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216966A1 - 다층 점착 테이프 - Google Patents

다층 점착 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216966A1
WO2018216966A1 PCT/KR2018/005710 KR2018005710W WO2018216966A1 WO 2018216966 A1 WO2018216966 A1 WO 2018216966A1 KR 2018005710 W KR2018005710 W KR 2018005710W WO 2018216966 A1 WO2018216966 A1 WO 20182169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sensitive adhesive
weight
pressur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57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슬
임동훈
서주용
최준만
김우연
송호경
홍재성
김장순
서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18805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97713A4/en
Priority to CN201880020811.4A priority patent/CN110506088B/zh
Priority to US16/500,629 priority patent/US11091674B2/en
Priority to JP2019549433A priority patent/JP7088952B2/ja
Publication of WO20182169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2169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1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without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09J7/38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 C09J7/381Pressure-sensitive adhesives [PSA]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385Acrylic 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18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2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 C09J2301/208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itself the adhesive layer being constituted by at least two or more adjacent or superposed adhesive layers, e.g. multilayer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5Bonding or intermediate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e.g. sealant or spacer
    • C09K2323/057Ester polymer, e.g. polycarbonate, polyacrylate or polyest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Definitions

  • a multilayer adhesive tape is provided.
  • various members are attached to the electronic device by an adhesive.
  • various optical members such as a polarizing plate, a retardation plate,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a reflective sheet, a protective film, and a brightness enhancing film may be attached to the liquid crystal display (LCD) by an adhesive tape.
  • LCD liquid crystal display
  • an adhesive tape In recent years, with the improvement of the performance of the apparatus which uses an adhesive tape, the physical property calculated
  • a multi-layered adhesive tape that exhibits high step embedding properties, at the same time has high rework properties, and has high punchability.
  •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Middle adhesive layer; And a second outer adhesive layer is sequentially provided, wherei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is -40 ° C. or more and 0 ° C. or less,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are-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of 60 degreeC or more and -20 degrees C or less, and the difference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of the said 1st outer side adhesion layer and the said 2nd outer side adhesion laye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aid intermediate
  • middle adhesion layer is 5 degreeC or more and 25 degrees C or less.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xhibits high step embedding property and at the same time has a high rework property.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has high punchability, errors in cutting may be minimized.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aminated structure of a multilayer adhesive ta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polymerization unit of monomer means a form in which the monomer forms a backbone, for example, a main chain or a side chain of the polymer through a polymerization reaction.
  • the unit "parts by weight” means the ratio of the weight between each component.
  •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Middle adhesive layer; And a second outer adhesive layer is sequentially provided, wherei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is -40 ° C. or more and 0 ° C. or less,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are-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of 60 degreeC or more and -20 degrees C or less, and the difference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of the said 1st outer side adhesion layer and the said 2nd outer side adhesion layer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aid intermediate
  • middle adhesion layer is 5 degreeC or more and 25 degrees C or less.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laminated structure of a multilayer adhesive tap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pecifically, FIG. 1 illustrates that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101,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201,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102 are sequentially stacked.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is 5 °C °C heating rate in the temperature range of -70 °C to 100 °C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Q) (Q-1000, manufactured by TA Instrument) Measure by raising the temperature to / min. At this time,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determined as the midpoint of the DSC curve.
  • DS-Q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may be high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of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Accordingly,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may have a higher tensile force. Since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includes an intermediate adhesive layer having a relatively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nd a high tensile strength,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does not break easily when attached to the adherend and then removed for re-installation. Specifically,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may play a role of improving the reworkability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 first outer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have a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high step filling ability can be realized.
  •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have a high fluidity by the low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Accordingly,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can be effectively embedded in the member having the stepped portion.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may include a plurality of adhesive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properties, thereby having high step filling and high rework.
  • the adhesive tape may exhibit optimal performance. .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40 ° C or more and 0 ° C or less, -40 ° C or more and -15 ° C or less, -40 ° C or more and -20 or less, or -35 ° C or more and -25 ° C or less.
  • punchability of the multi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be improved, and handling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be easy.
  • the multi-layered adhesive tape may have improved stepped embedding.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of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60 ° C or higher and -20 ° C or lower, -60 ° C or higher -30 ° C or lower, -60 ° C or higher -40 ° C or lower, or -55 ° C, respectively. Or more than -45 ° C.
  • the multi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implement excellent step filling. Further, withi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rang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gradation of the punchability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 the midd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be polymerized units of an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Polymerized units of a cyclo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And an intermediate adhesive polymer comprising polymerized units of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 the content of the polymerized unit of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is 30 to 90 parts by weight, 50 to 85 parts by weight or 6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polymer. It may be 85 parts by weight or more by weight.
  • the content of the polymerized unit of the cyclo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is more than 0 parts by weight and 30 parts by weight or less, 5 parts by weight and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ymer. 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5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may have an appropriate adhesive force, and may be appropriately embedded in a member having a step. have. In addition, within the content range,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may have improved reworkability.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can maintain a suitable strength, it can be easily removed from the adherend when re-installation is required.
