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282B1 -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 Google Patents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282B1
KR101277282B1 KR1020120081569A KR20120081569A KR101277282B1 KR 101277282 B1 KR101277282 B1 KR 101277282B1 KR 1020120081569 A KR1020120081569 A KR 1020120081569A KR 20120081569 A KR20120081569 A KR 20120081569A KR 101277282 B1 KR101277282 B1 KR 1012772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water distribution
vibration sensor
main body
distribu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1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렉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렉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렉콤
Priority to KR1020120081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2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2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2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01H1/1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of longitudinal or not specified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7/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된 진폭을 초과하는 진동이 감지될 경우 특정 배전선로가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설계됨에 따라, 예를 들어 지진 등에 의해 과도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위험요소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예를 들어 화재 등과 같은 2차적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는,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하나로 형성되고 배선용차단기를 구비하는 수배전설비본체와,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에 설치되고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센서 및 상기 배선용차단기에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1차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외부로 경고메시지를 발신하고 상기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2차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배선용차단기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안전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POWER SUBSTATION WITH VIBRATION SENSING AND SHUT OFF FUNCTION}
본 발명은 고압에서 저압에 이르는 전압을 수전하여 상용전압으로 강압시켜 건물 내의 각부로 배전하기 위한 수배전반, 3상전동기를 제어(ON,OFF)하여 3상전동기를 보호하는 전동기제어반(MCC) 또는 옥내배선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로 갈라지는 곳에 설치되는 분전반과 같은 수배전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정된 진폭을 초과하는 진동이 감지될 경우 특정 배전선로가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설계됨에 따라, 예를 들어 지진 등에 의해 과도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위험요소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예를 들어 화재 등과 같은 2차적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빌딩이나 공장 등의 자가용 전기설비에서는 수요전력량이 많기 때문에 110V 또는 220V의 저압의 일반용 전기설비와 같이 전력회사로부터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공급받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일반적인 자가용 전기설비에서는 일반적으로 변전소의 배전선으로부터 3,300V 또는 6,600V의 고압전압을 수전하여 다시 상용전압으로 변압하여야 하고, 특히 대규모 빌딩의 자가용 전기설비에서는 22.9kV의 특별고압을 수전하여 다시 상용전압으로 변압하지 않으면 안 되는데,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가 바로 수배전반이다.
수배전반은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고압, 특별고압의 전기를 공급받기 위한 수전부와, 변전소로부터 수전된 고압, 특별고압의 전기를 상용전압으로 강압하기 위한 변전부와, 강압된 전기를 건물 내 각부(전기기기, 조명시설, 엘리베이터 등)로 공급하기 위한 배전부와, 스위치장치 기타 안전장치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빌딩 내로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최근 들어 수배전설비에도 내진설계가 요구되고 있는데, 이러한 선행기술의 일 예로,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바 있는 한국특허등록 제10-0939475호(2010.01.22. 등록)에는 수개의 앵커 볼트와 앵글을 이용하여 외함을 바닥면에 고정 설치하는 구성을 갖는 수배전반에 있어서, 상기 앵글은 종단면이 "┗┛"형상을 갖고 앵커 볼트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되는 바닥 앵글과 종단면이 "┏┓" 형상을 갖고 볼트를 통해 외함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 앵글로 구성하고, 상기 바닥 앵글과 지지 앵글 사이에는 수개의 내진수단을 설치하되, 상기 내진수단은, 자동조심 베어링이 끼워지는 베어링 삽입공을 구비하고 바닥 앵글의 수평판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어링 지지 케이스와; 자동조심 베어링에 끼워진 하단부에 베어링 멈춤링이 설치된 형태를 갖고 하단부는 상기 자동조심 베어링과 함께 베어링 지지 케이스의 베어링 삽입공에 끼워지고 상단부는 지지 앵글에 천공된 볼트 통과공을 통해 끼워져 너트를 통해 지지 앵글의 수평판에 고정되는 지지 볼트와, 상기 지지 볼트의 하단부에 내부의 볼이 결합된 상태에서 베어링 지지 케이스의 베어링 삽입공 내에 삽입 설치되어 외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충격이 가해지면 상기 지지 볼트가 자체의 볼에 결합된 하단부를 중심 축으로 하여 충격력이 가해지는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며 압축 스프링으로 하여금 그 충격력을 흡수하도록 하는 자동조심 베어링과, 중앙에 상기 지지 볼트가 통과되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 지지 케이스의 상면에서 수개의 볼트를 통해 베어링 지지 케이스와 함께 바닥 앵글의 수평판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자동조심 베어링과 지지 볼트가 베어링 지지 케이스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덮개와, 상기 바닥 앵글의 