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968B1 -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968B1
KR102656968B1 KR1020230192861A KR20230192861A KR102656968B1 KR 102656968 B1 KR102656968 B1 KR 102656968B1 KR 1020230192861 A KR1020230192861 A KR 1020230192861A KR 20230192861 A KR20230192861 A KR 20230192861A KR 102656968 B1 KR102656968 B1 KR 102656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unit
screwed
panel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9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응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우텍
Priority to KR102023019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9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8Testing of lines, cables or conduct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된 배전선로인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누전 및 발열에 따른 화재를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예방하는 시스템으로서 공동주택의 외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과 공동주택에 체결된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의 전면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샤프트와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체결된 연결샤프트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케이블이 관통되게 끼움되는 안착고정관과 연결샤프트에 체결된 안착고정관에 마련되어 안착고정관에 끼움된 케이블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상태감지부와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마련되며 안착고정관에 체결된 상태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중앙제어부와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체결되며 중앙제어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감지송출부로 이루어져 공동주택에 전원를 공급하는 전기배선인 케이블의 이상유무를 감지하고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감지신호를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손상 및 누전이나 화재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케이블의 손상 및 안전사고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Distribution line accident prevention system using big data}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에 전원를 공급하는 전기배선인 케이블의 이상유무를 감지하고,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감지신호를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손상 및 누전이나 화재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케이블의 손상 및 안전사고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전된 전력은 지상의 수변전설비, 지중의 전기 맨홀을 거쳐 수요측에 공급된다.
이중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을 통해 지상의 수요측 건물(공동주택 건축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 지중에 매설된 케이블을 지상측 건물의 외벽과 근접된 곳에서 지상으로 인출하여 상기 건물 외벽을 따라 입상시켜 인입부를 통해 옥내에 인입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건물 외벽에 대한 전기 케이블의 설치 구조상,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어 강풍 등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됨에 따라 단선이 발생될 수 있고, 눈과 비가 케이블의 피복을 통해 침투하여 누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건물에 케이블의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구성이 없어, 과열 및 누전과 같은 이상유무를 감지할 수 없어 안전사고에 따른 피해 및 유지보수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957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595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에 전원를 공급하는 전기배선인 케이블의 이상유무를 감지하고,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감지신호를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손상 및 누전이나 화재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케이블의 손상 및 안전사고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공동주택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된 배전선로인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누전 및 발열에 따른 화재를 예방 하도록 된 예방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동주택의 외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과, 상기 공동주택에 체결된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의 전면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샤프트와,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체결된 상기 연결샤프트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게 끼움되는 안착고정관와, 상기 연결샤프트에 체결된 상기 안착고정관에 마련되어, 상기 안착고정관에 끼움된 상기 케이블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상태감지부와,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마련되며 상기 안착고정관에 체결된 상기 상태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중앙제어부와,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체결되며, 상기 중앙제어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감지송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태감지부는, 상기 연결샤프트에 체결된 상기 안착고정관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와, 상기 안착고정관에 체결된 가이드샤프트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감지샤프트들과,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체결된 상기 감지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송출부는,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송출브라켓과,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체결된 상기 송출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송,수신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고정관에는, 관통되게 끼움된 상기 케이블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도록 탄성완충지지관이 더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탄성완충지지관은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는 설치과정에서 위급상황 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경고송출지시모니터링안내수단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은 공동주택에 전원를 공급하는 전기배선인 케이블의 이상유무를 감지하고, 중앙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감지신호를 송출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의 손상 및 누전이나 화재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케이블의 손상 및 안전사고에 따른 유지보수비용이 과도하게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의 경고송출지시모니터링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의 경고송출지시모니터링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등)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설치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을 나타낸 설치상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의 경고송출지시모니터링안내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의 경고송출지시모니터링안내수단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예방 시스템라 명명함)는 공동주택(100)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된 배전선로인 케이블(200)에서 발생되는 누전 및 발열에 따른 화재를 예방 하도록 된 예방 시스템(10)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예방 시스템(10)은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과 연결샤프트(30)와 안착고정관(40)과 상태감지부(50)와 중앙제어부(60)와 감지송출부(7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은 공동주택(100)의 외면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공동주택(100)의 외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거나 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샤프트(30)는 공동주택(100)에 체결된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의 전면부에 연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연결샤프트(3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의 전면부에 일단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안착고정관(40)은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에 체결된 상기 연결샤프트(30)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200)이 관통되게 끼움된다.
