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468B1 -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468B1
KR101492468B1 KR20120151143A KR20120151143A KR101492468B1 KR 101492468 B1 KR101492468 B1 KR 101492468B1 KR 20120151143 A KR20120151143 A KR 20120151143A KR 20120151143 A KR20120151143 A KR 20120151143A KR 101492468 B1 KR101492468 B1 KR 10149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mode
space
time
comple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511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416A (ko
Inventor
양재복
Original Assignee
양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복 filed Critical 양재복
Priority to KR201201511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468B1/ko
Priority to PCT/KR2013/011977 priority patent/WO2014098530A1/ko
Priority to CN201380070193.1A priority patent/CN104918526B/zh
Publication of KR20140081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483Warming devices with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32Time-controlled igniting mechanisms or alar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구획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입력모듈;에 접근하여 조리모드, 조리중량, 조리내용물 및 완료모드로 이루어지는 취사정보를 입력하는 취사정보입력단계(S10);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완료모드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순차완료모드로 구분되는 완료모드 값에 따라 조리동작을 구분 제어하는 제어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독립 구비되는 증기배출밸브,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리내용물을 조리하는 조리단계(S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단계에서 센서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압력, 온도로 구분되는 센서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측정단계(S30);가 동시에 수반되며, 상기 입력모듈에서 전달받은 취사정보와 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센서정보를 완료모드 값에 따라 구분 실행되는 취사알고리즘에 의해 각 취사공간별 조리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리파라미터 값을 결정하여 제어모듈에 전달함으로써 입력,제어,센서 모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The cooking method of rice cooking pot with multiple purposes}
본 발명은 다수의 공간으로 분리된 내솥별로 취사 및 조리 과정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대와 식품에 대한 선호도가 다양화되는 현대인의 식생활에 있어서, 주방용 가전제품의 필요성과 기능성은 날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용도와 다양한 장소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주방용 가전제품의 개발이 산업계에서 다양한 형태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쌀을 주식으로 하는 우리나라 국민의 식문화에 있어서 밥솥은 그 기능과 성능면에서 그 어떤 주방용 가전제품보다 더욱 세분화되고 차별화되는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밥솥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자제어를 컴퓨터연산이 가능한 마이컴(Micom) 또는 DSP 칩 등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제어방식의 효율화와 안정화를 목표로 하고 소비자의 까다로운 욕구를 섬세하게 반영하는 발명들이 많이 개시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61961호에서는 하부 조리용 가열히터의 설정가열온도가 상부 조리용 가열히터의 설정가열온도보다 높게 설정되어 취반요리, 찜요리, 구이요리를 완숙시키는 단계와, 상기 완숙단계 후에 전원을 차단하여 보유잠열에 의해 조리 대상물을 뜸들이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밥솥의 가열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272856호에서는 압력 요리의 설정을 판단하는 제1단계와, 압력 요리가 설정되면 요리시간을 설정한 후 시작 버튼이 눌리면 가열 공정을 진행하는 제2단계와, 상기에서 가열 공정의 종료 시점인지 판단하는 제3단계와, 상기에서 가열 공정이 완료되면 휴지시간을 표시한 후 휴지공정을 진행하면서 휴지공정 종료 수분 전인지 판단하는 제4단계와, 상기에서 휴지공정 종료 수분 전에 도달하면 증기배출을 시작하는 제5단계와, 상기에서 휴지공정이 종료되면 요리완료로 판단하여 부저음을 발생시킨 후 요리를 종료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증기 배출 제어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들은 각각 밥솥의 가열온도와 증기배출동작을 제어하는 밥솥의 취사조리방법에 관한 것이나, 취사가 이루어지는 밥솥의 공간이 하나로 한정되어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밥솥에서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동작을 개별 제어하기 위한 조리상황별 알고리즘이 구비되지 않아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구분되는 다용도 밥솥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곤란성이 야기되는 부분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개별 취사공간별로 상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밥솥의 가열온도와 압력을 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고, 각 취사공간별로 상이한 조리완료시간을 가열온도와 압력 및 개별공정시간의 조절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유기적으로 증감시켜 각 취사공간의 독립적인 조리동작은 물론이거니와 조리완료시간에 대해서도 선택성을 부여함으로써 다용도성이 극대화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에 언급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의 해결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이루어져 취사공간별로 개별적인 취사조리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모듈;에 접근하여 조리모드, 조리중량, 조리내용물 및 완료모드로 이루어지는 취사정보를 선택입력하는 취사정보입력단계(S10);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완료모드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순차완료모드로 구분되는 상기 완료모드 값에 따라 조리동작을 구분 제어하는 제어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독립 구비되는 증기배출밸브,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리내용물을 조리하는 조리단계(S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단계에서 센서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압력, 온도로 구분되는 센서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측정단계(S30);가 동시에 수반되며, 상기 입력모듈에서 전달받은 취사정보와 