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9538A - 정량 급유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정량 급유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9538A
KR20200039538A KR1020190053937A KR20190053937A KR20200039538A KR 20200039538 A KR20200039538 A KR 20200039538A KR 1020190053937 A KR1020190053937 A KR 1020190053937A KR 20190053937 A KR20190053937 A KR 20190053937A KR 20200039538 A KR20200039538 A KR 20200039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ueling
pump
recovery
gas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명규
김춘식
Original Assignee
한국다쓰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다쓰노(주) filed Critical 한국다쓰노(주)
Priority to KR1020190053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9538A/ko
Publication of KR20200039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9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09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spillage or leakage, e.g. spill containments, leak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42Filling nozzles
    • B67D7/54Filling nozzles with means for preventing escape of liquid or vapour or for recovering escaped liquid or vap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58Arrangements of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량 급유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급유구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차량의 급유구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주유노즐과, 상기 주유노즐과 급유관을 통해 연결되며 급유 펌프의 동작에 의해 연료유가 저장된 저장소로부터 상기 주유노즐로 연료유를 공급하고 회수 펌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주유노즐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는 주유기를 포함하는 주유기 장치에 설치되어 정량 급유를 감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급유 펌프를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하는 주유기 컨트롤러; 상기 급유 펌프에서 주유 노즐로 공급되는 연료유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로 유량 측정값을 제공하는 유량계; 상기 회수 펌프를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하며 적어도 상기 급유 펌프의 온(ON) 제어에 기초하여 회수 펌프를 온(ON) 제어하는 회수부 컨트롤러; 상기 주유노즐의 회수부와 유증기 회수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회수 펌프에 의해 회수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회수물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부; 및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누유로 판단시 비상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누유 회수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정량 급유 감시장치 {System for quantitative monitoring of fueling}
본 발명은 정량 급유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급유구로부터 회수된 유증기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기의 정량 급유가 이뤄지도록 감시하되, 급유 제어를 하는 주유기 컨트롤러를 중심으로 누유 판단 및 비상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누유 회수 감지부가 연동하여 정량 급유 감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에 관한 것에 관한 것이다.
'유증기'는 연료유 등이 미세한 틈으로 분사되어 발생되거나, 연료유 등이 고열의 장비에 접촉하여 기화되는 과정을 통해 발생되는 것으로, 밀폐된 공간에서 유증기의 농도가 높아지거나 고열이 가해지는 경우 폭발할 수 있다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성을 해소하기 위해 유증기 감시장비나 온도 감시 장비를 설치하거나, 유증기를 회수하는 설비를 설치하는 등 유증기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들이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20313호 "주유기의 유증기 흡입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6623호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천정식 주유기" 등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발생되는 누유액량에 관한 감시가 이뤄지지 않으므로, 정량 주유가 이뤄지 않더라도 주유 작업자 및 운전자가 이를 인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서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7688호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회수되는 유증기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 누유를 감지하고 제어부가 주유 상황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의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은 공개를 전제로 하지 않은 본 출원인의 자체적인 상세 구현 과정에서, 통상의 급유 펌프 제어를 위한 주유기 컨트롤러에 추가적으로 누유 회수 감지부를 설치하도록 주유기의 상세 구성이 이뤄졌는바, 이러한 상세 구성에 대한 추가적인 개선점이 요망되었다.
일예로, 상기 종래기술의 상세 구성에서는, 통상의 주유 개시 입력에 따라 주유기 컨트롤러가 급유 펌프를 온(ON) 제어한 상태에서, 누유액 감지 센서부에서 주유시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면 누유 회수 감지부가 직접 급유 펌프를 오프(OFF) 제어(비상 상태 동작)하도록 구성되었다.
