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65365A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65365A1
WO2022265365A1 PCT/KR2022/008421 KR2022008421W WO2022265365A1 WO 2022265365 A1 WO2022265365 A1 WO 2022265365A1 KR 2022008421 W KR2022008421 W KR 2022008421W WO 2022265365 A1 WO2022265365 A1 WO 20222653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disposed
housing
coupling
control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84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경동
이원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280028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157488A/zh
Priority to AU2022295586A priority patent/AU2022295586A1/en
Publication of WO20222653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653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29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 A47J37/0641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with electric heating elements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air fry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23Small-size cooking ovens, i.e. defining an at least partially closed cooking cavity
    • A47J37/0664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4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with heat radiated directly from the heating element
    • F24C7/046Rang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liance.
  • a cooking appliance is one of home appliances for cooking food and is installed in a kitchen space to cook foo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These cooking appliances can be classifi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type of heat source or type used, and the type of fuel.
  • cooking appliances When cooking appliance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oking food, they can be classified into open type and closed type cooking applia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space in which food is placed. Closed cooking appliances include ovens and microwave ovens, and open cooking appliances include cooktops and hobs.
  • An enclosed cooking appliance is a cooking appliance that shields a space where food is located and cooks food by heating the shielded space.
  • the closed type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cooking chamber, which is a space in which food is placed and shielded when cooking food. Such a cooking chamber becomes a space in which food is actually cooked.
  • the closed type cooking appliance is roughly divided into a gas oven and an electric oven according to the type of heat source.
  • the gas oven uses gas as a fuel, and by supplying and igniting the gas to a plurality of burners, the gas is burned and the food is cooked by the flame generated.
  • the electric oven uses an electric oven. While a plurality of heaters are operated using as a heat source, food is cooked by the heat emitted from the heaters.
  • mini ovens electric ovens in the form of mini ovens
  • the mini-oven is not suitable for cooking large-sized foods due to its small size, but is suitable for baking or heating a small amount of food that is burdensome to use in a large-capacity oven.
  • mini ovens can be conveniently used to bake toast, and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 used to cook small amounts of food in addition to toast, so their use as a cooking appliance replacing existing toasters is increasing.
  • a mini-oven includes an outer case for accommodating all components, a plurality of shelves for placing food during cooking, and a cooking chamber with an open front surface to put food in and cook.
  • the mini-oven includes an oven heater for heating foo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 the door is provided so that the interior of the cooking compartment is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sealed while food is put in the cooking compartment and cooking is performed.
  • the door may further include a handle for easil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and a glass window for viewing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without opening the door.
  • the door In the mini oven, the door is mostly provided with a bottom open type.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door applied to the mini oven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ase through the door hinge, and the low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case is pivoted downward to open the cooking chamber and open the cooking chamber. It can be operated in the form of closing the cooking chamber by rotating upward in one state.
  • the door opens the cooking compartment by rotating at an angle of about 90 degrees in the state in which the cooking compartment is closed, and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shelf may be performed while the door is opening the cooking compartment.
  • the door is opened in a state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shelf inserted into the mini-oven, and the user directly inserts and withdraws the shelf.
  • the mini-ove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disadvantages.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ini oven is inevitably shifted forward, and in this case, the risk of the mini oven tipping forward increases.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ini-oven is shifted forward, and the mini-oven may tip over. In this case, the user's safety may be seriously threatened.
  • Prior Document 1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6289602 discloses a heating cooker including a cooking plate that moves in and out of a cooking chamber in conjunction with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 first slide rails a pair of slide rai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slide rails”) are provided in the cooking chamber, and a pair of slide rails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slide rails”) are provided in the door as well.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lide rail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ooking chamber.
  • the second slide rail is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slide rail, and accordingly, the door slides forward and backward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 a support member is installed on the pair of second slide rails, and a cooking plate is hung and supported from above at an upper end of the support member. That is, the cooking plate is supported on the second slide rail by the supporting member, and the second slide rail is supported on the first slide rail.
  • the cooking plate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door moving forward and backward. That is, the cooking plate may enter and exit the cooking chamber while mov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hamber while mov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heating cooker of Prior Document 1 disclos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cooking plate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more easily by enabl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cooking plate to be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 the heating cooker of Prior Document 1 simply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ntry and exit of the cooking plate is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nd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still requires the opening of the door to check the cooking stat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n the door directly even when checking is still not solved.
  • Prior 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1565 discloses a toaste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not only the front of the toaster internal space but also the upper portion of the toaster internal space are opened.
  • a doo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toaster, and the door rotates toward the front of the toaster to open the inner space of the toaster.
  • the door is provided to cover not only the front side of the toaster but also an upper portion of the toaster, when the door is opened, not only the front side of the toaster's internal space but also the upper portion of the toaster's internal space can be opened together.
  • the toaster hold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and when the door is opened, the toaster hold rotates forward together with the door and can be drawn out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toaster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Prior Document 2 disclosing such a configuration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the toaster to be inserted and withdrawn more easily by allowing the toaster hold to be moved in and out in conjunction with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the toaster of Prior Art 2 has the advantage of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the toaster accommodated in the toaster hold and the frame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the door is opened by opening the upper part of the inner space of the toaster together when the door is opened. there is.
  • the device disclosed in Prior Document 2 simply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entry and exit of the toaster hold is interlock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and is provided with a structure that still requires the opening of the door to check the cooking status, so that it can simply check the cooking statu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open the door directly even when checking is still not solved.
  • Prior Document 3 discloses an oven having a front door and a top cover.
  • a front door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oven, and a top cover i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oven.
  • the front door and the top cover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and operate independently, and the front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oven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front door, and the top of the interior space of the oven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top cover.
  • the inner space opened and closed by the front door and the inner space opened and closed by the top cover are separate spaces from each other and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 Prior Document 4 discloses an oven door structure installed in a cylindrical oven to open and close the oven.
  • the door is installed on a cylindrical body, and the door rotate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body to open and close the body.
  • This door when opened, does not protrude anywhere from the front or rear of the body, and can open and close the body only while rotating around the body.
  • Prior Document 4 since the door disclosed in Prior Document 4 can be applied only to a structure in which the body of a cooking appliance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cannot be applied to a generally widely used hexahedron-shaped cooking appliance body, compatibility is low.
  • Prior Document 4 it is difficult to arrange an operation switch on the front or upper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This is because most of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body are covered by the door or within the rotational range of the door. Accordingly, in Prior Document 4, a configuration in which an operation switch such as a timer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ody is disclosed.
  • Prior Documents 1 and 3 disclose a configuration in which an operation switch is disposed on a main body of a cooking appliance and disposed outside a door in a left-right direction.
  • the width of the main body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should be increased by the spac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switch to be disposed.
  • the overall size of the cooking appliance increases while the width opened by the door becomes narrower.
  • Prior Document 2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n operation switch is disposed below a main body of a cooking appliance.
  • an operation switch is disposed below a main body of a cooking appliance.
  • the length of the main body in the vertical direction should be increased by the space necessary for the operation switch to be disposed.
  • the overall size of the cooking appliance increases, but the width opened by the door is narrowed compared to that. A problem arises.
  • Prior Document 4 when disposed on the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s described above,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heck or operate the operating switch.
  • Prior Documents 1 to 4 it is difficult to arrange the operation switch on the door.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disclosed in Prior Documents 1 to 4, a viewing window is disposed on the door to secure a field of view through which the user can look in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to install it.
  • a control pane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switch when the operation switch is disposed on the door, a control pane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switch must also be disposed inside the door,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in the door where the control panel is installed.
  • prior art document 2 and document 3 when the door is opened,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inner space of the toaster or the body is opened together with the upper part is disclosed.
  • the risk of leakage of heat and steam inside the cooking chamber increa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door.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the width of a passage opened by a door can be increased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applianc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an operation switch can be installed in a do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that is easy to check the cooking state and has high structural stabilit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that facilitates opening of a door and insertion and withdrawal of a shel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various components to be disposed on the door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do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various components to be disposed on the door can be easily and quickly installed on the do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heat and steam generated inside a cooking chamber during cooking can be suppressed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front side of a do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to effectively reduce the effects of heat or steam on various components to be disposed on a door.
  •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top of the housing are opened together when the door is opened.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inge assembly that rotatably supports the door, and a cooling passage for cooling the front and top surfaces of the cooking appliance is provided inside the hinge assembly.
  • the cooling passage may be biasedly disposed in the front and upper portions of the hinge assembly.
  • a cooling fan may be disposed below the cooling passage.
  • the temperature can be easily increased under the influence of heat, and cooling can be performed on a part that is likely to be in contact with the user. As a result,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and damage to parts inside the door due to overheating of the door can be prevented.
  •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to generate a flow of air in the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and a flow flowing from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to the other side and from the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to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 the flowing air flows is genera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xhaust induction unit.
  • the exhaust guide unit may include a cooling passage formed inside the hinge assembly.
  • a cold air discharge unit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cooling passage can be discharged into the cooking chamber through the cold air discharge unit.
  • a control board is disposed inside the door, and a cooling fan is disposed in the same space where the control board is disposed, and the cooling fan discharges air from the space where the control board is install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 the cooling fan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cooling hole tha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 the cooling fan may be disposed below the touch panel support and the temperature sensor dispos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cable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a cable connecting the first control board and the first heating unit is installed.
  • the user can look down on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from above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oking applia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without lowering his posture or bending his back. do.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anel is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door main body and the door rear cover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main body, and the control board is fixed to the support panel.
  •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the support panel and the door are coupled together in one bracket.
  • Another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cover, the control board, the support panel and the door are coupled together in one bracke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o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ompartment, and the temperature sensor protrudes out of the door toward the cooking compartmen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on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cooking chamber, and the temperature sensor protrudes out of the door toward the cooking chamber and is biased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chamber.
  • the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between the tray and the heating unit, but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heating unit.
  •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an upper corner of the door front part.
  • the temperature sensor may be disposed at a location where the heating unit is covered by the shielding plat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iewing window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eating unit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 the first heating unit provided to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y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ccordingly, the first heating unit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operating device and the first control board.
  • the center of gravity may also be biased toward the rear sid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viewing window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operat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where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viewing window are not installed.
  • the weight of the cooking appliance is relatively large such as glass and heater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formed to be biased from the front and rear center to the rea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going parts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is biased backward from the cen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overturning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the door is opened.
  • a cooking appliance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cooking chamber surrounded by a bottom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a rear surface is formed therein, and a top surface and a front surface are open; A door upper surface portion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door front portion connected to the front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nd covering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pivoting around the rear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to open and close the upper and front surfaces of the housing. door to do; and an exhaust induction unit dispos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to generate air flow in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 the exhaust induction unit may generate at least one of a flow flowing from one of the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a flow of air flowing from the front of the cooking chamber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
  •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hinge case disposed on at least one of both side parts of the housing, and inside the hinge case, cooling for guiding the flow of air introduced into the hinge case from the outside of the hinge case It is desirable that a flow path is provided.
  • the exhaust guide part includes the cooling passage, a passage inlet opened from the cooling passage to the outside of the hinge case, and a passage outlet opened from the cooling passage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 the passage outlet is formed to pass through a side surface of the hinge case facing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in a lateral direction.
  • a cold air discharge part communicating with the flow passage outlet is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cooling passage is discharged into the cooking chamber through the passage outlet and the cold air discharge part.
  • the flow passage outlet and the cold air discharge part are dispos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air flowing into the cooling passage is discharged in a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cold air discharge part.
  • the exhaust induction unit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hinge case toward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while surrounding the passage outlet.
  • the discharge protrusion connects the passage outlet and the cold air discharge unit.
  • the cold air discharge unit preferably includes a plurality of discharge ports formed to pass through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 the passage inlet is op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hinge case, and a cooling fan is disposed at the passage inlet.
  • the flow path inlet has a wider width than the cold air flow path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case surrounds the flow path inlet and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cas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 a fan mounting portion is provided.
  • the cooling fan is disposed inside the fan mounting portion.
  • the fan mounting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inge case towar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spac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is laterally open toward the hinge cas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fan mounting portion is formed in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o be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under the lower surface of the.
  • the positions of the cooling passage and the passage outlet in the front-rear direction are biased towards the front part of the door in the hinge case.
  • the position of the passage outle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bias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in the hinge case.
  • the cooling passage includes a first section extending from the flow passage inlet disposed at the lower part of the hinge case to the upper "nip film", and a second section extending rear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section.
  • the first section is preferably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 the second section is preferably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gasket disposed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hinge case or the housing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door, a second gasket dispos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door, and the hinge case or the housing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the third gaskets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 first gasket preferably seals between the hinge case and the door front part or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door front part in front of the cooling passage.
  • the second gasket preferably seals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in front of the cooling passage.
  • the third gasket seals between the hinge cas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or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at the top of the cooling passage.
  • the third gasket is preferably disposed between the lateral center of the housing and the second section.
  • first gasket and the second gasket ar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front facing the housing,
  • the third gasket is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facing the housing.
  • a spac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n exhaust port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exhaust outlet is formed to penetrate the rear end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to open the space inside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to the outside.
  • the door frame is preferably combined with the door while covering a space in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from a lower portion.
  • the first heating unit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and dispos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 the door frame may include a heater mounting portion to which the first heating portion is coupled; and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door to support the heater mounting portion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door.
  • the coupling portion is disposed below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door
  • connection holes are formed to penetr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coupling part to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space part inside the upper surface part of the door and the cooking chamber.
  •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control boar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door front part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unit.
  •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cooling fan disposed in the same space as the control board and discharging air from the space where the control board is install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 the door may include a first door body portion forming an exterior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a second door main body part forming an exterior of the front part of the door, and having a space opened therein formed toward the rear; and a door rear cover covering one open side of the second door main body.
  • a cool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oor main body.
  •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further includes a support panel disposed inside the door front portion to support the control board and the cooling fan.
  • the support panel includes a first area where the control board is disposed and a second area where the control board is not disposed, and the cooling fan is disposed in the second area.
  • the door is rotated upward without unfolding forward and is provided to be able to open both the front and top surfaces of the cooking chamber, so that the door can be opened easily and smoothly even in a narrow space, and food or trays can be opened. Withdrawal of can be mad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 the front and upper surfaces of the door can be opened by the door, more of the tray portion is exposed by opening the door, so that even if only a part of the tray is withdrawn, food can be easily put in or taken out, resulting in improved convenience and stability. can provide.
  • the door since the door is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while rotating in an upward direction without unfolding forward, there is little fear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will shift forward even when the door is opened, and accordingly, the risk of tipping of the cooking appliance is significantly lowered. It has the effect of losing.
  •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door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is formed to be biased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rather tha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the door is opened is Since the cooking appliance is biased toward the rear side, the danger of tipping of the cooking appliance is remarkably reduced, thereby improving safety and ease of us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the operating device on the door,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ize of the housing and provide an entrance of a size sufficient for trays and food to enter and exit, thereby providing improved usability while having a compact appearance. can do.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see-through window is disposed above the door and the operating devic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door, so that even when the cooking appliance is installed in a low position, the user cooks food without lowering his/her posture or bending the waist.
  • An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state and an effect of enabling the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operate the operation switch while facing the cooking appliance from the front may be provided.
  • parts constituting the inside of the door can be stably fixed inside the door, the number of man-hours required for assembly of the door can be reduced, and the assembly of the door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quickly.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occurrence of safety accidents and prevents damage to internal parts of the door due to overheating of the door by ensuring that the temperature can easily rise under the influence of heat and cooling is performed on the part that is likel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user. It can provide an effect that makes it possible.
  •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of the housing and the front of the door, or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front of the door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front-back position of the fastening unit coupled to the position adjustment guide, thereby reducing the tolerance related to the Y-axis gap. management can be carried out efficiently.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occurrence of a phenomenon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door is not properly performed due to the improper management of the tolerance related to the Y-axis gap of the door, and the heat and steam inside the cooking chamber leakag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in a state of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from the front of the housing using the fastening bracket, thereby facilitating tolerance related to the gap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abine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improving the appearance quality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reducing the difficulty of the installation work.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front of the cabinet to be coupled to the housing in a state of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housing from the front of the housing, so that air leakage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ront of the cabinet and the front of the housing is blocked, and cold air is discharged. Cool air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unit effectively.
  • the gaskets are disposed at the point where the door and the housing come into contact, so that the door or the housing is not scratched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door and the housing occurring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ccurrenc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the shock applied to the door when the door closes the cooking compartment can be absorbed by the gaskets,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door itself or parts installed in the door that may occur in the process of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occurrenc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suppress heat and steam generat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from being discharged to the front side of the door during cooking.
  •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dew formation on the door due to steam leaking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housing or water condensation around the door due to dew on the door, so that the cooking appliance and its surroundings are not affected by moisture. Contamina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performance degradation and failure of parts inside the door by allowing heat and water vapor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front part of the door where the control board and operating device are accommodated to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can do.
  • the present invention by properl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first cooling fan inside the door, re-absorption of high-temperature air and water vapor discharged from the cooling fan and the inflow of water vapor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to the inside of the front of the door are suppressed. It is characterized by making it possible.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effect of more effectively reducing the risk of performance degradation and failure of parts inside the door by improving cooling efficiency and water vapor removal efficiency for the inside of the door.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open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and hinge assembly shown in FIG. 1 by being separated;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ide of the door shown in FIG. 5;
  •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door shown in FIG. 6;
  • FIG. 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
  • FIG. 9 is an enlarged view of part "IX" in FIG. 8 .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in FIG. 1 .
  • FIG. 11 is an enlarged view of part "XI" of FIG. 10 .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door shown in FIG. 5 is removed;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III-XIII” in FIG. 12 .
  • 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ploded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shown in FIG. 13;
  •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ocket member shown in FIG. 14 by being separated;
  • FIG. 1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socket member shown in FIG. 15;
  • FIG. 17 is a side view illustrating the socket member shown in FIG. 15;
  • FIG. 1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shown in FIG. 14;
  • FIG. 19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 view showing a change stat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in a door open state.
  •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eparated parts constituting the door front part.
  • FIG. 2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anel shown in FIG. 21 in which it is separated;
  • FIG. 2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shown in FIG. 22;
  • 2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temperature sensor.
  •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racket shown in FIG. 21 after being separated;
  • 2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support panel and a door rear cover.
  • 2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main body and the support panel.
  • 29 to 31 are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front part of the door.
  • 3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 FIG. 3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ouch manipulation unit shown in FIG. 27 .
  • FIG. 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and a second heating unit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heating unit shown in FIG. 34;
  • FIG. 3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heating unit, receiving coil, and electromagnetic shielding plate shown in FIG. 34 by being separated.
  • FIG. 3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the second heating unit, the temperature sensor, the receiving coil, and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late shown in FIG. 34;
  • FIG. 38 is a rear view of the second control board shown in FIG. 34;
  • 39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cover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 board shown in FIG. 38;
  • FIG 4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fr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mponents installed in the door frame, separated.
  • FIG. 4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door frame shown in FIG. 40 and components installed in the door frame in an exploded manner;
  • FIG. 4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oor frame shown in FIG. 41 in a separated manner.
  • 4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a door frame, a first heating unit, and a protective grill;
  • 44 is a bottom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door frame,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protective grill.
  • Reference numeral 4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XXXV-XXXXV" in FIG. 40 .
  • FIG. 4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XXVI-XXXXVI" in FIG. 40 .
  • 4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door frame and a hinge part.
  • FIG. 4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door frame and a hinge part.
  • 4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door frame, a hinge part, and a door.
  • 5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oor front part.
  • FIG. 51 is a view showing water vapor and air flow inside the front part of the door shown in FIG. 50;
  • FIG. 52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the line “XXXXX-XXXXX” in FIG. 1 .
  • FIG. 53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oling passage shown in FIG. 52;
  • FIG. 54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oling passage shown in FIG. 52 .
  • FIG. 55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oling passage shown in FIG. 52;
  • FIG. 5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ir discharge flow into the cooking chamber through the cooling passage shown in FIG. 55;
  • FIG. 57 is a view showing air flow in the cooling passage shown in FIG. 52;
  • 58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9 is an enlarged view of “XXXXXIX” part of FIG. 58 .
  • 60 is a cross-sectional plan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1 is an enlarged view of the “XXXXI” portion of FIG. 60 .
  • FIG. 62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of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3 is an enlarged view of the “XXXXXIII” portion of FIG. 62 .
  • FIG. 64 is an enlarged view of the “XXXXXIV” part of FIG. 59 .
  • FIG. 65 is an enlarged view of “XXXXXXV” in FIG. 61 .
  • FIG. 66 is an enlarged view of the “XXXXXXVI” portion of FIG. 63 .
  • 67 is a bottom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door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8 is a rear view showing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shown in FIG. 67;
  • 69 is a 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door
  • 70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air flow inside the cooking appliance
  • FIG. 71 is an enlarged view of the “XXXI” portion of FIG. 70 by enlarging it.
  • FIG. 7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oor fram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3 is an enlarged view of “XXXXXIII” part of FIG. 72 .
  • FIG. 7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hinge portion shown in FIG. 72 .
  • FIG. 75 is an enlarged view of the “XXXXXXV” portion of FIG. 4 .
  • 7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binet and a housing sepa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cabinet shown in FIG. 75;
  • FIG. 7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75;
  • FIG. 7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XXXXXXXIX-XXXXXXIX” in FIG. 78 .
  •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otherwise stated, the first component may be the second component, of course.
  • a direction toward the floor based on the cente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defined as downward.
  • a direction toward the discharge unit based on the center of the cooking appliance is defined as upward.
  • the downward and upward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 the downward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one side of the first direction, and the upward direc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other direction of the first direction.
  • direction of gravity can be defined as downward,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gravity as upward.
  •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that is, a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viewing the cooking appliance from the front in a state in which the cooking appliance is placed on the floor may be referred to as a left-right direction.
  •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 the right side can be said to be one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 the left side can be said to be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irection.
  •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referred to as a lateral direction.
  • the right side can be said to be one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 the left side can be said to be the other side of the lateral direction.
  • a horizontal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referred to as a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direction.
  • the front may be referred to as one side of the third direction
  • the rear may be referred to as the other side of the third direction.
  • plane directions of extension of the plane parallel to the second and third directions of the cooking appliance may be referred to as plane directions for convenienc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pen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state.
  • a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a door 300, a tray 200, and heating units 400 and 600.
  • the housing 100 forms the skeleton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ccording to this, various parts constituting the cooking appliance ar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and a cooking chamber 105 providing a space for cooking food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 the housing 10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with open top and front surfaces. That is, the housing 100 includes a bottom surface 110, a pair of side surfaces 120 and 130, and a rear surface 140,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top surface and the front surface are provided in an open form. Inside the housing 100, a cooking chamber 105 surrounded by a bottom surface 110, both side surfaces 120 and 130, and a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is formed.
  • a tray 200 is disposed in the cooking chamber 105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
  • the tray 200 is provided so that food is placed on it, and may be detachably install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
  • the tray 200 has a bottom surfac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
  • the tray 20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box shape with an open top and flatt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20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for example, a rectangular plate shape.
  • the four side surfaces of the tray 200 may be formed in a form exten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y 200, respectively.
  • the door 30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and front surfaces of the housing 100 .
  • the door 300 forms the top and front exteriors of the cooking appliance.
  • Such a door 300 may include a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a door front portion 350.
  •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300,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covers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when the door 300 closes the cooking chamber 105 inside the housing 100.
  • the door front part 350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00 and corresponds to a configuration that covers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0 when the door 300 closes the cooking chamber 105 .
  • the door 30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n “a” shape. That is, the door 30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300 and the door front portion 35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00 are connected in an “a” shape.
  •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the door front portion 350 connected in an “a” shape rotate together to open and close the cooking compartment 105. .
  • the door 3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housing 10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0 via a hinge assembly 800 installed on the housing 100 .
  • the hinge assemblies 800 ar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and the rear side of the upper door part 3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assembly 800, respectively.
  • a handle 305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door 300, and 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105 by holding the handle 305 and rotating the door 300 in an up and down direction.
  • the heating units 400 and 600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or the door 300 to heat the tray 200 disposed in the cooking chamber 105 .
  • the heating units 400 and 600 are illustrated as including a first heating unit 400 disposed on the door 300 and a second heating unit 600 disposed on the housing 100 .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door 300 so that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cooking compartment 105 when the door 300 closes the cooking compartment 105. .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is disposed on the bottom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ic heater.
  • the first heating unit 400 may heat food placed on the tray 200 at the top of the tray 200 .
  • the second heating unit 60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and is disposed below the tray 200 .
  • the second heating unit 60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heating unit that heats the tray 200 in a heating metho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for example, an induction heating unit.
  • the second heating unit 6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working coil 610 installed below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and heating the tray 200 at the bottom of the tray 200. can induce To this end, the tray 20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capable of induction heating by the second heating unit 600 .
  • the cooking appliance includes the housing 100 in which the cooking compartment 105 is formed, the door 300 provided to simultaneously open the front and top of the cooking compartment 105, and the cooking compartment. (105)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400 provided to heat the inside from the top, and a second heating unit 600 provided to induction heat the tray 200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It is provided so that the tray 200 can be drawn out and inserted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300 .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and hinge assembly shown in FIG. 1 by being separated;
  • the housing 100 includes a bottom surface 110, a pair of side surfaces 120 and 130, and a rear surface 140 as described above, and a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top and front surfaces are formed. It is provided in an open form.
  • a cooking compartment 105 is formed in the inner space surrounded by the bottom surface 110, both side surfaces 120 and 130, and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and the tray 200 can be drawn out in the cooking compartment 105. .
  • the second heating unit 600 may be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bottom of the housing 100, and the electrical component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econd heating unit 600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0, for example, the second heating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 2 control board 700 may be installed.
  • hinge assemblies 800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sides of both side surfaces 120 and 130 of the housing 100, respectively, and the door 300 is rotatable to the housing 100 through coupling with the hinge assembly 800 installed in this way can be installed
  • the housing 100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a metal plate is bent in a “ ⁇ ” shape and the bent metal plate forms the lower surface and both side surfaces of the housing 100 .
  •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can be integrally connected to both side surfaces 120 and 130 without a joint.
  • the housing 100 forms the bottom surface 110 and both side surfaces 120 and 130 of the housing 100 by folding the left protruding part and the right protruding part of the " ⁇ " shaped metal plate upward, respectively, and protruding the rear side. It may be manufactured in a form in which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is formed by folding the portion upward. When the housing is manufactured in this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0 ( 110), both side surfaces 120 and 130, and the rear surface 140 can be integrally formed.
  • the inn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05 becomes almost invisibl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05 maintains a smooth plane, so that the aesthetics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is further improved, An effect of facilitating the removal of contaminants deposi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05 can be further obtained.
  •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may include ceramic glass, and the ceramic glass may have a rectangular flat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 ceramic glass may be disposed in the cut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110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such ceramic glas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heating unit 600 and the tray 200 .
  • a rear case 150 accommodating a second control board 70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behind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is accommodated in the rear case 150 and installed behind the housing 100, and an insulating plate 160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and the rear case 150. .
  • the insulating plate 160 blocks heat from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side through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and the rear case in which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is installed. It serves to insulate between the 150 and the housing 100.
  • the housing 1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abinet 170 .
  • the cabinet 170 is provided to cover both side surfaces 120 and 130 and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
  • the cabinet 170 surrounds and protects the hinge housing 800 installed on both side surfaces 120 and 130 of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from the outside, and cooking It can form the side and rear appearance of the device.
  •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ed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bottom side of the door shown in FIG. 5
  •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door shown in FIG. 6 by disassembling it
  • FIG. 8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shown in FIG. 1
  • FIG. 9 is a “IX” portion of FIG. It is an enlarged view shown by enlarging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X-X” in FIG. 1
  • FIG. 11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portion “XI” in FIG. 10 in an enlarged manner.
  •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forming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300 and the door front portion 350 forming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300 form an "a" shape. It is provided in an integrally connected form.
  •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is formed in a square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length in the left-right direction longer than the leng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 a door frame 320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
  • the door frame 320 is installed below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may be installed below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in a form coupled to the door frame 320. .
  • the door 300 may include a viewing window (W).
  • the viewing window (W) is disposed o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may be provided to be position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in a planar direction.
  • the viewing window W may include a pair of glasses 330 and 33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so as to form a space therein.
  • one of the glasses 3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glass”)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door portion 310, and the other glass 335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frame 3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glass”). referred to as “second glass”).
  • Through-holes may be formed i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the door frame 320, respectively.
  •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in the planar direction and at the center of the door frame 320 in the planar direction, respectively.
  • the first glass 330 is installed on the door upper surface 310 while covering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upper surface 310 from the top
  • the second glass 335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320 It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320 while covering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part.
  • the first glass 330 and the second glass 335 may be formed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glass, and the viewing window W is a portion of the through hole covered by the first glass 330 and the second glass 335. can be formed in
  • the user can look down on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5 from above through the viewing window W formed in this way, and can check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through this. Due to the nature of the mini-oven, it can be said that the frequency of using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is high at a point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user's face. Therefore, the viewing window W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300 can be provided as a means for the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cooking state of the food without lowering his/her posture or bending down.
  • the pair of glasses 330 and 335 forming the viewing window W have different configurations, that is, one is coupled to the upper door portion 310 and the other to the door frame 320, and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Accordingly, a separation space between the two glasses 330 and 335 is formed inside the viewing window W.
  • the first glass 33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the second glass 335 is installed on the door frame 320, so the first glass 330 and the second glass
  • the spaces 335 may be spaced at least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
  • a separation space is formed at least as much as the thickness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so that the two glasses are formed inside the viewing window (W).
  • a separation space between (330 and 335) may be formed.
  • air may be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space formed in this way,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paration space may form an air layer in the separation space.
  • the air layer formed in the spaced-apart space formed in this way serves to block heat from heating the second glass 335 directly exposed to the cooking chamber 105 from being transferred to the first glass 330 located on the outermost side.
  • the viewing window (W) provided in the double-glazed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a function that can significantly prevent safety accidents due to overheating of the viewing window (W) and fogging due to temperature rise of the viewing window (W). .
  •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may be formed with a narrower width than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frame 320 .
  •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may be formed to be located in an inner region of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frame 320 when viewed from above.
  •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may be formed so that the inner edge of the door frame 320 is not expos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W when viewed from above.
  • the door frame 320 since the door frame 320 may not be exposed through the see-through window W, there is an advantage in aesthetics.
  • the first heating part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part 310 of the door, and is disposed in an area not expos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W when viewed from above.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on a front outer side and a rear outer side of the viewing window W, respectively, on a horizontal plane formed by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
  • the first heating unit 4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door upper surface 310 and the door frame 320 , respectively. That is,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pair of first heating units 400 respectively disposed on the front outer side and the rear outer side of the viewing window W.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W), it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a problem occurs in securing the view through the viewing window (W), and the temperature of the viewing window (W) rises. Problems can also arise.
  • the first heating unit 400 must be disposed on the front outer side and the rear outer side of the viewing window W to perform the first heating.
  • the length of the unit 400 can be increased by that much, and as the length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increased, the thermal power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be improved.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on the front outer side and the rear outer side of the viewing window W, respectively, thereby maintaining the aesthetic appearance, securing the view, suppress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viewing window W,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It becomes advantageous to secure functional advantages such as improving the firepower of the 400.
  • the door front part 35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However, if the door upper part 310 forms a horizontal plane, the door front part 350 forms a vertical plane.
  • the door front part 350 may be formed to extend downward from the front end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 Furth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door front part 350 and the door upper part 310 can be made in such a way that the inner space of the door front part 350 and the inner space of the door upper part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at is, the door 30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door front portion 350 and the door top portion 310 are integrally connected in an “L” shape.
  •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
  • a space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door front portion 350 . In this sp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accommodated.
  • the operating device 1000 may include various operating switch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operating device 1000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on the front of the door front part 350, and the user may directly manipulate the operating device 10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cludes various types of control signals related to reception of manipulation signals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device 1000 and generation of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600. Elements, circuits, and the like are provided.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requi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ng device 1000 ,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600 .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and is disposed very close to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disposed on the same door 300. It is also disposed in a position considerably close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 the operating device 10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 a form directly mount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each operation switch provided in the operation device 100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hrough the door front part 350 .
  • the first heating unit 4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a cable installed through the inside of the door front part 350 and the inside of the door upper part 310 connected to each other.
  • first control board 500,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which are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re disposed in a very close and spatially connected position, work to establish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m This can be done easily and quickly,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m can also be maintained in a very stable state.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cable mounting portions 340 and 345 .
  • the cable mounting portions 340 and 345 are disposed betwee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the door frame 320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re respectively disposed outside both sides of the viewing window W.
  • connecting members 343 are disposed on the front outer side and the rear outer side of the viewing window W, respectively.
  • the pair of connection members 343 connect the pair of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respectively. That is, the pair of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nd the connecting member 343 may be provided in a “ ⁇ ” shape surrounding the viewing window W from the outside.
  • the combination of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nd the connection member 343 provided in this way is installed on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in a form inserted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and the door frame 320. .
  • the inside of the door upper part 310 in which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re installe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door front part 350. And, i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installed on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e first heating unit ( 400), cables C1 and C2 connecting between them are installed.
  • a power cable (C2) for supplying power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installed in one of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disposed outside both sides of the viewing window W, respectively.
  • the other one of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disposed outside the both sides of the viewing window W has a signal cable C1 that transfers the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 can be installed.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round the viewing window (W), and the power cable (C2) and the signal cable ( C1) are arranged respectively.
  •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the power cable C2, and the signal cable C1 is the result of design consider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hinge assembly 800.
  • each of the first heating units 400 is disposed in a form in which the heating element extend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Further, the hinge assembly 800 (see FIG. 3 )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viewing window W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power cable (C2) and the signal cable (C1) are not only components disposed on the door 300, such as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but also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68), etc., are also connected to components disposed in the housing 100.
  • the hinge assembly 800 which is the only connecting part between the door 300 and the housing 100 It would be most desirable to pass through the part where is placed.
  • a connection section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door 300 of the power cable C2 and the signal cable C1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hinge assembly 800.
  • the power cable (C2) and the signal cable (C1) are disposed farther from the heating element as much as possible while maintaining the direction of extension of the heating element Is preferably arranged to extend in different directions.
  • the power cable (C2) and the signal cable (C1) are dispos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with the viewing window (W) therebetween, and may be installed in different cable mounting parts (340, 345).
  • the power cable C2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any one of the hinge assemblies 80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and is installed i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djacent thereto, and the signal cable C1 is on both sides It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any one of the hinge assemblies 800 disposed and be installed i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djacent thereto.
  • the power cable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hinge assembly 800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housing 100 and is installed i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door 300
  • the signal cable C1 is It ma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hinge assembly 800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housing 100 and be installed o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door 300 .
  • the cable mounting portions 340 and 345 and the connection member 343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glass 330 and the second glass 335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nd the connecting member 343 ar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glass 335, and the first glass 330 may be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nd the connecting member 343. .
  • Mounting grooves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cable mounting portions 340 and 345 in contact with the first glass 330 and the lower surfaces of the cable mounting portions 340 and 345 in contact with the second glass 335 .
  • Mounting grooves may also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343 in contact with the first glass 33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343 in contact with the second glass 335 .
  • a sealing member (S) may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each mounting groove. That is, betwee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nd the first glass 330, betwee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nd the second glass 335,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343 and the first glass 330, an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343 and A sealing member 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glass 335 , respectively.
  • sealing betwee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nd the connecting member 343 and the first glass 330 and betwee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nd the connecting member 343 and the second glass 335 using the sealing member (S). structure can be formed.
  • the airtight structure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contribute to preventing moisture from entering between the glasses 330 and 335 and causing moisture or dew to form on the glasses 330 and 335 .
  • the operating device 1000 may include various operating switche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the operating device 1000 may be provided to be exposed on the front of the door front part 350, and the user may directly manipulate the operating device 1000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 control device 1000 may include a control switch for selecting the type and state of an object to be cooked, a control switch for selecting a cooking degree or cooking time, and the like.
  • control device 1000 may include a control switch for controlling the on/off or heating power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see FIG. 3), and the on/off or heating power of the second heating unit 600 (see FIG. 3).
  • An operation switch for adjustment, a timer operation switch for adjusting the operation time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or the second heating unit 600 may be included.
  •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two operating switches. One of these may be provided as a manipula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type and state of a cooking object, and the other may be provided as a manipulation switch for selecting a cooking degree or cooking time.
  • At least one of the manipulation switches may be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rotation manipulation and pressing manipulation.
  • each operation switch is provided in a form capable of rotating and pressing operations.
  •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illustrated as including operating switches each having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At this time, each control switch may be provided to implement different functions using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
  • both operation switches ar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configuration enabling rotation operation and push operation, and one of the switches may be provided as an opera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type and state of the cooking object, The other may be provided as a control switch for selecting a cooking degree or cooking time.
  • the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will be described by taking one of the two operating switches as an example.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the door shown in FIG. 5 is removed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III-XIII” in FIG. 12
  • FIG. 14 is a configu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shown in FIG.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 the operating device 1000 includes an operating switch, and the operating switch may include a shaft 1100 and a knob 1300 .
  • the shaft 1100 is provided in the encoder 1200 provided in the operating device 1000.
  • the shaft 110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xis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shaft 1100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around an axi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encoder 1200 may be provided to detect the rotational angle of the shaft 1100.
  • the encoder 1200 is illustrated as being install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encoder 120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disposed inside the front portion 350 .
  • the encoder 12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encoder 1200 may detect a rotational angle or axial movement of the shaft 1100 and transmit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result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400 (see FIG. 3) and a second heating unit 600 (see FIG. 3)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encoder 1200 and a light emitting member 170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 the knob 1300 is a component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rotate it.
  • the knob 1300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1100 by being coupled with the shaft 1100 .
  • the knob 1300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1100 so as to rotate and move along with the shaft 1100 in the axial direction.
  • the knob 1300 may include a shaft coupling part 1310 .
  •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10 may be formed in a lying cylindrical shape.
  • a shaft coupling hole 1311 may be formed inside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10 .
  • the shaft coupling hole 1311 is concave inside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10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haft 1100 .
  • the shaft coupling hole 1311 may open toward the rear of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10 . Also, the front of the shaft coupling hole 1311 may be closed by the front side of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10 . Due to the shape of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10, the installation position and insertion depth of the shaft 1100 coupled to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10 may be guided.
  • the manipulation device 10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ocket member 1600.
  • the socket member 1600 is provided to support the knob 1300 to the door 300 so as to be rotatably and axially movable.
  • the socket member 16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oor 300, more specifically, the door front part 350.
  • the socket member 16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to accommodate the encoder 1200 install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Further, the shaft 1100 connected to the encoder 1200 may protrude toward the front of the socket member 1600 through a substantially center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ocket member 1600 .
  • the socket member 1600 has a role of accommodating the encoder 1200 therein and protecting the encoder 1200, a role of supporting the knob 1300 coupled with the shaft 1100 from the outside in the diametrical direction, and a knob from the rear ( 1300), a role of defining a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like.
  • the operating device 10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member 1700.
  •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is install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can be turned on by operation control performed through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o emit light.
  •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socket member 1600 . Further, a passage for passing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to the front of the socket member 1600 may be formed in the socket member 1600 .
  • the path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is defined by the socket member 1600, and this light is used for the operation state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state of operation control achiev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It can serve as a display of information.
  • the operating device 10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member 1700 for mood lighting.
  • Each light emitting member 1700 for mood lighting is installed on one control board 500 and may be disposed behind the socket member 1600 .
  •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may be disposed radially inner than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
  • each light emitting member 1700 may pass through the socket member 1600 through a passage formed in the socket member 1600 and be radiated to the rear of the knob 1300 .
  • the passage may be formed in a form penetrating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part 1630 . More specifically, the passage may be a hole formed between a plurality of rib-shaped portions 1633 arranged radi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Mood lighting implemented by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as described above may provide indirect lighting that illuminates the rear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without being directly radiated to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 Such mood lighting may provide welcome lighting notifying that the operating device can be manipulated in the operation standby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mood lighting implemented by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may provide mood lighting capable of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operating device, and may provide lighting enabling the operating device to be operated even in a dark place.
  • FIG.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ocket member shown in FIG. 14 in which it is separated
  • FIG. 16 is a front view of the socket member shown in FIG. 15
  • 17 is a side view showing the socket member shown in FIG. 15
  • FIG. 18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shown in FIG. 14,
  • FIG. 19 is a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socket member 1600 may include an outer support part 1610 .
  • the outer support portion 1610 may include a surface extending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outer support portion 161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umbent cylindrical shape.
  • the outer support portion 161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knob 1300 in a radial direc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knob 1300 may be inserted into an area surrounded by the outer support portion 1610 .
  • the knob 130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pport 1610 in such a way that its rear e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1610 . 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knob 130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1610 . As a result, the knob 1300 can be rotatably and axially movably supported on the socket member 1600 .
  • An insertion groove 1611 may be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support 1610, that is, on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1610 adjacent to the rear end of the knob 1300.
  • the insertion groove 1611 may be concavely formed in a centrifugal direct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part 1610 .
  • a rear end of the knob 13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611, and through this, coupling between the knob 1300 and the socket member 1600 may be achieve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ocket member 1600 may further include an inner support part 1620 .
  • the inner support portion 1620 may include a surface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inner support portion 162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substantially recumbent cylindrical shape.
  • the inner support part 1620 may be disposed inside the outer support part 1610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inner support part 16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encoder 1200 and the outer support part 1610 . Also, the encoder 1200 may be inserted into an area surrounded by the inner support 1620 . That is, the inner support part 1620 may be provided in a form surrounding the encoder 1200 inside the outer support part 1610 .
  • the socket member 16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nnection support portion 1630 supporting the outer support portion 1610 and the inner support portion 1620 .
  •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1630 may connect the outer support 1610 and the inner support 1620 to each other and support the outer support 1610 and the inner support 1620 .
  •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1630 may be disposed behind the outer support 1610 and the inner support 1620 .
  •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part 1630 forms the rear surface of the socket member 1600, and the outer support part 1610 is formed at the rear of the outer support part 1610 and the inner support part 1620. And the inner support portion 1620 may be supported.
  • the socket member 1600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and can be coupled with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stall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
  •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part 1630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socket member 1600 will be a coupling surface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portion 1630 may include a flange-shaped portion 1631 and a rib-shaped portion 1633.
  • the flange-shaped portion 1631 may protrude from the inner support portion 1620 in a centrifugal direction.
  • the flange-shaped portion 1631 may be formed in a form protruding from the inner support portion 1620 in a flange shape.
  • the rib-shaped part 1633 connects between the flange-shaped part 1631 and the outer support part 1610.
  • the rib-shaped portion 1633 may be formed in a rib shape protruding in a centrifugal direction from the flange-shaped portion 1631 . Between the flange-shaped portion 1631 and the outer support portion 1610, a plurality of rib-shaped portions 1633 may be radially disposed.
  • the rib-shaped portion 1633 provided as described above can effectively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entire socket member 1600 while suppressing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entire socket member 1600 .
  • the inner support part 1620 may be disposed behind the shaft coupling part 1310 of the knob 1300.
  • the inner support part 1620 supports the shaft coupling part 1310 of the knob 1300 moving backward from the rear, thereby suppressing the excessive movement of the knob 1300, and through this, the shaft 1100 and the encoder 1200 ) can play a role in preventing excessive load from being applied.
  • the inner support part 1620 is supported by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part 1630, and some degree of elasticity may be imparted between the inner support part 1620 and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part 1630.
  • the socket member 1600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and the outer support portion 1610, the inner support portion 1620, and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portion 1630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flange-shaped portion 1631 of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portion 1630 and the rib-shaped portion 1633 may be connected by a skirt-shaped portion 1635 .
  • the skirt-shaped portion 1635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back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shaped portion 1631 . Accordingly, the flange-shaped portion 1631 and the rib-shaped portion 1633 may be connected in an “a” shape, and between the inner support portion 1620 and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portion 1630 and the outer support portion 1610 and the first connection. Elasticity may be imparted between the support parts 1630 .
  • the inner support 1620 when the inner support 1620 is pressed backward while the knob 1300 is pressed, the inner support 1620 elastically supports the knob 1300 and can stably suppress the knob 1300 from moving backward.
  • the inner support 1620 may apply force necessary for the knob 1300 to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while restoring the knob 1300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force pressing the knob 1300 is released.
  • a light passage hole 1640 may be provided in the socket member 1600 .
  • the light passage hole 1640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socket member 1600, more specifically, the outer support part 16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light passage hole 164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install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70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is disposed behind the outer support 1610, and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outer support 1610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700 may be disposed behind the outer support 161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pport 1610 .
  • a plurality of light passage holes 1640 are provided in the outer support 1610, and the plurality of light passage holes 1640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overlappi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70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light-emitting member 1700 and the light-passing hole 1640 may be disposed in a form in which one light-emitting member 1700 is inserted into each light-passing hole 1640 .
  • each of the light emitting members 1700 may pass through the socket member 1600 through each light passage hole 1640 disposed in front of each light emitting member 1700 and may be radiated forward. . That is, the movement path of light emitted from each light emitting member 1700 may be guided by each light passage hole 1640 dispos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 As a result, which light emitting member 1700 among the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1700 is lit can be clearly recognized from the outside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
  • the socket member 16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upling part 1420 .
  • the first coupling part 1420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1651 and a first coupling protrusion 1653 .
  • the first protrusion 1651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pport 1610 in a centrifugal direction.
  •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653 may be formed to protrude backward from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651 .
  •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653 can be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510 formed i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rough this, coupling between the socket member 16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achieved. .
