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644A -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 Google Patents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644A
KR20200025644A KR1020180103324A KR20180103324A KR20200025644A KR 20200025644 A KR20200025644 A KR 20200025644A KR 1020180103324 A KR1020180103324 A KR 1020180103324A KR 20180103324 A KR20180103324 A KR 20180103324A KR 20200025644 A KR20200025644 A KR 20200025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rticle
vending machine
discharge path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성서
한동균
황락주
황명진
방병호
윤성훈
하동훈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5644A/ko
Publication of KR20200025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얼음이 채워진 플라스틱 용기와 같이 낙하 방식에 의해 제품을 배출하는 경우 발생되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매물품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판매물품이 거치되는 컬럼이 하나 이상 마련되는 진열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진열대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진열대로부터 배출된 상기 판매물품을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배출로; 상기 배출로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반출도어; 및 상기 판매물품의 배출 및 상기 반출도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Breakage prevention vending machine for goods}
본 발명은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얼음이 채워진 플라스틱 용기와 같이 낙하 방식에 의해 제품을 배출하는 경우 발생되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에 관한 것이다.
자판기는 무인으로 구동되어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다양한 장소에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과거에는 음료의 판매에 국한되던 자판기가 판매 물품이 다양화되어 과거에 비해 설치 및 이용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게 최근에는 자판기에서 판매가 어려웠던 물품 예를 들어, 도시락, 음료 파우치와 같은 물품의 판매도 고려되고 있다.
음료 파우치와 같은 제품은 합성수지 파우치에 음료의 원액 또는 음료가 담긴 것으로 빨대를 파우치에 꽂아서 이용하거나, 음료를 별도의 용기에 담아 섭취하도록 하는 제품이다.
때문에, 오프라인 상점에서는 음료 파우치와 세트로 음료용기를 사용자에게 판매하여 이용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음료용기는 대부분 얼음을 채워 판매함으로써 사용자가 음료 전문매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아이스 음료를 즐길 수 있게 판매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음료 파우치와 용기세트의 판매가 현재의 자판기에서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기존의 자판기의 경우 물품의 판매를 위해 제품의 낙하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방식을 얼음이 채워진 용기에 적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17672호(공개일 2008. 02. 27.) "팩포장 제품을 판매하는 자판기"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얼음이 채워진 플라스틱 용기와 같이 낙하 방식에 의해 제품을 배출하는 경우 발생되는 파손을 방지하도록 한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매물품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판매물품이 거치되는 컬럼이 하나 이상 마련되는 진열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진열대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진열대로부터 배출된 상기 판매물품을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배출로; 상기 배출로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반출도어; 및 상기 판매물품의 배출 및 상기 반출도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손 방지 자판기는 낙하 방식에 의한 배출시 파손이 발생할 수 있는 제품을 배출하는 경우에도 완충수단을 통해 제품의 소손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제품을 구매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2는 도어를 제외한 자판기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제1진열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반출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들에서 구성에 표기된 도면번호는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구성을 표기할 때에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 제시된 어떤 특징들은 설명의 용이함을 위해 확대 또는 축소 또는 단순화된 것이고, 도면 및 그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적절한 비율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이러한 상세 사항들을 쉽게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 도어와 본체를 분리한 경우롤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파손 방지 지판기(10)는 도어(20), 본체(40), 진열대(41, 60), 배출로(49), 반출도어(80), 내부장치(95) 및 제어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어(20)는 본체(10)에 힌지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구매한 판매물품을 사용자가 획득할 수 있도록 배출구(27)가 마련된다. 이 배출구(27)에는 배출구도어(28)가 마련될 수 있다. 배출구(27)는 도어(2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판매물품(43)을 낙하방식을 이용하여 배출하는 경우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매물품(43)의 이송을 위한 리프트, 로봇암과 같은 수단을 구비하는 경우 배출구(27)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이 도어(20)에는 판매물품(43)을 구매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투과창이 마련되거나, 판매물품(43)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받을 수 있도록 조작부(21)가 마련된다. 여기서, 조작부(21)의 위치에 투과창 또는 판매물품(43)과 관련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21)가 마련된 경우의 자판기를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도어(20)에 마련되는 조작부(21)는 상품표시부(22)와 선택스위치(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품표시부(22)는 판매물품(43)의 이름, 이미지와 같이 판매물품(43)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는 글 또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표시된다. 아울러, 이 상품표시부(22)에는 해당 판매물품(43)이 판매중인지 매진인지와 같은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선택스위치(23)는 물품 구매를 위한 사용자의 선택을 위한 버튼이 마련된다.
