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90657A1 -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90657A1
WO2018190657A1 PCT/KR2018/004303 KR2018004303W WO2018190657A1 WO 2018190657 A1 WO2018190657 A1 WO 2018190657A1 KR 2018004303 W KR2018004303 W KR 2018004303W WO 2018190657 A1 WO2018190657 A1 WO 201819065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oil
leakage
fuel
leakage fluid
monitor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430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명규
김춘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다쓰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다쓰노(주) filed Critical 한국다쓰노(주)
Priority to CN201880022443.7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506025A/zh
Publication of WO201819065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9065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09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spillage or leakage, e.g. spill containments, leak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18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emergency shut-off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 vapor recovery monitoring system, and in particular, to recover oil vapor from an oil supply port of a vehicle to prevent fire and protect health and the environment of a driver, a fueling worker, etc.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por recovery monitoring system that detects leaks during oiling and controls oiling conditions so that quantitative oiling occurs.
  •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insert a cover having a pleat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fuel nozzle and to insert the front end of the odor suction pipe to the oil supply hose, and to connect the odor suction pipe to the odor suction fan to suck the vapor.
  •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recover the steam, but because it is configured to purify the recovered vapor through the purification devic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only reuse the steam to remove the smell around the gas station.
  •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have an oil vapor recovery function in a ceiling type oil tanker, including an oil supply hose connected to an oil storage tank, an oil supply hose reel winding the oil supply hose, and an oil vapor lake and an oil vapor hose reel connected to the oil supply gun.
  • the prior ar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recover the oil vapor to move to the oil storage tank, but does not consider how to process the recovered oil vapor only by moving the recovered oil vapor to the oil storage tank through the suction devi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to recover the vapor from the oil supply port of the car to prevent fire and to protect the health and environment of drivers, operators, oil workers, etc.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por recovery monitoring system that detects leaks during oiling and controls oiling conditions so that quantitative oiling occurs.
  • an oil tanker for supplying fuel oil to the vehicle by the operation of the fuel pump from the underground reservoir where the fuel oil is stored;
  • An oil supply nozzle connected through the oil supply unit and an oil supply pipe, the oil supply nozzle including a supply unit supplying fuel oil to an oil supply port of the vehicle and a recovery unit recovering oil vapor from the oil supply port of the vehicle;
  • a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connected to the fuel nozzle and a vapor recovery pipe and detecting whether the leakage fluid is included in a recovery including the vapor recovered by an operation of a recovery pump to detect leakage of oil during fueling;
  •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ignal detected by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and to generate an emergency operation when determining that leakage is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separates the recovered wat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recovery pipe into an oil vapor and an oil leak to send the oil vapor to the fuel oil supply side, and the leakage fluid is stored in the housing, and the reference is based on the housing.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leakage of oil by detecting that more than the capacity of the leakage is stored.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the inlet pip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recovery is introduced, the discharge pip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the oil vapor separated from the recovery, and It may include a leakage flui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leakage fluid amount stored in the housing reaches the reference capacity.
  • the leakage fluid detection sensor unit is provided with a leakage fluid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at the leakage fluid more than a reference capacity is stored, and the leakage fluid detection sensor send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when the stored leakage fluid reaches the reference capacity.
  •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emergency state operation when the amount of leakage of liquid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exceeds a reference capacity compared to a preset fuel flow rate.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s corresponding to different reference capacities, and each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is configured when each stored fluid leak reaches the respective reference capacities.
  • the sensing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emergency state operation when the amount of leakage of liqui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nsing signals exceeds a reference capacity with respect to each preset oil flow rate.
  •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inue oiling when the amount of leakage of liquid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is less than a reference capacity compared to a preset oil supply amount.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for discharging the stored leakage flui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discharge port on one side.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comprises a solenoid valve
  • the solenoid valve may be opened automatically when the predetermined opening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the completion of lubrication.
  • the preset opening condition may be a cas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a fueling cost calculation completion, a recovery pump operation stop, and a fueling tank mounting of the fueling nozzle.
  • the emergency state oper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top or an alarm display of the oil supply pump.
  • control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emergency state operation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manager terminal or the lubricator.
  • the emergency state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fueling worker.
  •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that lubrication of quantity is achieved while preventing fire and protecting health and the environment of the driver.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can stop the oiling and solve the oil leakage problem through the emergency operation when the lubrication is not made due to the oil leakage.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by setting the allowable error range relative to the fuel flow rate by using two or more leaking fluid detection sensor, it is possible to set the error range corresponding to the quantification when refueling by the ratio method.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vapor recove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leaked liquid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oil vapor recove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leaked liquid detection senso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oil vapor recove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second, etc.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n oil vapor recove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leakage flui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a detection sensor part.
  • Oil vapor recove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uel tanker 100 to supply the fuel oil to the vehicle by the operation of the fuel pump 140 from the underground reservoir 500 in which the fuel oil is stored, the lubricator 100 ) And the oil supply nozzle 200 connected through the oil supply pipe 122, the oil supply nozzle 200, and the oil leakage detecting sensor unit 300 connected through the oil vapor recovery pipe 124, and the controller 400 controlling the system. This is done, including.
  • the vapor recovery monitoring system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400 to calculate the fueling amount according to the fuel flow rate and payment (eg, point of sales (POS), not shown) and the network to the control unit 400 to make a payment Further comprising a connected communication server 710, the communication server 710 may be in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terminal 700 of the fueling worker.
  • POS point of sales
  • the lubricator 100 is connected to the lubrication pump 140 to supply fuel when drawing fuel oil from the underground storage 500 and the lubrication pipe 122 at the lubrication pump 140. It further comprises a flow meter 180 for checking the flow rate of the fuel oil supplied to the fuel oil nozzle 200 through.
