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116082A1 -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116082A1
WO2014116082A1 PCT/KR2014/000793 KR2014000793W WO2014116082A1 WO 2014116082 A1 WO2014116082 A1 WO 2014116082A1 KR 2014000793 W KR2014000793 W KR 2014000793W WO 2014116082 A1 WO2014116082 A1 WO 201411608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gel polymer
polymer electrolyte
carbonate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007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성훈
양두경
신선식
오송택
강유선
이경미
박진현
석정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0964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63396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15523035A priority Critical patent/JP6102039B2/ja
Priority to BR112014017468A priority patent/BR112014017468B8/pt
Priority to CN201480001623.9A priority patent/CN104380516B/zh
Priority to EP14728802.1A priority patent/EP2790260B1/en
Priority to US14/248,448 priority patent/US9882239B2/en
Publication of WO201411608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11608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nitri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comprising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bonding with a metal ion elu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same It relates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battery safety is known to be improved in the order of liquid electrolyte ⁇ gel polymer electrolyte ⁇ solid polymer electrolyte, whereas battery performance is known to decrease.
  • electrolytes for electrochemical devices such as batteries and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using an electrochemical reaction
  • an electrolyte in a liquid state particularly an ion conductive organic liquid electrolyte in which salts are dissolved in a non-aqueous organic solvent
  • the use of the electrolyte in the liquid state is not only highly likely to deteriorate the electrode material and volatilize the organic solvent, but also has problems in safety such as combustion due to an increase in the ambient temperature and the temperature of the battery itself.
  • Solid polymer electrolytes have not been commercialized yet due to inferior cell performance.
  • the gel polymer electrolyte is excellent in electrochemical safety to maintain a constant thickness of the battery, and due to the inherent adhesive strength of the gel phase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contact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electrolyte to manufacture a thin film battery. Accordingly, development of various gel polymer electrolytes is expanding.
  • lithium ions are small in size, and thus, are not only relatively easy to move directly, but also easily move to a hopping phenomenon in the electrolyte as shown in FIG. 1.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gel polymer electrolyte generally uses a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such as LiCoO 2 as a cathode active material, but when used at high voltage, metal ions are eluted. When the metal ions are eluted, they are reduced to the metal state at the cathode to block the reaction site of the cathode, and when new metal i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cathode, the electrolyte forms a new SEI layer on the surface of the metal, consuming the electrolyte continuously. do.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EI layer of the cathode is continuously thickened to increase the resistance and deteriorate the life characteristics.
  • a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such as LiCoO 2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metal ions elu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to move to the negative electrode or to reduce the moving speed to reduce the precipitation of metal at the negative electrode, thereby improving the life of the battery, as well as general voltage And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a gel polymer electrolyte that can improve the capacity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in both high voltage region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one embodiment, i) electrolyte solvent, ii) ionizable lithium salt, iii)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iv)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bonding with a metal ion.
  • the present invention cathode; Separator;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 gel polymer electrolyte, wherein the gel polymer electrolyte provides a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med by polymerizing the composition for the gel polymer electrolyte.
  • the composition for a gel polymer electroly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bonding with a metal ion, and thus, when applied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vents metal ions elu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from moving to the negative electrode or decreases the moving speed. By reducing the precipitation of the metal at the negative electrode, the battery life can be improved and the capacity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can be improved in both the normal voltage and the high voltage region.
  • 1 is a diagram showing a principle of movement of lithium ions in the case of using a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 FIG 2 is a view comparing the degree of the metal precipitated from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use of the composition for the gel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eneral electrolyte.
  • FIG. 3 is a graph show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 FIG. 1 is a graph show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 FIG. 4 is a graph show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Examples 5 and 6 and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 FIG. 4 is a graph show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Examples 5 and 6 and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 FIG. 5 is a graph showing capacity characteristics at 4.3V high voltag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Examples 7 to 10 and Comparative Examples 6 to 8.
  • FIG. 5 is a graph showing capacity characteristics at 4.3V high voltag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prepared in Examples 7 to 10 and Comparative Examples 6 to 8.
  • composition for a gel polymer electrolyte may include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bonding with an electrolyte solvent, an ionizable lithium salt, a polymerization initiator, and a metal ion.
  • the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is an acrylonitrile or acrylate-based monomer, preferably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with alkyl or halogen having a functional group of C 1 to C 5 And It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 the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may include a functional group in the monomer, such that the functional group is stably present on the gel structure in the gel polymer electrolyte.
  • the cyano group and the acrylate are each added in a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gel electrolyte) to polymerize to form a complex
  • the complex itself may move in the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to cause reduction at the negative electrode.
  • Metal may precipitate.
  • 2-cyanoethyl acrylate as a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as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yano group is contained in the monomer having the functional group, it moves itself within the gel structure. It can become impossible.
  • the general electrolyte solution in which the metal ions elu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precipitates at the negative electrode Unlike the use cas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ecipitation of the metal in the cathode by combining with the metal ions eluted from the anode. As a result, the charge and discharge efficiency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improved and good cycle characteristics can be exhibited.
  • capacity characteristics may be improved in both a normal voltage and a high voltage region.
  • the term “general voltage” refers to a case where the charging voltag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in the range of 3.0 V to less than 4.3 V, and the term “high voltage” refers to a region in which the charging voltage is 4.3 V to 5.0 V. Means if.
  • the monomer having the functional group may be 0.1 wt% to 10 wt%, preferably 0.5 wt% to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If it is less than 0.1% by weight it is difficult to gel the gel polymer electrolyte properties, and if it exceeds 10% by weight may increase the resistance due to the excessive content of the monomer may decrease the battery performance.
  • the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monomer having 2 to 6 acrylate groups, which may be a branched monomer.
  • the branched monomer may be, for exampl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dipentaerythritol pentaacrylate, and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
  • the branched monom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wt% to 10 wt%, preferably 0.5 wt% to 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 the electrolyte composition when the electrolyt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branched monomer, the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and the branched monomer is mixed for 2 minutes to 12 hour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30 °C to 100 °C
  • the reaction can produce a polymerizable monomer.
  • the content ratio of the mono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and the branched monomer may be, for example, 1: 0.1 to 10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onizable lithium salts included in the electrolyt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 example, LiPF 6 , LiBF 4 , LiSbF 6 , LiAsF 6 , LiClO 4 , LiN (C 2 F 5 SO 2 ) 2 , LiN (CF 3 SO 2 ) 2 , CF 3 SO 3 Li, LiC (CF 3 SO 2 ) 3 And LiC 4 BO 8 It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It is not.
