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6032B1 - 지진 또는 외부 충격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 Google Patents

지진 또는 외부 충격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6032B1
KR101076032B1 KR1020110072005A KR20110072005A KR101076032B1 KR 101076032 B1 KR101076032 B1 KR 101076032B1 KR 1020110072005 A KR1020110072005 A KR 1020110072005A KR 20110072005 A KR20110072005 A KR 20110072005A KR 101076032 B1 KR101076032 B1 KR 101076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nsor
signal
earthquak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이순철
박용
오승우
Original Assignee
진영이티에스 (주)
나라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이티에스 (주), 나라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영이티에스 (주)
Priority to KR1020110072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0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distribution gear, e.g. bus-bar systems; for switch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1/0061Details of 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concerning transmission of signa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또는 외부충격 발생시 수배전반의 심한 흔들림 또는 열반상태에서의 뒤틀림 등으로 모선간의 상간 단락 등 화재의 위험이 상존하며, 그로 인한 대규모 인명 피해가 예상됨으로 수배전반에 공급되는 전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수배전반의 전력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지진 또는 외부 충격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An all energy interception system at the time of earthquake or outside impact outbreak}
본 발명은 전력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또는 외부충격 발생시 수배전반의 심한 흔들림 또는 열반상태에서의 뒤틀림 등으로 모선간의 상간 단락 등 화재의 위험이 상존하며, 그로 인한 대규모 인명 피해가 예상됨으로 수배전반에 공급되는 전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수배전반의 전력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배전반은 건물의 내부의 수배전반 수용부의 바닥 혹은 건물 외부의 바닥에 내진설계에 따라 고정설치되게 된다.
통상적으로 수배전반의 내진설계는 지진으로 인한 진동에 따라 상ㆍ하ㆍ좌ㆍ우축 진동에 따른 내진설계가 이루어진다. 이러한, 내진설계는 수배전반을 바닥면에 고정할 때 사용되는 고정장치에 내진설계를 적용하여 그 내진설계가 적용된 고정장치에 의해 수배전반이 설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수배전반을 고정하는 고정장치에 내진설계가 되어 있다 하더라도, 지진의 발생강도에 따라 건물의 심한 흔들림 또는 붕괴 등이 발생할 때에는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그로 인해 파손되는 수배전반에는 공급자가 인위적으로 전력차단을 하지 않을 경우 계속해서 전력이 공급되어 건물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건물의 심한 흔들림 또는 붕괴로 인한 건물 내부의 전력선의 파괴로 인해 화재 발생 등의 위험이 상존하며, 그로 인해 대규모 인명피해 등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외부로의 전력누수로 감전사 등의 위험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수배전반 내부에 지진의 강도를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수배전반 내부 바닥면에 구비하여 지진의 강도에 따라, 수배전반의 전력공급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에 신호를 보내 건물내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는 기술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진동감지센서를 이용한 수배전반의 전력공급차단은 건물 내부로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되어 1차적인 재난은 예방이 가능하나, 외부에서 수배전반으로 공급되는 전력은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로 인하여, 외부공급 전력에 의한 2차적인 재난의 예방은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진동감지센서는 상하 진동의 강도만을 측정하는 것으로, 수배전반이 전후좌우측 횡방향의 변화가 일어날 때는 지진감지를 하지 못하는 오류가 일어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수배전반 본체 내측면 및 외측면의 상하부에 지진으로 인한 수배전반의 상하부의 위치변동을 감지하는 발.수신용 x, y, z축의 3축 위치감지센서를 구비하여, 수배전반의 상하부의 3축의 위치변동에 따른 진동감지에 의해 수배전반의 전력수신부와 전력공급부를 차단하여 건물내부의 1차 재난을 예방하고, 그와 동시에 수배전반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자에 이를 통지하여 전력공급자로 하여금 수용가측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동시에 차단하게 함으로써 2차 재난을 예방할 수 있는 지진으로 인한 재난방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력차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진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은 수배전반 큐비클의 내부 및 외부의 상측과 하측에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감지부와 상기 신호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분석부와 상기 