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4091B1 -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Google Patents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4091B1 KR101254091B1 KR1020130020589A KR20130020589A KR101254091B1 KR 101254091 B1 KR101254091 B1 KR 101254091B1 KR 1020130020589 A KR1020130020589 A KR 1020130020589A KR 20130020589 A KR20130020589 A KR 20130020589A KR 101254091 B1 KR101254091 B1 KR 1012540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board
- waterproof
- earthquake
- groove
- flow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02B7/06—Distribution substations, e.g. for urban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홍수에 의한 침수를 방지하는 배전반(1)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배전반(1)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11)을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유동홈(16)과 수용홈(17)을 지니는 지지대(15)를 구비하는 지지부(10); 상기 배전반(1)의 상부 외면으로 연장되게 돌출되는 처마편(21)을 구비하고, 상기 처마편(21)상에 지진으로부터 케이블(C)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호수단을 구비하는 갓형의 지붕부(20); 상기 배전반(1)의 하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유동판(31)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15)의 유동홈(16)과 유동판(31)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지진으로부터 배전반(1)을 보호하는 내진수단을 구비하는 내진부(30); 상기 지지대(15)의 수용홈(17)상에 배전반(1)을 수용하는 방수편(41)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17)과 처마편(21)상에 방수편(41)을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홍수로부터 배전반(1)의 침수를 방지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방수부(40); 및 상기 방수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침수를 방지하도록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 또는 제작된 배전반을 대상으로 별도의 구조변경을 하지 않고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고, 비교적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 정비성을 향상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지진 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시켜 배전반과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함께 홍수 시 배전반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 정전이나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 또는 제작된 배전반을 대상으로 별도의 구조변경을 하지 않고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고, 비교적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 정비성을 향상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지진 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시켜 배전반과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함께 홍수 시 배전반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 정전이나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진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홍수에 의한 침수를 방지하는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에 설치 또는 제작된 배전반을 대상으로 별도의 구조변경을 하지 않고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고, 비교적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 정비성을 향상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지진 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시켜 배전반과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함께 홍수 시 배전반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 정전이나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배전반이란, 수전반이나 분전반 및 제어반이라고도 일컫는데, 빌딩이나 공장에서는 송전선으로부터 고압의 전력을 받아 변압기로 저압으로 변환하여 각종 전기설비 계통으로 배전하는 박스형의 장치이다. 이러한 배전반은 내부에 계기, 표시등, 계전기, 개폐기 따위를 배치하여 전로의 개폐나 기기의 제어와 감시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하도록 해준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전반은 실외용과 실내용으로 구분되는데, 실외용은 지진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완충패드와 함께 콘크리트로 타설시켜 고정하고, 침수에 의한 누전이나 감전 및 고장을 방지하기 위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하지만 최근 빈번해지고 있는 지진이나 태풍 및 홍수 등의 자연재해의 강도가 심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배전반 구조물의 붕괴사고 및 그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배전반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증가하고 있으며 내진설계 기준이 강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개발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39226호 "내진 및 방진기능형 수배분전반"에 의하면, 상기 탄성받침(10)은, 상기 본체프레임(100)에 결합 고정되어지는 상부플레이트(11)와; 바닥면(1)에 결합 고정되어지는 하부플레이트(12)와; 상기 상부플레이트(11)와 하부플레이트(12)를 연결하며 구성된 탄성고무(13)와;ㆍㆍㆍ중략ㆍㆍㆍ상기 보조방진구(20)의 하부는 바닥면(1)과 제2체결볼트(22)에 의해 결합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및 방진기능형 수배분전반을 제안하고 있다.
다른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55995호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에 의하면, 상기 내진장치는, 상기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며 그 하면의 양쪽 측부에 마련되는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하는 바닥고정 프레임;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고정 프레임의 상부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하부 양측 각각에 구비되고,ㆍㆍㆍ중략ㆍㆍㆍ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바닥고정 프레임의 양쪽 측면 사이의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바닥고정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바닥고정 프레임에는 상기 베이스 블록의 외면에 접하여 상기 베이스 블록이 상기 결합홈에서 움직이지 못하도록 막는 고정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을 제안하고 있다.