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센서정보 및 상기 완료모드 값에 따라 구분 실행되는 취사알고리즘에 따라 조리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리파라미터 값을 제어모듈에 전달함으로써 입력,제어,센서 모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모드는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취사모드;와,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찜모드;와,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보온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파라미터는 공정별 취사공간의 내부온도에 대한 가열온도최대치 및 가열온도변화폭과 개별공정진행시간 및 조리완료시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조리파라미터 값이 수정 및 조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조리파라미터 값을 각 취사공간별로 매핑하는 조리파라미터매핑단계;와,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가 완료되는 취사공간은 조리완료 후 보온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자동보온활성화단계;로 이루어져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각 취사공간별 조리파라미터의 조리완료시간을 상호 비교하여 조리완료시간이 최대가 되는 취사공간부터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결정단계;와, 각 취사공간별로 설정되는 우선순위값에 따라 조리파라미터 정보를 각 취사공간별로 수정하는 조리과정설계단계;로 이루어져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는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취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차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이 연장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는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취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선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을 축소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는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을 연장하고,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을 축소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조리파라미터에 셋팅된 가열온도변화폭을 증감하여 가열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조리파라미터에 셋팅된 가열온도변화폭을 증감하여 불림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각 조리모드를 구성하는 개별공정 사이에 취사공간 내의 내부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대기공정을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찜모드의 가열공정 중에 타 취사공간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유입시키는 증기공유공정을 포함시켜 가열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취사모드 및 찜모드의 휴지공정 중에 개방되는 증기배출밸브의 개폐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휴지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증감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하되, 증기배출밸브에서 조절되는 압력편차의 최소조절범위는 0.03 bar 이고 최대조절변위는 0.10 bar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취사,찜,보온모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반복 구성함으로써 해당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특정 조리모드의 조리시작시간을 늦춰 모든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구분되는 밥솥의 조리과정이 독립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각 취사공간마다 부여되는 조리파라미터에 의해 조리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상이한 조리동작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취사공간별로 조리동작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되 조리가 완료되는 시점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거나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라 다양한 조리 패턴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에 대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메뉴패널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의 전체 구성에 대한 플로우차트.
도 4는 순차완료모드에 따른 취사알고리즘의 연산처리에 대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동시완료모드에 따른 취사알고리즘의 연산처리에 대한 플로우차트.
도 6은 가열공정 진행시간 조절에 의한 공정별 가열온도와 조리완료시간을 나타낸 시간-가열온도 그래프.
도 7은 불림공정 진행시간 조절에 의한 공정별 가열온도와 조리완료시간을 나타낸 시간-가열온도 그래프.
도 8은 대기공정과 가열공정의 반복 구성에 의한 공정별 가열온도와 조리완료시간을 나타낸 시간-가열온도 그래프.
도 9는 증기공유공정이 추가되는 가열공정 구성에 의한 공정별 가열온도와 조리완료시간을 나타낸 시간-가열온도 그래프.
본 발명의 기술에 앞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와 각 요소의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본 원에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본 발명은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구획되는 밥솥의 취사조리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각 취사공간별로 취사조리동작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취사공간별로 이루어지는 개별 조리모드에 따른 세부 개별공정의 진행 절차에 대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제,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의 전체 구성 블록도로서, 사용자가 입력모듈;에 접근하여 조리모드, 조리중량, 조리내용물 및 완료모드로 이루어지는 취사정보를 입력하는 취사정보입력단계(S10);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완료모드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순차완료모드로 구분되는 완료모드 값에 따라 조리동작을 구분 제어하는 제어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독립 구비되는 증기배출밸브,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리내용물을 조리하는 조리단계(S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단계에서 센서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압력, 온도로 구분되는 센서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측정단계(S30);가 동시에 수반되며, 상기 입력모듈에서 전달받은 취사정보와 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센서정보를 완료모드 값에 따라 구분 실행되는 취사알고리즘에 의해 각 취사공간별 조리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리파라미터 값을 결정하여 제어모듈에 전달함으로써 입력,제어,센서 모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구성을 보여 준다.