신호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발수신 3축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된 센서모듈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수신부와 상기 전력수신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변압시키는 변압부와 상기 변압부로부터 변압된 전력을 건물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내보내는 통신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전력수신부와 변압부와 전력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발수신 3축 위치감지센서에 입력된 지진의 강도에 따라 수배전반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수신한 센서가 신호를 분석하고, 분석된 신호를 제어부에 송부하고, 송부된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수배전반의 전력수신부와 전력공급부를 차단하여 1차 재난을 예방하고, 전력을 차단하는 순간 차단된 결과를 건물의 중앙통제실과 외부 전력공급기관에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중앙통제실에서 효과적으로 재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력공급기관이 수배전반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게 함으로써 2차 재난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3축 위치감지센서는 수배전반 큐비클 내측 상하부 또는 외측 상하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수신센서는 지면에 설치되고 발신센서는 큐비클의 외부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3축 위치감지센서는 3축 자이로센서, 3축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3축 관성센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모듈 또는 유ㆍ무선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모듈은 RFID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배전반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통제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RF모듈과 상기 RF모듈에 의해 통제되는 경고음 스피커와 경고등이 구비된 경고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지진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은 종래의 지진의 수직운동에만 반응하는 진동센서에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수배전반의 수평방향의 변화에 따른 뒤틀림현상을 효과적으로 감지하여 건물로 공급되어지는 전력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지진으로부터 유도되는 재난을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수배전반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기관에 이를 통지하여 수배전반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도록 하게 함으로써 2차 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재난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전력공급기관으로부터 수배전반을 통해 건물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예를 도시한 수배전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수배전반으로부터 건물로의 전력공급 및 통신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모듈과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전달 체계의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상태도이다.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센서모듈의 설치상태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9 내지 11은 지진의 영향에 따른 수배전반의 상태변화를 예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리나라에서 지진의 진도에 따른 분류는 메르칼리 진도 계급(Modified Mercalli Intensity Scale)을 사용하여 진도의 계급을 표현하고 있으며, 각 진도계급별 상세내용은 하기 표 1과 같고, 진도 계급 5 이상부터 실질적인 지진발생의 피해가 우려될 수 있다.
진도계급 내 용
1 특수한 조건의 극소수의 사람만 느낌, 보통 지진계에만 감지
2 실내에서 극히 일부만 느낌
3 실내에서 소수가 느낌. 매달린 물체가 약하게 움직임
4 실내에서 대다수가 느낌. 실외에서 감지 불가
5 건물 전체가 흔들림. 물체가 깨어지거나 전도 또는 추락
6 모든 사람이 감지하여 밖으로 대피. 똑바로 걷기 어려움
7 가구가 넘어지고, 운전자도 지진동을 감지. 서 있기가 곤란함
8 차량의 운전이 곤란하고 부실한 건축물의 붕괴. 굴뚝, 기둥 등이 붕괴됨
9 지면의 균열발생. 지하송수관이 파손되고, 모든 건물이 피해 입음
10 대부분의 건축물이 기초와 함께 부서짐. 지면 균열
11 극히 일부의 구조물만 남고 크게 파괴됨. 철로 심하게 휘어짐
12 지면이 파도 형태로 움직임. 물체가 공중으로 던져짐
이상의 진도 계급을 참조하고,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1은 전력공급기관으로부터 수배전반을 통해 건물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예를 도시한 수배전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수배전반으로부터 건물로의 전력공급 및 통신관계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센서모듈과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전달 체계의 일예를 도시한 블럭도이며,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일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설치상태를 예시한 상태도이며, 도 7 및 8은 본 발명의 센서모듈의 설치상태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며, 도 9 내지 11은 지진의 영향에 따른 수배전반의 상태변화를 예시한 상태도이다.