전자와 후자에 의하면, 지면으로부터 배전반을 지지하는 하부에 소정의 탄성력을 지닌 고무나 스프링을 개재시켜 지진으로부터 진동과 충격을 상쇄하는 구조를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지진으로부터 진동과 충격이 배전반으로 전달되면, 배전반은 고무 및 스프링에 의해 상하 및 전후와 좌우로 유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 외부로부터 배전반의 내부로 연결되는 케이블(전선) 또한 동일하게 유동하게 되므로 일정부위에 심각한 응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이 소성변형을 일으켜 손상시키거나 심지어 파단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홍수와 같은 재난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므로 내부로 물이 유입되어 정전과 함께 각종 계기나 스위치를 모두 손상시키게 되는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외에도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50228호 "배전반에 무정전 및 무이설 방식으로 설치되는 내진보강구조"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32336호 "수배전반용 진동패드 및 그 진동패드가 구성된 수배전반의 하부구조"를 제안하고는 있지만, 전술한 것처럼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과 함께 침수를 방지하는 기능을 겸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아직까지도 상당히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48583호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에 의하면, 상기 배전함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단이 폐쇄되며 하방이 개방되고 하단에 소정 중량의 테두리가 구비된 대상(袋狀)의 커튼과, 절첩 상태인 상기 대상의 커튼의 테두리가 얹혀지며, 고정간의 통공에서 출몰되는 출몰간과, 상기 배전함의 바닥면 일측에 설치된 제 1플로트와, 상기 제 1플로트와 연결되며, 회동간의 일측이 중심축에 고정되고, 회동간의 타측이 전술한 출몰간의 내측과 연결되도록 한 강선과, 상기 배전함의 바닥면 타측에 설치된 제 2플로트와, 상기 제 2플로트과 연결되며, 회동간의 일측이 중심축에 고정되고, 회동간의 타측과 접촉되는 핸들을 구비한 공압밸브로 구성되되, 전술한 공압밸브는 입력측이 공압발생수단과 배관으로 연결되고 출구가 개방되어 배전반 수용 공간에 공압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을 제안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배전반 내부를 선택적으로 밀폐하는 커튼과 압축기에 의한 공압으로 침수를 방지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하지만, 전자와 후자처럼 지진으로부터 배전반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으므로 케이블의 파단으로 정전은 물론, 각종 계기나 스위치를 모두 손상시키게 되는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무엇보다 침수를 방지하는 구성에 있어서도 배전반 내부에 커튼과 압축기 및 이를 선택적으로 작동하기 위한 여타의 구조물이 상당히 배치됨에 따라 실질적인 배전반에 필요한 주요 핵심 부품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 활용도를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배전반에 대해서는 내부 부품을 모두 탈거한 상태에서 적용해야 되므로 교체에 따른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배전반의 내부로 물이 일정 높이로 침수된 상태에서 작동하는 것과 함께 공압펌프을 이용하는 점에서 정비와 수명 그리고 비용면에서 비추어 볼 때 매우 비효율적인 구조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존에 설치 또는 제작된 배전반을 대상으로 별도의 구조변경을 하지 않고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고, 비교적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 정비성을 향상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지진 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시켜 배전반과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함께 홍수 시 배전반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 정전이나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진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홍수에 의한 침수를 방지하는 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을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층의 상부에 유동홈과 수용홈을 지니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지지부; 상기 배전반의 상부 외면으로 연장되게 돌출되는 처마편을 구비하고, 상기 처마편 상에 지진으로부터 케이블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호수단을 구비하는 갓형의 지붕부; 상기 배전반의 하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유동판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의 유동홈과 유동판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지진으로부터 배전반을 보호하는 내진수단을 구비하는 내진부; 상기 지지대의 수용홈 상에 배전반을 수용하는 방수편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과 처마편 상에 방수편을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홍수로부터 배전반의 침수를 방지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방수부; 및 상기 방수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침수를 방지하도록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지붕부의 보호수단은 케이블을 배전반의 내부로 진입되게 유도하고, 지진으로부터 유동하는 배전반과 케이블 간에 간섭을 방지하는 장공의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 상에 케이블을 고정하면서 유동가능하게 삽착되고, 상기 유입관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턱과 걸림턱을 개재한 유동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내진부의 내진수단은 유동홈의 상면과 유동판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지지하는 연결블럭과, 상기 연결블럭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어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되, 상기 스프링은 유동판을 유동홈으로부터 노출시켜 배전반을 전후 및 상하좌우로 유동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방수부의 방수편은 자유 포개짐이 가능한 비닐형이나 섬유형 또는 일정 간격으로 순차 포개짐이 가능한 자라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방수부의 승강수단은 수용홈을 밀폐하면서 방수편을 보호하도록 연결되는 커버틀과, 상기 커버틀의 상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방수편의 하부 선단은 수용홈의 상면에 개재된 결속홈 상에 삽입되어 결속테로부터 억지끼움 되고, 상부 선단은 커버틀의 저면에 개재된 결속홈 상에 삽입되어 결속테로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승강수단의 커버틀은 상단에 와이어와 연결가능하게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고리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은 와이어가 수직상태로 권취하도록 고리와 대응하는 위치에 권취홈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은 처마편 상에 커버틀을 수평상태로 승강하도록 'ㄷ'또는 'ㅁ'형의 복수로 배치되고, 하나의 모터만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베벨기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부는 빗물과 수위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자체에서 제어하는 자동형 또는 적외선이나 라디오 신호를 송ㆍ수신하는 모듈과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근거리에서 제어하는 수동형 또는 서버나 기지국과 연결되는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통합형 중 택일하여 제어하거나 하나 이상 병행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 또는 제작된 배전반을 대상으로 별도의 구조변경을 하지 않고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고, 비교적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 정비성을 향상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지진 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시켜 배전반과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함께 홍수 시 배전반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 정전이나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전체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홍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을 전체적으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지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의 홍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지진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홍수에 의한 침수를 방지하는 배전반(1)에 관련되며, 지지부(10), 지붕부(20), 내진부(30), 방수부(40), 제어부(5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에 관 한다. 여기서 배전반(1)은 고압, 저압, 분전 등의 종류 조작용, 제어용 등의 용도 그리고 개방형, 폐쇄형 등의 형식 따위에 국한하지 않으며 이러한 종류와 용도 및 형식에 따라 수전반, 분전반, 제어반이라고 일컫는데 이하, 배전반이라 지칭한다. 즉,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 또는 제작된 배전반(1)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도 지진으로부터 보호하는 내진기능과 침수를 방지하는 방수기능을 동시에 지니도록 하는 것을 주요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부(10)는 상기 배전반(1)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11)을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유동홈(16)과 수용홈(17)을 지니는 지지대(15)를 구비한다. 지지부(10)는 도 1 및 도 2처럼 배전반(1)을 지면에 고정하는 매개체로서, 콘크리트층(11)과 지지대(15)를 구비한다.
콘크리트층(11)은 도 2처럼 지면에 따른 다양한 요건에 부합하는 강도를 지니도록 보강하면서 배전반(1)을 지면에 취부할 수 있도록 앙카볼트와 함께 타설된다. 이러한 콘크리트층(11)은 계절에 의한 비나 눈으로부터 배전반(1)이 침수되거나 함몰되지 않도록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이격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여기서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배전반(1)으로부터 분기되는 케이블(C)을 지하로 연결할 경우에는 케이블연결관을 함께 타설된다.
