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45763A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45763A1
WO2020145763A1 PCT/KR2020/000541 KR2020000541W WO2020145763A1 WO 2020145763 A1 WO2020145763 A1 WO 2020145763A1 KR 2020000541 W KR2020000541 W KR 2020000541W WO 2020145763 A1 WO2020145763 A1 WO 202014576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tray
key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054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학수
김의성
윤성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4037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87650A/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234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1363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83495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10007294A/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422,14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087473A1/en
Priority to EP20738829.9A priority patent/EP3910242A4/en
Publication of WO202014576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4576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3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 F24C7/08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f electric circuits regulating heat on stov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9Cooking devices induction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4Elements and arrangements for heat storage 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조리기기의 하부에 워킹코일이 마련된다. 상기 워킹코일은 조리실에 배치된 트레이를 IH 방식으로 가열한다. 상기 워킹코일의 중심에는 트레이의 온도를 접촉 방식으로 측정하는 온도측정부가 마련된다. 상기 온도측정부는,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가세되는 모듈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바디는 스프링에 삽입되어 스프링의 상하단을 지지한다. 상기 모듈바디를 상기 워킹코일에 설치하면,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는 워킹코일의 설치베이스에 의해 지지된다. 모듈바디와 설치베이스는 키와 키홈 구조로 체결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 등의 조리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 중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보다 요리의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에 비해 소형화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크기가 작은 미니 오븐 형태의 전기 오븐(이하, "미니 오븐"이라 한다)도 출시되고 있다.
상기 미니 오븐은, 크기가 작아 크기가 큰 음식물의 조리에는 부적합하지만, 대용량의 오븐을 사용하기엔 부담스러운 소량의 음식물을 굽거나 데우는데 적합하다.
특히 미니 오븐은, 토스트를 굽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으면서도, 토스트 외에도 크기가 작은 소량의 음식물을 조리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기존의 토스트기를 대체하는 조리기기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니 오븐은 모든 구성품을 수용하기 위한 외부 케이스와, 조리 시에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복수개의 선반과, 전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을 넣어서 조리할 수 있도록 된 조리실을 구비한다.
또한 미니 오븐은, 음식물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오븐히터와,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오븐히터는, 선반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고, 조리실의 상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선반의 하부에 배치된 오븐히터는 선반을 가열하는데 주로 이용되고, 조리실의 상부에 배치된 오븐히터는 선반에 올려진 음식물에 직접 열을 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조리실 내부에 존재하는 것들 중, 그 온도가 조리실 내부 온도를 대표할 만한 것으로는 선반이 있다. 또한 고온의 온도를 간단하게, 그리고 비교적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는 접촉식 서모커플(thermocouple)이 있다.
선반이 히터 상부에 거치된 상태는 다양할 수 있기에, 특허문헌 KR2014-0124106A와 KR1429655B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접촉식 온도센서는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가세되어 상기 선반의 저면에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르면, 접촉식 온도센서를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또한 접촉식 온도센서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접촉식 온도센서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조가 추가적으로 요구되었다. 아울러,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접촉식 온도센서가 이탈해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구조가 추가적으로 요구되었다.
따라서 접촉식 온도센서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스프링을 압축한 상태를 유지하고, 상하 가이드 구조가 맞물리도록 하면서, 이탈 방지 구조도 맞물리도록 일거에 조립을 해야 했다.
또한 온도센서의 유지보수를 위해 온도센서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탈 방지 구조를 해제해야 하는데, 종래의 구조에 따르면, 상판을 분리하지 않고서는 이탈 방지 구조를 해제할 수 없어, 유지보수가 매우 번거로웠다.
아울러, 종래에는, 스프링 지지 구조, 온도센서의 상하 가이드 구조, 및 온도센서의 이탈 방지 구조가 별도로 마련됨에 따라, 구조가 매우 복잡하였다.
본 발명은 온도 센서 설치를 위한 조립이 간편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설치된 온도 센서를 분리하기 쉬운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한 센서모듈와,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피가열물 하부에 배치되어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설치베이스에 마련되는 센서설치부와, 상기 센서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가열물의 저면과 접촉하여 상기 피가열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하는 구조이다.
상기 센서모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모듈바디와, 상기 모듈바디의 하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키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설치부는, 상기 모듈바디를 수용하여 상기 모듈바디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내주벽과, 상기 키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랜지와, 상기 키를 상하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키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키홈에 키를 정렬시키며 센서모듈을 하강시켜, 키가 플랜지보다 더 하부에 이르도록 한 후, 센서모듈을 회전시켜 상기 키가 키홈과 정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센서모듈의 이탈 방지가 가능하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내주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내향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키홈은 상기 플랜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은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성 가세됨에도 불구하고, 상기 키가 상기 플랜지와 간섭되므로, 상기 센서모듈이 상기 내주벽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모듈바디는 상기 스프링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듈바디의 외주면은 상기 스프링과 마주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은, 상기 모듈바디가 상기 내주벽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바디와 내주벽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는 상기 모듈바디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는, 상기 키가 상기 키홈보다 상부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의 하단부는, 상기 키가 상기 키홈보다 하부에 위치할 때에는, 상기 플랜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키홈(687)의 원주방향 양측을 가로막는 이탈방지돌기가 하향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모듈바디의 상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피스톤링이 구비되고, 상기 피스톤링이 상기 스프링의 상단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링은 상기 내주벽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함으로써, 상기 내주벽으로부터 상기 모듈바디의 상하 이동을 안내 받을 수 있다.
상기 센서설치부는 상기 설치베이스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센서모듈(650)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통부재(652)를 구비하는 모듈바디(651); 및 상기 통부재(652)의 하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키(653);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모듈(650)은: 상기 통부재(652)의 상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가열물의 저면과 접촉하여 열을 전도하는 접촉인서트부재(660); 및 상기 접촉인서트부재(660)와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접촉인서트부재(660)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설치부(680)는: 상기 통부재(652)를 수용하는 내주벽(683); 상기 내주벽(683)에 마련되고, 상기 키(653)와 간섭되어 상기 키(653)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랜지; 및 상기 내주벽(683)에 마련되고, 상기 키(653)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키(653)를 상하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키홈(687);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686)와 키홈(687)은 상기 내주벽(683)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650)은 상기 모듈바디(651)를 상방으로 탄성 가세하는 스프링(678)을 더 포함한다.
상기 통부재(652)의 상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피스톤링(659)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678)은 상기 피스톤링(659)을 상방으로 탄성 가세할 수 있다.
상기 모듈바디(65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피스톤링(659)이 상기 내주벽(683)에 의해 규정되는 공간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링(659)의 외주면은 상기 내주벽(683)에 의해 상하 방향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678)은 상기 통부재(652)와 상기 내주벽(683)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는 상기 내주벽(683)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내향 연장되는 내향플랜지(686)이고, 상기 스프링(678)의 하부는 상기 내향플랜지(68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키홈(687)은 상기 플랜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플랜지보다 더 하향 돌출된 이탈방지돌기(688)가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688)는 상기 키홈(687)의 원주방향 양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키(653)가 상기 키홈(687)을 통해 상기 플랜지보다 더 하부로 이동하기 전에는, 상기 키(653)가 상기 스프링(678)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키(653)가 상기 키홈(687)을 통해 상기 플랜지보다 더 하부로 이동한 후에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스프링(678)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통부재(652)의 하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상기 키(653)가 구비되지 않은 구간에는, 상기 센서에 연결되는 배선이 통과하는 배선홈(65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통부재(652)의 상부에는 헤드(6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헤드(655)의 외주면에는 제1끼움부(658)이 마련되고, 상기 센서모듈(650)은 상기 제1끼움부(658)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모듈바디(651)의 상기 제1끼움부(658)의 하부를 커버하는 실링커버(6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670)는 플렉시블한 재질, 가령 고무일 수 있다.
상기 접촉인서트부재(660)는 상기 제1끼움부(658)보다 상부에서 상기 헤드(655)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670)는: 상기 제1끼움부(658)와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부(672); 상기 제2끼움부(672)에서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돔부(671); 및 상기 돔부(671)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에서 외향 연장되고, 상기 설치베이스(611)에 안착되는 안착부재(67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673)는 상기 제2끼움부(672)보다 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베이스(611)는 상기 내주벽(683)보다 더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외주벽(681)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주벽(683)의 상부와 외주벽(681)의 상부는 안착상부면(68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673)는 상기 안착상부면(68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설치베이스(611) 상에서, 상기 외주벽(681)보다 외측에는 인슐레이터(690)가 적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피가열물의 열기가 직접 설치베이스(611)로 전도되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설치베이스(611) 상에는, 상기 돔부(671)를 수용하는 센서홀(116)이 구비된 저면판(110)이 설치되고, 상기 안착부재(673)는 상기 저면판(110)과 상기 설치베이스(611)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재(673)에는, 상기 안착부재(673)의 두께를 증가시킨 형태의 실링돌기(67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리기기는, 조리실(105)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조리실(105)을 개폐하는 도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베이스(611)에서 상기 센서모듈(650) 주위로 피가열물에 유도가열을 일으키는 제1코일(61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설치베이스(611)의 하부에는 수신코일(620)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베이스(611)와 상기 수신코일(620) 사이에는 전자기차폐판(630)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수신코일(620)의 중앙부와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의 중앙부에는, 각각 상기 센서모듈(650)을 수용하는 홀(929, 639)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로 센서를 모듈화함으로써, 센서의 조립이나 분해 과정에서 스프링이 센서모듈로부터 분리될 일이 없어, 센서의 조립과 분리가 간편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키, 키홈 및 플랜지를 이용한 이탈 방지 구조에 있어서, 이탈 방지 구조가 탄성 변형되지 않고 상호 삽입 및 간섭되므로, 센서의 분리가 쉽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스프링 지지 구조와 센서모듈의 상하 가이드 구조를 일체로 구현하기 위해, 스프링의 상부가 지지되는 모듈바디의 피스톤링이 센서설치부의 내주벽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스프링 지지 구조와 센서모듈의 이탈 방지 구조를 일체로 구현하기 위해, 스프링의 하부가 지지되는 플랜지가 센서모듈의 키와 간섭됨으로써 센서모듈의 이탈을 방지하였다. 따라서 종래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Ⅸ-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ⅩⅧ-Ⅹ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의 "XⅨ-X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ⅩⅩⅠ-ⅩⅩ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ⅩⅩⅡ-ⅩⅩ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는 도 11에 도시된 트레이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11의 "ⅩⅩⅤ-ⅩⅩ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9는 전자기차폐판의 평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전자기차폐판에 제1페라이트 대응역역과 제2페라이트 대응영역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 31은 도 29의 전자기차폐판에 제1코일 대응영역과 제2코일 대응영역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도 32는 워킹코일의 저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26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5와 도 36은 실시예의 센서모듈이 장착되는 제1코일설치베이스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37과 도 38은 실시예의 센서모듈이 장착되는 제1코일설치베이스의 평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39는 도 37의 XXXIX-XXXIX 단면이다.
도 40은 센서모듈의 분해 및 조립 사시도이다.
도 41은 센서모듈에 실링커버가 설치되기 전과 그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2와 도 43은 제1코일설치베이스에 센서모듈이 설치된 상태의 상부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 43의 XXXXIV- XXXXIV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5는 도 43의 XXXXV- XXXXV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7은 도 46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8은 도 46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9는 도 48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에서 제1가열부 및 보호그릴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 내지 도 54는 도어프레임에 제1가열부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분리하여 사시도이다.
도 56은 도 55에 도시된 하우징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7은 도 55에 도시된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의 전개도이다.
도 58은 도 55에 도시된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9는 도 57에 도시된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의 전개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105: 조리실 110: 저면(저면판) 111,115: 저면커버부 116: 센서홀 120,130: 측면 125: 제2슬롯 135: 측면커버부 140: 배면 141: 배면플레이트 150: 배면케이스 160: 절연판 170: 캐비닛 180: 베이스 200: 트레이 205: 트레이본체 210: 거치부 211: 제1돌출부 213: 제2돌출부 214: 슬라이딩면 215: 거치홈 220: 물받이홈 230: 스팀커버 231: 커버본체부 233: 스팀홀 235: 입수안내면 237: 입수홀 300: 도어 301: 흡기구 303: 배기구 305: 손잡이 310: 도어상면부 320: 도어프레임 320a: 체결홀 321: 결합부 322: 안착면 323: 구속리브 324: 스토퍼 325: 히터장착부 326: 제1접속단고정부 327: 제2접속단고정부 328: 차폐판 330,335: 글라스 340,345: 케이블장착부 343: 연결부재 350: 도어전면부 360: 입력부 370: 제1냉각팬 400: 제1가열부 410: 발열체 420: 제1접속단 421: 원통형상부 422: 연장부 423: 단턱 425: 키형상부 430: 제2접속단 440: 리플렉터 450: 보호그릴 500: 제1제어기판 600: 제2가열부(가열부) 610: 워킹코일 611: 제1코일설치베이스(설치베이스) 612: 제1체결홀 613: 제1코일 614: 개방홀 615: 제1코일연결배선 617: 제1페라이트 619: 제1중심홀 620: 수신코일 621: 제2코일설치베이스 622: 제2체결홀 623: 제2코일 627: 제2페라이트 629: 제2중심홀 630: 전자기차폐판 631: 제1코일 대응영역 632: 제2코일 대응영역 633: 제3체결홀 634: 제4체결홀 635: 통기공 637: 제1페라이트 대응영역 638: 제2페라이트 대응영역 639: 제3중심홀 640: 온도측정부 650: 센서모듈 651: 모듈바디 652: 통부재 653: 키 654: 배선홈 655: 헤드 656: 선단안착면 657: 삽입홀 658: 네크(제1끼움부) 659: 피스톤링 660: 접촉인서트부재 661: 접촉면 662: 인서트 670: 실링커버 671: 돔부 672: 네크끼움부(제2끼움부) 673: 안착부재 674: 실링돌기 678: 스프링 680: 센서설치부 681: 외주벽 682: 안착상부면 683: 내주벽 684: 외주상부턱 685: 내주상부턱 686: 내향플랜지(플랜지) 687: 키홈 688: 이탈방지돌기 690: 인슐레이터 700: 제2제어기판 710: 노이즈필터 PCB 720: 코일제어 PCB 725: IGBT 726: 히트싱크 730: 제2냉각팬 800: 힌지 어셈블리 810: 힌지부 820: 거치돌기 830: 힌지케이스 831: 가이드홀 832: 제1가이드리브 833: 제2가이드리브 835: 제1슬롯 W: 투시창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하우징(100)과 도어(300)와 트레이(200) 및 가열부(400,6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골격을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은 하우징(100)에 각각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하우징(100)은,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조리물이 안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조리실(105)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트레이(200)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조리실(105)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이동은 후술할 힌지 어셈블리(80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이 조리기기의 저면, 측면,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도어(300)는 조리기기의 상면 및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하우징(100) 내부의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어전면부(350)는,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300)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어(300)는, 조리실(105) 개폐를 위한 회동시, "ㄱ" 형상으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가 함께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매개로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300)의 전면에는 손잡이(305)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손잡이(305)를 잡고 도어(30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조리실(105)을 개폐할 수 있다.