  • electrolyte solvent u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conventionally used in the electrolyt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for example, ether, ester, amide, linear carbonate, or cyclic carbonate may be used alone. Or two or more kinds thereof can be mixed.
  • carbonate compounds which are typically cyclic carbonates, linear carbonates or mixtures thereof may be included.
  • cyclic carbonate compound include ethylene carbonate (EC), propylene carbonate (PC), 1,2-butylene carbonate, 2,3-butylene carbonate, 1,2-pentylene carbonate, 2,3-pentylene Carbonate, vinylene carbonate, and halides thereof,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 mixtures of two or more thereof.
  • linear carbonate compounds include dimethyl carbonate (DMC), diethyl carbonate (DEC), dipropyl carbonate (DPC), ethylmethyl carbonate (EMC), methylpropyl carbonate (MPC) and ethylpropyl carbonate (EPC).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representatively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propylene carbonate and ethylene carbonate which are cyclic carbonates in the carbonate electrolyte solvent, may be preferably used because they have high dielectric constants and dissociate lithium salts in the electrolyte well, such as ethylmethyl carbonate and diethyl carbonate.
  • a low viscosity, low dielectric constant linear carbonate such as dimethyl carbonate is mixed and used in an appropriate ratio, an electrolyte having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made, and thus it can be used more preferably.
  • ester in the electrolyte solvent i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propyl acetate, methyl propionate, ethyl propionate, ⁇ -butyrolactone, ⁇ -valerolactone, ⁇ -caprolactone, ⁇ -valerolactone And ⁇ -caprolactone, but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a conventional polymerization initiator known in the art.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re benzoyl peroxide, acetyl peroxide, dilauryl peroxide, di-tert-butyl peroxide, organic peroxides and hydros such as t-butyl peroxy-2-ethyl-hexanoate, cumyl hydro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Peroxides with 2,2'-azobis (2-cyanobutane), 2,2'-azobis (methylbutyronitrile), AIBN (2,2'-Azobis (iso-butyronitrile)) and AMVN (2 And azo compounds such as 2'-Azobisdimethyl-Valeronitril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decomposed by heat, non-limiting examples of heat in the cell at 30 ° C. to 100 ° C. or at room temperature (5 ° C. to 30 ° C.) to form radicals, and react with the polymerizable monomer by free radical polymerization. Gel polymer electrolytes can be formed.
  •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1% by weight to 2%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I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more than 2 parts by weight, gelation may occur too quickly or the unreacted initiator remains after the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is injected into the battery, which adversely affects the battery performance. Conversely, i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less than 0.01 part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gelation does not work well.
  • the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tionally contain other additives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 a gel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s formed by polymerizing the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the gel polymer electrolyte may be formed by in-situ polymerization of the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in the secondary battery.
  • Injecting the composition for the gel polymer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polymerization may include the step of forming a gel polymer electrolyte.
  • the in-situ polymerization reaction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proceed through thermal polymerization.
  • the polymerization time takes about 2 minutes to 12 hours
  • the thermal polymerization temperature may be 30 to 100 °C.
  • a gel polymer electrolyte is formed. Specifically, a gel polymer in which a polymerizable monomer is crosslinked with each other by a polymerization reaction is formed, and a liquid electrolyte in which an electrolyte salt is dissociated in an electrolyte solvent can be uniformly impregnated in the formed gel polymer.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harge voltage of 3.0V to 5.0V, and excellent capacity characteristic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both a normal voltage and a high voltage region.
  • the electro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b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 a slurry may be prepared by mixing and stirring a solvent, a binder, a conducting agent, and a dispersant in an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n applying (coating) to a current collector of a metal material, compressing, and drying the electrode to prepare an electrode.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positive electrode may be applied to a general voltage or a high voltage,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compound capable of reversibly intercalating / deintercalating lithium.
  •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at can be applied to a high voltage is a lithium transition metal oxide of spinel having a thin-walled layered rock salt structure having a high capacity characteristic, an olivine structure, a cubic structure,
  • it may include any one or two or more complex oxid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 2 O 5 , TiS, MoS. More specifically, it may includ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xides of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 to 3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 the cathode active material is preferably 0.4 ⁇ c ⁇ 0.7, 0.2 ⁇ a + b ⁇ 0.5 in Formula 1, and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LiNi 0.5 Mn 1.5 O 4 , LiCoPO 4, and LiFePO 4 or two of them It may contain a mixture of the above.
  • a carbon material lithium metal, silicon or tin, etc. which can normally occlude and release lithium ions may be used.
  • a carbon material may be used, and as the carbon material, both low crystalline carbon and high crystalline carbon may be used.
  • Soft crystalline carbon and hard carbon are typical low crystalline carbon, and high crystalline carbon is natural graphite, Kish graphite, pyrolytic carbon, liquid crystal pitch carbon fiber.
  • High temperature calcined carbon such as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meso-carbon microbeads, Mesophase pitches and 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 the positive electrode and / or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prepared by mixing and stirring a binder, a solvent, a conductive agent and a dispersant, which may be commonly used as needed, to prepare a slurry, and then applying the same to a current collector and compressing the negative electrode.
  • the binder may be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co-HEP), polyvinylidene fluoride (polyvinylidenefluoride), polyacrylonitrile, polymethylmethacrylate, Polyvinyl alcohol, carboxymethyl cellulose (CMC), starch, hydroxypropyl cellulose, regenerated cellulose, polyvinylpyrrolidone, tetrafluoroethyl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acrylic acid, 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 (EPDM), Various kinds of binder polymers such as sulfonated EPDM, styrene butyrene rubber (SBR), fluorine rubber, various copolymers and the like may be used.
  • PVDF-co-HEP poly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 SBR styrene butyrene rubber
  • the separator may be a conventional porous polymer film conventionally used as a separator, for example, polyolefin such as ethylene homopolymer, propylene homopolymer, ethylene / butene copolymer, ethylene / hexene copolymer and ethylene / methacrylate copolymer
  • the porous polymer film made of the polymer may be used alone or by laminating them, or a conventional porous nonwoven fabric,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made of high melting point glass fib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or the like may be used. It is not.
  • the external shap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cylindrical, rectangular, pouch type, or coin type using a can.
