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84653A1 -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84653A1
WO2018084653A1 PCT/KR2017/012445 KR2017012445W WO2018084653A1 WO 2018084653 A1 WO2018084653 A1 WO 2018084653A1 KR 2017012445 W KR2017012445 W KR 2017012445W WO 2018084653 A1 WO2018084653 A1 WO 201808465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sensing
user
refrigerator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44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장진호
김동정
조승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347,534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36080B2/en
Priority to EP17866818.2A priority patent/EP3537078B1/en
Priority to EP22174471.7A priority patent/EP4083552A1/en
Priority to CN201780068174.3A priority patent/CN109906350A/zh
Priority to EP22166471.7A priority patent/EP4056939A1/en
Publication of WO201808465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8465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1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 E05F15/616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 E05F15/61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swinging wings operated by push-pull mechanisms using flexible or rigid rack-and-pinion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using tim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8Alarm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2Tim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600/00Control issues
    • F25D2600/06Controlling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4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erso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user can easily open a door of the refrigerato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capable of prevent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from being automatically opened due to a malfunction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can store an object such as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n a cabinet.
  • the storage compartment is surrounded by a heat insulating wall so that the interior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maintained at a temperature lower than an external temperature.
  •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called a refrigerator compartment or a freezer compartment.
  • the user opens and closes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the door.
  • the user opens the door to put the object in or out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door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a gasket is provided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the gasket is in close contact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to prevent leakage of cold air in the storage compartment. As the adhesion of the gasket is increased, the cold air leakage prevention effect may be increased.
  • the gasket may be formed of a rubber magnet, and a magnet may be provided inside the gasket.
  • a magnet may be provided inside the gasket.
  • the auto closing function mean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los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slightly opened by using the adhesive force of the gasket, the magnetic force and the elastic force by the spring.
  • the auto closing function means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from opening by itself even when the refrigerator is slightly inclined forward.
  • the user may need a force of 6kgf to op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 This force is relatively large, making it difficult to open the door easily.
  • a very large force is applied to open the door, so that the door may open sharply.
  • a refrigerator in which a door of the refrigerator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a user presses a specific button or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when the user touches or drags a specific area of the door.
  • a refrigerator in which a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by detecting when the user or a part of the human body approaches a specific location of the refrigerator.
  •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has a problem that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even if the user does not intend.
  • the door may automatically open when the user simply passes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or when the user simply leans agains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n this case, the user may be surprised or injured by the opening of the door, and cold air loss may occur when the door is kept open. In other words, the door is opened unnecessarily, contrary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which may cause safety problems and cold air loss.
  •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a door of a refrigerator can be automatically opened even when a user is carrying an object in both hands.
  •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sequentially remove the malfunction conditions of the door opening device. For example, when the door opening device is operated while the door is opened, conditions such as when the user passes by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user or an object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for a long time, etc. may be sequentially removed.
  • the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within a sensing distance and outside the sensing distance to distinguish between sensing on and sensing off; A door opening device provided to automatically open the door; And a control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 driving condi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based on the detection on duration time and the time from the detection on to the detection off time, and to control the driving of the door opening device.
  • 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driving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is may prevent the door opening device from operating when the user passes the refrigerator.
  •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detection is off.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the driving condition is not satisfied. This may prevent the door opening device from operating if the user or object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 the controller preferably determines that the driving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time taken for the detection off after the detection is less than a preset time t1 + t2.
  • the preset time t1 corresponds to the time when the user intends to open the door and maintains access to the door
  • the preset time t1 + t2 corresponds to the door for the user to form an open space of the door. It is preferable that the decision is made corresponding to the time away from.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oor opening device from malfunctioning in stages.
  • the notification device is preferably operated before the door is opened.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notification device to inform the user that the door is to be opened when the detection on du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ime t1.
  • a door switch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the door is opened and closed, and when the door switch is detected by the door switch,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driving condi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is satisfied.
  • the sensing on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user is within the sensing distance through the sensor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intends to open the door when the detection on du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ime t1; A sensing off step of sensing whether a user is out of a sensing distance through the sensor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A second determination step of secondly determining that the user intends to open the door when the time required for the detection off after the detection on is less than a preset time (t1 + t2);
  •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including a door opening step of automatically opening a door by driving a door opening device after the second determination may be provided.
  • the detection off step is not performed for a preset time t3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it is preferable to return to the detection on step after performing the detection off step.
  • the sensing on step may include initializing a time to counting a time after the sensing on.
  • a notification step for informing the user that the door is to be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a notification step for informing the user that the door is to be opened.
  • the detection off step is performed after the notification step.
  • the sensing on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 the sensing on step of detecting whether the user is within the sensing distance through the sensor A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that the user intends to open the door when the detection on duration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ime t1; A notification step of informing the user that the door is to be opened by operating a notification device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A sensing off step of sensing whether the user is out of a sensing distance through the sensor after the notifying step; And, after the detection off step,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door opening step of automatically opening the door by driving the door opening device.
  • the notification step is not simply to inform the user that the door is to be opened, but may be a step for confirming the user's intention to open the door once again. This is because the user must move for detection off through the notification step. By this movement, the user's intention to open the door can be more clearly confirmed.
  • the notification device is preferably a buzzer for generating a beep sound.
  • the device is a sound generating device.
  • the sensing on step is preferably performed.
  • a refrigerator can be provided so that a user can easily op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while maintaining the closing force of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 a refrigerator in which a user does not need to touch a button or a sensor for automatically opening a door. Therefore, even when the user is holding an object in both hand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in which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can be automatically opened.
  • a refrigerator which can preven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from being opened in a malfunction through a control method without adding a new configuration.
  • a refrigerator having a plurality of door opening modes
  •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ay be provided through which a user may intuitively grasp whether a door is opened in which door opening mode.
  •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sequentially remove a malfunction condi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For example, when the door opening device is operated while the door is opened, conditions such as when the user passes by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user or an object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for a long time, etc. may be sequentially remov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shown in FIG. 1;
  •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an example of a door opening device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door opening device applicable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applicable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onfiguration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applicable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refrigerator applicable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 form having two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wo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ower freezing compartment are shown.
  • a refrigerator may include a cabinet 10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may include a door 12 provided in the cabinet 10.
  • the storage compartment formed by the cabinet may be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12. Therefore, the refrigerator may have an outer shape formed by the cabinet 10 and the door 12.
  • the door Since the user uses the refrigerator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the door is located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 a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1 may be provided.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3 may be provided as left and right doors 15 and 14.
  • a freezer compartment door 16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er compartment 112 may be provided.
  •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6 may be provided as left and right doors 18 and 17.
  • the door 12 may be rotatably provided through the door hinge 114. That is, the door 12 may be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cabinet through the door hinge 114.
  • the door is provided with a handle.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doors 14, 15, 17, 18 are provided with handles 14a, 15a, 17a, 18b, respectively.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enhance the user's convenience by using the user's intuitive opera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the door shown in FIG. 1.
  • FIG. 1 For convenience the right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4 is shown.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oor opening device 25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door. That is, it may include a device for automatically opening the door by electric. Such a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door as shown in FIG. 2. However, it may be provided in the cabinet rather than the door.
  • the door opening device 25 is driven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or state, and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by the door opening device 25.
  • the force required for the user to open the door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 a sensor for determining the predetermined condition or state Such a sensor is mentioned later.
  • 3 to 5 show examples of the door opening device 25 that can be applied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an example provided in the door 14 is shown.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the door opening devic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That is,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door opening device 25 is mounted on the cap deco portion of the door.
