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999B1 -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999B1
KR101833999B1 KR1020170144256A KR20170144256A KR101833999B1 KR 101833999 B1 KR101833999 B1 KR 101833999B1 KR 1020170144256 A KR1020170144256 A KR 1020170144256A KR 20170144256 A KR20170144256 A KR 20170144256A KR 101833999 B1 KR101833999 B1 KR 101833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cable
bypass
cover
lid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태유
Original Assignee
고태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태유 filed Critical 고태유
Priority to KR1020170144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39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9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1Bases, casings or co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에 공사 중 위험 경고가 표시되도록 하여 무 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공사 중 활선 상태의 여부가 실시간 확인됨에 따른 안전이 증강될 수 있고,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 내부에 먼지 제거 수단과 습기 제거 수단을 구비하여, 먼지, 습기 등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Protective Device for Bypass Cable Joint of Uninterruptible Power Construction}
본 발명은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에 공사 중 위험 경고가 표시되도록 하여 무 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공사 중 활선 상태의 여부가 실시간 확인됨에 따른 안전이 증강될 수 있고,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 내부에 먼지 제거 수단과 습기 제거 수단을 구비하여, 먼지, 습기 등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 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 청구 등의 전기 사용자의 집단 행동과 소송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써 배전 공사 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 정전 공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무 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는 이동용 변압기차공법, 바이패스(By-pass) 케이블 공법, 공사용 개폐장치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은 케이블차와 작업구간에 필요한 케이블, 공사용 개폐장치, 이동용 변압기차, 활선 버켓 트럭 및 활선 작업용 공기구 일체를 갖추고,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하여 전력의 공급을 바이패스되게 한 후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작업을 실시하고 다시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여야 배전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아울러, 완벽한 안전 작업 조건이 요구되는 22,9kV 배전선로 무 정전 공사의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적용하는 직선 및 분기 접속 연결과 이를 감시 관리하는 시스템이 안전 관리의 물적 인적 측면에서 안전 확보상에 매우 취약한 상태가 존재하고, 따라서 작업자의 착오, 착각, 망각, 무의식 등 인적 실수에 의한 임의 판단으로 직선 및 분기 접속 연결을 무단 조작하여 정전 파급고장 및 안전사고발생 사례가 있으며, 이러한 사고를 유발하는 작업자들이 인적실수 가능성이 존재하고, 이로 인한 감전, 화상 등 치명적인 안전사고와 추가적인 정전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2-00103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에 공사 중 위험 경고가 표시되도록 하여 무 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공사 중 활선 상태의 여부가 실시간 확인됨에 따른 안전이 증강될 수 있고,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 내부에 먼지 제거 수단과 습기 제거 수단을 구비하여, 먼지, 습기 등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는,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의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바이패스 케이블의 활선 상태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위험 표시 장치가 구비되고; 바이패스 케이블이 활선 상태 시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의 덮개가 개방되면, 이에 따른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경보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는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부가 내장되어 각각 안착되도록 하부로 오목하게 안착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가이드에 접속부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부 감지부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가 밀폐되도록 덮는 덮개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위험 표시 장치 및 경보 장치는 상기 덮개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덮개의 내측에는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공기를 분사하여 제거하기 위한 공기분사수단과 제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이 더 구비되며;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공기분사수단은 덮개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덮개의 내측면 양단에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 바 형상인 한 쌍의 제1가이드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에 각각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바 형상인 제2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에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압축 공기가 제공되는 공기 공급관이 연결된 노즐이동부와, 상기 노즐이동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공받은 압축 공기가 외부로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는 덮개가 케이스로부터 개방되면 이를 알리는 개방 감지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위험 표시 장치는 덮개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위험 표시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스위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의 활선 상태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경보 장치는 덮개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경보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스위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이 활선 상태 시 접속부 보호함의 덮개가 개방되면 이에 따른 경보를 알리는 조작 금지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위험 표시 장치는 덮개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위험 표시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스위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의 활선 상태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경보 장치는 덮개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경보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스위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이 활선 상태 시 접속부 보호함의 덮개가 개방되면 이에 따른 경보를 알리는 조작 금지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에 따르면,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에 공사 중 위험 경고가 표시되도록 하여 무 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공사 중 활선 상태의 여부가 실시간 확인됨에 따른 안전이 증강될 수 있고,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 내부에 먼지 제거 수단과 습기 제거 수단을 구비하여, 먼지, 습기 등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를 나타낸 내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는 회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에 구비된 구동팬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에 구비된 높이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이란 분기선로, 특고압 수용, 변대주 등의 설비가 있을 경우 공사 구간의 전원 및 부하 측을 공사용 개폐기와 바이패스 케이블로 임시 연결하여 공급하면서 공사 구간의 점퍼선을 활선 작업으로 분리하고 시공하는 공법이다.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 표준 작업 절차를 요약하면, 먼저 소요 장비 및 장구를 준비하고, 현장 확인 및 작업 구간 교통을 통제하며, 공기구 정리 및 점검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어서, 배전 센터 또는 배전 운영실에 작업 통보를 하고, 부하 전류를 측정하며, 작업 전 안전회의를 진행한다.
