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2385B1 -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2385B1
KR101992385B1 KR1020190047605A KR20190047605A KR101992385B1 KR 101992385 B1 KR101992385 B1 KR 101992385B1 KR 1020190047605 A KR1020190047605 A KR 1020190047605A KR 20190047605 A KR20190047605 A KR 20190047605A KR 101992385 B1 KR101992385 B1 KR 101992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substation
corona
facility
evaluation inde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아
Original Assignee
대흥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흥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흥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23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2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2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12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 G01R31/1227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 G01R31/1254Testing dielectric strength or breakdown voltage ; Testing or monitoring effectiveness or level of insulation, e.g. of a cable or of an apparatus, for example using partial discharge measurements; Electrostatic testing of components, parts or materials of gas-insulated power appliances or vacuum g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07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29/0814Field measurements related to measuring influence on or from apparatus, components or humans, e.g. in ESD, EMI, EMC, EMP testing, measuring radiation leakage; detecting presence of micro- or radiowave emitters; dosimetry; testing shielding; measurements related to light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or indicating electric quantities not covered by groups G01R19/00 - G01R27/00
    • G01R29/08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 G01R29/0864Measuring electro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 G01R29/0892Details related to signal analysis or treatment; presenting results, e.g. displays; measuring specific signal features other than field strength, e.g. polarisation, field modes, phase, envelope, maximum valu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07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he detecting means
    • H02H1/0015Using arc detector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에 설치되는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은, 상기 변전소의 상태를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변전소의 열화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Diagnosis system of substation deterioration monitoring}
본 발명은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전소를 구성하는 설비의 열화도를 측정하여 각각의 설비의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설되는 무인변전소는 대부분 급전분소에서 원방감시제어를 하고 있으며, 무인변전소에는 현장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관리시스템이 운영된다.
종래 무인변전소 관리시스템은 방범 및 화재감지기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가 입력되는 경보수신연계반(AlarmInterface Unit: AIU), 상기 경보수신연계반의 통신모듈과 연결되어 화상 감시를 제어하는 화상전송시스템, 상기 경보수신연계반에서 출력되는 감시 정보가 입력되는 경보수신반, 상기 경보수신반으로부터 송신되는 데이터를 통해 원격감시하는 원방제어시스템(SCADA), 무인변전소의 경비를 담당하는 업체에 설치되어 보안 장치들을 경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무장신호를 출력하는 경비용역시스템, 상기 경비용역시스템의 무장신호를 입력받아 정문과 현관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관리시스템, 상기 경보수신반의 제어신호를 각 설비에 전달하기 위한 무장포트확장기를 각각 구비하여 운영된다.
이러한 관리시스템에서는 경보수신연계반과 경보수신반 및 무장포트확장기의 구조가 복잡하게 설치되어 유사한 기능이 상호 연동하여 작동된다. 그리고, 상기 경보수신반은 생산이 중단되어 유지보수 등의 관리가 어렵고, 상기 출입관리시스템이 고장나거나 방범 및 화재 감지기가 오동작을 보이면 보안 경계 상태를 해제하는 것이 불가피하므로 출입 통제의 관리가 어렵다.
특히, 배전반은 변전소로 전달된 전력을 사용자에게 안전하게 공급해주는 전기용 설비로서,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보내진 전력을 수용가에게 수배전(受配電)할 때 전기 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수배전반은 전력 설비중 하나로서 계전기, 계측기, 제어기와 같은 감시 제어용 기기와 차단기, 단로기와 같은 주회로기기로 이루어져 있고 각각의 단위 기기는 지지 구조물에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그런데, 수배전반 내에는 고압의 전압이 형성되고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절연이나 회로상의 내구성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수배전반의 특성상 그 열화와 화재 등을 미리 감지하고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강구되고 있다.
그 중 열화에 특히 취약한 부위의 열을 감지하여 대처하는 것인데, 수배전반 내부에는 수많은 장치들이 내장되어 있고 그 배선도 매우 복잡하여 일일이 모두 모니터링하기가 쉽지는 않다.
한편, 기존의 수배전반 온도 감지 방식은 주로 열화 감시 대상 부위가 특정 임계 온도를 넘어서는지를 판단하여 위험 여부를 이분법적으로 판단하고 있다. 그러나, 열화나 온도 상승은 연속적으로 상태의 변화가 심하며 단순히 임계 온도를 기준으로 열화를 판단할만큼 간단하지는 않다.
또한, 기존 방식은 온도 상승이 커지거나 열화가 심화되는지 등의 열화의 변화 추이도 알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열화 상태를 좀 더 세밀하고 정확하게 판단할 방안이 요구되며, 그에 따른 열화 허용 여부에 대한 자동 알고리즘도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아크(arc)나 코로나(corona) 방전이 주요 사고 원인이 되어 화재나 폭발 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러한 아크 또는 코로나 방전은 수배전반의 하우징(housing)인 금속 클래드(clad)의 틈새나 조인트(joint) 등을 통해 방전되는데, 아크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금속 클래드에 과도 대지 전압(transient earth voltage, TEV)이 금속 클래드와 접지 간에 발생하면 접지 전압은 즉시 그리고 일시적으로 변화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과도 대지 전압을 감지하는 것은 아크나 코로나 방전을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것과 같은 결과를 가져오게 되며, 위험의 주원인은 아크나 코로나의 위험을 미연에 인지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이러한 과도 대지 전압을 감지하여 위험 감지 수단으로 활용하는 예는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6432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709694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변전소를 구성하는 각각의 설비의 열화도를 측정하여 설비를 진단하며, 측정된 설비의 열화도에 따라 고장 시점을 예측하는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변전소의 고장여부를 진단하는 작업자를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위치까지 승강시킬 수 있는 다기능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형을 향상시켜 검사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설비에 설치되는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은, 상기 설비의 상태를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설비의 열화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설비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설비 내부의 내부 방전, 코로나 방전, 아크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의해 상기 설비에 생성되는 표면 전류에 따른 과도 대지 전압을 감지하는 아크 코로나 센서 및 상기 설비에 구비된 부스바(bus bar), 케이블 접속부, 개폐기 또는 차단기의 단자 접속부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온도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크 코로나 센서에서 감지된 과도 대지 전압을 이용하여 아크(arc) 방전 또는 코로나(corona) 방전을 검출하고, 상기 적외선 센서 모듈에서 감지된 온도와, 상기 검출된 아크 방전 및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건전성 평가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가 미리 정해진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개폐기 또는 차단기가 실시간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은, 상기 온도, 건전성 평가 지수 및 과도 대지 전압을 디스플레이하고, 메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동작 제어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경보 발생 시간 및 경보 채널 번호를 표시하고, 전자파 측정 평균 레벨 값 및 지속시간을 표시하고, 사이클당 펄스 수를 카운팅하여 표시하며, 아크 및 코로나 발생량을 표시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전성 평가 지수를 주기적으로 산출하되, 소정 기간 동안 발생된 아크 방전 횟수, 상기 소정 기간 동안 발생된 코로나 방전 횟수 및 현재 주기에서의 온도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건전성 평가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가 미리 정해진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소정 기간 동안 발생된 아크 방전 횟수, 상기 소정 기간 동안 발생된 코로나 방전 횟수 및 현재 주기에서의 온도를 기초로 설정되는 아크방전지수, 코로나 방전지수 및 온도지수 간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산출된 비율에 따라 상기 온도가 표시되는 영역, 상기 아크 발생량이 표시되는 영역 및 상기 코로나 발생량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전성 평가 지수를 주기적으로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가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건전성 평가 지수가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건전성 평가 지수가 상기 정상 범위를 지속적으로 벗어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경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경보 신호의 생성 간격을 기초로 상기 설비의 오작동 시점을 예측하되,
