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5728B1 - 분리형 다용도 밥솥 - Google Patents

분리형 다용도 밥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5728B1
KR101335728B1 KR1020120151187A KR20120151187A KR101335728B1 KR 101335728 B1 KR101335728 B1 KR 101335728B1 KR 1020120151187 A KR1020120151187 A KR 1020120151187A KR 20120151187 A KR20120151187 A KR 20120151187A KR 101335728 B1 KR101335728 B1 KR 101335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inner pot
cooking
po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재복
Original Assignee
양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복 filed Critical 양재복
Priority to KR102012015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5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5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5728B1/ko
Priority to PCT/KR2013/011977 priority patent/WO2014098530A1/ko
Priority to CN201380070193.1A priority patent/CN104918526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2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inserts for cooking different foods separately at the same time; Inse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6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built-in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독립적으로 취사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용도 밥솥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이 개방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와 힌지결합되어 개폐가능한 덮개부(400)로 이루어지되 덮개부의 상면에 파지가 가능한 손잡이(42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100)는 내삽되되 중공부를 분할하는 분리막(210)에 의해 다수의 취사공간(230)으로 구획되는 외솥(200);과, 외솥에 탈삽입되는 다수의 내솥(300);을 수용하되, 상기 덮개부(400)는 하면에 내솥(300)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이되 돌출형성되어 내솥(30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격리막(410)을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저면에 매립되어 열을 지속 공급하는 발열체(231)와, 측면과 분리막(210)의 내부에 취사공간의 측 방향으로 열을 전달시키는 가열층(212)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체(231)와 가열층(212)의 가열동작이 각 취사공간(230)마다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분리형 다용도 밥솥{The rice cooking pot with seperated containers for multiple purposes}
본 발명은 분리막을 통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외솥과 외솥에 대응 삽입되는 내솥으로 구분 구성되되 구획되는 공간별로 발열수단이 별도 구성되어 취사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다용도 밥솥에 관한 것이다.
1, 2인 가구의 급속한 증가와 불규칙한 식습관이 보편화 된 현대인의 식생활문화로 인해 조리관련 가전제품의 필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주방에서 사용가능한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밥솥, 가스레인지 등의 주방용 가전제품이 다양한 기능과 용도로 산업 각계에서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점차 관련 제품시장이 다변화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에서 여러 가전제품 중 밥솥에 대한 관심은 더욱더 크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밥솥에 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밥솥의 수요가 증대됨으로써 다양한 기능과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밥솥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4845호에서는 밥솥통과 밥솥통을 밀폐시키는 뚜껑으로 이루어지는 밥솥에 있어서, 밥솥통은 분할판에 의해 다수 개의 독립된 수직공간으로 분할되며, 상기 분할판은 별도로 제작되어 밥솥통의 하단면과 내측면에 일체형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밥솥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밥솥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공간으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공간에 상이한 식재료를 투입하여 다양한 취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공간 분리가 가능한 구성이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구성의 분할판에는 별도의 발열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취사공간의 측방향으로 가열이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취사 효율이 다소 감소하는 부분이 드러난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2184호에서는 내솥 내부의 공간부에 적어도 2 개 이상의 취사공간으로 구획하여 내솥에 설치되되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각 모서리에 형성된 결합공을 포함하는 분리막과, 분리막의 결합공에 설치되어 상기 분리막이 내솥 내부에 설치될 때 상기 내솥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슬라이딩 결합하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밥솥용 내부 분리막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는 밥솥의 내솥을 구획하는 내부 분리막에 관한 것으로서, 물리적으로 상기 내부 분리막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취사 내용물(곡식 등)을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이나 상기 다수 개의 관통공이 형성됨으로써 내용물과 함께 내솥으로 투입되는 물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인접한 공간으로 인입, 인출됨으로써 조리환경의 통제가 불가능한 구성이며, 분리막의 가장자리 면에 어떠한 방수부재가 구성되지 않아 분리막의 양 측으로 각각 구분되는 조리내용물의 조리과정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기 곤란한 구성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밥솥의 외부 용기인 외솥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막에 방수수단과 발열수단 및 단열수단을 적층 구성하여 상기 발열수단에 방출되는 열을 통해 취사 또는 보온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고, 방수수단을 통해 조리내용물(밥 등)에 포함되는 수증기 또는 수분이 발열수단에 침투되지 않도록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며, 단열수단을 통해 분리막을 사이에 두고 열이 타 공간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되, 외솥의 내부 바닥면에 복층구조의 발열체를 구성하여 상부 발열체를 통해서는 보온 기능을 구현하고 하부 발열체 및 상부 발열체를 통해서는 취사 기능을 달성할 수 있는 다용도밥솥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본 발명은 외솥(200) 내에 내솥(300)을 삽입하는 과정에 외솥(200)과 내솥 (300) 사이 공간의 기밀성을 제공하기 위해 내솥(300)에 걸림턱(310)이 구비되고 걸림턱(310)을 감싸 고정시키기 위한 걸림턱진입홈(431)을 포함하는 잠금트랙(430)이 덮개부(400)에 구비된다. 