상기 조리모드는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3가지 개별공정으로 구분되는 취사모드;와,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3가지 개별공정으로 구분되는 찜모드;와,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2가지 개별공정으로 구분되는 보온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파라미터는 공정별 취사공간의 내부온도에 대한 가열온도최대치 및 가열온도변화폭과 개별공정진행시간 및 조리완료시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조리파라미터 정보가 관리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중앙처리부가 구비하는 취사알고리즘은 사전에 취사정보별로 구분 정의되는 조리파라미터 값을 각 취사공간별로 매핑하는 조리파라미터매핑단계;와,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가 완료되는 취사공간은 조리완료 후 보온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자동보온활성화단계;로 이루어져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순차취사알고리즘과, 각 취사공간별 조리파라미터의 조리완료시간을 상호 비교하여 조리완료시간이 최대가 되는 취사공간부터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결정단계;와, 각 취사공간별로 설정되는 우선순위값에 따라 조리파라미터 정보를 각 취사공간별로 수정하는 조리과정설계단계;로 이루어져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취사알고리즘으로 구분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취사알고리즘이 구분됨으로써 개별 취사공간의 완료모드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조리동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에서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취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차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이 연장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함으로써 조리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고,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취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선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이 축소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함으로써 조리시간을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을 연장하고,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이 축소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하여 전체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 시점으로 재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취사알고리즘은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에서 정의된 3가지 방식 중에 하나를 선정한 후, 최우선순위의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에서 나머지 취사공간들의 조리완료시간을 차감하여 각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차이를 산출하고, 조리시간차이 만큼 각 취사공간의 선택된 조리모드에 따른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상기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파라미터에 셋팅된 가열온도변화폭을 증감하여 가열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시킬 수도 있다. 즉, 단위시간당 취사공간 내의 가열온도증가폭을 원래 조리파라미터에 규정된 가열공정a의 가열온도변화폭(℃/sec)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가열온도최대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늘림으로써 가열공정 진행시간을 연장하여 조리완료시간을 연장하거나 가연온도변화폭을 증가시켜 가열온도최대치에 도달하는 시간을 앞당김으로써 가열공정 진행시간을 단축하여 조리완료시간을 앞당겨 조리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온도변화폭을 단계적으로 증감하여 불림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시킬 수도 있다. 즉, 불림공정a의 가열온도변화폭보다 작은 가열온도변화폭으로 불림공정b를 구성함으로써 불림공정 진행시간이 늘어나게 되고 이에 따라 조리완료시간이 늘어나게 되거나, 불림공정c의 가열온도변화폭을 조리파라미터에 셋팅된 불림공정a의 가열온도변화폭보다 크게 변경하여 불림공정c에서의 가열온도 평균치가 불림공정a의 가열온도 평균치보다 크게 구성함으로써 불림공정 진행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각 조리모드를 구성하는 개별공정 사이에 취사공간 내의 내부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대기공정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모드의 개별공정 내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가열공정 내에 다수의 대기공정을 분할 배치하여 일정 구간동안은 가열공정이 진행되고, 연이어 소정의 대기공정이 진행된 후에 다시 가열공정이 반복 구성되는 방식으로 전체 가열공정 진행시간을 늘리게 된다.
이때, 상기 대기공정은 취사공간의 측부에서 공급되는 가열수단을 통해 일정한 발열량을 방출하게 구성하여 취사공간 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조절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단순히 가열공정과 휴지공정을 반복할 시에는 휴지공정 시 가열온도의 감소로 인해 열손실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으나, 본 가열공정과 대기공정의 반복 구성 시에는 대기공정에서 일정 온도 범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 주기 때문에 대기공정에 뒤따르는 가열공정에서 급가열에 대한 부담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된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공정 중에 타 취사공간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유입시키는 증기공유공정을 포함시켜 가열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즉, 찜모드에서 조리동작을 하거나 보온모드에서 보온동작을 하는 경우에 가열공정 중에 타 취사공간의 증기를 유입시켜 열 공급원을 늘림으로써 조리파라미터에 정의된 조리완료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에 조리를 완료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각 취사공간 사이를 구분하는 격벽수단을 일체형으로 포함하는 내솥의 격벽수단 상부측에는 다수의 통공이 격자배열 등으로 관통 형성됨으로써 한 취사공간의 증기가 타 취사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음을 주지한다.
참고로 도 6 내지 도 9 에 도시된 가열온도는 실제 취사공간의 내부 온도를 의미함을 주지한다.
한편, 상기 도 6 내지 도 9 를 참조하여 기술된 취사알고리즘을 통한 조리동작 진행과정에서 증기배출밸브의 개폐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각 조리모드의 개별공정에서 취사공간 내부의 압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특히, 취사모드 및 찜모드의 휴지공정 중에 개방되는 증기배출밸브의 개폐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휴지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증감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휴지공정 시간을 늘리기 위해서는 증기배출밸브의 압력편차를 작게 형성하여 서서히 증기가 배출되게 구성하고 휴지공정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증기배출밸브의 압력편차를 크게 형성하여 급속히 증기가 배출되게 구성함으로써 휴지공정 시간을 늘릴 수도 있다.
