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7117Y1 -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7117Y1
KR200307117Y1 KR20-2002-0035270U KR20020035270U KR200307117Y1 KR 200307117 Y1 KR200307117 Y1 KR 200307117Y1 KR 20020035270 U KR20020035270 U KR 20020035270U KR 200307117 Y1 KR200307117 Y1 KR 200307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casing
article
link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5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오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오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오스텍
Priority to KR20-2002-0035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7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7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7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5Special arrangements for insuring that only one single article may be dispensed at a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7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wherein the storage and dispensing mechanism are configurable in relation to the physical or geometrical properties of the articles to be stored or dispens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정한 틀 내에 일렬로 쌓아 올려진 상품을 낱개씩 자동적으로 인출해내기 위한 물품 취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품이 일렬로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싱(2);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물품을 받치거나 외부로 배출해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2) 하부에 힌지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4); 취출 대기중인 물품을 받치거나 상기 받침판(4) 위로 떨어뜨리기 위한 것으로서, 힌지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판(4) 위에 설치되는 행거(12); 모터(18)에 의해 1사이클 기동함으로써 상기 받침판(4)과 상기 행거(12)를 교번하여 힌지운동하도록 하게 하여 1개의 물품씩 순차적으로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해내기 위한 링크기구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자동판매기로 사용함에 있어서, 물품이 막혀 장치가 마비되는 일이 전혀 없으며 구성이 단순하여 고장률이 낮은 물품취출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Dispenser for bending machine}
본 고안은 물품 인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한 틀 내에 일렬로 쌓아 올려진 상품을 낱개씩 자동적으로 인출해내기 위한 물품 취출기에 관한 것이다.
자동판매기 분야에서, 적재된 물품 특히, 컵라면과 같이 중량이 그다지 크지 않은 물품을 1회 가동시마다 한개씩 인출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왔다. 세워져 있는 좁은 라인에 1열로 정열되어 있는 물품을 한개씩 인출하기 위한 기본적인 기능은, 최하단 물품을 고정하고 있는 받침판을 제거하고 동시에 그 위에 대기중인 물품을 고정하면 될 것이다. 즉, 두가지의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다.
종래의 물품 인출기는 위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2개 이상의 구동부를 별개로 구비하고 있었다. 이러한 경우 그 제조비용이 높으며, 관리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다.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1개의 모터를 구동하여 일렬로 적재되어 있는 물품을 낱개씩 인출해내기 위한 물품 인출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타 다른 전기적 장치 없이 1개의 모터만을 구동하여 오차 없이물품을 인출하기 위한 물품 인출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취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6은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케이싱 4 ; 받침판
6,8 ; 제1,2받침판핀 10 ; 받침판안내홈
12 ; 행거 18 ; 모터
20 ; 원판캠 22,28 ; 제1,2링크
30 ; 회전축 32 ; 높이조절공
위와 같은 목적은, 물품이 일렬로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물품을 받치거나 외부로 배출해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 하부에 힌지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 취출 대기중인 물품을 받치거나 상기 받침판 위로 떨어뜨리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받침판 위에 힌지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행거; 1개의 모터에 의해 1사이클 기동함으로써 상기 받침판과 상기 행거를 교번하여 힌지운동하도록 하게 하여 1개의 물품씩 순차적으로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해내기 위한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물품 취출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부분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6은 본 고안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고안자가 생각하는 물품으로 적합한 것은 시중에 흔하게 유통되는 컵라면 또는 유제품과 같이 역원뿔기둥의 몸체에 턱이 형성되도록 캡이 씌워져있는 형상의 상품이 적합하다. 본 고안의 물품 취출기는 특히 자동판매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케이싱(2)은 하나의 물품(P)이 줄지어 통과될 수 있는 정도의 직립하는 공간을 가지도록 금속판재가 절곡된 형태이다. 물품은 소정의 공급라인을 통해 케이싱의 상부 개구부(2a)로 인입되고 전면 배출구(2b)로 배출되게 된다.