또한, 외솥(200)을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구획하는 분리막(210)의 구성 형태를 중심부의 단열막(214)과 단열막의 좌우측면에 배치되는 가열층(212)과 가열층의 좌우측면에 마감처리되는 마감재(211)를 포함하는 5중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가열층(212)을 조리내용물(쌀, 물 등)로부터 절연시켜 밥솥의 전기적 안전성을 개선하고, 상기 단열막(214)을 통해 각 내솥(300) 내부의 열이 타공간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여 밥솥의 에너지 효율성을 개선하고, 내솥(300)의 하면과 맞닿게 되는 발열체의 구성을 단층의 발열체(231) 또는 수직 적층되는 제1,2 발열체(232, 233)의 복층구조로 구성하여 취사동작을 '취사/찜'과 '보온'으로 선택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조리내용물을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중공부를 포함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400)로 이루어지되 덮개부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420)를 포함하는 다용도 밥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내삽되되 수직방향으로 중공부를 분할하는 분리막(210)에 의해 다수의 취사공간(230)으로 구획되는 외솥(200);과, 외솥의 개별 취사공간에 탈삽입되는 다수의 내솥(300);을 수용하되, 상기 내솥(300)은 일측면 상단과 타측면 상단 각각에 파지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내솥손잡이(33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400)는 하면에 내솥(300)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이되 돌출형성되어 내솥(30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격리막(410)을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저면에 매립되어 열을 연직 상방으로 지속 공급하는 발열체(231)와, 측면과 분리막(210)의 내부에 취사공간의 네 측면 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층(212)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체(231)와 가열층(212)의 가열동작이 각 취사공간(230)마다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층(212)은 판 형상의 발열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열층(212)은 'S' 자 형태로 배열되는 가열코일(213)이 내부에 매립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막(210)은 좌, 우 외측면에 외부로부터 가열층(212)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되 열전도성이 높은 판 형상의 마감재(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솥(200)은 저면 일측과 고정결합되고 내솥(300)의 하면 중심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발열체(231)의 중심부를 수직 관통하여 발열체 내에 결속되는 탄성판(2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체(231)는 온도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조리내용물을 취사하는 제1발열체(232)와, 제1발열체의 상면에 동일 온도로 유지되는 열을 지속 공급하여 조리내용물을 보온하는 제2발열체(233)를 포함하는 복층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2 발열체(232, 233)는 외솥(200)의 외측면에서 내측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치되는 띠 형상의 발열홈(234)을 다수 포함하되, 상기 발열홈(234)은 제2발열체(233)의 상면에서부터 외솥(230)의 저면까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막(210)은 가열층(212)을 평행배치되는 한 쌍의 가열층(212)으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가열층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단열막(214)을 구비함으로써, 가열층(212)에서 발생하는 열이 마감재(211)를 통해서만 각 취사공간(230)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열홈(234)에 대응 안착되게 내솥(300)의 하면에는 발열홈과 동일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기(320)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안착돌기(320)는 2개의 블록으로 구분되어 내솥(300)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안착돌기(3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발열홈(234)과 맞닿는 안착돌기(320)의 접합 범위를 가변하여 조리동작을 보온과 취사로 각각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솥(200)은 타원형, 다각형 및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형상의 저면을 가지는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솥(200)은 분리막(210)을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취사공간(230)을 포함하되, 각 취사공간(230)은 동일한 체적 또는 서로 상이한 체적을 가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솥(300)은 분리막(210)과 접하지 않는 측면 상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310)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400)는 내부에 매립되어 손잡이(420)의 단부와 고정축으로 연결되고 'ㄷ'자 형상으로 된 단면부가 내솥(200)의 상측 라인과 대응되게 고리 형상으로 연속되되 상기 내솥의 걸림턱을 수용하기 위해 걸림턱의 위치에 대응되는 내주면 상에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턱진입홈(431)을 구비하는 잠금트랙(43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돌려 잠금트랙을 회전시켜 잠금트랙의 걸림턱진입홈에 유도된 내솥의 걸림턱이 잠금트랙의 내부로 진입하게 함으로써 내솥의 걸림턱이 잠금트랙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리막(410)은 일측에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411)를 구비하고 각 내솥(300) 별로 배출구(411)를 통해 독립적으로 증기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리막(410)은 모든 내솥(300)의 개구부와 연통되게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411)가 하나로 형성됨으로써 모든 내솥(300)의 증기배출이 상기 배출구(411)를 통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100)의 내부측과 일단부가 연결되고 덮개부(400)의 저면측과 타단부가 연결되어 본체부로부터 덮개부를 지지하되 각운동이 가능한 보조지지축(110)이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막(210)은 내부에 단열층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내솥(300)에 구비되는 걸림턱(310)과 덮개부(400)에 구비되는 잠금트랙(430)의 결속을 통해 내솥(300)의 안정성과 밥솥 자체의 기밀성을 높이고, 외솥(200)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분리막(210)이 발열기능 및 단열기능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측방향으로 조리내용물에 열이 전달되어 발열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인접한 타 취사공간의 내솥(300)에는 열전달을 차단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함으로써 한쪽의 내솥(300)에서는 밥을 하고 다른 쪽의 내솥(300)에서는 식은 밥을 보온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리막(210)의 마감재(211)를 통해 밥솥 내의 전기적 절연상태가 유지되게 하는 이점이 있다. 한편, 내솥(300)의 하면에 맞닿는 외솥(200)의 저면에 복층구조의 제1,2 발열체(232, 233)를 구성하고 내솥(300)의 하면에 제1,2 발열체(232, 233)와 접촉하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분되는 높이를 가지는 안착돌기(320)를 구성함으로써 선택적인 취사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밥솥의 전체 결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솥(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단층의 발열체(231)로 구성되는 다용도 밥솥의 단면도.
