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4098530A1 - 다용도 밥솥 및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용도 밥솥 취사 조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용도 밥솥 및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용도 밥솥 취사 조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4098530A1
WO2014098530A1 PCT/KR2013/011977 KR2013011977W WO2014098530A1 WO 2014098530 A1 WO2014098530 A1 WO 2014098530A1 KR 2013011977 W KR2013011977 W KR 2013011977W WO 2014098530 A1 WO2014098530 A1 WO 20140985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oking
inner pot
heating
space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119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재복
Original Assignee
Yang Jae Bok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20120151143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49246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5119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8731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2015118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3572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300168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379148B1/ko
Application filed by Yang Jae Bok filed Critical Yang Jae Bok
Priority to CN201380070193.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4918526B/zh
Publication of WO20140985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40985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Definitions

  • the patent is such that the steam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operation of each cooking space divided through the separating plate is introduced into the steam inlet hole and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steam releasing hole so that the heat circulation can be efficiently made to cook the individual cooking objects appropriately
  • the steam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operation of each cooking space divided through the separating plate is introduced into the steam inlet hole and discharged through the upper steam releasing hole so that the heat circulation can be efficiently made to cook the individual cooking objects appropriately
  • the Korean Utility Model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9245 is a lid lock device of a pressure cooker including an outer pot for accommodating the inner pot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protrusions on the opposite surface of the lid and the lid, which is rotatably mounted on the lid
  • a handle shaft which is coupled to the operation handle and the operation handle, and has a support shaft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upled to a fastener on the opposite side thereof, a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haft, the handle shaft extending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shaft;
  • an opening / closing ring having one side coupled to the handle shaft and having a fastening groove fitted to the fastening protrusion by sliding at a pressure of the handle shaft, wherein the inner top plate spaced from the lid of the inner pot is pivotally fitted to the communication hole.
  • the set heating temperature of the lower cooking heating heater is set higher than the set heating temperature of the upper cooking heating heater to complete cooking, steaming, and roasting dishes
  • a heating method of an electric rice cooker comprising the step of steaming the object to be cooked by the latent heat of holding by cutting off the power after the ripening step
  • th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272856 determines the setting of pressure cooking A first step of setting the pressure cooking, a second step of setting the cooking time and then pressing the start button to proceed with the heating process; and a third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heating process is at the end point, and the heating process as described above.
  • the body portion 100 corresponds to the body frame of the rice cooker having an upper surface open to accommodate the outer pot 200 and the inner pot 300, the inner material is preferably composed of a heat insulating member and an insulating member.
  • the cover part 400 corresponds to a lid frame of the rice cooker hinged to one side of the body part 100 to be opened and closed, as shown in FIGS. 1 and 2, and the bottom surface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It is appropriate that a means and a pressure sealing means are provided.
  • the partition wall 3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vapor holes 312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lattice arrays 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As the steam moves through the steam hole, the hot steam generated in one cooking space is moved to the other cooking space, thereby increasing the speed of cooking.
  • Coupling means for attaching the ceramic panel 320 to the inner pot 300 may be made as follows.
  • the heating means divided into three types of the upper ceramic heating film 210, the lower ceramic heating coil 220, and the bottom heating plate 230 are made of different configurations, respectively, but a heating plate or coil having a conventional plate shape Note that it may alternatively be configured as a heating element of a shape.
  • the inner pot 30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resistance from moisture or heat tha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tainer that is open at the top to be inserted into the cooking space 500, as shown in FIG. Do.
  • the thickness of the inner pot is preferably formed so as not to be thick enough to maintain the strength to some extent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ner pot is heated. This is due to the nature of the inner pot 30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element 231, if the inner pot is composed of a heating material of the cooking contents contained in the inner pot because the heat released from the heating element 231 is difficult to efficiently conduct to the inner pot This can be slow.
  • the arrangement form of the heating coil 253 may be made of any arrangement structure to maximize the area of the heating coil in contact with the inner pot 300 in addition to the 'S' arrangement.
  • the region excluding the heating coil in the heating layer may b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high thermal conductivity or a thin metal plate.
  • the heating coil 253 is completely embedded in the heating layer, and in the case of the metal plate, the heating coil is fixed between the two metal plates by an adhesive or a fixing member.
  • the heating coil 253 is preferably composed of an induction heating coil having a high heat generating effect.
  • the heating operation 234 is a vertical through-hole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heating element 233 to the bottom of the outer pot 200 to improve the heat transfer rate, but the heating operation is achieved only by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elements alone. It is preferable to construct.
  • the heating grooves are radially equidistantly disposed toward the inner center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po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re continuously formed in a band shape.
  • the mounting projection 360 is also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ner pot 3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recessed area of the heating groove 234.
  • the shape of the seating protrusion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heating groove 234, but has a structure that protrudes rather than a recessed structure and the sea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inner pot or preferably be detachable to be assembled.
  • the handle groove 2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pot 200 in the region where the inner pot handle is locat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gripping operation for the inner pot handle 330 provided in the inner pot 300. At this time, between the end of the inner pot handle 330 and the handle groove 240 it is necessary to form a free space enough to enter the finger. In addition, by forming the upper surface height of the inner pot handl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outer pot to be the same it will be desira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bstacles in using the cooker according to the protrusion structure of the inner pot handle.
  • the configuration of the locking device embedded in the cover 400 is made of a handle 420, the outer locking ring 440 and the inner locking ring 450 as described above.
  • the cooking completion is simultaneously performed for individual cooking spaces.
  • the cooking parameters need to be corrected and priorities of the cooking parameters are determined prior to the modification of the cooking parameters.
  • the process is involved.
  • the central processing unit searches for cooking completion time defined for each cooking space by approaching cooking parameters. By comparing the cooking completion time is given the highest priority from the cooking space where the cooking completion time is the maximum. For example, when the selection of cooking mode / cooking weight / cooking contents for each cooking space is configured as shown in Table 1 below, the priority is calculated as follows.
  • the cooking mode of the cooking space 3 is a simple warming mode, not an actual cooking process, the heating process in which the heat is supplied by the heating means and the rest process of holding the heat in the state of stopping the heat supply are repeatedly configured. Efficient power consumption can be achieved by maintaining the state continuously, and the heating temperature change width of the cooking space 3 can be reduced by B °C to extend the running time of the heating process, or the heating temperature change width is the heating temperature change width of the set cooking parameter.
  • the cooking completion time of the cooking space 3 may be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cooking completion time of the cooking space 2 so that the warming state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구획된 영역으로 내부 공간을 편성하여 각각 개별 분리된 소정의 영역에서 독립적인 음식물의 취사가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한 다용도 밥솥 및 이러한 다수의 취사공간을 개별적으로 선택 체결할 수 있는 내솥 잠금장치의 부여와 함께 제반 구성요소로 인해 구현될 수 있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조리내용물을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바디부(100)와, 상기 덮개부(400)는 하면에 내솥(300)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이되 돌출형성되어 내솥(30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격리막(410)을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저면에 매립되어 열을 연직 상방으로 지속 공급하는 발열체(231)와, 측면과 분리막(250)의 내부에 취사공간의 네 측면 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층(252)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체(231)와 가열층(252)의 가열동작이 각 취사공간(500)마다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밥솥 및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용도 밥솥 취사 조리 시스템
본 발명은 다수의 구획된 영역으로 내부 공간을 편성하여 각각 개별 분리된 소정의 영역에서 독립적인 음식물의 취사가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한 다용도 밥솥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다수의 취사공간을 개별적으로 선택 체결할 수 있는 내솥 잠금장치의 부여와 함께 제반 구성요소로 인해 구현될 수 있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 2인 가구의 급속한 증가와 불규칙한 식습관이 보편화 된 현대인의 식생활문화로 인해 조리관련 가전제품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주방에서 사용가능한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밥솥, 가스레인지 등의 주방용 가전제품이 다양한 기능과 용도로 산업 각계에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점차 관련 제품시장이 다변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 여러 가전제품 중 밥솥에 대한 관심은 더욱더 크다 할 것이고, 밥솥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밥솥의 수요가 증대됨으로써 다양한 기능과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밥솥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바, 최근에는 하나의 밥솥에 다양한 조리내용물을 투입하여 각각 개별적인 조리를 하기 위한 밥솥 구조에 관한 발명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일례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845호에서는 밥솥통과 밥솥통을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밥솥에 있어서, 밥솥통은 분할판에 의해 다수 개의 독립된 수직공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판은 별도로 제작되어 밥솥통의 하단면과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밥솥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공간에 상이한 식재료를 투입하여 다양한 취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 분리가 가능한 구성이 개시되고 있으나, 상기 구성의 분할판은 별도의 발열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취사공간의 측방향으로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취사 효율이 감소될 우려가 있을 뿐 아니라, 일체형의 판으로 이루어지므로 별도의 단열층이 내부에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분할된 각 공간 사이에 열 이동을 방지하는 단열수단이 제공되지 않아 효과적인 가열 동작이 구성되기 어렵다.
다른 일례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184호에서는 내솥 내부의 공간부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취사공간으로 구획하여 내솥에 설치되되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는 분리막과, 분리막의 결합공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막이 내솥 내부에 설치될 때 상기 내솥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슬라이딩 결합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밥솥용 내부 분리막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밥솥의 내솥을 구획하는 내부 분리막에 관한 것으로서, 물리적으로 상기 내부 분리막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취사 내용물(곡식 등)을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나 상기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내용물과 함께 내솥으로 투입되는 물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공간으로 인입, 인출됨으로써 조리환경의 통제가 불가능한 구성이며, 분리막의 가장자리 면에 방수부재가 구성되지 않아 분리막의 양측으로 각각 구분되는 조리내용물의 조리과정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곤란하고, 분리막에 개방된 영역(관통공)이 발생함에 따라 분리막의 단열작용을 저하시켜 열효율을 감소시킴으로써 각 취사공간마다 투입되는 조리내용물의 조리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곤란하다.
그리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64816호에서는 수직으로 일정길이를 갖는 고정축에 좌우로 회전되는 다수개의 구멍을 갖는 분리판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결합한 밥통분리부를 포함하되, 상기 밥통분리부의 분리판은 일측에 힌지부를 형성하여, 고정축의 외주연에 결합하고, 고정축의 내부는 중공의 형태를 취하며, 일정길이로 돌출된 그 상하부는 각각의 증기발산홀과 다수의 증기인입홀을 형성하여 구성되고, 고정축의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끼움홀을 형성한 고정관이 구비되고, 상기 찜통의 둘레에는 다수개의 구멍을 한 찜통이 결합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통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분리판을 통해 분할되는 각 취사공간의 조리동작 중에 발생하는 수증기가 상기 증기인입홀로 인입하여 상부의 증기발산홀을 통해 배출됨으로써 열순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개별 조리대상물의 조리가 알맞게 이루어지게 하는 구성이나, 각 취사공간의 증기압력으로 인한 밥솥 용기의 들뜸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각 취사공간별로 구성되지 않아 안전성에 있어서 다소의 문제점이 발견된다.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9245호에서는 뚜껑과 뚜껑의 대향면에 다수의 체결돌기를 가지고 내솥을 수용하는 외솥를 포함하는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로서, 상기 뚜껑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핸들과, 상기 조작핸들에 끼움 결합하고, 이의 반대 면에 체결구가 결합되는 소통공이 형성된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의 양측으로 다수의 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지지축을 기준하여 양측으로 연장되는 핸들 샤프트, 및 상기 핸들 샤프트와 일측이 결합되고, 핸들 샤프트의 기압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체결돌기에 끼워지는 체결홈을 가지는 개폐링을 포함하되, 내솥의 뚜껑과 이격되는 내상판에는 소통공에 회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보스와, 걸림돌기들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안착하도록 함과 동시에 걸림돌기들의 회동반경을 제한하는 걸림홈들과, 핸들 샤프트와 개폐링의 결합부위가 걸리게 하여 핸들 샤프트의 회동 반경을 제한하는 제한공을 가지는 압력밥솥의 뚜껑 잠금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실용신안은 핸들 샤프트가 내솥 뚜껑과 이격되어 핸들 샤프트의 유동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이고, 핸들 샤프트가 지지축을 기준으로 양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성형되어 회동과정에 의한 잠금 동작에서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나, 내솥의 상측 외주연에 일체 구비되는 걸림턱만을 하방에서 수용하여 잠금 동작을 구성하기 때문에 각 내솥의 상측 내주연 측을 고정하기 위한 잠금 부재가 구비되지 않아 다수의 내솥으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밥솥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잠금장치 구조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국민의 식문화에 있어서 밥솥은 그 기능과 성능면에서 그 어떤 주방용 가전제품보다 더욱 세분화되고 차별화되는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밥솥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자제어를 컴퓨터연산이 가능한 마이컴(Micom) 또는 DSP 칩 등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제어방식의 효율화와 안정화를 목표로 하고 소비자의 까다로운 욕구를 섬세하게 반영하는 발명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예컨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61961호에서는 하부 조리용 가열히터의 설정가열온도가 상부 조리용 가열히터의 설정가열온도보다 높게 설정되어 취반요리, 찜요리, 구이요리를 완숙시키는 단계와, 상기 완숙단계 후에 전원을 차단하여 보유잠열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뜸들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의 가열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72856호에서는 압력 요리의 설정을 판단하는 제1단계와, 압력 요리가 설정되면 요리시간을 설정한 후 시작 버튼이 눌리면 가열 공정을 진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에서 가열 공정의 종료 시점인지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에서 가열 공정이 완료되면 휴지시간을 표시한 후 휴지공정을 진행하면서 휴지공정 종료 수분 전인지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에서 휴지공정 종료 수분 전에 도달하면 증기배출을 시작하는 제5단계와, 상기에서 휴지공정이 종료되면 요리완료로 판단하여 부저음을 발생시킨 후 요리를 종료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 배출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들은 각각 밥솥의 가열온도와 증기배출동작을 제어하는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나, 취사가 이루어지는 밥솥의 공간이 하나로 한정되어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밥솥에서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동작을 개별 제어하기 위한 조리상황별 알고리즘이 구비되지 않아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구분되는 다용도 밥솥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곤란성이 야기되는 부분이 있다.
