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368B1 -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368B1
KR101528368B1 KR1020130123481A KR20130123481A KR101528368B1 KR 101528368 B1 KR101528368 B1 KR 101528368B1 KR 1020130123481 A KR1020130123481 A KR 1020130123481A KR 20130123481 A KR20130123481 A KR 20130123481A KR 101528368 B1 KR101528368 B1 KR 101528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ableware
storage unit
storag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4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276A (ko
Inventor
최숙주
이한영
Original Assignee
동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건화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건화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234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8368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2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2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36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 A47L15/4242Arrangements to sterilize or disinfect dishes or washing liquids by using ultraviolet gen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601/00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particular treatment
    • A47L2601/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복수의 식기를 보관하는 보관부(100); 상기 보관부(100)에 보관된 식기를 개별적으로 배출시키는 공급부(200); 상기 공급부(200)에 의해 배출되는 식기를 배분구간(320)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0); 상기 배분구간(320)을 감시하는 감지부(400); 및 상기 감지부(400)와 연동하여 상기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 가 포함되어 보관부 내부에 열풍 및 자외선램프에 의한 살균 및 건조기능을 수행하도록 함과 동시에 자동 제어를 통한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식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인건비 감축하는 효과가 있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AUTOMATIC APPARATUS FOR SUPPLYING TABLEWARE WITH STERILIZING AND DRYING FUNCTION}
본 발명은 식기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체급식하는 학교, 기업체, 관공서 및 군부대 등과 기타 뷔페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식기(식판, 접시 등)를 세척한 후 청결을 유지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뷔페, 구내식당, 대중 음식점 등에서는 접시, 그릇, 식판 등의 식기(이하 '식기'라 통칭함)를 일정한 장소에 수납하여 두면, 사용자가 하나 씩 집어서 음식을 담아가도록 하고 있다.
이때 상기의 식기는 외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어 각종 먼지, 이물질, 병원균 등에 의해 쉽게 오염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여러 사람이 함께 이용하게 됨으로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뷔페 등에서 많은 수량의 식기를 식기세척기나 식기건조기 등을 이용하여 청결하게 세척 및 보관하고 위생에 신경을 쓰고 있으나, 막상 손님들은 테이블에서 오염에 노출되어 있는 식기를 아무런 거부감 없이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을 극복하기 위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98480에서는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케이스 내부에 식기보관대를 구비하여 식기를 전방의 컨베이어로 공급하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되는 식기 자동공급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나, 이 역시 식기보관대의 공간이 협소하여 작업자가 수시로 식기를 보충해야 하므로 감시인력과 식기보충인력이 항시 대기해야하는 번거로움 및 인건비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98480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살균 및 건조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위생적인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다수의 식기를 보관하도록 하는 보관대와 사용자가 식기를 취득하게 되면 다음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식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는 내부에 복수의 식기를 보관하는 보관부(100); 상기 보관부(100)에 보관된 식기를 개별적으로 배출시키는 공급부(200); 상기 공급부(200)에 의해 배출되는 식기를 배분구간(320)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0); 상기 배분구간(320)을 감시하는 감지부(400); 및 상기 감지부(400)와 연동하여 상기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 가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보관부(100)는 바닥면에는 복수의 보관바(140)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바(140) 간에는 식기가 삽입배치되는 식기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식기삽입홈은 경사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보관부(100)는 복수로 구성하여 각각 승강수단(600)에 결합되되,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보관부(100)를 차례대로 승강하여 상기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가 세팅된 위치로 배치시키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보관부(10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자외선램프(160)가 구비되고,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로와 연통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보관부(100)는 일면 전체가 개방면(120)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면(120)과 대향하는 면은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보관부(100)의 외측에서 개구부(130)를 향해 배치되어 식기를 상기 개방면(120)을 통해 상기 공급부(200)의 외부로 밀어내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210)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상기 개구부(130)는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30)에 각각의 식기가 일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다른 예로써, 상기 보관부(100)는 방사형으로 식기를 보관하는 수용공간(110); 상기 수용공간(110)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축(170); 상기 회전축(17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800);가 포함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보관부(100)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이격 배치되며 동일한 위치에 절개부(190)가 형성되는 커버가 구성되되, 상기 절개부(190)는 상기 회전축(170)의 중심으로부터 ±45°이내 또는 그 대칭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커버의 외측에서 일측 절개부(190)를 향해 배치되어 식기를 타측 절개부(190)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210)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실린더(210)는 선단에 'ㄷ'자의 홈 형상을 갖는 공급단(2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는 보관부 내부에 열풍 및 자외선램프에 의한 살균 및 건조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위생적인 식기기 공급이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감지부 및 제어부를 통한 공급부와 이송부의 자동 제어를 통해 사용자가 식기를 취득하게 되면 다음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식기가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인건비 감축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보관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공급부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보관부(1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공급부(200)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는 단체급식하는 학교, 기업체, 관공서 및 군부대 등과 기타 뷔페식당 등에서 사용되는 식기(식판, 접시 등)를 세척한 후 청결을 유지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식기 공급장치인 것으로 보관부(100),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부(100)는 내부에 복수의 식기(1)를 보관하는 수단인 것으로, 보관부(100)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는 일례로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인 것으로 설명한다.