  • the lubricator 100 is illustrated as a stand ty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eiling lubricator may also be regarded as corresponding to the lubricato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il supply nozzle 200 includes a supply unit 220 for supplying fuel oil to the oil supply port A of the vehicle and a recovery unit 240 for recovering oil vapor from the oil supply port A of the vehicle.
  • the inside of the fuel nozzle 20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ouble tube consisting of a central tube and an outer tube surrounding the central tube.
  • the supply unit 220 for supplying the fuel oil may be understood as a central tube
  • the recovery unit 240 for recovering the oil vapor may be understood as an outer tube.
  • the oil supply pipe 122 and the recovery pipe 124 are illustrated to be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sides to assist the understanding of the oil supply pipe 122.
  • the oil supply pipe 122 is the It is connected to the center tube is provided on the inside, and the recovery pipe 124 is connected to the outer tube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in the form surrounding the center tube.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300 detects leakage of oil during oiling by detecting whether leakage fluid is included in a recovered product including oil vapor recovered by the operation of the recovery pump 160. Leakage may occur due to leaking of a portion of fuel oil or condensation of oil vapor and may contain traces of water produced by rain or condensed water vapor.
  • the recovery pump 160 is a pump having a function of a gas suction device (eg, an air pump) for suctioning and transferring the vapor and is configured to suck the vapor from the outer end of the oil injection nozzle 200.
  • a gas suction device eg, an air pump
  • the leaked liquid contained in the recovered product recovered by the recovery pump 160 may be understood as a problem in the oiling, and the occurrence of the leaked liquid means that the amount of oiling is not achieved.
  •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oil supply stop including the operation of the oil supply pump 140 and the recovery pump 160.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300 as shown in Figure 2, the housing 320, the inlet pipe portion 3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housing 320 and the recovery is introduced, It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320 and includes a discharge pipe 350 for discharging the oil vapor separated from the recovered.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300 separates the recovered matte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320 through the recovery pipe 124 into oil vapor and leakage fluid.
  • the leakage fluid is discharge pipe portion It does not move to 350 and falls to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320 by its own weight.
  • the separated oil vapor is sent to the fuel oil supply side, the leakage liquid is stored in the housing 320.
  • the fuel oil supply side may be, for example, an underground reservoir 500 or an oil supply nozzle 200, an oil supply pipe 122, or the like, and includes a liquefaction apparatus (not shown) for liquefying the vapor to reuse the fuel oil. It is preferable to send to the fuel oil supply side via.
  • the leakage liquid detecting sensor unit 300 detects leakage of liquid leakage more than a reference capacity in the housing 320 and detects leakage of oil.
  • the 'reference dose' is a detection reference value for confirming whether quantification of oil is made.
  • the leakage fluid detection sensor unit 300 includes a leakage fluid detection sensor 360 for detecting whether the amount of leakage fluid stored in the housing 320 reaches a reference capacity.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360 may be implemented by a type of position sensor or a level sensor including a magnetic switch (eg, a lead switch), and detects the height of the leakage fluid.
  • a magnetic switch eg, a lead switch
  • Various known sensors may be used to enable this.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360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position sensor using the reed switch.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360 may include a signal transmission part 362 formed of two lines having switch contacts 362a and 362b at one end thereof, and the vapor or leakage fluid may be switched to the contact points 362a and 362b.
  • a float 368 configured to float at least a portion above the leakage.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360 gradually increases the height of the leakage fluid D while the leakage fluid D is stored in the housing 320, and the height of the leakage fluid D is increased. As it rises, the floating body 368 rises together.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300 may further include a snap ring 369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bove and / or below the float 368, and the snap ring 369 may include a float 368. It acts as a stopper to control excessive rising or falling.
  • the floating body 368 rises and is position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leakage oil height h, for example, a top and bottom middle portions of the floating body 368 (eg, the floating body 368). Part) is reached, the switch contacts 362a and 362b are charged with different polarities by the induction magnetic force by the magnetic body 366, and the switch contacts 362a and 362b are pulled to each other by the magnetic force to contact each other. Will generate a signal.
  • h a top and bottom middle portions of the floating body 368 (eg, the floating body 368).
  • the controller 400 receives a signal detected by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300 and generates an emergency state operation when determining that leakage is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 the determination of the leakage may be determined as leakage when the leakage fluid is stored for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leakage fluid h, and may be determined as not leakage when the leakage fluid is not stored for the height of the preset leakage fluid h. have.
  • the controller 400 may be set to be determined as leaking oil when the amount of leaked liquid reaches a height corresponding to a specific value (eg, 150 ml or 200 ml) regardless of the actual oil flow rate.
  • a specific value eg 150 ml or 200 ml
  • a specific value is set as the reference dose.
  • the leakage fluid detection sensor 360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400 when the stored leakage fluid D reaches a reference capacity. .
  • the controller 400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mergency state operation when the amount of leaked liquid corresponding to the detection signal exceeds a preset capacity compared to a preset fuel flow rate.
  • the 'reference volume to fuel flow rate' is to set the reference capacity in proportion to the fuel flow rate, for example, the upper limit of the allowable error range recognized as quantitative based on a specific fuel flow rate (e.g., 20l) prescribed in the fueling regulation. , 150 ml).
  • the reference volume relative to the fuel flow rate may be set in the concept of quantification (eg, 150 ml) or constant rate (eg, 0.5%).