가열부(400,600)는, 하우징(100) 또는 도어(300)에 설치되어 조리실(105)에 배치된 트레이(200)를 가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400,600)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400)와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에 설치되되,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였을 때 제1가열부(400)가 조리실(105)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하우징(100)의 저면과 마주하는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열부(400)는 전기히터를 구비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에 안착된 조리물을 트레이(200)의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에 설치되되,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가열부(600)는,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레이(200)는, 제2가열부(600)에 의해 유도 가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105)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조리실(105)의 전방 및 상부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도어(300)와,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1가열부(400), 및 조리실(105) 내부의 트레이(200)를 유도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며,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트레이(200)의 인출 및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된 구성들, 및 그 외에 아직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 순차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하우징의 구조]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고, 이러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면 후방에는 제2가열부(600)의 가동과 관련된 전장부품, 예를 들면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외측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와의 결합을 매개로 도어(300)가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는,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을 수용하는 배면케이스(150)가 배치된다. 제2제어기판(700)은 배면케이스(150)에 수용되어 하우징(100)의 배후에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배면(140)과 배면케이스(150) 사이에는 절연판(160)이 배치된다.
절연판(160)은,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가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통해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된 배면케이스(150)와 하우징(100) 사이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하우징(100)은 캐비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을 덮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설치된 힌지 하우징(80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며, 조리기기의 측부 및 배후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VIII-V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6의 "IX-IX"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도어상면부(3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에는, 도어프레임(320)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는 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0)는, 투시창(W)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W)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그 중 하나의 글라스(330; 이하, "제1글라스"라 한다)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 이하, "제2글라스"라 한다)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은,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그리고 도어프레임(320)의 평면방향 중앙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글라스(330)는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고, 제2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된다.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시창(W)은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로 덮인 관통공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형성된 투시창(W)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에서의 음식물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미니 오븐의 특성 상, 사용자의 얼굴보다 상당히 낮은 지점에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가 사용되는 빈도가 높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도어(300)의 상면에 형성된 투시창(W)은,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투시창(W)을 형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는, 각각 서로 다른 구성, 즉 하나는 도어상면부(310)에 다른 하나는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투시창(W)의 내부에는 두 글라스(330,335)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이처럼 형성된 이격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은, 조리실(105)에 직접 노출된 글라스(335)를 가열한 열이 최외측에 위치한 글라스(3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와 같이 이중창 구조로 제공된 투시창(W)은, 투시창(W)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그리고 투시창(W)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김서림 발생 등을 상당 수준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한편,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가 형성하는 가로방향의 평면 상에서,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어상면부(310)가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면, 도어전면부(350)는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일례로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의 전방 단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 공간과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300)는, 그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가 "ㄱ" 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입력부(360)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공간부에는, 입력부(360)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1제어기판(500)이 수용될 수 있다.
입력부(36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360)는 제1가열부(400)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2가열부(600)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1가열부(400)나 제2가열부(600; 도 3 참조)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360)는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입력부(36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입력부(36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제1제어기판(500)은, 입력부(360), 제1가열부(400) 및 제2가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은, 입력부(36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어 입력부(36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같은 도어(300) 상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와도 상당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360)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 직접 장착된 형태로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1가열부(400)는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를 통해 설치되는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제1제어기판(500)과 입력부(360)와 제1가열부(400)가 매우 근접하고 공간적으로 연결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이들 간의 연결 구조도 매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케이블장착부(340,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되,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아울러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는, 연결부재(343)가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부재(343)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 사이를 각각 연결한다. 즉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3)는, 투시창(W)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3)의 결합체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장착부(340,345)가 설치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서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를 통해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4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C1,C2)이 설치된다.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을 제1가열부(400) 및 제1제어기판(5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C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다른 하나에는, 제1제어기판(50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C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300)에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양측에 제1가열부(400)가 각각 배치되고,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전원케이블(C2)과 신호케이블(C1)이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가열부(400)와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의 배치 구조는, 제1가열부(400)와 힌지 어셈블리(800)의 배치 구조를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가열부(400)는 그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힌지 어셈블리(800; 도 2 참조)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제1가열부(400)와 제1제어기판(500)과 같이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뿐 아니라, 제2제어기판(700; 도 34 참조) 등과 같이 하우징(100)에 배치된 구성들과도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를 되도록 노출되지 않게 통과하려면, 도어(300)와 하우징(100) 간의 유일한 연결 부분인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일례로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 중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연결 구간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구간에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조리기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을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가열부(400)의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 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되도록 발열체와 먼 측에 배치되면서도 발열체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가열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에 미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1가열부(400)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제1가열부(400)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이 제1가열부(400)들을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로 연결하는데 유리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투시창(W)을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다른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원케이블(C2)은 하우징(10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다른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케이블은 하우징(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하우징(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케이블이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 작업을 위한 배선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와 관련된 유지보수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어 내부의 냉각 구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내부의 공기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각각 공간부가 형성된다. 특히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투시창(W)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투시창(W)을 포함한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는, 서로 연결된다.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는, 흡기구(301)가 형성된다. 흡기구(301)는,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전면부(350) 상에 형성한다.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는, 배기구(303)가 형성된다. 배기구(303)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상면부(310) 상에 형성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냉각팬(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각팬(370)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또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냉각팬(370)이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도어상면부(310)에 투시창(W), 제1가열부(400) 등이 설치되어 있어 도어상면부(310)에 여유 공간이 부족함을 고려한 설계이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1냉각팬(370)은, 외부 공기가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도어 내부의 공기가 배기구(30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제1냉각팬(37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 공기가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되고, 이처럼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도어상면부(310) 내부로 유입되어 투시창(W) 내부의 공간부를 통과한 후, 배기구(303)를 통해 도어(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조리기기의 동작시, 제1제어기판(500)의 온도는 제1가열부(400)에 의해 가열된 투시창(W)의 온도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따라서 흡기구(301)를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된 후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투시창(W)을 냉각시키기에 충분히 낮은 온도로 투시창(W) 내부를 통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냉각팬(37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에 대한 냉각과 투시창(W)에 대한 냉각이 충분히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도어(300) 내부의 냉각 구조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 등과 같은 도어(300) 내부의 부품들의 과열, 열화 발생이 억제됨으로써 조리기기의 고장, 성능 저하 등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0) 내부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가 투시창(W)을 구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간의 열 전달을 차단하여 투시창(W)의 과열 발생을 억제하므로, 사용자가 투시창(W)과 접촉하여 화상 등과 같은 부상을 입는 사고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트레이의 인출 구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 도 11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이동은 힌지 어셈블리(80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트레이본체(205)와 거치부(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트레이본체(205)는,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본체(205)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납작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트레이본체(205)의 저면은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트레이(200)의 네 측면은 트레이(200)의 저면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트레이본체(205)의 네 측면 중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면과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는, 거치부(210)가 각각 마련된다. 거치부(210)는, 트레이본체(205)의 측면 상단부에서 트레이본체(205)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11)와, 제1돌출부(211)의 외측 단부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돌출부(2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거치부(210)는, 제1돌출부(211)와 제2돌출부(213)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 개방시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전방으로 인출시킨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 폐쇄시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를 향해 후방으로 삽입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부(810)와 및 거치돌기(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과 힌지 결합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상태가 변화될 수 있다.
거치돌기(82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서 힌지부(810)의 연결부재 중 하나와 연결되며,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2슬롯(125)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제1슬롯(835)과 중첩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돌기(820)에는, 트레이(200)가 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레이(200)는 트레이(200)의 측부에 형성된 거치홈(215)에 거치돌기(820)가 끼워짐에 의해 거치돌기(820)에 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트레이(200)의 양측면에 각각 마련된 거치부(210)에는 거치홈(215)이 각각 형성된다. 거치홈(215)은,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부(213)가 하단으로부터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홈(215)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의 절개된 하부를 통해 끼워질 수 있으며, 이러한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트레이(200)와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는, 슬라이딩면(214)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면(214)은,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 접촉되는 거치돌기(820)가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면(214)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거치홈(215)과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는,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한 상태로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도 있고, 조리된 음식물을 꺼내거나 트레이(200)를 세척하기 위해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외부로 꺼낼 수도 있다.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외부로 꺼낼 때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게 트레이(200)를 상부로 살짝 들어준 뒤 꺼내면 된다.
그리고 꺼냈던 트레이(200)를 다시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고자 할 때에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끼워질 수 있게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로 밀어 넣어주면 된다.
그러나 거치홈(215)이 트레이(200)의 하부에 위치해 있고 거치돌기(820)가 트레이(20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사용자는 거치홈(215) 및 거치돌기(820)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돌출부(213)의 하단에 슬라이딩면(214)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이 슬라이딩면(214)은 거치홈(215)과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밀어 넣을 때, 처음부터 거치돌기(820)를 거치홈(215)에 정확히 끼워 맞출 필요가 없고, 일단 슬라이딩면(214)이 거치돌기(820)에 얹혀지도록 트레이(200)를 밀어 넣은 후, 전후방향으로 트레이(200)를 이동시켜주면 된다.
이 과정에서 거치돌기(82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레이(200)로 인해 슬라이딩면(820) 상을 슬라이딩하다가 거치홈(215)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즉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거치돌기(820)를 거치홈(215)에 정확히 끼워 맞출 필요가 없고, 단순히 트레이(200)를 거치돌기(820) 위에 얹어놓은 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순한 동작만으로 거치돌기(820)와 거치홈(215) 간의 끼움 결합 및 이를 통한 거치돌기(820)와 트레이(200) 간의 끼움 결합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는 일례에 불과하며, 이와 다른 여러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또한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구조의 또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트레이와 거치돌기 간의 결합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 실시예 중 하나로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홈(215)과 슬라이딩면(214) 사이에는 경사면(215a)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215a)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214)과 맞닿은 상태로 슬라이딩하는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삽입되는 경로 상에 형성되어 거치돌기(82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홈(215)과 슬라이딩면(214) 사이에 경사면(215a)이 형성되면, 거치돌기(820)가 거치홈(215)에 끼워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 및 소음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트레이(200)와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좀 더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경사면(215a)은, 거치홈(215)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에 설치하기 위해 조리실(105)의 내부에 밀어 넣을 때,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위치보다는 트레이(200)를 덜 깊숙하게 넣는 경우가 많은 것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이와 같이 거치홈(215)의 후방측에 경사면(215a)이 형성되면,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위치보다 트레이(200)가 덜 깊숙하게 넣어진 상태에서 트레이(200)가 거치돌기(820) 상에 거치되었을 때,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거치홈(215)과 거치돌기(820) 간의 끼움 결합 구조의 다른 변형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로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돌출부(213)에는 끼움홈(215b)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끼움홈(215b)은, 제2돌출부(213)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홈(215b)은, 거치홈(215)과 연결되게 형성되되, 거치홈(215)의 상단에서 전후방향으로 오목하게 패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끼움홈(215b)은, 거치홈(215)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거치홈(215)에 거치돌기(820)가 끼워진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의 내부를 향해 후방측으로 더 밀어 넣으면, 거치홈(215)에 끼워져 있던 거치돌기(820)는 거치홈(215)의 전방으로 연장된 끼움홈(215b)에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거치돌기(820)와 끼움홈(215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면, 이러한 결합으로 인해 트레이(200)의 상하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한편 거치돌기(820)는, 힌지부(810)의 상태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거치돌기(820)는, 거치돌기(820)에 거치된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거치돌기(820)에 거치된 트레이(200)는, 거치돌기(820)의 전후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폐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XVIII-XVI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9는 도 17의 "XⅨ-X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20은 도 1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XXI-XXI"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22는 도 20의 "ⅩⅩⅡ-ⅩⅩ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일 때, 트레이(200)는 조리실(105)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트레이(200)가 거치된 거치돌기(820)는 조리실(105)의 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트레이(200)의 후방측은 한 쌍의 거치돌기(8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전방측은 한 쌍의 지지롤러(115)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트레이(200)는, 후방측에 배치된 한 쌍의 거치돌기(820)와 전방측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롤러(215)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리실(105)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지지롤러(115)는, 하우징(100)의 양 측면(120,130)에 각각 배치되되, 도어(300)와 인접한 하우징(100)의 전방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지지롤러(115)에는, 트레이(200)의 거치부(2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딩면(214; 도 11 참조)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롤러(115)는, 트레이(200) 이동에 따라 회전함으로써, 트레이(200)가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게 트레이(20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300)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매개로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105)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 좌측 모서리와 우측 모서리 부분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 어셈블리(8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게 된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케이스(830)와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 및 변환출력부(8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케이스(830)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외관을 형성하며,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의 일부분, 그리고 변환출력부(840)를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힌지케이스(830)에는,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 및 변환출력부(840)를 지지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810)는, 힌지케이스(830)에 위치 변화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궤도를 따라 회동될 수 있게 힌지케이스(8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810)의 상단은 도어(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300)와 결합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그 자세가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300)는, 힌지부(810)에 의해 그 회동 궤도 및 범위가 안내될 수 있다.
