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49622A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49622A1
WO2023149622A1 PCT/KR2022/017591 KR2022017591W WO2023149622A1 WO 2023149622 A1 WO2023149622 A1 WO 2023149622A1 KR 2022017591 W KR2022017591 W KR 2022017591W WO 2023149622 A1 WO2023149622 A1 WO 202314962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disposed
air guide
cooking appliance
contro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75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양재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4962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4962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oking appliance provided with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cooking chamber.
  • a cooking appliance is one of home appliances for cooking food and is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to cook foo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These cooking appliances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heat source or type used, and the type of fuel.
  • the cooking appliances When cooking applian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hape of a space in which plants are placed, the cooking appliances may be classified into open type cooking appliances and closed type cooking appliances.
  • Enclosed cooking appliances include ovens, microwave ovens, and the like.
  • open type cooking appliances include a cooktop, a hob, a griddle, and the like.
  • An enclosed cooking applianc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shields a space where food is located. Such an enclosed cooking appliance may cook food by heating the shielded space.
  • the cooking chamber is a space in which food is placed, and a space in which a cooking appliance is shielded while cooking food. Such a cooking chamber becomes a space in which food is actually cooked.
  • a door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a cooking chamber is rotatably provided.
  • the door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body by a door hinge provided between the door and the body having the cooking chamber therein.
  • the door may selectively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by rotating around a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through a door hinge.
  • a heat source may be provided to an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 the heat source is provided to heat the cooking chamber.
  • a gas burner or an electric heater may be used as such a heat source.
  • An electrical cabinet may be disposed above the cooking chamber. Electrical component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closed type cooking appliance may be provided in the electrical compartment. Such an electrical chamber is formed as a space separated from the cooking chamber.
  • a cooling fan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trol room to cool the control room.
  • the cooling fan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centrifugal fan such as a sirocco fan, and may be disposed biasedly at the rear of the control room.
  • the cooling fan sucks in air from the outside, introduces it into the inside of the control room, and forcibly discharges hot air inside the control room to the outside, thereby cooling the control room.
  • the body may include a cavity and a front panel.
  • the cavity forms the skeleton of the main body, and a cooking chamber may be formed inside the cavity.
  • the front panel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cavity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 the electrical compartment may be disposed above the cavity.
  • the front of the control room may be shielded by the front panel.
  •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may protrude above the cavity, and an upper region of the front panel disposed above the cavity may shield the front of the control room.
  • An exhaust port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anel.
  • the exhaust port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front pane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 Such an exhaust port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control roo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n the front panel.
  • the exhaust port is exposed toward the discharge passag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 at least a portion of the exhaust port may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exhaust passage. That is, at least a portion of the exhaust port may be exposed forward through a gap between the control panel and the door.
  • Air introduced into the control room by the cooling fan inside the control room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room through an exhaust port.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may be discharged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between the control panel and the door.
  • heat inside the cooking chamber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may be transferr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through the door.
  • a plurality of glasses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 a front glass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door and a rear glass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door may be installed in the door, and a plurality of middle glasses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ront glass and the rear glass.
  • Each intermediate glass may be provided with a radiant energy reflection coating for heat shielding.
  • Heat inside the cooking chamber is transferr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n to the front glass through the middle glass inside the door. Conducted heat can be shielded by the radiant energy reflection coating of the inner glass.
  • a discharge hole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door.
  • the discharge hole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top of the door in the vertical direction. Hot air inside the door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At the same time, cold air may be suck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into the door from which the hot air has escaped.
  • the door can be cooled by an air flow in which hot air inside the door is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door and cold air is introduced into the door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door.
  • the discharge hole is disposed at the top of the door.
  • the discharge hole disposed at the top of the door may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ssage. That is, the hot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and the hot ai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may merge in the discharge passage.
  • Hot air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control room through the exhaust port may pass through the exhaust passage, pass through an upper area of the exhaust hole, and the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During this process, a phenomenon in which hot air flowing inside the discharge passage flows backward into the door through the discharge hole may occur.
  • the oven 1 disclosed in Prior Document 1 includes a casing 10 in which a cooking chamber 20 is provided, and a door 30 that opens and closes an open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20.
  • a casing 10 in which a cooking chamber 20 is provided, and a door 30 that opens and closes an open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20.
  • the cooking chamber 20 is a cooking space formed by the top plate 21, the bottom plate 22, both side plates 23 and the rear plate 24.
  • Vario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oven 1 may be incorporated in a space between the outside of the cooking chamber 20 and the casing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battery chamber”).
  • a control panel 12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oven 1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asing 10 .
  • a cooling outlet 57 may be provided at a front side of the cooling passage 55 .
  •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cooling passage 55 may be discharged to the top of the door 30 through the cooling outlet 57 .
  • the cooling outlet 57 may be located behind the door 30 .
  • Prior Document 1 has the following problems.
  • Prior Document 1 the air passing through the cooling outlet 57 and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oor 30 are discharged to a space located in front of the cooling outlet 57 and above the door 30.
  • cooling outlet 57 is formed in a form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oven 1, a plurality of cooling guides 80 to be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oling outlet 57 must also be provided.
  • Prior Document 1 also discloses a pyrolytic cleaning function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this self-cleaning function.
  • the control unit 38 of Prior Document 1 may perform a washing mode in which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oking chamber 20 is raised to pyrolyze and remove foreign substances.
  • the pyrolytic cleaning may be performed in a form of burning and removing contaminants by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ooking chamber 20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using an electric heater 42 .
  •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20 is maintained at a very high temperature. Therefor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must be firmly closed while the self-cleaning operation is performed.
  •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and the driving unit and the latch may be connected by a link structure. While the door 30 is required to remain closed, the latch remains engaged with the door 30 . When the door 30 no longer needs to be kept closed, the state in which the latch is caught on the door 30 may be released.
  • the latch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oven 1, rotates forward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oven 1.
  • the latch may protrude while rotating forward to be caught on the door 30 and rotate backward to separate from the door 30 .
  • a locking groove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door 30, and the latch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from the top of the locking groove and caught on the door 30, and thus the door 30 may be locked by the door locking device.
  • the latch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ven 1 so that the latch can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oven 1 when necessary.
  • such a latch may be disposed above the door 30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locking groove provided at the top of the door 30 .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suppress back flow of air discharged from a control room into a do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suppress generation of vortexes when air discharged from a control room and air discharged from a door merge at an upper portion of a door.
  • an air guide is disposed in a gap between a door and a control panel, and the air guide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from the front side.
  •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by partiall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control panel.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ir guide is disposed in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control panel.
  • an air guide is disposed in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control panel, and the air guide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structure disposed at the same height as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control panel from the front sid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protrusion provided to fix the air guide to the control panel is disposed in a form covering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between the exhaust ports.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being less affected by high-temperature air discharged from the cooking appliance.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rotrus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 the air guide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cover protrus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 cover protrusion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ver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air guide toward the control panel and coupled with the control panel.
  •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inner cover protrusions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 the latch is expos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nel, and the outer cover protrusion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latch from the front side.
  • the outer cover protrusion preferably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latch from the front side between the control panel and the air guide.
  • the air guide is preferably disposed in a front space surrounded by the door, the front panel, and the control panel.
  • a door exhaust opening opening the inside of the door to the front space is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door facing the control panel.
  • the door exhaust outlet is disposed between the air guide and the front panel in the front-back direction.
  • an electrical compartmen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electrical compartment,
  • an exhaust port is formed on the front panel to open the inside of the electrical compartment to the front space.
  • the door exhaust port is disposed between the air guide and the exhaust port in the front-back direction.
  • a plurality of exhaust outlets are disposed sideway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front panel, and each of the inner cover protrusions is disposed between two adjacent exhaust outlets.
  •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and the cover protrusion are integrally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 the air guide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 the second half portion forms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 the door exhaust outlet is disposed below the top of the first half.
  • the air guide preferably divides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pace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 the lateral length of the air guide is preferably a length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of a lateral length of the control panel and a lateral length of the door.
  • the air guide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length of the air guid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length of the front space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door exhaust vent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deviate from the flow area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vent as much as possible,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a phenomenon in which the hot air discharged to the front space flows backward into the door. can do.
  • the air guide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pace in the front space, and the air guide is disposed on the exhaust flow path to diverge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exhaust flow path, thereby preventing vortex generation.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effectively suppresses the occurrence.
  • a part of the structures exposed through the front gap can be covered by an air guide providing a structure that crosses the front gap laterally and covers the front gap, so that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focuses the gaze toward the front gap of the cooking appliance on the air guide, thereby providing an optical illusion effect as if only the air guide exists in the front gap, thereby improving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more effectively.
  • the air guide is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gap so that the upper region of the front gap and the lower region of the front gap are symmetrical, so that the front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looks more stable and the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outer cover protrusion provided for fixing the air guide can cover a large and complicated structure such as a latch, so that the air guide can be stably fixed and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mproved. can provide.
  •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lowering the risk of thermal deformation of the inner cover projection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discharge of air through the exhaust port by disposing the inner cover projection at a position covering the partition wall partitioning the exhaust port from the front, In addition, an effect of improving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provided togeth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ir guid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so that the air guide disposed in a path through which high-temperature air is discharged is not easily deformed by heat and is not easily damaged by impact.
  • the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mproved through the metallic luster provided by the cooking applianc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suppressing vortex generation in the front space and an effect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by providing the air guide disposed biasedly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pace in the front spa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2 ;
  •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front panel shown in FIG. 2 in which it is separated;
  • FIG. 5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ntrol room shown in FIG. 2;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5 .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6 ;
  • FIGS. 8 and 9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door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front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door, control panel, and air guide shown in FIG. 10 .
  • FIG. 12 is an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door, control panel, and air guide shown in FIG. 10 .
  • FIG. 1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ir guide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ir guide shown in FIG. 13;
  • 15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in a state in which the air guide is excluded.
  • 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5 .
  • 17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front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7 .
  • 19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n air guide and a control panel.
  • FIG. 20 is a cross-sectio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state of the air guide and control panel shown in FIG. 19;
  • FIG.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air guide shown in FIG. 13;
  • FIG. 22 is a cross-sectional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n air guide and a control panel shown in FIG. 21;
  •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ir flow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23 ;
  • FIG. 2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24 ;
  • 2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oven.
  • FIG. 2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FIG. 26 .
  •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is installed based on the cente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defined as forward.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opening the door and entering the in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is backward.
  •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 the front may be referred to as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 the rear may be referred to as the other side of the first direction.
  • direction of gravity can be defined as downward,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s upward.
  •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a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viewing the cooking appliance from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door may be referred to as a left-right direction.
  •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 the right side can be said to be one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and the left side can be said to b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referred to as a lateral direction.
  • the right side can be said to be one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 the left side can be said to be the other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 the above-described vertic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third direction.
  • the upper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one side of the third direction
  • the lower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other side of the third direction.
  • the aforementioned vertical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direction.
  • it may be referred to as the horizontal direction including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that is,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 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2
  •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front panel shown in FIG. 2 in which it is separated.
  • the outer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by the body 100 .
  • the main body 100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cluding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strength in order to protect a plurality of parts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a cavity 110 .
  • the cavity 110 may form a skeleton of the main body 100 .
  • the main body 100 may further include a front panel 120 .
  • the front panel 1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cavity 110 to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 the front panel 120 may not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avity 1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10 may for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 the cavity 110 and the front panel 120 may be integrally formed on the main body 100 .
  • a cooking chamber 101 may be formed inside the cavity 110 .
  • An opening 126 opening the cooking chamber 101 forward may be formed inside the front panel 120 .
  • the cooking chamber 101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hexahedron with an open front. In a state where the cooking chamber 101 is shielded, the cooking appliance may cook food by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01 . That is, in the cooking appliance,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01 is a space in which food is actually cooked.
  •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cooking chamber 101 may be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 a convection unit 160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01 by convection of hot air may be provided as the heating unit at the rear of the cooking chamber 101 .
  • an upper heater 165 or an upper burner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01 from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1 may be provided as a heating unit.
  • a lower heater or lower burner for heating the inner space of the cooking chamber 101 from the lower side may be provided as a heating unit on the lower 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1 .
