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5912B1 -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5912B1
KR102605912B1 KR1020220153472A KR20220153472A KR102605912B1 KR 102605912 B1 KR102605912 B1 KR 102605912B1 KR 1020220153472 A KR1020220153472 A KR 1020220153472A KR 20220153472 A KR20220153472 A KR 20220153472A KR 102605912 B1 KR102605912 B1 KR 102605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bird
screwed
uni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3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민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창전기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창전기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창전기기술단
Priority to KR102022015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5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5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59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31/00Hunting appliances
    • A01M31/002Detecting animals in a given are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200/00Kind of anim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irds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에 조류가 접근하거나 앉을려고 하는 경우 차단 또는 퇴치하여 전기사고 또는 조류 배설물로 인한 부식 등을 방지하게 되고, 스스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함과 아울러 배전선로에 앉는 조류를 감지하여 퇴치하는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며, 송전철탑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조류를 퇴치하도록 된 조류 퇴치 시스템의 시공방법으로서 배전선로의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 및 먼지를 제거하도록 된 시공시작단계; 배전선로의 조류를 퇴치시키는 조류 퇴치 시스템을 설치하는 배전선로 조류퇴치 시스템 시공단계;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조류 퇴치 시스템의 조류감지센서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조류감지센서 작동확인단계; 조류 퇴치 시스템의 스피커모듈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스피커모듈작동상태확인단계; 및 조류 퇴치 시스템이 연결된 배전선로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을 전검하는 조류 퇴치 시스템 배전선로 이동확인단계로 이루어지며, 배전선로 조류퇴치 시스템 시공단계에는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배전확인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는 특징에 의하여 배전선로에 조류가 접근하거나 앉을시 차단 또는 퇴치하여 전기안전사고 또는 조류 배설물로 인한 부식 등을 방지하고, 조류 접근을 자동 차단하거나 또는 자동 퇴치시키므로 배전선로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Algae control system for overhead distribution line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에 조류가 접근하거나 배전선로에 조류가 앉는 것을 차단 또는 퇴치하여 전기안전사고 또는 조류의 배설물로 인한 부식 등을 방지하고, 조류의 접근을 자동으로 차단함과 아울러 배전선로에 앉는 조류를 감지하여 퇴치하는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는 배전탑 등에 연결되어 변전소에서 송신된 고압의 전류를 가정 및 기업 등 수용가에 분배한다.
이때, 배전탑 등에 조류가 둥지를 틀어 놓으면 둥지를 이루는 나뭇가지, 볏집은 물론, 철사 등의 전도체와 고압의 전압이 합선되어 전기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배전선로에 조류 배설물이 묻을 경우, 조류의 배설물 중 칼륨(K)성분이 비 또는 수증기에 용해되어 배전선로의 부식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기사고 및 부식은 배전선로를 통하는 전력이 단전되는 원인이 되며, 단전으로 인하여 생산활동 중인기업이나 주거지역 등의 수용가에 전력이 차단되는 피해가 발생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10-189769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에 조류가 접근하거나 배전선로에 조류가 앉을시 차단 또는 퇴치하여 전기사고 또는 조류의 배설물로 인한 부식 등을 방지하게 되고, 스스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함과 아울러 배전선로에 앉는 조류를 감지하여 퇴치하도록 된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송전철탑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조류를 퇴치하도록 된 조류 퇴치 시스템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배전선로의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 및 먼지를 제거하도록 된 시공시작단계와, 상기 배전선로의 조류를 퇴치시키는 조류 퇴치 시스템을 설치하는 배전선로 조류퇴치 시스템 시공단계와, 상기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상기 조류 퇴치 시스템의 조류감지센서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조류감지센서 작동확인단계와, 상기 조류 퇴치 시스템의 스피커모듈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스피커모듈작동상태확인단계와, 상기 조류 퇴치 시스템이 연결된 상기 배전선로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을 전검하는 조류 퇴치 시스템 배전선로 이동확인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전선로 조류퇴치 시스템 시공단계에는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배전확인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송전철탑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조류를 퇴치하도록 된 조류 퇴치 시스템으로서, 상기 배전선로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배전선로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게 외면에 관통공들이 형성된 