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601B1 -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 Google Patents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601B1
KR102249601B1 KR1020200060107A KR20200060107A KR102249601B1 KR 102249601 B1 KR102249601 B1 KR 102249601B1 KR 1020200060107 A KR1020200060107 A KR 1020200060107A KR 20200060107 A KR20200060107 A KR 20200060107A KR 102249601 B1 KR102249601 B1 KR 102249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quette
link
support
unit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0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범
김선호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601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6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15Means for removing as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5Fireboxes; Frames; Hoods; Heat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18Stoves with open fires, e.g. fireplaces
    • F24B1/191Component parts; Accessories
    • F24B1/199Fuel-handl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4Arrangements for feeding solid fuel, e.g. ho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는, 원통 형의 화덕 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적층된 연탄들을 연소시키는 연탄 난방 기구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ⅰ)화덕을 사이에 두고 난방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고정되는 제1 고정부와, ⅱ)제1 고정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난방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고정되는 제2 고정부와, ⅲ)제1 고정부의 전후 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ⅳ)화덕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들을 통해 연탄들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제1 고정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연탄 받침부와, ⅴ)연탄들 사이에서 슬릿들을 통해 제1 연탄 받침부의 전후 이동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이동부에 의하여 슬릿들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연탄 받침부와, ⅵ)제1 연탄 받침부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고정되며, 제2 연탄 받침부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 연결부와, ⅶ)최 하측의 연탄재를 지지하며 화덕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제2 고정부와 이동부에 링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탄재 배출부와 ⅷ)이동부를 통하여 제2 연탄 받침부와 링크 연결되며, 이동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BRIQUETTE REPLACEMENT SYSTEM FOR BRIQUETTE HEAT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연탄을 사용하는 난방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가 완료된 연탄재를 용이하게 배출하면서 새로운 연탄으로 교체하기 위한 연탄 교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화석연료의 고갈과 이산화탄소에 의한 지구 온난화 방지, 그리고 화석연료의 연소 시 배출되는 배기가스 및 미세먼지 등의 오염물질 발생 저감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의 사용을 줄이고 신 재생 에너지를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저 소득층과 같은 취약 계층이나 도시가스가 공급되지 않는 산간지역, 또는 겨울철 많은 열을 필요로 하는 온실 등에서는 난방 기구의 연료로서 아직 연탄을 사용하고 있다.
연탄을 사용하는 난방 기구로는 연탄 보일러와 난로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이러한 연탄 난방 기구는 연탄 화덕을 구비한다. 연탄 화덕은 복수 개의 연탄을 적층하여 연소시키는데, 이와 같은 연탄 화덕을 구비한 연탄 난방 기구는 연탄의 투입과 배출을 통한 연탄의 교체작업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즉, 최하층의 연탄이 완전히 연소가 된 경우, 상부에서부터 연소하고 있는 연탄들을 순차적으로 밖으로 꺼낸 다음 최하층의 연탄재를 제거하고 또다시 꺼낸 연탄을 순차적으로 넣고 신규 연탄을 투입하여 교체작업을 하기 때문에, 교체작업이 힘들면서 번거롭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5917호의 하부 배출식 연탄용 화덕과,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13986호의 연탄 배출장치를 구비한 연탄 보일러를 개시한 바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연탄재의 배출 시, 연소 중인 연탄을 받치는 받침 수단을 별도 조작해야 하는 등 연탄 교체작업이 복잡하고, 교체시간이 증가하며, 사용자의 화상 위험을 유발할 수 있고, 연탄재를 자유 낙하시켜 배출함에 따른 연탄재의 부서짐을 야기할 수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연탄 난방 기구의 화덕에서 원 터치 식으로 편리하게 최 하측의 연탄재를 배출하고, 연탄재 상측의 연탄을 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는, 원통 형의 화덕 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적층된 연탄들을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연탄 난방 기구에서, 최 하측의 연탄재를 배출하고, 연탄재 상측의 연탄을 하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화덕을 사이에 두고 난방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고정부와, ⅱ)상기 제1 고정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난방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고정부와, ⅲ)상기 제1 고정부의 전후 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와, ⅳ)상기 화덕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들을 통해 연탄들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제1 고정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연탄 받침부와, ⅴ)연탄들 사이에서 상기 슬릿들을 통해 상기 제1 연탄 받침부의 전후 이동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상기 슬릿들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연탄 받침부와, ⅵ)상기 제1 연탄 받침부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연탄 받침부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 연결부와, ⅶ)상기 연탄재를 지지하며 상기 화덕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에 링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탄재 배출부와 ⅷ)상기 이동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연탄 받침부와 링크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탄 받침부는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연탄 하부를 받치는 제1 받침 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탄 받침부는 상기 제1 고정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탄 받침부는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연탄 하부를 받치는 제2 받침 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탄 받침부는 상기 