  • a door 150 that selectively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hamber 101 may be rotatably provided in front of the main body 100 .
  • the door 150 may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101 in a pull-down manner in which an upper end of the door 150 rotates up and down around the lower end.
  • the door 15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s a whole. Also, a handle 155 provided to be gripped when a user wants to rotate the door 150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150 .
  • a viewing window may be provided in the door 150 .
  • the viewing window may be implemented with a transparent material, such as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 the viewing window may need to be formed to withstand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and functions such as waterproofing and heat dissipation may also be required for the viewing window.
  • the control panel 200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on the upper front surface of the cavity 110 .
  • the control panel 200 may form part of the front ex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 a display may be provided on the control panel 200 .
  • the display may include an input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a display display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may be constituted by one panel.
  • the input unit and the display may be formed of a touch panel receiving a user's touch input.
  • the display may display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driving of the cooking appliance.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the display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3D display (3D display). display)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m.
  • the display When a display and a touch sensor for detecting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to form a touch screen, the display may be used as an input device as well as an output device.
  • the touch sensor may have a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or a touch pad.
  • such a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art of the display or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art of the display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 buttons may be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200 having such a display.
  • a knock-on button may be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200 to set a function for turning on/off the lamp 70 installed in the cooking chamber 101 by the user's knock input. there is.
  • a lamp button for setting a function of manually turning on/off the lamp may be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200 .
  • a self-cleaning button for setting a self-cleaning function of the cooking chamber 101 may be displayed on the control panel 200 .
  • An electrical cabinet 103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avity 110, more specifically, above the cavity 110.
  •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may be disposed above the cavity 110 and behind the control panel 200 . Inside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a space for installing electrical components may be formed.
  • the front of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may be shielded by the front panel 120 .
  • the front panel 1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avity 110 and the door 150 .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120 may be disposed to block the front of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
  • the exhaust port 12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from the left-right center of the front panel 120 to one end of the front panel 120 in the left-right direction.
  • the exhaust vent 12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eft-right center of the front panel 120 and the right side of the front panel 120 .
  • the door frame 151 forms the frame of the door 150 and may form the top, bottom and side exteriors of the door 150 .
  • the door frame 151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open front and rear surfaces.
  • a hinge that rotatably couples the door frame 151 to the main body 100 may be installed below the door frame 151 . These hinges are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door frame 151 and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door frame 151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door 150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glass 154 .
  • the door 15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a plurality of inner glasses 154 .
  • the inner glass 154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glass 153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glass 156
  • the door frame 151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glass 153 and the front side of the rear glass 156.
  • the front half 150a may be provided in a shape forming a plan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ertical axis.
  • the second half portion 150b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irst half portion 150a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forming an inclined surface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 the lower boundary surface of the control room 103 may be defined by the blocking plate unit 131 and the upper panel 130 disposed above the cavity 110 .
  • the upper boundary of the control room 103 may be defined by the control room cover 135 covering the control room 103 from the top.
  • control room 103 may be defined by both sides and the back of the control room cover 135, and both sides of the cavity 110 protruding to the upper side of the cooking compartment 101 and the control compartment cover ( 135) can be defined by the reverse side.
  • the upper panel 130 may include a blocking plate unit 131 and a duct unit 133 .
  • the blocking plate unit 131 may be disposed to block between the cavity 110 and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
  • the blocking plate portion 131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10 to define a lower boundary surface of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
  • the duct unit 133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locking plate unit 131 .
  • the duct unit 133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ir inside the control room 103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rol compartment 103 through the inside of the duct unit 133 . That is, the duct unit 133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ir sucked by the fan module 170 to be described later flows toward the exhaust port 122 .
  • a fan module 170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ntrol room 103.
  • the fan module 170 may be disposed at a side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cavity 110, that is,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rear side inside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 the fan module 170 may include a turbo fan installed inside the control room 103 .
  • the fan module 170 may suck in external air through the rear side of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and discharge it to the front side.
  •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from the rear and side sides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ntrol room 103 can move forward inside the control room 103 and cool the electric components inside the control room 103 .
  • Air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as described above may be sucked into the duct unit 133 by the fan module 170 .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unit 133 may move forward inside the duct unit 133 and then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control room 103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
  • a cooling passage 105 may be provided inside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
  • the cooling passage 105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ir sucked by the fan module 170 flows toward the exhaust port 122 .
  • a lower boundary surface of the cooling passage 105 may be defined by a blocking plate unit 131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0 and the control compartment cover 135 . Further, the top, side, and rear interfaces of the cooling passage 105 may be defined by the duct part 133 covering the cooling passage 105 from the top.
  • an air inlet hole 132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panel 131 .
  • the air inlet hole 13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cooling passage 105 .
  • the air inlet hole 131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blocking plate unit 131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air inlet hole 132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a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0 and the blocking plate unit 131 and the cooling passage 105 .
  • the air he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0 and the blocking plate unit 131 due to the heated cavity 110 is introduced into the cooling passage 105 through the air inlet hole 132, and then the exhaust port 122 Through the, it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0 and the blocking plate unit 131 may significantly affect the temperature of the control room 103 . Therefore, if the temperature of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0 and the blocking plate unit 131 can be lowered, the temperature of the control room 103 can also be effectively lowered.
  • the heat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10 and the blocking plate unit 13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inlet hole 132, thereby cooling the control room 103. to make this more effective.
  •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5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 a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20 .
  •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s 123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ront panel 120 .
  • Each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a lateral end of the front panel 120 .
  • each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may include a first protruding surface 123a and a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123a may protrude forward from a lateral end of the front panel 120 .
  •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may extend laterally from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123a.
  •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123a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 panel 120
  •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ront panel 120 .
  • the door 15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nel 120 may cover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101 .
  •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150 may cover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123a and the rear edge of the door 150 may cover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a to close the cooking chamber 101 .
  • the front glass 156 of the door 150 protrudes more laterally than the rest of the components of the door 150, that is, the door frame 151, the inner glass 154, and the rear glass 156. can be formed to
  • the sideward protruding part of the windshield 156 may cover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from the front, and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frame 151 may cover the first protruding surface 123a of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It can be covered from the lateral inner side.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member 125 .
  •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may be a protrus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panel 120 .
  • the reinforcing member 125 may be provided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 which is a protrusion extending from the front panel 120 .
  •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25 may be coupled to the front panel 120 , and the fron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25 may be coupled to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 More specifically, the fron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25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 the fron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25 may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 the front side of the reinforcing member 125 may come into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and be coupled with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 the reinforcing member 125 combined with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can firmly support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particularly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and enhance the strength of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stably supports the door 120 closing the cooking chamber 101 and can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the door 120 .
  •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boss 123c.
  • the fastening boss 123c may be formed to protrude backward from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and the reinforcing member 125 may be coupled by a fastening member such as a screw in a state in which they face each othe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a fastening member coupling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and the reinforcing member 125 may be stably supported on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by the fastening boss 123b.
  • the strength of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particularly the second protruding surface 123b, can be more effectively strengthened.
  • FIG. 8 and 9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oor locking devic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
  • a front space S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battlefield 103 .
  • the front space (S)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nel 120 .
  • the front space (S)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anel (200).
  • the front space (S) may be disposed above the door 150 that closes the cooking chamber 101 .
  • the front space (S) is illustrated as a space surrounded by the door 150, the front panel 120, and the control panel 200. That is, the front space S may be a space formed between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door 150 at the front side of the front panel 120 .
  • the front space S may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a gap between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door 150 .
  • an exhaust port 122 may be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front space (S). As described above, the exhaust port 122 may be formed on the front panel 120 . Air flowing forward while cooling the electrical components inside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may be discharged to the front space S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
  • a plurality of exhaust ports 122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panel 120 .
  • a plurality of exhaust outlets 122 may be disposed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 a partition 121 may be formed between the two exhaust vents 122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partition wall 121 may serve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front panel 120 by supporting the front panel 120 between two adjacent exhaust vents 122 .
  •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pace (S). As described above,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door 150 . Air flowing upward while cooling the door 150 inside the door 150 may be discharged to the front space S through the door exhaust port 152 .
  • a door locking device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
  • the door locking device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 Such a door locking device may include a latch 140 provided to be engaged with the door 150 and a latch driver 145 for actuating the latch 140 .
  • the latch driver 145 and the latch 140 may be connected by a link structure. While the door 150 is required to remain closed, the latch remains engaged with the door 150 . When the door 150 no longer needs to be kept closed, the state in which the latch 140 is caught on the door 150 may be released.
  • the latch 140 is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body 100, for example, the front side of the cavity 110 or the front panel 120, rotates forward and protrudes forward of the body 100.
  • the latch 140 rotates forward and protrudes forward to be caught on the door 150 (see FIG. 9), and rotates backward to be released from the door 150 (see FIG. 8).
  • a locking groove 151a may be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door 150 .
  • the locking groove 151a may be concavely formed from the top of the door frame 151 to the bottom.
  • the latch 140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151a from the top of the locking groove 151a and is caught on the door 150, and thus the door 150 can be locked by the door locking device.
  • the latch 140 may be installed to be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 so that the latch 140 protrudes forward toward the door 150 when necessary.
  • the latch 140 may be disposed above the door 150 so as to be able to enter and exit the locking groove 151a provided at the top of the door 150 .
  • the cooking appliance may provide a self-cleaning function.
  • self-cleaning contaminants can be burned and removed by heating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1 with a heating unit so that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1 is maintained at a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 the door locking device locks the door 150 while the latch 140 is caught on the door 150 during self-cleaning.
  • the latch 140 maintains a stat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100 in normal times, protrudes forward only during self-cleaning, and can fix the door 150 .
  • the latch 140 is disposed at a height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exhaust port 122 . According to this, the latch 1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door 150 and lower than the control panel 200 .
  • a latch hole 124 may be formed through the control panel 2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latch 140 may be installed to enter and exit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latch hole 124 .
  • the latch 140 may be ex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latch hole 124 and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latch hole 124 . At least a portion of the latch 140 disposed as described above is exposed to the front space S and may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a gap between the door 150 and the control panel 200 .
  • FIG.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front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door, control panel, and air guide shown in FIG. 10
  • FIG. 12 is FIG. 10 It is an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state of the door, control panel, and air guide shown in .
  • FIG. 1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n air gu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it is separated
  • FIG. 14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air guide shown in FIG. 13 .
  •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air guide 300 .
  •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oor 150 and the control panel 200. More specifically,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oor 150 and the control panel 200 while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120 .
  •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door 150, the front panel 120, and the control panel 200, that is, in the front space S.
  • the air guide 300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in a frame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lateral direction is very long compared to the length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air guide 30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air guide 300 will be referred to as “length”, the lateral length of the air guide 300 as “width”, and the vertical length of the air guide 300 as “thickness”. .
  • the air guide 300 may be formed in a frame shape with a width longer than the length and thickness and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length and width.
  • the vertical length of the air guide 300 may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front space (S).
  • the air guide 300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front space (S).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122 or the door exhaust port 152 flows forward in the front space (S) and can pass through the air guide 300, passing through the air guide 300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emitted as
  • the air guide 300 disposed in the front space (S) may div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front space (S)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 the lateral length, that is, the width, of the air guide 300 may b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ateral length of the front space (S).
  • the width of the air guide 300 may correspond to at least one of the lateral length of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lateral length of the door 150 .
  •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in the front space (S), and may be disposed in an area biased towards the front of the front space (S).
  • the air guide 300 may divide the front area of the front space S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anel 200 and coupled with the control panel 200 .
  •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air guide 300 .
  • the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may be form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ntrol panel 200 .
  • the air guide 300 may be coupled to the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200 .
  •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anel 200 in a form spaced apart from the control panel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plurality of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may be spaced apart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air guide 300 can be stably fixed to the lower side of the control panel 200 by being coupled with the plurality of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respectively.
  • the air guide 300 may include a guide body 310 and an extension 320.
  • the guide body 310 occupies most of the area of the air guide 300, and may form most of the outer appearance of the air guide 300.
  • the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may be coupled to the guide body 310 .