  • the preset leakage oil height h may be set based on the amount of fuel oil corresponding to an upper limit of an allowable error range for the fuel flow amount when a quantitative oil supply is performed, for example, when 20 L fueling is performed.
  • the leakage liquid level corresponding to 150 ml may be set to be the leakage liquid level determined as the leakage of oil, in which case 150 ml is set as a reference volume relative to 20 L of the oil flow rate.
  • the emergency state operation is to prevent fueling from continuing in a situation where leakage is occurring,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n operation stop or an alarm display of the oil supply pump 140.
  • the alarm display may include any one of light (for example, blinking warning light) or sound (for example, sending out a warning sound), and informs a fueling worker or driver that current leakage has occurred or the oil supply pump 140 stops operating. It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informing the status.
  • the controller 400 is configured to transmit emergency state operation information to at least one of the manager terminal 600 or the lubricator 100.
  • the control unit 40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leakage of oil, the control unit 400 is connected to the manager terminal 600 or the lubricator 100 in a wired (or wireless) network operation of the refueling pump 140 to the manager terminal 600.
  • Emergency stat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 stop situation may be transmitted, and an alarm may be made in the alarm unit B provided in the lubricator 100.
  • the emergency state operation information may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700 of the fueling worker.
  • the portable terminal 700 may be understood as a smartphone, a tablet, and the like, in which a fueling management application is installed.
  • the gasoline worker may be a gas station of a gas station, and in another example, in the case of a self-gas station that is self-fueled by the driver, the gasoline worker may be a driver.
  • the manager terminal 600 when the manager terminal 600 receives emergency state operation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an operation stop state of the oil supply pump 140, the program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in the manager terminal 600 receive the information.
  • Emergency state operation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700 of the gas station wirelessly, the fueling worker checks the portable terminal 700, recognizes that the fueling is stopped due to the leakage of oil and subsequent response (eg, fueling cost calculation, oiling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perform the nozzle 200 status check).
  • the control unit 400 or the manager terminal 600 may transmit a text message or the like based on the emergency state operation information to the portable terminal 700 of the fueling worker.
  • control unit 400 and / or the leakage liquid detecting sensor unit 300 may be provided inside the lubricator 100, and may be provided outside the lubricator 100 and the lubricator 100. It may be connected both mechanically and mechanically.
  • controller 400 may be understood as a known embedded computer.
  • FIG. 4 is an operation flowchart of the oil vapor recove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roller 400 when oiling is started by the oiling worker and oil leakage is detected in the oiling nozzle 200,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n emergency state operation such as stopping the oil supply pump 140. And oiling will end without additional oiling.
  • the controller 400 may generate an alarm operation together, and control the alarm operation to be performed on the lubricator 100 and the manager terminal 600.
  • oil leakage detection sensor unit 300 does not detect the leakage of oiling continues to continue, if the fueling of the oil amount set by the oiling operator is made to end the oiling.
  • FIG. 5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operation flow chart of the oil vapor recovery monitoring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leaked liquid detection sensor unit 1300 In the leaked liquid detection sensor unit 1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or more leaked liquid detection sensors 1360 are provid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reference capacities.
  • Each of the leaked liquid detecting sensors 1360 transmits each detected signal to the controller 400 when the stored leaked liquid D reaches each reference capacity.
  • the controller 400 is configured to generate an emergency state operation when the amount of leakage of liquid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sensing signals exceeds a reference capacity with respect to each preset oil flow rate.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1300 and the control unit 400 set the reference volume to the maximum amount of the allowable error range corresponding to the quantification when refueling (eg, 150 ml for 20L fueling). It can be set that leakage occurs when the reference capacity to the fuel flow rate is reached.
  • the amount of oil leakage is less than 150ml when the amount of oil leakage is less than 150ml, it is determined that no oil leakage occurs, and when the amount of oil leakage is more than 150ml it is determined that oil leakage occurs.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1300 and the control unit 400 may set the reference capacity to the fuel flow rate smaller than the upper limit of an allowable error range corresponding to the quantity lubrication (eg, 100 ml for 20 l fuel). Emergency operation can also be set without the liquid quantity exceeding the metering range.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1300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320 to reach the first sensing position h1.
  • a first leakage fluid detection sensor 1360a for detecting the fluid D is included.
  • the first leakage liquid detection sensor 1360a transmits a first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400 when the height of the stored leakage liquid D reaches to the first detection position h1.
  •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n emergency state operation when the first leak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ction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first reference volume (eg, 150 ml for 20 L fueling), and the first leakage amount is It is configured to continue refueling if less than one reference dose.
  • a preset first reference volume eg, 150 ml for 20 L fueling
  • control unit 400 may check the current flow rate from the flow meter 180, when the first leaked liquid amount corresponds to 150ml, when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st leaked liquid detection sensor (1360a) 20L If it is more than the first leakage fluid amount does not correspond to the first reference capacity and continue to refuel, if the fuel flow rate is less than 20l to operate the emergency state.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1300 is provided at an upper position of the first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1360a and is a second detection that is higher than the first detection location h1.
  •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cond leakage liquid detection sensor 1360b that detects the leakage liquid D reaching the position h2.
  • the second leakage liquid detecting sensor 1360b transmits a second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ler 400 when the height of the stored leakage liquid D reaches to the second detection position h2.
  • the controller 400 generates an emergency state operation when the second leakag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ction signal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set second reference volume (eg, 300 ml when filling 40L), and the second leakage amount is It is configured to continue refueling if less than 2 standard doses.