일례로서, 힌지부(810)는 평판 형태로 마련되되,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형상을 따라 휘어진 형태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케이스(830)에는,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이드홀(831)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홀(831)은, 힌지케이스(830) 상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가이드홀(831)은, 힌지부(830)의 회동 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통로를 힌지케이스(83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가이드홀(831)은 전방으로 갈수록 상승하고 후방으로 갈수록 하강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810)에는, 스토퍼(811)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811)는, 힌지부(810) 상에 돌출되게 구비되되, 좌우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에 삽입되어 가이드홀(831)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을 따라 이동하면서 힌지부(810)의 회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811)는, 가이드홀(831)의 전방 및 상부 단부에서는 힌지케이스(830)와 간섭되어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는 힌지부(810)의 더 이상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고, 가이드홀(831)의 후방 및 하부 단부에서는 힌지케이스(830)와 간섭되어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는 힌지부(810)의 더 이상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즉 스토퍼(811)는, 힌지부(810)의 이동 범위를 가이드홀(831)의 형성 범위에 대응되는 범위로 제한할 수 있다.
거치돌기(82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서 변환출력부(840)를 이루는 구성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며,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된다. 여기서 제2슬롯(125)은, 하우징(100)의 측면에 형성되되, 제1슬롯(835)과 중첩되는 위치 및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변환출력부(840)는,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 구비된다. 변환출력부(840)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의해 입력되는 힘을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직선방향의 힘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환출력부(840)는, 이동부재와 변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부재는,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변환부재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 즉 힌지부(810)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부재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에 해당된다.
일례로서, 변환출력부(840)는 벨트(841)와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 및 랙기어(84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벨트(841)와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는 변환부재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랙기어(846)는 이동부재에 해당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벨트(841)는, 상면과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기어가 형성된 오픈형 타이밍벨트(Timing belt) 형태로 마련된다. 벨트(841)는, 힌지케이스(83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제1가이드리브(832)에 의해 상하 위치가 구속되는 한편, 전후방향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벨트(841)의 후방측 단부는, 힌지부(8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벨트(841)는,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810)가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는 경우, 벨트(841)는 그에 연동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810)가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벨트(841)는 그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벨트(841)에 형성된 기어는,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와 맞물릴 수 있다.
제1회전기어(842)는,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 중 벨트(841)와 가장 인접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기어(842)는 타이밍 기어(Timing gear)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회전기어(841)는, 벨트(842)와 맞물려 벨트(841)의 이동에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제2회전기어(843) 및 제3회전기어(844)는, 제1회전기어(842)와 제4회전기어(845) 사이에 배치되어 제1회전기어(842)의 회전을 제4회전기어(845)로 전달한다.
즉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에 연동되어 벨트(841)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벨트(841)의 이동에 연동되어 복수개의 회전기어(842,843,844,845)의 회전이 이루어지는데, 결국 힌지부(810)의 자세 변화가 제4회전기어(845)의 회전을 유발시키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제4회전기어(845)는, 그 하부에 배치된 랙기어(846)와 맞물릴 수 있다. 랙기어(846)는, 힌지케이스(830)의 내측면에 돌출되게 마련된 제2가이드리브(833)에 의해 상하 위치가 구속되는 한편, 전후방향 이동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랙기어(846)는, 제4회전기어(845)의 회전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810)가 전방 및 상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4회전기어(845)가 제1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랙기어(846)는 그에 연동되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22 참조). 그리고 힌지부(810)가 후방 및 하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4회전기어(845)가 제1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랙기어(846)는 그에 연동되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21 참조).
상기 랙기어(846)에는, 거치돌기(820)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는 랙기어(846)의 이동에 연동되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랙기어(846)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거치돌기(820)도 그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고, 랙기어(846)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거치돌기(820)도 그에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종합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이루는 구성들, 즉 힌지부(810) 및 변환출력부(840)의 상태가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변화되고 이처럼 상태가 변화된 구성들이 거치돌기(82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도 20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개방하기 위해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면, 이러한 도어(300)의 회동에 의한 회전력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힌지부(810)의 상태를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이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치돌기(82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쉽고 안전하게 조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트레이(200)에 놓거나 조리가 완료되어 트레이(200)에 놓여진 음식물을 트레이(200)에서 꺼낼 수도 있고, 전방으로 인출된 트레이(200)를 조리실(105) 내부에서 손쉽게 꺼내어 옮길 수도 있게 된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가 조리실(105)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어(300)가 조리실(105)의 전면만을 개방하거나 상면만을 개방하는 경우에 비해 훨씬 확장된 통로를 통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에 삽입하거나 조리실(105)로부터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음식물이나 트레이(200)를 조리실(105)에 삽입하거나 조리실(105)로부터 인출할 수 있도록 확장된 통로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트레이(200)가 거치돌기(820)에 거치되어 있는 상태이기만 하면 도어(300) 폐쇄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조리실(105) 내부로 삽입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도중 트레이(200)를 꺼냈다가 다시 조리실(105)에 넣고자 할 때, 열기가 가득한 조리실(105) 내부에 손을 집어넣을 필요가 없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도어(300)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개방되므로, 도어(300)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다. 오히려, 도어(300) 개방시에는 도어(300) 폐쇄시보다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도어(300) 개방시에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구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에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서는 트레이(200)의 중량을 증가시키기가 용이한데, 트레이(200)의 중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낮기 때문이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에서는,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는 구조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트레이(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200)가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갈수록 고온 조리 성능이 향상되고 오랫동안 온기를 유지하기가 쉬워지므로, 트레이(200)가 두껍고 무거워질수록 그만큼 향상된 조리성능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유도가열부에 의해 가열되는 환경에서 사용 가능한 트레이(200)는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무게가 많이 나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트레이(200)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면, 제2가열부(600)가 유도가열부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이에 적합한 트레이(200)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억제 구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0)는, 고온 조리 성능 및 온기 유지 성능의 향상을 위해 통상의 트레이에 비해 훨씬 두껍고 무거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는, 트레이(200)가 인출된 만큼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고, 그로 인해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3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 측면(130) 측에 배치되되,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인접한 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와 결합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결합된다. 즉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양측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이하, "개방상태"라 한다)일 때,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폐쇄한 상태(이하, "폐쇄상태"라 한다)일 때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처럼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00)는,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첫 번째 구성은, 도어(300)가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며, 이로써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도어(300) 자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어(300)는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된다. 즉 도어(300)가 폐쇄상태일 때,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는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도어(300)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고, 이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다.
도어(300)가 개방되기 위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점차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300) 상에서, 도어전면부(350)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도어상면부(310)는 그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커지게 된다.
다시 말해,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두 번째 구성은,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도어(300)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도어(300)에는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마련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도 10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글라스는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글라스로 형성된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증가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즉 두 겹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더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투시창(W)을 형성하는 글라스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다. 이때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중 하나의 제1가열부(400)는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제1가열부(400)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에 의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세 번째 구성은,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300)는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고,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도어(300) 자체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한편, 도어(300)의 후방 회동에 따라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작용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방 전도 발생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0)는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데,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힌지부(810) 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힌지부(810)는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결국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은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만큼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 자체의 위치 변화와 도어(300) 자체의 무게 중심 변화로 인한 영향에 더하여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후방측으로 더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네 번째 구성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도어(300)와 힌지부(810) 간의 결합점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와 힌지부(810)의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조리기기에 모멘트(Moment)가 가해지는데, 이 모멘트는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즉 상기 모멘트가 커지면 커질수록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힘이 커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아울러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되고, 이처럼 인출된 트레이(200)로 인해 발생되는 모멘트가 조리기기에 더해지게 되는데, 이 모멘트 또한 조리기기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는 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와 트레이(2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를 합한 힘이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을 더욱 높이는 힘으로 작용할 수 있다.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도어(300)에 작용하는 힘, 그리고 이 힘이 작용하는 위치와 회전축(도어와 힌지부의 결합 부분) 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300)에는 중력만이 작용한다고 할 것인데, 중력은 도어(300)의 전체 부분에 작용하게 되므로, 도어(300)의 무게 중심에 중력이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멘트는,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도어(300)와 힌지부(810)의 결합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300)가 조리실(105) 개방을 위해 후방으로 회동할수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도 함께 감소될 수 있다.
즉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트레이(200)의 전방 인출로 인해 트레이(200) 측에서의 모멘트가 증가되지만, 도어(300) 측에서의 모멘트는 상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 개방시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방으로 인출되는 트레이(200)로 인한 조리기기의 전도가 발생될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섯 번째 구성은,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한편, 거치돌기(8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힌지케이스(830) 상에 형성된 제1슬롯(835) 및 하우징(100)에 형성된 제2슬롯(125)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은, 힌지케이스(830) 내부에서 변환출력부(840)와 연결된 거치돌기(820)가 조리실(105) 내부로 돌출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하는 한편, 거치돌기(820)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은, 힌지케이스(830) 및 하우징(100)의 측면(120)에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되, 거치돌기(820)의 두께에 대응되는 상하방향 폭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슬롯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전후방향 길이는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일 수 있다.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길이는, 트레이(200)의 인출 범위와 관련된다. 즉 트레이(200)는 거치돌기(820)가 전방으로 이동한 만큼 인출될 수 있고, 거치돌기(820)의 전방 이동 범위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에 의해 제한되므로, 결국 트레이(200)의 인출 범위는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에 의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전후방향 길이가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이면, 트레이(200)의 이동 가능 거리는 트레이(200)의 전후방향 길이의 1/2 미만으로 제한된다.
이에 따라 거치돌기(820)가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최후방 단부에 위치할 때 트레이(200)가 조리실(105)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다고 하면, 거치돌기(820)가 제1슬롯(835) 및 제2슬롯(125)의 최전방 단부에 위치할 경우, 트레이(200)는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는, 트레이(200)가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의 무게 중심이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트레이(200)가 트레이(200)가 과다하게 인출되면 그만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높아짐을 고려하여, 트레이(200)가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의 무게 중심이 조리실(105) 내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트레이(200)가 과다하게 인출되어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리게 되면, 그만큼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커지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 자체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도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300) 개방시 트레이(200)가 자동으로 인출되어 음식물이나 트레이(200)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트레이(200) 및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은 낮추는 효과를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도어가 조리실의 전방만을 개방하는 종래 조리기기의 경우,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면, 여러 가지 불편함이 발생될 수 있다.
즉 트레이(200)가 조리실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기가 어렵고, 트레이(200)에 음식을 올려 놓거나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을 꺼내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도어(300) 개방시 조리실(105)의 전면뿐 아니라 상면도 함께 개방되므로,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더라도,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 전체의 조리 상태를 확인하기가 용이하고, 트레이(200)에 음식을 올려 놓거나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을 꺼내는 것도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여섯 번째 구성은, 트레이(200)가 그 길이방향 길이의 1/2 미만의 길이만큼만 조리실(105)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여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위험성을 낮추면서도 트레이(20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트레이의 스팀 발생 구조]
도 24는 도 11에 도시된 트레이의 일부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11의 "ⅩⅩⅤ-ⅩⅩ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트레이(200)에는 물받이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물받이홈(220)은, 트레이(200)의 네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받이홈(220)이 트레이본체(205)의 전방에 위치한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물받이홈(220)은, 트레이(200)의 측면 상단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패인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받이홈(220)에는 물이 수용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물받이홈(220)에 담긴 물은, 조리실(105) 내부 또는 트레이(200)가 가열되었을 때 증발되어 조리실(105) 내에 작용하는 스팀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트레이(200)에는 스팀커버(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커버(230)는 물받이홈(220)을 상부에서 덮는 구성으로 마련되며, 커버본체부(231) 및 입수안내면(2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본체부(231)는, 물받이홈(220)을 상부에서 덮으며 트레이(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본체부(231)에는, 복수개의 스팀홀(233)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스팀홀(233)은, 커버본체부(23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각각의 스팀홀(233)에 의해, 스팀커버(230)에 의해 덮인 물받이홈(220)의 내부와 조리실(10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스팀커버(23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받이홈(220) 및 스팀커버(230)는 트레이(200)의 전방으로 배치되어 좌우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스팀홀(233)은, 스팀커버(230)의 커버본체부(231)에 배치되되,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열된다. 즉 스팀홀(233)은, 좌우방향을 따라 조리실(105) 내부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입수안내면(233)은, 커버본체부(231) 상에 형성되되, 상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입수안내면(233)에는, 입수홀(237)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입수홀(237)은, 스팀커버(230)의 상부면과 물받이홈(22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스팀커버(230) 상에 형성한다. 그리고 입수안내면(233)은, 스팀커버(230)의 상부면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흐름이 입수홀(237) 측으로 유도되도록 물의 흐름을 안내한다.
바람직하게는, 입수홀(233)은 입수안내면(233)의 좌우방향 중앙측에 배치될 수 있고, 입수안내면(233)은 커버본체부(231)와 입수홀(237)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수안내면(233)으로 공급되는 물은, 입수안내면(233)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면에 의해 입수홀(237) 측으로 흐른 후, 입수홀(237)을 통해 물받이홈(220)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물받이홈(220) 내부로 공급된 물은, 조리기기 내에 공급되는 스팀 발생을 위한 물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받이홈(220)에 물이 수용되고 트레이(200)가 조리실(105)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동작이 시작되면,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동작에 의해 트레이(200)의 가열이 이루어진다.
이처럼 트레이(200)가 가열되면, 물받이홈(220)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된다. 물받이홈(220)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은, 스팀홀(233)을 통해 스팀커버(230)를 통과하여 조리실(10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물받이홈(220)이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스팀홀(233)도 복수개가 좌우방향을 따라 조리실(105) 내부에 고르게 배치될 수 있게 마련되므로, 조리실(105) 내부에 스팀이 고르게 퍼져나갈 수 있다. 또한 스팀커버(230)의 좌우방향 중앙에 배치된 입수홀(237)을 통해서도 스팀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팀이 조리실(105)의 어느 한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조리실(105) 내부에 고르게 퍼져나갈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 대상이 되는 음식물 전체에 스팀이 고르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105) 내부에 스팀을 고르게 공급하여 음식물 내부의 촉촉함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조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팀커버(230)가 트레이(200)와 분리 가능하게 제공됨으로써, 물받이홈(220) 내부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필요시 스팀커버(230)만의 교체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위생 관리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 및 제2제어기판의 구조]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7은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28은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9는 전자기차폐판의 평면도이고, 도 30은 도 29의 전자기차폐판에 제1페라이트 대응역역과 제2페라이트 대응영역을 표시한 평면도이고, 도 31은 도 29의 전자기차폐판에 제1코일 대응영역과 제2코일 대응영역을 표시한 평면도이고, 도 32는 워킹코일의 저면을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3는 도 26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34은 도 26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 도 26, 도 27 및 도 32를 참조하면, 제2가열부(600)는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유도가열부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워킹코일(610)은, 제1코일설치베이스(6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코일설치베이스(611)가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까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트레이(200)의 전체 영역이 워킹코일(61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워킹코일(610)의 크기와 형상을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깝게 한 설계의 결과이다.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의 상부에는, 도 28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 제1코일(613)이 설치될 수 있는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고, 이 나선형의 홈에 제1코일(613)이 수용되며 제1코일설치베이스(611) 상부에 촘촘하게 감겨져 고정된다. 제1코일(613)의 단부에는, 상기 제1코일(613)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PCB와 연결되는 제1코일연결배선(615)이 구비된다.