  • EC ethylene carbonate
  • EMC ethyl methyl carbonate
  • 5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ble monomer 2.5 parts by weight of 2-cyanoethyl acrylate and 2.5 parts by weight of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are used in combination
  • 100 parts by weight of the electrolyte, and t-butyl peroxy-2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0.25 parts by weight of ethylhexanoate was added to prepare a composition for a gel polymer electrolyte.
  • a posi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was prepared by adding 94% by weight of LiCoO 2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3% by weight of carbon black as a conductive agent, and 3% by weight of PVdF as a binder to N-methyl-2-pyrrolidone (NMP) as a solvent. It was.
  • the posi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was applied to a thin film of aluminum (Al), which is a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aving a thickness of about 20 ⁇ m, dried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and then subjected to roll press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 Al aluminum
  •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was prepared by adding carbon powder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VdF as a binder, and carbon black as a conductive agent at 96 wt%, 3 wt%, and 1 wt%, respectively, to NMP as a solvent.
  •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slurry was applied to a copper (Cu) thin film, which is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having a thickness of 10 ⁇ m, dried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and then roll-rolled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 Cu copper
  • the battery was assembled using a separator composed of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ree layers of polypropylene / polyethylene / polypropylene (PP / PE / PP). After injecting the prepared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into the assembled battery, 80 ° C. was used. It was heated for 2 to 30 minutes to prepare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 a separator composed of the positive electrode,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ree layers of polypropylene / polyethylene / polypropylene (PP / PE / PP).
  •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2-cyanoethoxyethyl acrylate was used instead of 2-cyanoethyl acrylate in the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of Example 1. Prepared.
  • Example 1 In preparing the composition for the gel polymer electrolyte of Example 1,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crylonitrile was used instead of 2-cyanoethyl acrylate.
  • Example 1 In the manufacturing of the coin-type secondary battery of Example 1, except that a mixture of LiMn 2 O 4 and Li (Ni 0.33 Co 0.33 Mn 0.33 ) O 2 3: 7 by weight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as used, Example 1 In the same manner as the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prepared.
  • Example 1 In preparing the positive electrode of Example 1,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Li [Li 0.29 Ni 0.14 Co 0.11 Mn 0.46 ] O 2 was used instead of LiCoO 2 as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ethyl (E) -3- (pyridin-2-yl) -acrylate is used instead of 2-cyanoethyl acrylate.
  •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Li [Li 0.29 Ni 0.14 Co 0.11 Mn 0.46 ] O 2 was used instead of LiCoO 2 .
  •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olymerizable monomer and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not used.
  • ditrimethylol instead of using 5 parts by weight of a polymerizable monomer prepared by mixing 2.5 parts by weight of 2-cyanoethyl acrylate and 2.5 parts by weight of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 parts by weight of propane tetraacrylate was used alone.
  • Example 1 In preparing the gel polymer electrolyte composition of Example 1, dipentaeryte was used instead of using 5 parts by weight of a polymerizable monomer prepared by mixing 2.5 parts by weight of 2-cyanoethyl acrylate and 2.5 parts by weight of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5 parts by weight of lithol pentaacrylate was used alone.
  •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the polymerizable monomer and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not used.
  • ditrimethylol instead of using 5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ble monomer prepared by mixing 2.5 parts by weight of 2-cyanoethyl acrylate and 2.5 parts by weight of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except that 5 parts by weight of propane tetraacrylate was used alone.
  •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except that the polymerizable monomer and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were not used.
  • ditrimethylol instead of using 5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ble monomer prepared by mixing 2.5 parts by weight of 2-cyanoethyl acrylate and 2.5 parts by weight of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except that 5 parts by weight of propane tetraacrylate was used alone.
  • Example 7 In preparing the composition for the gel polymer electrolyte of Example 7, dipentaeryte instead of using 5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ble monomer prepared by mixing 2.5 parts by weight of 2-cyanoethyl acrylate and 2.5 parts by weight of ditrimethylolpropane tetraacrylate. A coin-type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7, except that 5 parts by weight of lithol pentaacrylate was used alone.
  • Examples 1 to 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similar at the fifth cycle, but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ere rapidly reduced after about 20 cycles.
  • Examples 1-4 had little capacity change until the 20th cycle.
  • Examples 1 to 4 exhibited a capacity change of 2 to 3 times or mor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1 to 3 with a moderate change in capacity change even up to the 100th cycle.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ies (2.5mAh battery capacity) prepared in Examples 5 and 6 and Comparative Examples 4 and 5 were charged at 45 ° C. until a constant current of 4.2 V was 0.7 C, and then charged at a constant voltage of 4.2 V to charge current. Charging was terminated when became 0.125 mA. Thereafter, it was left for 10 minutes and then discharged until it reached 3.0V at a constant current of 0.5 C.
  • the battery capacity was measured after 100 cycles of charge and discharge, and is shown in FIG. 4.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4.3 mAh) prepared in Examples 7 to 10 and Comparative Examples 6 to 8 was charged at 55 ° C. until the constant current was 4.3 V at 0.7 C, followed by charging at a constant voltage of 4.3 V. Charging was terminated when the current became 0.215 mA. Thereafter, it was left for 10 minutes and discharged until it became 3.0V with a constant current of 0.5C. After 40 cycles of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battery capacity was measured and shown in FIG. 5.
  • Examples 7 to 10 and Comparative Examples 6 to 8 were similar under the fifth cycle, but Comparative Example 6 rapidly decreased after the fifth cycle. 7 sharply decreased after the 30th cycle and Comparative Example 8 rapidly after the 20th cycle.
  • Examples 7 to 10 had a gentle change in capacity until the 40th cycl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6 to 8, and particularly 40 and 40 cycles for Examples 8 and 9 using 2-cyanoethoxyethyl acrylate and acrylonitrile. There was almost no change in capacity even at high voltage, and showed capacity characteristics of 2 to 4 times or mor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s 6 to 8.