  • a preset second reference volume eg, 300 ml when filling 40L
  • the controller 400 checks the current flow rate from the flow meter 180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leakage, and th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second leakage fluid detection sensor 1360b in response to the amount of the second leakage fluid 300ml. At this time, if the oil supply amount exceeds 40l, the second oil leakage amoun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reference volume, so that fueling continues, and when the oil supply amount is less than 40l, emergency operation is performed.
  • the preset first reference dose and the second reference dose may be understood as reference flow rates relative to different fuel flow rates.
  • two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s 1360a and 1360b are provided.
  • three or mor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s may be provided.
  • four leakage fluids may be provided.
  • the detection sensors 1360a, 1360b, 1360c, and 1360d are configured to detect the leaked liquid D having reached a sensing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aked oil amount relative to a constant ratio of the oil flow rate, the amount of the leaked liquid may be set as a ratio.
  • FIG. 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akage fluid detecting sensor unit 300, 1300, and 2300 have discharge ports 322, 1322, and 2322 for discharging the stored leakage fluid under the housings 320, 1320, and 2320. 1322 and 2322, one side is provided with opening and closing means (380, 1380, 238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utlets (322, 1322, 2322).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may be provided to discharge the oil leakage (D) in advance in order to accurately detect the leakage of oil during oiling, by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ning the discharge port (2322) to discharge the oil leakage (D), (D) After the discharge to close the discharge port (2322) to store the leakage fluid flowing in (D).
  • the opening and closing means 2380 includes a solenoid valve, and the solenoid valve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a predetermined opening condition is satisfied after oiling is completed.
  • the preset opening condition is set to a case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completion of the fueling cost calculation, the stop of the recovery pump 160, the mounting of the oiling machine 100 of the oiling nozzle 200.
  • the driver calculates the amount of oil charged up to that time, and when the fueling ratio calculation is completed, the solenoid valve is opened to open the housing ( The leakage fluid (D) stored in 2320 is sent to the underground storage (500).
  • the leaked liquid (D) sent to the underground storage 500 is configured to be moved by its own weight, it may be configured to move to the underground storage 500 by using a separate motor (and pump).
  • the oiling was stopped in the state that the amount of oil leakage generated in the fueling oil calculation did not exceed the standard capacity, so that the amount of oiling was recognized, the oiling was stopped, and in another example, the oiling rate adjustment may not be made. Additional customer care may be provided for leaks, such as difference compensation or point pay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연료유가 저장된 지하저장소로부터 급유 펌프의 동작에 의해 차량에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주유기; 상기 주유기와 급유관을 통해 연결되며, 차량의 급유구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차량의 급유구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주유노즐; 상기 주유노즐과 유증기 회수관을 통해 연결되며, 회수 펌프의 동작에 의해 회수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회수물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부; 및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누유로 판단시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본 발명은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급유구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여 화재 예방 및 운전자, 주유 작업자 등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도록 하며, 회수되는 유증기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 누유를 감지하고 주유 상황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정량의 주유가 이뤄지도록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증기'는 연료유 등이 미세한 틈으로 분사되어 발생되거나, 연료유 등이 고열의 장비에 접촉하여 기화되는 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것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유증기의 농도가 높아지거나 고열이 가해지는 경우 폭발할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해 유증기 감시장비나 온도 감시 장비를 설치하거나, 유증기를 회수하는 설비를 설치하는 등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유증기를 회수하는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20313호의 "주유기의 유증기 흡입장치"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주유 노즐 몸통부에 주름이 형성된 덮개를 끼워 넣고 덮개에는 냄새 흡입관의 선단부를 끼워 넣어 주유 호스에 고정시키며, 냄새 흡입관을 냄새 흡입팬에 연결시켜 유증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유증기를 회수하도록 구성되나, 회수된 유증기를 정화 장치를 통해 정화하도록 구성되므로, 주유소 주변의 냄새를 제거하도록 할 뿐 유증기를 재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다른 종래기술의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6623호의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천정식 주유기"가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유류저장탱크에 연결된 주유 호스와, 주유 호스를 감는 주유 호스용 릴과, 주유건에 연결된 유증기 호수 및 유증기 호스용 릴을 포함하여 천정형 주유기에 유증기 회수기능을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래기술은 유증기를 회수하여 유류저장탱크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지만, 회수되는 유증기를 석션장치를 통해 유류저장탱크로 이동시킬 뿐 회수된 유증기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대해 고려하지 않는다.
