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28908A -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28908A
KR20190128908A KR1020180053238A KR20180053238A KR20190128908A KR 20190128908 A KR20190128908 A KR 20190128908A KR 1020180053238 A KR1020180053238 A KR 1020180053238A KR 20180053238 A KR20180053238 A KR 20180053238A KR 20190128908 A KR20190128908 A KR 20190128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on device
controller
verifying
senso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867B1 (ko
Inventor
조국희
장석훈
김성주
Original Assignee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기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기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53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867B1/ko
Publication of KR20190128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8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2Apparatus, systems or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27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 G01R31/3271Testing of circuit interrupters, switches or circuit-breakers of high voltage or medium voltage devices
    • G01R31/3275Fault detection or status indic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02H3/044Checking correct functioning of protective arrangements, e.g. by simulating a faul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전선로의 이상을 감지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보호기기 본체를 포함하는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검증하는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어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검증을 위하여 모의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기의 센서에 제공하여 상기 제어기의 릴레이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제어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보호기기의 상태정보에 대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진단모듈,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입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APPARATUS FOR DIAGNOSING AN OPERATION STATUS OF A PROTECTIVE EQUIPMENT FO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장상태 모의를 위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발생시켜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검증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통신모듈을 기존의 제어기에 부가 접속하고, 원격에서 제어 및 보호기기 동작상태 확인이 가능한 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전반적인 점검을 상시로 수행하여 전력계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점검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electric power distribution)이란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용가에 공급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전력수요의 증가와 함께 전력계통의 규모는 점차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기를 배전하기 위해 설치하는 배전선로 또한 확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배전선로는 단락, 과부하, 지락, 뇌해 및 설비의 노후 등에 의하여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배전선로가 확장됨에 따라 고장이 발생한 지점뿐만 아니라 고장 지점이 연결된 배전선로에도 고장 효과가 파급되어 국가 기반시설 전반에 걸쳐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선로를 보호하는 보호기기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호기기의 점검 및 진단 기능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
전술한 배전선로 보호기기는 전력계통에서 사고 또는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배전선로를 전원으로부터 분리하여 사고의 파급 확대를 방지하고 설비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배전선로 보호기기는 차단기(circuit breaker), 리클로저(recloser), 섹셔널라이저(sectionalizer), 퓨즈(fuse), 피뢰기(arrester), 및 계전기(relay)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배전선로 사고는 수목, 조류 등에 의한 외물접촉, 강풍, 낙뢰 등에 의한 순간적인 단락사고, 또는 지락사고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사고가 발생한 경우 리클로저(recloser)와 같은 보호기기는 고장구간을 신속하게 차단하고 사고지점의 아크를 소멸시킨 후 재투입 동작을 수행하여 배전선로가 정상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로저 등과 같은 보호기기 본체(2)는 배전선로 구간에 설치되다. 보호기기 본체(2)는 제어기(10)의 제어에 의해 동작한다.
상술한 제어기(10)는 배전선로(3)의 부하측에 발생하는 이상전류 및 이상전압을 감지하는 센서(11), 센서(11)에서 측정된 신호를 이용하여 보호기기 본체(2)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보드(12), 및 제어보드(12)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보호기기 본체(2)에 트립 신호 및 재투입 신호를 전송하는 릴레이(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어기(10)는 외부환경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해 제어함(1)에 내장되어 설치되며, 배전선로의 고장 시 보호기기 본체(2)의 차단 및 리클로저의 재폐로 동작을 제어하여 전력계통을 보호하고 전력계통이 정상적으로 운영되도록 한다.