상기 제1코일(613)은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코일설치베이스(611)는 상기 하우징(100)의 저면(110)보다 하부에서, 상기 저면(110)에 가까이 설치된다. 상기 제1코일설치베이스(611)는 상기 저면(11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워킹코일(610)과 트레이(200)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트레이의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1코일(613)은 코너가 라운드진 직사각 링 형상의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의 하부에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페라이트(617)가 설치된다. 상기 제1페라이트(617)는 상기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부터, 방사상으로 외향 연장된다. 상기 제1페라이트(617)는 상기 제1코일(613)이 설치된 영역과 중첩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1페라이트(617)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1코일의 권선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한다.
아울러 제2가열부(600)는, 수신코일(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무선으로 전송된 전원을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서,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수신코일(620)의 하부에는 베이스(180)가 배치된다. 베이스(18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결합되어 수신코일(620)의 하부에서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등을 지지하는 한편, 조리기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한다.
수신코일(620)은, 워킹코일(610)과 마찬가지로 제2코일설치베이스(621)와 제2코일(6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코일(620)의 제2코일설치베이스(621)는, 워킹코일(610)의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와 다르게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수신코일(620)의 형상을 쿡탑(Cooktop)에 구비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의 형상에 가깝게 형성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상기 제2코일(623)은 제2코일설치베이스(180)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코일설치베이스(180)는 상기 베이스(180)보다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180)에 가까이 설치된다. 상기 제2코일설치베이스(180)는 상기 베이스(180)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코일(620)과 쿡탑의 워킹코일 간 거리를 최소화하여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코일(623)은 원형의 링 형상의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제2코일설치베이스(180)의 상부에는, 도 28과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2페라이트(627)가 설치된다. 상기 제2페라이트(627)는 상기 제2코일설치베이스(18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로부터, 방사상으로 외향 연장된다. 상기 제2페라이트(627)는 상기 제2코일(623)이 설치된 영역과 중첩되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페라이트(627)의 연장 방향은 상기 제2코일의 권선 방향과 수직하게 교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코일(620)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와 별개로 구비되는 다른 조리기기, 즉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에 올려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조리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은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쿡탑의 워킹코일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함께 동작시키면,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에는, 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쿡탑의 워킹코일에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통해 수신코일(620)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신코일(620)의 전력 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리되, 수신코일(620)의 위치와 쿡탑의 유도가열부에 구비된 워킹코일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올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유도가열부에는,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자기차폐판(630)은, 금속재질의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금속재질은 알루미늄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은 알루미늄 플레이트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차폐판(630)은,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어 워킹코일(610)에 의한 EMI가 수신코일(620)에 영향을 미치거나 수신코일(620)에 의한 EMI가 워킹코일(610)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은, 상기 전자기차폐판(630)보다 상부 공간에 존재하는 전자기장과 전자기파가,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의 하부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폐하고, 상기 전자기차폐판(630)보다 하부 공간에 존재하는 전자기장과 전자기파가,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의 상부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폐한다.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은 금속 판재 한장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은 약 1.5mm 두께의 알루미늄 플레이트일 수 있다.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은 상기 워킹코일(610)을 커버하고, 상기 수신코일(620)을 커버하는 크기를 가진다.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은 상기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을 모두 커버한다.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은 상기 워킹코일(610)과 대응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의 양 단부에는 복수 개의 제1체결홀(612)이 마련되고,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에는 제3체결홀(633)이 마련된다. 상기 제1체결홀(612)과 상기 제3체결홀(633)이 마주한 상태에서 스크류(미도시) 등으로 이들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코일설치베이스(611)를 상기 전자기차폐판(630) 상면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코일설치베이스(180)이 반경방향 외측 단부에는 복수 개의 제2체결홀(622)이 마련되고,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에는 제4체결홀(634)이 마련된다. 상기 제2체결홀(622)과 상기 제4체결홀(634)이 마주한 상태에서 스크류(미도시) 등으로 이들을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2코일설치베이스(180)를 상기 전자기차폐판(630) 저면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전자기차폐판(630)에, 상기 워킹코일(610)과 상기 수신코일(620)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을 기준으로, 상기 제1페라이트(617)와 상기 제2페라이트(627)가 서로 대향 배치된다. 그리고 그보다 바깥 쪽에서, 상기 제1코일(613)과 상기 제2코일(623)이 서로 대향 배치된다.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워킹코일(610)과 상기 전자기차폐판(630)과 상기 수신코일(620)을 적층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에는 상기 제1페라이트(617)와 대응하는 영역(637) 및 상기 제2페라이트(627)와 대응하는 영역(638)이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에는 상기 제1코일(613)과 대응하는 영역(631) 및 상기 제2코일과 대응하는 영역(632)이 존재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1페라이트 대응영역(637)과 제2페라이트 대응영역(638)에 해당하는 전자기차폐판(630) 부분은 모두 막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에 의해 구획되는 두 공간에 각각 존재하는 전자기장이나 전자기파가,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다른 공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1코일 대응영역(631)은 상기 제2코일 대응영역(632)과 일부 중첩된다.
트레이(200)는 조리기기의 조리실에 수용된다. 그리고 조리실은 조리기기의 전방에 배치되므로, 트레이(200) 역시 조리기기의 전방에 가까이 배치된다. 워킹코일(610) 역시 트레이(200)의 연직 하방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코일(613)과 제2코일(623)의 중심, 그리고 전자기차폐판(630)의 중심은 모두 정렬된다. 그리고 제1코일(613)의 외곽선이 제2코일(623)의 외곽선을 포함한다. 그러면, 어차피 조리기기 내부에 수용되는 트레이(200)의 크기보다 전자기차폐판(630)의 크기가 더 커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조리기기의 체적은 증가하지 않는다. 즉 이러한 기준은 조리기기를 더 크게 하지 않으면서, 제2코일(623)의 영역을 가장 넓게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이 된다. 또한 워킹코일(610)의 중심과 전자기차폐판(630)의 중심과 수신코일(620)의 중심이 모두 정렬되므로, 후술할 온도측정부(640)의 설치 구조가 단순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반면 제2코일(623)의 외곽선이 제1코일(613)의 외곽선을 넘어 더 외부로 돌출되면, 그에 대응하여 전자기차폐판(630)의 크기를 키워야 한다. 그러면, 조리기기 역시 그에 대응하는 크기로 커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에서 상기 제2코일 대응영역(632)은 막혀 있는 형상일 수 있다. 그러면,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가 저면(110)을 통해 저면(110) 하부 공간(워킹코일과 수신코일이 내장된 공간)에 전달되더라도, 상기 제2코일(623)로 향하는 열전달 경로를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이 차폐함으로써, 제2코일(623)이 가열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제1코일 대응영역(631) 중 상기 제2코일 대응영역(632)과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는, 통기공(635)이 마련될 수 있다. 통기공(635)이 마련된 영역에서는 전자기차폐판(630)의 하부 공간과 상부 공간이 서로 통하므로 공기 유동이 원활하다. 따라서 해당 영역에서 제1코일(613)의 냉각은 촉진될 수 있다.
도 32를 참조하면, 상기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에서 상기 제1코일(613)이 감겨 있는 영역에는 개방홀(614)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방홀(614)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통기공(635)과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해당 영역에서 제1코일(613)의 냉각은 더욱 촉진될 수 있다. 상기 개방홀(614)은 제2코일 대응영역(632)과 중첩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무선을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거추장스러운 전원케이블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심플하고 깔끔한 외관으로 제공될 수 있고, 쿡탑에 조리기기를 올려놓기만 하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의 중심이 정렬되므로, 트레이(200)와 수신코일(620)의 중심도 정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쿡탑의 워킹코일 위에 상기 조리기기를 올려 둘 때, 직관적으로 쿡탑의 워킹코일과 조리실의 중심을 정렬하기만 하면 된다. 그러면 조리기기의 수신코일(620)이, 상기 조리기기와 다른 기기인 쿡탑의 워킹코일과 정렬되어, 전원 무선 전송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도 26과 도 27 및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수신코일(620)은 제2코일연결배선(미도시)을 통해 상기 제2제어기판(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제어기판(700)은, 제1코일연결배선(615)을 통해 상기 워킹코일(6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쿡탑의 워킹코일로부터 수신코일(620)로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은, 수신코일(6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송된다. 그리고 제2제어기판(700)은, 전력을 워킹코일(61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공간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61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서로 통하는 상기 내부공간을 통해 워킹코일(610)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제1코일연결배선(615)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수신코일(620)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가열부(600)의 유도가열부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가 마련된다. 전원처리부는, 수신코일(620)과 연결되어 수신코일(6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제2가열부(600) 등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는 형태로 처리한다. 이러한 전원처리부는 노이즈필터 PCB(7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제어기판(700)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 PCB(72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노이즈필터 PCB(710)는 워킹코일(610)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코일제어 PCB(720)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코일제어 PCB(720)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칩, 예를 들면 IGBT(725)와 같은 칩이 실장될 수 있다.
IGBT(725)는, 온도 관리가 필요한 고발열칩의 일종으로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과승되면 워킹코일(610)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냉각팬(730)이 설치된다. 제2냉각팬(730)은, 하우징(100)의 외부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IGBT(725) 측으로 배출하는 시로코 팬일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은, IGBT(725)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후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IGBT(725)를 향한 측방을 향해 배출할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을 통해 하우징(100)의 배면 배후의 공간부에 유입된 공기는, 먼저 IGBT(725)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한 히트싱크(726)와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하고, 노이즈필터 PCB(710) 부분을 냉각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가열부(700)는, 도 26 내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측정모듈(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모듈(640)은,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온도측정모듈(640)은, 워킹코일(6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측정모듈(640)은 제1코일설치베이스(611) 상에서 제1코일(613)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 예를 들면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모듈(640)은,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워킹코일(6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온도측정모듈(640)은, 서미스터(Thermistor) 등과 같은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되어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610)과, 전자기차폐판(630)과, 수신코일(620)의 중심은 모두 정렬된다. 상기 워킹코일(610)의 중심에는 제1중심홀(619)이 구비되고, 상기 수신코일(620)의 중심에는 제2중심홀(629)이 구비되고,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의 중심에는 제3중심홀(639)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들 중심홀들은 모두 정렬되므로, 상하로 통하는 공간이 마련된다. 상기 온도측정부(640)는 상기 공간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제2제어기판(700)은 상기 온도측정부(6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온도측정부(640)에서 측정된 온도를 제공받는다. 상기 온도측정부(640)와 제2제어기판을 연결하는 케이블은, 상기 온도측정부(640)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수신코일(620)과 베이스(180) 사이를 통해, 상기 제2제어기판(700)까지 배선될 수 있다.
상기 온도측정부(640)는 상방으로 탄성 가세되고, 그 상단부가 트레이(200)의 저면에 접하여 트레이(200)의 온도를 접촉 방식으로 측정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 제2가열부, 제2제어기판, 투시창, 제1가열부, 입력부, 제1제어기판의 배치 관계]
도 3과 도 26 내지 도 34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에는 힌지 어셈블리(800)와 제2가열부(600) 및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며,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트레이(200)를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부(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도어(3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배치된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양측에서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또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트레이(200)를 인출시키는 기능을 하는데, 이 힌지 어셈블리(800)가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트레이(200)와 결합되기 위해서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즉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트레이(2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트레이(200)와의 결합을 이루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게다가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배후나 양측부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그 중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는 것이 상기한 이유들로 인해 여러모로 유리하다.
수신코일(620)은, 하우징(10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수신코일(620)은 무선 전력 전송을 하는 대상, 예를 들면 쿡탑의 워킹코일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수신코일(620)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의 하부가 된다.
이와 같이 수신코일(620)이 제2가열부(600)의 워킹코일(610)과 함께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면, 워킹코일(610) 또는 수신코일(620)의 EMI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이 배치된다.
제2제어기판(700)은, 수신코일(620)을 통한 전력 수신과 워킹코일(610)의 동작과 밀접하게 관련된 구성이므로, 수신코일(620) 및 워킹코일(61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의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이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2제어기판(700)의 배치에 가장 효율적인 위치는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공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제어기판(700)과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을 연결하는 배선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의 위치는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와도 가까운 위치이다. 이에 따라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을 구성할 때 이 배선들을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에 쉽게 숨길 수 있게 되므로, 배선이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게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가열부(600)과 수신코일(620)과 힌지 어셈블리(800) 및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하부와 양측부 및 배후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도어(300)보다는 하우징(100)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구성들이며, 각각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도어(300)에는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와 입력부(36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그 기능상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것이 더 적합한 구성들이다. 하우징(100)에 이미 여러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어 있어 그 외에 다른 구성이 더 배치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도, 상기 구성들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 측인 것이 더 적합하다.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선보다 낮은 위치에서 사용되는 미니 오븐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리기기의 특성을 고려하면,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보다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시창(W)은, 도어(300)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때 투시창(W)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조리실(105) 내부에 대한 시야 확보에 유리하지만, 투시창(W)의 크기는 제1가열부(400) 및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도어상면부(310)에 확보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과 마찬가지로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는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를 사이에 두고 제2가열부(600)와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보다 상부에 배치되기 위해 도어상면부(310)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투시창(W)과 함께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40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된다. 그리고 입력부(360) 및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되는 상태를 고려하면, 도어상면부(310)에서는 입력부(360)가 설치될만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만약 입력부(36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면, 도어(30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장애물과 입력부(360) 간의 충돌이 발생되어 입력부(360)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특히 입력부(360)가 도어(30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면,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는, 도어전면부(350)에 비해 온도가 높을 가능성이 높다. 입력부(36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구성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입력부(36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입력부(36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상면부(310)의 뜨거운 부분과 접촉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즉 입력부(36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입력부(36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입력부(36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입력부(360)가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입력부(360) 외에도 제1제어기판(500)도 함께 배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입력부(36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제어기판(500)은, 특히 입력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은 입력부(36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입력부(36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입력부(360)를 제1제어기판(500)에 직접 연결하는 형태로 입력부(36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이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매우 간결하고 안정적인 입력부(360)와 제1제어기판(500)의 연결 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제어기판(500)은, 발열 부품인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가열부(400)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한 영향에서도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열부(400)가 작동 중일 때 발생되는 열이 제1제어기판(500)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안정성 및 동작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온도측정부]
앞서, 제2가열부(600)에는 온도측정부(640)가 마련됨을 설명한 바 있다. 온도측정부(640)는 저면판(110)을 관통하여 트레이(200)의 저면에 접함으로써, 트레이(20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측정된 온도는 제2제어기판(700)에 제공되며, 제2제어기판(700)은 제공된 온도에 기초하여 제2가열부(6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26 내지 도 28, 도 35 내지 도 4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적용되는 온도측정부(640)의 구체적인 구조를 설명한다.