  • the position of the first coupler 1420 on the socket member 1600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light passage hole 1640 and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 That is, when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653 is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510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he first coupling portion 1420 determines th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ight passage holes 1640 and the plurality of light passing holes 1640. It is preferable to arrange the position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at a position that can be match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first coupler 1420 may serve to guide a location where the socket member 1600 is to be install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That is,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ocket member 1600 can be guided to a preset position simply by fitting and coupling the first coupling part 1420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socket member 16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upling portion 1660 .
  • the second coupling part 1660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661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1663 .
  • the second protrusion 1661 may protrude from the outer support 1610 in a centrifugal direction.
  •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663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661 .
  • the second coupling part 1660 is provided for coupling between the front cover member 1800 and the socket member 16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protrusion 1661 may be fitted into the front cover member 1800, and through this, coupling between the front cover member 1800 and the socket member 1600 may be achieved.
  • the socket member 16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arts 1420 and second coupling parts 1660 .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socket member 1600 is provided with two first coupling parts 1420 and four second coupling parts 1660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number of first couplers 1420 and second couplers 1660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s needed.
  • the socket member 16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upling part 1670 .
  • the third coupling portion 1670 may be formed to protrude backward from the first connection support portion 1630, more specifically, the flange-shaped portion 1631.
  • the third coupling part 1670 may be formed in a hook shape.
  • the third coupling part 1670 can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hrough the fastening hole 520 formed i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hrough which the socket member 16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the socket member 16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ird coupling parts 1670 .
  • the plurality of third coupling parts 167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lange-shaped part 1631 . Since the plurality of third coupling parts 1670 arranged in this way are coupl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t a plurality of points, the coupling between the socket member 16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stably achieved.
  • the knob 1300 is configured to be rotated by a user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1100 through a shaft coupling part 1310 .
  • the knob 1300 may further include a skirt portion 1320 .
  • the skirt portion 132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axial coupling portion 1310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skirt portion 1320 may include a surface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skirt portion 132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 the knob 1300 including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10 and the skirt portion 1320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10 and the skirt portion 1320 form concentric circles.
  • the knob 13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nection support 1330 .
  • the second connection support part 133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haft coupling part 1310 and has a disk shape connecting between the shaft coupling part 1310 and the skirt part 1320 at the rear of the shaft coupling part 1310. It can be.
  • the second connection support portion 133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serves to connect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10 and the skirt portion 1320 to each other, while preventing the skirt portion 1320 from sinking in the centripetal direction. 1320) may also be provided together.
  • connection support part 133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side of the inner support part 1620 provided in the socket member 1600, and moves the inner support part 1620 backward when the knob 1300 moves backward. It can also be a part that is pressed with .
  • the operating device 10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knob cover 1350.
  • the knob cover 135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rear.
  • the knob cover 135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1320 to surround the knob 1300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 a coupling groove 1321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1320 .
  • the coupling groove 1321 may be concavely formed in a centripetal direction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1320 .
  • the knob cover 1350 may be installed on the skirt portion 132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1321 .
  • the knob cover 1350 may be installed on the knob 1300 so as not to protrude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from the skirt portion 1320 . That is, the knob cover 1350 may be formed on the skirt portion 1320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1320 adjacent to the knob cover 1350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 the knob cover 1350 may include a front portion 1360 and a side portion 1360 .
  • the front portion 1360 may include a surface intersecting an axis extendi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rt 1360 may be formed as a plane that is coplanar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front part 350 . Also, when the knob cover 1350 is installed on the knob 1300,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ortion 136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haft coupling portion 1310 and the skirt portion 1320. As the rear surface of the front part 136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haft coupling part 1310 and the front end of the skirt part 1320, the front and rear position of the knob cover 1350 installed on the knob 1300 can be guided. .
  • the knob cover 1350 is a portion that the user holds by hand to manipulate the knob 1300 and corresponds to a portion forming the appearance of the knob 1300 . Therefore, it should be provided with a material and shape suitable for the user to hold and manipulate by hand, as well as to look good in terms of aesthetics.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portion 1360 forming the side appearance of the knob cover 1350 is in the same plane 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kirt portion 1320 not covered by the knob cover 1350.
  • the front surface of the front part 1360 forming the front appearance of the knob cover 1350 may be installed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front surface of the pressing part 1410 of the button 1400.
  • the operating device 100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imple and smooth appearance without a convex protrusion or a concave depression, there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felt by the user through aesthetics.
  • the operating device 10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ront cover member 1800.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knob 1300 in a radial direction.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oor front part 1360 so as to be exposed to the front of the door 300 .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may be disposed outside the knob 1300 in the radial direction, and may be disposed in a form surrounding the knob 1300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ring shape surrounding the knob 1300 from the outside in the radial direction.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ocket member 1600 and coupled to the front of the socket member 1600 .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may serve to shield the socket member 1600, more specifically, the outer support 1610 from the front of the socket member 1600.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formed in a ring shape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support 1610 viewed from the front.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may be coupled to the socket member 1600 to cover the outer support portion 1610 from the front. Accordingly, the front of the light passage hole 1640 formed in the outer support 1610 is shielded by the front cover member 1800, so that the light passage hole 1640 and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behind the front cover member ( 1800) and is invisible from the outside.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may be formed of a translucent or semi-transmissive material.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of a translucent material having a metallic texture.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serves to cover the socket member 1600, the light passage hole 1640, which is a hole formed therein, and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It can provide a function to make the light emitted by the diffused look soft.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can be used as a finishing material that invisiblely covers a part that is unnecessari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300 and can damage aesthetics, and makes the finished part look more luxurious through a metal texture. In addition to providing an advantage, it can provide a function that allows the light shining through the part to appear softly spread.
  • Lighting of each light emitting member 1700 may be performed in conjunction with rotation of the shaft 1100 .
  • the corresponding light emitting member 1700 may be turned on, and when the shaft 1100 continues to rotate, another light emitting member 1700 may be turned on correspondingly.
  • rotation of the shaft 1100 may be detected by the encoder 1200 .
  • the information about the rotation of the shaft 1100 obtained by the encoder 1200 is generated as an operation signal, and the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receives it to control the lighting of the light emitting member 1700. there is.
  • a coupling boss 181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cover member 1800 .
  • the coupling boss 1810 may be formed to protrude backward from the front cover member 1800 .
  • the coupling boss 1810 may be fitted wit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660 of the socket member 160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protrusion portion 1661.
  • a plurality of coupling bosses 1810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cover member 1800 .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number of coupling bosses 1810 may be determin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position and number of second coupling parts 1660 .
  • an insertion groove 1611 may be provided in the socket member 1600 coupled to the front cover member 1800 as described above.
  • the insertion groove 1611 may be concavely formed in a centrifugal direction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portion 1610 .
  • a protrusion 1340 may be provided on the knob 1300 .
  • the protrusion 1340 may protrude from the rear end of the skirt 1320 in a centrifugal direction.
  • the protrusion 1340 formed in this way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611 and can be slidab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support 1610 through this.
  • the insertion groove 1611 may be formed to open toward the inside and the front of the socket member 1600 .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socket member 1600 to shield the open front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611 .
  • the protrusion 1340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surrounded by the insertion groove 1611 and the front cover member 1800 .
  • the protrusion 134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611 through the open front side of the insertion groove 1611, and thus the knob 1300 can be installed on the socket member 1600 to be mov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 is.
  • the front cover member 180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ocket member 1600 in which the knob 1300 is installed, the forward movement of the knob 1300 is restricted and the knob 1300 is prevented from leaving. .
  • hinge assemblies 800 may be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
  • the hinge assemblies 80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so as to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ray 20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 the rear side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each of the hinge assemblies 800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
  • the left corner and the right corner of the rear side of the upper door part 310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assembly 800 respective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
  • the door 300 opens and closes the upper and front surfaces of the housing 100 by rotating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round the rear side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assembly 800 as described above.
  • Each hinge assembly 800 may include a hinge case 830, a hinge portion 810, and a mounting protrusion 820.
  • the hinge case 830 forms the exterior of the hinge assembly 800 .
  • the hinge case 830 may accommodate the hinge portion 810, a portion of the holding protrusion 820, and the conversion output unit 840 therein.
  • various structures for supporting the hinge portion 810 and a cooling passage 850 (see FIG. 53)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formed.
  • the hinge part 810 may be installed in the hinge case 830 so as to be positioned in a changeable manner.
  • the hinge part 810 may be installed in the hinge case 830 so as to rotate along a trajectory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door 300 .
  • An upper end of the hinge portion 810 may be coupled to the door 300 .
  • the hinge part 810 coupled with the door 30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door 300 to change its posture.
  • the door 300 coupled with the hinge portion 810 may be guided in its rotational trajectory and range by the hinge portion 810 .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includes various types of configurations for preventing the cooking appliance from being overturned forward.
  • 20 is a view showing a change state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in a door open state.
  • the hinge portion 810 is disposed on both side surfaces 130 of the housing 100, and is respectively disposed on a side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That is, the hinge part 810 is disposed at the rear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respectively.
  • the hinge part 810 is coupled to the door 300 and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upper door part 310 . That is, the hinge part 810 is coupled to the rear of both sides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respectively, and the door 300 moves vertically around the rear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coupled with the hinge part 810 in this way.
  • the cooking chamber 105 can be opened or closed while rotating.
  • the door 300 When the door 3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front and top surfaces of the housing 100 are open (hereinafter referred to as “open state”), the front and top surfaces of the housing 100 are closed (hereinafter referred to as “closed state”). ), it can be rotated around the rear side of the upper door part 310 so as to be located rearward than when it was ).
  • the door 300 rotates around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so that when it is open than when it is closed, its position may be biased towards the rear.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is shifted backward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the door 300 is open. can do.
  • the door 300 rotates around the rear sid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and thus is in a closed state.
  • the position of the door 300 is biased toward the rear, so that when the door 300 is in an open stat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is biased backward from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G 1 ⁇ G 1 ').
  • the door 300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length of the door front part 35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at is, when the door 300 is in a closed state, the length of the door front part 35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door upper part 3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 the weight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in the door 300 is greater than the volume occupied by the door front portion 350, and accordingly, the weight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out of the total weight of the door 300
  • the proportion occupied is greater than the proportion occupied by the door front portion 350 .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is positioned more rearward than the center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door 300 (G 2 ⁇ G 2 ′).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gradually moves backward.
  • the door front part 350 is disposed on the front side and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thereof.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can move backward more rapidly when the door 300 rotates backward.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entire cooking appliance can also move backward more quickly.
  • the length of the front part 35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part 3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door.
  • the door 300 is provided, and thu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and the cooking appliance can move backward more rapidly when the door 300 is rotated backward.
  • the door 300 is provided with a first heating unit 400 and a viewing window W,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viewing window W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 the viewing window W may include a pair of glasses 330 and 335 (see FIG. 11).
  • glass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weighs a lot. Therefore, when the viewing window W formed of glass is disposed on the upper door portion 310, the weight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is inevitably increased.
  • the viewing window W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pair of glasses 330 and 335, that is, two layers of glass, and therefore, the weight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is inevitably increased by that much.
  • the weight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out of the total weight of the door 300 is greater than the weight of the glass forming the viewing window (W). will lose
  • first heating units 400 are disposed on the bottom side of the upper door part 310 .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on the front outer side and the rear outer side of the viewing window W, respectively.
  • One of the first heating units 40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upper part 310 adjacent to the hinge part 810 .
  • the weight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out of the total weight of the door 300 is equal to the weight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it gets bigger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can be moved further rearward by the first heating unit 400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djacent to the hinge portion 810, thereby moving the door 300 further.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and the cooking appliance may move backward more rapidly.
  •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viewing window W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and accordingly When the door 300 rotates backwar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moves more rapidly backward.
  • the door 300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oor 300 can be moved backward during rearward rotation, and the length of the door front part 350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length of the upper door part 31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It is provided in a shorter form, and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viewing window (W) ar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part 310 of the door.
  • the door 300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cooking compartment 105 is opened and the tray 200 is drawn forward, the door 300 itself moves to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while the rear side of the door 300 It is provided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quickly moves backward according to rotation.
  • the door 300 When the cooking chamber 105 is opened and the tray 200 is drawn forward, the door 300 provided in this way acts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is biased backward from the cen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so that the cooking appliance can contribute to significantly lowering the risk of forward conduction.
  • the door 300 rotates around the rear side of the upper door part 310 coupled with the hinge part 810.
  • the hinge part ( 810) side When the door 300 is in an open state, most of the load of the door 300 is applied to the hinge part ( 810) side.
  • the hinge part 81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the door 300 is in an open state, most of the load of the door 300 eventually acts intensively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moves to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s much of the weight of the door 300 is concentrat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fourth configuration provided to prevent the cooking appliance from being overturned forward when the door 300 is opened, so that most of the load of the door 300 is concentrat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so that the effect of being concentrat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additionally applied.
  • the coupling point between the 300 and the hinge 81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magnitude of the moment acting on the door 300 side may be determined by the force acting on the door 30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at which this force acts and the rotation axis (the door and the hinge unit coupling part). At this time, unless a separate force is applied, it will be said that only gravity acts on the door 300, and since gravity acts on the entire part of the door 300, it can be seen that gravity acts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can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moment increases a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moves away from the joint between the door 300 and the hinge part 810 (M 1 ), and decreases a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moves closer (M 2 ).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also moves rearward, and accordingly, the magnitude of the moment acting on the side of the door 300 also increases. can be reduced together (M 1 ⁇ M 2 ).
  • the magnitude of the moment acting on the cooking appliance due to the door 300 can be reduced,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the cooking appliance being overturned forward.
  • the fifth configuration provided to prevent the cooking appliance from being overturned forward when the door 300 is opened is the door 300 so that the moment acting on the cooking appliance due to the door 300 can be reduced. I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is biased towards the rear.
  •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re disposed on the front part 350 of the door, and the viewing window W and the first heating part 400 are disposed on the upper part 350 of the door. are placed
  • This layout structure is not an arbitrarily selected layout structure, but a layout structure derived as a result of design for maximall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safety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instead of the door upper part 310 .
  • a see-through window (W) is disposed on the upper door portion 310, and since this see-through window (W) occupies most of the area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the upper door portion 310 is suitable for the operation device 1000 to be disposed. It is difficult to find the right space.
  • a first heating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in addition to the viewing window W.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a heating component that generates high heat, and the upper part of the door 310 covers mos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lass 330 in order to suppress the temperature rise of the outer surface that can be contacted by the user. Available in covered form.
  • the thermal conductivity of the glass 330 is lower than that of the metal material that forms the outer frame of the door 300, mos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310 is covered with the glass 330, so that the first heating unit This is to minimize the increase in temperatur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which is accessible to the user,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400 or the like.
  • the area where the operating device 1000 can be installed is the flat surface of the viewing window (W). It is limited to the area outside the direction.
  • this area is directly above the first heating unit 400, when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installed in this area,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inevitably exposed to high-temperature heat.
  • the door upper part 310 is inevitably placed at a higher temperature than the door front part 350.
  • the temperature of the door upper part 310 is most likely to be higher than that of the door front part 350 .
  •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upper door portion 310, not only adversely affects the operating device 1000 itself, but also causes burns when the us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door portion 310 during the user's manipulation process. The risk of getting hurt increases.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on the upper door portion 310 so that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facing the second heating unit 600 with the tray 200 interposed therebetween. It is the result of design for In this way, the first heating unit 400 must be disposed above the tray 200 to evenly heat the food placed on the tray 200 from above. must be placed in
  • the viewing window (W) when the viewing window (W) is disposed above the cooking appliance, the user can look down on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5 from above through the viewing window (W) formed on the top of the cooking appliance, so that the user does not lower his posture or bend his back. You can easily and conveniently check the cooking status of food without having to use it. To this end, the viewing window (W) has no choice but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see-through window 400 are disposed on the upper door part 310, and thus, most of the area of the upper door part 310 is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viewing window 400.
  •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instead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
  • the door front part 350 which is the surface facing the user, the user can more easily recognize the control device 1000, and the user can operate the control device 1000 more easily. can be done comfortably.
  • the door front part 350 is a part that does not need to be installed with parts that take up a lot of volume compared to the door upper part 310 . That is, since heavy and large parts such as the see-through window 400 or the first heating unit 400 are not install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the inside of the door front part 350 is more spacious than the door upper part 310. I can afford it.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disposed in the space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 Since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as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advantages are obtained.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cludes various types of control signals related to reception of manipulation signals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device 1000 and generation of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600. Elements, circuits, and the like are provided.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Whe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positioned very closely.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a component that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ng device 1000 in order to receive an operating signal input through the operating device 1000 .
  • the operating device 10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 a form directly mount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Connections between the substrates 500 can be made very efficiently.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stall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can be disposed in a position fairly close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ontrol boards 500 can also be made very easily and efficiently.
  • the operating device 1000 when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as exemplified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placed in a relatively free space avoiding the door upper surface 310 where the installation space is not suitable. ) can be installed, so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such as the size, number, and position of the control switch, can be increased, and operation stability and use safety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improved due to being less affected by high temperature, as well as the control device 100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be made very easily and efficiently.
  • a relatively heavy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a relatively lightweight component is disposed on the door front portion 350 .
  • the relatively heavy viewing window (W)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are disposed on the door upper part 310 and the control device 1000 is relatively light on the door front part 350 and Since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disposed, the upper door portion 310 is relatively heavier than the door front portion 350, and accordingl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shifts to the rear of the door 300. lean more to the side.
  • the door 300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vertical length of the door front part 350 is short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oor 300 is toward the rear side of the door 300. It is clearly focused.
  • the hinge part 810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when the door 300 is in an open state, most of the load of the door 300 eventually acts intensively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ooking appliance moves to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as much of the weight of the door 300 is concentrated on the rear sid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door 300 instead of the housing 100.
  • the door 300 includes a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and a door front portion 350 disposed on the front side.
  • the viewing window (W) which occupies most of the door area in conventional cooking appliances,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sufficient space is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350 of the door to accommodate the operating device 1000.
  • the inside of the door front portion 350 is a component that must be closely connected to the operating device 1000.
  • a space sufficient for installing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formed.
  • an environment favorable to the install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on the door 300 is provided, and accordingly, the efficient arrangement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in which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door 300 can be done
  •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re installed on the door 30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heating unit 400 installed on the door 300,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substrates 500 can also be made more efficiently.
  •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heating unit 400,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made inside the door 300, and the wiring length for this can also be shortened.
  • simple and neat wiring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nd such wiring processing can be performed inside the door 300 without exposing the wiring to the outside.
  • the housing 100 has a size and shape considering only the size of the cooking chamber 105 and the size of the door 300 without considering the space in which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re installed. can be designed as
  • the housing 100 can be provided in a reduced size by eliminating the space for the install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e size of the door 300 is also similar to that of the housing 100. It can be provided in a size as large as the size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
  • the cooking applia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vide an entrance that is large enough for the tray 200 and food to enter and exit while reducing the size of the housing 100, thereby providing improved usability while having a compact appearance. You can do it.
  • 2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separated parts constituting the door front part.
  • the door 300 may include a door body portion 300a.
  • the door body portion 300a may form the exterior of the door 300 .
  • a portion forming the exterior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a portion forming the exterior of the door front portion 350 may be provided in an “a” shape and integ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part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among the door main body part 300a is divided into the first door main body part 310a and the part form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door front part 350 among the door main body parts 300a is removed. It will be referred to as the two-door body part 350a.
  •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door body part 300a.
  •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the support panel 55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e temperature sensor 580 installed on the support panel 550 may be accommodated.
  • the accommodation space inside the door body portion 300a may be opened toward one side.
  • An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first door body portion 310a of the door body portion 300a may be opened downward.
  • the accommodation space formed inside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of the door body portion 300a may be opened toward the rear.
  • the door rear cover 350b may cover one open side of the door main body 300a.
  • the door rear cover 350b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 the door rear cover 350b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and may cover the opened rear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 the door rear cover 350b may be coupled to the door body 300a via the bracket 590.
  • the door rear cover 350b coupled to the door main body 300a covers the opened rear of the second door main body 350a, so that various electric components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door main body 350a can be removed from the door. It is to be protected i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main body part (300a) and the door rear cover (350b).
  • a support panel 5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space surrounded by the second door body 350a and the door rear cover 350b. That is, the support panel 55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
  • the support panel 550 may be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door body portion 300a and the door rear cover 350b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door body portion 300a.
  • the support panel 55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door body 350a and the door rear cover 350b via the bracket 590 .
  • the support panel 550 coupled to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and the door rear cover 350b is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and the door rear cover 350b, particularly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fixed to the support panel 550 . That is,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fixed to the inside of the second door main body 350a by being fixed to the support panel 550 .
  • the encoder 1200 and the shaft 110 may be install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and the operating device 1000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110 .
  • a through hole 351a may be formed in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to form a passage necessary for the operating device 1000 to be connected to the shaft 110 .
  • a part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30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door body 350a through the through hole 351a.
  • FIG. 22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panel shown in FIG. 21 in which it is separated;
  • the support panel 550 may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support panel 550 may also be formed in a similar rectangular shape.
  • This support panel 550 may include a main panel portion 551 and a position regulation portion.
  • the main panel portion 551 forms the skeleton of the support panel 550 .
  • the main panel portion 551 may form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main panel portion 551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front shap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 the main panel portion 551 may be formed of a hard plastic material.
  • the main panel unit 551 may be formed of a lightweight insulating material and may have sufficient strength required to support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various electric components installed thereon.
  • the position regulat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main panel unit 551 .
  • the position regulating unit serves to regulate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supported by the main panel unit 551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tructure protruding from the main panel unit 551 .
  • the position regulating uni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lower support unit 553 and a side support unit 555 .
  • the position regulating portion is illustrated as including both the lower support portion 553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555 .
  • the lower support part 553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and the side support part 555 may be disposed on the side part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support panel 550 may include a first area 550a and a second area 550b.
  • the first area 550a is an area where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disposed
  • the second area 550b is an area where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not disposed.
  • the lower support part 553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550b and below the first region 550a.
  • the side support 555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area 550b and below the first area 550a.
  • the vertical position and the lateral posi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regulated by the lower support part 553 and the side support part 555 . That is,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regulated by the lower support part 553 disposed under the first area 550a, and the side support part 555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area 550a. As the lateral posi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regulated by ,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guided into the first region 550a.
  • At least one of the lower support part 553 and the side support part 555 may include a hook.
  • the hook may include a body portion 553a and a protrusion portion 553b.
  • the body portion 553a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main panel portion 551 .
  • the body portion 553a may be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lateral direction or a vertical direction.
  • the protruding portion 553b protrudes from the body portion 553a towar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may protrud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panel portion 55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both the lower support portion 553 and the side support portion 555 are illustrated as including hooks. According to this, the protruding portion 553b of the hook included in the lower support portion 553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body portion 553a. In addition, the protruding portion 553b of the hook included in the side support portion 555 may protrude toward the side from the body portion 553a.
  • each of the protrusions 553b may protrud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panel part 55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may protrud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panel part 551 by the thickness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a por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main panel portion 551 and the protruding portion 553b formed accordingly. That is,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support part 553 and the side end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inserted into the side support part 555 .
  • the posi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can be regulated by the lower support part 553 and the side support part 555 . That is, the rear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supported by the main panel part 551 and the front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supported by the protruding part 553b, so that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re supported. Location can be regulated.
  • the lateral posi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regulated by the lower support part 553 and the side support part 555,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controlled by the main panel part 551 and It may be regulated by the protrusion 553b.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stably fixed on the support panel 550 while being accurately positioned in the first area 550a,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designed to be placed.
  • the lower support part 553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oks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ly, sinc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by the lower support part 553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more stably fixed on the support panel 550 .
  • the support panel 550 may further include a rib 552 .
  • the rib 552 protrudes forward from the main panel portion 551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in panel portion 551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se ribs 552 may be provided as a structure that further improves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support panel 550 .
  • the rib 552 serves to provide a passage necessary for the heat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o be discharged by forming a predetermined gap betwee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e main panel part 551. can also be done
  • FIG. 23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ar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shown in FIG. 22, and FIG. 2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stalled state of the temperature sensor.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580 as shown in FIGS. 21 to 24 .
  •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provi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
  •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include a sensor body 581 having a long and thin bar shape and a flange 583 protruding from the sensor body 581 .
  • the flange 583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protruding in a centrifugal direction from the sensor body 581 .
  •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in a form fixed to the support panel 550 .
  • the support panel 55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support unit 557 .
  •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557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area 550b, that is, an area where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not disposed.
  •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art 557 supports the temperature sensor 580, and thus the temperature sensor 580 can be suppor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art 557 and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550b.
  •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art 557 may include a second side wall part 557a.
  •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from the main panel portion 551 .
  • the in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may be formed to penetr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the inside of a rectangular pillar protruding rearward from the main panel portion 551 is penetr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 the position of the flange 583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may be regulated by the first side wall portion 556a.
  •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art 557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upport surface part 557b.
  •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557b protrudes from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and may form a plane crossing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557b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anel portion 551 protrudes into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 the flange 583 inserted into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557b disposed behind the flange 583, and as a result,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moved backward. can be regulated.
  • the posi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inserted into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is regulated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and the flange 583, and the positi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s controlled by the second support.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face portion 557b and the flange 583, it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ortion 557 in a regulated form.
  •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art 557 may further include a boss part 557c.
  • the boss portion 557c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557b. That is,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557b is disposed rearward than the main panel portion 551, and the boss portion 557c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557b. In this case, the boss portion 557c may be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more forward than the main panel portion 551 .
  • a fastening hole may be formed inside the boss portion 557c in a hollow shape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is fastening hole may be opened to the rear of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557b.
  • a fastening hole may also be formed in the flange 583 . At this time, the fastening hole of the flange 583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verlapping with the fastening hole of the boss portion 557c in the front-back direction.
  • a screw is fastened from the rear of the flange 583 in a state in which the flange 583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surface 557b so that the fastening holes of the flange 583 and the fastening holes of the boss portion 557c overlap each other.
  • the flange 583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557b and can be fixed to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ortion 557, whereby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attached to the support panel. It can be stably fixed on (550).
  •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art 557 may further include a hook 557d.
  • the hook 557d may protrude upward or downward from the first side wall portion 557a toward the inside of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ortion 557, that is, toward the in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 the hook 557d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7a may protrude upward, and the hook 557d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5567a may protrude downward. It can be.
  • the hook 557d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econd support surface 557b.
  • each hook 557d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support surface portion 557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a thickness of a por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from the first support surface portion 557b, more specifically, It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by the thickness of the flange 583.
  • a por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that is, the flange 583, may be inserted into a space between the second support surface 557b and the hook 557d.
  • the primary fixing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fastening work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 the rear of the sensor body 58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300 through the door rear cover 350b. That is,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protrude from the inside of the door front part 350 to the rear of the door front part 350 and be exposed to the cooking chamber 105 . In this way, the temperature sensor 58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300 at the rear of the sensor body 581 can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chamber 105 from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see FIG. 63 ).
  • the front of the sensor body 581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door 300 and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That is, the front of the sensor body 58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hrough a cable.
  •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can be transmitt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based on this, thereby controlling the cooking chamber. (105)
  • the internal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art 557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backward from the support panel 550 .
  • a recessed portion 351b may be provided in the door rear cover 350b.
  • the recessed portion 351b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door rear cover 350b located at the rear of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557 is recessed backward.
  • the recessed portion 351b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recessed backward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protrudes backward when viewed from the rear.
  •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art 577 may be accommodat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recessed part 351b.
  • a passage hole 352b required for the sensor body 581 to pass through the door rear cover 350b may be formed in the recessed portion 351b.
  • the support panel 55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able fixing part 558.
  • the cable fixing part 558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orward from the main panel part 551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art 557 .
  • the cable fixing part 558 may fix a cable connecting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art 557 to the support panel 550 .
  • the cable fixing part 558 may include a pair of hooks. And each hook may include a body portion 558a and a protrusion portion 558b. The body portion 558a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main panel portion 551 .
  • the body portion 558a may be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lateral direction. Also, the protruding portion 558b may protrude from the body portion 558a toward another adjacent hook.
  • the hooks may be disposed in such a way that a pair of hook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but protrusions 558b of each hook protrude toward each other. Accordingly, the interval between the front portions of the two hooks, where the protruding portion 558b is disposed, may be formed much narrow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rear portions, where the body portion 558a is disposed.
  • the hooks may be arranged so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two protrusions 558b is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cable or the two protrusions 558b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cable can be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part 558 from the front of the cable fixing part 558, and the cable inserted into the cable fixing part 558 can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ble fixing part 558.
  • a plurality of cable fixing parts 558 may b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support panel 550 .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501 for connection between the cable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se terminals 501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hat is biased towards the bottom.
  • components related to the operating device 1000 that is, components such as the shaft 110 and the encoder 1200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hat is biased towards the top. Since the operating device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door front part 350, the shaft 110 and the encoder 1200 connected thereto must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the handle 305 is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lower part,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suitable for disposi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at the position.
  • the user can easily manipulate the operating device 1000 when it is disposed on the top so as to be the operating device 1000 .
  • the operating device 1000 If the handle 305 is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upper part on the door front part 350, the operating device 1000 must be disposed below it. In this case, operation of the control device 1000 can be very inconvenient due to the handle 305, and it is also not good in appearance.
  • the disposition posi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may be determined as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upper part on the door front part 350 .
  • the shaft 110 and the encoder 1200 ar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do.
  • the arrangement position of the terminal 501 is determined to be a position biased towards the lower part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do.
  •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557 and the temperature sensor 580 mounted thereto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anel 550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top.
  •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disposed above the communication module 570 and may be disposed at a height closer to the shaft 110 and the encoder 1200 than the terminal 501 . A detailed reason why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upper portion on the support panel 55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distance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580 and the terminal 501 inevitably increases. If the distance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580 and the terminal 501 increases, the length of the cable connecting them must be increased, and the inside of the door 300 may become complicated due to the lengthened cable.
  •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able fixing parts 558 are disposed under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part 557 is proposed.
  • the plurality of cable fixing parts 558 arranged in this manner can fix the cable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 plurality of points due to the 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and the terminal 501 .
  • the cable connecting the temperature sensor 58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stably fixed on the support panel 550, so that the inside of the door 300 can be maintained in a cleaner and more orderly state. be able to
  • the support panel 55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able support part 559.
  • the cable support part 559 may be formed in a shape protruding forward from the main panel part 551 and may be disposed outside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cable fixing part 558 may support a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cable supported by the cable support part 559 may connect betwee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e first heating unit, or may connect betwee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e second control board. there is.
  • the cable support part 559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559a and a second protrusion 559b.
  • the first protrusion 559a may protrude forward from the main panel.
  • the second protrusion 559b may protrude from the first protrusion 559a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ain panel portion 551 . In this case, the second protrusion 559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panel 55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a plurality of cable support parts 559 may be disposed on the support panel 550 .
  • the plurality of cable support parts 559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edge of the support panel 550 .
  • Some of the plurality of cable support parts 559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dge of the support panel 550, and other parts of the cable support parts 559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edge of the support panel 550.
  • the shape of the cable support part 559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dge of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cable support part 559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 edge of the support panel 55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second protrusion part 559b may protrude upward or downward.
  • the second protrusion part 559b may protrude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cable may be supported by the cable support 559 in a form inserted into a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protrusion 559a and the second protrusion 559b. Accordingly, the cable placement position may be guided to an area adjacent to the edge of the support panel 550 .
  • the cable whose arrangement position is guided in this way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while being disposed close to the edge of the support panel 550 .
  • the cabl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stably fixed on the support panel 550 in a state disposed close to the edge of the support panel 550 .
  • the inside of the door 300 can be maintained in a cleaner and more orderly state, and unnecessary contact between cables and various components mount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 the support panel 55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protrusion 560 .
  • the support protrusion 560 protrudes from the main panel portion 551 toward the door body portion 300a facing the main panel portion 551, more specifically towar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It can be.
  • the support protrusion 560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support protrusion 56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edge of the support panel 550 .
  • the support protrusion 560 may interfere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to guide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and the support panel 550 .
  • the support protrusion 560 may serve to maintain a distance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and the support panel 550 .
  • the shaft 110 and the encoder 1200 are dispos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socket member 1600 surrounding the shaft 110 and the encoder 1200 is also disposed on the upper region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rear side of the socket member 16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e front side of the socket member 160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That is, the socket member 1600 is inter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art 350a and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art 350a and the support panel 550 is the socket member (1600).
  • the upper region of the support panel 550 can be supported by the socket member 1600 without being bent toward the front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may also be supported by the socket member 1600 so as not to bend toward the support panel 550 .
  • a lower region of the support panel 550 where a structure such as the socket member 1600 is not disposed may be bent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 the lower reg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may also be bent toward the support panel 550 .
  • the distance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and the support panel 550 becomes too narrow.
  • components mount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ay be damaged, and the front shape of the second door main body 350a may change, resulting in damage to the aesthetic appearance of the door 300 .
  • the support protrusion 56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nel 550 .
  • the support protrusion 560 maintains a gap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and the support panel 550, while preven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from bending backward. It serves to support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body portion 350a.
  • the socket member 160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nel 550 to support the space betwee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and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 panel 550, and to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anel 550.
  • a support protrusion 560 is provided on the side to support the gap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and the lower side of the support panel 550 .
  •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stalled on the support panel 550 can be fixed inside the door 300 while stably maintaining a distanc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 structural stability of the door 300 can be effectively improved, for example, deforma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main body 350a due to impact or pressure can be suppressed.
  •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racket shown in FIG. 21 after being separated
  • FIG. 2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support panel and a door rear cover.
  • 2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front of the door main body and the supporting panel
  • FIG. 28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front of the doo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illustration of the first cooling fan is omitted in FIGS. 26 and 27 .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racket 590.
  • the bracket 5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and the support panel 550 .
  • the bracket 590 may couple the support panel 550 to the door body 300a while separa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second door body 350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support panel 550 may further include a bonding area 550c in addition to the first area 550a and the second area 550b.
  • the coupling area 550c may be disposed outside both sides of the area including the first area 550a and the second area 550b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spectively.
  • the coupling area 550c may be disposed on both edge portions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support panel 550 .
  • the bracket 59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door body parts 350a and each coupling area 550c. Each of these brackets 590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area 550c, respectively. Each bracket 59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591 , a second coupling portion 593 , and a connection portion 595 .
  •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forms a coupling surface parallel to the coupling region 550c.
  • the first coupler 59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nar shape that is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in the left-right direction.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forms a coupling surface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nar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may be formed in a shape short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long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
  •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and the coupling area 550c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ccordingly,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may also be dispos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connecting portion 595 may connect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such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are separat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back direction.
  • the connection part 59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59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
  • the connecting portion 595 crosses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more preferably, a square orthogonal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It can be formed in a flat shape.
  • the bracket 59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and the connection portion 595 are integrally connected. When viewed from above, the bracket 590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the connection portion 595,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are connected in a "c" shape.
  • a pair of brackets 590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and the support panel 550 are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 coupling areas 550c ar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rst area 550a and the second area 550b on the support panel 550, respectively, and the bracket 590 is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left coupling regions 550c and between the front and right coupling regions 550c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 the left end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portion 595.
  • right ends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may be connected by a connection portion 595.
  • the bracket 590 disposed on the left side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the connection portion 595,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are connected in a "c" shape.
  • the bracket 590 disposed on the left side may be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the connecting portion 595,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are connected in a "C" shape.
  • a guide protrusion 561 may be provided in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coupling area 550c.
  • a guide hole 591a may be provided in the othe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coupling area 550c.
  • the guide protrusion 56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coupling region 550c toward the othe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coupling region 550c. Also, the guide hole 591a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coupling region 550c. The guide protrusion 561 protrudes from any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coupling area 550c through a guide hole 591a formed in the other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coupling area 550c. can be inserted.
  • the guide protrusion 561 is provided in the coupling area 550c and the guide hole 591a is formed in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 According to this, the guide protrusion 561 protrudes forward from the coupling area 550c, and the guide protrusion 561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591a located in the front thereof and can penetrate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there is.
  • a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561 are provided in each coupling area 550c and a plurality of guide holes 591a are provided in each first coupling portion 591 .
  • a pair of guide protrusions 561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pair of guide holes 591a are provided in each first coupling portion 591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interval.
  • the plurality of guide protrusions 561 and the guide hole 591a may be arranged so that one guide protrusion 561 can be inserted into one guide hole 591a.
  • Each guide protrusion 561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hook.
  • the hook may include a body portion 561a and a protrusion portion 561b.
  • the body portion 561a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main panel portion 551 .
  • the body portion 561a may be formed to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protruding portion 561b protrudes from the body portion 561a and may protrude in a direction facing away from another hook adjac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protruding part 561b of the hook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ir of hooks may protrude upward, and the protruding part 561b of the hook disposed on the lower part of the pair of hooks may protrude downward.
  • the guide protrusion 561 provided as described above may be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while penetrati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through the guide hole 591a.
  • the primary coupling may refer to a coupling state in which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are detachably coupled and the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is guided.
  • coupling holes 562 and 591b may be provided in the coupling area 550c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respectively.
  • the fastening holes 562 and 591b are provided for fastening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using the fastening member 565 .
  • the fastening member 565 may be provided in the same or similar screw shape as the aforementioned fastening member 563 .
  • Positional alignment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for the fastening hole 562 of the coupling area 550c and the fastening hole 591b of the first coupling part 591 to overlap in the front-back direction is a guide. It may be induced by coupling between the protrusion 56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
  • the coupling hole 562 of the coupling area 550c and the coupling hole 591b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overlap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Positional alignment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may be made.
  • the fastening holes 562 and 591b are disposed outside the guide protrusion 561 in the vertical direction.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can be made more stably as the fastening using the screw is perform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It is a result of design.
  •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and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are firmly fixed by screws, so that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may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end or the lower end of the 590 is not lifted.
  • Primary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may be achieved by coupling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56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 In this way, when the primary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is made, the support panel 550 and Position alignment of the bracket 590 may be made. In addition, when the primary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is made, temporary fixation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screw fastening operation can be easily performed.
  •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and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can be firmly fixed by screws, and the support panel 550 and A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may be formed by the guide protrusion 561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bracket 590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can be made firmly without lifting, and a screw fastening operation for this can be made more easily.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may be coupled to the door body portion 300a, more specifically,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 fastening holes 353a and 593a may be provided i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respectively.
  • the fastening holes 353a and 593a are provided for fastening between the door main body 300a and the bracket 590 using a fastening member 563 to be described later.
  •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art 350a and the fastening hole 593a of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overlap in the front-back direction,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art 350a and the fastening hole 593a of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overlap with each other in the second coupling.
  • the fastening member 563 penetrates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through the fastening holes 353a and 593a, A coupling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two-door body portion 350a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may be made.
  • the fastening member 56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screw.
  • the fastening member 563 may include a body portion 553a and a head portion 563b.
  • the body portion 553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bar shape, and a screw thread may b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553a.
  • the head portion 563b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centrifug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553a at an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553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of the bracket 59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art 350a and the second door body part 350a by one fastening member 563 may be made together.
  • the fastening member 563 passes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and is inserted into the handle 305, thereby forming the handle 305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It can be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art 350a. That is, coupling between the handle 305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may be made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interposed therebetween.
  • the fastening member 563 connects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and the second door body from the rear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so that the head portion 563b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It penetrates the front of 350a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handle 305.
  • the head 563b of the fastening member 563 is attached to the door 300. It has no choice bu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orld.
  • the body portion 553a of the fastening member 563 is inevitably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300, and thus the fastening member 563 ) will have to be added to the outside of the door 300 to cover it.
  • the thicknes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art 350a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is not very thick, it is difficult to secure sufficient coupling strength between the door body part 300a and the bracket 590.
  • the coupling between the bracket 590 and the door body portion 300a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door body portion 300a and the handle 305 are separately performed at different locations, the number of man-hours required for the fastening work will increase accordingly.
  • the fastening structure is such that the bracket 590, the door body part 300a, and the handle 305 are combined with one fastening operation using one fastening member 563. presented
  • bracket 590, the door body portion 300a, and the handle 305 can be coupled together in one fastening operation, the number of man-hours required for the fastening operation can be reduced as much.
  • the fastening member 563 is connected to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through the fastening hole 593a of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and the fastening hole 353a on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 the bracket 590 and the door main body 300a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penetra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two-door main body 350a.
  • the fastening hole 593a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is locat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in the front-back direction or the rear of the fastening hole 593a is covered by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It can be placed in an unsupported position. That is, the fastening hole 593a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when viewed from the rear.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is exemplified as being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shorter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s longer.
  •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of the bracket 590 disposed on the left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more to the right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of the bracket 590 disposed on the right side. 593 may be formed to protrude further to the left than the first coupling part 591 .
  • the fastening hole 593a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more protru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 That is, the fastening hole 593a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of the bracket 590 disposed on the left side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more protruding to the right than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 In addition, the fastening hole 593a provid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of the bracket 590 disposed on the right side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more protruding to the left than the first coupling part 591 .
  • the fastening hole 593a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is disposed at a position that can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 Accordingly, the fastening operation using the fastening member 563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without being hindered by other structures such as the first coupler 591 .
  • 29 to 31 are rear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front part of the door.
  • coupling between the bracket 590 and the door body part 300a may be performed first.
  • the coupling between the bracket 590 and the door body portion 300a may be performed as follows.
  • the handle 305 is disposed at the front of the front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and the bracket 590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front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 the fastening hole formed inside the handle 305, the fastening hole 353a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art 350a, and the fastening hole 593a formed on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of the bracket 590 It should overlap in the front-to-back direction.
  • the fastening member 563 is fastened to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from the rear to the front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 Accordingly, the fastening member 563 may be inserted into the handle 305 from the rear of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through the second coupling portion 593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 bracket 590, the door body portion 300a, and the handle 305 can be combined together with one fastening operation using one fastening member 563.
  • two fastening points using the fastening member 563 are provided for each bracket 590 .
  • a pair of fastening holes 593a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each second coupling part 593, and the fastening holes 353a also correspon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art 350a. can be placed in each location. According to this, coupling between the handle 305, the door 300, and the bracket 590 can be completed by four fastening operations using the fastening member 563.
  • fitting holes 593b may be formed between the pair of fastening holes 593a.
  • fitting hole 355a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350a.
  • a fitting protrusion 305a may be provided on the handle 305 .
  • the fitting protrusions 305a may protrude rearward from both rear ends of the handle.
  • the fitting protrusions 305a are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355a and 593b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door main body 350a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 the coupling position between the handle 305 and the door front portion 350 can be guided. there is. That is, when the fitting protrusion 305a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s 355a and 593b, the fastening holes of the handle 305, the door front part 35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593 may be overlapp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 the primary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A conjugation can be made.
  • the primary coupling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may be achieved by coupling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56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
  •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are detachably coupled, and the fastening hole 562 of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fastening hole 591b of the first coupling part 591 overlap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Positional alignment between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may be made so as to be arranged.
  • the door rear cover 350b, the coupling area 550c,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591 may be fastened by a single screw. That is, the coupling between the door rear cover 350b,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can be performed at once by a single screw.
  • each bracket 590 two fastening points using the screws are provided for each bracket 590 .
  • a pair of fastening holes 591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each first coupling part 591, and fastening holes 562 may also be provided in the door rear cover 350b and the support panel 550. Each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is. According to this, coupling between the door rear cover 350b, the support panel 550, and the bracket 590 can be completed by four fastening operations using screws.
  • the coupling between the handle 305, the door 300, and the bracket 590 can be completed with only four fastening operations, and the door rear cover 350b and the support panel 550 can be completed with only four fastening operations.
  • the assembly of the door front part 350 can be completed with only a very small number of fastening operations, such as the coupling between the and the bracket 590 can be completed.
  • the number of man-hours required for assembling the door 300 i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assembly operation of the door 300 can be performed easily and quickly.
  • 32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580 .
  •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provi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
  •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illustrated as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 thermostat.
  •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us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compartment 105 within a set temperature range. Also,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used to maintain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chamber 105 so that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5 is not overheated.
  •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and the height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determin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and the first heating part 400. Preferably,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than to the lower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 That is,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disposed at a height more inclined upward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5 .
  •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ray 200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 More preferably,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loser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than to the tray 200 .
  • the arrangement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as described above is the result of design conside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and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580 and the food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 food cooking may be perform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
  • food may be placed on the tray 200 . That is, food can be cooked by heating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5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600 in a state in which the food is normally seated on the tray 200. .
  • the possibility of interference between the food seated on the tray 200 and the temperature sensor 580 cannot be ruled out.
  • a temperature measurement result obtain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inaccurate or an error may occur in the operation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rrange the temperature sensor 580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food and the temperature sensor 580 .
  • the temperature generally tends to increase to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cooking chamber 105. This is because the heated air rises, and also because the first heating unit 400 for heating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5 is disposed above the cooking chamber 105 .
  • the second heating unit 600 (see FIG. 64) is also present in the lower part of the cooking chamber 105.
  • the second heating unit 600 is not a device that directly generates heat. Therefore, in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5, a tendency for the temperature to increase toward the upper part of the cooking chamber 105 can be clearly observed.
  •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illustrated as being used to ensure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chamber 105 is maintained as set or to prevent overheating. In order for the temperature sensor 580 to effectively perform this role, it may be more advantageous to place the temperature sensor 580 at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n the cooking chamber 105 than the opposite case.
  • the temperature measurement module 640 (see FIG. 5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oking chamber 105 to measure the temperature, rather than the temperature sensor 580 being disposed very close to the temperature measurement module 640. It will be said tha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sensor 580 be disposed at a position somewhat spaced apart from the temperature measuring module 640 .
