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9857A -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9857A
KR20220009857A KR1020210050663A KR20210050663A KR20220009857A KR 20220009857 A KR20220009857 A KR 20220009857A KR 1020210050663 A KR1020210050663 A KR 1020210050663A KR 20210050663 A KR20210050663 A KR 20210050663A KR 20220009857 A KR20220009857 A KR 202200098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ist
transportation
server
goo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진
이지원
최유정
이해빈
이지윤
박건우
Original Assignee
박성진
이지원
최유정
이해빈
이지윤
박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진, 이지원, 최유정, 이해빈, 이지윤, 박건우 filed Critical 박성진
Publication of KR20220009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8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3Lists, e.g. purchase orders, compilation or processing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수단에 설치하는 보관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보관장치에 구비된 상기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의 요청에 관한 리스트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리스트요청수신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리스트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관장치에 구비된 상기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생성단계; 상기 서버가 생성한 상기 물품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물품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물품 중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주문정보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각종 판촉물 또는 상품을 포함하는 물품들이 구비된 보관장치를 교통수단에 설치하고, 교통수단의 탑승객 등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보관장치에 구비된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물품의 홍보자 또는 판매자는 다양한 고객에게 손쉽게 판촉물을 홍보하거나 상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지상이 아닌 교통수단 내부에서 다양한 판촉물 및 상품들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E GOODS INSIDE TRANSPORTATION}
본 발명은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수단 내부에 설치되는 보관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의 요청에 따른 소정의 물품을 제공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소비자들은 길거리 등 지상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자동판매기(automatic vending machine)을 통하여 물품들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었다.
그러나 탑승객 등을 운송하는 택시, 버스 등의 대중교통수단 내부에서 각종 물품들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 내지 시스템은 종래에 전무하였다.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여 공간을 이동하는 일일 유동인구는 상당할 것이지만, 이러한 대중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요청에 의해 교통수단 내부에서도 소정을 물품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내지 시스템은 종래에 고안되어 있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탑승객 등에게 각종 물품을 손쉽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내지 시스템에 대한 고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65970호 (2020.01.08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각종 판촉물 또는 상품을 포함하는 물품들이 구비된 보관장치를 교통수단에 설치하고, 교통수단의 탑승객 등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보관장치에 구비된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물품의 홍보자 또는 판매자는 다양한 고객에게 손쉽게 판촉물을 홍보하거나 상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지상이 아닌 교통수단 내부에서 다양한 판촉물 및 상품들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교통수단에 설치하는 보관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보관장치에 구비된 상기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의 요청에 관한 리스트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리스트요청수신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리스트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관장치에 구비된 상기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생성단계; 상기 서버가 생성한 상기 물품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물품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물품 중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주문정보수신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스트요청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된 인식코드를 인식함으로서 생성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문정보수신단계 이후, 상기 서버가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에 대한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결제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문정보수신단계 이후, 상기 서버가 상기 보관장치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보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정보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스트요청수신단계 이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생성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정보에 매칭되어 기설정된 추천물품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문정보수신단계 이후, 상기 서버가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기록된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의 수량정보를 갱신하는 수량정보갱신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각종 판촉물 또는 상품을 포함하는 물품들이 구비된 보관장치를 교통수단에 설치하고, 교통수단의 탑승객 등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보관장치에 구비된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물품의 홍보자 또는 판매자는 다양한 고객에게 손쉽게 판촉물을 홍보하거나 상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지상이 아닌 교통수단 내부에서 다양한 판촉물 및 