도 4는 복층의 제1,2 발열체(232, 233)로 구성되는 다용도 밥솥의 단면도.
도 5는 안착돌기(320)가 구비되는 내솥(300)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잠금트랙(430)과 내솥(300)의 잠금 동작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분리막(210)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분리막(210)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원형으로 성형되는 외솥(200)과 내솥(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사각형으로 성형되는 외솥(200)과 내솥(30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기술에 앞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와 각 요소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원에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본 발명은 밥솥의 내부를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독립된 내솥별로 조리내용물을 투입하여 취사(보온, 찜, 국, 찌개 등 포함)를 할 수 있게 구성하되, 상기 내솥의 측면 상단에 돌출되는 걸림턱을 구비하고 걸림턱을 수용하도록 함몰형성되는 걸림턱진입홈을 포함하는 잠금트랙을 구비함으로써 내솥의 결합 안전성을 높이고,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수단인 분리막 내부 중심층에 단열막을 구성하고, 단열막의 양면에 가열층을 적층하되, 최외곽면에는 마감재를 형성함으로써 조리내용물 또는 수분이 분리막의 일측을 통해 타공간으로 혼입되지 않게 하고, 발열체를 일정한 온도를 지속 공급하는 보온용 발열체(제1발열체)와 온도조절이 가능한 취사용 발열체(제2발열체)를 구분 구성하여 선택적인 취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취사 시 소모되는 전력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이다.
또한, 다수의 취사공간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다용도 밥솥은 여러가지의 취사(밥, 국, 찌개 등)와 찜 및 보온 등을 한꺼번에 할 수 있고, 다양한 조리를 최소 2가지 이상 할 수 있어 시간절약과 절전에 큰 도움이 된다 할 것이다. 기존의 밥솥은 새로 취사(밥)를 하기 위해 기존의 밥을 퍼내고 취사를 진행해야 함에 반해, 본 발명에는 식은 밥은 그대로 보온상태로 두고 보관하면서 동시에 취사(밥, 국, 찌개 등)의 조리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내재해 있다 할 것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구조적 형상과 기능 및 작용에 대해 면밀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밥솥(1000)의 전체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조리내용물을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중공부를 포함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400)로 이루어지되 덮개부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420)를 포함하는 다용도 밥솥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내삽되되 수직방향으로 중공부를 분할하는 분리막(210)에 의해 다수의 취사공간(230)으로 구획되는 외솥(200);과, 외솥의 개별 취사공간에 탈삽입되는 다수의 내솥(300);을 수용하되, 상기 내솥(300)은 일측면 상단과 타측면 상단 각각에 파지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내솥손잡이(33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400)는 하면에 내솥(300)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이되 돌출형성되어 내솥(30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격리막(410)을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저면에 매립되어 열을 연직 상방으로 지속 공급하는 발열체(231)와, 측면과 분리막(210)의 내부에 취사공간의 네 측면 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층(21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본체부(100)는 밥솥의 기본 몸체와 외형을 구성하는 프레임으로서 조리내용물을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내부 중공부가 구비되는 통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공부의 형상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네 모서리가 완만하게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나, 본체부(100)의 구체적 형상은 본 발명의 범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므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외솥(200)은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0)의 중공부 형상과 대응되는 통 형상으로 구성되는 용기로서, 다수의 중공부로 구획되게 된다. 이때, 외솥(200) 외부로 열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솥(200)의 외부를 감싸는 본체부(100)의 내벽 재질은 단열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솥(200) 내의 중공부는 장방형 판 형상의 분리막(210)으로 수직방향으로 구분되게 되어 취사공간(230)이 다수개 형성되어 각 취사공간(230)별로 취사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각 취사공간(230)은 분리막(210)의 배치 간격 등에 따라 동일한 체적 또는 서로 상이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솥(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취사공간(230)에 탈삽입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용기 형태로 성형되고 조리내용물이 포함하는 수분 또는 열기로부터 저항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솥(300)의 두께는 가열되는 내솥의 특성을 고려하여 어느 정도 강도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만 형성되되 너무 두껍지 않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발열체(231)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내솥(300)의 특성상 너무 두꺼운 재질로 내솥(300)이 구성되면 발열체(231)에서 방출되는 열이 효율적으로 내솥(300)에 전도되기 곤란하므로 내솥(300)에 담기게 되는 조리내용물의 가열이 더디게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내솥(300)의 내측면 중 각 모서리 부위에는 일정 반경을 갖는 원호 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주걱으로 내솥(300)에 담겨져 있는 밥을 덜어낼 때, 주걱에 의해 용이하게 모서리 부위에 붙은 밥까지 퍼낼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덮개부(4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솥(200)과 내솥(300)을 수용하는 본체부(100)의 일측과 힌지결합을 통해 맞닿게 접합되어 밥솥을 개폐시키는 구성 요소이다. 이때, 덮개부(400)와 본체부(100)의 상면이 맞닿는 덮개부(400)의 하면에는 상기 취사공간(230)을 외부와 완전히 격리시키도록 내솥(300)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으로 일체 돌출형성되는 격리막(4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덮개부(400)의 상면에 노출되게 돌출형성되는 손잡이(420)가 구비되어 덮개부(40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파지수단이 구성된다.