도1을 다시 참조하면, 종래에는 점검자가 현장에 직접 방문하여 제어함 시험기(T)를 제어함(1)에 연결하여 보호기기(2)의 동작상태에 대한 점검 및 진단을 수동으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전국적인 규모의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전수점검을 위해서는 막대한 점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점검자가 직접 방문하여 수동으로 보호기기를 전수점검하기 때문에 점검 후 재점검까지는 통상 약 2년 주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그 사이에 발생 가능한 전력계통 고장사고를 사전에 검출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력계통이 광범위해지고 그에 따라 다양한 장치가 보호기기에 부가되어 적용되고 있어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진단만으로는 다른 주변기기 또는 외부환경으로부터 발생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어렵고, 보호기기의 작동 여부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종합적인 상태 정보를 위한 빅 데이터 및 종합분석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40160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장상태 모의를 위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발생시켜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검증하기 위한 제어모듈 및 통신모듈을 기존의 제어기에 부가 접속하고, 원격에서 제어 및 동작상태 확인이 가능한 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전반적인 점검을 상시로 수행하여 전력계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점검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는, 배전선로의 이상을 감지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보호기기 본체를 포함하는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검증하는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어,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검증을 위하여 모의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기의 센서에 제공하여 상기 제어기의 릴레이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제어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보호기기의 상태정보에 대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진단모듈,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입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진단모듈과 함께, 상기 제어기에 부가 접속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호기기는, 상기 제어기를 보호하고 내장하는 제어함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어함 내부에서 상기 제어기에 부가 접속되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단모듈은, 상기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검증을 위한 명령 및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보호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출력부로 전송하는 임베디드 제어부, 상기 임베디드 제어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고 증폭하여 고장상태로 모의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생성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서 생성된 상기 이상전압 및 상기 이상전류를 상기 제어기의 상기 센서에 제공하는 선택부, 상기 재폐로 릴레이의 여자전류가 흐르는 경로에 구비되며, 상기 여자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및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변환하고 처리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임베디드 제어부는, 상기 보호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출력신호 및 상기 입력신호를 상호간에 연결된 사물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 및 상기 보호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출력신호 및 상기 입력신호를 상호간에 연결된 사물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임베디드 제어부에서 입력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 및 생성하는 전류 D/A 변환기, 상기 임베디드 제어부에서 입력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 및 생성하는 전압 D/A 변환기, 상기 전류 D/A 변환기로부터 생성된 전류를 모의 가능한 레벨로 증폭하는 전류증폭기, 상기 전압 D/A 변환기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모의 가능한 레벨로 증폭하는 전압증폭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의 상기 센서는 3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3상의 이상전압 또는 이상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센서에 동시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기의 상기 센서는 3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3상의 이상전압 또는 이상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센서에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진단모듈은, 상기 보호기기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고 진단하기 위한 온도 센서, 습도센서, 재폐로 상태 확인용 센서, 비접촉 미세전류 측정센서 및 재폐로 동작 카운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임베디드 제어부는, 상기 진단모듈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다채널 변환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전반적인 점검을 원격에서 상시로 수행 및 확인할 수 있어 전력계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배전선로 보호기기 제어기에 부가 접속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소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점검자가 원격에서 제어 및 동장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점검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한편, 제어모듈에 다양한 센서 및 통신인터페이스 유닛을 부가하여, 무선통신을 통해 사물간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사물간 데이터를 주고받아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자가진단기능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전반적인 상태에 대한 점검을 가능하게 하고 빅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효과 역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에 시험기를 연결하여 진단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의 일 실시예의 변환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의 일 실시예의 확장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2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체적인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의 일 실시예의 변환부 블록도이다.