  •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easily applied and cured. Furthermore, within the content rang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sudden increase in delayed bubbles in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 the content of the polymerized unit of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greater than 0 parts by weight and 20 parts by weight, 5 parts by weight and 20 parts by weight, or 5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polymer. It may be 15 parts by weight or more.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may have a rework and a step filling at the appropriate level at the same time. Specifically, within the content range, it is possible to ensure an appropriate cohesive force of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ccordingly, the multi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have a high rework and step filling.
  • delayed bubble occurs after a certain time after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is bonded to the adherend ) Can be suppressed.
  •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each independently a polymerization unit of an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And an outer adhesive polymer including polymerized units of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 the content of the polymerized unit of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is 50 parts by weight to 98 parts by weight, 70 parts by weight to 98 parts by weight, 8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uter adhesive polymer. 95 parts by weight or more, or 90 parts by weight or more and 95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content of the polymerized unit of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greater than 0 parts by weight and 20 parts by weight, more than 0 parts by weight and 10 parts by weight or less, 1 part by weight or mo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uter adhesion polymer. 10 parts by weight or less, or 3 parts by weight or more and 7 parts by weight or less.
  • the content of the polymerized unit of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implemented at an appropriate level at the same time at the same time the adhesion and the step filling of the multi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y implement an appropriate adhesive force.
  • the outer adhesive polymer may further include a polymerization unit of a heterocyclo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 the heterocycloalkyl group may include a ring structure in which a unsaturated bond is not present in a functional group and a hetero element other than carbon is included. Furthermore, the heterocycloalkyl group may include a structure in which one or more carbons are substituted with heterogeneous elements in the structure of a monocyclic ring or a polycyclic ring having 3 to 20 carbon atoms.
  • the heterocyclo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s include tetrahydroperfuryl acrylate (THFA), 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tetrahydropyranyl acrylate (THPA), acryloylmorpholine, and cyclictrimethyl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l propane foam acrylate (CTFA, cyclictrimethylol-propaneformalacry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ntent of the polymerized unit of the heterocyclo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may be 1 part by weight or more and 15 parts by weight or less, specifically 5 parts by weight or more and 15 parts by weight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outer adhesive polymer.
  • the intermediate adhesive polymer may be form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n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a cyclo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and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 the intermediate adhesive polymer may be formed by polymerizing the monomers through thermal polymerization and / or photopolymerization of the composition.
  • the first outer adhesive polymer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polymer may each be formed by solution polymerization of a composition including an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and a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 the first outer adhesive polymer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polymer may be formed by polymerizing the monomers through thermal polymerization and / or photopolymerization of the composition.
  • the intermediate adhesive polymer, the first outer adhesive polymer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polymer may each further include additional materials such as a crosslinking agent,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tackifier, and the like, which are generally used in the art.
  •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or "methacrylate”.
  • the cycloalkyl group may include a carbon ring structure in which no unsaturated bond is present in the functional group. Furthermore, the cycloalkyl group may include a monocyclic ring or a polycyclic ring having 3 to 20 carbon atoms.
  •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may be a (meth) acrylate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 the 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is meth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isobornylm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n-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sec-but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2-methyl Hexyl (meth) acrylate, 2-ethylbut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and isooctyl (meth)
  • the cycloalk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is cyclohexyl acrylate (CHA), cyclohexyl methacrylate (CHMA), isobornyl acrylate (IBOA), isobornyl methacrylate (IBOMA), isobornylmethyl (meth ) Acrylate, and 3,3,5-trimethylcyclohexyl acrylate (TMCHA, 3,3,5-trimethylcyclohexylacrylate)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ar functional group-containing monomer may include at least one monom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d a nitrogen-containing monomer.
  • the hydroxy group-containing monomer is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8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octyl (meth) acrylate, 2-hydrox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and 2-hydroxypropylene glycol (meth) acrylate. .
  •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2-carboxyethyl acrylic acid, 3-carboxypropyl acrylic acid, 2- (meth) acryloyloxy acetic acid, 3- (meth) acryloyloxy propyl acid, 4- (meth Acryloyloxy butyric acid, acrylic acid duplex, itaconic acid and maleic acid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itrogen-containing monomer is 2-isocyanatoethyl (meth) acrylate, 3-isocyanatopropyl (meth) acrylate, 4-isocyanatobutyl (meth) acrylate, (meth) acrylamide, It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vinyl pyrrolidone, dimethylacrylamide and N-vinyl caprolactam,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may be 30 ⁇ m or more and 100 ⁇ m or less, 50 ⁇ m or more and 100 ⁇ m or less, 50 ⁇ m or more and 80 ⁇ m or less, or 60 ⁇ m or more and 80 ⁇ m or less.
  •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in the above range, since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has an appropriate hardness, it can implement excellent rework properties and step filling.
  • the thickness of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may be 25 ⁇ m or more and 60 ⁇ m or less, specifically 25 ⁇ m or more and 50 ⁇ m or less.
  • the multi-layered adhesive tape may have excellent step filling.