  • the length of the guide body 310 among the lengths of the air guide 300 may be set equal to or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
  • the guide body portion 310 may be formed to have a sufficient length required for engagement with the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
  • the extension part 320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guide body part 310 . This extension 320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a lateral direction from the guide body 310 .
  • the extension part 320 is not a part coupled to the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Therefore,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320 can be set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body part 310 .
  • the extension part 32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length of the extension part 320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guide body part 310, the overall size and weight of the air guide 300 may not be unnecessarily increased.
  • the extension part 320 may be disposed biased toward the front side on the air guide 300 .
  • the guide body portion 310 and the extension portion 320 may be conn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320 and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guide body portion 310 are disposed on the same line. .
  • the appearance of the air guide 300 seen from the front can be formed in a smooth continuous form.
  • extension part 3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protruding surface part 123 .
  •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123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side end of the front panel 120 .
  • the extension part 320 disposed in front of the protruding surface part 123 is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guide body part 310 as described above and is biased toward the front side on the air guide 300, so that the protruding surface part 123 ) to avoid interference.
  • the extension part 320 formed in the above shape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aesthetics of the air guide 300 seen from the front while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protruding surface part 123, and the size and weight of the air guide 300 The effect of preventing this unnecessary increase can be provided together.
  • FIG. 15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in a state in which the air guide is excluded
  • FIG. 16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5
  • 17 is a front view showing a part of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7 .
  • a portion of the front panel 120 may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front gap.
  • the plurality of exhaust vents 122 provided in the control panel 200 may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front gap.
  • the partition walls 121 disposed between the exhaust ports 122 may als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front gap.
  • a part disposed behind the exhaust port 122 among various electric components disposed in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may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front gap.
  • the door locking device may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front gap.
  • the latch 140 may be exposed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front gap.
  • a portion of the latch driving unit 145 may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ogether with the latch 140 through the front gap.
  • the above items When the above items ar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ey may adversely affect the front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the shapes formed on the front panel 120, such as the exhaust port 122 and the bulkhead 121, the structure having a complex shape, such as the latch 140, and the electrical components expos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affect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a factor that harms
  • an air guide 300 may be provided in the cooking appliance.
  •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in the front gap.
  •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between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door 150, and is provided to cover parts of the front panel 120, the latch 140, and electrical components from the front.
  • the air guide 300 covers a part of the front gap between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door 150, and thus the front panel 120 and the latch 140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front gap. ), electrical components, etc. may be covered by the air guide 300.
  • the area covered by the air guide 300 may be expanded. As the area covered by the air guide 300 expands,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improve, but it becomes difficult to exhaust the cooking appliance forward through the front space S (see FIG. 3).
  • the area covered by the air guide 300 may decrease.
  •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decreases, but instead, exhaust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front space S can be more smoothly performed.
  • the thickness of the air guide 300 is set to the thickest within a range that enables smooth exhaust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front space (S).
  •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effectively improved while maintaining the exhaust efficiency through the front gap above a certain level.
  • a portion of the area expos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front gap is covered by the air guide 300, so that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mproved.
  •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in the front gap, and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front g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between the door 150 that closes the cooking chamber and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air guide 300 and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air guide 300 and the door 15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m is set to be the sa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entral position").
  • the air guide 300 can form a structure that covers the front gap at the center of the front ga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t the center position.
  • the air guide 300 allows the upper region of the front gap and the lower region of the front gap to be symmetrical around the air guide 300, so that the front shape of the cooking appliance looks more stable. , Through this, i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air guide 300 may be coupled to the control panel 200 by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may include an outer cover protrusion 210 .
  •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may be provided in a form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200 .
  •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may be coupled to the air guide 300 at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panel 200 . Due to the coupling between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and the air guide 300, the air guide 30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n be coupled to the control panel 200.
  •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in a central posi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atch 140 from the front side.
  •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200 toward the lower side, and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latch 140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form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200 to a central position. Also, the width of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may be set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latch 140 .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may cover the upper half of the latch 140 exposed through the front gap from the front. The lower half of the latch 140 may be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air guide 300 .
  • the shape of the side of the latch 140 may be set to a substantially "L" shape.
  • the latch 140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n upper end thereof protrudes forward. Accordingly,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upper half of the latch 140 has a more complex shape than the lower half of the latch 140 .
  •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ntrol panel 200 by a length required to be coupled with the air guide 300, while protruding from the control panel 200 by a length required to cover the upper half of the latch 140. can be formed to
  •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only protrudes as long as it can cover the upper half of the latch 140 while fixing the air guide 300 to the central position, and does not protrude any longer.
  •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does not protrude unnecessarily long and protrudes as long as it can cover the upper half of the latch 140 while fixing the air guide 300 in the central position.
  •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preferentially covers the upper half of the latch 140, which is a part that can greatly affect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also arranges the air guide 300 in a central position. However, it can contribute to effectively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in the front gap,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mor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front gap.
  • the air guide 300 should be placed at the above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The guide 300 can be better identified.
  • the air guide 300 must be placed at a position where the air guide 300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so that the aesthetics provided by the air guide 300 can be expressed more effectively.
  •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at a position more incline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gap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orm a sense of aesthetics.
  •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covers the latch 140 and may cover a wider area than the upper half of the latch 140 . In this way, a larger portion of the latch 140 is covered by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so that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mproved more effectively.
  • the latch 140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100 in the lateral direction.
  • one latch 1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in a lateral direction.
  • the latch 1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more biased toward one lateral side of the main body 100 than the exhaust port 122 .
  • a pair of outer cover protrusions 21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air guide 300 .
  • the pair of outer cover protrusions 210 may be disposed symmetrically about the lateral center of the cooking chamber, that is, about the lateral center of the main body 100.
  • One of the pair of outer cover protrusions 21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latch 140 to cover the upper half of the latch 140 from the front.
  •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outer cover protrusions 210 is not disposed in front of the latch 140 .
  • the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may include an inner cover protrusion 220 .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may be provided in a form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200 .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may be coupled to the air guide 300 at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panel 200 . Due to the coupling between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and the air guide 300, the air guide 30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can be coupled to the control panel 200.
  •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in a central posi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21 from the front side.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protrudes from the lower end of the control panel 200 toward the lower side, and may protrude from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21 in the vertical direction.
  •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21 is covered by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arrang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when viewed from the front, at least a portion of the partition wall 121 is hidden by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and is not visible.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disposed as described abov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outer cover protrusions 210 .
  •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may be disposed at the outermost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m.
  • the air guide 300 is combined with the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at multiple points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can be stably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rol panel 200.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may contribute to stably fixing the air guide 300 by increasing a coupling point between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air guide 300 .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is disposed at a position capable of covering the partition wall 121 from the front, so that the number of vertical structures exposed through the front gap is not increased.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may be disposed in a form in which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covers the partition wall 121, which is a longitudinal structure that is exposed anyway through the front gap.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number of longitudinal structures exposed through the front gap is not increased.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disposed as described above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avoiding the exhaust port 122 .
  • the exhaust port 122 forms a passage necessary for the air in the electrical compartment 250 (see FIG. 3) to be discharged to the front space S.
  • Air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by the fan 260 is heat-exchanged inside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and can cool electrical components and the like.
  • the air heat-exchanged inside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may be discharged to the front space S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in a high-temperature state.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if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is constantly exposed to high-temperatur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thermal deformation of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occurs. risk of becoming may increase.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is disposed at a position avoiding the exhaust port 122, that is, in front of the partition wall 121 instead of in front of the exhaust port 122.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at a position to cover the exhaust port 122 from the front, so that there is a risk of thermal deformation of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discharge of air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It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to lower the cooking appliance and at a position to improve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air guide 300 covers a part of other rear structures and at the same time focuses the eyes looking at the front gap to the air guide 300, so that an optical illusion effect as if only the air guide 300 exists in the front gap to be provided
  • the air guide 300 can contribute to effectively improving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outer cover protrusion 210 provided for fixing the air guide 300 is appropriately set to the front of the latch 140, thereby stably fixing the air guide 300 and improving the front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it can be done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is disposed at a position to cover the partition wall 121 partitioning between the exhaust port 122 and the exhaust port 122 from the front, so that the inner cover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discharge of air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 the air guide 3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 the air guide 3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a unique metallic luster.
  • the air guide 300 is not easily deformed by high-temperature heat, is not easily damaged by impact, and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its metallic luster.
  • the air guide 300 is placed in a path through which hot air is discharged, that it is placed in a conspicuous position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that it is placed in a position where contact with the user can occur frequently .
  • the air guide 30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 the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may be coupled to the guide body 310 .
  • a hollow is formed in each of the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and a fasten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guide body 31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over protrusions 210 and 220 and the guide body 310 may be coupled by a fastening member 201 such as a screw.
  • the cover protrusions 330 and 340 may be included in the air guide 300a.
  • the cover protrusions 330 and 34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ir guide 300a.
  • a combination of the cover protrusions 330 and 340 and the air guide 300a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f a metal material.
  • the combination of the cover protrusions 330 and 340 and the air guide 300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having excellent heat resistance and a unique metallic luster.
  • cover protrusions 330 and 340 are formed integrally with the air guide 300a with a metal material, the cover protrusions 330 and 340 may not be easily deformed even in high temperature heat.
  • both the cover protrusions 330 and 340 and the air guide 300a which occupy most of the structures exposed through the front gap, are formed of a metallic material having a metallic luster, the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more effectively improved.
  • FIG. 2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ir flow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4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23
  • FIG. 25 is an enlarged view of FIG. 24 It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illustrated cooking appliance by enlarging it.
  • outside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from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in this way moves forward inside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and can cool electrical components inside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
  • outside air may flow into the cooking appliance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
  • External air introduced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0 passes through the space at the rear of the cooking appliance where the convection unit 160, etc. are disposed, and various parts disposed in the rea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for example, the convection unit 160 ) can be cooled, such as a motor for driving.
  • the air passing through the rear space of the cooking appliance and moving upward can move toward the control room 103 through the space covered by the control room cover 135 between the rear space of the cooking device and the control room 103. there is.
  • Air that has moved into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may be sucked in by the fan module 170 and introduced into the cooling passage 105 . Air introduced into the cooling passage 105 may move forward inside the cooling passage 105 and cool electric components inside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
  • the air moved forward from the inside of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may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electrical compartment 103, that is, to the front space S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 the air inside the door 150 heated by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cooking chamber 101 during the cooking process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150 through the door exhaust vent 152 provided at the top of the door 150.
  • the heated door 150 may be cooled by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cooking chamber 101 to the door 150 .
  • air that cools the door 150 and rises inside the door 150 may be discharged to the front space S through the door exhaust port 152 . That i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and the air exhausted through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merge in the front space S and be discharged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front space (S) is a space surrounded by the door 150, the front panel 120, and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air guide 300 can be disposed in this front space (S). .
  • the exhaust port 122 may communicate with the front space S at the rear side of the front space S, and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communicate with the front space S at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pace S. And, the front space (S) may be opened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ir guide 300 and the front panel 120 . Specifically,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exhaust port 122 . That is,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ir guide 300 and the exhaust port 122.
  •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disposed below the air guide 300 and the exhaust port 122 .
  • the door exhaust port 152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door 150 and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half 150b.
  • the door exhaust port 152 is disposed at a rearward biased position on the door 150, and may be disposed at a lower side than the top of the door 150 formed by the front half 150a.
  • the door exhaust vent 152 is disposed on the door 150 at a position that can be most adjacent to the exhaust vent 122 in the front-back direction. .
  • the door exhaust port 152 is disposed in the first half portion 150a of the door 150 instead of the second half portion 150b, the hot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flows into the door 150 through the door exhaust port 152. The likelihood of regurgitation increases.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is gradually diffused in the front space (S) and moves forward in the front space (S). That i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spreads not onl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ut also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moves forward in the front space (S).
  • the door exhaust port 152 is located at the front side in the front space S, the higher the possibility that the air exhaust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flows into the door exhaust port 152. In this way, when the hot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flows backward into the door 150 through the door exhaust port 152, the door 150 cannot be cooled smoothly and flows into the front space (S). It becomes difficult for the generated heat to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door exhaust port 152 is disposed in the second half 150b of the door 150, and thereby positioned at a position most adjacent to the exhaust port 122 on the door 150 in the front-back direction.
