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30535A1 -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특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특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30535A1
WO2015030535A1 PCT/KR2014/008099 KR2014008099W WO2015030535A1 WO 2015030535 A1 WO2015030535 A1 WO 2015030535A1 KR 2014008099 W KR2014008099 W KR 2014008099W WO 2015030535 A1 WO2015030535 A1 WO 201503053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carbonate resin
resin composition
modified polyoxyalkylene
polyoxyalkylene glyco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80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반형민
고운
김민정
류현중
박재찬
박정준
유기흥
이기재
이병훈
전병규
홍무호
황영영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1480002664.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736601B/zh
Priority to JP2015536734A priority patent/JP5969708B2/ja
Priority to EP14840046.8A priority patent/EP2894184B1/en
Priority to US14/433,825 priority patent/US9303121B2/en
Publication of WO201503053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30535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only
    • C08G65/06Cyclic ethers having no atom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utside the ring
    • C08G65/16Cyclic ethers having four or more ring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 C08G65/260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65/26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and other compounds the othe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8Polyethers derived from hydroxy compounds or from their metallic deriva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5Manufacturing aspects; Material aspe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post-polymerisation functionalisation
    • C08G2650/04End-capp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from cyclic ethers only
    • C08G65/06Cyclic ethers having no atoms other than carbon and hydrogen outside the ring
    • C08G65/08Saturated oxi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6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or containing aids for mould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a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light guide plate prepared therefr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for greatly improving transmittance, color uniformity, and processability when applied to a polycarbonate resin.
  • 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a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light guide plate prepared therefrom.
  • LCDs used in computers, mobile phones, PDAs, etc. include a backlight unit (BLU), and a light guide plate is provided as a component that performs its brightness and uniform illumination function.
  • BLU backlight unit
  • a light guide plate is provided as a component that performs its brightness and uniform illumination function.
  • the light guide plate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f a thermoplastic resin.
  •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or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is used as the thermoplastic resin for the light guide plate.
  •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has low heat resistance and is vulnerable to heat generated inside devices such as computers, mobile phones, and PDAs.
  • aromatic polycarbonate resins are excellent in heat resistance, mechanical properties, electrical properties, and weather resistance, they have poor problems in light transmittance (luminance), color uniformity, and the like.
  • JP Patent Publication No. 2001-215336 attempts to improve light transmittance (brightness) by introducing a copolyester carbonate having an aliphatic segment, but has a drawback of lowering heat resistanc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erminal 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which greatly improves the transmittance, color tone uniformity and processability when applied to the polycarbonate resi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prepared therefrom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light guide plate.
  • R 1 , R 2 is a C1-C20 alkyl group, a cycloalkyl group or an aryl group, R 3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10 ⁇ n + m ⁇ 100, n and m are zero or a positive integer)
  • R 3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10 ⁇ n + m ⁇ 100, n and m are zero or a positive integer
  •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carbonate resin and a terminal 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 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light guide plate made of the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rminal-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which greatly improves transmittance, color tone uniformity and processability when applied to a polycarbonate resin, a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nd a light guide plate prepared therefrom. It is effective.
  • Terminally 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 R 1 , R 2 is a C1-C20 alkyl group, a cycloalkyl group or an aryl group, R 3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10 ⁇ n + m ⁇ 100, n and m are zero or a positive integer) It is characterized by.
  • N is an integer of 1 to 100 or an integer of 15 to 50, for example.
  • M is an integer of 0-99 or an integer of 12-45, for example.
  • the arrangement of the two units of the terminally 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a block, alternating or random copolymer.
  • the terminally 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may have, for example, a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of 400 to 8000 g / mol, 500 to 4000 g / mol, or 1000 to 3000 g / mol, when applied to a polycarbonate resin within this range. It is effective in low transferability and excellent transmittance.
  • the R 1 and R 2 may be, for example, an alkyl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or an alkyl group having 3 to 10 carbon atoms, and have an excellent transmittance and workability within this range.