온도측정부(640)는, 서모커플과 같은 온도센서를 내장하는 센서모듈(650)과, 상기 센서모듈(650)을 지지하는 센서설치부(680)를 포함한다.
도 35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센서설치부(680)는, 워킹코일(610)에 구비될 수 있다. 워킹코일(610)은 제1코일(613)을 지지하는 제1코일설치베이스(611)를 구비하며, 센서설치부(680)는 상기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설치부(680)는 합성수지 재질의 상기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에 일체로 성형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센서설치부(68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주벽(683)을 구비한다. 상기 내주벽(683)은 수직의 중심축을 가지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내주벽(683)에 수용된 센서모듈(650)이 상기 내주벽(683)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내주벽(683)에 의해 규정되는 내부 공간은 상기 센서모듈(650)이 수용되는 제1중심홀(619)이 된다.
상기 내주벽(683)의 하단에는 반경방향으로 내향 연장되는 플랜지(686)가 마련된다. 상기 내향플랜지(686)는 홀을 규정한다. 상기 홀은 원형일 수 있으며, 후술할 모듈바디(651)의 통부재(652)가 관통하는 경로가 된다.
상기 내주벽(683)의 하단에서 상기 내향플랜지(686)에는, 키홈(687)이 구비된다. 상기 키홈(687)은, 상기 원형의 홀을 규정하는 내향플랜지(686)의 내주면이 함몰된 형태를 가진다. 즉 키홈(687)이 형성된 부분의 반경은, 키홈(687)이 형성되지 않은 내향플랜지(686)의 내주면의 반경보다 더 크다. 상기 키홈(687)은 후술할 모듈바디(651)의 키(653)가 상하방향으로 지나갈 수 있는 경로가 된다.
실시예에서는 키홈(687)이 사각형 형상인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키홈(687)은 상기 키(653)가 지나가는 것을 허용하는 형상이면 족하다. 실시예에서는 180도 간격으로 한 쌍의 키홈(687)이 마련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위치나 개수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키홈(687)의 개수가 후술할 키(653)의 개수보다 더 많을 수도 있다.
도 33과 도 39를 참조하면, 상기 내주벽(683)은 상방으로는 상기 제1코일(613)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주벽(683)에서 반경방향으로 더 외측에는, 상기 내주벽(683)과 동심을 이루고 상기 내주벽(683)보다 큰 직경의 외주벽(681)이 마련된다. 상기 내주벽(683)과 외주벽(681)은 반경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있다. 상기 내주벽(683)의 상부와 외주벽(681)의 상부는 평평한 환 형의 안착상부면(682)으로 연결된다. 상기 안착상부면(682)의 반경방향 내측 가장자리와 외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는 내주상부턱(685)과 외주상부턱(684)이 마련된다. 상기 내주상부턱(685)은 상기 내주벽(683)이 안착상부면(682)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외주상부턱(684)은 상기 외주벽(681)이 상기 안착상부면(682)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안착상부면(682)에는 후술할 실링커버(670)의 안착부재(673)가 안착된다.
상기 외주벽(681) 역시 상방으로 상기 제1코일(613)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내주벽(683)과 외주벽(681)의 상단의 높이는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상기 외주벽(681)의 반경방향 외측에서, 상기 제1코일설치베이스(611)에는, 제1코일(613)이 설치되고, 그 상부로 인슐레이터(690)가 적층될 수 있다(도 28 및 도 45 참조). 인슐레이터(690)는 피가열물인 트레이(200)의 열이 제1코일(613)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 40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모듈(650)은, 상기 내주벽(683)에 의해 규정되는 제1중심홀(619)에 수용되는 모듈바디(651)와, 상기 모듈바디(651)를 상방으로 탄성 가세하는 스프링(678)을 포함한다. 상기 제1중심홀(619)에는 상기 모듈바디(651)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된다.
상기 모듈바디(65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통부재(652)와, 상기 통부재(652)의 상부에 마련되는 헤드(655)를 포함한다. 헤드(655)의 적어도 상단부는 상기 내주벽(683)보다 상부로 노출된다. 상기 헤드(655)는 상기 통부재(652)보다 더 큰 직경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헤드(655)의 상단부 가장자리는 챔퍼 형상이 마련되고, 상기 헤드(655)의 상단면에는 상기 상단면이 함몰된 형태의 선단안착면(656)이 마련되고, 상기 선단안착면(656)의 중심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 연장되는 삽입홀(657)이 마련된다.
상기 모듈바디(651)는 합성수지 재질일 수 있으며, 사출 성형 등을 통해 가공될 수 있다. 합성수지는 열전도율이 낮기에, 트레이(200)의 온도를 측정할 때 지연(delay)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상기 모듈바디(651)의 상단부에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 가령 알루미늄 재질의 접촉인서트부재(660)를 설치한다.
접촉인서트부재(660)는 상단부에 마련된 접촉면(661)과, 상기 접촉면(661)의 중앙부에서 하향 연장되는 인서트(662)를 포함한다. 상기 인서트(662)는 속이 빈 중공 형태로서, 서모커플과 같은 온도센서(미도시)는, 상기 인서트(662)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접촉면(661)의 이면(하면)에 접할 수 있다. 서모커플의 설치 구조는, 선행기술문헌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주지의 기술인바, 그 구체적인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인서트(662)는 상기 삽입홀(657)에 억지 끼움되고, 상기 접촉면(661)은 상기 선단안착면(656)에 안착될 수 있다. 선단안착면(656)에 접촉면(661)이 안착된 상태에서, 접촉면(661)의 상단부는 상기 모듈바디(651)의 상단부보다 더 상방으로 돌출된다.
통부재(652)의 중공부는 상기 인서트(662)의 중공부와 상하로 통한다. 따라서 온도센서(미도시)에 연결되는 배선은 이들 중공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통부재(652)의 상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피스톤링(659)이 구비된다. 상기 피스톤링(659)의 직경은, 상기 통부재(652)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피스톤링(659)은 상기 헤드(655)의 하단부를 이룰 수도 있다. 상기 피스톤링(659)의 직경은 상기 내주벽(683)의 직경보다 아주 약간 작은 정도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피스톤링(659)의 외주면은 상기 내주벽(683)에 부분적으로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피스톤링(659)과 내주벽(683)은, 상기 모듈바디(651)가 상기 내주벽(683)에 대해 상하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즉 모듈바디(651)의 상부는, 내주벽(683)의 상부와 중심이 정렬된 상태로 상하 승강 안내된다.
상기 통부재(652)의 하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키(653)가 구비된다. 실시예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키(653)가 구비됨이 예시되나, 그 위치와 개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키(653)를 수평방향으로 자른 단면 형상은 상기 키홈(687)을 통과할 수 있는 형상이다.
상기 통부재(652)는 스프링(678)에 끼워진 상태로 모듈화된다. 스프링(678)의 내경은 상기 통부재(652)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피스톤링(659)과 키(653)의 외경은, 상기 스프링(678)의 외경보다 크다. 통부재(652)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스프링(678)을 돌려 끼우면,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코일 스프링이 상하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통부재(652)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스프링(678)의 상단부는 상기 피스톤링(659)에 의해 지지되고, 스프링(678)의 하단부는 상기 키(653)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실시예의 센서모듈(650)은, 스프링(678)이 모듈바디(651)에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센서모듈(650)을 상기 센서설치부(680)에 설치하기 전이라도, 스프링(678)은 이미 모듈바디(651)에 안정적으로 설치되고 고정되므로, 부품의 취급이 용이하고 조립 과정이 간편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650)은 상기 스프링(678)이 상기 모듈바디(651)에 끼워진 상태로, 도 42 내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설치부(680)에 설치될 수 있다. 키(653)의 외경과 통부재(652)의 외경과 피스톤링(659)의 외경은 내주벽(683)의 내경보다 작다. 따라서 제1중심홀(619)의 상부로부터 센서모듈(650)을 하강시켜 상기 제1중심홀(619)에 삽입하면, 키(653)와 통부재(652)와 피스톤링(659)은 상기 내주벽(683) 내부에 수용된다.
키(653)의 외경은, 내향플랜지(686)의 내경보다 크다. 따라서 키(653)와 키홈(687)을 정렬하지 아니하면, 키(653)는 내향플랜지(686)보다 더 밑으로 내려가지 못한다. 반면 키(653)와 키홈(687)을 정렬하면, 키(653)는 내향플랜지(686)보다 더 밑으로 내려갈 수 있다. 키(653)를 키홈(687)보다 더 밑으로 내린 상태에서, 모듈바디(651)를 약간 돌리면, 키(653)는 내향플랜지(686)의 하부에서 키홈(687)과 어긋(misalign)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내주벽(683)은 원통형의 내벽면을 구비하고, 내향플랜지(686)는 원형의 홀을 구비한다. 또한 피스톤링(659)도 원형의 외주면을 구비하고, 통부재(652)도 원통형의 외주면을 구비한다. 따라서 내주벽(683) 내에서 모듈바디(651)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키(653)가 키홈(687)보다 더 밑으로 내려가면, 키(653)에 의해 지지되던 스프링(678)의 하단부는, 더 이상 키(653)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내향플랜지(68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키(653)가 키홈(687)보다 더 위로 올라오면, 내향플랜지(686)에 의해 지지되던 스프링(678)의 하단부는, 더 이상 내향플랜지(686)에 의해 지지되지 않고 키(65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모듈(650)을 조립하거나 분해한 뒤에도, 스프링(678)은 센서모듈(6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내향플랜지(686)의 내경은, 상기 통부재(652)의 외경과 대응하는 치수일 수 있다. 즉 통부재(652)의 외경은, 상기 내향플랜지(686)의 내경보다 약간 작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듈바디(651)가 내주벽(683)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하 이동할 때, 통부재(652)의 하부는 상기 내향플랜지(686)에 의해 중심이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모듈바디(651)는, 상부가 피스톤링(659)에 의해 중심 정렬되고 하부가 내향플랜지(686)에 의해 중심 정렬되며, 상기 피스톤링(659)과 내향플랜지(686)는 상하 이격 배치되어 있는바, 상기 모듈바디(651)는 그 중심축이 내주벽(683)에 대해 정확히 정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피스톤링(659)과 내향플랜지(686)는 스프링(678)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지지되는 부분인바, 상기 모듈바디(651)의 상하 가이드 구조는 상기 스프링(678)의 지지 구조의 기능을 함께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온도측정부(640)의 구조는 더욱 단순해진다.
또한 내향플랜지(686)는, 센서모듈(650)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과, 스프링(678)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함께 가진다. 이에 따라, 온도측정부(640)의 구조는 더욱 단순해진다.
상기 내향플랜지(686)의 저면에 의해 지지되던 키(653)가 키홈(687)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내향플랜지(686)에서 상기 키홈(687)이 마련된 부분의 원주방향 양측에는, 상기 내향플랜지(686)의 저면보다 더 하향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688)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돌기(688)의 하향 돌출 길이는, 상기 키홈(687)의 상부면이 상기 내향플랜지(686)의 저면에 접하고 있는 상태, 즉 상기 저면판(110) 위에 트레이(200)가 존재하지 아니하여 센서모듈(650)이 전혀 하방으로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저면판(110) 위에 트레이(200)가 존재하여 센서모듈(650)이 하방으로 눌리게 되는 행정(stroke)보다 더 길 수 있다. 그러면, 센서모듈(650)이 트레이(200)에 의해 눌리더라도, 키(653)가 이탈방지돌기(688)를 넘어 키홈(687)으로 빠질 우려는 없다. 반면 센서모듈(650)을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트레이(200)가 센서모듈(650)을 누르는 깊이보다 더 깊이 센서모듈(650)을 누른 상태에서, 센서모듈(650)을 회전시켜 키(653)가 이탈방지돌기(688)를 넘도록 하면, 센서모듈(650)을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통부재(652)의 하단부에서, 상기 키(653)가 구비되지 않은 원주방향의 다른 영역에는, 배선홈(654)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배선홈(654)은 상기 접촉인서트부재(660)에 설치된 센서(미도시)의 배선이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배선홈(654)은, 상기 키(653)가 상기 내향플랜지(686)의 저면과 마주하는 상태에서, 상기 내향플랜지(686)의 키홈(687)과 마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이 지나갈 공간을 여유롭게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센서모듈(650)과 센서설치부(680)의 상부에는, 상기 센서설치부(680)에 대한 상기 센서모듈(650)의 승강은 허용하면서도, 상기 온도측정부(640)의 내부 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하고, 상기 온도측정부(640)의 내부에 물 등의 액체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커버(670)가 설치된다. 일 예로서, 상기 실링커버(670)는 플렉시블한 고무 재질일 수 있다.