이외에도 도어(20)에는 판매물품(43)에 대한 결제를 위한 결제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 결제부(25)는 카드 및 현금에 의한 결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결제수단이 마련될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체(40)는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며, 판매물품(43)의 거치를 위한 공간인 진열대(41, 60), 판매물품(43)의 배출을 위한 배출로(49), 자판기의 기능 수행을 위한 내부장치(95) 및 제어부(90)가 수용된다. 이러한 본체(40)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에 의해 박스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 개폐를 위한 도어(20)가 결합될 수 있다. 본체(40) 내부의 진열대(41, 60)는 판매물품(43)의 종류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진열대(41, 60)와 복수의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서로 다른 기능의 진열대(41, 60)가 복수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진열대(41, 60)는 판매물품(43)이 보관되고, 조작부(21)에 의한 판매물품(43)을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진열대(41, 60)는 판매물품(43)에 적합한 형태로 판매물품(43)을 거치 또는 진열하여 보관한다. 본 발명에서는 진열대(41, 60)가 2종류로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중 제1진열대(41)는 음료가 팩형태로 마련되는 예가 되시되어 있으며, 제2진열대(60)는 음료를 담아 마실 수 있음 얼음이 채워진 용기를 보관하기 위해 마련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진열대(41, 60)의 구성은 판매하는 상품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진열대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진열대(41, 60)는 판매물품(43)을 이송수단에 의해 도어(20) 방향인 전방으로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되는 판매물품(43)을 배출구(27)로 안내하기 위한 배출로(49)가 마련될 수 있으며, 배출로(49)의 일단은 진열대(41, 60)에, 타단은 배출구(27)와 연결될 수 있다.
배출로(49)는 전술한 바와 같이 진열대(41, 60)로부터 배출되는 판매물품(43)을 배출구(27)로 안내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를 위해 배출로(49)는 진열대(41, 60)와 배출구(27) 사이에 마련된다. 배출로(49)는 경사로와 측벽으로 구성되어 판매물품(43)이 낙하에 의해 배출되는 경우, 낙하하는 힘에 의해 배출로(49)를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진열대(41, 60)가 복수로 구성되어 다른 판매물품이 하나의 자판기(10)에 마련되는 경우 진열대(41, 60) 각각에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로(49)와 배출구(27)를 잇는 경로 상에는 반출도어(80)가 마련될 수 있다.
반출도어(80)는 배출로(49)를 통해 낙하하는 판매물품(43)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반출도어(80)는 판매물품(43)의 낙하를 중단함과 아울러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낙하시의 충격에 의해 상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반출도어(80)는 배출로(49)와 같이 판매물품(43)의 배출경로 상에 설치된다. 반출도어(80)는 복수의 배출로(49) 각각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배출되는 물품에 따라 특정 배출로(49)에만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반출도어(80)는 배출로(49)의 종단 즉, 배출구(27)와 배출로(49)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반출도어(80)는 제어부(90)에 의해 동작하여 배출로(49)를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출도어(80)는 배출로(49)를 차단한 상태에서 제어부(90)의 개방신호에 따라 개방하여 판매물품(43)을 배출구(27)로 배출되게 한다. 이를 위해 반출도어(80)는 판매물품(43)이 진열대(41, 60)로부터 배출된 시점에서 설정된 시간만큼 경과한 경우 배출로(49)를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반출도어(80)는 배출된 판매물품(43)이 배출로(49)를 따라 이동중에 1차로 반출도어(80)에 가로막혀 물품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후 1차 충격이 제거된 판매물품(43)을 반출도어(80)의 개방에 따라 배출구(27)로 배출하여 판매물품(43)이 진열대(41,60)로부터의 낙하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반출도어(80)의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내부장치(95)는 자판기(10)의 동작을 위한 각종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내부장치(95)에는 냉각기, 온열기, 전원부, 동작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90)를 포함하는 제어기판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장치(95)는 자판기(10)의 하부와 같이 여유공간에 마련되어 자판기(10)의 기능 수행을 위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내부장치(95)는 일례로 제시된 것으로 자판기(10)에 의해 판매되는 판매물품(43)의 종류, 자판기(10)의 설치 환경에 따라 내부장치(95)의 구체적인 구성은 달라질 수 있다.
