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970B1 - 자동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970B1
KR102065970B1 KR1020170177083A KR20170177083A KR102065970B1 KR 102065970 B1 KR102065970 B1 KR 102065970B1 KR 1020170177083 A KR1020170177083 A KR 1020170177083A KR 20170177083 A KR20170177083 A KR 20170177083A KR 102065970 B1 KR102065970 B1 KR 10206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main body
unit
outlet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468A (ko
Inventor
전종하
Original Assignee
전종하
주식회사 퍼플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하, 주식회사 퍼플랩스 filed Critical 전종하
Priority to KR10201701770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970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물품이 저장 및 보관되는 물품 수납부;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물품을 파지하여 배출구로 운반한 후, 미리 설정된 위치에 안착시키는 물품 이송부; 및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물품 이송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물품 주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픽 앤 플레이스 방식을 통하여 물품이 파지된 상태에서 설정위치로 운반되고, 설정위치로 운반된 물품은 자동판매기 내에 진열된 모습과 동일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됨에 따라, 물건의 파손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구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VEND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픽 앤 플레이스 방식을 통해 물품을 파지 및 운반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캔음료, 화장지, 담배, 과자 등을 내부에 수납하여 동전이나 지폐를 투입한 후 해당 물품의 선택버튼을 누르면 해당 물품이 자동으로 배출되는 무인 판매 기기기이다. 이와 같은, 자동판매기는 물품이 수납되는 수납본체와, 수납본체에 수납된 물품을 배출구로 운반하는 배출로, 구매자가 수납본체에 수납된 물품을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조작부, 및 대금 결제를 위한 결제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물품의 구매가 이루어질 경우, 수납본체에 수납된 물품이 배출로를 통해 배출구로 낙하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물품이 파손되거나, 변형될 확률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물품이 낙하되어 안착되는 배출구가 자동판매기의 최하측에 위치하여, 물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상체를 구부려 배출구로부터 물품을 수령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단순히 물품만을 제공하여 배출된 물품을 사용자가 손으로 들고 가거나, 별도의 저장수단에 옮겨 담아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9269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픽 앤 플레이스 방식을 통해 물품을 목적된 위치로 운반하여 사용자의 구매 만족도를 향상시킴과 동시에, 상체의 굽힘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물품의 수령이 가능하도록 구성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다수의 물품을 한 번에 구매 가능함은 물론, 물품과 함께 포장재를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자동판매기가 캔음료, 화장지, 담배, 과자 등의 공산품을 제공하는 것에서 벗어나, 신선식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식품의 신선도 유지 장치가 구비된 자동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는 물품이 저장 및 보관되는 물품 수납부;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물품을 파지하여 배출구로 운반한 후, 미리 설정된 위치에 안착시키는 물품 이송부; 및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물품 이송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물품 주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품의 운반 시 상기 배출구로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품 수납부는, 복수개의 수납공간 및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시키고, 상기 물품 주문부가 설치되는 제1 개폐도어; 및 상기 본체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을 개폐시키고, 상기 물품 이송부가 설치되는 제2 개폐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수납공간은, 상기 물품이 냉장 상태로 보관되는 냉장 보관부; 상기 물품이 냉동 상태로 보관되는 냉동 보관부; 및 복수개의 기기장치들이 수납되는 기기 보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수납공간은, 상기 본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출구는, 상기 복수개의 수납공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물품 수납부는, 상기 배출구의 일 측을 개폐하는 제1 배출구 개폐도어; 및 상기 배출구의 타 측을 개폐하는 제2 배출구 개폐도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구 개폐도어는 상기 배출구의 타 측이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 가능하고, 상기 제2 배출구 개폐도어는 상기 배출구의 일 측이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품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폭 방향,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폭 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을 수행하여 상기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개폐도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제2 이동부; 및 상기 제2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제3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는 보조 지지프레임; 상기 보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제1 보조 이동부; 및 상기 제1 보조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고, 상기 물품을 파지 가능한 제2 보조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포장재 공급부는, 상기 포장재가 적재되는 포장재 적재부; 및 상기 포장재를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에 위치시키는 포장재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픽 앤 플레이스 방식을 통하여 물품이 파지된 상태에서 설정위치로 운반되고, 설정위치로 운반된 물품은 자동판매기 내에 진열된 모습과 동일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됨에 따라, 물건의 파손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구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물건을 주문할 수 있는 물품 주문부와 주문된 물건이 배출되는 배출구의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높이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체를 최대한 숙이지 않고, 물품을 주문하거나, 수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주문된 물품의 수량에 따라 물품이 놓일 배출구의 바닥 공간을 구획하여 구획된 공간의 중심에 물품이 놓이도록 함으로써, 물품이 배출구의 공간에 균일하게 배치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다수의 물품을 한 번의 주문으로 수령 가능하고, 물품과 함께, 물품을 포장해 갈 수 있는 포장재를 공급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에 따르면, 도시락, 샐러드와 같은 신선식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식품의 신선도 유지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의 특정한 공산품만을 판매하는 것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본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에서 배출구의 전방 및 후방에 배출구 개폐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제1 개폐도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제2 개폐도어 및 물품 이송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파지부 및 제2, 제3 이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포장재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진열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파지부가 물품을 본체로부터 꺼내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의 파지부의 정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가 적용된 자동판매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 예가 도면에서 묘사되고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면에 개시된 특정 실시 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모듈" 또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모듈" 또는 "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해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하드웨어에서 수행되어야 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수행되는 "모듈" 또는 "부"를 제외한 복수의 "모듈들" 또는 복수의 "부들"은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통합될 수도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판매기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판매기(1)(이하 '자동판매기(1)'라 함)는 물품 수납부(10)를 포함한다.