상기 경보 신호의 생성 간격을 기초로 상기 설비의 오작동 시점을 예측하는 것은, 누적 생성된 상기 경보 신호를 기초로 히스토리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셋에 포함된 상기 경보 신호의 시계열적 변동추이를 기초로 상기 설비의 오작동 시점을 예측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온도 감지 대상 부위의 온도뿐만 아니라 아크 방전이나 코로나 방전에 의해 유발되는 과도 대지 전압을 함께 이용하여 변전소를 구성하는 설비의 열화도를 신뢰성 있게 판단할 수 있으며, 열화도 판단 결과를 이용하여 설비의 오작동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 특히 센서부의 점검을 수행하는 작업자를 센서부가 형성된 높이까지 안전하게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의 내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이 변전소에 설치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모니터링부를 통해 출력되는 정보의 크기가 가변되는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제어부를 수용하는 시스템본체의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본체의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본체를 구성하는 열전소자의 설치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본체를 구성하는 먼지포집유닛의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다기능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판 체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2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1)이 변전소를 구성하는 설비 중 수배전반에 설치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1)은 변전소를 구성하는 각각의 설비, 특히 금속 재질의 하우징이 형성된 설비(예컨대 수배전반)에 설치되어 설치된 설비의 열화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술한 설비를 수배전반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설비가 반드시 수배전반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전소를 구성하는 다른 설비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1)은 변전소의 설비(2)에 설치되어 설치된 설비의 열화도를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1)은 감지된 열화도가 기준 이상이 되는 시점의 시계열적 변동추이에 따라 수배전반의 오작동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1)은 센서부(10), 제어부(20) 및 모니터링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는 변전소를 구성하는 설비의 내외부에 설치되어 변전소에 대한 상태 정보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센싱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는 적외선 센서부(11) 및 아크 코로나 센서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부(11)는 설비(2)에 구비된 부스바(bus bar), 케이블 접속부, 개폐기 또는 차단기의 단자 접속부 등과 같은 대상 및 대상 주변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온도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즉, 적외선 센서부(11)는 부스바, 케이블 접속부, 개폐기 또는 차단기의 단자 접속부와 같이 열화나 화재의 취약 지점에서 방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지점의 온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온도를 제어부(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적외선 센서부(10)는 온도를 주파수 변조하여 제어부(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온도 센서는 초소형 센서 형태로 마련되며, 4*4 어레이 형태로 최대 256개까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아크 코로나 센서부(12)는 설비(2)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며, 설비(2) 내부의 내부 방전, 코로나 방전, 아크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의해 설비(2)에 생성되는 표면 전류에 따른 과도 대지 전압을 감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설비(2)의 외형은 금속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설비(2)의 내부방전, 코로나 방전, 아크 방전이 발생되면, 전자기파에 의해 금속 하우징에는 표면 전류가 생성된다. 여기서, 금속 하우징은 접지와 연결된다.
코로나 방전이나 아크 방전은 매우 짧은 시간동안 발생하며, 이로 인한 고주파 역시 짧은 순간 방출되며 과도 대지 전압의 발생도 매우 짧은 시간동안 발생한다. 여기서,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하는 과도 대지 전압은 시간 지연이 크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아크 코로나 센서(12)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아크 코로나 센서부(12)는 금속 하우징의 외부 표면에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복수개의 아크 코로나 센서들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 코로나 센서부(12)는 과도 대지 전압을 축적하여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용량성 소자에 의해 과도 대지 전압을 일시 축적하고 이를 감지하는 것이다.
아크 코로나 센서부(12)는 아크 발생시 스파크 형태의 아크가 발생되며 과도대지전압 검출 센서를 통하여 아크를 검출하게 된다. 아크 코로나 센서부(12)는 아크 발생시간과 아크 발생횟수를 관리하며, 소정 기간(예컨대 최근 한달간)동안 발생한 아크의 발생 누적횟수를 출력으로 한다.
아크 코로나 센서부(12)는 코로나방전 또한 검출하며, 상용의 검출 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아크 코로나 센서부(12)는 코로나방전의 발생회수 및 발생시간을 지속적으로 검출하며 소정 기간 동안의 누적 발생회수를 출력으로 한다.
도시된 구성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10)는 결합 회로망 및 저잡음 증폭 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회로망은 과도대지전압 검출 센서(121)에 축적되는 과도 대지 전압을 검출하여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결합 회로망은 과도대지전압 검출 센서(121)와 저잡음 증폭 회로(123)와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도록 구성된다.
저잡음 증폭 회로(123)는 결합 회로망(122)에 의해 전달되는 과도 대지 전압을 증폭하여 메인 컨트롤러(120)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센서부(10)는 단순히 설비(2)의 온도에 따른 열화도만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과도 대지 전압을 감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아크나 코로나 방전을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센싱부(10)에 의해 생성되는 센싱정보는 온도 정보, 코로나 방전 및 아크 방전의 발생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센서부(10)로부터 수신되는 센싱정보를 기초로 설비(2)의 열화도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20)는 아크 코로나 센서부(12)에서 감지된 과도 대지 전압을 이용하여 아크(arc) 방전 또는 코로나(corona) 방전을 검출하고, 적외선 센서부(11)에서 감지된 온도와, 검출된 아크 방전 및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건전성 평가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가 미리 정해진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개폐기 또는 차단기가 실시간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0)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는 센싱 지수 산출부(21), 건전성 지수 산출부(22) 및 예측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센싱 지수 산출부(21)는 건전성 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싱 지수 산출부(21)는 센싱 정보를 기초로 소정 기간 동안 누적 발생된 아크 방전의 횟수에 대한 아크 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센싱 지수 산출부(21)는 최근 한달간 30회의 아크 방전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아크 지수를 30으로 설정하고, 70회의 아크 방전이 발생하면 아크 지수를 70으로 설정하며, 100회 이상인 경우 아크 지수를 10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센싱 지수 산출부(21)는 소정 기간 동안 누적 감지된 코로나 방전과 관련된 센싱 정보에 기초하여 코로나 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건전성 지수는 주기적으로 산출되는데, 센싱 지수 산출부(21)는 건전성 지수 산출을 위해 주기적으로 아크 지수 및 코로나 지수를 설정할 때마다 현재의 온도를 기초로 온도 지수를 설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설비는 허용온도가 있으며 진단하고자 하는 설비의 허용온도를 고려하여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일반적으로 전기설비는 스펙은 40℃ 기준 검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75℃이상이 되면 온도지수가 100이 되며 50℃이하에서는 온도지수가 0 이 되도록 설정하였다.
아크방전지수, 코로나 방전지수, 온도지수는 Dombi 소속함수의 출력에 100을 곱한 값으로써 100에 가까울수록 열화가 많게 되며, 0에 가까울수록 정상을 의미하게 된다.