일반적으로 배전선로 보호기기는 배전선로의 보호를 위해 설치되는 기기로서, 수용가 구내에서의 지락사고나 단락사고가 발생되면 부하와 전원을 분리하여 사고의 파급 확대를 방지하고 수용가 구내설비의 피해를 최소화 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배전선로 보호기기 본체(2)는 리클로저, 개폐기, 차단기, 선로용 퓨즈 등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배전선로 보호기기 본체(2)는 리클로저(recloser)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배전선로 보호기기는 배전선로의 이상을 감지하는 제어기(10) 및 제어기에 의해 동작하는 보호기기 본체(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검증하는 진단장치(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모듈(100), 통신모듈(200) 및 원격제어모듈(30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단모듈(100)은 제어기(10)에 연결되어 통신모듈(200)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검증을 위하여 모의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생성한다. 진단모듈(100)은 생성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제어기(10)의 센서에 제공하여 제어기(10)의 릴레이(13)를 동작시킴으로써 제어기(10)의 정상작동 여부를 진단하고 보호기기의 상태정보에 대한 출력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어기(10)는 배전선로(3)의 부하측에 발생하는 이상전류 및 이상전압을 감지하는 센서(11), 센서(11)에서 측정된 신호를 검지하고 변환하며 명령을 제어하는 제어보드(12) 및 제어보드(12)의 제어에 의해 보호기기에 트립 신호 및 재투입 신호를 전송하는 릴레이(13)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여기서, 배전방식은 변전설비, 배선, 분전반 등의 규모와 전력손실, 전선의 굵기 및 허용 전압강하에 따라 단상 2선식, 단상 3선식, 3상3선식, 3상4선식 및 3상3선식 고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단장치(20)는 22.9kV 의 가공배전선로로 3상 방식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어기(10)의 센서는 3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진단모듈(100)은 종래의 제어기(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므로, 진단모듈(100)에서 생성되는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는 3상으로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센서의 구성 및 진단모듈에서 출력되는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의 출력 방식은 배전방식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장치(20)는 종래의 제어기에 진단모듈(100)을 부가 접속하는 것만으로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검증할 수 있기 때문에 검증동작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모듈(200)은 원격제어모듈(300)로부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보호기기의 상태정보에 대응하는 출력신호를 원격제어모듈(300)로 전송한다. 통신모듈(200)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200)은 진단모듈(100)과 함께 제어기(10)에 부가 접속되어 연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기기를 제어하는 제어기(10)는 제어함(1) 내부에 설치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설치된다. 제어함(1)의 내부에는 전기적, 기계적인 상호연결 및 구조적인 요소를 가지고 조립되어 조작, 측정, 보호, 감시 제어, 조정 등을 수행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보호기기를 효과적으로 감시, 제어 및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20)에 있어서, 보호기기는, 제어기(10)를 보호하고 내장하는 제어함(1)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진단모듈(100) 및 통신모듈(200)은 제어함(1) 내부에서 제어기(10)에 부가 접속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진단모듈(100) 및 통신모듈(200)은 소형 모듈화된 독립 구조로 종래의 제어함(1) 내부의 제어기(10)에 부가 연결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제조사에서 제조된 제어함(1)의 종류에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설치비용이 효과적으로 절감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모듈(300)은 통신모듈(200)로 입력신호를 송신하고, 통신모듈(200)로부터 출력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모듈(300)은 원격으로 대상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 크게 적외선(Infrared Ray: IR) 및 레이저(laser) 통신 방식과 무선 주파수(Radio Frequency: RF) 통신 방식으로 나눌 수 있으며, 원격제어모듈(300)이 원격으로 보호기기를 제어하고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면 그 종류 및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모듈(300)은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과 같이 응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 등에 연동되게 하는 방식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원격제어모듈(300)은 원격에서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검증하기 위한 명령을 전달하거나 및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제어하고 이에 따른 동작상태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진단장치(20)는 원격에서 보호기기의 상태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점검자가 직접 제어함(1)을 방문하여 수동으로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점검하지 않아도 되어 점검 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상시로 확인할 수 있어 전력계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20)의 일 실시예의 진단모듈(100), 통신모듈(200) 및 원격제어모듈(300)의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 진단모듈(10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단모듈(100)은 제어기(10)에 연결되어, 입력신호에 따라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검증하기 위한 제어 및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단모듈(100)은 입력부(110), 출력부(120), 임베디드 제어부(130), 변환부(140), 선택부(150), 전류감지부(160) 및 신호처리부(17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10) 및 출력부(120)는 후술하는 임베디드 제어부(130)에 연결된다. 입력부(110)는 점검자가 입력하는 입력신호를 임베디드 제어부(130)로 전송하고, 출력부(120)는 임베디드 제어부(130)에 수집되는 상태정보를 전송받아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입력부(110)에는 버튼, 노브 등이 구성되어 점검자가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입력부(110)가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입력 및 출력이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입력자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 전압, 전류의 크기 및 위상, 주파수, 단상, 3상을 자유롭게 변조하여 다양한 고장상태로 모의된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출력부(120)는 터치스크린 및 별도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출력신호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외부기기인 프린터 등과 연결되어 출력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점검자가 원하는 고장상태로 모의할 수 있는 입력신호를 입력하여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직접 수동으로 입력 및 출력하여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검증을 할 수 있다.
임베디드 제어부(130)는 입력신호를 전송받아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검증을 위한 명령 및 제어를 수행하고 보호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출력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은 기계나 기타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에 대해, 제어를 위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으로 장치 내에 존재하는 전자시스템을 의미한다. 이러한 임베디드 시스템은 전체 장치의 일부분으로 구성되며 제어가 필요한 시스템을 위한 두뇌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임베디드 시스템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나(microprocessor)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의 프로세서 코어가 장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제어장치(명령어 해석 및 실행), 레지스터, ALU 등의 기본 구성을 가지고 마이크로 코드에 의해 단계적으로 처리하는 논리회로를 의미한다.