그런데, 이때 주유기의 기본 동작 제어를 담당하는 주유기 컨트롤러가 직접 급유 펌프를 제어(비상 상태 동작) 하는 것이 아니라 누유 회수 감지부가 급유 펌프를 직접 제어하게 되므로, 주유기 컨트롤러가 주유기 장치의 전체 제어를 통제하지 못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주유기 컨트롤러는 급유 펌프를 온(ON) 제어로 계속 인식한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급유 펌프는 누유 회수 감지부에 의해 오프된 상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주유기의 통상적인 입력 및 출력 수단(사용자 인터페이스)이 주유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도록 통상의 주유기 구성이 이뤄짐에도 불구하고, 누유 회수 감지부가 비상 상태 동작을 직접 제어하는 구성에서는 누유 회수 감지부가 별도의 알람 표시 수단을 구비하거나 제어해야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2031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8662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768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차의 급유구로부터 회수된 유증기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기의 정량 급유가 이뤄지도록 감시하되, 급유 제어를 하는 주유기 컨트롤러를 중심으로 누유 판단 및 비상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누유 회수 감지부가 연동하여 정량 급유 감시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차량의 급유구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차량의 급유구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주유노즐과, 상기 주유노즐과 급유관을 통해 연결되며 급유 펌프의 동작에 의해 연료유가 저장된 저장소로부터 상기 주유노즐로 연료유를 공급하고 회수 펌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주유노즐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는 주유기를 포함하는 주유기 장치에 설치되어 정량 급유를 감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급유 펌프를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하는 주유기 컨트롤러; 상기 급유 펌프에서 주유 노즐로 공급되는 연료유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로 유량 측정값을 제공하는 유량계; 상기 회수 펌프를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하며 적어도 상기 급유 펌프의 온(ON) 제어에 기초하여 회수 펌프를 온(ON) 제어하는 회수부 컨트롤러; 상기 주유노즐의 회수부와 유증기 회수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회수 펌프에 의해 회수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회수물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부; 및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누유로 판단시 비상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누유 회수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가 개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는, 입력 수단을 통해 주유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유량계로부터 제공된 유량 측정값이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입력 유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온(ON) 제어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수부 컨트롤러는,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급유 펌프로 출력되는 온(ON) 제어 신호의 감지 시에 상기 회수 펌프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급유 펌프로 출력되는 오프(OFF) 제어 신호의 감지 시에 회수 펌프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는, 입력 수단을 통해 주유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유량계로부터 제공된 유량 측정값이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입력 유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온(ON) 제어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회수부 컨트롤러로 비상 상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회수부 컨트롤러는,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로부터 상기 급유 펌프로 출력되는 온(ON) 제어 신호의 감지 시에 상기 회수 펌프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된 비상 상태 신호의 감지 시에 상기 회수 펌프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는, 입력 수단을 통해 주유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유량계로부터 제공된 유량 측정값이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입력 유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온(ON) 제어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알람 출력 수단으로 알람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 및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와 각각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관리용 감지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관리용 감지부는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관리 컴퓨터로 상기 전송된 비상 상태 신호에 관한 비상 상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상기 관리용 감지부는 복수의 주유기 장치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누유 회수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비상 상태 데이터는 상기 비상 상태 신호를 전송한 누유 회수 감지부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리 컴퓨터는 미리 등록된 주유 작업자 휴대 단말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상 상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는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주유기 장치의 급유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주유소의 관리용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비상 상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용 감지부는 상기 관리 컴퓨터로 상기 비상 상태 신호에 관한 비상 상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와 상기 관리 컴퓨터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와 상기 관리용 감지부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자동차의 급유구로부터 회수된 유증기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기의 정량 급유가 이뤄지도록 감시하되, 급유 제어를 하는 주유기 컨트롤러를 중심으로 누유 판단 및 비상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누유 회수 감지부가 시스템적으로 연동하여 정량 급유 감시 기능을 제공하므로, 급유 펌프의 온/오프 제어가 유기적으로 제공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적인 급유 제어와 비상 상태에서의 비상 제어가 주유기 컨트롤러에서 통합적으로 실행되므로 제어 동작 상호 간의 충돌이나 모순이 발생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유기 장치에 기본 주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주유기 컨트롤러 자체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비상 상태 제어 기능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비상 제어 기능을 간단하게 확장 내지 변형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누유 감지 시에 주유기 컨트롤러의 입출력 기능을 이용하여 누유를 알리는 알람 표시 기능을 더욱 제공하므로, 누유 회수 감지부의 구성을 단순화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비상 상태 표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주유기 장치에 설치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주유기 장치에 설치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주유기 장치에 설치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주유기 장치에 설치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구성요소 또는 이들의 조합이 존재하는 것을 표현하려는 것이지, 다른 구성요소 또는 특징이 존재 또는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주유기 장치에 설치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량 급유 감시장치는 주유기 장치(F)에 설치된다.