  • the total thickness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may be 100 ⁇ m or more and 250 ⁇ m or less, specifically, 100 ⁇ m or more and 200 ⁇ m or less, or 120 ⁇ m or more and 170 ⁇ m or less.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may have high adhesiveness, step absorbency, and reworkability at the same time, although having a thin thickness.
  •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using a composition having the same composition. Furthermore, the thickness of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may be the same.
  • the thickness ratio of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thickness ratio of the second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nd the midd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1: 4 to 2: 1, specifically 1: 0.7 to 1: 2, Or 1: 0.7 to 1: 1.5.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may have excellent step filling and reworkability at the same time, and excellent punching performance. can do.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may include a first interfacial mixture layer provided between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and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And a second interfacial mixed layer provided between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and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 the first interfacial mixed layer may include both a material constituting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and a material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 the second interfacial mixture layer may include both a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and a material constituting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 FIG. 2 illustrates a first interfacial mixed layer 301 provided between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101 and the middle adhesive layer 201, and between the middle adhesive layer 201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102.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with which the 2nd interface mixing layer 302 was provided is shown.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may be prepared by sequentially stacking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curing and specifically photocuring.
  •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stitutes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fter curing
  •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stitutes the midd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fter curing
  • the second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rdens the second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fter curing.
  • the multi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be manufactured by a method of curing the layers after laminating the liquid composition, instead of separately manufacturing each layer and then bonding them. Accordingly, a liquid mixing section may occur between each layer constituting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 the multi-layered adhesive tape can ensure excellent interlayer adhesion strength compared to the general multi-layered adhesive tape by such a liquid mixing section, and the interlayer interface separation phenomenon may not occur even in a cryogenic environment.
  •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interface between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present in the interface layer according to the liquid mixture.
  • the interface layer according to the liquid mixture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stitute the first interface mixed layer after curing.
  • the interfacial layer according to the liquid mixture at the interface of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second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constitute the second interface mixed layer after curing.
  •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second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sequentially applied on the substrate.
  • the first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second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sequentially on the substrate at the same tim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pplied by a method generally used in the art such as a slot die and a lip die.
  • the thickness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may be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interface mixed layer to the center of the second interface mixed layer.
  • the thickness of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may be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interface mixed lay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may be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interface mixed layer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 the multilay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may be prepared by curing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to films, respectively, and then plywood them. Specifically,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may be prepared by separately manufacturing the first outer adhesive layer, the middle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outer adhesive layer in the form of a film, and then sequentially stacking them and then compressing the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may be manufactured using a manufacturing method generally applied in the art.
  •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can be used for the application of various optical members such as a polarizing plate, a retardation plate,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a reflective sheet, a protective film, and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 various optical members such as a polarizing plate, a retardation plate, an optical compensation film, a reflective sheet, a protective film, and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to the use that can be used in the art.
  • an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80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10 parts by weight of isobornyl methacrylate, and 10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was prepared.
  • an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94 parts by weight of 2-ethylhexyl acrylate and 6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was prepared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e intermediat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ere sequentially applied to a thickness of 45 ⁇ m, 60 ⁇ m and 45 ⁇ m, respectively, and then cured at the same time through UV irradiation to form a first out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n intermediat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layer. And a multilayer adhesive tape provided with a second outer adhesive layer sequentially.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iddle adhesive layer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according to Example 1 was about ⁇ 30 ° C.,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adhesive layers was about ⁇ 50 ° C.
  • a multilayer adhesive tap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crylic acid of the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changed to 2-carboxyethyl acrylic acid.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iddle adhesive layer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according to Example 2 was about ⁇ 30 ° C.,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uter adhesive layers was about ⁇ 50 ° C.
  • a multilayer adhesive tap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acrylic acid in the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adjusted to 1 part by weight.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which concerns on the comparative example 1 was about -30 degreeC,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of the 1st and 2nd outer adhesive layers was about -70 degreeC.
  • a multilayer adhesive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acrylic acid content of the outer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adjusted to 15 parts by weight.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which concerns on the comparative example 2 was about -30 degreeC,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of the 1st and 2nd outer adhesive layers was about -10 degreeC.
  • a multilayer adhesive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isobornyl methacrylate of the intermediat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adjusted to 30 parts by weight and the content of acrylic acid of the outer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was adjusted to 2 parts by weight.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which concerns on the comparative example 3 was about 5 degreeC,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of the 1st and 2nd outer adhesive layers was about -60 degreeC.
  • a multilayer adhesive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content of isobornyl methacrylate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composition was adjusted to 2 parts by weight.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which concerns on the comparative example 4 was about -50 degreeC,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of the 1st and 2nd outer adhesive layers was about -50 degreeC.
  • a multilayer adhesive tap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intermediat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did not include isobornyl methacrylate and the intermediat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ntained 22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intermediate adhesive layer of the multilayer adhesive tape which concerns on the comparative example 5 was about -30 degreeC,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each of the 1st and 2nd outer adhesive layers was about -50 degreeC.
  • composition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the said Example comparative example are put together in following Table 1.