받침판(4)이 힌지운동에 의해 상기 물품을 받치거나 떨어뜨려 방출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2) 내부, 특히 배출구 부근에 설치된다. 받침판(4)이 힌지 운동에 의해 접혀지게 되면 그 위에 얹혀진 물품은 배출구를 향해 미끄러져 나오게 된다. 받침판의 힌지단에 그와 직각으로 설치되는 제1,2받침판핀(6,8)이 케이싱 측벽에 복(卜)자 형상으로 천공되는 받침판안내홈(10)에 끼워진다. 제1,2받침판핀(6,8)이 이 받침판안내홈(10)에 끼워진 상태에서 회전운동을 포함하여 상하운동을 함으로써 받침판(4)이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된다. 받침판안내홈(10)은 세로홈(10a)과 그의 중간으로부터 사선 방향으로 갈라져 연장되는 분기홈(10b)으로 구성된다. 분기홈(10b)은 장치의 원활한 기동을 위하여 원호형상으로 됨이 바람직하다.
취출물품(P)의 위에 자연스럽게 얹혀져 있는 방출대기물품(P')을 상기 받침판(4) 위로 떨어뜨리기 위한 행거(12)가 힌지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판(4)의 상부에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설치된다. 행거(12) 역시 레버식으로 힌지 운동을 위해 케이싱에 고정되는 제1행거핀(14)과 상하 기동 가능하게 케이싱(2) 외부에 설치되는 제2행거핀(16)을 가진다. 행거의 홀딩부(12a)는 물품의 외벽 또는 캡의 턱을 받치기에 용이하도록 원호형상을 가진다.
받침판(4)과 행거(12)는 서로 교번하여 동작되도록 되어 있다. 즉, 받침판(4)이 펼쳐져 물품을 받치고 있는 경우 행거(12)는 접혀져 있고, 받침판(4)이 접혀져 물품을 방출하는 동안 행거(12)는 펼쳐져 대기중인 물품을 받치게 된다. 본 고안의 가장 큰 특징은 이 받침판(4)과 행거(12)를 1개의 모터에 의해 동작시킬 수 있다는 것인데, 이를 위해 다음에 설명하는 일단의 링크 기구가 도입된다.
모터(18)에 의해 회전되는 원판캠(20)이 캠수단으로 사용된다. 원판캠(20)의 회전에 의해 그에 편심되어 연결된 제1링크(22)가 상하로 기동되게 된다. 제1링크(22)의 제1연결부(22a)는 원판캠에 연결되며, 제2연결부(22b)는 받침판안내홈(10)을 통해 제1,2받침판핀(6,8)과 각각 연결된다.
제2연결부(22b)는 횡으로 형성된 제1핀끼움홈(24)과 그 밑에 삼각형 형태로 천공된 제2핀끼움홈(26)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2받침판핀(8)은 받침판안내홈(10) 및 제2핀끼움홈(26)을 관통하여 제2링크(28)의 제1 연결부(28a)와 연결된다. 즉, 제1링크(22)와 제2링크(28)는 제2받침판핀(8)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며, 원판캠(20)의 회전에 의해 제2 링크(28) 역시 종속적으로 기동되는 것이다. 제2링크(28)의 제2연결부(28b)는 행거(12)를 기동시키기 위한 제2행거핀(16)과 연결된다. 제2링크(28)는 케이싱에 고정 설치되는 브래킷(17), 이 브래킷에 설치되는 안내핀(19) 및 제2링크(28)의 제2연결부(28b)의 상하부에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제2링크안내홈(15)에 의해 좌우로 유동없이 상하방향으로 기동될 수 있다. 제2링크가 상하방향으로 기동하게 되면, 제2연결부(28b)에 비스듬히 천공된 핀작동홀(21)에 의해 제2행거핀(16)이 상하로 기동하여 행거(12)를 접거나 펼치게끔 되어 있다.
각 연결부는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며, 더 나아가 소음 진동 등을방지하기 위한 부싱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물품 취출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은 상하를 분리하여 상부만을 90°회전시킨 상태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높이조절공(32)은 도면의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되었다.
도 3은 원판캠(20)이 제1링크(22)를 최대로 밀어 올려 상사점에 위치시킨 상태이며, 이 상태에서 제2링크(28) 또한 상사점에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행거(12)는 접혀져 있으며, 받침판(4)은 펼쳐져 있다. 그러므로 취출물품(P)은 받침판(4)에 놓여져 있으며 대기물품(P')은 취출물품 위에 얹혀져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원판캠(20)이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상태가 된다. 이 과정에서 제1,2받침판핀(6,8)은 세로홈(10a)을 따라 그대로 내려오므로 받침판(4)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제2받침판핀(8)이 하강하므로 이것과 연동된 제2 링크(28) 또한 하강하며 행거(12)를 펼치기 시작한다.