  •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a polycarbonate resin and the formula
  • R 1 , R 2 is a C1-C20 alkyl group, a cycloalkyl group, or an aryl group
  • R 3 is hydrogen or a methyl group, 10 ⁇ n + m ⁇ 100, n and m are zero or a positive integer
  •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terminal 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 the terminally 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may be included in an example of 0.05 to 5 parts by weight, 0.1 to 3 parts by weight, 0.1 to 1.5 parts by weight, or 0.2 to 1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polycarbonate resin. There is an effect excellent in transmittance and workability within.
  • the polycarbonat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for example, a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in which case it has physical properties suitable for light guide plate applications.
  • the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may be a polymerized polycarbonate resin including an aromatic diol compound and a carbonate precursor.
  • aromatic diol compound examples include bis (4-hydroxyphenyl) methane, bis (4-hydroxyphenyl) ether, bis (4-hydroxyphenyl) sulfone, bis (4-hydroxyphenyl) sulfoxide, bis ( 4-hydroxyphenyl) sulfide, bis (4-hydroxyphenyl) ketone, 1,1-bis (4-hydroxyphenyl) ethane,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bisphenol A), 2,2-bis (4-hydroxyphenyl) butane, 1,1-bis (4-hydroxyphenyl) cyclohexane (bisphenol Z), 2,2-bis (4-hydroxy-3,5-dibro Mophenyl) propane, 2,2-bis (4-hydroxy-3,5-dichlorophenyl) propane, 2,2-bis (4-hydroxy-3-bromophenyl) propane, 2,2-bis ( 4-hydroxy-3-chlorophenyl) propane, 2,2-bis (4-hydroxy-3-methylphenyl) propane, 2,2-bis (4-hydroxy-3,5-d
  • the carbonate precursor is, for example, the formula
  • X 1 , X 2 is independently a halogen, haloalkyl group, halocycloalkyl group, haloaryl group, alkoxy group or haloalkoxy group), the effect of imparting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olycarbonate resin within this range There is.
  • the carbonate precursor is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dibutyl carbonate, dicyclohexyl carbonate, diphenyl carbonate, ditoryl carbonate, bis (chlorophenyl) carbonate, di-m-cresyl carbonate, dinaphthyl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nate, bis (diphenyl) carbonate, phosgene, triphosgene, diphosgene, bromophosgene and bishaloformate, preferably triphosgene or phosgene.
  • the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may be polymerized by further including, for example,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is for example mono-alkylphenol.
  • the mono-alkylphenols are, for example, p-tert-butylphenol, p-cumylphenol, decylphenol, dodecylphenol, tetradecylphenol, hexadecylphenol, octadecylphenol, ecosylphenol, docosylphenol and triacontyl.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henols, preferably para-tert-butylphenol.
  • the polycarbonate resin has, for exampl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2000 to 40000 g / mol, 13000 to 30000 g / mol, or 14000 to 25000 g / mol, and a light guide plate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transmittance within this range can be obtained.
  • the method for preparing a copolycarbonate resin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for example, an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 the polymerization reaction is possible at atmospheric pressure and low temperature, and the molecular weight is easily controlled.
  •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may be, for example, a method of reacting an aromatic diol compound and a carbonate precursor in the presence of an acid binder and an organic solvent.
  •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may include a step of pre-polymerization, a coupling agent, and then polymerization again.
  • a high molecular weight polycarbonate resin may be obtained.
  • the other materials used for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when the materials can be used for the polymerization of polycarbonate, and the amount of the materials used may be adjusted as necessary.
  • the acid binder is, for example, an alkali metal hydroxide such as sodium hydroxide or potassium hydroxide, or an amine compound such as pyridine.
  • the organic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case of a solvent usually used for polymerization of polycarbonate, and may be, for example, a halogenated hydrocarbon such as methylene chloride and chlorobenzene.
  •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is, for example, reactions such as tertiary amine compounds such as triethylamine, tetra-n-butylammonium bromide, tetra-n-butylphosphonium bromide,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nd quaternary phosphonium compounds to promote reaction. Accelerators may be used further.