제어부(90)는 자판기(10)의 동작을 위한 일련의 제어를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90)는 조작부(21)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판매물품(43)을 확인하고, 결제부(25)를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90)는 결제가 이루어지면 결제된 판매물품(43)의 배출을 위해 진열대(41, 60)에 마련되는 이송장치를 제어하여, 선택된 판매물품(43)을 진열대(41, 60)로부터 배출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90)는 판매물품(43)이 반출도어(80)의 제어가 필요한 대상인 경우, 판매물품(43)이 배출된 시간으로부터의 시간 경과를 산출하고, 이를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과 비교하게 된다. 이후 배출된 이후의 시간 경과가 설정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90)는 반출도어(80)를 개방하여 판매물품(43)이 배출구(27)로 배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도 2 내지 도 4는 자판기의 내부 구성과 반출도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들이다. 이 중 도 2는 도어를 제외한 자판기 내부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제1진열대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며, 도 4는 반출도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나타낸 자판기(10)는 본체 내부에 두 개의 진열대(41, 60)인 제1진열대(41)와 제2진열대(60)가 마련된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일례로 제시된 자판기는 판매물품(43)으로 음료팩과 얼음이 담긴 용기가 세트로 판매되는 제품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제2진열대(60)의 판매물품(43)은 얼음이 담긴 컵 형태의 용기이고, 제1진열대(41)의 판매물품(43)은 음료가 담긴 합성수지 파우치이다. 여기서 제시된 자판기 형태는 일례로써 반출도어와 판매물품(43)의 반출을 위해 채택된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각기 다른 보관 조건과 배출조건을 가지는 판매물품(43)의 판매를 위해 제1진열대(41)와 제2진열대(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진열대(41)는 냉각만 수행되고, 제2진열대(60)는 냉동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진열대(60)는 별도의 격실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우선, 제1진열대(41)는 복수의 컬럼(42)으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제1진열대(41)는 복수의 데크(47)와 격벽(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크(47)는 제1진열대(41) 공간을 복수의 층으로 구분하고, 격벽(46)은 각 데크(47)에 의해 구분되는 공간을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한다. 즉, 데크(47)와 격벽(46)에 의해 분할되어 컬럼(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컬럼(42) 각각에는 판매물품(43)의 거치와 배출을 위한 이송수단(45)이 마련된다. 이송수단(45)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도 1 내지 4에는 일례로써 코일방식의 이송수단(45)이 도시되어 있다. 컬럼(42) 각각에는 복수의 판매물품(43)이 적재되며, 복수의 컬럼(42) 각각에 적재되는 판매물품(43)은 서로 다른 제품일 수 있다.
