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5502A -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5502A
KR20100115502A KR1020090034109A KR20090034109A KR20100115502A KR 20100115502 A KR20100115502 A KR 20100115502A KR 1020090034109 A KR1020090034109 A KR 1020090034109A KR 20090034109 A KR20090034109 A KR 20090034109A KR 20100115502 A KR20100115502 A KR 20100115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age
lubricator
oil
oil leakage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해덕
Original Assignee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4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15502A/ko
Publication of KR2010011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5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209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relating to spillage or leakage, e.g. spill containments, leak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유기 내부 부품의 누유 여부를 실시간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주유기 부품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감지부; 상기 누유감지부로부터 상기 주유기 부품에 누유가 감지되면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감시 단말기로 전송하고, 경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포함하여 실시간으로 주유기의 누유 여부를 현장 및 원격지에서 감시할 수 있고, 신속히 A/S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90034109
주유기, 누유, 센서, 경보

Description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SYSTEM FOR MONITORING OIL LEAKAGE OF LUBRICATOR}
본 발명은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주유기 내부 부품의 누유 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유기는 지하에 설치된 유류저장탱크로부터 유류를 흡입하여 호스를 통해 자동차 등에 유류를 급유하도록 하는 기기로서, 본체 내부에 후렉시블, 유량계 및 펌프 관련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최근 환경오염에 대한 각종 규제에 따른 대비책이 요구되고 있고, 또한 주유소 셀프화에 따른 주유소 내의 무인화 또는 관리요원 최소화가 됨으로 주유기에서 발생되는 누유를 감지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기술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의 이해를 위해서 기재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런데, 종래에는 주유기의 부품에서 누유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실시간으로 감시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누유되는 오일이 토양으로 그대로 스며들게 되면 환경오염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주유기의 부품에서 누유가 발생되면 주유기의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감시 단말기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주유기의 누유 여부를 감시할 수 있도록 한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은 주유기 부품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감지부; 상기 누유감지부로부터 상기 주유기 부품에 누유가 감지되면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감시 단말기로 전송하고, 경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유감지부는 상기 주유기 부품에 발생되는 누유를 담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고인 누유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누유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감시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 를 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주유기의 부품에 누유가 발생하면 주유기의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감시 단말기로 전송하여 실시간으로 주유기의 누유 여부를 현장 및 원격지에서 감시할 수 있고, 신속히 A/S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 보호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c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은 주유기 부품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감지부(11)와, 누유감지부(11)로부터 주유기 부품에 누유가 감지되면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감시 단말기(3)로 전송하고, 경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2)와, 제어부(12)의 제어를 받아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14)를 포함한다.
누유감지부(11)는 주유기 부품에 발생된 누유를 담는 트레이(15)와, 트레이(15)에 고인 누유를 감지하여 제어부(12)로 전송하는 누유감지센서(16)를 포함한다.
제어부(12)는 누유감지부(11)로부터 주유기 부품의 누유가 감지되면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송신부(13)를 통해 감시 단말기(3)로 전송하고, 경보부(14)를 통해 누유 발생 경보를 발생한다.
감시 단말기(3)는 제어부(12)로부터 수신한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통신망(4)을 통해 관제센터(5)로 전달하고, 관제센터(5)는 A/S 운영센터(6)에 해당 주유기의 부품 관련 A/S를 요청한다.
도 2는 다수의 내부부품으로 이루어진 주유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실시예에 의한 누유감지센서가 주유기의 부품에 장착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c를 참고하면, 주유기(1) 내부에는 후렉시블(20), 펌프(30) 및 유량계(40) 등의 관련 부품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주유기의 내부부품에서 누유를 감지하는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들어, 주유기의 내부부품 중 후렉시블(20)은 후렉시블몸체(21)와 하부 후렌지(22)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구성되는데, 후렉시블 몸체(21)와 하부 후렌 지(22)가 체결되는 외부에 누유 발생시 누유를 담는 트레이(15)가 장착되고, 트레이(15)에 고인 누유를 감지하여 제어부(12)로 전송하는 누유감지센서(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주유기의 내부부품 중 펌프(30)는 펌프몸체(31)와 펌프풀리(32)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구성되는데, 펌프몸체(31)와 펌프풀리(32)가 체결되는 외부에 누유 발생시 누유를 담는 트레이(15)가 장착되고, 트레이(15)에 고인 누유를 감지하여 제어부(12)로 전송하는 누유감지센서(16)가 구비된다.
그리고, 주유기의 내부부품 중 유량계(40)는 유량계몸체(41)의 상부와 하부 및 측부에는 각각 상커버(42)와 하커버(43) 및 측커버(44)가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구성되는데, 체결되는 외부에 누유 발생시 누유를 담는 트레이(15)가 장착되고, 트레이(15)에 고인 누유를 감지하여 제어부(12)로 전송하는 누유감지센서(16)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주유기(1)의 내부부품에서 누유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면, 누유감지부(11)에서는 트레이(15)에 고인 누유를 누유감지센서(16)가 감지하여 제어부(12)로 전송한다.
제어부(12)는 누유감지부(11)로부터 누유가 감지되면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감시 단말기(3)로 전송하고, 경보부(14)를 통해 경보하도록 제어한다.
감시 단말기(3)는 제어부(12)로부터 수신한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통신 망(4)을 통해 관제센터(5)로 전달한다.
그러면 관제센터(5)는 주유기의 부품별 누유에 대한 A/S 요청신호를 A/S운영센터(6)에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제센터(5)가 누유에 대한 A/S 요청신호를 A/S운영센터(6)에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감시 단말기(3)가 직접 통신망(4)을 통해 A/S 요청신호를 A/S운영센터(6)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관리요원이 없는 셀프 주유소의 주유기에 장착 적용하면 실시간으로 관제센터(5)에서 주유기 부품별 누유 상태를 원격 체크하여 신속하게 A/S 관리요원을 투입시킬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다수의 내부부품으로 이루어진 주유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본 실시예에 의한 누유감지센서가 주유부의 부품에 장착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유기 3 : 감시 단말기
4 : 통신망 5 : 관제 센터
6 : A/S 운영센터 11 : 누유감지부
12 : 제어부 13 : 송신부
14 : 경보부