상품들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관한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결제정보전송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결제정보전송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관한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제어정보전송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제어정보전송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관한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위치정보수신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위치정보수신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관한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수량정보갱신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수량정보갱신단계가 더 포함된 것에 관한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관한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은, 교통수단(T)에 설치하는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있어서, 서버(200)가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i2)의 요청에 관한 리스트요청정보(i1)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리스트요청수신단계(S10); 서버(200)가 리스트요청정보(i1)에 기초하여,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i2)를 생성하는 리스트생성단계(S20); 서버(200)가 생성한 물품리스트(i2)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단계(S30); 및 서버(200)가 물품리스트(i2)가 포함하는 물품 중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i3)를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주문정보수신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각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은, 교통수단(T)에 설치하는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으로서, 도 2, 도 4, 도 6, 도 8 및 도 10에 각각 도시된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시스템은, 기본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에 관한 물품리스트(i2)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서버(200) 및 사용자에게 제공될 소정의 물품들이 구비된 보관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리스트요청정보(i1)를 수신하는 리스트요청수신부(211) 및 주문정보(i3)를 수신하는 주문정보수신부(213)를 포함하는 요청수신모듈(210)과, 리스트요청수신부(211)로부터 리스트요청정보(i1)를 수신하여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들에 대한 물품리스트(i2)를 생성하는 리스트생성부(231)를 포함하는 물품정보DB(230)와, 리스트생성부(231)에서 생성한 물품리스트(i2)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정보제공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추가 실시예들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위치정보(i6)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212), 각각의 보관장치(300)에 구비되어 있는 물품들에 대한 수량정보를 기록하고, 주문정보(i3)에 따라 기록된 물품의 수량정보를 갱신하는 물품수량관리부(235), 주문정보(i3)에 따라 사용자에게 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결제정보(i4)를 생성하는 결제정보생성모듈(270), 주문정보(i3)에 따라 보관장치(300)의 개방을 위한 제어정보(i5)를 생성하는 제어정보생성모듈(29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을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시스템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리스트요청수신단계(S10)는 서버(200)가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i2)의 요청에 관한 리스트요청정보(i1)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이다.
보관장치(300)는 소정의 물품을 구비하면서 교통수단(T)에 설치된다.
보관장치(300)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교통수단(T)의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각종 물품들이 구비된다.
이때, 보관장치(300)에는 사용자단말기(100) 또는 서버(200)와 각종 정보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전자단말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보관장치(300)가 설치되는 교통수단(T)은 특히 택시, 버스, 전철 등 대중교통수단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자율주행차량이나 공유차량 등 사용자들의 이동을 위해 마련된 모든 이동수단이 교통수단(T)에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보관장치(300)에 구비되는 소정의 물품에는 사용자들에게 홍보 목적 또는 교통수단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기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하는 판촉물 또는 사용자들에게 판매하기 위한 상품들이 포함될 수 있다.
교통수단(T)에 탑승한 사용자들은 소지한 사용자단말기(100)를 이용한 요청에 따라 보관장치(300)에 구비되어 있는 판촉물 또는 상품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소정의 행위에 따라, 소지한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하여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i2)의 요청을 위한 리스트요청정보(i1)를 생성할 수 있으며, 서버(200)는 리스트요청정보(i1)를 리스트요청수신부(211)를 통해 수신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스트요청정보(i1)는 사용자단말기(100)가 교통수단에 구비된 인식코드를 인식함으로서 생성되거나,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서버(200)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인식코드는 인식코드는 교통수단 내부에 설치된 보관장치(300)에 구비되거나, 교통수단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안내판 등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일예로 QR코드, 바코드, 컬러코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교통수단(T)에 탑승한 사용자는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된 인식코드 인식 어플리케이션 등을 통하여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인식코드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인식시킬 수 있으며, 인식코드를 인식한 사용자단말기(100)는 서버(200)로 전송하기 위한 리스트요청정보(i1)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이와는 다르게 리스트요청정보(i1)는 사용자단말기(100)에 설치되어 서버(200)와 연동하도록 구비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의해 리스트요청정보(i1)가 생성될 수도 있는데, 여기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은 택시 등의 대중교통수단을 호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즉,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은 대중교통수단을 호출할 수 있는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품 제공방법 기능이 추가되어 함께 작동할 수 있다.
한편, 리스트요청정보(i1)는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하여 서버(200)와 연동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생성될 수도 있다.