  • a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disposed.
  • the door exhaust port 152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can be maximally out of the flow area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among selectabl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s within the door 150 .
  • the door exhaust port 152 is disposed in the second half portion 150b, so that it may be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oor 150 formed by the first portion 150a rather than at the top. That is,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farther downward from the flow area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
  •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deviate as far as possible from the flow area of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
  • the door exhaust port 152 disposed in this way may contribute to preventing the hot air discharged to the front space S from flowing backward into the door 150 .
  •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not be disposed below the air guide 300 in the vertical direction, but may be disposed rearward of the air guide 300. Accordingly,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door exhaust port 152 can smoothly flow toward the front space S without being hindered by the air guide 300 .
  •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disposed between the air guide 300 and the front panel 120. That is,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exhaust port 122 and the door exhaust port 152.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s the front side in the front space (S).
  • the air guide 300 arranged in this way can guide the flow of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vent 122 and the door exhaust vent 152 to the front space S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pace S.
  • air discharged to the front space (S) from the exhaust port 122 and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discharg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converging in the front space (S).
  •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in a flow path of air discharged from the front space S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exhaust passage”).
  • the air guide 300 arranged in this way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rame having a longer width than the length and thickness and a thin thickness compared to the length and width.
  • the air guide 300 disposed at the central position of the front gap may b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ront space S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on the exhaust flow path to divide the exhaust flow path into upper and lower parts.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ront space S through the exhaust port 122 and the door exhaust port 152 is branched up and down through the upper and lower exhaust passages and flows forward.
  •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pace S, and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assage is branched up and down by the air guide 300. do.
  • the air guide 30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pace S in the front space S is disposed on the exhaust passage and diverges the flow of air flowing through the exhaust passage, so that the front space 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generation of vortices within.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provided to fix the air guide 300 to the control panel 2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xhaust vent 122 and the exhaust vent 122 .
  • the inner cover protrusion 220 disposed in this way covers the partition 121 from the front of the partition 121 so that it is not visible,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exhaust port 122, so that the cover projections 210 and 220 or the air guide ( 300) can effectively lower the passage resistance.
  • the front end 301 of the air guide 30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pace S in the front space S has upper and lower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windshield 153 of the door 150. It can be arranged at a position overlapping in the direction.
  • the front end 301 of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rear end of the windshield 152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at a position more forward than the rear end of the windshield 152. can be placed.
  •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front in the front space S, the flow of air flowing toward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in the front space S is more reduced by the air guide 300. can be guided effectively.
  •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the air guide 300 can be seen from the out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s described above, the aesthetics provided by the air guide 300 can be expressed more effectively.
  •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door do not allow condensed water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control panel 200 to fall on the door 150. (150) can be blocked between them.
  • the rear end 303 of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forward of the door exhaust port 152 in the front-back direction.
  • a passage having a sufficient height for the air inside the door 150 to be discharged to the front space S through the door exhaust port 152 may be formed.
  • the air discharged from the door exhaust port 152 is sufficiently mixed with the air discharged from the exhaust port 112 in the front space S, and then can pass through the air guide 300 arrangement section.
  • the air guide 300 when the rear end 300 of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at the above position, the air guide 300 does not become an obstacle disposed vertically above the door exhaust port 152. Due to the air guide 300, flow resistance around the door exhaust port 152 can be effectively reduced.
  • the rear end 303 of the air guide 300 may be disposed forward than the rear end 150b of the door 150 in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front end 301 of the air guide 300 is disposed at a position coincident with at least one of the front end of the control panel 200 and the front end of the door 150 in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front end 301 of the air guide 300 and the lower front corner of the control panel 20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 the front end 301 of the air guide 300 and the front upper edge of the door 150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 the air guide 300 is arranged in this way, the positions of the control panel 200, the air guide 300, and the door 150 are aligned, and the exterior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seen in a more balanced way,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This could be improved a bit more.
  • the arrangement of the air guide 300 to improve the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is possible because the air guide 300 is biased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pace S within the front space S.
  • the air guide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disposed biasedly on the front side of the front space S in the front space S, thereby suppressing vortex generation in the front space S and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It can provide an enhancing effect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에 에어가이드가 배치되고, 이와 같이 배치된 에어가이드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과 동일 높이에 배치된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실을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마련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조리기기를 분류하여 보면, 조리기기는 개방형 조리기기와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다. 그리고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Cooktop), 호브(Hob), 그리들(Griddle)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는 조리기기이다. 이러한 밀폐형 조리기기는,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의 내부에는, 조리실이 제공된다. 조리실은,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이며, 조리기기가 음식물을 요리할 때 차폐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는,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될 수 있다. 열원은, 조리실을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열원으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조리실의 상부에는, 전장실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장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장실은, 조리실과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전장실의 내부에는, 전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이 구비될 수 있다. 냉각팬은, 시로코팬과 같은 원심형 팬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장실의 후방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팬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장실 내부로 유입시키고, 전장실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킴으로써, 전장실을 냉각할 수 있다.
본체는, 캐비티 및 전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는 본체의 골격을 형성하며, 이 캐비티의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패널은, 캐비티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장실은,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실의 전면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예컨대, 전면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이 캐비티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된 전면패널의 상부 영역이 전장실의 전면을 차폐할 수 있다.
전면패널에는, 배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구는, 전면패널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구는, 전장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전면패널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배기구는, 전장실의 전면, 즉 전면패널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구의 전방측에는, 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의 전방측에는 컨트롤패널 및 도어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에는, 소정 높이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의 틈에 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는, 배출유로 측으로 노출되며 배출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은, 이러한 배출유로를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은,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의 틈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전장실 내부의 냉각팬에 의해 전장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구를 통해 전장실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의 배출유로를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조리 과정 중 발생되는 조리실 내부의 열은 도어를 통해서 도어 외측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열을 차폐하기 위해, 도어에는 복수개의 글라스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에는 도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프런트 글라스 및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리어 글라스가 설치될 수 있으며, 프런트 글라스와 리어 글라스 사이에는 복수개의 중간 글라스가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중간 글라스는, 열 차폐를 위한 복사에너지 반사 코팅이 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조리실 내부의 열은, 도어의 내측면에 전달된 후 도어 내부의 중간 글라스를 통해 프런트 글라스로 전달되는데, 상기 내부 글라스의 복사에너지 반사 코팅에 의해 전도열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상단에는, 배출홀이 마련될 수 있다. 배출홀은, 도어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홀을 통해, 도어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배출유로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뜨거운 공기가 빠져 나간 도어 내부로 차가운 공기가 도어의 하부로 흡입될 수 있다.
즉 도어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도어의 상부로 배출되고 차가운 공기가 도어의 하부를 통해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기 흐름에 의해, 도어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홀은 도어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처럼 도어의 상단에 배치된 배출홀은, 배출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와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배출유로에서 합류할 수 있다.
전장실 내부로부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는, 배출유로를 통과하되, 배출홀의 상부 영역을 통과한 후,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배출유로 내부를 유동하는 뜨거운 공기가 배출홀을 통해 도어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전장실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배출홀을 통해 도어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역류가 발생되면, 도어 내부로의 냉기 유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에 따라 도어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선행문헌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0016호)에는, 오븐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 개시된 오븐(1)은,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이 마련되는 케이싱(10), 및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20)은 상면판(21), 바닥판(22), 양 측면판(23) 및 후면판(24)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공간이다. 조리실(20) 외부와 케이싱(10) 사이의 공간(이하, "전장실"이라 한다)에는, 오븐(1)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상단부에는, 오븐(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2)이 설치될 수 있다.
상면판(21) 외측에는, 냉각팬(50)이 설치될 수 있다. 냉각팬(50)은 케이싱(10)의 후면판(11) 등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전장실 내부로 유입시킨 후, 전장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전장실의 내부에는, 냉각유로(55)가 마련될 수 있다. 냉각유로(55)는, 냉각팬(5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오븐(1)의 전면을 향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냉각유로(55)의 전방측에는, 냉각토출구(57)가 마련될 수 있다. 냉각유로(55)를 통과한 공기는, 냉각토출구(57)를 통해 도어(30)의 상부로 토출될 수 있다. 냉각토출구(57)는, 도어(3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냉각토출구(57)의 전방측 단부에는, 냉각가이드(80)가 설치될 수 있다. 냉각가이드(80)는, 냉각토출구(57)의 폭을 좁힐 수 있게 구부러진 브라켓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가이드(80)로 인해 폭이 좁아진 냉각토출구(57)에서는, 냉각토출구(57)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토출구(57)를 통과하는 공기는 빠른 속도로 오븐(1)의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냉각토출구(57)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그 주변의 공기가 냉각토출구(57) 주변으로 모이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토출구(57) 주변의 공기가 도어(30)의 상부로 모이는 힘에 의해, 도어(30) 내부 공기의 도어(30)의 상부로의 배출이 유도될 수 있다.
선행문헌1은, 이와 같이 유도되는 도어(30) 내부 공기의 배출 유도에 의해, 도어(30) 내부로의 냉기 유입은 활성화되고, 냉각토출구(5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도어(30) 내부로의 역류는 억제될 수 있다는 효과를 제시한다.
그러나 선행문헌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에 따르면, 냉각토출구(57)를 통과한 공기와 도어(30)에서 배출된 공기는 냉각토출구(57)의 전방 및 도어(30)의 상부에 위치한 공간으로 배출된다.
즉 냉각토출구(57)를 통해 배출된 공기와 도어(30)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가 한 공간에서 합류하면서 해당 공간 내에서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류가 발생함에 따라, 냉각토출구(57)를 통과한 공기와 도어(30)에서 배출된 공기가 오븐(1)의 외부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될 수 있고, 해당 공간 내의 공기가 도어(30)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장실 내부에 대한 냉각, 도어(30) 내부에 대한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선행문헌1에서는, 냉각토출구(57)의 하부를 따라 냉각가이드(80) 또한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어지고, 냉각가이드(80)는 냉각토출구(57)의 하부에 고정된다.
만약 냉각토출구(57)가 오븐(1)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된다면, 이 냉각토출구(57)의 하부에 고정되어야 하는 냉각가이드(80) 또한 복수개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 경우, 냉각가이드(80)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조립 공수 및 부품 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냉각토출구(57)가 오븐(1)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제공된다면, 즉 오븐(1)에 하나의 긴 냉각토출구(57)만이 형성된다면, 그만큼 케이싱(1) 전면의 강도가 약해질 수 밖에 없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육류 또는 육류가 함유된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경우, 음식물로부터 지방(Fat) 또는 오일(Oil) 등 유분이 조리실의 내부를 부유하다가 조리실의 벽면에 부착되어 조리실의 내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렇게 조리실의 벽면에 부착(점착)된 유분은, 소위 폴리머라이제이션(Polymerization: 중합(반응))화되어 딱딱하게 고착되어 청소(제거)가 곤란한 상태로 된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조리기기 중에는, 상기와 같은 유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셀프 클리닝 기능이 탑재된 것이 있다.
조리기기의 셀프 클리닝 기능은, 조리실의 벽면에 부착(점착)된 유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기능이다.
조리기기에서의 셀프 클리닝은, 유분 등 오염물질이 조리실의 벽면에 부착될 경우, 버너나 히터와 같은 열원으로 조리실의 내부를 가열하여 조리실 내부의 온도가 고온으로 장시간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질을 태워서 제거하는 소위 파이로리시스(Pyrolysis)라고 하는 열분해 방법을 이용한 형태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1에도, 이와 같은 셀프 클리닝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인 열분해 세척 기능이 개시된다. 이에 따르면, 선행문헌1의 제어유닛(38)은 조리실(20) 내부의 온도를 높여 이물질을 열분해하여 제거하는 세척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열분해 세척은, 전기히터(42)를 이용하여 조리실(20) 내부 온도를 고온으로 장시간 유지하여 오염물질들을 태워서 제거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분해 세척이 진행될 때에는 조리실(20)의 내부가 매우 고온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셀프 클리닝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조리기기의 도어는 굳게 닫혀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오븐(1)에는 도어잠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잠금장치는, 오븐(1)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어(30)에 걸림 가능하게 구비되는 래치 및 래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동부와 래치는 링크 구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어(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동안, 래치는 도어(3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더 이상 도어(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될 때, 래치가 도어(30)에 걸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래치는, 오븐(1)의 전면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회전하며 오븐(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는, 전방으로 회전하며 돌출되어 도어(30)에 걸리고, 후방으로 회전하며 도어(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어(30)의 상단에는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으며, 래치는 걸림홈의 상부로부터 걸림홈에 삽입되며 도어(30)에 걸리고, 이에 따라 도어(30)가 도어잠금장치에 의해 잠길 수 있다.