지지대(15)는 도 2처럼 후술하는 내진부(30)와 방수부(40)와 연동하여 배전반(1)을 지진으로부터 보호하고 홍수로부터 침수를 방지하도록 도모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체결너트 또는 볼트에 의해 완전히 고정된다. 이러한 지지대(15)는 상부가 노출되는 박스형의 프레임으로 중앙에는 배전반(1)을 수용 가능한 유동홈(16)을 구비하고, 유동홈(16)의 외주로는 배전반(1)의 외면 보다 연장된 수용홈(17)을 구비한다. 즉, 유동홈(16)은 내진부(30)의 유동판(31)과 내진수단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수용홈(17)은 방수부(40)의 방수천(41)을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서 별도의 도면을 통해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동홈(16)은 케이블(C)을 지하로 연결할 경우, 콘크리트층(11)에 타설된 케이블연결관과 동일 선상으로 케이블연결구를 구비하며, 수용홈(17)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물이나 이물질을 배출할 수 있도록 배출구를 더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갓형의 지붕부(20)는 상기 배전반(1)의 상부 외면으로 연장되게 돌출되는 처마편(21)을 구비하고, 상기 처마편(21)상에 지진으로부터 케이블(C)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호수단을 구비한다. 지붕부(20)는 도 1 및 도 2처럼 배전반(1)의 상부와 케이블(C)을 보호하면서 후술하는 방수부(40)와 제어부(50)를 내장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 처마편(21)과 연결편(22) 및 보호수단을 구비한다.
처마편(21)은 도 3처럼 다수의 강판이 피라미드(상협하광)처럼 상호 연결되어 갓형으로 형성되는데, 이러한 처마편(21)은 배전반(1)의 상부 외면으로 연장되게 돌출되면서 방수부(40)의 승강수단을 취부할 수 있도록 하향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편(22)은 도 4처럼 배전반(1)의 상부에 고정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방수부(40)의 승강수단인 모터(45)와 제어부(50)를 내장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한다.
보호수단은 도 4처럼 외부로부터 배전반(1)의 내부로 케이블(C)을 진입하도록 유도하는 통로로서, 처마편(21)상에 배전반(1)의 진입구와 맞물리는 위치에 구비한다. 이러한 보호수단은 지진으로부터 유동하는 배전반(1)에 구애받지 않고 케이블(C)을 상시 정위치에 있도록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지붕부(20)의 보호수단은 케이블(C)을 배전반(1)의 내부로 진입되게 유도하고, 지진으로부터 유동하는 배전반(1)과 케이블(C)간에 간섭을 방지하는 장공의 유입관(26)과, 상기 유입관(26)상에 케이블(C)을 고정하면서 유동가능하게 삽착되고, 상기 유입관(26)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턱(27a)과 걸림턱(27b)을 개재한 유동링(27)을 구비한다. 보호수단은 도 4처럼 지진으로부터 케이블(C)의 유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배전반(1)의 진입구와 맞물리는 처마편(21)상에 유입관(26)과 유동링(27)을 구비한다.
유입관(26)은 외부와 연결되는 케이블(C)을 배전반(1)의 내부로 진입되도록 유도하는데, 케이블(C)의 직경보다 보다 크게 형성된다. 여기서 지진이 발생되면 도 6 및 도 7처럼 배전반(1)으로 진동이나 충격이 전달되는데, 이 과정에서 후술하는 내진부(30)가 이를 상쇄하기 위해 배전반(1)을 전후 또는 상하좌우로 유동하도록 한다. 즉, 케이블(C)은 배전반(1)이 어느 방향으로 유동을 하여도 배전반(1)과의 직접적인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C)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가령, 유입관(26)의 직경이 케이블(C)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하게 되면, 지진으로부터 배전반(1)이 유동하면서 케이블(C)상에 응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케이블(C)의 소성변형을 일으켜 손상시키거나 심지어 파단됨에 따라 결국, 정전 및 감전을 유발하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처럼 지진이 발생되어도 케이블(C)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유입관(26)을 케이블(C)보다 2~5배의 직경을 지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링(27)은 도 4처럼 케이블(C)을 고정하면서 유입관(26)내로 이물질을 차단하는 마개로서, 차단턱(27a)과 걸림턱(27b)을 각각 구비한다. 차단턱(27a)은 유입관(26)의 상부 외주면에 안착되어 배전반(1) 즉, 유입관(26)이 유동하여도 지속적으로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걸림턱(27b)은 유입관(26)의 내주면에 위치되어 유입관(26)의 유동이 한계에 도달할 경우, 케이블(C)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유동링(27)은 소정의 밀폐력과 쿠션력을 지닌 연질의 고무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케이블(C)간에 결합을 용이하도록 중앙에서 일측으로 절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내진부(30)는 상기 배전반(1)의 하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유동판(31)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15)의 유동홈(16)과 유동판(31)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지진으로부터 배전반(1)을 보호하는 내진수단을 구비한다. 내진부(30)는 도 1 및 도 2처럼 지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시켜 보호하는 것으로, 유동판(31)과 내진수단을 구비한다.
유동판(31)은 도 2처럼 지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시키는 내진수단을 배전반(1)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결하는 판으로서, 배전반(1)의 하부에 맞물려 결합된다. 이러한 유동판(31)은 배전반(1)과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며, 배전반(1)과 일체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체결구를 구비한다. 즉, 유동판(31)은 배전반(1)이 지닌 다양한 규격(가로X세로)에 구애받지 않고 내진수단과 연결이 가능하게 해주며, 다양한 장소에 의한 지진의 진도와 배전반(1)의 중량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내진수단을 선택적으로 배치할 수 있도록 마련해준다.