한편, 리스트요청정보(i1)에는 교통수단(T)에 설치된 보관장치(300)에 대한 고유식별정보(i0)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인식코드를 통하여 리스트요청정보(i1)를 생성하는 경우,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각기 상이한 인식코드에 따라, 인식코드가 구비된 해당 보관장치(300)에 대한 고유식별정보(i0)가 생성되어 리스트요청정보(i1)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리스트요청정보(i1)를 생성하는 경우, 소정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출된 교통수단(T)의 고유정보(예컨대 자동차 번호판)에 대응하여 생성된 보관장치(300)에 대한 고유식별정보(i0)가 리스트요청정보(i1)에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교통수단(T)에 설치되는 보관장치(300)에는 각기 상이한 물품들이 구비될 수 있기 때문이며, 후술하는 서버(200)는 리스트요청정보(i1)에 포함된 보관장치(300)에 대한 고유식별정보(i0)에 따라, 각 보관장치(300)에 구비되어 있는 물품에 대응하는 물품리스트(i2)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기(100)는 일예로 스마트폰일 수 있는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태블릿PC, 워치형 단말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서, 리스트생성단계(S20)는 서버(200)가 리스트요청정보(i1)에 기초하여,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i2)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서버(200)에 구비된 리스트생성부(231)는 리스트요청수신부(211)를 통하여 수신한 리스트요청정보(i1)를 기초로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i2)를 생성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리스트요청정보(i1)에는 교통수단(T)에 설치된 각각의 보관장치(300)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식별정보(i0)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리스트생성부(231)는 고유식별정보(i0)에 따라 해당 보관장치(300)에 구비되어 있는 물품들에 대응하는 물품리스트(i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물품리스트(i2)에는 보관장치(300)에 구비되어 있는 각 물품들의 명칭, 브랜드 명칭, 요약설명, 물품가격, 재고수량, 이미지 등의 정보들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보관장치(300)에 구비되어 있는 물품은 홍보 목적의 판촉물 또는 판매 목적의 상품일 수 있는데,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이 판촉물인 경우, 물품리스트(i2)에는 해당 판촉물에 대한 설문지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이 홍보를 위한 판촉물인 경우, 물품리스트(i2)에는 해당 판촉물에 대한 소정의 설문지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사용자는 해당 설문지를 작성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 판촉물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어서, 리스트제공단계(S30)는 서버(200)가 생성한 물품리스트(i2)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하는 단계이다.
서버(200)의 정보제공모듈(250)은 리스트생성부(231)가 생성한 물품리스트(i2)를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한다.
이어서, 주문정보수신단계(S40)는 서버(200)가 물품리스트(i2)가 포함하는 물품 중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i3)를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이다.
서버(200)를 통하여 물품리스트(i2)를 제공받은 사용자는 소지한 사용자단말기(1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 등을 통하여 물품리스트(i2)를 확인할 수 있다.
물품리스트(i2)를 확인한 사용자는 물품리스트(i2)에 포함되어 있는 물품 중 제공받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여 주문정보(i3)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한 주문정보(i3)는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의 주문정보수신부(213)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주문정보(i3)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보관장치(300)에 구비되어 있는 물품은 홍보 목적의 판촉물 또는 판매 목적의 상품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이 홍보 목적의 판촉물인 경우, 주문정보(i3)에는 해당 판촉물에 대한 설문지정보의 답변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이 판매 목적의 상품인 경우, 주문정보(i3)에는 해당 상품의 명칭, 수량 등을 포함하는 구매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은, 주문정보수신단계(S40) 이후, 서버(200)가 주문정보(i3)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에 대한 결제정보(i4)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결제정보전송단계(S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제정보전송단계(S50)는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물품이 판매 목적인 상품인 경우에 추가로 수행될 수 있다.
서버(200)의 결제정보생성모듈(270)은 주문정보수신부(213)로부터 주문정보(i3)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에 대한 결제정보(i4)를 생성한다.
결제정보생성모듈(270)은 주문정보(i3)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에 대한 명칭 및 수량 정보에 따라 사용자에게 결제 수행을 요청하기 위한 결제정보(i4)를 생성하는데, 결제정보(i4)에는 사용자에게 결제를 요청할 금액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결제정보생성모듈(270)이 결제정보(i4)를 생성하면, 정보제공모듈(250)은 결제정보(i4)를 수신하여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된다.
