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8867B1 - 수저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수저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8867B1
KR102458867B1 KR1020200119219A KR20200119219A KR102458867B1 KR 102458867 B1 KR102458867 B1 KR 102458867B1 KR 1020200119219 A KR1020200119219 A KR 1020200119219A KR 20200119219 A KR20200119219 A KR 20200119219A KR 102458867 B1 KR102458867 B1 KR 102458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n
chopstick
chopsticks
unit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699A (ko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김명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기 filed Critical 김명기
Priority to KR1020200119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8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47G21/145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ja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4Spoons; Pastry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0Sugar tongs; Asparagus tongs; Other food tongs
    • A47G21/103Cho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2Arrangements or mountings of driving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6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interconverting rotary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21/18Crank gearings; Eccentric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 및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숟가락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및 상기 설치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젓가락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젓가락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저 자동 공급장치{Automatic supply device for spoons and chopsticks}
본 발명은 수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 및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저는 숟가락과 젓가락을 함께 이르는 말로, 숟가락과 젓가락은 음식을 섭취할 때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숟가락과 젓가락은 일반 가정의 경우, 하나의 수납통에 담아 사용하기도 하지만, 방문객이 많은 음식점의 경우 각각 별도의 수납통에 분리하여 수납한다.
이러한 수납통은 식탁 등에 손잡이가 형성된 상단부가 위를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세워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없이 통형으로 형성된 개방형 수납통과 식탁 등에 눕혀놓을 수 있도록 덮개가 있는 박스형으로 형성된 폐쇄형 수납통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는데, 위와 같은 일반적인 구조의 수납통은 내부에 수납된 숟가락 및 젓가락을 꺼내기 위해, 손가락으로 수납통 내의 숟가락 및 젓가락을 뒤적거려야 하므로 불편하다.
또한, 상기 수납통 내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꺼내는 과정에서 여러 개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만지게 되므로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즉, 현재까지 국내에서 22,000명 이상의 누적 확진자와 350명 이상의 누적 사망자가 발생된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하 '코로나 19'라 한다)의 경우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생긴 비말(침방울)은 물론, 접촉을 통해서도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불특정 다수가 출입하는 대중음식점 등에서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수납통의 보급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510호에는 수저 인출 장치가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젓가락이 배출되는 제1 출구를 가지는 젓가락 수납부; 숟가락이 배출되는 제2 출구를 가지는 숟가락 수납부; 상기 제1 및 제2 출구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 출구로 배출된 젓가락과 숟가락을 받아 지지하며, 사용자에 의해 일단부가 눌리면 기울어지면서 지지하던 젓가락과 숟가락을 상기 일단부 측으로 미끄러뜨리는 작동판; 및 상기 제1 및 제2 출구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및 제2 출구를 개방하고 있다가 상기 작동판이 눌리면 회전하면서 상기 제1 및 제2 출구를 각각 폐쇄하여 수납된 젓가락과 숟가락의 추가적인 배출을 막는 젓가락 인출기 및 숟가락 인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작동판을 누름으로써 숟가락과 젓가락을 편리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으나, 사용자가 작동판을 눌러야만 숫가락과 젓가락을 인출할 수 있으므로 작동판 부분에서 오염이 발생되거나 바이러스가 전파될 위험이 있고, 작동판의 누름에 의해 수저 한 벌이 정확이 인출되지 못할 경우, 불필요하게 수저가 낭비되거나 추가로 인출된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다시 수납부로 넣게 될 경우 여전히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테이블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개수가 많지 않으므로 다수의 사용자들이 이용하는 비교적 대규모의 식당에서는 사용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3510호(2009. 02. 1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숟가락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및 상기 설치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젓가락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젓가락 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부에 숟가락 공급장치 및 젓가락 공급장치가 고정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설치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은 설치프레임을 지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부재와, 상기 설치프레임의 하단 모서리 부분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숟가락 공급장치의 숟가락 공급부와, 젓가락 공급장치의 젓가락 공급부가 내측으로 수용되는 안전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안전프레임에는 숟가락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숟가락과, 젓가락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젓가락을 사용자가 꺼내어 쓸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인출구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숟가락 공급장치는, 다수의 숟가락이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숟가락 보관부와, 상기 숟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을 한 개씩 인출하는 숟가락 인출부 및 상기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인출된 숟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숟가락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숟가락 보관부는 후방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숟가락의 헤드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전방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숟가락 자루부 후방 단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단에는 숟가락 보관부 내에서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의 헤드부 하부를 지지하는 헤드지지 브라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숟가락 인출부는 숟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끼움 결합되고, 외주면에 숟가락의 자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인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숟가락 공급부는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제1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젓가락 공급장치는, 다수의 젓가락이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 보관부와, 상기 젓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상태의 젓가락을 인출하여 한 개씩 젓가락 공급부로 배출하는 젓가락 인출부 및 상기 젓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인출된 젓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젓가락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젓가락 보관부는 편심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젓가락 보관부의 전방 하단에는 젓가락이 한 개씩 수평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젓가락 인출부는 젓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젓가락을 인출하는 젓가락 인출수단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젓가락 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젓가락을 젓가락 공급부로 배출시키는 젓가락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프레임 전면에는 젓가락 배출수단에 의해 젓가락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에는 젓가락 배출수단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개방되고, 자중에 의해 배출통로를 폐쇄시키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젓가락 