내진수단은 도 2처럼 지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시켜 배전반(1)을 보호하는 것으로, 유동홈(16)과 유동판(31)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된다. 즉, 내진수단은 배전반(1)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과 함께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시켜 배전반(1)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여기서 내진수단은 도 3처럼 배전반(1)의 모서리와 중앙에 5개소로 배치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장소에 따른 지진의 진도와 배전반(1)의 중량에 따라 5개소 이상 또는 이하로도 배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내진부(30)의 내진수단은 유동홈(16)의 상면과 유동판(31)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지지하는 연결블럭(36)과, 상기 연결블럭(36)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어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하는 스프링(35)을 구비하되, 상기 스프링(35)은 유동판(31)을 유동홈(16)으로부터 노출시켜 배전반(1)을 전후 및 상하좌우로 유동가능하게 구비한다. 내진수단은 도 3처럼 유동홈(16)과 유동판(31)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지진으로부터 배전반(1)을 보호하는 것으로, 연결블럭(36)과 스프링(35)을 구비한다.
연결블럭(36)은 스프링(35)의 상ㆍ하단에 일체로 연결되고, 유동판(31)과 유동홈(16)과 체결 가능하도록 유도한다. 여기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았지만, 연결블럭(36)의 중앙으로 스프링(35)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볼트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조절볼트는 지진에 따른 진도와 배전반(1)의 중량을 고려하여 스프링(35)의 상수를 변경하거나 유동 반경에 따른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스프링(35)은 배전반(1)을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프링(35)은 압축 할려는 힘에 저항하는 압축형을 기본으로 하지만,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철판을 겹쳐진 판형으로도 가능하며 미미(충격 완충용 고무)로도 가능하다.
이때, 스프링(35)은 유동판(31)을 유동홈(16)으로부터 노출시켜 배전반(1)을 전후 및 상하좌우로 유동 가능한 높이로 형성된다. 즉, 유동판(31)을 유동홈(16)내에 위치하게 되면, 유동판(31)은 상하로만 유동할 수 있으므로 상쇄기능이 저하되지만, 유동판(31)을 유동홈(16)의 외부에 위치하게 되면, 유동판(31)이 상하는 물론 전후좌우 어느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유동할 수 있어 상쇄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쇄기능이란 지진으로부터 진동과 충격이 전달되면, 전달된 진동과 충격에 상반되는 영향 즉, 자유 유동으로 진동과 충격을 차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자동차의 현가장치(서스펜션) 중 스프링과 쇽업쇼버가 지면에 상황에 맞도록 적절한 유동을 통해 운전자를 보호하는 것과 동일한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반(1)을 진동과 충격에 상응할 수 있도록 자유 유동시킴으로서 배전반(1)에 직접적인 전달을 차단함에 따라 내장된 계기, 표시등, 계전기, 개폐기 등을 보호할 수가 있다.
한편, 스프링(35)을 유동판(31)을 유동홈(16)으로부터 노출시키는 높이로 형성하지 않고도 유동판(31)을 유동홈(16)에 내장된 높이로 형성하되, 유동판(31)을 유동홈(16)보다 작게 형성하면 유동이 가능하므로 이에 국한하지는 않는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방수부(40)는 상기 지지대(15)의 수용홈(17)상에 배전반(1)을 수용하는 방수편(41)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17)과 처마편(21)상에 방수편(41)을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홍수로부터 배전반(1)의 침수를 방지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방수부(40)는 도 1 및 도 2처럼 홍수로부터 배전반(1)을 밀폐시켜 침수를 방지하는 것으로서, 수용홈(17)과 처마편(21)상에 방수편(41)과 승강수단을 구비한다.
방수편(41)은 도 2처럼 포개짐이 가능하면서도 방수기능을 지니고, 배전반(1)을 수용하는 원이나 사각의 통형으로 형성되고, 지지대(15)의 수용홈(17)에 내장된다. 그리고 승강수단은 후술하는 제어부(50)와 연동하여 방수편(41)을 수용홈(17)으로부터 승강시켜 준다. 즉, 방수편(41)은 평상 시 수용홈(17)상에 포개진 상태로 내장되고, 홍수 시 제어부(50)의 신호에 따라 승강수단이 작동하여 수용홈(17)에 내장된 방수편(41)을 승강시켜 배전반(1)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 준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방수부(40)의 방수편(41)은 자유 포개짐이 가능한 비닐형이나 섬유형 또는 일정 간격으로 순차 포개짐이 가능한 자라바형으로 형성된다. 방수편(41)은 포개짐이 가능하면서도 방수기능을 지닌 원이나 사각의 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비닐형의 방수지나 섬유형의 방수천 또는 자바라형의 주름호스로 형성할 수 있다.
방수지나 방수천은 비교적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가볍고 소프트함에 따라 자유롭게 포개질 수 있어 수용홈(17)의 공간이 협소하더라도 충분히 내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승강수단에 의해 배전반(1)을 밀폐한 상태에서 재차 하강으로 수용홈(17)에 내장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반면에 주름호스는 일정 간격으로 포개짐에 가능함에 따라 재차 하강으로 수용홈(17)에 내장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하지만, 방수지나 방수천에 비해 제조비용이 증가되며 수용홈(17)에 공간이 상대적으로 커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승강수단과 연동하여 홍수로부터 배전반(1)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비용과 작동성을 고려해서 가장 효율적인 것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방수부(40)의 승강수단은 수용홈(17)을 밀폐하면서 방수편(41)을 보호하도록 연결되는 커버틀(42)과, 상기 커버틀(42)의 상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W)와, 상기 와이어(W)를 권취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43)과, 상기 회전축(43)을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45)를 구비한다. 승강수단은 도 2 내지 도 4처럼 후술하는 제어부(50)와 연동하여 방수편(41)을 수용홈(17)으로부터 승강시켜 홍수로부터 배전반(1)을 완전히 밀폐시켜 침수를 방지하는 것으로, 커버틀(42)과 와이어(W) 그리고 회전축(43)과 모터(45)를 구비한다.