서버(200)로부터 결제정보(i4)를 수신한 사용자는 구매를 원하는 상품을 제공받기 위한 결제단계(미도시)를 이어서 수행할 수 있으며, 결제단계는 서버(200)의 결제수행부(미도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은, 주문정보수신단계(S40) 이후, 서버(200)가 보관장치(300)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정보(i5)를 보관장치(300)로 전송하는 제어정보전송단계(S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의 제어정보생성모듈(290)은 주문정보수신부(213)로부터 주문정보(i3)를 수신하여 교통수단(T)에 설치된 보관장치(300)를 자동으로 개방하기 위한 제어정보(i5)를 생성한다.
정보제공모듈(250)은 제어정보생성모듈(290)로부터 제어정보(i5)를 수신하여, 해당 보관장치(300)에 제어정보(i5)를 전송하며, 제어정보(i5)를 수신한 보관장치(300)는 제어정보(i5)에 따라 자동으로 개방되어 내부에 구비한 물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교통수단(T)의 운송자 등이 보관장치(300)를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물품들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이 홍보 목적의 판촉물인 경우, 제어정보전송단계(S60)는 전술한 주문정보수신단계(S40) 이후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다르게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이 판매 목적의 상품인 경우, 제어정보전송단계(S60)는 전술한 결제정보전송단계(S50) 및 결제단계 이후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은, 제어정보전송단계(S60) 이후, 서버(200)가 사용자가 구입을 요청한 물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구입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구입정보수신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장치(300)에서 물품을 확인한 사용자가 해당 물품을 별도 내지 추가로 구입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구입하고자 하는 물품의 명칭, 수량 및 배송지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구입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하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구입정보를 수신하며,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은 구입정보수신단계 이후, 서버(200)가 구입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구입을 요청한 물품에 대한 구입결제정보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구입결제정보전송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구입결제정보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0)를 통하여 물품 구입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결제 수행이 완료된 경우 서버(200)는 구입정보 및 구입결제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해당 물품을 판매하는 판매점 등에 전송하여, 판매점 등이 해당 물품을 사용자가 요청한 배송지로 배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은, 리스트요청수신단계(S10) 이후, 서버(200)가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정보(i6)를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단계(S15);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리스트생성단계(S20)는 서버(200)가 위치정보(i6)를 기초로, 위치정보(i6)에 매칭되어 기설정된 추천물품리스트(i7)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치정보수신단계(S15)는 서버(200)의 위치정보수신부(212)가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정보(i6)를 수신하는 단계이며, 이때 위치정보(i6)는 교통수단(T) 탑승 후 사용자단말기(100)의 실시간 위치일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i6)는 사용자단말기(100)에 구비된 GPS장치로부터 수집된 위치정보일 수 있다.
서버(200)의 추천리스트생성부(233)는 위치정보수신부(212)로부터 위치정보(i6)를 수신하여 위치정보(i6)에 매칭되어 기설정된 추천물품리스트(i7)을 생성한다.