작동하우징과,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며, 상기 배전선로의 앉은 조류를 감지하도록 된 조류감지센서와, 상기 작동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류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작동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알람을 송출하는 스피커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전선로에 끼움되는 이송관부와, 상기 이송관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하우징에 연결되는 연결샤프트로 이루어져, 상기 배전선로에 조류가 앉게 되면 상기 조류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모듈에 신호를 전달하여 송출되는 알람소리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에서 조류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조류의 배설물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가 오염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은 배전선로로 조류가 접근하거나 배전선로에 조류가 앉을시 차단 및 퇴치하여 전기사고 및 조류의 배설물로 인한 부식 등을 방지하게 되고, 스스로 조류의 접근을 차단함과 아울러 배전선로에 앉는 조류를 감지하여 퇴치하도록 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의 조류기피재분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의 탄성형미끄럼 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의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의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의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을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을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의 조류기피재분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의 탄성형미끄럼 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의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의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의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조류 퇴치 시스템라 명명함)는 송전철탑(100)에 연결되는 배전선로(200)의 조류를 퇴치하도록 된 조류 퇴치 시스템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조류 퇴치 시스템은 연결부(20)와 작동하우징(30)과 조류감지센서(40)와 제어부(50)와 스피커모듈(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배전선로(200)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배전선로(200)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20)는 상기 배전선로(200)에 끼움되는 원형의 이송관부(21)와,
상기 이송관부(21)의 외면에 일단이 부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하우징(30)에 연결되는 연결샤프트(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관부(21) 및 상기 연결샤프트(22)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하우징(30)은 상기 연결부(20)에 연결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게 외면에 관통공(31)들이 형성된다.
상기 작동하우징(30)은 절연되도록 합성수지재 또는 석재로 형성시키게 되며, 상기 연결샤프트(22)의 타단에 상면이 부착 또는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조류감지센서(40)는 상기 연결부(20)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며, 상기 배전선로(200)의 앉은 조류를 감지하도록 된다.
상기 조류감지센서(40)는 적외선센서이며 대상을 감지하는 센서이면 어느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조류감지센서(40)는 상기 배전선로(200)에 앉는 조류를 감지하거나 배전선로(200)로 근접하게 이동하는 조류를 감지한 후 그 감지신호를 상기 제어부(5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작동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류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작동하우징(30)의 내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조류감지센서(4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스피커모듈(60)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조류의 수에 따라 스피커모듈의 소리의 크기를 조절하여 송출되도록 한다.
상기 스피커모듈(60)은 상기 작동하우징(3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50)의 신호를 전달받아 알람을 송출하게 된다.
상기 스피커모듈(60)은 상기 작동하우징(30)의 내면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제어부(50)의 신호를 전달받아 알람 및 소리를 송출하여, 상기 작동하우징(30)에 형성되는 관통공(31)을 통해 배전선로(200)에 앉는 조류에 전달되어, 조류를 이동시켜 퇴치할 수 있게 되며, 배전선로에 앉기 위해 접근하는 조류를 퇴치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배전선로(200)에 조류가 앉게 되면 상기 조류감지센서(40)가 이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5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스피커모듈(60)에 신호를 전달하여 송출되는 알람소리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200)에서 조류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조류의 배설물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200)가 오염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관부의 외면에는 바이브레이터인 퇴치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상기 퇴치진동기가 구동하여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배전선로 및 배선선로에 앉은 조류에 전달되어 조류를 퇴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퇴치진동기의 진동에 의해 이송관부 및 배선선로의 이물질을 탈거시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작동하우징(30)에서 배선선로에 앉는 조류에 조류기피재를 분사하여 퇴치하도록 조류기피재분무수단(70)이 더 마련된다.