한편, 첨부된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솥(200)은 타원형 통으로 도시되었고, 내솥(300)의 형상은 이에 대응되게 도시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 외솥(200)의 형상은 타원형, 다각형 및 원형 등의 구조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처럼 다양하게 구성되는 외솥(200)의 형상에 대응되게 내솥(300)의 형상도 상응하게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음을 주지하고자 한다. 또한, 또한, 상기 외솥(200)은 분리막(210)을 하나 이상 구비함으로써 다수의 취사공간(230)을 포함하되, 각 취사공간(500)은 동일한 체적 또는 서로 상이한 체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첨부된 도면에서는 분리막(210)으로 구분되는 취사공간(230)의 체적이 거의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분리막(210)의 구성 간격이 한쪽은 좁고 다른 한쪽은 넓게 구성되어 서로 상이한 체적의 취사공간(2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체부(100), 외솥(200), 내솥(300), 덮개부(400)의 전체 구성에 대한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제 각 세부 구성 요소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본체부(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측과 일단부가 연결되고 덮개부(400)의 저면측과 타단부가 연결되어 본체부로부터 덮개부를 지지하되 각운동이 가능한 보조지지축(110)이 힌지결합 부위에 인접되게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00)와 덮개부(400)의 힌지결합 부위가 가로 방향(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향)이 아닌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보조지지축(110)은 별도로 형성되지 않아도 힌지결합 부위의 지지력이 확보된다 할 것이다. 또한, 밥솥의 입력메뉴판 등도 덮개부(400)가 열리는 방향의 전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보조지지축(110)을 통해 덮개부(400)의 개방 시 덮개부(400)의 본체부(100)에 대한 고정 상태가 더욱 견고하게 된다.
외솥(200)에 구비되는 분리막(210)은 단순히 공간을 분리하고 각 공간 사이의 내용물이 섞이지 않는 기밀성의 재질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나, 취사의 효율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3중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3중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외측면이 열전도성이 높은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마감재(211)와 상기 마감재(211) 사이의 중심층에 가열층(212)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가열층(212) 하나로 양쪽에 위치한 취사공간(230)에 동시에 열원을 제공할 수 있다. 단, 각 취사공간(230) 별로 개별적인 열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분리막(210)에 단열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3중구조에서 더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중구조의 분리막(210) 구조에서 가열층(212)을 하나 더 구비하여 한 쌍의 가열층(212)을 구성하고, 그 사이에 단열기능이 구비되는 단열막(214)을 추가 적층배치 함으로써 취사공간(230) 간의 완벽한 단열기능이 구성되어 독립적인 취사 동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분리막(210)은 내부에 다른 구성요소 없이 단열층으로 구성되어 단열효과만 발휘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마감재(211)는 열전도성 재질로 구성되어 조리내용물에 열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분리막(210)을 사이에 두고 구분되는 취사공간(230) 사이를 안정적으로 차단하고, 하기에 기술되는 가열층(212) 내의 가열코일(213) 또는 가열판에 각종 미세먼지 또는 이물질이 침투되지 않음으로써 전기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단, 마감재(211)의 두께는 상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되 최대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마감재(211)가 너무 두꺼워지면 가열층(212)에서 발생하는 열기가 조리내용물(쌀, 물 등)에 제대로 전달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가열층(212)은 두 겹의 마감재(211)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발열수단으로서 내부에 'S' 자 배열로 구성되는 가열코일(213)을 포함하거나 판 형상의 일체형 발열체로 구성될 수 있다. 덧붙여 가열층(212)에서 실제 가열코일(213) 또는 판 형상의 일체형 발열체가 매립되는 영역은 분리막(210)의 면 전체에 해당할 수도 있고, 분리막(210)의 하단에서 중심부 정도까지 일부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또한, 가열층(212)은 외솥(200)을 둘러싸는 네 측면 전체에도 형성되어 개별 내솥(300)에 대한 열전달이 사방에서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참고로 하기에 기술되는 설명은 가열코일(213)을 채용하는 가열층(212)을 실시 예로 하여 기술되었음을 주지한다.