이때, 증기배출밸브에서 조절되는 압력편차의 최소조절범위는 0.03 bar 이고 최대조절변위는 0.10 bar로 구성하고 압력의 전체 범위는 0.80 bar 에서 1.40 bar로 구성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수치는 밥솥의 기능 또는 용량에 따라 상이하게 될 수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리고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취사,찜,보온모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반복 구성함으로써 해당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증감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술된 취사모드를 구성하는 개별공정은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3가지 개별공정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가열공정에 대기공정을 추가하되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공정과 대기공정을 다수 차례 반복 구성하여 조리완료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보온모드를 구성하는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2가지 개별공정을 가열공정과 휴지공정이 2차례 이상 반복 구성되게 함으로써 보온모드의 수행시간을 늘림으로써 보온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늘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취사알고리즘은 특정 조리모드의 조리시작시간을 늦춰 모든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취우선순위에 해당하는 특정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이 26분이고, 나머지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이 각각 20분, 14분이라고 가정하면 조리완료시간이 20분인 조리내용물은 초기 6분 동안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채로 준비하고 있다가 6분 경과시 조리동작을 시작하게 구성하고, 14분인 조리내용물은 초기 12분 동안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채로 준비하고 있다가 12분 경과시 조리동작을 시작하게 구성함으로써 모든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제, 본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모듈인 입력모듈, 제어모듈, 센서모듈, 중앙처리부의 구성 요소와 기능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상기 입력모듈은 사용자가 밥솥의 전면 또는 상면에 구비될 수 있는 입력메뉴패널(LCD패널 또는 버튼 형식)을 통해 취사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모듈로서, 하드웨어인 상기 입력메뉴패널과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취사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중앙처리부에 상기 취사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일련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입력메뉴패널의 형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좌측의 '<메뉴>', '시작', '취소' 의 버튼 영역과 우측의 LCD 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LCD 패널의 상단부는 각 취사공간별로 선택을 하기 위한 '공간1 공간2 공간3'으로 구성되는 취사공간선택영역과, '취사 보온 찜'으로 구성되는 조리모드선택영역과, '2 ~ 10 인분'으로 구성되는 대략의 조리중량선택영역과, '쌀 잡곡 떡 만두'로 구성되는 조리내용물선택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쌀 잡곡 떡 만두'로 조리내용물이 구성되었으나 이는 실시 예에 불과하며 상기 도시된 조리내용물 이외에 각종 밥종류(백미, 현미, 영양밥, 콩밥 등), 죽종류(흰죽, 팥죽, 전복죽 등), 국종류, 찌개종류, 삼계탕, 갈비찜, 닭찜, 고구마, 계란찜, 계란삶기, 생선찜, 시루떡, 대합찜, 감자 등의 조리내용물도 포함될 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조리중량선택영역은 밥류에 사용되는 '인분' 단위 또는 기타 식재료(갈비찜, 닭찜, 고구마 등)에 사용되는 '중량(g)' 단위로 구분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중량선택영역에서 상기 '2 ~ 10 인분'으로 언급되었으나 구체적인 인분 수치는 밥솥의 크기 또는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그리고 중심부에는 조리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표시영역과, 개별 취사공간별로 구분 설치되는 증기배출밸브의 개폐상태를 나타내는 증기배출밸브상태표시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하단부에는 개별 취사공간별로 진행중인 조리상태를 나타내는 조리상태표시영역과 각 취사공간별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순차완료모드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완료모드를 구분 선택할 수 있는 완료모드선택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중앙처리부에 의해 결정되는 조리파라미터 값에 따라 취사공간별로 독립 구비되는 증기배출밸브와 가열수단을 직접적으로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전자회로와 기계적 구동 요소가 결합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증기배출밸브는 취사공간별로 하나씩 구비될 수도 있고 공통의 증기배출밸브를 통해 전 취사공간의 압력이 제어될 수도 있다. 단, 공통의 증기배출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최종적으로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가 완료될 때까지 증기배출밸브는 폐쇄상태에 있어야 함을 주지한다.
상기 가열수단은 밥솥에 안착되는 외솥의 저면, 측면 등에 취사공간별로 독립 배치되어 각 취사공간별로 발열과정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증기배출밸브는 On/Off 비연속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선형적으로 연속제어가 가능한 비례압력제어방법에 의한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의 관점에서 적절하다.
상기 센서모듈은 온도센서, 압력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각 센서의 위치는 개별 취사공간별로 선정되어 취사공간 내부의 온도와 압력으로 구성되는 센서정보를 측정하여 주기적으로 중앙처리부에 전달하여 중앙처리부가 조리동작의 진행 중에 조리파라미터를 실시간으로 수정하여 조리동작이 원활하게 전개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처리부는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모듈, 제어모듈, 센서모듈의 수행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조리동작을 진행시키는 메인시스템으로서 마이컴이나 DSP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모듈에서 전달된 취사정보를 통해 완료모드 값을 검출하여 동시완료모드와 순차완료모드에 따라 구분되는 취사알고리즘에 따라 조리파라미터의 값을 편집하고 각 조리모드별로 개별공정의 구성을 유기적으로 재조합함으로써 제어모듈이 상기 조리파라미터와 재조합된 조리모드별 개별공정의 구성에 따라 가열수단과 증기배출밸브의 작동을 제어하여 조리동작을 진행할 수 있게 한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입력모듈, 제어모듈, 센서모듈, 중앙처리부에 대해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제 상기 구성 모듈을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밥솥의 취사조리과정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상기의 입력메뉴패널에 따라 사용자는 '<메뉴>'버튼을 눌러 취사공간선택영역 중의 하나를 선택하면 선택커서가 조리모드선택영역으로 이동하게 되고, 다시 조리모드 중에 하나의 모드를 '<메뉴>'버튼을 눌러 선택하는 방식으로, 나머지 조리중량선택영역과 조리내용물선택영역 및 완료모드선택영역의 값을 선택한 후에 최종적으로 '시작'버튼을 누르면 밥솥의 동작이 시작하게 된다. 