  •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t prevents the metal ions eluted from the positive electrode from moving to the negative electrode or lowers the moving speed, thereby reducing the precipitation of metal from the negative electrode, thereby reducing the life of the battery. Not only can it be improved, but also the capacity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can be improved in both the normal voltage and the high voltage region, and thus can be usefully used in secondary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전해액 용매, ii) 이온화 가능한 리튬염, iii) 중합 개시제; 및 iv) 금속이온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리튬 이차 전지에 적용할 경우. 양극에서 용출된 금속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거나 음극에서 금속이 석출되는 것을 경감시킴으로써,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전압뿐만 아니라 고전압으로 충전하여도 전지의 용량 특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본 발명은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극에서 용출된 금속이온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노트북, 캠코더 등의 휴대용 기기뿐만 아니라 전기 자동차에 이르기까지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의 적용 분야가 날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차 전지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이차 전지의 개발시 용량 밀도 및 비에너지를 향상시키기 위한 전지 설계에 대한 연구 개발도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지의 안전성은 액체 전해질 < 겔 폴리머 전해질 < 고체 고분자 전해질 순서로 향상되나, 이에 반해 전지 성능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 전기 화학 반응을 이용한 전지, 전기 이중층 캐패시터 등의 전기 화학 소자용 전해질로는 액체 상태의 전해질, 특히 비수계 유기 용매에 염을 용해한 이온 전도성 유기 액체 전해질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액체 상태의 전해질을 사용하면, 전극 물질이 퇴화되고 유기 용매가 휘발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주변 온도 및 전지 자체의 온도 상승에 의한 연소 등과 같은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고체 고분자 전해질은 열등한 전지 성능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상업화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겔 폴리머 전해질은 전기 화학적 안전성이 우수하여 전지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겔상 고유의 접착력으로 인해 전극과 전해질 사이의 접촉이 우수하여 박막형 전지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다양한 겔 폴리머 전해질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겔 폴리머 전해질에서는 리튬 이온이 크기가 작아 직접적인 이동이 상대적으로 수월할 뿐만 아니라, 도 1과 같이 전해액 내에서 호핑(hopping) 현상으로 이동하기 쉽다.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LiCoO2와 같은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을 양극 활물질로 사용하고 있으나, 고전압에 사용할 경우 금속 이온이 용출되는 문제가 있다. 금속 이온이 용출되면, 음극에서 금속 상태로 환원되어 음극의 반응 사이트를 차단(block)하게 되고, 음극 표면에 새로운 금속이 석출되면 전해액이 금속 표면에 새로운 SEI층을 만들게 되어 전해액을 지속적으로 소모시키게 된다. 또한, 음극의 SEI층이 계속 두꺼워져 저항이 증가하게 되어 수명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양극에서 용출된 금속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거나 이동 속도를 저하시켜 음극에서 금속이 석출되는 것을 경감시킴으로써,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전압 및 고전압 영역 모두에서 전지의 용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i) 전해액 용매, ii) 이온화 가능한 리튬염, iii) 중합 개시제; 및 iv) 금속이온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 및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은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중합시켜 이루어진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은 금속이온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함으로써, 리튬 이차 전지에 적용할 경우, 양극에서 용출된 금속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거나 이동 속도를 저하시켜 음극에서 금속이 석출되는 것을 경감시킴으로써,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전압 및 고전압 영역 모두에서 전지의 용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의 리튬 이온의 이동 원리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일반 전해액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의 사용에 따른, 음극에서 석출된 금속의 정도를 비교한 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의 용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5와 6, 및 비교예 4와 5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의 용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실시예 7 내지 10, 및 비교예 6 내지 8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의 4.3V 고전압에서의 용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은 전해액 용매, 이온화 가능한 리튬염, 중합 개시제 및 금속이온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는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이며, 바람직하게는 작용기가 C1 내지 C5인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Figure PCTKR2014000793-appb-I000001
Figure PCTKR2014000793-appb-I000002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의 대표적인 예는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1)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
Figure PCTKR2014000793-appb-I000003
(2) 2-시아노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Figure PCTKR2014000793-appb-I000004
(3) 아크릴로니트릴;
Figure PCTKR2014000793-appb-I000005
(4) 에틸 (E)-3-(피리딘-2-일)-아크릴레이트;
Figure PCTKR2014000793-appb-I000006
(5) 에틸 (E)-3-(4-피리딘일)-2-프로페논염;
Figure PCTKR2014000793-appb-I000007
(6) 2-프로펜산, 3,3'-[2,2'-바이피리딘]-4,4'-디일비스-, 디메틸 에스테르;
Figure PCTKR2014000793-appb-I000008
(7) 2-프로펜산, 2-[2,2'-바이피리딘]-6-일에틸 에스테르;
(8) 2-프로펜산, 2-[2,2'-바이피리딘]-5-일에틸 에스테르;
(9) 2-프로펜산, 2-[2,2'-바이피리딘]-4-일에틸 에스테르;
(10) 2-프로펜산, 1,1'-[[2,2'-바이피리딘]-4,4'-디일비스(메틸렌)] 에스테르;
(11) 2-프로펜산, 1,10-페난트롤린-2,9-디일비스(메틸렌) 에스테르;
(12) 2-프로펜산, 3-(1,10-페난트롤린-2-일)-, 페닐메틸 에스테르; 및
(13) 2-프로펜산, 2-[[(1-옥소-2-프로페닐)옥시]메틸]-2-[(1,10-페난트롤린-5-일메톡시)메틸]-1,3-프로판디일 에스테르.
이 중에서도,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 2-시아노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에틸 (E)-3-(피리딘-2-일)-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는 작용기가 모노머에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작용기가 겔 폴리머 전해질 내의 겔 구조상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아노기와 아크릴레이트를 각각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겔 전해액) 내에 첨가하여 중합하여 착물을 형성하는 경우, 착물 자체가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내를 이동하여 음극에서 환원이 일어날 수 있으며, 금속이 석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로,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경우, 시아노기가 상기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에 포함되어 있음으로써, 이 자체가 겔 구조내를 이동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에 상기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를 사용하는 경우, 양극에서 용출된 금속이온이 음극에서 석출되는 일반 전해액을 사용한 경우와는 달리, 양극에서 용출된 금속이온과 결합하여 음극에서 금속이 석출 되는 것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로써 리튬 이차 전지의 충방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양호한 사이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리튬 이차 전지에 적용할 경우 일반전압 및 고전압 영역 모두에서 용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일반전압”은 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 전압이 3.0V 내지 4.3V 미만의 범위의 영역인 경우를 의미하고, 용어 “고전압”은 충전 전압이 4.3V 내지 5.0V 범위의 영역인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5 중량%일 수 있다. 0.1 중량% 미만이면 겔화되기 어려워 겔 폴리머 전해질의 특성이 발현되기 어려울 수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모노머의 과량 함유로 인해 저항이 증가하여 전지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은 2 내지 6개의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이 모노머는 분지형 모노머일 수 있다.