상기 가열코일(213)의 배열 형태는 상기 'S' 자 배열 이외에 가열코일(213)이 내솥(300)과 접하는 면적을 최대화하는 어떠한 배열 구조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가열층(212)에서 가열코일(213)을 제외한 영역은 열전도율이 높은 합성수지재질 또는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재질로 가열층(212)을 성형하는 경우에는 가열코일(213)이 완전히 가열층(212)에 매립되게 구비되며, 금속판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두 개의 금속판 사이에 가열코일(213)이 접착제 또는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가열코일(213)은 발열효과가 높은 인덕션히팅코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한 쌍의 가열층(212)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가열층(212)의 사이 공간에 단열막(214)이 추가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단열막(214)은 단열기능이 충분히 확보되는 단열재 중에서 선택하여 장방형 판 형상으로 성형하여 분리막(210)의 성형과정에 적층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외솥(200)의 저면에는 발열체(231)가 단층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열체(231)의 가열 작용에 의해 내솥(300)에 투입된 조리내용물의 취사(찌개류, 국종류 등 포함), 보온, 찜 등의 조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발열체(231)는 제1발열체(232)와 제2발열체(233)의 복층구조로 적층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제1,2 발열체(232, 233)의 복층 구조로 발열수단을 구성하는 이유는 내솥(200)을 일정한 온도로만 보온하는 기능을 발휘하는 제2발열체(233)와 온도조절이 가능하여 취사(또는 찜) 기능을 발휘하는 제1발열체(232)로 구분 구성하여 외솥(200)의 저면에 맞닿게 안착되는 내솥(300)에 대한 가열동작을 선택적으로 설계하여 각 취사공간(230) 별로 상이한 취사동작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발열체(232)는 취사공간(230) 별로 외솥(200)의 저면에 매립 구성되어 외솥(200)의 저면 전체에 걸쳐 발열이 일어나게 구성된다. 이때, 다수의 취사공간(230) 별로 제1발열체(232)가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각 취사공간(230)은 분리막(21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에 발열체가 분리막(210) 하단부를 경유하도록 연결 설치되면 발열체가 분리막(210)에 의해 눌리거나 전기적 절연이 이루어지지 않아 전기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소지가 다분하고, 제1발열체(232)가 독립적으로 구분 구성되어야 각 취사공간(230) 별로 취사동작을 개별적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2발열체(233)는 제1발열체(232)의 형상과는 동일하되 제1발열체(232)의 상면에 적층배치되며 외피는 절연체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적층배치되는 제1,2 발열체(232, 233)의 중심부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하여 결속되는 탄성판(235)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탄성판(23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내솥(300)의 하면과 제2발열체(233)의 상면과의 접촉 시 발생가능한 충격을 완화함으로써 제1,2 발열체(232, 233)가 손상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탄성판(235)의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솥(200)의 저면 일측과 고정결합되고 내솥(300)의 하면 중심부를 하방에서 지지하도록 스프링과 스프링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판으로 구성되나, 구체적인 탄성판(235)의 형상은 공지의 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상기 제1,2 발열체(232, 233)의 구성만으로도 충분한 가열효과를 통해 취사동작이 이루어지나 열전달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2발열체(233)의 상면에서 외솥(230)의 저면까지 수직통공형성되는 발열홈(234)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홈(234)은 외솥(200)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내측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치되되 띠 형상으로 연속되게 성형된다. 이때, 상기 발열홈(234)의 함몰 영역에 대응 안착될 수 있도록 내솥(300)의 하면에도 안착돌기(3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안착돌기(320)의 형상은 발열홈(234)의 형상과 동일하되 함몰되는 구조가 아닌 돌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안착돌기(320)는 내솥(3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거나 바람직하게는 착탈이 가능하게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안착돌기(320)의 높이는 취사동작의 구분에 따라 상이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가령 취사가 완료된 밥을 내솥(300)에 담아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밥솥(1000)에 보관할 경우에는 보온 기능이 예상되므로 안착돌기(320)의 높이가 제2발열체(233)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내솥(300)에 밥을 담아 외솥(200)에 안착시켜 보관하게 됨으로써 제2발열체(233)와 접촉하는 내솥(300)을 통해서 보온만 이루어짐으로써 전력소모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면에는 별도로 구분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착돌기(320)는 내솥(300)과 분리결합이 가능한 착탈식 블록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안착돌기(320)는 두 개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되 각 블록의 형상은 안착돌기(320)의 형상과 동일하되 단지 높이만 각각 1/2로 감소되어 안착돌기(320) 블록 하나만 내솥(30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안착돌기(320)가 제2발열체(233)에 구비되는 발열홈(234) 영역과 접촉됨으로써 보온과정만 이루어지게 되고, 안착돌기(320) 블록 두 개를 내솥(300)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안착돌기(320)가 제1,2 발열체(232, 233)에 형성되는 발열홈(234) 전체 영역과 접촉함으로써 취사(또는 찜)과정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열홈(234)의 구성은 내솥(300)의 제1,2 발열체(232, 233)에 대한 열접촉면을 높임과 동시에 내솥(300)의 하면을 외솥(200)의 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한편, 내솥(300)에 구비되는 상기 내솥손잡이(330)에 대한 파지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내솥손잡이(330)가 위치한 영역의 외솥(200) 상면에는 내솥손잡이(330)를 완전히 수용하기 위한 손잡이홈(220)이 함몰 형성되게 된다. 이때, 내솥손잡이(330)의 단부와 손잡이홈(220) 사이에는 손가락이 진입될 수 있을 정도의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상기 내솥손잡이(330)의 상면 높이와 외솥(200)의 상면 높이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내솥손잡이(330)의 돌출 구조에 따른 밥솥 사용상의 장애 요인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밥솥에 내솥(300)을 긴밀하게 고정하여 압력에 충분한 저항력을 가지도록 구성하기 위해 내솥(300)은 분리막(210)과 접하지 않는 측면 상에 돌출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걸림턱(31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310)은 하기에 기술되는 덮개부(400)의 잠금트랙(430)에 대응 결속되어 내솥(300)의 외솥(200)에 대한 안착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덮개부(400)는 내솥(300)의 상기 걸림턱(310)과 대응 결속되기 위해 잠금트랙(43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잠금트랙(430)은 손잡이(420)의 단부와 고정축 방식으로 일체 결합되는 구성요소로서, 'ㄷ'자 형상으로 된 단면부가 내솥(200)의 상측 라인과 대응되게 고리 형상으로 연속되되 상기 내솥의 걸림턱(310)을 수용하기 위해 걸림턱(310)의 위치에 대응되는 내주면 상에 다수의 걸림턱진입홈(431)을 내주면 상에 구비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를 돌려 잠금트랙을 회전시켜 잠금트랙의 걸림턱진입홈에 유도된 내솥의 걸림턱이 잠금트랙의 내부로 진입하게 됨으로써 내솥의 걸림턱이 잠금트랙에 고정되어 내솥(300)의 안정성이 확보된다.