  •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disposed at a height that is more inclined from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5 to the upper part, so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oking chamber 105 is maintained as set or overheating is prevented. The role of the temperature sensor 580 to be performed effectively.
  • the second area 550b is disposed outside the first area 550a in a lateral direction, and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located in the second area ( 550 b).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disposed in the first area 550a, an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parts related to the operating device 1000, that is, the shaft 110 and the encoder 1200 ) and the like are arranged. Accordingly,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provided with a size capable of occupying a fairly wide area on the support panel 550 . As a result, the first control board 500 on the support panel 550 occupies half or more of the area of the support panel 550 .
  •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upper part. Therefore, in order for the parts related to the operating device 1000 to be install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he first control board 500 must also be position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to occupy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upper part. should be placed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s a resul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upper area of the support panel 550 is occupied by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And, 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pace where the temperature sensor 580 can be installed, that is, a space where the temperature sensor support 557 can be provided.
  •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 a lateral direction so as not to overlap with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at is,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ward the upper part in the cooking chamber 105 and biased toward one side in the lateral direction. As an example,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n upper corner of the door front part 350 formed in a square shape.
  • the temperature sensor 580 can be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it can effectively perform its role while avoiding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such as the first control board 500 .
  •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upper corner as described abov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contact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580 and the food.
  • the effect of partial lowering may also be provided.
  • the cooking appliance may further include a shielding plate 328 .
  • the shielding plate 328 may be disposed under the upper door portion 310 .
  • the shielding plate 328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length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
  • a pair of first heating units 400 are disposed under the upper door portion 310, and a pair of shielding plates 328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hereto.
  • Each of the shielding plates 328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to guide a heat dissipation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
  • the shield plate 328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located on the side adjacent to the door front part 350 among the pair of first heating units 400, the door front part 350 and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eating units 400 .
  • the shield plate 328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located relatively rear among the pair of first heating units 400,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be placed in between.
  • the shielding plate 328 disposed as described above may serve to guide a heat dissipation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toward the center of the cooking chamber 105 .
  • the shielding plate 328 may serve to block heat from the first heating unit 400 from dissipating toward the door front portion 350 or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
  • the first heating part 4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door front part 350 or the rear surface 140 side of the housing 100 .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door front part 350 and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are exposed to an environment where the first heating unit 400 tends to heat them intensively.
  • the shielding plate 328 is provided between the door front part 350 and the first heating part 400 an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the first heating part 400, respectively. are placed
  • the shielding plate 328 disposed as described above blocks heat from the first heating unit 400 from dissipating toward the front door 350 side or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thereby preventing electrical components from being thermally damaged. can contribute to avoiding wearing
  • the shielding plate 328 located adjacent to the door front part 35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580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
  • the temperature sensor 580 may be disposed in a state in which a space between the temperature sensor 580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blocked by the shielding plate 328 .
  • the temperature sensor 580 can be disposed in an area not directly affected by heat from the first heating unit 400 . That is, the temperature sensor 580 can be disposed in an area adjacent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not directly affected by heat from the first heating unit 400 .
  • the temperature sensor 580 is disposed close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a highly reliable measurement result close to the actual temperature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can be provid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80. .
  • FIG. 3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touch manipulation unit shown in FIG. 1;
  • the cooking appli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door front part 350 together with the manipulation device 1000 .
  •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is dispos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manipulation device 1000 and disposed on the side of the manipulation device 1000 .
  •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by directly manipulating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together with the manipulation device 1000 .
  •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manipulation switch for controlling on/off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a manipulation switch for selecting the type and state of an object to be cooked.
  •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may include a substrate 1910 and a booster 1920.
  • the substrate 1910 may be dispos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in a form fixed to the support panel 550 .
  • the support panel 550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anel support unit 565 .
  • the touch panel support 565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area 550b, that is, an area where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not disposed.
  • the touch panel support 565 supports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and thus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can be supported by the touch panel support 565 and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550b.
  • the touch panel support portion 565 may include a protruding surface portion 565a, a protruding support surface portion 565b, and a protruding rib portion 565c.
  •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565a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main panel portion 551 and may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anel portion 551 .
  • the protruding support surface portion 565b is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565a and may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main panel portion 551 .
  • the protruding support surface portion 565b may support the substrate 1910 at a position ahead of the main panel portion 551 and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565a.
  •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maintains a state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main body 350a and maintains the inside of the door front unit 350. can be fixed on
  • the protruding rib portion 565c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protruding support surface portion 565b.
  • a pair of protruding rib parts 565c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protruding support surface part 565b interposed therebetween.
  • a pair of protruding rib portions 565c are illustrated as being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565a interposed therebetween.
  • Each protruding rib portion 565c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565a.
  • each protruding rib portion 565c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at the same level as the protrusion of the protruding support surface portion 565b.
  • a fixing groove may be formed in each protruding rib portion 565c.
  • a packing member 566 may be inserted into this fixing groove.
  • the packing member 566 may be fixed to the protruding rib portion 565c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 the packing member 56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ouch panel support part 565 and the substrate 1910, more specifically, between the protruding surface portion 565a and the substrate 1910. When the packing member 566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the protruding rib portion 565c and the protruding support surface portion 565b may protrude forward more. In addition, the packing member 566 may be provided in an elastically deformable form.
  • the packing member 566 may be installed to overlap the substrate 1910 between the protrusion surface portion 565a and the substrate 1910 .
  • the packing member 566 can apply force to the substrate 1910 to push the substrate 1910 forward, and thus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can be more effectively adher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body 350a. be able to
  • the support panel 55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support protrusion 567 .
  • an outer support protrusion 567 it is exemplified that a plurality of outer support protrusions 567 are disposed outside the touch panel support 565 and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
  • the outer support protrusion 567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touch panel support 565 and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respectively. Also, each outer support protrusion 567 may be formed to protrude forward from the main panel portion 551 of the support panel 550 .
  • Each of the outer support protrusions 567 may protrud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body 350a.
  • the outer support protrusions 567 formed as described above may suppor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main body 350a from the rear around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
  • the user needs to press the front of the first door main body 350a. If this operation is repeated,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body 350a may be deformed due to repeated pressing.
  • the outer support protrusion 567 supports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body 350a around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thereby effectively suppressing deformation of the door 300 due to manipulation of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 the outer support protrusion 567 supports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body 350a so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body 350a can be pressed only in the front area of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thereby supporting the touch operation unit 1900. ) can also contribute to further improving the operation reliability.
  •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installed on the touch panel support unit 565 having the above structure may be a metal touch switch to which a capacitance sensor is applied. At least one capacitance part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1910 of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
  • a booster 192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substrate 1910 .
  • the booster 19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body 350a and the substrate 1910 .
  • the booster 1920 may be place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body 350a.
  • Function icons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s of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may be formed in an intaglio or embossed form on an area of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body 350a tha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oster 1920 .
  • the booster 1920 is also pressed and moved backward. Accordingly, the distance between the booster 1920 and the capacitance unit changes, and a touch to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can be recognized by the change in capacitance generated thereby.
  • the touch recognition rate of the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can be increased only when the booster 19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st door main body 350a.
  • the packing member 566 installed on the protruding rib portion 565c can apply a force to push the board 1910 forward to the board 1910, and accordingly, the booster 1920 opens the first door It can be effectively adher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50a.
  • FIG. 3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using and a second heating unit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the second heating unit shown in FIG. 34
  • 3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heating unit, the receiving coil, and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late shown in FIG. 34 by being separated
  • FIG. 37 is the second heating unit, the temperature sensor, the receiving coil, and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shown in FIG. 34 This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plates.
  • 38 is a rear view of the second control board shown in FIG. 34
  • FIG. 39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ar cover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 board shown in FIG.
  • the second heating unit 600 is disposed under the tray 200.
  • the second heating unit 600 is installed below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and is a heating unit that heats the tray 200 in a heating method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for example, induction. Supplied in tenfold form.
  • the induction heating unit may be provided in a form including a working coil 610 installed below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and may induce heating of the tray 200 at the bottom of the tray 200.
  • the working coil 610 includes a coil installation base 611 .
  • the coil installation base 611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square shape close to the shape of the tray 200 . This is the result of designing the size and shape of the working coil 610 close to that of the tray 200 so that the entire area of the tray 200 can be heated by the working coil 610 .
  • the coil installation base 611 is provided with a spiral groove in which the coil 613 can be installed based on its center.
  • the coil 613 is accommodated in the spiral groove, and is tightly wound and fix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il installation base 611 .
  • a coil connection wire 615 connected to a coil control PCB for controlling the coil 613 is provided.
  • the second heating unit 600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coil 620 .
  • the receiving coil 620 is a component provided to receive power transmitted wirelessly and is disposed below the second heating unit 600 .
  • the base 180 is disposed under the receiving coil 620. The base 18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to support the working coil 610 and the receiving coil 620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coil 620, while improving the bottom appear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receiving coil 620 may include a coil installation base 621 and a coil 623.
  • the coil installation base 621 of the receiving coil 62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unlike the coil installation base 611 of the working coil 610. This is the result of design to form the shape of the receiving coil 620 close to the shape of the working coil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provided in the cooktop.
  • the receiving coil 620 is provided to receive power from another cooking devic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cooking device of this embodiment, that is, the induction heating unit of the cooktop.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can be used while being placed on a cooktop, and at this time,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received from the induction heating unit of the cooktop.
  • the induction hea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plate 630 disposed between the working coil 610 and the receiving coil 620.
  •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plate 63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etal plate. This electromagnetic shielding plate 630 is disposed between the working coil 610 and the receiving coil 620 so that the EMI caused by the working coil 610 affects the receiving coil 620 or the receiving coil 620 It serves to minimize the effect of EMI on the working coil 610.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having the receiving coil 620 as described above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wirelessly from the induction heating unit of the cooktop.
  • This cooking appliance can be provided with a simple and clean appearance without the need for a cumbersome power cable, and can be operated by receiving power wirelessly by simply placing the cooking appliance on the cooktop, further improving user satisfaction. can make it
  • the receiving coil 62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disposed behind the working coil 610 and the receiving coil 620 .
  • Power wirelessly transmitted from the working coil of the cooktop to the receiving coil 620 is transmitted to the side of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ceiving coil 620 .
  • the inner space under the lower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and the inner space behind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working coil 610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disposed below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disposed behind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is provided with a power processing unit supplying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heating unit of the second heating unit 600 .
  • the power processing unit is connected to the receiving coil 620, receives power from the receiving coil 620, and processes the supplied power into a form suitable for use in the second heating unit 600 or the like.
  • the power processing unit may include a noise filter PCB, and a coil control PCB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coil 610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
  • the noise filter PCB functions to remove noise from power to be supplied to the working coil 610, and the coil control PCB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coil 610.
  • a chip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coil 610 for example, a chip such as IGBT, may be mounted on the coil control PCB.
  • IGBT is a type of high-heating chip that requires temperature management, and cannot control the working coil 610 when overheated abo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a second cooling fan 730 is installed on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
  • the second cooling fan 730 may be a sirocco fan that sucks in air from the outer space of the housing 100 and discharges it toward the IGBT.
  • the second cooling fan 73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IGBT, suck air from the rear side of the housing 100 and discharge it toward the side toward the IGBT.
  •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pace behind the back of the housing 100 through the second cooling fan 730 first contacts and cools the IGBT and the heat sink for cooling them, cools the noise filter PCB, and then cools the outside. can be emitted as
  •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and the second cooling fan 730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by being fixed to the rear support panel 750 .
  • the rear support panel 75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100 .
  • the rear support panel 750 may be fix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100 by being coupled to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
  • the rear support panel 750 may include a main panel portion 751 and a first protruding edge portion 755 .
  • the main panel unit 751 may form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
  • the main panel portion 751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 the main panel portion 751 may be formed of a lightweight insulating material, and may have sufficient strength required to support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and various electric components installed thereon.
  • the first protruding edge portion 755 is disposed on the edge of the main panel portion 751 .
  • the first protruding edge portion 755 may be formed to protrude backward from the edge of the main panel portion 751 . Accordingly, a space surrounded by the main panel portion 751 and the first protruding edge portion 755 may be formed behind the main panel portion 751 . Also,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and the second cooling fan 730 may be disposed in this space.
  • the rear support panel 750 may include a first area 750a and a second area 750b.
  • the first area 750a is an area where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is disposed
  • the second area 750b is an area where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is not disposed.
  • the first area 750a and the second area 750b are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the first area 750a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the second area 750b may be disposed on the right side, and most of the rear support panel 750 may be occupied by the first area 750a.
  • a second cooling fan 73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750b.
  • a power connection unit 735 and a communication module 74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area 750b.
  • the power connector 735 is installed on the rear support panel 750 and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750b.
  • the power connector 735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
  • the power connector 735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inlet power socket.
  • the power connector 735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by being connected to a plug of a power cable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source.
  •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unit 735 may be processed by the power processing unit of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in a form suitable for use in the second heating unit 600 and the like.
  • the power connector 735 is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and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cooling fan 730 . When the power connector 735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cooling fan 730, the power connector 735 and the power cable connected thereto are easily exposed to the outside.
  • the possibility that the power cable acts as an obstacle or causes the cooking appliance to overturn during the process of using the cooking appliance increases.
  • the power connector 735 is disposed at a position where it is difficult to be exposed as much as possible, for example, at the bottom corner of the rear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As a result, deterioration in aesthetics of the cooking appliance due to the power connector 735 and the power cable connected thereto or occurrence of safety problems due to the power cabl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smart phone and a cooking appliance.
  •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may b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may be a communication module supporting a low power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Bluetooth low energy (BLE).
  • BLE Bluetooth low energy
  •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may include modules supporting various short-range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and an NFC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may include a module support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cheme such as long term evolution (LTE) and Wi-Fi.
  • LTE long term evolution
  • Wi-Fi wireless fidelity
  •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 Also,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cooling fan 730 and above the power connection unit 735 . That is,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an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cooling fan 730 and the power connection unit 735 .
  •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is such that the power connection unit 735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cooling fan 730,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and the power connection unit 735,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and the This is the result of the design in which the communication module 740 is disposed at a location where the wiring length between the two control boards 700 can be the shortest.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ear cover 760 as shown in FIGS. 3, 51, and 52 .
  • the rear cover 760 may be disposed behind the rear support panel 750 and coupled with the rear support panel 750 .
  • the rear cover 760 may include a main cover portion 761 and a second protruding edge portion 765 .
  • the main cover portion 761 may form a plane parallel to the rear support panel 750, more specifically, the main panel portion 751.
  • the main cover portion 761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at of the main panel portion 751, for example, a rectangular shape.
  • the main cover portion 761 may be formed of a lightweight insulating material.
  • the main cover part 761 and the rear cover 760 including the same may be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of the cabinet 170 and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
  • the rear cover 760 disposed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as an insulating structure that insulates between the metallic cabinet 170 and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
  • a ventilation hole 762 may be provided in the rear cover 760 . Ventilation holes 762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main cover part 76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 ventilation hole 762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air can enter and exit on the main cover part 761 .
  • the ventilation hole 76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cooling fan 7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if the second cooling fan 730 is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 the right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the ventilation hole 752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biased to the left.
  • a fan installation hole 763 may be provided in the rear cover 760 .
  • the fan installation hole 763 forms a passage through which a part of the second cooling fan 730 installed between the rear support panel 750 and the rear cover 760 can be exposed to the rear of the rear cover 760. can do.
  • the fan installation hole 763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main cover part 761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second cooling fan 730 .
  • the second cooling fan 730 Since most of the second cooling fan 730, particularly the exposed portion to the outside, is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even if a portion of the second cooling fan 730 is exposed to the rear of the rear cover 760 o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abinet 170. The chance of an electrical problem is very low.
  • the part that most protrudes rearward may be the second cooling fan 730. Therefore, if a portion of the second cooling fan 730 can be exposed to the rear of the rear cover 760 as described above, the rear cover 760 can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oking appliance so that the rear cover 760 protrudes less backward. .
  • a cutout 764 may be provided in the rear cover 760 .
  • the cutout 764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portion of the main cover portion 761 is cut.
  • the cutout 764 may form a passage connecting the power connection unit 735 and the cabinet 170 on the rear cover 760 .
  • the second protruding edge portion 765 is disposed on the edge of the main cover portion 761 .
  • the second protruding edge portion 765 may be formed to protrude backward from the edge of the main cover portion 761 .
  • the second protruding edge portion 765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protruding edge portion 755 of the rear support panel 750 . By coupling between them, coupling between the rear cover 760 and the rear support panel 750 may be made such that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rear cover 760 and the rear support panel 750 .
  • a hook 756 may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first protruding edge portion 755 and the second protruding edge portion 765, and the first protruding edge portion 755 and the second protruding edge portion 765 ), a hook groove for forming a coupling with the hook 756 may be provided in the other one.
  • Through-holes 171 may be formed in the back surface of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and the cabinet 170 to penetr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an intake/exhaust grill 175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171.
  • the through hole 171 is for outside air to pass through the cabinet 170 and flow into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or for the air around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to pass through the cabinet 170 and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pathways can be formed.
  • the intake/exhaust grill 175 may serve to block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penetr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71 while allowing air to flow in or out through the through hole 171 .
  • the intake/exhaust grill 175 may be formed in a shape including a louver structure.
  • the second heating unit 600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measurement module 640 as shown in FIGS. 34 to 37 .
  • the temperature measuring module 640 is provided to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tray or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oking chamber 105 in which the tray is disposed.
  • the temperature measurement module 640 may be disposed to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working coil 610 . Specifically, the temperature measuring module 640 may be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coil installation base 611 where the coil 613 is not disposed, for example, in a central portion of the coil installation base 611 .
  • the temperature measurement module 640 may be fitted and coupled to the working coil 610 through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il installation base 611 .
  • the temperature measurement module 64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such as a thermistor, and may be disposed under the lower surface 110 of the housing 100 to obtain the temperature of the tray or the cooking chamber in which the tray is disposed ( 105) The internal temperature can be measured.
  • a hinge assembly 800 a second heating unit 600 , and a second control board 700 are disposed in the housing 100 .
  • a cooking chamber 105 is formed inside the housing 100 , and a tray 200 may be installed in the cooking chamber 105 .
  • a second heating unit 600 for heating the tray 200 is disposed below the housing 100 .
  • hinge assemblies 800 rotatably supporting the door 300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
  • the hinge assembly 8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to stably support the door 300 on both sides of the door 300 .
  • the hinge assembly 800 is disposed on the rear or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have to be Among them, it is advantageous in many ways for the above reasons that the hinge assembly 80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0 .
  • the receiving coil 620 is disposed under the housing 100, more specifically, under the second heating unit 600. Since the receiving coil 620 should be placed in the closest position to a target for wireless power transmission, for example, a working coil of a cooktop, the receiving coil 620 should be placed at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0.
  •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plate 63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working coil 610 and the receiving coil 620 .
  •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is a configuration closely related to power reception through the receiving coil 620 and the operation of the working coil 610, it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eceiving coil 620 and the working coil 610 it is desirable
  • the second control board ( 700) can be said to be at the rear.
  •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is installed in the space behind the rear surface 140 of the housing 100 .
  •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installed in this way can be disposed in a very close position to the working coil 610 and the receiving coil 620, and thus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and the working coil 610 and the receiving coil Wiring connecting the coil 620 can be concisely configured.
  •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disposed at the rear of the housing 100 is close to each hinge assembly 800 . Accordingly, when configuring wiring connecting components disposed on the door 300 and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these wiring can be easily hidden inside the hinge assembly 800, so that the wiring can be well exposed to the outsid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wiring can be configured neatly and concisely so as not to be exposed.
  • the second heating unit 600, the receiving coil 620, the hinge assembly 800, and the second control board 700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the bottom, both sides, and the rear of the housing 100.
  • These configurations are configurations more suitable to be disposed in the housing 100 rather than the door 300, and each can exert optimal functions, has high structural stability, and can configure the wiring configuration neatly and concisely, while preventing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Each is placed in the optimal position to avoid efficiently.
  • a viewing window W, a first heating unit 400, an operating device 1000, and a first control board 500 are disposed in the door 300 .
  • These components are more suitable to be disposed on the door 300 rather than on the housing 100 in terms of their function. Even considering that it is difficult to arrange other components because several other components are already disposed in the housing 100, it is more appropriate that the components are placed on the door 300 side rather than the housing 100.
  • the viewing window (W) is disposed above the cooking applian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ooking appliance provided in the form of a mini oven that is generally us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ser's line of s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viewing window (W) is disposed above the cooking appliance rather than being disposed in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
  • Such a viewing window (W)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300, more specifically,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At this time, the larger the size of the viewing window (W) is,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secure a view into the cooking chamber 105. It is preferable to be determined to a size that can be secur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 the first heating part 4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part 310 of the door like the viewing window (W). This is a result of the design so that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facing the second heating unit 600 with the tray 200 interposed therebetween. That is, the first heating part 400 is installed on the upper door part 310 to be disposed above the tray 200 .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together with the viewing window W should be disposed at a position not expos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W when viewed from above. If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in an area exposed through the viewing window (W), it is not aesthetically pleasing, a problem occurs in securing the view through the viewing window (W), and the temperature of the viewing window (W) rises. Problems can also arise.
  • the first heating unit 400 must be disposed on the front outer side and the rear outer side of the viewing window W to perform the first heating.
  • the length of the unit 400 can be increased by that much, and as the length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increased, the thermal power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be improved.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on the front outer side and the rear outer side of the viewing window W, respectively, thereby maintaining the aesthetic appearance, securing the view, suppressing the temperature rise of the viewing window W,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It becomes advantageous to secure functional advantages such as improving the firepower of the 400.
  • the viewing window (W)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are disposed on the upper door portion 310, most of the area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is covered by the viewing window W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occupied by Also,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re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instead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
  • a space sufficient for the installation of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secured i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It's not easy to do. And, if the control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310, a collision occurs between the control device 1000 and an obstacle located on the top of the cooking appliance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300, causing the control device 1000 to is at risk of being damaged. In particular, if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provided in a form protruding from the door 300, this risk increases.
  •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where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disposed is higher than that of the front door portion 350 .
  • the control device 1000 is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holding by the user's hand, when the control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upper door portion 310, the user may operate the upper door portion 310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control device 1000. ) will be more likel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hot part of the That is, if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the risk of injury to the user, such as a burn, may increase in the process of operating the operating device 1000 .
  • the operating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instead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 Since the control device 1000 is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the user can safely and convenientl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from the front of the cooking appliance.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also dispos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cludes various types of control signals related to reception of manipulation signals input through the manipulation device 1000 and generation of control signal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second heating unit 600. Elements, circuits, and the like are provided. Therefore,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n particular, is requi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ng device 1000.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install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like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is disposed very close to the operating device 1000 . Therefo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erating device 1000 and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directly connecting the operating device 1000 to the first control board 500, and thus a very simple and stable operating device 1000. )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provided.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installed on the door front part 350 instead of the door upper part 310 where the first heating part 400, which is a heating component, is disposed, the first heating part 400 It can be placed in a position that is somewhat out of the influence of the heat generated by Accordingly, since the effect of heat generated when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in operation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can be reduced to that extent, stability and operation reliability of the cooking appliance can be further improved.
  • FIG. 4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frame shown in FIG. 41 in which it is separated
  • FIG. 43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door frame,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protective grill.
  • 44 is a bottom view showing a coupled state of the door frame, the first heating unit, and the protective grill.
  • FIG. 4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XXV-XXXV” in FIG. 40
  • FIG. 4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XXXXVI” in FIG. 40
  • 4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door frame and a hinge portion
  • FIG. 4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door frame and a hinge portion
  • FIG. 4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door frame, a hinge portion, and a door. .
  • FIG. 43 the glass and the reflector are not shown, and in FIGS. 45 to 48, the glass is not shown.
  • the door frame 320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is combined with the door 300 .
  • the door frame 320 supports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may be coupled to the door 300 .
  • the first heating unit 400 coupled to the door frame 320 may maintain a state disposed below the door 300, 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of the door.
  • the door frame 320 may include a coupling part 321 and a heater mounting part 325.
  •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is provided in a protruding form from the coupling portion 321 , and the first heating portion 400 may be coupled to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
  • the coupling portion 321 may be coupled to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to support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o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
  • This coupling part 321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 ⁇ ”-shaped frame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 a seating surface 322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321 adjacent to the through hole.
  • the seating surface 322 forms a concave plane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321 , and the periphery of each edge of the glass 335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22 .
  • the glass 335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22 as described above covers the through hole from the top and may be disposed above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installed in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 the seating surface 322 may form a plane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321 , but may form a plane lower than the coupling portion 321 by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glass 335 .
  • the glass 335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frame 320 in a position where it does not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321 .
  • the seating surface 322 may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addition, the seating surface 32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through ho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seating surface 322 is illustrated as being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through hol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on both sides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ccordingly, the four edges of the glass 335 are supported by the seating surface 322 and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door frame 320 .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glass 335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can be guided, as well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of the glass 335. Shaking is suppressed and the glass 335 can be installed stably.
  • the first heating unit 400 may include a heating element 410, a first connection end 420, and a second connection end 430.
  • the heating element 410 corresponds to a portion that emits heat from the first heating unit 400 provided in the form of an electric heater.
  • the heating element 410 may be formed in a rod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 a first connection end 42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heating element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connection end 43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ing element 410, which is opposite to the first connection end 420.
  •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end 4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430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421 and a key-shaped portion 425 .
  • both the first connection end 4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430 are illustrated as including a cylindrical portion 421 and a key-shaped portion 425 .
  • the cylindrical portion 421 is disposed at an end of the heating element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cylindrical portion 42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circular bottom surface disposed at the outermost end of the first heating unit 410 .
  • the key-shaped portion 425 is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element 410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21 . That is, the key-shaped portion 425 is disposed on both ends of the heating element 4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21 is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the key-shaped portion 425 may be formed in a flat hexahedral shape with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1 and a width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1 .
  • a pair of rectangular faces (426;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surface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shaped portion 425 are spaced apart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key-shaped portion 425 to form a key shape.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ortion 425 may be formed.
  • two pairs of quadrangular surfaces (427;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surfaces”)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key-shaped portion 425 are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surfaces 426 to form a key-shaped portion 425 can achieve the four aspects of
  • the first surface 426 may be formed as a rectangular surface having a side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1, and the second surface 427 may be formed of a rectangular surface having a side shorter than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1. It can be made of cotton.
  • the cylindrical portion 421 is more cylindrical than the key-shaped portion 425 in most areas.
  • the upper portion 421 protrudes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the key-shaped portion 425 may protrude outwar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1 more than the cylindrical cham portion (a) only in some areas.
  •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is provided to fix the first connection end 420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430 provided as described above.
  •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includes a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for fixing the first connection end 420 and a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for fixing the second connection end 430.
  •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may include a cover (a) and a support wall (b).
  • both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are illustrated as including a cover (a) and a support wall (b).
  • the cover (a) is provid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on end from the out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cover (a)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surrounding the bottom and side portions of the connection ends, and may be formed with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each connection end or a little longer than that.
  • the cover (a)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U” shape.
  • This cover (a), doedoe wrapped around the support wall (b),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lower portion and both sides of the support wall (b). And the top of the cover (a) can be opened.
  •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may further include a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3 .
  •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3 is disposed farther from the cen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ooking chamber than the first heating part 400, and can connec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3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length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part 400 .
  •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4 .
  •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24 is disposed closer to the cent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of the cooking chamber than the first heating part 400, and can connect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there is.
  •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24 is disposed facing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3 with the cover (a) interposed therebetween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can be connected.
  •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324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length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are respectively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irst heating part 4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3 is disposed at a side farther from the center of the cooking chamb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an the first heating part 400 .
  • a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24 is disposed on a side closer to the center of the cooking chamber in the front-back direction than the first heating part 400 .
  • covers (a) are disposed on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respectively, and each cover (a) is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3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24 It may be connected to each of the longitudinal ends of.
  • each cover (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3 and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24, respectively.
  • the supporting wall b is disposed in a space surrounded by the cover a.
  • the support wall (b) may be formed in a form protruding from the cover (a) toward the space.
  • the support wall (b) formed in this way may partition the space surrounded by the cover (a) into an inner space and an outer spac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
  • a connection end may be fitted to the support wall (b).
  • a seating groove (c)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wall (b).
  • the seating groove (c) may be formed concavely in the support wall (b).
  • the entrance of the seating groove (c) may be open toward the top.
  • connection end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portion 422 .
  • the extension portion 422 may be formed by extending the cylindrical portion 421 toward the key-shaped portion 425 .
  • the extension part 422 is the first surface of the key-shaped part 425 so that the step 423 is formed between the surface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shaped part 425, that is, the first surface 426. In 426, it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key-shaped portion 425.
  • extension portion 422 protrudes furth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key portion 425 than the first face 426 of the key portion 425, and the second face 427 of the key portion 425 ) is more protruding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key-shaped portion 425 than the extension portion 422 appears.
  • the extension part 422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strength of the joint between the cylindrical part 421 and the key-shaped part 425 can be further reinforced. If there is no extension portion 422,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cylindrical portion 421 and the key portion 425 will be limited to only the lateral end of the key portion 425. However, since the extension portion 422 is formed at the connecting end,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key-shaped portion 425 can be extended to the overlapping point of the extension portion 422 and the key-shaped portion 425, so that the cylindrical portion 421 The strength of the joint between the and the key-shaped portion 425 can be further reinforced.
  •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terminal support member 329 .
  • the connection end support member 329 presses the connection end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c in a direc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support wall b and fixes the connection end to the support wall b.
  • 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 member 329 may include a coil spring 329a disposed above the seating groove c and the support wall b.
  • the coil spring 329a may be disposed in a direction crossing the inlet of the seating groove c at the top of the seating groove c.
  • the coil spring disposed in this way may be installed to block between the inlet of the seating groove c and the connection end.
  • a first coupling part 329b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il spring 329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a second coupling part 329c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329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first spring coupling portion (j) and a second spring coupling portion (k)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wall (b).
  • the first spring coupling portion (j) and the second spring coupling portion (k) are disposed above the support wall (b),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a seating groove (c) therebetween.
  • the first coupling portion 329b may be coupled to the first spring coupling portion j,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9c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spring coupling portion k.
  • first coupling portion 329b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9c are each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hollow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any one of the first spring coupling portion (j) and the second spring coupling portion (k)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support wall (b), and the first spring coupling portion (j) and the second spring coupling portion (k).
  • the other one of the two spring coupling parts (k)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fastening hol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support wall (b).
  • the first spring coupling portion (j)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support wall (b), and the second spring coupling portion (k) has a fastening hole formed inside the support wall (b). It is exemplified by being provided in the form.
  • coupling between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 member 329 and the support wall (b) can be made by fitting between the first coupling portion (329b) and the first spring coupling portion (j).
  • coupling betwee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 member 329 and the support wall (b) can be achieved by fastening the second coupling portion (329c) and the second spring coupling portion (k) with screws.
  • connection end may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oil spring, that is, the connection end support member 329 inside the seating groove c.
  • connection end support structure form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nnecting end support structure,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dur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300 or an impact applied to the door 30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the first An impact received by the heating unit 400 may be substantially alleviated.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firmly fixed inside the seating groove c so that it cannot move at all,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not affected by the impact. All of them have no choice but to be received, which inevitably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 member 329 . Accordingly, when an impact is applied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avoid the impact to some extent while moving inside the seating groove c to some extent, and thereafter After returning to the original state, the state can be maintained stably.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 member 329 and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heater mounting unit 325,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due to impact damage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 connection end support structure in a state in which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end support member 329 is hooked and fixed to the first spring coupling part (j),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end support member 329 is screwed.
  •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may be completed with a simple fastening operation.
  • connection end support structure using the connection end support member 329 can provide effects related to stable install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suppression of damage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be provided together.
  •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wall f.
  • the outer wall (f)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support wall (b)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ing element 41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part 321, respectively.
  • This outer wall (f) forms the outermost wall of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eating element 410 .
  •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a space surrounded by a cover a, a support wall b, and an outer wall f is formed, respectively.
  • the space is a space whose side and bottom are surrounded by the cover (a), the support wall (b), and the outer wall (f), and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or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in this space. At least a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421 of the fixed end is inserted.
  • the cylindrical portion 421 may be connected to a cable.
  • the cable connected to the cylindrical portion 421 may be a signal cable that transmits a control signal generated by the first control board 500 (see FIG. 7)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or may be a signal cable that transmits power to the first heating unit. It may be a power cable supplied to 400, or may be both a signal cable and a power cable.
  • the signal cable and the power cable may be installed i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part 310 of the door. Further, the coupling betwee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the door frame 320 is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ortion 321 covers a portion where the cable mounting portions 340 and 345 are disposed.
  •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341 and 346 are disposed i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320a are disposed in the door frame 320 to correspond to the fastening bosses 341 and 346.
  • the part where the fastening hole 320a and the fastening bosses 341 and 346 are formed When the fastening is performed with the fastening member,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the door frame 320 may be coupled. At this time, the portion where the cable mounting portions 340 and 345 are disposed is covered by the coupling portion 321 .
  • the glasses 330 and 335 do not cover the portion where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re disposed, but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heater mounting unit 325 are disposed below the area covered by the glass 335 . Therefore, in order for the cables installed in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nd, as shown in FIGS. A passage must be formed between the regions of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
  • a concave groove (g) is provid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outer wall (f) and the coupling portion 321 .
  • the concave groove (g) is a concave surface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321, more specifically, the seating surface 322 of the coupling portion 321 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outer wall (f) and the coupling portion 321 form
  • the concave groove (g) formed in this way forms a gap through which the cable can pass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glass 335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322, so that the space where the cylindrical portion (a) of the connection end is accommodated and the cable mounting portion (340, 345; see FIG. 7) so that a passage for the cable to pass can be formed between them.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reflector 440 and a protective grill 450 .
  • the reflector 440 is configured to reflect heat from the first heating unit 400 so that the heat from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be concentrated toward the tray 200 (see FIG. 1).
  • the reflector 440 blocks between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unit 323 and between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glass 335, and heats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reflect.
  • the reflector 440 may include a first reflector unit 441 and a second reflector unit 445 .
  •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glass 335 .
  •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is provided to block between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glass 335 and between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unit 323 .
  • the first reflector part 441 may be formed as a surface that obliquely crosses between the first heating part 400,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3, and the glass 335.
  •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is formed in a roundly inclined shape, for example, a shape similar to a “ ⁇ ” shape.
  •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and the glass 335 .
  •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is provided to block the gap between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and the glass 335 .
  •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may be formed in a plane parallel to the glass 335 .
  •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above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
  • the reflector 440 may be formed by bending one metal plate so that the first reflector part 441 and the second reflector part 445 are integrally connected. For example, one metal plate is bent so that the first reflector part 441 disposed on the upper part and the second reflector part 445 disposed on the lower part can be connected in a “ ⁇ ” shape, thereby forming the reflector 440. It can be done.
  • the reflector 440 may be formed of an elastically deformable metal material.
  •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formed especially round can be elastically de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front-back direction.
  • first reflector unit 441 and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dispos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and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unit 323 can be formed.
  • the space formed in this way may be a space that suppresses heat transfer between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and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 That is, the space suppresses the transfer of heat from the first heating unit 400, which heats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to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can play a role
  • the reflector 440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frame 320 by being coupled to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art 324 and the cover (a).
  • a first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l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4, and a second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m may be provided on the cover a.
  • the second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m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ver a.
  • the cover (a) may be formed in a “U” shape surrounding the reflector 440 from the front, rear, and bottom.
  • the cover (a) may include a bottom surface disposed under the reflector 440 and a side wall disposed in front or rear of the reflector 440 .
  • the first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l)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4 toward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3.
  • the first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l may be disposed above the reflector 440 .
  • the first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l)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sidewall adjacent to the second horizontal support portion 324 of the sidewall of the cover (a).
  • the second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m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sidewall of the cover a adjacent to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3 .
  • the second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m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a, and may protrude from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idewall of the cover 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first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l disposed above the reflector 440 may interfere with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to regulate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 That i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l disposed above the reflector 440, and accordingly, the position of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It may be limited to an area lower than the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l).
  • the lower end of the first reflector part 441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sidewall of the cover (a) and the second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m), and thus, the first reflector part 441 and the cover (a) are fitted together. This can be done Due to the fitting between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and the cover (a) formed in this way, the position of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in the front-back direction can be regulated.
  •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is regulated by the first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l), and the front-back and vertical positions of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are controlled by the second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m).
  •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flector 440 may be guided to an area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a) and the first reflector supporting protrusion (l) and an area between both side walls of the cover (a).
  • the reflector 440 may be formed to have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long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a) and the first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l), and be elastically deformable in the vertical and longitudinal directions. Accordingly, in the reflector 440, the first reflector unit 441 is fitted to the cover (a) and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is fit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l), so that the cover (a) ) can be fixed to the inner region of
  • the reflector 440 is installed in a vertically contracted form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a) and the first reflector support protrusion (l), the reflector 440 is firmly fixed to the inner region of the cover (a). It can be.
  • the reflector 400 installed as described above blocks between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unit 323 and between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glass 335,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By reflecting the heat of ), the heat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contribute to being concentrated toward the tray 200.
  • the protective grill 450 is configured to protect the first heating unit 400 while allowing heat from the first heating unit 400 to be transferred to the tray 200 side.
  • the protective grill 450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horizontal support part 323 with the first heating part 400 interposed therebetween, o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glass 335 with the first heating part 400 interposed therebetween. can be placed.
  • the protective grill 4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steel wires 451 .
  • Each steel wire 451 has a length exten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is provided with a length substantially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or slightly longer than that. .
  • the plurality of steel wires 451 are arrang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from the outsid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
  • the plurality of steel wires 451 may b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
  • the circumferential periphery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surrounded by a reflector 440 and a protective grill 450 . That is, one sid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top of the heating unit 400 are surrounded by the reflector 440, and the other side of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nd the heating unit 400 are surrounded by the reflector 440. The lower part of ) is surrounded by a protective grill 450.
  • the plurality of steel wires 451 are arranged to surrou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in the front-back direction and the bottom of the heating unit 400 from the outside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protection grill 450 may be installed on the door frame 320 by fixing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respectively.
  • a grill fixing part may be provided at each of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
  • the grill fixing part is provided as a means for fixing the steel wire 451 of the protective grill 450 to the heater mounting part 325,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ribs h.
  • a plurality of fixing ribs (h)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teel wires (451). And, each fixing rib (h)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first heating unit 400 from the cover (a). Accordingly, fixing grooves may be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fixing ribs h. It is preferable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xing ribs (h) be determined so that the fixing groove can be formed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teel wire 451.
  • the plurality of fixing ribs (h)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ver (a) as described above may serve as a reinforcing structure to improve the strength of the cover (a).
  • the heater mounting portion 325 may further include a grill support portion 328 .
  • the grill support part 328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
  • the grill support part 328 serves to support the steel wir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
  • the grill support part 328 may include a cover 328a and a plurality of fixing ribs 328b.
  • the cover 328a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cover (a) of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or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
  • the cover 328a may be formed in a “U” shape with an open top.
  • the plurality of fixing ribs 328b may be formed in the same or similar shape as the fixing rib h of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or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 That is, the fixing ribs 328b may be spac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teel wires 451 . Also, each of the fixing ribs 328b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cover 328a, and accordingly, a fixing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each of the fixing ribs 328b.
  • the grill support 328 provided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is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 a hole through a grill may be provided in one cover (a) of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 a grill pass-through hole is provided in the cover (a) of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 This grill passage hole may form a passage necessary for the steel wire 451 of the protective grill 450 to pass through the cover (a)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grill passage hole may be provided at an end of the cover (a), more specifically, at one end of the cover (a) facing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 the fixing rib (h) may be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wall (b) and the grill passage hole.
  • the grill passage hole may open towar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ortion 327 and may include a wide portion n and a narrow portion o.
  • the wide portion (n) may be disposed between the longitudinal end of the cover (a), more specifically, one end of the cover (a) facing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ortion 327 and the fixing rib (h). there is.
  • the wide portion n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over a.
  • the narrow portion (o) is disposed between the wide portion (n) and the fixing rib (h), and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over (a). This narrow portion (o) may open towar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ortion (327).
  • the narrow portion o is connected to the wide portion n and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wide portion n.
  • the narrow portion o may be formed to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wide portion n and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wide portion n in the width direction.
  • the narrow portion (o) is formed with a wider width than the thickness of the steel wire 451, but may be formed with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teel wire 451.
  • At least one of the fixing groove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fixing ribs (h) provided in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overlaps with the wide portion (n)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overlaps with the narrow portion (o)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can be placed in a location where it is not.
  • the passage necessary for the steel wire 451 of the protection grill 450 to pass through the cover (a)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steel wire 451 are fixed to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 a structure to do so can be provided together.
  • the other side of the steel wire 4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fixed to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Installation of the steel wire 451 may be made.
  • the door frame 32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in a downward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door frame 320.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steel wire 451 by inserting the steel wire 451 .
  • the steel wire 451 should be installed by inserting the steel wire 451 into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in the lateral direction.
  • the steel wire 451 passes through the inner region of the grill support part 328 from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in the lateral direction. Then, after pushing the steel wire 451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inserting it into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it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of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and fixed.
  • the other side of the steel wire 4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ocated below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
  •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wire 451 In order for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wire 451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wire 451 must pass through the cover (a) upward.
  •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teel wire 451 may pass through the cover (a) through the grill passage hole and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 the steel wire 451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ed end fixing part 326 can be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of the first connected end fixing part 326 and fixed.
  • a coupling protrusion (i) may be provided to protrude from the top of the cover (a).
  • a fitting protrusion 447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reflector 440 .
  • the fitting protrusion 447 may protrude from the second reflector unit 445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 a fitt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fitting protrusion 447 .
  • the fitting coupling protrusion 447 may be fitt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i) so that the coupling protrusion (i)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 the door frame 320 may have a first hinge pass-through hole 320b.
  • the first hinge passage hole 320b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oupler 321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first hinge passage hole 320b may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hinge part 810 passes through the door frame 320 on the door frame 320 .
  • the door frame 32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320c and a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320d, as shown in FIGS. 42 and 47 to 49 .
  •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320c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320d may be provided as a structure for forming a coupling between the hinge portion 810 of the hinge assembly 800 and the door frame 320 .
  •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320c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320d may be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810, but coupled in different directions.
  • one of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320c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320d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810 in a lateral direction
  • Another one of the hinge coupling parts 320d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with the hinge part 810 in the vertical direction.
  •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320c is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810 in the lateral direction
  •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320d is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810 in the vertical direction. It is exemplified that it is provided to be able to.
  •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320c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first hinge passage hole 320b.
  •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320c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door frame 320 at a position very close to the first hinge passage hole 320b.
  •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320b may form a coupling surface facing the hinge portion 810 in a lateral direction.
  •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320d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first hinge passage hole 320b.
  •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320d may form a coupling surface facing the hinge portion 810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inge passage hole 320b.
  • a surface disposed above the first hinge passage hole 320b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hinge passage hole 320b is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810 , and this coupling surface may be provided in a form supported by side walls protruding from the door frame 320 .
  • the coupling between the hinge part 810 and the door frame 320 may be made in the following form.
  • a coupling between the hinge portion 810 of the hinge assembly 800 and the door frame 3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the hinge unit 810 may include a first hinge link 811 , a second hinge link 812 , a third hinge link 813 , and a fourth hinge link 814 .
  • the hinge unit 8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inge links. Among them, the first hinge link 811 is directly coupled to the door frame 320 . The first hinge link 811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320 and can rotate together with the door 300 .
  • a second hinge link 812 and a third hinge link 81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link 811 .
  • the second hinge link 812 and the third hinge link 813 are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hinge link 811 and may be connected at different points.
  • the second hinge link 812 and the third hinge link 813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hinge link 814 .
  • the fourth hinge link 814 may be connected to a damper 815 (see FIG. 52 ) provided in the hinge assembly 800 .
  • the damper 815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inge case 830 and may act to reduc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fourth hinge link 814 .
  • the door 300 can open and close the cooking chamber 105 (see FIG. 52) while gently rotating at an appropriate speed.
  • the first hinge link 811 may pass through the first hinge passage hole 320b from the bottom of the door frame 320 and be coupled to the door frame 320 at the top of the door frame 320 .
  • the first hinge link 811 is illustrated as being formed in a rectangular bar shape including both side surfaces and an upper surface.
  • a side surface of the first hinge link 811 may be coupled to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320c. Als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link 811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hinge coupling part 320d.
  • the coupling between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hinge link 811 and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320c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link 811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320d may be performed by a screw fastening method. .
  •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hinge link 811 and the first hinge coupling portion 320c are coupled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hinge link 811 and the second hinge coupling portion 320d are It can be coupl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coupling between the hinge portion 810 and the door frame 320 is made in different directions at a plurality of points,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hinge portion 810 and the door frame 320 can be stably achieved with a stronger coupling force do.
  •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320a are provided in the door frame 320, and some of the fastening holes 320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hinge passage hole 320b.
  • the coupling between the door frame 320 and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can be made at a position very close to the first hinge through hole 320b, the door frame 320 is near the first hinge through hole 320b. ) and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can be more effectively suppressed from occurring.
  • the door frame 320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may provide the following effects.
  • the door frame 32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so that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see FIG. 7) disposed inside the door upper surface part 310 and the cables installed therein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may be covered.
  • the door frame 320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door part 310 in the form of being fastened to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using a fastening member in a state where the coupling part 321 covers the portion where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are disposed.
  • the door frame 320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door part 310 covers the cable mounting parts 340 and 345 (see FIG. 7) disposed inside the upper door part 310 and the cables installed therein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door 300 if necessary.