인출수단은 젓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을 하나씩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통로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끼움 결합되어 이동통로를 통한 젓가락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젓가락 배출수단은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편심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커넥팅로드 및 상기 커넥팅로드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왕복 운동에 의해 젓가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재의 전방 하단부에는 젓가락 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젓가락을 젓가락 공급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젓가락 공급부는 젓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제2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3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다량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와 같은 위생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게 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숟가락과 젓가락의 공급 주기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낸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인출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인출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자동 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낸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낸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자동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숟가락 인출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공급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9에 나타낸 본 발명 중 젓가락 인출부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구내식당,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 및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1)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설치프레임(300), 숟가락 공급장치(100) 및 젓가락 공급장치(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상기 설치프레임(300)은 지면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들에게 숟가락(10)을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숟가락 공급장치(100)와, 젓가락(20)을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젓가락 공급장치(200)가 그 상부에 소정 높이로 동시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설치프레임(300)의 중간 부분 높이에는 수평 방향으로 지지플레이트(3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지지플레이트(310)는 그 상부에 숟가락 공급장치(100) 및 젓가락 공급장치(20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들의 신장을 고려하여 최대한 편안하게 숟가락(10)과 젓가락(20)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플레이트(310)의 상부에는 숟가락 공급장치(100) 및 젓가락 공급장치(200)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설치공간(320)이 사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310)의 하부에는 도어(332)에 의해 개폐되는 수납부(330)가 형성되는데, 상기 수납부(330)의 내부에는 숟가락 공급장치(100) 및 젓가락 공급장치(200)로 공급되는 숟가락(10), 젓가락(20)은 물론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자동공급장치(1)의 운영에 필요한 청소도구나 관리도구 등이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330)의 하부에는 설치프레임(3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수단(340)이 구비되는데, 상기 지지수단(340)으로는 설치프레임(300)을 지면에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다리부재(342)나 설치프레임(300)의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344)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다리부재(342)와 바퀴(344)가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다리부재(342)는 나사결합 등의 방법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볼트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해 설치프레임(300)의 하단 모서리 부분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바퀴(344) 또한 체결수단에 의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프레임(300)의 하단 모서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힌지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절첩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바퀴(344)를 안쪽으로 접어 설치프레임(300)의 보다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한 다리부재(342)를 지지수단(340)으로 사용하다가, 설치프레임(300)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만 바퀴(344)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지지플레이트(310)의 상부 중앙부에는 안전프레임(312)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안전프레임(312)은 사용자들이 숟가락 공급장치(100) 및 젓가락 공급장치(200)에 의해 공급되는 숟가락(10) 및 젓가락(20)을 보다 안전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안전프레임(312)은 양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져 그 내측으로 숟가락 공급장치(100)의 일측 단부, 즉 후술한 숟가락 공급부(130)와, 젓가락 공급장치(200)의 타측 단부, 즉 후술할 젓가락 공급부(230)가 각각 다른 방향으로부터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플레이트(310)의 상부에는 숟가락 공급장치(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판(314)이 설치되어 상기 숟가락 공급부(130)가 안전프레임(312)의 상부로 수용되고, 젓가락 공급부(230)가 안전프레임(312)의 하부로 수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받침판(314)을 젓가락 공급장치(200)의 하부에 설치하여 숟가락 공급부(130)와 젓가락 공급부(230)의 높이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안전프레임(312)의 전면에는 제1 및 제2인출구(312a,312b)가 상,하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제1인출구(312a)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숟가락 공급부(130)에 의해 공급되는 숟가락(10)을 인출하고, 상기 제2인출구(312b)를 통해서는 젓가락 공급부(230)에 의해 공급되는 젓가락(20)을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숟가락(10) 또는 젓가락(20)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전프레임(312)의 내측에는 제1 및 제2인출구(312a,312b)의 내측에 위치되는 숟가락 공급부(130)와 젓가락 공급부(230) 상에 존재하는 숟가락(10)과 젓가락(20)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물체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숟가락 공급장치(100) 및 젓가락 공급장치(20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기 숟가락 공급장치(100)는 설치프레임(300)의 지지플레이트(310) 상부 또는 지지플레이트(310) 상에 설치되는 받침판(314)의 상부에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10)을 위생적으로 보관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10)을 하나씩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숟가락 보관부(110), 숟가락 인출부(120) 및 숟가락 공급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숟가락 보관부(110)는 다수의 숟가락(10)을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 상태로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지지프레임(112), 제2지지프레임(114) 및 커버프레임(1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되는 숟가락(10)의 전단부 즉, 헤드부(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숟가락(10)의 헤드부(12)와 동일한 폭을 갖고, 전체적으로 후방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숟가락(10)은 후술할 숟가락 인출부(120)를 통해 인출될 때, 180도 만큼 회전되면서 인출되므로, 숟가락 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숟가락 헤드부(12)의 오목한 형상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숟가락 보관부(110)에서는 헤드부(12)의 오목한 형상이 하부를 향하는 상태로 적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은 숟가락 보관부(110) 내에 적층된 숟가락(10)의 헤드부(12) 양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10)이 헤드부(12)의 오목한 형상이 하부를 향하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적층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제2지지프레임(114)은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되는 숟가락(10)의 후단부 즉, 자루부(14)의 후단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찬가지로 숟가락 자루부(14)의 후방 단부와 동일한 폭을 갖고, 전체적으로 전방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세로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다.
