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583B1 -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 Google Patents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583B1
KR101048583B1 KR1020100016036A KR20100016036A KR101048583B1 KR 101048583 B1 KR101048583 B1 KR 101048583B1 KR 1020100016036 A KR1020100016036 A KR 1020100016036A KR 20100016036 A KR20100016036 A KR 20100016036A KR 101048583 B1 KR101048583 B1 KR 101048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float
fixed
pneumatic
pneumatic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김영훈
Original Assignee
김영훈
이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훈, 이재용 filed Critical 김영훈
Priority to KR1020100016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5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수 감지시 밀폐된 배전함 내부에 공간에 공기압력을 채워 수면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여 배전함을 침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에 있어서, 특히 커튼에 의하여 배전반 수용 공간을 완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밀폐 공간 내부의 공압이 외부로 전혀 누출됨이 없도록 하며, 밀폐상태에서 충전된 공압에 의하여 배전함 전체가 침수되고, 일체의 전원 공급이 중단된 정전 상태에서도 배전반의 침수 방지 기능이 유지되도록 한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하여 침수시에만 배전함 내부에서 배전반만을 위한 밀폐 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커튼이 상방에서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하고, 공압이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배전함이 침수되고 정전되는 열악한 조건에서도 배전반 침수 방지 기능을 유지하여 재산과 인명의 보호에 반전을 기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만 공압이 공급되도록 한 방식이어서 유지, 보수비용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Opened Understructure Type Distribution Panel having Inundation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수 감지시 밀폐된 배전함 내부에 공간에 공기압력을 채워 수면이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여 배전함을 침수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하부 개방형 배전함은 하방에 인입선과 배전선 도입을 위한 하부 개방 공간이 구비되어 있으며, 인입선과 배전선 그리고 배전함의 커버 등에 침수를 방지하기 위한 각종 패킹 등을 설치하여 커버를 닫고 록킹 시켰을 시, 외부 공간과 차단되도록 하여 홍수 등으로 인하여 침수되지 않도록 하였던 것이다.
반면에, 이러한 침수 방지 구조는 주로 연질의 고무로 된 패킹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시공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패킹이 경화되거나 균열이 발생하며 마모, 변형됨에 따라 밀폐 상태가 손상되고, 이에 따라 홍수 등으로 인한 침수 시 배전반이 침수되는 심각한 전기 사고가 발생되었던 것이다.
그러므로, 배전반 함체 내부에 공기 압력을 공급하여 침수를 방지하고자 하는 시도가 존재하였다.
그 대표적인 예를 일본 특허공개번호 소58-6008(발명의 명칭: 배전함; 이하 '인용발명 1'이라 함)에 의하여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 1에 의하면 이는 도 1로 보인 바와 같이 패널을 구비하는 함체, 패널에 외부방식프레임, 외부문짝패킹, 투시창, 외부방식문짝이 덮여지고 패널측 공간으로 제습된 압축공기가 펌프에서 토출되는 배전반이 제시되어 있으며,