<선행기술>
<특허문헌>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764816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61961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72856호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내솥을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분할하는 격벽에 단열 작용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고, 내솥의 각 취사공간 내에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별도의 부자재를 포함시키되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이루어지게 하고, 취사공간 내에 열을 전달하는 외솥의 가열수단을 외솥의 저면과 외솥 측면의 상ㆍ하부로 구분 형성하여 가열 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에너지 소모가 감소되는 다용도 밥솥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밥솥의 외부 용기인 외솥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막에 방수수단과 발열수단 및 단열수단을 적층 구성하여 상기 발열수단에 방출되는 열을 통해 취사 또는 보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방수수단을 통해 조리내용물(밥 등)에 포함되는 수증기 또는 수분이 발열수단에 침투되지 않도록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단열수단을 통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열이 타 공간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되, 외솥의 내부 바닥면에 복층구조의 발열체를 구성하여 상부 발열체를 통해서는 보온 기능을 구현하고 하부 발열체 및 상부 발열체를 통해서는 취사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다용도밥솥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개별 내솥의 상측 내ㆍ외주연 전체에 걸쳐 잠금 동작이 균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를 제공하면서, 잠금 동작이 이루어지는 대상의 범위에 내솥과 밥솥의 뚜껑뿐만 아니라 내솥을 수용하는 밥솥의 외솥도 포함함으로써 잠금 동작에 따른 안전성을 개선할 수 있는 별도의 고정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부가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개별 취사공간별로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밥솥의 가열온도와 압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고, 각 취사공간별로 상이한 조리완료시간을 가열온도와 압력 및 개별공정시간의 조절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유기적으로 증감시켜 각 취사공간의 독립적인 조리동작은 물론이거니와 조리완료시간에 대해서도 선택성을 부여함으로써 다용도성이 극대화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상기의 해결 과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용도 밥솥을 구성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밥솥(1000)은 상면이 개방형성되는 바디부(100), 바디부와 힌지결합되는 덮개부(400), 바디부에 내삽되는 외솥(200), 외솥에 안착되되 다수의 분할된 취사공간(500)을 형성하는 격벽(310)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내솥(300)을 포함하며, 상기 내솥(300)은 내측면과 격벽(310)의 양 측면과 맞닿아 수직방향으로 탈부착되되 각 취사공간(500)마다 한 쌍씩 구비되는 세라믹패널(320);과, 격벽(310) 내부에 장방형 판 형상의 중공부로 이루어지는 단열층(311);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400)는 하면에 내솥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이되 돌출형성되어 내솥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격리막(410)을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전체 측면의 상부측에 내장되어 열전도가 내솥의 외측면 상에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상부세라믹히팅필름(210);과, 전체 측면의 하부측에 내장되어 외솥의 측면을 따라 'S' 자형으로 절곡 배열됨으로써 열 대류 현상을 발생시키는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과, 저면에 내장되어 내솥의 바닥면 전체에 열복사 에너지를 방사하는 바닥부히팅플레이트(2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세라믹히팅필름과 하부세라믹히팅코일 및 바닥부히팅플레이트가 각 취사공간(500) 별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밥솥은 조리내용물을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바디부(100)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400)로 이루어지되 덮개부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4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00)는 내삽되되 수직방향으로 중공부를 분할하는 분리막(250)에 의해 다수의 취사공간(500)으로 구획되는 외솥(200);과, 외솥의 개별 취사공간에 탈삽입되는 다수의 내솥(300);을 수용하되, 상기 내솥(300)은 일측면 상단과 타측면 상단 각각에 파지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내솥손잡이(33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400)는 하면에 내솥(300)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이되 돌출형성되어 내솥(30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격리막(410)을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저면에 매립되어 열을 연직 상방으로 지속 공급하는 발열체(231)와, 측면과 분리막(250)의 내부에 취사공간의 네 측면 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층(252)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체(231)와 가열층(252)의 가열동작이 각 취사공간(500)마다 독립적으로 수행되되, 상기 분리막(250)은 좌, 우 외측면에 외부로부터 가열층(252)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되 열전도성이 높은 판 형상의 마감재(251)를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상기 분리막(250)을 하나 이상 구비하여 다수의 취사공간(500)으로 형성하며, 상기 격리막(410)은 일측에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411)를 구비하여 각 내솥(300) 별로 각각의 배출구(411)를 통해 독립적으로 증기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용도 밥솥은 다수의 내솥(300)을 수용하는 외솥(200)과, 외솥과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400)로 이루어진 밥솥(1000)을 형성하여 내솥의 상측과 회동 결속되도록 덮개부에 내장되는 내솥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00)의 상ㆍ하면을 관통하되 축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420)와, 손잡이와 링크 결속되어 각 내솥의 외측 상단부를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잠금링(440)과, 손잡이와 축 연결되고 각 내솥의 내측 상단부를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내부잠금링(4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잠금링(440)의 내주면 상에는 내솥의 외측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바깥걸림턱(340)을 수용하기 위한 바깥수용돌기(4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잠금링(450)의 외주면 상에는 내솥의 내측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중심걸림턱(350)을 수용하기 위한 중심수용돌기(45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를 활용한 본 발명의 취사 조리 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입력모듈;에 접근하여 조리모드, 조리중량, 조리내용물 및 완료모드로 이루어지는 취사정보를 선택입력하는 취사정보입력단계(S10);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완료모드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순차완료모드로 구분되는 상기 완료모드 값에 따라 조리동작을 구분 제어하는 제어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독립 구비되는 증기배출밸브,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리내용물을 조리하는 조리단계(S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단계에서 센서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압력, 온도로 구분되는 센서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측정단계(S30);가 동시에 수반되며, 상기 입력모듈에서 전달받은 취사정보와 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센서정보 및 상기 완료모드 값에 따라 구분 실행되는 취사알고리즘에 따라 조리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리파라미터 값을 제어모듈에 전달함으로써 입력,제어,센서 모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모드는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취사모드;와,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찜모드;와,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보온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파라미터는 공정별 취사공간의 내부온도에 대한 가열온도최대치 및 가열온도변화폭과 개별공정진행시간 및 조리완료시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조리파라미터 값이 수정 및 조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패널이 내솥에 탈부착되게 구성됨으로써 조리대상물의 영양적 성분을 활성화하는 이점이 있고, 취사공간을 분할하는 격벽 내에 중공부 또는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단열층이 구비되어 취사공간 사이에 단열작용이 발생하고, 또한 격벽의 상부 측에 다수 개씩 관통 형성되는 증기공에 의해 취사공간 간의 증기 공유가 가능해져 에너지 효율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외솥에 내장 구비되는 가열수단이 외솥의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 및 저면의 3 가지 영역에 분리 구성됨으로써 가열수단의 가열 작용이 각 취사공간 별로 이루어져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고, 열복사를 발생시키는 바닥부히팅플레이트와 열대류를 발생시키는 하부세락믹히팅코일 및 열전도를 일으키는 상부세라믹히팅필름에 의해 상이한 가열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가열수단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솥에 구비되는 걸림턱과 덮개부에 구비되는 잠금트랙의 결속을 통해 내솥의 안정성과 밥솥 자체의 기밀성을 높이고, 외솥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막이 발열기능 및 단열기능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측 방향으로 조리내용물에 열이 전달되어 발열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인접한 타 취사공간의 내솥에는 열전달을 차단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한쪽의 내솥에서는 밥을 하고 다른 쪽의 내솥에서는 식은 밥을 보온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막의 마감재를 통해 밥솥 내의 전기적 절연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내솥의 하면에 맞닿는 외솥의 저면에 복층구조의 제1,2 발열체를 구성하고 내솥의 하면에 제1,2 발열체와 접촉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분되는 높이를 가지는 안착돌기를 구성함으로써 선택적인 취사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구조의 잠금수단이 아닌 외부잠금링과 내부잠금링으로 구분되는 2중 구조의 잠금수단을 채용함으로써 내솥의 서로 대향되는 양측을 동시에 잠금수단을 통해 잡아주어 내솥이 수평으로 균형을 맞춘 상태에서 압력을 견디면서 결속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밥솥의 외솥 바닥면에 상기 내부잠금링의 중심수용돌기에 인입될 수 있는 중심지지턱을 일체 포함하는 고정체결바 구성을 통해 내솥이 외솥와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장치와 함께 상호 결속되게 함으로써 고압에 장기간 노출되는 내솥의 안전성을 높여 다용도 밥솥의 조리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구분되는 밥솥의 조리과정이 독립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각 취사공간마다 부여되는 조리파라미터에 의해 조리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이한 조리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취사공간별로 조리동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되 조리가 완료되는 시점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거나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라 다양한 조리 패턴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밥솥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내솥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적용되는 상부세라믹히팅필름과 하부세라믹히팅코일 및 바닥부히팅플레이트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격벽 구조를 나타낸 도 2의 A 영역 단면도.
도 5는 격벽튜브와 증기공을 포함하는 격벽 구조를 나타낸 도 2의 A 영역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밥솥의 전체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내솥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에 적용되는 발열체의 구성을 도시한 다용도 밥솥의 단면도.
도 9는 도 6에 적용되는 제1,2 발열체의 구성을 도시한 다용도 밥솥의 단면도.
도 10은 도 6의 내솥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6에 적용되는 잠금트랙과 내솥의 잠금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2와 13은 도 6에 적용되는 분리막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14와 15는 도 6에 적용되는 외솥과 내솥의 구성을 각각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솥 잠금장치를 구비한 다용도 밥솥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에 적용되는 내솥 구조의 상세도.
도 18은 도 16에 적용되는 잠금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7의 A 영역을 확대 도시한 상세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솥 잠금장치를 구비한 다용도 밥솥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도 20에 적용되는 내솥 구조의 상세도.
도 22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
도 23은 입력메뉴패널의 예시도.
도 24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한 플로어 차트.
도 25는 순차완료모드에 따른 취사알고리즘의 연산처리에 대한 플로어 차트.
도 26은 동시완료모드에 따른 취사알고리즘의 연산처리에 대한 플로어 차트.
도 27은 가열공정 진행시간 조절에 의한 공정별 가열온도와 조리완료시간을 나타낸 시간-가열온도 그래프.
도 28은 불림공정 진행시간 조절에 의한 공정별 가열온도와 조리완료시간을 나타낸 시간-가열온도 그래프.
도 29는 대기공정과 가열공정의 반복 구성에 의한 공정별 가열온도와 조리완료시간을 나타낸 시간-가열온도 그래프.
도 30은 증기공유공정이 추가되는 가열공정 구성에 의한 공정별 가열온도와 조리완료시간을 나타낸 시간-가열온도 그래프.
<부호의 설명>
100. 바디부 110. 보조지지축
200. 외솥 210. 상부세라믹히팅필름
215. 고정체결바 216. 중심지지턱
220. 하부세라믹히팅코일 230. 바닥부히팅플레이트
231. 발열체 232. 제1발열체
233. 제2발열체 234. 발열홈
235. 탄성판 240. 손잡이홈
250. 분리막 251. 마감재
252. 가열층 253. 가열코일
254. 단열막 300. 내솥
310. 격벽 311. 단열층
312. 증기공 313. 격벽튜브
314. 걸림턱 320. 세라믹패널
330. 내솥손잡이 340. 바깥걸림턱
350. 중심걸림턱 360. 안착돌기
400. 덮개부 410. 격리막
411. 배출구 420. 손잡이
430. 잠금트랙 431. 걸림턱진입홈
440. 외부잠금링 441. 바깥수용돌기
450. 내부잠금링 451. 중심수용돌기
500. 취사공간 1000. 밥솥
L1, L2. 두께
본 발명의 기술에 앞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와 각 요소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원에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구획된 영역으로 내부 공간을 편성하여 각각 개별 분리된소정의 영역에서 독립적인 음식물의 취사가 실시될 수 있도록 구성한 다용도 밥솥에 관하여 개시되고, 이와 아울러 다수의 취사공간을 개별적으로 선택 체결할 수 있는 내솥 잠금장치의 부여와 함께 제반 구성요소로 인해 구현될 수 있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실시예로 구분하여 관련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기재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상기 실시예 1은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분할하는 격벽 자체가 내솥에 일체형으로 성형되는 다용도 밥솥에 관하여 개재된다.
상기 취사공간의 측면을 형성하는 내솥의 측면과 격벽의 측면에 수직방향으로 탈부착되는 세라믹패널을 다수 개씩 배치하여 가열된 세라믹패널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에 의해 조리내용물의 영양적 성분을 활성화하게 되고, 내솥을 감싸 수용하게 되는 외솥에 외솥의 측면 상ㆍ하부와 저면에 분리 설치되는 가열수단(상부세라믹히팅필름, 하부세라믹히팅코일, 바닥부히팅플레이트)을 포함함으로써 각 취사공간마다 가열 과정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할 것이다. 상기 내솥의 각 취사공간에는 취사, 보온, 찜 형태의 조리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관련 도면은 도 1 내지 5로 해당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 1에서 특징으로 하는 기술사상에 관하여 기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용도 밥솥은 상면이 개방형성되는 바디부(100)와, 바디부와 힌지결합되는 덮개부(400)로 구분되며, 바디부에 내삽되는 외솥(200)과, 외솥에 안착되되 다수의 분할된 취사공간(500)을 형성하는 격벽(310)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내솥(30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내솥(300)은 내측면과 격벽(310)의 양 측면과 맞닿아 수직방향으로 탈부착되되 각 취사공간(500)마다 한 쌍씩 구비되는 세라믹패널(320);과, 격벽(310) 내부에 장방형 판 형상의 중공부로 이루어지는 단열층(311);을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측면의 상부측에 내장되어 열전도가 내솥의 측면 상에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상부세라믹히팅필름(210);과, 측면의 하부측에 내장되어 외솥의 측면을 따라 'S' 자형으로 절곡 배열됨으로써 열 대류 현상을 발생시키는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과, 저면에 내장되어 내솥의 바닥면 전체에 열복사 에너지를 방사하는 바닥부히팅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상부세라믹히팅필름과 하부세라믹히팅코일 및 바닥부히팅플레이트가 각 취사공간(500) 별로 분리 형성되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 준다.