상기 조류기피재분무수단(70)은, 상기 작동하우징(30)의 내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내부에 액상의 조류기피재가 충진되는 충진탱크(71)와, 상기 충진탱크(71)와 이송호스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50)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충진탱크(71)의 조류기피재를 펌핑하여 이송시키는 이송펌프(72)와, 상기 작동하우징(30)에 외면에 부착되거나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이송펌프(72)의 조류기피재를 전달받아 분사하는 분사노즐(73)과, 상기 이송펌프(72)와 상기 분사노즐(73)을 연결하는 연결호스(74)로 이루어져, 상기 제어부(50)에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이송펌프(72)를 구동시켜 상기 분사노즐(73)을 통해 조류기피재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조류기피재에 의해 배전선로(200)의 조류를 이동시켜 퇴치하게 된다.
상기 조류기피재는 안트라닐산 메틸(methyl anthranilate) 시나몬(cinnamon), 알데히드(aldehyde) 및 펜티온(fenthio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액상의 화합물질 또는 천연물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분말형태로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20)에는 상기 배전선로(200)에 조류가 앉을시 조류의 무게에 의해 경사지게 배치되는 배전선로(200)를 따라 미끄럼 이동되도록 상기 이송관부(21)에 탄성형미끄럼 안내수단(80)이 더 마련된다.
상기 탄성형미끄럼 안내수단(80)은, 상기 이송관부(21)의 내면에 상부와 하부에 일단이 부착되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81)와, 상기 가이드샤프트(81)에 회전되게 힌지결합되며, 합성수지재 또는 석재로 형성된 곡선의 가이드패널(82)과, 상기 가이드패널(82)의 내면에 형성되는 베어링홈(83)들과, 상기 베어링홈(83)들에 회전되게 체결되며,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배전선로(200)에 안내되는 볼베어링(84)으로 이루어져, 상기 연결부(20) 및 상기 하우징본체의 자중에 의해 기울어진 배선선로를 따라 상기 볼베어링(84)에 안내되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마찰이나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기울어진 배전선로(200)를 따라 상기 가이드샤프트(81)에 힌지결합된 사익 가이드패널(82)이 회전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송전철탑(100)에 연결되는 배전선로(200)의 조류를 퇴치하도록 된 조류 퇴치 시스템의 시공방법은 상기 배전선로(200)의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 및 먼지를 제거하도록 된 시공시작단계(S1)와, 상기 배전선로(200)의 조류를 퇴치시키는 조류 퇴치 시스템을 설치하는 배전선로(200) 조류퇴치 시스템 시공단계(S2)와, 상기 배전선로(200)에 물체를 배치하여 상기 배전선로(200)에 설치되는 상기 조류 퇴치 시스템의 조류감지센서(40)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조류감지센서(40) 작동확인단계(S3)와, 상기 조류 퇴치 시스템의 스피커모듈(60)이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스피커모듈(60)작동상태확인단계(S4)를 거치게 된다. 즉, 조류감지센서(40)가 대상물을 감지한 후 감지신호를 제어부(50)에 전달하여 제어부(50)가 상기 스피커모듈(60)을 작동시켜 알람이 송출되는 것을 확인하게 된다.
이후, 상기 조류 퇴치 시스템이 연결된 상기 배전선로(200)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을 전검하여, 상기 연결부(20)가 상기 배전선로(200)에 걸려 이동이 제한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조류 퇴치 시스템 배전선로(200) 이동확인단계(S5)를 거침으로써,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때, 상기 배전선로 조류퇴치 시스템 시공단계(S2)에는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90)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배전확인작업안내단계(S2-1)가 더 포함된다.
상기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90)은, 상기 송전철탑(100)에 탈착가능하게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91)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92)와,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92)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제3패널이송모듈(933)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93)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943)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94)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951-1)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951)들과,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952-1)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952)들과,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953-1)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953)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95)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95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963)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96)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97)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98)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99)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은 금속재로 형성된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이송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은 실린더이며, 상기 제1회전안내유닛(951)과 상기 제2회전안내유닛(952)과 제3회전안내유닛(953)은 모터이며,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은 카메라이다.