또한, 밥솥 동작 중 또는 선택된 영역의 선택 취소 시에 '취소'버튼을 눌러 밥솥의 동작을 중지하거나 선택 내용을 취소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이제 상기의 입력메뉴패널을 통한 취사정보의 입력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중앙처리부가 상기 취사정보를 매개변수로 하여 취사알고리즘과 조리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조리동작을 진행하는 프로세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도 3은 취사정보입력단계 후에 발생하게 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플로우차트로서, 입력모듈에 의해 전달받은 취사정보에 근거하여 중앙처리부는 우선 취사공간수를 근거로 조리동작 결정을 판단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취사공간수가 1개인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완료모드에 대한 처리절차를 생략한 채로 바로 조리파라미터 매핑 과정으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조리파라미터의 정보는 상기에 전술된 바와 같이 가열온도최대치, 가열온도변화폭, 개별공정진행시간, 조리완료시간으로 이루어지는 4 개의 변수로 구성된다. 조리파라미터는 중앙처리부에 연동되는 별도의 메모리칩에 테이블 형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가열온도최대치는 공정별 진행되는 각 취사공간의 내부 가열온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열공정을 단축시키기 위해 가열온도최대치(취사공간 내의 조리내용물이 가열되는 최대온도)를 일정 범위 내에서 조정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하기에 기술된 가열온도변화폭을 조절하여 가열공정 시간을 증감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한편, 가열온도변화폭은 취사공간 내의 온도변화를 급가속하거나 감속시키기 위해 제어되는 수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가열온도변화폭을 제어하여 공정진행시간을 통제하는 것을 주요 방법으로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개별공정진행시간은 각 조리모드를 구성하는 개별공정들의 소요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열온도최대치 또는 가열온도변화폭과는 별도로 개별공정진행시간 자체를 변경함으로써 조리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어변수이다. 상기 조리완료시간은 조리동작 자체를 변화시키는 요소는 아니나 각 취사공간별로 할당되는 조리완료시간을 확정하여 상기 가열온도최대치, 가열온도변화폭, 개별공정진행시간의 제어를 통해 조리동작이 원활하게 구성되지 않을 때 가열온도최대치, 가열온도변화폭,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재차 수정하여 조리동작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기술된 가열온도최대치, 가열온도변화폭, 개별공정진행시간, 조리완료시간에 대한 구체적인 수치는 밥솥의 기계적 설계방법 또는 부품 소재의 구성에 따라 실험적으로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므로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조리파라미터를 각 취사공간별로 매핑하여 조리동작을 진행하게 된다. 조리모드가 '취사모드'이고 조리내용물이 '쌀'이며, 조리중량이 '1인분'으로 설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중앙처리부와 연동되는 메모리칩에 저장된 조리파라미터의 공정별 가열온도최대치(불림공정/가열공정)가 60 ℃/130 ℃ 이고, 가열온도변화폭(불림공정/가열공정)이 A ℃/sec / B ℃/sec 이며, 개별공정진행시간(불림공정/가열공정/휴지공정)이 a 분/ b분/ c 분 이고, 조리완료시간이 d분(a분+b분+c분)으로 구성된다면, 이에 따라 중앙처리부가 상기 조리파라미터를 제어모듈에 전달하게 되고 제어모듈은 압력제어와 온도제어를 시작하게 된다.
상기 압력제어는 개별공정과정마다 가열수단의 취사공간 내부 가열을 통한 압력 증가 시 각 조리모드 별 기준압력( 예. 취사모드: 1.3bar, 찜모드: 1.2bar 등)에 도달하기 직전에 다다르거나 초과 시에 증기배출밸브를 개방하여 증기를 배출하여 압력을 통제하거나 가열수단 자체의 발열량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온도제어는 상기의 공정별 가열온도최대치와 가열온도변화폭에 따라 밥솥에 구비되는 가열수단(취사공간의 하부, 상부, 측부)의 발열량을 조절하여 단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온도최대치와 가열온도변화폭은 취사공간 내부의 가열된 온도 수치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가열수단 자체의 발열온도가 아님을 주지한다. 이와 같은 제어모듈의 조리동작 제어를 통해 조리완료시간에 도달하게 되면 조리동작은 종료되고 자동적으로 보온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취사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조리동작에 대한 전반적인 기술이 이루어졌으며, 이제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취사공간수가 2개 이상인 경우에 대해서 순차완료모드와 동시완료모드로 각각 구분하여 프로세스를 기술하고자 한다.
* 순차완료모드의 구성
본 모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작동 모드로서, 조리파라미터에 대한 수정이 발생하지 않고 개별 취사공간이 선택된 조리모드에 따라 독립된 프로세스를 거치게 된다. 단, 먼저 조리가 완료된 취사공간은 자동적으로 보온모드로 진입하게 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배출시점도 개별 취사공간별로 조리가 완료될 때마다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4의 플로우차트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마지막에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가 모두 완료되는 시점에 증기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순차완료모드에서 '찜모드'로 선택된 취사공간의 조리동작에서는 '취사모드' 나 '보온모드'의 공정 진행 중에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공유하여 찜 조리과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조리파라미터에 기설정된 '조리완료시간'보다 더 단축하여 조리를 완료할 수도 있다.
* 동시완료모드의 구성(최우선순위 취사공간을 기준으로 나머지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연장)
본 모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작동 모드로서, 조리파라미터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고 조리파라미터의 수정에 선행하여 각 취사공간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과정이 수반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순위결정의 첫 단계는 중앙처리부가 조리파라미터에 접근하여 각 취사공간별로 정의되는 조리완료시간을 검색하게 된다. 상기 조리완료시간을 비교하여 조리완료시간이 최대가 되는 취사공간부터 최우선순위를 부여받게 된다. 예를 들어, 취사공간별 조리모드/조리중량/조리내용물의 선택내용이 하기 표 1과 같은 구성인 경우에 우선순위는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참고로 상기 표 1에 기재된 조리내용물 이외에 각종 밥종류(백미, 현미, 영양밥, 콩밥 등), 죽종류(흰죽, 팥죽, 전복죽 등), 국종류, 찌개종류, 삼계탕, 갈비찜, 닭찜, 고구마, 계란찜, 계란삶기, 생선찜, 시루떡, 대합찜, 감자 등의 조리내용물도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구분