이와 더불어 상기 종래기술들은 주유 노즐 자체 또는 주유 호스와 주유 노즐의 연결부위에서 누유가 발생되는 경우 발생되는 누유액량에 관한 고려가 전혀 이뤄지지 않으므로, 문제 발생시 정량 주유가 이뤄지 않더라도 주유 작업자 및 운전자가 이를 전혀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급유구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여 화재 예방 및 운전자, 주유 작업자 등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도록 하며, 회수되는 유증기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 누유를 감지하고 주유 상황을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정량의 주유가 이뤄지도록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연료유가 저장된 지하저장소로부터 급유 펌프의 동작에 의해 차량에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주유기; 상기 주유기와 급유관을 통해 연결되며, 차량의 급유구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차량의 급유구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주유노즐; 상기 주유노즐과 유증기 회수관을 통해 연결되며, 회수 펌프의 동작에 의해 회수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회수물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부; 및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누유로 판단시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이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는, 상기 회수관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회수물을 유증기와 누유액으로 분리하여 유증기는 연료유 공급 측으로 보내고, 누유액은 하우징에 저장하며, 상기 하우징에 기준 용량 이상의 누유액이 저장되는 것을 감지하여 누유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수물이 유입되는 유입관부와, 상기 하우징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수물에서 분리된 유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관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저장된 누유액량이 기준 용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는, 기준 용량 이상의 누유액이 저장되는 것을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는 저장된 누유액이 기준 용량에 도달할 때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는, 적어도 2 이상의 누유액 감지 센서가 서로 다른 기준 용량에 상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누유액 감지 센서는 저장된 누유액이 각각의 기준 용량에 도달할 때 각각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각각의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 미만인 경우 주유를 계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 하부에 상기 저장된 누유액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 일측에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주유 완료 후 미리 설정된 개방 조건 만족시 자동으로 개방이 이뤄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미리 설정된 개방 조건은 주유비 계산 완료, 회수 펌프 동작 정지, 주유노즐의 주유기 거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 상태 동작은 상기 급유 펌프의 동작 정지 또는 알람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 단말 또는 주유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비상 상태 동작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비상 상태 동작 정보는 주유 작업자의 휴대 단말에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재 예방 및 운전자 등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면서 정량의 주유가 이뤄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누유로 인해 정량의 주유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 비상 상태 동작을 통해 주유를 멈추고 누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 이상의 누유액 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주유량 대비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를 설정하도록 함으로써, 비율 방식으로 주유시 정량에 해당하는 오차 범위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일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은, 연료유가 저장된 지하저장소(500)로부터 급유 펌프(140)의 동작에 의해 차량에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주유기(100), 상기 주유기(100)와 급유관(122)을 통해 연결되는 주유노즐(200), 주유노즐(200)과 유증기 회수관(124)을 통해 연결되는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 및 시스템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상기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은 상기 제어부(400)와 연계하여 주유량에 따른 주유금액을 산출하고 결제가 이뤄지도록 하는 결제부(예, POS(point of sales), 미도시)와 상기 제어부(400)와 네트워크 연결된 통신 서버(710)를 더욱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통신 서버(710)는 주유 작업자의 휴대 단말(700)과 무선 통신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주유기(100)는 상기 급유 펌프(140)와 연결되어 지하저장소(500)로부터 연료유를 끌어올릴 때 동력을 제공하는 급유 모터(142)와, 상기 급유 펌프(140)에서 급유관(122)을 통해 주유노즐(200)로 공급되는 연료유의 유량을 체크하는 유량계(180)를 더 포함하여 이뤄진다.
도 1에서는 상기 주유기(100)를 스탠드 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장형 주유기도 본 발명의 주유기(100)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주유노즐(200)은 차량의 급유구(A)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공급부(220)와 차량의 급유구(A)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는 회수부(240)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일예로, 상기 주유노즐(200)의 내부는 중심관과 상기 중심관을 둘러싼 외측관으로 구성된 2중관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료유를 공급하는 공급부(220)는 중심관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유증기를 회수하는 회수부(240)는 외측관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주유기(100) 또는 주유노즐(200)의 기구적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4971호, 제10-0262869호, 제10-1439172호 등을 통해 참조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급유관(122)과 회수관(124)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하로 나뉘어지도록 도시하였으나, 상기 주유노즐(200)이 2중관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급유관(122)이 상기 중심관과 연결되어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수관(124)이 상기 외측관과 연결되어 중심관을 둘러싸는 형태로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회수 펌프(160)의 동작에 의해 회수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회수물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의 누유 여부를 감지한다. 누유액은 연료유의 일부가 새어 나오거나 유증기가 응축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빗물 또는 응축된 수증기로 인해 생성된 미량의 수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상기 회수 펌프(160)는 유증기를 흡입 및 이송하기 위한 기체 흡입 장치(예, 공기 펌프)의 기능을 갖는 펌프이며, 주유노즐(200)의 외측 단부로부터 유증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주유노즐(200)의 외측 단부, 주유노즐(200)의 내부, 주유노즐(200)과 상기 급유관(122)의 연결부위 등에서 예상하지 않은 누유 발생시 상기 회수 펌프(160)의 동작에 의해 유증기 이외에도 누유액이 함께 회수관(124)에 흡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수 펌프(160)에 의해 회수되는 회수물에 포함되는 누유액은 주유시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누유액이 발생하는 것은 곧 정량의 주유가 이뤄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누유액이 발생하는 경우 주유를 중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어부(400)에서 상기 급유 펌프(140), 회수 펌프(160) 등의 동작을 포함하여 주유의 중지 여부를 제어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과, 상기 하우징(320)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수물이 유입되는 유입관부(340)와, 상기 하우징(320)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수물에서 분리된 유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관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상기 회수관(124)을 통해 하우징(320) 내부로 유입되는 회수물을 유증기와 누유액으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수관(124)을 통해 유입관부(340)로 회수물이 유입되면, 상기 유증기는 회수 펌프(160)에 의해 배출관부(350)로 배출하게 되며, 상기 누유액은 배출관부(350)로 이동하지 못하고 자중에 의해 하우징(320) 내측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리된 유증기는 연료유 공급 측으로 보내고, 누유액은 하우징(32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연료유 공급 측은, 예를 들어, 지하저장소(500) 또는 주유노즐(200)이나 급유관(122)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유증기를 액화시켜 연료유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액화장치(미도시)를 거쳐서 연료유 공급 측으로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상기 하우징(320)에 기준 용량 이상의 누유액이 저장되는 것을 감지하여 누유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로서 상기 '기준 용량'은 정량의 주유가 이뤄지는지 확인하기 위한 감지 기준 값으로, 일예로, 주유량에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특정량일 수 있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상기 하우징(320) 내부에 저장된 누유액량이 기준 용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360)를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360)는 마그네틱 스위치(예, 리드 스위치(lead switch))를 포함하는 일종의 위치 감지 센서 또는 레벨(level) 센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누유액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 스위치를 이용한 위치 센서를 기준으로 누유액 감지 센서(360)를 설명한다.