커버틀(42)은 도 2처럼 수용홈(17)의 상부를 안착할 수 있는 사각형의 틀로서, 수용홈(17)에 내장된 방수편(41)을 외부로부터 밀폐시켜 보호한다. 이러한 커버틀(42)은 소정의 중량을 지님에 따라 자중에 의해 수용홈(17)으로 방수편(41)을 자동으로 포개지면서 내장되도록 유도한다.
와이어(W)는 커버틀(42)을 승하강 되도록 연결되는 줄로서, 배전반(1)으로부터 개폐되는 도어와 상호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연결된다. 이러한 와이어(W)는 커버틀(42)을 수평상태에서 승하강 할 수 있도록 2개소 이상이면서 도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인 좌우 및 후측에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회전축(43)은 커버틀(42)과 연결되는 와이어(W)를 권취하는 축으로서, 지붕부(20)의 처마편(21) 테두리 상에 고정블럭으로 회전 가능하게 내장되며, 모터(45)는 연결편(22)의 상단에 체인 또는 기어로 회전축(43)과 연결되게 구비한다. 즉, 후술하는 제어부(50)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도 8처럼 모터(45)의 작동으로 회전축(43)이 와이어(W)를 권취하고, 도 9처럼 방수편(41)을 수용홈(17)으로부터 승강시켜 배전반(1)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 주는 작동을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방수편(41)의 하부 선단은 수용홈(17)의 상면에 개재된 결속홈(17a)상에 삽입되어 결속테(44)로부터 억지끼움 되고, 상부 선단은 커버틀(42)의 저면에 개재된 결속홈(42a)상에 삽입되어 결속테(44)로 억지끼움 된다. 결속테(44)는 도 2 및 3처럼 방수편(41)을 수용홈(17)과 커버틀(42)상에 밀폐된 상태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비교적 경질의 고무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결속홈(17a)(42a)은 수용홈(17)과 커버틀(42)의 상면과 저면에 각각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 측면에도 가능하며 그 모양 또한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방수편(41)을 수용홈(17)과 커버틀(42)상에서 결속력과 밀폐력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승강수단의 커버틀(42)은 상단에 와이어(W)와 연결가능하게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고리(42b)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43)은 와이어(W)가 수직상태로 권취하도록 고리(42b)와 대응하는 위치에 권취홈(43a)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43)은 처마편(21)상에 커버틀(42)을 수평상태로 승강하도록 'ㄷ'또는 'ㅁ'형의 복수로 배치되고, 하나의 모터(45)만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베벨기어(43b)로 연결된다.
커버틀(42)은 수용홈(17)에 내장된 방수편(41)을 보호하면서 승강시키는 것으로, 도 3처럼 상부에 와이어(W)와 연결이 용이하도록 돌출되는 고리(42b)를 구비한다. 이러한 고리(42b)는 전술한 것처럼, 커버틀(42)의 일측 방향에 대해서 1개소를 구비하여도 무방하지만 보다 안정되고 원활한 승강을 위해서 2개소 이상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축(43)은 커버틀(42)과 연결되는 와이어(W)를 권취하는 축으로서, 도 3처럼 와이어(W)가 수직상태로 권취하도록 고리(42b)와 대응하는 위치에 권취홈(43a)을 구비한다. 즉, 권취홈(43a)은 와이어(W)를 권취하는 과정에서 사행을 방지시켜 커버틀(42)을 안전하게 승강시킬 수가 있다. 여기서 사행이란, 와이어(W)가 회전축(43)에 지그재그 방향으로 권취되는 것을 뜻하는데, 이 경우 권취량이 순간적으로 달라지게 된다. 물론, 회전축(43)은 권취홈(43a)을 대신해서 권취롤러 또는 별도의 가이드를 통해 와이어(W)를 수직상태로 안전하게 권취시킬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당업자는 와이어(W)의 사행을 방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43)은 도 4처럼 커버틀(42)을 수평상태로 승강하도록 'ㄷ'또는 'ㅁ'형의 복수로 배치된다. 즉, 커버틀(42)을 수평상태로 안전하게 승강시키기 위해서는 와이어(W)를 연결하는 개소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와이어(W)를 권취하는 회전축(43) 또한 처마편(21)상에 'ㄷ'또는 'ㅁ'형으로 배치한다. 'ㄷ'형은 배전반(1)의 도어를 구비한 경우에 적합하며, 'ㅁ'형은 도어가 생략된 배전반(1)에 적합하다. 이러한 회전축(43)은 하나의 모터(45)만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베벨기어(43b)로 상호 연결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는 상기 방수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침수를 방지하도록 작동을 제어한다. 제어부(50)는 도 4처럼 방수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홍수로 부터 배전반(1)의 침수를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닛(MCU)으로서, 지붕부(20)의 연결편(22)상에 안전하게 내장된다. 즉, 제어부(50)는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단과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와 처리된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단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출력단은 방수부(40)의 모터(45)와 연결되어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제어부(50)는 빗물과 수위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51)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자체에서 제어하는 자동형 또는 적외선이나 라디오 신호를 송ㆍ수신하는 모듈(53)과 리모콘(54)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근거리에서 제어하는 수동형 또는 서버나 기지국과 연결되는 단말기(55)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통합형 중 택일하여 제어하거나 하나 이상 병행하여 제어한다. 제어부(50)는 도 5처럼 배전반(1)의 침수를 방지하도록 제어하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닛(MCU)으로서, 자동형과 수동형 및 통합형으로 모터(45)를 제어할 수 있다.