Claims (3)

  1. 주유기 부품의 누유 여부를 감지하는 누유감지부;
    상기 누유감지부로부터 상기 주유기 부품에 누유가 감지되면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감시 단말기로 전송하고, 경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유감지부는
    상기 주유기 부품에 발생되는 누유를 담는 트레이; 및
    상기 트레이에 고인 누유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누유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단말기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부품별 누유 상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관제센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KR1020090034109A 2009-04-20 2009-04-20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KR20100115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09A KR20100115502A (ko) 2009-04-20 2009-04-20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109A KR20100115502A (ko) 2009-04-20 2009-04-20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5502A true KR20100115502A (ko) 2010-10-28

Family

ID=43134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109A KR20100115502A (ko) 2009-04-20 2009-04-20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155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657A1 (ko) * 2017-04-13 2018-10-18 한국다쓰노(주)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KR20190115148A (ko) * 2018-03-30 2019-10-11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CN113431893A (zh) * 2021-06-25 2021-09-24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风电齿轮箱漏油防污染报警系统及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0657A1 (ko) * 2017-04-13 2018-10-18 한국다쓰노(주)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CN110506025A (zh) * 2017-04-13 2019-11-26 韩国龙野株式会社 油雾回收监控系统
KR20190115148A (ko) * 2018-03-30 2019-10-11 동화프라임 주식회사 누유 감지 기능을 가지는 주유기 및 이를 포함하는 주유기 관리 시스템
CN113431893A (zh) * 2021-06-25 2021-09-24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风电齿轮箱漏油防污染报警系统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37044B1 (en) Fuel leak detection device for a fuel dispenser
US10303190B2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with guided wave radar fuel level sensors
US10513426B2 (en) Mobile distribution station with fail-safes
CN202012393U (zh) 自检测冷却系统
US10451207B2 (en) Safety system
KR20100115502A (ko) 주유기의 누유 감시 시스템
US6311547B1 (en) Sensor for detecting leaks in a liquid hydrocarbon dispenser
KR101553573B1 (ko) 가스 누출 차단 장비
KR101608819B1 (ko) 토양, 지하수오염 예방을 위한 주유소의 누유 검출장치 및 누유 검출시스템
KR101787688B1 (ko) 유증기 회수 감시 시스템
CN112856240A (zh) 用于管道泄漏智能保护系统
KR20100115503A (ko) 주유기 관리 시스템
CN104555874B (zh) 一种潜油泵型加油机供油管道测漏装置
CN205262678U (zh) 一种泄漏检测仪
CN210091352U (zh) 一种橇装式加油装置报警监控系统
US1105971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nomous fueling of multiple fuel tanks
GB2506836A (en) A method of identifying leaks in a fluid carrying conduit
KR101883809B1 (ko) 복합 감지 장치,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스템
CN207570731U (zh) 一种环形漏液检测系统
CN201749010U (zh) 一种检漏仪的连接装置
CN217443561U (zh) 一种基于光纤探测的船舶溢油监测装置
KR101097184B1 (ko) 주유기의 안전밸브 감시 시스템
CN218646535U (zh) 一种基于液压站用漏油检测机构
JPH0977198A (ja) 給油所設備における検知装置
CN107764486A (zh) 一种环形漏液检测传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