즉, 상기 숟가락 보관부(110) 내에 적층 보관되는 다수의 숟가락(10)들은 그 전단부, 즉 헤드부(12)가 제1지지프레임(112)에 의해 지지되고, 후단부 즉 자루부(14)의 후방 단부가 제2지지프레임(114)에 의해 지지되어 지속적인 숟가락(10) 인출에 의해 숟가락(10)의 적층 위치가 변화되는 순간에도 회동하지 않고 안정적인 적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커버프레임(116)은 제1지지프레임(112)과 제2지지프레임(114)을 감싸도록 하여 상부로부터 결합되어 제1 및 제2지지프레임(112,11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숟가락 보관부(110) 내에 적층되어 있는 숟가락(10)으로 먼지 등의 이물질 등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커버프레임(116)의 내측 상단에는 자외선에 의해 내부에 적층된 숟가락(10)들을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살균부(118)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자외선살균부(118)로는 자외선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2)의 전방 하단에는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는 헤드지지 브라켓(115)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헤드지지 브라켓(115)은 숟가락 보관부(110)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의 전방 단부, 즉 헤드부(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는 숟가락(10)의 전단부와 후단부 사이의 높이차를 보상하여 숟가락(10)이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 및 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후술하겠지만, 숟가락 인출부(120)는 숟가락 보관부(110)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의 자루부(14)만을 지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숟가락(10)을 하나씩 인출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인출되는 숟가락(10)의 무게중심에 의해 숟가락(10)이 헤드부(12)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으므로, 상기 헤드지지 브라켓(115)을 이용하여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의 헤드부(12), 즉 전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지지상태에서 숟가락(10)이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숟가락 인출부(120)는 숟가락 보관부(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10) 중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을 한 개씩 인출하여 숟가락 공급부(13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지브라켓(122), 제1구동모터(124), 제1구동축(126) 및 인출부재(1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지지브라켓(122)은 숟가락 보관부(110)를 구성하는 커버프레임(116)의 하부에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110) 및 숟가락 인출부(120)가 설치프레임(300)의 지지플레이트(310) 상부 또는 지지플레이트(310) 상에 설치되는 받침판(31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설치프레임(300)의 지지플레이트(310) 상부 또는 지지플레이트(310) 상에 설치되는 받침판(314)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공급장치(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1구동모터(124)는 지지브라켓(122)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 상태로 보관되는 숟가락(10)들을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구동축(126)은 제1구동모터(124)에 연결 설치되어 제1구동모터(124)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인출부재(128)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구동축(126)의 일측 단부는 제1구동모터(124)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지지브라켓(122)의 타측 단부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다음, 상기 인출부재(128)는 제1구동축(126)에 축설되는 원통 또는 팔각 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 보관되는 숟가락(10) 중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의 하부를 지지하여 회전 구동에 의해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 보관되는 숟가락(10)을 한 개씩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인출부재(128)는 제1구동축(126)의 외측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인출부재(128)의 외주면에는 숟가락 보관부(110)에 적층 보관되는 숟가락(10) 중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의 자루부(14)가 안착되는 안착홈(128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숟가락 보관부(110)의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은 그 전단부가 헤드지지 브라켓(115)에 의해 지지되고, 자루부(14)가 인출부재(128)의 안착홈(128a) 내부에 안착된 상태로 보관되는데, 제1구동모터(124)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하게 되면, 인출부재(128) 또한 회전하게 되면서 안착홈(128a) 내부에 안착된 상태의 숟가락(10)이 숟가락 보관부(110)로부터 벗어나게 되고, 인출부재(128)가 90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숟가락(10)이 안착홈(128a)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숟가락 공급부(130)로 투하된다.