자동형은 빗물과 수위를 감지하는 센서(51)를 배전반(1)이나 지지부(10)상에 개재시키고, 센서(51)로부터 신호를 지속적으로 입력받아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모터(45)를 제어한다. 이러한 자동형은 자체적으로 실시간 감시하고 제어함에 따라 무인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지만, 외부 영향으로 센서(51)가 오작동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수동형은 적외선이나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53)을 내장하고, 리모콘(54)으로 관리자가 설정된 신호를 송신시켜 모터(45)를 제어한다. 이러한 수동형은 근거리에서 관리자가 개별적으로 직접 제어함에 따라 기기적인 결함에 따른 오작동을 방지할 수는 있지만, 인력의 낭비와 함께 배전반(1) 주변에서만 신호를 송신할 수가 있어 빠른 대처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통합형은 서버나 기지국과 연결되는 단말기(55)를 내장하고, 인터넷망과 전화통신망으로 신호를 입력받아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모터(45)를 제어한다. 이러한 통합형은 기상청이나 시청 또는 지자체가 통합적으로 제어함에 따라 자동형의 무인화와 기기오작동을 최소화 할 수는 있으나,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해야 되는 비용이 부과될 수 밖에 없다.
한편, 제어부(50)는 자동형과 수동형 및 통합형을 동시에 구비하는 멀티형으로 제어할 수 있다. 멀티형은 센서(51)로부터 빗물과 수위를 감지하는 신호를 단말기(55)로 실시간 송신하고, 송신된 신호를 토대로 관리자가 원거리에서 모터(45)를 제어하되, 기기적인 결함이 발생하면 근거리에서 리모콘(54)으로 직접 모터(45)를 제어한다. 이때, 멀티형의 경우엔 진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개재시켜 지진을 관측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작동에 있어서, 먼저 지진이 발생하게 되면 지면으로부터 진동과 충격이 콘크리트층(11)과 배전반(1)으로 동시에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진도가 비교적 미약할 경우)에는 스프링(35)의 탄성만으로 배전반(1)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차단할 수 있지만, 지면이 흔들릴 정도의 진도일 경우에는 그 충격이 배전반(1)으로 전달될 수 밖에 없다. 즉, 강한 진도가 배전반(1)으로 전달되면, 상하 및 전후좌우로 유동하는 작용으로 진도를 상쇄시킬 수가 있는데, 이러한 유동은 진도에 따른 상대적 운동이므로 그 방향이 일정하지는 않다.
예컨대, 배전반(1)을 도 6처럼 상부로 유동하는 충격이나 도 7처럼 좌우로 유동하는 충격이 전달되더라도, 스프링(25)의 탄성력과 인장력이 연속적으로 작용하여 완전히 상쇄시킬 수가 있다. 이때, 배전반(1)이 상부 또는 좌우로 유동하더라도 지붕부(20)의 보호수단에 의해 케이블(C)을 정위치 상태로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유동하는 배전반(1)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물론, 지진의 충격이 상부 및 전후좌우 동시에 전달되더라도 어느 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유동할 수가 있으므로 지진으로부터 배전반(1)과 케이블(C)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또한, 댐이나 둑이 무너지거나 많은 양의 비가 내려 홍수가 발생하거나 예고된 상황이 오면, 제어부(50)가 신호를 입력받아 방수부(40)의 모터(45)를 작동시켜 준다. 즉, 도 8처럼 모터(45)에 의해 회전축(43)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43)은 와이어(W)를 권취시켜 커버틀(42)과 함께 방수편(41)을 승강시켜 준다. 이어서 도 9처럼 리밋트 센서 또는 엔코터에 의해 승강이 완료되면, 방수편(41)이 배전반(1)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 준다. 따라서 배전반(1)의 내부로 물의 유입을 차단시켜 안전하게 보호할 수가 있다. 여기서 방수천(41)과 배전반(1)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물의 압력에 의해 방수천(41)이 배전반(1)에 밀착된 상태를 지니게 된다. 이어서 홍수가 해제되면, 제어부(50)가 모터(45)를 재 작동시켜 회전축(43)에 권취된 와이어(W)를 권출하여 방수편(41)을 수용홈(17)으로 포개진 최초의 상태로 내장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에 설치 또는 제작된 배전반을 대상으로 별도의 구조변경을 하지 않고도 보다 쉽고 간편하게 적용할 수 있는 호환성을 지니고, 비교적 경박하고 단소한 구조를 채택하여 비용을 절감하면서 정비성을 향상하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지진 시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시켜 배전반과 케이블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함께 홍수 시 배전반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시켜 정전이나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 케이블 W: 와이어
1: 배전반 10: 지지부
11: 콘크리트층 15: 지지대
16: 유동홈 17: 수용홈
17a, 42a: 결속홈 20: 지붕부
21: 처마편 22: 연결편
26: 유입관 27: 유동링
27a: 차단턱 27b: 걸림턱
30: 내진부 31: 유동판
35: 스프링 36: 연결블럭
40: 방수부 41: 방수편
42: 커버틀 42b: 고리
43: 회전축 43a: 권취홈
43b: 베벨기어 44: 결속테
45: 모터 50: 제어부
51: 센서 53: 모듈
54: 리모콘 55: 단말기
1: 배전반 10: 지지부
11: 콘크리트층 15: 지지대
16: 유동홈 17: 수용홈
17a, 42a: 결속홈 20: 지붕부
21: 처마편 22: 연결편
26: 유입관 27: 유동링
27a: 차단턱 27b: 걸림턱
30: 내진부 31: 유동판
35: 스프링 36: 연결블럭
40: 방수부 41: 방수편
42: 커버틀 42b: 고리
43: 회전축 43a: 권취홈
43b: 베벨기어 44: 결속테
45: 모터 50: 제어부
51: 센서 53: 모듈
54: 리모콘 55: 단말기
Claims (8)
- 지진으로부터 보호하면서 홍수에 의한 침수를 방지하는 배전반(1)에 있어서:
상기 배전반(1)을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타설되는 콘크리트층(11)을 구비하고, 상기 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유동홈(16)과 수용홈(17)을 지니는 지지대(15)를 구비하는 지지부(10);