또한,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과 제3회전모듈유닛(953-1)은 원형 또는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은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의 구동에 의해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면이나 지상의 현장상황이나 위험요소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제어하여 음성을 송출시키거나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촬영정보를 통해 현상의 위험상황을 인지한 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통해 위험신호를 송출하여 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조류 퇴치 시스템 20 : 연결부
21 : 이송관부 22 : 연결샤프트
30 : 작동하우징 31 : 관통공
40 : 조류감지센서 50 : 제어부
60 : 스피커모듈 70 : 조류기피재분무수단
71 : 충진탱크 72 : 이송펌프
73 : 분사노즐 74 : 연결호스
80 : 탄성형미끄럼 안내수단 81 : 가이드샤프트
82 : 가이드패널 83 : 베어링홈
84 : 볼베어링
90 :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 91 : 연결고정모듈유닛
92 : 가이드샤프트 93 : 이송모듈부
931 : 제1패널이송모듈 932 : 제2패널이송모듈
933 : 제3패널이송모듈 94 : 승강안내부
941 : 제1승강안내유닛 942 : 제2승강안내유닛
943 : 제3승강안내유닛 95 : 회전안내부
951 : 제1회전안내유닛 951-1 : 제1회전모듈유닛
952 : 제2회전안내유닛 952-1 : 제2회전모듈유닛
953 : 제3회전안내유닛 953-1 : 제3회전모듈유닛
96 : 상황촬영부 961 : 제1상황촬영유닛
962 : 제2상황촬영유닛 963 : 제3상황촬영유닛
97 : 제어부 98 : 송,수신부
99 : 상태안내스피커
100 : 송전철탑 200 : 배전선로

Claims (2)

  1. 송전철탑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조류를 퇴치하도록 된 조류 퇴치 시스템의 시공방법으로서,
    상기 배전선로의 외면에 달라붙은 이물질 및 먼지를 제거하도록 된 시공시작단계;
    상기 배전선로의 조류를 퇴치시키는 조류 퇴치 시스템을 설치하는 배전선로 조류퇴치 시스템 시공단계;
    상기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상기 조류 퇴치 시스템의 조류감지센서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조류감지센서 작동확인단계;
    상기 조류 퇴치 시스템의 스피커모듈의 작동상태를 확인하는 스피커모듈작동상태확인단계; 및
    상기 조류 퇴치 시스템이 연결된 상기 배전선로를 따라 이동되는 과정을 전검하는 조류 퇴치 시스템 배전선로 이동확인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전선로 조류퇴치 시스템 시공단계에는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에 의해 현장의 작업상황을 파악하고, 위급상황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배전확인작업안내단계가 더 포함되며,
    상기 조류 퇴치 시스템은
    상기 배전선로를 따라 안내되도록 상기 배전선로에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작동공간과 연통되게 외면에 관통공들이 형성된 작동하우징과,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어 함께 이동되며, 상기 배전선로의 앉은 조류를 감지하도록 된 조류감지센서와,
    상기 작동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류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작동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알람을 송출하는 스피커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배전선로에 끼움되는 이송관부와,
    상기 이송관부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작동하우징에 연결되는 연결샤프트로 이루어져,
    상기 배전선로에 조류가 앉게 되면 상기 조류감지센서가 이를 감지하며 상기 제어부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피커모듈에 신호를 전달하여 송출되는 알람소리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에서 조류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조류의 배설물에 의해 상기 배전선로가 오염되거나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상기 배전확인작업안내수단은, 상기 송전철탑에 탈착가능하게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와,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과 제2패널이송모듈과 제3패널이송모듈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과, 제1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들과, 제2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들과, 제3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 및 상기 회전안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의 시공방법.