물품 수납부(10)에는 물품이 저장 및 보관되고, 후술할 물품 이송부(20), 물품 주문부(30), 결제부(40) 및 포장재 공급부(50)가 설치된다. 또한, 물품 수납부(10)는 물품 주문부(30)의 제어부(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내부온도 등이 제어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물품 수납부(10)는 본체(11)와, 본체(11)의 전, 후방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개폐도어(12, 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1)는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부(미도시)와, 프레임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패널부(미도시)로 구성되고, 육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프레임부는 스틸 계열의 소재로 형성되고, 패널부는 알루미늄 또는 내열 플라스틱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부와 패널부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소재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수납공간은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물품 보관부(11a)를 포함할 수 있다.
물품 보관부(11a)는 물품이 냉장 상태로 보관되는 냉장 보관부(11a1)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 보관부(11a1)는 본체(11)의 하측 또는 상측에 수납된 냉각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내부 온도를 0 ~ 15℃ 사이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장 보관부(11a1)에는 냉장 보관부(11a1)의 실내온도를 제어부(33)로 실시간 전송 가능한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물품 보관부(11a)는 물품이 냉동 상태로 보관되는 냉동 보관부(11a2)를 포함할 수 있다. 냉동 보관부(11a2)는 본체(11)의 하측 또는 상측에 수납된 냉각 장치와 연결되어 내부 온도를 영하 10℃ 이하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냉동 보관부(11a2)에는 냉동 보관부(11a2)의 실내온도를 제어부(33)로 실시간 전송 가능한 온도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물품 보관부(11a)는 물품이 실온 상태로 보관되는 실온 보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온 보관부는 내부온도를 설정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온도유지 장치(미도시)와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본체(11)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실온 보관부에는 식품류를 제외한 물품이 저장 및 보관될 수 있다.
또한, 물품 보관부(11a)는 물품을 보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온장 보관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장 보관부에는 내부공간에 소정 온도의 열을 전달할 수 있는 열전달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온장 보관부는 내부 온도를 65 ~ 85℃ 사이의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온장 보관부에는 온장 보관부의 실내온도를 제어부(33)로 실시간 전송 가능한 온도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참고로, 본체(11)에는 반드시 냉장 보관부(11a1), 냉동 보관부(11a2), 실온 보관부 및 온장 보관부가 모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냉장 보관부(11a1), 냉동 보관부(11a2), 실온 보관부 및 온장 보관부의 수량 및 위치를 가변적으로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1)의 최상측에 냉동 보관부(11a2)가 형성되고, 냉동 보관부(11a2)의 하측에 복수개의 냉장 보관부(11a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냉동 보관부(11a2)의 일 측에는, 냉동 보관부(11a2)의 일 측 개구를 폐쇄하여 냉동 보관부(11a2)의 냉기가 냉동 보관부(11a2)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111)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차단판(111)은 냉동 보관부(11a2)의 내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투명한 단열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 보관부(11a2)의 타 측에는 냉동 보관부(11a2)의 타 측 개구를 개폐시킬 수 있는 냉동 보관부 개폐도어(112)가 설치될 수 있다. 냉동 보관부 개폐도어(112)는 단열구조가 적용된 패널형태로 형성되고, 본체(11)의 타 측에 본체(1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냉동 보관부 개폐도어(112)는 본체(11)에 설치되어 본체(11)의 외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미도시), 설정범위 내의 사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미도시), 및 제어부(33)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에는 냉동 보관부 개폐도어(112)의 이동수단이 설치되고, 냉동 보관부 개폐도어(112)의 이동 시 냉동 보관부 개폐도어(11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할 물품 이송부(20)가 냉동 보관부(11a2)로 접근할 경우, 제어부(33)는 감지센서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를 바탕으로 구동수단에 제어명령을 전달하여 이동수단을 구동시킴으로써, 자동으로 냉동 보관부 개폐도어(11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참고로, 냉동 보관부 개폐도어(112)의 폐쇄과정은 상술한 냉동 보관부 개폐도어(112)의 개방과정의 역순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냉장 보관부(11a1)의 일 측에는, 냉장 보관부(11a1)의 냉기가 냉장 보관부(11a1)의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고압의 공기가 분출되는 에어커튼(113, air curtain)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에어커튼(113)은 냉장 보관부(11a1)의 일 측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커튼(113)에 대향되는 냉장 보관부(11a1)의 일 측 하부에는 에어커튼(113)으로부터 분출되는 고압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수단(미도시)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수납공간은 후술할 복수개의 기기장치들(예컨대, 결제부(40), 포장재 공급부(50) 등)이 수납되는 기기 보관부(1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기기 보관부(11b)는 배출구(11c)와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되,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출구(11c)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기기 보관부(11b)는 내측에 포장재 공급부(50)가 수납 혹은 설치되고, 후술할 제2 배출구(11c2)와 연통되는 제1 기기 보관부(11b1), 및 제1 기기 보관부(11b1)와 배출구(11c) 사이에 형성되어 결제부(40)가 수납 혹은 설치되는 제2 기기 보관부(11b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체(11)의 내측에는 후술할 물품 이송부(20)를 통해 운반된 물품이 놓이는 배출구(11c)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배출구(11c)는 미리 설정된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배출구(11c)는 본체(1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납공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구(11c)는 복수개의 수납공간 사이에 형성되되, 사용자가 상체의 굽힘을 최소화 한 상태로 물품을 배출구(11c)로부터 수령할 수 있도록, 본체(11)의 하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11c)의 하측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수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11)는 180 ~ 260 Cm의 높이로 제작될 수 있고, 배출구(11c)는 90 ~ 130 Cm 사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구(11c)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배출구(11c)는 물품 이송부(20)를 통해 운반된 물품이 배치되는 제1 배출구(11c1), 및 제1 배출구(11c1)와 구획되고, 후술할 포장재 공급부(50)로부터 공급된 포장재가 배치되는 제2 