이어서, 공사용 개폐기 점검 및 설치를 하고, 중간 및 분기 케이블을 포설하며, 중간 케이블 접속 및 분기 케이블 접속을 수행한다.
이어서, 케이블 절연 측정을 하고, 중성선 및 전력선 방호를 진행하고, 입상케이블 고정 장치를 설치하여 입상케이블을 설치하고, 공사용 개폐기 설치 중 전력선에 입상케이블을 연결한다.
이어서,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하고, 분기선로 전력선에 입상케이블을 연결하며, 점퍼선 절단 및 주상변압기 COS를 개방한 후, 작업구간 검전 및 접지를 수행하여, 본 작업을 시행하며, 본 작업이 완료되면, 철거 작업을 하는 순서로 진행한다.
이때, 기존의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은 Fail Safe(안전도 증강 장치) 및 Fool Proof(오조작 방지장치)에 매우 취약하며, 공정의 중요도에 비해 안전도 증강 및 오조작 방지 대책 등이 거의 없는 상태이다.
즉, 접속부 보호함 등에 활선 상태 표시 장치가 없어서, 공사 중 바이패스 케이블의 활선 상태 및 통전 상태 여부가 확인이 안되므로, 착각, 착오 또는 망각 등의 인적실수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접속부 보호함은 활선 및 통전 상태에서도 보호함 덮개가 개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바이패스 케이블을 보호함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착각, 착오, 망각 또는 오판 등에 의한 인적 실수로 인해 치명적인 중대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바이패스 케이블이 통전 중인 활선 상태에서는 접속부 보호함을 충격/이탈시키거나, 바이패스 케이블을 보호함으로부터 분리 조작 등은 감전, 화상, 파급정전 등 매우 치명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유발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존의 접속부 보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한 케이스(2)와, 상부에 위치한 덮개(3)와, 위험 표시 장치와, 경보 장치를 포함하여 접속부 보호함(1)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는 사각 형상의 함체로 구비되며,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부가 내장되어 각각 안착되도록 하부로 오목하게 안착 가이드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 가이드에는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부가 안착 가이드에 밀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인 접속부 감지부(20)가 구비된다.
덮개(3)는 상기 케이스(2)에 일측이 케이스(2)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케이스(2)의 상부가 밀폐되도록 덮을 수 있게 구비된다.
위험 표시 장치는 덮개(3)의 상면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부가 케이스(2)에 내장되고, 접속부 보호함(1)의 덮개(3)가 닫힌 상태에서, 바이패스 케이블의 활선 상태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으로, 위험 표시 장치의 구동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1전원스위치(4), 바이패스 케이블의 활선 상태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부(5) 및 위험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1테스트 스위치(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경보 장치는 덮개(3)의 상면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바이패스 케이블이 활선 상태 시 접속부 보호함(1)의 덮개(3)가 케이스(2)로부터 개방되면, 이에 따른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것으로, 경보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스위치(7), 바이패스 케이블이 활선 상태 시 접속부 보호함(1)의 덮개(3)가 개방되면 이에 따른 경보를 알리는 조작 금지 알림부(8) 및 위험 표시 장치의 작동 상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2테스트 스위치(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험 표시 장치 및 경보 장치는 내장된 배터리(25)로부터 구동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리고 접속부 보호함(1)은 덮개(3)가 케이스(2)로부터 개방되면 이를 알리는 센서인 개방 감지부(30)가 더 구비된다.