이때, 숟가락 공급부(130)로 투하되는 숟가락(10)의 바로 위에 위치되는 숟가락(10)은 회전하는 인출부재(128)에 의해 하강이 제한되다가, 숟가락(10)의 하부에 안착홈(128a)이 위치될 경우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자루부(14)가 안착홈(128a) 상에 안착되는데, 숟가락(10)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서는 상기 안착홈(128a)이 인출부재(128) 상에 90도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착홈(128a)의 형성 개수는 제1구동모터(124)의 구동 속도와 함께 숟가락 보관부(110)로부터 숟가락(10)을 인출하는 속도를 결정하는 요인이 되는데, 안착홈(128a)의 형성 개수가 4개 보다 많은 경우 안착홈(128a)으로부터 인출되는 숟가락(10)끼리 서로 충돌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상기 안착홈(128a)의 형성 개수가 4개 보다 적은 경우 원활한 숟가락(10)의 공급을 위해서는 그 만큼 제1구동모터(124)의 구동 속도가 빨라져야 하므로 숟가락 인출부(120)가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다음, 상기 숟가락 인출부(120)는 가이드 브라켓(12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가이드 브라켓(125)은 지지브라켓(122)에 고정 설치되어 인출부재(128)를 통해 인출되는 숟가락(10)을 숟가락 공급부(130)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브라켓(125)은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지지브라켓(122)의 후방 상단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인출부재(128)의 후방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수직부(125a)와, 상기 수직부(125a)의 하단에서 인출부재(128)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절곡부(125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인출부재(128)로부터 인출되는 숟가락(10)이 바로 숟가락 공급부(130)로 투하되는 경우 충격에 의해 숟가락(10)이 외부로 튕겨져 나가거나 정위치에 가지런히 투하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인출부재(128)의 하부로 절곡 형성되는 가이드 브라켓(125)의 절곡부(125b)를 통해 인출부재(128)로부터 투하되는 숟가락(10)이 숟가락 공급부(130)의 상부 정위치에 투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음, 상기 숟가락 공급부(130)는 숟가락 인출부(120)를 통해 인출되는 숟가락(10)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컨베이어 수단(132)과 제2구동모터(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1컨베이어 수단(132)은 숟가락 인출부(120)를 통해 인출되는 숟가락(10)을 사용자에게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2구동모터(134)는 제1컨베이어 수단(132)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제1컨베이어 수단(13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컨베이어 수단(132)은 제2구동축(132a)과, 종동축(132b), 제1 및 제2롤러(132c,132d), 컨베이어 벨트(132e) 및 지지프레임(132f)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구동축(132a)은 제2구동모터(134)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 설치되어 제2구동모터(134)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32e)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종동축(132b)은 제2구동축(132a)과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132e)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롤러(132c,132d)는 각각 제2구동축(132a)과 종동축(132b)에 결합되어 그 외주면에 컨베이어 벨트(132e)가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132e)는 제1 및 제2롤러(132c,132d)의 사이에 권취되어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가이드 브라켓(125)의 가이드에 의해 상부로 투하되는 숟가락(10)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며, 상기 지지프레임(132f)은 설치프레임(300)의 지지플레이트(310) 또는 받침판(314)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제1컨베이어 수단(132)을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1컨베이어 수단(132)은 이미 다양한 물품을 목적지까지 이송하기 위한 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보다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제2구동모터(134)를 구동시키면, 제2구동축(132a) 및 그 외측에 결합된 제1롤러(132c)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구동축(132a) 및 제1롤러(132c)의 회전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132e)가 회전하면서 그 상부로 투하되는 숟가락(10), 즉 숟가락 인출부(120)에 의해 인출되고 가이드 브라켓(125)에 의해 가이드되어 컨베이어 벨트(132e)의 상부로 투하되는 숟가락(10)을 연속적으로 사용자들에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숟가락 공급장치(100)는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숟가락 공급장치(100)가 설치되는 식당 등의 사용자 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숟가락(10)이 공급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가 한 싸이클(cycle) 씩만 작동하도록, 즉 1개의 숟가락을 숟가락 보관부(110)로부터 인출하여 숟가락 공급부(130)로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숟가락 공급부(130)의 컨베이어 벨트(132e) 또는 설치프레임(300)의 지지플레이트(310)상에 설치되는 안전프레임(312)에는 물체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컨베이어 벨트(132e) 상의 특정 위치, 즉 사용자가 숟가락(10)을 인출할 수 있는 제1인출구(312a) 내부에 수용된 위치에서의 숟가락(10)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숟가락(10)이 감지되는 경우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는 작동하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숟가락(10)을 들어올려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숟가락(1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제1 및 제2구동모터(124,134)가 한 싸이클 씩 구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젓가락 공급장치(200)는 숟가락 공급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설치프레임(300)의 지지플레이트(310)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내측에 수용되어 있는 젓가락(20)을 사용자에게 자동으로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도 9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구성은 크게 젓가락 보관부(210), 젓가락 인출부(220) 및 젓가락 공급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는 다수의 젓가락(20)을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하여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폭, 즉 도 9를 기준으로 하는 좌,우 방향으로의 길이는 젓가락(20)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내측에 수용된 젓가락(20)이 수평 방향으로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는 편심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내측에 경사면(215)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215)은 전방, 즉 젓가락(20)이 공급되는 도 10을 기준으로 하는 우측 방향을 향해 하향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내부에 수용된 젓가락(20)들이 전방 하단부를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방 하단, 즉 경사면(215)의 하단부와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방 내측벽 사이에는 젓가락(20)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212)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구(212)의 넓이, 즉 전,후 방향으로의 폭은 젓가락(20) 1개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2개 이상의 젓가락(20)이 한꺼번에 배출구(212)를 통해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단부 내측, 즉 상기 배출구(212)의 상부에 위치되는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단부 내측벽에는 폭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삼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 가이드프레임(217)이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프레임(217)은 젓가락 보관부(210) 내측에 수용된 젓가락(20)들이 배출구(212)의 상부에 너무 많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여 배출구(212)를 통한 젓가락(20)의 배출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방 하단에 형성되는 배출구(212)의 상부에 너무 많은 젓가락(20)들이 수직 방향으로 쌓이는 경우 압력에 의해 배출구(212)를 통한 젓가락(20)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17)에 의해 배출구(212) 상부에 젓가락(20)들이 너무 많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내측 