하방으로는 급전케이블이 단자대에 연결되고, 배선실링재를 통과하여 케이블 매설관에서 인출된 배선이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두개의 계전기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인용발명 1은 펌프에서 제습되고 청정하게 여과된 공기를 연속 공급하여야 하므로 그 운용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설비의 수명도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침수의 우려가 있는 경우 수동으로 펌프를 작동 개시시킬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비상 상황에 신속하게 펌프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침수로 인한 사고를 피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이 하여 침수시에 펌프가 정상 작동되는 경우에도 펌프의 높이 이상으로 물의 레벨이 높아진 경우에는 펌프 자체가 침수되어 펌프의 모우터가 침수로 인한 단락 사고 등을 피할 수 없으므로 작동 중지되고 이로 인하여 공기의 공급도 중지됨에 따라 배전반이 침수되는 것이어서, 널리 활용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일본 특허공개번호 소58-6011(발명의 명칭: 배전함; 이하 '인용발명 2'이라 함)를 살펴보면, 이는 도 2로 보인 바와 같이 함체 내부에 투시창 및 내, 외부 프레임을 구비하고 그 내부에 계전기를 설치하며 이러한 계전기를 수용하는 내, 외부 프레임이 밀폐되도록 다수의 패킹을 설치하여서 된 것이며,
하방으로는 급전케이블이 단자대에 연결되고, 배선실링재를 통과하여 케이블 매설관에서 인출된 배선이 밀폐된 공간에 설치된 두개의 계전기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이에 더하여 케이블 매설관을 통하여 외부의 공기압 공급 수단에 연결된 공기 공급 배관이 함체 내부와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인용발명 2는 공압수단에 의하여 공급 및 제습되고 청정하게 여과된 공기를 연속 공급하여야 하므로 그 운용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되고, 설비의 수명도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침수의 우려가 있는 배전반의 경우에만 선별적으로 밸브를 개폐하면서 공기의 공급을 개시시킬 수도 있겠으나, 이러한 비상 상황에 신속하게 배전반의 상태를 파악하여 펌프를 작동시키지 않으면 침수로 인한 사고를 피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이러한 인용발명 2의 경우에는 평상시에도 연속적으로 공압수단을 작동시켜야 하는 불합리가 있는 것이어서 널리 보급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더욱이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인용발명 1, 2의 결정적인 문제점으로 함체 내부에 직접 공기압을 공급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는 구성인바, 함체의 내부는 외기와의 차단을 위하여 많은 개수의 패킹을 여러 요소마다 설치하여서 된 것이며,
이러한 패킹에 의한 밀폐 상태는 근본적으로 연질의 재질로 된 패킹을 사용하지 않을 수 없게 되고, 이러한 패킹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열이나 변위가 불가피한 것이어서 점차 공기가 유출됨을 피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연속적으로 펌프나 공압수단이 가동되지 않으면 수밀 상태를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외부에서의 침수로 인하여 펌프나 공압수단 위치 이상으로 수위가 상승하는 경우 펌프나 공압수단의 모우터 자체가 침수되어 작동이 중지되며, 이에 따라 배전반 내부로 침수됨을 피할 수 없는 것이어서 침수를 방지하고자 하는 기본 목적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홍수 발생 등 외부에서의 침수 상황이 심각한 경우에는 전기 공급 자체가 차단되어 펌프나 공압수단의 모우터가 연속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며, 그 결과 패킹으로 함체 내부의 압축된 공기가 유출되고, 유출되는 만큼 외부에서 함체로 물이 침투됨을 피할 수 없어서 그 결과 인용발명 1, 2는 정전시에는 물이 침투하게 되므로 침수 방지 구조로서의 효용성을 상실하게 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일본특허공개번호소58-6008(발명의명칭:배전함) 일본특허공개번호소58-6011(발명의명칭:배전함)
본 발명의 제 1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침수 시작을 감지한 순간 배전함 내부의 배전반이 외기는 물론 배전함 내부와도 완전 밀폐될 수 있도록 한 침수방지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전함의 배전반만을 위한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되, 침수시에만 전술한 밀폐된 공간에 미리 충전된 리저브 탱크의 공기압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정전시에 일체의 전력이 공급되지 않으며, 배전함 및 펌프, 공압수단 등이 모두 물에 침수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작동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침수 방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획기적 기능의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방된 배선인입공과 배전반을 설치할 수 있는 배전반 수용 공간과, 배전반 수용 공간 내부에 형성된 배전반 고정부와, 배전반의 보호를 위한 커버가 힌지로 체결된 공지의 하부 개방형 배전함에 있어서,
배전함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방이 폐쇄되며 하방이 개방되고 하단에 소정 중량의 테두리가 구비된 대상(袋狀)의 커튼을 구비하며,