  • the multilayered adhesive tape manufactured was attached on the glass substrate which has the bezel part which has a printing step of 20 micrometers, and the screen part which does not have a printing step, and laminated the glass substrate of 0.55T thickness on it.
  • the number of bubbles generated by not sufficiently overcoming the steps at four vertices of the bezel and delayed bubbles at the screen after 24 hours have elapsed. bubbles) were checked to evaluate the level filling. Specifically, when there are two or less delayed bubbles and no delayed bubbles occur, " ⁇ ", two to three delayed bubbles, and weakly generated delayed bubbles (delayed bubbles) occur. In the case of "o”, 3 to 4 delayed bubbles are present. If delayed bubbles occur strongly, " ⁇ ” is 4 or more delayed bubbles and delayed bubbles. When a bubble generate
  • the punching performance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steaming occurring at the time of punching and the blade part and the steaming part by using a Thompson punching machine and reducing the yield rate of the punching process using a Thompson punching machine. Specifically, when it is punched without steaming, the punching process yield is 95% or more, and when the adhesive does not flow down from the punching surface after one week after the punching, it is punched without "steaming", and the punching process yield is 80 If more than 95% and less than one week after the punching, if no adhesive flows from the punching surface, " ⁇ ", the steaming without the occurrence of steaming, the punching process yield is more than 50% and less than 80%, one week after the punching If the adhesive flows from the punching surface after the occurrence of " ⁇ ", it is punched without steaming, the punching process yield is less than 50%, if the adhesive flows from the punching surface after one week after the punching occurs " X "was evaluat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높은 단차 매립성을 나타내고, 동시에 높은 리워크성을 가지며, 높은 타발성을 갖는 다층 점착 테이프가 제공된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40 ℃ 이상 0 ℃ 이하이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각각 -60 ℃ 이상 -20 ℃ 이하이고,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와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의 차이는 5 ℃ 이상 25 ℃ 이하인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점착 테이프
다층 점착 테이프가 제공된다.
전자 기기에는 다양한 부재들이 점착제에 의하여 부착된다.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에는 편광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반사 시트, 보호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 부재가 점착 테이프에 의하여 부착될 수 있다. 최근, 점착 테이프를 사용하는 기기의 성능 향상에 따라 점착 테이프에 요구되는 물성도 점점 까다로워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높은 온도 변동에 따른 우수한 내구성 및 반영구적인 점착 성능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나아가 재시공을 위하여 점착 테이프를 제거할 때 잔여물이 남지 않는 리워크성을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향상된 요구 사항에 적합한 점착 테이프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한국 공개공보: KR 10-2016-0025050 A
높은 단차 매립성을 나타내고, 동시에 높은 리워크성을 가지며, 높은 타발성을 갖는 다층 점착 테이프가 제공된다.
일 실시 상태에서,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40 ℃ 이상 0 ℃ 이하이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각각 -60 ℃ 이상 -20 ℃ 이하이고,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와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의 차이는 5 ℃ 이상 25 ℃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가 제공된다.
일 실시 상태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는 높은 단차 매립성을 나타내며, 동시에 높은 리워크성을 가진다.
일 실시 상태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는 높은 타발성을 가지므로, 재단 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상태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적층 구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상태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적층 구조의 모식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모노머의 중합 단위"는 그 모노머가 중합 반응을 거쳐서 그 중합체의 골격, 예를 들면, 주쇄 또는 측쇄를 형성하고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위 "중량부"는 각 성분간의 중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 상태에서,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40 ℃ 이상 0 ℃ 이하이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각각 -60 ℃ 이상 -20 ℃ 이하이고,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와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의 차이는 5 ℃ 이상 25 ℃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가 제공된다.