  • the door frame 320 can safely protect internal parts of the door upper surface 310 and can be easily separated when necessary, thereby contributing to making maintenance of the cooking appliance easy and fast.
  • the door frame 320 provides a frame in which the first heating unit 400, its related parts, and the glass 335 can be assembled as a unit, so that parts management and manufacturing management are more efficient. You can contribute to making it happen.
  • the door frame 320 includes a first heating unit 400, a reflector 440, and a protective grill 450 attached to the door frame 320. Structures to be fixed are provided together.
  • a single unit unit in which the glass 335, the first heating unit 440, the reflector 440, and the protective grill 450 are coupled to the door frame 320 may be provided, and the door frame 320 may be used as a door
  • the glass 335, the first heating unit 440, the reflector 440, and the protective grill 450 can be formed at once only by being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310.
  • the door frame 320 provides structures that allow the first heating unit 400 to be easily and quickly installed on the door frame 320, so that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You can contribute to making it happen.
  • one end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first inserted into either one of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and the first heating part 400 is After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both ends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re fitted into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respectively, it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nd support member 329. Install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can be completed only by a simple and easy fixing operation.
  •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7 are not directional, one end of the first heating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end fixing part 326 and the second connection end. Even if it is inserted into any of the tops 327 first,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possible without any problems.
  • the door frame 320 enables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to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and thus maintenance work performed for replacement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as well as manufacturing work of the cooking appliance. It can also contribute to making it easy and fast.
  •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connection terminal support member 329 and stably installed on the heater mounting unit 325, so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first heating unit 400 is made easily and quickly, Damage to the first heating unit 400 due to impact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 FIG. 5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oor front part
  • FIG. 51 is a view showing water vapor and air flow inside the door front part shown in FIG. 50 .
  • a space may be formed inside the door upper part 310 and the door front part 350, respectively.
  • a space is formed between a pair of glasses 330 and 33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see-through window W installed on the door upper surface 310 .
  • the space inside the door upper part 310 including the see-through window W and the space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in other words, the space surrounded by the first door body part 310a and the door frame 320.
  • the space portion surrounded by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and the door rear cover 350b may be shielded by a sealing member S or the like.
  • a cooling hole 301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oor front part 350 .
  • the cooling hole 301 may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lower end of the door front part 350, more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art 350a.
  • the cooling hole 301 forms a passage on the door front part 350 to open a space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to the outside.
  • a plurality of cooling holes 301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door body portion 350a, and the plurality of cooling holes 301 are arrang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lower end of the door front portion 350. is exemplified
  • An exhaust port 303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door portion 310 .
  • the exhaust port 303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rear end of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and forms a passage on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to open a space inside the door upper surface portion 310 to the outside.
  • the cooking appliance of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oling fan 360 disposed inside the door 300 .
  • the first cooling fan 36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oor upper part 310 or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
  • the first cooling fan 360 may be installed in a space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
  • the first cooling fan 360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panel 550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panel 550 .
  • the first cooling fan 360 is disposed in an area different from the area where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disposed, that is, in the second area 550b.
  • the see-through window W and the first heating unit 400 are installed on the upper door portion 310, the free space in the upper door portion 310 is insufficient.
  • the door front part 350 has a relatively large free space compared to the door upper part 310.
  • the first cooling fan 36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door front part 350 .
  • the first control board 500 is disposed in the first region 550a, and parts related to the operating device 1000 are disposed on the first control board 500. Therefore, in the first area 550a,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extra space where the first cooling fan 360 is installed.
  • Components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580 and a touch manipulation unit 1900 are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550b.
  • the first cooling fan 360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550b together with the first cooling fan 360 .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어 조리실의 전방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되, 하우징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 측으로부터 다른 측면 측으로 유동하는 흐름 및 조리실의 전방에서 하우징의 배면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시는 배기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이 중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보다 요리의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에 비해 소형화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크기가 작은 미니 오븐 형태의 전기 오븐(이하 "미니 오븐"이라 한다)도 출시되고 있다.
상기 미니 오븐은, 크기가 작아 크기가 큰 음식물의 조리에는 부적합하지만, 대용량의 오븐을 사용하기엔 부담스러운 소량의 음식물을 굽거나 데우는데 적합하다.
특히 미니 오븐은, 토스트를 굽는데 편리하게 이용될 수 있으면서도, 토스트 외에도 크기가 작은 소량의 음식물을 조리하는데도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기존의 토스트기를 대체하는 조리기기로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미니 오븐은 모든 구성품을 수용하기 위한 외부 케이스와, 조리 시에 음식물을 올려놓기 위한 복수개의 선반과, 전면이 개구되어 음식물을 넣어서 조리할 수 있도록 된 조리실을 구비한다.
또한 미니 오븐은, 음식물을 적당한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오븐히터와,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어는 조리실에 음식물을 넣고 조리를 하는 동안 조리실 내부가 외부와 차단되어 밀폐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도어에는, 도어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와, 도어를 열지 않고도 조리실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리창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미니 오븐에서, 도어는 대부분 하부 개방형 타입으로 구비된다. 즉 미니 오븐에 적용되는 도어는, 그 하단부가 도어 힌지를 통해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부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하단부를 중심으로 하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부방향으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폐쇄하는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도어는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에서 약 90도 정도의 각도로 회동하여 조리실을 개방하고,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이와 같이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는 미니 오븐의 내부에 삽입되는 선반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상태로 개방되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미니 오븐은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미니 오븐이 협소한 공간에 설치되었을 때 도어의 개방과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둘째,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크기만큼이나 무게도 가벼운 미니 오븐의 특성 상,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릴 수 밖에 없고, 이 경우 미니 오븐이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이 증가된다.
특히 선반의 인출시, 조리 상태의 확인이나 선반의 임시 거치를 위해 선반이 도어의 상부에 얹혀지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게 되는 구조에서는 미니 오븐의 전도 위험성이 커질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선반 또는 선반에 올려진 음식물의 무게가 무거울 경우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무거운 음식물의 조리에 위험성이 더해질 뿐 아니라, 선반의 중량을 증가시키는데 부담이 있게 된다. 즉 조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껍고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의 선반의 채용이 필요하더라도, 미니 오븐의 전도 발생 위험으로 인해 이러한 선반의 채용이 어렵게 된다.
셋째,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의 통로, 그리고 조리 상태 확인의 통로가 미니 오븐의 전면으로 제한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된다.
즉 선반의 삽입 및 인출 방향이 전후방향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선반의 삽입 및 인출에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조리 상태의 확인의 통로가 도어에 구비된 유리창으로만 제한되므로,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조리 상태를 확인하는데 상당한 불편함이 있게 된다.
통상적으로 음식물 전체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도어 개방만으로는 부족하고, 트레이의 인출이 반드시 이루어져야만 한다.
즉 사용자가 음식물 전체의 조리 상태를 제대로 확인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한 후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여야만 하는데, 미니 오븐이 낮은 곳에 설치되었을 경우 이러한 작업은 매우 불편한 작업이며, 사용자가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넷째,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로부터 선반을 직접 당기거나 조리실 내부로 밀어 넣는 형태로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이루어짐으로 인해, 사용자의 불편 및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이 증가된다.
조리 도중, 사용자가 선반을 인출하여 전체적으로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도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한 후 직접 선반을 잡고 인출하여야 하고, 조리를 재개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직접 선반을 잡고 조리실 내부로 선반을 밀어 넣어야 한다.
즉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고 선반을 직접 인출, 삽입하여야 하는 불편함에 사용자가 노출되고, 또한 이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 위험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려 미니 오븐의 전도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사용자의 안전이 심각하게 위협될 수 있다.
선행문헌1(일본등록특허 제6289602호)에는, 도어의 개폐와 연동하여 조리실을 출입하는 조리판을 포함하는 가열조리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의 구성에 따르면, 조리실에는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하 "제1슬라이드 레일"이라 한다)이 마련되고, 도어에도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이하 "제2슬라이드 레일"이라 한다)이 마련되어 조리실측에 마련된 슬라이드 레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슬라이드 레일은 제1슬라이드 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에 따라 도어는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슬라이드 레일에는 지지부재가 설치되며, 지지부재의 상단부에는 조리판이 상방에서 걸려 지지된다. 즉 조리판은 지지부재에 의해 제2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되고, 이 제2슬라이드 레일은 제1슬라이드 레일에 지지된다.
상기 구조에 의해, 조리판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도어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조리판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동작에 연동되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조리실을 출입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조리판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판의 삽입과 인출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는, 단순히 조리판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뿐, 조리 상태 확인을 위해서는 여전히 도어 개방이 필요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 또한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선행문헌2(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565호)에는,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전방뿐 아니라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는 구조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2의 구성에 따르면, 토스터기의 전방에 도어가 설치되고, 이 도어는 토스터기의 전방측으로 회동하여 토스터기의 내부공간을 개방한다. 이때 도어가 토스터기의 전방뿐 아니라 상부 일부분도 함께 덮을 수 있게 마련되므로,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전방뿐 아니라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선행문헌2의 구성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토스터홀드가 내설되고, 도어 개방시 토스터홀드가 도어와 함께 전방으로 회동하며 조리기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2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토스터홀드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토스터의 삽입과 인출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2의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는,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내부 공간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폐시 토스터홀드에 수용된 토스터와 조리기기의 프레임 간의 간섭 발생이 회피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2의 장치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의 통로, 그리고 조리 상태 확인의 통로가 미니 오븐의 전면으로 제한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제약이 발생되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장치는, 단순히 토스터홀드의 출입이 도어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을 가질 뿐, 조리 상태 확인을 위해서는 여전히 도어 개방이 필요한 구조로 제공되므로, 단순히 조리 상태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개방하여야 하는 불편함 또한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였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장치에 따르면, 도어의 내부에 토스터홀드가 내설되기 때문에,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더욱 쏠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상기 선행문헌2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도어 개방시 도어가 토스터기의 전방으로 펼쳐질 뿐 아니라, 전방으로 펼쳐진 도어의 무게에 토스터홀드의 무게, 토스터홀드에 수용된 토스터의 무게가 더해지게 되므로,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더욱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토스터기의 전도 발생 위험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선행문헌3(미국등록특허 제6271502호)에는,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를 구비하는 오븐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3의 구성에 따르면, 오븐의 전방에는 프런트 도어가 설치되고, 오븐의 상부에는 탑 커버가 설치된다.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는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각각 독자적으로 동작하며, 오븐 내부 공간의 전방은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고, 오븐 내부 공간의 상부는 탑 커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3의 장치는, 상술한 미니 오븐의 첫 번째 단점과 두 번째 단점을 그대로 갖는다.
즉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단점, 도어의 개방시 도어의 높이만큼 도어가 미니 오븐의 전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미니 오븐의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쏠리는 단점이 선행문헌1의 가열조리기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또한 선행문헌3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과 탑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내부 공간은 서로 분리된 공간이고 서로 연결된 공간이 아니다.
즉 프런트 도어와 탑 커버가 함께 개방된다고 해서 프런트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내부 공간의 개방 정도가 확장되는 것이 아니며, 탑 커버의 개방에 의해서는 단지 탑 커버의 개방에 의해서만 개방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개방될 뿐이다.
선행문헌4(미국등록특허 제6029649호)에는, 원통형으로 제공되는 오븐에 설치되어 오븐을 개폐하는 오븐 도어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4에 따르면, 도어는 원통 형상의 바디에 도어가 설치되고, 이 도어는 원통 형상의 바디의 둘레방향으로 회전하며 바디를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는, 개방시 바디의 전방이나 후방 어디로도 돌출되지 않으며, 단지 바디 둘레를 회전하며 바디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개시하는 선행문헌4의 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선행문헌4에 개시된 도어는, 조리기기의 본체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구조에서만 적용이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육면체 형상의 조리기기 본체에는 적용이 불가능하므로, 호환성이 낮은 단점이 있다.
둘째, 선행문헌4에 개시된 바디의 내부에는 선반과 같이 음식물이 안착되기 위한 구조물의 설치가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바디의 내부에 선반과 같은 구조물이 설치된다고 하더라도, 바디의 구조상 이러한 선반의 인출과 삽입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선행문헌4에 개시된 도어의 구조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전면이나 상부면에 조작스위치가 배치되기 어렵다. 이는 바디의 전면과 상부면 대부분이 도어에 의해 덮여있거나 도어의 회전범위 내에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선행문헌4에서는 타이머와 같은 조작스위치가 바디의 측면에 배치된 구성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전면이나 상부면에 배치되지 못하고 조리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따라서 선행문헌4와 같은 조작스위치의 배치 형태는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한 형태라고 보기 어렵다.
또한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 어디에도,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된 형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는 조작스위치가 본체에 구비되어 있다.
특히 선행문헌1 및 선행문헌3에는,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본체에 배치되되, 도어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만큼 본체의 좌우방향 폭이 길어져야 하는데, 이로 인해 조리기기 전체의 크기는 커지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폭은 그에 비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선행문헌2에서는, 조작스위치가 조리기기의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의 위치가 낮아짐에 따라 사용자가 조작스위치를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또한 선행문헌2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또 조작스위치가 배치되는데 필요한 공간만큼 본체의 상하방향 길이가 길어져야 하는데, 이로 인해 조리기기 전체의 크기는 커지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폭은 그에 비해 좁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마지막으로, 선행문헌4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의 측면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스위치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조작하는데 불편함이 있게 된다.
상기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기가 어렵다. 선행문헌1 내지 선행문헌4에 개시된 구성에 따르면, 사용자가 조리실 내부를 들여다볼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도어에 투시창이 배치되는데, 이러한 투시창이 도어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므로, 도어에 조작스위치가 설치될만한 공간이 확보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면, 조작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도 도어 내부에 배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제어기판이 설치될 공간이 도어 내에서 확보되기도 어렵다.
따라서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배치되는 구성이 제공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의 설계가 요구된다.
또한 상기 선행문헌들에는, 조리기기의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가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선행문헌들, 특히 선행문헌2 및 선행문헌3에서는 도어 개방시 토스터기 또는 바디 내부 공간의 전면과 함께 상부 일부분도 함께 개방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범위가 확장될수록 조리기기의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가 새어나올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조리기기의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가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새어나오게 되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또한 조리기기의 본체와 도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수증기에 의해 도어 및 그 주변에 이슬 맺힘이 발생되거나, 도어에 맺힌 이슬에 의해 도어 주변에 물고임이 발생되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선행문헌1 : 일본등록특허 제6289602호
선행문헌2 : 한국공개특허 제20-2011-0001565호
선행문헌3 : 미국등록특허 제6271502호
선행문헌4 : 미국등록특허 제6029649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의 크기 증가는 억제되면서도 도어에 의해 개방되는 통로의 폭이 증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작스위치가 도어에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상태 확인이 용이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높은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의 개방과 선반의 삽입 및 인출이 용이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 배치되어야 하는 각종 구성들이 도어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에 배치되어야 하는 각종 구성들이 도어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 중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가 도어의 전방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에 배치되어야 하는 각종 구성들이 열기나 수증기에 의해 받는 영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도어 개방시 하우징의 전방과 상부가 함께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힌지 어셈블리 내부에는, 조리기기의 전면 및 상면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로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각유로는, 힌지 어셈블리의 전방 및 상부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의 하부에는, 냉각팬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쉽게 상승될 수 있으면서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고 도어의 과열로 인한 도어내부 부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하우징의 측면에 배치되어 조리실의 전방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되, 하우징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 측으로부터 다른 측면 측으로 유동하는 흐름 및 조리실의 전방에서 하우징의 배면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시는 배기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기유도부는, 힌지 어셈블리 내부에 형성된 냉각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측면에 냉기토출부가 마련되고, 냉각유로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냉기토출부를 통해 조리실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가 조리기기의 전방측에서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효율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 내부에 제어기판이 배치되고, 제어기판이 배치된 동일 공간에 냉각팬이 배치되며, 이 냉각팬은 제어기판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도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어에 배치되어야 하는 각종 구성들이 열기나 수증기에 의해 받는 영향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냉각팬은, 도어상면부보다는 냉각홀에 좀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각팬은 도어상면부보다 하부에 배치된 터치패널지지부 및 온도센서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냉각팬에서 토출되었던 고온의 공기 및 수증기의 재흡입, 그리고 도어상면부의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이 억제됨으로써, 도어 내부에 대한 냉각 효율 및 수증기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상면부의 내부에 케이블장착부가 마련되고, 제1제어기판과 제1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을 통해 조리실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지지패널이 도어본체부와 도어배면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어 도어본체부의 내부에 고정되고, 제어기판이 지지패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손잡이와 지지패널과 도어가 하나의 브라켓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배면커버와 제어기판과 지지패널과 도어가 하나의 브라켓에 함께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도어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도어 내부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가 감소되고, 도어 조립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이 온도센서가 조리실을 향해 도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에 온도센서가 배치되고, 이 온도센서가 조리실을 향해 도어 외부로 돌출되되, 조리실의 상부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온도센서는, 트레이와 가열부 사이에 배치되되, 가열부에 더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는, 도어전면부의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는, 가열부가 차폐판에 의해 가려지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투시창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조리기기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가열부가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트레이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마련된 제1가열부는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도어상면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가열부는 조작장치 및 제1제어기판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의 무게 중심도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제1가열부와 투시창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고 조작장치는 제1가열부와 투시창이 설치되지 않은 도어전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가 하우징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도록, 글라스와 히터 등과 같이 무게가 상대적으로 많이 나가는 부품들이 도어상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리기기는, 도어가 조리실을 개방할 때 조리기기의 무게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도어 개방시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의 전방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배기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유도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 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다른 측면 측으로 유동하는 흐름 및 상기 조리실의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의 배면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우징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힌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힌지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힌지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각유로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유도부는, 상기 냉각유로와, 상기 냉각유로로부터 상기 힌지케이스의 외부로 개방되는 유로입구, 및 상기 냉각유로로부터 상기 조리실 내부로 개방되는 유로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힌지케이스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유로출구와 연통되는 냉기토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유로출구 및 상기 냉기토출부를 통해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출구와 상기 냉기토출부가 측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냉각유로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냉기토출부를 통해 측방향으로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유도부는, 상기 유로출구를 감싸며 상기 힌지케이스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측면 측으로 돌출되는 토출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토출돌기는, 상기 유로출구와 상기 냉기토출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기토출부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입구가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로 개방되고, 상기 유로입구에 냉각팬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나란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냉기유로보다 상기 유로입구의 폭이 넓고,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유로입구를 둘러싸며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팬장착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팬장착부의 내부에 상기 냉각팬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팬장착부는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저면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이 상기 힌지케이스를 향해 측방으로 개방되고, 상기 팬장착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저면 하부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 및 상기 유로출구의 전후방향 위치는, 상기 힌지케이스 중에서 상기 도어전면부 측으로 치우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출구의 상하방향 위치는, 상기 힌지케이스 중에서 상기 도어상면부 측으로 치우친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유로입구로부터 상부"눰袖막* 연장되는 제1구간, 및 상기 제1구간의 상부측에서 상기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구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구간은, 상기 하우징의 전면 및 상기 도어전면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구간은,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상기 도어상면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힌지케이스 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도어전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가스켓과,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상기 도어전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가스켓, 및 상기 힌지케이스 또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도어상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가스켓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가스켓은, 상기 냉각유로의 전방에서 상기 힌지케이스와 상기 도어전면부 사이 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도어전면부 사이를 실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가스켓은, 상기 냉각유로의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상기 도어전면부 사이를 실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가스켓은, 상기 냉각유로의 상부에서 상기 힌지케이스와 상기 도어상면부 사이 또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상기 도어상면부 사이를 실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3가스켓은, 상기 하우징의 측방향 중심과 상기 제2구간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스켓 및 상기 제2가스켓은,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는 상기 도어전면부의 배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3가스켓은, 상기 하우징과 마주보는 상기 도어상면부의 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상면부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단에는 배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배기구는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단에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상면부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에 배치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열부를 지지하며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도어상면부 내부의 공간부를 하부에서 덮으며 상기 도어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열부는,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상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은, 상기 제1가열부가 결합되는 히터장착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와 결합되어 상기 히터장착부를 상기 도어상면부에 지지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도어상면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에는 연결홀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상면부 내부의 공간부와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전면부 내부의 공간에 수용되어 상기 가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기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기판과 동일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기판이 설치된 공간의 공기를 도어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상면부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도어본체부와; 상기 도어전면부의 외관을 형성하며, 후방을 향해 개방되는 공간이 내부에 형성되는 제2도어본체부; 및 상기 제2도어본체부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도어배면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도어본체부의 저면에는, 냉각홀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전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어기판 및 상기 냉각팬을 지지하는 지지패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패널은 상기 제어기판이 배치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어기판이 배치되지 않는 제2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되며 조리실의 전면과 상면을 모두 개방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의 개방이 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음식물이나 트레이의 인출이 더욱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에 의해 도어의 전면과 상면이 개방될 수 있어 도어의 개방에 의해 트레이부가 더 많이 노출되므로, 트레이의 일부만 인출하여도 조리물을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어 더 향상된 편의성 및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가 전방으로 펼쳐지지 않고 상부방향으로 회동하며 개폐되도록 마련되므로, 도어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고, 이에 따라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의 회동 중심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형성되고, 도어의 무게 중심이 도어전면부보다 도어상면부에 치우치게 형성되며, 도어의 개방시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이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작장치가 도어에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하우징의 크기는 줄이면서도 트레이 및 음식물이 출입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컴팩트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시창이 도어의 상부에 배치되고 조작장치가 도어의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조리기기가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 사용자가 조리기기를 정면에서 마주보며 쉽고 편리하게 조작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어 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이 도어 내부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가 감소되고, 도어 조립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열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쉽게 상승될 수 있으면서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이 방지되고 도어의 과열로 인한 도어내부 부품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의 전후방향 위치에 따라 하우징의 전면과 도어전면부의 간격, 또는 하우징 측면의 전방 단부와 도어전면부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Y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의 Y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 도어의 개폐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뿐 아니라,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의 누설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브라켓을 이용하여 캐비닛의 전면이 하우징의 전방에서 하우징의 전면과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과 캐비닛 간의 갭 관련 공차의 용이해지도록 할 뿐 아니라, 캐비닛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추면서도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캐비닛의 전면이 하우징의 전방에서 하우징의 전면과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캐비닛의 전면과 하우징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은 차단되고, 냉기토출부를 통한 냉기 토출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할 때 도어와 하우징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가스켓들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조리실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도어와 하우징 간의 접촉으로 인해 도어 또는 하우징에 긁힘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가 조리실을 폐쇄할 때 도어에 가해지는 충격이 가스켓들에 의해 흡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조리실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도어 자체 또는 도어에 설치된 부품들의 파손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중 조리실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가 도어의 전방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와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와 하우징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수증기에 의해 도어에 이슬 맺힘이 발생되거나 도어에 맺힌 이슬에 의해 도어 주변에 물고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 및 그 주변이 물기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기판와 조작장치 등이 수용된 도어전면부 내부로 유입된 열기 및 수증기가 도어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내부의 부품들의 성능 저하 및 고장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내부에서의 제1냉각팬의 위치를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냉각팬에서 토출되었던 고온의 공기 및 수증기의 재흡입, 그리고 도어상면부의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이 억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 내부에 대한 냉각 효율 및 수증기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내부의 부품들의 성능 저하 및 고장 발생 위험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낮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0은 도 1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제1제어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0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은 도어전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지지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지지패널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4는 온도센서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브라켓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지지패널과 도어배면커버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7은 도어본체부 전면과 지지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성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 내지 도 31은 도어전면부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27에 도시된 터치조작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의 배면에 배면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1은 도 40에 도시된 도어프레임 및 도어프레임에 설치되는 구성들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3은 도어프레임과 제1가열부 및 보호그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44는 도어프레임과 제1가열부와 보호그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45는 도 40의 "ⅩⅩⅩⅩⅤ-ⅩⅩⅩⅩⅤ" 선에 따른 단면도 이다.
도 46은 도 40의 "ⅩⅩⅩⅩⅥ-ⅩⅩⅩ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7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8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9는 도어프레임과 힌지부와 도어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0은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1은 도 50에 도시된 도어전면부 내부에서의 수증기 및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2는 도 1의 "ⅩⅩⅩⅩⅩ-ⅩⅩⅩⅩⅩ"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54는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55는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56은 도 55에 도시된 냉각유로를 통한 조리실 내부로의 공기 토출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7은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도 59는 도 58의 "ⅩⅩⅩⅩⅩ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다.
도 61은 도 60의 "ⅩⅩⅩⅩⅩ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63은 도 62의 "ⅩⅩⅩⅩⅩⅩ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4는 도 59의 "ⅩⅩⅩⅩⅩⅩ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5는 도 61의 "ⅩⅩⅩⅩⅩⅩ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6은 도 63의 "ⅩⅩⅩⅩⅩⅩ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8은 도 67에 도시된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9는 도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0은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71은 도 70의 "ⅩⅩⅩⅩⅩⅩ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3은 도 72의 "ⅩⅩⅩⅩⅩⅩⅩ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4는 도 72에 도시된 도어프레임과 힌지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5는 도 4의 "ⅩⅩⅩⅩⅩⅩⅩ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과 하우징을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7은 도 75에 도시된 캐비닛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8은 도 75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79는 도 78의 "ⅩⅩⅩⅩⅩⅩⅩⅨ-ⅩⅩⅩⅩⅩⅩⅩ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바닥을 향하는 방향을 하방으로 정의한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토출부를 향하는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한다. 편의상 이렇게 하방과 상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하방은 제1방향의 일방, 상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가 바닥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조리기기의 제1방향 및 제2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을 조리기기의 전후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전후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3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의 제2방향 및 제3방향과 나란한 평면의 연장방향을, 편의상 평면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하우징(100)과 도어(300)와 트레이(200) 및 가열부(400,6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골격을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여러 부품들은 하우징(100)에 각각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은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하우징(100)은,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조리실(105)이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배치된다. 트레이(200)는, 조리물이 안착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조리실(105)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트레이(2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저면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트레이(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하방향으로 납작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트레이(200)의 저면은,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면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이(200)의 네 측면은 트레이(200)의 저면 테두리로부터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이 조리기기의 저면, 측면, 배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한다면, 도어(300)는 조리기기의 상면 및 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러한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하우징(100) 내부의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그리고 도어전면부(350)는,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며,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을 덮는 구성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300)는 "ㄱ"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어(300)는, 조리실(105) 개폐를 위한 회동시, "ㄱ" 형상으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가 함께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를 매개로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이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어(300)의 전면에는 손잡이(305)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손잡이(305)를 잡고 도어(30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며 조리실(105)을 개폐할 수 있다.
가열부(400,600)는, 하우징(100) 또는 도어(300)에 설치되어 조리실(105)에 배치된 트레이(200)를 가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400,600)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제1가열부(400)와 하우징(100)에 배치되는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에 설치되되,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하였을 때 제1가열부(400)가 조리실(105) 내부에 수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하우징(100)의 저면과 마주하는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열부(400)는 전기히터를 구비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에 안착된 조리물을 트레이(200)의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에 설치되되,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가열부(600)는,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트레이(200)는, 제2가열부(600)에 의해 유도 가열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105)이 내부에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조리실(105)의 전방 및 상부를 동시에 개방할 수 있게 구비되는 도어(300)와,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1가열부(400), 및 조리실(105) 내부의 트레이(200)를 유도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 제2가열부(600)를 포함하며, 도어(300)의 개폐 동작에 연동되어 트레이(200)의 인출 및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된 구성들, 및 그 외에 아직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에 순차적으로 기재될 것이다.
[하우징의 구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 및 힌지 어셈블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저면(110)과 한 쌍의 측면(120,130)과 배면(140)을 포함하고, 그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공된다.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으로 둘러싸인 내부 공간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고, 이러한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면 후방에는 제2가열부(600)의 가동과 관련된 전장부품, 예를 들면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외측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와의 결합을 매개로 도어(300)가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우징(100)은 금속판이 "└┘" 형상으로 절곡되고 이처럼 절곡된 금속판이 하우징(100)의 저면과 양측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100)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이 양측면(120,130)과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향상될 뿐 아니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의 틈새에 이물질이 끼거나 그 틈새를 통해 이물질이 빠져 제2가열부(600)의 오염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하우징(100)은 "ㅗ" 형상의 금속판의 왼쪽 돌출 부분과 오른쪽 돌출 부분을 각각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을 형성하고, 배후측 돌출 부분을 상부방향으로 접어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형성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우징이 제조되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간, 그리고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배면(140) 간의 이음새 없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전방 및 상부에서 보았을 때 조리실(105) 내부의 이음새가 거의 보이지 않게 되면서 조리실(105)의 내측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리실(105) 내부의 미감이 더욱 향상될 뿐 아니라, 조리실(105)의 내측면에 묻은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해지는 효과를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하우징(100)의 저면(110)은, 세라믹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소정 두께를 갖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세라믹 글라스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저면(110)의 절개된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세라믹 글라스는 제2가열부(600)와 트레이(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는, 후술할 제2제어기판(700)을 수용하는 배면케이스(150)가 배치된다. 제2제어기판(700)은 배면케이스(150)에 수용되어 하우징(100)의 배후에 설치되며, 하우징(100)의 배면(140)과 배면케이스(150) 사이에는 절연판(160)이 배치된다.
절연판(160)은,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가 하우징(100)의 배면(140)을 통해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제어기판(700)이 설치된 배면케이스(150)와 하우징(100) 사이를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하우징(100)은 캐비닛(1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을 덮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캐비닛(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설치된 힌지 하우징(80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며, 조리기기의 측부 및 배후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도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1의 "Ⅹ-Ⅹ"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도어(300)는 도어(300)의 상면을 이루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300)의 전면을 이루는 도어전면부(350)가 "ㄱ"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된다.
도어상면부(31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에는, 도어프레임(320)이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는 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0)는, 투시창(W)을 포함할 수 있다.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투시창(W)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그 중 하나의 글라스(330; 이하, "제1글라스"라 한다)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 이하, "제2글라스"라 한다)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에는, 관통공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은, 도어상면부(310)의 평면방향 중앙, 그리고 도어프레임(320)의 평면방향 중앙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글라스(330)는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고, 제2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된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된다.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는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의 유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시창(W)은 제1글라스(330) 및 제2글라스(335)로 덮인 관통공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형성된 투시창(W)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에서의 음식물 조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미니 오븐의 특성 상, 사용자의 얼굴보다 상당히 낮은 지점에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가 사용되는 빈도가 높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도어(300)의 상면에 형성된 투시창(W)은,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투시창(W)을 형성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는, 각각 서로 다른 구성, 즉 하나는 도어상면부(310)에 다른 하나는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되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투시창(W)의 내부에는 두 글라스(330,335)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글라스(330)는 도어상면부(3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제2글라스(335)는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되는데, 이에 따라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는 적어도 도어상면부(310)의 두께만큼 이격될 수 있다.
즉 투시창(W)을 형성하는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는 적어도 도어상면부(310)의 두께만큼의 이격 공간에 형성되며, 이로써 투시창(W)의 내부에는 두 글라스(330,335) 사이의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이격 공간에는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처럼 이격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이격 공간 내에 공기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된 이격 공간에 형성된 공기층은, 조리실(105)에 직접 노출된 제2글라스(335)를 가열한 열이 최외측에 위치한 제1글라스(330)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와 같이 이중창 구조로 제공된 투시창(W)은, 투시창(W)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그리고 투시창(W)의 온도 상승으로 인한 김서림 발생 등을 상당 수준 예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게 된다.
아울러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되는 관통공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되는 관통공의 내측 영역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상면부(310)에 형성되는 관통공은,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도어프레임(320)의 내측 테두리가 노출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투시창(W)을 통해 도어프레임(320)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미관상 유리한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되,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가 형성하는 가로방향의 평면 상에서,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 및 도어프레임(320)에 형성된 관통공의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와 마찬가지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어상면부(310)가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면, 도어전면부(350)는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한다.
일례로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의 전방 단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 공간과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어(300)는, 그 내부 공간이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와 도어상면부(310)가 "ㄱ" 형상으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공간부에는, 조작장치(1000)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1제어기판(500)이 수용될 수 있다.
조작장치(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장치(1000)는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장치(100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 제1가열부(400) 및 제2가열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같은 도어(300) 상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와도 상당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작장치(1000)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 직접 장착된 형태로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조작장치(1000)에 마련된 각각의 조작 스위치는, 도어전면부(350)를 관통하여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열부(400)는, 서로 연결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를 통해 설치되는 케이블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 제1제어기판(500)과 조작장치(1000)와 제1가열부(400)가 매우 근접하고 공간적으로 연결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이들 간의 연결 구조도 매우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케이블장착부(340,3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되,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아울러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는, 연결부재(343)가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부재(343)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 사이를 각각 연결한다. 즉 한 쌍의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3)는, 투시창(W)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연결부재(343)의 결합체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케이블장착부(340,345)가 설치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연결된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서로 연결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를 통해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4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C1,C2)이 설치된다.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어느 하나에는, 전원을 제1가열부(400) 및 제1제어기판(5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C2)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다른 하나에는, 제1제어기판(500)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C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도어(300)에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양측에 제1가열부(400)가 각각 배치되고,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전원케이블(C2)과 신호케이블(C1)이 각각 배치된다.
이와 같은 제1가열부(400)와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의 배치 구조는, 제1가열부(400)와 힌지 어셈블리(800)의 배치 구조를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제1가열부(400)는 그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힌지 어셈블리(800; 도 3 참조)는, 투시창(W)을 중심으로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된다.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제1가열부(400)와 제1제어기판(500)과 같이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뿐 아니라, 제2제어기판(700; 도 68 참조) 등과 같이 하우징(100)에 배치된 구성들과도 연결된다.
이러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를 되도록 노출되지 않게 통과하려면, 도어(300)와 하우징(100) 간의 유일한 연결 부분인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일례로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 중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연결 구간은,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구간에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조리기기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면서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을 파손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가열부(400)의 발열체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형태로 배치 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은 되도록 발열체와 먼 측에 배치되면서도 발열체의 연장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가열부(400)에서 발생되는 열의 영향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에 미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또한 복수개의 제1가열부(400)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됨을 고려하면,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제1가열부(400)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이 제1가열부(400)들을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로 연결하는데 유리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케이블(C2) 및 신호케이블(C1)이 투시창(W)을 사이에 두고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서로 다른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전원케이블(C2)은 하우징(10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 중 어느 다른 하나의 내부를 통과하여 그와 인접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케이블은 하우징(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되고, 신호케이블(C1)은 하우징(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어(3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이처럼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케이블이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조리기기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 간의 전기적인 연결 작업을 위한 배선 작업이 좀 더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와 관련된 유지보수 작업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는 제2글라스(335)의 상부에 안착되며, 제1글라스(330)는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제1글라스(330)와 접촉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상부면과 제2글라스(335)와 접촉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하부면에는, 장착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글라스(330)와 접촉되는 연결부재(343)의 상부면과 제2글라스(335)와 접촉되는 연결부재(343)의 상부면에도, 장착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장착홈에는, 실링부재(S)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1글라스(330) 사이,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2글라스(335) 사이, 그리고 연결부재(343)와 제1글라스(330) 사이, 연결부재(343)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실링부재(S)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와 제1글라스(330) 사이 및 케이블장착부(340,345) 및 연결부재(343)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실링부재(S)를 이용한 밀폐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밀폐 구조는, 글라스(330,335) 사이에 습기가 들어가고 이로 인해 글라스(330,335)에 습기가 차거나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조작장치의 구조]
도 5를 참조하면, 조작장치(100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조작을 위한 각종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작장치(1000)는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러한 조작장치(1000)를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서, 조작장치(1000)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조작장치(1000)는 제1가열부(400; 도 3 참조)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2가열부(600; 도 3 참조)의 온/오프나 화력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 제1가열부(400)나 제2가열부(600)의 동작 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타이머 조작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두 개의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중 하나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스위치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조작 스위치가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각각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갖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때 각각의 조작 스위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조작 스위치 모두 회전 조작과 누름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되고, 이 중 하나의 스위치는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하나는 조리 정도나 조리 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두 개의 조작 스위치 중 하나를 예로 들어 조작장치(1000)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도 5에 도시된 도어의 일부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ⅩⅢ-Ⅹ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작장치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조작장치(1000)는 조작 스위치를 포함하고, 이 조작 스위치는 샤프트(1100) 및 노브(1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샤프트(1100)는, 조작장치(1000)에 마련되는 엔코더(1200)에 구비된다. 이러한 샤프트(110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샤프트(1100)는, 전후방향으로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엔코더(1200)는, 이러한 샤프트(110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어 도여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엔코더(1200)는,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엔코더(1200)는, 샤프트(1100)의 회전 각도 또는 축방향 이동을 감지하여 그 결과에 대응하는 신호를 제1제어기판(5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은, 엔코더(12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제1가열부(400; 도 3 참조)와 제2가열부(600; 도 3 참조) 및 후술할 발광부재(17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노브(1300)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된 구성이다. 노브(1300)는, 샤프트(1100)와 결합됨으로써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300)는, 샤프트(1100)와 함께 회전 및 축방향 이동할 수 있게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노브(1300)는, 축결합부(1310)를 포함할 수 있다. 축결합부(1310)는,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부(1310)의 내부에는, 축결합공(1311)이 형성될 수 있다. 축결합공(1311)은, 축결합부(1310)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되, 샤프트(110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축결합공(1311)은, 축결합부(1310)의 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축결합공(1311)의 전방은, 축결합부(1310)의 전면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이러한 축결합부(1310)의 형상에 의해, 축결합부(1310)에 결합되는 샤프트(1100)의 설치 위치 및 삽입 깊이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소켓부재(1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켓부재(1600)는, 노브(1300)를 도어(300)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소켓부재(1600)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소켓부재(1600)는, 도어전면부(350) 내부에 설치된 엔코더(12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수용할 수 있게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엔코더(1200)와 연결된 샤프트(1100)는, 소켓부재(1600)의 직경방향 대략 중심을 통과하여 소켓부재(16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소켓부재(1600)는, 엔코더(1200)를 내부에 수용하며 엔코더(1200)를 보호하는 역할, 샤프트(1100)와 결합된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지지하는 역할, 후방에서 노브(1300)를 지지하는 역할, 후술할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경로를 정의하는 역할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발광부재(1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재(1700)는,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며, 제1제어기판(500)을 통해 이루어지는 동작 제어에 의해 점등되어 빛을 발산할 수 있다.
발광부재(1700)는, 소켓부재(16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소켓부재(1600)에는,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을 소켓부재(1600)의 전방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경로는 소켓부재(1600)에 의해 정의되고, 이 빛은 조작장치(1000)의 조작 상태, 조작장치(1000)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동작 제어의 상태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무드조명을 위한 발광부재(1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드조명을 위한 각각의 발광부재(1700)는, 1제어기판(500)에 설치되며, 소켓부재(16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재(1700)는, 발광부재(1700)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은, 소켓부재(1600)에 형성된 통로를 통해 소켓부재(1600)를 통과하여 노브(1300)의 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로는, 제1연결지지부(1630)를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통로는, 방사상으로 배치되되,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리브형상부(1633) 사이에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발광부재(1700)에 의해 구현되는 무드조명은,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직접 조사되지 않고 조작장치(1000)의 후방을 비추는 간접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무드조명은, 조리기기의 동작 대기 상태에서 조작장치의 조작이 가능한 상태임을 알리는 웰컴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부재(1700)에 의해 구현되는 무드조명은, 조작장치의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무드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며, 어두운 곳에서도 조작장치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조명을 제공할 수도 있다.
[소켓부재의 구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또한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소켓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8은 도 14에 도시된 제1제어기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소켓부재(1600)는 외측지지부(1610)를 포함할 수 있다. 외측지지부(16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외측지지부(1610)는 대략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외측지지부(161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노브(1300)의 적어도 일부분이 외측지지부(1610)로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노브(1300)는, 그 후방측 단부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과 접하는 형태로 외측지지부(16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는,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노브(1300)는, 소켓부재(1600)에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 즉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와 인접한 외측지지부(1610)의 내측면에는, 삽입홈(1611)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브(1300)의 후방측 단부는 이러한 삽입홈(1611)에 삽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노브(13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내측지지부(1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측지지부(16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측지지부(1620)는 대략 누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내측지지부(1620)는 외측지지부(1610)의 직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내측지지부(1620)는, 엔코더(1200)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엔코더(1200)는, 내측지지부(1620)로 둘러싸인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내측지지부(1620)는, 외측지지부(1610)의 내부에서 엔코더(1200) 주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소켓부재(160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하는 제1연결지지부(1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지지부(163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서로 연결시키며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지지부(1630)는,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연결지지부(1630)는, 또한 제1연결지지부(1630)는, 소켓부재(1600)의 배면을 형성하며,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의 후방에서 외측지지부(1610) 및 내측지지부(162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부재(1600)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되,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된 제1제어기판(50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소켓부재(1600)의 배면을 형성하는 제1연결지지부(1630)는, 소켓부재(1600)가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될 때 제1제어기판(500)과 맞닿는 결합면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지지부(1630)는,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플랜지형상부(1631)는, 내측지지부(162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랜지형상부(1631)는, 내측지지부(1620)로부터 플랜지 형상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리브형상부(1633)는, 플랜지형상부(1631)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를 연결한다. 리브형상부(1633)는, 플랜지형상부(163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리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형상부(1631)와 외측지지부(1610) 사이에는, 복수개의 리브형상부(1633)가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구비된 리브형상부(1633)는, 소켓부재(1600) 전체의 중량 증가를 억제하면서도 소켓부재(1600) 전체의 강도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지지부(1620)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노브(1300)의 축결합부(1310)를 후방에서 지지함으로써, 노브(1300)의 과도한 이동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샤프트(1100) 및 엔코더(120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제1연결지지부(1630)에 의해 지지되되, 내측지지부(162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에는 어느 정도의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소켓부재(160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되, 외측지지부(1610)와 내측지지부(1620) 및 제1연결지지부(1630)가 일체화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연결지지부(1630)의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 사이는, 스커트형상부(163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스커트형상부(1635)는, 플랜지형상부(1631)의 외주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랜지형상부(1631)와 리브형상부(1633)는 "ㄱ"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고, 내측지지부(162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 그리고 외측지지부(1610)와 제1연결지지부(1630) 사이에 탄성이 부여될 수 있다.
따라서 노브(1300)가 눌리면서 내측지지부(1620)를 후방으로 눌렀을 때,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며 노브(130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지지부(1620)는, 노브(1300)를 누르는 힘이 해제되었을 때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노브(1300)가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는데 필요한 힘을 노브(1300)에 가하여 줄 수도 있다.
한편 소켓부재(1600)에는, 광통과홀(1640)이 마련될 수 있다. 광통과홀(1640)은, 소켓부재(16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측지지부(161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광통과홀(1640)은, 제1제어기판(500)에 설치된 발광부재(170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에는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재(1700)는 외측지지부(1610)의 후방에 배치되되, 외측지지부(161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는, 외측지지부(1610)의 후방에 외측지지부(1610)의 둘레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측지지부(1610)에는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은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발광부재(1700)가 하나의 광통과홀(1640)의 내부에 각각 삽입되는 형태로, 발광부재(1700)와 광통과홀(1640)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은, 각각의 발광부재(1700)의 전방에 배치된 각 광통과홀(1640)을 통해 소켓부재(1600)를 통과하여 전방으로 조사될 수 있다. 즉 각각의 발광부재(1700)에서 발산되는 빛의 이동 경로는, 그 전방에 배치된 각각의 광통과홀(164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로써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 중에서 어느 발광부재(1700)가 점등되었는지가 조작장치(1000)의 외부에서 명확하게 인식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제1결합부(14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1420)는, 제1돌출돌기부(1651)와 제1결합돌기부(16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돌기부(1651)는, 외측지지부(161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돌기부(1653)는, 제1돌출돌기부(16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돌기부(1653)는 제1제어기판(500)에 형성된 끼움공(5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켓부재(16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켓부재(1600) 상에서의 제1결합부(1420)의 위치는, 광통과홀(1640)의 위치와 발광부재(1700)의 위치를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420)는, 제1결합돌기부(1653)가 제1제어기판(500)의 끼움공(510)에 끼움 결합되었을 때, 복수개의 광통과홀(1640)의 위치와 복수개의 발광부재(1700)의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일치될 수 있게 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1420)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소켓부재(1600)가 설치될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1420)를 제1제어기판(500)에 끼움 결합시키는 것만으로, 소켓부재(1600)의 설치 위치가 미리 설정된 위치로 안내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소켓부재(1600)는, 제2결합부(16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결합부(1660)는, 제2돌출돌기부(1661)와 제2결합돌기부(166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돌출돌기부(1661)는, 외측지지부(1610)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돌기부(1663)는, 제2돌출돌기부(166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1660)는, 후술할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제2돌출돌기부(1661)는 전면커버부재(18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켓부재(1600)에는, 복수개의 제1결합부(1420)와 제2결합부(166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켓부재(1600)에 2개의 제1결합부(1420)와 4개의 제2결합부(1660)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결합부(1420)와 제2결합부(166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소켓부재(1600)는, 제3결합부(16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결합부(1670)는, 제1연결지지부(16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랜지형상부(163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결합부(1670)는, 후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결합부(1670)는 제1제어기판(500)에 형성된 체결홀(520)을 통해 제1제어기판(500)에 끼움 결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소켓부재(1600)가 제1제어기판(500)에 고정될 수 있다.