여기서 추천물품리스트(i7)에는 위치정보(i6)에 따른 지역에 존재하는 물품판매점들 중, 보관장치(300)에 물품들을 구비시킨 물품판매점들에 대한 물품들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교통수단(T)에 탑승하여 특정 위치를 경유하는 경우, 특정 위치에 대한 위치정보(i6)를 수신한 추천리스트생성부(233)는 위치정보(i6)에 따른 지역에 존재하는 물품판매점들 중, 보관장치(300)에 물품들을 구비시킨 물품판매점들에 대한 물품들의 정보가 포함된 추천물품리스트(i7)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교통수단(T)에 탑승하여 특정 위치를 경유할 때에, 경유 위치에 존재하는 물품판매점들의 물품이 보관장치(300)에 구비되어 있는 경우, 추천리스트생성부(233)는 해당 물품판매점들의 물품에 대한 추천물품리스트(i7)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추천리스트생성부(233)에 의해 생성된 추천물품리스트(i7)는 정보제공모듈(250)을 통하여 물품리스트(i2)와 함께 사용자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리스트제공단계(S30)에서는 정보제공모듈(250)에 의해 물품리스트(i2) 및 추천물품리스트(i7)가 사용자단말기(100)로 함께 전송될 수 있으며, 주문정보수신단계(S40)에서의 주문정보(i3)에는 물품리스트(i2)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에 관한 정보 및 추천물품리스트(i7)에서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은, 주문정보수신단계(S40) 이후, 서버(200)가 주문정보(i3)에 기초하여, 서버(200)에 기록된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의 수량정보를 갱신하는 수량정보갱신단계(S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200)의 물품수량관리부(235)에는 교통수단(T)에 설치된 각 보관장치(300)들이 구비하고 있는 물품들에 대한 명칭 및 수량정보가 기록되어 있을 수 있으며, 물품수량관리부(235)는 주문정보수신부(213)로부터 주문정보(i3)를 수신하여 주문정보(i3)에 포함된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의 명칭 및 수량에 따라, 물품수량관리부(235)에 기록된 해당 물품에 관한 수량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은, 교통수단(T')에 설치하는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있어서, 서버(200')가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i2')의 요청에 관한 리스트요청정보(i1')를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리스트요청수신단계(S10'); 서버(200')가 사용자단말기(100')의 위치정보(i6')를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단계(S15'); 서버(200')가 리스트요청정보(i1') 및 위치정보(i6')에 기초하여, 위치정보(i6')에 매칭되어 기설정된 추천물품리스트(i7')를 생성하는 추천리스트생성단계(S20'); 서버(200)가 생성한 추천물품리스트(i7')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추천리스트제공단계(S30'); 및 서버(200')가 추천물품리스트(i7')가 포함하는 물품 중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i3')를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하는 주문정보수신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및 각 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은, 교통수단(T')에 설치하는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으로서, 도 12에 도시된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시스템은, 기본 구성으로서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100')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에 관한 추천물품리스트(i7')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서버(200') 및 사용자에게 제공될 소정의 물품들이 구비된 보관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버(200')는 사용자단말기(100')로부터 리스트요청정보(i1')를 수신하는 리스트요청수신부(211'), 위치정보(i6')를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부(212') 및 주문정보(i3')를 수신하는 주문정보수신부(213')를 포함하는 요청수신모듈(210')과, 리스트요청수신부(211') 및 위치정보수신부(212')로부터 리스트요청정보(i1') 및 위치정보(i6')를 수신하여 보관장치(300')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들에 대한 추천물품리스트(i7')를 생성하는 추천리스트생성부(233')를 포함하는 물품정보DB(230')와, 추천리스트생성부(233')에서 생성한 추천물품리스트(i7')를 사용자단말기(100')에 전송하는 정보제공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은, 전술한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중 도 7 및 도 8에 대응하는 실시예로서,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200')의 물품정보DB(230')가 추천리스트생성부(233')를 통하여 추천물품리스트(i7')만을 생성하여 사용자단말기(100')에 제공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각 단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도 1 내지 도 6, 도 9, 도 10에 따라 전술한 결제정보전송단계(S50), 제어정보전송단계(S60) 및 수량정보갱신단계(S70)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구입정보수신단계 및 구입결제정보전송단계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내용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종 판촉물 또는 상품을 포함하는 물품들이 구비된 보관장치를 교통수단에 설치하고, 교통수단의 탑승객 등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보관장치에 구비된 물품을 제공함으로써, 물품의 홍보자 또는 판매자는 다양한 고객에게 손쉽게 판촉물을 홍보하거나 상품을 판매할 수 있으며, 교통수단에 탑승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지상이 아닌 교통수단 내부에서 다양한 판촉물 및 상품들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1 : 리스트요청정보 i2 : 물품리스트
i3 : 주문정보 i4 : 결제정보
i5 : 제어정보 i6 : 위치정보
i7 : 추천물품리스트
100 : 사용자단말기 200 : 서버
210 : 요청수신모듈 230 : 물품정보DB
250 : 정보제공보듈 270 : 결제정보생성모듈
290 : 제어정보생성모듈
300 : 보관장치

Claims (7)