위험 표시 장치는 덮개(3)의 상면에 구비된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덮개(3)의 하면에도 구비된다.
마찬가지로 경보 장치도 덮개(3)의 상면에 구비된 것과 동일한 구성으로 덮개(3)의 하면에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부 보호함(1)이 구성되고, 무 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공사 중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부가 내장된 접속부 보호함(1)의 덮개(3)가 닫힌 상태에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부가 케이스(2)에 내장되어 안착 가이드에 안착됨에 따라 접속부 감지부(20)에 의한 센서 신호가 처리장치(21)로 전달되고, 처리장치(21)는 전달받은 센서 신호를 회로 상에 구비된 AND 게이트(40)의 하나의 입력단에 '1'의 입력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태표시부(5)는 LED가 점등되어 '공사중'이라는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 케이블이 통전 중인 활선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접속부 보호함(1)은 덮개(3)가 닫혀진 상태이므로, 개방 감지부(30)에 의한 센서 신호는 상기 AND 게이트(40)의 다른 입력단에 '1'의 입력으로 입력되며, 이때 조작금지 알림부(8)는 LED가 점등되어 '조작금지'라는 표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함으로써 바이패스 케이블이 통전 중인 활선 상태일 때 접속부 보호함(1)의 덮개(3)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이때, AND 게이트(40)는 두 개의 입력이 1이므로, 출력은 1이 되어 조작금지 알림부(8)를 통하여 경보는 울리지 않게 된다.
이어서, 바이패스 케이블이 활선 상태 시 접속부 보호함(1)이 외부로부터 충격을 받아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부가 접속부 감지부(20)로부터 이탈되면, 처리장치(21)는 접속부 감지부(20)로부터 전달받은 센서 신호를 회로 상에 구비된 AND 게이트(40)의 하나의 입력단에 '0'의 입력으로 전달하고, AND 게이트(40)는 출력이 0이 되어 조작금지 알림부(8)를 통하여 경보가 발생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바이패스 케이블이 활선 상태 시 접속부 보호함(1)의 덮개(3)가 케이스(2)로부터 개방되면, 개방 감지부(30)로부터의 센서 신호는 회로 상에 구비된 AND 게이트(40)의 다른 하나의 입력단에 '0'의 입력으로 전달되고, AND 게이트(40)는 출력이 '0'이 되어 조작금지 알림부(8)를 통하여 경보가 발생하게 된다.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부가 접속부 감지부(20)로부터 이탈되는 동시에 접속부 보호함(1)의 덮개(3)가 케이스(2)로부터 개방되면, AND 게이트(40)는 두 개의 입력이 모두 '0'이 되고, AND 게이트(40)는 출력이 '0'이 되어 조작금지 알림부(8)를 통하여 경보가 발생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장치는 접속부 보호함(1)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공기를 분사하여 제거하기 위한 공기분사수단과 제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과 접속부 보호함(1)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수단이 구비되며, 접속부 보호함(1)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부(500)를 더 구비한다.
공기분사수단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3)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덮개(3)의 내측면 양단에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 바 형상인 한 쌍의 제1가이드(270)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210)에 각각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바 형상인 제2가이드(230)와, 상기 제2가이드(230)에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압축 공기가 제공되는 공기 공급관이 연결된 노즐이동부(250)와, 상기 노즐이동부(250)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공받은 압축 공기가 외부로 분사되는 분사노즐(270)과, 상기 노즐이동부(250)의 일측에 구비되어 전방을 촬영하는 소형카메라(29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소형카메라(29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덮개(3)의 상면에 구비된 디스플레이(155)에 표시된다.
배출수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접속부 보호함(1)의 좌/우측에 복수의 구동팬(600)이 구비된다.