  • tertiary amine compounds such as triethylamine, tetra-n-butylammonium bromide, tetra-n-butylphosphonium bromide,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and quaternary phosphonium compounds to promote reaction. Accelerators may be used further.
  • the reaction temperature of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is, for example, 0 to 40 °C
  • the reaction time is for example 10 minutes to 5 hours
  • the pH of the reaction may be preferably maintained at 9 or more or 11 or more, for example.
  • the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may be a method of polymerizing further including a molecular weight regulator.
  • the molecular weight modifier may be added before the start of the polymerization, during the start of the polymerization, or after the start of the polymerization.
  • the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melt index (MI) of 10 to 300 g / 10 minutes, 15 to 260 g / 10 minutes, or 30 to 200 g, as measured by ASTM D 1238, for example, at a weight of 300 ° C. and 1.2 kg. It can be / 10 minutes, and excellent in workability within this range, there is an effect having a physical property suitable for light guide plate applications.
  • MI melt index
  • the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disclosure has a transmittance of at least 77%, 81% or 83% or more, measured at a thickness of 15 cm, for example.
  • the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or example, antioxidants, lubricants, optical brighteners, and pigments.
  •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the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 the light guide plate may be manufactured by, for example, injection molding or extrusion molding the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 PC-2 A powdery polycarbonate resin (PC-2)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41 g of PTBP was added in Preparation Example 1.
  • EHGE-PPG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3, except that 1.2 kg of Polypropylene glycol (PPG)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2,000 g / mol and 253 g of 2-Ethylhexyl glycidyl ether (EHGE) were used in Preparation Example 3. It was. At this time, the yield of EHGE-PPG was 88.7%.
  • PPG Polypropylene glycol
  • EHGE 2-Ethylhexyl glycidyl ether
  • MI Melt index
  • the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Examples 1 to 6)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composed of a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s 1 to 5) that does not contain a terminally 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cessability, heat resistance, color uniformity, and transmittance were all excell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Polyethers (AREA)

Abstract

본 기재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적용시 투과율, 색조 균일성 및 가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광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특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본 기재는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적용시 투과율, 색조 균일성 및 가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광판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휴대전화, PDA 등에서 사용되는 LCD에는 백라이트 유니트(BLU)가 포함되어 있고, 이의 휘도와 균일한 조명기능을 수행하는 부품으로 도광판이 갖춰져 있다.
상기 도광판은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종래, 도광판용 열가소성 수지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나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이 사용되었으나,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내열성이 낮아 컴퓨터, 휴대전화, PDA 등의 기기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에 취약한 문제가 있고,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열성,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내후성이 뛰어나지만, 광선 투과율(휘도), 색조균일성 등이 열악한 문제가 있다.
이에 JP특허공개 제2001-215336호에서는 지방족 세그먼트를 가지는 코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를 도입해 광선 투과율(휘도)을 개선시키고자 하였으나, 내열성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기재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적용시 투과율, 색조 균일성 및 가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기재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기재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기재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8099-appb-I000001
(R1, R2는 C1~C20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10≤n+m≤100이고, n과 m은 0 또는 양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을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기재는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도광판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기재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적용시 투과율, 색조 균일성 및 가공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광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기재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기재의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은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8099-appb-I000002
(R1, R2는 C1~C20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10≤n+m≤100이고, n과 m은 0 또는 양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n은 일례로 1 내지 100의 정수, 또는 15 내지 50의 정수이다.
상기 m은 일례로 0 내지 99의 정수, 또는 12 내지 45의 정수이다.