한편, 덮개부(400)에 구비되는 격리막(410)은 내솥(300)의 개구부, 즉 다시 말해서 내솥(300)의 내측면 라인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되되, 중심부로 갈수록 볼록해지는 완만한 돔 형상으로 구성되어 개별 내솥(300) 마다 대응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격리막(410)이 다수의 내솥(300) 상부를 모두 감싸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격리막(410)은 밀폐효과를 더욱 살리기 위해 실리콘 또는 고무재질로 사출성형하여 덮개부(400) 하면에 부착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격리막(410)과 직접 맞닿게 되는 내솥(300)의 상단면에는 고무재질 등의 탄력성 소재로 이루어진 패킹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격리막(410)은 덮개부(400)의 하면과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격리막(410)과 덮개부(400)의 탈부착을 위한 결합수단은 격리막(410)의 일면에 돌출되는 실리콘재질의 압착판부재(도면 미도시)와 덮개부(400)의 하면에 상기 압착판부재에 대응되는 홈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격리막(410)에는 밥솥의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구(4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411)는 다수의 통공이 군집을 이루어서 각 격리막(41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411) 별로 증기배출밸브(도면 미도시)가 구비되어 취사공간 별로 증기배출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각 내솥(300)별로 발생하는 증기가 개별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내솥(300) 상부를 모두 감싸도록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격리막(410)의 경우에 있어서는 각 내솥(300) 공간과 연통되게 격리막(410)을 구성하되 격리막(410)의 일측에 배출구(411)가 하나로 형성됨으로써 모든 내솥(300)의 증기배출이 하나의 배출구(411)를 통해 동시에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411)가 하나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먼저 조리가 완료된 내솥(300)은 일단 증기를 보유하고 있다가 마지막에 조리가 완료되는 내솥(300)과 함께 증기를 배출하게 된다 할 것이다. 또한, 각 내솥(300)의 조리내용물에 공급되는 발열량을 조절하여 조리진행속도를 맞춰줌으로써(조리시간이 많이 걸리는 조리내용물의 발열량을 높여 조리시간을 단축하고, 조리시간이 적게 걸리는 조리내용물의 발열량을 낮춰 조리시간을 연장하고) 한꺼번에 증기가 배출되게 하여 모든 조리내용물의 조리가 동일 시점에 완료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다용도밥솥의 전체 구성과 특징이 되는 세부 구성 요소에 대한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제 취사, 보온, 찜 과정에 따라 작용하는 다용도 밥솥(1000)의 작동 행태를 면밀히 고찰하고자 한다.
1. 취사과정
내솥(300)에 곡식(쌀, 보리, 콩 등)과 물을 적절한 비율로 투입하여 외솥(200)의 취사공간(230)에 안착시킨 후, 본체부(100)에 힌지연결되는 덮개부(400)를 덮고 전원버튼을 눌러 취사를 시작하게 된다. 이때, 전원버튼은 다수의 취사공간(230)별로 구분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솥(300)은 하면에 구비되는 안착돌기(320)가 제1,2 발열체(232, 233)의 전체 두께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제2발열체(233)를 통해 일정온도까지 가열이 이루어지고, 제1발열체(232)를 통해 충분한 스팀작용에 의해 밥이 될 때까지 온도를 가온시켜 취사가 완료되도록 한다.