상단에는 자외선에 의해 내부에 적층된 젓가락(20)들을 살균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살균부(216)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자외선살균부(216)로는 자외선 램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면에는 다수의 관통홀(214)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관통홀(214)은 후술할 젓가락 인출부(220)를 구성하는 가이드롤러(224d)의 회전이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면에 의해 제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 상기 젓가락 인출부(220)는 젓가락 보관부(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수평 방향으로 수용된 상태의 젓가락(20) 중 최하단에 위치되는 젓가락(20)을 한 개씩 인출하여 젓가락 공급부(230)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222), 젓가락 인출수단(224) 및 젓가락 배출수단(22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고정프레임(222)은 젓가락 보관부(2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2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젓가락 보관부(210) 및 젓가락 인출부(220)가 설치프레임(300)의 지지플레이트(310) 상부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플레이트(310)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젓가락 공급장치(2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222)의 전면에는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되어 후술할 이동통로(224a)를 통해 하강한 젓가락(20)을 젓가락 배출수단(226)의 구동에 의해 고정프레임(222)의 외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통로(222a)가 형성되는데, 상기 배출통로(222a)의 높이는 젓가락(20)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2개 이상의 젓가락(20)들이 한꺼번에 배출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출통로(222a)에는 개폐도어(222c)가 구비되는데, 상기 개폐도어(222c)는 젓가락 배출수단(226)에 의한 가압이 있는 경우에만 개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통로(222a)의 상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222)의 전단부 외측면에는 개폐도어(222c)의 상단이 결합되는 도어결합부(222b)가 설치되고, 상기 개폐도어(222c)는 그 상단부가 도어결합부(222b)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후술할 젓가락 배출수단(226)의 전방 구동에 의해 배출통로(222a)에 위치된 젓가락(20)이 가압되는 경우에만 젓가락 배출수단(226)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개폐도어(222c)가 도어결합부(222b)를 중심으로 외측, 즉 전방으로 회동하여 열리게 되고, 젓가락(20)의 배출이 완료되어 젓가락 배출수단(226)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개폐도어(222c)의 자중에 의해 개폐도어(222c)가 도어결합부(222b)를 중심으로 하여 내측, 즉 후방으로 회동하여 배출통로(222a)를 다시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폐도어(222c)와 도어결합부(222b)는 다수 개로 분리 구성될 수도 있으나, 후술할 이동통로(224a)에 적층되어 있는 젓가락(20)들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젓가락 배출수단(226)으로부터의 가압력이 없는 경우에도 개폐도어(222c)가 개방될 수 있으므로, 배출통로(222a)를 전체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하나의 개폐도어(222c)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상기 배출통로(222a)의 하부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222)에는 전방을 향해 하향 기울기를 갖는 가이드부재(225)가 설치되어 배출통로(222a)를 통해 배출되는 젓가락(20)을 젓가락 공급부(230)의 상부로 안전하게 투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젓가락 인출수단(224)은 고정프레임(222)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210)에 수용된 젓가락(20)들을 하나씩 인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이동통로(224a)와 제1모터(224b), 제1구동축(224c) 및 가이드롤러(224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이동통로(224a)는 젓가락 보관부(210)의 하단, 즉 배출구(21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젓가락 보관부(210)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어 있는 젓가락(20)을 하나씩 하부, 즉 배출통로(222a)를 향해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이동통로(224a)는 고정프레임(222)의 전단부 내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배출구(212)와 배출통로(222a)의 사이에 수직 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이동통로(224a)의 전,후 방향으로의 폭 또한 배출구(212)와 마찬가지로 젓가락(20) 1개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어 2개 이상의 젓가락(20)이 한꺼번에 이동통로(224a)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제1모터(224b)는 고정프레임(222)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가이드롤러(224d)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1구동축(224c)는 제1모터(224b)에 연결 설치되어 제1모터(224b)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가이드롤러(224d)에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구동축(224c)의 일측 단부는 제1모터(224b)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 설치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프레임(222)의 타측 단부에 베어링에 의해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다음, 상기 가이드롤러(224d)는 제1구동축(224c)에 축설되어 이동통로(224a)를 통해 젓가락(20)이 하부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종단면은 통상의 원형이 아닌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가이드롤러(224d)는 좌,우 방향의 폭이 상,하 방향의 폭 보다 좁게 형성되는데, 상기 제1모터(224b)의 구동에 의해 구동축(224c)이 회전하여 가이드롤러(224d)가 좌,우 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이동통로(224a)가 개방되어 젓가락(20)이 이동통로(224a)를 통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제1모터(224b)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롤러(224d)가 상,하 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롤러(224d)에 의해 이동통로(224a)가 차단되어 젓가락(20)이 이동통로(224a)를 통해 하부로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롤러(224d)의 원활한 회전 구동을 위해 상기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홀(214)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롤러(224d)가 이동통로(224a)의 일측만을 차단할 경우, 젓가락(20)이 가이드롤러(224d)를 타고 회전하면서 이동통로(224a)를 통해 빠져나가게 될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이동통로(224a)를 통한 젓가락(20)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롤러(224d)가 젓가락(2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야 하지만, 가이드롤러(224d)가 길게 형성되는 경우, 가이드롤러(224d)의 회전 구동을 위해 젓가락 보관부(210)의 전면에 형성되는 관통홀(214) 또한 길게 형성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젓가락(20)이 관통홀(214)을 통해 외부로 유출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롤러(224d)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다수 개로 분할 형성함으로써 관통홀(214)을 통한 젓가락(20)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젓가락(20)의 상단, 중단, 하단을 각각 제한할 수 있도록 3개의 가이드롤러(224d)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젓가락 배출수단(226)은 젓가락 인출수단(224)에 의해 젓가락 보관부(210)로부터 인출된 젓가락(20)을 고정프레임(222)의 외측, 즉 젓가락 공급부(230)의 상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모터(226a), 크랭크축(226b), 커넥팅로드(226c) 및 배출부재(226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2모터(226a)는 젓가락 인출수단(224)의 후방에 위치되는 고정프레임(222)에 고정 설치되어 배출부재(226d)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크랭크축(226b)은 제2모터(226a)의 모터축(미도시)에 편심 결합되어 제2모터(226a)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을 커넥팅로드(226c)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크랭크축(226b)의 일측 단부는 제2모터(226a)의 모터축(미도시)에 편심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고정프레임(222)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228)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 지지된다.