도 1은 일 실시 상태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적층 구조의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제1 외곽 점착층(101) 및 중간 점착층(201) 및 제2 외곽 점착층(102)이 순차적으로 적층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리 전이 온도(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는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Q-1000, TA Instrument사(제))를 이용하여 -70 ℃ 내지 100 ℃ 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 속도 5 ℃/min으로 승온하여 측정한다. 이 때, 유리 전이 온도는 DSC 곡선의 중간점으로 결정한다.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간 점착층은 보다 높은 인장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상대적으로 높은 유리 전이 온도 및 높은 인장력을 가지는 중간 점착층을 포함하므로, 피착체에 부착한 후 재시공을 위하여 제거할 때 잘 끊어지지 않고, 제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점착층은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리워크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낮은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지므로, 높은 단차 매립성을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낮은 유리 전이 온도에 의하여 높은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효과적으로 단차부를 갖는 부재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물성이 상이한 복수의 점착층을 포함함으로써, 높은 단차 매립성과 높은 리워크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각각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의 차이가 5 ℃ 이상 25 ℃ 이하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점착 테이프는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40 ℃ 이상 0 ℃ 이하, -40 ℃ 이상 -15 ℃ 이하, -40 ℃ 이상 -20 이하, 또는 -35 ℃ 이상 -2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타발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점착 테이프의 핸들링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리 전이 온도의 범위 내에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보다 향상된 단차 매립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각각 -60 ℃ 이상 -20 ℃ 이하, -60 ℃ 이상 -30 ℃ 이하, -60 ℃ 이상 -40 ℃ 이하, 또는 -55 ℃ 이상 -45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각각 상기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단차 매립성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유리 전이 온도 범위 내에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타발성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은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중간 점착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은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중량부 이상 90 중량부 이하, 50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이하 또는 60 중량부 이상 8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은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30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적절한 부착력을 가질 수 있고, 단차를 갖는 부재에 적절하게 매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향상된 리워크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적절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재시공이 필요한 경우 피착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중간 점착제 조성물을 용이하게 도포 및 경화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중간 점착층 내의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의 급격한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은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20 중량부 이하, 5 중량부 이상 20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리워크성과 단차 매립성을 동시에 적절한 수준으로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중간 점착층의 적절한 응집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높은 리워크성과 단차 매립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단차 매립성 및 타발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가 피착체에 합착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경과 후에 발생하는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의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외곽 점착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은 상기 외곽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50 중량부 이상 98 중량부 이하, 70 중량부 이상 98 중량부 이하, 80 중량부 이상 95 중량부 이하, 또는 90 중량부 이상 9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은 상기 외곽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20 중량부 이하, 0 중량부 초과 10 중량부 이하, 1 중량부 이상 10 중량부 이하, 또는 3 중량부 이상 7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층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부착력 및 단차 매립성을 동시에 적절한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가 피착체에 합착되고 일정 시간이 지난 경과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량 범위 내에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이 적절한 점착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외곽 점착 중합체는 헤테로 시클로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테로 시클로알킬기는 관능기 내에 불포화 결합이 존재하지 않고 탄소 외의 이종 원소가 포함된 고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헤테로 시클로알킬기는 탄소 수 3 내지 20의 단일 고리(monocyclic ring) 또는 다중 고리(polycyclic ring)의 구조에서 하나 이상의 탄소가 이종 원소로 치환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아크릴레이트(THFA), 테트라하이드로 푸르푸릴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피라닐 아크릴레이트(THPA),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및 시클릭트리메틸올프로판포말아크릴레이트(CTFA, cyclictrimethylol-propaneformal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헤테로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은 상기 외곽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 구체적으로 5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는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액 중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을 열중합 및/또는 광중합을 통하여 상기 모노머들을 중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곽 점착 중합체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 중합체는 각각,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용액 중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외곽 점착 중합체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 중합체는 상기 조성물을 열중합 및/또는 광중합을 통하여 상기 모노머들을 중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 상기 제1 외곽 점착 중합체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 중합체는 각각,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가교제, 중합 개시제, 점착 부여제 등의 추가 물질을 필요에 따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시클로알킬기는 관능기 내에 불포화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탄소 고리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시클로알킬기는 탄소 수 3 내지 20의 단일 고리(monocyclic ring) 또는 다중 고리(polycyclic ring)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탄소 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소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는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CHA),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HMA), 이소보닐아크릴레이트(IBOA),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IBOMA), 이소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및 3,3,5-트리메틸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TMCHA, 3,3,5-trimethylcyclohexyl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는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 및 질소 함유 모노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드록시기 함유 모노머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르복시기 함유 모노머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산, 3-카르복시프로필 아크릴산, 2-(메트)아크릴로일옥시 아세트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산, 4-(메트)아크릴로일옥시 부틸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및 말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질소 함유 