2. 보온과정
취식하고 남은 밥이 담겨진 내솥(300)은 외솥(200) 내에 그대로 결속된 채로 보온 상태로 보관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다른 내솥(300)에서는 별도의 조리동작(취사, 보온, 찜 등)이 진행됨과 동시에 먹고 남은 밥이 담겨진 내솥(300)에서는 보온 기능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각 내솥(300) 별로 독립적인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3. 찜과정
한쪽의 내솥(300)에서는 보온이 이루어지고, 다른 쪽의 내솥(300)에서는 취사가 이루어질 때, 또 다른 하나의 내솥(300)에서는 닭갈비찜 또는 황태찜 등의 찜요리가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단순히 취사 또는 보온의 동작 중 하나만 실시할 수 없는 종래의 밥솥과는 달리 보온, 취사, 찜이 동시에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본 발명에 따르는 다용도밥솥은 발열수단의 구성원리에 따라 전기압력밥솥, 전기밥솥, 전기보온밥통을 비롯한 화력을 이용하는 압력밥솥 등에 상기 외솥(200)과 내솥(300)의 구성이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과 본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체와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상세 설명과 실시 예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에 따른 발명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본체부 110 : 보조지지축
200 : 외솥 210 : 분리막
211 : 마감재 212 : 가열층
213 : 가열코일 214 : 단열막
220 : 손잡이홈 230 : 취사공간
231 : 발열체 232 : 제1발열체
233 : 제2발열체 234 : 발열홈
235 : 탄성판 300 : 내솥
310 : 걸림턱 320 : 안착돌기
330 : 내솥손잡이 400 : 덮개부
410 : 격리막 411 : 배출구
420 : 손잡이 430 : 잠금트랙
431 : 걸림턱진입홈 1000 : 밥솥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조리내용물을 수용하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중공부를 포함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의 일측과 힌지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덮개부(400)로 이루어지되 덮개부의 상면에 돌출형성되어 파지가 가능하게 구비되는 손잡이(420)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00)는 내삽되되 수직방향으로 중공부를 분할하는 분리막(210)에 의해 다수의 취사공간(230)으로 구획되는 외솥(200);과, 외솥의 개별 취사공간에 탈삽입되는 다수의 내솥(300);을 수용하되, 상기 내솥(300)은 일측면 상단과 타측면 상단 각각에 파지가 가능하도록 돌출 형성되는 내솥손잡이(330)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부(400)는 하면에 내솥(300)의 개구부와 동일 형상이되 돌출형성되어 내솥(300)의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격리막(410)을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저면에 매립되어 열을 연직 상방으로 지속 공급하는 발열체(231)와, 측면과 분리막(210)의 내부에 취사공간의 네 측면 방향으로 열을 전달하는 가열층(212)을 포함하며, 상기 발열체(231)와 가열층(212)의 가열동작이 각 취사공간(230)마다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분리형 다용도 밥솥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210)은 좌, 우 외측면에 외부로부터 가열층(212)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되 열전도성이 높은 판 형상의 마감재(211)를 포함하고, 상기 외솥(200)은 상기 분리막(210)을 하나 이상 구비하여 다수의 취사공간(230)으로 형성하며, 상기 격리막(410)은 일측에 증기를 배출하는 배출구(411)를 구비하여 각 내솥(300) 별로 각각의 배출구(411)를 통해 독립적으로 증기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용도 밥솥.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231)는 온도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조리내용물을 취사하는 제1발열체(232)와, 제1발열체의 상면에 동일 온도로 유지되는 열을 지속 공급하여 조리내용물을 보온하는 제2발열체(233)를 포함하는 복층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2 발열체(232, 233)는 외솥(200)의 외측면에서 내측 중심을 향해 방사상으로 등간격 배치되는 띠 형상의 발열홈(234)을 다수 포함하되, 상기 발열홈(234)은 제2발열체(233)의 상면에서부터 외솥(230)의 저면까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용도 밥솥.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210)은 가열층(212)을 평행배치되는 한 쌍의 가열층(212)으로 분리 구성하고, 상기 가열층 사이에 열전달을 차단하도록 단열재로 이루어지는 단열막(214)을 구비함으로써, 가열층(212)에서 발생하는 열이 마감재(211)를 통해서만 각 취사공간(230)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용도 밥솥.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홈(234)에 대응 안착되게 내솥(300)의 하면에는 발열홈과 동일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안착돌기(320)가 연장 형성되되, 상기 안착돌기(320)는 2개의 블록으로 구분되어 내솥(300)의 하면으로부터 각각 탈부착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안착돌기(3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비됨으로써 발열홈(234)과 맞닿는 안착돌기(320)의 접합 범위를 가변하여 조리동작을 보온과 취사로 각각 선택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용도 밥솥.
  9. 삭제
  10. 삭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솥(300)은 분리막(210)과 접하지 않는 측면 상에 돌출형성되는 걸림턱(310)을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400)는 내부에 매립되어 손잡이(420)의 단부와 고정축으로 연결되고 'ㄷ'자 형상으로 된 단면부가 내솥(200)의 상측 라인과 대응되게 고리 형상으로 연속되되 상기 내솥의 걸림턱을 수용하기 위해 걸림턱의 위치에 대응되는 내주면 상에 함몰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턱진입홈(431)을 구비하는 잠금트랙(430);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손잡이를 돌려 잠금트랙을 회전시켜 잠금트랙의 걸림턱진입홈에 유도된 내솥의 걸림턱이 잠금트랙의 내부로 진입하게 함으로써 내솥의 걸림턱이 잠금트랙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용도 밥솥.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막(210)은 내부에 단열층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다용도 밥솥.