  • the door opening device 25 includes a housing 26. At least one gear 28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6.
  • the gear 28 is oper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26. Rotation of the motor 26, which rotates at a high speed, can be slowed down through the gear 28. At least a portion of the motor 26 may be received in the housing 26.
  • the housing 26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door 14. After the housing 26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14, a cap deco not illustrated ma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14. Therefore, most components of the door opening device including the housing 26 may be mounted inside the door 14 to be protected from the outside.
  • the motor 26 is driven to open the door 14.
  • the gear 28 is also driven by the drive of the motor 26.
  •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26 may be transmitted to the rack 29 through the gear 28.
  • the rack 29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housing 26. That is, the rack 29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protruding length is variable in the housing.
  •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ack 29 is proportional to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14. This is because the rack 29 maintains contact with the cabinet 10 when the door 14 rotates about the door hinge 114. However, as will be described later, since the contact position of the rack 29 and the cabinet 10 having a linear shape is variabl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ack 29 and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14 are not directly proportional.
  • Increasing the protruding length of such rack 29 is limited. That is, there is a limit to further increase the angle at which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This is because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ack 29 cannot be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rack 29. This is because the length of the rack cannot be lar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 of the door 14, that is, the door thickness.
  • the rack 29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front and rear of the door 14.
  • design problems can be caused very seriously.
  • the exposure of the rack 29 moved from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may cause not only a design problem but also a problem that the overall door opening device becomes complicated.
  • the rack 29 is moved in a straight line. That is, the rack 29 and the cabinet 10 ar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door closed. However,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ncreases, the angle between the rack 29 and the cabinet 10 changes. This means that the part where the rack 29 and the cabinet 10 contact is moved.
  • the rack 29 illustrated in FIG. 3 moves in a straight line, but the door opening device 25 may move in a curved line. That is, all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but only the shape of the rack 29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rack 29 may have a curved shape as a whole.
  • the distal portion of the rack 29 is straight and only the portion in contact with the gear 28 may have a curved shape.
  • the curve may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radius with respect to the door hinge 114.
  • the rack 29 may protrud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radius with respect to the door hinge 114. That is, the rack 29 may push the cabinet 10 while protruding from the door 14 by driving the motor 26.
  • a propor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ack 29 and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14 can be satisfied. Therefore, by using the curved rack 29 rather than the straight rack 29,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can be made relatively larger.
  • the curved rack 29 is not easy to manufacture and may cause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increased.
  • the curve of the rack 29 should be mounted to have a constant radius with the door hinge 114. That is, various problems may arise when the mounting position is not correct. Therefore, the mounting position must be very limited and very precise mounting is required.
  • FIG. 5 is an improved form of the door opening device 25 described in FIG.
  • the door opening device 25 may move in a diagonal line. That is, all other configurations are the same, but only the shape of the rack 29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rack 29 illustrated in FIG. 3 may be formed to protrude while having a vertical angle with respect to the door 14. However, in the door opening device 25, the rack 29 may be formed to protrude at an oblique angle with respect to the door 14. In other words, the rack 29 shown in FIG. 3 mov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14, but the rack 29 in this embodiment moves in an inclined direc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door 14. do.
  • the length of the rack 29 in this embodiment can be mad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door 14. That is, it means tha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rack 29 can be further increased. Thus, the angle at which the door is automatically opened can be further increased.
  • the door opening angle increase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rack withdrawal.
  • the door opening angle is maximized when the rack is pulled out at maximum.
  • the user can then hold the handle and further rotate the door.
  • the door openings therefore provide the force to open the door only up to the automatic opening angle of the door.
  • the relatively large force is required at the initial opening of the door, the user can open the door very conveniently.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types of door opening devices may be applied to this embodiment.
  • a door opening device mounted on a cabinet other than the door opening device may be applied.
  • a door opening device for opening both doors may be applied instead of a device for opening only one door.
  • the sensor 115 detects the intention of the user to open the door.
  • the sensor 115 is preferably a distance sensor or a human body sensor, not a sensor of a user directly pressing or touching. That is, as shown in Figure 1, the sensor 115 may be mounted o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through which the user can detect the access to the refrigerator.
  • the sensor 115 Since the sensor 115 is not a user touch method, the user does not need to perform a special operation. That is, simply access the refrigerator. Therefore, when holding the object in both hands it is difficult to open the door, or if a separate touch is difficult can be very effective.
  • the controller 110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25 to automatically open the door.
  • the sensor 115 may be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user is within the sensing distance and outside the sensing distance.
  • the former can be referred to as sensing on and the latter as sensing off.
  • the sensor 115 may count the time that the sensing on lasts. And, after the sensing on is continued, it is possible to count the time that the sensing off is performed.
  • the intention to open the door of the user can be clearly determined based on the counted times. That i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a case where the user does not intend to open the door, thereby preventing the door from being opened in a malfunction.
  • the door switch 200 and the notification device 300 which are control components of a general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 the door switch 200 is simply configured to determine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refrigerator. When the door switch 200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the lighting device is turned on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when the door switch 200 detects the closing of the door, the lighting device is turned off.
  • the notification device 300 may generate a notification sound or a beep sound in the buzzer. In other words, the user is alerted by the notification sound.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frigerator and a control method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alfunction of the door, in particular through a sensor 115 that senses a user's approach with a similar control configuration.
  • An initial stage or a start stage S10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step of preparing to drive the door opening device may be performed.
  • the user To open the door,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tends to open the door.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primarily interested in opening the door to access the refrigerator. This is because opening the door assumes that the user has access to the refrigerator.
  • the sensing on step S30 may be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s within a sensing distance through the sensor 115. It can be said that the first gate for opening the door has passed only after the sensing on has been performed.
  • the door should not be opened. In this case, the time for which the sensing on is maintained in the sensor is relatively small.
  •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40 is performed.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user intends to open the door is performed.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40, the sensing on duration is compared with a preset time t1.
  • the predetermined time t1 may be a relatively short time for the user to pass through the refrigerator. Therefore, when the sensing on is maintained for about 1 second or mor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willing to open the door.
  • the user can perform other tasks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without intention of opening the door. For example, you can clean the front of the refrigerator or lean against it. Even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not opened automatically.
  • the refrigerator Due to the nature of the refrigerator, a certain distance from the user must be maintained in order to open the door. In general use of the refrigerator, keep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frigerator, hold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and open the door. The user further accesses the refrigerator to take out food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the user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door should be kept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frigerator when the door is opened.
  • the user may mov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frigerator to open a door of the refrigerator.
  • the proximity of the refrigerator is a little further away from the refrigerator to op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70 is performed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That i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user has moved to secure the space for the door opening. This travel time is not relatively long. Therefore,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willing to open the door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before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 the sensing off step S70 may be not performed for a preset time t3
  • the sensing off step S30 may be returned to the sensing on step S30.
  • time counting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or may be performed by dividing step by step.
  • FIG. 7 an example in which time counting is continuously performed from the sensing on to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80 is illustrated.
  • an initial step that is, a reset step S20 of resetting the time before the sensing on is performed may be performed.
  • the reset step (S20) may be included in the sensing on step (S30).
  • the detection off is performed before the preset time t1 + t2 plus the time of detection off after the detection on duration has elapsed after the detection off step S70 is performed, the user's intention to open the secondary door is confirmed. Can be.
  • a step S90 of opening the door by finally operating the door opening device through the second door opening intention confirmation step S80 may be performed.
  • the control method may be performed on the premise that the door is closed. Therefore, a step S15 of determining whether the door is closed may be performed as a premise for determining the opening condition of the door.