모노머는 2-이소시아네이토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4-이소시아네이토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디메틸아크릴아미드 및 N-비닐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는 30 ㎛ 이상 100 ㎛ 이하, 50 ㎛ 이상 100 ㎛ 이하, 50 ㎛ 이상 80 ㎛ 이하, 또는 60 ㎛ 이상 80 ㎛ 이하 일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적절한 경도를 가지므로, 우수한 리워크성 및 단차 매립성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각각 25 ㎛ 이상 60 ㎛ 이하, 구체적으로 25 ㎛ 이상 5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단차 매립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는 100 ㎛ 이상 이상 250 ㎛ 이하, 구체적으로, 100 ㎛ 이상 200 ㎛ 이하, 또는 120 ㎛ 이상 170 ㎛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의 총 두께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얇은 두께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높은 점착성, 단차 흡수성 및 리워크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동일한 조성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 비,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 비는 각각 1:4 내지 2:1, 구체적으로 1:0.7 내지 1:2, 또는 1:0.7 내지 1:1.5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에 대한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 비가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우수한 단차 매립성과 리워크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고, 타발 성능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제1 외곽 점착층과 중간 점착층 사이에 구비된 제1 계면 혼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 사이에 구비된 제2 계면 혼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계면 혼합층은 상기 제1 외곽 점착층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기 중간 점착층을 구성하는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계면 혼합층은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을 구성하는 물질과 상기 중간 점착층을 구성하는 물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상태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적층 구조의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제1 외곽 점착층(101) 및 중간 점착층(201) 사이에 제1 계면 혼합층(301)이 구비되고, 중간 점착층(201)과 제2 외곽 점착층(102) 사이에 제2 계면 혼합층(302)이 구비된 다층 점착 테이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제1 외곽 점착제 조성물, 중간 점착제 조성물 및 외곽 점착제 조성물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동시에 경화, 구체적으로 광경화하여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 후 상기 제1 외곽 점착층을 구성하고, 상기 중간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 후 상기 중간 점착층을 구성하며, 상기 제2 외곽 점착제 조성물은 경화 후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을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각 층을 별도로 제조한 후 이를 접합하는 것이 아니라, 액상 조성물을 적층한 후 이를 동시에 경화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를 구성하는 각 층 간에 액 섞임 구간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이와 같은 액 섞임 구간에 의하여, 일반적인 다층 점착 테이프 대비 우수한 층간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극저온의 환경에서도 층간 계면 분리 현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제 조성물과 상기 중간 점착제 조성물의 계면, 및 상기 중간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 외곽 점착제 조성물의 계면은 각각 액섞임에 따른 계면층이 존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외곽 점착제 조성물과 상기 중간 점착제 조성물의 계면에서의 액섞임에 따른 계면층은 경화 후 상기 제1 계면 혼합층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점착제 조성물과 상기 제2 외곽 점착제 조성물의 계면에서의 액섞임에 따른 계면층은 경화 후 상기 제2 계면 혼합층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외곽 점착제 조성물, 상기 중간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제 조성물은 순차적으로 기재 상에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곽 점착제 조성물, 상기 중간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제 조성물은 동시에 기재 상에 순차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슬롯-다이, 립-다이 등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는 상기 제1 계면 혼합층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계면 혼합층의 중심까지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상기 제1 계면 혼합층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의 외측면까지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상기 제2 계면 혼합층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외측면까지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상기 중간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 외곽 점착제 조성물을 각각 필름으로 경화한 후, 이들을 합판함으로써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을 각각 별도로 필름 형태로 제조한 후, 이들을 순차적으로 적층한 다음, 압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적용하는 제조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편광판, 위상차판, 광학 보상 필름, 반사 시트, 보호 필름 및 휘도 향상 필름 등과 같은 다양한 광학 부재의 부착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용도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중량부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10 중량부의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10 중량부의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중간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나아가,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94 중량부의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및 6 중량부의 아크릴산을 포함하는 외곽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외곽 점착제 조성물, 상기 중간 점착제 조성물 및 상기 외곽 점착제 조성물을 각각 45 ㎛, 60 ㎛ 및 45 ㎛의 두께로 순차적으로 도포한 후, UV 조사를 통하여 동시에 경화하여,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된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 30 ℃였고, 제1 및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50 ℃였다.
[실시예 2]
외곽 점착제 조성물의 아크릴산을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산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30 ℃였고, 제1 및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50 ℃였다.
[비교예 1]
외곽 점착제 조성물의 아크릴산의 함량을 1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30 ℃였고, 제1 및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70 ℃였다.
[비교예 2]
외곽 점착제 조성물의 아크릴산의 함량을 15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30 ℃였고, 제1 및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10 ℃였다.
[비교예 3]
중간 점착제 조성물의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을 30 중량부로 조절하고, 외곽 점착제 조성물의 아크릴산의 함량을 2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5 ℃였고, 제1 및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60 ℃였다.
[비교예 4]
중간 점착제 조성물의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의 함량을 2 중량부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50 ℃였고, 제1 및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50 ℃였다.
[비교예 5]
중간 점착제 조성물이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고, 중간 점착제 조성물이 22 중량부의 아크릴산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30 ℃였고, 제1 및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는 약 -50 ℃였다.
상기 실시예 비교예에서의 조성 및 유리 전이 온도를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중간 점착층 외곽 점착층 Tg 차이
Tg(℃ AA(중량부) IBOMA(중량부) Tg(℃ AA(중량부)
실시예 1 -30 10 10 -50 6 20
실시예 2 -30 10 10 -50 6(B-CEA) 20
비교예 1 -30 10 10 -70 1 40
비교예 2 -30 10 10 -10 15 20
비교예 3 5 10 30 -60 2 65
비교예 4 -50 10 2 -50 6 0
비교예 5 -30 22 X -50 6 20
* AA: 아크릴산
* IBOMA: 이소보닐메타크릴레이트
* B-CEA: 2-카르복시에틸 아크릴산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다층 점착 테이프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리워크성 평가
제조된 다층 점착 테이프를 유리 기판에 부착하고, 40 ℃ 및 4 bar 조건의 오토클레이브에 20 분 간 방치한 후, 다층 점착 테이프를 제거할 때, 다층 점착 테이프가 끊어지지 않고 한번에 모두 제거되는 경우에는 "◎"로, 다층 점착 테이프가 끊어지지만 5 회 이하의 제거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로, 다층 점착제가 쉽게 끊어져서 6 회 이상의 제거 작업이 필요한 경우에는 "△"로, 다층 점착제가 쉽게 끊어지고 제거 작업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로 평가하였다.