  1. 교통수단에 설치하는 보관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보관장치에 구비된 상기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의 요청에 관한 리스트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리스트요청수신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리스트요청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보관장치에 구비된 상기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를 생성하는 리스트생성단계;
    상기 서버가 생성한 상기 물품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리스트제공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물품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물품 중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주문정보수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요청정보는,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상기 교통수단에 구비된 인식코드를 인식함으로서 생성되거나,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설치되어 상기 서버와 연동하는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수신단계 이후,
    상기 서버가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에 대한 결제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전송하는 결제정보전송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수신단계 이후,
    상기 서버가 상기 보관장치를 개방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상기 보관장치로 전송하는 제어정보전송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요청수신단계 이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스트생성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위치정보를 기초로, 상기 위치정보에 매칭되어 기설정된 추천물품리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문정보수신단계 이후,
    상기 서버가 상기 주문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버에 기록된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의 수량정보를 갱신하는 수량정보갱신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7. 교통수단에 설치하는 보관장치에 구비된 소정의 물품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상기 보관장치에 구비된 상기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물품리스트의 요청에 관한 리스트요청정보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하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리스트요청수신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수신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리스트요청정보 및 상기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위치정보에 매칭되어 기설정된 추천물품리스트를 생성하는 추천리스트생성단계;
    상기 서버가 생성한 상기 추천물품리스트를 상기 사용자단말기에 제공하는 추천리스트제공단계; 및
    상기 서버가 상기 추천물품리스트가 포함하는 상기 물품 중 상기 사용자가 요청한 물품의 정보를 포함하는 주문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주문정보수신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KR1020210050663A 2020-07-16 2021-04-19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KR202200098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87904 2020-07-16
KR1020200087904 2020-07-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857A true KR20220009857A (ko) 2022-01-25

Family

ID=80049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663A KR20220009857A (ko) 2020-07-16 2021-04-19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985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970B1 (ko) 2017-12-21 2020-02-11 전종하 자동판매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970B1 (ko) 2017-12-21 2020-02-11 전종하 자동판매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5144B1 (ko) 마켓 연동 택배 시스템
US10108831B1 (en) System controlled by data bearing records
CN109299901B (zh) 一种确定商品配送门店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2047377B1 (ko) 구매대행 쇼핑몰을 위한 통합 관리 시스템
CN109961387A (zh) 快递方法
CN105556555A (zh) 一种网络社区召集购物方法和系统
CN112074859A (zh) 福利型低价商城系统及其运行方法
JPWO2018038084A1 (ja) 在庫管理装置、商品販売システム、在庫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410873B1 (ko) 지도 기반의 택배 물품 위치 조회 시스템 및 방법
JP2007233688A (ja) 商品管理システム、商品管理装置、商品管理方法、および商品管理プログラム
CN113506057A (zh) 物流系统、方法、服务器以及终端
KR20090132260A (ko) 국내외에서의 주문과 배송 시작 후 교환 반품 등이용이하게 하게하며, 배송료를 줄일 수 있는 방법
KR20150125760A (ko) 결제 처리 시스템, 장치 및 방법
JPWO2018038081A1 (ja) 在庫管理装置、顧客端末、商品販売システムおよび在庫管理方法
KR20220009857A (ko) 교통수단 내부에서의 물품 제공방법
CN111506782A (zh) 一种企业物资采购接车匹配方法及系统
CN105117936A (zh) 基于产品大数据和二维码的货物管理系统和管理方法
KR102370540B1 (ko) 가구 구독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997908A (zh) 商品信息处理系统、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7126188B2 (ja) 商品販売システム及び商品販売プログラム
KR20190044309A (ko) 포워딩 서비스 제공 방법
CN110895759B (zh) 资源更新方法、装置、设备和系统
KR101703737B1 (ko) 이동 마켓을 이용한 상품 구매 및 수령 방법
KR20140141732A (ko) 스마트폰 qr코드를 이용한 유통시스템
US10515420B2 (en)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gram for handling and storing purchase transactions between a user and a point-of-sa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