배출구(11c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배출구(11c2)는 제1 배출구(11c1)의 상측에 형성되고, 포장재 공급부(50)가 수납 또는 설치되는 제1 기기 보관부(11b1)와 연통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개폐도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개폐도어는 본체(11)의 일 측에 설치되는 제1 개폐도어(12)와, 본체(11)의 타 측에 설치되는 제2 개폐도어(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개폐도어(12)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외형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본체(11)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1)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개폐도어(12)에는 후술할 물품 주문부(30), 결제부(40) 및 제1 배출구 개폐도어(14)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개폐도어(12)에는 본체(11)와 제1 개폐도어(12)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수단(미도시)과, 제1 개폐도어(12)를 본체(11)에 고정시키는 잠금수단(121)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도어(12)에는 본체(11)의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공간과, 배출구(11c)와 연통되고 제1 배출구 개폐도어(14)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공간과 연통되는 공간에는 단열 및 열선 기능이 적용된 투시창(122)이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투시창(122)은 투명한 유리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도어(12)는 제1 개폐도어(12)의 전면에 설치되어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을 출력하는 영상출력수단(1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영상출력수단(123)은 LED 혹은 LCD 패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개폐도어(12)는 일면에 이미지 또는 입체 패턴 등이 형성되어 제1 개폐도어(12)의 일면에 탈부착 가능한 스킨(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스킨(124)은 일면에 이미지 또는 입체 패턴 등이 형성되고 타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시트지 혹은 플라스틱 패널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스킨(124)에 형성되는 이미지 또는 입체 패턴은 문자, 도형, 그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개폐도어(12)를 통해 본체(11)의 일 측을 개방하여 수납공간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포장재 공급부(50)에 포장재를 충전할 수 있고, 아울러 제1 개폐도어(12) 및 본체(11)의 내측에 설치된 기기장치들을 수리 또는 유지관리 할 수 있다.
제2 개폐도어(13)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외형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본체(11)의 타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1)의 후면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 개폐도어(13)에는 물품 이송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개폐도어(13)의 일면에는 제2 개폐도어(13)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미리 설정된 깊이로 함몰되는 수용홈(13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품 이송부(20)는 수용홈(13a)을 형성하는 제2 개폐도어(13)의 내면에 설치되어 수용홈(13a)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개폐도어(13)에는 제2 개폐도어(13)를 본체(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수단(131)과, 제2 개폐도어(13)를 본체(11)에 고정시키는 잠금수단(132)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물품 수납부(10)는 진열수단(1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진열수단(16)은 복수개의 수납공간에 배치되고, 물품을 지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진열수단(16)은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층 구조로 배치되고,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며, 내부 공간을 복수개로 구획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진열수단(16)은 본체(11)에 설치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높이 조절홈(161a)이 형성되는 랙(rack, 161)과, 랙에 설치되어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슬라이딩 수단(162)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 수단(162)은 일 측에 높이 조절홈(161a)에 걸려 지지되는 결합고리를 구비하고,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1621b)이 형성되는 레일(1621), 그리고 레일(1621)에 결합되어 본체(11)의 길이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고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선반(16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진열수단(16)은 선반(1622)의 일면에 안착되어 수용공간에 배치되고, 외측으로 노출된 일면으로 물품이 수납되는 진열판(1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열판(163)에는 복수개의 폭 조절 홈(163a)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폭 조절 홈(163a)은 본체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진열판(163)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되어 후술할 격판(164)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진열수단(16)은 복수개의 폭 조절 홈(163a)에 결합되어 진열판(163)의 일면을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격판(16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격판(164)을 통해 구획되는 공간은 물품의 폭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격판(164)을 통해 구획된 공간은 후술할 파지부(23)의 폭 조절이 가능할 수 있도록 물품의 폭보다 더 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진열수단(16)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물품 수납부(10)는 조명수단(1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명수단(17)은 복수개의 수납공간 및 배출구(11c)가 형성된 본체(11)의 내벽에 설치되고, 물품을 향하여 미리 설정된 색상 및 조도를 가지를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예컨대, 조명수단(17)은 LED 모듈을 광원으로 하는 조명장치로 형성되며, 물품에 따라 조사되는 빛의 색상 및 형태가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물품 수납부(10)는 배출구(11c)를 개폐하는 복수개의 배출구 개폐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배출구 개폐도어는 제1 개폐도어(12)에 설치되어 배출구(11c)의 일 측을 개폐하는 제1 배출구 개폐도어(14)와, 제2 개폐도어(13)와 마주하는 본체(11)의 후면에 설치되어 배출구(11c)의 타 측을 개폐하는 제2 배출구 개폐도어(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배출구 개폐도어(14) 및 제2 배출구 개폐도어(15)는 단열구조가 적용된 패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배출구 개폐도어는 직선 이동을 통하여 배출구(11c)를 개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복수개의 배출구 개폐도어는 본체(11)의 높이방향(Z축 방향) 또는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배출구 개폐도어는 회전 이동을 통하여 배출구(11c)를 개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복수개의 배출구 개폐도어는 본체(11)의 높이방향(Z축 방향) 또는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배출구 개폐도어(14) 및 제2 배출구 개폐도어(15)에는 이동수단(미도시) 및 제어부(33)의 제어명령에 따라 이동수단을 구동시키는 