주유기 장치(F)는 주유노즐(200)과 주유기(100)를 포함한다. 도 1에서는 상기 주유기(100)를 스탠드 형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천장형 주유기도 본 발명의 주유기(100)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주유노즐(200)은 차량의 급유구(A)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공급부(220)와 차량의 급유구(A)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는 회수부(240)를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주유노즐(200)의 내부는 중심관과 상기 중심관을 둘러싼 외측관으로 구성된 2중관 형태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연료유를 공급하는 공급부(220)는 중심관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상기 유증기를 회수하는 회수부(240)는 외측관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상기 급유관(122)과 회수관(124)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하로 나뉘어지도록 도시하였으나, 상기 주유노즐(200)이 2중관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급유관(122)이 상기 중심관과 연결되어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수관(124)이 상기 외측관과 연결되어 중심관을 둘러싸는 형태로 외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은 주유기(100) 또는 주유노즐(200)의 기구적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4971호, 제10-0262869호, 제10-1439172호 등을 통해 참조될 수 있다.
상기 주유기(100)는 상기 주유노즐(200)과 급유관(122)을 통해 연결되며, 급유 펌프(140)의 동작에 의해 연료유가 저장된 저장소(500)로부터 상기 주유노즐(200)로 연료유를 공급하고 회수 펌프(16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주유노즐(200)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한다. 일예로, 저장소(500)는 지하 저장소일 수 있다.
상기 회수 펌프(160)는 유증기를 흡입 및 이송하기 위한 기체 흡입 장치(예, 공기 펌프)의 기능을 갖는 펌프이며, 주유노즐(200)의 외측 단부로부터 유증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주유노즐(200)의 외측 단부, 주유노즐(200)의 내부, 주유노즐(200)과 상기 급유관(122)의 연결부위 등에서 예상하지 않은 누유 발생시 상기 회수 펌프(160)의 동작에 의해 유증기 이외에도 누유액이 함께 회수관(124)에 흡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수 펌프(160)에 의해 회수되는 회수물에 포함되는 누유액은 주유시 문제가 발생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누유액이 발생하는 것은 곧 정량의 주유가 이뤄지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누유액이 발생하는 경우 주유 중지 및/또는 알람 출력 등 비상 상태 동작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정량 급유 감시장치는 주유기 컨트롤러(410), 유량계(180), 회수부 컨트롤러(420),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 및 누유 회수 감지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상기 급유 펌프(140)를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한다.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주유기 장치(F)의 기본 주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 수단(442)을 통해 작업자 또는 고객에 의해 주유가 필요한 연료유의 유종과 주유량을 입력받아 급유 펌프(140)를 제어한다. 입력 수단(442)은 터치 패널과 같은 공지의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 수단일 수 있다.
일예로,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주유량에 따른 주유금액을 산출하고 결제가 이뤄지도록 하는 결제부(예, POS(point of sales), 미도시)와 연결되어 주유와 관련된 결제 기능과 연동될 수도 있다. 또한,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600)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주유기 장치(F)의 급유 데이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일예로,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전원공급부, 중앙처리부(CPU), 메모리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제어 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RS422/RS485/RS232와 같은 직렬 통신 프로토콜의 인터페이스, USB와 같은 직렬 버스 규격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계(180)는 상기 급유 펌프(140)에서 주유노즐(200)로 공급되는 연료유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로 유량 측정값을 제공한다.