상기 바디부(100)는 외솥(200)과 내솥(300)을 수용하기 위해 상면이 개방 형성되는 밥솥의 몸체 프레임에 해당하며 내부 재질은 단열부재 및 절연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4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밥솥의 뚜껑 프레임에 해당하며 바디부의 상면과 맞닿게 되는 저면에는 패킹수단 및 압력밀폐수단 등이 구비되는 것이 적절하다. 한편, 상기 덮개부(400)의 힌지결합 부위는 바디부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타측에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힌지결합 부위의 양측에 호 운동 형태로 슬라이딩 되는 보조지지축(110)이 추가로 형성되지 않아도 힌지결합 부위의 지지력이 확보된다 할 것이다. 또한, 밥솥의 입력메뉴판 등도 덮개부(400)가 열리는 방향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솥(200)은 일체형의 통 형상으로서 최외곽층은 단열재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가열수단이 내장되어 내솥(300)에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열이 전달되게 구성된다.
상기 내솥(300)은 수직방향으로 내솥의 바닥면에서부터 내솥의 상단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판구조물인 격벽(310)을 통해 다수의 취사공간(5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격벽(310)은 내솥 재질과 동일한 마감처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내솥에 투입되는 식재료의 조리 과정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격벽을 중심에 두고 양쪽으로 구분되는 각 취사공간(500) 간의 열전달을 방지함으로써 독립적인 조리동작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내솥(300)의 길이방향에 해당하는 좌ㆍ우측면 상단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손잡이(330)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외솥(200)의 상면에는 내솥손잡이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손잡이홈(240)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400)는 밥솥의 뚜껑으로서 내솥(300)에 형성되는 다수의 취사공간(500)의 개구부를 완전히 밀폐할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사공간의 수와 동일한 수량의 격리막(410)을 구비하고, 격리막의 일측에는 다수의 통공이 하나의 군집을 이루는 배출구(411)가 관통형성된다 할 것이다.
한편, 덮개부(400)에 구비되는 격리막(410)은 내솥(300)의 개구부, 즉 다시 말해서 내솥의 내측면 라인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되, 중심부로 갈수록 볼록해지는 완만한 돔 형상으로 구성되어 개별 내솥마다 대응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격리막(410)이 다수의 내솥 상부를 모두 감싸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격리막은 밀폐효과를 더욱 살리기 위해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사출성형하여 덮개부 하면에 부착하는 것이 적절하고, 격리막과 직접 맞닿게 되는 내솥(300)의 상단면에는 고무재질 등의 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진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격리막(410)은 덮개부(400)의 하면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격리막과 덮개부의 탈부착을 위한 결합수단은 격리막의 일면에 돌출되는 실리콘재질의 압착판부재(미도시함)와 덮개부(400)의 하면에 상기 압착판부재에 대응되는 홈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격리막(410)에는 밥솥의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구(4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는 다수의 통공이 군집을 이루어서 각 격리막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별로 증기배출밸브(미도시함)가 구비되어 취사공간별로 증기배출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각 내솥별로 발생하는 증기가 개별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내솥(300) 상부를 모두 감싸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격리막(410)의 경우에 있어서는 각 내솥 공간과 연통되게 격리막을 구성하되 격리막의 일측에 배출구(411)가 하나로 형성됨으로써 모든 내솥의 증기배출이 하나의 배출구를 통해 동시에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가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먼저 조리가 완료된 내솥은 일단 증기를 보유하고 있다가 마지막에 조리가 완료되는 내솥(300)과 함께 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할 것이다. 또한, 각 내솥의 조리내용물에 공급되는 발열량을 조절하여 조리진행속도를 맞춰줌으로써(조리시간이 많이 걸리는 조리내용물의 발열량을 높여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조리시간이 적게 걸리는 조리내용물의 발열량을 낮춰 조리시간을 연장하고) 한꺼번에 증기가 배출되게 하여 모든 조리내용물의 조리가 동일 시점에 완료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상기 외솥(200)과 이에 대응되는 내솥(300)의 형상은 타원형, 원형, 사각형, 다각형의 군에서 선택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외솥과 내솥의 구체적 형상이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주지한다. 또한, 상기 내솥은 격벽(310)을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취사공간(500)을 포함하되, 각 취사공간(500)은 동일한 체적 또는 서로 상이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첨부된 도면에서는 격벽(310)으로 구분되는 취사공간의 체적이 거의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격벽의 구성 간격이 한쪽은 좁고 다른 한쪽은 넓게 구성되어 서로 상이한 체적의 취사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제, 상기 외솥(200)과 내솥(300)을 구성하는 각 세부 구성 요소 중 특징이 되는 부분에 관해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상기 내솥(30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격벽(3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장방형 판 형상을 지니는 일정 폭의 중공부로 이루어지는 단열층(311)을 포함하게 되는데, 상기 단열층(311)은 격벽의 측면 전체 영역에 대응되게 넓게 형성됨으로써 격벽의 단열효과가 격벽의 측면 전체에 균등하게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단열층(311)은 단열재로 충진될 수도 있으며 단열재가 충진되는 범위는 단열층 면적의 전체 또는 단열층의 하단부에서 중심부까지 일부 영역만 단열재가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단열재를 단열층(311)의 하단부에서 중심부까지만 형성하는 이유는 통상 내솥(300)의 조리내용물이 끓는 공간은 중심부 영역을 약간 넘나드는 정도로만 이루어져 일부 영역만 단열재가 포함됨으로써 단열재 비용을 어느 정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격벽(310)에는 단열층(311)이 구비되지 않는 대신에 격벽의 상부측에 격자배열 등으로 다수 개씩 관통형성되는 증기공(312)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증기공을 통해 증기가 이동하게 됨으로써 한 취사공간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가 타 취사공간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취사조리동작의 진행 속도가 증가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기공(312)은 단열층(311)이 구비되는 격벽(310)과 단열층이 구비되지 않는 격벽에도 형성될 수 있으며, 증기공의 구조적 견고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증기공이 형성되는 위치를 격벽튜브(313)로 마감 처리하여 격벽(310)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격벽튜브(313)가 없는 경우에는 증기공(312)이 통공되는 영역의 단열층(311)이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다소 손상되거나 구조가 부식 또는 연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상기 격벽튜브(313)는 증기공의 관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는 미세관 형상의 소재이다.
또한, 내솥(30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세라믹패널(320)은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세라믹 재질로 일체 성형되는 판 구조물로서 각 취사공간(500)마다 좌,우 한 쌍씩 배치되게 된다. 이때, 세라믹패널(320)의 두께는 격벽(310)과 내솥(300)의 측면 두께보다 2 내지 5 배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세라믹패널의 두께가 상기 두께 범위보다 작게 되면 세라믹 재질에 의한 원적외선 방사 기능이 유효한 수준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되고, 상기 두께 범위보다 두껍게 되면 취사공간의 내부 공간이 너무 감소하게 되어 조리내용물이 투입되는 조리용기 역할을 하는 내솥의 기본적 기능이 발휘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세라믹패널(320)을 내솥(300)에 탈부착 형식으로 구성하는 이유는 세라믹패널을 구성하는 기본 소재인 세라믹은 원적외선을 방사 할 뿐만 아니라 항균, 항곰팡이, 탈취, 축열기능으로 인한 발열에너지 절약 및 다량의 음이온 방출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조리내용물의 안전성과 영양성을 높이며 상기 축열기능을 통해 고온의 열을 오랫동안 더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세라믹패널(320)을 내솥(300)에 부착하기 위한 결합수단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세라믹패널(320)은 밥솥의 내솥 내에 결합되는바, 별도의 돌기나 홈이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할 것이다. 따라서, 세라믹패널의 소재 자체의 특성에 의해 내솥과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내솥(300)을 구성할 시에 내솥의 내측 표면에 철을 도금하거나 자성에 반응하는 금속으로 구성하고, 이에 대응되게 세라믹패널(320)을 세라믹자석에 사용되는 소재를 함유시켜 구성함으로써 세라믹패널에 일체의 돌기나 결속부재 없이 내솥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세라믹패널(320)에 세라믹자석 기능을 첨가하는 방법은 페라이트자석(ferrite magnet)의 성분을 세라믹패널(320)에 적층 방식으로 세라믹패널(320)의 내에 삽입하거나, 페라이트자석을 습식페라이트자석(Wet type magnet) 방식으로 채택하여 물과 페라이트가루를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고 세라믹 소재를 함께 배합함으로써 세라믹패널(320)의 전 영역에 걸쳐 자력이 균일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페라이트자석은 460℃의 큐리온도를 가지고 있어 온도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고온에 노출되는 내솥(300)의 사용 환경에 적합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세라믹패널(320)은 각 취사공간(500)의 좌ㆍ우측면에 한 쌍씩 구비되는 대신에, 취사공간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면과 하면이 통 형상으로 관통되게 개방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에 기술된 페라이트자석 기능을 추가로 구성하지 않고도 단순히 내솥(300) 내에 안착시키는 과정만으로도 내솥 내에 세라믹패널(320)이 고정되게 된다 할 것이다. 단, 이와 같이 취사공간(500)의 내부 공간에 대응되어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세라믹패널의 두께 또한 상기 두께 범위로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외솥(200)에는 내솥(300)을 수용하되 내솥에 형성되는 다수의 취사공간(500) 영역에 각각 대응되도록 외솥의 측면 상ㆍ하부 및 저면에 각각 상이한 동작 원리를 가지는 가열수단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가열수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세라믹히팅필름(210)과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 및 바닥부히팅플레이트(230)의 3가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세라믹히팅필름(210)은 외솥(200)의 측면 상부측에 내장되는 가열수단으로서, 내부재질(외솥의 바깥을 향하는 방향)은 세라믹섬유(ceramic fiber)로 구성되고 외부재질(내솥과 접하는 방향)은 알루미늄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부재질과 외부재질 사이에 내장되는 발열체는 Ni-Cr 계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고온의 열을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공급하여 가열시간을 단축하고 상기 내부재질로 세라믹섬유절연체를 구성함으로써 절연효과도 증대되게 된다. 이때, 외부재질인 알루미늄판을 채용함으로써 높은 연성을 가지는 알루미늄판에 의해 절곡된 면을 가지는 외솥(200)의 측면 형상에 따라 자연스레 상부세라믹히팅필름(210)을 내장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내부재질로 구성되는 세라믹섬유절연체는 전술된 전기적 절연효과를 발휘할 뿐만 아니라 외솥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열이 외솥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열의 손실을 차단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세라믹섬유절연체가 섬유형태의 세라믹으로 제조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내솥(300)의 형상에 대응되게 성형할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할 것이다. 본 상부세라믹히팅필름(210)은 외솥(200)에 내삽되는 내솥의 표면을 열전도 방식을 통해 가열하는 가열수단으로서 취사공간(500)의 상부 영역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적은 발열량으로 가열을 하더라도 취사공간(500) 내부의 가열 온도가 쉽게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지닌다. 따라서, 본 상부세라믹히팅필름(210)은 보온을 목적으로 하는 조리내용물에 적합하다 할 것이다. 즉, 조리내용물의 보온을 하고자 할 때에는 상부세라믹히팅필름의 가동을 주요 가열수단으로 구성하여 적은 전력으로 보온을 할 수 있다. 특히, 내솥(300) 내에서 밥이 먼저 식게 되는 부위는 밥의 상층 영역이기 때문에 내솥의 상부 측에 직접 작용하는 본 상부세라믹히팅필름(210)의 구성이 효율적인 보온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할 것이다.
상기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솥(200)의 측면 하부측에 내장되는 가열수단으로서, 외솥의 측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히팅코일이 등간격으로 다중 배열되되 히팅코일이 방향을 바꾸는 부분에서 'S' 자형으로 절곡되게 구성함으로써 외솥과 맞닿게 되는 내솥(300)의 측면에 위치한 조리내용물(쌀과 물 등)이 열 대류 현상에 의해 열이 고르게 순환함으로써 가열 진행이 비교적 빠르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즉, 가열 진행 방향이 'S' 자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의 열을 직접적으로 받게 되는 내솥 내의 조리내용물이 자연스레 상기 'S' 자형의 열 발생 행태에 따라 열대류 현상을 겪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은 코일 형태의 전열선을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S' 자형의 배열로 각 취사공간(500)에 대응되는 영역에 내장한 후에, 상기 전열선을 덮는 방식으로 세라믹섬유절연체를 구성하여 전열선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솥(20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때,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의 절곡되는 반경은 코일 자체의 직경보다는 3 내지 6 배 크게 형성됨으로써 절곡에 따른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의 형태 변형이나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코일의 외부재질은 스테인리스 등으로 구성하고 외솥(200)의 외측면과 맞닿게 되는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의 표면에는 별도의 단열층이 적층되어 히팅코일에 의해 발생된 열이 외솥의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바닥부히팅플레이트(230)는 외솥(200)의 저면에 내장되는 가열수단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취사공간(500) 별로 따로 형성되는 판 형상의 발열체 구성이다.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판을 다수 층으로 적층 배치하여 전원을 금속판의 일측에 구비되는 접점을 통해 투입하여 금속판의 면 전체에서 연직 상방을 향해 열복사 에너지가 표출되게 하는 가열수단이다. 다시 말해서, 내솥(300)의 바닥면에 직접 작용하는 본 바닥부히팅플레이트(230)가 열복사 현상에 의해 발열에너지가 내솥에 즉각 전달되게 함으로써 내솥의 하부 바닥층 전체에 균일한 열에너지가 신속히 전달될 수 있게 된다 할 것이다.