상기 모듈바디(651)의 헤드(655)에는 제1끼움부(658)가 형성된다. 상기 제1끼움부(658)는 헤드(655)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함몰된 홈 형태의 네크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링커버(670)에는 상기 제1끼움부(658)와 끼움 결합되는 제2끼움부(672)를 구비한다. 상기 제2끼움부(672)는 상기 네크에 끼워지도록 상기 네크와 상보적인 형상을 가지는 네크끼움부일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부(672)는 그 내부에 홀을 규정하고, 상기 모듈바디(651)의 헤드(655)가 상기 제2끼움부(672)의 홀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670)는 플렉시블한 재질이므로, 상기 헤드(655)를 상기 제2끼움부(672)에 삽입하는 과정은 어렵지 않으며, 상기 헤드(655)를 상기 제2끼움부(672)로부터 빼는 과정도 어렵지 않다.
상기 실링커버(670)는, 상기 제2끼움부(67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돔부(671)를 구비한다. 돔부(671)는 돔과 같은 형상을 이룬다. 즉 상기 돔부(671)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상하방향으로도 연장된다. 실시예에서는 상기 돔부(671)가 상기 제2끼움부(672)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뒤 하방으로 연장된 구조가 예시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673)는 상기 제2끼움부(672)보다 더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돔부(671)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에는, 다시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안착부재(673)가 구비된다. 안착부재(673)는 수평방향으로 평평한 판 형상이면서, 전체적으로 원형의 링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안착부재(673)에는, 그 상면으로부터 상방 돌출되는 실링돌기(674)가 마련된다.
상기 안착부재(673)는 상기 센서설치부(680)의 안착상부면(682)에 놓여진다. 상기 안착부재(673)의 반경방향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외주상부턱(684)의 내주에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재(673)의 위치가 쉽게 정렬될 수 있다.
상기 저면판(110)의 중앙부에는 센서홀(116)이 마련되고, 상기 센서홀(116)은 상기 돔부(671)와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저면판(110)을 상기 제2가열부(600) 상에 적층하면, 상기 돔부(671)는 상기 센서홀(116)을 통해 상부로 노출되고, 상기 돔부(671)와 헤드(655)는 상기 돔부(671)의 중앙에서 상부로 노출된다.
상기 실링돌기(674)는 상기 저면판(110)과 상기 안착상부면(682) 사이에서 강하게 압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센서홀(116)과 돔부(671)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는 액체가 온도측정부(640) 내부로 더 이상 유입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링커버(670)는 제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저면판(110)은 센서홀(116) 주변에서 상기 안착부재(673)를 커버하고, 그보다 더 외측에서 상기 인슐레이터(690)를 커버한다. 상기 제1끼움부(658)와 제2끼움부(672)는 서로 맞물려 밀봉이 가능하지만, 이를 통해 액체의 일부가 유입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유입된 액체는 내주벽(683)을 타고 하강하여, 베이스(180)에 설치된 액체 유출공(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실링커버(670)의 돔부(671)는 상기 모듈바디(651)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며, 상기 모듈바디(651)의 이동에 추종하여 변형된다.
상기 실링커버(670)는 도 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바디(651)에 먼저 끼워진 상태에서,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설치부(68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실링커버(670)가 먼저 센서설치부(680)에 설치되고 저면판(110)이 안착부재(673)를 압착한 상태에서, 모듈바디(651)가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모듈바디(651)와 실링커버(670)가 센서설치부(680)에 설치된 상태에서, 모듈바디(651)만을 분해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르면, 키(653)와 키홈(687)은, 종래의 후크 구조와 달리, 탄성변형과 복원을 통한 체결 구조가 아니므로, 저면판(110)의 분리 없이, 모듈바디(651)를 저면판(110)의 상부에서 쉽게 분리해낼 수 있다.
[도어프레임의 구조]
도 4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7은 도 46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8은 도 46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9는 도 48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에서 제1가열부 및 보호그릴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과 도 48 및 도 49에서는 글라스 및 리플렉터의 도시가 제외되어 있다.
도 46 내지 도 49를 참조하면,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를 덮으며 도어(300)와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를 지지하며 도어(3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0)은, 결합부(321)와 히터장착부(3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장착부(325)는 결합부(321)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며, 이러한 히터장착부(325)에는 제1가열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21)는, 도어상면부(310)와 결합되어 히터장착부(325)를 도어상면부(3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21)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ㅁ" 형상의 프레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관통공과 인접한 결합부(321)의 내측면에는, 안착면(32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322)은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오목한 평면을 형성하며, 이 안착면(322)에는 글라스(335)의 각 테두리 주변이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면(322)에 안착되는 글라스(335)는,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히터장착부(325) 및 히터장착부(325)에 설치된 제1가열부(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안착면(322)은,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평면을 형성하되, 대략 글라스(335)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결합부(321)보다 낮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글라스(335)는,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322)은, 관통공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면(322)은, 관통공의 전후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면(322)이 관통공의 좌우방향 양측과 전방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335)는, 세 테두리 주변이 안착면(322)에 의해 지지되며 도어프레임(32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면(322)을 둘러싸는 결합부(321)의 내측면에 의해 좌우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설치 위치가 안내될 수 있음은 물론,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흔들림이 억제되며 글라스(335)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도어프레임(320)에는 구속리브(323)와 스토퍼(324)가 더 마련될 수 있다. 구속리브(323)는 관통공의 전후방향 일측에 배치되며, 스토퍼(324)는 관통공의 전후방향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속리브(323)가 관통공의 후방에 배치되고, 스토퍼(324)가 관통공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구속리브(323)는, 결합부(321)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되, 결합부(32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과, 이로부터 관통공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ㄱ" 형상으로 연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속리브(321)는, 글라스(335)의 후방에서 글라스(335)의 후방 테두리 및 상부면과 간섭됨으로써, 글라스(335)의 후방 및 상부방향으로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스토퍼(324)는, 결합부(32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324)는, 글라스(335)의 전방에서 글라스(335)의 전방 테두리와 간섭됨으로써, 글라스(335)의 전방으로의 이동을 구속할 수 있다.
즉 글라스(335)가 안착면(322)에 안착되어 글라스(335)의 세 테두리 주변이 안착면(322)에 의해 지지되고,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양측이 결합부(321)의 내측면에 의해 지지되며, 스토퍼(324)에 의해 글라스(335)의 전방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되고, 구속리브(323)에 의해 글라스의 전방 및 상부방향 움직임이 구속됨으로써, 글라스(335)가 도어프레임(320)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가열부(400)는, 발열체(410)와 제1접속단(420) 및 제2접속단(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체(410)는, 전기히터 형태로 마련된 제1가열부(400)에서 열을 방출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러한 발열체(4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제1접속단(420)이 배치되고, 그 반대편인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제2접속단(430)이 배치된다.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통형상부(421) 및 키형상부(4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모두가 원통형상부(421) 및 키형상부(4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원통형상부(421)는,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원통형상부(421)는, 원형의 밑면이 제1가열부(410)의 최외측 단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키형상부(425)는, 발열체(410)와 원통형상부(421) 사이에 배치된다. 즉 발열체(410)를 중심으로 그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키형상부(425)가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 최외측에 원통형상부(421)가 배치된다.
키형상부(425)는, 그 두께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얇고 그 폭이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긴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형상부(425)의 폭방향과 나란한 한 쌍의 사각형 면(426; 이하, "제1면"이라 한다)이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키형상부(425)의 상면과 하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두 쌍의 사각형 면(427; 이하, "제2면"이라 한다)이 한 쌍의 제1면(426) 사이에 배치되어 키형상부(425)의 네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면(426)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긴 변을 갖는 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면(427)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열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접속단(420) 또는 제2접속단(430)을 봤을 때에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원통형상부(421)가 키형상부(425)보다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일부 영역에서만 키형상부(425)가 원통형샹부(a)보다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히터장착부(325)는,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제1접속단(420) 및 제2접속단(430)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히터장착부(325)는, 제1접속단(420)을 고정시키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430)을 고정시키는 제2접속단고정부(3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커버(a) 및 지지벽(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모두가 동일하게 커버(a) 및 지지벽(b)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a)는, 접속단의 주변을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커버(a)는, 접속단의 하부와 일측부를 감싸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접속단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보다 조금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히터장착부(325)는, 차폐판(3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 배치되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를 연결한다. 이러한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제1가열부(400)의 전방측과 후방측 중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는 차폐판(328)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1가열부(400)의 전방측과 후방측 중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가까운측에는 커버(a)가 배치된다. 커버(a)는,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가까운측과 제1가열부(400)의 하부에서 접속단을 감쌀 수 있다.
커버(a)의 하부측은 차폐판(328)과 연결되며, 이에 따라 접속단의 주변에는 "U" 형상으로 연결된 커버(a)와 차폐판(32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된다.
지지벽(b)은, 상기와 같이 커버(a)와 차폐판(32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벽(b)은, 커버(a) 및 차폐판(328)으로부터 상기 공간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벽(b)은, 커버(a)와 차폐판(32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에 따른 내측공간과 외측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벽(b)에는, 접속단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b)에는, 결합홀(c) 및 통과홀(d)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홀(c)은, 지지벽(b)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원통형상부(a)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면 원형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홀(c)에 원통형상부(a)가 끼워짐으로써, 접속단이 지지벽(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통과홀(d)은, 지지벽(b)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지지벽(b)의 상측 단부로부터 결합홀(c)까지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과홀(d)은, 키형상부(425)의 단변 길이에 대응되는 폭으로 지지벽(b)에 관통되게 형성됨으로써, 지지벽(b)의 외부와 결합홀(c)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과홀(d)은, 키형상부(425)의 단변 길이, 바꾸어 말하면 키형상부(425)의 두께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중 어느 하나는, 제1가열부(400)가 제1자세인 상태에서 통과홀(d)을 통과하여 결합홀(c)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자세는,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면, 즉 제2면(427)이 통과홀(d)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가열부(400)의 자세인 것으로 정의된다(도 51 참조).
아울러 지지벽(b)에는 연장홀(e)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홀(e)은, 통과홀(d)과 마찬가지로 지지벽(b)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결합홀(c)의 상부에 형성된 통과홀(d)이 결합홀(c)을 통과하여 결합홀(c)의 하부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접속단이 제1자세일 때에는, 키형상부(425)가 원통형상부(421)보다 상부 및 하부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리고 접속단이 제1자세일 때 원통형상부(421)가 결합홀(c)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상태가 되기 위해서는, 원통형상부(421)와 결합홀(c)과 같은 높이에 위치되어야 한다. 그런데 원통형상부(421)와 결합홀(c)과 같은 높이에 위치되기 위해서는, 키형상부(425)의 하부 돌출 부분이 결합홀(c)보다 더 낮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결합홀(c)의 하부에는 연장홀(e)이 형성되며, 이러한 연장홀(e)에는 키형상부(425)의 하부 돌출 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연장홀(e)은, 제1자세로 결합홀(c)에 삽입된 키형상부(425) 중 하부 돌출 부분이 결합홀(c)을 하부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은, 연장부(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422)는, 원통형상부(421)가 키형상부(425)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422)는, 키형상부(425)의 폭방향과 나란한 면, 즉 제1면(426)과의 사이에 단턱(423)이 형성되도록,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에서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연장부(422)에 의해, 원통형상부(421)와 인접한 키형상부(425)의 일부분에는 연장부(422)와 키형상부(425)가 중첩된 영역이 형성된다.
이 영역에서는, 연장부(422)가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보다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키형상부(425)의 제2면(427)이 연장부(422)보다 키형상부(425)의 폭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장부(422)가 형성됨으로써,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의 강도가 더 보강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연장부(422)가 없다면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가 키형상부(425)의 측면 단부로만 한정될 것이다. 그러나 접속단에 연장부(422)가 형성됨으로써,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가 연장부(422)와 키형상부(425)의 중첩 지점까지 확장될 수 있게 되므로,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의 강도가 더 보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장부(422)로 인해 형성되는 단덕(423)은, 접속단과 지지벽(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때, 키형상부(425)가 통과홀(d)에 삽입되는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는, 각각 외벽(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벽(f)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지지벽(b)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결합부(321)의 내측면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벽(f)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최외측 벽을 형성한다.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는, 커버(a)와 지지벽(b)과 외벽(f), 그리고 차폐판(328)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해당 공간은 커버(a)와 지지벽(b)과 외벽(f), 차폐판(328)에 의해 측부가 둘러싸이고 커버(a)에 의해 하부가 둘러싸인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에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또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고정된 고정단의 원통형상부(4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공간 내에서, 원통형상부(421)는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원통형상부(421)와 연결되는 케이블은, 제1제어기판(500; 도 7 참조)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일 수도 있고, 전원을 제1가열부(4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일 수도 있으며, 신호케이블과 전원케이블 둘 다일 수도 있다.
신호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에 마련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된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은,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결합부(321)가 덮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복수개의 체결보스(341,346)가 배치되며, 도어프레임(32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320a)이 체결보스(341,346)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체결홀(320a)과 체결보스(341,346)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체결홀(320a)과 체결보스(341,346)이 형성된 부분을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주면,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은 결합부(321)에 의해 덮이게 된다.