다음, 상기 커넥팅로드(226c)는 일측 단부가 크랭크축(226b)의 중앙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제2모터(226a)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구동력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커넥팅로드(226c)의 타측 단부는 배출부재(226d)에 연결 설치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모터(226a)가 구동하면, 모터축에 편심 결합된 크랭크축(226b)은 모터축을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모터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운동, 즉 모터축으로부터 편심된 만큼의 거리를 반경으로 하는 원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크랭크축(226b)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된 커넥팅로드(226c)는 원운동의 회전반경에 해당하는 거리의 두 배만큼의 거리, 즉 모터축과 크랭크축(226b) 사이의 거리의 두 배만큼의 거리를 왕복운동하게 되어 타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배출부재(226d)를 전,후 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크랭크축(226b)은 제2모터(226a)로부터 발생되는 회전구동을 커넥팅로드(226c)의 왕복 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구성이므로, 제2모터(226a)에 연결 설치되는 캠 부재(미도시)와, 상기 캠 부재에 편심 결합되는 회전축(미도시)으로 구성하고, 상기 커텍팅로드(226c)가 회전축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 상기 배출부재(226d)는 커넥팅로드(226c)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전,후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에 의해 배출통로(222a)에 위치되는 젓가락(20)을 고정프레임(222)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배출부재(226d)가 전진 구동을 할 경우 배출통로(222a)에 위치된 젓가락(20)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부재(226d)가 후진 구동을 하는 경우에는 젓가락(20)이 배출통로(222a)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배출부재(226d)는 그 후방 단부가 커넥팅로드(226c)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되고, 배출부재(226d)의 전방 하단부에는 젓가락 인출수단(224)을 통해 인출되어 배출통로(222a) 상에 존재하는 젓가락(20)의 후방에 위치되는 돌출부(226g)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제2모터(226a)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축(226b)이 회전하여 커넥팅로드(226c)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커넥팅로드(226c)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된 배출부재(226d) 또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배출부재(226d)의 전방 하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226g)가 배출통로(222a) 상에 존재하는 젓가락(20)을 전방으로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가압력에 의해 배출통로(222a) 상에 구비된 개폐도어(222c)가 도어결합부(222b)를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회동하면서 개방되어 젓가락(20)이 배출통로(222a)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젓가락(20)은 배출통로(222a)의 하부에 구비된 가이드부재(225)에 의해 가이드되어 젓가락 공급부(230)의 상부에 안정적으로 투하된다.
이때, 배출된 젓가락(20)의 상부에 위치되는 젓가락(20)은 배출부재(226d)의 돌출부(226g)에 의해 하강이 제한되어 배출통로(222a)로 하강하지 못하고, 이동통로(224a)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모터(226a)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축(226b)이 회전하여 커넥팅로드(226c)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커넥팅로드(226c)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된 배출부재(226d) 또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배출된 젓가락(20)의 상부에 위치해 있던 새로운 젓가락(20)이 이동통로(224a)의 하단으로부터 하강하여 배출통로(222a)로 이동하게 되고, 배출통로(222a) 상에 구비된 개폐도어(222c)는 자중에 의해 도어결합부(222b)를 중심으로 하여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배출통로(222a)를 폐쇄시키게 되어 배출통로(222a)로 이동된 새로운 젓가락(20)은 배출통로(222a)를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배출통로(222a) 상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부재(226d)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226e)가 연결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탄성부재(226e)는 배출부재(226d)의 급격한 구동을 방지함으로써 젓가락(20) 배출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재(226d)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 고정구(226e)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 고정구(226e)의 사이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226e)가 고정 설치되는데, 이러한 경우 커넥팅로드(226c)로부터 배출부재(226d)로 전달되는 구동력이 탄성부재(226e)에 의해 완충된 상태로 배출부재(226d)의 전단부에 형성된 돌출부(226g)로 전달되므로 전,후방으로의 왕복 구동 한 싸이클(cycle)에 1개의 젓가락(20)만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젓가락 배출수단(226)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배출부재(226d)를 커넥팅로드(226c)의 전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후방부재와, 상기 후방부재의 전방으로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고 돌출부(226g)를 포함하는 전방부재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후방부재와 전방부재 사이에 탄성부재(226e)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탄성부재(226e)에 의한 작용력, 즉 완충력이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젓가락 공급부(230)는 젓가락 인출부(220)의 젓가락 배출수단(226)에 의해 배출되는 젓가락(20)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컨베이어 수단(232)과 제3모터(2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제2컨베이어 수단(232)은 젓가락 인출부(220)의 하부에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배출통로(222a)를 통해 배출되는 젓가락(20)을 사용자에게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제3모터(234)는 제2컨베이어 수단(232)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제2컨베이어 수단(232)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컨베이어 수단(232)은 제2구동축(232a)과, 