이동부에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2 및 제3 슬롯에 링크 슬라이더를 통하여 상기 발판부의 링크 연결 로드와 링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링크 슬라이더는 일단을 통해 상기 제2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2 연탄 받침부와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3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링크 연결 로드와 회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받침 연결부는 상기 제1 연탄 받침부의 결합 단과 결합되는 제1 결합 홈, 및 상기 제2 연탄 받침부의 결합 단과 결합되는 제2 결합 홈을 가지며, S자의 단면 형상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탄재 배출부는 상기 화덕의 하단을 폐쇄하며, 연탄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 판과, 상기 화덕 하단의 전방 측 개방 단과 결합되도록 상기 받침 판의 상면에 아크 형태로 연결되며, 연탄재의 외주 전방 측을 지지하는 받침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발판 본체와, 상기 발판 본체의 양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연탄 받침부와 링크 연결되는 링크 연결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는, 상기 화덕의 하단부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탄재 배출부의 받침 판을 관통하여 연탄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연탄재 지지부와, 상기 화덕과 상기 연탄재 지지부를 링크 연결하며, 상기 제1 연탄 받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탄재 지지부는 상기 받침 판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을 관통하는 한 쌍의 지지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어셈블리는 제4 슬롯을 가지며 상기 화덕에 링크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연탄 받침부가 상기 제4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지지 로드를 링크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링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는, 상기 화덕의 하단부에서 연탄재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연탄재 배출부를 링크 회전시키며 그 연탄재를 화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와 제2 고정부를 링크 연결하며, 상기 연탄재 배출부에 결합되는 제2 링크 어셈블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연탄재 배출부의 받침 판 양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제5 슬롯을 형성하고 있는 제1 메인 링크와, 일단을 통해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1 메인 링크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메인 링크와, 일단을 통해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1 메인 링크의 제5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메인 링크와, 상기 이동부의 하단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6 슬롯에 일단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메인 링크와, 양단을 통해 상기 제2 메인 링크와 상기 제4 메인 링크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 메인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어셈블리는 일단을 통해 상기 제2 메인 링크의 일단 측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제7 슬롯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서브 링크와, 상기 제4 메인 링크에 대한 상기 제5 메인 링크의 회절 점에 일단을 통해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링크의 타단 측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서브 링크와, 상기 제2 서브 링크의 타단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메인 링크의 제5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4절 링크 타입의 제3 서브 링크와, 일단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링크의 제7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1 메인 링크의 제5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서브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3 메인 링크의 타단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서브 링크에 각각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5 서브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링크에 대한 상기 제3 메인 링크의 타단, 상기 제3 서브 링크의 회절 점, 및 상기 제4 서브 링크의 타단은 단일의 링크 핀을 통해 상기 제5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제4 메인 링크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이동부의 상하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커브 형상의 가이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는,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턴 스프링과, 상기 발판부의 링크 연결 로드와 상기 제1 고정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턴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단일의 발판 조작에 따른 원 터치 조작으로서 연탄재를 용이하게 배출하며, 연탄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연탄 교체 작업이 단순 및 편리하고, 연탄 교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적용되는 제1 연탄 받침부, 제2 연탄 받침부, 그리고 받침 연결부 부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적용되는 받침 연결부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적용되는 연탄재 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적용되는 연탄재 지지부 및 제1 링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적용되는 제2 링크 어셈블리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적용되는 제1 및 제2 리턴 스프링 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의 작용/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100)는 가정집 또는 식당에서 연탄(3)을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연탄 난방 기구(1)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탄 난방 기구(1)는 연탄 보일러 또는 연탄 난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 연탄 난방 기구(1)는 난방기 본체(5)와, 그 난방기 본체(5)의 내측에 설치되는 화덕(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방기 본체(5)는 연탄 난방 기구의 외부 본체로서, 내측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탄 교체 장치(100)가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난방기 본체(5)에는 연탄 교체 장치(100)의 일부가 외부로 돌출될 수도 있다.
상기한 난방기 본체(5)는 이하에서 설명될 구성 요소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하나의 본체로 구성될 수 있고, 서로 분리된 각각 본체가 결합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난방기 본체(5)는 구성 요소들을 지지하기 위한 각종 브라켓, 블록, 플레이트, 하우징, 커버, 칼라 등과 같은 부속 요소들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부속 요소들은 각각의 구성 요소들을 난방기 본체(5)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난방기 본체(5)로 통칭한다.