KR1020120151187A 2012-12-21 2012-12-21 분리형 다용도 밥솥 KR101335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187A KR101335728B1 (ko) 2012-12-21 2012-12-21 분리형 다용도 밥솥
PCT/KR2013/011977 WO2014098530A1 (ko) 2012-12-21 2013-12-20 다용도 밥솥 및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용도 밥솥 취사 조리 시스템
CN201380070193.1A CN104918526B (zh) 2012-12-21 2013-12-20 多功能电饭煲、多功能电饭煲的内胆锁定装置及其多功能电饭煲的烹饪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1187A KR101335728B1 (ko) 2012-12-21 2012-12-21 분리형 다용도 밥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5728B1 true KR101335728B1 (ko) 2013-12-02

Family

ID=49986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1187A KR101335728B1 (ko) 2012-12-21 2012-12-21 분리형 다용도 밥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572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780B1 (ko) * 2016-07-21 2017-12-2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분리형 밥솥
KR101822521B1 (ko) * 2016-10-13 2018-01-26 셀라코리아(주) 전기냄비
CN108451353A (zh) * 2018-05-15 2018-08-28 广州斯腾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双胆电饭锅
CN108851950A (zh) * 2018-09-12 2018-11-23 北京故亭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料理机的撕膜装置、排气装置及食材盒
KR102354493B1 (ko) 2020-08-26 2022-01-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가능한 스마트 조리기기
KR102370751B1 (ko) * 2021-09-17 2022-03-04 주식회사 유니어 조립식 힌지 어셈블리를 갖는 트윈 쿠커
KR200496036Y1 (ko) * 2022-05-10 2022-10-19 말랑하니 주식회사 복수의 수용 공간을 갖는 내솥 및 이를 포함하는 다중 조리 가능형 전기압력밥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1743A (ko) * 1999-01-26 2000-08-16 이인환 전기밥솥
JP3296949B2 (ja) 1995-11-20 2002-07-0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炊飯器
KR200283267Y1 (ko) 2002-04-09 2002-07-26 이건국 카본 필름으로 구성되는 면상 발열체
KR100904687B1 (ko) 2008-06-16 2009-06-24 김종만 내솥 공간이 분할되는 전기밥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6949B2 (ja) 1995-11-20 2002-07-02 象印マホービン株式会社 炊飯器
KR20000051743A (ko) * 1999-01-26 2000-08-16 이인환 전기밥솥
KR200283267Y1 (ko) 2002-04-09 2002-07-26 이건국 카본 필름으로 구성되는 면상 발열체
KR100904687B1 (ko) 2008-06-16 2009-06-24 김종만 내솥 공간이 분할되는 전기밥솥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2780B1 (ko) * 2016-07-21 2017-12-27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분리형 밥솥
KR101822521B1 (ko) * 2016-10-13 2018-01-26 셀라코리아(주) 전기냄비
CN108451353A (zh) * 2018-05-15 2018-08-28 广州斯腾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双胆电饭锅
CN108851950A (zh) * 2018-09-12 2018-11-23 北京故亭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料理机的撕膜装置、排气装置及食材盒
KR102354493B1 (ko) 2020-08-26 2022-01-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회전가능한 스마트 조리기기
KR102370751B1 (ko) * 2021-09-17 2022-03-04 주식회사 유니어 조립식 힌지 어셈블리를 갖는 트윈 쿠커
KR200496036Y1 (ko) * 2022-05-10 2022-10-19 말랑하니 주식회사 복수의 수용 공간을 갖는 내솥 및 이를 포함하는 다중 조리 가능형 전기압력밥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5728B1 (ko) 분리형 다용도 밥솥
KR100705147B1 (ko) 가열 조리기
US7943888B2 (en) Slow cooker with nestable containers
US2771754A (en) Dishes or plates
CA2949611A1 (en) Lunchbox
CN209808004U (zh) 一种分层蒸汽烤箱
CN102078138B (zh) 三单元锅体结构的慢炖锅
CN210673125U (zh) 保温效果好的辅食机
KR101387310B1 (ko) 일체형 다용도 밥솥
KR101015788B1 (ko) 전기밥솥
KR100812295B1 (ko) 조리장치
CN206612598U (zh) 一种双层电饭锅
KR101253578B1 (ko) 전기밥솥
CN211795874U (zh) 一种便携式电热烹饪器
CN205386076U (zh) 便捷式多功能电饭煲
KR200473758Y1 (ko) 두 가지 취사가 이루어지는 전기밥솥용 내솥
KR20100033463A (ko)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조리장치
US200700340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an elevated food temperature
CN221383221U (zh) 一种具有多格内胆的电饭煲
JP2012516741A (ja) 調理容器
JP5285869B2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容器
CN214128103U (zh) 一种蒸汽烹饪器具
CN201911878U (zh) 三单元锅体结构的慢炖锅
KR200459006Y1 (ko) 조리용기용 파티션 기구
KR102354493B1 (ko) 회전가능한 스마트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