종동축(232b), 제1 및 제2롤러(232c,232d), 컨베이어 벨트(232e)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2구동축(232a)은 제3모터(234)의 모터축(미도시)에 연결 설치되어 제3모터(234)로부터 발생되는 구동력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32e)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종동축(232b)은 제2구동축(232a)의 후방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컨베이어 벨트(232e)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롤러(232c,232d)는 각각 제2구동축(232a)과 종동축(232b)에 결합되어 그 외주면에 컨베이어 벨트(232e)가 권취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컨베이어 벨트(232e)는 제1 및 제2롤러(232c,232d)의 사이에 권취되어 연속적인 회전에 의해 가이드 부재(225)의 가이드에 의해 상부로 투하되는 젓가락(20)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2컨베이어 수단(232)은 전술한 숟가락 공급장치(100)의 제1컨베이어 수단(132)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젓가락 공급장치(200)는 제1 내지 제3모터(224b,226a,23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내지 제3모터(224b,226a,234)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젓가락 공급장치(200)가 설치되는 식당 등의 사용자 수에 따라 상기 제1 내지 제3모터(224b,226a,234)의 구동 속도를 조절하여 젓가락(20)이 공급되는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은 제1 및 제2모터(224b,226a)는 두 싸이클(cycle) 단위로 작동하고, 상기 제3모터(234)는 한 싸이클 단위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는데, 이는 젓가락 인출부(22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모터(224b,226a)의 구동에 의해 두 개, 즉 한 쌍의 젓가락(20)을 젓가락 공급부(230)의 제2컨베이어 수단(232) 상부로 투하시킨 후, 투하된 한 쌍의 젓가락(20) 단위로 제2컨베이어 수단(232)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젓가락 공급부(230)의 컨베이어 벨트(232e) 또는 설치프레임(300)의 지지플레이트(310) 상에 설치되는 안전프레임(312)에는 물체감지센서(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물체감지센서는 컨베이어 벨트(232e) 상의 특정 위치, 즉 사용자가 공급된 젓가락(20)을 집어갈 수 있는 제2인출구(312b) 내부 위치에서의 젓가락(20)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젓가락(20)이 감지되는 경우 제1 내지 제3모터(224b,226a,234)는 작동하지 않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젓가락(20)을 들어올려 상기 물체감지센서에 의해 젓가락(2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만 제1 및 제2모터(224b,226a)는 두 싸이클(cycle) 단위로 작동하고, 상기 제3모터(234)는 한 싸이클 단위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저 자동 공급장치(1)에 의하면, 비교적 단순한 구성에 의해 다량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위생적으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이러스 전파와 같은 위생 문제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여 필요에 따라 설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숟가락과 젓가락의 공급 주기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공급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내식당, 뷔페식당 등과 같은 식당에 주로 설치되어 다수의 숟가락과 젓가락을 정렬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보관된 숟가락 및 젓가락을 자동으로 인출하여 사용자들에게 공급해줄 수 있도록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1 : 수저 자동공급장치 10 : 숟가락
12 : 헤드부 14 : 자루부
20 : 젓가락 100 : 숟가락 공급장치
110 : 숟가락 보관부 112 : 제1지지프레임
114 : 제2지지프레임 115 : 헤드지지 브라켓
116 : 커버프레임 118, 216 : 자외선 살균부
120 : 숟가락 인출부 122 : 지지브라켓
124 : 제1구동모터 125 : 가이드 브라켓
125a : 수직부 125b : 절곡부
126 : 제1구동축 128 : 인출부재
128a : 안착홈 130 : 숟가락 공급부
132 : 제1컨베이어 수단 132a, 232a : 제2구동축
132b, 232b : 종동축 132c, 232c : 제1롤러
132d, 232d : 제2롤러 132e, 232e : 컨베이어 벨트
132f, 232f : 지지프레임 134 : 제2구동모터
200 : 젓가락 공급장치 210 : 젓가락 보관부
212 : 배출구 214 : 관통홀
215 : 경사면 217 : 가이드프레임
220 : 젓가락 인출부 222 : 고정프레임
222a : 배출통로 222b : 도어결합부
222c : 개폐도어 224 : 젓가락 인출수단
224a : 이동통로 224b : 제1모터
224c : 제1구동축 224d : 가이드롤러
225 : 가이드부재 226 : 젓가락 배출수단
226a : 제2모터 226b : 크랭크축
226c : 커넥팅로드 226d : 배출부재
226e : 탄성부재 226f : 탄성부재 고정구
226g : 돌출부 228 : 고정브라켓
230 : 젓가락 공급부 232 : 제2컨베이어 수단
234 : 제3모터 300 : 설치프레임
310 : 지지플레이트 312 : 안전프레임
312a : 제1인출구 312b : 제2인출구
320 : 설치공간 330 : 수납부
332: 도어 340 : 지지수단
342 : 다리부재 344 : 바퀴

Claims (17)

  1. 지면에 설치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설치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보관되는 숟가락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숟가락 공급장치 및
    상기 설치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내부에 수용되는 젓가락을 자동으로 공급하는 젓가락 공급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젓가락 공급장치는,
    다수의 젓가락이 내측에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 보관부와,
    상기 젓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상태의 젓가락을 인출하여 젓가락 공급부로 배출하는 젓가락 인출부 및
    상기 젓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인출된 젓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젓가락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젓가락 인출부는 젓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에 설치되어 젓가락 보관부에 수용된 젓가락을 인출하는 젓가락 인출수단 및 상기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젓가락 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젓가락을 젓가락 공급부로 배출시키는 젓가락 배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젓가락 인출수단은 젓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수평 방향으로 수용되는 젓가락을 하나씩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동통로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끼움 결합되어 이동통로를 통한 젓가락의 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은 상부에 숟가락 공급장치 및 젓가락 공급장치가 고정 설치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설치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설치프레임을 지면 상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다리부재와, 상기 설치프레임의 하단 모서리 부분에 착탈 가능하도록결합되는 바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숟가락 공급장치의 숟가락 공급부와, 젓가락 공급장치의 젓가락 공급부가 내측으로 수용되는 안전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안전프레임에는 숟가락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숟가락과, 젓가락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젓가락을 사용자가 꺼내어 쓸 수 있도록 하는 제1 및 제2인출구가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 공급장치는,