수평판 상면과 지지 앵글의 수평판 저면 사이에서 지지 볼트와 베어링 지지 케이스 및 덮개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기능을 갖는 수배전설비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수배전설비에서와 같이, 수배전설비를 고정하는 고정부에 내진설계가 되어 있다 하더라도, 진폭이 따라 건물의 심한 흔들림 또는 붕괴 등이 발생할 때에는 고정부의 내진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그로 인해 수배전설비가 파손될 경우에는 공급자가 인위적으로 전력차단을 하지 않는다면 계속해서 전력이 공급되어 건물 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건물 내에는 건물 내부의 전력선의 파괴로 인해 화재 발생 등의 위험이 있는 영역도 존재할 수 있고, 찜질방시설이나 목욕탕시설과 같이 전력누수로 인한 감전사의 우려가 있는 영역도 존재할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력이 계속 공급될 경우에는 2차적인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된 진폭을 초과하는 진동이 감지될 경우 특정 배전선로가 선택적으로 차단되도록 설계됨에 따라, 예를 들어 지진 등에 의해 과도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위험요소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예를 들어 화재 등과 같은 2차적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 수배전설비의 진동상태 및 이상소음여부을 감지하여 표시 및 전송함에 따라 내부부품의 고장 및 교체주기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하나로 형성되고 배선용차단기를 구비하는 수배전설비본체와,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에 설치되고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센서 및 상기 배선용차단기에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1차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외부로 경고메시지를 발신하고 상기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2차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배선용차단기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안전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센서 또는 상기 안전컨트롤러에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진동센서의 진동그래프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표시패널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배전설비본체 내에 설치되고 내부소음을 검출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컨트롤러는 상기 마이크로폰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내부소음과 상기 진동센서에 의한 진동을 통합분석하여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내부부품의 고장 또는 교체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패널을 통해 표시하거나 외부로 전송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진의 진동을 감지하는 지진감지용 진동센서와,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벽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사람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는 충격감지용 진동센서와,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배전설비본체 내의 부품이상으로 인한 소음진동을 감지하는 부품이상감지용 진동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에 의하면,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설정된 진폭을 초과할 경우 안전컨트롤러가 수배전설비본체의 배선용차단기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킴에 따라, 예를 들어 지진 등에 의해 과도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위험요소에 대한 전력공급이 차단됨으로써 예를 들어 화재 등과 같은 2차적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에 의하면, 진동센서에 의해 수배전설비의 진동상태가 감지되고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배전설비본체의 내부소음이 감지됨과 동시에, 안전컨트롤러가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내부소음과 상기 진동센서에 의한 진동을 통합분석하여 수배전설비본체의 내부부품의 고장 또는 교체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패널을 통해 표시하거나 및 외부로 전송함에 따라 내부부품의 고장 및 교체주기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보수가 즉각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의 작동을 설명하는 블럭구성도.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1)는 설정된 진폭을 초과하는 진동이 감지될 경우 특정 배전선로가 선택적으로 차단됨에 따라, 예를 들어 지진 등에 의해 과도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위험요소에 대한 전력공급이 차단됨으로써 화재 등과 같은 2차적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하나로 형성되고 배선용차단기(15c)를 구비하는 수배전설비본체(10)와, 수배전설비본체(10)에 설치되고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20)와, 수배전설비본체(10)에 설치되고 진동센서(20) 및 배선용차단기(15c)에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진동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1차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외부로 경고메시지를 발신하고 진동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2차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수배전설비본체(10)의 배선용차단기(15c)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안전컨트롤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배전설비본체(10)는 고압에서 저압에 이르는 전압을 수전하여 상용전압으로 강압시켜 건물 내의 각부로 배전하기 위한 수배전반, 3상전동기를 제어(ON,OFF)하여 3상전동기를 보호하는 전동기제어반(MCC) 또는 옥내배선시 간선(幹線)으로부터 각 분기회로(分岐回路)로 갈라지는 곳에 설치되는 분전반과 같은 통상의 수배전설비에 해당하는 것으로, 배선용차단기(15c)를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도 1 및 도 2에는 수배전반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는데, 수배전반으로 형성되는 수배전설비본체(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공급받는 수전부(11)와, 수전부(11)에 의해 수전된 전기를 상용전압으로 강압하기 위한 변전부(13)와, 변전부(13)에 의해 변전된 전기를 건물 내로 각부로 공급하는 다수의 배전선로(15b)와 배선용차단기(15c)를 구비하는 배전부(15)를 포함한다.