상기 회수부 컨트롤러(420)는 상기 회수 펌프(160)를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하며 적어도 상기 급유 펌프(140)의 온(ON) 제어에 기초하여 회수 펌프(160)를 온(ON) 제어한다. 일예로, 회수부 컨트롤러(420)는 전원공급부, 중앙처리부(CPU), 메모리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제어 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상기 주유노즐(200)의 회수부(240)와 유증기 회수관(124)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회수 펌프(160)에 의해 회수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회수물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의 누유 여부를 감지한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회수 펌프(160)의 동작에 의해 회수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회수물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의 누유 여부를 감지한다. 누유액은 연료유의 일부가 새어 나오거나 유증기가 응축되어 발생할 수 있으며, 빗물 또는 응축된 수증기로 인해 생성된 미량의 수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의 예시 구성은 도 5, 도 6을 통해 후술한다.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는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누유로 판단시 비상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로 전송한다. 일예로, 누유 회수 감지부(430)는 전원공급부, 중앙처리부(CPU), 메모리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제어 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주유기 장치(F)에는 기본 주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주유기 컨트롤러(41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와 같이 누유 판단시 비상 상태 신호를 생성하는 누유 회수 감지부(430)를 별도 설치하여 주유기 컨트롤러(410)를 중심으로 연동하는 구성을 취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즉, 누유 판단시 비상 상태 신호는 누유 회수 감지부(430)가 생성하지만, 비상 상태 신호에 따른 비상 제어는 주유기 장치(F)에 기본 주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주유기 컨트롤러(410)를 통해 실행하므로, 통상적인 급유 제어와 비상 상태에서의 비상 제어가 주유기 컨트롤러(410)에서 통합적으로 실행되어 제어 동작 상호 간의 충돌이나 모순이 발생되는 것을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유기 장치(F)에 기본 주유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주유기 컨트롤러(410) 자체의 구성을 변경하지 않으면서도 비상 상태 제어 기능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하게 기능 확장 내지 변형 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은 특히 유증기 회수 기능이 없는 기존 방식의 주유기 장치에 유증기 회수 및 누유 감지 기능을 확장 설치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입력 수단(442)을 통해 유종(油種)과 유량 정보가 입력된 후 주유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유 펌프(140)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주유 동작 개시 후 상기 유량계(180)로부터 측정 제공되는 유량 측정값이 입력 수단(442)을 통해 입력된 입력 유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급유 펌프(140)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회수부 컨트롤러(420)는,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로부터 상기 급유 펌프(140)로 출력되는 온(ON) 제어 신호의 감지 시에 상기 회수 펌프(160)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일예로, 상기 회수부 컨트롤러(420)는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로부터 상기 급유 펌프(140)로 출력되는 제어 신호라인에 회수부 컨트롤러(420)의 신호 입력 측이 연결되어 제어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상기 온(ON) 제어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급유 펌프(140)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회수부 컨트롤러(420)는,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로부터 상기 급유 펌프(140)로 출력되는 오프(OFF) 제어 신호의 감지 시에 회수 펌프(160)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누유 회수 감지부(430)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생성된 경우, 급유 펌프(140)와 회수 펌프(160)를 모두 오프(OFF) 제어하여 연료유의 급유 동작과 유증기 회수 동작을 모두 정지하는 방식으로 비상 상태 제어를 한다. 비상 상태에 따른 정지 제어를 확실하게 실행하고 누유 문제를 처리하는데 유리한 방식이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입력 수단(442)을 통해 주유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유 펌프(140)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유량계(180)로부터 제공된 유량 측정값이 입력 수단(442)을 통해 입력된 입력 유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급유 펌프(140)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과정에서, 상기 회수부 컨트롤러(420)는,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로부터 상기 급유 펌프(140)로 출력되는 온(ON) 제어 신호의 감지 시에 상기 회수 펌프(160)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후,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상기 온(ON) 제어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회수부 컨트롤러(420)로 비상 상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회수부 컨트롤러(420)는,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로부터 출력된 비상 상태 신호의 감지 시에 상기 회수 펌프(160)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누유 회수 감지부(430)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생성된 경우, 급유 펌프(140)의 동작은 멈추지 않고 회수 펌프(160)만 오프(OFF) 제어하여, 연료유의 급유 동작은 당초 입력 유량까지 계속 진행하되, 유증기 회수 동작만 정지하는 방식으로 비상 상태 제어를 한다.