  • the step S15 may be performed through a door switch.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witch, unnecessary step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erformed.
  • control method may include a notification step (S50, 60)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opening of the door in advance. That is, the notification steps S50 and 60 may be performed to notify that the door is to be automatically opened or to inform that the door opening device is to be operated.
  • This notification step is also expected to open the door, the user can also be seen as a signal to step away from the door.
  • the notification step may be regarded as a signal for confirming the intention to open the door to the user. If the user ignores the notification in the notification step and does not move, the condition of the subsequent second determination step S80 is not naturally satisfied.
  •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80 may be omitted and the door opening step S90 may be performed. That is, when the detection off (S70) is performed after the notification step, the door opening step may be performed immediately.
  • the notification may be a step of generating a sound such as a beep sound. That is, the notificat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uzzer for generating a beep sound. Therefore, even if the user's gaze is out of the refrigerator, the user can know what is happening in the refrigerator through hearing. That is, the user hears the beep and can intuitively know that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s automatically opened.
  • a notification such as a beep can inform the user that the door is scheduled to be opened, so that the user can secure sufficient space for the door opening.
  • a problem of malfunc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may occur not only in the door opening device for opening one door but also in the door opening device for opening two doors.
  • the case may be generated when two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one storage compartment are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 it may also occur when opening each door through one door opening device.
  • FIG 8 illustrates a concept of opening two doors through one door opening device.
  • the concept of opening the left and right doors 15 and 14 through one door opening device 45 on the cabinet 10 is illustrated.
  • the senor 115 may be provided, and the sensor 115 may be a sensor that detects whether or not the user approaches as described above.
  • the same problem may occur in the refrigerator that opens the left and right doors through one door opening device as described above.
  • the same problem as a malfunc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may occur.
  • FIG. 8 An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in the refrigerator illustrated in FIG. 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configuration requir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door opening device may be different because only two doors are opened instead of only one door.
  • two racks 49 are shown for opening the left and right doors in one door opening device, respectively. Therefore, duplicate description is omitted for the same features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a plurality of door opening modes may be provided. That is, the shape in which the plurality of doors are open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door opening modes may vary.
  • the plurality of door opening modes may include an opening mode in which only one door is opened.
  • the plurality of door opening modes may include an opening mode in which all doors are opened.
  • the first mode may be a left door opening and the second mode may be a right door opening.
  • the first mode may be the opening of any one of the left door and the right door
  • the second mode may be the opening of both the left and right doors.
  • the do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opened automatically against the user's intention, and the user can select a plurality of door opening modes.
  • the initial step (S100) for opening the door is performed,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door switch (S1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oor is closed, it may be performed whether or not the condition for opening the non-speed door is satisfied.
  • the sensor 115 determines whether the user has accessed the refrigerator (S130). If the sensor detects that the sensor is within a threshold value, that is, if the user is detected to be within a sensing distance of the sensor, the sensor determines that the sensor is on. . In this case,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140 of comparing the sensing on duration with the preset time T1 is performed.
  • the predetermined time T1 is a time for checking whether the user approaches the refrigerator with the intention of opening the door. Therefore, if the user maintains the access for at least 1 second, which is a preset time T1, for exampl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is willing to open the door. Of course, if the user is detected only for a very short time passing through the refrigerator can be returned to the initial stage. This can prevent the door from opening due to malfunction.
  • S100 to S140 may be said to be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step S210 of secondly determining the user's intention to open the door may be performed.
  •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210 may be regarded as similar to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S8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plurality of doors can be opened automatically and have a plurality of opening modes.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determining which door opening mode should be performed before the second determination step is performed.
  • step S190 an example of a plurality of door opening modes is illustrated as a step S190 in which the first mode is performed as the A1 mode and a step S240 in which the second mode is performed as the A2 mode.
  • the plurality of doors may be opened in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first mode and the second mode, and the user may select the same.
  • the left door may be opened in the first mode and the right door may be opened in the second mode.
  • the right door may be opened in the first mode and the left door may be opened in the first mode.
  • the right door may be selected to open both the left and right doors in the second mode. Therefore, the shape of opening the doors according to the plurality of modes may be selected by the user to satisfy the user's preference.
  • the sensing off step S180 may be performed.
  • the time elapsed until the detection off step S180 is performed may be counted. That is, when the user's intention to open the door is confirmed in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S150,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refrigerator. That is, in order to secure the open space of the door, the user moves away from the refrigerator.
  • the time required is shorter than the preset time T2
  • the selection step S160 only whether to select the first mode may be determin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first mode is selected, the step S190 of driving the door opening device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first mode. And it is not determined in the selection step S160 whether or not the user finally intends to open the door.
  • the user may move away from the refrigerator with a little more time. That is, the first mode may not be selected in the selection step S160. That is, if there is no detection off within the predetermined time (T2) in the selection step (S160), a step (S200) of detecting again through a detection sensor is performed, and again, the second mode selection step (S210) may be performed. have.
  • the second mode selection step (S210) may be referred to a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o select a second mode.
  • the second mode selection step (S21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step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intends to open the door. That is, the second mode selection and finally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user intends to open the door.
  • the detection off operation S230 When the detection off operation S230 is detected within the preset time T3 in the second mode selection step S210,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user selects the second mode. And, if the detection off (S230) is not detected during the established time (T3) it can be finally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have a door open will. In this case, the user may perform cleaning in front of the refrigerator or simply lean against the refrigerator.
  • the user can finally confirm the intention to open the door on the basis of the time required for the detection off after the detection on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f this time is longer than the time of finally adding T2 and T3, the door can be prevented from opening automatically.
  • the time required for sensing off after sensing on can be divided into two sections. For example, in the previous section, if the sensing off is performed within 1 second after the sensing 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opening mode is selected. In addition, when the sensing off is performed within 1 second and 2 seconds after the sensing on,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second open mode is selected. Of course, if the detection is off after 2 seconds, it can be finally determined that the user does not intend to open the door.
  • a desired mode may be selected from the plurality of door modes through two steps S160 and 200 performed after the first determination step. I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determination step including these steps.
  • the door opening mode may be selected differently based on a difference in time, for example, a difference in time from sensing on to sensing off.
  • the door opening mode can be selected very effectively and intuitively.
  • the notification step may be performed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at is, it is possible to inform in advance of the scheduled opening of the door or the scheduled operation of the door opening device.
  • the notification step may be a step of notifying in which mode the door is opened. That is, different types of notification steps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modes.
  • the beeping sound may be heard once (S170), and in order to perform the first mode, the beeping sound may be notified twice (S220). Therefore, the user can intuitively grasp the mod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rough the notification steps (S170, S220) tha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 steps S160 to S180 are shown in order. However, these steps may not be performed sequentially but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 the notification step S170 may be performed after the step S180.
  • S210 to S230 may also be the same.