상기 안착고정관(40)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관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고정관(40)에는 상기 케이블(200)이 관통되게 끼움되어, 상기 케이블(2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며, 바람이나 외력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케이블(200)이 공동주택(100)과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상태감지부(50)는 연결샤프트(30)에 체결된 상기 안착고정관(40)에 마련되어, 상기 안착고정관(40)에 끼움된 상기 케이블(200)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된다.
상기 상태감지부(50)는, 상기 연결샤프트(30)에 체결된 상기 안착고정관(40)에 일단이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51)와, 상기 안착고정관(40)에 체결된 가이드샤프트(51)에 상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감지샤프트(52)들과, 상기 가이드샤프트(51)에 체결된 상기 감지샤프트(52)의 하단부에 부착되거나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2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200)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53)로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센서(53)는 열감지센서(53)이며, 상기 케이블(200)에서 발생되는 누전이나 과열 및 화재에 의한 열기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감지샤프트(52)에는 하단부에 상기 감지센서(53)와 함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더 부착하여, 상기 케이블(200)이 절단되어 이동되거나, 처짐이 발생시 이를 감지한 후 상기 중앙제어부(60)에 전달하여 신속한 유지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감지센서(53)는 상기 케이블(200)에서 발생되는 누전이나 과열에 따른 열기 및 온도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상기 중앙제어부(6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부(60)는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에 마련되며 상기 안착고정관(40)에 체결된 상기 상태감지부(5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부(60)는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의 전면부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감지센서(53) 및 후술될 송,수신기(7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전달받게 됨과 아울러 상기 송,수신기(72)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부(60)는 상기 감지센서(53)에서 전달된 감지신호의 온도정보가 중앙제어부(60)에 입력된 온도정보보다 높으면, 상기 중앙제어부(60)는 위험으로 판단하게 되고 상기 송,수신기(72)에 감지신호를 전달하여 송출시키게 된다.
상기 중앙제어부(60)는 감지신호의 온도정보 테이터를 지속적으로 저장하게 되고, 화재가 발생되기 직전의 온도를 저장하여 화재발생시점을 예측하도록 하고, 송,수신기(72)에 예측신호를 전달하여 화재를 예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송출부(70)는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에 체결되며, 상기 중앙제어부(6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게 된다.
상기 감지송출부(70)는,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의 전면부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송출브라켓(71)과,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에 체결된 상기 송출브라켓(7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송,수신기(72)로 이루어진다.
상기 송,수신기(72)는 상기 중앙제어부(60)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함으로써, 관리자 단말기로 수신된 감지신호에 의해 작업자가 신속하게 케이블(200)을 유지보수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안착고정관(40)에는, 관통되게 끼움된 상기 케이블(200)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도록 탄성완충지지관(80)이 더 끼움되어 고정된다.
상기 탄성완충지지관(80)은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상기 안착고정관(40)에 끼운 된 후 접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탄성완충지지관(80)의 탄성에 의해 외부에서 상기 케이블(2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마찰에 의한 케이블(200)의 피복손상을 완화시키게 된다.
상기 탄성완충지지관(80)은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착고정관(40)에는 이송실린더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이송실린더의 이송축에 상기 가이드샤프트(51)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켜, 상기 이송실린더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샤프트(51) 및 감지센서(53)가 이동하면서 케이블(200)의 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범위를 넓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샤프트(51)에는 바이브레이터인 탈거진동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탈거진동기의 진동이 상기 가이드샤프트(51)와 상기 감지센서(53)에 전달되어, 상기 가이드샤프트(51)와 상기 감지센서(53)에 달라붙은 이물질 및 물기를 탈거시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이게 됨과 아울러 감지센서(53)의 감지효율을 향상시키며, 가이드샤프트(51)에 앉은 조류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착고정관(40)에는 송풍기를 더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송풍기의 바람이 상기 가이드샤프트(51)와 상기 감지센서(53)에 달라붙은 이물질 및 물기를 탈거시켜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줄이도록 함과 아울러 감지센서(53)의 감지효율을 향상시키며, 가이드샤프트(51)에 앉은 조류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샤프트(51)에는 간격유지샤프트의 상단부를 나사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간격유지샤프트의 하단부가 상기 케이블(200)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서, 외력이나 바람에 의해 케이블(200)이 이동되어, 상기 감지센서(53)와 충돌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유지샤프트에는 하단부에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지지링을 더 부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케이블(200)이 상기 지지링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200)이 외력이나 바람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감지센서(53)와 충돌하거나 마찰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블(20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링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탄성완충링 끼운 후 접착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케이블(200)이 상기 탄성완충링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탄성완충링의 탄성에 의해 케이블(200)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완충시키고, 마찰에 의해 케이블(200)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에는 설치과정에서 위급상황 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경고송출지시모니터링안내수단(90)이 더 마련된다.