구동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출구 개폐도어(14) 및 제2 배출구 개폐도어(15)의 이동수단이 설치되는 부위에는 각 이동수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배출구 개폐도어(14) 및 제2 배출구 개폐도어(15)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배출구(11c)의 일 측 및 타 측을 개방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배출구 개폐도어(14)는 물품이 배출구(11c)에 놓이고, 배출구(11c)의 타 측이 폐쇄된 상태에서만 배출구(11c)의 일 측을 개방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출구 개폐도어(15)는 사용자가 물품을 주문하거나, 주문된 물품이 이송부에 의해 운반되는 과정, 그리고 배출구(11c)의 일 측이 폐쇄된 상태에서만 배출구(11c)의 타 측을 개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자동판매기(1)는 물품 수납부(10)의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물품이 배출구(11c)로 완전히 운반되기 전에 외부에서 강제적으로 물품 이송부(20)에 파지된 물품을 빼내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이 정해진 위치에 가지런히 놓인 후, 사용자에게 공개됨에 따라, 사용자의 구매 만족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에는 물품감지센서(60) 및 카메라(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물품감지센서(60)는 배출구(11c)를 형성하는 본체(11)의 내면에 설치되어 물품의 유무를 감지하고, 이의 신호를 제어부(33)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70)는 물품감지센서(60)와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배출구(11c)의 바닥면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33)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33)는 물품감지센서(60) 및 카메라(70)를 통해 배출구(11c)의 상태를 실시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1 배출구 개폐도어(14) 및 제2 배출구 개폐도어(15)를 제어하여 배출구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자동판매기(1)는 물품 이송부(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물품 이송부(20)는 픽 앤 플레이스(pick & place) 방식을 통하여 물품을 배출구(11c)로 운반한다. 더 자세하게는, 물품 이송부(20)는 제어부(33)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물품 수납부(10)에 저장된 물품을 파지하여 배출구(11c)로 운반한 후, 배출구(11c)로 운반된 물품을 미리 설정된 위치에 안착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물품 이송부(20)는 이동부(21) 및 파지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21)는 제어부(33)의 제어명령에 따라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 길이방향(Y축 방향) 및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이동부(21)는 제2 개폐도어(13)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211)과, 지지프레임(211)에 설치되어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 길이방향(Y축 방향) 및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한 복수개의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211)은 수용홈(13a)을 형성하는 제2 개폐도어(13)의 내면 중, 본체(11)의 폭 방향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된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11)에는 후술할 제1 이동부(212)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프레임(211)에는 제1 이동부(212)가 설치되고, 제1 이동부(212)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11)은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이동부는 본체(1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제1 이동부(212),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제2 이동부(213) 및 본체(11)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제3 이동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부(212)는 지지프레임(211)에 설치되어 본체(1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이동부(212)는 지지프레임(211)에 설치되어 지지프레임(211)의 가이드레일(211a)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2121)과, 이동수단(2121)을 지지하고 이동수단(2121)을 통하여 본체(1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이동수단 지지부(2122), 및 이동수단 지지부(2122)에 설치되어 이동수단 지지부(2122)와 함께 이동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123a)이 형성되어 후술할 제2 이동부(213)가 설치되는 안내 지지부(212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수단(2121)은 지지프레임(211)의 가이드레일(211a)에 접하여 지지프레임(211)의 가이드레일(211a)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롤러(미도시)와, 가이드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수단 지지부(2122) 및 안내 지지부(2123)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동부(213)는 제1 이동부(212)에 설치되어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이동부(213)는 제1 이동부(212)에 설치되어 제1 이동부(212)의 가이드레일(2123a)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2131)과, 이동수단(2131)을 지지하고 이동수단(2131)을 통하여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며, 후술할 제3 이동부(214)가 설치되는 이동수단 지지부(21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수단(2131)은 제1 이동부(212)의 가이드레일(2123a)에 접하여 제1 이동부(212)의 가이드레일(2123a)을 따라 구름운동을 수행하는 가이드롤러와, 가이드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수단 지지부(2132)는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이동부(214)는 제2 이동부(213)에 설치되어 제2 이동부(213)와 함께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이동부(214)의 단부에는 파지부(2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이동부(214)는 파지부(23)를 지지하고, 제2 이동부(213)의 이동에 따라 파지부(23)와 함께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3 이동부(214)는 본체(11)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3 이동부(214)는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형성되어 본체(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이동부(214)는 경통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고, 제어부(3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부(33)의 제어명령에 따라 본체(11)의 길이방향(Y축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신장 또는 수축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본체부를 구동시키는 동력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이동부(214)는 제2 이동부(213)에 설치되어 본체부를 지지하는 지지블록(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부(23)는 이동부(21)에 설치되고, 이동부(21)에 의해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 길이방향(Y축 방향) 및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파지부(23)는 파지될 물품에 따라 그에 알맞도록 본체(11)의 폭 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을 수행하여 물품을 파지할 수 있다. 여기서, 파지라 함은 물품을 잡는 것, 물품을 집는 것, 물품을 쥐는 것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파지부(23)에 대하여 더 자세히 설명한다.