더 나아가, 상기 난방기 본체(5)는 화덕(7)으로 연탄(3)을 투입하기 위한 연탄 투입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연탄재(4)를 배출하기 위한 연탄재 배출구(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에서 화덕(7)은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난방기 본체(5)의 내측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바, 예를 들면 세라믹 소재의 화덕으로 구비된다. 상기한 화덕(7)의 내측에는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 장의 연탄(3)들이 적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화덕(7)을 기준으로 상측을 향하는 부분을 상부, 상단, 상면 및 상단부로 정의하며, 하측을 향하는 부분을 하부, 하단, 하면 및 하단부로 정의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난방기 본체(5)의 정면을 기준으로 할 때, 그 정면 측을 전방이라 하고, 그 전방의 반대 측을 후방이라고 하며, 전방 및 후방 측의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향의 정의는 상대적인 의미로서 화덕(7)의 기준 위치 등에 따라서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상기한 기준 방향이 본 발명의 기준 방향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나아가, 하기에서의 단(한쪽/일측 단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은 어느 한쪽의 끝으로 정의될 수 있고, 그 끝을 포함하는 일정 부분(한쪽/일측 단부 또는 다른 한쪽/일측 단부)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100)는 원 터치 식의 간단한 조작으로서 화덕(7) 내측의 최 하측 연탄재(4)를 용이하게 배출하며, 그 연탄재(4) 상측의 연탄(3)을 하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제1 고정부(110), 제2 고정부(120), 이동부(130), 제1 연탄 받침부(210), 제2 연탄 받침부(220), 받침 연결부(240), 연탄재 배출부(310), 연탄재 지지부(320), 제1 링크 어셈블리(330), 발판부(410), 그리고 제2 링크 어셈블리(420)를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고정부(110)는 화덕(7)을 사이에 두고 난방기 본체(5)의 내부 양측 각각에 상하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고정부(110)는 평판 브라켓 형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고정부(120)는 평판 브라켓 형태로서, 각 제1 고정부(110)의 하단부에 연결(고정)되며, 난방기 본체(5)의 내부 양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부(130)는 평판 브라켓 형태로 구비되며, 각 제1 고정부(110)의 전후 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부(110)의 하단부는 제2 고정부(120)의 상단부에서 외측 면에 고정되고, 이동부(130)는 제1 고정부(110)를 따라서 제2 고정부(120)의 외측 면과 접하며 상하 방향으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적용되는 제1 연탄 받침부, 제2 연탄 받침부, 그리고 받침 연결부 부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연탄 받침부(210)는 화덕(7)의 내측에 수용된 연탄(3)들 사이를 받치는 것으로, 그 화덕(7)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9)들에 설치된다.
상기 제1 연탄 받침부(210)는 띠 형상의 스틸 소재가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된 것으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세트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덕(7)의 내측에 수용되는 연탄(3)들과 연탄재(4)가 3장인 경우, 1세트의 제1 연탄 받침부(210)는 화덕(7)의 상부 측 및 하부 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1 연탄 받침부(210)는 연탄(3)들 사이에서 화덕(7)의 슬릿(9)들을 통해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제1 고정부(110)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연탄 받침부(210)는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2 연탄 받침부(220)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탄 받침부(210)는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연탄(3)의 하부를 받치는"ㄷ" 형상의 제1 받침 단(211)을 형성하고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연탄 받침부(210)는 제1 고정부(110)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슬롯(S1)에 양측 단부를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연탄 받침부(220)는 평상 시 화덕(7)의 내측에 수용된 연탄(3)들 사이를 제1 연탄 받침부(210)와 함께 받침과 아울러, 최 하측의 연탄재(4)를 배출코자 하는 경우, 제1 연탄 받침부(210)와 별개로 연탄재(4) 상측의 연탄(3)들을 받치면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 연탄 받침부(220)는 화덕(7)의 슬릿(9)에 설치되는 바, 띠 형상의 스틸 소재가 설정된 형상으로 절곡된 것으로서,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세트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화덕(7)의 내측에 수용되는 연탄(3)들과 연탄재(4)가 3장인 경우, 1세트의 제2 연탄 받침부(220)는 연탄(3)들을 받치는 부분이 화덕(7)의 상부 측 및 하부 측에 각각 배치되면서 그 연탄(3)들을 받치는 부분이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2 연탄 받침부(220)는 연탄(3)들 사이에서 화덕(7)의 슬릿(9)들을 통해 제1 연탄 받침부(210)의 전후 이동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부(1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이동부(130)에 의하여 슬릿(9)들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제2 연탄 받침부(220)는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연탄(3)의 하부를 받치는 제2 받침 단(221)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 받침 단(221)은"ㅡ"형상으로 구비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2 연탄 받침부(220)는 이동부(130)에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2 및 제3 슬롯(S2, S3)에 링크 슬라이더(230)를 통하여 뒤에서 더욱 설명될 발판부(410)와 링크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연탄 받침부(220)는 발판부(410)의 승강에 의하여 제2 슬롯(S2)을 통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데, 제1 연탄 받침부(210)의 전후 이동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서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탄 받침부(220)는 발판부(410)의 승강에 의하여 제3 슬롯(S3)을 통해 이동부(130)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링크 슬라이더(230)는 발판부(410)의 승강에 의한 제2 연탄 받침부(220)의 전후 방향 이동 및 상하 방향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링크 슬라이더(230)는 바아(또는 로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링크 슬라이더(230)는 일단을 통하여 이동부(130)의 제2 슬롯(S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제2 연탄 받침부(220)와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을 통하여 이동부(130)의 제3 슬롯(S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발판부(410)와 회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링크 슬라이더(230)는 발판부(41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2 슬롯(S2)을 통해 제2 연탄 받침부(220)를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3 슬롯(S3)을 통하여 제2 연탄 받침부(220)를 이동부(130)와 함께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 슬라이더(230)는 발판부(410)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3 슬롯(S3)을 통하여 제2 연탄 받침부(220)를 이동부(130)와 함께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제2 슬롯(S2)을 통하여 제2 연탄 받침부(220)를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받침 연결부(240)는 제1 연탄 받침부(210)와 제2 연탄 받침부(220)를 서로 연결하고, 제2 연탄 받침부(22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면서, 제2 연탄 받침부(220)의 전후 방향 이동에 따른 제1 연탄 받침부(210)의 전후 방향(제2 연탄 받침부의 이동방향과 반대되는 방향) 이동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받침 연결부(240)는 제1 연탄 받침부(21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고정되며, 제2 연탄 받침부(220)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받침 연결부(240)는 폴대 형태로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 연결부(24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제1 연탄 받침부(210)의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바, 제1 연탄 받침부(210)는 그 양측 단부가 깍지 형태로 겹쳐진 상태에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 양측 단부의 끝단에 받침 연결부(240)가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연탄 받침부(22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마주하는 부분(상하부 사이의 부분)이 받침 연결부(24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 연결부(24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S자의 단면 형상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더 나아가, 상기 받침 연결부(240)는 제1 연탄 받침부(210)의 결합 단(215)과 결합되는 제1 결합 홈(241), 및 제2 연탄 받침부(220)의 결합 단(225)과 결합되는 제2 결합 홈(242)을 형성하고 있다.