필요시 래치가 오븐(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래치는 오븐(1)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래치는, 도어(30)의 상단에 마련된 걸림홈을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30)보다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행문헌1에서, 래치가 상기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면, 도어(30)가 조리실(20)을 개방했을 때는 물론 도어(30)가 조리실(20)을 닫은 상태에서도 래치가 오븐(1)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즉 도어(30)보다 상부에 배치된 래치가 도어(30)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을 통해 오븐(1)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이는 오븐(1)의 미관을 저하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장실에서 배출된 공기가 도어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장실에서 배출된 공기와 도어에서 배출된 공기가 도어 상부에서 합류하면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잠금장치의 래치 등과 같이 컨트롤패널과 도어 틈 사이로 노출되는 구조물에 의해 조리기기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기기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도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류 발생 억제라는 목적 및 조리기기의 미관 향상이라는 목적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에 에어가이드가 배치되고, 이 에어가이드는 프런트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을 일정 부분 가림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에 에어가이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컨트롤패널과 프런트패널과 도어로 둘러싸인 전방공간이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고, 이 전방공간 내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가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에 에어가이드가 배치되고, 이 에어가이드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과 동일 높이에 배치된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에 마련된 도어배기구가 배기구와 에어가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장실에서 배출된 공기가 도어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배기구가 도어의 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분되고, 도어배기구는 전반부의 후방에 배치된 후반부에 배치되며, 도어배기구는 전반부의 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과 동일 높이에 배치된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이 에어가이드를 컨트롤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커버돌기에 의해 가려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에어가이드를 컨트롤패널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 커버돌기가 배기구와 배기구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을 덮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도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컨트롤패널과 프런트패널과 도어로 둘러싸인 전방공간이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고, 에어가이드는 전방공간 내에서 전방공간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와류 발생을 억제하면서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전방측이 개방된 조리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캐비티 및 상기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과;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캐비티와 상기 컨트롤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프런트패널; 및 상기 프런트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리며 상기 도어와 상기 컨트롤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커버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돌기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커버돌기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복수개의 상기 커버돌기와 각각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돌기는,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에어가이드로부터 상기 컨트롤패널을 향해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컨트롤패널과 결합되는 커버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과 이격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내측커버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런트패널에는 복수개의 배기구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배기구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격벽의 전방에 상기 내측커버돌기가 각각 배치되어 상기 격벽을 전방측에서 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캐비티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래치, 및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외측커버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프런트패널의 전방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외측커버돌기가 상기 래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실을 폐쇄한 도어와 상기 컨트롤패널 사이의 상하방향 중앙 위치에 상기 에어가이드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측커버돌기는, 상기 컨트롤패널과 상기 에어가이드 사이에서 상기 래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외측커버돌기가 상기 조리실의 측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외측커버돌기 사이에 상기 내측커버돌기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도어와 상기 프런트패널 및 상기 컨트롤패널로 둘러싸인 전방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과 마주보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는, 상기 도어 내부를 상기 전방공간으로 개방하는 도어배기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후방향에 대해서, 상기 도어배기구가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프런트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는 전장실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전장실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런트패널에는 상기 전장실 내부를 상기 전방공간 측으로 개방하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후방향에 대해서, 상기 도어배기구가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런트패널에는 복수개의 상기 배기구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내측커버돌기는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 및 상기 커버돌기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분되고, 상기 도어배기구는 상기 전반부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후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반부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배기구는, 상기 전반부의 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전방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의 측방향 길이는, 상기 컨트롤패널의 측방향 길이와 상기 도어의 측방향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하방향 길이보다 전후방향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전방공간의 상하방향 길이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영역에서 최대한 벗어날 수 있는 위치에 도어배기구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전방공간으로 배출된 뜨거운 공기가 도어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가 전방공간 내에서 전방공간의 전방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이 에어가이드가 배기유로 상에 배치되어 배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분기시키도록 함으로써, 와류 발생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틈을 통해 노출되던 구조물들의 일부분이 전방 틈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전방 틈을 가리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에어가이드에 가려지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전방 틈을 바라보는 시선이 에어가이드로 집중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전방 틈에 에어가이드만이 존재하는 것 같은 착시 효과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이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가 전방 틈의 중앙위치에 배치되어 전방 틈의 상부 영역과 전방 틈의 하부 영역이 대칭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외관이 좀 더 안정적으로 보이도록 하며 조리기기의 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의 고정을 위해 마련되는 외측커버돌기가 래치와 같은 크고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을 가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가이드의 안정적인 고정과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 향상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커버돌기가 배기구와 배기구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을 전방에서 덮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구를 통한 공기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내측커버돌기의 열 변형 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된 에어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고온의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가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에어가이드에 의해 제공되는 금속 광택을 통해 조리기기의 미관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공간 내에서 전방공간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된 에어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전방공간 내에서 와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와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런트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장실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잠금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어와 컨트롤패널 및 에어가이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도어와 컨트롤패널 및 에어가이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에어가이드가 제외된 상태에서의 조리기기의 전면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전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7은 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전면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전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9는 에어가이드와 컨트롤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와 컨트롤패널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1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와 컨트롤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6은 종래 오븐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7은 도 26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런트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캐비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10)는, 본체(1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프런트패널(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120)은, 캐비티(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런트패널(120)이 캐비티(110)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캐비티(110)의 전면이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캐비티(110)와 프런트패널(120)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본체(100)에 마련될 수 있다.
캐비티(110)의 내부에는 조리실(10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패널(120)의 내부에는, 조리실(101)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0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10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기기는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기기에는, 조리실(101)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의 일례로서, 조리실(10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160)가 상기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01)의 상측에는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165) 또는 상부버너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101)의 하측에도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 또는 하부버너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체(100)의 전방에는, 조리실(1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5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15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10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5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5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5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 핸들(155)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0)에는 투시창이 마련될 수 있다. 투시창은 투명한 재질, 예컨대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투시창이 적용되는 조리기기에 따라, 투시창이 고온,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투시창에 방수, 방열 등의 기능도 필요할 수도 있다.
조리기기의 전면 상부, 즉 캐비티(110)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패널(20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은, 조리기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200)에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부 및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패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터치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조리기기의 구동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컨대,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컨트롤패널(200)에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패널(200)에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조리실(101)에 설치된 램프(70)의 온/오프가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노크온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200)에는, 램프를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램프 버튼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기기가 오븐인 경우, 컨트롤패널(200)에는 조리실(101)의 셀프 클리닝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셀프 클리닝 버튼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캐비티(110)의 외부, 좀 더 구체적으로 캐비티(110)의 상부에는, 전장실(103)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103)은, 캐비티(110)의 상부 및 컨트롤패널(200)의 배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103)의 내부에는, 전장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103)의 전면은, 프런트패널(1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프런트패널(120)은, 캐비티(110)와 도어(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런트패널(120)은, 적어도 일부분이 전장실(103)의 전방을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실(101)의 상부에 배치된 프런트패널(120)의 상부 영역이 전장실(103)의 전면을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프런트패널(120)은, 캐비티(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전장실(103)의 전방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120)에는, 배기구(122)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구(122)는, 프런트패널(12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구(122)는, 전장실(103) 내부의 공기가 프런트패널(120)을 통과하여 전장실(103)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프런트패널(12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배기구(122)는, 프런트패널(120)의 좌우방향 중심에서 프런트패널(120)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배기구(122)는 프런트패널(120)의 좌우방향 중심과 프런트패널(120)의 우측 사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런트패널(120)이 캐비티(110)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캐비티(110)의 전면이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구(122)는 프런트패널(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캐비티(11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50)는 도어프레임(151) 및 프런트 글라스(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151)은, 도어(150)의 골격을 형성하며, 도어(150)의 상면과 저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151)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151)의 하측에는, 도어프레임(151)을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는, 도어프레임(151)의 하단에 설치되되, 도어프레임(151)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151)의 전방측에는, 프런트 글라스(15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153)는, 도어프레임(151)의 전방측에서 도어프레임(151)과 결합되며 도어(1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어(150)는, 리어 글라스(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글라스(156)는, 도어프레임(151)의 후방측에서 도어프레임(151)과 결합되며 도어(15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어(150)는, 내부 글라스(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50)가 복수개의 내부 글라스(15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내부 글라스(154)는, 프런트 글라스(153)의 후방측 및 리어 글라스(156)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프런트 글라스(153)의 후방측 및 리어 글라스(156)의 전방측에서 도어프레임(151)과 결합될 수 있다.
도어(15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내부 글라스(154)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내부 글라스(154)는, 최후방에 위치한 내부 글라스(154)와 프런트 글라스(1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내부 글라스(154)들에 의해, 도어(150) 내부는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복수개의 내부 글라스(154)는, 조리실(101) 내부에서 도어(150)로 전달된 열이 도어(150)의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 글라스(154)들이 배치된 도어(15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150)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외부 공기가 도어(1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15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도어(150) 내부를 통과하며 도어(15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과 마주보는 도어(150)의 상단에는, 도어배기구(152)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 내부를 도어(150)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도어(150)의 상단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배기구(152)는, 도어프레임(151)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프레임(151)의 상단은, 전반부(150a)와 후반부(150b)로 구분될 수 있다. 전반부(150a)는 도어프레임(151) 상단의 전방측을 형성하며, 후반부(150b)는 도어프레임(151) 상단의 후방측을 형성할 수 있다.
전반부(150a)는, 상하방향 축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반부(150a)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반부(150b)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의 상단에 마련되되, 후반부(150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 상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전반부(150a)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150)의 최상단보다는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 내부의 구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전장실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전장실(103)의 하부 경계면은, 캐비티(110)의 상측에 배치된 차단판부(131)어퍼패널(13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실(103)의 상부 경계면은, 전장실(103)을 상부에서 덮는 전장실커버(135)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장실(103)의 측부, 배후 경계면은, 전장실커버(135)의 양측면 및 배면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고, 조리실(101)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캐비티(110)의 양측면 및 전장실커버(135)의 배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장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전장실(103)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에는, 컨트롤패널(200)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가열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어퍼패널(130)은, 차단판부(131) 및 덕트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판부(131)는, 캐비티(110)와 전장실(103) 사이를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판부(131)는, 캐비티(1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전장실(103)의 하부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덕트부(133)는, 차단판부(131)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부(133)는, 전장실(103) 내부의 공기가 덕트부(133) 내부를 통해 전장실(103)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덕트부(133)는, 후술할 팬모듈(17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기구(122)를 향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에는, 팬모듈(17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팬모듈(170)은, 캐비티(110)의 후면에 인접한 측, 즉 전장실(103) 내부에서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팬모듈(170)은, 전장실(103) 내부에 설치되는 터보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팬모듈(170)은, 전장실(103)의 후방측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전방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팬모듈(170)의 작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측 및 측방측으로부터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측 공간을 통과한 후, 차단판부(131)전장실(103)의 후방측에 형성된 통기공(104)을 통해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전장실(103)의 측방측에 형성된 통기공(104)을 통해, 외부 공기가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10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전장실(103) 내부의 전장부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모듈(170)에 의해 덕트부(133)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덕트부(13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부(13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후, 배기구(122)를 통해 전장실(103)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전장실(103)의 내부에는, 냉각유로(105)가 마련될 수 있다. 냉각유로(105)는, 팬모듈(17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기구(122)를 향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냉각유로(105)의 하부 경계면은, 캐비티(110)의 상부면과 전장실커버(135)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판부(131)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냉각유로(105)의 상부, 측부, 배후 경계면은, 냉각유로(105)를 상부에서 덮는 덕트부(133)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아울러 어퍼패널(131)에는, 공기유입홀(132)이 마련될 수 있다. 공기유입홀(132)은, 냉각유로(105)와 연결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유입홀(131)은, 차단판부(13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기유입홀(132)은, 캐비티(110)의 상부면과 차단판부(131) 사이의 공간과 냉각유로(10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가열된 캐비티(110)로 인해 캐비티(110)의 상부면과 차단판부(131) 사이에서 가열된 공기는, 공기유입홀(132)을 통해 냉각유로(105)로 유입된 후, 배기구(122)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캐비티(110)의 상부면과 차단판부(131) 사이 공간의 온도는, 전장실(103)의 온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캐비티(110)의 상부면과 차단판부(131) 사이 공간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면, 전장실(103)의 온도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캐비티(110)의 상부면과 차단판부(131) 사이의 열기가 공기유입홀(13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장실(103)의 냉각이 좀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프런트패널의 돌출면부 및 그 주변 구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프런트패널(120)에는, 돌출면부(123)가 마련될 수 있다. 돌출면부(123)는, 프런트패널(1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면부(123)는, 프런트패널(120)의 측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돌출면부(123)는, 제1돌출면(123a) 및 제2돌출면(12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면(123a)은, 프런트패널(120)의 측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출면(123b)은, 제1돌출면(123a)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돌출면(123a)은 프런트패널(120)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돌출면(123b)은 프런트패널(120)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런트패널(120)의 전방측에 배치된 도어(150)는, 돌출면부(123)를 덮으며 조리실(101)을 폐쇄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150)의 측면이 제1돌출면(123a)을 덮고 도어(150)의 배면 테두리가 제2돌출면(123a)을 덮으며 조리실(101)을 폐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150)의 프런트 글라스(156)가 도어(150)의 나머지 구성들, 즉 도어프레임(151), 내부 글라스(154) 및 리어 글라스(156)보다 측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런트 글라스(156) 중 측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제2돌출면(123b)을 전방에서 덮을 수 있고, 도어프레임(151)의 측면이 제1돌출면(123a)을 돌출면부(123)의 측방향 내측에서 덮을 수 있다.