건전성 지수 산출부(22)는 센싱 지수 산출부(21)에 의해 설정된 아크 지수, 코로나 지수 및 온도 지수를 이용하여 건전성 지수를 산출할 수 있다. 건전성 지수 산출부(22)는 기 설정된 퍼지 모델에 따라 건전성 지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퍼제 모델의 최종 출력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1]
Figure 112019042014128-pat00001
여기서, x1은 아크 지수, x2는 코로나 지수, x3는 온도 지수를 의미하고, w1, w2, w3은 각각 아크방전누적횟수, 코로나방전누적횟수, 온도에 대한 가중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PSO(Particle Swarm Optimization)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각각의 가중치를 0.3, 0.5, 02로 최적화한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u1, u2, u3은 퍼지 함수의 굴절점을 의미하며, 그 값이 커질수록 퍼지 소속 함수의 중심점이 오른쪽으로 이동함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건전성지수(HPI)는 아크발생누적횟수, 부분방전누적횟수, 온도입력 값에 대하여 다음 수학식 2처럼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2]
Figure 112019042014128-pat00002
건전성지수(HPI)는 0~100사이의 값으로 산출되며 100에 가까울수록 안전하며 0에 수치가 낮을수록 열화정도가 심함을 의미한다. 이를 유지보수에 활용하기 위해 HPI를 산출하여 표시하며 기준을 정하여 경보를 발생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HPI가 0~ 30% 사이는 설비 교체 또는 유지보수 30~ 60% 사이는 설비 점검, 60~80% 사이는 주의, 80~100% 사이는 정상 상태 등으로 표시하여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동시에, 건전성 지수 산출부(22)는 아크방전, 코로나방전, 온도가 열화진단의 판단에 미치는 영향력(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20)는 상술한 과정에 따라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가 미리 정해진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개폐기 또는 차단기를 실시간 차단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020)는 감지된 과도 대지 전압을 이용하여 아크(arc) 방전 또는 코로나(corona) 방전을 검출하며, 이들이 검출되는 경우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거나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개폐기 또는 차단기를 실시간 차단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측부(23)는 주기적으로 생성되는 건전성 평가 지수를 이용하여 설비(2)의 고장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측부(23)는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를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측부(23)는 제1 주기에서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가 정상 범위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설비(2)이 정상적으로 가동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주기에서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를 무시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예측부(23)는 제2 주기에서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확인되면, 설비(2)이 열화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히스토리 데이터셋에 포함시킬 수 있다.
이때, 예측부(23)는 건전성 평가 지수가 일시적으로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고 하여 이를 히스토리 데이터셋에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건전성 평가 지수가 정상 범위를 지속적으로 소정 시간 이상 벗어난 경우에만 이를 히스토리 데이터셋에 포함시킬 수 있다.
건전성 평가 지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나더라도, 비교적 짧은 시간구간 동안 지속되면 설비(2) 자체에는 경미하거나 무시할 만한 정도의 영향만 미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예측부(23)는 기준시간을 설정하여 건전성 평가 지수가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주의신호 또는 오작동 신호로 나타나는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시간은 기준구간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측부(23)는 기준구간이 아주 좁은 범위인 경우에는 기준시간의 크기를 비교적 길게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전소에 포함된 케이블 접속부의 온도가 40℃ 내외로 유지되는 것이 정상적이라고 한다면, 임계값을 30℃~50℃ 정도로 좁게 설정하되, 기준시간의 길이를 10분 정도로 넓게 설정하여 5℃정도의 오차를 보이는 온도는 비교적 긴 시간동안 지속되어야 열화 신호로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예측부(23)는 정상 범위를 20℃~60℃의 구간으로 설정하면 기준시간의 길이를 5초 정도로 짧게 설정하여 급격하게 변화한 온도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다.
예측부(23)는 이와 같은 과정을 따라 생성된 히스토리 데이터셋을 기초로 변전소의 고장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예측부(23)는 설비(2)의 현재상황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히스토리 데이터셋에 포함된 데이터들을 기초로 다음 예상되는 주의 또는 오작동 신호를 계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기 회귀 조건부 이분산 (Auto 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kedasticity, ARCH) 모델을 이용하여 시계열 데이터를 분석하여 예측할 수 있다.
ARCH모델은 단순히 추세와 평균 회귀만을 추정하는 것이 아니라 분산을 같이 추정함으로써 과거 데이터를 분석하여 미래 예측력을 가질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조건부 분산의 시계열적특징을 모형화한 Engle에 의해 도입된 ARCH모형은 모형이 단순하고 금융시계열의 경험적 특성을 잘 반영한다는 점에서 매우 널리 사용되는 분석도구가 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히스토리 데이터셋에 포함되는 데이터의 출현빈도를 모형화하기 위해 ARCH 모델을 이용할 수 있다. 수학식 3은 전기의 시계열로 현재의 시계열을 설명하는 수학식이다.
[수학식 3]
Figure 112019042014128-pat00003
여기서, yt 는 시계열의 평균, a0, a1 …는 미지의 모수, εt는 잔차이다. 즉, 정상 범위를 기준시간 이상 벗어난 데이터의 히스토리로 표현되는 yt-1, yt-2 …, yt-q 를 실제 나타난 yt와 비교하여 나타난 차이 값이다. 잔차를 표현하는 수학식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4]
Figure 112019042014128-pat00004
여기서 σ는 조건부 분산이다. σt는 t-1 주기에 알려져 있다고 가정하며, 확률변수 zt는 평균이 0이고 분산이 일정한 정규분포를 따른다. σ를 계산하기 위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수학식 5]
Figure 112019042014128-pat00005
여기서
Figure 112019042014128-pat00006
,
Figure 112019042014128-pat00007
, a0, a1 …는 미지의 모수, σ는 조건부 분산이다. 전술한 바에 따라 정상 범위를 기준시간 이상 벗어난 데이터가 포함된 히스토리 데이터셋을 기초로 예상 오류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측부(23)는 건전성 평가 지수를 주기적으로 산출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가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건전성 평가 지수가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건전성 평가 지수가 정상 범위를 지속적으로 벗어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히스토리 데이터셋에 포함시키며, 경보 신호의 생성 간격을 기초로 상기 변전소의 오작동 시점을 예측하며, 구체적으로는 누적 생성된 경보 신호를 기초로 히스토리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히스토리 데이터셋에 포함된 경보 신호의 시계열적 변동추이를 기초로 설비(2)의 오작동 시점을 예측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30)는 센싱정보(온도, 아크 발생량, 코로나 발생량), 건전성 평가 지수 및 과도 대지 전압을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하고, 메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제어부(20)를 동작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니터링부(30)는 경보 신호의 발생 시간 및 경보 신호가 발생된 채널 번호를 표시하고, 전자파 측정 평균 레벨 값 및 지속시간을 표시하고, 사이클당 펄스 수를 카운팅하여 표시하며, 아크 및 코로나 발생량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기적으로 산출되는 건전성 평가 지수에가 미리 정해진 정상 범위를 기준 시간을 벗어나는 경우, 경보 신호를 생성하게 되는데, 경보 신호가 발생되면 건전성 평가 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아크방전지수(아크 지수), 코로나 방전 지수(코로나 지수) 및 온도지수 간의 비율을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아크 지수가 70이고, 코로나 지수가 30이며, 온도 지수가 40인 경우, 그 비율은 7:3:4로 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니터링부(30)는, 산출된 비율에 따라 온도가 표시되는 영역, 아크 발생량이 표시되는 영역 및 상기 코로나 발생량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다. 즉, 모니터링부(30)는 경보 신호가 생성되면, 아크 지수, 코로나 지수 및 온도 지수간의 비율을 제어부(2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비율에 따라 각각의 지수를 서로 다른 크기(7:3:4)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 및 도 4에 따르면, 모니터링부(30)는 아크 발생량에 대한 정보를 가장 큰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그 다음으로 온도에 대한 정보를 중간 크기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하며, 코로나 발생량에 대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크기 영역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니터링부(30)에 표시되는 각각의 정보에 대한 화면 크기만으로도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설비(2)의 열화가 발생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크기는 주기적으로 자동 갱신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10)는 방범 보안을 감지하는 방범 감지기와, 화재 발생을 감시하는 화재 감지기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센서부(10)는 변전소 내로 외부인의 침입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방범 감지기의 감지 정보를 조작할 때 이를 지능적으로 판단하여 독립적으로 처리하는 디지털 입력 레지스터 모듈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디지털 입력 레지스터 모듈은 방범 감지기를 통해 접점 또는 저항값에 따른 감지 정보를 입력받아 감지기 선로의 단락 및 개방 상태를 감지한다. 그리고, 디지털 입력 레지스터 모듈은 변전소의 출입문의 도어 상태 정보와, 변전소 관리시스템을 경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무장 신호를 감지한다.