글라스(330,335)는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덮지는 않지만, 제1가열부(400) 및 히터장착부(325)는 글라스(335)에 의해 덮인 영역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된 케이블이 접속단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도 47 내지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335)에 의해 덮이지 않은 결합부(321) 영역과 글라스(335)에 의해 덮인 히터장착부(325) 영역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외벽(f)과 결합부(321)의 연결 부위에 오목홈(g)이 마련된다. 오목홈(g)은, 외벽(f)과 결합부(321)의 연결 부위에 결합부(321)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부(321)의 안착면(322)보다 오목한 면을 형성한다. 이처럼 형성된 오목홈(g)은, 안착면(322)에 안착된 글라스(335)의 하부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의 원통형상부(a)가 수용된 공간과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사이에 케이블이 통과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미설명된 부호 320b는, 힌지부(810; 도 2 참조)가 도어프레임(320)을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도어프레임(320) 상에 형성하기 위해 도어프레임(320)에 관통되게 형성된 홀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440)는,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도 2 참조) 측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리플렉터(440)는 차폐판(328)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반사면과 글라스(335)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반사면이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리플렉터(440)는, 차폐판(328)과 결합됨으로써,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리플렉터(400)는, 제1가열부(400)와 차폐판(328) 사이, 및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를 가로막으며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킴으로써,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측으로 집중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보호그릴(450)은,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제1가열부(40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보호그릴(450)은, 제1가열부(400)을 사이에 두고 차폐판(328)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보호그릴(450)은, 복수개의 강선(451) 및 복수개의 고정부재(4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되, 대략 제1가열부(4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보다 약간 더 긴 길이로 마련된다.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주변을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주변은 리플렉터(440)와 보호그릴(450)로 둘러싸인다. 즉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일측과 가열부(400)의 상부는 리플렉터(440)에 의해 둘러싸이며, 나머지 방향, 즉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타측과 가열부(400)의 하부는 보호그릴(45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타측과 가열부(400)의 하부를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열된다. 그리고 고정부재(453)는, 이러한 강선(451)들의 배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복수개의 고정부재(453)는, 강선(45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보호그릴(450)은, 그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각각에는, 그릴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릴고정부는, 보호그릴(450)의 강선(451)을 히터장착부(325)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고정리브(h)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리브(h)는, 복수개의 강선(451)의 배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리브(h)는, 커버(a)에서 제1가열부(40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고정리브(h)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리브(h) 간의 이격 간격은, 상기 고정홈이 강선(451)의 굵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리브(h)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에 강선(451)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보호그릴(450)과 그릴고정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각각에 형성되는 그릴고정부에 보호그릴(450)의 양측 단부를 끼워 고정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도어프레임(320)에 보호그릴(450)을 설치하는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커버(a)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리브(h)는, 커버(a)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구조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50 내지 도 54는 도어프레임에 제1가열부가 설치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50 내지 도 54를 참조하여 도어프레임(320)에 제1가열부(400)가 설치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0를 참조하면, 제1가열부(400)가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되기 전에, 보호그릴(450)의 설치가 먼저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그릴(450)의 설치는, 보호그릴(45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보호그릴(450)의 각 단부의 고정은, 복수개의 고정리브(h)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에 강선(451)이 끼워져 보호그릴(450)과 그릴고정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호그릴(45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가열부(400)를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가열부(400)가 제1자세가 되도록 한다. 이때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모두는, 한 쌍의 제1면(426)이 각각 전방과 후방을 향하고, 두 쌍의 제2면(427)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제2면(427)이 상부와 하부를 향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중 어느 하나를 지지벽(b)에 끼워 넣어준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420)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에 마련된 지지벽(b)에 끼워지는 예가 예시되어 있다.
제1접속단(420)이 지지벽(b)에 끼워지기 위해서는, 지지벽(b)에 형성된 통과홀(d)에 제1접속단(420)이 삽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접속단(420)은 키형상부(425)의 위치가 통과홀(d)의 위치와 일치된 상태에서 통과홀(d)에 삽입된다. 이 과정에서 키형상부(425)는, 절개된 지지벽(b)의 상단을 통해 통과홀(d)로 삽입되며, 통과홀(d)을 통과하여 결합홀(c)에 삽입된다.
이때 제2접속단(430)은,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끼워지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제1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가 결합홀(c)에 삽입되는 상태로 제1가열부(400)가 하부로 이동하여도, 제2접속단(430)은 지지벽(b)에 끼워지지 않고 지지벽(b)의 우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벽(b)에 끼워지기 위한 제1접속단(420)의 길이방향 위치는,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장부(422) 사이의 영역(이하, "함몰영역"이라 한다)이 통과홀(d)과 중첩될 수 있는 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즉 제1접속단(420) 중 통과홀(d)을 통과할 수 있는 부분은 함몰영역으로만 한정되는데, 이 함몰영역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장부(422) 사이에서 함몰된 형상 특징으로 인해 명확히 구분될 수 있다.
이 함몰영역의 길이가 지지벽(b)의 두께와 대략 일치하거나 그보다 약간 긴 정도가 되도록 한다면, 제1접속단(420)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에 끼워지면서도 제2접속단(430)은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에 끼워지지 않도록 하는 제1가열부(400)의 위치가 쉽게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제1접속단고정부(420)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430)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는 다음의 관계를 만족한다.
LH=LH1+2LH2+2LH3
L1=LH-LH2-LH3
여기서, LH는 제1가열부 전체의 길이이고, LH1은 발열체의 길이이며, LH2는 발열체의 일측 단부와 단턱 간의 거리이고, LH3는 단턱과 원통형상부의 최외측 단부 간의 거리이다. 아울러 LH2는 발열체의 일측 단부와 단턱 간의 거리인 동시에, 함몰영역의 길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는, 제1가열부(400)를 구성하는 하나의 발열체(410)와 한 쌍의 접속단(420,430) 중에서 하나의 접속단을 제외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된다.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제1접속단(420)의 함몰영역이 통과홀(d)에 삽입되어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에 끼워질 때, 제2접속단(430)은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에 끼워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형상부(425)의 함몰영역이 통과홀(d)을 통과하여 결합홀(c)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원통형상부(421)가 결합홀(c)과 같은 높이에 위치된 상태가 되면, 키형상부(425)의 하부 돌출 부분이 연장홀(e)에 삽입되고, 제1접속단(420)은 더 이상 하부를 향해 이동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부(400) 전체를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주되, 발열체(410)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이에 따라 제1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는, 지지벽(b)과 분리된다. 즉 제1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는 결합홀(c)과 통과홀(d) 및 연장홀(e)로부터 이탈되고, 그 대신 원통형상부(421)가 결합홀(c)에 삽입되면서 제1접속단(420)의 원통형상부(421)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제2접속단고정부(327)에는 제2접속단(420)의 원통형상부(421)가 결합홀(c)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제2접속단(430)의 원통형상부(421)와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2접속단고정부(327)에서도, 제2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가 지지벽(b)과 분리된 상태, 즉 제2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가 결합홀(c)과 통과홀(d) 및 연장홀(e)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가 유지된다.
이를 위해, 제1접속단고정부(420)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430)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는 다음의 관계를 만족한다.
L1=LH1+2LH4
여기서, LH4는 키형상부(425)의 길이이다.
즉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는, 발열체(410)와 한 쌍의 키형상부(425)를 포함한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설정된다.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제1접속단(420)의 원통형상부(421)와 제2접속단(430)의 원통형상부(421) 모두가 지지벽(b)에 끼워진 상태일 때, 제1접속단(420)의 키형상부(425)와 제2접속단(430)의 키형상부(425) 모두가 지지벽(b)에 끼워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부(400)의 자세를 제2자세로 변화시켜 주면,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서 제2자세는,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이 통과홀(d)의 폭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1가열부(400)의 자세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의 제2자세는, 제1가열부(400)가 제1자세인 상태에서 제1가열부(400)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90°만큼 회전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가열부(400)의 자세가 변화됨에 따라, 제1가열부(400)의 양측 단부에 배치된 각각의 키형상부(425)는 지지벽(b)과 각각 밀착되고, 이에 따라 제1가열부(400)는 그 길이방향 움직임이 구속된 상태로 히터장착부(325)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제1접속단고정부(420)의 지지벽(b)과 제2접속단고정부(430)의 지지벽(b) 간의 이격 거리((L1)가 L1=LH1+2LH4인 관계를 만족하도록 제1가열부(400)와 히터장착부(325)의 형상이 설계됨에 따라 얻어지는 효과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지지벽(b)과 외벽(f) 간의 이격 거리((L2)는, 다음의 관계를 만족한다.
L2≥LH3
즉 지지벽(b)과 외벽(f) 간의 이격 거리((L2)는, 단턱(423)과 원통형상부(421)의 최외측 단부 간의 길이보다 긴 길이로 설정된다.
지지벽(b)과 외벽(f) 간의 이격 거리((L2)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지지벽(b)과 외벽(f) 사이에 상기 이격 거리((L2)에 대응되는 길이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처럼 지지벽(b)과 외벽(f)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연장부(422)와 원통형상부(421)가 삽입된다. 그리고 이 공간에서는, 케이블과 접속단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지지벽(b)과 외벽(f) 간의 이격 거리((L2)가 상기와 같이 설정되면, 연장부(422)와 원통형상부(421)의 삽입 및 케이블과 접속단의 연결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되면, 리플렉터(440)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리플렉터(440)의 설치는, 리플렉터(440)를 차폐판(328)에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글라스(335; 도 46 참조)를 도어프레임(330)의 안착면(332)에 안착시키고, 구속리브(323)와 스토퍼(324)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면, 글라스(335)의 설치가 완료된다.
글라스(335) 설치 과정 이전 또는 이후에는, 접속단과 케이블을 연결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과정들이 모두 완료되면, 도어프레임(320)과 제1가열부(400)와 리플렉터(440)와 보호그릴(450) 및 글라스(335)가 하나로 조립된 단위체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와 리플렉터(440)와 보호그릴(450) 및 글라스(335)와 하나로 조립된 도어프레임(320)을 도어상면부(310; 도 1 참조)에 결합시키면, 제1가열부(400)와 리플렉터(440)와 보호그릴(450) 및 글라스(335) 등이 도어(300)에 단번에 조립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가열부(400)의 설치 및 접속단과 케이블의 연결 작업이 완료되면,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도 46 참조)의 개방된 상부에는 캡이 각각 덮여 접속단을 보호할 수 있다.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와 캡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해, 커버(a)의 상부에는 결합돌기(i)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도어프레임(32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도어상면부(31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및 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도어상면부(3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은,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결합부(321)가 덮는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장착부(340,345) 등에 체결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된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및 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할 수 있으며, 필요시 도어(30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조리기기의 유지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와 그 관련 부품들, 그리고 글라스(335)가 하나의 단위체로 조립될 수 있는 틀을 제공함으로써, 부품 관리 및 제조 관리가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에는, 글라스(335)가 도어프레임(32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들 외에도, 제1가열부(40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이 도어프레임(32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들이 함께 제공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335)와 제1가열부(44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하나의 단위체가 제공될 수 있고, 도어프레임(320)을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글라스(335)와 제1가열부(44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가 단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셋째,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가 도어프레임(320)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들을 제공함으로써, 제1가열부(400) 설치 작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일측 단부를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하나에 먼저 끼우고, 제1가열부(400)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가열부(400)의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끼워지도록 한 후, 제1자열부(400)를 회전시키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는 방향성 있게 마련된 것이 아니므로, 제1가열부(400)의 일측 단부를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것에 먼저 끼우더라도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문제없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 설치 작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제조 작업은 물론 제1가열부(400)의 교체를 위해 이루어지는 유지보수 작업 또한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하우징의 상세 구조]
도 5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분리하여 사시도이고, 도 56은 도 55에 도시된 하우징의 구성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7는 도 55에 도시된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의 전개도이다. 또한 도 58은 도 55에 도시된 하우징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9는 도 57에 도시된 하우징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의 전개도이다.
도 2 내지 도 4, 도 55 내지 도 57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110)과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과 배면(140)을 포함한다.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또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저면(110)과 마주보는 상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1개방부(101)가 형성되고,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배면(140)과 마주보는 전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제2개방부(102)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개방부(101)가 상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고, 제2개방부(102)가 전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제1개방부(101)와 제2개방부(102)는 서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즉 제1개방부(101)와 제2개방부(102) 사이에는 제1개방부(101)와 제2개방부(102) 사이를 구획하는 어떠한 구조물도 배치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하우징(100)는 그 상면과 전면 전체가 개방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하나의 판재(10)가 절곡되어 저면(110)과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 및 배면(140) 중 적어도 3개의 면이 형성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서, 판재(10)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사각 형상의 금속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판재(10)에는, 판재(10)의 장변방향을 따라 2개의 절곡선(11)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절곡선(11)은, 판재(10)의 단변과 나란한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판재(10)는, 절곡선(11)을 중심으로 “└┘”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3개의 면 중, 판재(10)의 장변방향 중심에 배치된 면이 저면(110)을 형성하고, 저면(110)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절곡된 면이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100)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이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거나 그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빠져 제2가열부(600)의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의 전방측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다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은 측방향 변형에 취약한 구조적 약점을 갖게 된다.
만약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이 이음새 없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지 않고, 각각 별물로 마련된 저면(110)과 양측면(120,130)이 용접이나 나사 체결 또는 리벳 체결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제조가 이루어진다면,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에 의한 영향은 각 면들간의 결합 부위에 집중될 수밖에 없게 된다.
통상적으로, 용접이나 나사 체결 또는 리벳 체결은 각 면들간의 결합면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이루어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몇 안되는 결합 부위에 외력의 영향이 집중될 수밖에 없게 되고, 이로 인해 하우징(100)의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은 구조적 강성이 저하되고 측방향 변형에 취약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저면(110)이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하우징(100)의 제조가 이루어지게 되면,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에 의한 영향이 각 면들간의 연결 부위 전체로 분산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은 좀 더 향상된 구조적 강성 및 측방향 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갖게 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저면(110)은, 세라믹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세라믹 글라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저면(110)의 절개된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제2가열부(600)와 트레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외측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와의 결합을 매개로 도어(300)가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 어셈블리(800)와 하우징(100) 간의 결합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힌지케이스(830; 도 19)와 하우징(100)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에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결합됨으로써, 힌지 어셈블리(800)가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게 됨은 물론, 하우징(100)의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 각각의 구조적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의 전방측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다른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하우징(100)의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은 측방향 변형에 취약한 구조적 약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에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결합된다. 이와 같이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에 각각 결합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의 전체 두께와 강성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의 구조적 강성이 높아지고, 측방향 변형에 저항하는 저항력도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전면과 인접한 제1측면(120) 및 제2측면(130)의 단부, 즉 제1측면(120) 및 제2측면(130)의 전방 단부에는, 측면커버부(13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측면커버부(135)는,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 즉 하우징(100)의 측방향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측면커버부(135)는, 제1측면(120)의 전방 단부와 제2측면(130)의 전방 단부가 각각 측방향으로 절곡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커버부(135)는, 하우징(100)의 전면 및 배면(140)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측면커버부(135)가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사이 외에도, 제1측면(120)과 측면커버부(135) 사이, 그리고 제2측면(130)과 측면커버부(135) 사이도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측면커버부(135)는, 도어(300) 개방시 전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측면커버부(135)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되므로, 조리기기 전면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측면(120)과 결합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1측면(120)과 측면커버부(135)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1측면(120) 및 측면커버부(135)와 접촉되며 제1측면(120) 및 측면커버부(135)와 결합된다.