파지부(23)는 보조 지지프레임(231)과 복수개의 보조 이동부(232, 233)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지지프레임(231)은 제3 이동부(214)의 단부에 설치되어 복수개의 보조 이동부(232, 233)를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보조 지지프레임(231)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보조 이동부(232, 233)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23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 지지프레임(231)은 알루미늄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보조 이동부는 본체(11)의 폭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제1 보조 이동부(232)와, 본체(1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되는 제2 보조 이동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이동부(232)는 보조 지지프레임(231)에 설치되어 본체(11)의 폭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보조 이동부(232)는 보조 지지프레임(231)에 설치되어 보조 지지프레임(231)의 가이드레일(231a)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2321)과, 이동수단(2321)에 설치되어 이동수단과 함께 이동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2322a)이 형성되는 안내 지지부(232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보조 이동부(232)는 복수개로 구비되고, 보조 지지프레임(231)의 가이드레일(231a)을 따라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조 이동부(233)는 제1 보조 이동부(232)에 설치되어 본체(11)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고, 물품을 파지 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2 보조 이동부(233)는 제1 보조 이동부(232)에 설치되어 제1 보조 이동부(232)의 가이드레일(2322a)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수단(2331)과, 이동수단(2331)에 설치되고 물품의 외면에 접촉되어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수단(233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보조 이동부(233)는 각 제1 보조 이동부(232)의 가이드레일(2322a)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한 개의 제1 보조 이동부(232)에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제2 보조 이동부(233)가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파지수단(2332)은 물품의 파지 시 물품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물품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보조 이동부(233)에는 파지수단(2332)을 본체(11)의 길이방향(Y축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시킬 수 있는 추가이동수단(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추가이동수단은 이동수단(2331)의 일 측에 설치되어 파지수단(2332)을 지지하고, 유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파지수단(2332)을 직선 이동시키는 유압장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23)는 동력부(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234)는 제3 이동부(214)에 설치되어 제1 보조 이동부(232)와 제2 보조 이동부(233)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동력부(234)는 모터 또는 액추에이터 장치일 수 있으며, 제3 이동부(214)에 복수개로 설치되어 제1 보조 이동부(232)와 제2 보조 이동부(233)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파지부(23)에는 복수개의 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감지센서는 서로 대향 배치된 각 파지수단(2332)에 설치되어 물품의 파지 시 파지수단(2332)에 작용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와, 물품이 파지되기 전 파지부(23)와 물품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33)는 제1 보조 이동부(232)를 제어하여 물품의 파지압력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 파지될 물품의 크기에 따라 제1 보조 이동부(232) 및 제2 보조 이동부(233)를 제어하여 파지수단(2332)을 정확한 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파지부(23)는 파지된 물품을 지지하는 지지선반(2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선반(235)은 제2 이동부(213)에 설치되어 이동수단 지지부(2132)의 일 측으로 연장되고, 이동수단 지지부(2132)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파지수단(2332)에 파지되어 물품 보관부(11a)의 외측으로 이동된 물품은 이동수단 지지부(2132)의 일 측에 배치된 지지선반(235)에 지지될 수 있다. 즉, 본 자동판매기(1)는 파지수단(2332) 및 지지선반(235)을 통하여 물품 보관부(11a)에 수용된 물품을 안전하게 배출구(11c)로 운반할 수 있다.또한, 파지부(23)는 파지된 물품을 인식하는 물품인식수단(23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물품인식수단(236)은 파지될 물품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물품이 파지되기 전 파지될 물품의 바코드, QR코드, 이미지 등을 인식하여 파지될 물품의 정보를 구매자 혹은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물품인식수단(236)은 파지부(23)의 동력부(234)에 설치되고, 카메라, 스캐너, 센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자동판매기(1)는 물품 주문부(3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물품 주문부(3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물품 이송부(20)에 물품 구매를 위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어명령을 전달한다.