이송수단(4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코일은 금속이나 합성수지를 코일형태로 형성하되 간격을 두어, 이 간격에 판매물품(43)이 삽입된다. 그리고 코일의 일측 종단에는 기어세트와 모터를 구성하여 모터의 회전에 따라 코일이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코일을 따라 판매물품(43) 전진하게 되어 배출된다. 코일의 종단에서 판매물품(43)은 배출로(49)를 향해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수단(45)은 제시된 예 외에도 컨베이어벨트 형태와 같이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는 것으로 제시된 바에 의해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진열대(41)는 판매물품의 냉장보관 또는 상온 보관을 위해 별도의 격실로 구성하지 않고, 판매물품이 자판기(10) 내부에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반면 제2진열대(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격실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진열대(60)는 제1진열대(41)에 적재된 판매물품(43)과는 다른 온도로 판매물품을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례로 제2진열대(60)에는 제1진열대(41)의 판매물품을 담는 용기가 판매물품(43)으로 수납될 수 있으며, 이 용기 내부에 얼음이 채워진 형태로 적재 및 판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진열대(60)는 제1진열대(41)와는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진열대(60)는 외기를 차단할 수 있는 격실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진열대는 제1영역(61)과 제2영역(71)으로 구분되어 각각의 영역에 도어가 마련되고, 도어(62, 72)를 통해 각 영역을 별도로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영역(61)에는 판매물품(43)의 수납이 이루어지고 제2영역(71)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영역(61, 71)이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61, 71)의 도어(62, 72)가 개방된 형태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제1영역(61)은 판매물품(43)의 적재를 위한 컬럼이 적재함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영역(61) 내부의 진열대는 일례로써 제시된 것으로 반드시 적재함(73) 형태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적재함(73) 형태로 구성되는 진열대를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제1영역(61)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적재함(73)이 설치될 수 있다. 이 적재함(73)은 내부에 판매물품(43)을 수납하고 필요에 따라 배출할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일방향으로 긴 각형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구성되는 코일(7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적재함(73)은 내부의 판매물품(43)을 코일(74)의 회전에 따라 하부에 위치하는 개구부(75)를 통해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때문에, 적재함(73)의 상부 즉 개구부(75)와 반대편에 코일(74)의 회전을 위한 구동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적재함(73)은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제1영역(61)에 설치될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적재함(73)의 개구부(75)는 제2영역(71)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2영역(71)에는 제2배출로(76)가 마련되어, 적재함(73)으로부터 배출된 판매물품(43)이 배출구(27)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를 위해 제2배출로(76)는 상부가 넓게 형성되고 하부가 상부에 비해 좁게 형성되며 판매물품(43)과 접촉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깔때기와 유사한 형태를 가지게 된다.
특히 제2영역(71)의 도어(72)에는 반출도어(80)와 반출구(86)가 마련된다.
반출구(86)는 제2배출로(76)의 종단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즉 반출구(86)는 제2배출로(76)와 배출구(27)의 사이에 마련되어, 제2영역(71)의 출구 역할을 한다.
반출도어(80)는 반출구(86)를 개방 또는 폐쇄하여 제2배출로(76)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반출도어(80)는 적재함(73)으로부터 제2배출로(76)로 낙하하여 배출구(27)로 이동하는 판매물품의 이동을 일시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판매물품(43)에 가해지는 충격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반출도어(80)는 제어부(9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여 판매물품(43)이 적재함(73)으로부터 배출된 시점으로부터 일정시간 경과 후 반출구(86)를 개방하게 된다. 이를 통해, 판매물품(43)은 제2배출로(76)를 따라 배출구(27)로 바로 낙하하지 않고, 제2배출로(76)에서 일시 정지한 후 배출구(27)로 배출된다. 이후, 반출도어(80)는 제어부(90)에 의해 재동작하여 반출구(86)를 폐쇄하게 된다. 아울러, 판매물품(43)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제어부(90)는 제일마지막 판매물품(43)이 배출된 시점으로부터 시간경과를 산출하고, 이를 설정시간과 비교하여 반출도어(80)의 개/폐를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반출도어(80)는 반출구(86)를 밀폐하도록 반출구(86)의 넓이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된다. 이를 통해 반출도어(80)는 폐쇄상태에서 반출구(86)를 밀폐하여 제2진열대(60)와 외부환경을 격리하는 역할을 한다. 즉, 반출도어(80)에 의해 반출구(86)가 폐쇄됨으로써 제2진열대(60)의 냉기가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반출도어(80)는 판매물품(43)의 낙하를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역할과 함께 제2진열대(60)를 외부환경과 격리하여 반출구(86)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반출도어(80)는 제어부(9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81)에 의해 가동되어 반출구(86)를 밀폐하거나 개방한다.