즉, 상기 제1 연탄 받침부(210)의 결합 단(215)은 받침 연결부(240)의 제1 결합 홈(241)에 고정되며, 제2 연탄 받침부(220)의 결합 단(225)은 받침 연결부(240)의 제2 결합 홈(242)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연탄재 배출부(310)는 화덕(7) 내측의 최 하측 연탄재(4)를 지지하며, 그 연탄재(4)를 집게로 손쉽게 잡아 빼기 위한 각도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탄재 배출부(310)는 화덕(7)의 하단부에 배치되며, 제2 고정부(120)와 이동부(130)에 링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바, 그 화덕(7)의 하단부에 대해 원을 그리며 회전하면서 연탄재(4)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연탄재 배출부(310)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판(311)과 받침 블록(313)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받침 판(311)은 화덕(7)의 개방된 하단을 폐쇄하며, 연탄재(4)의 하면을 지지한다.
상기 받침 블록(313)은 화덕(7) 하단의 전방 측 개방 단(8)과 결합되도록 받침 판(311)의 상면에 아크 형태로 연결되며, 연탄재(4)의 외주 전방 측을 지지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에 적용되는 연탄재 지지부 및 제1 링크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연탄재 지지부(320)는 평상 시, 화덕(7) 내측의 최 하측 연탄재(4)를 그 화덕(7)의 외부에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연탄재 지지부(320)는 화덕(7)의 하단부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연탄재 지지부(320)는 연탄재 배출부(310)의 받침 판(311)을 관통하여 연탄재(4)의 하면을 지지한다. 이러한 연탄재 지지부(320)는 받침 판(311)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312)을 관통하는 한 쌍의 지지 로드(321)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링크 어셈블리(330)는 연탄재 지지부(320)의 지지 로드(321)를 힌지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링크 어셈블리(330)는 화덕(7)과 지지 로드(321)를 링크 연결하며, 제1 연탄 받침부(2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제1 링크 어셈블리(330)는 한 쌍의 제1 링크부재(331)와 한 쌍의 제2 링크부재(3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링크부재(331)는 제4 슬롯(S4)을 가지며 화덕(7)에 링크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연탄 받침부(210)가 제4 슬롯(S4)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링크부재(332)는 제1 링크부재(331)와 지지 로드(321)를 링크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 로드(321)는 평상 시, 받침 판(311)의 슬릿(312)를 관통하며, 화덕(7) 내측의 최 하측 연탄재(4)를 그 화덕(7)의 외부에서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 로드(321)는 연탄재 배출부(310)에 의한 연탄재(4)의 배출 시, 제1 연탄 받침부(210)가 이동함에 따른 제1 및 제2 링크부재(331, 332)의 링크 회절 운동을 통해 받침 판(311)의 슬릿(312)으로부터 외측으로 힌지 회전한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발판부(410)는 사용자의 발 조작으로서, 이동부(130), 제1 및 제2 연탄 받침부(210, 220)의 이동, 그리고 연탄재 배출부(310)의 링크 회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발판부(410)는 이동부(130)를 통하여 제2 연탄 받침부(220)와 링크 연결되며, 그 이동부(13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발판부(410)는 발판 본체(411)와 링크 연결 로드(41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발판 본체(411)는 사용자의 발이 직접적으로 닿는 부분이다. 상기 링크 연결 로드(413)는 발판 본체(411)의 양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되며, 제2 연탄 받침부(220)와 링크 연결된다.
상기에서 링크 연결 로드(413)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링크 슬라이더(230)를 통하여 제2 연탄 받침부(220)와 링크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링크 어셈블리(420)는 화덕(7)의 하단부에서 연탄재(4)를 지지하고 있는 연탄재 배출부(310)를 링크 회전시키며 그 연탄재(4)를 화덕(7)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그 연탄재 배출부(310)를 링크 회전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링크 어셈블리(420)는 이동부(130)와 제2 고정부(120)를 링크 연결하며, 연탄재 배출부(3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제2 링크 어셈블리(420)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5 메인 링크(421, 422, 423, 424, 425)와, 제1-4 서브 링크(431, 432, 433, 43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메인 링크(421)는 연탄 배출부(310)의 받침 판(311) 양측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1 메인 링크(42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5 슬롯(S5)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 메인 링크(422)는 일단을 통해 제2 고정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제1 메인 링크(421)의 후단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3 메인 링크(423)는 일단을 통해 제2 고정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제1 메인 링크(421)의 제5 슬롯(S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4 메인 링크(424)는 이동부(130)의 하단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6 슬롯(S6)에 일단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제2 고정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고정부(120)에는 제4 메인 링크(424)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이동부(130)의 상하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커브 형상의 가이드 슬롯(125)이 형성된다.