수전부(11)는 외부로부터 고압 또는 특별고압의 전기를 공급받는 인입구(11a)와, 인입구(11a)를 통해 공급받은 전기를 보내주는 부하단선로 상에 설치되는 자동구간개폐기(11b)와, 부하단선로에 이상전압 발생시 부하단선로를 보호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피뢰기(11c)와, 과전류 통전시 하류의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수전 파워퓨즈(11d)와, 수전 파워퓨즈(11d)의 하류에 연결되는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압변류기(11e)와, 전력수급계기용 변압변류기(11e)에 연결되어 전력량을 측정하는 적산전력계(11f)가 설치된다.
인입구(11a)는 변전소에서 공급받은 고압 또는 특별고압의 전기가 최초로 수전되는 부분으로서 자동구간개폐기(11b)의 1차측에 연결된다. 인입구(11a)의 하류에는 자동구간개폐기(11b)가 연결되는데, 이 자동구간개폐기(11b)는 고장구간을 자동으로 개폐(開閉)해 전력계통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자동구간개폐기(11b)의 하류에는 피뢰기(11c)가 설치되는데, 이 피뢰기(11c)는 선로에 이상전압 발생시 그 이상전압을 접지를 통해 대지로 흘려보냄으로써 선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전술한 자동구간개폐기(11b)의 하류에는 수전 파워퓨즈(11d)가 연결되는데, 이 수전 파워퓨즈(11d)는 부하전류는 안전하게 통과시키지만 소정의 값 이상의 전기가 흐르면 끊어져서 사고 파급을 막는 역할을 한다. 수전 파워퓨즈(11d)의 하류에는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압변류기(11e)가 연결되는데, 이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압변류기(11e)는 고전압 및 대전류의 계측 등에서 적산전력계(11f)와 전기회로 사이에 설치되어 고전압 및 대전류의 계측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수전 파워퓨즈(11d)는 단독 또는 피뢰기(11c)와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압변류기(11e)와 함께 가스절연형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전부(13)는 전력수급용 계기용 변압변류기(11e)의 하류에 연결되는 변전 파워퓨즈(13a)와, 변전 파워퓨즈(13a)의 하류에 1차측이 연결되는 변압기(13b)를 포함하고, 변전 파워퓨즈(13a)는 가스절연형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전부(15)는 변압기(13a)의 2차측에 연결되는 주차단기(15a)와, 주차단기(15a)의 하류에 연결되는 다수의 배전선로(15b)와, 배전선로(15b) 상에 설치되어 필요시 각각의 부하를 차단하는 다수의 배선용차단기(15c)를 각각 포함한다.
전술한 수배전설비본체(10)는 통상의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MCC) 및 분전반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개개의 구성부품, 전체작동 등에 대한 상세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수배전설비본체(10)에는 진동센서(20)가 설치되는데, 이 진동센서(20)는 외부에서 수배전설비본체(10)로 가해지거나 또는 수배전설비본체(10)으로부터 발생되는 수배전설비본체(10)의 진동을 감지하여 차후에 설명될 안전컨트롤러(30)로 신호를 전달하는 것으로, 수배전설비본체(10)의 내부 바닥면 또는 벽면에 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진동센서(20)는 1개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여러 개소에 다수개가 설치되어 안전컨트롤러(30)에서 평균값으로 신호처리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수배전설비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진 등의 진동을 감지하는 지진감지용 진동센서와, 수배전설비본체(10)의 벽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사람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는 충격감지용 진동센서와, 수배전설비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수배전설비본체(10) 내의 부품이상으로 인한 소음진동을 감지하는 부품이상감지용 진동센서로 분리되어 설치될 수 있다.
진동센서(20)는 압전진동센서, 가동코일형진동센서, 광섬유진동센서 또는 3차원 가속도센서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다.