먼저,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부 보호함(1) 케이스(2)의 좌/우측에 좌우로 관통된 배기구를 일정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하고, 각각의 배기구에 구동팬(600)이 구비되며, 상기 구동팬(600)의 내측에 배기팬(400)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구동팬(600)의 구조는 다양하게 시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회전축(610)에 의해 회전 가능한 차단판(630)이 약간 경사진 상태로 배기구를 차단하고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하였다.
이는 체크밸브와 유사한 기술적 구성을 갖는 것이며, 이로 인해 차단판(630) 자체 하중에 의해 배기구를 막고 있는 상태이므로, 접속부 보호함(1) 내부의 공기 압력이 외부 공기 압력보다 높아져 상기 차단판(630)의 하중을 이기게 되면 그때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기팬(400)이 작동하게 되면 접속부 보호함(1)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로 유입되면서 음압에 의해 구동팬(600)의 차단판(630)을 밀어내어 외부로 배출되며, 배기팬(400)의 작동이 중지되면, 차단판(630) 자체 하중에 의해 배기구를 막게 되므로, 외부 공기는 접속부 보호함(1)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아울러, 접속부 보호함(1)의 양측면 즉,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이 인입되는 3개의 인입구와, 인입된 바이패스 케이블이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3개의 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구 및 인출구에는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이 안착되도록 오목하게 케이블 거치부가 각각 형성되며, 케이블 거치부에는 압력센서(230)가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이 접속부 보호함(1)으로 인입된 후 인출되면, 인입구와 인출구는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이 안착된 상태가 되고, 인입구와 인출구에 안착된 바이패스 케이블은 자체 무게로 인해 압력센서(230)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인입구에 구비된 압력센서(230)를 통해 출력되는 압력값과 인출구에 구비된 압력센서(230)를 통해 출력되는 압력 값은 그 크기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이 낮은 위치에서 인입구를 통하여 접속부 보호함(1)으로 인입된 후, 인출구로 인출되어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인입구에 위치한 압력센서(230)가 바이패스 케이블에 의해 더 강하게 접촉이 되므로, 인출구에 구비된 압력센서(230) 보다 더 큰 압력값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500)는 접속부 보호함(1)의 하부 모서리 부분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즉 4개가 이격되어 구비된다.
높이 조절부(50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에 고정된 상부모듈(510)과, 상부모듈(510)로부터 일정 거리 하부로 이동되는 하부모듈(550)과, 일측 단은 상기 하부모듈(55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타측 단은 상기 상부모듈(510)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되는 피스톤(570)이 포함되어 구비된다.
상기 하부모듈(550)에 삽입된 피스톤(570)의 일측 단은 원형 구 형태의 회전구(590)로 구성되어, 하부모듈(550)에 삽입된 상태로 일정 반경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570)은 상부모듈(510)에 별도의 유압 장치를 구비하고, 유압 장치의 구동으로 하부로 이동하거나 또는 상부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2)의 하부에 구비된 피스톤(570)이 각각 하부로 이동되면, 하부모듈(550)도 하부로 각각 이동하여 상대적으로 케이스(2)가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이어서 피스톤(570)이 상부로 이동하면, 하부모듈(550)도 상부로 각각 이동하여, 케이스(2)는 상대적으로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처리장치(2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영상을 촬영하는 소형카메라(290), 접속부 보호함(1) 내부에 존재하는 먼지를 감지하는 분진센서부(280), 접속부 보호함(1)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감지하는 습도센서부(260), 접속부 보호함(1)의 높낮이를 감지하는 수평센서부(220), 소형카메라(29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155), 노즐이동부(250)가 이동 및 정지가 되도록 제어하는 노즐제어부(251), 분사노즐(270)로 공기가 분사 및 중단되도록 제어하는 분사노즐 구동부(271), 배기팬(400)을 구동시키기 위한 배기팬 구동부(610), 높이 조절부(500)에 연결되어 각종 제어를 수행한다.