취사정보

조리파라미터

조리모드

조리중량

조리내용물

조리완료시간(분)

취사공간1

찜모드

1인분

만두

25

취사공간2

취사모드

3인분


27

취사공간3

보온모드

2인분

잡곡밥

6
상기 표 1에서 취사공간1의 조리완료시간은 25분, 취사공간2는 27분, 취사공간3은 6분으로 조리파라미터 내에 정의된다. 따라서 조리완료시간이 가장 긴 취사공간2의 우선순위가 1, 취사공간1의 우선순위는 2, 취사공간3의 우선순위는 3이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최우선순위에 해당하는 취사공간2를 제외한 취사공간1 및 취사공간3의 조리시간을 연장함으로써 취사공간1,2,3의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자 한다. 따라서 취사공간2는 별도의 조리파라미터 수정없이 바로 이미 정의된 조리파라미터 매핑에 의해 제어모듈이 압력 및 온도제어를 시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취사공간1과 취사공간3은 이미 정의된 조리파라미터 값을 수정하여 변경된 조리파라미터를 제어모듈에 전달하고, 공정 알고리즘(공정의 배치 및 반복 횟수)도 함께 변경하여 제어모듈에 통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취사공간1의 조리동작 조절
우선, 취사공간1의 조리완료시간은 25분으로서, 취사공간2의 조리완료시간보다 2분이 적게 걸리므로, 상기 2분만큼 취사공간1의 조리시간을 늘리는 과정이 수반되게 된다. 취사공간1의 조리모드는 찜모드이므로 가열공정, 증기공유공정, 휴지공정의 3가지 개별공정으로 구성된다. 이때, 본 실시 예에서는 가열공정의 조리동작을 조절하여 조리완료시간을 취사공간2의 조리완료시간과 동일하게 조정하고자 한다. 가열공정의 조리동작을 조절하는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열온도조절방식을 통해 가열온도변화폭을 A ℃ 만큼 감소시켜 찜요리에서 충족되어야 할 최종 가열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을 늦춤으로써 가열공정진행시간을 C분(2분) 연장하거나, 가열온도변화폭을 상기 A + α℃ 만큼 감소시키는 대신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증기공유공정을 추가하여 상기 α℃ 만큼 더 감소된 가열온도변화폭을 보상하여 취사공간1의 가열공정진행시간을 동일하게 C분(2분) 연장하는 방식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공정을 다수의 가열공정과 다수의 대기공정이 반복되게 구성하고 도 8의 3차례의 가열공정 중에 첫번째 가열공정의 가열온도변화폭을 가장 크게 조절하고, 두번째 및 세번째 가열공정으로 갈수록 가열온도변화폭을 작게 구성하여 가열공정의 진행 속도를 조절하여 취사공간1의 조리완료시간을 연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취사공간1의 찜모드에서 마지막 공정에 해당하는 휴지공정에서 상기에 전술된 압력 조절 방법을 이용하여 증기배출밸브의 개폐도(압력편차)를 약간 줄여서 증기 배출이 서서히 이루어지게 구성하여 조리완료시간을 연장하는데 보조적 역할을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취사공간1의 조리시작시간을 2분간 늦춰서 조리동작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초기 2분 동안은 취사공간1의 조리동작을 시작하지 않고 있다가 2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찜모드에 의한 조리동작이 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초기 2분간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2. 취사공간3의 조리동작 조절
우선, 취사공간3의 조리완료시간은 6분으로서, 취사공간2의 조리완료시간보다 21분이 적게 걸리므로, 상기 21분만큼 취사공간3의 조리시간(보온)을 늘리는 과정이 수반되게 된다.
단, 취사공간3의 조리모드는 실제 조리를 하는 과정이 아닌 단순 보온모드이므로 가열수단에 의해 열이 공급되는 가열공정과 열 공급 중단 상태에서 열을 보유하는 휴지공정이 다수 차례 반복되게 구성함으로써 보온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여 효율적인 전력소모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고, 취사공간3의 가열온도변화폭을 B ℃ 만큼 감소시켜 가열공정의 진행시간을 연장하거나, 가열온도변화폭은 셋팅된 조리파라미터의 가열온도변화폭을 그대로 준용하되 가열공정과 휴지공정 사이에 대기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취사공간3의 조리완료시간이 취사공간2의 조리완료시간과 동일하게 되도록 하여 보온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취사공간3의 조리모드가 보온모드가 아닌 취사모드인 경우에는 조리동작 조절에서 초기 21분 동안은 취사공간3의 조리동작을 시작하지 않고 있다가 21분이 경과한 시점에서 취사모드에 의한 조리동작이 개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초기 21분간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최우선순위 취사공간(조리완료시간이 최대인 취사공간)을 기준으로 나머지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각각 연장하는 방식을 통해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화하였으나, 전술된 바와 같이 최하순위 취사공간을 기준으로 나머지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앞당기거나 최우선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앞당김과 동시에 최하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늦추어서 모든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화할 수도 있다. 단,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최하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이 최우선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보다 현저하게 짧을 경우에는 최우선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기준으로 조리완료시간을 조정하거나 최우선순위 및 최하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각각 증감시킴으로써 각 취사공간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화시키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조리동작을 진행하되 센서모듈을 통해 수득되는 센서정보(온도, 압력)값과 조리파라미터(특히 가열온도변화폭 및 가열온도최대치)값을 비교하여 어느 특정 개별공정 중에 취사공간 내의 온도값이 규정된 가열온도변화폭을 초과하거나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제어모듈이 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증감시켜 가열작용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가열에 의해 적정 압력보다 높게 형성되면 가열수단에 공급되는 전력을 줄임으로써 압력을 제어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개별 취사공간별로 독립적으로 조리동작이 가능하도록 세분화된 조리모드와 각 조리모드에 따라 구분되는 조리파라미터 및 취사알고리즘에 의해 다양한 조리내용물을 다양한 조리모드로 조리하되 조리완료시간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밥솥의 다용도 효율을 최대화하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한 상세 설명과 본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실체와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 기술하였다. 상기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상세 설명과 실시 예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에 따른 발명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S10 : 취사정보입력단계 S20 : 조리단계
S30 : 센서측정단계

Claims (13)