첨부도면 도 1에 따르면, 건물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일련의 과정은 전력공급기관(100)이 공급제어부(200)를 통제하여 전력의 공급유무를 결정하는 개폐기(300)를 통제하여 수배전반(500)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수배전반(500)은 건물(600)내부의 분전반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배전반(500)은 건물외부에 설치될 수 있고, 또한 건물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전력공급루트는 지진의 발생시 수배전반(500)이 영향을 받게 되고, 건물이 흔들리거나 붕괴되는 재난이 발생하고, 그에 따라 건물내부에 공급되어지는 전력이 효과적으로 차단되지 않아 건물내부의 분전반 등에서는 지속적인 전력이 공급되게 되고, 그로 인해 지진으로 건물의 흔들림 또는 뒤틀림 등으로 상간단락, 전력누수로 화재 등의 피해가 발생하게 되고, 그 영향으로 특히 인구 다밀집 지역일 경우 수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여 2차 재난의 피해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진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은 첨부도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배전반(500)의 큐비클 내부 또는 외부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되는 3축 위치감지센서로 되는 센서모듈(510)과 외부 개폐기(3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수신부(530)와 상기 전력수신부(530)로부터 전력을 수신하여 변압시키는 변압부(540)와 상기 변압부(540)에서 변압된 전력을 건물내부로 공급하는 전력공급부(550)와 상기 센서모듈(510)과 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전력수신부(530)와 변압부(540)와 전력공급부(550)를 제어하는 제어부(520)로 구성되며,
상기 발수신 3축 위치감지센서로 되는 센서모듈에 입력된 지진의 강도에 따라 수배전반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수배전반의 뒤틀림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가 분석하고, 분석된 신호를 제어부에 송부하고, 송부된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수배전반의 전력수신부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고, 동시에 건물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차단하여 1차 재난을 예방하고, 전력을 차단하는 순간 차단된 결과를 건물의 중앙통제실과 외부 전력공급기관에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중앙통제실에서 효과적으로 재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력공급기관이 수배전반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게 함으로써 2차 재난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센서모듈(5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와 상부에 설치된 센서들의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감지부(511)와 상기 신호감지부(51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분석부(512)와 상기 신호분석부(512)로부터 분석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513)로 구성되는 발수신 3축 위치감지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부(520)는 상기 센서모듈(510)의 통신모듈(513)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어된 정보를 외부로 송신하는 통신모듈(521)과 상기 통신모듈(521)에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분석부(522)과 상기 신호분석부(522)로부터 분석된 정보에 따라 전력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수단(523)으로 구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센서모듈을 구성하는 3축 위치감지센서(510a, 510b)는 도 5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500) 큐비클의 내측 상하부 또는 외측 상하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센서(510a)는 지면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센서(510b)는 큐비클의 외부에 돌출되어 설치되어 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수배전반(500)이 밀착되어 설치되어 있을 경우, 일끝단의 수배전반의 일측면에 센서(510c)를 설치하고, 타측끝단에 설치된 수배전반의 일측면에 상기 센서(510c)와 마주보도록 센서(510d)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는 지진에 의해 횡방향으로 흔들림이 잘 일어나지 않는 반면 설치된 수배전반 중 어느 하나가 지진으로 인해 위치를 이탈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어 질 수 있어 그 돌출로 인해 센서들간의 신호전달이 차단되게 되고, 그 차단에 따라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어부에 신호가 전달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센서모듈(510)을 구성하는 상기 3축 위치감지센서는 3축 자이로센서, 3축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3축 관성센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3축 가속도 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수배전반 내부로 쥐와 같은 것이 유입되어 센서와 센서간의 신호를 방지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지진발생이 일어난 것으로 오인된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가속도 센서로 되는 3축 위치감지센서는 외부유입물로 인한 감지오류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각각의 