한편, 바닥부히팅블레이트(230)의 재질은 최하층의 판 구조물로 세라믹섬유플레이트로 구성하여 단열작용을 포함시키고, 상기 세라믹섬유플레이트의 상면에 금속판(아연도강판, 스테인리스판 등)을 적층배치하여 열복사에너지가 내솥(300)의 저면을 향해 수직방향으로 방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세라믹히팅필름(210),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 바닥부히팅플레이트(230)의 3가지로 구분되는 가열수단은 각각 상이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통상의 판 형상의 발열체 또는 코일 형상의 발열체 등으로 대체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지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다용도 밥솥의 전체 구성과 특징이 되는 세부 구성 요소에 대한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제 취사과정에 따라 이루어지는 일체형 다용도 밥솥(1000)의 작용 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우선, 다수의 취사공간(500)으로 구분되는 내솥(300)에 조리내용물을 구분하여 담는다. 이때, 한 취사공간에는 쌀과 물을 함께 넣어 밥을 지을 수 있고, 다른 취사공간에는 닭갈비찜에 들어가는 각종 닭 및 기타 재료를 투입하여 찜요리를 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을 통한 영양성을 가미하기 위해서는 해당 취사공간에 상기에 전술된 세라믹패널(320)을 취사공간의 좌,우측면에 삽입하여 세라믹패널의 세라믹 성분이 열을 받아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게 됨으로써 조리내용물의 건강기능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때, 내솥(300)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격벽(310) 상부 측에 형성되는 다수의 통공을 통해 증기가 취사공간(500) 사이를 통과하게 구성함으로써 조리 효과를 더욱더 살릴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제 상기와 같이 각 취사공간에 투입된 조리내용물이 가열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외솥(200)의 저면에 내장되는 바닥부히팅플레이트(230)의 열복사 에너지에 의해 내솥(300)의 바닥면이 서서히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외솥 전체 측면의 하부측에 내장되는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에 의해 내솥의 옆면을 'S' 자 배열로 가열하게 됨으로써 열대류 현상이 차츰 시작되게 되고, 하부세라믹히팅코일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세라믹히팅필름(210)에 의해 각 취사공간의 상부 영역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적은 발열량으로 가열을 하더라도 취사공간 내부의 가열 온도가 쉽게 저하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취사공간 내부의 열손실을 방지하게 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 행태에 대한 기술이 전체적으로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에 따르는 일체형 다용도 밥솥의 구조는 전기압력밥솥, 전기밥솥, 전기보온밥통을 비롯한 화력을 이용하는 압력밥솥 등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실시예 2>
관련 도면은 도 6 내지 15로 해당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 2에서 특징으로 하는 기술사상에 관하여 기술한다.
상기 실시예 2에서는 밥솥의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독립된 내솥별로 조리내용물을 투입하여 취사(보온, 찜, 국, 찌개 등 포함)를 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내솥의 측면 상단에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걸림턱을 수용하도록 함몰형성되는 걸림턱진입홈을 포함하는 잠금트랙을 구비함으로써 내솥의 결합 안전성을 높이고,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수단인 분리막 내부 중심층에 단열막을 구성하고, 단열막의 양면에 가열층을 적층하되, 최외곽면에는 마감재를 형성함으로써 조리내용물 또는 수분이 분리막의 일측을 통해 타공간으로 혼입되지 않게 하고, 발열체를 일정한 온도를 지속 공급하는 보온용 발열체(제1발열체)와 온도조절이 가능한 취사용 발열체(제2발열체)를 구분 구성하여 선택적인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취사 시 소모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이다.
또한, 다수의 취사공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밥솥은 여러 가지의 취사(밥, 국, 찌개 등)와 찜 및 보온 등을 한꺼번에 할 수 있고, 다양한 조리를 최소 2가지 이상 할 수 있어 시간절약과 절전에 큰 도움이 된다 할 것이다. 기존의 밥솥은 새로 취사(밥)를 하기 위해 기존의 밥을 퍼내고 취사를 진행해야 함에 반해, 본 발명에는 식은 밥은 그대로 보온상태로 두고 보관하면서 동시에 취사(밥, 국, 찌개 등)의 조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내재해 있다 할 것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조적 형상과 기능 및 작용에 대해 면밀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밥솥(1000)의 전체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리내용물을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중공부를 포함하는 바디부(100)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400)로 이루어지되 덮개부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바디부(100)는 내삽되되 수직방향으로 중공부를 분할하는 분리막(250)에 의해 다수의 취사공간(500)으로 구획되는 외솥(200);과, 외솥의 개별 취사공간에 탈삽입되는 다수의 내솥(300);을 수용하되, 상기 내솥(300)은 일측면 상단과 타측면 상단 각각에 파지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내솥손잡이(33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400)는 하면에 내솥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이되 돌출형성되어 내솥(30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격리막(410)을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저면에 매립되어 열을 연직 상방으로 지속 공급하는 발열체(231)와, 측면과 분리막(250)의 내부에 취사공간의 네 측면 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층(25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바디부(100)는 밥솥의 기본 몸체와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으로서 조리내용물을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 중공부가 구비되는 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공부의 형상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네 모서리가 완만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바디부(100)의 구체적 형상은 본 발명의 범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외솥(200)은 도 6 내지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부(100)의 중공부 형상과 대응되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용기로서, 다수의 중공부로 구획되게 된다. 이때, 외솥(200) 외부로 열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솥의 외부를 감싸는 바디부(100)의 내벽 재질은 단열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솥 내의 중공부는 장방형 판 형상의 분리막(250)으로 수직방향으로 구분되게 되어 취사공간(500)이 다수개 형성되어 각 취사공간별로 취사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취사공간(500)은 분리막(250)의 배치 간격 등에 따라 동일한 체적 또는 서로 상이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솥(30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취사공간(500)에 탈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 형태로 성형되고 조리내용물이 포함하는 수분 또는 열기로부터 저항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솥의 두께는 가열되는 내솥의 특성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만 형성되되 너무 두껍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열체(231)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내솥(300)의 특성상 너무 두꺼운 재질로 내솥이 구성되면 발열체(231)에서 방출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내솥에 전도되기 곤란하므로 내솥에 담기게 되는 조리내용물의 가열이 더디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내솥의 내측면 중 각 모서리 부위에는 일정 반경을 갖는 원호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주걱으로 내솥에 담겨져 있는 밥을 덜어낼 때, 주걱에 의해 용이하게 모서리 부위에 붙은 밥까지 퍼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덮개부(400)는 도 6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솥(200)과 내솥(300)을 수용하는 바디부(100)의 일측과 힌지결합을 통해 맞닿게 접합되어 밥솥을 개폐시키는 구성 요소이다. 이때, 덮개부와 바디부의 상면이 맞닿는 덮개부의 하면에는 상기 취사공간(500)을 외부와 완전히 격리시키도록 내솥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으로 일체 돌출형성되는 격리막(4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덮개부(400)의 상면에 노출되게 돌출형성되는 손잡이(420)가 구비되어 덮개부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파지수단이 구성된다.
한편, 첨부된 도 6 내지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솥(200)은 타원형 통으로 도시되었고, 내솥(300)의 형상은 이에 대응되게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 외솥의 형상은 타원형, 다각형 및 원형 등의 구조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처럼 다양하게 구성되는 외솥의 형상에 대응되게 내솥의 형상도 상응하게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을 주지하고자 한다. 또한, 상기 외솥은 분리막(250)을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취사공간(500)을 포함하되, 각 취사공간은 동일한 체적 또는 서로 상이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첨부된 도면에서는 분리막(250)으로 구분되는 취사공간(500)의 체적이 거의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분리막의 구성 간격이 한쪽은 좁고 다른 한쪽은 넓게 구성되어 서로 상이한 체적의 취사공간(500)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바디부(100), 외솥(200), 내솥(300), 덮개부(400)의 전체 구성에 대한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제 각 세부 구성 요소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상기 바디부(100)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측과 일단부가 연결되고 덮개부(400)의 저면측과 타단부가 연결되어 바디부로부터 덮개부를 지지하되 각운동이 가능한 보조지지축(110)이 힌지결합 부위에 인접되게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바디부(100)와 덮개부(400)의 힌지결합 부위가 가로 방향(도 6 및 7에 도시된 방향)이 아닌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보조지지축(110)은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도 힌지결합 부위의 지지력이 확보된다 할 것이다. 또한, 밥솥의 입력메뉴판 등도 덮개부(400)가 열리는 방향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보조지지축(110)을 통해 덮개부(400)의 개방시 덮개부의 바디부(100)에 대한 고정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된다.
상기 외솥(200)에 구비되는 분리막(250)은 단순히 공간을 분리하고 각 공간 사이의 내용물이 섞이지 않는 기밀성의 재질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나, 취사의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3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3중 구조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외측면이 열전도성이 높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감재(251)와 상기 마감재 사이의 중심층에 가열층(25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가열층 하나로 양쪽에 위치한 취사공간(500)에 동시에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단, 각 취사공간별로 개별적인 열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분리막(250)에 단열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3중 구조에서 더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중 구조의 분리막 구조에서 가열층(252)을 하나 더 구비하여 한 쌍의 가열층을 구성하고, 그 사이에 단열기능이 구비되는 단열막(254)을 추가 적층배치 함으로써 취사공간 간의 완벽한 단열기능이 구성되어 독립적인 취사 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분리막(250)은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 없이 단열층으로 구성되어 단열효과만 발휘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감재(251)는 열전도성 재질로 구성되어 조리내용물에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분리막(250)을 사이에 두고 구분되는 취사공간(500) 사이를 안정적으로 차단하고, 하기에 기술되는 가열층(252) 내의 가열코일(253) 또는 가열판에 각종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음으로써 전기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단, 마감재(251)의 두께는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되 최대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마감재가 너무 두꺼워지면 가열층(252)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조리내용물(쌀, 물 등)에 제대로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가열층(252)은 두 겹의 마감재(25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발열수단으로서 내부에 'S' 자 배열로 구성되는 가열코일(253)을 포함하거나 판 형상의 일체형 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가열층에서 실제 가열코일 또는 판 형상의 일체형 발열체가 매립되는 영역은 분리막(250)의 면 전체에 해당할 수도 있고, 분리막의 하단에서 중심부 정도까지 일부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또한, 가열층(252)은 외솥(200)을 둘러싸는 네 측면 전체에도 형성되어 개별 내솥(300)에 대한 열전달이 사방에서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하기에 기술되는 설명은 가열코일을 채용하는 가열층(252)을 실시 예로 하여 기술되었음을 주지한다.
