계;
    리프트가 선택된 상기 판매물품을 전달받아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센서부가 상기 판매물품의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및
    제어부가 상기 센서부에 의한 감지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판매물품이 상기 배출구로 이동했는지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따라 배출구도어의 잠금을 유지 또는 해제하는 잠금제어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이 적재된 상기 리프트가 상기 배출구에 대응되는 지정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배출구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제어부는
    도어의 측면 배치되며 지지축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측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하는 축을 구비하는 스위치, 지지축이 관통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 축의 왕복에 의해 상기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하며, 종단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하단에 구비되는 버팀봉이 걸리도록 하는 가동프레임을 구비하는 잠김수단의 상기 스위치를 구동하여 상기 버팀봉의 걸림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잠금 수단의 제어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판매물품이 상기 리프트의 선반에 존재하는지를 감지한 물품감지정보와
    상기 리프트에 구비되는 선반의 위치를 감지한 위치감지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판기 잠금 수단의 제어방법.
  7. 삭제
KR1020180103328A 2018-08-31 2018-08-31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 및 잠금수단의 제어방법 KR102114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28A KR102114957B1 (ko) 2018-08-31 2018-08-31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 및 잠금수단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28A KR102114957B1 (ko) 2018-08-31 2018-08-31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 및 잠금수단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648A KR20200025648A (ko) 2020-03-10
KR102114957B1 true KR102114957B1 (ko) 2020-05-26

Family

ID=6980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328A KR102114957B1 (ko) 2018-08-31 2018-08-31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 및 잠금수단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957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833B1 (ko) 2021-09-14 2021-11-08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상품 배출구와 구매 인터페이스가 일체화된 벤딩머신
KR102457096B1 (ko) 2022-05-02 2022-10-21 이승호 벽면 매립형 벤딩 머신이 설치된 무인 판매점 시스템
KR102457087B1 (ko) 2022-05-02 2022-10-21 이승호 벽면에 매립형으로 벤딩머신을 모듈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벤딩머신용 모듈 장치
KR102457090B1 (ko) 2022-05-02 2022-10-21 이승호 벽면 매립형 모듈 타입의 벤딩 머신 시스템
KR102477655B1 (ko) 2022-09-07 2022-12-13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벽면 매립형 벤딩 머신이 설치된 무인 판매점 시스템
KR102477629B1 (ko) 2022-09-07 2022-12-13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벽면 매립형 벤딩 머신용 상품 인출 도어 모듈
KR102477651B1 (ko) 2022-09-07 2022-12-13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벽면 매립형 모듈 타입의 벤딩 머신 시스템
KR102477640B1 (ko) 2022-09-07 2022-12-13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벽면에 매립형으로 벤딩 머신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벤딩 머신용 모듈 장치
KR102477656B1 (ko) 2022-09-08 2022-12-14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벽면 매립형 벤딩 머신이 설치된 배달과 무인 판매가 가능한 무인 판매점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9204A (ja) * 2005-01-25 2006-08-1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38678A (ko) 1995-04-29 1996-11-21 배순훈 자판기의 리프트업 장치
KR101416016B1 (ko) * 2012-10-24 2014-07-08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멀티 자동판매기의 상품투출구 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9204A (ja) * 2005-01-25 2006-08-10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833B1 (ko) 2021-09-14 2021-11-08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상품 배출구와 구매 인터페이스가 일체화된 벤딩머신
KR102457096B1 (ko) 2022-05-02 2022-10-21 이승호 벽면 매립형 벤딩 머신이 설치된 무인 판매점 시스템
KR102457087B1 (ko) 2022-05-02 2022-10-21 이승호 벽면에 매립형으로 벤딩머신을 모듈식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벤딩머신용 모듈 장치
KR102457090B1 (ko) 2022-05-02 2022-10-21 이승호 벽면 매립형 모듈 타입의 벤딩 머신 시스템
KR102477655B1 (ko) 2022-09-07 2022-12-13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벽면 매립형 벤딩 머신이 설치된 무인 판매점 시스템
KR102477629B1 (ko) 2022-09-07 2022-12-13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벽면 매립형 벤딩 머신용 상품 인출 도어 모듈
KR102477651B1 (ko) 2022-09-07 2022-12-13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벽면 매립형 모듈 타입의 벤딩 머신 시스템
KR102477640B1 (ko) 2022-09-07 2022-12-13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벽면에 매립형으로 벤딩 머신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벤딩 머신용 모듈 장치
KR102477656B1 (ko) 2022-09-08 2022-12-14 주식회사 디벨로퍼그룹 벽면 매립형 벤딩 머신이 설치된 배달과 무인 판매가 가능한 무인 판매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648A (ko) 202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957B1 (ko)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 및 잠금수단의 제어방법
KR102065970B1 (ko) 자동판매기
KR20200025646A (ko) 리프트를 구비하는 자판기
JP2016167246A (ja) 自動荷詰装置および買物支援システム
MXPA01009796A (es) Maquina vendedora que reduce al minimo la agitacion de los productos.
CN216053185U (zh) 一种餐食饮料一体式自动售卖机
CN110796795A (zh) 自动售货机
KR102541531B1 (ko) 물품 판매기의 반출 기구
JPH11154266A (ja) 自動販売機
WO2021039460A1 (ja) 物品収納庫
JP4872598B2 (ja) 自動販売機
JP2002279510A (ja) 自動販売機
JP4238738B2 (ja) 自動販売機
KR102156429B1 (ko)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KR20060018024A (ko) 무인 자동판매기에서의 상품걸림 제거장치 및 방법
CN114511960B (zh) 商品收纳装置和商品载置搁板
JP3199635B2 (ja) 自動販売機
JP4100137B2 (ja) 自動販売機
JP5115715B2 (ja) 商品陳列状態適正化システム
JP4019898B2 (ja) 商品収納装置
JP2003085632A (ja) 自動販売機
EP4250260A1 (en) Vending machine
JP4035660B2 (ja) 商品収納装置
CZ36075U1 (cs) Výdejní automat
KR20200025644A (ko)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