일예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360)는 일단부에 스위치 접점(362a, 362b)을 갖는 2개의 선으로 이뤄진 신호전달부(362)와, 상기 유증기 또는 누유액이 스위치 접점(362a, 362b)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 접점(362a, 362b)을 내부에 구비한 진공관(364)과, 자력을 유도하여 상기 스위치 접점(362a, 362b)이 유도된 자력에 의해 상호 접촉하도록 하는 자성체(366)와, 상기 진공관(364)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전달부(362)를 상하로 둘러싸는 기둥 형태의 몸체(367) 및 상기 몸체(367)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누유액에 의한 부력으로 인해 누유액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부상(浮上)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유체(368)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360)는 상기 하우징(320)에 누유액(D)이 저장되면서 점차 누유액(D)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누유액(D)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상기 부유체(368)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상기 부유체(368)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스냅링(369)을 더욱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냅링(369)은 부유체(368)가 지나치게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체(368)가 상승하다가 미리 설정된 누유액 높이(h)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부유체(368)의 특정 부분(예, 부유체(368)의 상하 중간 부분)이 도달하면, 상기 자성체(366)에 의한 유도 자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 접점(362a, 362b)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고, 상기 스위치 접점(362a, 362b)이 자력에 의해 서로 당겨져 상호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누유로 판단시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한다.
일예로, 상기 누유의 판단은 상기 미리 설정된 누유액 높이(h)만큼 누유액이 저장되면 누유로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누유액 높이(h)만큼 누유액이 저장되지 않으면 누유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실제 주유량에 무관하게 누유액량이 특정값(예, 150㎖ 또는 200㎖)에 해당하는 누유액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누유로 판단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때 이러한 특정값(예, 150㎖ 또는 200㎖)이 기준 용량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에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360)는 저장된 누유액(D)이 기준 용량에 도달할 때 감지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은 기준 용량을 주유량에 비례하여 설정하는 것으로, 일예로, 주유 관련 규정에서 규정되는 특정한 주유량(예, 20ℓ)을 기준으로 정량으로 인정되는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의 상한(예, 15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은 정량(예, 150㎖) 또는 정률(예, 0.5%) 개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누유액 높이(h)는 정량의 주유가 이뤄질 때 그 주유량에 대한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의 상한에 해당하는 연료유의 양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ℓ 주유시 150㎖에 해당하는 누유액 높이가 누유로 판단되는 누유액 높이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때 150㎖가 주유량 20ℓ 대비 기준 용량으로 설정된다.
상기 비상 상태 동작은 누유가 발생되고 있는 상황에서 주유가 계속 진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급유 펌프(140)의 동작 정지 또는 알람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알람 표시는 빛(예, 경고등 점멸) 또는 소리(예, 경고음 송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주유 작업자나 운전자 등에게 현재 누유가 발생되었음을 알리거나 급유 펌프(140)가 동작 정지가 된 상태를 알리는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어부(400)는 관리자 단말(600) 또는 주유기(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비상 상태 동작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누유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관리자 단말(600) 또는 주유기(100)와 유선(또는 무선)으로 네트워크 연결되어 관리자 단말(600)로 급유 펌프(140)의 동작 정지 상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상태 동작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상기 주유기(100)에 구비된 알람부(B)에서 알람이 이뤄질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비상 상태 동작 정보는 주유 작업자의 휴대 단말(700)에 무선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700)은 주유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주유 작업자는 주유소의 주유원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운전자 스스로 주유하는 셀프 주유소의 경우 상기 주유 작업자는 운전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자 단말(600)에서 급유 펌프(140)의 동작 정지 상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비상 상태 동작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관리자 단말(600)에 구비된 프로그램 및 무선 통신 모듈에서 상기 비상 상태 동작 정보를 주유원의 휴대 단말(700)에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주유 작업자는 휴대 단말(700)을 확인하고 누유 발생으로 인해 주유가 정지되었음을 인지하고 후속 대응(예, 주유비 계산, 주유노즐(200) 상태 점검 등)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400) 또는 관리자 단말(600)은 상기 비상 상태 동작 정보에 기초한 문자 메세지 등을 주유 작업자의 휴대 단말(7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400) 및/또는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기(1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주유기(100) 외부에 구비되어 상기 주유기(100)와 회로적, 기구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공지의 임베디드 컴퓨터로 이해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유 작업자에 의해 주유가 시작되고 주유노즐(200) 등에서 누유가 발생하여 누유 여부가 감지되면, 제어부(400)에서는 급유 펌프(140) 정지 등의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며 추가적인 주유 없이 주유가 종료된다.
이때 제어부(400)는 알람 동작을 함께 생성할 수 있으며, 주유기(100) 및 관리자 단말(600)에 알람 동작이 이뤄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만일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에서 누유 여부가 감지되지 않으면 주유가 계속 되며, 주유 작업자에 의해 설정된 주유량의 주유가 이뤄지면 주유가 종료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1300)는, 적어도 2 이상의 누유액 감지 센서(1360)가 서로 다른 기준 용량에 상응하여 구비된다.