상기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의 두 단위체의 배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일례로 블록, 교대 또는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은 일례로 수평균분자량이 400 내지 8000 g/mol, 500 내지 4000 g/mol, 또는 1000 내지 3000 g/mol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적용시 이행성이 낮고, 투과율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R1, R2는 일례로 탄소수가 2 내지 20 인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3 내지 10 인 알킬기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투과율과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8099-appb-I000003
(R1, R2는 C1~C20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10≤n+m≤100이고, n과 m은 0 또는 양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은 일례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1.5 중량부, 또는 0.2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투과율 및 가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고, 이 경우 도광판 용도에 적합한 물성을 갖는다.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하여 중합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은 일례로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비스페놀 Z),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α,ω-비스[3-(ο-히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비스페놀 A이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일례로 하기 화학식 2
[화학식 2]
Figure PCTKR2014008099-appb-I000004
(X1, X2는 독립적으로 할로겐, 할로알킬기, 할로사이클로알킬기, 할로아릴기, 알콕시기 또는 할로알콕시기이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이고, 이 범위 내에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본질적 특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디-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 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브로모포스겐 및 비스할로포르메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트리포스겐 또는 포스겐이다.
상기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례로 분자량 조절제를 더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일례로 모노-알킬페놀이다.
상기 모노-알킬페놀은 일례로 p-tert-부틸페놀, p-쿠밀페놀, 데실페놀, 도데실페놀, 테트라데실페놀, 헥사데실페놀, 옥타데실페놀, 에이코실페놀, 도코실페놀 및 트리아콘틸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para-tert-부틸페놀이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일례로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 내지 40000 g/mol, 13000 내지 30000 g/mol, 또는 14000 내지 25000 g/mol이고, 이 범위 내에서 한 가공성 및 투과율이 우수한 도광판을 얻을 수가 있다.
본 기재의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방법은 일례로 계면중합 방법일 수 있고, 이 경우 상압과 낮은 온도에서 중합 반응이 가능하며 분자량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상기 계면중합 방법은 일례로 산결합제 및 유기용매의 존재 하에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반응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계면중합 방법은 일례로 선중합(pre-polymerization) 후 커플링제를 투입한 다음, 다시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고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계면중합에 사용되는 기타 물질들은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그 사용량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산결합제는 일례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피리딘 등의 아민 화합물이다.
상기 유기용매는 통상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되는 용매인 경우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일 수 있다.
상기 계면중합은 일례로 반응촉진을 위해 트리에틸아민, 테트라-n-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등의 3 차 아민 화합물, 4 차 암모늄 화합물, 4 차 포스포늄 화합물 등과 같은 반응촉진제가 더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계면중합의 반응온도는 일례로 0 내지 40 ℃, 반응시간은 일례로 10 분 내지 5 시간이며, 반응 중 pH는 일례로 9 이상 또는 11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계면중합 방법은 분자량 조절제를 더 포함하여 중합시키는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일례로 중합개시 전, 중합개시 중 또는 중합개시 후에 투입될 수 있다.
본 기재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300℃,1.2kg 무게로 ASTM D 1238로 측정한 용융지수(MI)가 10 내지 300 g/10분, 15 내지 260 g/10분, 또는 30 내지 200 g/10분일 수 있고, 이 범위 내에서 가공성이 우수하고, 도광판 용도에 적합한 물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본 기재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15cm 두께로 측정한 투과율이 최소 77% 이상, 81% 이상 또는 83% 이상이고, 이 경우 도광판 용도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은 일례로 산화방지제, 활제, 형광증백제 및 안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재의 도광판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은 일례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을 사출 성형 혹은 압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하, 본 기재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기재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기재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1(PC-1의 제조)
20L 글라스(Glass) 반응기에 비스페놀 A(BPA) 978.4g, NaOH 32% 수용액 1,620g, 증류수 7,500g을 넣고 질소 분위기에서 BPA가 완전히 녹은 것을 확인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 3,650g, p-tert-부틸페놀(PTBP, p-tert-butylphenol) 49.7g을 투입하여 혼합하였다. 여기에 트리포스겐 515g을 녹인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 4,165g(메틸렌클로라이드: 3,650g)을 1시간 동안 적하하였다. 이때, NaOH 수용액을 pH 12로 유지하였다. 적하 완료 후 15분간 숙성하였고, 트리에틸아민 10g을 메틸렌클로라이에 녹여 투입하였다. 15분 후, 1N 염산 수용액으로 pH를 1로 맞춘 다음, 증류수로 3회 수세하고 나서, 메틸렌클로라이드 상을 분리한 다음, 메탄올에 침전시켜 분말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1)를 얻었다.