상기 배전반(1)의 상부 외면으로 연장되게 돌출되는 처마편(21)을 구비하고, 상기 처마편(21)상에 지진으로부터 케이블(C)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호수단을 구비하는 갓형의 지붕부(20);
상기 배전반(1)의 하부에 맞물려 결합되는 유동판(31)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15)의 유동홈(16)과 유동판(31)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지진으로부터 배전반(1)을 보호하는 내진수단을 구비하는 내진부(30);
상기 지지대(15)의 수용홈(17)상에 배전반(1)을 수용하는 방수편(41)을 구비하고, 상기 수용홈(17)과 처마편(21)상에 방수편(41)을 선택적으로 승강시켜 홍수로부터 배전반(1)의 침수를 방지하는 승강수단을 구비하는 방수부(40); 및
상기 방수부(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설정된 시퀀스에 따라 침수를 방지하도록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부(20)의 보호수단은 케이블(C)을 배전반(1)의 내부로 진입되게 유도하고, 지진으로부터 유동하는 배전반(1)과 케이블(C)간에 간섭을 방지하는 장공의 유입관(26)과, 상기 유입관(26)상에 케이블(C)을 고정하면서 유동가능하게 삽착되고, 상기 유입관(26)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차단턱(27a)과 걸림턱(27b)을 개재한 유동링(27)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진부(30)의 내진수단은 유동홈(16)의 상면과 유동판(31)의 저면에 결합되면서 지지하는 연결블럭(36)과, 상기 연결블럭(36) 사이에 일체로 연결되어 지진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상쇄하는 스프링(35)을 구비하되, 상기 스프링(35)은 유동판(31)을 유동홈(16)으로부터 노출시켜 배전반(1)을 전후 및 상하좌우로 유동가능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40)의 방수편(41)은 자유 포개짐이 가능한 비닐형이나 섬유형 또는 일정 간격으로 순차 포개짐이 가능한 자라바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40)의 승강수단은 수용홈(17)을 밀폐하면서 방수편(41)을 보호하도록 연결되는 커버틀(42)과, 상기 커버틀(42)의 상부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와이어(W)와, 상기 와이어(W)를 권취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축(43)과, 상기 회전축(43)을 회전하도록 동력을 발생하는 모터(4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제4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편(41)의 하부 선단은 수용홈(17)의 상면에 개재된 결속홈(17a)상에 삽입되어 결속테(44)로부터 억지끼움 되고, 상부 선단은 커버틀(42)의 저면에 개재된 결속홈(42a)상에 삽입되어 결속테(44)로 억지끼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의 커버틀(42)은 상단에 와이어(W)와 연결가능하게 유도하는 하나 이상의 고리(42b)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축(43)은 와이어(W)가 수직상태로 권취하도록 고리(42b)와 대응하는 위치에 권취홈(43a)을 구비하되, 상기 회전축(43)은 처마편(21)상에 커버틀(42)을 수평상태로 승강하도록 'ㄷ'또는 'ㅁ'형의 복수로 배치되고, 하나의 모터(45)만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베벨기어(43b)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는 빗물과 수위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센서(51)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자체에서 제어하는 자동형 또는 적외선이나 라디오 신호를 송ㆍ수신하는 모듈(53)과 리모콘(54)으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근거리에서 제어하는 수동형 또는 서버나 기지국과 연결되는 단말기(55)로부터 신호를 입력받아 원거리에서 제어하는 통합형 중 택일하여 제어하거나 하나 이상 병행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0589A KR101254091B1 (ko) | 2013-02-26 | 2013-02-26 |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20589A KR101254091B1 (ko) | 2013-02-26 | 2013-02-26 |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4091B1 true KR101254091B1 (ko) | 2013-04-15 |
Family
ID=4844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20589A KR101254091B1 (ko) | 2013-02-26 | 2013-02-26 |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4091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2201B1 (ko) | 2013-05-07 | 2013-07-04 | (주) 금성시스템 | 진동방지장치가 부착된 배전반 |
KR20160121193A (ko) | 2015-04-10 | 2016-10-19 | 정진효 | 내진 및 수평조절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
KR20170012507A (ko) | 2017-01-16 | 2017-02-02 | 정진효 | 내진 및 수평조절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
CN109449795A (zh) * | 2018-12-28 | 2019-03-08 | 甘肃易美特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分布式光伏发电设备集装箱式变电站 |
KR20190101598A (ko) * | 2018-02-23 | 2019-09-02 | 한국전력공사 | 반지상 개폐기 및 그 조립 방법 |
KR20200049145A (ko) * | 2018-10-31 | 2020-05-08 | 김태진 | 수직과 수평 진동에 각자 반응하는 복수의 스프링이 일체로 구성되는 완충구조물 |
KR102100128B1 (ko) * | 2019-08-22 | 2020-06-04 | (주)에스지솔루션 | 전기분해식 제습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