상기 제5 메인 링크(425)는 양단을 통해 제2 메인 링크(422)와 제4 메인 링크(424)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서브 링크(431)는 일단을 통해 제2 메인 링크(422)의 일단 측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 서브 링크(431)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7 슬롯(S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 서브 링크(432)는 제4 메인 링크(424)에 대한 제5 메인 링크(425)의 회절 점에 일단을 통해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을 통해 제1 서브 링크(431)의 타단 측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3 서브 링크(433)는 제2 서브 링크(432)의 타단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메인 링크(421)의 제5 슬롯(S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3 서브 링크(433)는 제1 서브 링크(431)의 연장 선이 되며, 마름모꼴 형상의 4절 링크 타입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제3 서브 링크(433)는 후방 측의 회절 점이 제2 서브 링크(432)의 타단에 연결되며, 전방 측의 회절 점이 제5 슬롯(S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4 서브 링크(434)는 제3 서브 링크(433)가 헛돌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일단을 통해 제1 서브 링크(431)의 제7 슬롯(S7)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제1 메인 링크(421)의 제5 슬롯(S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메인 링크(421)에 대한 제3 메인 링크(423)의 타단, 제3 서브 링크(433)의 전방 측 회절 점, 및 제4 서브 링크(434)의 타단은 단일의 링크 핀(P)을 통해 제1 메인 링크(421)의 제5 슬롯(S5)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5 서브 링크(435)는 한 쌍으로서 제3 메인 링크(423)의 타단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 서브 링크(433)의 내측에서 전후방 측 회절 점을 제외한 나머지 회절 점들에 각각 회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상기 제5 서브 링크(435)는 제3 메인 링크(423)와 함께 회전각에 따라 제3 서브 링크(433)와 제4 서브 링크(434)를 길이 방향으로 구속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제2 링크 어셈블리(420)에서, 상기 제1 메인 링크(421)는 연탄 배출부(310)의 받침 판(311) 양측에 고정되는 바, 한쪽은 제2 메인 링크(422)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은 제1 서브 링크(431)가 가리키는 방향의 연장선에 놓인 제3 서브 링크(433)의 한쪽 끝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부(130)에 의해 제4 메인 링크(424)가 회전하게 되면, 그 제4 메인 링크(424)에 연결된 제5 메인 링크(425)와 제2 서브 링크(432)는 제2 메인 링크(422)와 제1 서브 링크(431)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메인 링크(422)와 제1 서브 링크(431)는 각각의 연결 위치와 길이가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한 연탄 배출부(310)는, 제2 메인 링크(422)에 의해 곡선운동이 제1 메인 링크(421)와 연결된 받침 판(311)으로 전달되면서, 제1 서브 링크(431)와 제3 서브 링크(433)에 연결된 제1 메인 링크(421)에 의해 받침 판(311)의 기울기가 정해지게 된다.
즉, 상기 제3 서브 링크(433)는 제1 메인 링크(421)의 한쪽 끝을 지지하며, 연탄 배출부(310)의 기울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제3 서브 링크(433)의 마름모꼴 형상이 변하며 지지하는 쪽의 대각선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제3 서브 링크(433)의 대각선 길이를 결정하는 것은 제5 서브 링크(435)와 제3 메인 링크(423)이며, 이러한 제5 서브 링크(435)와 제3 메인 링크(423)는 연탄재(4)의 배출이 진행됨에 따라 점점 각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3 메인 링크(423)는 다른 링크들과 떨어져 지지되어 있으며, 그 지지 점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제5 서브 링크(435)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제3 서브 링크(433)의 한쪽 끝과 끝단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5 서브 링크(435)는 점점 접히며 제3 서브 링크(433)의 마름모 두 꼭지점(회절 점)을 안쪽으로 잡아당겨 대각선이 줄어들게 되며, 그로 인해 제3 서브 링크(433)의 다른 대각선이 늘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한 대각선의 한쪽 꼭지점은 제1 서브 링크(43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1 메인 링크(421)를 지지하는 한쪽 끝점까지의 거리는 점점 늘어나게 되며, 이를 통하여 연탄 배출부(310)의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제4 서브 링크(434)는 제3 서브 링크(433)의 끝이 제1 서브 링크(431)의 길이방향이 가리키는 쪽을 벗어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연탄 배출부(310)는 제2 메인 링크(422)가 그리는 원을 따라 이동하며, 제3 서브 링크(433)에 의해 기울기가 점점 변하게 되면서 최종적으로 바깥쪽을 향해 기울어진 채로 연탄재(4)를 배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1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부(410)의 하측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제1 및 제2 연탄 받침부(210, 220)와 연탄재 배출부(310)를 탄성력으로서 발판부(410)와 함께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턴 스프링(511) 및 제2 리턴 스프링(51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 리턴 스프링(511)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바, 제1 고정부(110)의 상단과 이동부(130)의 상단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 리턴 스프링(512)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되는 바, 발판부(410)의 링크 연결 로드(413)와 제1 고정부(110)를 연결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100)의 작용/작동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 시, 화덕(7)의 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연탄(3)들이 적층되어 있는데, 연탄재 배출부(310)는 화덕(7)의 하단부에 결합된 상태에 있으며, 그 화덕(7)에서의 최 하측 연탄재(4)는 연탄재 배출부(310)의 받침 판(311) 및 박침 블록(313)에 지지된 상태에 있다.