이 과정은 취출물품(P)은 그대로 하강시키고 그 위에 자중에 의해 얹혀져 대기물품(P')은 행거(12)로써 고정시키는 과정이다. 받침판(4)이 수평 상태로 하강하는 유효길이는 케이싱의 측벽에 형성된 받침판안내홈(10)의 세로홈(10a) 상단으로부터 분기점(D)까지의 거리에 해당된다.
연속하여 원판캠(20)이 90°회전하게 되면, 도 5의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받침판(4)은 힌지운동하며 접혀짐으로써 취출물품(P)을 배출시키고, 행거(12)는 그 상태를 유지하며 대기물품(P')을 지지한다. 제1링크(22)가 하강함에도 불구하고 제2링크(28)를 정지시킴으로써 행거(12)를 그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수단이필요하다. 이 수단은 제1링크(22)의 제2연결부(22b)의 제2핀끼움홈(26)의 형상에 의하는데, 이 구간 동안 제1링크(22)는 제1받침판핀(6)에만 힘을 작용한다. 즉, 제2받침판핀(8)에는 작용력을 미치지 아니하게끔 되어 있다.
또한, 제1링크(22)가 원판캠에 의해 하강하는 동안 제1연결부(22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횡방향으로 있던 제1핀끼움홈(24)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핀끼움홈(24)에 끼워져 있던 제1받침판핀(6)은 제1핀끼움홈(24)의 경사면에 의해 유도되어 케이싱의 분기홈(10b)으로 밀려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제2핀끼움홈(26)은 그자리를 유지하고, 제1받침판핀(6)은 분기홈(10b)을 따라 원호상으로 위치 이동되므로 받침판(4)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지게 되는 것이다.
연속하여 원판캠(20)이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게 되면 도 6의 상태가 되는데, 이 과정에서 받침판(4)은 다시금 펼쳐지게 되고 행거(12)는 접혀지는 초기 단계에 있게 된다.
도 6의 상태에서 연속하여 원판캠(20)이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상태가 되며, 이 과정에서 받침판(4)은 그대로 상승하게 되며, 행거(12)는 완전히 접혀지게 되어 대기중이던 물품(P')을 다시금 도 3과 같이 받침판(4) 위에 떨어뜨리게 된다.
이와 같은 링크간의 유기적 행동은 케이싱에 형성된 받침판안내홈(10)과 제1링크의 제2연결부에 형성되는 제1,2핀끼움홈(24,26)의 형상으로부터 기인한다. 이렇게 원판캠의 1사이클 회전에 의해 하나의 물품을 배출해내고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이 완성된다.
이상에서는 설명의 편이를 위해 원판캠(20)을 90°씩 회전시켜가며 각 구동상태를 관찰하였으나, 설계상황 등에 따라 다른 회전각도에서 요구하는 기동상태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판(4) 및 행거(12)를 안정적으로 기동시키기 위해 원판캠(20), 각 링크(22,28) 등을 케이싱 양쪽에 대칭으로 설치하고 있다. 대칭으로 설치된 양 링크로 하여금 전혀 동일한 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 마련된다. 그 중 바람직한 것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이다. 즉, 케이싱(2)을 축받이로 하며 양단에 원판캠(20)이 축결합되어 있는 회전축(30)이 케이싱에 고정되는 모터 및 일단의 기어에 의해 감속된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크기가 다른 물품에도 본 장치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된다. 이는 케이싱(2)의 횡단면적 및 높이, 링크(22,28)의 길이 받침판(4) 및 행거(12)의 크기 등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링크의 길이 및 케이싱의 길이는 도 1에 도시된 높이조절공(32)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물품의 높이에 대해서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당업자는 본 실시예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넘지 아니하는 한도에서 다양한 변경실시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링크를 대칭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 각 링크의 구제적 형상을 변경하거나 원판캠과 등위 개념의 다른 캠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컵라면 등을 대상으로 하는 자동판매기로 사용함에 있어서, 물품이 다소 틀린 각도로 인입되어도 쉽게 수정이 가능하며, 물품이 막혀 장치가 마비되는 일이 전혀 없게 된다. 이는 모든 구성요소가 링크기구에 의해 유기적으로 기동하기 때문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취출물품과 대기물품을 완전히 이격시킨 상태에서 취출물품을 배출하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적은 동력 및 이에 의한 기구적 구성에 의하여 고장발생률이 최소화되어 제품 신뢰성이 향상된다.