    다수의 숟가락이 적층된 상태로 보관되는 숟가락 보관부와,
    상기 숟가락 보관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적층된 상태의 숟가락을 한 개씩 인출하는 숟가락 인출부 및
    상기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어 인출된 숟가락을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숟가락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 보관부는 후방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숟가락의 헤드부를 지지하는 제1지지프레임과, 전방이 개구되는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숟가락 자루부 후방 단부를 지지하는 제2지지프레임 및 제1 및 제2지지프레임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커버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하단에는 숟가락 보관부 내에서 최하단에 위치되는 숟가락의 헤드부 하부를 지지하는 헤드지지 브라켓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 인출부는 숟가락 보관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지지브라켓의 일측 단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와,
    상기 제1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1구동축 및
    상기 제1구동축에 끼움 결합되고, 외주면에 숟가락의 자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인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숟가락 공급부는 숟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 보관부는 편심 호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젓가락 보관부의 전방 하단에는 젓가락이 한 개씩 수평 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12. 삭제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 전면에는 젓가락 배출수단에 의해 젓가락을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배출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통로에는 젓가락 배출수단으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개방되고, 자중에 의해 배출통로를 폐쇄시키는 개폐도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 배출수단은 고정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편심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크랭크축과, 상기 크랭크축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커넥팅로드 및 상기 커넥팅로드의 전방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왕복 운동에 의해 젓가락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재의 전방 하단부에는 젓가락 인출수단에 의해 인출된 젓가락을 젓가락 공급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부재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젓가락 공급부는 젓가락 인출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컨베이어 수단과, 상기 컨베이어 수단의 일측 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제3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 자동 공급장치.



KR1020200119219A 2020-09-16 2020-09-16 수저 자동 공급장치 KR102458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19A KR102458867B1 (ko) 2020-09-16 2020-09-16 수저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219A KR102458867B1 (ko) 2020-09-16 2020-09-16 수저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99A KR20220036699A (ko) 2022-03-23
KR102458867B1 true KR102458867B1 (ko) 2022-10-25

Family

ID=80963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219A KR102458867B1 (ko) 2020-09-16 2020-09-16 수저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8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3510Y1 (ko) 2007-06-14 2009-02-19 윤주복 수저 인출 장치
KR101103016B1 (ko) * 2009-10-08 2012-01-05 안형준 다기능 전기밥솥
KR20110051355A (ko) * 2009-11-10 2011-05-18 황정훈 안정된 인출구조를 갖는 수저통
KR20110005741U (ko) * 2009-12-03 2011-06-10 김은지 위생 수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699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21357B2 (ja) チューブ型検体容器自動供給装置
JP5665758B2 (ja) ペトリ皿内の製品を計量分配する装置
US11529003B2 (en) Cutlery dispensing system
ITMI20120295A1 (it) Macchina distributrice automatica di prodotti
JP2004184182A (ja) 分注チップ自動供給装置
KR102458867B1 (ko) 수저 자동 공급장치
KR102458872B1 (ko) 젓가락 공급장치
KR101198480B1 (ko) 식기 자동공급장치
KR102458869B1 (ko) 숟가락 공급장치
KR101389538B1 (ko) 용기 자동이송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아이스크림 판매기
US3980204A (en) Tray dispenser apparatus
CN113744453B (zh) 一种饭菜自动售卖机
KR102660050B1 (ko) 숟가락 공급장치
KR102660051B1 (ko) 젓가락 공급장치
US20140131376A1 (en) Device for delivering by launch products from a vending machine
CN109846299B (zh) 一种整套餐具自动发放装置
KR101528368B1 (ko) 살균 및 건조기능을 갖는 식기 자동 공급장치
CN114916796B (zh) 一种智能针剂柜
KR102405869B1 (ko) 개별 슬라이드 인출이 가능한 위생 젓가락 보관함
CN215022532U (zh) 一种适用于不同规格药盒的发药装置
CN218219835U (zh) 一种无接触存取餐具机
CN215878809U (zh) 一种具有筛选功能的食品检测传送装置
CN113475853A (zh) 一种智能餐桌
CN105844306A (zh) 一种全自动发卡机构
CN106697977B (zh) 自动翻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