통신모듈(513, 521)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모듈은 유무선통신모듈을 동시에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통신모듈은 RFID안테나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배전반(500)의 제어부(520)와 연결되어 통제되며, 상기 제어부(520)의 신호를 수신하는 RF모듈(560)과 상기 RF모듈에 의해 통제되는 경고음 스피커와 경고등이 구비된 경고부재(5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F모듈은 제어부(520)의 신호를 받아 상기 경고부재(570)를 통제하게 되고, 상기 경고부재(570)는 그 통제에 따라 경고음을 발산하고, 경고등을 통제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전력차단 시스템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3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수배전반으로부터 건물로의 전력공급 및 통신관계를 도시한 블럭도로서, 전력공급기관(10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개폐기(3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력을 수배전반(500)의 전력수신부(530)가 공급받고, 상기 전력수신부(530)에 공급된 전력은 변압부(540)로 공급되어 변압된 후, 전력공급부(550)를 통해 건물(600)에 설치된 분전반(620, 630)으로 공급하게 되고, 상기 분전반(620, 630)으로 공급되어진 전력은 중앙통제실(610)에 의해 통제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전반은 건물내부에 설치되는 단독의 수배전반일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각 층에 별도로 설치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배전반의 제어부(520)는 상기 전력수신부(530), 변압부(540) 및 전력공급부(550)를 제어하게 되고, 수배전반에 설치되는 센서모듈(510)과 지속적인 통신이 이루어지고, 또한, 건물의 중앙통제실(610)과도 지속적인 신호를 주고 받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모듈(510)과 제어부(520)에는 지진의 강도에 따른 수배전반의 흔들림 변형을 감지하고, 상기 흔들림에 따른 변형의 정도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센서(510a)와 상측센서(510b)와 신호전달의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의 발생으로 수배전반의 하측센서와 상측센서가 θ각만큼 변형이 일어나면 그 변형정도에 따라 센서와 센서간의 신호변화에 따라 전력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θ각의 설정은 표 1에 따른 설정된 진도 계급기준에 따라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서, 첨부도면 도 9 내지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으로 인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의 강도에 따라 일정각도(θ)만큼 위치변동이 일어나면 도 4에 도시된 센서모듈(510)의 신호감지부(511)에서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는 신호분석부(512)로 송신되어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그 결과를 통신모듈(513)에 송신하게 되며, 상기 통신모듈(513)은 분석된 신호결과 값을 제어부(520)의 통신모듈(521)로 송신하게 된다.
상기 센서모듈(510)로부터 분석된 신호결과 값을 수신한 제어부(520)의 통신모듈(521)은 다시 신호분석부(522)로 그 값을 전송하고 미리 입력된 값과 대조하여 전력의 차단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정값을 제어수단(523)에 송신하여 수배전반(500)에서 건물(600)로의 전력의 공급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만일, 지진으로 인하여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를 초과하여 전력제어가 필요하다라는 판단이 상기 제어부의 신호분석부(521)로부터 결정되어진다면, 상기 제어수단(523)은 수배전반의 전력수신부, 변압부, 전력공급부를 통제하여 전력을 차단하게 되고, 그 순간 제어부의 신호분석부(522)의 결과값을 수신한 통신모듈(521)은 건물의 중앙통제실(610)과 관리자 단말기(700) 및 전력공급기관(100)으로 전력차단여부를 송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물로 공급되어 지는 전력을 차단함으로써 지진으로 인해 건물내부에 발생될 수 있는 재해를 1차적으로 예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배전반의 전력공급기능을 차단하는 것으로 건물에 발생할 수 있는 화재와 같은 1차 재해는 예방할 수 있으나, 전력공급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허가 없이 제어할 수는 없게 되어 있어, 수배전반으로는 계속해서 전력이 공급되는 상황에 처해 있게 된다. 그로 인해, 수배전반으로 공급되어지는 전력에 의해 2차 재해가 이루어질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어부의 통신모듈은 건물에 공급되어 지는 전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전력공급기관(100)에 그 결과를 송신하게 되고, 그 신호를 수신한 전력공급기관(100)은 공급제어부(200)을 차단하거나 개폐기(300)를 개방함으로써 수배전반(500)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게 되고, 그에 따라 2차 재해를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지진에 따른 수배전반의 변형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의 붕괴로 이어질 수도 있으며, 이때는 수배전반(500)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모듈이 동시에 움직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일어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모듈을 구성하는 하측센서(510a)는 지면에 설치하고, 상측센서(510b)는 수배전반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하여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배전반이 다수개 나열되어 있을 경우에는 지진의 영향으로 횡방향의 변형이 극히 미미하게 일어날 수 있으며, 지진의 영향으로 수배전반중 어느 하나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격될 수 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일측끝단의 수배전반의 외측에 제1센서(510c)를 설치하고, 타측 끝단에는 제2센서(510d)를 설치하여 이격된 수배전반으로 인해 센서와 센서간에 주고 받는 신호를 차단하게 되고, 그 결과 지진을 감지하여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은 신호전달체계를 거쳐 효과적으로 전력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100: 전력공급기관 200: 공급제어부