절첩상태인 대상의 커튼 하방에 고정간의 통공에서 출몰되는 출몰간을 설치하며,
배전함의 하방 일측에 제 1플로트가 구비되고 제 1플로트가 회동간의 일단과 연결되며, 회동간의 일측이 중심축에 고정되고, 회동간의 타측이 전술한 출몰간의 내측과 강선으로 연결되며,
배전함의 하방 타측에 제 2플로트가 구비되고, 제 2플로트가 회동간의 일단과 연결되며, 회동간의 일측이 중심축에 고정되고, 회동간의 타측이 공압밸브의 핸들과 체결되며,
전술한 공압밸브는 입력측이 공압발생수단과 배관으로 연결되고 출력측이 하방으로 향하여 개방된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을 제안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침수시 외기는 물론 배전함의 내부 공간과도 완벽하게 차단시키는 하강되는 커튼에 의하여 배전반만을 위한 침수 방지 공간이 완벽하게 제공될 수 있는 것이어서, 배전반의 침수로 인하여 감전으로 인한 인명이나 각종 전기 설비의 손상으로 인한 재산상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더구나, 본 발명은 침수로 인하여 하강된 커튼에 의하여 확보된 배전반만의 공간은 여러 결합 요소간을 패킹으로 밀폐되도록 한 인용발명 1, 2와는 달리 시공 후 장시간이 경과하더라도 공압이 누설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한번 충전된 공압이 누설될 우려가 전혀 없어서 수위가 배전함 높이 이상으로 되고 정전으로 인하여 공압이 추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도 배전반만을 위한 완벽한 밀폐 공간이 유지되어 아무리 열악한 조건에서도 복구팀이 도달하여 배수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순간 까지 완벽한 방수 성능을 발휘, 유지하게 되어 침수로 인한 배전반의 손상이나 감전 등 재산과 인명의 손상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용발명과는 달리 배전반을 위한 작은 공간에 가하여 지는 공압발생수단에 의한 압력으로 하부의 배선인입공을 밀폐시키지 않더라도 침수시 수위가 위험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게 되는 것이어서, 시공작업이 편리하게 되는 유용한 효과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필요시에만 공압이 공급되도록 한 방식이어서 유지, 보수비용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2는 공압을 이용한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종래의 배전함을 보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개방형 배전함의 요지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
도 5a는 작동 대기 상태의 본 발명에 의한 하부 개방형 배전함을 보인 설명도.
도 5b는 침수시 커튼 낙하 상태를 보인 본 발명에 의한 하부 개방형 배전함을 보인 설명도.
도 5c는 침수시 커튼 낙하 후 배전반만을 위한 공간에 공압이 투입되는 상태를 보인 설명도.
도 6, 7은 본 발명의 공압 발생 수단의 설치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설명도.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배선인입공(600)이 구비된 하부 개방형 배전함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3의 사시도로 도시하였다.
이러한 도 3에서는 커버(101)를 열어 배전함(100) 내부가 노출되도록 도시하였으며, 편의상 배전반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 3의 전체 외관을 보인 사시도와 도 4의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함체의 상방에 커튼(200)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커튼(200)은 하강시 신속하고 정확한 하강 동작이 실시되도록 하기 위하여 커튼(200)의 하단에 강재로 된 테두리(201)를 고정하였으며,
보관을 위한 점유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규칙적으로 접혀진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커튼(200)의 테두리(201)는 평상시 낙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간(102)에서 돌출된 출몰간(300)에 걸려져 낙하가 방지되도록 한 구조이며,
전술한 출몰간(300)은 함체의 침수를 감지하기 위한 제 1플로트(301)의 회동간(403) 타단과 강선(303)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제 1플로트(301)가 수위에 의하여 상승하게 되면, 그 회동간(403)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동하게 되고, 그 회동에 따라 강선(303)이 도면상 하방으로 당겨지게 되며, 이에 따라 출몰간(300)은 고정간(102) 내측으로 몰입하게 되고, 출몰간(300)에 얹혀져 있던 테두리(201)가 중량으로 인하여 빠른 속도로 낙하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전반(500)은 전체적으로 커튼(200)에 의하여 씌워진 상태로 되는 것이며, 배전반(500) 수용 공간은 상승되는 수위 상방에 밀폐 공간으로 형성된다.