상기 가열코일(253)의 배열 형태는 상기 'S' 자 배열 이외에 가열코일이 내솥(300)과 접하는 면적을 최대화하는 어떠한 배열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층에서 가열코일을 제외한 영역은 열전도율이 높은 합성수지재질 또는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재질로 가열층(252)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가열코일(253)이 완전히 가열층에 매립되게 구비되며, 금속판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 가열코일이 접착제 또는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코일(253)은 발열효과가 높은 인덕션히팅코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한 쌍의 가열층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가열층의 사이 공간에 단열막(254)이 추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단열막(254)은 단열기능이 충분히 확보되는 단열재 중에서 선택하여 장방형 판 형상으로 성형하여 분리막(250)의 성형과정에 적층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솥(200)의 저면에는 발열체(231)가 단층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열체(231)의 가열 작용에 의해 내솥(300)에 투입된 조리내용물의 취사(찌개류, 국종류 등 포함), 보온, 찜 등의 조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는 제1발열체(232)와 제2발열체(233)의 복층구조로 적층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1,2 발열체의 복층 구조로 발열수단을 구성하는 이유는 내솥(300)을 일정한 온도로만 보온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제2발열체(233)와 온도조절이 가능하여 취사(또는 찜) 기능을 발휘하는 제1발열체(232)로 구분 구성하여 외솥(200)의 저면에 맞닿게 안착되는 내솥(300)에 대한 가열동작을 선택적으로 설계하여 각 취사공간(500) 별로 상이한 취사동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발열체(232)는 취사공간(500)별로 외솥(200)의 저면에 매립 구성되어 외솥의 저면 전체에 걸쳐 발열이 일어나게 구성된다. 이때, 다수의 취사공간별로 제1발열체(232)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각 취사공간(500)은 분리막(25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발열체가 분리막 하단부를 경유하도록 연결 설치되면 발열체가 분리막에 의해 눌리거나 전기적 절연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고, 제1발열체(232)가 독립적으로 구분 구성되어야 각 취사공간별로 취사동작을 개별적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발열체(233)는 제1발열체(232)의 형상과는 동일하되 제1발열체의 상면에 적층배치되며 외피는 절연체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적층배치되는 제1,2 발열체(232, 233)의 중심부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결속되는 탄성판(23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탄성판(2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내솥(300)의 하면과 제2발열체(233)의 상면과의 접촉시 발생가능한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제1,2 발열체가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탄성판(235)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솥(200)의 저면 일측과 고정결합되고 내솥(300)의 하면 중심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스프링과 스프링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판으로 구성되나, 구체적인 탄성판의 형상은 공지의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 제1,2 발열체의 구성만으로도 충분한 가열효과를 통해 취사동작이 이루어지나 열전달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2발열체(233)의 상면에서 외솥(200)의 저면까지 수직통공형성되는 발열홈(234)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홈은 외솥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내측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치되되 띠 형상으로 연속되게 성형된다. 이때, 상기 발열홈(234)의 함몰 영역에 대응 안착될 수 있도록 내솥(300)의 하면에도 안착돌기(36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안착돌기의 형상은 발열홈(234)의 형상과 동일하되 함몰되는 구조가 아닌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안착돌기는 내솥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착탈이 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돌기(360)의 높이는 취사동작의 구분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가령 취사가 완료된 밥을 내솥(300)에 담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밥솥(1000)에 보관할 경우에는 보온 기능이 예상되므로 안착돌기의 높이가 제2발열체(233)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내솥에 밥을 담아 외솥(200)에 안착시켜 보관하게 됨으로써 제2발열체(233)와 접촉하는 내솥을 통해서 보온만 이루어짐으로써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별도로 구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착돌기(360)는 내솥과 분리결합이 가능한 착탈식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안착돌기는 두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되 각 블록의 형상은 안착돌기의 형상과 동일하되 단지 높이만 각각 1/2로 감소되어 안착돌기 블록 하나만 내솥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안착돌기가 제2발열체(233)에 구비되는 발열홈(234) 영역과 접촉됨으로써 보온과정만 이루어지게 되고, 안착돌기 블록 두 개를 내솥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안착돌기가 제1,2 발열체(232, 233)에 형성되는 발열홈 전체 영역과 접촉함으로써 취사(또는 찜)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열홈(234)의 구성은 내솥(300)의 제1,2 발열체(232, 233)에 대한 열접촉면을 높임과 동시에 내솥의 하면을 외솥(200)의 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내솥(300)에 구비되는 내솥손잡이(330)에 대한 파지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내솥손잡이가 위치한 영역의 외솥(200) 상면에는 손잡이홈(240)이 함몰 형성되게 된다. 이때, 내솥손잡이(330)의 단부와 손잡이홈(240) 사이에는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을 정도의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내솥손잡이의 상면 높이와 외솥의 상면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내솥손잡이의 돌출 구조에 따른 밥솥 사용상의 장애 요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밥솥에 내솥(300)을 긴밀하게 고정하여 압력에 충분한 저항력을 가지도록 구성하기 위해 내솥은 분리막(250)과 접하지 않는 측면 상에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314)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은 하기에 기술되는 덮개부(400)의 잠금트랙(430)에 대응 결속되어 내솥의 외솥에 대한 안착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상기 덮개부(400)는 내솥의 걸림턱(314)과 대응 결속되기 위해 잠금트랙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잠금트랙(430)은 손잡이(420)의 단부와 고정축 방식으로 일체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ㄷ'자 형상으로 된 단면부가 내솥의 상측 라인과 대응되게 고리 형상으로 연속되되 상기 내솥의 걸림턱(314)을 수용하기 위해 걸림턱의 위치에 대응되는 내주면 상에 다수의 걸림턱진입홈(431)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를 돌려 잠금트랙을 회전시켜 잠금트랙의 걸림턱진입홈에 유도된 내솥의 걸림턱이 잠금트랙의 내부로 진입하게 됨으로써 내솥의 걸림턱이 잠금트랙에 고정되어 내솥(300)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400)에 구비되는 격리막(410)은 내솥의 개구부, 즉 다시 말해서 내솥의 내측면 라인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되, 중심부로 갈수록 볼록해지는 완만한 돔 형상으로 구성되어 개별 내솥마다 대응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격리막이 다수의 내솥 상부를 모두 감싸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격리막(410)은 밀폐효과를 더욱 살리기 위해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사출성형하여 덮개부 하면에 부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격리막과 직접 맞닿게 되는 내솥의 상단면에는 고무재질 등의 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진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리막(410)은 덮개부(400)의 하면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격리막과 덮개부의 탈부착을 위한 결합수단은 격리막의 일면에 돌출되는 실리콘재질의 압착판부재(미도시함)와 덮개부의 하면에 상기 압착판부재에 대응되는 홈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격리막(410)에는 밥솥의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구(4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411)는 다수의 통공이 군집을 이루어서 각 격리막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별로 증기배출밸브(미도시함)가 구비되어 취사공간별로 증기배출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각 내솥별로 발생하는 증기가 개별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수의 내솥(300) 상부를 모두 감싸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격리막(410)의 경우에 있어서는 각 내솥 공간과 연통되게 격리막을 구성하되 격리막의 일측에 배출구(411)가 하나로 형성됨으로써 모든 내솥의 증기배출이 하나의 배출구를 통해 동시에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411)가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먼저 조리가 완료된 내솥(300)은 일단 증기를 보유하고 있다가 마지막에 조리가 완료되는 내솥과 함께 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할 것이다. 또한, 각 내솥의 조리내용물에 공급되는 발열량을 조절하여 조리진행속도를 맞춰줌으로써(조리시간이 많이 걸리는 조리내용물의 발열량을 높여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조리시간이 적게 걸리는 조리내용물의 발열량을 낮춰 조리시간을 연장하고) 한꺼번에 증기가 배출되게 하여 모든 조리내용물의 조리가 동일 시점에 완료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다용도밥솥의 전체 구성과 특징이 되는 세부 구성 요소에 대한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제 취사, 보온, 찜 과정에 따라 작용하는 다용도 밥솥(1000)의 작동 행태를 면밀히 고찰하고자 한다.
1. 취사과정
내솥(300)에 곡식(쌀, 보리, 콩 등)과 물을 적절한 비율로 투입하여 외솥(200)의 취사공간(500)에 안착시킨 후, 바디부(100)에 힌지연결되는 덮개부(400)를 덮고 전원버튼을 눌러 취사를 시작하게 된다. 이때, 전원버튼은 다수의 취사공간(500)별로 구분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솥(300)은 하면에 구비되는 안착돌기(360)가 제1,2 발열체(232, 233)의 전체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제2발열체(233)를 통해 일정온도까지 가열이 이루어지고, 제1발열체(232)를 통해 충분한 스팀작용에 의해 밥이 될 때까지 온도를 가온시켜 취사가 완료되도록 한다.
2. 보온과정
취식하고 남은 밥이 담겨진 내솥(300)은 외솥(200) 내에 그대로 결속된 채로 보온 상태로 보관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른 내솥에서는 별도의 조리동작(취사, 보온, 찜 등)이 진행됨과 동시에 먹고 남은 밥이 담겨진 내솥에서는 보온 기능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내솥별로 독립적인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3. 찜과정
한쪽의 내솥(300)에서는 보온이 이루어지고, 다른 쪽의 내솥에서는 취사가 이루어질 때, 또 다른 하나의 내솥에서는 닭갈비찜 또는 황태찜 등의 찜요리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순히 취사 또는 보온의 동작 중 하나만 실시할 수 없는 종래의 밥솥과는 달리 보온, 취사, 찜이 동시에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에 따르는 다용도밥솥은 발열수단의 구성원리에 따라 전기압력밥솥, 전기밥솥, 전기보온밥통을 비롯한 화력을 이용하는 압력밥솥 등에 상기 외솥과 내솥의 구성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실시예 3>
관련 도면은 도 16 내지 21로 해당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 3에서 특징으로 하는 기술사상에 관하여 기술한다.
상기 실시예 3에서는 하나의 밥솥 내에 다수의 내솥이 구비되어 각 내솥 별로 독립적으로 취사 조리가 이루어지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각 내솥에 대한 잠금 기능을 균등하게 부여할 수 있는 잠금장치에 대한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종래의 내솥 상단 외주면에서 등간격으로 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되는 걸림턱 이외에 내솥의 내측 상단에 대해서도 별도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내솥의 바깥둘레와 내측 둘레를 동시에 취부할 수 있는 잠금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성 요소와 그 기능 및 결합관계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내솥 잠금장치를 구비하는 다용도 밥솥의 전체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다수의 내솥(300)을 수용하는 외솥(200)과 외솥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400)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밥솥(1000)의 덮개부에 내장되어 내솥의 상측과 회동 결속되는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에 관한 구조가 드러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솥 잠금장치의 잠금 수단과 관련된 직접적인 구성은 상기 덮개부(400)의 상ㆍ하면을 관통하되 축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420)와, 손잡이와 링크 결속되어 각 내솥(300)의 외측 상단부를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잠금링(440)과, 손잡이와 축 연결되고 각 내솥의 내측 상단부를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내부잠금링(450)의 3 가지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외부잠금링(440)의 내주면에는 내솥(300)의 외측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바깥걸림턱(340)을 수용하기 위한 바깥수용돌기(4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잠금링(450)의 외주면에는 내솥(300)의 내측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중심걸림턱(350)을 수용하기 위한 중심수용돌기(451)가 돌출 형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내솥(300)의 외측 상단과 내측 상단이 밥솥의 덮개부(400)에 내장되는 잠금장치의 외부잠금링(440)과 내부잠금링(450)에 의해 상호 고정 결속됨으로써 밥솥의 조리 시 내솥이 안정되게 밥솥의 외솥(200)에 고정 안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제, 각 구성 요소별로 구성의 역할과 기능 및 효과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덮개부(400)에 내장되는 잠금장치의 구성은 전술된 바와 같이 손잡이(420)와 외부잠금링(440) 및 내부잠금링(4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420)는 덮개부(400)의 상ㆍ하면을 관통하는 축연결부재 등으로 덮개부(400)에 결속되며, 일정 각도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는 외부잠금링(440)과 내부잠금링(450)에 대한 연결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내부잠금링(450)에 대한 연결수단은 손잡이(420)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동일 축 상에 내부잠금링의 중심축이 자리 잡도록 하여 내부잠금링이 손잡이(420)에 축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외부잠금링(440)은 전체적으로 가운데에 중공부를 가지는 링 형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외부잠금링의 링 형상의 상면과 직접 연결되는 연결수단이 손잡이의 하단부 일측과 링크 결속되어 손잡이 조작에 의해 외부잠금링(440)이 연동되어 회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외부잠금링(440)은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300)의 바깥걸림턱(340)을 수용하기 위한 바깥수용돌기(441)를 다수 개 포함하게 된다. 상기 바깥수용돌기는 걸림 작용을 구현할 수 있도록 'ㄷ'자 또는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깥수용돌기의 두께는 바깥걸림턱(340)의 두께보다 1.5 내지 2 배정도 두껍게 형성되는 것이 결착 안전성 측면에 적절하며, 바깥수용돌기(441)의 돌출되는 폭은 바깥걸림턱의 폭보다 1.1 내지 1.2 배 크게 형성하여 바깥걸림턱을 수용하는 바깥수용돌기 내의 공간이 어느 정도 여유가 생기도록 하여 밥솥 잠금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바깥걸림턱과 바깥수용돌기 사이에 생기는 마찰운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내부잠금링(450)은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300)의 중심걸림턱(350)을 수용하기 위한 중심수용돌기(451)를 다수 개 포함하게 된다. 상기 중심수용돌기(451)는 바깥수용돌기(441)와 마찬가지로 걸림 작용을 구현할 수 있도록 'ㄷ'자 또는 'ㄴ'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돌출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중심수용돌기(451)의 두께는 중심걸림턱(350)의 두께보다 1.5 내지 2 배정도 두껍게 형성하고, 상기 중심수용돌기가 내솥과 내솥의 사이 공간을 통해 이탈될 수 있도록 중심수용돌기(451)의 너비는 내솥(300)과 내솥(300) 사이 공간의 폭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어 밥솥 덮개부의 개폐동작 중에 중심수용돌기가 용이하게 상기 사이 공간을 통해 인입ㆍ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한편, 상기 외부잠금링(440) 및 내부잠금링(450)과 상호 결속되는 내솥(300)에는 외부잠금링 및 내부잠금링과의 용이한 결속을 위해 전술된 바와 같이 바깥걸림턱(340)과 중심걸림턱(350)이 일체 연장 형성된다.
상기 바깥걸림턱(340)은 각 내솥(300)의 절곡되는 외측 상단부에서 외측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구성 요소로서, 바깥걸림턱의 배열 형태는 등간격으로 이루어지되, 바깥걸림턱의 지지력을 양 끝단으로 분산하기 위해 내솥의 외측 상단부 말단에 바깥걸림턱이 말단면을 따라 연장 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중심걸림턱(350)은 도 16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깥걸림턱(340)의 위치와 대향되는 반대편의 내솥(300) 상단부에 구비되는 걸림 수단으로서, 도 20 및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의 내측 상단부 전체 길이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일체 연장형성되거나,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의 내측 상단부에서 일부 영역만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 중심걸림턱(350)이 형성된 영역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도 16 내지 18에 도시된 중심걸림턱의 경우에는 중심걸림턱의 두께가 좀더 두껍게 형성되어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도 21에서 표시된 상기 중심걸림턱의 두께(L2)는 바깥걸림턱(340) 두께(L1)의 2 내지 3배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중심걸림턱(350)의 형성 영역과 수량이 상대적으로 바깥걸림턱(340)의 형성 영역과 수량보다는 작기 때문에 중심걸림턱(350) 하나에 가해지는 압력이 바깥걸림턱 하나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크게 되어 중심걸림턱의 구조적 강도가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와 같이 내솥(300)의 상측은 잠금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제공하는 외부잠금링(440)과 내부잠금링(450)에 의해 밥솥의 외솥(200)에 안정적으로 고정 안착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외솥에 별도의 고정결합수단을 채용하여 외솥과 내솥이 동시에 밥솥의 덮개부(400)와 체결됨으로써 밥솥 사용의 안전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7 및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솥(200)의 바닥면에는 내솥(300)의 상기 중심걸림턱(350)을 하방에서 지지하게 되는 고정체결바(215)가 일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결바(215)는 상면에 중심걸림턱(350)의 하면과 하방에서 맞닿도록 돌출 형성되는 중심지지턱(216)을 중심걸림턱(350)과 동일한 수량으로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밥솥의 덮개부(400)를 덮어 상기 외부잠금링(440)과 내부잠금링(450)으로 내솥을 결속시키는 과정에서 내부잠금링의 중심수용돌기가 중심걸림턱과 상기 중심지지턱을 동시에 수용함으로써 내솥(300)과 외솥(200)이 동시에 덮개부(400)에 상호 결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결바(215)의 구성은 도 20 및 21에 도시된 다용도 밥솥의 내솥(300)의 중심걸림턱(350) 구성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중심지지턱(216)은 중심걸림턱(350)의 하면과 맞닿아 있는 형상이나, 중심걸림턱을 손잡이 용도로도 사용하기 위하여 중심걸림턱과 중심지지턱 사이에 일정 간극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상기 중심지지턱(216)을 중심걸림턱(350)의 하면으로부터 손가락이 수용될 수 있는 간극으로 이격시키기 위해, 고정체결바(215)의 상면이 일정 높이로 하향 배치됨으로써 중심지지턱과 중심걸림턱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심지지턱(216)과 중심걸림턱(350)을 동시 수용하는 중심수용돌기(451)의 폭도 대응되게 확대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중심걸림턱의 하면을 손가락으로 취부하여 내솥(300)을 외솥(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이 함께 증대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의 구성에 관한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제 본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밥솥을 개폐하는 동작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1.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 동작
우선, 다용도 밥솥(1000)의 덮개부(400)를 잡고 외솥(200)의 상면과 맞닿게 덮은 상태에서 덮개부 상부에 구비된 손잡이(420)를 일정 각도만큼 회전시켜 손잡이와 축연결되는 외부잠금링(440)과 내부잠금링(450)을 각운동시켜 외부잠금링의 바깥수용돌기(441)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솥(300)에 구비된 바깥걸림턱(340)의 상ㆍ하방을 감싸 수용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내부잠금링(450)의 중심수용돌기(451)가 내솥(300)의 중심걸림턱(350)의 상ㆍ하방을 감싸 수용하도록 함으로써 내솥이 상기 외부잠금링(440)과 내부잠금링(450)에 의해 결속된다.