  1. 다수의 취사공간으로 이루어져 취사공간별로 개별적인 취사조리동작이 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입력모듈;에 접근하여 조리모드, 조리중량, 조리내용물 및 완료모드로 이루어지는 취사정보를 선택입력하는 취사정보입력단계(S10);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완료모드와 각 조리내용물의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순차완료모드로 구분되는 상기 완료모드 값에 따라 조리동작을 구분 제어하는 제어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독립 구비되는 증기배출밸브, 가열수단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리내용물을 조리하는 조리단계(S20);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리단계에서 센서모듈;에 의해 취사공간별로 압력, 온도로 구분되는 센서정보를 주기적으로 측정하는 센서측정단계(S30);가 동시에 수반되며, 상기 입력모듈에서 전달받은 취사정보와 센서모듈에서 측정된 센서정보 및 상기 완료모드 값에 따라 구분 실행되는 취사알고리즘에 따라 조리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조리파라미터 값을 제어모듈에 전달함으로써 입력,제어,센서 모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게 되는 중앙처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리모드는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취사모드;와, 불림공정,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찜모드;와, 가열공정, 휴지공정의 개별공정들로 구분되는 보온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파라미터는 공정별 취사공간의 내부온도에 대한 가열온도최대치 및 가열온도변화폭과 개별공정진행시간 및 조리완료시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처리부에 의해 조리파라미터 값이 수정 및 조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조리파라미터 값을 각 취사공간별로 매핑하는 조리파라미터매핑단계;와,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가 완료되는 취사공간은 조리완료 후 보온모드로 자동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자동보온활성화단계;로 이루어져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각 취사공간별 조리파라미터의 조리완료시간을 상호 비교하여 조리완료시간이 최대가 되는 취사공간부터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우선순위결정단계;와,
    각 취사공간별로 설정되는 우선순위값에 따라 조리파라미터 정보를 각 취사공간별로 수정하는 조리과정설계단계;로 이루어져 각 취사공간별로 조리완료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는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취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차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이 연장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는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취사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선순위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을 축소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과정설계단계는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을 연장하고,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취사공간의 조리시간을 축소되도록 조리파라미터를 수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조리파라미터에 셋팅된 가열온도변화폭을 증감하여 가열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조리파라미터에 셋팅된 가열온도변화폭을 증감하여 불림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각 조리모드를 구성하는 개별공정 사이에 취사공간 내의 내부 가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대기공정을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찜모드의 가열공정 중에 타 취사공간에서 발생하는 고온의 증기를 유입시키는 증기공유공정을 포함시켜 가열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취사모드 및 찜모드의 휴지공정 중에 개방되는 증기배출밸브의 개폐도를 단계적으로 조절하여 휴지공정의 개별공정진행시간을 증감함으로써 조리완료시간을 증감하되,