여기서, 이동부(130)와 발판부(410)는 제1 및 제2 리턴 스프링(511, 512)에 탄성 지지된 채, 상측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 그리고, 제1 연탄 받침부(210)는 화덕(7)에서 슬릿(9)을 통해 전후 방향을 따라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 제2 연탄 받침부(220)는 받침 연결부(240)에 의하여 전후 방향을 따라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탄 받침부(210)의 제1 받침 단(211)은 연탄(3)들 사이에서 그 연탄(3)의 하부를 떠 받치고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연탄재 지지부(320)의 지지 로드(321)는 제1 링크 어셈블리(330)의 제1 및 제2 링크부재(331, 332)에 의하여 받침 판(311)의 슬릿(312)를 관통하며, 화덕(7) 내측의 최 하측 연탄재(4)를 그 화덕(7)의 외부에서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연탄(3)들의 연소에 의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화덕(7)에서 완전 연소된 최 하측의 연탄재(4)를 외부로 배출하는데, 이를 위해 우선 사용자의 발 조작으로 발판부(410)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 슬라이더(230)가 이동부(130)의 제2 슬롯(S2)의 한쪽에서 다른 한쪽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되면서, 제2 연탄 받침부(220)를 화덕(7)의 슬릿(9)을 통해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발판부(410)는 링크 슬라이더(230)를 통해 이동부(130)의 제3 슬롯(S3)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연탄 받침부(220)의 제2 받침 단(221)은 화덕(7)의 외측에서 슬릿(9)을 통하여 내측에 위치하며, 연탄(3)의 하부를 떠 받친다.
이러는 과정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 연탄 받침부(220)가 이동함에 따라, 받침 연결부(240)를 통해 제1 연탄 받침부(210)를 화덕(7)의 슬릿(9)을 통해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연탄 받침부(210)의 제1 받침 단(211)은 화덕(7)의 내측에서 슬릿(9)을 통하여 외측에 위치한다.
더 나아가, 상기한 과정에서는 제1 연탄 받침부(210)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 링크 어셈블리(330)의 제1 및 제2 링크부재(331, 332)를 통한 링크 회절 운동에 의하여 연탄재 지지부(320)의 지지 로드(321)를 받침 판(311)의 슬릿(312)으로부터 외측으로 힌지 회전시키며, 그 지지 로드(321)를 통한 연탄재(4)의 지지를 해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발 조작으로 발판부(410)를 하측 방향으로 계속 이동시키게 되면, 그 발판부(410)에 의하여 이동부(130)를 링크 슬라이더(230)를 통해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부(130)와 발판부(410)는 제1 및 제2 리턴 스프링(511, 512)의 탄성력을 극복하며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동부(130)에 의하여 제2 연탄 받침부(220)를 슬릿(9)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연탄(3)들을 하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이동부(130)가 하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화덕(7)의 하단부에서 연탄재(4)를 지지하고 있는 연탄재 배출부(310)를 제2 링크 어셈블리(420)에 의하여 제2 고정부(120)를 통해 링크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탄재 배출부(310)는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제2 링크 어셈블리(420)의 제1-5 메인 링크(421-425) 및 제1-5 서브 링크(431-435)에 의하여 원을 그리며 링크 회전하면서 연탄재(4)를 집게로 손쉽게 잡아 빼기 위한 각도로 배출하는데, 그 연탄재(4)가 난방기 본체(5)와 충돌하지 않게 배출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2 링크 어셈블리(420)의 제1-5 메인 링크(421-425) 및 제1-5 서브 링크(431-435)에 의하여 연탄재 배출부(310)가 난방기 본체(5)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며 연탄재(4)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집게를 통해 연탄재(4)를 연탄재 배출부(31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발 조작으로 발판부(410)를 밟고 있는 상태로, 연탄재 배출부(310)에 의하여 배출된 연탄재(4)를 제거하고, 발판부(410)로부터 발을 뗀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및 제2 리턴 스프링(511, 512)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이동부(130) 및 발판부(410)를 원래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부(130) 및 발판부(410)의 복원으로 제1 연탄 받침부(210) 및 제2 연탄 받침부(220)를 위에서 언급한 바 있는 평상 시 상태로 원 위치시킬 수 있고, 연탄재 지지부(320)의 지지 로드(321)를 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이동부(130) 및 발판부(410)의 복원으로 연탄재 배출부(310)를 화덕(7)의 하단부에 원 위치시키는데, 제2 링크 어셈블리(420)의 제1-5 메인 링크(421-425) 및 제1-5 서브 링크(431-435)에 의하여 연탄재 배출부(310)가 난방기 본체(5)에 부딪히거나 걸리는 일 없이 그 연탄재 배출부(310)를 화덕(7)의 하단부에 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연탄재 배출부(310)로부터 연탄재(4)를 제거하고 그 연탄재 배출부(310)를 원 위치시키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2 연탄 받침부(220)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연탄(3)이 연탄재 배출부(310)에 위치하게 되며, 화덕(7)의 최 상측으로 새로운 연탄(3)을 투입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100)에 의하면, 사용자의 발판 조작에 의한 원 터치 식의 간단한 조작으로서 화덕(7) 내측의 최 하측 연탄재(4)를 용이하게 배출하며, 그 연탄재(4) 상측의 연탄(3)들을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연탄 교체 시, 별도의 받침 수단을 연탄과 함께 끼워 넣는 종래 기술과 달리, 단일의 발판 조작으로 연탄재(4)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연탄 교체 작업이 단순 및 편리하고, 연탄 교체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연소 중인 연탄에 의한 화상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받침 수단을 제거하여 연소 중인 연탄을 하측으로 자유 낙하시키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제2 링크 어셈블리(420)에 의한 연탄 배출부(310)의 링크 회전을 통해 연탄재(4)를 부서짐 없이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 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연탄 난방 기구 3: 연탄