단차 매립성 평가
20 ㎛의 인쇄 단차를 갖는 베젤부 및 인쇄 단차가 없는 화면부를 갖는 유리 기판 상에 제조된 다층 점착 테이프를 부착하고, 그 위에 0.55 T 두께의 유리 기판을 적층하였다. 그리고, 40 ℃ 및 4 bar 조건의 오토클레이브에 20 분간 방치한 후, 베젤부의 4 개 꼭지점 부분에서 단차를 충분히 극복하지 못하여 생성되는 기포의 개수 및 24 시간 경과 후 화면부에서의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을 확인하여 단차 매립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지연성 기포가 2 개 이하이고,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로, 지연성 기포가 2 개 내지 3 개이고,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가 약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로, 지연성 기포가 3 개 내지 4 개이고,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가 강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로, 지연성 기포가 4 개 이상이고, 지연성 기포(delayed bubble)가 강하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로 평가하였다.
타발 성능 평가
제조된 다층 점착 테이프를 톰슨 타발기를 이용하여 타발시 찐 발생 여부 및 칼날부 및 타발부에 찐이 묻어나 타발 공정 수율이 감소하는 정도 등을 측정하여 타발 성능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찐 발생 없이 타발되고, 타발 공정 수율이 95 % 이상이며, 타발 후 일주일 경과 후 타발면에서 점착제가 흘러내림이 없는 경우에는 "◎"로, 찐 발생 없이 타발되고, 타발 공정 수율이 80 % 이상 95% 미만이며, 타발 후 일주일 경과 후 타발면에서 점착제가 흘러내림이 없는 경우에는 "○"로, 찐 발생 없이 타발되고, 타발공정 수율이 50 % 이상 80 % 미만이며, 타발 후 일주일 경과 후 타발면에서 점착제가 흘러내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로, 찐 발생 없이 타발되고, 타발공정 수율이 50 % 미만이며, 타발 후 일주일 경과 후 타발면에서 점착제가 흘러내림이 발생하는 경우 "×"로 평가하였다.
리워크성 단차 매립성 타발 성능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 ×
비교예 2 ×
비교예 3
비교예 4 ×
비교예 5
상기 표 2에 따르면, 비교예 1은 중간 점착층과 외곽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 차이가 지나치게 크므로, 리워크성과 타발 성능이 매우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2는 외곽 점착층의 아크릴산의 함량이 지나치게 높으므로, 단차 매립성이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은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높고, 중간 점착층과 외곽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 차이도 지나치게 크므로, 단차 매립성이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예 4는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가 지나치게 낮으므로, 리워크성 및 타발 성능이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비교예 5는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포함하지 않음으로써, 중간 점착층의 경도가 확보되지 않으므로, 리워크성이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1: 제1 외곽 점착층
102: 제2 외곽 점착층
201: 중간 점착층
301: 제1 계면 혼합층
302: 제2 계면 혼합층

Claims (10)

  1. 제1 외곽 점착층; 중간 점착층; 및 제2 외곽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40 ℃ 이상 0 ℃ 이하이며,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는 각각 -60 ℃ 이상 -20 ℃ 이하이고,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 각각의 유리 전이 온도와 상기 중간 점착층의 유리 전이 온도의 차이는 5 ℃ 이상 25 ℃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점착층은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중간 점착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은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30 중량부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은 상기 중간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20 중량부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은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의 중합 단위; 및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 단위를 포함하는 외곽 점착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극성 관능기 함유 모노머의 중합 단위의 함량은 상기 외곽 점착 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 중량부 초과 20 중량부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는 3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곽 점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의 두께는 각각 25 ㎛ 이상 60 ㎛ 이하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 비,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의 두께 비는 각각 1:4 내지 2:1인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층 점착 테이프는, 상기 제1 외곽 점착층과 중간 점착층 사이에 구비된 제1 계면 혼합층; 및 상기 제2 외곽 점착층과 상기 중간 점착층 사이에 구비된 제2 계면 혼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다층 점착 테이프.