따라서, 임베디드 제어부(13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의 임베디드 시스템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임베디드 제어부(130)는 송수신되는 입력신호 및 출력신호를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을 위한 신호로 제어 및 처리하고 상태정보를 수집 및 처리하여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검증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임베디드 제어부(130)는, 보호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신호 및 입력신호를 상호간에 연결된 사물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131) 및 보호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출력신호 및 입력신호를 상호간에 연결된 사물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유닛(132)을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interface)는 사물간 또는 사물과 인간 간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일시적 혹은 영속적인 접근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물리적, 가상적 매개체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주변기기 간에 공유를 가능하게 하여 상호간에 통신 및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인터페이스는 임베디드 제어부(130)에 수집되는 보호기기의 상태정보를 사물간, 즉 입력부(110), 출력부(120), 통신모듈(200), 원격제어모듈(300) 및 기타 외부기기 등에 전달하고 저장할 수 있고, 전술한 기기 및 기타 외부기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고장상태로 모의된 신호를 임베디드 제어부(130)로 전달 및 저장하여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사물 상호간에 통신 및 디스플레이를 가능하게 하여 원격에서 상시로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진단하고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변환부(140)는 임베디드 제어부(130)에서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고 증폭하여 고장상태로 모의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환부(140)는 임베디드 제어부(130)에서 입력된 신호 변환 및 증폭을 위한 전류 D/A변환기(141), 전압 D/A 변환기(143), 전류증폭기(142) 및 전압증폭기(144)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류 D/A 변환기(141)는 임베디드 제어부(130)에서 입력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 및 생성할 수 있고, 이어서 전류증폭기(142)는 전류 D/A 변환기(141)로부터 생성된 전류를 모의 가능한 레벨로 증폭할 수 있다.
전압 D/A 변환기(143)는 임베디드 제어부(130)에서 입력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 및 생성할 수 있고, 이어서 전압증폭기(144)는 전압 D/A 변환기(143)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모의 가능한 레벨로 증폭할 수 있다.
여기서, 증폭의 방법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고, 아날로그 앰프 회로와 변압기를 조합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전류증폭기(142) 및 전압증폭기(144)가 고장상태 모의 가능한 레벨로 증폭시킬 수 있다면 그 형태 및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보호기기 본체(2)는 제어기(10)의 릴레이(13)에서 출력되는 릴레이 신호에 의해 구동되고, 제어기(10)는 배전선로(3)에서 감지되는 이상신호, 즉 고장신호에 따라 릴레이 신호를 출력시키므로, 전술한 모의된 이상전압 및 이상신호는 보호기기의 제어기(10)가 반응할 수 있는 전압 또는 전류값을 충족하도록 변환 및 증폭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임베디드 제어부(130)는 배전선로(3)에서 감지되는 고장신호를 출력하고, 임베디드 제어부(13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릴레이(13)를 구동 가능하게 하는 전압 및 전류값을 충족할 수 있도록 변환부(140)에서 변환 및 증폭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생성함으로써, 전술한 보호기기의 제어기(10)가 모의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에 따라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부(150)는 변환부(140)에서 생성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제어기(10)의 센서(11)에 선택적으로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20)의 일 실시예는 22.9kV 의 가공배전선로인 3상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따라서, 제어기(10)의 센서(11)는 3상으로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변환부(140)는 3상으로 모의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부(150)는 변환부(140)에서 출력되는 3상의 이상전압 또는 이상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센서(11)에 동시에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선택부(150)는 변환부(140)에서 출력되는 3상의 이상전압 또는 이상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센서(11)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전류감지부(160)는 재폐로 릴레이(13)의 여자전류가 흐르는 경로에 구비되며, 여자전류(exciting current)를 감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자전류는 자계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류를 의미하며, 릴레이는 자계에 의해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코일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진단모듈(100)에서 고장신호로 모의된 이상전류 및 이상전압이 제어기(10)의 센서(11)에 주입되고, 여자전류가 발생되어 특정 고장 구간의 이상신호를 감지하는 경우 릴레이(13)가 활성화되고 진단모듈(100)의 신호처리부(170)로 흐르도록 형성된다.