제조예 2(PC-2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PTBP를 41g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분말상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PC-2)를 얻었다.
제조예 3(BGE-PPG1의 제조)
2L Three-neck Flake에 분자량 1,000인  Polypropylene glycol(PPG) 1kg과 KOH 1g(0.1wt%)를 투입한 다음, N2 분위기에서 교반(stirring)하면서 80℃까지 온도를 올렸다. 이후, Butylglycidyl ether(BGE) 300g을 투입하여 2시간(hr) 반응시킨 후, 25℃로 온도를 내린 후, 인산을 투입하여 중화시키고, 잔류물은 감압 증류하여 제거하여 BGE-PPG1을 제조하였다. 이때 BGE-PPG1의 수율은 92%였다.
제조예 4(BGE-PPG2의 제조)
상기 제조예 3에서 분자량 2,000g/mol인 Polypropylene glycol(PPG) 1.2kg, 및 BGE 18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BGE-PPG2를 제조하였다. 이때 BGE-PPG2의 수율은 91%였다.
제조예 5(EHGE-PPG의 제조)
상기 제조예 3에서 분자량 2,000g/mol인 Polypropylene glycol(PPG) 1.2kg, 및 2-Ethylhexyl glycidyl ether(EHGE) 253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EHGE-PPG를 제조하였다. 이때 EHGE-PPG의 수율은 88.7%였다.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
하기 표 1에 기재된 물질을 하기 표 2에 제시한 조성비에 따라 동방향 이축압출기(스크류 직경 27mm, L/D=48)로 용융혼련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을 건조시킨 뒤 사출 성형기를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여기에서, 모든 조성물에는 산화방지제 (Irgafos 168)를 일정량(500ppm) 투입하였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일반적인 사항들은 그 기재를 생략하였다.
표 1
구분 설명
PC-1 Mw: 16,000
PC-2 Mw: 21,000
BGE-PPG1 Mn: 1,000 Butylglycidyl ether capped polypropylene glycol
BGE-PPG2 Mn: 2,000 Butylglycidyl ether capped polypropylene glycol
EHGE-PPG Mn: 2,000 2-Ethylhexyl glycidyl ether capped polypropylene glycol
PPG Mn: 2,000 Polypropylene glycol
PTMG Mn: 2,000 Polytetramethylene glycol
NKL-9520* Mn: 2,000 Polypropylene glycol distearate
* NOF사 제조의 Unisafe NKL-9520
표 2
구 분(단위:중량부) PC-1 PC-2 BGE-PPG1 BGE-PPG2 EHGE-PPG PPG PTMG NKL 9520
실시예 1 100 0.3
실시예 2 100 0.3
실시예 3 100 0.3
비교예 1 100 0.3
비교예 2 100 0.3
비교예 3 100 0.3
실시예 4 100 0.3
실시예 5 100 0.1
실시예 6 100 0.2
비교예 4 100
비교예 5 100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시편의 특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 중량평균분자량: PC Standard로 해서 GPC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수평균분자량: GPC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용융지수(MI): ASTM D1238 방법에 의거하여 300℃, 1.2 ㎏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 내열성(ASTM D 1925): 가로 x 세로 x 두께 = 60mm x 40mm x 3 mm 시편을 250℃ 및 320℃에서 각각 사출성형하여 YI값을 비교하였다.
* 장광 투과율(T%) 및 장광 색조(YI): 가로 x 세로 x 두께 = 150mm x 80mm x 4 mm 시편을 사출성형하여, Hitachi사의 spectrophotometer U-4100으로 두께에 직각 방향으로 조사하여 그 투과율(장광 투과율) 및 색조 안정성(장광 색조)을 측정하였다.