또한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보관부(100)에 보관된 식기(1)를 이송부(300)로 배출하는 수단이며, 상기 이송부(300)는 상기 공급부(200)에 의해 배출된 식기(1)를 이송하여 이송부(300)의 일부구간이며 사용자들이 식기를 취득할 수 있는 배분구간(320)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부(300)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 가능하나 그 일례로 컨베이어벨트(310)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300)에는 감지부(400)가 더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감지부(400)는 상기 배분구간(320)의 식기의 유무를 감시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배분구간(320)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적외선센서 또는 이송부(300) 상에 배치되는 무게센서 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상기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와 연동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감시부의 센싱에 의해 배분구간(320) 상에 식기의 유무를 판단하고 식기(1)의 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데, 일례로 제어부(500)는 식기(1)가 배분구간(320)에 존재할 경우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배분구간(320)의 식기(1)가 제거되면 다시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를 가동함으로써 자동으로 배분구간(320)에 식기공급 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관부(1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게되면, 상기 보관부(100)는 수용공간(110)의 바닥면에 일정간격으로 복수의 보관바(140)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바(140)에 의해 형성되는 보관바(140) 간 공간인 식기삽입홈에 식기(1)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보관바(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θ)가 형성됨이 바람직한바, 이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게 될 공급부(200)의 작동에 기해 식기(1)가 이송부(300)로 제공되는 데 있어 식기(1)가 뒤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때 식기(1)는 보관바(140)에 배치되는 데 있어 식기(1)의 상면 상측을 향하도록 배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부(100)는 일면 전체가 개방된 개방면(120)이 형성는 것이고 상기 개방면(120)과 대향하는 면은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130)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보관부(100)의 외측에서 상기 개구부(130)를 향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개구부(130)를 통해 보관부(100)의 내측까지 삽입되어 보관부(100)에 보관된 식기(1)를 개방면(120)으로 밀어내고 보관부(100)의 외측으로 밀려난 식기(1)를 상기 이송부(300)로 개별 공급되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공급부(200)는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는 실린더(210)가 적용되는 예로써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실린더(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관부(100)의 외측에서 상기 개구부(130)를 향해 배치되어 실린더(210)의 선단부가 상기 개구부(130)를 통해 보관부(100)의 내측인 식기수용공간(110)까지 삽입되는 것이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10)의 선단부에는 'ㄷ'자의 홈 형상을 갖는 공급단(220)을 형성함으로써, 접시 또는 식판 등과 같이 얇은 판구조로 구성되는 측면부를 밀어내는 데 있어 효과적인 구조를 갖게 된다.
이때, 상기 개구부(130)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할 수 있는데, 하나의 개구부(130)가 구성되는 경우에는 개구부(130)가 보관부(100)의 일면 상에서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보관부(100)에 보관된 식기(1)가 모두 개구부(130)에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개구부(130)가 형성되는 경우, 개구부(130)는 식기(1)가 배치되는 위치와 대응되도록 식기(1)의 개수만큼 형성하여 보관부(100)에 보관된 식기(1)가 모두 개구부(130)에 노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210) 역시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할 수 있는바, 하나의 실린더(210)가 배치되는 경우 실린더(210)가 상기 개구부(130)의 범위 내에서 이송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고, 이때 실린더(210)가 이송하면서 식기(1)를 하나씩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복수의 실린더(210)가 구성되는 경우 실린더(210)의 개수를 보관부(100)에 보관된 식기(1)의 개수만큼 구비하여 동시에 또는 하나씩 식기(1)를 배출할 수 도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실시 예에 따르면 보관부(100) 내에 보관되는 식기(1)가 모두 소진될 경우 작업자가 소진된 보관부(100)를 식기(1)가 채워진 타 보관부(100)로 교체해야 하므로 감시 인력이 상시 배치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보관부(100)는 복수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보관부(100)는 승강수단(600)에 결합되되,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보관부(100)를 차례대로 승강하여 상기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가 세팅된 위치로 배치시키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때 도시된 바는 없으나 각각의 보관부(100) 또는 승강수단(600)과의 연결부에 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보관부(100) 