이때, 전류감지부(160)는 여자전류가 신호처리부(170)로 흐르는 경로에 설치되어 여자전류를 감시하여 후술하는 신호처리부(170)로 신호를 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전류감지부(160)에서 감시된 여자전류 데이터를 이용하여 릴레이(13)의 동작 시간 및 횟수 등의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하고, 이러한 정보를 바탕으로 보호기기의 제어기(10)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부(170)는 전류감지부(160)에서 감지된 신호를 변환하고 처리하여 임베디드 제어부(13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호처리부(170)는 전류감지부(160)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미도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어서,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된 릴레이(13)의 상태정보는 임베디드 제어부(130)를 통해 출력부(120)로 표기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통신모듈(200)을 통해 원격의 원격제어모듈(300)로 전송되어 원거리에서 보호기기의 제어기의 동작상태를 검증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검증을 원격에서 상시로 수행할 수 있고 전력계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기기 점검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20)의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20)의 일 실시예의 확장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20)의 구성에 대하여 앞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확장예에 대한 설명에서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20)의 일 실시예의 확장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20)의 일 실시예의 확장예에 따르면, 진단모듈(100)은 보호기기 내부 환경을 측정하고 진단하기 위한 온도센서(161), 습도센서(162), 재폐로 상태 확인용 센서(164), 비접촉 미세전류 측정센서(163), 재폐로 동작 카운터 센서(165)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함(1)에는 배전선로 보호 및 제어를 위한 다양한 전기 기기가 구성될 수 있고, 함체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기기기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운영된다. 따라서 제어함(10) 내부는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운영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고 이러한 열의 발생은 열에 민감한 각종 전기 기기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효율 저하 및 전기기기의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함(1) 내부로 유입된 습기 및 먼지는 제어함(1) 내부에 융착되어 전기 기기의 고장 또는 트래밍 현상에 의한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함(1)의 외부 환경과 내부 환경의 차이에 의하여 결로 등이 발생하는 경우 전기기기의 파괴, 열화, 부식 등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한 오작동 및 합선 등의 기기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어함(1) 내부 환경을 측정하고 진단하는 것은 중요하며, 제어함 내부 환경 감시를 위한 온도센서(161) 및 습도센서(162) 등이 진단모듈(100)에 포함되도록 구성하여, 제어함(10) 내부 환경에 대한 상태정보를 확인하고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재폐로 상태 확인용 센서(164), 비접촉 미세전류 측정센서(163) 및 재폐로 동작 카운터 센서(165)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진단모듈(100)에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보호기기의 전반적인 작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임베디드 제어부(130)는 진단모듈(100)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다채널 변환회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진단모듈(100)의 센서로부터 측정된 신호는 신호처리부(170)에서 A/D 변환을 위한 필터 및 레벨 변경 등의 신호처리를 통하여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되는 과정을 거치며, 임베디드 제어부(130)의 다채널 변환회로를 통해 보호기기의 종합적인 상태진단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임베디드 제어부(130)에서 생성된 보호기기의 종합적인 상태정보는 출력부(120)에서 출력될 수 있고, 통신모듈(200)로 전송되어 원격의 원격제어모듈(300)에서 출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임베디드 제어부(130)에 포함된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131) 및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유닛(132)을 통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무선통신을 통해 사물간에 종합적인 보호기기의 데이터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함(1)을 포함하는 보호기기의 내부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161), 습도센서(162), 재폐로 상태 확인용 센서(164), 비접촉 미세전류 측정센서(163), 재폐로 동작 카운터 센서(165)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전술한 진단모듈(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보호기기의 내부환경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종래의 보호기기의 제어기(10)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진단장치(20)를 구성하는 진단모듈(100), 통신모듈(200) 및 원격제어모듈(300)에 의하여 기초 데이터로 변환되어 원격에서 보호기기의 전반적인 상태를 진단하고 수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보호기기의 동작상태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사물간에 주고받아 IOT(Internet of Things) 기반의 자가진단기능 및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종합적인 상태점검을 가능하게 하고, 빅 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다양한 정보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할 수 있는 효과 역시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진단장치(20)는 배전선로 보호기기의 전반적인 점검을 상시로 수행하여 전력계통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점검비용을 효과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제어함 2: 보호기기 본체