2. 제2실시예에 따른 잠금 동작(고정체결바 포함)
상기 외솥(200)의 바닥면에 고정체결바(215)가 일체 형성되는 잠금장치의 구성인 경우에는 외솥과 덮개부(400)를 맞닿게 폐쇄한 상태에서 손잡이(420)를 돌리면 외부잠금링(440)의 체결 동작은 상기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잠금 동작의 내용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내부잠금링의 잠금동작은 다음과 같다. 내부잠금링(450)의 중심수용돌기(451)가 내솥(300)의 중심걸림턱(350)과 고정체결바(215)의 중심지지턱(216)을 동시에 감싸 내부잠금링에 의해 내솥과 외솥이 일체로 결속됨으로써 내솥 결합 상태의 구조적 안전성이 더욱더 확보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의 내솥(300)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조리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다용도 밥솥(1000)에 구비되는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솥의 외곽만 체결하는 것이 아니라 내솥의 대향되는 양측(바깥걸림턱, 중심걸림턱)을 동시에 잠금장치를 통해 결속함으로써 외솥(200)에 수용 안착되는 내솥의 결합 안전성을 한층 개선하여 조리동작의 신뢰성을 극대화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실시예 4>
관련 도면은 도 22 내지 30으로 해당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 4에서 특징으로 하는 기술사상에 관하여 기술한다.
상기 실시예 4에서는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구획되는 밥솥의 취사조리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각 취사공간별로 취사조리동작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취사공간별로 이루어지는 개별 조리모드에 따른 세부 개별공정의 진행 절차에 대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 블록도로서, 사용자가 입력모듈;에 접근하여 조리모드, 조리중량, 조리내용물 및 완료모드로 이루어지는 취사정보를 입력하는 취사정보입력단계(S10);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완료모드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순차완료모드로 구분되는 완료모드 값에 따라 조리동작을 구분 제어하는 제어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독립 구비되는 증기배출밸브,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리내용물을 조리하는 조리단계(S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단계에서 센서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압력, 온도로 구분되는 센서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측정단계(S30);가 동시에 수반되며, 상기 입력모듈에서 전달받은 취사정보와 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센서정보를 완료모드 값에 따라 구분 실행되는 취사알고리즘에 의해 각 취사공간별 조리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리파라미터 값을 결정하여 제어모듈에 전달함으로써 입력,제어,센서 모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 준다.
상기 조리모드는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3가지 개별공정으로 구분되는 취사모드;와,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3가지 개별공정으로 구분되는 찜모드;와,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2가지 개별공정으로 구분되는 보온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파라미터는 공정별 취사공간의 내부온도에 대한 가열온도최대치 및 가열온도변화폭과 개별공정진행시간 및 조리완료시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조리파라미터 정보가 관리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중앙처리부가 구비하는 취사알고리즘은 사전에 취사정보별로 구분 정의되는 조리파라미터 값을 각 취사공간별로 매핑하는 조리파라미터매핑단계;와,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가 완료되는 취사공간은 조리완료 후 보온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자동보온활성화단계;로 이루어져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순차취사알고리즘과, 각 취사공간별 조리파라미터의 조리완료시간을 상호 비교하여 조리완료시간이 최대가 되는 취사공간부터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결정단계;와, 각 취사공간별로 설정되는 우선순위값에 따라 조리파라미터 정보를 각 취사공간별로 수정하는 조리과정설계단계;로 이루어져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취사알고리즘으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취사알고리즘이 구분됨으로써 개별 취사공간의 완료모드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조리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에서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취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차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이 연장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함으로써 조리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고,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취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선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이 축소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함으로써 조리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을 연장하고,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이 축소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하여 전체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 시점으로 재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취사알고리즘은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에서 정의된 3가지 방식 중에 하나를 선정한 후, 최우선순위의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에서 나머지 취사공간들의 조리완료시간을 차감하여 각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차이를 산출하고, 조리시간차이 만큼 각 취사공간의 선택된 조리모드에 따른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상기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조리파라미터에 셋팅된 가열온도변화폭을 증감하여 가열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시킬 수도 있다. 즉, 단위시간당 취사공간 내의 가열온도증가폭을 원래 조리파라미터에 규정된 가열공정a의 가열온도변화폭(℃/sec)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가열온도최대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늘림으로써 가열공정 진행시간을 연장하여 조리완료시간을 연장하거나 가연온도변화폭을 증가시켜 가열온도최대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앞당김으로써 가열공정 진행시간을 단축하여 조리완료시간을 앞당겨 조리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온도변화폭을 단계적으로 증감하여 불림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시킬 수도 있다. 즉, 불림공정a의 가열온도변화폭보다 작은 가열온도변화폭으로 불림공정b를 구성함으로써 불림공정 진행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조리완료시간이 늘어나게 되거나, 불림공정c의 가열온도변화폭을 조리파라미터에 셋팅된 불림공정a의 가열온도변화폭보다 크게 변경하여 불림공정c에서의 가열온도 평균치가 불림공정a의 가열온도 평균치보다 크게 구성함으로써 불림공정 진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각 조리모드를 구성하는 개별공정 사이에 취사공간 내의 내부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대기공정을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모드의 개별공정 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29에서는 가열공정 내에 다수의 대기공정을 분할 배치하여 일정 구간동안은 가열공정이 진행되고, 연이어 소정의 대기공정이 진행된 후에 다시 가열공정이 반복 구성되는 방식으로 전체 가열공정 진행시간을 늘리게 된다.
이때, 상기 대기공정은 취사공간의 측부에서 공급되는 가열수단을 통해 일정한 발열량을 방출하게 구성하여 취사공간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조절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단순히 가열공정과 휴지공정을 반복할 시에는 휴지공정 시 가열온도의 감소로 인해 열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나, 본 가열공정과 대기공정의 반복 구성 시에는 대기공정에서 일정 온도 범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주기 때문에 대기공정에 뒤따르는 가열공정에서 급가열에 대한 부담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공정 중에 타 취사공간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유입시키는 증기공유공정을 포함시켜 가열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즉, 찜모드에서 조리동작을 하거나 보온모드에서 보온동작을 하는 경우에 가열공정 중에 타 취사공간의 증기를 유입시켜 열 공급원을 늘림으로써 조리파라미터에 정의된 조리완료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에 조리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취사공간 사이를 구분하는 격벽수단을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내솥의 격벽수단 상부측에는 다수의 통공이 격자배열 등으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한 취사공간의 증기가 타 취사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음을 주지한다.
참고로, 도 27 내지 30에 도시된 가열온도는 실제 취사공간의 내부 온도를 의미함을 주지한다.
한편, 도 27 내지 30을 참조하여 기술된 취사알고리즘을 통한 조리동작 진행과정에서 증기배출밸브의 개폐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각 조리모드의 개별공정에서 취사공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특히, 취사모드 및 찜모드의 휴지공정 중에 개방되는 증기배출밸브의 개폐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휴지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증감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휴지공정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는증기배출밸브의 압력편차를 작게 형성하여 서서히 증기가 배출되게 구성하고 휴지공정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증기배출밸브의 압력편차를 크게 형성하여 급속히 증기가 배출되게 구성함으로써 휴지공정 시간을 늘릴 수도 있다.
이때, 증기배출밸브에서 조절되는 압력편차의 최소조절범위는 0.03 bar 이고 최대조절변위는 0.10 bar로 구성하고 압력의 전체 범위는 0.80 bar 에서 1.40 bar로 구성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수치는 밥솥의 기능 또는 용량에 따라 상이하게 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취사,찜,보온모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반복 구성함으로써 해당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증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술된 취사모드를 구성하는 개별공정은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3가지 개별공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가열공정에 대기공정을 추가하되 가열공정과 대기공정을 다수 차례 반복 구성하여 조리완료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보온모드를 구성하는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2가지 개별공정을 가열공정과 휴지공정이 2차례 이상 반복 구성되게 함으로써 보온모드의 수행시간을 늘림으로써 보온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취사알고리즘은 특정 조리모드의 조리시작시간을 늦춰 모든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취우선순위에 해당하는 특정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이 26분이고, 나머지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이 각각 20분, 14분이라고 가정하면 조리완료시간이 20분인 조리내용물은 초기 6분 동안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채로 준비하고 있다가 6분 경과시 조리동작을 시작하게 구성하고, 14분인 조리내용물은 초기 12분 동안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채로 준비하고 있다가 12분 경과시 조리동작을 시작하게 구성함으로써 모든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제, 본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모듈인 입력모듈, 제어모듈, 센서모듈, 중앙처리부의 구성 요소와 기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상기 입력모듈은 사용자가 밥솥의 전면 또는 상면에 구비될 수 있는 입력메뉴패널(LCD패널 또는 버튼 형식)을 통해 취사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모듈로서, 하드웨어인 상기 입력메뉴패널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취사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중앙처리부에 상기 취사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일련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입력메뉴패널의 형식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좌측의 '<메뉴>', '시작', '취소' 의 버튼 영역과 우측의 LCD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CD 패널의 상단부는 각 취사공간별로 선택을 하기 위한 '공간1 공간2 공간3'으로 구성되는 취사공간선택영역과, '취사 보온 찜'으로 구성되는 조리모드선택영역과, '2 ~ 10 인분'으로 구성되는 대략의 조리중량선택영역과, '쌀 잡곡 떡 만두'로 구성되는 조리내용물선택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3에서는 '쌀 잡곡 떡 만두'로 조리내용물이 구성되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상기 도시된 조리내용물 이외에 각종 밥종류(백미, 현미, 영양밥, 콩밥 등), 죽종류(흰죽, 팥죽, 전복죽 등), 국종류, 찌개종류, 삼계탕, 갈비찜, 닭찜, 고구마, 계란찜, 계란삶기, 생선찜, 시루떡, 대합찜, 감자 등의 조리내용물도 포함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조리중량선택영역은 밥류에 사용되는 '인분' 단위 또는 기타 식재료(갈비찜, 닭찜, 고구마 등)에 사용되는 '중량(g)' 단위로 구분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중량선택영역에서 상기 '2 ~ 10 인분'으로 언급되었으나 구체적인 인분 수치는 밥솥의 크기 또는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중심부에는 조리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표시영역과, 개별 취사공간별로 구분 설치되는 증기배출밸브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증기배출밸브상태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하단부에는 개별 취사공간별로 진행중인 조리상태를 나타내는 조리상태표시영역과 각 취사공간별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순차완료모드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완료모드를 구분 선택할 수 있는 완료모드선택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중앙처리부에 의해 결정되는 조리파라미터 값에 따라 취사공간별로 독립 구비되는 증기배출밸브와 가열수단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자회로와 기계적 구동 요소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증기배출밸브는 취사공간별로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고 공통의 증기배출밸브를 통해 전 취사공간의 압력이 제어될 수도 있다. 단, 공통의 증기배출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최종적으로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증기배출밸브는 폐쇄상태에 있어야 함을 주지한다.
상기 가열수단은 밥솥에 안착되는 외솥의 저면, 측면 등에 취사공간별로 독립 배치되어 각 취사공간별로 발열과정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증기배출밸브는 On/Off 비연속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연속제어가 가능한 비례압력제어방법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관점에서 적절하다.