더 자세하게는, 물품 주문부(30)는,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물품을 주문하기 위한 주문명령을 입력 가능한 입력부(31)와, 입력부(31)에서 입력된 주문명령을 제어명령으로 변환하고, 제어명령을 물품 수납부(10), 물품 이송부(20) 및 후술할 포장재 공급부(50)로 전달하여 물품 수납부(10), 물품 이송부(20) 및 포장재 공급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31)로부터 입력된 주문명령에 복수개의 물품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제어부(33)는 물품이 선택된 순서에 따라 각각 제어명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개의 제어명령을 물품 수납부(10), 물품 이송부(20) 및 포장재 공급부(5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명령에는 파지될 물품의 좌표 값 및 파지된 물품이 놓일 좌표 값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품 이송부(20)는 각 좌표 값의 정보를 바탕으로 파지될 물품의 위치로 이동하여 해당 물품을 파지한 후, 파지된 물품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운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는 카메라(70)로부터 획득한 영상정보를 통하여 물품을 미리 설정된 위치로 운반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3)는 카메라(70)를 통해 획득한 배출구(11c)의 바닥면 영상을 좌표 값으로 변환하여 바닥면을 복수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구획된 각 영역의 중심을 선정하여 물품이 놓일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품 이송부(20)는 배출구(11c)로 운반된 물품을 제어부(33)에 의해 미리 설정된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즉, 본 자동판매기(1)는 미리 설정된 좌표 값을 통하여 파지된 물품을 설정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카메라(70)를 통해 획득한 영상정보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도출된 좌표 값을 통하여 파지된 물품을 설정 위치에 안착시킬 수 있다. 참고로, 물품 주문부(30)는 터치스크린 및 PC를 구비한 키오스크(kiosk)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자동판매기(1)는 결제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결제부(40)는 입력부(31)에 의해 주문된 물품의 비용을 결제 처리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결제부(40)는 본체(11)에 수납되고, 일부가 제1 개폐도어(12)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결제부(40)는 지폐, 동전, 카드를 이용한 결제뿐만 아니라, 휴대용 단말 또는 인터넷 등을 이용한 바코드, QR코드, 온라인 페이서비스, 가상화폐 및 암호화폐 등으로 결제가 가능할 수 있고, 결제 후 사용자에게 영수증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결제부(40)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물품 주문부(30)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물품 주문부(30)와 배출구(11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물품 주문부(30)에서 물품을 주문한 후, 물품 주문부(30)와 인접 배치된 결제부(40)를 통해 결제를 진행하고, 마지막으로 결제부(40)와 인접 배치된 배출구(11c)를 통해 물품을 수령할 수 있다. 예컨대, 결제부(40)는 지폐 또는 동전을 투입할 수 있는 현금 결제기, 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카드 결제기,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을 통해 결제할 수 있는 코드 리더기, 영수증이 출력되는 영수증 출력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결제부(40)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결제기능들이 추가적으로 더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자동판매기(1)는 포장재 공급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포장재 공급부(50)는 물품 수납부(10)에 설치되어 물품의 운반 시 배출구(11c)로 포장재를 공급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포장재 공급부(50)는 내측에 포장재가 적재되는 포장재 적재부(51)와, 포장재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켜 배출구(11c)에 위치시키는 포장재 이송부(52)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재 적재부(51)는 내측에 포장재가 적재되는 적재함(511)과, 적재함(511)의 저면에 배치되어 적재함(511)에 적재된 포장재를 상향 지지하는 리프팅수단(51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적재함(511)은 포장재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각 모서리부위에 설치되어 포장재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프팅수단(512)은 지지판의 내측 중앙부에 배치되어 포장재를 지지하는 승강지지판(미도시)과, 승강지지판의 저면에 배치되어 승강지지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지지수단(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체(11)에는 리프팅수단(512)이 설정 높이 이상 상승할 경우 이의 신호를 제어부(33)로 전송하는 센서(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관리자는 포장재의 잔량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리프팅수단(512)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포장재 이송부(52)는 본체(11)에 설치되고, 포장재에 접촉된 상태에서 포장재에 외력을 가하여 포장재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포장재 이송부(52)는 회전력을 발생시켜 포장재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롤러형태로 형성되거나, 포장재의 일 측에 배치되어 포장재를 일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가압수단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장재 이송부(52)는 포장재를 파지하여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포장재 이송부(52)는 본체(11)에 설치되어 포장재의 이동방향으로 선형이동 가능한 이동부와, 이동부에 설치되어 일 측에 포장재가 흡착 가능한 파지수단을 구비하여, 포장재를 포장재 적재부(51)로부터 배출구(11c)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파지수단은 포장재가 흡착 되는 것 뿐만 아니라, 흡착된 포장재를 소정의 높이만큼 집어 올릴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포장재 공급부(50)는 물품 이송부(20)를 통해 포장재를 배출구(11c)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포장재 공급부(50)는 포장재 이송부(52)를 구비하지 않는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물품 이송부(20)는 물품을 제1 배출구(11c1)로 운반한 후, 포장재가 적재된 포장재 적재부(51)로 이동하여 파지부(23)를 통해 포장재를 파지하고, 다시 배출구(11c) 측으로 이동하여 파지된 포장재를 제2 배출구(11c2)에 안착시킬 수 있다.