300: 개폐기
500: 수배전반 600: 건물
510: 센서모듈 511: 신호감지부
512, 522: 신호분석부 513, 521: 통신모듈
520: 제어부 523: 제어수단
610: 중앙통제실 620, 630: 분전반
700: 관리자 단말기

Claims (6)

  1. 수배전반 큐비클의 내부 또는 외부의 상측과 하측에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감지부와 상기 신호감지부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분석하는 신호분석부와 상기 신호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로 구성되는 발수신 3축 위치감지센서가 구비된 센서모듈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공급받는 전력수신부와 상기 전력수신부로부터 공급받은 전력을 변압시키는 변압부와 상기 변압부로부터 변압된 전력을 건물내부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내보내는 통신모듈이 내장되고, 상기 전력수신부와 변압부와 전력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발수신 3축 위치감지센서에 입력된 지진의 강도에 따라 수배전반의 흔들림을 감지하여 수배전반의 뒤틀림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가 분석하고, 분석된 신호를 제어부에 송부하고, 송부된 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는 수신된 신호에 따라 수배전반의 전력수신부와 전력공급부를 차단하여 1차 재난을 예방하고, 전력을 차단하는 순간 차단된 결과를 건물의 중앙통제실과 외부 전력공급기관에 신호를 송신하여 상기 중앙통제실에서 효과적으로 재난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력공급기관이 수배전반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게 함으로써 2차 재난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축 위치감지센서는 수배전반 큐비클의 내측 상하부 또는 외측 상하부에 설치되거나, 또는 수신센서는 지면에 설치되고 발신센서는 큐비클의 외부에 돌출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축 위치감지센서는 3축 자이로센서, 3축 가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3축 관성센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유선 또는 무선통신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모듈은 RFID안테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배전반의 제어부와 연결되어 통제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수신하는 RF모듈과 상기 RF모듈에 의해 통제되는 경고음 스피커와 경고등이 구비된 경고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KR1020110072005A 2011-07-20 2011-07-20 지진 또는 외부 충격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KR101076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005A KR101076032B1 (ko) 2011-07-20 2011-07-20 지진 또는 외부 충격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005A KR101076032B1 (ko) 2011-07-20 2011-07-20 지진 또는 외부 충격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032B1 true KR101076032B1 (ko) 2011-10-21

Family

ID=4503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005A KR101076032B1 (ko) 2011-07-20 2011-07-20 지진 또는 외부 충격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032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907B1 (ko) 2013-02-18 2013-05-09 (주) 동보파워텍 지진강도 단계별 차단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 재해 방지형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101277282B1 (ko) 2012-07-26 2013-06-20 주식회사 일렉콤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KR101376774B1 (ko) 2013-10-29 2014-03-26 구자광 센서를 통한 재해감지 및 복구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시스템 및 건물 통합제어 시스템
KR20150018215A (ko) * 2013-08-09 2015-02-23 (주)서전기전 지진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력차단 시스템이 내장된 배전반 및 그 구동방법
KR101759489B1 (ko) * 2016-11-30 2017-07-19 이덕화 지진 진동감지센서에 연계된 전력차단 시스템을 갖는 수배전반
KR101877289B1 (ko) * 2017-02-03 2018-07-12 대동산전주식회사 복전으로 인한 2차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 등에 구성된 지진감진모듈
KR101957409B1 (ko) 2018-10-25 2019-03-14 김병근 지진 감지 및 자기진단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101976412B1 (ko) * 2019-02-01 2019-05-10 주식회사 에코스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진동 보호 시스템