  • the user can provide a refrigerator that is convenient to use by reducing the force required to open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industrial applicability is remark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가 오작동으로 자동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을 갖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사용자가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지와 감지 거리 밖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 온(on) 및 감지 오프(off)를 구분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개방장치; 그리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 온 지속 시간과 상기 감지 온 후 감지 오프까지의 시간을 기초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구동 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도어가 오작동으로 자동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캐비닛에 구비된 저장실에 음식물과 같은 대상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는 가전기기이다. 상기 저장실은 단열벽으로 둘러싸이게 되어 상기 저장실 내부는 외부 온도보다 낮은 온도가 되도록 유지된다. 상기 저장실의 온도 대역에 따라 저장실이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불릴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를 통해서 저장실을 개폐한다. 대상물을 저장실에 넣거나 저장실에서 꺼내기 위해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도어는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는 가스켓이 구비된다. 따라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는 가스켓이 도어와 캐비닛 사이에서 밀착되어 저장실의 냉기가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가스켓의 밀착력이 증가될 수록 냉기 누설 방지 효과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가스켓의 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스켓은 고무 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 내부에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켓의 밀착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그만큼 도어의 개방 시 큰 힘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최근에는 오토 클로징 기능이 구현된 냉장고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오토 클로징 기능은 상기 가스켓의 밀착력, 자력 그리고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 등을 사용하여 냉장고의 도어가 조금 열려 있을 때 자동적으로 냉장고의 도어가 닫히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또한, 오토 클로징 기능은 냉장고가 전방으로 조금 기울어진 경우에도 냉장고의 도어가 저절로 열리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따라서, 최근에 제공되는 냉장고는 이전의 냉장고에 비해서 도어를 개방하는 데 많은 힘이 소요된다. 왜냐하면, 냉장고의 도어를 열기 위해서 가스켓의 밀착력, 자력 그리고 탄성력을 이겨야만 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6kgf의 힘이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힘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없게 한다. 그리고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 매우 큰 힘이 가해져서 도어가 급격히 열리는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는 냉장고가 제시된 바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특정 버튼을 누르면 냉장고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냉장고 또는 도어의 특정 영역을 사용자가 터치하거나 드레그 하는 경우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냉장고가 제시된 바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인체 또는 인체의 일부분이 냉장고의 특정 위치에 근접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냉장고가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경우에도 자동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문제가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단순히 냉장고 앞을 지나가는 경우나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에 단순히 기대어 있는 경우 도어가 자동으로 열릴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도어의 열림에 놀라거나 다칠 수 있으며, 도어의 열림이 유지되는 경우 냉기 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즉, 도어가 사용자의 의도와는 달리 불필요하게 개방되어 안전상의 문제와 냉기 손실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술한 종래 냉장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힘을 줄여서 사용이 편리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냉장고의 도어가 닫히는 힘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냉장고 도어의 오토 클로징 기능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려는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여 냉장고의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려는 의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냉장고의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어의 핸들을 손으로 잡지 않고도 냉장고의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해서 버튼이나 센서를 터치하는 동작이 불필요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새로운 구성의 추가 없이 제어방법을 통해서 냉장고의 도어가 오작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도어를 하나의 도어 개방장치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복수 개의 도어를 하나의 도어 개방장치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복수 개의 도어 개방 모드를 갖는 냉장고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특정 개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알림을 통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도어 개방 모드로 도어가 개방되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방장치의 오작동 조건을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례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 개방장치가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냉장고 앞을 스쳐 지나가는 경우, 사용자나 사물이 냉장고 앞아 장기간 위치하는 경우 등과 같은 조건을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을 갖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사용자가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지와 감지 거리 밖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 온(on) 및 감지 오프(off)를 구분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개방장치; 그리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 온 지속 시간과 상기 감지 온 후 감지 오프까지의 시간을 기초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구동 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냉장고를 사용자가 스쳐 지나가는 경우 도어 개방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오프 여부를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감지 오프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냉장고 전방에 사용자나 사물이 장기가 위치하는 경우 도어 개방장치가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오프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온 후 상기 감지 오프에 소요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t2)보다 작은 경우, 상기 구동 조건이 만족됨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t1)은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을 의도하여 도어로의 접근을 유지하는 시간에 대응되며, 상기 기설정된 시간(t1+t2)은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서 벗어나는 시간에 대응되어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계적으로 도어 개방장치가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알림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작동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도어가 개방될 예정임을 알리도록, 상기 알림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스위치에서 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구동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온(on) 단계; 상기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 시간(t1) 이상인 경우, 1차적으로 사용자가 도어 개방을 의도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1차 판단 단계; 상기 1차 판단 단계 후 상기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 거리에서 벗어났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오프(off) 단계; 상기 감지 온 후 상기 감지 오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t2) 미만인 경우, 2차적으로 사용자가 도어 개방을 의도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2차 판단 단계; 그리고 2차 판단 후 도어 개방장치를 구동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1차 판단 단계 후 기설정된 시간(t3) 동안 상기 감지 오프 단계가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감지 오프 단계 수행 후 상기 감지 온 단계로 복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 온 단계는 시간을 초기화하여 상기 감지 온 후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1차 판단 단계 후, 사용자에게 상기 도어의 개방 예정임을 알리는 알림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림단계 수행 후 상기 감지 오프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방 판단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개방 판단 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 온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온(on) 단계; 상기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 시간(t1) 이상인 경우, 1차적으로 사용자가 도어 개방을 의도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1차 판단 단계; 상기 1차 판단 단계 후, 알림장치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상기 도어의 개방 예정임을 알리는 알림단계; 상기 알림 단계 후 상기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 거리에서 벗어났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오프(off) 단계; 그리고 상기 감지 오프 단계 후, 도어 개방장치를 구동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알림단계는 단순히 사용자에게 도어의 개방 예정임을 알리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를 다시 한번 확인하기 위한 단계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상기 알림단계를 통해서 감지 오프를 위해 이동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서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가 더욱 명확히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알림장치는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소리음을 발생시키는 장치임이 바람직하다.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방 판단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 개방 판단 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 온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힘을 줄여서 사용이 편리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냉장고의 도어가 닫히는 힘을 유지하면서도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냉장고 도어의 오토 클로징 기능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려는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여 냉장고의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려는 의도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냉장고의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도어의 핸들을 손으로 잡지 않고도 냉장고의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방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자동 개방을 위해서 버튼이나 센서를 터치하는 동작이 불필요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 따라서, 사용자가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는 경우에도 자동으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새로운 구성의 추가 없이 제어방법을 통해서 냉장고의 도어가 오작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도어를 하나의 도어 개방장치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복수 개의 도어를 하나의 도어 개방장치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복수 개의 도어 개방 모드를 갖는 냉장고에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특정 개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알림을 통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도어 개방 모드로 도어가 개방되는지 여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 개방장치의 오작동 조건을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 개방장치가 작동하는 경우, 사용자가 냉장고 앞을 스쳐 지나가는 경우, 사용자나 사물이 냉장고 앞아 장기간 위치하는 경우 등과 같은 조건을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의 일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의 다른 일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의 또 다른 일례의 작동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제어 구성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오우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냉장고의 개념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일례로, 상부 냉장실을 개폐하는 두 개의 도어와 하부 냉동실을 개폐하는 두 개의 도어가 구비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캐비닛(10)을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도어(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12)를 통해서 캐비닛에 의해서 형성되는 저장실이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캐비닛(10)과 도어(12)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냉장고의 전방에서 상기 냉장고를 사용하므로, 상기 도어는 냉장고의 전방에 위치된다.