4: 연탄재 5: 난방기 본체
7: 화덕 8: 개방 단
9, 312: 슬릿 100: 연탄 교체 장치
110: 제1 고정부 120: 제2 고정부
125: 가이드 슬롯 130: 이동부
210: 제1 연탄 받침부 211: 제1 받침 단
215, 225: 결합 단 220: 제2 연탄 받침부
221: 제2 받침 단 230: 링크 슬라이더
240: 받침 연결부 241: 제1 결합 홈
242: 제2 결합 홈 310: 연탄재 배출부
311: 받침 판 313: 받침 블록
320: 연탄재 지지부 321: 지지 로드
330: 제1 링크 어셈블리 331: 제1 링크부재
332: 제2 링크부재 410: 발판부
411: 발판 본체 413: 링크 연결 로드
420: 제2 링크 어셈블리 421-425: 제1-5 메인 링크
431-435: 제1-5 서브 링크 511: 제1 리턴 스프링
512: 제2 리턴 스프링 P: 링크 핀
S1-S7: 제1-7 슬롯

Claims (17)

  1. 원통 형의 화덕 내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적층된 연탄들을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연탄 난방 기구에서, 최 하측의 연탄재를 배출하고, 연탄재 상측의 연탄을 하강시키기 위한 연탄 교체 장치로서,
    상기 화덕을 사이에 두고 난방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하단에 연결되며, 상기 난방기 본체의 내부 양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고정부;
    상기 제1 고정부의 전후 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
    상기 화덕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 개의 슬릿들을 통해 연탄들 사이에서 전후 방향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제1 고정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연탄 받침부;
    연탄들 사이에서 상기 슬릿들을 통해 상기 제1 연탄 받침부의 전후 이동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상기 이동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상기 슬릿들을 통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연탄 받침부;
    상기 제1 연탄 받침부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고정되며, 상기 제2 연탄 받침부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 연결부;
    상기 연탄재를 지지하며 상기 화덕의 하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에 링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탄재 배출부; 및
    상기 이동부를 통하여 상기 제2 연탄 받침부와 링크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발판부;
    를 포함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탄 받침부는,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연탄 하부를 받치는 제1 받침 단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고정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탄 받침부는,
    서로 마주하는 부분에 연탄 하부를 받치는 제2 받침 단을 형성하며,
    상기 이동부에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따라 각각 형성된 제2 및 제3 슬롯에 링크 슬라이더를 통하여 상기 발판부의 링크 연결 로드와 링크 연결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슬라이더는,
    일단을 통해 상기 제2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제2 연탄 받침부와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3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링크 연결 로드와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 연결부는,
    상기 제1 연탄 받침부의 결합 단과 결합되는 제1 결합 홈, 및 상기 제2 연탄 받침부의 결합 단과 결합되는 제2 결합 홈을 가지며, S자의 단면 형상으로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탄재 배출부는,
    상기 화덕의 하단을 폐쇄하며, 연탄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받침 판과,
    상기 화덕 하단의 전방 측 개방 단과 결합되도록 상기 받침 판의 상면에 아크 형태로 연결되며, 연탄재의 외주 전방 측을 지지하는 받침 블록
    을 포함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발판 본체와,
    상기 발판 본체의 양측에 전후 방향을 따라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2 연탄 받침부와 링크 연결되는 링크 연결 로드
    를 포함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덕의 하단부에 힌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연탄재 배출부의 받침 판을 관통하여 연탄재의 하면을 지지하는 연탄재 지지부와,
    상기 화덕과 상기 연탄재 지지부를 링크 연결하며, 상기 제1 연탄 받침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링크 어셈블리
    를 더 포함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연탄재 지지부는,
    상기 받침 판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슬릿을 관통하는 한 쌍의 지지 로드
    를 포함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 어셈블리는,
    제4 슬롯을 가지며 상기 화덕에 링크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연탄 받침부가 상기 제4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제1 링크부재와 상기 지지 로드를 링크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링크부재
    를 포함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덕의 하단부에서 연탄재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연탄재 배출부를 링크 회전시키며 그 연탄재를 화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이동부와 제2 고정부를 링크 연결하며, 상기 연탄재 배출부에 결합되는 제2 링크 어셈블리
    를 더 포함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연탄재 배출부의 받침 판 양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제5 슬롯을 형성하고 있는 제1 메인 링크와,