소켓부재(1600)에는,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가 구비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는, 플랜지형상부(1631)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된 복수개의 제3결합부(1670)가 복수개의 지점에서 제1제어기판(500)에 결합됨으로써, 소켓부재(16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결합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노브의 구조]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노브(1300)는 사용자가 회전 조작할 수 있게 마련된 구성으로서, 축결합부(1310)를 통해 샤프트(1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300)는, 스커트부(1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커트부(1320)는, 축결합부(131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스커트부(132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커트부(1320)가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를 포함하는 노브(1300)는, 축결합부(1310) 및 스커트부(1320)가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노브(1300)는, 제2연결지지부(1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지지부(1330)는,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축결합부(1310)의 후방에서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 사이를 연결하는 원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제2연결지지부(1330)는, 축결합부(1310)와 스커트부(1320)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한편, 스커트부(1320)가 구심방향으로 함몰되지 않게 스커트부(1320)를 지지하는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연결지지부(1330)는, 소켓부재(1600)에 구비된 내측지지부(1620)의 전방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노브(1300)가 후방으로 이동했을 때 내측지지부(1620)를 후방으로 누르는 부분이 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노브커버(1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노브커버(1350)는, 후방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커버(1350)는,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에는 결합홈(1321)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321)은,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노브커버(1350)는, 결합홈(1321)에 삽입된 상태로 스커트부(13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노브커버(1350)는, 스커트부(1320)에서 원심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노브(130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노브커버(1350)는, 노브커버(1350)과 인접한 스커트부(1320)의 원심방향 최외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스커트부(13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커버(1350)는, 전면부(1360)와 측면부(1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136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축과 교차하는 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부(1360)의 전면은, 도어전면부(35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부(1360)의 배면은, 노브커버(1350)가 노브(1300)에 설치되었을 때 축결합부(1310) 및 스커트부(1320)의 전방측 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전면부(1360)의 배면이 축결합부(1310) 및 스커트부(1320)의 전방측 단부와 맞닿음으로써, 노브(1300)에 설치되는 노브커버(1350)의 전후방향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한편 노브커버(1350)는, 사용자가 노브(1300)를 조작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부분이면서, 노브(13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기에 적합한 재질 및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은 물론, 미관상으로도 보기 좋아야 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노브커버(135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측면부(1360)의 외주면이 노브커버(1350)에 의해 덮이지 않은 스커트부(1320)의 외주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노브커버(13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1360)의 전면이 버튼(1400)의 누름부(1410)의 전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그 자체에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오목하게 패여 들어간 곳 없이 심플하고 매끄러운 외관을 가지게 됨으로써, 미관을 통해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의 구조]
본 실시예의 조작장치(1000)는 전면커버부재(1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180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도어(300)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도어전면부(136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커버부재(1800)는, 노브(1300)의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되, 노브(1300)를 그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부재(1800)가 노브(1300)를 직경방향 외측에서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서 소켓부재(16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외측지지부(1610)를 차폐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전면커버부재(1800)는, 전방에서 바라본 외측지지부(16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에 결합되어 외측지지부(1610)를 전방에서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측지지부(1610)에 형성된 광통과홀(1640)의 전방은 전면커버부재(1800)에 의해 차폐되고, 이로써 광통과홀(1640) 및 그 후방의 발광부재(1700)는 전면커버부재(1800)에 가려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아울러 전면커버부재(1800)는, 투광성 또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부재(1800)가 금속 질감을 갖는 반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와 그에 형성된 구멍인 광통과홀(1640), 그리고 발광부재(17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가리는 역할을 함과 더불어, 발광부재(1700)에 의해 발산된 빛이 은은하게 퍼져 보이게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전면커버부재(1800)는, 불필요하게 도어(300) 외부로 노출되어 미감을 해칠 수 있는 부분을 보이지 않게 덮는 마감재로 이용될 수 있고, 금속 질감을 통해 해당 마감 부분이 더욱 고급스러워 보이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할 뿐 아니라, 해당 부분을 통해 비치는 불빛이 은은하게 퍼져 보이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재(1800)를 통해, 조작장치(1000) 및 그 주변부의 미감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조작장치(1000)를 통해 제공되는 표시등 또한 은은하고 더욱 아름다운 형태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발광부재(1700)의 점등은, 샤프트(1100)의 회전에 연동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샤프트(1100)의 회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그에 대응되는 발광부재(1700)가 점등될 수 있고, 샤프트(1100)의 회전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면 그에 대응하여 다른 발광부재(1700)가 점등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1100)의 회전은, 엔코더(120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이처럼 엔코더(1200)에 의해 취득된 샤프트(1100)의 회전에 관한 정보는 조작신호로 생성되고, 제1제어기판(500)에 마련된 제어부는 이를 수신하여 발광부재(170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은, 끼움 결합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면커버부재(1800)에는, 결합보스(1810)가 마련될 수 있다. 결합보스(1810)는, 전면커버부재(180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보스(1810)에는, 소켓부재(1600)의 제2결합부(166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돌기부(1661)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결합보스(1810)와 제2결합부(1660) 간의 결합에 의해, 전면커버부재(1800)와 소켓부재(16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커버부재(1800)에는, 복수개의 결합보스(18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결합보스(1810)의 배치 위치 및 개수는, 제2결합부(1660)의 배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되게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전면커버부재(1800)와 결합되는 소켓부재(1600)에는, 삽입홈(1611)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은,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원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노브(1300)에는, 돌기부(1340)가 마련될 수 있다. 돌기부(1340)는, 스커트부(1320)의 후방측 단부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기부(1340)는, 삽입홈(1611)에 삽입되고, 이를 통해 외측지지부(1610)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홈(1611)은, 소켓부재(1600)의 내부 및 전방을 향해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커버부재(1800)는,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설치되어 삽입홈(1611)의 개방된 전방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돌기부(1340)는, 삽입홈(1611)과 전면커버부재(1800)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홈(1611)의 개방된 전방측을 통해 돌기부(1340)가 삽입홈(16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이로써 노브(1300)가 소켓부재(160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노브(1300)가 설치된 소켓부재(1600)의 전방에 전면커버부재(1800)가 설치됨으로써, 전방을 향한 노브(1300)의 이동이 제한되면서 노브(1300)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힌지어셈블리의 구조]
도 3을 참조하면,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힌지 어셈블리(800)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은,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 좌측 모서리와 우측 모서리 부분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힌지 어셈블리(800)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 어셈블리(8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여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게 된다.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는, 힌지케이스(830) 및 힌지부(810)와 및 거치돌기(8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케이스(830)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외관을 형성한다. 또한 힌지케이스(830)는, 힌지부(810)와 거치돌기(820)의 일부분, 그리고 변환출력부(84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힌지케이스(830)에는, 힌지부(810)를 지지하기 위한 각종 구조물, 그리고 후술할 냉각유로(850; 도 53 참조)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힌지부(810)는, 힌지케이스(830)에 위치 변화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 궤도에 대응되는 궤도를 따라 회동될 수 있게 힌지케이스(830)에 설치될 수 있다. 힌지부(810)의 상단은, 도어(3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300)와 결합된 힌지부(810)는, 도어(300)의 회동에 연동되어 그 자세가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300)는, 힌지부(810)에 의해 그 회동 궤도 및 범위가 안내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전도 발생 억제 구조]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0은 조리기기의 도어 개방 상태에서의 무게 중심 변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20을 참조하면,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 측면(130) 측에 배치되되,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인접한 측에 각각 배치된다. 즉 힌지부(810)는, 하우징(100)의 양측 후방에 각각 배치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도어(300)와 결합되되,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결합된다. 즉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양측 후방에 각각 결합되고, 도어(300)는 이처럼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조리실(105)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도어(300)는,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개방한 상태(이하 "개방상태"라 한다)일 때, 하우징(100)의 전면과 상면을 폐쇄한 상태(이하 "폐쇄상태"라 한다)일 때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이처럼 도어(30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게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방상태일 때 그 위치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치우치게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도어(300)는,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첫 번째 구성은, 도어(300)가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에 따라 폐쇄상태일 때보다 개방상태일 때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에 치우치며, 이로써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는 것이다(G1→G1').
한편 도어(300) 자체의 구성을 살펴보면, 도어(300)는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된다. 즉 도어(300)가 폐쇄상태일 때,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는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다.
따라서 도어(300)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의 부피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고, 이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도어전면부(350)가 차지하는 비중보다 크다. 따라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전후방향 중심보다 후방에 치우치게 위치하게 된다(G2→G2').
도어(300)가 개방되기 위해 후방으로 회동하게 되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점차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어(300) 상에서, 도어전면부(350)는 전방측에 배치되고 도어상면부(310)는 그 후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정도가 커지게 된다.
다시 말해,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클수록,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조리기기 전체의 무게 중심도 더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두 번째 구성은,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도어(300)가 제공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한편 도어(300)에는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마련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도 11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통상적으로 글라스는 무게가 많이 나가는 재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글라스로 형성된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증가될 수밖에 없다.
더욱이 본 실시예의 투시창(W)은 한 쌍의 글라스(330,335), 즉 두 겹의 글라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는 그만큼 더 증가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와 같이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투시창(W)을 형성하는 글라스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측에는 한 쌍의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다. 이때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된다. 중 하나의 제1가열부(400)는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300) 전체 무게 중에서 도어상면부(310)의 무게가 차지하는 비중은 제1가열부(400)의 무게만큼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제1가열부(400)로 인해 도어상면부(310) 측에 무게가 증가된 만큼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더욱이 힌지부(810)와 인접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에 배치된 제1가열부(400)에 의해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로써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 및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세 번째 구성은,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더 신속하게 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종합하면, 본 실시예의 도어(300)는 후방 회동시 도어(300)의 위치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고,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되며, 제1가열부(400) 및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도어(300) 자체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한편, 도어(300)의 후방 회동에 따라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신속하게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도어(300)는, 조리실(105)이 개방되고 이에 따라 트레이(200)가 전방으로 인출될 때,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전후방향 중심에서 후방으로 치우치게 형성되도록 작용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방 전도 발생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0)는 힌지부(810)와 결합된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는데,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힌지부(810) 측으로 작용하게 된다.
힌지부(810)는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결국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은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만큼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시 말해,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 자체의 위치 변화와 도어(300) 자체의 무게 중심 변화로 인한 영향에 더하여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후방측으로 더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네 번째 구성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영향이 추가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도어(300)와 힌지부(810) 간의 결합점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구성이다.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는, 도어(300)에 작용하는 힘, 그리고 이 힘이 작용하는 위치와 회전축(도어와 힌지부의 결합 부분) 간의 거리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때 별도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도어(300)에는 중력만이 작용한다고 할 것인데, 중력은 도어(300)의 전체 부분에 작용하게 되므로, 도어(300)의 무게 중심에 중력이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멘트는,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도어(300)와 힌지부(810)의 결합 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커지고(M1), 가까워질수록 작아진다고(M2)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300)가 조리실(105) 개방을 위해 후방으로 회동할수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도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어(300) 측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도 함께 감소될 수 있다(M1→M2).
즉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도어(300) 측에서의 모멘트가 감소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 개방시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될 위험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
즉 도어(300) 개방시 조리기기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다섯 번째 구성은, 도어(300)로 인해 조리기기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도록,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후방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구성이다.
[도어 구성 부품들의 배치 구조]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고, 도어상면부(350)에는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 구조는, 임의로 선택된 배치 구조가 아니라, 조리기기의 편의성, 안전성을 최대로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의 결과로 도출된 배치 구조이다.
이에 따르면,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이 배치되는데, 이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기 때문에 도어상면부(310)에는 조작장치(1000)가 배치될만한 마땅한 공간이 마련되기 어렵다.
특히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글라스(330)로 덮여 있음을 감안하면, 도어상면부(310)에는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만한 부분이 마련되기 어렵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 외에도 제1가열부(400)가 설치된다. 제1가열부(400)는 높은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 부품이며, 도어상면부(310)는 사용자의 접촉이 가능한 외측면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그 상부면 대부분의 영역이 글라스(330)로 덮인 형태로 제공된다.
도어(30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하는 금속 재질에 비해 글라스(330)의 열전도성이 낮으므로, 도어상면부(310)의 상부면 대부분의 영역을 글라스(330)로 덮음으로써, 제1가열부(400) 등에 의해 발생되는 열이 사용자의 접촉이 가능한 도어상면부(310)의 외측면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고자 한 것이다.
만약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이 글라스(330)로 덮여있지 않고 투시창(W) 부분에만 글라스(330)가 덮인다고 하더라도, 조작장치(1000)의 설치가 가능한 영역은 투시창(W)의 평면방향 외측 영역으로 한정된다.
그러나 이 영역은 제1가열부(400)의 바로 위 영역이므로, 이 영역에 조작장치(1000)의 설치가 이루어지면, 조작장치(1000)가 고온의 열에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된다.
조작장치(1000)가 이러한 환경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를 구성하는 각 조작 스위치, 그리고 각 조작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이나 각종 전자부품에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상승하는 열의 특성 상 도어전면부(350)보다는 도어상면부(310)가 좀 더 고온 상태에 놓일 수밖에 없는데, 더욱이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됨을 고려하면, 도어상면부(310)의 온도는 대부분 도어전면부(350)보다 고온 상태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도어상면부(31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된다면, 조작장치(1000) 자체에 좋지 않은 영향이 미치게 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상면부(310)와 접촉하여 화상을 입을 우려도 커지게 된다.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것은,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를 사이에 두고 제2가열부(600)와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이와 같이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의 상부에 배치되어야 트레이(200)에 놓인 음식물을 위에서 고르게 가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가열부(400)는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또한 투시창(W)이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리기기의 상부에 형성된 투시창(W)을 통해 조리실(105) 내부를 상부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거나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음식물 조리 상태를 쉽고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투시창(W)도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될 수밖에 없게 된다.
즉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할 때 제1가열부(400)와 투시창(400)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 인해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은 제1가열부(400)와 투시창(400)에 의해 점유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는 조리기기를 정면에서 마주하며 조리기기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사용자와 마주하는 면인 도어전면부(35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되면, 사용자가 조작장치(1000)를 좀 더 쉽게 인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조작장치(1000) 조작도 좀 더 쉽고 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부품들이 설치될 필요가 없는 부분이다. 즉 도어전면부(350)에는 투시창(400)이나 제1가열부(400)와 같은 무겁고 크기가 큰 부품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공간적 여유가 있다.
이러한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에는,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게 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이 매우 근접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조작장치(1000)와 반드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면, 제1제어기판(500)과 조작장치(10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매우 쉽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제1제어기판(500) 상에 직접 장착된 형태로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되므로,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이 매우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제어기판(500)은 제1가열부(400)와도 상당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되므로, 제1가열부(4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매우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면, 설치 공간이 마땅치 않은 도어상면부(310)를 피해 상대적으로 공간 여유가 있는 부분에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 수 있어 조작 스위치의 크기, 개수, 위치 등의 설계 자유도가 높아질 수 있고, 고온의 영향을 덜 받아 조리기기의 동작 안정성 및 사용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4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매우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에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고 도어전면부(350)에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면, 도어상면부(310)에는 상대적으로 중량인 부품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도어전면부(350)에는 상대적으로 경량인 부품의 배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어상면부(310)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투시창(W) 및 제1가열부(400)의 배치가 이루어지고 도어전면부(350)에 상대적으로 무게가 적게 나가는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의 배치가 이루어지므로, 도어상면부(310)가 도어전면부(350)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무거워지고, 이에 따라 도어(300)의 무게 중심이 도어(300)의 후방측으로 좀 더 쏠리게 된다.
더욱이 도어(300)가 도어전면부(350)의 상하방향 길이가 도어상면부(310)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도어(300)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후방측으로 확연하게 쏠리게 된다.
또한 힌지부(810)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결국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300)가 개방상태일 때에는,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은 도어(300)의 하중 대부분이 조리기기의 후방측에 집중되는 만큼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써 도어의 개방시에도 조리기기의 무게 중심이 앞으로 쏠릴 우려가 적어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도 위험성이 현저히 낮아지고, 이로써 조리기기의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하우징(100)이 아닌 도어(30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300)가 상부측에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전방측에 배치되는 도어전면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 조리기기에서 도어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던 구성인 투시창(W)이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므로,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가 배치될만한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전면부(350)에는 투시창(W)이나 제1가열부(400)와 같은 구성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조작장치(1000)와 근접하게 연결되어야 하는 구성인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에 충분한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에 설치되기에 유리한 환경이 제공되며, 이에 따라 도어(300)에 조작장치(1000)가 배치되는 효율적인 조작장치(1000)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도어(300)에 설치됨으로써, 도어(30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도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도어(300) 내부에서 이루어짐은 물론, 이를 위한 배선 길이도 짧아질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간결하고 깔끔한 배선 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이러한 배선 처리가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도어(300)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에 설치되면,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하우징(100)에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고려할 필요 없이, 오로지 조리실(105)의 크기와 도어(300)의 크기만을 고려한 크기와 형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삭제한 만큼 감소된 크기로 제공될 수 있고, 도어(300)의 크기도 하우징(10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만큼 큰 크기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하우징(100)의 크기는 줄이면서도 트레이(200) 및 음식물이 출입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써, 컴팩트한 외관을 가지면서도 더욱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조]
도 21은 도어전면부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에는 제1냉각팬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도 13 및 도 21을 참조하면, 도어(300)는 도어본체부(30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본체부(300a)는, 도어(3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본체부(300a)는, 도어상면부(31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과 도어전면부(35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이 "ㄱ" 형상을 이루며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도어본체부(300a) 중 도어상면부(31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을 제1도어본체부(310a), 도어본체부(300a) 중 도어전면부(350)의 외관을 이루는 부분을 제2도어본체부(350a)라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본체부(300a)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에는, 후술할 지지패널(550), 및 이에 설치되는 제1제어기판(500), 온도센서(580) 등과 같은 전장부품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본체부(300a) 내부의 수용공간은, 일측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도어본체부(300a) 중 제1도어본체부(310a)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하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본체부(300a) 중 제2도어본체부(350a)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도어배면커버(350b)는, 도어본체부(300a)의 개방된 일측을 덮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배면커버(350b)가 제2도어본체부(350a)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도어배면커버(350b)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후방에 배치되며, 제2도어본체부(350a)의 개방된 후방을 덮을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도어배면커버(350b)는 브라켓(590)을 매개로 도어본체부(300a)와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본체부(300a)와 결합된 도어배면커버(350b)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개방된 후방을 덮음으로써, 제2도어본체부(350a) 내부에 수용된 각종 전장부품들이 도어본체부(300a)와 도어배면커버(350b)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2도어본체부(350a)와 도어배면커버(350b)로 둘러싸인 공간 내부에는, 지지패널(55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패널(55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패널(550)은, 도어본체부(300a)와 도어배면커버(35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도어본체부(300a)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패널(550)은 브라켓(590)을 매개로 제2도어본체부(350a) 및 도어배면커버(350b)에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제2도어본체부(350a) 및 도어배면커버(350b)에 결합된 지지패널(550)은, 제2도어본체부(350a) 및 도어배면커버(350b), 특히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에 고정됨으로써, 제2도어본체부(350a)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제어기판(500)에는 엔코더(1200) 및 샤프트(110)가 설치될 수 있고, 조작장치(1000)는 샤프트(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도어본체부(350a)에는, 조작장치(1000)가 샤프트(110)에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홀(351a)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300)의 전면에 배치되는 조작장치(1000)의 일부분은, 관통홀(351a)을 통해 제2도어본체부(350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지지패널의 구조 - 제1제어기판 관련 영역]
도 22는 도 21에 도시된 지지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22에는 제1냉각팬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도 13과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지지패널(55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패널(550)도 이와 유사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패널(550)은, 메인패널부(551) 및 위치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패널부(551)는, 지지패널(550)의 골격을 형성한다. 이러한 메인패널부(551)는, 제1제어기판(500)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패널부(551)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형상과 유사한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메인패널부(551)는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패널부(551)는, 가벼운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제어기판(500) 및 이에 설치되는 각종 전장부품들을 지지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위치규제부는, 메인패널부(551)에 구비될 수 있다. 위치규제부는, 메인패널부(551)에 지지되는 제1제어기판(500)의 위치를 규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메인패널부(551)에서 돌출된 구조물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규제부는,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규제부가 하부지지부(553) 및 측부지지부(555)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하부지지부(553)는 제1제어기판(5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측부지지부(555)는 제1제어기판(5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패널(550)은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550a)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는 영역이며, 제2영역(550b)은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이다. 하부지지부(553)는, 제2영역(550b)에 배치되되, 제1영역(55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지지부(555)는, 제2영역(550b)에 배치되되, 제1영역(550a)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제어기판(500)의 상하방향 위치와 측방향 위치는, 상기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즉 제1영역(550a)의 하부에 배치된 하부지지부(553)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되고, 제1영역(550a)의 측부에 배치된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제1제어기판(500)의 측방향 위치가 규제됨으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배치 위치가 제1영역(550a) 내부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 중 적어도 하나는,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는, 몸체부(553a) 및 돌출부(553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53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553a)는, 측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53b)는, 몸체부(553a)로부터 제1제어기판(500)을 향해 돌출되되,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지지부(553)와 측부지지부(555) 모두가 후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하부지지부(553)에 포함되는 후크의 돌출부(553b)는, 몸체부(553a)로부터 상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측부지지부(555)에 포함되는 후크의 돌출부(553b)는, 몸체부(553a)로부터 측부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돌출부(553b)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돌출되되,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제1제어기판(500)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에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메인패널부(551)와 돌출부(553b) 사이의 공간에는, 제1제어기판(500)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다. 즉 하부지지부(553)에는 제1제어기판(500)의 하단이 삽입될 수 있고, 측부지지부(555)에는 제1제어기판(500)의 측단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제어기판(500)은, 하부지지부(553) 및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그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즉 제1제어기판(500)의 후방은 메인패널부(551)에 의해 지지되고 제1제어기판(500)의 전방은 돌출부(553b)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종합하면, 제1제어기판(500)의 측방향 위치는 하부지지부(553) 및 측부지지부(555)에 의해 규제되고, 제1제어기판(500)의 전후방향 위치는 메인패널부(551) 및 돌출부(553b)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제어기판(500)은 제1영역(550a), 즉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도록 설계된 위치에 정확히 배치되면서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하부지지부(553)는, 좌우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하부가 하부지지부(553)에 의해 더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게 되므로, 제1제어기판(500)이 지지패널(550) 상에 더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지패널(550)은, 리브(5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브(552)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메인패널부(551)와 제1제어기판(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552)는, 지지패널(550)의 구조적 강성을 더 향상시키는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리브(552)는, 제1제어기판(500)과 메인패널부(551) 사이에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제1제어기판(500)의 열이 방출되는데 필요한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지패널의 구조 - 제1제어기판 외 기타 전장부품 관련 영역]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지지패널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24는 온도센서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21 내지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센서(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온도센서(580)는, 길고 가느다란 봉 형상의 센서본체(581), 및 센서본체(581)로부터 돌출되는 플랜지(5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583)는, 센서본체(58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사각 형상의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80)는, 지지패널(550)에 고정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패널(550)은 온도센서지지부(5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제2영역(550b) 즉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온도센서(580)를 지지하며, 이로써 온도센서(580)는 온도센서지지부(557)에 의해 지지되어 제2영역(55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제2측벽부(557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측벽부(557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2측벽부(557a)의 내부는,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측벽부(557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사각기둥의 내부가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580)는, 제2측벽부(557a)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온도센서(580)의 플랜지(583)는, 상하좌우방향 위치가 제1측벽부(556a)에 의해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센서지지부(557)는, 제2지지면부(557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면부(557b)는, 제2측벽부(557a)로부터 제2측벽부(557a)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며,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제2지지면부(557b)는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평면이 제2측벽부(557a)의 내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벽부(557a)의 내부에 삽입된 플랜지(583)는 플랜지(583)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지지면부(557b)와 접촉될 수 있고, 그 결과 온도센서(580)의 후방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즉 제2측벽부(557a)의 내부에 삽입된 온도센서(580)는, 상하좌우방향 위치가 제2측벽부(557a)와 플랜지(583) 간의 간섭으로 인해 규제되고 전후방향 위치가 제2지지면부(557b)와 플랜지(583) 간의 간섭으로 인해 규제된 형태로, 온도센서지지부(557)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아울러 온도센서지지부(557)는, 보스부(557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스부(557c)는, 제2지지면부(557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지지면부(557b)는 메인패널부(551)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보스부(557c)는 이러한 제2지지면부(557b)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보스부(557c)는, 메인패널부(551)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되지는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스부(557c)의 내부에는 체결홀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홀은 제2지지면부(557b)의 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플랜지(583)에도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583)의 체결홀은, 보스부(557c)의 체결홀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583)의 체결홀과 보스부(557c)의 체결홀이 서로 중첩될 수 있게 플랜지(583)가 제2지지면부(557b)와 접촉된 상태에서, 플랜지(583)의 후방으로부터 스크류가 체결홀을 통과하여 보스부(557c)와 체결되면, 플랜지(583)가 제2지지면부(557b)와 밀착되며 온도센서지지부(557)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가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온도센서지지부(557)는, 후크(557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크(557d)는, 제1측벽부(557a)로부터 온도센서지지부(557)의 내부, 즉 제2측벽부(557a)의 내부를 향해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측벽부(557a)의 하부측에 배치된 후크(557d)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고, 제2측벽부(5567a)의 상부측에 배치된 후크(557d)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측벽부(557a)의 하부측과 상부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557d)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후크(557d)는, 제2지지면부(557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후크(557d)는, 제2지지면부(557b)와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제1지지면부(557b)로부터 온도센서(580)의 일부분의 두께만큼,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플랜지(583)의 두께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형성되는 제2지지면부(557b)와 후크(557d) 사이의 공간에는, 온도센서(580)의 일부분, 즉 플랜지(583)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의 1차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됨으로써, 온도센서(580) 체결 작업이 좀 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설치된 온도센서(580)에 따르면, 센서본체(581)의 후방은 도어배면커버(350b)를 관통하여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580)는, 도어전면부(350) 내부에서 도어전면부(35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조리실(105)에 노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센서본체(581)의 후방이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의 내부에서 조리실(105)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도 63 참조).
그리고 센서본체(581)의 전방은, 도어(300)의 내부로 노출되어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센서본체(581)의 전방이 케이블을 통해 제1제어기판(5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의 측정 결과는 제1제어기판(500)으로 전송될 수 있고, 제1제어기판(500)은 이를 기초로 제1가열부(400) 등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저지지부(557)는, 지지패널(550)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도어배면커버(350b)에는 함몰부(351b)가 마련될 수 있다. 함몰부(351b)는, 도어배면커버(350b) 중 온도센서지지부(557)의 후방에 위치한 일부분이 후방으로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함몰부(351b)는, 전방에서 봤을 때에는 후방으로 함몰된 형상, 후방에서 봤을 때는 후방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온도센서지지부(577)는, 함몰부(351b)에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함몰부(351b)에는, 센서본체(581)가 도어배면커버(350b)를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과홀(352b)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패널(550)은, 케이블고정부(5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고정부(558)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제어기판(500)과 온도센서지지부(55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고정부(558)는, 제1제어기판(500)과 온도센서지지부(557) 사이를 연결시키는 케이블을 지지패널(5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고정부(558)는, 한 쌍의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후크는, 몸체부(558a) 및 돌출부(558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58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558a)는,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58b)는, 몸체부(558a)로부터 인접한 다른 후크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후크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되, 각 후크의 돌출부(558b)가 서로를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후크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558b)가 배치된 부분인 두 후크의 전방 부분의 간격은, 몸체부(558a)가 배치된 부분인 두 후크의 후방 부분의 간격보다 훨씬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두 돌출부(558b) 간의 간격이 케이블의 직경보다 더 좁거나 아예 두 돌출부(558b)가 서로 접촉될 정도로 후크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이 케이블고정부(558)의 전방으로부터 케이블고정부(558)에 끼워질 수 있으며, 이처럼 케이블고정부(558)에 끼워진 케이블은 케이블고정부(558)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없다.
아울러 상기 지지패널(550)에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558)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에는 케이블과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을 위한 단자(50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단자(501)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하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과 도 21 및 22를 참조하면, 조작장치(1000)와 관련된 구성, 즉 샤프트(110), 엔코더(1200)와 같은 구성은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된다. 조작장치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이와 연결되는 샤프트(110), 엔코더(1200) 등은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되어야 한다.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하부에 치우친 위치에 손잡이(305)가 배치되기 때문에, 해당 위치에서 조작장치(1000)의 배치에 적합한 공간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조작장치(1000)가 되도록 상부에 배치되어야 사용자가 조작장치(1000)를 조작하기 쉽다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만약 손잡이(305)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면, 조작장치(1000)는 그 하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이 경우, 손잡이(305)로 인해 조작장치(1000)의 조작이 매우 불편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다.
또한 손잡이(305)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면, 도어(300)의 개폐에도 많은 힘이 들어가게 되고, 조작에도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조작장치(1000)의 배치 위치는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샤프트(110), 엔코더(1200) 등은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 영역이 샤프트(110), 엔코더(1200) 등에 의해 대부분 점유됨에 따라, 단자(501)의 배치 위치는 제1제어기판(500) 상에서 하부에 치우친 위치로 결정된다.
한편 온도센서지지부(557) 및 이에 장착된 온도센서(580)는, 지지패널(5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센서(580)는, 통신모듈(570)보다 상부에 배치되며, 단자(501)보다는 샤프트(110) 및 엔코더(1200)에 가까운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온도센서(580)가 지지패널(5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상세한 이유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온도센서(580)와 단자(501) 간의 높이 차가 발생됨에 따라, 온도센서(580)와 단자(501) 간의 거리도 그만큼 멀어질 수밖에 없게 된다. 온도센서(580)와 단자(501)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그만큼 그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져야 하고, 도어(300)의 내부는 길어진 케이블로 인해 복잡해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558)가 온도센서지지부(557)의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가 제시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복수개의 케이블고정부(558)는, 온도센서(580)와 단자(501)의 위치 특성상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는 케이블을 복수개의 지점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와 제1제어기판(5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300)의 내부가 더욱 깔끔하고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패널(550)은, 케이블지지부(5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지지부(559)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제어기판(5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고정부(558)는,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된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다. 케이블지지부(559)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은, 제1제어기판(500)과 제1가열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일 수도 있고, 제1제어기판(500)과 제2제어기판 사이를 연결하는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지지부(559)는, 제1돌기부(559a) 및 제2돌기부(559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기부(559a)는, 메인패널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기부(559b)는, 제1돌기부(559a)로부터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제2돌기부(559b)는, 메인패널부(551)와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패널(550)에는, 복수개의 케이블지지부(559)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블지지부(559)는,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케이블지지부(559) 중 일부는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케이블지지부(559) 중 다른 일부는 지지패널(550)의 측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와 지지패널(550)의 측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의 형상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에서는, 제2돌기부(559b)가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패널(550)의 측부 테두리에 인접되게 배치된 케이블지지부(559)에서는, 제2돌기부(559b)가 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케이블은, 제1돌기부(559a)와 제2돌기부(559b)로 둘러싸인 공간에 삽입되는 형태로 케이블지지부(559)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의 배치 위치는,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인접한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 위치가 안내된 케이블은,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가깝게 배치되면서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제어기판(500)과 연결되는 케이블이 지지패널(550)의 테두리에 가깝게 배치된 상태로 지지패널(550) 상에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도어(300)의 내부가 더욱 깔끔하고 정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제1제어기판(500) 상에 실장된 각종 부품들과 케이블 간의 불필요한 접촉이 발생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패널(550)은, 지지돌기(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560)는, 메인패널부(551)와 마주보는 도어본체부(300a)를 향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향해 메인패널부(551)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돌기(560)는, 제1제어기판(50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돌기(560)는 지지패널(550)의 하부 테두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돌기(560)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간섭되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간의 간격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지지돌기(560)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 영역에는 샤프트(110) 및 엔코더(120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샤프트(110) 및 엔코더(1200)를 감싸는 소켓부재(1600)도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 영역에 배치된다.
소켓부재(1600)의 후방측은 제1제어기판(500)에 결합되고, 소켓부재(1600)의 전방측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접촉될 수 있다. 즉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에 소켓부재(1600)가 개재되고,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의 간격은 소켓부재(160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패널(550)의 상부 영역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향해 휘어지지 않게 소켓부재(1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반대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도 지지패널(550)을 향해 휘어지지 않게 소켓부재(16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그런데 소켓부재(1600)와 같은 구조물이 배치되지 않은 지지패널(550)의 하부 영역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향해 휘어질 우려가 있게 된다. 또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하부 영역도 지지패널(550)을 향해 휘어질 우려가 있다.
예컨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눌려 휘어지거나 도어배면커버(350b)가 눌려 휘어질 경우,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간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아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제어기판(500)에 실장된 부품들이 파손될 수도 있고,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형상이 변화되어 도어(300)의 미관이 손상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패널(550)의 하부측에 지지돌기(560)가 마련된다. 이 지지돌기(560)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한편,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후방으로 휘어지지 않도록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종합하면, 지지패널(550)의 상부측에는 소켓부재(1600)가 배치되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의 상부측 사이를 지지하고, 지지패널(550)의 하부측에는 지지돌기(560)가 마련되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의 하부측 사이를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패널(550) 및 이에 설치된 제1제어기판(50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의 간격을 안정되게 유지하면서 도어(30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충격이나 가압에 의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변형 발생이 억제될 수 있는 등, 도어(300)의 구조적 안정성도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어와 지지패널과 도어배면커버 간의 결합 구조]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브라켓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은 지지패널과 도어배면커버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7은 도어본체부 전면과 지지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8은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성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 및 도 27에는 제1냉각팬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을 밝혀둔다.
도 21 내지 도 22 및 도 25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브라켓(5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9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590)은, 지지패널(550)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시키며 지지패널(550)을 도어본체부(300a)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지지패널(550)은,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 외에, 결합영역(55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영역(550c)은,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을 포함한 영역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결합영역(550c)은 지지패널(550)의 측방향 양측 테두리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브라켓(590)은, 제1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각각의 결합영역(550c)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브라켓(590)은, 결합영역(550c)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브라켓(590)은,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 및 연결부(59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591)는, 결합영역(550c)과 나란한 결합면을 형성한다. 예컨대, 제1결합부(591)는, 좌우방향보다 상하방향으로 더 긴 사각 형상의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593)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나란한 결합면을 형성한다. 얘컨대,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와 유사한 사각 형상의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는 상하방향 길이가 짧고 좌우방향 길이는 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결합영역(550c)이 전후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도 전후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연결부(595)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부(595)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595)는 제1결합부(591) 및 제2결합부(593)를 가로지르는, 좀 더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부(591) 및 제2결합부(593)와 직교하는 사각 형상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브라켓(590)은, 상기와 같은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 및 연결부(595)가 일체로 연결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590)은, 상부에서 봤을 때, 제1결합부(591)와 연결부(595) 및 제2결합부(593)가 "ㄷ"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지지패널(550) 사이에 배치되는 한 쌍의 브라켓(590)이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지지패널(550)의 상에서 제1영역(550a)과 제2영역(550b)의 좌측과 우측에 결합영역(550c)이 각각 배치되고, 브라켓(590)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좌측의 결합영역(550c) 사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우측의 결합영역(550c)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브라켓(590) 중 좌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에서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의 좌측 단부가 연결부(59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브라켓(590) 중 우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에서는 제1결합부(591)와 제2결합부(593)의 우측 단부가 연결부(595)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좌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은 제1결합부(591)와 연결부(595) 및 제2결합부(593)가 "ㄷ"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에 배치되는 브라켓(590)은 제1결합부(591)와 연결부(595) 및 제2결합부(593)가 "コ"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기(561)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에는, 가이드홀(591a)이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561)는,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어느 하나에서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홀(591a)은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된 가이드돌기(561)는, 제1결합부(591)와 결합영역(550c)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된 가이드홀(591a)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돌기(561)가 결합영역(550c)에 마련되고 가이드홀(591a)이 제1결합부(591)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가이드돌기(561)는 결합영역(550c)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이러한 가이드돌기(561)는 그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홀(591a)에 삽입되며 제1결합부(591)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결합영역(550c)에 복수개의 가이드돌기(561)가 마련되고, 각각의 제1결합부(591)에 복수개의 가이드홀(591a)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각각의 결합영역(550c)에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61)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제1결합부(591)에는 한 쌍의 가이드홀(591a)이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하나의 가이드돌기(561)와 하나의 가이드홀(591a)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가이드홀(591a)에 하나의 가이드돌기(561)가 삽입될 수 있게 복수개의 가이드돌기(561)와 가이드홀(591a)의 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돌기(561)는, 후크를 포함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후크는, 몸체부(561a) 및 돌출부(561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61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부(561a)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61b)는, 몸체부(561a)로부터 돌출되되, 상하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후크를 등지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후크 중 상부에 배치된 후크의 돌출부(561b)는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고, 한 쌍의 후크 중 하부에 배치된 후크의 돌출부(561b)는 하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가이드돌기(561)는, 가이드홀(591a)을 통해 제1결합부(591)를 관통하면서 제1결합부(591)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1차적인 결합이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 위치가 안내되는 결합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에는 체결홀(562,591b)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 체결홀(562,591b)들은, 체결부재(565)를 이용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체결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여기서 체결부재(565)는, 전술한 체결부재(563)와 동일 또는 유사한 스크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영역(550c)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스크류가 이 체결홀(562,591b)들을 통해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를 관통함에 따라,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영역(550c)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기 위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위치 정렬은,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561)를 제1결합부(591)에 끼워 넣기만 하면, 결합영역(550c)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게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홀(562,591b)들이 가이드돌기(561)보다 상하방향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와 하측 단부에 가까운 위치에서 이루어질수록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하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가 스크류에 의해 단단히 고정됨으로써,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나 하측 단부가 들뜨지 않게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이 서로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중앙 부분에서는 가이드돌기(561)를 이용한 후크 결합이 이루어지므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중앙 부분에서도 들뜸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이하,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간의 결합 구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정리한다.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면, 스크류를 이용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기에 적합한 상태가 되도록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면, 스크류 체결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임시적인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하측 단부에 인접한 위치가 스크류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고,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의 상하방향 중앙 부분에서는 가이드돌기(561)에 의한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들뜸 없이 단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이를 위한 스크류 체결 작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결합부(593)는, 도어본체부(300a),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에는 체결홀(353a,593a)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 체결홀(353a,593a)들은, 후술할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도어본체부(300a)와 브라켓(590) 간의 체결을 위해 마련된 것이다.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체결홀(353a)과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가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563)가 이 체결홀(353a,593a)들을 통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를 관통함에 따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563)는, 스크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재(563)는 몸체부(553a)와 머리부(563b)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53a)는 대략 원형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몸체부(553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머리부(563b)는, 몸체부(553a)의 길이방향 단부에 몸체부(553a)의 원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체결부재(563)에 의해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간의 결합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손잡이(305) 간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결부재(563)는, 제2결합부(593)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손잡이(305)에 삽입됨으로써, 손잡이(305)와 제2결합부(593)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결합시킬 수 있다. 즉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사이에 두고, 손잡이(305)와 제2결합부(59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부재(563)는 머리부(563b)가 제2결합부(593)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제2결합부(593)의 후방으로부터 제2결합부(593) 및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손잡이(305)에 삽입될 수 있다.
만약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 간의 결합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별도로 이루어진다면,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 부위가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될 것이다.
예컨대, 도어(300)의 전방으로부터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체결부재(563)의 머리부(563b)가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브라켓(590)의 후방으로부터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체결부재(563)의 몸체부(553a)가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체결부재(563)를 가릴 별도의 구조물이 도어(300)의 외부에 추가되어야 할 것이다.
더욱이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의 두께가 그리 두껍지 않기 때문에, 도어본체부(300a)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 강도도 충분히 확보되기 어렵다. 또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 간의 결합이 서로 다른 위치에서 별도로 이루어진다면, 그만큼 체결 작업에 필요한 공수도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한 번의 체결 작업으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지도록 하는 체결 구조가 제시된다.
이에 따르면, 브라켓(590) 및 도어본체부(300a)를 관통하여 도어본체부(300a)의 외부로 돌출된 체결부재(563)의 일부분이 손잡이(305)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체결부재(563)의 어느 부분도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제2결합부(593)의 두께가 그리 두껍지 않더라도 손잡이(305)에 의해 체결부재(563)의 삽입 깊이가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되므로, 도어본체부(300a)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 강도도 충분히 확보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한 번의 체결 작업으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체결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도 그만큼 감소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체결부재(563)는,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체결홀(353a)을 통해 제2결합부(593)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 또는 체결홀(593a)의 후방이 제1결합부(591)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은, 후방에서 봤을 때 제1결합부(59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는 상하방향 길이가 짧고 좌우방향 길이는 긴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좌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 우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고, 우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는 제1결합부(591)보다 좌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결합부(593)에 마련되는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보다 좌우방향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좌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에 마련된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보다 우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에 배치된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에 마련된 체결홀(593a)은, 제1결합부(591)보다 좌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이 브라켓(590)의 후방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2결합부(593)에 마련된 체결홀(593a)이 제1결합부(591)로 인해 가려질 경우, 체결 작업에 어려움이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에서 봤을 때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593a)이 제1결합부(591)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로써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제1결합부(591)와 같은 다른 구조물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29 내지 도 31은 도어전면부의 조립 과정을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도 26 내지 도 31을 참조하여 도어전면부의 조립 과정을 설명한다.
도 26 및 도 29를 참조하면, 도어전면부(350)의 조립을 위해, 먼저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손잡이(305)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전방에, 그리고 브라켓(590)을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의 후방에 배치시킨다. 이때 손잡이(305)의 내부에 형성된 체결홀과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홀(353a), 그리고 브라켓(590)의 제2결합부(593)에 형성된 체결홀(593a)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어야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결합부(593)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체결부재(563)를 제2결합부(593) 및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체결하여 준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563)는, 제2결합부(593)의 후방으로부터 제2결합부(593) 및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관통하며 손잡이(305)에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하나의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한 번의 체결 작업으로 브라켓(590)과 도어본체부(300a)와 손잡이(305)의 결합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체결 지점이 각 브라켓(590) 당 2개씩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각각의 제2결합부(593)에는 한 쌍의 체결홀(593a)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도 체결홀(353a)들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체결부재(563)를 이용한 4번의 체결 작업으로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593) 상에서, 한 쌍의 체결홀(593a) 사이에는 끼움홀(593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도 이러한 끼움홀(355a)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손잡이(305)에는, 끼움돌기(305a)가 마련될 수 있다. 끼움돌기(305a)는, 손잡이의 양측 후방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돌기(305a)는, 끼움홀(355a,593b)에 삽입되며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및 제2결합부(593)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끼움돌기(305a)와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및 제2결합부(593) 간의 결합에 의해, 손잡이(305)와 도어전면부(350) 간의 결합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즉 끼움돌기(305a)가 끼움홀(355a,593b)에 삽입되면, 손잡이(305)와 도어전면부(350) 및 제2결합부(593)의 체결홀들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의 결과로서,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을 위한 작업이 좀 더 정확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다음, 도 26과 도 27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1차적인 결합은, 가이드돌기(561)와 제1결합부(591)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지지패널(550)의 체결홀(562)과 제1결합부(591)의 체결홀(591b)이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게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26과 도 27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본체부(300a)의 개방된 후방을 도어배면커버(350b)로 덮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스크류를 도어배면커버(350b)에 체결하여 준다.
이에 따라 도어배면커버(350b)와 결합영역(550c)과 제1결합부(591)가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즉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하나의 스크류에 의해 단 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크류를 이용한 체결 지점이 각 브라켓(590) 당 2개씩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각각의 제1결합부(591)에는 한 쌍의 체결홀(591b)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에도 체결홀(562)들이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스크류를 이용한 4번의 체결 작업으로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다.
종합하면, 총 4번의 체결 작업만으로 손잡이(305)와 도어(300)와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고, 또한 총 4번의 체결 작업만으로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과 브라켓(590) 간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는 등, 매우 적은 횟수의 체결 작업만으로 도어전면부(350)의 조립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도어(300)의 조립 작업에 소요되는 공수가 현저히 감소되고, 도어(300)의 조립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온도센서 배치 구조]
도 32는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0 및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온도센서(58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서모스탯(Thermostat)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가 과열되지 않도록 조리실(105)의 온도를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온도센서(580)는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되며, 이러한 온도센서(580)의 높이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제1가열부(400) 사이로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온도센서(58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보다 제1가열부(400)에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부에서 상부로 좀 더 치우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바람직하게는, 온도센서(580)는 트레이(200)와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온도센서(580)는 트레이(200)보다 제1가열부(400)에 좀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온도센서(580)의 배치는,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 분포, 그리고 조리실(105) 내부에 있는 조리물과의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 발생 가능성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이다.
조리기기에서, 음식물 조리는 조리실(105)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식물은 트레이(200)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음식물 조리는, 통상적으로 음식물이 트레이(200)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조리실(105) 내부를 가열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음식물이 트레이(20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트레이(200)에 안착된 음식물과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음식물과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이 발생되면, 온도센서(580)에 의해 이루어지는 온도 측정의 결과가 부정확해지거나 온도센서(580)의 동작에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과 온도센서(580)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온도센서(580)의 배치가 필요하다.