일례로, 냉장실(111)을 개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13)는 좌우 도어(15, 14)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냉동실(112)를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 도어(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16)는 좌우 도어(18, 1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2)는 도어 힌지(114)를 통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힌지(114)를 통해서 상기 도어(12)가 캐비닛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도어(12)를 잡고 도어를 열고 닫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도어에는 핸들이 구비된다. 도 1에는 각각의 도어(14, 15, 17, 18)에 각각 핸들(14a, 15a, 17a, 18b)가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도어를 열고자 하는 의도를 갖는 경우 직관적으로 핸들에 손을 접근시킨다. 그리고 상기 핸들을 잠고 도어를 당기는 힘을 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사용자의 직관적인 동작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일례에 대한 사시도이다. 편의상 우측 냉장실 도어(14)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하게 하는 도어 개방장치(2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동으로 도어를 자동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대로 도어가 아닌 캐비닛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기설정된 조건이나 상태에서 구동하게 되며, 상기 도어 개방장치(25)의 구동에 의해서 도어는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힘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물론, 상기 기설정된 조건이나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센서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25)의 일례들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어(14)에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도어 개방장치는 도어의 상면에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어의 캡 데코 부분에 도어 개방장치(25)가 장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각각의 도어 개방장치(25)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어 개방장치(25)는 하우징(26)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6)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28)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기어(28)는 모터(26)의 구동에 의해서 동작하게 된다.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모터(26)의 회전이 상기 기어(28)를 통해 감속될 수 있다. 상기 모터(26)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하우징(26)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6)은 상기 도어(14)에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6)이 상기 도어(14)의 상면에 장작된 후 미도시된 캡 데코가 상기 도어(14)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26)을 포함하는 도어 개방장치의 대부분의 구성들은 도어(14) 내부에 장착되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어(14)의 개방을 위해서 상기 모터(26)가 구동된다. 이때, 모터(26)의 구동에 의해서 기어(28)도 구동된다. 상기 모터(26)의 구동력은 기어(28)를 통해서 랙(29)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랙(29)은 상기 하우징(26)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랙(29)은 상기 하우징에서 돌출 길이가 가변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도 3에는 랙(29)이 상기 하우징(26) 외부로 돌출되고 상기 도어(14) 외부로 더욱 돌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랙(29)의 돌출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상기 랙(29)은 캐비닛(10)에 대해서 상기 도어(14)가 멀어지도록 힘을 가하게 된다. 반대로, 도어(14)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랙(29)의 돌출 길이는 최소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4) 외부로 상기 랙(29)이 돌출되는 길이는 최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랙(29)의 돌출 길이는 상기 도어(14)의 개방 각도와 비례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도어 힌지(114)를 중심으로 도어(14)가 회전할 때 상기 랙(29)은 상기 캐비닛(10)과 접촉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직선 형태의 랙(29)과 상기 캐비닛(10)의 접촉 위치는 가변되기 때문에 랙(29)의 돌출 길이와 도어(14)의 개방 각도는 정비례하지는 않게 된다.
이러한 랙(29)의 돌출 길이를 키우는 것은 한계가 있다. 즉, 자동적으로 도어가 개방되는 각도를 더욱 키우는 것은 한계가 있다. 왜냐하면, 랙(29)의 돌출 길이는 랙(29)의 길이보다 클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랙의 길이는 도어(14)의 전후 폭 즉 도어 두께보다 클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랙(29)이 상기 도어(14)의 전후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디자인의 문제가 매우 심각하게 야기될 수 있다. 그리고 냉장고의 전방에서 이동되는 랙(29)이 노출되는 것은 디자인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도어 개방장치가 복잡해지는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랙(29)은 직선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랙(29)과 캐비닛(10)은 서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러나 도어의 열리는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랙(29)과 상기 캐비닛(10) 사이의 각도는 가변된다. 이는 랙(29)과 상기 캐비닛(10)이 접촉하는 부분이 이동됨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랙(29)의 말단 부분이 마모되는 경향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랙(29)의 말단 부분과 접촉되는 캐비닛 부분에도 마모되는 경향이 발생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설명된 도어 개방장치(25)를 개선한 형태라 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된 랙(29)은 직선으로 이동하지만 본 도어 개방장치(25)는 곡선으로 이동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즉, 다른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지만 상기 랙(29)의 형상만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랙(29)는 전체적으로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랙(29)의 말단 부분은 직선이며 상기 기어(28)와 접촉되는 부분만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곡선은 상기 도어 힌지(114)에 대해서 일정한 반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29)은 상기 도어 힌지(114)에 대해서 일정한 반경을 가지면서 돌출될 수 있다. 즉, 모터(26)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랙(29)은 상기 도어(14)에서 돌출되면서 상기 캐비닛(10)을 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랙(29)의 돌출 길이와 상기 도어(14)의 개방 각도 사이에 정비례 관계를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직선 형태의 랙(29)이 아닌 곡선 형태의 랙(29)을 사용함으로써 도어의 개방 각도를 상대적으로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랙(29)과 상기 캐비닛(10) 사이의 접촉 위치는 항상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랙(29)과 캐비닛(10)이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 위치가 변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는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곡선 행태의 랙(29)은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랙(29)의 곡선은 도어 힌지(114)와 일정한 반경을 가지도록 장착되어야 한다. 즉, 장착 위치가 정확하지 않은 경우 다양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위치가 매우 한정될 수 밖에 없고 매우 정밀한 장착이 필요하게 된다.
도 5는 도 3에서 설명된 도어 개방장치(25)를 개선한 형태라 할 수 있다.
도 3에서 설명된 랙(29)은 직선으로 이동하지만 본 도어 개방장치(25)는 사선으로 이동하는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즉, 다른 구성들은 모두 동일하지만 상기 랙(29)의 형상만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랙(29)은 도어(14)에 대해서 수직 각도를 가지면서 돌출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도어 개방장치(25)에서 랙(29)는 도어(14)에 대해서 사선 각도를 가지면서 돌출되는 형태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3에 도시된 랙(29)은 도어(14)의 두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랙(29)은 도어(14)의 두께 방향에서 기울어진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의 랙(29)의 길이는 상기 도어(14)의 두께보다 더욱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랙(29)의 돌출 길이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각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도어 개방장치들에서는 랙이 인출되는 길이에 따라 도어 개방각도가 증가한다. 따라서, 랙이 최대로 인출될 때 도어 개방 각도가 최대가 된다. 그러나, 이후 사용자는 핸들을 잡고 도어를 더욱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 개방장치들은 도어의 자동 개방 각도까지만 도어를 개방시키는 힘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도어의 초기 개방시 상대적으로 큰 힘이 소요되므로 사용자는 매우 편리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도어 개방장치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도어 개방장치가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 개방장치가 도어가 아닌 캐비닛에 장착된 도어 개방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하나의 도어만을 개방하는 장치가 아닌 양쪽의 도어를 개방하기 위한 도어 개방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구성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려는 의도를 센서(115)에서 감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115)는 사용자가 직접 누르거나 터치하는 방식의 센서가 아닌 거리 감지 센서 또는 인체 감지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의 전면에 센서(115)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였음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센서(115)는 사용자가 터치하는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사용자가 특별한 동작을 할 필요가 없다. 즉, 단순히 냉장고에 접근하기만 하면 된다. 따라서, 양손에 물건을 들고 있어서 도어를 개방하는 데 어려운 경우, 또는 별도의 터치가 어려운 경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센서(115)에서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고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도어 개방장치(25)의 작동을 제어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센서(115)는 사용자가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지와 감지 거리 밖에 있는지를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자를 감지 온(on) 그리고 후자를 감지 오프(off)라 할 수 있다.
상기 센서(115)에서 감지 온이 지속되는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온이 지속된 후 감지 오프가 수행되는 시간을 카운팅할 수 있다. 상기 카운팅된 시간들을 기초로 하여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를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가 없는 경우를 구분할 수 있어서 도어가 오작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일반적인 냉장고의 제어 구성인 도어 스위치(200)와 알림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 스위치(200)는 단순히 냉장고의 개방 및 닫힘만을 판단하는 구성이다. 도어 스위치(200)에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면 저장실 내부에 조명장치가 켜지게 되고, 도어 스위치(200)에서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면 상기 조명장치가 꺼지게 된다.