상기 분지형 모노머는 예를 들어,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분지형 모노머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해질용 조성물이 분지형 모노머를 추가하여 포함할 경우,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와 분지형 모노머를 혼합하여 30℃ 내지 100℃의 온도 범위에서 2분 내지 12시간 동안 반응하여 중합성 모노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와 분지형 모노머의 함량비는 예를 들어 1: 0.1 내지 10 중량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질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이온화 가능한 리튬염은 예를 들어,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N(C2F5SO2)2, LiN(CF3SO2)2, CF3SO3Li, LiC(CF3SO2)3 및 LiC4BO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되는 전해액 용매로는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선형 카보네이트 또는 환형 카보네이트 등을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대표적으로 환형 카보네이트, 선형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카보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에틸렌 카보네이트(EC),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1,2-부틸렌 카보네이트, 2,3-부틸렌 카보네이트, 1,2-펜틸렌 카보네이트, 2,3-펜틸렌 카보네이트,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할로겐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있다. 또한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디메틸 카보네이트(DMC), 디에틸 카보네이트(DEC), 디프로필 카보네이트(DP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MPC) 및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E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상기 카보네이트계 전해액 용매 중 환형 카보네이트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및 에틸렌 카보네이트는 고점도의 유기 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액 내의 리튬염을 잘 해리시키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환형 카보네이트에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 카보네이트와 같은 저점도, 저유전율 선형 카보네이트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가지는 전해액을 만들 수 있어서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해액 용매 중 에스테르로는 메틸 아세테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프로필 아세테이트, 메틸 프로피오네이트, 에틸 프로피오네이트, 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γ-카프로락톤, σ-발레로락톤 및 ε-카프로락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합 개시제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중합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중합 개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벤조일 퍼옥사이드(benzoyl peroxide), 아세틸 퍼옥사이드(acetyl peroxide), 디라우릴 퍼옥사이드(dilauryl peroxide),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di-tert-butyl peroxide),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t-butyl peroxy-2-ethyl-hexanoate), 큐밀 하이드로퍼옥사이드(cumyl hydroperoxide) 및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hydrogen peroxide) 등의 유기과산화물류나 히드로과산화물류와 2,2'-아조비스(2-시아노부탄), 2,2'-아조비스(메틸부티로니트릴), AIBN(2,2'-Azobis(iso-butyronitrile)) 및 AMVN(2,2'-Azobisdimethyl-Valeronitrile) 등의 아조 화합물류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전지 내에서 열, 비제한적인 예로 30℃ 내지 100℃의 열에 의해 분해되거나 상온(5℃ 내지 30℃)에서 분해되어 라디칼을 형성하고,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중합성 모노머와 반응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개시제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1 중량% 내지 2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중합 개시제가 2 중량부를 초과하면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전지 내에 주액하는 도중 겔화가 너무 빨리 일어나거나 미반응 개시제가 남아 나중에 전지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고, 반대로 중합 개시제가 0.01 중량부 미만이면 겔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성분들 이외에, 당 업계에 알려진 기타 첨가제 등을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 및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은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겔 폴리머 전해질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중합시켜 형성된 것이다. 예를 들면, 겔 폴리머 전해질은 이차 전지의 내부에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in-situ 중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일 실시 형태를 들면, (a)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介在)된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를 전지 케이스에 삽입하는 단계 및 (b) 상기 전지 케이스에 본 발명에 따른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주입한 후 중합시켜 겔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 내 in-situ 중합 반응은 열 중합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중합 시간은 대략 2분 내지 12시간 정도 소요되며, 열 중합 온도는 30 내지 100℃ 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합 반응에 의한 겔화를 거치게 되면 겔 폴리머 전해질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중합성 모노머가 중합 반응에 의해 서로 가교된 겔 폴리머가 형성되며, 전해질 염이 전해액 용매에 해리된 액체 전해액이 상기 형성된 겔 폴리머 내에 균일하게 함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튬 이차 전지는 충전 전압이 3.0V 내지 5.0V 범위로, 일반전압 및 고전압 영역 모두에서 리튬 이차 전지의 용량 특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리튬 이차 전지의 전극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 활물질에 용매, 필요에 따라 바인더, 도전제, 분산제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금속 재료의 집전체에 도포(코팅)하고 압축한 뒤 건조하여 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극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은 일반전압 또는 고전압에 적용할 수 있고, 리튬을 가역적으로 인터칼레이션/디인터칼레이션 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제한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일반전압에 적용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은, 예를 들면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Ni1-yCoyO2(O≤y<1), LiCo1-yMnyO2(O≤y<1), LiNi1-yMnyO2 (O≤y<1), 및 Li[NiaCobMnc]O2 (0 < a, b, c ≤ 1, a+b+c=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산화물 (oxide) 외에 황화물 (sulfide), 셀렌화물 (selenide) 및 할로겐화물 (halide)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고전압에 적용될 수 있는 양극 활물질은, 고용량 특성을 갖는 육박정계 층상 암염 구조, 올리빈 구조, 큐빅구조를 갖는 스피넬의 리튬 전이금속 산화물, 그 외에 V2O5, TiS, Mo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복합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Li[LixNiaCobMnc]O2 (0 < x ≤ 0.3, 0.3 ≤ c ≤ 0.7, 0 < a+b < 0.5, x+a+b+c=1) ;
<화학식 2>
LiMn2-xMxO4 (M=Ni, Co, Fe, P, S, Zr, Ti 및 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 0 < x ≤ 2) ;
<화학식 3>
Li1+aCoxM1-xAX4 (M=Al, Mg, Ni, Co, Mn, Ti, Ga, Cu, V, Nb, Zr, Ce, In, Zn 및 Y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고, X는 O, F,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A는 P, S 또는 이들의 혼합 원소이고, 0≤a≤0.2, 0.5≤x≤1임).
상기 양극 활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0.4≤c≤0.7, 0.2 ≤a+b<0.5이고, LiNi0.5Mn1.5O4, LiCoPO4 및 LiFePO4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통상적으로 리튬 이온이 흡장 및 방출될 수 있는 탄소재, 리튬 금속, 규소 또는 주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탄소재로는 저결정 탄소 및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 (soft carbon) 및 경화탄소 (hard carbon)가 대표적이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천연 흑연, 키시흑연 (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 (pyrolytic carbon), 액정피치계 탄소섬유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 (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 (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 (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가 대표적이다.