  2. 삭제
KR1020220153472A 2022-11-16 2022-11-16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605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472A KR102605912B1 (ko) 2022-11-16 2022-11-16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3472A KR102605912B1 (ko) 2022-11-16 2022-11-16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5912B1 true KR102605912B1 (ko) 2023-11-27

Family

ID=88967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3472A KR102605912B1 (ko) 2022-11-16 2022-11-16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591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438A (ja) * 2008-03-05 2009-09-17 Viscas Corp 鳥追払い装置及び鳥追払いシステム
CN107455362A (zh) * 2017-09-15 2017-12-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威海市文登区供电公司 一种配电线路杆塔新型驱鸟装置的使用方法
KR101833999B1 (ko) * 2017-10-31 2018-03-02 고태유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KR101897693B1 (ko) 2018-05-21 2018-09-12 동부전기기술단 (주) 조류 퇴치 기능을 갖는 배전 선로
KR20190128908A (ko) * 2018-05-09 2019-11-19 한국전기연구원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KR102260666B1 (ko) * 2020-12-10 2021-06-07 주식회사 경원이앤아이 주택 밀집지역의 배전선로 조류퇴치시스템
KR102356744B1 (ko) * 2021-03-29 2022-02-08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375195B1 (ko) * 2021-09-27 2022-03-16 (주)성전엔지니어링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조류퇴치 기능을 갖는 항공장애 표시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07438A (ja) * 2008-03-05 2009-09-17 Viscas Corp 鳥追払い装置及び鳥追払いシステム
CN107455362A (zh) * 2017-09-15 2017-12-12 国网山东省电力公司威海市文登区供电公司 一种配电线路杆塔新型驱鸟装置的使用方法
KR101833999B1 (ko) * 2017-10-31 2018-03-02 고태유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KR20190128908A (ko) * 2018-05-09 2019-11-19 한국전기연구원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KR101897693B1 (ko) 2018-05-21 2018-09-12 동부전기기술단 (주) 조류 퇴치 기능을 갖는 배전 선로
KR102260666B1 (ko) * 2020-12-10 2021-06-07 주식회사 경원이앤아이 주택 밀집지역의 배전선로 조류퇴치시스템
KR102356744B1 (ko) * 2021-03-29 2022-02-08 주식회사 대성이엔지 (Eng)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예방 시스템 및 그 구축방법
KR102375195B1 (ko) * 2021-09-27 2022-03-16 (주)성전엔지니어링 산악지역 배전선로의 조류퇴치 기능을 갖는 항공장애 표시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28429B1 (de) Windpark
KR102605912B1 (ko)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201986588U (zh) 防蛇攀爬装置
WO2018184068A1 (en) Underground utilities enclosures
CN111264513B (zh) 一种用于海洋深层作业送电防漏电设备
CN108283173B (zh) 一种高压线塔内部驱鸟装置
CN103883159A (zh) 围界保护系统
CN112400858B (zh) 一种杆塔防小动物装置
KR100589640B1 (ko) 애자 청소용 로봇의 이송장치
CN210695601U (zh) 一种白蚁检测装置的外壳及白蚁检测装置
KR10261839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습도 감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1353261B1 (ko) 조류 퇴치기
CN107134739A (zh) 一种输电线路修缮与驱鸟装置
KR102471446B1 (ko) 조류로부터의 도로변 배전선로 보호장치
KR101389474B1 (ko) 조류 착지 방지 장치
KR102660424B1 (ko)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안전 구축시스템
CN106489911A (zh) 一种输电杆塔防鸟筑巢装置
KR102656856B1 (ko) 인공지능과 연계된 배전 관리 시스템
CN203839733U (zh) 防鼠式开关柜
KR102656968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
US6690562B2 (en) Lighting suppression system for control or instrumentation cable
EP0271071A2 (de) Einrichtung zur Überwachung von Masten einer Freileitung
KR102670923B1 (ko) 배전선로의 낙뢰 방지 장치
DE102007049819A1 (de) Entlad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 Seilwinde eines Hubschraubers, und Seilwinde mit Entladevorrichtung
KR102565437B1 (ko) 특고압 송전선로 작업자 낙뢰 보호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