또한, 냉장고의 도어가 일정 시간 이상 개방되면 상기 알림장치(300) 일례로 부저에서 알림음 내지는 비프(beep)음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알림음으로 사용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제어구성을 보면 일반적인 냉장고의 제어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종래와 유사한 제어구성과 함께 특히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115)를 통해서 도어의 오작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냉장고 및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초기단계 또는 시작단계(S1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도어 개방장치의 구동을 준비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도어의 개방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 여부를 판단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는 것을 1차적으로 도어 개방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도어를 개방하는 것은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하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제어방법에서는 센서(115)를 통해서 사용자가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 온 단계(S30)가 수행될 수 있다. 감지 온이 수행되어야 비로소 도어 개방을 위한 1차 관문이 통과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도어 개방을 위해서 냉장고에 접근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스쳐지나가는 의도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도어가 개방되어서는 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는 상대적으로 상기 센서에서 감지 온이 지속되는 시간이 작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1차 판단 단계(S40)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의 진정한 도어 개방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1차 판단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판단 단계(S40)에서는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과 비교하게 된다.
상기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보다 큰 경우 1차적으로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설정된 시간(t1)은 사용자가 냉장고를 스쳐지나가는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대략 1초 이상의 시간 동안 감지 온이 지속되는 경우 1차적으로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도어 개방 의사 없이 냉장고 전방에서 다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 전방을 청소하거나 냉장고에 기대 서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냉장고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장고의 특성상 도어가 개방되기 위해서는 사용자와의 일정한 거리가 유지되어야 한다. 일반적인 냉장고의 사용 형태를 보면 냉장고에서 일정 거리를 유지한 후 냉장고의 도어를 잡고 도어를 개방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냉장고에 더욱 접근하여 저장실 내에서 음식물을 꺼내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 냉장고와 일정 거리를 유지해야 함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사용 형태를 고려하여, 사용자는 냉장고의 도어 개방을 위해서 냉장고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즉, 냉장고에 근접한 후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도록 냉장고에서 조금 더 떨어져 있게 된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1차 판단 단계 후 2차 판단 단계(S7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도어 개방을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서 이동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이동 시간은 상대적으로 길지 않다. 따라서, 이때에는 1차 판단 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감지 오프인 것이 도어 개방을 위한 사용자의 의지라고 판단될 수 있다.
만약, 기설정된 시간이 훨씬 경과되어 감지 오프인 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 개방 의사가 없이 청소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기설정된 시간(t3) 동안 상기 감지 오프 단계(S70)가 수행되지 않으면, 감지 오프 단계 수행 후 감지 온 단계(S30)으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시간 카운팅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단계 별로 나눠서 수행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시간 카운팅이 감지 온에서부터 2차 판단 단계(S80)까지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는 초기 단계 즉, 감지 온이 수행되기 전에 시간을 리셋하는 리셋 단계(S20)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리셋 단계(S20)는 감지 온 단계(S30)에 포함될 수도 있다.
감지 오프 단계(S70)가 수행된 후 감지 온 지속 시간 경과 후 감지 오프된 시간을 더한 기설정 시간(t1+t2)이 경과되기 전에 감지 오프가 수행되면, 사용자의 2차적인 도어 개방 의사가 확인될 수 있다.
따라서, 2차적인 도어 개방 의사 확인 단계(S80)을 거쳐 최종적으로 도어 개방장치를 작동시켜 도어가 개방되는 단계(S9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도어가 닫혀있음을 전제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 조건 판단을 위한 전제로 도어가 닫혀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5)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단계(S15)는 도어스위치를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스위치를 통해서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불필요한 단계들이 수행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방법은, 사용자에게 도어의 개방을 미리 알리는 알림 단계(S50, 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될 예정임을 알리거나 도어 개방장치가 작동할 예정임을 알리는 알림 단계(S50, 60)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알림 단계는 도어가 개방될 예정이니 사용자는 도어에서 조금 물러나라는 신호라고도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알림 단계는 사용자에게 도어의 개방 의사를 확인하기 위한 신호라고도 볼 수 있다. 상기 알림 단계에서의 알림을 무시하고 사용자가 이동하지 않는 경우는, 자연스럽게 후속하는 2차 판단 단계(S80)의 조건을 만족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알림 단계(S50, S60)가 수행되면 2차 판단 단계(S80)을 생략하고 도어 개방 단계(S90)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알림 단계 후 감지 오프(S70)가 수행되면 바로 도어 개방 단계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알림 단계는 비프 음과 같은 소리를 발생시키는 단계일 수 있다. 즉, 알림장치는 비프 음을 발생시키는 부저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이 냉장고를 벗어나더라도 사용자는 냉장고에 무슨 일이 있는지 청각을 통해서 알 수 있다. 즉, 비프(beep) 음을 듣고 사용자는 냉장고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서 도어의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구성 추가 없이도 제어 측면을 통해서 이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를 오작동 없이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비프 음과 같은 알림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도어 개방 예정임을 알려서 사용자가 도어 개방을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어 개방장치의 오작동 문제는 하나의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뿐만 아니라 두 개의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개방장치에도 발생될 수 있다.
일례로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두 개의 도어가 좌우에 구비되는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다. 각각의 도어를 별도의 도어 개방장치를 이용하여 개방하는 경우는 물론, 하나의 도어 개방장치를 통해서 각각의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에도 발생될 수 있다.
도 8은 두 개의 도어를 하나의 도어 개방장치를 통해서 개방하는 개념을 도시하고 있다. 일례로 캐비닛(10) 상면에 하나의 도어 개방장치(45)를 통해서 좌우 도어(15, 14)를 개방할 수 있는 개념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센서(115)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1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일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도어 개방장치를 통해서 좌우 도어를 개방하는 냉장고에서도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하나의 센서(115)를 통해서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를 판단하는 경우에도 도어 개방장치의 오작동과 같은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냉장고에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요구되는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할 수 있으며, 다만 하나의 도어가 아닌 두 개의 도어를 개방하기 때문에 도어 개방장치가 상이할 수 있다. 일례로, 도 8에서는 하나의 도어 개방장치에서 좌우 도어를 각각 개방하기 위한 두 개의 랙(49)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특징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좌우 두 개의 도어 내지는 복수 개의 도어가 자동으로 개방되는 냉장고이므로, 도어의 개방 모드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도어 개방 모드마다 복수 개의 도어가 개방되는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복수 개의 도어 개방 모드는 어느 하나의 도어만 열리는 개방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도어 개방 모드는 모든 도어가 열리는 개방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좌우 도어의 경우, 제1모드는 좌측 도어 개방 그리고 제2모드는 우측 도어 개방일 수 있다. 물론, 그 반대일 수 있다. 또한, 제1모드는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 중 어느 하나의 개방 그리고 제2모드는 좌우측 도어 모두의 개방일 수 있다.
본 실시예를 통해서, 사용자의 의사에 반하여 도어가 자동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복수 개의 도어 개방 모드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개방을 위한 초기 단계(S100)가 수행되며,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 개방 여부를 판단(S110)하게 된다. 도어가 닫혀있음으로 판단되면 비로속 도어 개방을 위한 조건이 만족되는지 여부가 수행될 수 있다.