KR20190089503A (ko) * 2018-01-23 2019-07-31 주식회사 인텔리웨이브 차단기 트립 감지 장치 및 lpwa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단기 모니터링 방법
WO2019231085A1 (ko) * 2018-05-30 2019-12-05 주식회사 나노켐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지진 감지 장치 및 방법
KR20200080033A (ko) 2018-12-26 2020-07-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능형 진동 감지 전원 공급 차단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3308A (ja) 2008-09-05 2010-03-18 Toshiba Industrial Products Manufacturing Corp 負荷制御装置及び負荷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63308A (ja) 2008-09-05 2010-03-18 Toshiba Industrial Products Manufacturing Corp 負荷制御装置及び負荷制御方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282B1 (ko) 2012-07-26 2013-06-20 주식회사 일렉콤 진동감지차단기능이 구비된 수배전설비
KR101262907B1 (ko) 2013-02-18 2013-05-09 (주) 동보파워텍 지진강도 단계별 차단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 재해 방지형 배전반(고압배전반, 저압배전반, 전동기제어반, 분전반)
KR20150018215A (ko) * 2013-08-09 2015-02-23 (주)서전기전 지진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력차단 시스템이 내장된 배전반 및 그 구동방법
KR101629906B1 (ko) 2013-08-09 2016-06-13 (주)서전기전 지진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력차단 시스템이 내장된 배전반 및 그 구동방법
KR101376774B1 (ko) 2013-10-29 2014-03-26 구자광 센서를 통한 재해감지 및 복구 기능을 가진 수배전반 시스템 및 건물 통합제어 시스템
KR101759489B1 (ko) * 2016-11-30 2017-07-19 이덕화 지진 진동감지센서에 연계된 전력차단 시스템을 갖는 수배전반
KR101877289B1 (ko) * 2017-02-03 2018-07-12 대동산전주식회사 복전으로 인한 2차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분전반 또는 수배전반 등에 구성된 지진감진모듈
KR20190089503A (ko) * 2018-01-23 2019-07-31 주식회사 인텔리웨이브 차단기 트립 감지 장치 및 lpwa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단기 모니터링 방법
KR102039032B1 (ko) * 2018-01-23 2019-10-31 주식회사 인텔리웨이브 차단기 트립 감지 장치 및 lpwa 통신 방식을 이용한 차단기 모니터링 방법
WO2019231085A1 (ko) * 2018-05-30 2019-12-05 주식회사 나노켐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지진 감지 장치 및 방법
KR101957409B1 (ko) 2018-10-25 2019-03-14 김병근 지진 감지 및 자기진단 기능이 구비된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전동기 제어반, 분전반)
KR20200080033A (ko) 2018-12-26 2020-07-06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지능형 진동 감지 전원 공급 차단 장치
KR101976412B1 (ko) * 2019-02-01 2019-05-10 주식회사 에코스 면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진동 보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6032B1 (ko) 지진 또는 외부 충격발생시 전력차단 시스템
KR101629906B1 (ko) 지진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력차단 시스템이 내장된 배전반 및 그 구동방법
KR101759489B1 (ko) 지진 진동감지센서에 연계된 전력차단 시스템을 갖는 수배전반
KR101035647B1 (ko) 지진 감지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0800812B1 (ko) 휴대단말기에서 지진 경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57319B1 (ko) 가스 및 지진센서를 구비한 경보 관리 시스템
WO2007072593A1 (ja) 電源遮断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699303B1 (ko) 3축 지진 감지형 내진 수배전반
JP4807101B2 (ja) 免震建物の免震作動確認装置
KR102103509B1 (ko) 면진형 전력변환장치의 지진 대응 시스템 및 방법
KR100567443B1 (ko) 360°전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불꽃감지기
JP2016066274A (ja) 避難先情報取得システム
JP2016211920A (ja) 分電盤用感震装置
KR20120072838A (ko) 대피 경로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36514A (ko) 수배전반용 지진감지 시스템
JP6243077B2 (ja) 避難先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避難先情報取得方法
KR20180062616A (ko) 수배전반에 있어서의 변위 발생에 따른 고감도 누전 방지 장치 및 고감도 누전 진단 제어 시스템
KR101915903B1 (ko) 소방수 공급관 누수 감지 기능을 갖는 화재 감지 및 소방 보조 장치
WO2014202321A1 (en) Apparatu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potentially harmful events in a residential environment
KR20200080033A (ko) 지능형 진동 감지 전원 공급 차단 장치
KR20160144828A (ko) 비상 대피 유도 시스템 및 그 방법
JP7085878B2 (ja) 感震装置
WO2018170529A1 (en) Pool safety system
ES2541622B1 (es) Dispositivo inteligente de alerta sísmica
KR20150018216A (ko) 지진감지 기능을 내장한 핸들 시스템이 탑재된 배전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