KR102172708B1 (ko) | 2020-07-08 | 2020-11-02 | (주) 백산정밀판금 | Ip55 방진 및 방수 등급을 갖는 배전반(분전반) |
CN117424092A (zh) * | 2023-11-07 | 2024-01-19 | 保定富阳电力科技有限公司 | 一种室外防水型抗震高压柜 |
CN117878755A (zh) * | 2024-01-16 | 2024-04-12 | 浙江元盛电气有限公司 | 一种户外用的箱式变电站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9226B1 (ko) | 2007-08-17 | 2011-06-03 |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 프로그래밍가능 진단 메모리 모듈 |
KR101048583B1 (ko) | 2010-02-23 | 2011-07-12 | 김영훈 |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
KR101155995B1 (ko) | 2011-10-21 | 2012-06-18 | 주식회사 일산전기 |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
-
2013
- 2013-02-26 KR KR1020130020589A patent/KR10125409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9226B1 (ko) | 2007-08-17 | 2011-06-03 |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 프로그래밍가능 진단 메모리 모듈 |
KR101048583B1 (ko) | 2010-02-23 | 2011-07-12 | 김영훈 |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
KR101155995B1 (ko) | 2011-10-21 | 2012-06-18 | 주식회사 일산전기 |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고압 배전반, 저압 배전반, 분전반, mcc)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2201B1 (ko) | 2013-05-07 | 2013-07-04 | (주) 금성시스템 | 진동방지장치가 부착된 배전반 |
KR20160121193A (ko) | 2015-04-10 | 2016-10-19 | 정진효 | 내진 및 수평조절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
KR20170012507A (ko) | 2017-01-16 | 2017-02-02 | 정진효 | 내진 및 수평조절 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
KR102041701B1 (ko) * | 2018-02-23 | 2019-11-07 | 한국전력공사 | 반지상 개폐기 및 그 조립 방법 |
KR20190101598A (ko) * | 2018-02-23 | 2019-09-02 | 한국전력공사 | 반지상 개폐기 및 그 조립 방법 |
KR102185709B1 (ko) | 2018-10-31 | 2020-12-02 | 신묘임 | 수직과 수평 진동에 각자 반응하는 복수의 스프링이 일체로 구성되는 완충구조물 |
KR20200049145A (ko) * | 2018-10-31 | 2020-05-08 | 김태진 | 수직과 수평 진동에 각자 반응하는 복수의 스프링이 일체로 구성되는 완충구조물 |
CN109449795A (zh) * | 2018-12-28 | 2019-03-08 | 甘肃易美特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分布式光伏发电设备集装箱式变电站 |
KR102100128B1 (ko) * | 2019-08-22 | 2020-06-04 | (주)에스지솔루션 | 전기분해식 제습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 |
KR102172708B1 (ko) | 2020-07-08 | 2020-11-02 | (주) 백산정밀판금 | Ip55 방진 및 방수 등급을 갖는 배전반(분전반) |
CN117424092A (zh) * | 2023-11-07 | 2024-01-19 | 保定富阳电力科技有限公司 | 一种室外防水型抗震高压柜 |
CN117424092B (zh) * | 2023-11-07 | 2024-04-16 | 保定富阳电力科技有限公司 | 一种室外防水型抗震高压柜 |
CN117878755A (zh) * | 2024-01-16 | 2024-04-12 | 浙江元盛电气有限公司 | 一种户外用的箱式变电站 |
CN117878755B (zh) * | 2024-01-16 | 2024-05-28 | 浙江元盛电气有限公司 | 一种户外用的箱式变电站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4091B1 (ko) |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 |
CN1078656C (zh) | 建筑物的防护系统 | |
KR101525985B1 (ko) | 승하강 방식의 지중 매립형 배전반의 시공구조 | |
TWI557295B (zh) | 壁面設置用翻轉門式防水面板 | |
JP6967236B1 (ja) | リフトアップ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建築物 | |
KR102613691B1 (ko) | 공동주택 전기의 전선 보호 장치 설치방법 | |
JP6065277B2 (ja) | ワイヤー巻取り装置により巻き取り可能としたワイヤーにより平屋住宅を固定する津波対応浮上式小部屋 | |
US20180347176A1 (en) | Disaster-proof home | |
CN207538160U (zh) | 变电站防洪装置 | |
EP1891276A1 (en) | Disappearing building | |
KR102227579B1 (ko) | 내진 시스템 | |
JP2012062742A (ja) | 構造物出入口の流入水遮断用フローティング防水扉の構造 | |
CN211903100U (zh) | 一种具有减震功能的室外空调机柜结构及其建筑 | |
JP2019118780A (ja) | 洗濯物自動防雨装置 | |
ITUD20090238A1 (it) | Dispositivo anti-allagamento | |
CN208253801U (zh) | 一种住宅的空调室外机放置结构 | |
KR20090057851A (ko) | 수변전기기부 침수 방지용 주름막커버 승하강장치 | |
KR102227580B1 (ko) | 내진 시스템 | |
JP2023046706A (ja) | 水害と地震の両方から守る防災装置 | |
JP2619605B2 (ja) | 防潮装置 | |
KR102698951B1 (ko) | 공동주택 전기의 벽체 설계 배관시스템 | |
CN214885623U (zh) | 一种建筑施工止水钢板固定装置 | |
KR102656968B1 (ko) | 빅데이터를 이용한 배전선로 사고 예방 시스템 | |
JP4266432B2 (ja) | エレベータ装置の制御盤保守・点検用防護用具 | |
CN112196315B (zh) | 减震减风型钢结构装配式安置房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25 Year of fee payment: 6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