    증기배출밸브에서 조절되는 압력편차의 최소조절범위는 0.03 bar 이고 최대조절변위는 0.10 bar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취사,찜,보온모드를 구성하는 각각의 개별공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반복 구성함으로써 해당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증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사알고리즘은 특정 조리모드의 조리시작시간을 늦춰 모든 조리모드의 조리완료시간을 동일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KR20120151143A 2012-12-21 2012-12-21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KR10149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1143A KR101492468B1 (ko) 2012-12-21 2012-12-21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PCT/KR2013/011977 WO2014098530A1 (ko) 2012-12-21 2013-12-20 다용도 밥솥 및 다용도 밥솥의 내솥 잠금장치, 이를 포함하는 다용도 밥솥 취사 조리 시스템
CN201380070193.1A CN104918526B (zh) 2012-12-21 2013-12-20 多功能电饭煲、多功能电饭煲的内胆锁定装置及其多功能电饭煲的烹饪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51143A KR101492468B1 (ko) 2012-12-21 2012-12-21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416A KR20140081416A (ko) 2014-07-01
KR101492468B1 true KR101492468B1 (ko) 2015-02-11

Family

ID=5173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51143A KR101492468B1 (ko) 2012-12-21 2012-12-21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1899A (zh) * 2018-12-29 2019-04-05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一种烹饪任务执行方法、装置及储存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565743U (zh) * 2016-08-30 2017-10-20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706B1 (ko) 2007-02-14 2007-10-04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개별취사가 가능한 다중포트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KR100904687B1 (ko) 2008-06-16 2009-06-24 김종만 내솥 공간이 분할되는 전기밥솥
KR20120001806U (ko) * 2010-09-01 2012-03-09 김승진 아침, 점심, 저녁밥 시간 별 취사예약 기능의 전기압력밥솥
KR20130118189A (ko) * 2012-04-19 2013-10-29 김정희 내솥 및 다중 조리 전기 압력밥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0706B1 (ko) 2007-02-14 2007-10-04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개별취사가 가능한 다중포트를 구비한 전기압력밥솥
KR100904687B1 (ko) 2008-06-16 2009-06-24 김종만 내솥 공간이 분할되는 전기밥솥
KR20120001806U (ko) * 2010-09-01 2012-03-09 김승진 아침, 점심, 저녁밥 시간 별 취사예약 기능의 전기압력밥솥
KR20130118189A (ko) * 2012-04-19 2013-10-29 김정희 내솥 및 다중 조리 전기 압력밥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81899A (zh) * 2018-12-29 2019-04-05 珠海优特智厨科技有限公司 一种烹饪任务执行方法、装置及储存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416A (ko)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7729B (zh) Cooking utensils
US9756981B2 (en) Toaster oven
KR102501347B1 (ko) 조리 기구
US8455028B2 (en) Method for conducting at least one cooking process
US8697166B2 (en) Method for baking a casserole using steam
US20190320844A1 (en) Generating a cooking process
US7208701B2 (en) Method of steam cooking
US20140157994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tuitive Cooking Control
KR20060115579A (ko) 증기를 이용한 음식 조리 방법
JP5535186B2 (ja) 炊飯器
US20190014943A1 (en) Multicooker
JP2006034962A (ja) 電気圧力炊飯器の炊飯調節装置
KR101492468B1 (ko) 다용도 밥솥의 취사조리방법
JP5273985B2 (ja) 炊飯器
JP2006149593A (ja) 製パン機能付き炊飯器
JP2018126410A (ja) 炊飯器
JP6417087B2 (ja) 加熱調理器
KR100746393B1 (ko) 전기압력보온밥솥의 취사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2006314356A (ja) 蒸し調理機能付き炊飯器
JP2013120005A (ja) 加熱調理器
KR100711285B1 (ko) 식혜 제조 기능을 갖는 다기능 조리기 및 이를 이용한식혜 제조 방법
JP2011122777A (ja) 加熱調理器
JP6163318B2 (ja) ガスコンロ
KR20220146231A (ko) 전기 조리기
KR102389578B1 (ko) 전기 압력밥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