비상 상태 신호의 기준이 되는 누유량이 낮게 설정되거나, 주유 시 급유량이 입력 유량의 급유 완료에 거의 도달한 상태(예, 90% 급유 진행)일 때에는 실질적으로 정량 공급이 완료된 상태로 볼 수 있으므로 연료유의 급유 동작까지 모두 멈추고 작업자의 확인을 하는 것이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누유액이 계속 발생되지 않도록 누유 회수 동작은 일단 멈추고 급유 동작을 완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입력 수단(442)을 통해 주유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유 펌프(140)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유량계(180)로부터 제공된 유량 측정값이 입력 수단(442)을 통해 입력된 입력 유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급유 펌프(140)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상기 온(ON) 제어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알람 출력 수단(446)으로 알람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알람 출력은 빛(예, 경고등 점멸) 또는 소리(예, 경고음 송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으며, 주유 작업자나 운전자 등에게 현재 누유가 발생되었음을 알리거나 급유 펌프(140)가 동작 정지가 된 상태를 알릴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누유 회수 감지부(430)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생성된 경우, 급유 펌프(140) 및/또는 회수 펌프(160)의 정지 제어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알람 출력이 이뤄질 수 있다. 알람 출력만 독립적으로 이뤄지는 경우, 비상 상태를 작업자가 확인하고 직접 누유 문제 처리를 하도록 하는데 유리하다.
한편, 상술한 도 1의 실시예는 주유기 장치(F)에서 로컬 제어 관점에서 실행되는 제어 구성에 주안점을 두고 설명되었다. 변형예로서,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600) 및/또는 주유 작업자의 휴대 단말(700)과 연동하여 주유소 전체 관리 시스템 관점의 제어가 이뤄질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주유기 장치에 설치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2에 예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정량 급유 감시장치는 관리용 감지부(45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 관리용 감지부(450)는 전원공급부, 중앙처리부(CPU), 메모리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하는 제어 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관리용 감지부(450)는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600) 및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와 각각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상기 관리용 감지부(450)는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관리 컴퓨터(600)로 상기 전송된 비상 상태 신호에 관한 비상 상태 데이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하나의 관리용 감지부(450)는 주유소에 설치된 복수의 주유기 장치(F)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누유 회수 감지부(430)와 연결되며, 상기 비상 상태 데이터는 상기 비상 상태 신호를 전송한 누유 회수 감지부(430)의 고유 식별 정보(예, 주유기 고유 ID 번호)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관리 컴퓨터(600)는 미리 등록된 주유 작업자의 휴대 단말(700)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상 상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네트워크는 LTE와 같은 이동통신망,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인터넷망, 블루투스/지그비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망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호 710은 이동통신망용 서버를 나타낸다.
상기 휴대 단말(700)은 주유관리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스마트폰, 태블릿 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주유 작업자는 주유소의 주유원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운전자 스스로 주유하는 셀프 주유소의 경우 상기 주유 작업자는 운전자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관리 컴퓨터(600)에서 비상 상태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관리 컴퓨터(600)에 구비된 관리 프로그램의 동작에 따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상 상태 신호를 주유원의 휴대 단말(700)에 무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주유 작업자는 휴대 단말(700)을 확인하고 누유 발생으로 인해 주유가 정지되었음을 인지하고 후속 대응(예, 주유비 계산, 주유노즐(200) 상태 점검 등)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리 컴퓨터(600)는 상기 비상 상태 신호에 기초한 문자 메세지 등을 주유 작업자의 휴대 단말(7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누유 회수 감지부(430)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생성된 경우, 관리용 감지부(450)의 설치를 통해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600)에서 주유소 내의 각각의 주유기 장치의 비상 상태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주유원으로 비상 상태 조치를 위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주유기 장치에 설치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600)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주유기 장치(F)의 급유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주유소의 관리용 감지부(450)와 연결되어 상기 비상 상태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관리용 감지부(450)는 상기 관리 컴퓨터(600)로 상기 비상 상태 신호에 관한 비상 상태 데이터를 제공한다. 