센서(115)에서 사용자가 냉장고에 접근했는지 여부를 판단(S130)하게 되며 센서가 임계값 이내임을 감지하면, 즉, 사용자가 센서의 감지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센서는 감지 온으로 판단한다. 이때,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과 비교하는 1차 판단 단계(S140)가 수행된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T1)은 사용자가 도어 개방 의사를 갖고 냉장고에 접근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한 시간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일례로 기설정된 시간(T1)인 1초 이상 접근을 유지하면, 1차적으로 사용자에게 도어 개방 의사가 있음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가 냉장고를 스쳐 지나가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만 감지 온되는 경우에는 초기 단계로 복귀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도어가 오작동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S100 내지 S140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를 2차적으로 판단하는 단계(S210)이 수행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2차 판단 단계(S21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2차 판단 단계(S80)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할 수 있고 복수 개의 개방 모드를 갖는다. 따라서, 2차 판단 단계 전에 어떠한 도어 개방 모드가 수행되어야 하는지 판단하는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도 9에서는 복수 개의 도어 개방 모드의 일례로 A1 모드로서 제1 모드가 수행되는 단계(S190)와 A2 모드로서 제2 모드가 수행되는 단계(S240)로 구분되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1 모드와 제2 모드에 따라 복수 개의 도어가 다른 형태로 열리는 것이며, 사용자는 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모드에서는 좌측 도어 개방 그리고 제2모드에서는 우측 도어가 개방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반대로, 제1모드에서는 우측도어 개방 그리고 제1모드에서는 좌측 도어가 개방되도록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1모드에서는 우측도어 개방 제2모드에서는 좌우측 도어 모두 개방으로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모드에 따라서 도어들이 열리는 형태는 사용자가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다.
1차 판단 단계(S150) 후 감지 오프 단계(S18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판단 단계 후 상기 감지 오프 단계(S180)가 수행될 때까지 경과된 시간이 카운트될 수 있다. 즉, 1차 판단 단계(S150)에서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가 확인되면 사용자는 냉장고에서 떨어지도록 이동한다. 즉, 도어의 개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냉장고에서 조금 떨어지도록 이동한다. 이때 소요되는 시간이 기설정시간(T2) 보다 짧은 경우, 제1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제1모드 선택단계(S16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선택단계(S160)에서는 제1모드 선택 여부만 결정될 수 있다. 제1모드로 선택됨으로 판단되면, 제1모드에 따라 도어 개방장치가 구동하는 단계(S19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최종적으로 도어 개방 의사가 없는지를 상기 선택단계(S160)에서는 판단하지 않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조금 시간을 더욱 두고 냉장고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즉, 선택단계(S160)에서 제1모드가 선택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선택단계(S160)에서 기설정된 시간(T2) 이내에 감지 오프가 없는 경우 다시 감지 센서를 통해서 감지하는 단계(S200)가 수행되며, 이때 다시 2차 모드 선택단계(S210)가 수행될 수 있다. 본 2차 모드 선택단계(S210)는 제2모드 선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2차 모드 선택단계(S210)는 2차적으로 사용자가 도어 개방 의사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즉, 2차 모드 선택과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도어 개방 의사가 없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2차 모드 선택 단계(S210)에서 기설정된 시간(T3) 이내에 감지 오프(S230)가 감지되면, 사용자가 2차 모드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그리고, 기설된 시간(T3) 동안 감지 오프(S230)가 감지되지 않으면 최종적으로 사용자가 도어 개방 의하가 없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는 사용자가 냉장고 전방에서 청소를 수행하거나 냉장고에 단순히 기대어 서있는 경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감지 온 이후 감지 오프에 소요되는 시간을 기초로 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이 최종적으로 T2와 T3를 합한 시간보다 긴 경우, 도어가 자동적으로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온 후 감지 오프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두 개의 구간으로 나눌 수 있다. 앞선 구간에서 예를 들어, 감지 온 후 1 초 내에 감지 오프가 수행되면 제1 개방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 온 후 1 초 초과 및 2초 내에 감지 오프가 수행되면 제2 개방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2초 경과 후 감지 오프가 되면 사용자의 도어 개방 의사가 없는 것으로 최종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1차 판단 단계 후 수행되는 두 개의 단계(S160, 200)을 통해서 복수 개의 도어 모드 중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들을 포함하여 2차 판단 단계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시간의 차이, 일례로 감지 온 후 감지 오프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차이를 기초로 하여 도어 개방 모드가 달리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우 효과적이고 직관적으로 도어 개방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알림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도어의 개방 예정 또는 도어 개방장치의 작동 예정을 사전에 알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알림 단계는 어떠한 모드로 도어가 개방되는지를 알리는 단계일 수 있다. 즉, 모드에 따라서 서로 다른 형태의 알림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제1모드 수행을 위해서는 비프 음 1번 울리는 알림단계(S170) 그리고 제1모드 수행을 위해서는 비프 음 2번 울리는 알림단계(S220)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로 구분되는 알림단계들(S170, S220)을 통해서 직관적으로 어떠한 모드로 도어가 개방되는지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S160 단계 내지 S180 단계가 순서대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계들이 순차적으로 수행되지 않고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알림단계(S170)은 S180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도 있다. S210 단계 내지 S230 단계도 이와 동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는 데 필요한 힘을 줄여서 사용이 편리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현저하다.

Claims (20)

  1. 저장실을 갖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사용자가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지와 감지 거리 밖에 있는지를 감지하여 감지 온(on) 및 감지 오프(off)를 구분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상기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개방장치; 그리고
    상기 센서에서 감지 온 지속 시간과 상기 감지 온 후 감지 오프까지의 시간을 기초로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구동 조건을 판단하여,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 미만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오프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감지 오프가 없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 조건이 만족되지 않음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오프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온 후 상기 감지 오프에 소요된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t2)보다 작은 경우, 상기 구동 조건이 만족됨으로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간(t1)은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을 의도하여 도어로의 접근을 유지하는 시간에 대응되며, 상기 기설정된 시간(t1+t2)은 사용자가 도어의 개방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서 벗어나는 시간에 대응되어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알림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알림장치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기 전에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 이상인 경우, 사용자에게 상기 도어가 개방될 예정임을 알리도록, 상기 알림장치의 작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열림과 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 스위치에서 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 개방장치의 구동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온(on) 단계;
    상기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 시간(t1) 이상인 경우, 1차적으로 사용자가 도어 개방을 의도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1차 판단 단계;
    상기 1차 판단 단계 후 상기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 거리에서 벗어났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오프(off) 단계;
    상기 감지 온 후 상기 감지 오프에 소요되는 시간이 기설정된 시간(t1+t2) 미만인 경우, 2차적으로 사용자가 도어 개방을 의도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2차 판단 단계; 그리고
    2차 판단 후 도어 개방장치를 구동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판단 단계 후 기설정된 시간(t3) 동안 상기 감지 오프 단계가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감지 오프 단계 수행 후 상기 감지 온 단계로 복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온 단계는 시간을 초기화하여 상기 감지 온 후 시간을 카운팅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판단 단계 후, 사용자에게 상기 도어의 개방 예정임을 알리는 알림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단계 수행 후 상기 감지 오프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방 판단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판단 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 온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7.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 거리 이내에 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온(on) 단계;
    상기 감지 온 지속 시간이 기설정 시간(t1) 이상인 경우, 1차적으로 사용자가 도어 개방을 의도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1차 판단 단계;