이 경우, 무장은 변전소의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 경계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디지털 입력 터미널 모듈은 변전소 내에 화재 감지기를 통해 화재경보의 전압 신호를 입력 받는 디지털 입력 전압 모듈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제어부(20)는 센서부(10)를 통해 입력되는 모든 감지 정보 및 센서들의 동작 상태를 관리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0)는 설비(2) 내외부에 설치된 센서들의 정보를 판단하여 처리하기 위해 디지털 출력 터미널 모듈을 통해 외부장치로 데이터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제어부(20)는 센서부(10)의 감시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해 구비된 통신포트와 연결되며, 여기서 통신포트는 이더넷 포트와, Recommended Standard-232C(이하 'RS-232C'라 함)포트 및 Recommended Standard-422(이하 'RS-422'라 함)포트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2이상의 포트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20)는 변전소를 관리하는 상위 시설인 급전분소 서버에 감시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RJ-45의 이더넷 포트와 연결된다.
이때, 급전분소 서버는 출입문 및 현관 셔터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감지기의 오동작이 발생되면, 원격 감시 소프트웨어를 통해 출입문을 강제로 제어하거나 감지기의 작동 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또한, 급전분소 서버는 감지기들을 개별적으로 원격 제어하여 경계 상태로 전환이 용이하다. 그리고, 제어부(20)는 감지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정보표시기와 RS-422 통신포트를 통해 연결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0)는 화상을 제어하기 위해 RS-232C 통신포트를 통해 화상전송시스템과 연결된다. 여기서, 화상전송시스템은 감시 구역 내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 화상 정보를 전송받아 무인변전소를 감시한다.
한편, 모니터링부(30)는 제어부(2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 신호를 전압 또는 접점 형식으로 외부장치에 각각 송신한다.
여기서, 외부장치는 원방제어시스템, 경비용역장치, 출입관리시스템, 전등제어장치 등을 포함한다.
이때, 원방제어시스템은 센서부(10)의 감지 정보를 통해 변전소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기 위한 원격 감시 장치이다.
경비용역장치는 경비용역회사에 설치된 감시시스템으로써 무인변전소 내에 방범 및 화재 상태를 전송받아 경비 상태를 점검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무인변전소와 연결되며, 출입관리시스템은 출입문 및 현관 셔터의 개폐를 제어하고, 이들의 동작 상태를 감시한다.
또한, 경비용역장치와 출입관리시스템은 무인변전소의 보안을 위해 [0042] 무장 요청 신호 및 무장 상태 신호를 송수신한다.
아울러, 전등제어장치는 무장시 전압 신호를 입력받아 변전소 내의 전등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한다.
여기서, 모니터링부(30)는 외부장치들과 각각 별도의 출력 터미널이 연결되어 신호를 전송한다.
또한, 모니터링부(30)는 외부장치에 신호를 전송할 때 접점의 출력 모드를 노멀리 클로즈/노멀리 오픈형식으로 선택하는 제1 스위치와, 전체 채널 중 4개 채널을 전압 또는 접점 형식으로 선택하여 각각 연계되는 외부장치들로 출력할 수 있는 제2 스위치를 구비한다.
이때, 전등제어장치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치의 채널은 12V 직류 전압 형식으로 출력되어 무장시 무인 변전소 내 전등을 자동으로 소등시킨다.
그리고, 모니터링부(30)는 화재 경보가 일정시간 지속되면 출입관리시스템으로 비상 출입을 위해 출입문과 현관 셔터의 자동 개방신호를 출력한다.
여기서, 모니터링부(30)는 화재 발생시 무인변전소 내에서 작업중인 인력의 안전한 대피를 제공하고 화재 진화를 위해 무인변전소에 소방 인력의 투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출입문을 자동 개방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을 이용한 경보통합제어 기능에 따른 신호 흐름을 살펴보면, 변전소 내에 설치된 방범 감지기 및 화재 감지기를 통해 감지기 동작 상태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20)는 RS-232C 및 디지털 출력 터미널 모듈을 통해 화재/방범 감지 정보를 화상전송시스템과 원방제어시스템 및 경비용역장치로 전송한다.
제어부(20)는 RS-422를 통해 모니터링부(30)에 방범 및 화재 감지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원방제어시스템 및 경비용역장치에 무장 온/오프 상태 신호를 송신하여 경비용역장치로부터 무장 온/오프 제어 신호를 수신하며, 무장시 자동 소등 신호를 전등제어장치에 송신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출입문으로부터 도어 상태 신호를 수신하여 출입관리시스템에 도어상태 신호를 송신하고, 출입관리시스템은 출입문에 도어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여기서, 급전분소 서버는 제어부(20)에 이더넷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급전분소 서버는 출입문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방범 감지기의 오동작이 발생되면 원격 감시 소프트웨어를 통해 경보통합제어반이 출입문(230)에 비상시 도어 상태 신호를 송신하게 하고, 방범 감지기에 감지기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방범 감지기의 작동 기능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다수의 처리모듈들이 통합된 제어부(20)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시스템본체(300) 내부에 서브랙 형태로 탑재된다.
이때, 상기 시스템본체(300)의 전면에는 도어(310)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재된 경보통합제어반(100)의 수리, 보수 혹은 교체할 때 열 수 있도록 구비된다.
다만, 상기 도어(310)는 매우 한정적으로 개방되는 것이므로 평상시에는 [0064] 거의 개방되지 않으므로 시스템본체(300)는 거의 밀폐된 상태라고 봐도 무방하다.
그런데, 제어부(20)를 구성하는 다수의 모듈들은 고속신호처리가 요구되므로 많은 열을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미세먼지들도 함께 발생하게 된다.
때문에, 열을 방열시키거나 별도의 냉각구조를 갖지 않게 되면 열화에 의해 처리모듈들의 급속한 수명단축이 이루어져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이 현저히 증가하게 되며, 또한 집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미세먼지가 회로에 끼면서 회로를 통한 신호처리시 오류를 유발시키게 되므로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시스템본체(300)의 일측면에 롤블라인드형 통풍유닛(3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시스템본체(300)의 타측면에는 도 6의 예시와 같은 냉기생성유닛(340)이 설치된다.
다시 말해, 시스템본체(300)의 양측면이 각기 다른 구성으로 통풍과 냉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본체(300)의 내부에는 온도검출센서(TS)가 설치되며, 상기 시스템본체(300)의 전면 상측에는 컨트롤러(CTR)가 설치되어 온도검출센서(TS)의 검출온도에 따라 상기 롤블라인드형 통풍유닛(330) 및 상기 냉기생성유닛(340)을 구동시켜 통풍 및 냉각시킴으로써 고속신호처리시 생기는 발열에 의해 고온화된 시스템본체(300) 내부를 냉각시킨다. 이에 따라, 실장된 모듈들의 열화를 예방한다.
이때, 상기 롤블라인드형 통풍유닛(330)은 도 5 및 도 7의 예시와 같이, 시스템본체(300)의 일측면에 형성된 개방부(OPN)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고정되고 내부에 상부드럼모터(DM1)와 하부드럼모터(DM2)가 각각 내장된 상부롤박스(332)와 하부롤박스(3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드럼모터(DM1)와 하부드럼모터(DM2)는 컨트롤러(CTR)에 의해 구동제어되며, 이들에는 각각 드럼(미도시)이 설치되어 롤스크린(RS)을 감거나 풀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롤스크린(RS)은 상기 개방부(OPN)를 전부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망체(336)와, 플렉시블시트(338)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통풍이 필요할 경우에는 2개의 드럼모터중 어느 하나는 풀고 어느 하나는 감아 플렉시블시트(338)가 개방부(OPN)의 중간에 오도록 하고, 망체(336)가 플렉시블시트(338)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 도시와 같이 배치되게 하면 하부 망체를 통해 외기가 도입된 후 상부 망체를 통해 내기가 배출되는 순환이 이루어져 통풍이 원활하게 유지된다.