상기 센서모듈은 온도센서, 압력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센서의 위치는 개별 취사공간별로 선정되어 취사공간 내부의 온도와 압력으로 구성되는 센서정보를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중앙처리부에 전달하여 중앙처리부가 조리동작의 진행 중에 조리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수정하여 조리동작이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모듈, 제어모듈, 센서모듈의수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조리동작을 진행시키는 메인시스템으로서 마이컴이나 DSP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에서 전달된 취사정보를 통해 완료모드 값을 검출하여 동시완료모드와 순차완료모드에 따라 구분되는 취사알고리즘에 따라 조리파라미터의 값을 편집하고 각 조리모드별로 개별공정의 구성을 유기적으로 재조합함으로써 제어모듈이 상기 조리파라미터와 재조합된 조리모드별 개별공정의 구성에 따라 가열수단과 증기배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조리동작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입력모듈, 제어모듈, 센서모듈, 중앙처리부에 대해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제 상기 구성 모듈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밥솥의 취사조리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의 입력메뉴패널에 따라 사용자는 '<메뉴>'버튼을 눌러 취사공간선택영역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커서가 조리모드선택영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시 조리모드 중에 하나의 모드를 '<메뉴>'버튼을 눌러 선택하는 방식으로, 나머지 조리중량선택영역과 조리내용물선택영역 및 완료모드선택영역의 값을 선택한 후에 최종적으로 '시작'버튼을 누르면 밥솥의 동작이 시작하게 된다. 또한, 밥솥 동작 중 또는 선택된 영역의 선택 취소 시에 '취소'버튼을 눌러 밥솥의 동작을 중지하거나 선택 내용을 취소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제 상기의 입력메뉴패널을 통한 취사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중앙처리부가 상기 취사정보를 매개변수로 하여 취사알고리즘과 조리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조리동작을 진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도 24는 취사정보입력단계 후에 발생하게 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플로어 차트로서, 입력모듈에 의해 전달받은 취사정보에 근거하여 중앙처리부는 우선 취사공간수를 근거로 조리동작 결정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취사공간수가 1개인 경우에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완료모드에 대한 처리절차를 생략한 채로 바로 조리파라미터 매핑 과정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조리파라미터의 정보는 상기에 전술된 바와 같이 가열온도최대치, 가열온도변화폭, 개별공정진행시간, 조리완료시간으로 이루어지는 4개의 변수로 구성된다. 조리파라미터는 중앙처리부에 연동되는 별도의 메모리칩에 테이블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가열온도최대치는 공정별 진행되는 각 취사공간의 내부 가열온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열공정을 단축시키기 위해 가열온도최대치(취사공간 내의 조리내용물이 가열되는 최대온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기술된 가열온도변화폭을 조절하여 가열공정 시간을 증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가열온도변화폭은 취사공간 내의 온도변화를 급가속하거나 감속시키기 위해 제어되는 수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가열온도변화폭을 제어하여 공정진행시간을 통제하는 것을 주요 방법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개별공정진행시간은 각 조리모드를 구성하는 개별공정들의 소요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열온도최대치 또는 가열온도변화폭과는 별도로 개별공정진행시간 자체를 변경함으로써 조리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변수이다. 상기 조리완료시간은 조리동작 자체를 변화시키는 요소는 아니나 각 취사공간별로 할당되는 조리완료시간을 확정하여 상기 가열온도최대치, 가열온도변화폭, 개별공정진행시간의 제어를 통해 조리동작이 원활하게 구성되지 않을 때 가열온도최대치, 가열온도변화폭,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재차 수정하여 조리동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기술된 가열온도최대치, 가열온도변화폭, 개별공정진행시간, 조리완료시간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밥솥의 기계적 설계방법 또는 부품 소재의 구성에 따라 실험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므로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조리파라미터를 각 취사공간별로 매핑하여 조리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조리모드가 '취사모드'이고 조리내용물이 '쌀'이며, 조리중량이 '1인분'으로 설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동되는 메모리칩에 저장된 조리파라미터의 공정별 가열온도최대치(불림공정/가열공정)가 60 ℃/130 ℃ 이고, 가열온도변화폭(불림공정/가열공정)이 A ℃/sec / B ℃/sec 이며, 개별공정진행시간(불림공정/가열공정/휴지공정)이 a 분/ b분/ c 분 이고, 조리완료시간이 d분(a분+b분+c분)으로 구성된다면, 이에 따라 중앙처리부가 상기 조리파라미터를 제어모듈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모듈은 압력제어와 온도제어를 시작하게 된다.
상기 압력제어는 개별공정과정마다 가열수단의 취사공간 내부 가열을 통한 압력 증가 시 각 조리모드 별 기준압력( 예. 취사모드: 1.3bar, 찜모드: 1.2bar 등)에 도달하기 직전에 다다르거나 초과 시에 증기배출밸브를 개방하여 증기를 배출하여 압력을 통제하거나 가열수단 자체의 발열량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온도제어는 상기의 공정별 가열온도최대치와 가열온도변화폭에 따라 밥솥에 구비되는 가열수단(취사공간의 하부, 상부, 측부)의 발열량을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최대치와 가열온도변화폭은 취사공간 내부의 가열된 온도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가열수단 자체의 발열온도가 아님을 주지한다. 이와 같은 제어모듈의 조리동작 제어를 통해 조리완료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조리동작은 종료되고 자동적으로 보온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취사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조리동작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취사공간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 대해서 순차완료모드와 동시완료모드로 각각 구분하여 프로세스를 기술하고자 한다.
<순차완료모드의 구성>
본 모드에서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작동 모드로서, 조리파라미터에 대한 수정이 발생하지 않고 개별 취사공간이 선택된 조리모드에 따라 독립된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단, 먼저 조리가 완료된 취사공간은 자동적으로 보온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배출시점도 개별 취사공간별로 조리가 완료될 때마다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25의 플로우차트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마지막에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가 모두 완료되는 시점에 증기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순차완료모드에서 '찜모드'로 선택된 취사공간의 조리동작에서는 '취사모드' 나 '보온모드'의 공정 진행 중에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공유하여 찜 조리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조리파라미터에 기설정된 '조리완료시간'보다 더 단축하여 조리를 완료할 수도 있다.
<동시완료모드의 구성>(최우선순위 취사공간을 기준으로 나머지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연장)
본 모드에서는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작동 모드로서, 조리파라미터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고 조리파라미터의 수정에 선행하여 각 취사공간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이 수반되게 된다.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결정의 첫 단계는 중앙처리부가 조리파라미터에 접근하여 각 취사공간별로 정의되는 조리완료시간을 검색하게 된다. 상기 조리완료시간을 비교하여 조리완료시간이 최대가 되는 취사공간부터 최우선순위를 부여받게 된다. 예를 들어, 취사공간별 조리모드/조리중량/조리내용물의 선택내용이 하기 표 1과 같은 구성인 경우에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참고로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리내용물 이외에 각종 밥종류(백미, 현미, 영양밥, 콩밥 등), 죽종류(흰죽, 팥죽, 전복죽 등), 국종류, 찌개종류, 삼계탕, 갈비찜, 닭찜, 고구마, 계란찜, 계란삶기, 생선찜, 시루떡, 대합찜, 감자 등의 조리내용물도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표 1
구분 취사정보 조리파라미터
조리모드 조리중량 조리내용물 조리완료시간(분)
취사공간1 찜모드 1인분 만두 25
취사공간2 취사모드 3인분 27
취사공간3 보온모드 2인분 잡곡밥 6
상기 표 1에서 취사공간1의 조리완료시간은 25분, 취사공간2는 27분, 취사공간3은 6분으로 조리파라미터 내에 정의된다. 따라서 조리완료시간이 가장 긴 취사공간2의 우선순위가 1, 취사공간1의 우선순위는 2, 취사공간3의 우선순위는 3이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최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취사공간2를 제외한 취사공간1 및 취사공간3의 조리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취사공간1,2,3의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취사공간2는 별도의 조리파라미터 수정없이 바로 이미 정의된 조리파라미터 매핑에 의해 제어모듈이 압력 및 온도제어를 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취사공간1과 취사공간3은 이미 정의된 조리파라미터 값을 수정하여 변경된 조리파라미터를 제어모듈에 전달하고, 공정 알고리즘(공정의 배치 및 반복 횟수)도 함께 변경하여 제어모듈에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취사공간1의 조리동작 조절
우선, 취사공간1의 조리완료시간은 25분으로서, 취사공간2의 조리완료시간보다 2분이 적게 걸리므로, 상기 2분만큼 취사공간1의 조리시간을 늘리는 과정이 수반되게 된다. 취사공간1의 조리모드는 찜모드이므로 가열공정, 증기공유공정, 휴지공정의 3가지 개별공정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는 가열공정의 조리동작을 조절하여 조리완료시간을 취사공간2의 조리완료시간과 동일하게 조정하고자 한다. 가열공정의 조리동작을 조절하는 방법은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열온도조절방식을 통해 가열온도변화폭을 A ℃ 만큼 감소시켜 찜요리에서 충족되어야 할 최종 가열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늦춤으로써 가열공정진행시간을 C분(2분) 연장하거나, 가열온도변화폭을 상기 A + α℃ 만큼 감소시키는 대신에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증기공유공정을 추가하여 상기 α℃ 만큼 더 감소된 가열온도변화폭을 보상하여 취사공간1의 가열공정진행시간을 동일하게 C분(2분) 연장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공정을 다수의 가열공정과 다수의 대기공정이 반복되게 구성하고 도 29의 3차례의 가열공정 중에 첫번째 가열공정의 가열온도변화폭을 가장 크게 조절하고, 두번째 및 세번째 가열공정으로 갈수록 가열온도변화폭을 작게 구성하여 가열공정의 진행 속도를 조절하여 취사공간1의 조리완료시간을 연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취사공간1의 찜모드에서 마지막 공정에 해당하는 휴지공정에서 상기에 전술된 압력 조절 방법을 이용하여 증기배출밸브의 개폐도(압력편차)를 약간 줄여서 증기 배출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조리완료시간을 연장하는데 보조적 역할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취사공간1의 조리시작시간을 2분간 늦춰서 조리동작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초기 2분 동안은 취사공간1의 조리동작을 시작하지 않고 있다가 2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찜모드에 의한 조리동작이 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초기 2분간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2. 취사공간3의 조리동작 조절
우선, 취사공간3의 조리완료시간은 6분으로서, 취사공간2의 조리완료시간보다 21분이 적게 걸리므로, 상기 21분만큼 취사공간3의 조리시간(보온)을 늘리는 과정이 수반되게 된다.
단, 취사공간3의 조리모드는 실제 조리를 하는 과정이 아닌 단순 보온모드이므로 가열수단에 의해 열이 공급되는 가열공정과 열 공급 중단 상태에서 열을 보유하는 휴지공정이 다수 차례 반복되게 구성함으로써 보온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효율적인 전력소모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고, 취사공간3의 가열온도변화폭을 B ℃ 만큼 감소시켜 가열공정의 진행시간을 연장하거나, 가열온도변화폭은 셋팅된 조리파라미터의 가열온도변화폭을 그대로 준용하되 가열공정과 휴지공정 사이에 대기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취사공간3의 조리완료시간이 취사공간2의 조리완료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하여 보온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취사공간3의 조리모드가 보온모드가 아닌 취사모드인 경우에는 조리동작 조절에서 초기 21분 동안은 취사공간3의 조리동작을 시작하지 않고 있다가 21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취사모드에 의한 조리동작이 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초기 21분간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최우선순위 취사공간(조리완료시간이 최대인 취사공간)을 기준으로 나머지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각각 연장하는 방식을 통해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화하였으나, 전술된 바와 같이 최하순위 취사공간을 기준으로 나머지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앞당기거나 최우선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앞당김과 동시에 최하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늦추어서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화할 수도 있다. 단,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최하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이 최우선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보다 현저하게 짧을 경우에는 최우선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기준으로 조리완료시간을 조정하거나 최우선순위 및 최하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각각 증감시킴으로써 각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화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리동작을 진행하되 센서모듈을 통해 수득되는 센서정보(온도, 압력)값과 조리파라미터(특히 가열온도변화폭 및 가열온도최대치)값을 비교하여 어느 특정 개별공정 중에 취사공간 내의 온도값이 규정된 가열온도변화폭을 초과하거나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제어모듈이 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증감시켜 가열작용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가열에 의해 적정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면 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줄임으로써 압력을 제어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개별 취사공간별로 독립적으로 조리동작이 가능하도록 세분화된 조리모드와 각 조리모드에 따라 구분되는 조리파라미터 및 취사알고리즘에 의해 다양한 조리내용물을 다양한 조리모드로 조리하되 조리완료시간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밥솥의 다용도 효율을 최대화하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과 본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체와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상세 설명과 실시 예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에 따른 발명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31)

  1. 상면이 개방형성되는 바디부(100), 바디부와 힌지결합되는 덮개부(400), 바디부에 내삽되는 외솥(200), 외솥에 안착되되 다수의 분할된 취사공간(500)을 형성하는 격벽(310)이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내솥(300)을 포함하는 다용도 밥솥에 있어서,
    상기 내솥(300)은 내측면과 격벽(310)의 양 측면과 맞닿아 수직방향으로 탈부착되되 각 취사공간(500)마다 한 쌍씩 구비되는 세라믹패널(320);과, 격벽(310) 내부에 장방형 판 형상의 중공부로 이루어지는 단열층(311);을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400)는 하면에 내솥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이되 돌출형성되어 내솥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격리막(410)을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전체 측면의 상부측에 내장되어 열전도가 내솥의 외측면 상에 균등하게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상부세라믹히팅필름(210);과, 전체 측면의 하부측에 내장되어 외솥의 측면을 따라 'S' 자형으로 절곡 배열됨으로써 열 대류 현상을 발생시키는 하부세라믹히팅코일(220);과, 저면에 내장되어 내솥의 바닥면 전체에 열복사 에너지를 방사하는 바닥부히팅플레이트(230);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세라믹히팅필름과 하부세라믹히팅코일 및 바닥부히팅플레이트가 각 취사공간(500) 별로 분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패널(320)은 격벽(310) 두께 및 내솥(300)의 측면 두께의 2 내지 5 배의 두께로 형성되며, 취사공간(500) 내부와 접하게 되는 모서리 측은 라운드 형상이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믹패널(320)은 취사공간(500)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ㆍ하면이 관통되게 개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311)은 단열재로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310)은 상부측에 관통 형성되는 다수의 증기공(3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솥(200)은 타원형, 다각형 및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형상의 저면을 가지는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300)은 격벽(310)을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취사공간(500)을 포함하되, 각 취사공간은 동일한 체적 또는 서로 상이한 체적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리막(410)은 일측에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411)를 구비하고 각 내솥(300) 별로 배출구(411)를 통해 독립적으로 증기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9. 