또한, 수위가 계속 상승하게 되면 제 2플로트(400)가 상승하면서 회동간(403)이 회동하게 되며, 이러한 제 2플로트(400)의 회동간(403) 타단은 공압밸브(401)의 핸들(402)이 하강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공압밸브(401)가 열리게 되는 것이며, 공압밸브(401)에 의하여 배전함(100) 외부 또는 배전함(100) 내부에 설치되어 공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공압 발생 수단(700)에 연결된 배관(701)을 통하여 배전반(500) 수용 공간 내부에 충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주요한 동작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배전함(100) 둘레면이 생략된 상태로 하여 도 4에 도식적으로 표시하였으며, 이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커튼(200)은 하단에 중량이 무거운 테두리(201)가 고정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커튼(200)의 상단에도 상부 밀폐를 위한 상부 테두리(202)가 구비되어 있어서, 배전함(100) 상면 하부 둘레에 밀착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배전함(100) 상면 하부와 바닥면(106) 사이에 고정간(102) 상단과 하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간(102)에는 제 1, 2플로트의 회동간(403)과 강선(303)의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개의 롤러(302)가 설치되어 있고, 배전반(5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50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몰간(300)의 몰입시에 낙하하는 커튼(200)의 테두리(201)가 좌, 우 전폭에 걸쳐서 동일한 속도로 낙하되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 로드(108) 상단과 하단을 함체 상면 하부(104)과 바닥면(106)에 각각 고정하며, 이러한 가이드 로드(108)에는 테두리(201)와 연결된 안내구(105)가 결합되어 테두리(201)의 낙하시 좌, 우가 동일하게 수면위로 낙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테두리(201)가 낙하하는 바닥면(106)에는 네 모서리에 복수개의 스프링(107)을 배치하여 신속한 낙하 동작이 실시됨과 아울러, 커튼(200)이 과도한 낙하력으로 인하여 손상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스프링(107)에 의하여 낙하 동작시의 소음이나 충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충시켜 줄 수 있게 된다.
또한, 배전반(500)의 하방으로는 전력선 인입과 배전선 도입을 위한 하부 인입공(600)이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의 작동을 도 5에 의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 본 발명의 작동 대기 상태를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 대기 상태에서는 커튼(200)이 규칙적으로 접혀진 상태로 상부 테두리(202)에 의하여 배전함 상면 하부(104) 내측에 밀착되어 있는 것이며, 외부로 부터의 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상부 테두리(202)와 배전함 상면 하부(104) 내측의 틈새에는 적절한 공지의 방수제처리를 실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 후 커튼(200)의 테두리(201)는 출몰간(300) 위에 올려져서 하강이 불가능한 상태로 하고, 출몰간(3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롤러(302)에 의하여 작동이 안내되는 강선(303)의 일단과 연결되고, 강선(303)의 타단은 하방의 제 1플로트(301)의 회동간(403) 타단과 연결되어 있는 것이며, 강선(303)은 긴장된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이다.
아울러, 제 2플로트(400)의 회동간(403) 타단은 외부 또는 내부에서 공급되는 공압이 배관(701)을 통하여 도입되어 배전반(500) 수용공간을 충전시키도록 하기 위한 공압밸브(401)의 핸들(402) 하단에 밀접되어 있는 상태로서 평상시 작동 대기 상태에서는 공압밸브(401)가 닫혀 있어서 공압이 공압밸브(401)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호우나 홍수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외부로부터 물이 차오르기 시작하면, 도 5b로 보인 바와 같이 먼저 제 1플로트(301)가 상승하면서 회동간(403)이 중심축(404)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원을 그리면서 하강하므로 그 타단에 연결된 강선(303)이 하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에 따라, 강선(303)이 복수개의 롤러(302)에 의하여 안내되면서 출몰간(300)을 고정간(102) 내측으로 당겨 주므로, 그 위에 얹혀져 있던 중량의 테두리(201)가 하강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테두리(201)의 안내구(105)가 끼워진 가이드 로드(108)에 의하여 안내되어 좌, 우가 균일한 속도로 수면위에 낙하하게 되며, 테두리(201)의 급격한 낙하력이 스프링(107)에 의하여 완충되면서 정숙한 상태로 커튼(200)을 전개 완료하고, 접혀져 있던 커튼(200)은 별다른 충격을 받지 않고 전개 완료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커튼(200)이 전개 완료된 후에 계속 수위가 상승하게 되면 이번에는 제 2플로트(400)가 상승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를 도 5c로 도시하였다.