내부의 식기(1)의 개수를 파악하거나 또는 무게를 감지하도록 하여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가 세팅된 위치의 보관부(100)에 식기(1)가 모두 배출될 경우 타 보관부(100)가 세팅위치로 승강수단(600)에 의해 승강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보관부(10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자외선램프(160)를 구비하여 보관부(100) 내부의 살균작용이 가능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각각의 보관부(100)에는 히터(700) 및 송풍기(710)에 연결되는 송풍관(720)으로부터 열풍을 공급받는 송풍구(150)를 마련함으로써 내부의 건조작용이 동시에 이뤄지도록 하여 음식물을 담게 되는 식기(1)의 위생이 최적화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보관부(100-1)는 원형으로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며, 보관부(100-1) 내부의 수용공간(110-1)에는 식기(1)가 방사형으로 수용되고, 수용공간(110-1)의 중심부에는 구동모터(810)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회전축(170)이 마련되며, 구동모터의 회전을 제어하는 모터제어부(800)가 구성되는 것으로, 구동모터(810)가 회전함에 따라 수용공간(110-1) 역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810)는 모터제어부(800)의 제어에 의해 일정한 각도만큼 회전제어가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테핑모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상술하였던 바와 같이 감지부(400)에 의한 배분구간(320) 상에 식기(1)의 유무를 판독 이후, 배분구간(320) 상에 식기(1)가 공급되면 제어부(500)의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의 작동정지와 아울러 상기 모터제어부(800)에서 구동모터를 정지시키게 되고, 반대로 배분구간(320) 상에 식기(1)가 제거되면 제어부(500)의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 작동과 모터제어부(800)의 구동모터 구동이 동반하도록 함으로써 배분구간(320)으로의 식기(1) 공급을 자동 및 연속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보관부(100-1)는 상기 수용공간(110-1)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이격 배치되며 동일한 위치에 절개부(190)가 형성되는 커버가 구성되되, 상기 커버는 상기 수용공간(110-1)과 이격되는 것으로 회전축(170)과는 연동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가 상기 절개부(19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일측 절개부(190)를 통해 공급부(200)가 삽입되어 타측의 절개부(190)로 식기(1)가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수용공간(110-1)은 일정간격만큼 회전하여 차례대로 식기(1)가 절개부(190)의 위치로 공급되어 연속적인 식기(1)의 배출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커버의 외측에서 일측 절개부(190)를 향해 배치되어 식기(1)를 타측 절개부(190)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는 실린더(210)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개부(190)의 일측은 상기 공급부(200)가 삽입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일례로, 상기 공급부(200)로 실린더(210)가 적용되는 경우 실린더(210)의 선단이 삽입될 수 있는 형상 및 사이즈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절개부(190)의 타측은 식기(1)가 배출되는 곳으로 식기(1)의 형상 및 사이즈보다 크게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개부(190)가 형성되는 범위인 절개부범위(a)는 상기 회전축(170)의 중심으로부터 ±30°이내 또는 그와 대칭되는 범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상기 절개부범위(a)에 배치되는 식기(1)는 공급부(200)에 의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식기(1)에 형성된 기울기가 상대적으로 수직 보다는 수평에 가까우므로 이송부(300)로 배출되는 데 있어 식기(1)가 뒤집히지 않을 수 있게 되며, 이때 보관부(100-1) 상에 보관되는 다수의 식기(1)는 음식물이 담는 식기(1)의 상면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규칙적으로 보관되어야 하며 식기(1)의 상면이 상측을 향하는 위치에서 공급부(200)가 작동하도록 구성되는 것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바는 없으나, 본 실시 예에 따른 보관부(100-1) 내부에는 상술하였던 바에 따른 하나 이상의 자외선램프(160) 및 열풍이 공급되는 송풍구(150)가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한 바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 : 식기 100,100-1 : 보관부
110,110-1 : 수용공간 120 : 개방면
130 : 개구부 140 : 보관바
200 : 공급부 210 : 실린더
220 : 식기 300 : 이송부
320 : 배분구간 400 : 감지부
500 : 제어부 600 : 승강수단
700 : 히터 800 : 모터제어부

Claims (9)

  1. 내부에 복수의 식기를 보관하는 보관부(100);
    상기 보관부(100)에 보관된 식기를 개별적으로 배출시키는 공급부(200);
    상기 공급부(200)에 의해 배출되는 식기를 배분구간(320)으로 이송하는 이송부(300);
    상기 배분구간(320)을 감시하는 감지부(400);
    상기 감지부(400)와 연동하여 상기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포함되되,
    상기 보관부(100)는
    복수로 구성하여 각각 승강수단(600)에 결합되되,
    상기 승강수단(600)은 상기 보관부(100)를 차례대로 승강하여 상기 공급부(200) 및 이송부(300)가 세팅된 위치로 배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100)는
    바닥면에는 복수의 보관바(140)가 형성되고 상기 보관바(140) 간에는 식기가 삽입배치되는 식기삽입홈이 형성되되,
    상기 식기삽입홈은 경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100)는
    내부에 하나 이상의 자외선램프(160)가 구비되고,
    열풍을 공급하는 송풍로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100)는