상기 경고송출지시모니터링안내수단(90)은,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2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91)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92)와,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92)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제3패널이송모듈(933)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93)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943)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94)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951-1)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951)들과, 제2패널이송모듈(932)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952-1)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952)들과, 제3패널이송모듈(933)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953-1)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953)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95)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953-1)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963)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96)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97)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98)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97)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99)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91)은 금속재로 형성된 패널구조로 이루어지며, 지면에 배치된다.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931)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932)과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933)은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패널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샤프트(92)에 관통되게 끼움되도록 이송공이 형성된다.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은 실린더이며, 상기 제1회전안내유닛(951)과 상기 제2회전안내유닛(952)과 제3회전안내유닛(953)은 모터이며,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은 카메라이다.
또한,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951-1)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952-1)과 제3회전모듈유닛(953-1)은 원형 또는 사각의 패널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들은 상기 제1승강안내유닛(941)과 상기 제2승강안내유닛(942)과 상기 제3승강안내유닛(943)의 구동에 의해 높이를 변경할 수 있으며, 지면이나 지상의 현장상황이나 위험요소를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제어하여 음성을 송출시키거나 알람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촬영정보를 통해 현상의 위험상황을 인지한 후 상기 상태안내스피커(99)를 통해 위험신호를 송출하여 현장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97)는 관리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송,수신부(98)로 수신된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승강안내부(94) 및 상기 회전안내부(9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1상황촬영유닛(961)들과 상기 제2상황촬영유닛(962)들과 상기 제3상황촬영유닛(963)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그 과정에서 언급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님을 분명히 하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균등하게 대처될 수 있는 정도의 구성요소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예방 시스템 20 :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
30 : 연결샤프트 40 : 안착고정관
50 : 상태감지부 51 : 가이드샤프트
52 : 감지샤프트 53 : 감지센서
60 : 중앙제어부 70 : 감지송출부
71 : 송출브라켓 72 : 송,수신기
80 : 탄성완충지지관
90 : 경고송출지시모니터링안내수단 91 : 연결고정모듈유닛
92 : 가이드샤프트 93 : 이송모듈부
931 : 제1패널이송모듈 932 : 제2패널이송모듈
933 : 제3패널이송모듈 94 : 승강안내부
941 : 제1승강안내유닛 942 : 제2승강안내유닛
943 : 제3승강안내유닛 95 : 회전안내부
951 : 제1회전안내유닛 951-1 : 제1회전모듈유닛
952 : 제2회전안내유닛 952-1 : 제2회전모듈유닛
953 : 제3회전안내유닛 953-1 : 제3회전모듈유닛
96 : 상황촬영부 961 : 제1상황촬영유닛
962 : 제2상황촬영유닛 963 : 제3상황촬영유닛
97 : 제어부 98 : 송,수신부
99 : 상태안내스피커
100 : 공동주택 200 : 케이블

Claims (2)

  1. 공동주택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된 배전선로인 케이블에서 발생되는 누전 및 발열에 따른 화재를 예방 하도록 된 예방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동주택의 외면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
    상기 공동주택에 체결된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의 전면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연결샤프트;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체결된 상기 연결샤프트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게 끼움되는 안착고정관;
    상기 연결샤프트에 체결된 상기 안착고정관에 마련되어, 상기 안착고정관에 끼움된 상기 케이블의 상태를 감지하도록 된 상태감지부;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마련되며 상기 안착고정관에 체결된 상기 상태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는 중앙제어부; 및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체결되며, 상기 중앙제어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송출하는 감지송출부로 이루어진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상태감지부는,
    상기 연결샤프트에 체결된 상기 안착고정관에 일단이 연결되어 고정되는 가이드샤프트와,
    상기 안착고정관에 체결된 가이드샤프트에 상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감지샤프트들과,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체결된 상기 감지샤프트의 하단부에 연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케이블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블의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로 이루어지며,
    상기 감지송출부는,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송출브라켓과,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체결된 상기 송출브라켓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송,수신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고정관에는, 관통되게 끼움된 상기 케이블을 탄성에 의해 지지하도록 탄성완충지지관이 더 끼움되어 고정되고,