상기 각각의 누유액 감지 센서(1360)는 저장된 누유액(D)이 각각의 기준 용량에 도달할 때 각각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각각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각각의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1300) 및 제어부(400)는 상기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을 주유시 정량에 해당하는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의 상한(예, 20ℓ 주유시 150㎖)으로 설정하여 누유액량이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에 도달하는 때 누유가 발생하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유량이 20ℓ일때 누유액량이 150㎖ 미만이면 누유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주유량이 20ℓ일때 누유액량이 150㎖ 이상이면 누유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다른 예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1300) 및 제어부(400)는 상기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을 주유시 정량에 해당하는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의 상한보다 작게 설정(예, 20ℓ 주유시 100㎖)하여 누유액량이 정량 주입의 범위를 넘어서지 않은 상태에서 비상 상태 동작이 이뤄지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1300)는, 하우징(1320) 내부 일측에 구비되어 제1 감지 위치(h1)에 도달한 누유액(D)을 감지하는 제1 누유액 감지 센서(1360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누유액 감지 센서(1360a)는 주유 중 저장된 누유액(D)의 높이가 제1 감지 위치(h1)에 도달하면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제1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제1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용량(예, 20ℓ 주유시 150㎖) 이상인 경우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며, 상기 제1 누유액량이 상기 제1 기준 용량 미만인 경우 주유를 계속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유량계(180)로부터 현재 주유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제1 누유액량이 150㎖에 해당하여 상기 제1 누유액 감지 센서(1360a)로부터 신호가 전달될 때 주유량이 20ℓ가 넘는다면 제1 누유액량이 제1 기준 용량에 해당하지 않은 것이므로 주유를 계속하고, 주유량이 20ℓ이하이면 비상 상태 동작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1300)는, 상기 제1 누유액 감지 센서(1360a) 상측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감지 위치(h1)보다 높은 위치인 제2 감지 위치(h2)에 도달한 누유액(D)을 감지하는 제2 누유액 감지 센서(1360b)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제2 누유액 감지 센서(1360b)는 주유 중 저장된 누유액(D)의 높이가 제2 감지 위치(h2)에 도달하면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400)에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제2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제2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제2 기준 용량(예, 40ℓ 주유시 300㎖) 이상인 경우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며, 상기 제2 누유액량이 상기 제2 기준 용량 미만인 경우 주유를 계속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유량계(180)로부터 현재 주유량을 확인하여 누유 여부를 판단하며, 제2 누유액량이 300㎖에 해당하여 상기 제2 누유액 감지 센서(1360b)로부터 신호가 전달될 때 주유량이 40ℓ가 넘는다면 제2 누유액량이 제2 기준 용량에 해당하지 않은 것이므로 주유를 계속하고, 주유량이 40ℓ이하이면 비상 상태 동작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미리 설정된 제1 기준 용량 및 제2 기준 용량은 각각 서로 다른 주유량에 상응하는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1360a, 1360b)가 2개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이상의 누유액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4개의 누유액 감지 센서(1360a, 1360b, 1360c, 1360d)가 각각 일정한 비율의 주유량 대비 누유량에 해당하는 감지 위치에 도달한 누유액(D)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누유액량을 비율로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 1300, 2300)는, 상기 하우징(320, 1320, 2320) 하부에 상기 저장된 누유액을 배출하는 배출구(322, 1322, 2322)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22, 1322, 2322) 일측에 배출구(322, 1322, 2322)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80, 1380, 2380)이 구비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주유시 정확한 누유 감지를 위해 사전에 누유액(D)을 배출하도록 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으며, 자동 또는 수동으로 배출구(2322)를 개방하여 누유액(D)을 배출하고, 누유액(D) 배출 후 상기 배출구(2322)를 폐쇄하여 유입되는 누유액(D)을 저장하게 된다.
일예로, 상기 개폐수단(2380)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주유 완료 후 미리 설정된 개방 조건 만족시 자동으로 개방이 이뤄진다.
일예로, 상기 미리 설정된 개방 조건은 주유비 계산 완료, 회수 펌프(160) 동작 정지, 주유노즐(200)의 주유기(100) 거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주유 중 누유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어 급유 펌프(140)가 정지한 경우, 운전자는 그때까지 주유한 양에 대해 계산을 하게 되며, 주유비 계산이 완료되면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를 개방하여 하우징(2320)에 저장된 누유액(D)을 지하저장소(500) 등으로 보내게 된다.