상기 양극 및/또는 음극은 바인더와 용매, 필요에 따라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도전제와 분산제를 혼합 및 교반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이를 집전체에 도포하고 압축하여 음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로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EP),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재생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크릴산,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모노머(EPDM), 술폰화 EPDM, 스티렌 부티렌 고무(SBR), 불소 고무, 다양한 공중합체 등의 다양한 종류의 바인더 고분자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세퍼레이터로는 종래에 세퍼레이터로 사용된 통상적인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를 들어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를 들어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 (pouch)형 또는 코인 (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더욱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
에틸렌 카보네이트(EC) :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 1:2(부피비)의 조성을 갖는 비수 전해액 용매에 LiPF6를 1M 농도가 되도록 용해하여 전해액을 준비하였다. 상기 전해액 100 중량부에 대해 중합성 모노머 5 중량부(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 및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를 혼용하여 사용) 및 중합 개시제로서 t-부틸 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0.25 중량부를 첨가하여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코인형 이차 전지의 제조>
양극 제조
양극 활물질로 LiCoO2 94 중량%, 도전제로 카본 블랙(carbon black) 3 중량%, 바인더로 PVdF 3 중량%를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양극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가 20㎛ 정도의 양극 집전체인 알루미늄(Al)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음극 제조
음극 활물질로 탄소 분말, 바인더로 PVdF, 도전제로 카본 블랙(carbon black)을 각각 96 중량%, 3 중량% 및 1 중량%로 하여 용매인 NMP에 첨가하여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음극 혼합물 슬러리를 두께가 10㎛의 음극 집전체인 구리(Cu) 박막에 도포하고,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음극을 제조하였다.
전지 제조
상기 양극, 음극 및 폴리프로필렌/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PP/PE/PP) 3층으로 이루어진 세퍼레이터를 이용하여 전지를 조립하였으며, 조립된 전지에 상기 제조된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주입한 후 80℃로 2~30분간 가열하여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대신 2-시아노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대신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대신 에틸 (E)-3-(피리딘-2-일)-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의 코인형 이차 전지의 제조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로 LiMn2O4 및 Li(Ni0.33Co0.33Mn0.33)O2 3 : 7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대신 2-시아노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코인형 이차 전지의 제조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로 LiMn2O4 및 Li(Ni0.33Co0.33Mn0.33)O2 3 : 7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의 양극 제조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로 LiCoO2 대신 Li[Li0.29Ni0.14Co0.11Mn0.46]O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대신 2-시아노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양극 제조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로 LiCoO2 대신 Li[Li0.29Ni0.14Co0.11Mn0.46]O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대신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하고, 양극 제조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로 LiCoO2 대신 Li[Li0.29Ni0.14Co0.11Mn0.46]O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대신 에틸 (E)-3-(피리딘-2-일)-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고, 양극 제조에 있어서, 양극 활물질로 LiCoO2 대신 Li[Li0.29Ni0.14Co0.11Mn0.46]O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중합성 모노머와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 및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를 혼용하여 제조된 중합성 모노머 5 중량부를 사용하는 대신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단독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 및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를 혼용하여 제조된 중합성 모노머 5 중량부를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단독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실시예 5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중합성 모노머와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5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 및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를 혼용하여 제조된 중합성 모노머 5 중량부를 사용하는 대신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단독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7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중합성 모노머와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실시예 7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 및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를 혼용하여 제조된 중합성 모노머 5 중량부를 사용하는 대신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단독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실시예 7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2-시아노에틸 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 및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2.5 중량부를 혼용하여 제조된 중합성 모노머 5 중량부를 사용하는 대신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단독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코인형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용량 특성 1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전지용량 5.5mAh)를 55℃에서 0.7C의 정전류 4.2V가 될때까지 충전하고, 이후 4.2V의 정전압으로 충전하여 충전전류가 0.275mA가 되면 충전을 종료하였다. 이후 10분간 방치한 다음 0.5 C의 정전류로 3.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상기 충방전을 100 사이클 행한 후 전지 용량을 측정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5회째 사이클 미만에서는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용량이 유사하였으나, 약 20회째 사이클 이후 비교예 1 내지 3은 용량이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실시예 1 내지 4는 20회째 사이클까지 용량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는 100회째 사이클까지도 용량 변화 기울기가 완만한 편으로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2 내지 3배 이상의 용량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전지의 100 사이클 진행 후 방전 용량은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전지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용량 특성 2
실시예 5와 6, 및 비교예 4 와 5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전지용량 2.5mAh)를 45℃에서 0.7C의 정전류 4.2V가 될때까지 충전하고, 이후 4.2V의 정전압으로 충전하여 충전전류가 0.125mA가 되면 충전을 종료하였다. 이후 10분간 방치한 다음 0.5 C의 정전류로 3.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상기 충방전을 100 사이클 행한 후 전지 용량을 측정하여 도 4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50회째 사이클 미만까지는 실시예 5와 6 및 비교예 4와 5의 용량이 거의 유사하였으나, 약 60회째 사이클 이후 비교예 4와 5는 용량이 감소하기 시작하여 80회째에서는 급격히 감소하였다. 반면, 실시예 5와 6은 100회째 사이클까지도 용량 변화 기울기가 거의 그대로 유지되었고, 100회째에는 실시예 5와 6이 비교예 4와 5에 비해 2 내지 3배 이상의 용량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실시예 5와 6에서 제조된 전지의 100 사이클 진행 후 방전 용량은 비교예 4와 5에서 제조된 전지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 용량 특성 3 (고전압)