표 3
물성 가공성(MI) 내열성(ΔYI) 장광 색조(YI) 장광 투과율(T%)
실시예 1 77.41 0.19 5.61 84.16
실시예 2 76.04 0.16 5.41 84.75
실시예 3 79.32 0.18 5.48 84.32
비교예 1 74.12 0.31 6.21 83.11
비교예 2 72.14 0.28 6.85 82.18
비교예 3 76.12 0.41 8.54 81.56
실시예 4 38.85 0.18 5.81 82.48
실시예 5 71.89 0.19 5.78 80.36
실시예 6 74.01 0.17 5.61 80.45
비교예 4 68.21 0.84 12.42 74.36
비교예 5 34.47 0.95 13.45 67.86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기재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실시예 1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지 않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비교예 1 내지 5)과 비교하여 가공성, 내열성, 색조 균일성 및 투과율이 모두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8099-appb-I000005
    (R1, R2은 C1~C20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10≤n+m≤100이고, n과 m은 0 또는 양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은, 수평균분자량이 400 내지 8,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3.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Figure PCTKR2014008099-appb-I000006
    (R1, R2은 C1~C20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아릴기이고, R3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10≤n+m≤100이고, n과 m은 0 또는 양의 정수이다)로 표시되는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05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2,000 내지 40,000 g/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6. 제 3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도광판.
PCT/KR2014/008099 2013-08-29 2014-08-29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특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15030535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02664.XA CN104736601B (zh) 2013-08-29 2014-08-29 末端改性的聚氧化亚烷基二醇以及包含该末端改性的聚氧化亚烷基二醇的具有改善的光学特性的聚碳酸酯树脂组合物
JP2015536734A JP5969708B2 (ja) 2013-08-29 2014-08-29 末端変性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グリコール及びそれを含む光学特性が改善さ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EP14840046.8A EP2894184B1 (en) 2013-08-29 2014-08-29 Terminal-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an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optical properties, comprising same
US14/433,825 US9303121B2 (en) 2013-08-29 2014-08-29 Terminally modified polyoxyalkylene glycol an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optical characteristics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3118 2013-08-29
KR20130103118 2013-08-29
KR1020140114085A KR101602568B1 (ko) 2013-08-29 2014-08-29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특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2014-0114085 2014-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30535A1 true WO2015030535A1 (ko) 2015-03-05

Family

ID=5302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8099 WO2015030535A1 (ko) 2013-08-29 2014-08-29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특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03121B2 (ko)
EP (1) EP2894184B1 (ko)
JP (1) JP5969708B2 (ko)
KR (1) KR101602568B1 (ko)
CN (1) CN104736601B (ko)
WO (1) WO201503053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8742A (ja) * 2015-03-26 2017-07-27 住化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光学用成形品
JPWO2016194749A1 (ja) * 2015-05-29 2018-03-15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22734B2 (ja) * 2014-10-29 2018-11-14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薄肉光学部品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薄肉光学部品
KR101956832B1 (ko) 2015-06-12 2019-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US10427136B2 (en) * 2016-05-25 2019-10-01 Nh Chemicals Catalyst for alkylation of polyalkylene glycol and alkylation method using the same
JP6526871B2 (ja) * 2018-05-01 2019-06-05 三菱エンジニアリングプラスチックス株式会社 薄肉光学部品用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薄肉光学部品
JP6639594B2 (ja) * 2018-09-06 2020-02-05 住化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車両ランプ用ライトガイド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27459A (en) * 1997-11-13 2000-10-03 Shell Oil Company Epoxy resin curing agent-reacting acid-terminated polyalkylene glycol with excess amine-terminated polyamine-epoxy resin adduct
JP2001215336A (ja) 2000-01-31 2001-08-10 Idemitsu Petrochem Co Ltd 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50130865A1 (en) * 1997-09-05 2005-06-16 Karl-Heinz Schmid Lightly-foaming tenside mixtures with hydroxy mixed ethers
KR100795214B1 (ko) * 2006-08-22 2008-01-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 민감성 졸-젤 전이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105005A (ko) * 2007-05-29 2008-12-03 율촌화학 주식회사 사슬 말단 기능성화된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를이용한 금속 나노입자
KR20130090362A (ko) * 2012-02-03 2013-08-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광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29352GA3 (ko) * 1976-10-06 1982-04-30
CH636121A5 (de) * 1977-03-18 1983-05-13 Schaefer Chemisches Inst Ag Metall-ionen-, phosphat- und enzym-freies reiniger-konzentrat.