이때 지하저장소(500)로 보내지는 누유액(D)은 자중에 의해 이동되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모터(및 펌프)를 이용하여 지하저장소(500) 등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주유비 계산시 발생된 누유액량이 기준 용량을 넘지 않아서 정량의 주유가 이뤄진 것으로 인정되는 상태에서 주유가 중지되었으므로 별도의 주유비 조정이 이뤄지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누유액량에 대한 차액 보상이나 포인트 지급 등 누유에 대한 추가적인 고객 관리가 이뤄질 수도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로의 전원 공급 및 제어는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이뤄지며, 상기 개방 조건은 전술한 기준 용량의 크기나 주유소 운영 형태(예, 주유원이 주유하는 주유소, 셀프 주유소 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Claims (13)

  1. 연료유가 저장된 지하저장소로부터 급유 펌프의 동작에 의해 차량에 연료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주유기;
    상기 주유기와 급유관을 통해 연결되며, 차량의 급유구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차량의 급유구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주유노즐;
    상기 주유노즐과 유증기 회수관을 통해 연결되며, 회수 펌프의 동작에 의해 회수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회수물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부; 및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누유로 판단시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는,
    상기 회수관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는 회수물을 유증기와 누유액으로 분리하여 유증기는 연료유 공급 측으로 보내고, 누유액은 하우징에 저장하며,
    상기 하우징에 기준 용량 이상의 누유액이 저장되는 것을 감지하여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수물이 유입되는 유입관부와,
    상기 하우징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수물에서 분리된 유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관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저장된 누유액량이 기준 용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는,
    기준 용량 이상의 누유액이 저장되는 것을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는 저장된 누유액이 기준 용량에 도달할 때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는,
    적어도 2 이상의 누유액 감지 센서가 서로 다른 기준 용량에 상응하여 구비되고, 상기 각각의 누유액 감지 센서는 저장된 누유액이 각각의 기준 용량에 도달할 때 각각의 감지 신호를 제어부에 전송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각의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각각의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비상 상태 동작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 미만인 경우 주유를 계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는,
    상기 하우징 하부에 상기 저장된 누유액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 일측에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여 이뤄지며,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주유 완료 후 미리 설정된 개방 조건 만족시 자동으로 개방이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개방 조건은 주유비 계산 완료, 회수 펌프 동작 정지, 주유노즐의 주유기 거치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상태 동작은 상기 급유 펌프의 동작 정지 또는 알람 표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관리자 단말 또는 주유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비상 상태 동작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비상 상태 동작 정보는 주유 작업자의 휴대 단말에 무선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 미만인 경우 주유를 계속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PCT/KR2018/004303 2017-04-13 2018-04-12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WO201819065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22443.7A CN110506025A (zh) 2017-04-13 2018-04-12 油雾回收监控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112 2017-04-13
KR1020170048112A KR101787688B1 (ko) 2017-04-13 2017-04-13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657A1 true WO2018190657A1 (ko) 2018-10-18

Family

ID=60296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4303 WO2018190657A1 (ko) 2017-04-13 2018-04-12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87688B1 (ko)
CN (1) CN110506025A (ko)
WO (1) WO201819065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6323A1 (en) * 2019-08-07 2021-02-11 Giffin, In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il/emulsion mist pollution and fum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76B1 (ko) * 2018-10-05 2019-05-15 한국다쓰노(주) 정량 급유 감시장치
KR20200039538A (ko) 2019-05-08 2020-04-16 한국다쓰노(주) 정량 급유 감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8838A (en) * 1989-01-04 1991-08-13 Nuovopignone-Industrie Meccaniche E Fonderia S.P.A. System for safe vapour recovery, particularly suitable for fuel filling installations
KR19980050661U (ko) * 1996-12-30 1998-10-07 이종수 휘발성 증기 회수형 주유기
JP2000335700A (ja) * 1999-05-26 2000-12-05 Tatsuno Corp 給油装置
KR100954829B1 (ko) * 2009-09-10 2010-04-27 엄장우 유증기 회수형 주유건
KR20100115502A (ko) * 2009-04-20 2010-10-28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4427A (en) * 1974-03-20 1975-04-01 Calgon Corp Fuel vapor recovery system
IT1289562B1 (it) * 1995-10-05 1998-10-15 Oliviero Pettazzoni Metodo per il recupero di residui gassosi in impianti di rifornimento ed in serbatoi di carburante e relativa apparecchiatura.
CN105712279B (zh) * 2016-03-21 2019-02-22 樊品良 加油站挥发气体回收装置
CN106145019B (zh) * 2016-08-31 2019-02-26 郑州永邦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油气回收型加油枪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8838A (en) * 1989-01-04 1991-08-13 Nuovopignone-Industrie Meccaniche E Fonderia S.P.A. System for safe vapour recovery, particularly suitable for fuel filling installations
KR19980050661U (ko) * 1996-12-30 1998-10-07 이종수 휘발성 증기 회수형 주유기
JP2000335700A (ja) * 1999-05-26 2000-12-05 Tatsuno Corp 給油装置
KR20100115502A (ko) * 2009-04-20 2010-10-28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KR100954829B1 (ko) * 2009-09-10 2010-04-27 엄장우 유증기 회수형 주유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26323A1 (en) * 2019-08-07 2021-02-11 Giffin, In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il/emulsion mist pollution and fum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7688B1 (ko) 2017-10-18
CN110506025A (zh) 201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90657A1 (ko)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WO2020071813A1 (ko) 정량 급유 감시장치
CN101999100B (zh) 用于传递安置在危险位置中的系统元件的传感器信息的系统、装置和方法
KR930003547B1 (ko) 누출 탐지기 및 누출 탐지 방법
WO2011031045A2 (ko) 유증기 회수형 주유건
CN109476474B (zh) 燃料储存和分配设备
US11820339B2 (en) Brake fluid reservoir with filling adapter
CN104080594B (zh) 回流保护装置
CN206901062U (zh) 液态危化品储罐智能控制系统
JP2001508737A (ja) 給油場の燃料ポンプ
EP2562491A1 (en) Filling system for transferring refrigerant to a refriger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filling system
CN110168623B (zh) 空气引导构件
CN105092185B (zh) 双燃料汽车气密性和通气性检测装置及其控制方法
US5243831A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and recovery of refrigerant
KR101925722B1 (ko) 엔진오일 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엔진오일 배출 방법
CN104555874B (zh) 一种潜油泵型加油机供油管道测漏装置
KR101833999B1 (ko)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WO2022131496A1 (ko) 소방차량용 원격 정비관리 시스템
CN206953615U (zh) 进气歧管装配测试生产系统
KR20110080127A (ko) 수소 냉각식 제네레이터 윤활제 드레인 시스템
CN110422158A (zh) 一种车辆供风单元检测模块、供风单元及检测方法
KR20100115502A (ko)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CN115614661A (zh) 一种可移动式标准化模块加氢站
KR20200039538A (ko) 정량 급유 감시장치
KR102347708B1 (ko) 유해 가스의 실시간 감지 센서모듈이 구비된 웨어러블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전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840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7840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