또한 조리실(105) 내부에서는, 통상적으로 조리실(105)의 상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는, 가열된 공기가 상승됨으로 인한 것이기도 하고, 조리실(105) 내부를 가열하는 제1가열부(400)가 조리실(105)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조리실(105)의 하부에도 제2가열부(600; 도 64 참조)가 있기는 하다. 그러나 직접 발열하는 제1가열부(400)와 달리, 제2가열부(600)는 직접 발열하는 장치가 아니다. 따라서 조리실(105) 내부에서는, 조리실(105)의 상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의 온도가 설정된대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과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데 이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온도센서(580)가 이러한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조리실(105)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곳에 온도센서(580)가 배치되는 것이 그 반대인 경우보다 유리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의도된 것보다 온도가 낮았을 때보다 그 반대의 경우가 조리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온도가 높게 나타나는 지점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온도센서(580)의 역할이 과열 방지에 있다면, 더욱 그러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05)의 하부에 인접한 측에 온도측정모듈(640; 도 50 참조)이 배치되어 온도를 측정하므로, 이러한 온도측정모듈(640)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온도센서(580)가 배치되기 보다는 온도측정모듈(640)과 어느 정도 이격된 위치에 온도센서(580)가 배치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조리실(105) 내부에서 상부로 좀 더 치우친 높이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조리실(105)의 온도가 설정된대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과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온도센서(580)의 역할이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1과 도 22과 도 26 및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영역(550b)은 제1영역(550a)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온도센서(580)는 제2영역(55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영역(550a)에는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고, 이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와 관련된 부품, 즉 샤프트(110)와 엔코더(1200) 등과 같은 부품들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 상에서 상당히 넓은 영역을 차지할만한 크기로 마련된다. 그로 인해, 지지패널(550) 상에서 제1제어기판(500)은 지지패널(550)의 반 이상의 영역을 차지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그렇기 때문에, 조작장치(1000)와 관련된 부품들이 제1제어기판(500) 상에 설치되기 위해서는, 제1제어기판(500)도 도어전면부(350) 상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를 차지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그로 인해, 지지패널(550)의 상부 영역도 제1제어기판(500)에 의해 상당 부분 점유될 수밖에 없게 된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의 상부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설치될만한 공간, 즉 온도센서지지부(557)가 마련될만한 공간이 사실상 확보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온도센서(580)가 제1제어기판(500)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게 제1제어기판(500)의 측방향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온도센서(580)는, 조리실(105) 내에서 상부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되, 측방향 일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온도센서(58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도어전면부(350)의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온도센서(580)는, 제1제어기판(500) 등과 같은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면서도 그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통상적으로, 음식물이 조리실(105)의 중앙에 안착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상기와 같이 온도센서(580)가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온도센서(580)와 음식물의 접촉 가능성을 상당 부분 낮출 수 있다는 효과도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기기는 차폐판(3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판(328)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한 쌍의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며, 차폐판(328)도 이에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에 인접되게 배치되어 제1가열부(400)의 열의 발산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제1가열부(400) 중 도어전면부(350)에 인접한 측에 위치한 제1가열부(400)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도어전면부(350)와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가열부(400) 중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한 제1가열부(400)에 인접되게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하우징(100)의 배면과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열의 발산 방향을 조리실(105)의 중앙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열이 도어전면부(350) 측 또는 하우징(100)의 배면(140) 측으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가열부(400)는, 도어전면부(350) 또는 하우징(100)의 배면(140)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의 배면(140)은, 제1가열부(400)에 의해 집중적으로 가열되기 쉬운 환경에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와 하우징(100)의 배후에는 각종 전장부품들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집중적인 가열이 가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전면부(350)와 제1가열부(400) 사이, 그리고 하우징(100)의 배면과 제1가열부(400) 사이에 각각 차폐판(328)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차폐판(328)은, 제1가열부(400)의 열이 도어전면부(350) 측 또는 하우징(100)의 배면(140) 측으로 발산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전장부품들이 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전면부(350)와 인접한 위치에 위치한 차폐판(328)은, 온도센서(580)와 제1가열부(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온도센서(580)는 제1가열부(400)와의 사이가 차폐판(328)에 의해 가로막힌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센서(580)는, 제1가열부(400)의 열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온도센서(580)는, 제1가열부(400)와 인접한 영역이면서도 제1가열부(400)의 열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온도센서(580)가 제1가열부(400)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됨에도 불구하고, 조리실(105) 내부의 실제 온도와 가까운 신뢰성 높은 측정 결과가 온도센서(580)에 의해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터치조작부의 구조]
도 3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조작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13 및 도 3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터치조작부(1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조작부(1900)는, 조작장치(1000)와 함께 도어전면부(35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조작부(1900)가 조작장치(100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되, 조작장치(1000)의 측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터치조작부(1900)를 조작장치(1000)와 함께 직접 조작하여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서, 터치조작부(1900)는 제1가열부(400)의 온/오프 조절을 위한 조작 스위치와 조리 대상물의 종류 및 상태를 선택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조작부(1900)는, 기판(1910)과 부스터(19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910)은, 지지패널(550)에 고정된 형태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패널(550)은, 터치패널지지부(5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지지부(565)는, 제2영역(550b), 즉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패널지지부(565)는 터치조작부(1900)를 지지하며, 이로써 터치조작부(1900)는 터치패널지지부(565)에 의해 지지되어 제2영역(55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지지부(565)는, 돌출면부(565a)와 돌출지지면부(565b) 및 돌출리브부(565c)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면부(565a)는,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지지면부(565b)는, 돌출면부(565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메인패널부(551)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돌출지지면부(565b)는, 메인패널부(551) 및 돌출면부(565a)보다 전방으로 앞선 위치에서 기판(191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1910)이 돌출지지면부(565b)에 의해 지지됨에 따라, 터치조작부(1900)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돌출리브부(565c)는, 돌출지지면부(565b)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터치패널지지부(565)에서는, 한 쌍의 돌출리브부(565c)가 돌출지지면부(565b)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돌출리브부(565c)가 돌출면부(565a)를 사이에 두고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돌출리브부(565c)는, 돌출면부(565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돌출리브부(565c)는, 돌출지지면부(565b)의 돌출 정도와 동등 수준으로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리브부(565c)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홈에는 패킹부재(566)가 삽입될 수 있다. 패킹부재(566)는, 고정홈에 삽입됨으로써, 돌출리브부(565c)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566)는, 터치패널지지부(565)와 기판(1910) 사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돌출면부(565a)와 기판(19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566)는, 고정홈에 삽입되었을 때, 돌출리브부(565c) 및 돌출지지면부(565b)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킹부재(566)는, 탄성 변형 가능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재(566)는, 돌출면부(565a)와 기판(1910) 사이에서 기판(1910)과 오버랩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킹부재(566)는 기판(1910)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기판(1910)에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터치조작부(1900)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더욱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지지패널(550)은, 외측지지돌기(5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패널지지부(565) 및 터치조작부(1900)의 외측에 복수개의 외측지지돌기(567)가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외측지지돌기(567)는 터치패널지지부(565) 및 터치조작부(1900)의 상하방향 외측 및 좌우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외측지지돌기(567)는, 지지패널(550)의 메인패널부(551)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외측지지돌기(567)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접촉될 수 있게 돌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외측지지돌기(567)들은, 터치조작부(1900)의 주변에서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후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조작부(1900)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눌러야 한다. 이러한 조작이 반복되면,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반복된 눌림으로 인해 변형될 수 있다. 외측지지돌기(567)는, 터치조작부(1900)의 주변에서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지지함으로써, 터치조작부(1900)의 조작으로 인한 도어(300)의 변형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외측지지돌기(567)는, 터치조작부(1900)의 전방 영역에서만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이 눌릴 수 있게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을 지지함으로써, 터치조작부(1900)의 조작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데도 기여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의 터치패널지지부(565)에 설치되는 터치조작부(1900)는 정전용량 센서를 적용한 메탈터치 스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터치조작부(1900)의 기판(19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전용량부가 형성될 수 있다.
기판(1910)의 전방에는 부스터(1920)가 배치될 수 있다. 부스터(1920)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기판(19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부스터(1920)는,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중 부스터(1920)와 밀착되는 영역에는, 터치조작부(1900)의 기능에 대응되는 기능 아이콘들이 음각 또는 양각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 중 해당 부분이 눌려지면, 부스터(1920)가 이와 함께 눌려져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부스터(1920)와 정전용량부 간의 간격이 변화하게 되고, 이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용량의 변화에 의해 터치조작부(1900)에 대한 터치가 인식될 수 있다.
상기 부스터(1920)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잘 밀착되어 있어야 터치조작부(1900)에 대한 터치 인식률이 상승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리브부(565c)에 설치된 패킹부재(566)가 기판(1910)을 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기판(1910)에 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스터(1920)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 및 제2제어기판의 구조]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 및 제2가열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4에 도시된 제2가열부와 온도센서와 수신코일과 전자기차폐판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8은 도 34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39는 도 38에 도시된 제2제어기판의 배면에 배면커버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3과 도 34 및 도 35를 참조하면, 제2가열부(600)는 트레이(2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제2가열부(60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며, 제1가열부(400)와 다른 가열방식으로 트레이(200)를 가열하는 가열부, 예를 들면 유도가열부 형태로 제공된다. 유도가열부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설치되는 워킹코일(610)을 포함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트레이(200)의 하부에서 트레이(200)의 가열을 유도할 수 있다.
워킹코일(610)은, 코일설치베이스(6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설치베이스(611)가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까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는 트레이(200)의 전체 영역이 워킹코일(61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워킹코일(610)의 크기와 형상을 트레이(200)의 형상에 가깝게 한 설계의 결과이다.
코일설치베이스(611)에는, 도 35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심을 기준으로 코일(613)이 설치될 수 있는 나선형의 홈이 마련된다. 그리고 코일(613)은, 이 나선형의 홈에 코일(613)이 수용되며, 코일설치베이스(611) 상부에 촘촘하게 감겨져 고정된다. 코일(613)의 단부에는, 상기 코일(613)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PCB와 연결되는 코일연결배선(615)이 구비된다.
아울러 제2가열부(600)는, 수신코일(6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무선으로 전송된 전원을 수신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서,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수신코일(620)의 하부에는 베이스(180)가 배치된다. 베이스(180)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결합되어 수신코일(620)의 하부에서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등을 지지하는 한편, 조리기기의 저면 외관을 형성한다.
수신코일(620)은, 워킹코일(610)과 마찬가지로 코일설치베이스(621)와 코일(6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수신코일(620)의 코일설치베이스(621)는, 워킹코일(610)의 코일설치베이스(611)와 다르게 대략 원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수신코일(620)의 형상을 쿡탑(Cooktop)에 구비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의 형상에 가깝게 형성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코일(620)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와 별개로 구비되는 다른 조리기기, 즉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전력을 수신할 수 있게 마련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에 올려진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때 조리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은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쿡탑의 워킹코일과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함께 동작시키면,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에는, 자기 유도 현상에 의하여 쿡탑의 워킹코일에서 변화하는 자기장을 통해 수신코일(620) 쪽에 전류가 유도됨으로써, 쿡탑을 통해 공급되는 전력이 수신코일(620)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수신코일(620)의 전력 수신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를 쿡탑에 올리되, 수신코일(620)의 위치와 쿡탑의 유도가열부에 구비된 워킹코일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중첩되게 올려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유도가열부에는,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전자기차폐판(630)은, 금속재질의 판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자기차폐판(630)은,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 배치되어 워킹코일(610)에 의한 EMI가 수신코일(620)에 영향을 미치거나 수신코일(620)에 의한 EMI가 워킹코일(610)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은 수신코일(620)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쿡탑의 유도가열부로부터 무선을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거추장스러운 전원케이블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심플하고 깔끔한 외관으로 제공될 수 있고, 쿡탑에 조리기기를 올려놓기만 하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수신코일(620)은, 도 34 내지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쿡탑의 워킹코일로부터 수신코일(620)로 무선으로 전송된 전력은, 수신코일(6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공간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된 유도가열부의 워킹코일(61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서로 연결된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의 내부공간과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내부공간을 통해 워킹코일(610)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가열부(600)의 유도가열부 등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처리부가 마련된다. 전원처리부는, 수신코일(620)과 연결되어 수신코일(62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제2가열부(600) 등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는 형태로 처리한다. 이러한 전원처리부는 노이즈필터 PC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제어기판(700)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 PCB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노이즈필터 PCB는 워킹코일(610)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코일제어 PCB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한다. 코일제어 PCB에는 워킹코일(6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칩, 예를 들면 IGBT와 같은 칩이 실장될 수 있다.
IGBT는, 온도 관리가 필요한 고발열칩의 일종으로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과승되면 워킹코일(610)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2제어기판(700)에는 제2냉각팬(730)이 설치된다. 제2냉각팬(730)은, 하우징(100)의 외부 공간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IGBT 측으로 배출하는 시로코 팬일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은, IGBT의 측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배후측으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IGBT를 향한 측방을 향해 배출할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을 통해 하우징(100)의 배면 배후의 공간부에 유입된 공기는, 먼저 IGBT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한 히트싱크와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하고, 노이즈필터 PCB 부분을 냉각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기판(700) 및 제2냉각팬(730)은, 배면지지패널(750)에 고정됨으로써,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고정될 수 있다.
배면지지패널(750)은, 도 3 및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배면지지패널(750)은,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결합됨으로써, 하우징(10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지지패널(750)은, 메인패널부(751)와 제1돌출테두리부(75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패널부(751)는, 제2제어기판(700)을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패널부(751)는, 하우징(100)의 배면(140)과 유사한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메인패널부(751)는, 가벼운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제어기판(700) 및 이에 설치되는 각종 전장부품들을 지지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제1돌출테두리부(755)는, 메인패널부(751)의 테두리에 배치된다. 제1돌출테두리부(755)는, 메인패널부(751)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패널부(751)의 후방에는, 메인패널부(751)와 제1돌출테두리부(755)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제어기판(700) 및 제2냉각팬(730)은, 이러한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면지지패널(750)은, 제1영역(750a)과 제2영역(75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750a)은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되는 영역이며, 제2영역(750b)은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영역(750a)과 제2영역(750b)이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얘컨대, 제1영역(750a)이 좌측에, 제2영역(750b)이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배면지지패널(750)의 대부분은 제1영역(750a)에 의해 점유될 수 있다.
제2영역(750b)에는, 제2냉각팬(73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영역(750b)에는, 전원연결부(735) 및 통신모듈(740)이 배치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735)는, 배면지지패널(750)에 설치되되, 제2영역(750b)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부(735)는,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되어 제2제어기판(7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원연결부(735)는, 인렛 파워 소켓(Inlet power socket)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연결부(735)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원 케이블의 플러그와 연결됨으로써,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735)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은, 제2제어기판(700)의 전원처리부에 의해 제2가열부(600) 등에서 이용되기에 적합한는 형태로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전원연결부(735)는,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되되, 제2냉각팬(730)보다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전원연결부(735)가 제2냉각팬(730)보다 상부에 배치될 경우, 그만큼 전원연결부(735) 및 그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이 외부로 노출되기 쉽다.
또한 전원연결부(735)와 연결된 전원 케이블이 상부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조리기기 사용 과정에서 전원 케이블이 장애물로 작용되거나 조리기기를 전복시키는 원인이 될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연결부(735)가 최대한 노출되기 어려운 위치, 예컨대 조리기기의 배면 하단 모서리에 배치되도록 하였다. 이로써 전원연결부(735) 및 이와 연결된 전원케이블로 인한 조리기기의 미관 저하 또는 전원 케이블로 인한 안전 문제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통신모듈(740)은, 외부 기기, 예를 들면 스마트폰과 조리기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일례로서, 통신모듈(740)은 근거리통신모듈일 수 있다. 예 컨대, 통신모듈(740)은 BLE(Bluetooth low energy)와 같은 저전력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모듈일 수 있다. 그 밖에도, 통신모듈(740)은 블루투스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등 다양한 근거리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통신모듈(740)은 이동통신모듈일 수 있다. 예컨대, 통신모듈(740)은 LTE(long term evolution), 와이파이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모듈(740)은,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통신모듈(740)은, 제2냉각팬(730)의 하부 및 전원연결부(73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통신모듈(740)은, 제2제어기판(700)의 측부에 배치되되, 제2냉각팬(730)과 전원연결부(7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모듈(740)의 배치 구조는, 제2냉각팬(730)과 통신모듈(740)과 전원연결부(735) 중에서 전원연결부(735)가 가장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면서 통신모듈(740)과 제2제어기판(700) 간의 배선 길이가 가장 짧아질 수 있는 위치에 통신모듈(740)이 배치되도록 한 설계의 결과이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3과 도 51 및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커버(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커버(760)는, 배면지지패널(750)의 후방에 배치되어 배면지지패널(75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커버(760)는, 메인커버부(761)와 제2돌출테두리부(765)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커버부(761)는, 배면지지패널(75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메인패널부(751)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커버부(761)는, 메인패널부(751)와 유사한 형상,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메인커버부(761)는, 가벼운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커버부(761) 및 이를 포함하는 배면커버(760)는, 캐비닛(170)의 배면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배면커버(760)는, 금속 재질의 캐비닛(170)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절연하는 절연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배면커버(760)에는, 통기홀(762)이 마련될 수 있다. 통기홀(762)은, 메인커버부(761) 상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홀(762)은, 메인커버부(761) 상에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통기홀(762)은, 제2냉각팬(730)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기기의 배면 상에서 제2냉각팬(730)이 우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고 하면, 통기홀(752)은 좌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제2냉각팬(73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지나치게 이른 시점에서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새어 나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또한 배면커버(760)에는, 팬설치홀(763)이 마련될 수 있다. 팬설치홀(763)은, 배면지지패널(750)과 배면커버(760) 사이에 설치되는 제2냉각팬(730)의 일부분이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팬설치홀(763)은, 메인커버부(761) 상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되, 제2냉각팬(7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냉각팬(730)의 대부분, 특히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은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므로, 이러한 제2냉각팬(730의 일부분이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노출되거나 캐비닛(170)과 접촉되어도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그런데 배면지지패널(750)에 설치되는 부품들 중에서, 후방으로 가장 돌출되는 부품은 제2냉각팬(730)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2냉각팬(730)의 일부분이 배면커버(760)의 후방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되면, 그만큼 배면커버(760)가 후방으로 덜 돌출되게 조리기기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즉 조리기기의 전후방향 크기가 그만큼 축소될 여지가 있게 된다. 또한 제2냉각팬(730)과 배면커버(760) 간에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에 의해, 배면지지패널(750)과 배면커버(760) 간의 결합 위치가 안내됨으로써, 배면커버(760)의 설치가 좀 더 용이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도 있다.
아울러 배면커버(760)에는, 절개부(764)가 마련될 수 있다. 절개부(764)는, 메인커버부(761)의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절개부(764)는, 전원연결부(735)와 캐비닛(170)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배면커버(76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제2돌출테두리부(765)는, 메인커버부(761)의 테두리에 배치된다. 제2돌출테두리부(765)는, 메인커버부(761)의 테두리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돌출테두리부(765)는, 배면지지패널(750)의 제1돌출테두리부(755)와 결합될 수 있다. 이들 간의 결합에 의해, 배면커버(760)과 배면지지패널(750) 사이에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배면커버(760)와 배면지지패널(7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서, 제1돌출테두리부(755)와 제2돌출테두리부(765) 중 어느 하나에는 후크(756)가 구비될 수 있고, 제1돌출테두리부(755)와 제2돌출테두리부(765) 중 다른 하나에는 상기 후크(756)와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후크홈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과 캐비닛(170)의 배면에는, 관통홀(17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관통홀(171)에는, 흡배기그릴(175)이 배치될 수 있다.
관통홀(171)은, 외부 공기가 캐비닛(170)을 통과하여 제2제어기판(700) 측으로 유입되거나 제2제어기판(700) 주변의 공기가 캐비닛(170)을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흡배기그릴(175)은, 관통홀(171)을 통한 공기의 유입 또는 배출은 허용하면서 관통홀(171)을 통해 외부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컨대, 흡배기그릴(175)은, 루버(Louver) 구조물을 포함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제2가열부(600)는, 도 34 내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도측정모듈(6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측정모듈(640)은,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마련된다.
온도측정모듈(640)은, 워킹코일(610)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 상에서 코일(613)이 배치되지 않은 부분, 예를 들면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측정모듈(640)은, 코일설치베이스(611)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워킹코일(6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온도측정모듈(640)은, 서미스터(Thermistor) 등과 같은 온도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배치되어 트레이의 온도 또는 트레이가 배치된 조리실(105) 내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힌지 어셈블리, 제2가열부, 제2제어기판, 투시창, 제1가열부, 조작장치, 제1제어기판의 배치 관계]
도 3과 도 34 내지 도 39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에는 힌지 어셈블리(800)와 제2가열부(600) 및 제2제어기판(700)이 배치된다.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조리실(105)이 형성되며, 조리실(105)에는 트레이(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트레이(200)를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부(600)가 배치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도어(300)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각각 배치된다.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어(300)의 양측에서 도어(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배치된다.
하우징(100)의 상면 및 전면은 개방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 어셈블리(800)는 하우징(100)의 배후나 양측부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그 중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부에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는 것이 상기한 이유들로 인해 여러모로 유리하다.
수신코일(620)은, 하우징(10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가열부(6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수신코일(620)은 무선 전력 전송을 하는 대상, 예를 들면 쿡탑의 워킹코일과 가장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하므로, 수신코일(620)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의 하부가 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수신코일(620)이 제2가열부(600)의 워킹코일(610)과 함께 하우징(100)의 하부에 배치되면, 워킹코일(610) 또는 수신코일(620)의 EMI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워킹코일(610)과 수신코일(620) 사이에는 전자기차폐판(6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제어기판(700)은, 수신코일(620)을 통한 전력 수신과 워킹코일(610)의 동작과 밀접하게 관련된 구성이므로, 수신코일(620) 및 워킹코일(610)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100)의 하부에는 제2가열부(600) 및 수신코일(620)이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100)의 양측부에는 힌지 어셈블리(800)가 배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제2제어기판(700)의 배치에 가장 적합한 위치는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배면(140) 배후의 공간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은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과 매우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제어기판(700)과 워킹코일(610) 및 수신코일(620)을 연결하는 배선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의 위치는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와도 가까운 위치이다. 이에 따라 도어(300)에 배치된 구성들과 제2제어기판(700)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을 구성할 때 이 배선들을 힌지 어셈블리(800)의 내부에 쉽게 숨길 수 있게 되므로, 배선이 외부로 잘 노출되지 않게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가열부(600)과 수신코일(620)과 힌지 어셈블리(800) 및 제2제어기판(700)은, 하우징(100)의 하부와 양측부 및 배후에 각각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도어(300)보다는 하우징(100)에 배치되기에 더 적합한 구성들이며, 각각 최적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고 구조적 안정성이 높으며 배선의 구성을 깔끔하고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서로 간의 간섭을 효율적으로 피할 수 있는 최적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한편, 도 3과 도 5 및 도 32를 참조하면, 도어(300)에는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와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다. 이들 구성은, 그 기능상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에 배치되는 것이 더 적합한 구성들이다. 하우징(100)에 이미 여러 다른 구성들이 배치되어 있어 그 외에 다른 구성이 더 배치되기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도, 상기 구성들의 배치 위치는 하우징(100)보다는 도어(300) 측인 것이 더 적합하다.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시선보다 낮은 위치에서 사용되는 미니 오븐의 형태로 제공되는 조리기기의 특성을 고려하면, 투시창(W)은 조리기기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보다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투시창(W)은, 도어(300)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때 투시창(W)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조리실(105) 내부에 대한 시야 확보에 유리하지만, 투시창(W)의 크기는 제1가열부(400) 및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도어상면부(310)에 확보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과 마찬가지로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 이는 제1가열부(400)가 트레이(200)를 사이에 두고 제2가열부(600)와 마주보는 상부에 배치되도록 하기 위한 설계의 결과이다. 즉 제1가열부(400)는, 트레이(200)보다 상부에 배치되기 위해 도어상면부(310) 상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투시창(W)과 함께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되는 제1가열부(400)는, 상부에서 보았을 때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투시창(W)을 통해 노출되는 영역에 배치된다면, 미관상으로도 좋지 않고, 투시창(W)을 통한 시야 확보에도 문제가 발생되며, 투시창(W) 부분의 온도 상승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 길이보다 좌우방향 길이가 더 긴 직사각형 형상인 도어전면부(350)의 형상을 감안하면,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제1가열부(400)가 배치되어야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그만큼 증가될 수 있고, 제1가열부(400)의 길이가 증가된 만큼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제1가열부(400)는 투시창(W)의 전방 외측과 후방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이로써 미관 유지, 시야 확보 유지, 투시창(W)의 온도 상승 억제, 제1가열부(400)의 화력 향상과 같은 기능적 이점을 확보하기가 유리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됨에 따라,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된다. 그리고 조작장치(1000) 및 제1제어기판(500)은,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도어상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이 투시창(W)과 제1가열부(400)에 의해 점유되는 상태를 고려하면, 도어상면부(310)에서는 조작장치(1000)가 설치될만한 공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만약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된다면, 도어(300)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상부에 위치한 장애물과 조작장치(1000) 간의 충돌이 발생되어 조작장치(1000)가 파손될 위험성이 있다. 특히 조작장치(1000)가 도어(300)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면, 이러한 위험성은 더 커지게 된다.
또한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는, 도어전면부(350)에 비해 온도가 높을 가능성이 높다. 조작장치(10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조작하는 구성임을 감안하면, 이러한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었을 때에는 조작장치(100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도어상면부(310)의 뜨거운 부분과 접촉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될 것이다. 즉 조작장치(1000)가 도어상면부(310)에 배치되면, 조작장치(1000) 조작 과정에서 사용자가 화상 등의 부상을 입을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조작장치(1000)는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된다. 조작장치(1000)가 도어전면부(350)에 배치됨으로써, 사용자는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어전면부(350)에는, 조작장치(1000) 외에도 제1제어기판(500)도 함께 배치된다.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제1가열부(400)와 제2가열부(6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된다. 따라서 제1제어기판(500)은, 특히 조작장치(10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것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제어기판(500)은 조작장치(1000)와 마찬가지로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조작장치(1000)와 매우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장치(1000)를 제1제어기판(500)에 직접 연결하는 형태로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 간의 연결이 구성될 수 있고, 따라서 매우 간결하고 안정적인 조작장치(1000)와 제1제어기판(500)의 연결 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제어기판(500)은, 발열 부품인 제1가열부(400)가 배치된 도어상면부(310)가 아닌 도어전면부(350)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가열부(400)에 의해 발생된 열에 의한 영향에서도 어느 정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열부(400)가 작동 중일 때 발생되는 열이 제1제어기판(500)에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안정성 및 동작 신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어프레임의 구조]
도 42는 도 41에 도시된 도어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3은 도어프레임과 제1가열부 및 보호그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4는 도어프레임과 제1가열부와 보호그릴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45는 도 40의 "ⅩⅩⅩⅩⅤ-ⅩⅩⅩⅩ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6은 도 40의 "ⅩⅩⅩⅩⅥ-ⅩⅩⅩ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47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8은 도어프레임과 힌지부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49는 도어프레임과 힌지부와 도어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3에서는 글라스 및 리플렉터의 도시가 제외되어 있고, 도 45 내지 도 48에서는 글라스의 도시가 제외되어 있다.
도 40 내지 도 43을 참조하면,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를 덮으며 도어(300)와 결합된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를 지지하며 도어(30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제1가열부(400)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어프레임(320)은, 결합부(321)와 히터장착부(3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장착부(325)는 결합부(321)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며, 이러한 히터장착부(325)에는 제1가열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21)는, 도어상면부(310)와 결합되어 히터장착부(325)를 도어상면부(31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21)는, 내부에 관통공이 형성된 "ㅁ" 형상의 프레임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관통공과 인접한 결합부(321)의 내측면에는, 안착면(322)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면(322)은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오목한 평면을 형성하며, 이 안착면(322)에는 글라스(335)의 각 테두리 주변이 안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면(322)에 안착되는 글라스(335)는, 관통공을 상부에서 덮으며 히터장착부(325) 및 히터장착부(325)에 설치된 제1가열부(4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안착면(322)은,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높이가 낮은 평면을 형성하되, 대략 글라스(335)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만큼 결합부(321)보다 낮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글라스(335)는, 결합부(321)의 상부면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 상태로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322)은, 관통공의 좌우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면(322)은, 관통공의 전후방향 일측 또는 타측에도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착면(322)이 관통공의 좌우방향 양측과 전후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335)는, 네 테두리 주변이 안착면(322)에 의해 지지되며 도어프레임(320)에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안착면(322)을 둘러싸는 결합부(321)의 내측면에 의해 좌우방향 움직임이 구속되므로,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설치 위치가 안내될 수 있음은 물론, 글라스(335)의 좌우방향 흔들림이 억제되며 글라스(335)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가열부(400)는, 발열체(410)와 제1접속단(420) 및 제2접속단(4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발열체(410)는, 전기히터 형태로 마련된 제1가열부(400)에서 열을 방출하는 부분에 해당된다. 이러한 발열체(410)는, 소정 길이를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제1접속단(420)이 배치되고, 그 반대편인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제2접속단(430)이 배치된다.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원통형상부(421) 및 키형상부(4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420)과 제2접속단(430) 모두가 원통형상부(421) 및 키형상부(42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원통형상부(421)는, 발열체(410)의 길이방향 단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원통형상부(421)는, 원형의 밑면이 제1가열부(410)의 최외측 단부에 배치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키형상부(425)는, 발열체(410)와 원통형상부(421) 사이에 배치된다. 즉 발열체(410)를 중심으로 그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 키형상부(425)가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 최외측에 원통형상부(421)가 배치된다.
키형상부(425)는, 그 두께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얇고 그 폭이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긴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형상부(425)의 폭방향과 나란한 한 쌍의 사각형 면(426; 이하, "제1면"이라 한다)이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키형상부(425)의 상면과 하면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과 나란한 두 쌍의 사각형 면(427; 이하, "제2면"이라 한다)이 한 쌍의 제1면(426) 사이에 배치되어 키형상부(425)의 네 측면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면(426)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긴 변을 갖는 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면(427)은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보다 짧은 변을 갖는 사각형의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가열부(4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접속단(420) 또는 제2접속단(430)을 봤을 때에는, 대부분의 영역에서 원통형상부(421)가 키형상부(425)보다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일부 영역에서만 키형상부(425)가 원통형샹부(a)보다 원통형상부(421)의 직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히터장착부(325)는,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제1접속단(420) 및 제2접속단(430)을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히터장착부(325)는, 제1접속단(420)을 고정시키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430)을 고정시키는 제2접속단고정부(3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커버(a) 및 지지벽(b)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모두가 동일하게 커버(a) 및 지지벽(b)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a)는, 접속단의 주변을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커버(a)는, 접속단의 하부와 측부를 감싸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접속단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보다 조금 더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a)가 "U"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커버(a)는, 지지벽(b) 주변을 감싸되, 지지벽(b)의 하부와 양측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a)의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아울러 히터장착부(325)는, 제1가로지지부(3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로지지부(323)는,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 배치되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로지지부(323)는,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히터장착부(325)는, 제2가로지지부(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가로지지부(324)는,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 가까운측에 배치되며,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제2가로지지부(324)는 커버(a)를 사이에 두고 제1가로지지부(323)와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로지지부(324)는, 제1가로지지부(323)와 마찬가지로,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 양측 단부에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가 각각 배치된다. 또한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먼측에는 제1가로지지부(323)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가열부(400)보다 조리실의 전후방향 중앙에서 가까운측에는 제2가로지지부(324)가 배치된다.
또한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에는 커버(a)가 각각 배치되고, 각각의 커버(a)는 제1가로지지부(323) 및 제2가로지지부(324)의 길이방향 단부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커버(a)의 상부측은 제1가로지지부(323) 및 제2가로지지부(324)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지지벽(b)은, 커버(a)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벽(b)은, 커버(a)로부터 상기 공간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지지벽(b)은, 커버(a)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을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에 따른 내측공간과 외측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벽(b)에는, 접속단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벽(b)에는, 안착홈(c)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c)은, 지지벽(b)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c)의 입구는, 상부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c)에 원통형상부(a)가 끼워짐으로써, 접속단이 지지벽(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접속단은, 연장부(4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422)는, 원통형상부(421)가 키형상부(425)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422)는, 키형상부(425)의 폭방향과 나란한 면, 즉 제1면(426)과의 사이에 단턱(423)이 형성되도록,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에서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연장부(422)에 의해, 원통형상부(421)와 인접한 키형상부(425)의 일부분에는 연장부(422)와 키형상부(425)가 중첩된 영역이 형성된다.
이 영역에서는, 연장부(422)가 키형상부(425)의 제1면(426)보다 키형상부(425)의 두께방향으로 더 돌출되고, 키형상부(425)의 제2면(427)이 연장부(422)보다 키형상부(425)의 폭방향으로 더 돌출된 형상이 나타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장부(422)가 형성됨으로써,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의 강도가 더 보강될 수 있게 된다. 만약 연장부(422)가 없다면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가 키형상부(425)의 측면 단부로만 한정될 것이다. 그러나 접속단에 연장부(422)가 형성됨으로써,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가 연장부(422)와 키형상부(425)의 중첩 지점까지 확장될 수 있게 되므로, 원통형상부(421)와 키형상부(425) 간의 결합 부위의 강도가 더 보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히터장착부(325)는 접속단지지부재(3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지지부재(329)는, 안착홈(c)에 안착된 접속단을 지지벽(b)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하며 접속단을 지지벽(b)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속단지지부재(329)는, 안착홈(c) 및 지지벽(b)의 상부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329a)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코일스프링(329a)은, 안착홈(c)의 상부에서 안착홈(c)의 입구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은, 안착홈(c)의 입구와 접속단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329a)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에는, 제1결합부(329b)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스프링(329a)의 길이방향 타측 단부에는, 제2결합부(329c)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벽(b)의 상부에는, 제1스프링결합부(j) 및 제2스프링결합부(k)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스프링결합부(j)와 제2스프링결합부(k)는, 지지벽(b)의 상부에 배치되되, 안착홈(c)을 사이에 두고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부(329b)는 제1스프링결합부(j)에 결합될 수 있고, 제2결합부(329c)는 제2스프링결합부(k)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결합부(329b) 및 제2결합부(329c)가 각각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중공을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제1스프링결합부(j)와 제2스프링결합부(k) 중 어느 하나는 지지벽(b)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제1스프링결합부(j)와 제2스프링결합부(k) 중 다른 하나는 지지벽(b)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홀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스프링결합부(j)가 지지벽(b)의 상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마련되고, 제2스프링결합부(k)가 지지벽(b) 내부에 체결홀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결합부(329b)와 제1스프링결합부(j)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일측과 지지벽(b)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329c)와 제2스프링결합부(k)를 스크류로 체결함에 의해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타측과 지지벽(b)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코일스프링은, 접속단의 상부에서 접속단을 하부로 누르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속단은, 안착홈(c)의 내부에서 코일스프링, 즉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접속단 지지 구조에 의해, 제1가열부(400)의 파손 발생 가능성은 현저히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접속단 지지 구조에 따르면, 도어(300)의 개폐 과정에서 제1가열부(400)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도어(300)에 가해지는 충격이 제1가열부(400)에 전달될 때 제1가열부(400)가 받는 충격이 상당 부분 완화될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가 전혀 움직일 수 없게 안착홈(c) 내부에 단단히 고정된다면, 제1가열부(40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제1가열부(400)는 이 충격의 영향을 모두 받을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제1가열부(400)의 파손 발생 가능성이 증가될 수밖에 없다.
이에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열부(400)가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1가열부(40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제1가열부(400)는 안착홈(c)의 내부에서 어느 정도 이동하면서 충격의 영향을 어느 정도 회피할 수 있고, 그 이후에는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한 후 그 상태를 계속해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열부(400)가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히터장착부(325) 상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충격으로 인한 제1가열부(400)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접속단 지지 구조에서는,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일측을 제1스프링결합부(j)에 걸어 고정시킨 상태에서 접속단지지부재(329)의 길이방향 타측을 스크류로 체결하여 주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종합하면, 상기 접속단지지부재(329)를 이용한 접속단 지지 구조에 의해, 제1가열부(400)의 안정적인 설치 및 제1가열부(400)의 파손 발생 억제와 관련된 효과가 제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1가열부(400)의 설치 작업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함께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는, 각각 외벽(f)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벽(f)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지지벽(b)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며, 결합부(321)의 내측면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벽(f)은, 발열체(410)의 길이방향에 따른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최외측 벽을 형성한다.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는, 커버(a)와 지지벽(b)과 외벽(f)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각각 형성된다. 해당 공간은 커버(a)와 지지벽(b)과 외벽(f)에 의해 측부 및 하부가 둘러싸인 공간이며, 이러한 공간에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또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고정된 고정단의 원통형상부(4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다.
상기 공간 내에서, 원통형상부(421)는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다. 원통형상부(421)와 연결되는 케이블은, 제1제어기판(500; 도 7 참조)에서 생성된 제어신호를 제1가열부(400)에 전달하는 신호케이블일 수도 있고, 전원을 제1가열부(400)에 공급하는 전원케이블일 수도 있으며, 신호케이블과 전원케이블 둘 다일 수도 있다.
신호케이블과 전원케이블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에 마련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은,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결합부(321)가 덮는 상태로 이루어진다.
케이블장착부(340,345)에는 복수개의 체결보스(341,346)가 배치되며, 도어프레임(32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320a)이 체결보스(341,346)와 대응되게 배치된다. 체결홀(320a)과 체결보스(341,346)의 위치가 일치되도록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의 위치를 일치시킨 후, 체결홀(320a)과 체결보스(341,346)이 형성된 부분을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주면,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은 결합부(321)에 의해 덮이게 된다.
글라스(330,335)는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덮지는 않지만, 제1가열부(400) 및 히터장착부(325)는 글라스(335)에 의해 덮인 영역의 하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케이블장착부(340,345)에 설치된 케이블이 접속단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도 53 내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라스(335)에 의해 덮이지 않은 결합부(321) 영역과 글라스(335)에 의해 덮인 히터장착부(325) 영역 사이에 통로가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외벽(f)과 결합부(321)의 연결 부위에 오목홈(g)이 마련된다. 오목홈(g)은, 외벽(f)과 결합부(321)의 연결 부위에 결합부(321)의 상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부(321)의 안착면(322)보다 오목한 면을 형성한다. 이처럼 형성된 오목홈(g)은, 안착면(322)에 안착된 글라스(335)의 하부에 케이블이 통과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접속단의 원통형상부(a)가 수용된 공간과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사이에 케이블이 통과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리플렉터(440)는,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도 1 참조) 측으로 집중될 수 있도록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키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리플렉터(440)는,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 사이 및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를 가로막으며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킬 수 있다.
리플렉터(440)는, 도 41과 도 44 및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리플렉터부(441)는,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리플렉터부(441)는,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 및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1리플렉터부(441)는,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와 글라스(335) 사이를 경사지게 가로지르는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리플렉터부(441)가 라운드지게 경사진 형상, 예를 들면 "つ"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리플렉터부(445)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글라스(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리플렉터부(445)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글라스(335)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제2리플렉터부(445)는, 글라스(335)와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리플렉터부(445)는, 제1리플렉터부(441)의 상부에서 제1리플렉터부(44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440)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가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나의 금속 판재가 벤딩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부에 배치된 제1리플렉터부(441)와 하부에 배치된 제2리플렉터부(445)가 "て" 형상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게 하나의 금속 판재가 벤딩됨으로써, 리플렉터(440)의 형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440)는, 탄성 변형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플렉터(440)에서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중에서도 특히 라운드지게 형성된 제1리플렉터부(441)가 상하방향 또는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아울러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사이에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및 제1가로지지부(323)로 둘러싸인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공간은, 제1리플렉터부(441)와 제2리플렉터부(445) 간의 열전달을 억제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공간은, 제1가열부(400)와 인접하게 배치된 제1리플렉터부(441)를 가열한 제1가열부(400)의 열이 제2리플렉터부(445)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로써 제1가열부(400)의 열로 인해 도어(300)의 상부면, 즉 도어상면부(310)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어느 정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리플렉터(440)는, 제2가로지지부(324)와 커버(a)에 결합됨으로써,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가로지지부(324)에는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가 마련되고, 커버(a)에는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는, 커버(a)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a)는 리플렉터(440)를 전방과 후방 및 하부에서 감싸는 "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a)는, 리플렉터(440)의 하부에 배치되는 바닥면과 리플렉터(440)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는 측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제2가로지지부(324)에서 제1가로지지부(323)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리플렉터(440)보다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커버(a)의 측벽 중 제2가로지지부(324)에 인접한 측벽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는, 커버(a)의 측벽 중 제1가로지지부(323)에 인접한 측벽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는, 커버(a)의 바닥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커버(a)의 측벽과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될 수 있다.
리플렉터(440)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는, 제2리플렉터부(445)와 간섭되어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즉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부면이 리플렉터(440)보다 상부에 배치된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와 접촉되고, 이에 따라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하방향 위치는,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보다 하부인 영역으로 규제될 수 있다.
커버(a)의 측벽과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 사이의 공간에는 제1리플렉터부(441)의 하측 단부가 삽입되고, 이에 따라 제1리플렉터부(441)와 커버(a)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이루어지는 제1리플렉터부(441)와 커버(a)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1리플렉터부(441)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2리플렉터부(445)의 상하방향 위치가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에 의해 규제되고 제1리플렉터부(441)의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 위치가 제2리플렉터지지돌기(m)에 의해 규제됨으로써, 리플렉터(440)의 설치 위치는 커버(a)의 바닥면과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 사이의 영역, 그리고 커버(a)의 양 측벽 사이의 영역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440)는, 커버(a)의 바닥면과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 사이의 거리보다 긴 상하방향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플렉터(440)는, 제1리플렉터부(441)가 커버(a)에 끼움 결합되고 제2리플렉터부(445)가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의 하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커버(a)의 내부 영역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리플렉터(440)는 커버(a)의 바닥면과 제1리플렉터지지돌기(l)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수축된 형태로 설치되므로, 리플렉터(440)가 커버(a)의 내부 영역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리플렉터(400)는, 제1가열부(400)와 제1가로지지부(323) 사이, 및 제1가열부(400)와 글라스(335) 사이를 가로막으며 제1가열부(400)의 열을 반사시킴으로써,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측으로 집중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보호그릴(450)은, 도 40 내지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열부(400)의 열이 트레이(200) 측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면서 제1가열부(400)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보호그릴(450)은, 제1가열부(400)를 사이에 두고 제1가로지지부(323)와 이격되게 배치되거나, 제1가열부(400)를 사이에 두고 글라스(335)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보호그릴(450)은, 복수개의 강선(451)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각각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되, 대략 제1가열부(40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보다 약간 더 긴 길이로 마련된다.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주변을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열된다. 이러한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주변은 리플렉터(440)와 보호그릴(450)로 둘러싸인다. 즉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일측과 가열부(400)의 상부는 리플렉터(440)에 의해 둘러싸이며, 나머지 방향, 즉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타측과 가열부(400)의 하부는 보호그릴(450)에 의해 둘러싸이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강선(451)은 제1가열부(400)의 전후방향 타측과 가열부(400)의 하부를 제1가열부(400)의 둘레방향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보호그릴(450)은, 그 길이방향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도어프레임(32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각각에는, 그릴고정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릴고정부는, 보호그릴(450)의 강선(451)을 히터장착부(325)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복수개의 고정리브(h)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리브(h)는, 복수개의 강선(451)의 배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리브(h)는, 커버(a)에서 제1가열부(40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고정리브(h)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고정리브(h) 간의 이격 간격은, 상기 고정홈이 강선(451)의 굵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리브(h)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에 강선(451)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보호그릴(450)과 그릴고정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각각에 형성되는 그릴고정부에 보호그릴(450)의 양측 단부를 끼워 고정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도어프레임(320)에 보호그릴(450)을 설치하는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커버(a)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리브(h)는, 커버(a)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 구조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히터장착부(325)는, 그릴지지부(3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릴지지부(328)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릴지지부(328)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서 강선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그릴지지부(328)는, 커버(328a)와 복수개의 고정리브(328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328a)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또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커버(a)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커버(328a)는 상부가 개방된"U"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고정리브(328b)는, 제1접속단고정부(326) 또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고정리브(h)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리브(328b)는, 복수개의 강선(451)의 배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리브(328b)는 커버(328a)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각의 고정리브(328b) 사이에는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고정리브(328b)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고정홈에 강선(451)을 끼워 고정시킴으로써, 보호그릴(450)과 그릴지지부(328)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 마련되는 그릴지지부(328)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사이에서 보호그릴(450)을 지지함으로써, 보호그릴(450)의 길이방향 중앙 부분에서 쳐짐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하고, 보호그릴(450)의 고정이 더욱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하나의 커버(a)에는, 도 55 및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릴통과홀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커버(a)에 그릴통과홀이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그릴통과홀은, 보호그릴(450)의 강선(451)이 커버(a)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릴통과홀은, 커버(a)의 단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와 마주보는 커버(a)의 일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리브(h)는 지지벽(b)과 그릴통과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릴통과홀은, 제2접속단고정부(327)를 향해 개방될 수 있으며, 광폭부(n) 및 협폭부(o)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광폭부(n)는, 커버(a)의 길이방향 단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접속단고정부(327)와 마주보는 커버(a)의 일측 단부와 고정리브(h)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광폭부(n)는, 커버(a)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협폭부(o)는, 광폭부(n)와 고정리브(h) 사이에 배치되며, 커버(a)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협폭부(o)는, 제2접속단고정부(327)를 향해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협폭부(o)는, 광폭부(n)와 연결되며, 광폭부(n)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협폭부(o)는, 광폭부(n)보다 좁은 폭으로 형성되면서, 광폭부(n)의 폭방향 내측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협폭부(o)는 강선(451)의 굵기보다는 넓은 폭으로 형성되되, 강선(451)의 굵기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접속단고정부(326)에 마련된 복수개의 고정리브(h) 사이에 형성된 고정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광폭부(n)와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면서도 협폭부(o)와는 상하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1접속단고정부(326)에는, 보호그릴(450)의 강선(451)이 커버(a)를 상하방향으로 통과하는데 필요한 통로 및 강선(451)을 제1접속단고정부(326)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조물이 함께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강선(451)의 길이방향 일측이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고정된 후,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에 고정되는 형태로 강선(451)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제1가열부(400) 또는 리플렉터(450)의 설치가 먼저 이루어진 상태라면, 도어프레임(320)의 상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강선(451)을 끼워 넣는 방법으로 강선(451)의 설치가 이루어지기는 어렵다.