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2플로트(400)가 상승하게 됨에 따라 회동간(403)이 중심축(404)을 중심으로 그 타단을 하방으로 회동시키면서 하강하게 되므로, 공압밸브(401)의 핸들(402)이 하방으로 돌출된다. 이에 따라, 공압밸브(401)가 열리면서 배관(701)으로 도달하여 대기중인 공압이 방출되는 것이며, 그 결과 배전반(500) 수용 공간에는 공압이 충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여러 요소의 틈새를 패킹으로 밀폐 시킨 구조의 인용발명 1, 2와는 달리 하나의 단일 구조로 된 커튼(200)에 의하여 완전히 밀폐된 배전반(500) 수용 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공압이 공급되는 것이어서 수면의 상승 압력과 균형을 이루는 상태에서 수위 상승이 중지되는 것이고, 본 발명에서는 특히 이러한 상태에서 공압이 인용발명 1, 2에서와 같은 패킹에 의한 누설 가능 요소가 전혀 없으므로 매우 안정된 상태로 수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배전반(500) 전체가 물에 침수되고, 주변의 전기 설비가 모두 침수되어 전원 공급이 불가한 경우에도 복구팀이 도달하는 시점까지 배전반(500)의 침수를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에서는 절첩이 용이하면서도 방수 성능이 탁월하면서도 온도 변화에도 적정한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커튼(200)을 제작하여야 함은 물론이며, 이를 위하여 직포에 방수를 위하여 다양한 성분의 수지층을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배관(701)을 통하여 공압밸브(401)에 공급되는 공압발생수단으로 외부에 설치된 공압 발생 수단(700)으로부터 공압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으나, 도 6으로 보인 바와 같이 자체 공압 발생이 가능하도록 모우터(702) 및 압축기(703), 리저브탱크(704)가 구비되며, 리저브 탱크(704)에는 압력스위치(705)가 설치된 공압 발생 수단(700)의 공압이 리저브 탱크(704)를 통하여 공압밸브(401)에 연결된 배관(701)에 항상 설정 압력의 공압이 대기하도록 할 수 있으며,
도 7로 보인 바와 같은 공압 발생 수단(700)인 공기 압축 탱크(706)에 미리 공압을 적정 압력으로 가압하여 충전하고, 그 배출구(707)에 배관(701)을 연결하여 공압밸브(401)의 작동시 즉시 공압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공지된 여러 요소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배전함 101:커버 102:고정간
104:상면 하측 105:안내구 106:바닥면
107:스프링 108:가이드 로드 200:커튼
201:테두리 202:상부 테두리 300:출몰간
301:제 1플로트 302:롤러 303:강선
400:제 2플로트 401:공압밸브 402:핸들
403:회동간 404:중심축 500:배전반
501:배전반 고정부 600:배선인입공 700:공압 발생 수단
701:배관 702:모우터 703:압축기
704:리저브 탱크 705:압력스위치 706:공기 압축 탱크
707:배출구

Claims (8)

  1. 하부가 개방된 배선인입공과 배전반을 설치할 수 있는 배전반 수용 공간과, 배전반 수용 공간 내부에 형성된 배전반 고정부와, 배전반의 보호를 위한 커버가 힌지로 체결된 하부 개방형 배전함에 있어서,
    상기 배전함의 상방에 설치되고 상단이 폐쇄되며 하방이 개방되고 하단에 소정 중량의 테두리가 구비된 대상(袋狀)의 커튼과,
    절첩 상태인 상기 대상의 커튼의 테두리가 얹혀지며, 고정간의 통공에서 출몰되는 출몰간과,
    상기 배전함의 바닥면 일측에 설치된 제 1플로트와, 상기 제 1플로트와 연결되며, 회동간의 일측이 중심축에 고정되고, 회동간의 타측이 전술한 출몰간의 내측과 연결되도록 한 강선과,
    상기 배전함의 바닥면 타측에 설치된 제 2플로트와, 상기 제 2플로트과 연결되며, 회동간의 일측이 중심축에 고정되고, 회동간의 타측과 접촉되는 핸들을 구비한 공압밸브로 구성되되, 전술한 공압밸브는 입력측이 공압발생수단과 배관으로 연결되고 출구가 개방되어 배전반 수용 공간에 공압을 충전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커튼의 상단 둘레에 상부 테두리를 고정시켜 배전함 상면 하측 둘레에 밀착시켜 외기와 차단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출몰간과 제 1플로트의 회동간 타측을 연결하기 위한 강선의 작동 안내를 위하여 복수개의 롤러를 고정간에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바닥면의 모서리에 테두리 하강시의 안착을 위한 스프링을 복수개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바닥면과 배전함 상면 내측 사이에 가이드 로드의 하단과 상단을 고정하고, 이에 태두리의 내측에 고정된 안내부를 끼워 좌, 우가 동시에 승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6.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공압밸브에 연결되는 배관에는 외부의 공압 발생 수단이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공압밸브에 연결되는 배관에는 모우터, 압축기, 압력 스위치가 구비된 리저브 탱크로 된 공압 발생 수단이 연결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술한 공압밸브에 연결되는 배관에는 공기 압축 탱크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KR1020100016036A 2010-02-23 2010-02-23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KR101048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36A KR101048583B1 (ko) 2010-02-23 2010-02-23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036A KR101048583B1 (ko) 2010-02-23 2010-02-23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48583B1 true KR101048583B1 (ko) 2011-07-12