따라서 처리장치(21)는 노즐제어부(251)를 제어하여 제2가이드(230)가 제1가이드(210)를 따라서 상/하 이동되도록 하고, 노즐이동부(250)가 제2가이드(230)를 따라서 좌/우 이동되도록 하면서, 소형카메라(290)를 통하여 접속부 보호함(1)의 내부,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의 표면 등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소형카메라(290)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은 디스플레이(155)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며, 분진센서부(280)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허용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분진이 검출되면, 노즐제어부(251)와 노즐구동부(610)를 제어하여 분사노즐(270)로부터 압축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어서,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의 표면으로부터 이탈된 먼지가 접속부 보호함(1) 내부에서 유동하게 되며, 상기 분진센서부(280)를 통하여 이물질이 감지되면 처리장치(21)는 배기팬 구동부(610)를 제어하여 배기팬(400)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부 보호함(1)의 내부에서 유동되는 먼지 등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이물질로 인한 작동 상의 오류 발생 가능성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처리장치(21)는 습도센서부(260)를 통하여 감지된 습도가 미리 설정된 허용치를 넘으면, 배기팬 구동부(610)를 제어하여 배기팬(400)이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부 보호함(1)의 내부의 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접속부 보호함(1)의 습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처리장치(21)는 인입구에 구비된 압력센서부(230)를 통하여 입력된 압력과, 인출구에 구비된 압력센서부(230)를 통하여 입력된 압력을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압력 값이 큰 쪽에 위치한 높이 조절부(500)를 구동하여 피스톤(570)이 내부로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압력 값이 큰 쪽을 하부로 이동시키고 또는 상대적으로 압력 값이 작은 쪽에 위치한 높이 조절부(500)를 구동하여 피스톤(570)이 내부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압력 값이 작은 쪽을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어,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이 낮은 위치에서 인입구를 통하여 접속부 보호함(1)으로 인입된 후 인출구로 인출되어 높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인입구에서는 인입구와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의 하면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접촉되어,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이 손상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높이 조절부(500)를 통하여 인입구가 위치한 부분이 낮아지도록 하여 인입구와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의 하면 사이에 접촉 압력을 낮춰줌으로써, 인입구와의 사이에서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이 손상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출구에서는 인출구와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의 하면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접촉되어,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이 유동될 수 있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높이 조절부(500)를 통하여 인출구가 위치한 부분이 높아지도록 하여 인출구와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의 하면 사이가 더욱 강하게 접촉되도록 가압되도록 함으로써, 인출구와의 사이에서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이 유동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처리장치(21)는 수평센서부(220)를 통하여 접속부 보호함(1)의 수평이 맞지 않으면, 높이 조절부(500)를 구동시켜 접속부 보호함(1)의 수평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에 따르면, 배전 선로의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에 의한 무 정전공사 작업과정에서 작업자가 착각, 혼동 등으로 통전 상태의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을 사선 상태로 착오 판단하여 케이블을 이동-해체하려할 때,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에 공사 중 위험 경고가 발광 장치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하여 무 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공사 중 활선 상태의 여부가 실시간으로 감시 확인됨에 따른 작업자에게 안전주의를 경고하는 등 안전이 증강될 수 있다.
아울러 이미 통전 상태(공사중)를 알려주는 발광 장치의 시각적 경고에도 작업자가 계속, 접속부 보호함의 케이블을 해체 분리하려고 접속부 보호함의 덮개를 개방 시도하는 즉시 시각-청각적인 강력한 경보를 발하는 경고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해당 작업자는 물론 주위 작업 관계자들에게 위해 경보를 발하여 해당 작업자의 무단 위해 작업을 중단시킬 수 있도록 하여 감전사고 및 정전고장 등 인재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하는 등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내부에 먼지 제거 수단과 습기 제거 수단을 구비하여, 먼지, 습기 등으로 인해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접속부 보호함 3: 덮개
4: 제1전원스위치 5: 상태표시부
6: 제1테스트 스위치 7: 제2전원스위치
8: 조작금지 알림부 9: 제2테스트 스위치

Claims (4)

  1.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의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 바이패스 케이블의 활선 상태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위험 표시 장치가 구비되고; 바이패스 케이블이 활선 상태 시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의 덮개가 개방되면, 이에 따른 경보가 발생되도록 하는 경보 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는 3상 바이패스 케이블의 접속부가 내장되어 각각 안착되도록 하부로 오목하게 안착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가이드에 접속부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는 접속부 감지부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의 상부가 밀폐되도록 덮는 덮개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위험 표시 장치 및 경보 장치는 상기 덮개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덮개의 내측에는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 