3: 배전선로 10: 제어기
11: 센서 12: 제어보드
13: 릴레이 20: 진단장치
100: 진단모듈 110: 입력부
120: 출력부 130: 임베디드 제어부
131: 통신인터페이스 유닛 132: 디스플레이인터페이스 유닛
140: 변환부 141: 전류 D/A 변환기
142: 전류증폭기 143: 전압 D/A 변환기
144: 전압증폭기
150: 선택부 160: 전류감지부
161: 온도센서 162: 습도센서
163: 미세전류 측정센서 164: 재폐로 상태 확인용 센서
165; 재폐로 동작 카운터 센서 170: 신호처리부
200: 통신모듈 300: 원격제어모듈

Claims (10)

  1. 배전선로의 이상을 감지하는 제어기 및 상기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보호기기 본체를 포함하는 보호기기의 동작상태를 검증하는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에 연결되어,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검증을 위하여 모의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생성하고 생성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상기 제어기의 센서에 제공하여 상기 제어기의 릴레이를 동작시킴으로써 상기 제어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진단하고, 상기 보호기기의 상태정보에 대한 출력신호를 생성하는 진단모듈;
    상기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출력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로 상기 입력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상기 출력신호를 수신하는 원격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진단모듈과 함께, 상기 제어기에 부가 접속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기는,
    상기 제어기를 보호하고 내장하는 제어함을 포함하고,
    상기 진단모듈 및 상기 통신모듈은,
    상기 제어함 내부에서 상기 제어기에 부가 접속되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모듈은,
    상기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입력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보호기기의 동작상태 검증을 위한 명령 및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보호기기의 상태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출력부로 전송하는 임베디드 제어부;
    상기 임베디드 제어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변환하고 증폭하여 고장상태로 모의된 이상전압 및 이상전류를 생성하는 변환부;
    상기 변환부에서 생성된 상기 이상전압 및 상기 이상전류를 상기 제어기의 상기 센서에 제공하는 선택부;
    상기 릴레이의 여자전류가 흐르는 경로에 구비되며, 상기 여자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부; 및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를 변환하고 처리하여 상기 임베디드 제어부로 전송하는 신호처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임베디드 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보호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출력신호를 상호간에 연결된 사물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유닛; 및
    상기 입력신호 및 상기 보호기기의 상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출력신호를 상호간에 연결된 사물에 디스플레이 하도록 인터페이스 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 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전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부는,
    상기 임베디드 제어부에서 입력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전류 D/A 변환기;
    상기 임베디드 제어부에서 입력된 디지털 전기신호를 아날로그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전압 D/A 변환기;
    상기 전류 D/A 변환기로부터 생성된 전류를 모의 가능한 레벨로 증폭하는 전류증폭기; 및
    상기 전압 D/A 변환기로부터 생성된 전압을 모의 가능한 레벨로 증폭하는 전압증폭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상기 전류감지부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전기신호를 디지털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전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상기 센서는 3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3상의 이상전압 또는 이상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센서에 동시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전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의 상기 센서는 3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3상의 이상전압 또는 이상전류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상기 센서에 순차적으로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전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모듈은,
    상기 보호기기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고 진단하기 위한 온도 센서, 습도센서, 재폐로 상태 확인용 센서, 비접촉 미세전류 측정센서 및 재폐로 동작 카운터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임베디드 제어부는,
    상기 진단모듈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다채널 변환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전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진단장치.