이처럼 돌출면부(123)를 전방에서 덮을 수 있게 마련되는 도어(150)는, 본체(100)를 전방에서 완전히 덮으며 조리실(101)을 폐쇄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보강부재(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면부(123)는 프런트패널(120)과 일체로 형성된 돌출물일 수 있다. 보강부재(125)는, 이와 같이 프런트패널(120)로부터 연장된 돌출물인 돌출면부(123)의 강도를 강화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재(125)의 배후측은 프런트패널(120)과 결합될 수 있고, 보강부재(125)의 전방측은 돌출면부(123)와 결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강부재(125)의 전방측은, 제2돌출면(123b)과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강부재(125)의 전방측은 제2돌출면(123b)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재(125)의 전방측은, 제2돌출면(123b)과 면접촉되며 제2돌출면(123b)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돌출면부(123)와 결합되는 보강부재(125)는, 돌출면부(123), 특히 제2돌출면(123b)을 단단히 지지하며 돌출면부(123)의 강도를 강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면부(123)의 강도가 강화됨으로써, 돌출면부(123)는 조리실(101)을 폐쇄하는 도어(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도어(120)와 밀착될 수 있다.
아울러 돌출면부(123)는, 체결보스(12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보스(123c)는, 제2돌출면(123b)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돌출면(123b)과 보강부재(125)는,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제2돌출면(123b)과 보강부재(125)를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는 체결보스(123b)에 의해 돌출면부(123)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체결보스(123b)에 의해 제2돌출면(123b)의 두께가 증가됨으로써, 돌출면부(123), 특히 제2돌출면(123b)의 강도가 더욱 효과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전방공간 및 그 주변 구조]
도 8 및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잠금장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전장실(103)의 전방측에는, 전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공간(S)은, 프런트패널(12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공간(S)은, 컨트롤패널(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공간(S)은, 조리실(101)을 폐쇄한 도어(1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방공간(S)이 도어(150)와 프런트패널(120)과 컨트롤패널(200)로 둘러싸인 공간인 것으로 예시된다. 즉 전방공간(S)은, 프런트패널(120)의 전방측이면서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전방공간(S)은,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의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전방공간(S)의 후방측에는, 배기구(1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구(122)는 프런트패널(120)에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에서 전장부품을 냉각시키며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배기구(122)를 통해 전방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패널(120)에는 복수개의 배기구(122)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배기구(122)는,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방향으로 인접한 두 배기구(122) 사이에는, 격벽(121)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121)은, 인접한 두 배기구(122) 사이에서 프런트패널(120)을 지지함으로써, 프런트패널(12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방공간(S)의 하부측에는, 도어배기구(1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50) 내부에서 도어(150)를 냉각시키며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전방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체(100)의 전방측에는, 도어잠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잠금장치는, 본체(10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잠금장치는, 도어(150)에 걸림 가능하게 구비되는 래치(140) 및 래치(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래치구동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구동부(145)와 래치(140)는 링크 구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어(15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동안, 래치는 도어(15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더 이상 도어(15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될 때, 래치(140)가 도어(150)에 걸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래치(140)는, 본체(100)의 전면, 예컨대 캐비티(110)의 전방측 또는 프런트패널(120)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회전하며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140)는, 전방으로 회전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도어(150)에 걸리고(도 9 참조), 후방으로 회전하며 도어(15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도 8 참조).
도어(150)의 상단에는 걸림홈(151a)이 마련될 수 있다. 걸림홈(151a)은, 도어프레임(151)의 상단에서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래치(140)는, 걸림홈(151a)의 상부로부터 걸림홈(151a)에 삽입되며 도어(150)에 걸리고, 이에 따라 도어(150)가 도어잠금장치에 의해 잠길 수 있다.
필요시 래치(140)가 도어(150)를 향해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래치(140)는 본체(1)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래치(140)는, 도어(150)의 상단에 마련된 걸림홈(151a)을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150)보다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셀프 클리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셀프 클리닝은, 조리실(101)의 가열부로 내부를 가열하여 조리실(101) 내부의 온도가 고온으로 장시간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질을 태워서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셀프 클리닝 진행시에 래치(140)가 도어(150)에 걸리면서 도어잠금장치가 도어(150)를 잠그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래치(140)는 평상시에는 본체(100)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고, 셀프 클리닝 진행시에만 전방으로 돌출되며 도어(15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140)가 대략 배기구(122)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래치(140)는 도어(150)보다는 높은 위치이면서도 컨트롤패널(200)보다는 낮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컨트롤패널(200)에는 래치홀(124)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래치(140)는, 이 래치홀(124)을 통해 본체(100) 내부를 출입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래치(140)는 래치홀(124)을 통해 본체(10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으며, 래치홀(124)을 통해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래치(140)의 적어도 일부분은, 전방공간(S)으로 노출되며, 도어(150)와 컨트롤패널(200) 사이의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의 구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어와 컨트롤패널 및 에어가이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도어와 컨트롤패널 및 에어가이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에어가이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는, 도어(150)와 컨트롤패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에어가이드(300)는 프런트패널(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리며 도어(150)와 컨트롤패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도어(150)와 프런트패널(120) 및 컨트롤패널(200)로 둘러싸인 공간, 즉 전방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300)는 전후방향 길이 및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측방향 길이가 매우 긴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상하방향 길이보다 전후방향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에어가이드(300)의 전후방향 길이를 "길이"로, 에어가이드(300)의 측방향 길이를 "폭"으로, 에어가이드(300)의 상하방향 길이를 "두께"로 지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가이드(300)는 길이 및 두께에 비해 폭이 길며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의 상하방향 길이, 즉 두께는, 전방공간(S)의 상하방향 길이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배기구(122)나 도어배기구(152)에서 배출된 공기는, 전방공간(S) 내부에서 전방으로 유동하며 에어가이드(300)를 통과할 수 있고, 에어가이드(300)를 통과하여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방공간(S)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의 측방향 길이, 즉 폭은, 전방공간(S)의 측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일 수 있다. 예컨대, 에어가이드(300)의 폭은 컨트롤패널(200)의 측방향 길이와 도어(150)의 측방향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에 배치되되, 전방공간(S) 중 전방에 치우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 중 전방 영역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에어가이드(30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컨트롤패널(2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컨트롤패널(200)과 에어가이드(300) 사이에는, 커버돌기(210,220)가 마련될 수 있다.
커버돌기(210,220)는, 컨트롤패널(200)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커버돌기(210,22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부측에서 컨트롤패널(200)과 소정 거리 이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개의 커버돌기(210,220)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가이드(300)는, 복수개의 커버돌기(210,220)와 각각 결합됨으로써, 컨트롤패널(200)의 하부측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9와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에어가이드(300)는 가이드본체부(310) 및 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본체부(310)는, 에어가이드(300)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는 부분으로서, 에어가이드(300)의 외관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돌기(210,220)는 가이드본체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에어가이드(300)의 길이 중 가이드본체부(310)의 길이는 커버돌기(210,220)의 길이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가이드본체부(310)는, 커버돌기(210,220)와의 결합에 필요한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320)는, 가이드본체부(310)의 측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320)는, 가이드본체부(310)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0)는, 커버돌기(210,220)와 결합되는 부분이 아니다. 따라서 연장부(320)의 길이는 가이드본체부(310)의 길이에 비해 짧게 설정될 수 있다.
가이드본체부(310)의 길이에 비해 연장부(320)의 길이가 짧은 형태로 연장부(320)가 형성됨으로써, 에어가이드(300)의 전체 크기 및 중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장부(320)는, 에어가이드(300) 상에서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320)의 전방측 단부와 가이드본체부(310)의 전방측 단부가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본체부(310)와 연장부(320)가 측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본체부(310)의 길이에 비해 연장부(320)의 길이가 짧게 설정됨에도 불구하고, 전방에서 보이는 에어가이드(300)의 외관이 매끄럽게 이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320)는, 돌출면부(12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면부(123)는 프런트패널(120)의 측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돌출면부(123)의 전방에 배치되는 연장부(320)는, 상기와 같이 가이드본체부(31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에어가이드(300) 상에서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됨으로써, 돌출면부(123)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연장부(320)는, 돌출면부(123)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전방에서 보이는 에어가이드(300)의 미관이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 및 에어가이드(300)의 크기 및 중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전면 외관을 고려한 에어가이드의 배치 구조]
도 15는 에어가이드가 제외된 상태에서의 조리기기의 전면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전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7은 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전면 일부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전면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조리기기에서 에어가이드가 제외된 상태일 때,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의 틈(이하, "전방 틈"이라 한다)을 통해 조리기기의 여러 부분들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방 틈을 통해 프런트패널(120)의 일부분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패널(200)에 마련된 복수개의 배기구(122)가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122)들 사이에 배치된 격벽(121)들도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장실(103)에 배치된 각종 전장부품들 중 배기구(122)의 후방에 배치된 일부분이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또한 도어잠금장치의 적어도 일부분도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예컨대, 래치(140)의 대부분이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래치구동부(145)의 일부분이 래치(140)와 함께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것들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되었을 때, 이들은 조리기기의 전면 외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배기구(122)와 격벽(121)과 같이 프런트패널(120)에 형성된 형상물들, 래치(140) 등과 같은 복잡한 형상의 구조물, 배기구(122)를 통해 노출되는 전장부품들은,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해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들이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기기에 에어가이드(300)가 마련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는, 상기 전방 틈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는,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에 배치되며, 프런트패널(120), 래치(140), 전장부품들 등의 일부분을 이들의 전방에서 가릴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에서 전방 틈의 일부를 가리며, 이에 따라 상기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되던 프런트패널(120), 래치(140), 전장부품들 등의 일부분이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 확장될수록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은 향상될 수 있겠지만, 그만큼 전방공간(S; 도 3 참조)을 통한 조리기기 전방으로의 배기는 어려워지게 된다.