이러한 반출도어(80)는 제2영역(71)의 도어(81)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반출도어(80)의 상단은 도어(71)와 힌지(83)에 의해 결합되어, 힌지(83)를 축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반출도어(80)는 가동축(82)에 의해 가동부(81)와 연결된다. 가동부(81)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어 동작하는 모터, 기어부 및 가동축(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어부는 모터와 가동축(82)의 일단을 연결하고, 가동축(82)의 타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출도어(8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가동부(81)는 모터의 회전을 가동축(82)에 전달하여 반출도어(80)가 힌지(83)를 축으로 회동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반출도어(80)의 일면 특히, 반출구(86)를 마주하는 면에는 완충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 완충재는 판매물품(43)과 반출도어(80)의 접촉시 충격을 완하하는 역할과 반출구(86)를 폐쇄할 때 씰(seal)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완충재는 종이, 합성수지, 천연수지와 같이 충격 흡수가 가능하고, 틈을 막을 수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반출도어(80)의 일면에 부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려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자판기 20, 62, 72: 도어
27: 배출구 40: 본체
41, 60: 진열대 42: 컬럼
43: 판매물품 45: 이송수단
46: 격벽 47: 데크
49: 배출로 73: 적재함
74: 코일 75: 개구부
76: 제2배출로 80: 반출도어
81: 가동부 82: 가동축
83: 힌지 95: 내부장치
90: 제어부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며, 판매물품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가 마련되는 도어;
    상기 본체 내부에 상기 판매물품이 거치되는 컬럼이 하나 이상 마련되는 진열대;
    상기 본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진열대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여 상기 진열대로부터 배출된 상기 판매물품을 상기 배출구로 안내하는 배출로;
    상기 배출로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반출도어; 및
    상기 판매물품의 배출 및 상기 반출도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도어는
    상기 판매물품과 접촉하는 면에 완충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출도어는 상기 배출로의 배출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출도어가 상기 컬럼으로부터 상기 판매물품이 배출된 후 설정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배출로를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판매물품이 동시에 구매되는 경우 복수의 상기 판매물품 중 가장 늦게 배출된 상기 판매물품의 배출 시점으로부터 상기 설정시간의 경과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KR1020180103324A 2018-08-31 2018-08-31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KR20200025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24A KR20200025644A (ko) 2018-08-31 2018-08-31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324A KR20200025644A (ko) 2018-08-31 2018-08-31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644A true KR20200025644A (ko) 2020-03-10

Family

ID=6980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324A KR20200025644A (ko) 2018-08-31 2018-08-31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56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672A (ko) 2006-08-22 2008-02-27 주식회사 햇터 팩포장 제품을 판매하는 자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17672A (ko) 2006-08-22 2008-02-27 주식회사 햇터 팩포장 제품을 판매하는 자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40139A (en) Package vending machine
KR20200025648A (ko)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 및 잠금수단의 제어방법
KR100374758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JP6712468B2 (ja) 商品収納装置
RU2717879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ранения и выдачи штучных товаров
KR20200025644A (ko) 상품 파손 방지 자판기
US6523715B1 (en) Hot food vending machines
KR102019161B1 (ko) 자동판매기 상품인출장치
WO2021039460A1 (ja) 物品収納庫
JP2024505661A (ja) 製品放出機構及び製品放出機構を有する自動販売機
KR102156429B1 (ko) 빨대 제공이 가능한 자판기
KR101360006B1 (ko) 컴팩트 자동판매기
JP3223059B2 (ja) 容器入り飲料の販売機
KR100370721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KR20210082989A (ko) 배출시 안전성 및 편의성이 향상된 무인판매기.
JP2006139448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20200072975A (ko) 안전 포장육 배출서랍을 갖는 포장육 자동판매기
KR20090007936U (ko) 자동판매기
JP3199635B2 (ja) 自動販売機
CN217690185U (zh) 售货机
JP5458866B2 (ja) 自動販売機
KR200245416Y1 (ko) 냉동/냉장식품 자동판매기
KR100389994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KR200226084Y1 (ko) 자동판매기의 자동인너도아개폐장치
JP2002150377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