실시예 7 내지 10, 및 비교예 6 내지 8에서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전지용량 4.3mAh)를 55℃에서 0.7C의 정전류 4.3V가 될 때까지 충전하고, 이후 4.3V의 정전압으로 충전하여 충전전류가 0.215mA가 되면 충전을 종료하였다. 이후 10분간 방치한 다음 0.5C의 정전류로 3.0V가 될 때까지 방전하였다. 상기 충방전을 40 사이클 행한 후 전지 용량을 측정하여 도 5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로 살펴보면, 약 5회째 사이클 미만에서는 실시예 7 내지 10, 및 비교예 6 내지 8의 용량이 유사하였으나, 약 5회째 사이클 이후 비교예 6은 용량이 급격히 감소하였고, 비교예 7은 30회째 사이클 이후부터, 비교예 8은 20회째 사이클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하였다. 반면 실시예 7 내지 10은 비교예 6 내지 8에 비해 40회째 사이클까지 용량 변화가 완만하였고, 특히 2-시아노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한 실시예 8 및 9의 경우 40회째 사이클까지 고전압에서도 용량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비교예 6 내지 8에 비해 2배 내지 4배 이상의 용량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실시예 7 내지 10에서 제조된 전지를 4.3V의 고전압에서 충전하여 40 사이클 진행 후의 방전 용량은 비교예 6 내지 8에서 제조된 이차전지에 비해 크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은 리튬 이차 전지에 적용할 경우, 양극에서 용출된 금속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거나 이동 속도를 저하시켜 음극에서 금속이 석출되는 것을 경감시킴으로써, 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전압 및 고전압 영역 모두에서 전지의 용량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9)

  1. i) 전해액 용매,
    ii) 이온화 가능한 리튬염,
    iii) 중합 개시제; 및
    iv) 금속이온과 결합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
    를 포함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는 아크릴로니트릴 또는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는 C1 내지 C5인 알킬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Figure PCTKR2014000793-appb-I000009
    Figure PCTKR2014000793-appb-I000010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는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1) 2-시아노에틸아크릴레이트;
    (2) 2-시아노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3) 아크릴로니트릴;
    (4) 에틸 (E)-3-(피리딘-2-일)-아크릴레이트;
    (5) 에틸 (E)-3-(4-피리딘일)-2-프로페논염;
    (6) 2-프로펜산, 3,3'-[2,2'-바이피리딘]-4,4'-디일비스-, 디메틸 에스테르;
    (7) 2-프로펜산, 2-[2,2'-바이피리딘]-6-일에틸 에스테르;
    (8) 2-프로펜산, 2-[2,2'-바이피리딘]-5-일에틸 에스테르;
    (9) 2-프로펜산, 2-[2,2'-바이피리딘]-4-일에틸 에스테르;
    (10) 2-프로펜산, 1,1'-[[2,2'-바이피리딘]-4,4'-디일비스(메틸렌)] 에스테르;
    (11) 2-프로펜산, 1,10-페난트롤린-2,9-디일비스(메틸렌) 에스테르;
    (12) 2-프로펜산, 3-(1,10-페난트롤린-2-일)-, 페닐메틸 에스테르; 및
    (13) 2-프로펜산, 2-[[(1-옥소-2-프로페닐)옥시]메틸]-2-[(1,10-페난트롤린-5-일메톡시)메틸]-1,3-프로판디일 에스테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 내지 6개의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모노머는 분지형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형 모노머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형 모노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기를 갖는 모노머와 상기 분지형 모노머의 함량비는 1: 0.1 내지 10 중량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은 LiPF6, LiBF4, LiSbF6, LiAsF6, LiClO4, LiN(C2F5SO2)2, LiN(CF3SO2)2, CF3SO3Li, LiC(CF3SO2)3 및 LiC4BO8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액 용매는 선형 카보네이트, 환형 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카보네이트는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및 에틸프로필 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환형 카보네이트는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1,2-부틸렌 카보네이트, 2,3-부틸렌 카보네이트, 1,2-펜틸렌 카보네이트, 2,3-펜틸렌 카보네이트, 비닐렌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할로겐화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13.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 및 겔 폴리머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은 제 1 항의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을 중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은 2 내지 6개의 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모노머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모노머는 분지형 모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지형 모노머는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 전압은 3.0V 내지 5.0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이차 전지의 충전 전압은 4.3V 내지 5.0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용 양극 활물질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3의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화학식 1>
    Li[LixNiaCobMnc]O2 (0 < x ≤ 0.3, 0.3 ≤ c ≤ 0.7, 0 < a+b < 0.5, x+a+b+c=1) ;
    <화학식 2>
    LiMn2-xMxO4 (M=Ni, Co, Fe, P, S, Zr, Ti 및 A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 0 < x ≤ 2) ;
    <화학식 3>
    Li1+aCoxM1-xAX4 (M=Al, Mg, Ni, Co, Mn, Ti, Ga, Cu, V, Nb, Zr, Ce, In, Zn 및 Y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고, X는 O, F, 및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원소이며, A는 P, S 또는 이들의 혼합 원소이고, 0≤a≤0.2, 0.5≤x≤1임).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용 양극 활물질은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Ni1-yCoyO2(O≤y<1), LiCo1-yMnyO2(O≤y<1), LiNi1-yMnyO2 (O≤y<1), 및 Li[NiaCobMnc]O2 (0 < a, b, c ≤ 1, a+b+c=1)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 전지.
PCT/KR2014/000793 2013-01-28 2014-01-28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4116082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23035A JP6102039B2 (ja) 2013-01-28 2014-01-28 ゲルポリマー電解質用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BR112014017468A BR112014017468B8 (pt) 2013-01-28 2014-01-28 Composição para gel de eletrólito polimérico e bateria de lítio secundária que inclui a mesma
CN201480001623.9A CN104380516B (zh) 2013-01-28 2014-01-28 用于凝胶聚合物电解质的组合物及包含其的锂二次电池
EP14728802.1A EP2790260B1 (en) 2013-01-28 2014-01-28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US14/248,448 US9882239B2 (en) 2013-01-28 2014-04-09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334 2013-01-28
KR10-2013-0009337 2013-01-28
KR20130009334 2013-01-28
KR20130009337 2013-01-28
KR10-2014-0009648 2014-01-27
KR1020140009648A KR101633966B1 (ko) 2013-01-28 2014-01-27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4/248,448 Continuation US9882239B2 (en) 2013-01-28 2014-04-09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16082A1 true WO2014116082A1 (ko) 2014-07-31

Family

ID=5122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00793 WO2014116082A1 (ko) 2013-01-28 2014-01-28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82239B2 (ko)
EP (1) EP2790260B1 (ko)
WO (1) WO201411608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24990B (zh) * 2016-06-14 2018-05-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電解質組成物及包含其之金屬離子電池
US10367227B2 (en) 2016-06-14 2019-07-3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olyte composition and metal-ion battery employ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84867B1 (en) 2013-01-28 2016-11-23 LG Chem, Ltd. High-voltage lithium secondary battery
US20170187064A1 (en) * 2014-03-31 2017-06-29 Nec Energy Devices, Lt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KR102093965B1 (ko) 2016-11-21 2020-03-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황 전지
EP3780223B1 (en) * 2018-09-10 2024-05-29 LG Energy Solution, Ltd. Thermosetting electrolyte composition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gel polymer electrolyte prepared therefrom,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US11283110B2 (en) 2018-12-27 2022-03-2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olyte composition and metal-ion battery employing the same
DE102020206126A1 (de) * 2020-05-14 2021-11-18 Tesa Se Haftklebriger Elektrolyt