PCT/KR2018/005710 2017-05-22 2018-05-18 다층 점착 테이프 WO2018216966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805703.8A EP3597713A4 (en) 2017-05-22 2018-05-18 MULTILAYER TAPE
CN201880020811.4A CN110506088B (zh) 2017-05-22 2018-05-18 多层粘合带
US16/500,629 US11091674B2 (en) 2017-05-22 2018-05-18 Multilayer adhesive tape
JP2019549433A JP7088952B2 (ja) 2017-05-22 2018-05-18 多層粘着テー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844A KR102017014B1 (ko) 2017-05-22 2017-05-22 다층 점착 테이프
KR10-2017-0062844 2017-05-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216966A1 true WO2018216966A1 (ko) 2018-11-29

Family

ID=64396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5710 WO2018216966A1 (ko) 2017-05-22 2018-05-18 다층 점착 테이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091674B2 (ko)
EP (1) EP3597713A4 (ko)
JP (1) JP7088952B2 (ko)
KR (1) KR102017014B1 (ko)
CN (1) CN110506088B (ko)
TW (1) TWI693270B (ko)
WO (1) WO2018216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0614B1 (ko) * 2018-09-10 2024-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05576B1 (ko) * 2018-10-16 2021-09-27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 점착 필름
KR20200057202A (ko) 2018-11-16 2020-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579748B1 (ko) 2019-05-08 202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 몰딩 방법
JP7040661B1 (ja) 2021-06-29 2022-03-23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WO2023096132A1 (ko) * 2021-11-24 2023-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361A (ja) * 2007-07-09 2009-01-22 Soken Chem & Eng Co Ltd 両面粘着テープ
JP2010161167A (ja) * 2009-01-07 2010-07-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粘着テープ及び該粘着テープを含む積層体の作製方法
JP2012188479A (ja) * 2011-03-09 2012-10-04 Hitachi Maxell Ltd 両面粘着テープ
JP2014145023A (ja) * 2013-01-29 2014-08-14 Nitto Denko Corp 多層粘着シート
KR20160025050A (ko) 2014-08-25 2016-03-08 (주)엘지하우시스 곡면 기재용 다층 구조 점접착 필름
US20170101552A1 (en) * 2015-10-07 2017-04-13 Illinois Tool Works, Inc. Adhesive compositions with repair-rework abilit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33349A (ja) * 2006-11-28 2008-06-12 Fujimori Kogyo Co Ltd ハードコート付粘着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ハードコート付粘着フィルム
JP5174204B2 (ja) * 2010-04-13 2013-04-03 三菱樹脂株式会社 透明両面粘着シート
US20130164478A1 (en) * 2010-08-05 2013-06-27 Oji Holdings Corporation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double-fac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with release sheet, process for producing same, and transparent laminate
JP4918166B1 (ja) 2011-02-14 2012-04-18 新タック化成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剥離シート付き両面粘着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透明積層体
KR101393986B1 (ko) * 2011-10-12 2014-05-13 (주)엘지하우시스 재 작업이 용이한 터치 스크린 패널용 점착 필름
CN105229100B (zh) * 2013-05-10 2018-02-06 王子控股株式会社 层叠粘着片、相对介电常数调整方法及其应用
JP6505518B2 (ja) 2015-06-22 2019-04-24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両面粘着テープ
JP6727786B2 (ja) 2015-10-16 2020-07-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3361A (ja) * 2007-07-09 2009-01-22 Soken Chem & Eng Co Ltd 両面粘着テープ
JP2010161167A (ja) * 2009-01-07 2010-07-22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粘着テープ及び該粘着テープを含む積層体の作製方法
JP2012188479A (ja) * 2011-03-09 2012-10-04 Hitachi Maxell Ltd 両面粘着テープ
JP2014145023A (ja) * 2013-01-29 2014-08-14 Nitto Denko Corp 多層粘着シート
KR20160025050A (ko) 2014-08-25 2016-03-08 (주)엘지하우시스 곡면 기재용 다층 구조 점접착 필름
US20170101552A1 (en) * 2015-10-07 2017-04-13 Illinois Tool Works, Inc. Adhesive compositions with repair-rework ability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97713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95484A1 (en) 2020-03-26
EP3597713A4 (en) 2020-04-22
CN110506088B (zh) 2021-12-31
EP3597713A1 (en) 2020-01-22
KR102017014B1 (ko) 2019-09-03
TW201900808A (zh) 2019-01-01
JP7088952B2 (ja) 2022-06-21
KR20180127736A (ko) 2018-11-30
CN110506088A (zh) 2019-11-26
JP2020512443A (ja) 2020-04-23
US11091674B2 (en) 2021-08-17
TWI693270B (zh) 202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216966A1 (ko) 다층 점착 테이프
WO2014204251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1105876A2 (ko) 편광판
WO2011105878A9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027788A1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 필름 및 터치 패널
WO2012070887A2 (ko) 터치패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필름 및 터치패널
WO2011105874A2 (ko) 편광판
WO2011126263A2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시트 및 터치 패널
WO2017179899A2 (ko) 광학용 점착 조성물
WO201420421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17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20105953A1 (ko) 폴더블 백플레이트 필름 및 폴더블 백플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WO2017047889A1 (ko) 광학 접착제용 광경화성 조성물, 이를 적용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4204211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9088752A1 (ko) 다층 점착 테이프
WO2018147686A1 (ko) 무기재 전사 테이프
WO2018048272A2 (ko) 광학 투명 점착제 조성물, 그를 포함하는 광학 투명 점착 필름 및 평판표시장치
WO2020105923A1 (ko) 폴더블 백플레이트, 폴더블 백플레이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30954A (ko) 양면 점착 폼 테이프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WO2016104977A1 (ko) 광학용 점접착 조성물, 이를 다단 경화시키는 방법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8217046A1 (ko) 광학투명점착시트
WO2018216968A1 (ko) 다층 점착 테이프
WO2018216967A1 (ko) 다층 점착 테이프
WO2022055148A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 조성물 및 이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점착필름
WO2018062642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057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49433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80570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1017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