일예로, 상기 관리용 감지부(450)와 상기 관리 컴퓨터(600)는 USB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주유기 컨트롤러(410)가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600)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주유기 장치(F)의 통상적인 급유 데이터를 파악하는 것과 함께, 누유 회수 감지부(430)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생성된 경우에 관리용 감지부(450)를 통해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600)에서 비상 상태를 통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주유기 장치에 설치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의 변형예로서 도 4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410)와 상기 관리 컴퓨터(600)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와 상기 관리용 감지부(450)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주유기 컨트롤러(410)는 급유 데이터 관리를 위해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600)와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주유기 컨트롤러(410)와 관리 컴퓨터(600)가 이미 유선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 설치된 상태의 주유소에 있어서,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설치하는 작업의 부담 없이 누유 회수 감지부(430)로부터 전송되는 비상 상태 신호를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600)가 무선망을 통해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미설명된 부호 430a, 부호 450a는 누유 회수 감지부(430) 또는 관리용 감지부(450)에 각각 설치되어 상호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 모듈을 각각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일예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320)과, 상기 하우징(320)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수물이 유입되는 유입관부(340)와, 상기 하우징(320)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수물에서 분리된 유증기가 배출되는 배출관부(350)를 포함한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상기 회수관(124)을 통해 하우징(320) 내부로 유입되는 회수물을 유증기와 누유액으로 분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회수관(124)을 통해 유입관부(340)로 회수물이 유입되면, 상기 유증기는 회수 펌프(160)에 의해 배출관부(350)로 배출하게 되며, 상기 누유액은 배출관부(350)로 이동하지 못하고 자중에 의해 하우징(320) 내측 하부로 낙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리된 유증기는 연료유 공급 측으로 보내고, 누유액은 하우징(32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연료유 공급 측은, 예를 들어, 저장소(500) 또는 주유노즐(200)이나 급유관(122)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유증기를 액화시켜 연료유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액화장치(미도시)를 거쳐서 연료유 공급 측으로 보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상기 하우징(320)에 기준 용량 이상의 누유액이 저장되는 것을 감지하여 누유 여부를 감지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로서 상기 '기준 용량'은 정량의 주유가 이뤄지는지 확인하기 위한 감지 기준 값으로, 일예로, 주유량에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특정량일 수 있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상기 하우징(320) 내부에 저장된 누유액량이 기준 용량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360)를 포함한다.
일예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360)는 마그네틱 스위치(예, 리드 스위치(lead switch))를 포함하는 일종의 위치 감지 센서 또는 레벨(level) 센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누유액의 높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다양한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리드 스위치를 이용한 위치 센서를 기준으로 누유액 감지 센서(360)를 설명한다.
일예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360)는 일단부에 스위치 접점(362a, 362b)을 갖는 2개의 선으로 이뤄진 신호전달부(362)와, 상기 유증기 또는 누유액이 스위치 접점(362a, 362b)의 상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기 스위치 접점(362a, 362b)을 내부에 구비한 진공관(364)과, 자력을 유도하여 상기 스위치 접점(362a, 362b)이 유도된 자력에 의해 상호 접촉하도록 하는 자성체(366)와, 상기 진공관(364)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신호전달부(362)를 상하로 둘러싸는 기둥 형태의 몸체(367) 및 상기 몸체(367) 상하로 이동 가능하며 누유액에 의한 부력으로 인해 누유액 상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부상(浮上)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유체(368)를 포함하여 이뤄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360)는 상기 하우징(320)에 누유액(D)이 저장되면서 점차 누유액(D)의 높이가 높아지게 되고, 누유액(D)의 높이가 높아지면서 상기 부유체(368)가 함께 상승하게 된다.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는 상기 부유체(368)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일정 거리를 두고 스냅링(369)을 더욱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스냅링(369)은 부유체(368)가 지나치게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체(368)가 상승하다가 미리 설정된 누유액 높이(h)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부유체(368)의 특정 부분(예, 부유체(368)의 상하 중간 부분)이 도달하면, 상기 자성체(366)에 의한 유도 자력에 의해 상기 스위치 접점(362a, 362b)이 서로 다른 극성으로 대전되고, 상기 스위치 접점(362a, 362b)이 자력에 의해 서로 당겨져 상호 접촉함으로써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는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누유로 판단시 비상 상태 신호를 생성한다.