CN114156533B (zh) * 2022-02-10 2022-04-22 河南电池研究院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凝胶电解质及锂离子电池的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71939A1 (en) * 2004-06-07 2005-12-08 Yang Xu Novel polymer electrolyte for electrochemical power sources
KR20060045803A (ko) * 2004-04-19 200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전기 변색 소자
US20070099090A1 (en) * 2005-10-27 2007-05-03 Jae Seung Oh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eutectic mix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70063772A (ko) * 2005-12-15 2007-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반사형 전기 변색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58197A (ko) * 2006-12-21 2008-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전해질과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1012A (ja) 1997-10-09 1999-04-30 Yuasa Corp 非水電解質電池
JP4003298B2 (ja) 1998-07-01 2007-11-07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JP2000268871A (ja) 1999-03-19 2000-09-29 Hitachi Chem Co Ltd 高分子固体電解質、高分子固体電解質の製造法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化学的デバイス
JP4439610B2 (ja) 1999-04-07 2010-03-24 アオイ電子株式会社 高分子ゲル電解質及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JP2000311715A (ja) 1999-04-26 2000-11-07 Mitsubishi Chemicals Corp リチウム二次電池
JP4158071B2 (ja) 1999-05-20 2008-10-01 東洋紡績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ゲル組成物
AUPQ389599A0 (en) 1999-11-05 1999-12-02 Ilion Technology Corporation Polyelectrolyte gel
JP4636644B2 (ja) * 2000-01-17 2011-02-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解質組成物、電気化学電池およびイオン性液晶モノマー
KR100369076B1 (ko) 2001-01-05 2003-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고분자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2차전지
CN100364167C (zh) 2001-12-03 2008-01-23 三星Sdi株式会社 可充电的锂电池及其制备方法
JP4413460B2 (ja) * 2001-12-03 2010-02-10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0525278B1 (ko) 2003-03-26 2005-11-02 한국전기연구원 겔폴리머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폴리머전지의 제조방법
JP2007273445A (ja) * 2006-03-09 2007-10-18 Nec Tokin Corp ポリマーゲル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ポリマー二次電池
JP2007287630A (ja) 2006-04-20 2007-11-01 Sony Corp 非水電解質二次電池
CN101340009A (zh) 2007-07-05 2009-01-07 黄穗阳 聚合物电解质硬包装锂离子电池
KR101375328B1 (ko) 2007-07-27 2014-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Si/C 복합물, 이를 포함하는 음극활물질 및 리튬전지
JP5235404B2 (ja) 2007-12-28 2013-07-10 三洋電機株式会社 ポリマー電解質二次電池
CN101353435A (zh) 2008-09-12 2009-01-28 华南师范大学 一种活化型凝胶态锂离子电池聚合物电解质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1685876B (zh) 2008-09-27 2013-06-26 深圳市比克电池有限公司 聚合物电池的制备方法
JP5225002B2 (ja) 2008-09-30 2013-07-03 株式会社東芝 二次電池
CN102460787B (zh) 2009-06-17 2016-08-03 索尼公司 非水电解质电池、非水电解质电池正极、非水电解质电池负极、非水电解质电池隔膜、用于非水电解质的电解质以及制造非水电解质电池隔膜的方法
CN102574697A (zh) 2009-06-25 2012-07-11 日本碍子株式会社 正极活性物质以及锂二次电池
JP2011119097A (ja) 2009-12-02 2011-06-16 Sony Corp 非水電解質電池
CN101774563A (zh) 2010-01-08 2010-07-14 上海交通大学 一种锂离子电池用高电压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1826635A (zh) 2010-04-09 2010-09-08 广州天赐高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用聚合物电解液及其电池的制造方法
CN101872875A (zh) 2010-05-27 2010-10-27 西北工业大学 聚烯烃类凝胶聚合物电解质锂离子电池的组装工艺
JP5809870B2 (ja) * 2011-06-22 2015-11-1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光電気化学電池、及びそれらに用いられる色素
EP2713432B1 (en) 2011-06-30 2017-08-09 LG Chem, Ltd. Nov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same
CN102891010B (zh) 2012-09-19 2015-08-19 华东师范大学 一种聚合物凝胶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45803A (ko) * 2004-04-19 2006-05-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젤 폴리머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전기 변색 소자
US20050271939A1 (en) * 2004-06-07 2005-12-08 Yang Xu Novel polymer electrolyte for electrochemical power sources
US20070099090A1 (en) * 2005-10-27 2007-05-03 Jae Seung Oh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eutectic mix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KR20070063772A (ko) * 2005-12-15 2007-06-2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반사형 전기 변색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58197A (ko) * 2006-12-21 2008-06-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겔 폴리머전해질과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2790260A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24990B (zh) * 2016-06-14 2018-05-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電解質組成物及包含其之金屬離子電池
US10367227B2 (en) 2016-06-14 2019-07-3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Electrolyte composition and metal-ion battery employ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0260A4 (en) 2015-01-07
US9882239B2 (en) 2018-01-30
EP2790260A1 (en) 2014-10-15
US20140220427A1 (en) 2014-08-07
EP2790260B1 (en) 201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116082A1 (ko)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6159702A1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이차전지
WO2015030402A1 (ko) 리튬 전이금속 복합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 활물질
WO2013012248A2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WO2013012250A2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WO2017146426A1 (ko) 겔 폴리머 전해질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156539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101188A1 (ko)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JP2015528987A (ja) ゲルポリマー電解質用組成物及びこ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WO2014116085A1 (ko) 리튬 이차 전지
WO2021040388A1 (ko) 비수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3009155A2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이용한 리튬 이차전지
WO2016052996A1 (ko) 비수 전해액 리튬 이차전지
WO2019245286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및 리튬 이차 전지
WO2019203455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131952A1 (ko)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049881A1 (ko) 리튬이차전지용 양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WO2020222469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4116084A1 (ko) 고전압 리튬 이차 전지
WO2021049872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0213962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WO2020197278A1 (ko) 리튬 이차 전지
WO2023121028A1 (ko) 비수 전해질용 첨가제를 포함하는 비수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1256825A1 (ko)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리튬 이차전지
WO2021167428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47288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14017468

Country of ref document: BR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72880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52303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14017468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1407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