반대로, 밀폐가 필요할 경우에는 플렉시블시트(338)가 개방부(OPN) 전체를 커버하도록 배치하면 된다. 때문에, 망체(336)의 설치면적보다 플렉시블시트(338)의 설치면적이 훨씬 커야 한다.
덧붙여, 상기 시스템본체(300)의 내부 천정면에는 화재시 소화능력을 증대시키도록 상하면이 뚫린 틀 형태의 소화틀(EXH)이 고정되고, 상기 소화틀(EXH)에는 비닐튜브(VYT)가 내장되는 형태로 고정되며, 상기 비닐튜브(VYT)에는 옥테인이 장입되어 있다.
특히, 상기 소화틀(EXH)은 화재시 쉽게 녹아 내릴 수 있도록 아밀로펙틴 25중량%와, 알긴산암모늄 4.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3.5중량%와, 소르비탄올리베이트 2.5중량%와, 우르솔산 2.5중량% 및 나머지 나머지 폴리에틸렌수지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아밀로펙틴(Amylopectin)은 D-글루코오스가 α-1,4 결합으로 연결되어 약 24개당 1개의 비율로 α-1,6 결합으로 분지된 글루칸으로서 수지의 점도를 증대시키면서 열에 의해 쉽게 분해되는 특성이 있어 첨가된다.
또한, 상기 알긴산암모늄은 아밀로펙틴의 결합안정성을 증대시켜 형태유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페트롤라툼은 비결정성인 고체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연고모양의 물질로서 방수 기능이 있어 제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소르비탄올리베이트는 소르비톨에서 유래된 헥시톨안하이드라이드와 올리브오일에서 유래된 지방산의 모노에스터로서 계면활성 강화에 따른 천연유화 기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우르솔산은 침상의 흡수성이 우수한 분체로서 무기물 표면에 폴리머 입자를 흡착시켜 완충성, 굴곡특성 및 내구성과 내크랙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수지는 베이스 수지이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소화틀(EXH)의 형태성과 어느 정도의 강도는 유지하되, 열을 받으면 쉽게 녹아 내림으로써 비닐튜브(VYT)가 쉽게 터질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아울러, 상기 비닐튜브(VYT)에 충전되는 옥테인은 화재시 각각 연소에 의해 산소와 반응하면서 다량의 이산화탄소와 물을 생성시켜 연소효과를 높이도록 작용한다.
예컨대, 옥테인(octane)은 연소에 의해, 2C8H18(g) + 25O2(g) → 16CO2(g) + 18H2O(l)와 같이 반응하면서 다량의 이산화탄소와 물을 생성하게 된다.
즉, C8H18 : CO2 = 2 : 16 = 1 : 8과 같이 높은 반응비를 유지하므로 본 발명에서 화재시 소화에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옥테인으로 사용될 바람직한 물질은 아이소뷰테인 또는 2-메틸펜테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기생성유닛(340)은 도 6 및 도 7의 예시와 같이, 시스템본체(300)에 일측면, 즉 상기 통풍유닛(330)이 설치된 반대면에 설치되며, 구현을 위해 상기 시스템본체(300)의 일측 내벽면에는 서로 간격을 둔 제 1,2격벽(W1,W2)에 의해 제1,2챔버(CH1,CH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챔버(CH1)는 비어 있는 공간이고, 상기 제2챔버(CH2)는 흡습성을 가진 실리카겔(SCA)이 채워지는 공간이며, 실리카겔(SCA)은 교체할 수 있도록 제2격벽(W2)의 일부에 배출구(미도시)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시스템본체(300)에서 냉기생성유닛(340)은 시스템본체(300)의 일측면 하부에 설치된 물탱크(342)와, 상기 시스템본체(300)의 일측면 상부에 설치되고 배출단이 상기 제1챔버(CH1)와 연통되게 구성된 물펌프(344)와, 일단은 상기 물탱크(34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펌프(344)의 흡입단에 연결된 흡수관(346)과, 일단은 상기 제1챔버(CH1)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물탱크(342)와 연결된 배수관(348)을 포함한다.
그리하여, 제1챔버(CH1)에 물, 즉 냉각수(상온보다 낮으면 됨)가 채워짐으로써 내부가 냉각되게 되고, 그 냉기는 시스템본체(300) 내부로 전도되어 시스템본체(300) 내부에서 발열에 의해 승온된 열을 냉각시켜 처리모듈들의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제1챔버(CH1) 내부에 냉각용 물이 채워져 있는 관계로 제1격벽(W1)의 외측에서는 결로 현상에 의해 수분이 생길 수 있다.
이 수분이 시스템본체(300) 내부로 유입되면 안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제2챔버(CH2)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2챔버(CH2)에는 흡습제인 구형상의 실리카겔(SCA)이 채워져 있어 혹시라도 생길지모를 수분을 빨아들여 수분이 시스템본체(300) 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처리하게 된다.
그러다가 일정 주기가 되면 컨트롤러(CTR)의 제어신호에 따라 물펌프(344)가 구동되고, 이 물펌프(344)의 흡입압에 의해 물탱크(342) 내부의 냉각용 물이 흡수관(346)을 통해 물펌프(344)로 유입된 후 배출단을 거쳐 제1챔버(CH1)로 공급되고, 그런 다음 배수관(348)을 통해 다시 배출되어 물탱크(342)로 회귀되는 냉각수 순환이 이루어지므로 냉각 효율이 떨어지지 않도록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물탱크(342)와 물펌프(344)는 소형으로서 설치 사용하는데 공간적 제약을 전혀 받지 않는다. 덧붙여, 상기 통풍유닛(330)과 상기 냉기생성유닛(340)은 통풍이 먼저 이루어진 후 냉기순환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하게 되면 더욱 효율적이다.
아울러, 오래 사용시 물탱크(342) 내부의 물의 온도가 올라가 냉각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8의 예시와 같이, 물탱크(342)의 바닥면(342a)에는 열전소자(35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350)는 펠티에 효과를 이용한 공지된 소자로서, TEM소자로 잘 알려져 있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350)의 설치를 위해 바닥면(342a)는 특별한 구조로 씰링되어야 하므로 씰링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바닥면(342a)에 일정크기의 냉각판(360)이 인서트 성형된다.
이 경우, 상기 냉각판(360)은 열전도율이 우수한 구리 혹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냉각판(360)은 상기 바닥면(342a)의 두께보다 얇게 인서트 성형하여 냉각판(360) 하부에 설치홈 (362)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설치홈(362)에는 열전소자(350)의 흡열쪽이 접지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는 상기 컨트롤러(CTR)의 제어신호하에 전원공급이 스위칭되어 동작하게 되며, 흡열쪽이 상기 냉각판(360)에 접지되어 있기 때문에 열전소자(350)로부터 발생된 냉기는 냉각판(360)으로 전도되고,
이 냉각판(360)이 물속에 있기 때문에 그 물을 상온보다 낮게 냉각시키게 된다.
아울러, 열전소자(350)의 발열쪽은 외부공기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때문에, 열전소자(350)가 가동되면 물탱크(342) 내부는 냉각되고, 그 반대쪽은 방열된다. 이러한 열전소자(350)은 큰 냉각은 아니지만, 물탱크(342)에 저수된 물을 상온 이하로 냉각시키는데 문제가 없다.