그러나, 포장재 이송부(5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조건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자동판매기(1)는 물품 주문부(30)의 제어부(33)와 연결되어 본 자동판매기(1)를 통합 제어하는 관리서버(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자동판매기(1)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자동판매기(1)는 한 개의 관리서버(2)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통합 제어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자동판매기(1)와 연결된 관리서버(2)는 각 자동판매기(1)의 온/습도 정보, 진동상태 정보, 물품판매 정보, 물품재고 정보, 구동정보, 통신정보, 자동판매기(1) 내부 및 외부의 실시간 영상정보 등을 관리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물품판매 정보는 물품이 판매되는 시점의 정보, 즉 구매자, 제품 종류, 판매시각, 날씨, 온도, 습도, 미세먼지 농도, 구매까지 걸린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정보는 기기부의 동작 점검 정보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고장 시 고장원인을 파악하고, 해당 자동판매기(1)의 A/S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통신정보는 결제 및 통신 상태 정보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통해 해당 자동자판기의 결제 및 통신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2)는 각 자동판매기(1)와 유/무선으로 연결되고, 이를 통해 각 자동판매기(1)의 온/습도 조절. 통신상태 조절, 기기상태 점검, 화면정보 세팅 등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자동판매기(1)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사용자를 응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자동판매기(1)에는 물품 주문부(30)와 배출구(11c)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물품 주문부(30) 및 배출구(11c)는 적어도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물품을 주문할 수 있도록 본체(11)의 폭방향(X축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본 자동판매기(1)에는 복수개의 물품 이송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물품 이송부(20)는 복수개의 물품 주문부(30)로부터 입력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어명령에 따라 복수개의 물품을 복수개의 배출구(11c)로 한 번에 운반할 수 있도록, 제2 개폐도어(13)의 내부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픽 앤 플레이스 방식을 통하여 물품이 파지된 상태에서 설정위치로 운반되고, 설정위치로 운반된 물품은 자동판매기(1) 내에 진열된 모습과 동일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됨에 따라, 물건의 파손 및 변형을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구매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물건을 주문할 수 있는 물품 주문부(30)와 주문된 물건이 배출되는 배출구(11c)의 위치는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높이에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상체를 최대한 숙이지 않고, 물품을 주문하거나, 수령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주문된 물품의 수량에 따라 물품이 놓일 배출구(11c)의 바닥 공간을 구획하여 구획된 공간의 중심에 물품이 놓이도록 함으로써, 물품이 배출구(11c)의 공간에 균일하게 배치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수의 물품을 한 번의 주문으로 수령 가능하고, 물품과 함께, 물품을 포장해 갈 수 있는 포장재를 공급함으로써,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 자동판매기
10. 물품 수납부
11. 본체
11a. 물품 보관부
11a1. 냉장 보관부 11a2. 냉동 보관부
11b. 기기 보관부
11b1. 제1 기기 보관부 11b2. 제2 기기 보관부
11c. 배출구
11c1. 제1 배출구 11c2. 제2 배출구
111. 차단판
112. 냉동 보관부 개폐도어
113. 에어커튼
12. 제1 개폐도어
121. 잠금수단
122. 투시창
123. 영상출력수단
124. 스킨
13. 제2 개폐도어
13a. 수용홈
131. 힌지수단
132. 잠금수단
14. 제1 배출구 개폐도어
15. 제2 배출구 개폐도어
16. 진열수단
161. 랙 161a. 높이 조절홈
162. 슬라이딩 수단
1621. 레일
1621a. 결합고리
1621b. 가이드홈
1622. 선반
163. 진열판
163a. 폭 조절 홈
164. 격판
17. 조명수단
20. 물품 이송부
21. 이동부
211. 지지프레임
211a. 가이드레일
212. 제1 이동부
2121. 이동수단
2122. 이동수단 지지부
2123. 안내 지지부
2123a. 가이드레일
213. 제2 이동부
2131. 이동수단
2132. 이동수단 지지부
214. 제3 이동부
23. 파지부
231. 보조 지지프레임
231a. 가이드레일
232. 제1 보조 이동부
2321. 이동수단
2322. 안내 지지부
2322a. 가이드레일
233. 제2 보조 이동부
2331. 이동수단
2332. 파지수단
234. 동력부
235. 지지선반
236. 물품인식수단
30. 물품 주문부
31. 입력부
33. 제어부
40. 결제부
50. 포장재 공급부
51. 포장재 적재부
511. 적재함
512. 리프팅수단
52. 포장재 이송부
60. 물품감지센서
70. 카메라
2. 관리서버
A. 물품
B. 포장재

Claims (11)

  1. 물품이 저장 및 보관되는 본체를 포함한 물품 수납부;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물품을 파지하여 배출구로 운반한 후, 미리 설정된 위치에 안착시키는 물품 이송부; 및
    사용자의 조작을 통하여 상기 물품 이송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어명령을 전달하는 물품 주문부;를 포함하며,
    상기 물품 이송부는, 상기 본체의 폭 방향, 길이방향 및 높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폭 방향 및 높이방향으로 길이 조절을 수행하여 상기 물품을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제1 이동부; 상기 제1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제2 이동부; 및 상기 제2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파지부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며, 신장 또는 수축 가능한 텔레스코픽 구조로 형성되는 제3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이동부는,
    경통 형태로 형성되어 서로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이동하여 신장 또는 수축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동력을 전달하여 본체부를 구동시키는 동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가 신장되어 상기 파지부를 물품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본체부가 수축되어 물품을 물품 보관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자동판매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운반 시 상기 배출구로 포장재를 공급하는 포장재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납부는,
    복수개의 수납공간 및 상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전면을 개폐시키고, 상기 물품 주문부가 설치되는 제1 개폐도어; 및