일예로, 상기 누유의 판단은 상기 미리 설정된 누유액 높이(h)만큼 누유액이 저장되면 누유로 판단하고, 미리 설정된 누유액 높이(h)만큼 누유액이 저장되지 않으면 누유가 아닌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는 실제 주유량에 무관하게 누유액량이 특정값(예, 150㎖ 또는 200㎖)에 해당하는 누유액 높이에 도달하는 경우 누유로 판단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때 이러한 특정값(예, 150㎖ 또는 200㎖)이 기준 용량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에서,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360)는 저장된 누유액(D)이 기준 용량에 도달할 때 감지 신호를 누유 회수 감지부(430)에 전송한다.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는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 용량이라고 판단한 경우 비상 상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한 일예로,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430)는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누유액량이 미리 설정된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비상 상태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은 기준 용량을 주유량에 비례하여 설정하는 것으로, 일예로, 주유 관련 규정에서 규정되는 특정한 주유량(예, 20ℓ)을 기준으로 정량으로 인정되는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의 상한(예, 150㎖)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주유량 대비 기준 용량은 정량(예, 150㎖) 또는 정률(예, 0.5%) 개념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미리 설정된 누유액 높이(h)는 정량의 주유가 이뤄질 때 그 주유량에 대한 허용 가능한 오차 범위의 상한에 해당하는 연료유의 양을 기초로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ℓ 주유시 150㎖에 해당하는 누유액 높이가 누유로 판단되는 누유액 높이가 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이때 150㎖가 주유량 20ℓ 대비 기준 용량으로 설정된다.
상기 비상 상태 신호의 생성에 따른 후속 프로세스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다. 누유액 감지 센서부(300)의 상세 구성 또는 변형예 등에 관한 내용은 본 출원인의 선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87688호의 내용이 참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
100: 주유기 122: 급유관
124: 회수관 140: 급유 펌프
142: 급유 펌프 160: 회수 펌프
180: 유량계 200: 주유노즐
220: 공급부 240: 회수부
300: 누유액 감지 센서부 410: 주유기 컨트롤러
420: 회수부 컨트롤러 430: 누유 회수 감지부
450: 관리용 감지부 442: 입력 수단
446: 알람 출력 수단 500: 저장소
600: 관리 컴퓨터 700: 휴대 단말
A: 급유구 D: 누유액
F: 주유기 장치

Claims (9)

  1. 차량의 급유구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공급부와 차량의 급유구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는 회수부를 포함하는 주유노즐과, 상기 주유노즐과 급유관을 통해 연결되며 급유 펌프의 동작에 의해 연료유가 저장된 저장소로부터 상기 주유노즐로 연료유를 공급하고 회수 펌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주유노즐로부터 유증기를 회수하는 주유기를 포함하는 주유기 장치에 설치되어 정량 급유를 감시하는 장치로서,
    상기 급유 펌프를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하는 주유기 컨트롤러;
    상기 급유 펌프에서 주유 노즐로 공급되는 연료유의 유량을 측정하여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로 유량 측정값을 제공하는 유량계;
    상기 회수 펌프를 온(ON) 또는 오프(OFF) 제어하며 적어도 상기 급유 펌프의 온(ON) 제어에 기초하여 회수 펌프를 온(ON) 제어하는 회수부 컨트롤러;
    상기 주유노즐의 회수부와 유증기 회수관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회수 펌프에 의해 회수되는 유증기를 포함한 회수물에 누유액이 포함되는지를 검출하여 주유시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액 감지 센서부; 및
    상기 누유액 감지 센서부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누유로 판단시 비상 상태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로 전송하는 누유 회수 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정량 급유 감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는,
    입력 수단을 통해 주유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유량계로부터 제공된 유량 측정값이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입력 유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온(ON) 제어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급유 감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는,
    입력 수단을 통해 주유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유량계로부터 제공된 유량 측정값이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입력 유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온(ON) 제어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회수부 컨트롤러로 비상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급유 감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는,
    입력 수단을 통해 주유 동작 개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유량계로부터 제공된 유량 측정값이 입력 수단을 통해 입력된 입력 유량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급유 펌프로 오프(OFF)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온(ON) 제어 신호가 출력된 상태에서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알람 출력 수단으로 알람 온(ON)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급유 감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 및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와 각각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관리용 감지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관리용 감지부는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로부터 비상 상태 신호가 전송되면 상기 관리 컴퓨터로 상기 전송된 비상 상태 신호에 관한 비상 상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급유 감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관리용 감지부는 복수의 주유기 장치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누유 회수 감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비상 상태 데이터는 상기 비상 상태 신호를 전송한 누유 회수 감지부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급유 감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컴퓨터는 미리 등록된 주유 작업자 휴대 단말에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비상 상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급유 감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는 주유소의 관리 컴퓨터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주유기 장치의 급유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주유소의 관리용 감지부와 연결되어 상기 비상 상태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관리용 감지부는 상기 관리 컴퓨터로 상기 비상 상태 신호에 관한 비상 상태 데이터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급유 감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유기 컨트롤러와 상기 관리 컴퓨터는 유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누유 회수 감지부와 상기 관리용 감지부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량 급유 감시장치.