Family

ID=44923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036A KR101048583B1 (ko) 2010-02-23 2010-02-23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5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65Y1 (ko) * 2011-07-28 2012-01-16 심화준 침수보호장치
KR101254091B1 (ko) 2013-02-26 2013-04-15 주식회사 이산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KR101584168B1 (ko) * 2015-07-16 2016-01-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등용 배전반
KR20170032615A (ko) 2015-09-15 2017-03-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침수방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486U (ko) * 1989-07-17 1991-03-13
KR100788167B1 (ko) 2006-12-15 2007-12-24 이재용 침수방지용 수변전 설비 시스템
KR20090057850A (ko) * 2007-12-03 2009-06-08 이재용 수위감지부를 구비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4486U (ko) * 1989-07-17 1991-03-13
KR100788167B1 (ko) 2006-12-15 2007-12-24 이재용 침수방지용 수변전 설비 시스템
KR20090057850A (ko) * 2007-12-03 2009-06-08 이재용 수위감지부를 구비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965Y1 (ko) * 2011-07-28 2012-01-16 심화준 침수보호장치
WO2013015505A1 (ko) * 2011-07-28 2013-01-31 Shim Wha Joon 침수보호장치
KR101254091B1 (ko) 2013-02-26 2013-04-15 주식회사 이산 내진과 방수 기능을 겸비한 구조를 지닌 배전반
KR101584168B1 (ko) * 2015-07-16 2016-01-22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조명등용 배전반
KR20170032615A (ko) 2015-09-15 2017-03-23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침수방지장치
KR101784066B1 (ko) * 2015-09-15 2017-10-19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배전반 침수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583B1 (ko) 침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부 개방형 배전함
CN110994391B (zh) 一种便于散热、防尘防雨的配电柜
KR101065780B1 (ko) 권양기를 이용한 수문
JP5886958B2 (ja) 浸水保護装置
KR101784066B1 (ko) 배전반 침수방지장치
KR20110024840A (ko) 선박 수리용 코퍼댐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수리공법
US10091901B2 (en) Air shelter for electrical equipment
KR20090057851A (ko) 수변전기기부 침수 방지용 주름막커버 승하강장치
CN211684712U (zh) 一种新能源汽车充电桩保护设备
KR100595470B1 (ko) 방사선 차폐도어 개폐장치
JP6584119B2 (ja) 止水ガレージ
KR101137495B1 (ko) 철도차량용 배터리 보관장치
KR101009493B1 (ko) 공기흡입호스 부유수단을 구비하는 수변전 설비시스템
US20120027153A1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access port that opens to working platform of reactor vessel
CN109494044B (zh) 用于车间变压器的防尘散热装置
CN210257932U (zh) 一种汽车自动空调风门执行器电机
JP2005299322A (ja) 制御盤の浸水防止装置
DE102017001273B4 (de) Verteiler für elektrische und/oder elektronische Einrichtungen
KR100915392B1 (ko) 수방 대비 야외 수영장용 이동형 기계실
CN217215256U (zh) 具有内防水功能的电连接装置及包括其的船舶换电系统
CN210053035U (zh) 一种防窃电型高压预付费计量箱
CN214141105U (zh) 一种电梯门防水试验设备
CN213087846U (zh) 一种顶部泵房侧面检修门结构
CN214460190U (zh) 一种具有防锈抗压式水闸闸门的侧墙止水装置
CN214930132U (zh) 加电口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