JPS58223436A (ja) * 1982-02-10 1983-12-26 Shiseido Co Ltd 乳化組成物
CA2111047C (fr) * 1993-12-09 2002-02-26 Paul-Etienne Harvey Copolymere d'oxyde d'ethylene et d'au moins un oxiranne substitue portant une fonction reticulable, procede pour sa preparation, et son utilisation pour l'elaboration de materiauxa conduction ionique
JP5063873B2 (ja) * 2005-07-05 2012-10-31 出光興産株式会社 光拡散性ポリカーボネート系樹脂組成物、および同樹脂組成物を用いた光拡散板
JP5879124B2 (ja) * 2011-12-28 2016-03-08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ペレッ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30865A1 (en) * 1997-09-05 2005-06-16 Karl-Heinz Schmid Lightly-foaming tenside mixtures with hydroxy mixed ethers
US6127459A (en) * 1997-11-13 2000-10-03 Shell Oil Company Epoxy resin curing agent-reacting acid-terminated polyalkylene glycol with excess amine-terminated polyamine-epoxy resin adduct
JP2001215336A (ja) 2000-01-31 2001-08-10 Idemitsu Petrochem Co Ltd 導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95214B1 (ko) * 2006-08-22 2008-01-2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온도 민감성 졸-젤 전이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카보네이트)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105005A (ko) * 2007-05-29 2008-12-03 율촌화학 주식회사 사슬 말단 기능성화된 메톡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이를이용한 금속 나노입자
KR20130090362A (ko) * 2012-02-03 2013-08-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도광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28742A (ja) * 2015-03-26 2017-07-27 住化ポリカーボネート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および光学用成形品
JPWO2016194749A1 (ja) * 2015-05-29 2018-03-15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品
US11034834B2 (en) 2015-05-29 2021-06-15 Idemitsu Kosan Co., Ltd.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of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247003A1 (en) 2015-09-03
US9303121B2 (en) 2016-04-05
EP2894184A4 (en) 2016-07-27
EP2894184A1 (en) 2015-07-15
KR20150026965A (ko) 2015-03-11
JP2015532333A (ja) 2015-11-09
KR101602568B1 (ko) 2016-03-10
CN104736601A (zh) 2015-06-24
EP2894184B1 (en) 2017-10-11
CN104736601B (zh) 2016-09-28
JP5969708B2 (ja) 201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30535A1 (ko) 말단 변성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특성이 개선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WO2015041441A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CN110062792B (zh) 耐热性和流动性优异的聚碳酸酯树脂组合物及包含其的成型品
WO2015002429A1 (ko) 히드록시 캡핑 단량체, 이의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16099185A1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6170564A1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WO2013047955A1 (ko) 폴리카보네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2091308A2 (ko)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4092243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5047046A1 (ko) 높은 유동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WO2013137531A1 (ko)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3077490A1 (ko) 폴리카보네이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필름
WO2014092246A1 (ko) 고분지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3100288A1 (ko) 분지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14104484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10076547A (ko) 투명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770453B1 (ko) 광학특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10195683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 이루어진 광학 성형품
WO2015102173A1 (ko) 공중합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H07188539A (ja) 共重合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組成物
KR101685256B1 (ko) 폴리옥시알킬렌 글리콜 분지 폴리오가노실록산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도광판
WO2023018136A1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WO2017057905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70009593A (ko) 신규한 폴리오르가노실록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170097536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4433825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400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8400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36734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4004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