내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공기를 분사하여 제거하기 위한 공기분사수단과 제거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수단이 더 구비되며;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의 내부에 존재하는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제습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공기분사수단은 덮개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덮개의 내측면 양단에 이격되어 상/하 방향으로 연장 구비된 바 형상인 한 쌍의 제1가이드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양단이 상기 제1가이드에 각각 상/하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바 형상인 제2가이드와, 상기 제2가이드에 좌측 및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압축 공기가 제공되는 공기 공급관이 연결된 노즐이동부와, 상기 노즐이동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공받은 압축 공기가 외부로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이패스 케이블 보호장치는 덮개가 케이스로부터 개방되면 이를 알리는 개방 감지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위험 표시 장치는 덮개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위험 표시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스위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의 활선 상태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경보 장치는 덮개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경보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스위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이 활선 상태 시 접속부 보호함의 덮개가 개방되면 이에 따른 경보를 알리는 조작 금지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위험 표시 장치는 덮개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위험 표시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1전원스위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의 활선 상태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상태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경보 장치는 덮개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경보 장치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2전원스위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이 활선 상태 시 접속부 보호함의 덮개가 개방되면 이에 따른 경보를 알리는 조작 금지 알림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KR1020170144256A 2017-10-31 2017-10-31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KR101833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56A KR101833999B1 (ko) 2017-10-31 2017-10-31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56A KR101833999B1 (ko) 2017-10-31 2017-10-31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3999B1 true KR101833999B1 (ko) 2018-03-02

Family

ID=61729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256A KR101833999B1 (ko) 2017-10-31 2017-10-31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39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20A (ko) * 2021-10-13 2023-04-2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용 단말장치
KR102605912B1 (ko) * 2022-11-16 2023-11-27 주식회사 대창전기기술단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348B1 (ko) 2017-02-23 2017-09-29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공사중 경고 및 오조작 방지 경보장치를 내장한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3348B1 (ko) 2017-02-23 2017-09-29 티앤제이건설 주식회사 공사중 경고 및 오조작 방지 경보장치를 내장한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20A (ko) * 2021-10-13 2023-04-2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용 단말장치
KR102650201B1 (ko) * 2021-10-13 2024-03-20 호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 모니터링용 단말장치
KR102605912B1 (ko) * 2022-11-16 2023-11-27 주식회사 대창전기기술단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4867B1 (ko) 안전관리 및 인공지능형 음성경보장치와 2차원 온도센싱 장치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및 mcc,분전반
US6317053B1 (en) Switch cabinet with a fire extinguishing system
KR101833999B1 (ko)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CN109017313A (zh) 电动汽车高压安全控制系统和方法
CN206228804U (zh) 电力机车及其灭火系统
KR102211479B1 (ko) 스태커 크레인 원격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KR102157984B1 (ko) 이상진단 및 대처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
KR101992385B1 (ko)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
JP5851380B2 (ja) トンネル消火栓装置
KR101663653B1 (ko) 전력선통신이 가능하고 환경센서군 및 Wi-Fi모듈이 탑재된 Gateway를 이용한 공사현장의 안전과 시설물 관리장치
JP5046530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1379501B1 (ko) Rfid를 이용한 수배전반 안전잠금장치
US11111652B2 (en) Construction machine equipped with battery
CN210778323U (zh) 一种配电网环网柜防误合接地刀闸强制闭锁装置
KR101783348B1 (ko) 공사중 경고 및 오조작 방지 경보장치를 내장한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 접속부 보호함
KR101277282B1 (ko)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JP5456579B2 (ja) スイッチギヤ
CN108539594B (zh) 一种具有连续远程监视低压开关柜智能供配电系统
CN212267467U (zh) 轨道车辆
JPH09150911A (ja) 自動倉庫
KR20140134545A (ko) 다용도 개폐기함
KR102077651B1 (ko) Ict 분전반 위험 상황 예측 감시 시스템
KR101504602B1 (ko) 안전슈 보호 시스템
KR101801038B1 (ko) 컷아웃 스위치 시스템
US20110282515A1 (en) Zone shut-down contro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