전술한 수배전설비본체(10)에는 안전컨트롤러(30)가 설치되는데, 이 안전컨트롤러(30)는 진동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1차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외부의 관리자용 모니터링장치 측으로 경고메시지를 발신함에 따라 진동에 대한 수배전설비본체(10)의 진단과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예를 들어 지진 발생 등에 의해 진동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2차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수배전설비본체(10)의 배선용차단기(15c)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위험요소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진동신호 수신을 위해 진동센서(2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제어신호 전송을 위해 배선용차단기(15c)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다. 안전컨트롤러(30)는 전술한 기능이 가능하도록 설계된 인쇄회로기판 형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수배전설비본체(10)의 외부에는 표시패널(40)이 설치되는데, 이 표시패널(40)은 진동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진동을 X축을 시간축으로 하고 Y축을 진폭으로 하는 그래프 형태(진동그래프)로 실시간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진동센서(20) 또는 안전컨트롤러(30)에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액정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향태로 형성된다.
전술한 수배전설비본체(10) 내에는 마이크로폰(50)이 설치되는데, 이 마이크로폰(50)은 수배전설비본체(10) 내에서 발생되는 내부소음을 검출하여 전술한 안전컨트롤러(30)로 전달하는 것으로, 특정 소음을 증폭시켜 전달하는 통상의 소음측정용 마이크로 형성된다.
통상 특정 부품의 고장 또는 이상 발생시 특정 주파수의 소음이 발생되므로, 해당 소음의 주파수를 분석하면 역으로 어떠한 부품에서 고정 또는 이상이 발생되었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안전컨트롤러(30)가 마이크로폰(50)에 연결되어 마이크로폰(50)에 의해 검출된 내부소음과 진동센서(20)에 의한 진동을 통합분석하여 수배전설비본체(10)의 내부부품의 고장 또는 교체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패널(40)을 통해 표시하거나 외부의 관리자용 모니터링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송함으로써 즉각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1)의 경우에는, 진동센서(20)에서 검출된 진동의 진폭이 1차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안전컨트롤러(30)가 외부의 관리자용 모니터링장치 측으로 경고메시지를 발신함에 따라 진동에 대한 수배전설비본체(10)의 진단과 유지보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예를 들어 지진 발생 등에 의해 진동센서(20)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2차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수배전설비본체(10)의 배선용차단기(15c)를 선택적으로 차단시켜 위험요소에 대한 전력공급을 차단시킴에 따라, 예를 들어 지진 등에 의해 과도한 진동이 발생되더라도 위험요소에 대한 전력공급이 차단됨으로써 예를 들어 화재 등과 같은 2차적인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1)의 경우에는, 진동센서(10)에 의해 평상시 수배전설비본체(10)의 진동상태가 감지되고 마이크로폰(50)에 의해 수배전설비본체(10)의 내부소음이 감지됨과 동시에, 안전컨트롤러(30)가 마이크로폰(50)에 의해 검출된 내부소음과 진동센서(20)에 의한 진동을 통합분석하여 수배전설비본체(10)의 내부부품의 고장 또는 교체여부에 대한 정보를 표시패널(40)을 통해 표시하거나 외부의 관리자용 모니터링장치 측으로 전송함에 따라 내부부품의 고장 및 교체주기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유지보수가 즉각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 :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10 : 수배전설비본체
11 : 수전부
13 : 변전부
15 : 배전부
15b : 배전선로
15c : 배선용차단기
20 : 진동센서
30: 안전컨트롤러
40 : 표시장치
50 : 마이크로폰

Claims (4)

  1.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MCC) 및 분전반 중 하나로 형성되고 배선용차단기를 구비하는 수배전설비본체;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에 설치되고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센서 및 상기 배선용차단기에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1차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외부로 경고메시지를 발신하고 상기 진동센서에 의해 감지된 진폭이 2차 설정값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배선용차단기를 선택적으로 차단시키는 안전컨트롤러;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진동센서 또는 상기 안전컨트롤러에 각각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진동센서의 진동그래프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수배전설비본체 내에 설치되고 내부소음을 검출하는 마이크로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전컨트롤러는 상기 마이크로폰에 연결되어 상기 마이크로폰에 의해 검출된 내부소음과 상기 진동센서에 의한 진동을 통합분석하여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내부부품의 고장 또는 교체여부에 대한 정보를 상기 표시패널을 통해 표시하거나 외부로 전송하며,