여기에서, 상기 열전소자(350)의 방열쪽은 고정브라켓(370)에 의해 고정되며, 고정브라켓(370)은 바닥면(342a)의 저면에 나사고정되고, 고정브라켓(370)의 판면에는 일정크기의 방열홀(372)이 뚫려 있다.
특히, 상기 열전소자(350)의 안전한 설치를 위해 상기 설치홈(362)의 둘레에는 열전소자(350)의 둘레면이 특수 접착제로 접착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특수접착제는 혹시 모를 누수를 대비하여 수밀성을 높이기 위해 실리콘수지 40중량%와,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10중량% 및 나머지 폴리우레탄수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실리콘수지는 대표적인 발수성 수지이면서 접착력을 증대시키고, 상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octamethylcyclotetrasiloxane)은 방수성 유기물로서 발수성을 증대시켜 접착력 저하를 막으며, 상기 폴리우레탄은 수밀성 접착용 수지이다.
아울러, 상기 시스템본체(300)의 내부 바닥면에는 먼지포집유닛(380)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먼지포집유닛(380)은 도 9의 예시와 같이, 유닛하우징(381)을 포함한다.
상기 유닛하우징(381)은 상부가 개방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는 하우징커버(382)에 의해 밀폐되고, 상기 유닛하우징(381)의 내부 공간은 한 쌍의 구획벽(383)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383)에 의해 구획된 양측 공간에는 포집송풍기(384)가 설치되며, 전원은 상용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컨트롤러(CTR)에 의해 주기적으로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포집송풍기(384)는 흡입단(382a)이 상기 하우징커버(382)를 향하도록 상방향을 향해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커버(382)에는 상기 흡입단(382a)에 맞춰 망체로 된 흡기구멍(FLT)을 갖춘다.
또한, 상기 구획벽(383)에는 상기 포집송풍기(384)의 배출단(384b)이 연통되는 배출구멍(385)이 형성된다.
따라서, 포집송풍기(384)의 구동에 의해 흡입단(382a)을 통해 흡입된 미세먼지는 포집송풍기(384)의 배출단(384b)을 통해 한 쌍의 구획벽(383) 사이에 형성된 1차 포집공간(SUC)으로 모이게 된다.
아울러, 상기 1차 포집공간(SUC)의 양측 단변에는 다수의 더스트배출공(386)이 형성되며, 그 외측인 유닛하우징(381)의 외벽면에는 포집박스(387)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포집박스(387)의 양측면에는 미세먼지필터(388)가 구비되어 더스트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공기만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미세먼지필터(388)는 혜파필터일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더스트는 최종적으로 포집박스(387)에 포집되며,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포집박스(387)만 분리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한 후 다시 장착하여 사용하면 된다.
때문에, 복잡하고 어렵지 않는 구조로 단지 시스템본체(300)의 바닥면에 안착 설치하기만 하면 우수한 더스트 포집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 모듈들의 안정적인 구동을 안내하게 되어 정보처리시 오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고, 모듈들의 열화를 방지하게 된다.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1)은 작업자를 승강시키는 다기능 승강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 (1a)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1b)은, 센서부(10), 제어부(20), 모니터링부(30) 및 다기능 승강 장치(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센서부(10), 제어부(20), 모니터링부(3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기능 승강 장치(40)는, 본 발명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의 점검을 위한 작업자를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이 설치된 높이까지 승강시킬 수 있다.
설비(2)가 지면으로부터 비교적 높은의 위치에 설치된 경우,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1b)는, 작업자를 설비(2) 내외부에 설치된 센서부(10), 제어부(20), 모니터링부(30)의 높이까지 작업자를 승강시킴으로써, 작업자를 안전하게 승강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하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기능 승강 장치(40)의 상판이 파손되어 작업자가 낙하하는 경우에도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작업자의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다기능 승강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다기능 승강 장치(40)는, 상판(310), 하판(320) 및 승강부(400)를 포함한다.
상판(310)은, 상측면에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하판(32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에 따라 하판(32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하판(320) 방향으로 하강된다.
즉, 상판(310)은, 그 높이가 고정되는 하판(320)과는 달리, 작업자의 작업 필요성에 대응하여 높낮이가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는 선반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하판(320)은, 양측에 설치되는 승강부(400)에 의하여 상측에 상판(310)이 이격되어 설치되며, 상판(310)과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물건을 적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즉, 기존의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선반의 경우에는, 승하강 구동장치가 하판의 일반적으로 설치되어 상판의 상측에만 물건을 안착시킬 수 있었던 것에 반하여, 반 발명에서는 상판(310)의 상측뿐만 아니라, 하판(320)의 상측에도 공간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적재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승강부(400)는, 상판(310)의 일측과 하판(320)의 일측 사이와 상판(310)의 다른 일측과 하판(320)의 다른 일측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며,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 제작됨으로써, 상판(310) 및 하판(320) 중 하나의 판이 파손되는 등으로 인하여 교체가 필요로 하는 경우 해당 판만을 분리한 후 새로운 판을 체결함으로써 지속적인 장비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승강부(400)는, 기존의 일체형 구동장치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식의 모듈형 구동장치로서, 장비의 유지/보수 측면에서 보다 경제적인 장비의 운용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기능 승강 장치(40)는, 승강부(400)의 전단 및 후단의 상측에 각각 탄성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지지부(500)는, 탑승된 작업자의 하중을 지탱하지 못하고 상판(310)이 파손되어 낙하하거나, 상판(310)의 하중을 견디지 못한 후술하는 구동 프레임(430)이 파손되어 상판(310)이 낙하하는 경우, 상판(310)이 바로 하판(320)에 충돌하여 이에 따른 충격으로 작업자가 안전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탄성력을 이용하여 낙하하는 상판(310)을 지지함으로써 작업자로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작업자가 낙상으로 인하여 사고를 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승강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승강부(400)는, 상판 체결부(410), 구동부(420), 구동 프레임(430) 및 하판 체결부(440)를 포함한다.
상판 체결부(410)는,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1 상부 지지부(411), 및 “ㄱ” 형태로 형성되어 하부가 제1 상부 지지부(411)에 힌지부(41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회동하여 상판(31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는 제2 상부 지지부(412)를 포함한다.
도 13은 도 12의 상판 체결부(410)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상판 체결부(410)는, 하측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상부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기 위한 회동 연결부(413)을 형성한다.
구동부(420)는,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 전단 및 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및 전후 방향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측에 하판 체결부(440)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구동 프레임(430)은,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 및 하부가 구동부(420)의 상부 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상부가 상판 체결부(410)의 하부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교차 프레임(431)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부분이 “X” 형태로 교차 연결되어 구동부(420)의 구동에 의해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을 승강시켜 주거나 하강시켜 준다.
즉,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상측 방향으로 승강하게 되고, 제1 교차 프레임(431)과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상판(310)은 하측 방향으로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하판 체결부(440)는, “ㄴ”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구동부(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회동하여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을 체결하며, 하측에 이동을 위한 바퀴(441)를 구비한다(도 14 참조).
일 실시예에서, 하판 체결부(44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20)의 하측에 서로 분리된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체의 바디를 형성하고 전단 및 후단의 하측에 각각 바퀴(441)를 구비하는 일체형 바디 형태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14 내지 도 17은 도 12의 구동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구동부(420)는, 안착부(421), 제1 직선 운동부(422) 및 제2 직선 운동부(423)를 포함한다.
안착부(421)는, 전후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측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구동홈(421a, 421b)이 전단 및 후단에 형성되며, 하판(320)의 일측 또는 다른 일측의 상측에 안착된 후 하판 체결부(440)에 의하여 하판(320)에 체결된다.