반대로 에어가이드(300)의 두께가 가늘어질수록,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 감소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 감소될수록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 향상 효과는 감소되겠지만, 그 대신 전방공간(S)을 통한 조리기기 전방으로의 배기는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에어가이드(300)의 두께는 전방공간(S)을 통한 조리기기 전방으로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게 에어가이드(300)의 두께가 설정되면, 전방 틈을 통한 배기 효율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영역 중 일부 영역이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일례로서, 에어가이드(300)는 전방 틈에 배치되되, 전방 틈의 상하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에어가이드(300)는, 조리실을 폐쇄한 도어(150)와 컨트롤패널(200)사이에 배치되되, 에어가이드(300)와 컨트롤패널(200) 간의 상하방향 거리와 에어가이드(300)와 도어(150) 간의 상하방향 거리가 동일하게 설정되는 위치(이하, "중앙위치"라 한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가이드(300)는, 전방 틈의 상하방향 중앙, 즉 중앙위치에서 전방 틈을 가리는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에어가이드(300)를 중심으로, 전방 틈의 상부 영역과 전방 틈의 하부 영역이 대칭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형상이 좀 더 안정적인 형태로 보이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가이드(300)는 커버돌기(210,220)에 의해 컨트롤패널(200)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커버돌기(210,220)는 외측커버돌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커버돌기(21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커버돌기(21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부에서 에어가이드(300)와 결합될 수 있다. 외측커버돌기(210)와 에어가이드(300) 간의 결합에 의해, 에어가이드(30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단과 소정 간격 이격되며 컨트롤패널(20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외측커버돌기(210)가 에어가이드(300)에 결합되었을 때, 에어가이드(300)가 중앙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측커버돌기(210)는, 적어도 일부분이 래치(1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릴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외측커버돌기(21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되, 래치(140)의 수직방향 상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외측커버돌기(210)에 의해, 래치(140)의 적어도 일부분이 덮이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방에서 봤을 때, 래치(140)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측커버돌기(210)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된다.
일례로서, 외측커버돌기(21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단으로부터 중앙위치까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외측커버돌기(210)의 폭은, 래치(140)의 폭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커버돌기(210)는, 전방 틈을 통해 노출되는 래치(140)의 상반부를 전방에서 덮을 수 있다. 래치(140)의 하반부는, 에어가이드(300)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140)의 측면 형상은 대략 "ㄱ" 형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140)는, 그 상단부가 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에서 봤을 때, 래치(140)의 상반부가 래치(140)의 하반부보다 복잡한 형상을 띄게 된다.
외측커버돌기(210)는, 에어가이드(300)와 결합되는데 필요한 길이만큼 컨트롤패널(20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편, 래치(140)의 상반부를 가리는데 필요한 길이만큼 컨트롤패널(200)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측커버돌기(210)는, 에어가이드(300)를 중앙위치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래치(140)의 상반부를 가릴 수 있는 길이만큼 돌출될 뿐, 더 길게 돌출되지는 않 f다.
만약 외측커버돌기(210)가 더 길게 돌출된다면, 외측커버돌기(210)가 래치(140)를 좀 더 많이 가릴 수는 있겠지만, 외측커버돌기(210)와 에어가이드(300)의 결합 구조가 복잡해지거나 이들의 결합 자체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불필요하게 돌출되는 구조물로 인해,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외측커버돌기(210)가 불필요하게 길게 돌출되지 않고 에어가이드(300)를 중앙위치에 고정시키는 동시에 래치(140)의 상반부를 가릴 수 있는 길이만큼 돌출된다.
이러한 외측커버돌기(210)는,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인 래치(140)의 상반부가 우선적으로 덮이도록 하고, 이와 함께 에어가이드(300)를 중앙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에어가이드(300)는 전방 틈에 배치되되, 전방 틈의 상하방향 중앙으로부터 하부로 더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도어(150)와 컨트롤패널(200)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300)의 높이보다 사용자의 눈높이가 더 높다는 것을 감안하면, 에어가이드(300)가 상기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어야 사용자가 에어가이드(300)를 좀 더 잘 식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처럼 조리기기의 외부에서 에어가이드(300)가 잘 보일 수 있는 위치에 에어가이드(300)가 배치되어야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제공되는 심미감이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될 수 있게 된다.
즉 에어가이드(300)가 전방 틈의 상하방향 중앙으로부터 하부로 더 치우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심미감 형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위치에 에어가이드(300)가 배치되면, 그만큼 커버돌기(210,220), 특히 외측커버돌기(210)의 상하방향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처럼 외측커버돌기(200)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외측커버돌기(210)는 래치(140)를 덮되, 래치(140)의 상반부보다 더 넓은 영역을 덮을 수 있다. 이처럼 래치(140)의 좀 더 많은 부분이 외측커버돌기(210)에 의해 가려지게 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이 좀 더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140)가 본체(10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조리기기에는 하나의 래치(140)가 본체(100)의 측방향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래치(140)는, 배기구(122)보다 본체(100)의 측방향 일측에 더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트롤패널(200)과 에어가이드(300) 사이에 한 쌍의 외측커버돌기(21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외측커버돌기(210)는, 조리실의 측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즉 본체(100)의 측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는 한 쌍의 외측커버돌기(210)가 컨트롤패널(200)의 측방향 중앙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된다고 표현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외측커버돌기(210) 중 하나는, 래치(140)의 전방에 배치되어 래치(140)의 상반부를 전방에서 덮을 수 있다. 한 쌍의 외측커버돌기(210) 중 다른 하나는, 래치(140)의 전방에 배치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외측커버돌기(210)가 대칭되게 배치됨으로써, 전방 틈을 통해 노출되는 커버돌기(210,220) 및 에어가이드(300)의 형태가 좀 더 균형감 있게 보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돌기(210,220)는, 내측커버돌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커버돌기(22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커버돌기(22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부에서 에어가이드(300)와 결합될 수 있다. 내측커버돌기(220)와 에어가이드(300) 간의 결합에 의해, 에어가이드(30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단과 소정 간격 이격되며 컨트롤패널(200)에 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측커버돌기(220)가 에어가이드(300)에 결합되었을 때, 에어가이드(300)가 중앙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내측커버돌기(220)는, 적어도 일부분이 격벽(121)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릴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내측커버돌기(220)는 컨트롤패널(2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되, 격벽(121)의 수직방향 상측에서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내측커버돌기(220)에 의해, 격벽(121)의 적어도 일부분이 덮이게 된다. 이에 따라, 전방에서 봤을 때, 격벽(121)의 적어도 일부분이 내측커버돌기(220)에 가려 보이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내측커버돌기(220)는, 한 쌍의 외측커버돌기(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측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개의 커버돌기들(210,220) 중, 측방향 최외측에는 외측커버돌기(210)가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는 내측커버돌기(2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되는 내측커버돌기(220) 및 외측커버돌기(210)에 의해, 에어가이드(300)는 측방향 복수 지점에서 커버돌기(210,220)와 결합되며 컨트롤패널(200)의 하부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내측커버돌기(220)는, 컨트롤패널(200)과 에어가이드(300) 간의 결합 지점을 증가시킴으로써, 에어가이드(300)의 고정이 안정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내측커버돌기(220)는, 격벽(121)을 전방에서 덮을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전방 틈을 통해 노출되는 세로방향 구조물의 수가 증가되지 않도록 한다.
즉 전방 틈을 통해 어차피 노출되는 세로방향 구조물인 격벽(121)을 내측커버돌기(220)가 덮는 형태로 내측커버돌기(220)가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전방 틈을 통해 노출되는 세로방향 구조물의 수가 증가되지 않은 것처럼 보일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방 틈을 통해 노출되는 세로방향 구조물로 인해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내측커버돌기(220)는, 배기구(122)를 회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배기구(122)는, 전장실(250; 도 3 참조)의 공기가 전방공간(S)으로 배출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한다.
팬(260; 도 3 참조)에 의해 전장실(103)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103) 내부에서 열교환되며 전장부품 등을 냉각시킬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고온 상태로 배기구(122)를 통해 전방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내측커버돌기(220)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다고 가정했을 때,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에 내측커버돌기(220)가 상시 노출된다면, 내측커버돌기(220)의 열변형이 발생될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예컨대, 내측커버돌기(220)가 격벽(121)의 전방이 아닌 배기구(122)의 전방에 배치된다면,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로 인해 내측커버돌기(220)의 열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커버돌기(220)가 배기구(122)를 회피한 위치, 즉 배기구(122)의 전방이 아닌 격벽(121)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로써 내측커버돌기(220)의 열변형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고, 배기구(122)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내측커버돌기(220)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내측커버돌기(220)는, 배기구(122)를 전방에서 덮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배기구(122)를 통한 공기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내측커버돌기(220)의 열 변형 발생 위험을 낮추는 위치,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정리하면,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에어가이드(300) 및 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커버돌기(210,220)에 의해 제공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방 틈을 통해 노출되던 구조물들의 일부분이 전방 틈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전방 틈을 가리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에어가이드(300)에 가려짐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300)는, 후방의 다른 구조물들의 일부분을 가리는 동시에, 전방 틈을 바라보는 시선이 에어가이드(300)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전방 틈에 에어가이드(300)만이 존재하는 것 같은 착시 효과가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에어가이드(300)는, 전방 틈의 중앙위치에서 전방 틈을 가리는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전방 틈의 상부 영역과 전방 틈의 하부 영역이 대칭을 이루도록 하고, 조리기기의 전면 형상이 좀 더 안정적인 형태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가이드(300)는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래치(140)와 같은 크고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측커버돌기(210)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이 좀 더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인 래치(140)의 상반부가, 에어가이드(300)의 고정을 위해 마련되는 외측커버돌기(210)에 의해 덮일 수 있다.