    상기 1차 판단 단계 후, 알림장치를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상기 도어의 개방 예정임을 알리는 알림단계;
    상기 알림 단계 후 상기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가 감지 거리에서 벗어났는지를 감지하는 감지 오프(off) 단계;
    상기 감지 오프 단계 후, 도어 개방장치를 구동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도어 개방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장치는 비프음을 발생시키는 부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상기 도어의 열림 및 닫힘 여부를 판단하는 도어 개방 판단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판단 단계에서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감지 온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PCT/KR2017/012445 2016-11-03 2017-11-03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8084653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347,534 US11536080B2 (en) 2016-11-03 2017-11-03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17866818.2A EP3537078B1 (en) 2016-11-03 2017-11-03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22174471.7A EP4083552A1 (en) 2016-11-03 2017-11-03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CN201780068174.3A CN109906350A (zh) 2016-11-03 2017-11-03 冰箱及其控制方法
EP22166471.7A EP4056939A1 (en) 2016-11-03 2017-11-03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898 2016-11-03
KR1020160145898A KR102001870B1 (ko) 2016-11-03 2016-11-03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4653A1 true WO2018084653A1 (ko) 2018-05-11

Family

ID=6207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445 WO2018084653A1 (ko) 2016-11-03 2017-11-03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36080B2 (ko)
EP (3) EP4056939A1 (ko)
KR (1) KR102001870B1 (ko)
CN (1) CN109906350A (ko)
WO (1) WO20180846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17661A (zh) * 2019-03-28 2019-07-16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超声波的冰箱控制方法、存储介质及冰箱
CN111721056A (zh) * 2019-03-21 2020-09-2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冰箱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1870B1 (ko) * 2016-11-03 2019-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US11912233B1 (en) 2020-12-04 2024-02-27 Zoox, Inc. Vehicle door interface system
US11624228B1 (en) * 2020-12-04 2023-04-11 Zoox, Inc. Vehicle door interface system
CN112413993B (zh) * 2020-12-09 2022-05-17 合肥美菱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冰箱误操作的提醒方法
CN112923646A (zh) * 2021-03-31 2021-06-08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制冷设备、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381A (ko) * 2000-01-25 2001-08-04 구자홍 냉장고의 도어 자동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00212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냉장고의 도어안전개폐방법
KR100740800B1 (ko) * 2006-07-24 2007-07-19 삼성전기주식회사 홈바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및 자동개폐방법
KR101457071B1 (ko) * 2013-01-18 2014-10-31 레시너코리아 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 자동 개폐 장치
KR20150003072U (ko) * 2015-07-02 2015-08-12 박수길 오픈 타입 냉장 쇼케이스용 자동 개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7684A (en) * 1985-12-18 1987-11-17 Whirlpool Corporation Alarm for a refrigerator
JPH04174185A (ja) * 1990-11-06 1992-06-22 Sharp Corp 扉の開閉装置
JP2001040940A (ja) * 1999-08-02 2001-02-13 Ykk Corp 自動ドアの開閉制御装置
US20070186480A1 (en) * 2002-11-22 2007-08-16 Brian Freeman Automatic door control system
US6722142B1 (en) * 2003-02-07 2004-04-20 Sub-Zero Freezer Company, Inc. Refrigerated enclosure
KR100872226B1 (ko) * 2007-04-20 200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8217611B2 (en) * 2010-06-10 2012-07-10 Ennis G Thomas Automated refrigerator opener
DE102010037397A1 (de) * 2010-09-08 2012-03-08 Miele & Cie. Kg Haushaltgerät, insbesondere grifflose Geschirrspülmaschine
CN102587785B (zh) * 2012-02-27 2014-08-27 宁波市鄞州美必盛自动门厂 家用自动门的控制方法
EP2822573B1 (en) * 2012-03-09 2017-08-16 UCL Business Plc. Treatment of cancer
JP6373653B2 (ja) * 2013-06-25 2018-08-15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US9920979B2 (en) * 2013-10-18 2018-03-2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9474432B2 (en) * 2013-12-11 2016-10-25 Whirlpool Corporation Household appliance and method of opening the same
CN104864669A (zh) * 2014-02-24 2015-08-26 泰州乐金电子冷机有限公司 冰箱门
CN204421465U (zh) * 2014-12-16 2015-06-24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冰箱
CN104675264A (zh) * 2015-02-10 2015-06-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开门装置、冰箱及非接触式开门方法
CN204612352U (zh) * 2015-02-10 2015-09-0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N107076509B (zh) * 2015-04-27 2020-09-01 Lg 电子株式会社 冰箱和用于打开冰箱门的方法
CN204677037U (zh) * 2015-05-12 2015-09-30 南京理工大学 自动开门装置及具有该装置的冰箱
CN105318652B (zh) * 2015-11-30 2019-03-1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非触摸式开门的冰箱及其开门控制方法
CN105466147B (zh) * 2015-12-29 2018-04-20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与用于冰箱的体感探测方法
CN105806037A (zh) * 2016-04-26 2016-07-27 合肥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门体的开启方法与冰箱
CN106052267B (zh) * 2016-05-31 2019-05-03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门体的开闭控制方法与冰箱
KR101897356B1 (ko) * 2016-11-03 2018-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01870B1 (ko) * 2016-11-03 2019-07-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KR20210157151A (ko) *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210157217A (ko) * 2020-06-19 2021-12-2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20025690A1 (en) * 2021-07-15 2022-01-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4381A (ko) * 2000-01-25 2001-08-04 구자홍 냉장고의 도어 자동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00212A (ko) * 2004-06-28 2006-01-0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냉장고의 도어안전개폐방법
KR100740800B1 (ko) * 2006-07-24 2007-07-19 삼성전기주식회사 홈바용 도어의 자동개폐장치 및 자동개폐방법
KR101457071B1 (ko) * 2013-01-18 2014-10-31 레시너코리아 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 자동 개폐 장치
KR20150003072U (ko) * 2015-07-02 2015-08-12 박수길 오픈 타입 냉장 쇼케이스용 자동 개폐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537078A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21056A (zh) * 2019-03-21 2020-09-29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冰箱的控制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017661A (zh) * 2019-03-28 2019-07-16 安徽康佳同创电器有限公司 一种基于超声波的冰箱控制方法、存储介质及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36080B2 (en) 2022-12-27
EP3537078A1 (en) 2019-09-11
EP3537078A4 (en) 2020-07-08
KR102001870B1 (ko) 2019-07-19
US20210277705A1 (en) 2021-09-09
CN109906350A (zh) 2019-06-18
EP4083552A1 (en) 2022-11-02
EP4056939A1 (en) 2022-09-14
EP3537078B1 (en) 2022-06-29
KR20180049675A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84655A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8084653A1 (ko)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WO2018084654A1 (ko) 냉장고
WO2010107196A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10107203A2 (en) A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WO2017018865A1 (ko) 냉장고
WO2017043861A1 (ko) 냉장고
WO2020055194A1 (en) Clothes manag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200318A1 (en) Fixing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WO2010120091A2 (en) Refrigerator control technology
WO2011105717A2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6250485A (ja) 冷蔵庫の扉装置
WO2020085618A1 (ko) 상하 가열 방식의 인덕션레인지 및 그의 구동방법
WO2018088839A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WO2018088845A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WO2019177304A1 (ko) 냉장고
WO2017164611A1 (ko) 냉장고
WO2015160227A1 (en) Refrigerator
KR20180049674A (ko) 냉장고
JP3810250B2 (ja) 加熱機器における機能部の正常位置検知機構およびラッチ機構
AU201828635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23163330A1 (ko) 냉장고
WO2024085471A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WO2022025659A1 (ko) 냉장고
WO2022045427A1 (ko) 식기 세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668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668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9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