이 경우에는, 측방향으로 강선(451)을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끼워 넣는 방법으로 강선(451)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강선(451)을 제1접속단고정부(326) 측으로부터 그릴지지부(328)의 내부 영역을 측방향으로 통과시킨다. 그런 다음 이 강선(451)을 측방향으로 밀어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내부로 끼워 넣은 후, 제2접속단고정부(327)의 고정홈에 끼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강선(451)의 길이방향 일측의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하부에 위치해 있다. 이러한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내부로 끼워 넣어지기 위해서는,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이 커버(a)를 상부방향으로 통과하여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강선(451)의 길이방향 타측은 그릴통과홀을 통해 커버(a)를 통과하여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내부로 삽입된 강선(451)은, 제1접속단고정부(326)의 고정홈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가열부(400)의 설치 및 접속단과 케이블의 연결 작업이 완료되면,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도 31 참조)의 개방된 상부에는 캡이 각각 덮여 접속단을 보호할 수 있다.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와 캡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해, 커버(a)의 상부에는 결합돌기(i)가 돌출되게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리플렉터(440)에는, 끼움결합돌기(447)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끼움결합돌기(447)는, 제2리플렉터부(445)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결합돌기(447)에는, 끼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끼움결합돌기(447)는, 끼움공에 결합돌기(i)가 삽입되도록 결합돌기(i)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끼움결합돌기(447)와 결합돌기(i) 간의 결합에 의해, 커버(a)와 리플렉터(44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리플렉터(440)의 고정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프레임(320)에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통과홀(320b)이 마련될 수 있다. 제1힌지통과홀(320b)은, 결합부(32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힌지통과홀(320b)은, 힌지부(810)가 도어프레임(320)을 통과하기 위한 통로를 도어프레임(32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프레임(320)에는, 도 42와 도 47 내지 도 4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결합부(320c)와 제2힌지결합부(320d)는, 힌지부(810)와 각각 결합되되, 서로 다른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 중 어느 하나는 힌지부(810)와 측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고, 제1힌지결합부(320c) 및 제2힌지결합부(320d) 중 다른 하나는 힌지부(81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힌지결합부(320c)가 힌지부(810)와 측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고, 제2힌지결합부(320d)가 힌지부(81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힌지결합부(320c)는, 제1힌지통과홀(320b)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힌지결합부(320c)는, 제1힌지통과홀(320b)과 매우 인접한 위치에서 도어프레임(32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힌지결합부(320b)는, 힌지부(810)와 측방향으로 마주보는 결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힌지결합부(320d)는, 제1힌지통과홀(320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2힌지결합부(320d)는, 제1힌지통과홀(320b)의 상부에서 힌지부(810)와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결합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힌지결합부(320d)는, 제1힌지통과홀(320b)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제1힌지통과홀(320b)의 상부에 배치된 면이 상기 힌지부(810)와의 결합면을 이루고, 이 결합면은 도어프레임(320)으로부터 돌출된 측벽들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 어셈블리(800)의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때 힌지부(810)는, 제1힌지링크(811)와 제2힌지링크(812)와 제3힌지링크(813) 및 제4힌지링크(814)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힌지부(810)는, 복수개의 힌지링크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중 도어프레임(320)과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것은 제1힌지링크(811)이다. 제1힌지링크(811)는, 도어프레임(320)과 결합되어 도어(300)와 함께 회동할 수 있다.
이 제1힌지링크(811)에는, 제2힌지링크(812) 및 제3힌지링크(813)가 연결될 수 있다. 제2힌지링크(812) 및 제3힌지링크(813)는, 제1힌지링크(8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되, 서로 다른 지점에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힌지링크(812) 및 제3힌지링크(813)는, 제4힌지링크(814)와 연결될 수 있다.
도어(300) 회동시 제1힌지링크(811)와 연결된 제2힌지링크(812) 및 힌지링크(813)의 자세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이와 연결된 제4힌지링크(814)의 자세가 변화될 수 있다.
제4힌지링크(814)는, 힌지어셈블리(800)에 마련된 댐퍼(815; 도 52 참조)와 연결될 수 있다. 댐퍼(815)는, 힌지케이스(830) 내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4힌지링크(814)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이로써 도어(300)는, 적절한 속도로 부드럽게 회동하며 조리실(105; 도 52 참조)을 개폐할 수 있다.
제1힌지링크(811)는, 도어프레임(320)의 하부로부터 제1힌지통과홀(320b)을 통과하여 도어프레임(320)의 상부에서 도어프레임(320)과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힌지링크(811)는, 양측면과 상면을 포함하는 사각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힌지링크(811)의 측면은, 제1힌지결합부(320c)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힌지링크(811)의 상면은 제2힌지결합부(320d)와 결합될 수 있다. 제1힌지링크(811)의 측면과 제1힌지결합부(320c) 간의 결합, 그리고 제1힌지링크(811)의 상면과 제2힌지결합부(320d) 간의 결합은 스크류 체결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힌지링크(811)의 측면과 제1힌지결합부(320c)는 측방향으로 결합되고, 제1힌지링크(811)의 상면과 제2힌지결합부(320d)는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지점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320) 간의 결합이 더욱 강한 결합력으로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프레임(32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320a)이 마련되는데, 이 체결홀(320a) 중 일부는 제1힌지통과홀(320b)에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도어프레임(320)과 도어상면부(310) 간의 결합이 제1힌지통과홀(320b)과 매우 인접된 위치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제1힌지통과홀(320b) 부근에서 도어프레임(320)과 도어상면부(310) 간의 벌어짐이 발생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도어프레임(320)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됨으로써, 도어상면부(31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및 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도어상면부(310)의 하부를 커버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은,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된 부분을 결합부(321)가 덮는 상태에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케이블장착부(340,345) 등에 체결되는 형태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된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에 배치된 케이블장착부(340,345; 도 7 참조) 및 이에 설치된 케이블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커버할 수 있으며, 필요시 도어(300)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320)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부품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필요시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조리기기의 유지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둘째,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와 그 관련 부품들, 그리고 글라스(335)가 하나의 단위체로 조립될 수 있는 틀을 제공함으로써, 부품 관리 및 제조 관리가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에는, 글라스(335)가 도어프레임(32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들 외에도, 제1가열부(40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이 도어프레임(320)에 고정되기 위한 구조물들이 함께 제공된다.
이에 따라 글라스(335)와 제1가열부(44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이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된 하나의 단위체가 제공될 수 있고, 도어프레임(320)을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결합하는 것만으로 글라스(335)와 제1가열부(440)와 리플렉터(440) 및 보호그릴(450)가 단번에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셋째,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가 도어프레임(320)에 쉽고 빠르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들을 제공함으로써, 제1가열부(400) 설치 작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열부(400)의 일측 단부를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하나에 먼저 끼우고, 제1가열부(400)를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가열부(400)의 양측 단부가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에 각각 끼워지도록 한 후, 이를 접속단지지부재(329)로 고정시키는 단순하고 쉬운 작업만으로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다.
이때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는 방향성 있게 마련된 것이 아니므로, 제1가열부(400)의 일측 단부를 제1접속단고정부(326)와 제2접속단고정부(327) 중 어느 것에 먼저 끼우더라도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문제없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도어프레임(320)은, 제1가열부(400) 설치 작업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제조 작업은 물론 제1가열부(400)의 교체를 위해 이루어지는 유지보수 작업 또한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넷째, 제1가열부(400)가 접속단지지부재(329)에 의해 탄성 지지되며 히터장착부(325) 상에 안정되게 설치됨으로써, 제1가열부(400)의 설치가 쉽고 빠르게 이루어짐은 물론, 충격으로 인한 제1가열부(400)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도어 내부의 냉각 구조]
도 50은 도어전면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1은 도 50에 도시된 도어전면부 내부에서의 수증기 및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 및 도 50을 참조하면,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는 각각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도어상면부(310)에 설치된 투시창(W)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글라스(330,335)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투시창(W)을 포함한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 사이, 바꾸어 말하면, 제1도어본체부(310a)와 도어프레임(320)으로 둘러싸인 공간부와 제2도어본체부(350a)와 도어배면커버(350b)로 둘러싸인 공간부는, 실링부재(S) 등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는, 냉각홀(301)이 마련될 수 있다. 냉각홀(301)은, 도어전면부(350)의 하단,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저면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홀(301)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전면부(350) 상에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도어본체부(350a)의 저면에 복수개의 냉각홀(301)이 마련되며, 복수개의 냉각홀(301)이 도어전면부(350)의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는, 배기구(303)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구(303)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를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도어상면부(310) 상에 형성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어(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1냉각팬(3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냉각팬(360)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 또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냉각팬(360)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냉각팬(360)은, 지지패널(550)에 결합되어 지지패널(5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된 영역과 다른 영역, 즉 제2영역(550b)에 제1냉각팬(360)이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어상면부(310)에는 투시창(W), 제1가열부(400) 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도어상면부(310)에는 여유 공간이 부족하다. 이에 비해 도어전면부(350)에는 제1제어기판(500) 외에는 부피를 차지하는 부품들이 배치되지 않으므로, 도어전면부(350)는 도어상면부(310)에 비해 상대적으로 넉넉한 여유 공간을 갖는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 설계의 결과로서, 제1냉각팬(360)은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550a)에는 제1제어기판(500)이 배치되고, 제1제어기판(500)에는 조작장치(1000)와 관련된 부품들이 배치된다. 따라서 제1영역(550a)에서는, 제1냉각팬(360)이 설치될만한 여유 공간이 확보되기 어렵다.
제2영역(550b)에는, 온도센서(580), 터치조작부(1900)와 같은 부품들이 배치된다. 제1냉각팬(360)은, 이들과 함께 제2영역(550b)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제1냉각팬(360)은, 외부 공기가 냉각홀(301)을 통해 도어(300)의 내부로 유입되고 도어(300) 내부의 공기가 다시 냉각홀(301)을 통해 토출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제1냉각팬(36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 공기가 냉각홀(301)을 통해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는, 다시 냉각홀(303)을 통해 도어(3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와 조리실(105) 사이가 실링부재(S) 등에 의해 차폐되지만,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나 수증기가 이들 사이를 통해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여럽다.
또한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 사이가 실링부재(S) 등에 의해 차폐되지만,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열기나 수증기가 이들 사이를 통해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즉 조리실(105) 내부에서 조리가 이루어질 때 발생하는 열기나 수증기가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를 거쳐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 열기나 수증기, 특히 수증기가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될 경우, 이 수증기는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부품들, 즉 제1제어기판(500), 조작장치(1000), 터치조작부(1900) 등과 같은 부품들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이들을 수분에 노출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즉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된 수증기는,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부품들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이들의 고장 발생 위험성을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도어전면부(350) 내부의 공간부로 유입된 수증기는,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각팬(360)에 의해 도어(3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냉각팬(360)에 의해, 도어전면부(350) 내부에는 외부 공기가 냉각홀(301)을 통해 도어전면부(35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흐름, 그리고 제1제어기판(500)을 냉각시킨 공기 및 도어상면부(310)로부터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가 냉각홀(303)로 배출되도록 하는 공기 흐름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냉각팬(360)이 원심팬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냉각팬(36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한 공기를 하부를 향해 토출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냉각팬(360)의 축방향 일측과 도어전면부(350) 사이,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냉각팬(360)의 전방측에 형성된 흡입구와 제1도어본체부(350a)의 배면 사이가 소정 간격 이격되므로, 제1냉각팬(360)의 흡입구를 통한 공기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냉각팬(360)은, 제2영역(550b)에 배치되되, 냉각홀(303)과 인접한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냉각팬(360)은 터치조작부(1900) 및 온도센서(58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냉각팬(360)은 도어상면부(310)와 냉각홀(301) 사이에 배치되되, 도어상면부(310)보다는 냉각홀(301)에 좀 더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제1냉각팬(360)은, 냉각홀(301)과 인접한 위치에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만약 제1냉각팬(360)이 냉각홀(301)보다는 도어상면부(310)에 좀 더 인접한 위치, 예컨대 터치조작부(1900)와 도어상면부(310) 사이에 배치된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첫째, 제1냉각팬(360)에서의 공기 토출이 냉각홀(301)에서 먼 위치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제1냉각팬(360)에서 토출되었던 고온의 공기 및 수증기가 다시 제1냉각팬(360)으로 재흡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제1냉각팬(360)에서의 공기 토출 위치가 냉각홀(301)에서 멀어질수록, 제1냉각팬(360)에서 토출된 공기가 도어전면부(350) 내부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증가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제1냉각팬(360)에서 토출된 공기가 도어전면부(350) 내부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증가되면, 그만큼 이 공기가 제1냉각팬(360)으로 재흡입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냉각홀(301)을 통과하여 도어(300) 외부로 배출된 공기보다는 도어전면부(350) 내부를 이동하는 공기가 제1냉각팬(360)으로 재흡입되기가 쉽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처럼 제1냉각팬(360)으로 재흡입되는 공기의 양이 많아질수록, 그만큼 도어(300) 내부에 대한 냉각 효율 및 수증기 제거 효율이 저하될 수밖에 없게 된다.
둘째, 제1냉각팬(360)의 공기 흡입이 도어상면부(310)에서 너무 가까운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되면,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이 촉진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도어상면부(310)와 제1냉각팬(360)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 사이의 틈에 작용하는 제1냉각팬(360)의 흡입력의 크기가 그만큼 증가될 수밖에 없다.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 사이의 틈에 작용하는 제1냉각팬(360)의 흡입력의 크기가 증가되면, 그만큼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이 촉진될 가능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냉각팬(360)이 도어상면부(310)보다는 냉각홀(301)에 좀 더 인접한 위치, 바람직하게는 치패널지지부(565) 및 온도센서(580)의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냉각팬(360)은, 냉각홀(301)을 향한 방향, 예컨대 하부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함으로써, 토출된 공기가 최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도어전면부(350)의 내부를 벗어나 도어(3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1냉각팬(360)이 이와 같이 마련됨으로써, 제1냉각팬(360)에서 토출되었던 고온의 공기 및 수증기의 재흡입,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의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 내부로의 수증기 유입이 억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300) 내부에 대한 냉각 효율 및 수증기 제거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도어(300) 내부의 부품들의 성능 저하 및 고장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힌지어셈블리 내부의 냉각유로 구조]
도 52는 도 1의 "ⅩⅩⅩⅩⅩ-ⅩⅩⅩⅩⅩ" 선에 따른 단면을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53은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54는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다. 또한 도 55는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56은 도 55에 도시된 냉각유로를 통한 조리실 내부로의 공기 토출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며, 도 57은 도 52에 도시된 냉각유로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 및 도 52를 참조하면, 힌지 어셈블리(800)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양측 외측에 각각 배치되도록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힌지 어셈블리(800)는, 도 52 내지 도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케이스(830)와 힌지부(810) 및 냉각유로(850)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케이스(830)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외관을 형성하며, 이러한 힌지케이스(830)의 내부에는 힌지부(810)의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냉각유로(850)는, 이러한 힌지케이스(830) 내부의 수용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냉각유로(850)는 힌지케이스(830)의 외부로부터 힌지케이스(83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힌지케이스(830)에는, 유로입구(831) 및 유로출구(833)가 마련될 수 있다.
유로입구(831)는, 냉각유로(850)로부터 힌지케이스(830)의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입구(831)는, 힌지케이스(830)의 하단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입구(831)가 힌지케이스(830)의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유로출구(833)는, 냉각유로(850)로부터 조리실(105) 내부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출구(833)는, 유로입구(831)의 상부에 배치되며, 힌지케이스(830)의 측부에 마련될 수 있다. 즉 냉각유로(850)의 하부에 유로입구(831)가 배치되고, 냉각유로(850)의 상부 측에 유로출구(833)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출구(833)가 힌지케이스(830)의 측부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구체적으로, 유로출구(833)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마주보는 힌지케이스(830)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관통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유로출구(833)는 조리실(105) 측을 향한 힌지케이스(830)의 일측면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로입구(831)는 냉각유로(850)의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유로출구(833)는 냉각유로(850)의 일측면에 좌우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냉각유로(850)는, 힌지케이스(830) 내부에 형성된 구조물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유로(850)는,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을 포함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구간(851)은, 냉각유로(850)의 두 구간 중에서, 유로입구(83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구간에 해당된다. 이러한 제1구간(851)은, 하우징(100)의 전면 및 도어전면부(35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구간(853)은, 냉각유로(850)의 두 구간 중에서, 제1구간(851)의 상부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구간에 해당된다. 이러한 제2구간(853)은, 하우징(100)의 상면 및 도어상면부(310)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유로입구(831)는, 냉각유로(85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구간(851)의 하부에 위치한다. 유로입구(831)는, 냉기유로(850)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나란한 방향에 대해서, 냉기유로(850)보다 유로입구(831)의 폭이 넓다.
이러한 유로입구(831)가 형성되는 힌지케이스(830)의 하부에는, 팬장착부(835)가 마련될 수 있다. 팬장착부(835)는, 유로입구(831)를 둘러싸며 힌지케이스(850)의 하부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팬장착부(835)는 유로입구(831)가 배치되는 하우징(850)의 하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팬장착부(835)의 내부에는, 제3냉각팬(86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팬장착부(835)는 힌지케이스(830)의 하부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하우징(100)의 저면(110)의 하부에 형성된 공간이 힌지케이스(830)를 향해 측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팬장착부(835)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부에 형성된 공간(이하, "하부공간"이라 함)에 삽입될 수 있다.
하부공간에는, 제2가열부(600; 도 34 참조)가 배치된다. 상기 공간에 수용되는 제2가열부(600), 좀 더 구체적으로 워킹코일(610; 도 34 참조)은, 상기 하부공간을 꽉 채우게 구비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워킹코일(610)은 좌우방향에 대해서 하우징(100)의 저면(11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05) 내부에 배치되는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길이가 하우징(100)의 저면(110)보다 짧을 수밖에 없고, 워킹코일(610)의 좌우방향 길이가 트레이(200)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길 필요가 없다. 또한 워킹코일(610)은, 통상적으로 이 하우징(100)의 좌우방향 중앙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공간의 측부에는, 팬장착부(835)의 삽입이 이루어질만한 공간이 충분히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공간은 측방향으로 개방되며, 이를 통해 팬장착부(835)의 적어도 일부분이 하부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팬장착부(835)의 대부분이 하부공간에 삽입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팬장착부(835)의 삽입이 이루어짐으로써, 팬장착부(835)를 매개로 한 힌지케이스(830)와 하우징(10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힌지 어셈블리(800)가 하우징(100)에 더욱 안정된 형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형태로 팬하우징(835)의 삽입이 이루어짐으로써, 돌출 구조물인 팬하우징(835)으로 인해 조리기기 상에서 힌지 어셈블리(800)가 차지하는 영역의 좌우방향 길이가 증가되거나 조리기기의 크기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제3냉각팬(860)은, 힌지케이스(83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팬장착부(835)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냉각팬(860)은, 외부 공기가 유로입구(831)를 통해 냉각유로(85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공기 흐름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제3냉각팬(860)에 의해 발생된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 공기가 유로입구(831)를 통해 냉각유로(8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냉각유로(85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냉각유로(850)의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을 통과하면서 힌지케이스(830)를 냉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부(810)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방측과 연결된다. 이러한 힌지부(810)는, 힌지케이스(830) 내에서 후방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냉각유로(850)는,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은, 힌지케이스(830)의 전방 상측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유로입구(831)를 통해 냉각유로(85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제1구간(851)을 통과하면서 하우징(100)의 전면 및 도어전면부(350)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구간(851)을 지나 제2구간(853)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2구간(853)을 통과하면서 하우징(100)의 상면 및 도어상면부(310) 주변을 냉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냉각유로(850)에는, 유로가이드(855)가 마련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855)는, 냉각유로(850)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의 연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유로가이드(855)는, 냉각유로(850) 내부에서 공기의 흐름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가이드(855)는, 제1구간(851)을 통과한 공기가 제2구간(853)으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서, 유로가이드(855)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를 포함하고, 두 돌기 사이가 곡면 형상의 돌기로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상면과 전면, 그리고 도어상면부(310)와 도어전면부(350)는,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부분은, 조리실(105) 내의 열에 의한 영향을 쉽게 받을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해당 부분 주변에 냉각유로(850)가 배치되도록 하고, 제3냉각팬(860)을 이용하여 외부 공기가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각 구조가 제공된다.
이를 통해, 상기와 같이 열의 영향을 받아 온도가 쉽게 상승될 수 있으면서 사용자와의 접촉 가능성이 높은 부분에 대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도어(300)의 과열로 인한 도어(300) 내부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유로출구(833)는, 제1구간(851)의 상부, 즉 제1구간(851)과 제2구간(853)의 연결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유로출구(833)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마주보는 힌지케이스(830)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됨으로써, 냉각유로(850)를 힌지케이스(830)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에는, 냉기토출부(125)가 마련될 수 있다. 냉기토출부(125)는, 유로출구(833)와 연통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냉기토출부(125)는, 복수개의 토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토출구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냉기토출부(125)는, 이처럼 형성된 복수개의 토출구가 유로출구(833) 주변에 집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3냉각팬(860)에 의해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은, 도 54 내지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출구(833) 및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의 내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유로출구(833)와 냉기토출부(125)가 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냉기토출부(125)는 토유로출구(833)과 측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냉각팬(860)에 의해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이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측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아울러 힌지어셈블리(800)와 하우징(1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토출돌기(83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돌기(835)가 힌지어셈블리(800)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토출돌기(835)는 힌지케이스(830)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돌기(835)는, 유로출구(833)를 감싸며 힌지케이스(830)로부터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돌기(835)는, 유로출구(833)와 냉기토출부(125)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즉 토출돌기(835)의 내부에는 유로출구(833)와 냉기토출부(12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통로는 힌지케이스(830)와 토출돌기(835) 및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토출돌기(835)에 의해 형성된 통로에 의해, 유로출구(833)를 통해 냉각유로(850)의 외부로 토출되는 공기가 냉기토출부(125) 측으로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냉각팬(860)에 의해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배기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유도부는,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어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배기유도부는,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하우징(100)의 다른 측면으로 이동하거나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하우징(100)의 배면(110)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컨대, 배기유도부는, 도 5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중 어느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하우징(100)의 다른 측면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배기유도부는,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유로(850)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가 제2구간(853)을 통해 후방으로 유동하며 조리실(105) 내부로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하우징(100)의 배면(110)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이처럼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하우징(100)의 배면(110)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은, 하우징(100)의 전방측에 배치된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서도 유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유도부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기유도부는 냉각유로(850)와 유로입구(831) 및 유로출구(8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도부는, 제3냉각팬(8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배기유도부는, 토출돌기(8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기유도부의 구체적인 작용,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과 도어의 실링 구조]
도 5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정단면도이고, 도 59는 도 58의 "ⅩⅩⅩⅩⅩⅨ"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단면도이고, 도 61은 도 60의 "ⅩⅩⅩⅩⅩ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6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63은 도 62의 "ⅩⅩⅩⅩⅩⅩ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8 내지 도 6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가스켓을 포함할 수 있다. 가스켓은, 배기유도부의 전방측과 상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가스켓은 냉각유로(850)의 전방측과 상부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며,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가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조리기기가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 중 둘만 포함할 수도 있고,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 중 어느 하나만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8 및 도 59를 참조하면, 제1가스켓(370)은 힌지케이스(830) 또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스켓(370)은, 냉각유로(850)의 전방에서 힌지케이스(830)와 도어전면부(350) 사이 또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전면부(350)의 배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배면커버(350b)에 제1가스켓(370)이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 60 및 도 61을 참조하면, 제2가스켓(380)은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스켓(380)은, 냉각유로(850)의 전방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전면부(350)의 배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배면커버(350b)에 제2가스켓(380)이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도 62 및 도 63을 참조하면, 제3가스켓(390)은 하우징(100)의 상면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가스켓(390)은, 냉각유로(850)의 상부에서 힌지케이스(830)와 도어상면부(310) 사이, 또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3가스켓(390)은 힌지케이스(830)의 상면과 도어상면부(310)의 저면 사이를 실링하거나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의 상단과 도어상면부(310)의 저면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상면부(310)의 저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프레임(320)의 저면에 제3가스켓(390)이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8 내지 도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가 제1가스켓(370) 및 제2가스켓(38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스켓(37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실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스켓(37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각각 실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스켓(380)은, 조리실(105)의 하부에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실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스켓(380)은, 조리실(105)의 하부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도 62 및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가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이때 제3가스켓(39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조리실(105)의 상부에서 실링할 수 있다. 이러한 제3가스켓(39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각각 실링할 수 있다.
종합하면, 도 58 내지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는 제1가스켓(370) 및 제2가스켓(380)에 의해 실링될 수 있고, 도어상면부(31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는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가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또는 수증기는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기 어렵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들(370,380,390)은,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또는 수증기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가스켓들(370,380,390)의 작용에 의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에 의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거나,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수증기에 의해 도어(300)에 이슬 맺힘이 발생되거나, 도어(300)에 맺힌 이슬에 의해 도어(300) 주변에 물고임이 발생되는 것과 같은 문제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7 및 도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가스켓(390)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상단과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되, 측방향에 대해서 하우징(100)의 측방향 중심과 제2구간(8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구간(853)은, 제3가스켓(390)과 비교하여 하우징(100)의 측방향 중심으로부터 더 먼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에 배치된 제2구간(853)을 따라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제3가스켓(390)과 하우징(100) 사이를 통과한 공기를 제3가스켓(390)의 측방향 외측에서 가로막는 에어커튼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의 틈새는, 제3가스켓(390)에 의해서만 실링되는 것이 아니라, 제2구간(853)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커튼에 의해서도 실링될 수 있다.
[가스켓의 구조 - 제1가스켓]
도 64는 도 59의 "ⅩⅩⅩⅩⅩⅩ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65는 도 61의 "ⅩⅩⅩⅩⅩⅩ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 66은 도 63의 "ⅩⅩⅩⅩⅩⅩⅥ"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64 내지 도 6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가스켓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9 및 도 64를 참조하면, 제1가스켓(370)은 힌지케이스(830) 또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스켓(370)이 힌지케이스(830) 또는 하우징(100)의 전면과 마주보는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가스켓(370)은 도어배면커버(350b)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스켓(37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스켓(370)은, 실리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스켓(370)은, 제1실링몸체(37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몸체(371)는, 도어(300; 도 62 참조),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전면부(3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몸체(371)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어(300)도어(300)의 내부로부터 도어(3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실링몸체(371)는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실링몸체(371)는, 도어배면커버(350b)를 관통하며 도어배면커버(35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몸체(37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1실링몸체(37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실링몸체(371)의 일측면, 즉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마주보는 제1실링몸체(371)의 배면은, 하우징(100)을 향해 라운드지게 돌출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실링몸체(37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링몸체(37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한 상태일 때, 제1실링몸체(371)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의 전면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링몸체(371)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를 더욱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실링몸체(37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접촉이 면접촉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접촉이 면접촉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면, 제1가스켓(370)의 모서리 부분 등이 하우징(100)과 접촉되는 경우에 비해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이처럼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 도어(300) 개폐 과정에서 제1가스켓(370)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 충격량이 감소될 수 있게 되므로,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한 제1가스켓(370) 파손 발생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스켓(370)과 하우징(100) 간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고, 이에 따라 도어(300) 개폐 과정에서 제1가스켓(370)에 가해지는 단위 면적당 충격량이 감소되면, 도어(300) 개폐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제1실링몸체(371)의 내부에는, 제1가스켓중공부(37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스켓중공부(372)는, 제1실링몸체(371)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스켓중공부(372)가 제1실링몸체(371)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제1실링몸체(371)의 탄성 변형 범위가 더욱 확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실링몸체(371)는, 하우징(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측면(120,130)의 전면에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며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가스켓(370)은, 제1실링커버(3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커버(373)는, 제1실링몸체(37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커버(373)는, 도어(300)의 외부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에 밀착될 수 있다.
도어배면커버(350b)에는, 제1가스켓끼움홀(352b)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스켓끼움홀(352b)은, 도어배면커버(350b)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실링몸체(371)는, 이러한 제1가스켓끼움홀(352b)에 삽입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1실링몸체(37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가스켓끼움홀(352b)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실링커버(373)는, 제1실링몸체(37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커버(373)는, 제1가스켓끼움홀(352b)에 삽입된 제1실링몸체(371)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도어배면커버(350b)의 배후에서 덮음으로써, 제1실링몸체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제1실링커버(373)는,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1가스켓끼움홀(35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실링커버(373)는, 제1실링몸체(371)의 배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할 때, 제1실링몸체(37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서 납작하게 찌그러지며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때 제1실링커버(373)는, 도어배면커버(350b) 및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각각 밀착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제1지지몸체(375)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서 제1실링몸체(371)를 지지할 수 있다. 제1지지몸체(375)는, 도어전면부(350)의 측부에 치우치게 배치되되,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패널(550)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몸체(375)는, 지지패널(55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패널(550)의 양측에 배치된 결합영역(550c)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1지지몸체(375)는, 지지패널(550)의 결합영역(550c)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끼움 결합에 의해, 제1지지몸체(375)와 도어전면부(35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패널(550)과 도어배면커버(350b)와 제1지지몸체(375) 사이에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에 의해, 제1지지몸체(375)가 도어전면부(3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1지지몸체(375)가 도어전면부(3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1가스켓(370)이 흔들리거나 도어전면부(35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제1가스켓(370)과 도어전면부(35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가스켓(370)은, 제1실링돌기(3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링돌기(374)는, 제1실링커버와 마찬가지로 제1실링몸체(37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커버(373)는, 도어(300)의 내부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에 밀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실링돌기(374)는 도어배면커버(350b)를 사이에 두고 제1실링커버(373)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실링돌기(374)는, 제1가스켓끼움홀(352b)에 삽입된 제1실링몸체(371)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도어배면커버(350b)의 전방에서 덮음으로써, 제1실링몸체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즉 도어배면커버(350b)의 전후방향 양측에 제1실링커버(373)와 제1실링돌기(374)가 배치되어 도어배면커버(350b)의 전후방향 양측에서 제1실링몸체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에 대한 실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써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1가스켓끼움홀(35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마련된 제1실링커버(373)는,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1가스켓끼움홀(35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가스켓의 구조 - 제2가스켓]
도 60 및 도 65를 참조하면, 제2가스켓(380)은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가스켓(380)이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가스켓(380)은 도어배면커버(350b)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스켓(38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가스켓(380)은, 제1가스켓(370; 도 64 참조)과 마찬가지로, 실리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스켓(380)은, 제2실링몸체(38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몸체(381)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전면부(35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몸체(381)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어(300)의 내부로부터 도어(300)를 관통하여 하우징(10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실링몸체(381)는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실링몸체(381)는, 도어배면커버(350b)를 관통하며 도어배면커버(35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몸체(381)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 설치되는 제2실링몸체(381)는, 하우징(100)의 저면(11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실링몸체(381)의 후측 단부는, 제1실링몸체(371; 도 64 참조)와 마찬가지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실링몸체(38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한 상태일 때, 제2실링몸체(381)가 하우징(100)의 저면(110)의 전방 단부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실링몸체(381)가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를 더욱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실링몸체(38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제2가스켓(380)과 하우징(100) 간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한 제2가스켓(380) 파손 발생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300) 개폐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제2실링몸체(381)의 내부에는, 제2가스켓중공부(38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스켓중공부(382)는, 제2실링몸체(381)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스켓중공부(382)가 제2실링몸체(381)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제2실링몸체(381)는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며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가스켓(380)은, 제2실링돌기(3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돌기(383)는, 제2실링몸체(38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배면커버(350b)에는, 제2가스켓끼움홀(354b)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스켓끼움홀(354b)은, 제1가스켓끼움홀(352b; 도 64 참조)과 마찬가지로, 도어배면커버(350b)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링몸체(381)는, 이러한 제2가스켓끼움홀(354b)에 삽입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실링몸체(38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가스켓끼움홀(354b)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링돌기(383)는, 제2실링몸체(38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돌기(383)는,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할 때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서 납작하게 찌그러지는 제2실링몸체(381)와 함께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때 제2실링돌기(383)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밀착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하우징(100)의 저면(11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제2지지몸체(385)는, 도어전면부(350)의 내부에서 제2실링몸체(381)를 지지할 수 있다. 제2지지몸체(385)는, 도어전면부(350)의 하부에 치우치게 배치되되,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패널(550)은 제1도어본체부(350a)의 전면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몸체(385)는, 지지패널(550)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2지지몸체(385)는, 지지패널(550)과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끼움 결합에 의해, 제2지지몸체(385)와 도어전면부(35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패널(550)과 도어배면커버(350b)와 제2지지몸체(385) 사이에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에 의해, 제2지지몸체(385)가 도어전면부(3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2지지몸체(385)가 도어전면부(350)에 안정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2가스켓(380)이 흔들리거나 도어전면부(35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제2가스켓(380)과 도어전면부(35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가스켓(380)은, 제2실링돌기(3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실링돌기(383)는, 제2실링몸체(38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돌기(383)는, 도어(300)의 외부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에 밀착될 수 있다.
도어배면커버(350b)에는, 제2가스켓끼움홀(354b)이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스켓끼움홀(354b)은, 도어배면커버(350b)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링몸체(381)는, 이러한 제2가스켓끼움홀(354b)에 삽입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2실링몸체(38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가스켓끼움홀(354b)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실링돌기(383)는, 제2실링몸체(38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스켓(380)에는, 복수개의 제2실링돌기(38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2실링돌기(383)는, 제2실링몸체(381)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된 제2실링돌기(3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도어(300)의 외부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와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실링돌기(383)는, 제2가스켓끼움홀(354b)에 삽입된 제2실링몸체(381)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도어배면커버(350b)의 후방에서 덮음으로써, 제2실링몸체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이로써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전면부(35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2가스켓끼움홀(354b)을 통한 도어(300) 내부로의 열기 또는 수증기의 유입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복수개의 제2실링돌기(383)가 제2가스켓(380)에 마련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첫째, 도어배면커버(350b)과 제2실링몸체(381) 사이의 실링이 도어배면커버(350b)의 전방과 후방에서 다중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제2가스켓끼움홀(354b)을 통한 도어(300) 내부로의 열기 또는 수증기의 유입이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둘째, 한 규격의 제2가스켓(380)이 다양한 규격의 도어(300)에 효과적으로 적용되기가 용이해진다. 예컨대, 제2가스켓(380)이 끼워지는 부분의 두께,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배면커버(350b)의 두께가 얇아지거나 두꺼워진다고 하더라도, 제2실링몸체(381)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가 복수개의 제2실링돌기(38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충분히 덮일 수 있게 되므로, 제2실링몸체(381)와 도어배면커버(350b) 사이의 틈새에 대한 실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지지몸체(385)는, 제1돌출지지부(386)와 제2돌출지지부(38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지지부(396)는, 제2실링몸체(381)로부터 도어배면커버(350b)가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출지지부(387)는, 제1돌출지지부(386)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돌출지지부(386)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돌출지지부(386)와 제2돌출지지부(387)가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배치되고, 제2실링몸체(381)는 제1돌출지지부(386)와 제2돌출지지부(387)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실링몸체(381)가 제2가스켓끼움홀(354b)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돌출지지부(386)와 제2돌출지지부(387)는 제2가스켓끼움홀(354b)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출지지부(386) 및 제2돌출지지부(387)는, 제2가스켓끼움홀(354b)의 상하방향 양측에서 도어배면커버(350b)와 지지패널(550) 사이에 끼워지면서 도어전면부(35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가스켓끼움홀(354b)의 상하방향 양측에서 이루어지는 지지패널(550)과 도어배면커버(350b)와 제2지지몸체(385)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제2지지몸체(385)의 상하방향 위치가 효과적으로 규제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2가스켓(380)과 도어전면부(350) 간의 결합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가스켓의 구조 - 제3가스켓]
도 61 및 도 66을 참조하면, 제3가스켓(39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가스켓(390)이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3가스켓(390)은 도어프레임(1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스켓(390)은,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3가스켓(380)은, 제1가스켓(370; 도 64 참조) 및 제2가스켓(380; 도 65)과 마찬가지로, 실리콘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가스켓(390)은, 제3실링몸체(391)를 포함할 수 있다.
제3실링몸체(391)는, 도어프레임(3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링몸체(391)의 적어도 일부분은, 도어(300)의 내부로부터 도어프레임(320)을 관통하여 하우징(100)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3실링몸체(391)는 도어프레임(320)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도어프레임(3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3실링몸체(391)는 결합부(321)를 관통하며 결합부(3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링몸체(39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의 상단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도어프레임(320)에 설치되는 제3실링몸체(39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실링몸체(391)의 하측 단부는, 제2실링몸체(381; 도 65 참조)와 마찬가지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실링몸체(391)의 하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폐쇄한 상태일 때, 제3실링몸체(391)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의 상단에 효과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실링몸체(391)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를 더욱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3실링몸체(391)의 후측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제3가스켓(390)과 하우징(100) 간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한 제3가스켓(390) 파손 발생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도어(300) 개폐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의 크기가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제3실링몸체(391)의 내부에는, 제3가스켓중공부(392)가 마련될 수 있다. 제3가스켓중공부(392)는, 제3실링몸체(391)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가스켓중공부(392)가 제3실링몸체(391)의 내부에 형성됨으로써, 제3실링몸체(39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에 더욱 확실하게 밀착되며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의 틈새를 효과적으로 실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3가스켓(390)은, 제3실링돌기(3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실링돌기(393)는, 제3실링몸체(39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배면커버(350b)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링돌기(393)는, 도어(300)의 외부에서 도어프레임(320)에 밀착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에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이 마련될 수 있다. 제3가스켓끼움홀(312b)은, 도어프레임(320)의 결합부(32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실링몸체(391)는, 이러한 제3가스켓끼움홀(312b)에 삽입되며 도어프레임(3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3실링몸체(39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가스켓끼움홀(312b)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실링돌기(393)는, 제1실링몸체(37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실링돌기(393)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에 삽입된 제3실링몸체(391)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의 틈새를 도어프레임(320)의 하부에서 덮음으로써, 제3실링몸체와 도어상면부(31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된 제3실링돌기(393)는,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상면부(31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3가스켓끼움홀(31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제3실링돌기(393)는, 제3실링몸체(391)의 저면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할 때, 제3실링몸체(391)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에서 납작하게 찌그러지는 제3실링몸체(391)와 함께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때 제3실링돌기(393)는, 도어프레임(320) 및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각각 밀착되며 도어상면부(31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아울러 제3가스켓(390)은, 제3실링돌기(39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실링돌기(393)는, 제3실링몸체(391)로부터 돌출되며, 도어프레임(320)의 결합부(321)가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에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이 마련될 수 있다. 제3가스켓끼움홀(312b)은, 도어프레임(3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결합부(32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실링몸체(391)는, 이러한 제3가스켓끼움홀(312b)에 삽입되며 도어프레임(32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제3실링몸체(39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가스켓끼움홀(312b)은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실링돌기(393)는, 제3실링몸체(391)로부터 원심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가스켓(390)에는, 복수개의 제3실링돌기(39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제3실링돌기(393)는, 제3실링몸체(391)의 길이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된 제3실링돌기(39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 내부에서 도어프레임(320)의 내주면과 제3실링몸체(391)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이러한 제3실링돌기(393)는, 도어프레임(320)의 내주면과 제3실링몸체(391) 사이를 실링하는 한편, 도어프레임(320)과 제3실링몸체(391) 간에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즉 제3실링돌기(393)는, 조리실(105) 내부로부터 도어상면부(310)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3가스켓끼움홀(31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제3가스켓(390)과 도어(30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아울러 복수개의 제3실링돌기(393)가 제3가스켓(390)에 마련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첫째, 도어배면커버(350b)의 내주면과 제3실링몸체(391) 사이의 실링이 다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열기 또는 수증기가 제3가스켓끼움홀(312b)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둘째, 도어배면커버(350b)와 제3실링몸체(391) 간의 결합 강도 강화 부위가 복수개의 지점에 형성될 수 있게 됨으로써, 제3가스켓(390)과 도어(300) 간의 결합 상태가 더욱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다.
제3지지몸체(395)는,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에서 제3실링몸체(391)를 지지할 수 있다. 제3지지몸체(395)는,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치우치게 배치되되, 도어프레임(320)의 상면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지지몸체(385)는, 제1돌출지지부(396)와 제2돌출지지부(39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지지부(396)는, 제3실링몸체(391)로부터 도어프레임(320)의 결합부(321)가 형성하는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돌출지지부(397)는, 제1돌출지지부(396)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되., 제1돌출지지부(396)의 돌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돌출지지부(396)와 제2돌출지지부(397)가 일직선으로 연결되게 배치되고, 제3실링몸체(391)는 제1돌출지지부(396)와 제2돌출지지부(397)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3실링몸체(391)가 제3가스켓끼움홀(312b)에 끼워진 상태에서, 제1돌출지지부(396)와 제2돌출지지부(397)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을 사이에 두고 일직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돌출지지부(396) 및 제2돌출지지부(397)는, 제3가스켓끼움홀(312b)의 측방향 양측에서 도어프레임(320)에 끼워지면서 도어전면부(350)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에는, 케이블장착부(340,345)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320) 사이에 배치되되, 투시창(W)의 양측방 외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글라스(330)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케이블장착부(340,345) 제2글라스(335)의 상부에 안착되며, 제1글라스(330)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케이블장착부(340,345) 사이에 끼워지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다.
제1글라스(330)와 접촉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상부면과 제2글라스(335)와 접촉되는 케이블장착부(340,345)의 하부면에는, 장착홈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장착홈에는, 실링부재(S)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즉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1글라스(330) 사이,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실링부재(S)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1글라스(330) 사이 및 케이블장착부(340,345)와 제2글라스(335) 사이에 실링부재(S)를 이용한 밀폐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제2글라스(335)의 측방향 단부는, 제3가스켓(390)과 인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장착부(340,345)의 하부면 중에서 장착홈의 측방향 일측 부분은 제2글라스(335)의 상부에 안착될 수 있고, 케이블장착부(340,345)의 하부면 중에서 장착홈의 측방향 타측 부분은 제2글라스(335)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지지몸체(395) 중 제1돌출지지부(396)는, 제3실링몸체(391)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되, 제2글라스(335)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형성된 제1돌출지지부(396)는, 제3실링몸체(391)가 제3가스켓끼움홀(312b)에 끼워진 상태에서 케이블장착부(340,345) 중 제2글라스(335)의 측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과 도어프레임(320)의 결합부(321)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즉 제1돌출지지부(396)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분은 결합부(321)의 상면에 밀착되고 제1돌출지지부(396)의 상면 중 일부분은 케이블장착부(340,345)의 하부면 중 일부분과 밀착되는 형태로, 제1돌출지지부(396)가 도어프레임(320)과 케이블장착부(340,345) 사이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에 의해, 제3지지몸체(395)의 상하방향 위치가 효과적으로 규제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3가스켓(390)과 도어상면부(310) 간의 결합 상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3지지몸체(395)가 도어상면부(3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됨에 따라, 제3가스켓(390)이 흔들리거나 도어상면부(310)로부터 떨어지지 않도록 제3가스켓(390)과 도어상면부(31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가스켓의 작용, 효과]
도 6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의 배면을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68은 도 67에 도시된 도어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67 및 도 68을 참조하면, 도어(300)의 배면, 즉 도어전면부(350)의 배면에는 한 쌍의 제1가스켓(370), 그리고 제2가스켓(38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어(300)의 배면에는 3개의 가스켓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된 한 쌍의 제1가스켓(370) 사이에 제2가스켓(380)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쌍의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이 대략 "凹" 형상으로 연결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사이는 서로 연결될 수도 있고,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이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사이가 분리될 수도 있다.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1가스켓(37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제2가스켓(380)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가스켓(370)은 세로방향의 직선 형태로 각각 마련될 수 있으며, 제2가스켓(380)은 제1가스켓(370)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직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어(300)의 저면, 즉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에는, 한 쌍의 제3가스켓(39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어상면부(310)의 저면에는 2개의 가스켓(39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제3가스켓(390)이 투시창(W)을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한 상태를 기준으로, 각각의 제3가스켓(39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즉 제3가스켓(390)은, 제1가스켓(370) 및 제2가스켓(380)과 직교하는 직선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은, 도어(300)가 조리실(105; 도 70 참조)을 폐쇄할 때 도어(300)와 하우징(10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배치되는 가스켓들(370,380,390)은, 조리실(105)의 전방 또는 상부에서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은,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및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3가스켓(390)은, 조리실(105)의 상부에서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들(370,380,390)은, 조리실(105)의 전방 또는 상부에서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실링함으로써,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와 수증기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켓들(370,380,390)은,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도어(300)와 하우징(100) 간의 접촉으로 인해 도어(300) 또는 하우징(100)에 긁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마련되는 가스켓들(370,380,390)은, 도어(300)가 조리실을 폐쇄하면서 하우징(100)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도어(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들(370,380,390)은, 도어(300)가 조리실(105)을 개폐하는 과정에서 도어(300)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도어(300) 자체 또는 도어(300)에 설치된 부품들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수증기 후방 배출 유도 관련 구조]
도 69는 도어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고, 도 70은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71은 도 70의 "ⅩⅩⅩⅩⅩⅩⅩⅠ"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과 도 62 및 도 64를 참조하면, 도어(300)의 배후측에는 배기구(303)가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상면부(310)의 내부에는 공간부(315)가 형성될 수 있고,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는 배기구(303)가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간부(315)는 투시창(W)과 배기구(30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공간부(315)는 도어상면부(310) 내부에서 실링부재(S; 도 9 참조)와 배기구(30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배기구(303)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구(303)는,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315)를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서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가열된 도어상면부(310)에서 발생되거나 조리실(105)에서 공간부(315)로 유입된 열기 또는 수증기는, 배기구(303)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320), 좀 더 구체적으로 결합부(321)에는, 연결홀(32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321a)은, 결합부(32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홀(321a)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315)와 조리실(10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4 내지 도 66을 참조하면, 조리 과정에서 가열된 도어상면부(31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공간부(315)에 채워질 수 있고, 공간부(315)의 열기는 배기구(303)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에서 발생된 열기와 수증기는, 연결홀(321a)을 통해 공간부(315)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공간부(315)로 유입된 열기와 수증기는, 배기구(303)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어프레임(320) 상에서 하부로 돌출된 구조물인 히터장착부(325)에는 통과홀(328c)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구(303)가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 마련되되, 도어상면부(310)의 측방향 중앙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홀(321a)과 배기구(303)가 대략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연결홀(321a)은 결합부(321)의 측방향 중앙, 즉 제1접속단고정부(326) 및 제2접속단고정부(327) 보다는 그릴지지부(328)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통과홀(328c)은, 연결홀(321a)과 전후방향으로 대략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그릴지지부(328)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통과홀(328c)은, 연결홀(321a)의 적어도 일부분이 통과홀(328c)의 적어도 일부분과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통과홀(328c)은, 그릴지지부(328)의 커버(328a)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과홀(328c)이 커버(328a)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나 수증기, 또는 조리실(105)의 전방측에서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된 공기는, 그릴지지부(328)와 같이 조리실(105)의 내부로 돌출된 구조물을 상기 통과홀(328c)을 통해 통과하여 연결홀(321a)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통과홀(328c)은, 조리실(105) 전방측의 공기가 조리실(105)의 내부로 돌출된 구조물을 통과하여 후방측으로 효과적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과홀(328c)은, 연결홀(321a)의 전방에서 연결홀(321a)을 가로막는 그릴지지부(328)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수증기 전방 배출 방지 구조]
이하, 도 56 내지 도 6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수증기 전방 배출 방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8 내지 도 도 65를 참조하면,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에는, 제2가스켓(38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가스켓(37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가스켓(380)은, 조리실(105)의 하부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이때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은, 조리실(105)의 전방에서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다.