    일단을 통해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1 메인 링크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메인 링크와,
    일단을 통해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1 메인 링크의 제5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메인 링크와,
    상기 이동부의 하단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6 슬롯에 일단을 통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2 고정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메인 링크와,
    양단을 통해 상기 제2 메인 링크와 상기 제4 메인 링크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5 메인 링크
    를 포함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어셈블리는,
    일단을 통해 상기 제2 메인 링크의 일단 측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제7 슬롯을 형성하고 있는 제1 서브 링크와,
    상기 제4 메인 링크에 대한 상기 제5 메인 링크의 회절 점에 일단을 통해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링크의 타단 측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 서브 링크와,
    상기 제2 서브 링크의 타단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메인 링크의 제5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4절 링크 타입의 제3 서브 링크와,
    일단을 통해 상기 제1 서브 링크의 제7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상기 제1 메인 링크의 제5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 서브 링크
    를 더 포함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링크 어셈블리는,
    상기 제3 메인 링크의 타단에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3 서브 링크에 각각 회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제5 서브 링크
    를 더 포함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메인 링크에 대한 상기 제3 메인 링크의 타단, 상기 제3 서브 링크의 회절 점, 및 상기 제4 서브 링크의 타단은,
    단일의 링크 핀을 통해 상기 제5 슬롯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16.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제4 메인 링크의 타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상기 이동부의 상하 스트로크를 설정하는 커브 형상의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와 상기 이동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리턴 스프링과,
    상기 발판부의 링크 연결 로드와 상기 제1 고정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리턴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KR1020200060107A 2020-05-20 2020-05-20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KR102249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107A KR102249601B1 (ko) 2020-05-20 2020-05-20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0107A KR102249601B1 (ko) 2020-05-20 2020-05-20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601B1 true KR102249601B1 (ko) 2021-05-07

Family

ID=7591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0107A KR102249601B1 (ko) 2020-05-20 2020-05-20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60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131A (ja) * 1992-11-05 1994-05-31 Sanyo Electric Co Ltd 商品搬出装置
KR950007553U (ko) * 1993-08-13 199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데오 카메라 뷰 파인더의 센터링 마그네틱 고정장치
KR200307117Y1 (ko) * 2002-11-26 2003-03-15 주식회사 키오스텍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KR20120128326A (ko) * 2011-05-17 2012-11-27 박창동 연탄 보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0131A (ja) * 1992-11-05 1994-05-31 Sanyo Electric Co Ltd 商品搬出装置
KR950007553U (ko) * 1993-08-13 1995-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데오 카메라 뷰 파인더의 센터링 마그네틱 고정장치
KR200307117Y1 (ko) * 2002-11-26 2003-03-15 주식회사 키오스텍 자동판매기용 물품 취출기
KR20120128326A (ko) * 2011-05-17 2012-11-27 박창동 연탄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7448B2 (en) Vortex type gas lamp
KR102249601B1 (ko) 연탄 난방 기구용 연탄 교체 장치
CN105864781A (zh) 设置可移动中间拱结构的垃圾焚烧炉
SE462299B (sv) Rostanordning foer eldning med vedtraen
CN101498503A (zh) 水平往复推动炉排燃煤热风炉
KR101852908B1 (ko) 이동식 화격자가 구비된 펠릿보일러
CN201173583Y (zh) 水平往复推动炉排燃煤热风炉
JP3164498U (ja) 料理用ストーブ
CN214581052U (zh) 一种方便安装的低氮燃烧器燃烧头
CN205664382U (zh) 设置可移动中间拱结构的垃圾焚烧炉
CN2217760Y (zh) 滑动式连续燃烧炉
JP2002089809A (ja) ストーカ式焼却炉
CN112413889B (zh) 一种热风炉点火装置及热风炉
CN117553562B (zh) 一种钼铁加工用立式回转窑及其方法
CN210197727U (zh) 一种全预混燃烧换热系统及燃气热水器
CN109974293A (zh) 一种可提高燃烧效率的热风炉
KR102414733B1 (ko) 화목난로
CN219693265U (zh) 一种火炬燃烧头
RU212842U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топливник с дополнительной камерой догорания углей
CN211952847U (zh) 一种燃气双眼大锅灶
CN113587135A (zh) 一种具有可变换炉拱的生物质热炉
JPS6042364B2 (ja) ボイラ燃焼装置
CN202598486U (zh) 正反烧锅炉节能环保装置
KR200336547Y1 (ko) 고체연료용 보일러의 연소재 배출장치
CN117704424A (zh) 一种燃气灶节能燃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