KR1020180053238A 2018-05-09 2018-05-09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독립모듈 KR102631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38A KR102631867B1 (ko) 2018-05-09 2018-05-09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독립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38A KR102631867B1 (ko) 2018-05-09 2018-05-09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독립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8908A true KR20190128908A (ko) 2019-11-19
KR102631867B1 KR102631867B1 (ko) 2024-01-30

Family

ID=68771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238A KR102631867B1 (ko) 2018-05-09 2018-05-09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독립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8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89158A (zh) * 2021-08-05 2021-10-08 安徽中科中涣防务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低压智能配电模块
KR20220001731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CN114137295A (zh) * 2021-11-27 2022-03-04 台州安耐杰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三相电路数据测控装置
KR102605912B1 (ko) * 2022-11-16 2023-11-27 주식회사 대창전기기술단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160B1 (ko) 2000-10-26 2002-06-12 이종훈 배전용 자동 재폐로차단기 시험장치
KR20020057560A (ko) * 2001-01-05 2002-07-11 조 정 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동작상태 감시진단 방법
KR20090032397A (ko) * 2007-09-27 2009-04-01 한국전력공사 분산전원 연계 배전계통에서의 보호협조 평가시스템 및 그구동방법
KR20120100199A (ko) * 2011-03-03 2012-09-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KR101232750B1 (ko) * 2012-07-10 2013-02-13 김동현 비접촉 복합센서에 의한 아크 및 코로나방전을 감시진단하는 열화진단 시스템을 구비한 수배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053540B1 (ko) * 2018-07-26 2019-12-06 한국전력공사 보호배전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160B1 (ko) 2000-10-26 2002-06-12 이종훈 배전용 자동 재폐로차단기 시험장치
KR20020057560A (ko) * 2001-01-05 2002-07-11 조 정 래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동작상태 감시진단 방법
KR20090032397A (ko) * 2007-09-27 2009-04-01 한국전력공사 분산전원 연계 배전계통에서의 보호협조 평가시스템 및 그구동방법
KR20120100199A (ko) * 2011-03-03 2012-09-12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개폐기 및 배전자동화용단말장치의 점검이 가능한 배전자동화단말시스템
KR101232750B1 (ko) * 2012-07-10 2013-02-13 김동현 비접촉 복합센서에 의한 아크 및 코로나방전을 감시진단하는 열화진단 시스템을 구비한 수배전반 및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2053540B1 (ko) * 2018-07-26 2019-12-06 한국전력공사 보호배전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731A (ko) * 2020-06-30 2022-01-06 한국전력공사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20220126696A (ko) * 2020-06-30 2022-09-16 한국전력공사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20220126697A (ko) * 2020-06-30 2022-09-16 한국전력공사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20220126698A (ko) * 2020-06-30 2022-09-16 한국전력공사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20220127211A (ko) * 2020-06-30 2022-09-19 한국전력공사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20220127210A (ko) * 2020-06-30 2022-09-19 한국전력공사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KR20220128596A (ko) * 2020-06-30 2022-09-21 한국전력공사 보호배전반 진단 장치
CN113489158A (zh) * 2021-08-05 2021-10-08 安徽中科中涣防务装备技术有限公司 一种低压智能配电模块
CN114137295A (zh) * 2021-11-27 2022-03-04 台州安耐杰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三相电路数据测控装置
KR102605912B1 (ko) * 2022-11-16 2023-11-27 주식회사 대창전기기술단 가공 배전선로 조류 퇴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867B1 (ko)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55217B2 (ja) 無線分岐回路エネルギー監視システム
KR102631867B1 (ko) 배전선로 보호기기 동작상태 검증용 독립모듈
US6832169B2 (en) Substation system
JP2005304148A (ja) 絶縁監視システム
KR101003814B1 (ko) 전기적회로 이상감지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및 그 제어방법
US9753088B2 (en) Portable diagnostic apparatus for testing circuit breakers
KR20150020678A (ko) 디지털 보호 릴레이, 디지털 보호 릴레이 시험 장치 및 디지털 보호 릴레이 시험 방법
JP6425061B2 (ja) 自動復帰型ブレーカ
US9714974B2 (en) Device for detecting open phase of connection line of standby transformer in nuclear power plant by using Rogowski coil
US11187750B2 (en) Method for detecting the state of an electrical protection appliance in an electrical installation and detection device implementing said method
US20180025877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interruption unit in an electrical power supply network, and a distribution station with a monitored interruption unit
CN101523680A (zh) 电气故障限制系统
KR101919042B1 (ko) 보호계전기 교육용 시뮬레이터
EP2822125B1 (en)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verifying operation thereof
US10520539B2 (en) System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partial discharges and voltage in high-voltage electric power distribution systems
KR101904813B1 (ko) 스마트 분전반을 이용한 전기 설비 병렬아크 진단 장치 및 방법
US20100013496A1 (en) Branch circuit black box
KR101302068B1 (ko) 통합형 전철제어반 glds
KR20140057720A (ko) 변전 설비 보호 제어 시스템
EP1906190A1 (en) Control/protection device for electrical distribution networks
JP2008220024A (ja) 配電線路システム
JP2021100355A (ja) 漏電量検知システム、自動保守点検システム及び漏電量検知方法
KR102414495B1 (ko) 조류 방향 표시 변전소 시스템
KR102587306B1 (ko) 누전과열 감지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가 내장된 ict 경보형 고압배전반
KR102581726B1 (ko) 누전과열 감지형 에너지 하베스팅 장치가 내장된 ict 경보형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