    상기 진동센서는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어 지진의 진동을 감지하는 지진감지용 진동센서와,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벽면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사람에 의해 가해지는 진동을 측정하는 충격감지용 진동센서와, 상기 수배전설비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배전설비본체 내의 부품이상으로 인한 소음진동을 감지하는 부품이상감지용 진동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81569A 2012-07-26 2012-07-26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KR1012772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69A KR101277282B1 (ko) 2012-07-26 2012-07-26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1569A KR101277282B1 (ko) 2012-07-26 2012-07-26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7282B1 true KR101277282B1 (ko) 2013-06-20

Family

ID=48867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1569A KR101277282B1 (ko) 2012-07-26 2012-07-26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28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05B1 (ko) 2013-07-08 2013-08-08 주식회사 에이알테크 내진 및 방진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CN110311305A (zh) * 2019-08-08 2019-10-08 浙江润柯笙电器有限公司 一种可自动监控型高压开关柜及其使用方法
KR20190132837A (ko) 2018-05-21 2019-11-29 김대호 전자기 펄스용접을 이용한 내진 대비 제1, 2 가새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KR102304856B1 (ko) 2020-09-18 2021-09-24 김현정 내진용 배전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673B1 (ko) 2010-09-29 2011-05-12 박훈양 다기능 수배전반
KR101035647B1 (ko) * 2010-11-02 2011-05-19 (주) 동보파워텍 지진 감지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076032B1 (ko) 2011-07-20 2011-10-21 진영이티에스 (주) 지진 또는 외부 충격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673B1 (ko) 2010-09-29 2011-05-12 박훈양 다기능 수배전반
KR101035647B1 (ko) * 2010-11-02 2011-05-19 (주) 동보파워텍 지진 감지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1076032B1 (ko) 2011-07-20 2011-10-21 진영이티에스 (주) 지진 또는 외부 충격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4605B1 (ko) 2013-07-08 2013-08-08 주식회사 에이알테크 내진 및 방진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KR20190132837A (ko) 2018-05-21 2019-11-29 김대호 전자기 펄스용접을 이용한 내진 대비 제1, 2 가새를 포함하는 수배전반
CN110311305A (zh) * 2019-08-08 2019-10-08 浙江润柯笙电器有限公司 一种可自动监控型高压开关柜及其使用方法
KR102304856B1 (ko) 2020-09-18 2021-09-24 김현정 내진용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9834B1 (ko) 스마트 배전반 시스템
KR101587530B1 (ko) 다수의 안전장치 및 감시장치가 구비되고 원격 관리가 가능한 배전반 안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1597096B1 (ko) 진동감지와 누설전류의 실시간 원격 계측 및 외부 침입퇴치 기능과 데이터 저장기능을 구비한 배전반
KR101711435B1 (ko) 내진 기능 및 진동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수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2057494B1 (ko) 스마트 전기사고 예방 및 에너지 관리 시스템
KR101568845B1 (ko) 진동감지 기능이 향상된 수배전반
KR101277282B1 (ko)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KR101457880B1 (ko) 화재감지 기능을 갖는 고압반, 저압반, 분전반, 모터제어반
KR101556604B1 (ko) 옥내변전소 gis의 누출가스 검출장치
KR20190051225A (ko) 통합 센싱모듈을 이용한 지능형 배전반 관리시스템
KR101262907B1 (ko) 지진강도 단계별 차단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 재해 방지형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CN108759933A (zh) 地下电缆的监测装置、系统
KR20130137370A (ko) 아크, 부분방전 및 온도 감시 통합 수배전반 및 이를 이용한 수배전반 제어방법
KR101389844B1 (ko) 복합센서를 이용한 보호 계전 시스템
KR101620363B1 (ko) 내진 장치가 적용된 고압반, 저압반, 모터콘트롤반, 분전반을 포함하는 내진 대응 배전반 및 내진 대응 배전반 시스템
KR101376774B1 (ko) 센서를 통한 재해감지 및 복구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시스템 및 건물 통합제어 시스템
KR20080067602A (ko) 수배전반 내부설비 고장진단 시스템
KR20200014118A (ko) 이상진단 기능을 갖는 수배전반
KR102070084B1 (ko) 수배전반용 지진감지시스템
KR20200080033A (ko) 지능형 진동 감지 전원 공급 차단 장치
KR100911734B1 (ko) 차단기 트립회로 이상 감시장치
KR101706708B1 (ko) 지진 감지 기능을 갖는 배전반
KR102323980B1 (ko) 변전소의 통합 관리 시스템
CN209417881U (zh) 一种配电柜电气火灾监控系统
KR100806773B1 (ko) 지능형 누전차단기의 자동 복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