KR1020190053937A 2019-05-08 2019-05-08 정량 급유 감시장치 KR20200039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37A KR20200039538A (ko) 2019-05-08 2019-05-08 정량 급유 감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937A KR20200039538A (ko) 2019-05-08 2019-05-08 정량 급유 감시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115A Division KR101978676B1 (ko) 2018-10-05 2018-10-05 정량 급유 감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9538A true KR20200039538A (ko) 2020-04-16

Family

ID=7045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937A KR20200039538A (ko) 2019-05-08 2019-05-08 정량 급유 감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953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5710A (zh) * 2020-04-10 2020-06-30 张华� 一种精确度高的泵式定量控油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13A (ko) 2002-08-30 2004-03-09 박평인 주유시 연료 냄새 흡입 장치
KR100786623B1 (ko) 2006-06-12 2007-12-21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천정식 주유기
KR101787688B1 (ko) 2017-04-13 2017-10-18 한국다쓰노(주)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0313A (ko) 2002-08-30 2004-03-09 박평인 주유시 연료 냄새 흡입 장치
KR100786623B1 (ko) 2006-06-12 2007-12-21 (주)동명엔터프라이즈 유증기 회수기능을 가지는 천정식 주유기
KR101787688B1 (ko) 2017-04-13 2017-10-18 한국다쓰노(주)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45710A (zh) * 2020-04-10 2020-06-30 张华� 一种精确度高的泵式定量控油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8676B1 (ko) 정량 급유 감시장치
US8253577B2 (en) Wireless medical gases management system
US10041628B2 (en) Gas filling apparatus
TW201615256A (zh) 蒸氣回收裝置及加油站系統
KR101459481B1 (ko) 스마트 기기를 이용한 차량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27603B1 (ko) 열차자동후부감지장치
KR101340314B1 (ko) 개별적으로 사용되는 수소 고압용기의 충전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수소를 충전 및 방출하는 기구
KR20200039538A (ko) 정량 급유 감시장치
US20190292040A1 (en) Fuel dispenser with leak detection
KR101787688B1 (ko)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CN102954638A (zh) 制冷系统以及操作制冷系统的方法
KR101659558B1 (ko) 가스연료통 모니터링 시스템
KR101850131B1 (ko) 유증기 회수 액화 시스템
KR102019723B1 (ko) 가스감지장치와 감지방법 및 운용방법
JP5520039B2 (ja) 燃料供給装置
TW202016666A (zh) 潤滑注油系統監控方法
CN107782399B (zh) 具备自主防盗功能的天然气气体计量装置
CN108507636B (zh) 一种通道积水情况的检测方法、巡检装置及水位检测设备
KR20100115502A (ko)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KR20200030172A (ko) 프레스 윤활 라인 파손 감지 시스템
CN106828530B (zh) 转向架系统及高速列车监测系统
JP4335173B2 (ja) 給油所の荷下しシステム
JP6424023B2 (ja) 燃料供給装置
JP2002013700A (ja) 液化ガスの移送完了検知方法
CN214308878U (zh) 一种生物燃油油箱监控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