즉 에어가이드(300)의 고정을 위해 마련되는 외측커버돌기(210)의 배치 위치가 래치(140)의 전방으로 적절히 설정됨으로써, 에어가이드(300)의 안정적인 고정과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 향상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셋째, 내측커버돌기(220)가 배기구(122)와 배기구(122)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121)을 전방에서 덮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배기구(122)를 통한 공기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내측커버돌기(220)의 열 변형 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컨크롤패널과 에어가이드 간의 결합 구조]
도 19는 에어가이드와 컨트롤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20은 도 19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와 컨트롤패널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1은 도 13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와 컨트롤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커버돌기(210,220)는 프런트패널(120)에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커버돌기(210,220)는, 프런트패널(12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커버돌기(210,220)는 프런트패널(120)의 하단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런트패널(120)의 하단과 커버돌기(210,220)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돌기(210,220)가 플라스틱 재질로 프런트패널(120)의 하단과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커버돌기(210,220)의 부가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커버돌기(210,22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커버돌기(210,220)의 무게를 상당 수준 낮출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에어가이드(300)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금속 특유의 광택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고온의 열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고,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금속 광택을 통해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가 고온의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에 배치된다는 점, 조리기기의 전면에 눈에 띄는 위치에 배치된다는 점,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히 발생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가이드(30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커버돌기(210,220)는, 가이드본체부(310)와 결합될 수 있다. 커버돌기(210,220) 각각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가이드본체부(310)에는 이와 연통되는 체결공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돌기(210,220)와 가이드본체부(310)는,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201)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21 및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돌기(330,340)가 에어가이드(300a)에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커버돌기(330,340)는 에어가이드(300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돌기(330,340)와 에어가이드(300a)의 결합체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커버돌기(330,340)와 에어가이드(300)의 결합체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금속 특유의 광택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커버돌기(330,340)가 금속 재질로 에어가이드(300a)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고온의 열에도 커버돌기(330,340)가 쉽게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전방 틈을 통해 노출되는 구조물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커버돌기(330,340)와 에어가이드(300a) 모두가 금속 광택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조리기기의 미관이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배기 유동을 고려한 에어가이드의 배치 구조]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25는 도 24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팬모듈(170)의 작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부터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10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전장실(103) 내부의 전장부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 공기는 본체(100)의 하부를 통해 조리기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컨벡션부(160) 등이 배치된 조리기기의 후방측 공간을 통과하면서 조리기기의 후방측 공간에 배치된 각종 부품들, 예컨대 컨벡션부(160)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처럼 조리기기의 후방측 공간을 통과하며 상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조리기기의 후방측 공간과 전장실(103) 사이에서 전장실커버(135)로 덮인 공간을 통해 전장실(10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로 이동한 공기는, 팬모듈(170)에 의해 흡입되어 냉각유로(10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냉각유로(105)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냉각유로(105)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전장실(103) 내부의 전장부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장실(10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배기구(122)를 통해 전장실(103)의 전방, 즉 전방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1)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된 도어(150) 내부의 공기는, 도어(150)의 상단에 마련된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도어(15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어(150)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조리기기의 전방 하측에 있던 외부 공기가 도어(150)의 하부에 마련된 공기유동구멍을 통해 도어(15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조리실(101)로부터 도어(150)로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된 도어(150)가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0)를 냉각시키며 도어(150)의 내부에서 상승한 공기는,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전방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된 공기와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전방공간(S)에서 합류하며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공간(S)은 도어(150)와 프런트패널(120) 및 컨트롤패널(200)로 둘러싸인 공간이고, 에어가이드(300)는 이 전방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구(122)는 전방공간(S)의 후방측에서 전방공간(S)과 연통될 수 있으며, 도어배기구(152)는 전방공간(S)의 하측에서 전방공간(S)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공간(S)은, 조리기기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도어배기구(152)는, 에어가이드(300)와 프런트패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배기구(152)는 배기구(12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전후방향에 대해서, 도어배기구(152)는 에어가이드(300)와 배기구(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배기구(152)는, 에어가이드(300) 및 배기구(12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의 상단에 마련되되, 후반부(150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 상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전반부(150a)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150)의 최상단보다는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구(122)와 도어배기구(152) 및 에어가이드(300)의 배치 관계를 살펴보면,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 상에서 배기구(122)와 전후방향으로 가장 인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만약 도어배기구(152)가 도어(150)의 후반부(150b)가 아닌 전반부(150a)에 배치된다면,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도어(150) 내부로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공간(S)에서 점차 확산되며 전방공간(S)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공간(S) 내에서 좌우방향뿐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퍼지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공간(S) 내에서 도어배기구(152)가 전방측에 위치할수록,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도어배기구(152) 측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된 뜨거운 공기가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도어(150) 내부로 역류하게 되면, 도어(150)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전방공간(S)으로 유입된 열기가 조리기기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배기구(152)가 도어(150)의 후반부(150b)에 배치되고, 이로써 도어(150) 상에서 배기구(122)와 전후방향으로 가장 인접할 수 있는 위치에 도어배기구(15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 내에서 선택 가능한 전후방향 위치 중,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영역에서 최대한 벗어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배기구(152)는 후반부(150b)에 배치됨으로써, 전반부(150a)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150)의 최상단보다는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어배기구(152)는,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좀 더 멀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배기구(152)는,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영역에서 최대한 벗어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도어배기구(152)는, 전방공간(S)으로 배출된 뜨거운 공기가 도어(150) 내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어배기구(152)는, 에어가이드(300)의 수직방향 하측에 배치되지 않고, 에어가이드(300)보다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배기구(15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전방공간(S)을 향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배기구(152)는 에어가이드(300)와 프런트패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에어가이드(300)는, 배기구(122) 및 도어배기구(15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 내부에서 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에어가이드(300)는, 배기구(122) 및 도어배기구(152)에서 전방공간(S)으로 배출된 공기의 흐름을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서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배기구(122) 및 도어배기구(152)에서 전방공간(S)으로 각각 배출된 공기는, 전방공간(S)에서 합류하면서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는, 이와 같이 전방공간(S)에서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이하, "배기유로"라 한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에어가이드(300)는, 길이 및 두께에 비해 폭이 길며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프레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틈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의 상하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배기유로 상에 배치되어 이 배기유로를 상부와 하부로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구(122) 및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전방공간(S)로 유입된 공기는, 상부와 하부로 구획된 배기유로를 통해 상하로 분기되며 전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배기구(122)에서 배출된 공기의 흐름과 도어배기구(152)에서 배출된 공기의 흐름이 전방공간(S)에서 합류하는 경우, 전방공간(S) 내에서 와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전방공간(S) 내에서 와류가 발생될 경우, 전방공간(S)으로 유입된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거나, 전방공간(S)의 공기가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도어(150)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 에어가이드(300)가 배치되고, 배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이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상하로 분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방공간(S) 내에서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분기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면, 전방공간(S) 내에서 와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즉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 배치된 에어가이드(300)는, 배기유로 상에 배치되어 배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분기시킴으로써, 전방공간(S) 내에서 와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300)를 컨트롤패널(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내측커버돌기(220)는, 배기구(122)와 배기구(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내측커버돌기(220)는, 격벽(121)의 전방에서 격벽(121)를 가려 보이지 않도록 하는 한편, 배기구(122)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커버돌기(210,220) 또는 에어가이드(300)로 인해 발생되는 유로 저항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 배치된 에어가이드(300)의 전방 단부(301)는, 도어(150)의 프런트 글라스(153)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에어가이드(300)의 전방 단부(301)는, 전후방향에 대해서, 프런트 글라스(152)의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프런트 글라스(152)의 후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가이드(300)가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전방공간(S)에서 조리기기의 전방을 향해 흘러나가는 공기의 흐름이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좀 더 효과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리기기의 외부에서 에어가이드(300)가 잘 보일 수 있는 위치에 에어가이드(300)가 배치됨으로써,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제공되는 심미감이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방공간(S)에서 뜨거운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컨트롤패널(200)의 하단과 접촉되고, 이로 인해 컨트롤패널(200)의 하단에 응축수가 맺힐 수 있다.
이처럼 컨트롤패널(200)의 하단에 맺힌 응축수가 도어(150)의 상단으로 떨어지면, 도어(150)와 부딪친 물이 도어(150) 주변으로 튀면서 그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300)가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면, 컨트롤패널(200)의 하단에 맺힌 응축수가 도어(150)에 떨어지지 않도록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간의 거리에 비해 컨트롤패널(200)과 에어가이드(300) 간의 거리가 훨씬 가깝기 때문에, 응축수가 에어가이드(300)에 떨어진다고 해도, 그 주변으로 튀는 물의 양이 그다지 많지 않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는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응축수로 인한 조리기기 주변의 오염 발생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에어가이드(300)의 후방 단부(303)는, 전후방향에 대해서, 도어배기구(152)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배기구(152)와 에어가이드(300) 사이에는, 도어(150) 내부의 공기가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전방공간(S)으로 배출되기 위한 충분한 높이의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배기구(152)에서 배출된 공기가 배기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와 전방공간(S)에서 충분히 혼합된 뒤에 에어가이드(300) 배치 구간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에어가이드(300)의 후방 단부(300)가 상기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면, 에어가이드(300)가 도어배기구(152)의 수직 상부에 배치되는 장애물이 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도어배기구(152) 주변의 유로 저항이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에어가이드(300)의 후방 단부(303)는, 전후방향에 대해서, 도어(150)의 후반부(150b)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의 후방 단부(303)의 위치가 이와 같이 설정되면, 도어배기구(15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에어가이드(300)와 도어배기구(152) 간의 거리 확보가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다른 예로서, 에어가이드(300)의 전방 단부(301)는 컨트롤패널(200)의 전방측 단부와 도어(150)의 전방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후방향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측부에서 봤을 때, 에어가이드(300)의 전방 단부(301)와 컨트롤패널(200)의 전방측 하단 모서리가 동일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부에서 봤을 때, 에어가이드(300)의 전방 단부(301)와 도어(150)의 전방측 상단 모서리가 동일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가이드(300)가 배치됨으로써, 컨트롤패널(200)과 에어가이드(300) 및 도어(150)의 위치가 정렬되며 조리기기의 외관이 좀 더 균형감 있게 보일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기기의 미관이 좀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가이드(300)의 배치는, 에어가이드(300)가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됨으로 인해 가능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됨으로써, 전방공간(S) 내에서 와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와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10 : 캐비티
120 : 프런트패널
121 : 격벽
122 : 배기구
124 : 래치홀
130 : 조리실
131 : 어퍼 패널
132 : 공기유입홀
133 : 전장실커버
135 : 냉각유로커버
140 : 래치
145 : 래치구동부
150 : 도어
150a : 전반부
150b : 후반부
151 : 도어프레임
151a : 걸림홈
152 : 도어배기구
153 : 프런트 글라스
154 : 내부 글라스
155 : 핸들
160 : 컨벡션부
200 : 컨트롤패널
201 : 체결부재
210, 330 : 외측커버돌기
220, 340 : 내측커버돌기
250 : 전장실
255 : 냉각유로
260 : 팬
300 : 에어가이드
310 : 가이드본체부
320 : 연장부
S : 전방공간

Claims (10)

  1. 전방측이 개방된 조리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캐비티 및 상기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프런트패널; 및
    상기 프런트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리며 상기 도어와 상기 컨트롤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커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커버돌기와 결합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개의 내측커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런트패널에는, 복수개의 배기구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인접한 두 개의 상기 배기구 사이에는, 격벽이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격벽의 전방에 상기 내측커버돌기가 각각 배치되어 상기 격벽을 전방측에서 가리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에 마련되어 상기 도어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래치, 및 상기 프런트패널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을 향해 돌출되는 외측커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프런트패널의 전방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외측커버돌기가 상기 래치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리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도어와 상기 프런트패널 및 상기 컨트롤패널로 둘러싸인 전방공간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과 마주보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는, 상기 도어 내부를 상기 전방공간으로 개방하는 도어배기구가 마련되고,
    전후방향에 대해서, 상기 도어배기구가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프런트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는 전장실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전장실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런트패널에는, 상기 전장실 내부를 상기 전방공간 측으로 개방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전후방향에 대해서, 상기 도어배기구가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의 하단 및 상기 커버돌기는 플라스틱 재질로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과 마주보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는, 상기 도어 내부를 상기 전방공간으로 개방하는 도어배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도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분되고,
    상기 도어배기구는, 상기 전반부의 후방에 배치된 상기 후반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전방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하는 조리기기.
PCT/KR2022/017591 2022-02-07 2022-11-09 조리기기 WO202314962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5418A KR20230119372A (ko) 2022-02-07 2022-02-07 조리기기
KR10-2022-0015418 2022-02-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49622A1 true WO2023149622A1 (ko) 2023-08-10

Family

ID=87552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7591 WO2023149622A1 (ko) 2022-02-07 2022-11-09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19372A (ko)
WO (1) WO2023149622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602B1 (ko) * 2005-03-31 2006-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090123429A (ko) * 2008-05-28 200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도어
KR20190124584A (ko) * 2018-04-26 2019-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US20200408418A1 (en) * 2019-06-26 2020-12-31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Thick oven door with cooling
KR20210106290A (ko) * 2020-02-20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4833B1 (ko) 2013-09-11 2020-06-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602B1 (ko) * 2005-03-31 2006-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090123429A (ko) * 2008-05-28 2009-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도어
KR20190124584A (ko) * 2018-04-26 2019-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US20200408418A1 (en) * 2019-06-26 2020-12-31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Thick oven door with cooling
KR20210106290A (ko) * 2020-02-20 2021-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19372A (ko) 2023-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55323A1 (en) Oven
WO2018174576A1 (ko) 냉장고
WO2019045318A1 (en) HOUSEHOLD DEVICE
WO2020145767A1 (ko) 조리기기
WO2020145765A1 (ko) 조리기기
WO2019177413A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9088745A1 (ko) 싱크 캐비닛 장치
WO2020145761A1 (ko) 조리기기
WO2021172948A2 (ko) 냉장고
WO2021112409A1 (ko) 냉장고
WO2020096258A1 (ko) 패널 어셈블리, 냉장고 및 가전제품
EP3619384A1 (en) Home appliance
WO2019045222A1 (ko) 유동 발생장치
WO2020145763A1 (ko) 조리기기
WO2021172947A1 (ko) 냉장고
WO2015190713A1 (en) Oven
WO2023149622A1 (ko) 조리기기
WO2023149625A1 (ko) 조리기기
WO2023149624A1 (ko) 조리기기
WO2023249234A1 (ko) 조리기기
WO2020145766A1 (ko) 조리기기
WO2024111900A1 (ko) 조리기기
WO2022250486A1 (ko) 전기 레인지
WO2024111898A1 (ko) 조리기기
WO2022265365A1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2508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