또한 제3가스켓(390)은, 조리실(105)의 좌우방향 양측에서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도어상면부(310) 사이를 각각 실링할 수 있다. 이때 제3가스켓(390)은, 조리실(105)의 상부에서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를 실링할 수 있따.
종합하면,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는 제1가스켓(370) 및 제2가스켓(380)에 의해 실링될 수 있고, 하우징(100)의 개방된 상면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는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가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및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또는 수증기는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기 어렵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에 배치되는 가스켓들(370,380,390)은,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 또는 수증기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차단하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도 56 및 도 57을 참조하면, 제3냉각팬(860)에 의해 냉각유로(85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일부는, 유로출구(833) 및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에서 조리실(105)의 측방향 중심측으로 유동하는 공기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조리실(105) 전방측에서 조리실(105) 후방측으로 유동하는 공기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흐름에 의해, 조리실(105) 내부에서 형성된 열기 및 수증기의 흐름은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조리실(105)의 후방측을 향한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즉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해, 조리실(105) 내부에서 형성된 열기 및 수증기의 흐름은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배기구(303)와 인접한 조리실(105)의 후방측을 향한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가로막는 에어커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종합하면,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가로막는 에어커튼 역할을 하는 한편, 조리실(105) 내부에서 형성된 열기 및 수증기의 흐름을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및 배기구(303)와 인접한 조리실(105)의 후방측을 향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한편 도 64 내지 도 66을 참조하면,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의 후단에는 배기구(303)가 마련되며, 도어프레임(320)에는 연결홀(32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결홀(321a)은 도어상면부(310) 내부의 공간부(315)와 조리실(10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배기구(303)는 공간부(315)를 도어(300)의 외부로 개방시키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5)에서 발생된 열기와 수증기는, 연결홀(321a)을 통해 공간부(315)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공간부(315)로 유입된 열기와 수증기는, 배기구(303)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는,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배출된 공기에 의해 유도된 공기흐름에 의해 조리실(105)의 후방측을 향해 이동한 후, 연결홀(321a)을 통해 공간부(315)로 유입될 수 있다.
즉 연결홀(321a)은,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배출된 공기로 인해 후방측으로 유동된 열기 및 수증기가 배기구(303) 측으로 유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어상면부(310)의 하부에 배치된 도어프레임(320)에서 조리실(105)을 향해 하부로 돌출된 구조물, 예컨대 그릴지지부(328)에 통과홀(328c)이 형성되고, 이 통과홀(328c)은 열기 및 수증기가 도어프레임(320)에서 조리실(105)을 향해 하부로 돌출된 구조물을 통과하여 배기구(303) 측으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종합하면,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의 전방 배출은 다음과 같은 구조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첫째,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 및 상면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가 하우징(100)과 도어전면부(350) 사이에 배치되는 제1가스켓(370)과 제2가스켓(380), 그리고 하우징(100)과 도어상면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3가스켓(390)에 의해 실링될 수 있다.
둘째,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가로막는 에어커튼 역할을 하는 한편, 조리실(105) 내부에서 형성된 열기 및 수증기의 흐름을 하우징(100)과 도어(300) 사이의 틈새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셋째,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조리실(105) 내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조리실(105)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를 배기구(303)와 인접한 조리실(105)의 후방측을 향한 방향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넷째, 조리실(105)의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는,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배출된 공기의 흐름에 의해 조리실(105)의 후방측으로 이동하다가 연결홀(321a)을 통해 도어(300) 내부로 유입된 후 배기구(303)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가스켓들(370,380,390)의 작용과 냉기토출부(125)를 통해 배출되는 기류의 작용을 이용하여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막는 한편, 조리실(105) 내부에서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해 빠져나가기 어려워진 열기 및 수증기가 배기구(303)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조리실(105)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의 흐름을 후방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105) 내부에서 발생된 열기 및 수증기가 조리기기의 전방측에서 조리기기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의 조리기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7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3은 도 72의 "ⅩⅩⅩⅩⅩⅩⅩⅢ"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74는 도 72에 도시된 도어프레임과 힌지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75는 도 4의 "ⅩⅩⅩⅩⅩⅩⅩ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7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과 하우징을 분리하여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77은 도 75에 도시된 캐비닛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8은 도 75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저면측을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며, 도 79는 도 78의 "ⅩⅩⅩⅩⅩⅩⅩⅨ-ⅩⅩⅩⅩⅩⅩⅩⅨ"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72 내지 도 7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므로,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어 갭 조절 구조]
이하, 도 72 내지 도 7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도어 갭 조절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2 내지 도 7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힌지결합부(2321) 및 체결부(10,15)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결합부(2321)는, 도어(3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도어상면부(310)에 고정되어 힌지부(81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10,15)는, 힌지부(810)를 힌지결합부(2321)에 결합시킬 수 있다.
힌지결합부(2321)는, 도어프레임(2320)에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결합부(2321)는, 결합부(32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결합부(2321)는,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2320)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구조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결합부(2320)가 힌지부(810)와 상하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힌지결합부(2320)는 제1힌지통과홀(320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결합부(2320)는, 제1힌지통과홀(320b)의 상부에서 힌지부(810)와 상하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을 형성하는 결합면(232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결합면(2322)은, 제1힌지통과홀(320b)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제1힌지통과홀(320b)의 상부에 배치된 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면(2322)은 도어프레임(2320)으로부터 돌출된 측벽들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면(2322)에는, 제1체결공(23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체결공(2323)은, 결합면(232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힌지결합부(2321)에는, 위치조절안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위치조절안내부는, 체결부와 힌지결합부(2321) 간의 전후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는, 위치조절안내부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결합부(2321)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는 볼트부재(2010) 및 너트부재(2015)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볼트부재(2010)는 힌지부(810) 및 결합면(23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힌지부(810) 및 결합면(2322)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너트부재(2015)는, 볼트부재(2010)와 결합되어 볼트부재(2010)를 결합면(2322)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의 결합은, 나사 결합 형태로 이루어지되,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너트부재(2015)가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면서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볼트부재(2010)는, 결합면(2322)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제1체결공(2323)을 통해 결합면(2322)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이때 볼트부재(2010)는, 볼트부재(2010)의 헤드가 결합면(2322)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결합면(2322)을 관통하며 힌지결합부(2321)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너트부재(2015)는, 결합면(2322)의 상부에서 볼트부재(201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너트부재(2015)는 볼트부재(2010) 중 결합면(2322)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과 결합될 수 있고,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 간의 결합에 의해 힌지부(810)가 도어프레임(232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조절안내부는 상기 제1체결공(2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처럼 위치조절안내부에 포함되는 제1체결공(2323)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위치조절안내부는, 전후방향 길이가 볼트부재(2010)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된 제1체결공(232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체결공(2323)이 볼트부재(2010)보다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으로써, 체결부는 전후방향 위치 조절 가능하게 힌지결합부(23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힌지결합부(2321)를 상대로 한 볼트부재(2010)의 전후방향 위치가 어느 한 위치로만 고정된 형태로 볼트부재(2010)와 힌지결합부(232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힌지결합부(2321)를 상대로 볼트부재(2010)의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조절 가능한 형태로 볼트부재(2010)와 힌지결합부(232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볼트부재(2010)의 삽입이 가능하게 형성되되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 제1체결공(2323)에 의해, 볼트부재(2010)와 힌지결합부(232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위치가 전후방향을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볼트부재(2010)에 의해 체결부와 결합되는 힌지부(810)는, 체결부에 의해 도어프레임(2320)에 결합되되, 전후방향 위치 조절 가능하게 도어프레임(23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2320) 간의 결합 위치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제1체결공(2323)을 통해 힌지결합부(2321)에 끼워지는 볼트부재(2010)가 힌지결합부(2321)에 결합되는 전후방향 위치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위치조절안내부는, 체결가이드홈(23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가이드홈(2324)은, 결합면(2322)으로부터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가이드홈(2324)이 결합면(2322)의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기 체결가이드홈(2324)에는, 너트부재(2015)의 적어도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 간의 나사 결합이 체결가이드홈(2324)의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가이드홈(2324)의 전후방향 길이가 너트부재(2015)의 최장 직경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체결공(2323)이 볼트부재(2010)보다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체결가이드홈(2324)은 너트부재(2015)보다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너트부재(2015)는 체결가이드홈(2324)에 끼움 결합되되, 체결가이드홈(2324)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즉 체결가이드홈(2324)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너트부재(2015)가 체결가이드홈(2324)에 끼워지되, 힌지결합부(2321)를 상대로 한 너트부재(2015)의 위치가 체결가이드홈(2324) 내부에 형성된 전후방향 통로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너트부재(2015)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가이드홈(2324)은, 너트부재(2015)와 간섭되어 너트부재(2015)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너트부재(2015)는 육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가이드홈(2324)은, 너트부재(2015)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각 기둥 형상을 전후방향으로 길게 늘인 형상이 결합면(2322)에 음각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너트부재(2015)는, 체결가이드홈(2324)에 끼워진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은 가능하지만 볼트부재(2010)를 중심으로 한 회전은 제한되는 상태로, 힌지결합부(2321)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체결가이드홈(2324) 및 이 체결가이드홈(2324)에 끼워지는 너트부재(2015)는, 도어프레임(23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체결가이드홈(2324) 및 너트부재(2015)는, 도어상면부(310)와 마주보는 도어프레임(2320)의 상부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가이드홈(2324) 및 너트부재(2015)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23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체결가이드홈(2324) 및 너트부재(2015)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2320)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조절안내부가 마련된 도어프레임(2320)과 힌지부(810) 및 도어상면부(310)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결가이드홈(2324)에 너트부재(2015)가 끼워지고, 힌지결합부(2321)와 힌지부(810)가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부재(2010)가 힌지부(810) 및 힌지결합부(2321)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볼트부재(2010)는 헤드가 결합면(2322)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힌지부(810) 및 결합면(2322)을 관통하며 힌지부(810) 및 힌지결합부(2321)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힌지부(810)가 결합면(2322)에 하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부재(2010)가 힌지부(810) 및 결합면(2322)을 관통할 수 있고, 볼트부재(20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제1체결공(2323)을 통해 결합면(2322)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볼트부재(2010) 중 결합면(2322)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이, 체결가이드홈(2324) 내에서 너트부재(2015)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힌지부(810) 중 힌지결합부(2321)와 직접 결합되는 것은 제1힌지링크(811)인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힌지링크(811)에는 제2체결공(811a)이 마련될 수 있다. 제2체결공(811a)은, 제1힌지링크(81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체결공(811a)은 볼트부재(201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볼트부재(2010)는, 제2체결공(811a)을 통해 힌지부(810)를 관통할 수 있다. 이러한 볼트부재(2010)는, 제2체결공(811a) 및 제1체결공(2323)을 통해 힌지부(810) 및 힌지결합부(2321)를 차례로 관통한 후, 결합면(2322)의 상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체결가이드홈(2324) 내에서 너트부재(2015)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체결가이드홈(2324)에 의해 너트부재(2015)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너트부재(2015)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인력이나 장치 없이도 볼트부재(2010)를 너트부재(2015)에 체결하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볼트부재(2010) 및 너트부재(2015)의 결합 위치가 체결가이드홈(2324)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에 전후방향에 따른 제1힌지링크(811)와 힌지결합부(2321) 간의 결합 위치, 즉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2320) 간의 결합 위치가 손쉽게, 그리고 효과적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힌지부(810)가 결합된 도어프레임(2320)은, 도어상면부(3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300)는, 힌지부(810)를 통해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어(300)는, 힌지부(810)를 상대로 한 전후방향 위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힌지부(81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후방향에 따른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2320) 간의 결합 위치가 조절될 수 있고, 이처럼 조절되는 힌지부(810)와 도어프레임(2320) 간의 결합 위치에 따라 하우징(100)을 상대로 한 도어(300)의 전후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2320)은, 도어상면부(310)의 개방된 하부를 덮으며 도어상면부(3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가이드홈(2324) 및 너트부재(2015)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23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볼트부재(2010)는,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2320) 사이의 공간에서 너트부재(2015)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볼트부재(2010)와 너트부재(2015)의 체결 부위가 도어상면부(310)와 도어프레임(23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고, 도어(3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힌지부(810)와 도어(300) 간의 체결 작업이 효율적이면서도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서도, 외부로 노출되는 도어(300)의 외관이 매끄럽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스켓(370; 도 59 참조)과 제2가스켓(380; 도 61 참조) 및 제3가스켓(390; 도 63 참조)과 같은 복수개의 가스켓들(370,380,390)이 도어(3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스켓들(370,380,39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틈새를 통한 열기와 수증기의 누설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 도어(300) 또는 하우징(100)에 긁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 조리실(105) 개폐시 도어(3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스켓들(370,380,390)로 인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어려워질 수 있다. 즉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에 가스켓들(370,380,390)이 더 부가되어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갭을 변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 더 추가됨으로써,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좀 더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도어(300)와 하우징(100) 사이의 갭과 관련하여,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상단과 도어상면부(310) 사이의 갭(이하, "Z축 갭"이라 한다), 그리고 하우징(100)의 측면(120,130) 및 저면(110)의 전방 단부와 도어전면부(350) 사이의 갭(이하, "Y축 갭"이라 한다)이 주로 고려될 수 있다. 이들에 대한 공차 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따라, 도어(300)의 개폐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그리고 조리실(105)에서 발생된 열기와 수증기의 누설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Z축 갭과 관련된 공차는, Y축 갭과 관련된 공차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리가 용이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Z축 갭과 관련된 가스켓의 수가 Y축 갭과 관련된 가스켓의 수보다 적고, 도어(300) 자체의 하중에 의해 Z축 갭과 관련된 공차가 어느 정도 보정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Y축 갭과 관련된 가스켓의 수가 Z축 갭과 관련된 가스켓의 수보다 많고 도어(300) 자체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과 Y축 갭이 증감하는 방향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면, Y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Z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에 비해 까다롭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Y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를 위한 구조가 개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가 위치조절안내부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결합부(2321)와 결합되고, 하우징(100)에 설치된 힌지부(810)와 도어(300)와 결합되는 도어프레임(2320)이 이 체결부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가 개시된다.
이에 따르면, 위치조절안내부에 결합되는 체결부의 전후방향 위치에 따라 하우징(100)의 전면과 도어전면부(350)의 간격, 또는 하우징(100) 측면(120,130)의 전방 단부와 도어전면부(350)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우징(100)의 전면과 도어전면부(350)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Y축 갭과 관련된 공차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캐비닛 고정 구조]
이하, 도 75 내지 도 7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캐비닛 고정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과 도 75 내지 도 7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외관은 도어와 하우징(100) 및 캐비닛(217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캐비닛(2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과 배면(140)을 덮을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2170)은, 양측면(120,130)의 전방 단부 및 상부 단부, 그리고 배면(140)의 후방에 배치된 제2제어기판(700)의 상부를 덮을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2170)은,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에 설치된 힌지 하우징(800)과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며, 조리기기의 측부 및 배후 외관을 형성하는 한편, 조리기기의 전방 일부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170)은, 배면커버부(2171)와, 한 쌍의 측면커버부(2173) 및 전면커버부(2175)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커버부(2171)는, 캐비닛(2170)의 배면을 형성하며, 하우징(100)의 배면(14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커버부(2171)는, 하우징(100)의 배면(140)에 설치된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하며, 제2제어기판(700)을 외측에서 감싸 보호할 수 있다.
배면커버부(2171)에는, 관통홀(171)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관통홀(171)에는 흡배기그릴(175)가 설치될 수 있다. 관통홀(171) 및 흡배기그릴(175)의 구성 및 작용은 이전 실시예에서 예시된 것들과 동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측면커버부(2173)는, 캐비닛(2170)의 측면을 형성하며,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측면커버부(2173)가 배면커버부(2171)를 사이에 두고 배면커버부(2171)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한 쌍의 측면커버부(2173)는,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의 측방향 외측에서 양측면(120,130) 및 힌지어셈블리(800)를 감싸 보호할 수 있다.
전면커버부(2175)는, 캐비닛(2170)의 전면을 형성하며,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 및 힌지어셈블리(80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면커버부(2175)가 측면커버부(2173)의 전방 단부에서 측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캐비닛(2170)의 전방 양측에 한 쌍의 전면커버부(2175)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전면과 인접한 제1측면(120) 및 제2측면(130)의 단부, 즉 제1측면(120) 및 제2측면(130)의 전방 단부에는, 전방연장면부(135)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전방연장면부(135)는, 제1측면(120)과 제2측면(130)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 즉 하우징(100)의 측방향 외측을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전방연장면부(135)는, 제1측면(120)의 전방 단부와 제2측면(130)의 전방 단부가 각각 측방향으로 절곡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연장면부(135)는, 하우징(100)의 전면 및 배면(140)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전방연장면부(135)가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양측면(120,130) 사이 외에도, 제1측면(120)과 전방연장면부(135) 사이, 그리고 제2측면(130)과 전방연장면부(135) 사이도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측면(120)과 결합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1측면(120)과 전방연장면부(135)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1측면(120) 및 전방연장면부(135)와 접촉되며 제1측면(120) 및 전방연장면부(135)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측면(120)과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측면이 제1측면(120)과 면접촉하며 제1측면(120)과 결합되고, 전방연장면부(135)와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면이 전방연장면부(135)의 배면과 접촉되며 전방연장면부(135)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측면(120)과 결합되는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2측면(130)과 전방연장면부(135)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 어셈블리(800)는, 제2측면(130) 및 전방연장면부(135)와 접촉되며 제2측면(130) 및 전방연장면부(135)와 결합된다.
즉 제2측면(130)과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측면이 제2측면(130)과 면접촉하며 제2측면(130)과 결합되고, 전방연장면부(135)와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면이 전방연장면부(135)의 배면과 접촉되며 전방연장면부(135)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힌지 어셈블리(800)와 결합되는 전방연장면부(135)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후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전방연장면부(135)와 마주보는 힌지 어셈블리(800)의 전면이 전방연장면부(135)의 배면과 접촉되는 위치가 힌지 어셈블리(800)의 결합 위치라고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연장면부(135)는, 적어도 2방향 이상에서 하우징(100)과 힌지 어셈블리(8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우징(100)과 힌지 어셈블리(800) 간의 결합 강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전방연장면부(135)와 같이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으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물과 힌지 어셈블리(800)가 서로 전후방향으로 결합하는 결합 구조가 형성되면, 하우징(100)의 양측면(120,130)의 측방향 변형에 저항하는 저항력이 한층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전면커버부(2175)는, 전방연장면부(135)를 전방에서 덮을 수 있다. 이러한 전면커버부(2175)는, 조리기기 중 도어(300) 부분을 제외한 부분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커버부(2173)는, 저면(110)의 일부분을 함께 덮을 수도 있다.
전면커버부(2175)는 하우징(100)의 전방에 덮이며,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 및 저면(110)과 전면커버부(2175)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틈새는,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 및 저면(110)과 전면커버부(2175)가 밀착되게 결합되는 만큼 좁아질 수 있다.
즉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 및 저면(110)과 전면커버부(2175)가 밀착될 수 있게 제대로 결합되지 못한다면,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 및 저면(110)과 전면커버부(2175) 사이가 전후방향으로 벌어지는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
한편 캐비닛(2170)은, 하단연장부(2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단연장부(2177)는, 전면커버부(2175)의 하단으로부터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하단연장부(2177)는, 전면커버부(2175)의 하단으로부터 전면커버부(2175)와 대략 직교하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처럼 마련된 하단연장부(2177)는, 캐비닛(2170)의 날카로운 단면이 캐비닛(2170)의 하단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단연장부(2177)는, 사용자가 캐비닛(2170)의 날카로운 단면에 베어 부상을 입지 않도록 사용자를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런데 캐비닛(2170)의 하단에 상기 하단연장부(2177)가 마련됨에 따라,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설치할 때 몇몇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캐비닛(2170)의 전방측에 배치된 하단연장부(2177)가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설치할 때,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 간의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상부의 캐비닛(2170)을 하부의 하우징(100)에 씌우는 형태로 하우징(100)에 캐비닛(2170)을 설치하는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캐비닛(2170) 하단의 하단연장부(2177)가 캐비닛(2170)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하우징(100)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므로, 하우징(100)에 캐비닛(217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하우징(100)과 하단연장부(2177) 간의 간섭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예컨대, 상부의 캐비닛(2170)을 하부의 하우징(100)에 씌우는 과정에서, 하우징(100)의 측면(120,130)이 하단연장부(2177)에 긁힐 수도 있고, 하우징(100)의 저면(110)이 하단연장부(2177)에 긁힐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100)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하단연장부(2177)로 인해,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씌우는 과정에서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 간의 간섭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해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씌우는 작업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다.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 간의 간섭 발생을 회피하기 위해, 캐비닛(2170)의 측면커버부(2173)나 전면커버부(2175)를 측방향 외측 또는 전방측으로 벌린 후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설치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이 증가됨은 물론,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 관련 공차의 관리가 매우 어려워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경우, 캐비닛(2170)을 벌린 결과 캐비닛(2170)의 변형이 영구적으로 발생되고, 이로 인해 조리기기의 품질 불량, 특히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 불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캐비닛(2170) 하단에 하단연장부(2177)가 형성됨에 따라, 하우징(100)의 긁힘이 발생되거나, 캐비닛(2170) 설치 작업의 난이도가 높아지거나,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 관련 공차의 관리가 어려워지거나,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 불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는 캐비닛고정부(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캐비닛고정부(는, 전면커버부(2175)의 전후방향 위치를 구속하며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캐비닛고정부(는, 도 76 내지 도 7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브라켓(2060) 및 체결부재(2070)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브라켓(2060)은, 캐비닛(2170)에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체결브라켓(2060)의 적어도 일부분은, 하우징(100)의 저면과 나란하게 맞대어질 수 있다.
체결브라켓(2060)은, 하단연장부(2177)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단연장부(2177)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브라켓(2060)은, 체결면부(2161) 및 끼움부(2162)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면부(2161)는, 하우징(100)의 저면(110)과 나란하게 맞대어지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면부(2161)는, 저면(110)과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2070)와 결합될 수 있다.
끼움부(2162)는, 체결면부(216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부(2162)는, 하단연장부(2177)를 관통하며 하단연장부(2177)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체결면부(2161)를 캐비닛(217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단연장부(2177)에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2162)는, 체결면부(2161)로부터 하단연장부(2177)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끼움부(2162)는 체결면부(2161)와 대략 "L" 형상을 이루는 형태로 체결면부(2161)로부터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끼움부(2162)는, 제1끼움부(2162a)와 제2끼움부(216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끼움부(2162a)는, 체결면부(2161)로부터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관통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끼움부(2162a)는, 체결면부(2161)와 직교하는 형태로 체결면부(2161)와 연결될 수 있다.
제2끼움부(2162b)는, 제1끼움부(2162a)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되, 전후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제2끼움부(2162b)는 제1끼움부(2162a)로부터 상부와 후방 사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끼움부(2162b)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통해 하단연장부(2177)를 관통하여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처럼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된 제2끼움부(2162b)가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에서 차지하는 영역의 전후방향 길이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다.
바꾸어 말하면,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된 제2끼움부(2162b)의 상단의 전후방향 위치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보다 후방에 위치한다. 제2끼움부(2162b)가 제1끼움부(2162a)로부터 상부와 후방 사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게 형성되기 때문이다.
즉 제2끼움부(2162b)는, 제1끼움부(2162a)로부타 상부와 후방 사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며,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통해 하단연장부(2177)를 관통하여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된 제2끼움부(2162b)의 상단은 제1브라켓끼움홀(2178)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향에 대해서,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최대 길이가 체결면부(2161)의 최소 길이보다 짧고, 끼움부(2162)의 길이가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길이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에 대해서, 끼움부(2162)의 길이가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길이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끼움부(2162)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에 삽입될 수 있지만, 체결면부(2161)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에 삽입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끼움부(2162)가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통해 하단연장부(2177)에 끼워지며 체결브라켓(2060)의 전후방향 위치 및 좌우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끼움부(2162),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1끼움부(2162a)가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둘러싸는 하단연장부(2177)의 내주면과 억지끼움되게 맞물릴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끼움부(2162a)의 전후방향 길이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전후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고, 제1끼움부(2162a)의 좌우방향 길이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의 좌우방향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아울러 하단연장부(2177)의 하부에 배치되는 체결면부(2161)와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통해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로 돌출된 제2끼움부(2162b) 사이에 하단연장부(2177)가 끼워지는 형태로 체결브라켓(2060)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끼움부(2162a)의 상하방향 길이는 저면(110) 중 하단연장부(2177)와 체결면부(2161) 사이에 위치한 영역의 상하방향 길이와 체결면부(2161)의 상하방향 길이를 합한 길이에 대응될 수 있다. 즉 상하방향에 대해서, 제1끼움부(2162a)는 저면(110)과 체결면부(2161)를 합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체결면부(2161)가 하단연장부(2177)의 하부에서 하우징(100)의 저면(110) 하단과 간섭되어 체결브라켓(2060)의 상부방향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하단연장부(2177)의 상부에서 상부와 후방 사이의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제2끼움부(2162b)가 하단연장부(2177) 또는 하우징(100) 저면(110) 상단과 간섭되어 체결브라켓(2060)의 하부방향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체결면부(2161)와 제2끼움부(2162b) 사이에 하단연장부(2177)가 끼워지는 형태로 체결브라켓(2060)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체결브라켓(2060)은, 이와 같은 형태로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되면서 캐비닛(217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브라켓끼움홀(2178)을 통해 끼움부(2162)를 하단연장부(2177)에 끼워준 후, 제2끼움부(2162b)와 체결면부(2161) 사이에 하단연장부(2177)가 끼워지도록 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체결브라켓(2060)을 캐비닛(2170)에 쉽고 빠르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제2끼움부(2162b)의 상단이 하단연장부(2177)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2끼움부(2162b)를 꺾어주는 방법으로 체결브라켓(2060)을 캐비닛(2170)에 좀 더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다.
한편 하단연장부(2177)는 저면(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저면(110)에는 제2브라켓끼움홀(11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브라켓끼움홀(112)은, 저면(11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브라켓끼움홀(2178)과 상하방향으로 연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끼움부(2162b)는, 제2브라켓끼움홀(112)을 통해 저면(11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2끼움부(2162b)는, 제1브라켓끼움홀(2178)과 제2브라켓끼움홀(112)을 통해 하단연장부(2177)와 저면(110)을 관통하여 하단연장부(2177) 및 저면(11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제1브라켓끼움홀(2178)과 제2브라켓끼움홀(112)을 통과하는 끼움부(2162)에 의해,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의 임시적인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움부(2162)에 의해 이루어지는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의 임시적인 결합에 의해, 캐비닛(2170)과 하우징(100)의 결합 위치가 안내되면서 체결부재(2070)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쉽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체결부재(2070)는,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진 체결면부(2161)와 저면(1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체결면부(2161)를 저면(1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부재(2070)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볼트부재는 체결면부(2161)와 저면(1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체결면부(2161) 및 저면(110)에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체결부재(2070)는 너트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너트부재는 저면(110)의 상부에서 볼트부재와 결합되어 볼트부재를 저면(110) 상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볼트부재와 너트부재의 결합은, 나사 결합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볼트부재는, 볼트부재의 헤드가 체결면부(2161)의 하부에 배치된 상태로 체결면부(2161) 및 저면(110)을 관통하여 저면(11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 그리고 너트부재는, 저면(110)의 상부에서 볼트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즉 너트부재는 볼트부재 중 저면(110)의 상부로 돌출된 부분과 결합될 수 있고, 볼트부재와 너트부재 간의 결합에 의해 체결브라켓(2060)이 하우징(100)의 저면(110)에 결합될 수 있다.
체결면부(2161)는, 상하방향으로 맞대어진 체결면부(2161)와 저면(110)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체결부재(2070)에 의해 저면(110)과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체결면부(2161)와 저면(110) 간의 결합에 의해, 저면(110)을 상대로 한 하단연장부(2177)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끼움부(2162)와 하단연장부(2177) 간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100)의 전면을 상대로 한 전면커버부(2175)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즉 체결부재(2070)에 의해 이루어지는 체결면부(2161)와 저면(110) 간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캐비닛(2170)의 상하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브라켓(2060)의 끼움부(2162)에 의해 이루어지는 체결브라켓(2060)과 캐비닛(2170) 간의 결합에 의해,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캐비닛(2170)의 전후방향 위치가 규제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캐비닛(2170)의 전면커버부(2175)는 체결브라켓(2060)에 의해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닛(2170)은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의 전방에서 전방연장면부(135)와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이 감소될 수 있게 됨은 물론,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 관련 공차의 관리가 매우 용이해질 수 있게 된다.
즉 체결브라켓(2060)에 의해, 캐비닛(2170)의 전면커버부(2175)가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의 전방에서 전방연장면부(135)와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게 됨으로써,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이 감소되고,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 관련 공차의 관리가 매우 용이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비닛(2170)의 측면커버부(2173)나 전면커버부(2175)를 측방향 외측 또는 전방측으로 벌린 후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캐비닛(2170)을 하우징(100)에 효과적으로 밀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하단연장부(2177)로 인해 하우징(100)의 긁힘이 발생되거나, 캐비닛(2170) 설치 작업의 난이도가 높아지거나,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 간의 갭 관련 공차의 관리가 어려워지거나,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 불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되는 문제가 효과적으로 해결될 수 있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은 캐비닛(2170) 설치 구조에 의해, 캐비닛(2170) 설치 작업의 난이도를 낮추면서도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이 밀착될 수 있게 됨으로써,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이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와 캐비닛(2170)의 전면커버부(2175) 주변에 제3냉각팬(860; 도 56 참조), 냉각유로(850; 도 56 참조), 냉기토출부(125; 도 56 참조) 등이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와 캐비닛(2170)의 전면커버부(2175) 사이가 벌어진 형태로 하우징(100)과 캐비닛(2170)의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이 발생된다면, 냉기토출부(125)를 통한 냉기 토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그 결과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으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거나, 심한 경우 조리실 내부의 열기 및 수증기가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새어나오는 결과가 발생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으로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브라켓(2060)에 의해, 캐비닛(2170)의 전면커버부(2175)가 하우징(100)의 전방연장면부(135)의 전방에서 전방연장면부(135)와 밀착된 상태로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캐비닛(2170)의 전면과 하우징(100)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한 공기의 누설은 차단되고, 냉기토출부(125)를 통한 냉기 토출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105 : 조리실
110 : 저면
112 : 제2브라켓끼움홀
120,130 : 측면
125 : 냉기토출부
135 : 전방연장면부
140 : 배면
150 : 배면케이스
160 : 절연판
170 : 캐비닛
171 : 관통홀
175 : 흡배기그릴
180 : 베이스
200 : 트레이
205 : 트레이본체
210 : 거치부
211 : 제1돌출부
213 : 제2돌출부
214 : 슬라이딩면
215 : 거치홈
220 : 물받이홈
230 : 스팀커버
300 : 도어
301 : 흡기구
303 : 배기구
305 : 손잡이
305a : 끼움돌기
310 : 도어상면부
315 : 공간부
320 : 도어프레임
320a : 체결홀
320b : 제1힌지통과홀
320c : 제1힌지결합부
320d : 제2힌지결합부
321 : 결합부
321a : 연결홀
321b : 제3가스켓끼움홀
322 : 안착면
323 : 제1가로지지부
324 : 제2가로지지부
325 : 히터장착부
326 : 제1접속단고정부
327 : 제2접속단고정부
328 : 그릴지지부
328a : 커버
328b : 고정리브
328c : 통과홀
329 : 접속단지지부재
329a : 코일스프링
329b : 제1결합부
329c : 제2결합부
330,335 : 글라스
340,345 : 케이블장착부
341,346 : 체결보스
343 : 연결부재
350 : 도어전면부
360 : 제1냉각팬
370 : 제1가스켓
371 : 제1실링몸체
372 : 제1가스켓중공부
373 : 제1실링커버
374 : 제1실링돌기
375 : 제1지지몸체
380 : 제2가스켓
381 : 제2실링몸체
382 : 제2가스켓중공부
383 : 제2실링돌기
385 : 제2지지몸체
386 : 제1돌출지지부
387 : 제2돌출지지부
390 : 제3가스켓
391 : 제3실링몸체
392 : 제3가스켓중공부
393 : 제3실링돌기
395 : 제3지지몸체
396 : 제1돌출지지부
397 : 제2돌출지지부
300a : 도어본체부
310a : 제1도어본체부
312b : 제3가스켓끼움홀
350a : 제2도어본체부
351a : 관통홀
353a : 체결홀2
350b : 도어배면커버
352b : 제1가스켓끼움홀
354b : 제2가스켓끼움홀
400 : 제1가열부
410 : 발열체
420 : 제1접속단
421 : 원통형상부
422 : 연장부
423 : 단턱
425 : 키형상부
430 : 제2접속단
440 : 리플렉터
441 : 제1리플렉터부
445 : 제2리플렉터부
450 : 보호그릴
500 : 제1제어기판
501 : 단자
550 : 지지패널
550a : 제1영역
550b : 제2영역
550c : 결합영역
551 : 메인패널부
552 : 리브
553 : 하부지지부
553a : 몸체부
553b : 돌출부
555 : 측부지지부
557 : 온도센서지지부
557a : 제2측벽부
557b : 제2지지면부
557c : 보스부
557d : 후크
558 : 케이블고정부
558a : 몸체부
558b : 돌출부
559 : 케이블지지부
559a : 제1돌기부
559b : 제2돌기부
560 : 지지돌기
561 : 가이드돌기
561a : 몸체부
561b : 돌출부
562 : 체결홀
563 : 체결부재
563a : 몸체부
563b : 머리부
565 : 터치패널지지부
565a : 돌출면부
565b : 돌출지지면부
565c : 돌출리브부
566 : 패킹부재
567 : 외측지지돌기
570 : 통신모듈
580 : 온도센서
581 : 센서본체
583 : 플랜지
590 : 브라켓
591 : 제1결합부
591a : 가이드홀
591b : 체결홀
593 : 제2결합부
593a : 체결홀
593b : 끼움홀
595 : 연결부
600 : 제2가열부
610 : 워킹코일
611 : 코일설치베이스
613 : 코일
615 : 코일연결배선
620 : 수신코일
621 : 코일설치베이스
623 : 코일
630 : 전자기차폐판
640 : 온도측정모듈
700 : 제2제어기판
730 : 제2냉각팬
735 : 전원연결부
740 : 통신모듈
750 : 배면지지패널
750a : 제1영역
750b : 제2영역
751 : 메인패널부
755 : 제1돌출테두리부
756 : 후크
760 : 배면커버
761 : 메인커버부
762 : 통기홀
763 : 팬설치홀
764 : 절개부
765 : 제2돌출테두리부
800 : 힌지 어셈블리
810 : 힌지부
811 : 제1힌지링크
811a : 제2체결공
812 : 제2힌지링크
813 : 제3힌지링크
814 : 제4힌지링크
820: 거치돌기
830 : 힌지케이스
831 : 유로입구
833 : 유로출구
835 : 토출돌기
840 : 팬장착부
850 : 냉각유로
851 : 제1구간
853 : 제2구간
860 : 제3냉각팬
1000 : 조작장치
1100 : 샤프트
1200 : 엔코더
1300 : 노브
1310 : 축결합부
1311 : 축결합공
1320 : 스커트부
1321 : 결합홈
1330 : 제2연결지지부
1340 : 돌기부
1350 : 노브커버
1360 : 전면부
1361 : 관통부
1360 : 측면부
1600 : 소켓부재
1610 : 외측지지부
1611 : 삽입홈
1620 : 내측지지부
1630 : 제1연결지지부
1631 : 플랜지형상부
1633 : 리브형상부
1635 : 스커트형상부
1640 : 광통과홀
1650 : 제1결합부
1651 : 제1돌출돌기부
1653 : 제1결합돌기부
1660 : 제2결합부
1661 : 제2돌출돌기부
1663 : 제2결합돌기부
1670 : 제3결합부
1680 : 자성부재
1700 : 발광부재
1800 : 전면커버부재
1810 : 결합보스
1900 : 터치조작부
1910 : 기판
1920 : 부스터
2010 : 볼트부재
2015 : 너트부재
2060 : 체결브라켓
2161 : 체결면부
2062 : 끼움부
2162a : 제1끼움부
2162b : 제2끼움부
2070 : 체결부재
2170 : 캐비닛
2171 : 배면커버부
2172 : 제1상면커버부
2173 측면커버부
2174 : 제2상면커버부
2175 : 전면커버부
2176 : 제2힌지통과홀
2177 : 하단연장부
2178 : 제1브라켓끼움홀
2015 : 너트부재
2320 : 도어프레임
2321 : 힌지결합부
2322 : 결합면
2323 : 제1체결공
2324 : 체결가이드홈
W : 투시창
s : 실링부재

Claims (10)

  1. 저면과 양측면과 배면으로 둘러싸인 조리실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면 및 전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도어상면부 및 상기 도어상면부의 전방측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의 전면을 덮는 도어전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상면부의 후방측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의 전방에서 공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배기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유도부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의 측면 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다른 측면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 및 상기 조리실의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의 배면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발생시키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힌지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힌지케이스의 외부로부터 상기 힌지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는 냉각유로가 마련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도부는, 상기 냉각유로와, 상기 냉각유로로부터 상기 힌지케이스의 외부로 개방되는 유로입구, 및 상기 냉각유로로부터 상기 조리실 내부로 개방되는 유로출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출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면과 마주보는 상기 힌지케이스의 측면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유로출구와 연통되는 냉기토출부가 마련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로 유입되는 공기 중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유로출구 및 상기 냉기토출부를 통해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토출되는 조리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유도부는, 상기 유로출구를 감싸며 상기 힌지케이스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측면 측으로 돌출되는 토출돌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입구가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로 개방되고, 상기 유로입구에 냉각팬이 배치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나란한 방향에 대해서 상기 냉기유로보다 상기 유로입구의 폭이 넓고,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에는 상기 유로입구를 둘러싸며 상기 힌지케이스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팬장착부가 마련되고,
    상기 팬장착부의 내부에 상기 냉각팬이 배치되는 조리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 및 상기 유로출구의 전후방향 위치는, 상기 힌지케이스 중에서 상기 도어전면부 측으로 치우친 위치인 조리기기.
PCT/KR2022/008421 2021-06-15 2022-06-14 조리기기 WO202226536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28716.5A CN117157488A (zh) 2021-06-15 2022-06-14 烹饪设备
AU2022295586A AU2022295586A1 (en) 2021-06-15 2022-06-14 Cook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7689A KR20220168097A (ko) 2021-06-15 2021-06-15 조리기기
KR10-2021-0077689 2021-06-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65365A1 true WO2022265365A1 (ko) 2022-12-22

Family

ID=82067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8421 WO2022265365A1 (ko) 2021-06-15 2022-06-14 조리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97284A1 (ko)
EP (1) EP4104720A1 (ko)
KR (1) KR20220168097A (ko)
CN (1) CN117157488A (ko)
AU (1) AU2022295586A1 (ko)
WO (1) WO202226536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090A (ja) * 1983-09-14 1985-04-10 株式会社東芝 高周波加熱装置
JPH05335071A (ja) * 1992-06-01 1993-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KR100643894B1 (ko) * 2005-06-01 2006-1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 겸용 전기밥솥
KR20090005892U (ko) * 2007-12-11 2009-06-16 권혁 전기 양면 구이 그릴
US20200224883A1 (en) * 2019-01-11 2020-07-16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56053A (en) 1976-06-10 1979-11-21 Pilkington Brothers Ltd Thermal treatment of glass
DE3404199C2 (de) * 1984-02-07 1993-10-07 Bosch Siemens Hausgeraete Backofen
DE29905081U1 (de) 1999-03-19 1999-08-12 Su, Yung-Sen, Tainan Verbesserung der Struktur einer Ofentür
US6271502B1 (en) 2000-02-18 2001-08-07 Wen-Ching Lee Quick-disconnect arrangement for oven door
KR20110001565U (ko) 2009-08-07 2011-02-15 이종석 토스터기의 도어 개폐 장치
US9120859B2 (en) 2012-04-04 2015-09-01 Zoetis Services Llc Mycoplasma hyopneumoniae vaccine
JP6289602B2 (ja) 2016-12-28 2018-03-07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11382454B2 (en) * 2018-03-05 2022-07-12 Marrone S.R.L. Combined apparatus for heating, cooking, grilling and defrosting of foods of various kind
KR102344414B1 (ko) * 2019-01-11 202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0145765A1 (ko) * 2019-01-11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EP3680557B1 (en) * 2019-01-11 2021-10-2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2090A (ja) * 1983-09-14 1985-04-10 株式会社東芝 高周波加熱装置
JPH05335071A (ja) * 1992-06-01 1993-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周波加熱装置
KR100643894B1 (ko) * 2005-06-01 2006-11-1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레인지 겸용 전기밥솥
KR20090005892U (ko) * 2007-12-11 2009-06-16 권혁 전기 양면 구이 그릴
US20200224883A1 (en) * 2019-01-11 2020-07-16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8097A (ko) 2022-12-22
AU2022295586A1 (en) 2023-09-21
EP4104720A1 (en) 2022-12-21
US20220397284A1 (en) 2022-12-15
CN117157488A (zh)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45765A1 (ko) 조리기기
AU2016346866B2 (en) Cooking apparatus, cooking apparatus controll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cooking apparatus
WO2020145761A1 (ko) 조리기기
WO2020145767A1 (ko) 조리기기
WO2020145717A1 (ko) 조리기기
WO2019177414A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WO2019045318A1 (en) HOUSEHOLD DEVICE
EP3155323A1 (en) Oven
WO2018038371A1 (ko) 청소기
WO2021172948A2 (ko) 냉장고
WO2020145763A1 (ko) 조리기기
EP3619384A1 (en) Home appliance
WO2022265365A1 (ko) 조리기기
WO2022265366A1 (ko) 조리기기
WO2020145766A1 (ko) 조리기기
WO2015190713A1 (en) Oven
WO2020145756A1 (ko) 조리기기
WO2020145758A1 (ko) 조리기기
WO2020145760A1 (ko) 조리기기
WO2020145764A1 (ko) 조작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WO2024123089A1 (ko) 조리기기
WO2023149625A1 (ko) 조리기기
WO2023249234A1 (ko) 조리기기
WO2020190037A1 (ko) 전기 주전자
WO2023149624A1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252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295586

Country of ref document: AU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295586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220614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8252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