Claims (4)

  1. 물품이 일렬로 통과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는 케이싱(2); 상기 케이싱 내부에서 상기 물품을 받치거나 외부로 배출해내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2) 하부에 힌지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받침판(4); 취출 대기중인 물품을 받치거나 상기 받침판(4) 위로 떨어뜨리기 위한 것으로서, 힌지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받침판(4) 위에 설치되는 행거(12); 모터(18)에 의해 1사이클 기동함으로써 상기 받침판(4)과 상기 행거(12)를 교번하여 힌지운동하도록 하게 하여 1개의 물품씩 순차적으로 상기 케이싱 외부로 배출해내기 위한 링크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받침판(4)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케이싱(2) 측벽에 마련되는 받침판안내홈(10)을 관통하는 제1,2받침판핀(6,8);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원판캠(20)에 제1연결부(22a)가 연결되고 상기 제1,2받침판핀(6,8)에 제2 연결부(22b)가 연결되는 제1링크(22); 제1연결부(28a)가 상기 받침판안내홈(10) 및 상기 제1링크의 제2연결부(22b)를 관통하여 제2받침판핀(8)에 연결되며, 제2연결부(22b)가 상기 행거(12)를 레버식으로 힌지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행거(12)의 힌지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하로 기동하는 제2링크(28)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싱의 받침판안내홈(10)은 복(卜)자 형상을 취하며, 상기 제1링크의 제2연결부(22b)는 가로방향으로 천공된 제1핀끼움홈(24)과 그 밑에 삼각형 형태로 천공된 제2핀끼움홈(26)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기구는 상기 받침판(4)과 상기 행거(12)를 안정적으로 기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2)에 대하여 대칭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의 크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싱(2) 및 상기 링크(22,28)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각각 높이조절공(3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KR20-2002-0035270U 2002-11-26 2002-11-26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KR200307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270U KR200307117Y1 (ko) 2002-11-26 2002-11-26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5270U KR200307117Y1 (ko) 2002-11-26 2002-11-26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7117Y1 true KR200307117Y1 (ko) 2003-03-15

Family

ID=4940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5270U KR200307117Y1 (ko) 2002-11-26 2002-11-26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711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19Y1 (ko) 2008-12-17 2010-12-03 박기덕 자동판매기용 물품배출벨트
KR20160054723A (ko) * 2014-11-06 2016-05-17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기
KR102249601B1 (ko) * 2020-05-20 2021-05-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1219Y1 (ko) 2008-12-17 2010-12-03 박기덕 자동판매기용 물품배출벨트
KR20160054723A (ko) * 2014-11-06 2016-05-17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기
KR102281444B1 (ko) 2014-11-06 2021-07-28 코웨이 주식회사 제습기
KR102249601B1 (ko) * 2020-05-20 2021-05-07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2059B2 (ja) キャリアスリーブを組み立てる装置及び方法
AU684020B2 (en) A device for releasing the products in a vending machine
WO2007033151A2 (en) Article handling device
IT9067169A1 (it) Estrattore di prodotti singoli, particolarmente per distributori automatici.
KR200307117Y1 (ko)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KR102122842B1 (ko) 라면 자판기의 용기 적재 장치
KR200415517Y1 (ko) 라면조리 자판기의 용기 공급장치
CN208061333U (zh) 一种货架组件
KR200154379Y1 (ko) 자동판매기
KR102258399B1 (ko) 자동 판매기
JP2002245530A (ja) 移送機構およびこれを使う自動販売機
WO2005047147A1 (en) Container orientation and straightening procedure and appliance
JP3543704B2 (ja) カップ供給装置
KR200380836Y1 (ko) 라면 자동판매기의 용기 지지장치
JP358005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200253254Y1 (ko) 자동판매기의 제품 저장 및 배출장치
KR100417167B1 (ko) 자동판매기의 제품 저장 및 배출장치
JP4055354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SU66090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дачи изделий с центральным отверстием
ITBO960252A1 (it) Dispositivo di prelievo e posa di astucci semirigidi
CN117815646A (zh) 扑克机及其扑克牌整理方法
JPH0912017A (ja) 野菜類袋詰機の袋保持機構
KR0123399Y1 (ko)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KR100762830B1 (ko) 상품승강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판매기
JP2505349B2 (ja) 商品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