즉, 안착부(421)는, 하판 체결부(440)의 회동에 따라 하판(320)과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착탈식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안착부(421)는, 전단 및 후단의 상측면에 평평한 형태의 안착면(421c, 421d)을 각각 형성하여 탄성 지지부(500)가 안착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안착부(421)의 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a)의 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2a)(도 14 참조)의 전단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다만,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직선 왕복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유압 실린더 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명칭에 구애됨이 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구조로 안착부(421)의 후단에 형성되는 구동홈(421b)의 전단에 설치되며, 직선 왕복 운동을 위해 구비된 피스톤(423a)의 후단에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직선 운동부(422) 또는 제2 직선 운동부(423)는, 구동홈(421a, 421b)의 단면의 형태에 대응하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플레이트(424a), 및 지지 플레이트(424a)의 전단 또는 후단에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여 해당 공간에 제1 교차 프레임(431) 또는 제2 교차 프레임(432)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도록 하는 원판 형태의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을 구비하는 회동 연결부(424)가 피스톤(422a)의 전단(즉, 제1 직선 운동부(422)의 경우) 또는 후단(즉, 제2 직선 운동부(423)의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회동 원판(424b)의 사이의 공간(424d)에 제1 교차 프레임(431)이 삽입된 뒤 고정 핀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그리고, 회동 연결부(424)는, 지지 플레이트(424a)가 바로 피스톤(422a)에 체결되는 대신에, 회동 연결부(424)의 불량에 따른 교체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플레이트(424a)의 후단에 피스톤(422a)을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는 전후 방향의 체결홈을 형성하는 체결부(424c)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직선 운동부(422)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한 실린더로 구동력을 발생시켜 피스톤(422a)을 실린더로부터 신장시키거나 수축시킴에 따른 전후 방향 왕복 직선 운동을 이용하여 제1 교차 프레임(431)을 구동홈(421a)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수행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다(도 12 참조).
여기서, 제2 직선 운동부(423)는, 제1 직선 운동부(422)와 대칭형 구조로서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여 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1, 1a)은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될 경우 균열이 발생된 곳에 충전하여 보수하기 위한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이라 함은, 모니터링부(30)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이루는 각각의 구성 모두가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존재하던 건축 구조물을 보수하기 위한 조성물에 있어서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모두 향상된 조성물 중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이 존재하지 않는 다는 것을 발견하여, 예의 노력한 끝에 본 발명과 같이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 모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는 조성물을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는 CAS 번호(CAS number)가 30445-28-4인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다양한 화합물을 탐색하던 중 조성물이 상기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경우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내수성 및 내균열성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바인더는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방수성 및 내수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EVA 바인더는 바람직하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이며, CAS 번호는 24937-78-8 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는 CAS 번호 111-76-2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진(rosin)은 송진을 증류하여 얻는 천연 수지를 의미하며, 상업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로진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로진이라도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텍사놀(TEXANOL)은 CAS 번호 25265-77-4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은 CAS 번호 57-55-6인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아크릴바인더를 포함하는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구성으로서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을 더 포함시키는 경우 특히 내수성의 효과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EVA 바인더 0.01 내지 10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로진 0.01 내지 5 중량부, 텍사놀 0.01 내지 5 중량부 및 프로필렌글리콜 0.01 내지 3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수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EVA 바인더,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로진, 텍사놀 및 프로필렌글리콜, 그리고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방수성 및 내수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을 15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16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17 내지 20 : 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은 상기 조성물에 0.1 내지 5 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이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과제 중 특히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이 뛰어난 방수성 및 내수성 효과를 갖는다면, 본 조성물은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틸셀로솔브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은 CAS 번호가 107-21-1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는 CAS 번호가 1317-65-3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CAS 번호가 13463-67-7인 화합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에틸렌글리콜 0.01 내지 5 중량부,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0,01 내지 5 중량부, 칼슘 카보네이트 20 내지 50 중량부, 티타늄디옥사이드 0.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0.0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내균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을 탐색하던 중 천연 추출물에서 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조성물에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내균열성의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상기 아크릴바인더가 포함된 건축 보수용 조성물에 에틸렌글리콜, 부틸셀로솔브(butyl cellosolve), 칼슘 카보네이트, 티타늄디옥사이드 및 물, 그리고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이 추가로 포함되는 경우 향상된 내균열성 확인을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flax)는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아마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씨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노란빛을 띤 갈색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제조할 수 있지만, 예시적으로 스크래퍼(scraper)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마씨 점액 추출물은 예시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알코올,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예를 들어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형태를 얻을 수 있다.
종래 아마씨의 용도로서 다양한 용도가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포함시켜 내균열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확인한 바는 현재까지 알려진 바 없으며, 연구도 미미한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아마씨 점액 또는 아마씨 점액 추출물을 1 내지 1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의 기본 물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분산제, 소포제, 항균제, 방부제, 동결 방지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1) 건축 구조물의 표면의 열화부를 제거하는 단계; 및 S2) 상기 열화부가 제거된 상기 건축 구조물의 표면 상부에 상기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는 단계에 의하여 구조물의 균열 보수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재료 준비
하기 실시예 및 평가예를 위한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에 사용된 주요 원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아크릴바인더: 아크릴 에스테르 코폴리머(Acrylic ester copolymer) CAS NO 30445-28-4
2) EVA 바인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CAS NO 24937-78-8
3) 부틸셀로솔브(butylcellosolve): CAS NO 111-76-2
4) 텍사놀(TEXANOL): CAS NO 25265-77-4
5)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CAS NO 57-55-6
6)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CAS NO 107-21-1
7)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CAS NO 1317-65-3
8) 티타늄 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CAS NO 13463-67-7
9)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124-68-5
10)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CAS NO 27646-80-6
11) 아마씨 점액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아마씨로부터 점액질을 긁어내어 아마씨 점액을 수득하였다.
12) 아마씨 점액 추출물
아마씨 1 g을 정제수 50L에 넣고, 25℃에서 5시간 동안 교반 후, 3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여액에 동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침전시킨 후 와트만 여과지 NO. 5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건조하여 백색의 파우더 약 0.2 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5 중량부의 EVA 바인더,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로진, 0.5 중량부의 텍사놀, 0.1 중량부의 프로필렌글리콜, 1 중량부의 2-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0.06 중량부의 2-메틸아미노-2-메틸-1-프로판올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혼합 교반조에 30 중량부의 아크릴바인더를 넣고 60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1 중량부의 에틸렌글리콜, 1 중량부의 부틸셀로솔브, 0.5 중량부의 티타늄디옥사이드, 5 중량부의 물, 5 중량부의 아마씨 점액 및 아마씨 점액 추출물의 혼합물 및 기타 증점보조제, pH조절제 등을 순서대로 서서히 투입한 후 50 중량부의 충진제인 칼슘 카보네이트를 넣고 300rpm의 속도로 상온에서 1시간 교반하여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평가예 1
건축 토목 구조물의 열화부를 제거한 다음, 이 표면상부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균열 보수막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얻어진 균열 보수막의 접착강도, 내균열 안정성 및 미끄럼저항성 및 균열 보수제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을 KS규격, KSL 1593상의 시험방법에 의거하여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또한, 방수성의 경우 균열 보수막 형성 후 내부로 수분이 흡수되는 정도를 5점 척도법에 의하여 평가하였다. 하기 표 1에서 제품 X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B사의 건축 구조물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제품을 나타내며, 이를 실시예 1 내지 4의 조성물과 비교 대상으로 평가하였다.