    일면 전체가 개방면(120)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방면(120)과 대향하는 면은 일부가 개구된 개구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보관부(100)의 외측에서 개구부(130)를 향해 배치되어 식기를 상기 개방면(120)을 통해 상기 공급부(200)의 외부로 밀어내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2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130)는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30)에 각각의 식기가 일부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100)는
    방사형으로 식기를 보관하는 수용공간(110);
    상기 수용공간(110)의 중심부에 결합되는 회전축(170);
    상기 회전축(17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8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부(100)는
    상기 수용공간(11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이격 배치되며 동일한 위치에 절개부(190)가 형성되는 커버가 구성되되,
    상기 절개부(190)는
    상기 회전축(170)의 중심으로부터 ±30°이내 또는 그 대칭 범위에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커버의 외측에서 일측 절개부(190)를 향해 배치되어 식기를 타측 절개부(190)를 통해 외부로 밀어내는 하나 이상의 실린더(21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9. 제 5항 또는 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210)는
    선단에 'ㄷ'자의 홈 형상을 갖는 공급단(2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KR1020130123481A 2013-10-16 2013-10-16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KR101528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481A KR101528368B1 (ko) 2013-10-16 2013-10-16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481A KR101528368B1 (ko) 2013-10-16 2013-10-16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276A KR20150044276A (ko) 2015-04-24
KR101528368B1 true KR101528368B1 (ko) 2015-06-11

Family

ID=53036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481A KR101528368B1 (ko) 2013-10-16 2013-10-16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83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554B1 (ko) 2022-01-17 2022-10-17 김호태 식기 자동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49741A (zh) * 2022-08-18 2022-11-18 成都捷德科技有限公司 餐盘处理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782U (ko) * 1989-12-22 1991-09-06
JPH11216094A (ja) * 1998-02-04 1999-08-10 Nakanishi Seisakusho:Kk 全自動食器洗浄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および器具
KR20000056851A (ko) * 1999-02-26 2000-09-15 양철근 자외선 살균장치
KR101198480B1 (ko) * 2010-07-13 2012-11-06 정상근 식기 자동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7782U (ko) * 1989-12-22 1991-09-06
JPH11216094A (ja) * 1998-02-04 1999-08-10 Nakanishi Seisakusho:Kk 全自動食器洗浄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装置および器具
KR20000056851A (ko) * 1999-02-26 2000-09-15 양철근 자외선 살균장치
KR101198480B1 (ko) * 2010-07-13 2012-11-06 정상근 식기 자동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554B1 (ko) 2022-01-17 2022-10-17 김호태 식기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276A (ko) 2015-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7637A (ko) 식기식판 뒤집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식기세척시스템
KR101946439B1 (ko) 도마 살균기
KR101528368B1 (ko)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KR20180114405A (ko) 주방용품 살균 장치
CN106691256A (zh) 多功能厨房置物架
CN206197908U (zh) 一种家用餐具自动杀菌烘干装置
KR20180015801A (ko) 스마트형 식기 보관 및 위생처리장치
CN105146920B (zh) 一种可升降隐藏式智能茶几
CN202426138U (zh) 一种自动取筷装置
KR101930357B1 (ko) 간이 식기건조기
KR101563781B1 (ko) 자외선 젖병 살균기
US20070221449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rtioning Meals on a Serving Tray and Work Station Therefor
KR102065760B1 (ko) 승하강 가능한 주방용 소독기
CN211561201U (zh) 一种全自动新型高温餐具消毒柜装置
KR102063153B1 (ko) 식기와 식판을 분리하는 장치
CN112107267A (zh) 一种自动清洗消毒机
KR101280925B1 (ko) 컵 세척기 및 살균건조기용 컵공급장치
US1263866A (en) Rack or tray for drinking-glasses and like purposes.
KR100692393B1 (ko) 히터 및 수저 살균기를 구비한 테이블
KR102458872B1 (ko) 젓가락 공급장치
CN220571804U (zh) 一种方便出料的餐具柜
KR102458867B1 (ko) 수저 자동 공급장치
KR102660051B1 (ko) 젓가락 공급장치
CN210812709U (zh) 环保消毒柜
KR102405869B1 (ko) 개별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위생 젓가락 보관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