조리내용물을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방되는 바디부(100)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400)로 이루어지되 덮개부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4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100)는 내삽되되 수직방향으로 중공부를 분할하는 분리막(250)에 의해 다수의 취사공간(500)으로 구획되는 외솥(200);과, 외솥의 개별 취사공간에 탈삽입되는 다수의 내솥(300);을 수용하되, 상기 내솥(300)은 일측면 상단과 타측면 상단 각각에 파지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내솥손잡이(33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400)는 하면에 내솥(300)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이되 돌출형성되어 내솥(30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격리막(410)을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저면에 매립되어 열을 연직 상방으로 지속 공급하는 발열체(231)와, 측면과 분리막(250)의 내부에 취사공간의 네 측면 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층(252)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체(231)와 가열층(252)의 가열동작이 각 취사공간(500)마다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다용도 밥솥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250)은 좌, 우 외측면에 외부로부터 가열층(252)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되 열전도성이 높은 판 형상의 마감재(251)를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상기 분리막(250)을 하나 이상 구비하여 다수의 취사공간(500)으로 형성하며, 상기 격리막(410)은 일측에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411)를 구비하여 각 내솥(300) 별로 각각의 배출구(411)를 통해 독립적으로 증기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231)는 온도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조리내용물을 취사하는 제1발열체(232)와, 제1발열체의 상면에 동일 온도로 유지되는 열을 지속 공급하여 조리내용물을 보온하는 제2발열체(233)를 포함하는 복층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2 발열체(232, 233)는 외솥(200)의 외측면에서 내측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치되는 띠 형상의 발열홈(234)을 다수 포함하되, 상기 발열홈(234)은 제2발열체의 상면에서부터 외솥의 저면까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다용도 밥솥.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250)은 가열층(252)을 평행배치되는 한 쌍의 가열층으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가열층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단열막(254)을 구비함으로써, 가열층에서 발생하는 열이 마감재(251)를 통해서만 각 취사공간(500)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홈(234)에 대응 안착되게 내솥(300)의 하면에는 발열홈과 동일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기(360)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안착돌기(360)는 2개의 블록으로 구분되어 내솥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안착돌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발열홈(234)과 맞닿는 안착돌기의 접합 범위를 가변하여 조리동작을 보온과 취사로 각각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300)은 분리막(250)과 접하지 않는 측면 상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314)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400)는 내부에 매립되어 손잡이(420)의 단부와 고정축으로 연결되고 'ㄷ'자 형상으로 된 단면부가 내솥의 상측 라인과 대응되게 고리 형상으로 연속되되 상기 내솥의 걸림턱을 수용하기 위해 걸림턱의 위치에 대응되는 내주면 상에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턱진입홈(431)을 구비하는 잠금트랙(43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돌려 잠금트랙을 회전시켜 잠금트랙의 걸림턱진입홈에 유도된 내솥의 걸림턱이 잠금트랙의 내부로 진입됨에 따라 내솥의 걸림턱이 잠금트랙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250)은 내부에 단열층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
  15. 다수의 내솥(300)을 수용하는 외솥(200)과, 외솥과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400)로 이루어진 밥솥(1000)을 형성하여 내솥의 상측과 회동 결속되도록 덮개부에 내장되는 내솥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400)의 상ㆍ하면을 관통하되 축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손잡이(420)와, 손잡이와 링크 결속되어 각 내솥의 외측 상단부를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외부잠금링(440)과, 손잡이와 축 연결되고 각 내솥의 내측 상단부를 결속하도록 구비되는 내부잠금링(45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잠금링(440)의 내주면 상에는 내솥의 외측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바깥걸림턱(340)을 수용하기 위한 바깥수용돌기(44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내부잠금링(450)의 외주면 상에는 내솥의 내측 상단부에서 외측 방향을 향해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중심걸림턱(350)을 수용하기 위한 중심수용돌기(451)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외솥(200)의 바닥면에는 내솥(300)의 중심걸림턱(350)을 하방에서 지지하게 되는 고정체결바(215)가 일체 연장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결바는 상면에 중심걸림턱(350)의 하면과 맞닿도록 돌출 형성되는 중심지지턱(216)을 구비함에 따라 손잡이(420)를 돌려 내부잠금링(450)의 중심수용돌기(451)가 상기 중심걸림턱과 중심지지턱을 일체 수용하게 함으로써 내솥과 외솥이 덮개부(400)에 상호 결속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지지턱(216)은 중심걸림턱(350)의 하면으로부터 손가락이 수용될 수 있는 간극으로 이격 형성됨에 따라 중심걸림턱(350)의 하면을 손가락으로 취부하여 내솥(300)을 외솥(2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걸림턱(350)은 내솥(300)의 내측 상단부 전체 길이에 걸쳐 외측 방향으로 일체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걸림턱(350)의 두께(L2)는 바깥걸림턱(340)의 두께(L1)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수용돌기(441)와 중심수용돌기(451)는 'ㄷ' 자 또는 'ㄴ' 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21.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이루어져 취사공간별로 개별적인 취사조리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모듈;에 접근하여 조리모드, 조리중량, 조리내용물 및 완료모드로 이루어지는 취사정보를 선택입력하는 취사정보입력단계(S10);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완료모드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순차완료모드로 구분되는 상기 완료모드 값에 따라 조리동작을 구분 제어하는 제어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독립 구비되는 증기배출밸브,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리내용물을 조리하는 조리단계(S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단계에서 센서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압력, 온도로 구분되는 센서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측정단계(S30);가 동시에 수반되며, 상기 입력모듈에서 전달받은 취사정보와 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센서정보 및 상기 완료모드값에 따라 구분 실행되는 취사알고리즘에 따라 조리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리파라미터 값을 제어모듈에 전달함으로써 입력,제어,센서 모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모드는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취사모드;와,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찜모드;와,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보온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파라미터는 공정별 취사공간의 내부온도에 대한 가열온도최대치 및 가열온도변화폭과 개별공정진행시간 및 조리완료시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조리파라미터 값이 수정 및 조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조리파라미터 값을 각 취사공간별로 매핑하는 조리파라미터매핑단계;와,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가 완료되는 취사공간은 조리완료 후 보온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자동보온활성화단계;로 이루어져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각 취사공간별 조리파라미터의 조리완료시간을 상호 비교하여 조리완료시간이 최대가 되는 취사공간부터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결정단계;와, 각 취사공간별로 설정되는 우선순위값에 따라 조리파라미터 정보를 각 취사공간별로 수정하는 조리과정설계단계;로 이루어져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는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취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차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이 연장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하거나 또는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취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선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이 축소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는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을 연장하고,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을 축소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조리파라미터에 셋팅된 가열온도변화폭을 증감하여 가열공정 또는 불림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각 조리모드를 구성하는 개별공정 사이에 취사공간 내의 내부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대기공정을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찜모드의 가열공정 중에 타 취사공간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유입시키는 증기공유공정을 포함시켜 가열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취사모드 및 찜모드의 휴지공정 중에 개방되는 증기배출밸브의 개폐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휴지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증감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하되, 증기배출밸브에서 조절되는 압력편차의 최소조절범위는 0.03 bar 이고 최대조절변위는 0.10 bar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취사,찜,보온모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반복 구성함으로써 해당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특정 조리모드의 조리시작시간을 늦춰 모든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 조리 시스템.
PCT/KR2013/011977 2012-12-21 2013-12-20 다용도 밥솥 및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용도 밥솥 취사 조리 시스템 WO201409853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380070193.1A CN104918526B (zh) 2012-12-21 2013-12-20 多功能电饭煲、多功能电饭煲的内胆锁定装置及其多功能电饭煲的烹饪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1143A KR101492468B1 (ko) 2012-12-21 2012-12-21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KR10-2012-0151143 2012-12-21
KR10-2012-0151187 2012-12-21
KR1020120151199A KR101387310B1 (ko) 2012-12-21 2012-12-21 일체형 다용도 밥솥
KR10-2012-0151199 2012-12-21
KR1020120151187A KR101335728B1 (ko) 2012-12-21 2012-12-21 분리형 다용도 밥솥
KR10-2013-0016882 2013-02-18
KR1020130016882A KR101379148B1 (ko) 2013-02-18 2013-02-18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98530A1 true WO2014098530A1 (ko) 2014-06-26

Family

ID=50978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11977 WO2014098530A1 (ko) 2012-12-21 2013-12-20 다용도 밥솥 및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용도 밥솥 취사 조리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CN (1) CN104918526B (ko)
WO (1) WO2014098530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7119A (zh) * 2014-07-28 2014-11-05 宁波市鄞州多凡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家用电饭煲
CN105476439A (zh) * 2014-09-16 2016-04-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炖锅及其控制方法
CN108836109A (zh) * 2018-08-13 2018-11-20 王建伟 一种双胆家用电饭煲
CN109259588A (zh) * 2018-11-08 2019-01-25 厦门鸥乐科技有限公司 烹饪装置
CN112244662A (zh) * 2020-11-27 2021-01-22 郭鑫 一种用于煎烤烹炸食物的多功能烹饪器具
CN113491439A (zh) * 2020-04-03 2021-10-12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43487A1 (zh) * 2016-02-22 2017-08-31 李仁涛 燃气灶数据记录系统及方法
EP3326498A1 (en) * 2016-11-23 2018-05-30 Koninklijke Philips N.V. Table-top cooking device
CN108415270B (zh) * 2017-02-09 2020-10-02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一种烹饪器及控制烹饪器的方法
CN109407728B (zh) * 2017-08-16 2021-02-2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加热平台、器具及加热平台的控制方法
JP2021502527A (ja) * 2017-11-06 2021-01-28 コンセプト グループ エルエルシー 断熱モジュールおよび関連方法
CN107713732A (zh) * 2017-11-24 2018-02-23 广东惠利普路桥信息工程有限公司 一种全周期电压力锅生产控制方法
CN108338679A (zh) * 2018-03-08 2018-07-31 秦皇岛点知汇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云网络的智能电饭煲控制系统及其电饭煲
US20210347061A1 (en) * 2018-10-10 2021-11-11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1281115B (zh) * 2018-12-10 2022-04-08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用于烹饪器具的烹饪方法和烹饪器具
CN111722553B (zh) * 2019-03-22 2022-03-25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运行控制方法、装置、烹饪器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1722552B (zh) * 2019-03-22 2022-05-1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运行控制方法、装置、烹饪器具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0488672B (zh) * 2019-06-21 2021-12-07 广东格兰仕集团有限公司 烹饪设备的控制方法、装置、烹饪设备和存储介质
CN114545810A (zh) * 2020-11-27 2022-05-27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食物制作方法、设备和食物制作系统以及存储介质
CN117622712B (zh) * 2024-01-26 2024-04-16 山西绿牧德品乳业股份有限公司 一种牛奶加工用牛奶原料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743A (ko) * 1999-01-26 2000-08-16 이인환 전기밥솥
KR20040023006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구조
KR100760706B1 (ko) * 2007-02-14 2007-10-04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개별취사가 가능한 다중포트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KR20090120902A (ko) * 2008-05-21 2009-11-25 최윤진 전기밥솥용 내솥용기 및 이를 갖는 전기밥솥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97851Y (zh) * 1999-10-29 2000-09-27 中山市佳宜电器实业有限公司 双体智能电饭煲
CN2848048Y (zh) * 2005-10-21 2006-12-20 田海涛 多功能压力电饭煲
KR100764816B1 (ko) * 2006-05-03 2007-10-11 김이슬 전기밥솥의 다용도 밥통
CN101744521A (zh) * 2008-12-17 2010-06-23 张华文 不隔水式节能电炖盅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743A (ko) * 1999-01-26 2000-08-16 이인환 전기밥솥
KR20040023006A (ko) * 2002-09-10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압력밥솥의 뚜껑 잠금 구조
KR100760706B1 (ko) * 2007-02-14 2007-10-04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개별취사가 가능한 다중포트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KR20090120902A (ko) * 2008-05-21 2009-11-25 최윤진 전기밥솥용 내솥용기 및 이를 갖는 전기밥솥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27119A (zh) * 2014-07-28 2014-11-05 宁波市鄞州多凡国际贸易有限公司 一种家用电饭煲
CN105476439A (zh) * 2014-09-16 2016-04-13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炖锅及其控制方法
CN105476439B (zh) * 2014-09-16 2017-11-10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炖锅及其控制方法
CN108836109A (zh) * 2018-08-13 2018-11-20 王建伟 一种双胆家用电饭煲
CN109259588A (zh) * 2018-11-08 2019-01-25 厦门鸥乐科技有限公司 烹饪装置
CN113491439A (zh) * 2020-04-03 2021-10-12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CN112244662A (zh) * 2020-11-27 2021-01-22 郭鑫 一种用于煎烤烹炸食物的多功能烹饪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18526A (zh) 2015-09-16
CN104918526B (zh) 2017-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98530A1 (ko) 다용도 밥솥 및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용도 밥솥 취사 조리 시스템
WO2016122118A1 (en) Gas detection apparatus, cook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es
US5287799A (en) Recessed cooktop appliance system
US7012221B2 (en) Roasting oven with dual heating elements
US6593552B1 (en) Food serving set for roasting oven
US6509550B1 (en) Roasting oven with dual heating elements
JP2905897B2 (ja) 電子レンジ
KR20040105533A (ko) 가열 조리기
WO2017193371A1 (zh) 一种烹饪辅助器、辅助烹饪的系统及方法
WO2019083310A1 (ko) 미러 캐비닛 장치와 싱크 캐비닛 장치를 포함하는 욕실용 편의장치
US6867394B2 (en) Roasting oven with dual heating elements
WO2019083005A1 (ja) 電気炊飯器
WO2023146312A1 (ko) 조리 기기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JP6607379B2 (ja) 加熱調理器
WO2020145763A1 (ko) 조리기기
KR102472947B1 (ko) 수비드식 가방형 음식 조리기
US20070158332A1 (en) Fast-browning pizza oven
JPH08322711A (ja) 電磁炊飯器
WO2021230665A1 (ko) 조리기기
WO2024136121A1 (ko) 휴대용 후드 및 그 제어 방법
WO2020145758A1 (ko) 조리기기
WO2020145760A1 (ko) 조리기기
WO2020145756A1 (ko) 조리기기
WO2023172028A1 (ko) 자동 조리를 위해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조리 기기
WO2024112095A1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8649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8649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