    상기 탄성완충지지관은 원형의 관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는 설치과정에서 위급상황 발생시 위험신호를 송출하도록 경고송출지시모니터링안내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경고송출지시모니터링안내수단은, 상기 베이스고정브라켓패널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연결고정모듈유닛과,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부에 하단부가 연결되어 고정되는 한쌍의 가이드샤프트와,
    상기 가이드샤프트에 관통되게 끼움됨과 아울러 상기 가이드샤프트를 따라 안내되는 제1패널이송모듈과 제2패널이송모듈과 제3패널이송모듈로 이루어진 이송모듈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승강안내유닛과, 제1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승강안내유닛과, 상기 제2패널이송모듈의 상면에 하단부가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승강축이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승강안내유닛으로 이루어진 승강안내부와,
    상기 제1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1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1회전안내유닛들과, 제2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2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2회전안내유닛들과, 제3패널이송모듈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고 회전축에 제3회전모듈유닛이 나사체결된 제3회전안내유닛들로 이루어진 회전안내부와,
    상기 제1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2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상기 제3회전모듈유닛의 저면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는 제3상황촬영유닛들로 이루어진 상황촬영부와,
    상기 연결고정모듈유닛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승강안내부 및 상기 회전안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하며,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전달받는 제어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에서 전달되는 제1상황촬영유닛들과 제2상황촬영유닛들과 제3상황촬영유닛들의 촬영정보를 송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제3패널이송모듈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음성을 안내하거나 알람을 발생시키는 상태안내스피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

  2. 삭제
KR1020230192861A 2023-12-27 2023-12-27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 KR102656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2861A KR102656968B1 (ko) 2023-12-27 2023-12-27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92861A KR102656968B1 (ko) 2023-12-27 2023-12-27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6968B1 true KR102656968B1 (ko) 2024-04-12

Family

ID=90679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92861A KR102656968B1 (ko) 2023-12-27 2023-12-27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69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958A (ko) 1998-02-03 2001-01-15 요트.게.아. 롤페즈 부호화된 비디오 시퀀스의 스위칭 방법 및 장치
KR100709571B1 (ko) 2007-01-15 2007-04-2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102546542B1 (ko) * 2023-01-16 2023-06-23 강원숙 특고압 배전선로의 전원 공급과 차단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2606521B1 (ko) * 2023-02-13 2023-11-29 강원숙 송전선로와 철탑의 누전 방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5958A (ko) 1998-02-03 2001-01-15 요트.게.아. 롤페즈 부호화된 비디오 시퀀스의 스위칭 방법 및 장치
KR100709571B1 (ko) 2007-01-15 2007-04-20 동양컨설턴트주식회사 공동 주택 외벽 전기 케이블 안전장치
KR102546542B1 (ko) * 2023-01-16 2023-06-23 강원숙 특고압 배전선로의 전원 공급과 차단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2606521B1 (ko) * 2023-02-13 2023-11-29 강원숙 송전선로와 철탑의 누전 방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6515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배선 케이블 이상유무 감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531949B1 (ko) 변압기가 설치된 배전선로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1525985B1 (ko)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KR101254091B1 (ko)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KR102505520B1 (ko) 변압기와 배전선로가 설치된 산악지역 전주의 화재예방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296163B1 (ko) 배전선로가 구비된 전신주용 낙뢰방지장치
KR102613691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선 보호 장치 설치방법
KR101116185B1 (ko) 지중배전선 보호용 절연전선관
KR102656968B1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
KR10261839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습도 감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2512263B1 (ko) 송전철탑의 낙뢰 방지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2660424B1 (ko) 인공지능 빅데이터를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안전 구축시스템
KR102656902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기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902495B1 (ko) 지중배전선로 연결대 안전장치
KR102656856B1 (ko) 인공지능과 연계된 배전 관리 시스템
KR10265694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통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65600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배선 배관 시스템
KR102606521B1 (ko) 송전선로와 철탑의 누전 방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631298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건축물의 누전 차단시스템
KR102631216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건축물의 전기와 통신과 소방통합관리 시스템
KR102657347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고장 구간 검출 시스템
KR102636918B1 (ko)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한 건축물의 전기와 통신과 소방 설비 보호시스템
KR102565437B1 (ko) 특고압 송전선로 작업자 낙뢰 보호 시스템 및 그 설치방법
KR102644682B1 (ko) 지중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 장치 및 그 설치방법
KR102585631B1 (ko) 배전선로 전기설비의 낙뢰방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