즉 제1측면(120)과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측면이 제1측면(120)과 면접촉하며 제1측면(120)과 결합되고, 측면커버부(135)와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면이 측면커버부(135)의 배면과 접촉되며 측면커버부(135)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측면(120)과 결합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2측면(130)과 측면커버부(135)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2측면(130) 및 측면커버부(135)와 접촉되며 제2측면(130) 및 측면커버부(135)와 결합된다.
즉 제2측면(130)과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측면이 제2측면(130)과 면접촉하며 제2측면(130)과 결합되고, 측면커버부(135)와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면이 측면커버부(135)의 배면과 접촉되며 측면커버부(135)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힌지 어셈블리(800)와 결합되는 측면커버부(135)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후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측면커버부(135)와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면이 측면커버부(135)의 배면과 접촉되는 위치가 힌지 어셈블리(800)의 결합 위치라고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커버부(135)는, 적어도 2방향 이상에서 하우징(100)과 힌지 어셈블리(8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0)과 힌지 어셈블리(800) 간의 결합 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측면커버부(135)와 같이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물과 힌지 어셈블리(80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 구조가 형성되면,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의 측방향 변형에 저항하는 저항력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측면커버부(135)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게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방을 차폐하며, 이에 따라 도어(300) 개방시 힌지 어셈블리(800)가 측면커버부(135)에 의해 가려져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게다가 측면커버부(135)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되므로, 조리기기 전면의 미감이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전면과 인접한 저면(110)의 단부와 하우징(100)의 배면(140), 즉 저면(110)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저면커버부(111,115)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면(110)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 모두에 저면커버부(111,115)가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저면커버부(111,115)는, 하우징(100)의 상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저면커버부(111,115)는, 저면(110)의 전방 단부와 후방 단부가 각각 하부방향으로 절곡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저면커버부(111,115)는, 하우징(100)의 전면 및 배면(140)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저면커버부(111,115)가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사이 외에도, 저면(110)과 저면커버부(111,115) 사이도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저면커버부(111,115) 중, 저면의 전방 단부에 배치되는 저면커버부(111)는, 도어(300) 개방시 측면커버부(135)와 함께 전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저면커버부(111)가 하우징(100)의 저면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되므로, 조리기기 전면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제2가열부(600; 도 26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된 제2가열부(600)의 전방과 후방은, 저면커버부(111,115)에 의해 각각 차폐될 수 있다. 또한 저면커버부(111,115)는, 제2가열부(60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베이스(180; 도 26 참조)와 하우징(100)의 저면(110) 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하우징(100)은, 배면플레이트(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플레이트(141)는, 하우징(100)의 다른 면들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판재(10)와 별물로 마련된 다른 판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면플레이트(141)는, 저면(110)과 제1측면(120) 및 제2측면(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하우징(10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하우징(100)은, 도 26 및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케이스(150; 도 26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케이스(150)는, 배면플레이트(141)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 배치되며, 제2제어기판(700)을 내부에 수용한다. 이러한 배면케이스(150)는, 절연판(160)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면케이스(150)는, 베이스(18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배면케이스(150)에는 제2가열부(600)로의 전원 공급 및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되어 있는데, 베이스(180)에는 이러한 제2제어기판(700)에 의해 제어되는 제2가열부(600) 및 제2제어기판(700)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수신코일(62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가열부(600)와 수신코일(620)과 베이스(180)와 제2제어기판(700)과 배면케이스(150)가 하나의 단위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가열부(600)와 베이스(180)와 제2제어기판(700)과 배면케이스(150)는, 제2가열부(600)과 수신코일(620)이 설치된 베이스(180)와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된 배면케이스(150)가 서로 결합된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가열부(600)와 수신코일(620)과 제2제어기판(700)이 기능적으로 깊이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상기와 같이 하나의 모듈 형태로 제공되면, 이들을 조립하는 공정을 별도로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고, 이들을 하나의 모듈 별로 별도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 관리 및 부품 관리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된 배면케이스(150)는,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결합되어 배면(140)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 역할도 함께 수행할 수 있다. 즉 하부가 베이스(180)에 의해 지지된 배면케이스(150)에 의해 하우징(100)의 배면(140)이 지지되는 지지 구조가 하우징(100)에 추가될 수 있게 됨으로써, 하우징(100)의 구조적 강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저면(110)의 후방 단부에 배치된 저면커버부(115)는, 배면플레이트(141)와 배면케이스(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하우징(100)의 저면(110) 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면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배면플레이트(141)와 배면케이스(1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저면(110)의 후방 단부에 배치된 저면커버부(115)와 결합되어 저면(110)과의 결합을 이룸으로써, 하우징(100)의 후방에 굳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가열부(600)가 배치된 공간과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된 공간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베이스(180)에는 연결홀(181)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연결홀(181)은, 제2가열부(600)가 배치된 공간과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된 공간, 즉 배면케이스(150)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과 베이스(180)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제2가열부(600)와 제2제어기판(700) 사이, 수신코일(620)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연결홀(181)은 베이스(180)의 측벽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180)에는 복수개의 연결홀(181)이 형성됨으로써 배면케이스(150)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과 베이스(180)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개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세세하게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베이스(180)와 배면케이스(150) 사이에는 복수개의 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틈을 통해서도 배면케이스(150)의 후방에 형성된 공간과 베이스(180)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하우징(10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하우징(100)의 저면(110)이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제공됨으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거나 그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빠져 제2가열부(600)의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둘째, 저면(110)이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하우징(100)의 제조가 이루어짐으로써,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그 외력에 의한 영향이 각 면들간의 연결 부위 전체로 분산될 수 있게 되므로, 좀 더 향상된 구조적 강성 및 측방향 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갖는 하우징(100)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셋째,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의해 지지되고, 하우징(110)의 배면이 베이스(180)에 의해 지지된 배면케이스(15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구조가 제공됨으로써, 하우징(100)의 구조적 강성이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넷째, 도어(300) 개방시 전방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측면커버부(135) 및 저면커버부(111)에 의해 덮이고, 이러한 측면커버부(135) 및 저면커버부(111)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및 저면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되므로, 조리기기 전면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8 및 도 59에는, 하우징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8 및 도 59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하나의 판재(20)가 절곡되어 저면(110)과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 및 배면(140) 모두가 형성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은, "ㅗ" 형상의 판재(20)의 왼쪽 돌출 부분과 오른쪽 돌출 부분을 각각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을 형성하고, 배후측 돌출 부분을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판재(20)는 장변과 단변을 갖는 사각 형상의 금속판의 장변방향 중심에 사각 형상의 금속판이 직교하는"ㅗ"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판재(20)에는, 금속판의 장변방향을 따라 2개의 제1절곡선(11)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절곡선(21)은, 판재(10)의 단변과 나란한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판재(20)에는, 금속판의 장변과 나란한 직선으로 형성되는 제2절곡선(23)도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절곡선(23)은, 두 개의 제1절곡선(2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판재(20)는, 제1절곡선(21)을 중심으로 “└┘”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3개의 면 중, 판재(20)의 장변방향 중심에 배치된 면이 저면(110)을 형성하고, 저면(110)을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절곡된 면이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판재(20)가 제2절곡선(23)을 중심으로 "ㄴ" 형상으로 절곡되어 판재(20)의 장변방향 중심에 배치된 면이 저면(110)을 형성하고, 저면(110)을 중심으로 절곡된 면이 배면(1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배면(140) 간의 이음새 없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방 및 상부에서 보았을 때 조리실(105) 내부의 이음새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되면서 조리실(105)의 내측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더욱 향상될 뿐 아니라, 조리실(105)의 내측면에 묻은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피가열물 하부에 배치되어 피가열물을 가열하는 가열부(600);
    상기 가열부(600)의 설치베이스(611)에 마련되는 센서설치부(680); 및
    상기 센서설치부(680)에 설치되고, 상기 피가열물의 저면과 접촉하여 상기 피가열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모듈(650);을 포함하는 조리기기로서,
    상기 센서설치부(680)는:
    상기 설치베이스(611)로부터 돌출되어 배치되는 안착상부면(682); 및
    상기 안착상부면(682)의 중앙부에 마련되고 상부로 개방된 제1중심홀(619);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650)은:
    상기 제1중심홀(619)에 수용되고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통부재(652)를 구비하는 모듈바디(651); 및
    상기 통부재(652)의 하부에서 반경 방향으로 외향 연장되는 키(653);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설치부(680)는:
    상기 제1중심홀(619)를 규정하는 내주벽(683);
    상기 내주벽(683)에 마련되고, 상기 키(653)와 간섭되어 상기 키(653)의 상하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플랜지; 및
    상기 내주벽(683)에 마련되고, 상기 키(653)와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키(653)를 상하방향으로 통과시키는 키홈(687);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서모듈(650)은 상기 모듈바디(651)를 상방으로 탄성 가세하는 스프링(678)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678)은 상기 제1중심홀(619)에 수용되는, 조리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통부재(652)의 상부에는 반경방향으로 외향 연장된 피스톤링(659)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678)은 상기 피스톤링(659)을 상방으로 탄성 가세하는, 조리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링(659)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내주벽(683)에 의해 상하 방향 이동이 안내되는, 조리기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내주벽(683)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내향 연장되는 내향플랜지(686)이고,
    상기 스프링(678)의 하부는 상기 내향플랜지(686)에 의해 지지되는, 조리기기.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부재(652)의 하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플랜지의 내주면에 의해 상하 방향 이동이 안내되고,
    상기 키홈(687)은 상기 플랜지에 구비되는, 조리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에는 상기 플랜지보다 더 하향 돌출된 이탈방지돌기(688)가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돌기(688)는 상기 키홈(687)의 원주방향 양측에 마련되는, 조리기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키(653)가 상기 키홈(687)을 통해 상기 플랜지보다 더 하부로 이동하기 전에는, 상기 키(653)가 상기 스프링(678)의 하부를 지지하고, 상기 키(653)가 상기 키홈(687)을 통해 상기 플랜지보다 더 하부로 이동한 후에는, 상기 플랜지가 상기 스프링(678)의 하부를 지지하는, 조리기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치베이스(611)의 하부에는 수신코일(620)이 설치되고,
    상기 설치베이스(611)와 상기 수신코일(620) 사이에는 전자기차폐판(630)이 개재되며,
    상기 수신코일(620)의 중앙부와 상기 전자기차폐판(630)의 중앙부에는, 각각 상기 센서모듈(650)을 수용하는 홀(929, 639)이 마련된, 조리기기.
PCT/KR2020/000541 2019-01-11 2020-01-10 조리기기 WO2020145763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22,148 US20220087473A1 (en) 2019-01-11 2020-01-10 Cooking appliance
EP20738829.9A EP3910242A4 (en) 2019-01-11 2020-01-10 COOK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169 2019-01-11
KR10-2019-0004169 2019-01-11
KR10-2019-0040378 2019-04-05
KR1020190040378A KR20200087650A (ko) 2019-01-11 2019-04-05 조리기기
KR1020190082347A KR102213630B1 (ko) 2019-07-08 2019-07-08 조리기기
KR10-2019-0082347 2019-07-08
KR1020190083495A KR20210007294A (ko) 2019-07-10 2019-07-10 조리기기
KR10-2019-0083495 2019-07-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5763A1 true WO2020145763A1 (ko) 2020-07-16

Family

ID=7152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0541 WO2020145763A1 (ko) 2019-01-11 2020-01-10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20087473A1 (ko)
WO (1) WO20201457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414B1 (ko) * 2019-01-11 202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20230263340A1 (en) * 2022-02-24 2023-08-24 Insync Products Group Ltd. Toaster oven system and method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692A (ko) * 2011-11-22 2013-05-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 온도센서 모듈의 높이 조절장치
KR20130128958A (ko) * 2012-05-18 201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쿡탑용 온도감지장치
KR101429655B1 (ko) 2013-03-18 2014-08-13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KR20140124106A (ko) 2013-04-16 2014-10-24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US20170142780A1 (en) * 2014-06-23 2017-05-18 Breville Pty Limited Multi Cooker
KR20180080462A (ko) * 2017-01-04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Wpt 구현 가능한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pfc 전력 변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4373A3 (de) * 1986-02-26 1988-03-02 E.G.O. Elektro-Geräte Blanc u. Fischer Kocheinheit mit Strahlheizkörper
EP2775785B1 (en) * 2013-03-08 2018-12-05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Induction hob
EP3082380B1 (en) * 2015-04-16 2020-04-08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aratus
US11293644B2 (en) * 2016-04-06 2022-04-0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ing cooker system, and cook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56692A (ko) * 2011-11-22 2013-05-30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가스레인지 온도센서 모듈의 높이 조절장치
KR20130128958A (ko) * 2012-05-18 201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쿡탑용 온도감지장치
KR101429655B1 (ko) 2013-03-18 2014-08-13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KR20140124106A (ko) 2013-04-16 2014-10-24 쿠쿠전자주식회사 인덕션레인지
US20170142780A1 (en) * 2014-06-23 2017-05-18 Breville Pty Limited Multi Cooker
KR20180080462A (ko) * 2017-01-04 2018-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Wpt 구현 가능한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 및 pfc 전력 변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087473A1 (en)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45765A1 (ko) 조리기기
WO2020145767A1 (ko) 조리기기
WO2020145761A1 (ko) 조리기기
EP3155323A1 (en) Oven
WO2020153826A1 (ko) 전기 주전자
WO2019045318A1 (en) HOUSEHOLD DEVICE
WO2020145717A1 (ko) 조리기기
WO2021107696A1 (en) Air conditioner
WO2018038371A1 (ko) 청소기
WO2020145763A1 (ko) 조리기기
WO2021172948A2 (ko) 냉장고
AU2019384866B2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EP3619384A1 (en) Home appliance
WO2020145766A1 (ko) 조리기기
WO2015190713A1 (en) Oven
WO2022265366A1 (ko) 조리기기
WO2022265365A1 (ko) 조리기기
WO2020190037A1 (ko) 전기 주전자
WO2021162151A1 (ko) 전기 주전자
WO2023149624A1 (ko) 조리기기
WO2023149625A1 (ko) 조리기기
WO2023249234A1 (ko) 조리기기
WO2023075477A1 (ko) 조리기기
WO2020101384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WO2023149622A1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388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73882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8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