[표 1]
Figure 112019042014128-pat00008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건축 구조물 보수용 조성물은 제품 X와 비교하여 내수성, 방수성 및 내균열성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저장 안정성 및 미끄럼 저항성에 있어서도 문제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실시예 1, 2는 방수성 및 내수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3, 4는 내균열성에서 더 우수한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1a: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
10: 센서부
20: 제어부
30: 모니터링부
40: 다기능 승강 장치

Claims (1)

  1. 변전소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설비에 설치되는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설비의 상태를 감지하여 센싱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및
    상기 센싱정보를 기초로 상기 설비의 열화도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설비의 외부 표면에 부착되며 상기 설비 내부의 내부 방전, 코로나 방전, 아크 방전에 의해 발생되는 전자기파에 의해 상기 설비에 생성되는 표면 전류에 따른 과도 대지 전압을 감지하는 아크 코로나 센서 및 상기 설비에 구비된 부스바(bus bar), 케이블 접속부, 개폐기 또는 차단기의 단자 접속부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온도를 검출하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아크 코로나 센서에서 감지된 과도 대지 전압을 이용하여 아크(arc) 방전 또는 코로나(corona) 방전을 검출하고, 적외선 센서 모듈에서 감지된 온도와, 상기 검출된 아크 방전 및 코로나 방전을 이용하여 건전성 평가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가 미리 정해진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경보 신호를 생성하여 경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거나 차단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개폐기 또는 차단기가 실시간 차단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은, 상기 온도, 건전성 평가 지수 및 과도 대지 전압을 디스플레이하고, 메뉴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제어부를 동작 제어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경보 발생 시간 및 경보 채널 번호를 표시하고, 전자파 측정 평균 레벨 값 및 지속시간을 표시하고, 사이클당 펄스 수를 카운팅하여 표시하며, 아크 및 코로나 발생량을 표시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전성 평가 지수를 주기적으로 산출하되, 소정 기간 동안 발생된 아크 방전 횟수, 상기 소정 기간 동안 발생된 코로나 방전 횟수 및 현재 주기에서의 온도를 입력으로 하여 상기 건전성 평가 지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가 미리 정해진 정상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소정 기간 동안 발생된 아크 방전 횟수, 상기 소정 기간 동안 발생된 코로나 방전 횟수 및 현재 주기에서의 온도를 기초로 설정되는 아크방전지수, 코로나 방전지수 및 온도지수 간의 비율을 산출하고,
    상기 모니터링부는, 산출된 비율에 따라 상기 온도가 표시되는 영역, 상기 아크 발생량이 표시되는 영역 및 상기 코로나 발생량이 표시되는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건전성 평가 지수를 주기적으로 산출하는 과정에서, 상기 산출된 건전성 평가 지수가 상기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건전성 평가 지수가 지속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상기 건전성 평가 지수가 상기 정상 범위를 지속적으로 벗어난 시간이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경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경보 신호의 생성 간격을 기초로 상기 설비의 오작동 시점을 예측하되,
    상기 경보 신호의 생성 간격을 기초로 상기 설비의 오작동 시점을 예측하는 것은, 누적 생성된 상기 경보 신호를 기초로 히스토리 데이터셋을 생성하고, 상기 히스토리 데이터셋에 포함된 상기 경보 신호의 시계열적 변동추이를 기초로 상기 설비의 오작동 시점을 예측하는 것인,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
KR1020190047605A 2019-04-24 2019-04-24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 KR101992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605A KR101992385B1 (ko) 2019-04-24 2019-04-24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605A KR101992385B1 (ko) 2019-04-24 2019-04-24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2385B1 true KR101992385B1 (ko) 2019-09-30

Family

ID=68098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605A KR101992385B1 (ko) 2019-04-24 2019-04-24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23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667B1 (ko) * 2020-12-28 2021-06-02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변전소의 열감지에 의한 감시장치
CN112986696A (zh) * 2019-12-02 2021-06-18 国网山东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变电站定点电磁检测系统
EP3839524A1 (en) * 2019-12-16 2021-06-23 E.On Se Method, device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alternating current electric apparatuses
KR102604708B1 (ko) * 2023-07-20 2023-11-23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인공 지능 기반 수배전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94B1 (ko) 2006-06-27 2007-04-25 (주)태성계전 수배전반 절연열화 예측시스템 및 방법
JP2010079488A (ja) * 2008-09-25 2010-04-08 Yahoo Japan Corp 画像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情報処理方法、画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543636B1 (ko) * 2014-09-15 2015-08-21 주식회사 일산이엔씨 비접촉의 적외선 온도 감지 및 과도대지전압 감지에 의한 열화 고장진단 기능의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101664326B1 (ko) 2015-11-18 2016-10-24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열화감지 센서를 이용한 열화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694B1 (ko) 2006-06-27 2007-04-25 (주)태성계전 수배전반 절연열화 예측시스템 및 방법
JP2010079488A (ja) * 2008-09-25 2010-04-08 Yahoo Japan Corp 画像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画像情報処理方法、画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543636B1 (ko) * 2014-09-15 2015-08-21 주식회사 일산이엔씨 비접촉의 적외선 온도 감지 및 과도대지전압 감지에 의한 열화 고장진단 기능의 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101664326B1 (ko) 2015-11-18 2016-10-24 주식회사 한국이알이시 열화감지 센서를 이용한 열화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86696A (zh) * 2019-12-02 2021-06-18 国网山东省电力公司电力科学研究院 一种变电站定点电磁检测系统
EP3839524A1 (en) * 2019-12-16 2021-06-23 E.On Se Method, device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alternating current electric apparatuses
WO2021121821A1 (en) * 2019-12-16 2021-06-24 E.On Se Method, device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alternating current electric apparatuses
US11821962B2 (en) 2019-12-16 2023-11-21 E.On Se Method, device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alternating current electric apparatuses
KR102259667B1 (ko) * 2020-12-28 2021-06-02 주식회사 한얼엔지니어링 변전소의 열감지에 의한 감시장치
KR102604708B1 (ko) * 2023-07-20 2023-11-23 주식회사 비츠로이엠 인공 지능 기반 수배전반 진단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2385B1 (ko) 변전소 열화감시 진단 시스템
KR102031752B1 (ko) 복합 화재 감시 및 진단 기능을 갖는 감지 모듈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933612B1 (ko) 친환경 변전소의 무인 관리시스템
DE112009002245B4 (de) Überwachungssystem zum Überwachen und Steuern des Zustands oder der Betätigung von Komponenten wie etwa Schaltern, Stromkreisunterbrechern, elektrischen Schaltpaneelen und anderen Elementen für eine elektrische Steuerung und einen Schaltungsschutz
CN208181862U (zh) 集装箱发电机组多隔室消防系统
KR101183587B1 (ko)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CN206649329U (zh) 一种配电房智能环境监控设备
KR101732060B1 (ko) 변전기기 장치의 제어시스템
CN110707549A (zh) 基于物联网的安全监测电气柜
CN110598881A (zh) 环网柜智能运维管理系统
DE102006055617A1 (de) Brandschutzsysteme für technische Anlagen
CN108147246A (zh) 电梯安全监控方法、装置、系统和介质
CN205583390U (zh) 一种可实时监控的综合配电柜
CN103490318A (zh) 一种移动箱式变电站
CN207182049U (zh) 一种换热站智能化测控系统
CN208188705U (zh) 一种变电站环境控制器
KR101833999B1 (ko) 무 정전 바이패스 시공을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의 보호 장치
CN108539594B (zh) 一种具有连续远程监视低压开关柜智能供配电系统
CN203054522U (zh) 一种安全工器具管理装置
CN205692330U (zh) 一种新型开关柜智能警报监控装置
KR102077651B1 (ko) Ict 분전반 위험 상황 예측 감시 시스템
KR102074174B1 (ko) Ict 분전반 관리 시스템
CN212030616U (zh) 电缆隧道监测装置
CN205543729U (zh) 一种具有带电检测功能的高压开关柜
CN202243128U (zh) 电力设备带电测量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