    상기 본체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후면을 개폐시키고, 상기 물품 이송부가 설치되는 제2 개폐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납공간은,
    상기 물품이 냉장 상태로 보관되는 냉장 보관부;
    상기 물품이 냉동 상태로 보관되는 냉동 보관부; 및
    복수개의 기기장치들이 수납되는 기기 보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납공간은,
    상기 본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복수개의 수납공간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7. 제3 항에 있어서,
    물품 수납부는,
    상기 배출구의 일 측을 개폐하는 제1 배출구 개폐도어; 및
    상기 배출구의 타 측을 개폐하는 제2 배출구 개폐도어;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출구 개폐도어는 상기 배출구의 타 측이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 가능하고, 상기 제2 배출구 개폐도어는 상기 배출구의 일 측이 폐쇄된 상태에서 개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8. 삭제
  9. 삭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상기 이동부에 설치되는 보조 지지프레임;
    상기 보조 지지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폭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한 제1 보조 이동부; 및
    상기 제1 보조 이동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높이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고, 상기 물품을 파지 가능한 제2 보조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공급부는,
    상기 포장재가 적재되는 포장재 적재부; 및
    상기 포장재를 이동시켜 상기 배출구에 위치시키는 포장재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
KR1020170177083A 2017-12-21 2017-12-21 자동판매기 KR10206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083A KR102065970B1 (ko) 2017-12-21 2017-12-21 자동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083A KR102065970B1 (ko) 2017-12-21 2017-12-21 자동판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468A KR20190075468A (ko) 2019-07-01
KR102065970B1 true KR102065970B1 (ko) 2020-02-11

Family

ID=67255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083A KR102065970B1 (ko) 2017-12-21 2017-12-21 자동판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9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857A (ko) 2020-07-16 2022-01-25 박성진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US11620868B2 (en) 2021-07-22 2023-04-04 Trinity Axis Inc. Techniques to dispense an item and release a jammed item from a dispens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120B1 (ko) * 2020-01-07 2020-07-07 하나시스 주식회사 제품수납장치
KR102280755B1 (ko) * 2020-01-21 2021-07-22 (주)가우비즈 스마트 벤딩머신
KR102280762B1 (ko) * 2020-01-21 2021-07-22 (주)가우비즈 실내 매장용 판매대 기능을 갖는 벤딩머신
KR102410634B1 (ko) * 2021-10-15 2022-06-22 도시공유플랫폼 주식회사 인공지능 기반 무인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381869B1 (ko) * 2021-12-01 2022-04-01 주식회사 다이아알엔에프 번호키를 활용한 개인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1076A1 (en) * 2004-02-27 2008-03-13 Sandenvendo America, Inc. Retrieval systems for vending machin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2324A (ja) * 1994-04-04 1995-10-27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WO2002019285A2 (en) * 2000-05-23 2002-03-07 Munroe Chirnomas Method and apparatus for including article identification in an article handling device
KR20050035955A (ko) * 2003-10-13 2005-04-20 장용환 식품 자동 판매기
JP2016118911A (ja) 2014-12-19 2016-06-30 サンデ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自動販売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1076A1 (en) * 2004-02-27 2008-03-13 Sandenvendo America, Inc. Retrieval systems for vending machin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857A (ko) 2020-07-16 2022-01-25 박성진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US11620868B2 (en) 2021-07-22 2023-04-04 Trinity Axis Inc. Techniques to dispense an item and release a jammed item from a dispensing system
US11830310B2 (en) 2021-07-22 2023-11-28 Trinity Axis Inc. Techniques to dispense an item and release a jammed item from a dispen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468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970B1 (ko) 자동판매기
US11479413B2 (en) Automated outdoor terminal for storage and handover of online orders and a method to operate the terminal
KR102114957B1 (ko) 배출구 잠금수단을 구비하는 자판기 및 잠금수단의 제어방법
US20050189370A1 (en) Vending machine and component parts
US20210380342A1 (en) Multi-Temperature Automated Storage, Retrieval and Delivery System
US10453028B2 (en) Store and robot system
WO2019057129A1 (zh) 自动售货机
KR20200025646A (ko) 리프트를 구비하는 자판기
JP4835619B2 (ja) 自動販売機
CN110796795A (zh) 自动售货机
JP4186829B2 (ja) 自動販売機
JP4715721B2 (ja) 自動販売機
WO2021248039A1 (en) Multi-temperature, automated storage, retrieval and delivery system
JP6955966B2 (ja) 物品搬入出装置
CN217880431U (zh) 送货模组和售货机
CN217690185U (zh) 售货机
JP4737034B2 (ja) 自動販売機
CN217690187U (zh) 售货机
CN217880432U (zh) 送货装置及售货机
CN217690186U (zh) 售货机
JP4715665B2 (ja) 自動販売機
CN212112638U (zh) 一种售货机及商店
TWI791294B (zh) 販賣機之出貨構造
KR101668195B1 (ko) 랙 구조물
JP2007257073A (ja) 自動販売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